KR102628388B1 -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388B1
KR102628388B1 KR1020210159613A KR20210159613A KR102628388B1 KR 102628388 B1 KR102628388 B1 KR 102628388B1 KR 1020210159613 A KR1020210159613 A KR 1020210159613A KR 20210159613 A KR20210159613 A KR 20210159613A KR 102628388 B1 KR102628388 B1 KR 10262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memorial
blockchain
exhibition
commu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72914A (en
Inventor
김찬규
Original Assignee
김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규 filed Critical 김찬규
Priority to KR1020210159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388B1/en
Publication of KR20230072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9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3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과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진행을 가상공간에서 시스템적으로 지원할 수 있고, 그 시스템에 등재되는 모든 디지털 컨텐츠를 블록체인 기술로 NFT화하여 가상공간에서의 건전한 거래환경을 지원하여 해킹이나 데이터 훼손의 위험을 방지하면서도 NFT 거래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10)과 포털사이트(2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30)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고, 포털사이트(20)에서 회원관리 및 메신저 기능을 통해 회원을 관리하며, 이더리움 프로토콜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30)에 포함된 다수의 커뮤니티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등재와 NFT화 및 그 NFT 거래의 검증 및 채굴작업에 대한 보상을 받고,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확보한 NFT를 이용하여 추모관 및 전시관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으며, 그 변경된 추모관이나 전시관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가상공간에서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chain NFT (Non-Fungible Token)-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which can systematically support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s in virtual space and be registered in the system. The purpose is to support a healthy transaction environment in virtual space by converting all digital content into NFT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o prevent the risk of hacking or data damage while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NFT transactions.
To achieve that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user terminal 10, the portal site 20, and the blockchain network 30 through the Internet, and manages members through member management and messenger functions in the portal site 20. , receive compensation for the registration and NFT of digital content in multiple communities included in the Ethereum protocol-based blockchain network (30), verification of NFT transactions, and mining operations, and use NFTs secured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Thus, the design of the memorial hall and exhibition hall can be changed, and the feature is that an event can be held in a virtual space using the image of the changed memorial hall or exhibition hall.

Description

블록체인 NFT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운용방법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블록체인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과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진행을 가상공간에서 시스템적으로 지원할 수 있고, 그 시스템에 등재되는 모든 디지털 컨텐츠를 블록체인 기술로 NFT화하여 가상공간에서의 건전한 거래환경을 지원하고 해킹이나 데이터 훼손의 위험을 방지하면서도 NFT 거래의 신뢰성 제고를 통해 추모 및 전시행사에 맞는 지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블록체인 NFT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과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chain NFT (Non-Fungible Token)-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progress can be systematically supported in virtual space, Support services tailored to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s by converting all digital contents registered in the system into NFT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o support a healthy transaction environment in virtual space and prevent the risk of hacking or data damage while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NFT transactions. It is about a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that can provide and its operation method.

최근 정보통신(IT)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오프라인의 실생활에서 진행되는 각종 이벤트가 온라인의 가상세계에서 구현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일상적 생활패턴도 급속하게 비대면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그러한 일상생활의 변화는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관습화된 의식이나 행사까지도 가상세계로 이끌고 있으며, 탈관습에 따른 심리적 부담감을 줄이고 다소나마 마음의 위안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대안기술로서 가상공간의 이벤트 지원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다.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T) technology, various events that take place offline in real life are increasingly being implemented in the online virtual world. In particular, as the pandemic situation such as COVID-19 prolongs, daily life patterns are rapidly changing. It is changing to non-face-to-face. Such changes in daily life are leading even customary rituals and events that normally take place into the virtual world, and the event support system in virtual space is an alternative technology that can reduce the psychological burden caused by unconventionality and provide some peace of mind. It is attracting attention.

이러한 시대변화에 맞춰 추모의식이나 전시행사와 같은 실생활의 이벤트가 IT기술로 구현한 가상공간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적으로 지원하는 플랫폼 기술개발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In line with these changing times, the development of platform technologies that systematically support real-life events such as memorial ceremonies and exhibition events to be carried out in virtual spaces implemented with IT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in various forms.

특허 제10-2139551호(선행특허 1)에는 위·변조나 날조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유언장을 관리할 수 있게 지원하는 플랫폼이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10-2019-0134912호(선행특허 2)에는 고인을 추모하거나 반려동물의 죽음에 따른 펫리스 증후군을 극복할 수 있도록 살아있을 때의 모습을 담은 사진, 영상과 같은 기록물의 재생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VR(가상현실) 추모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Patent No. 10-2139551 (Prior Patent 1) discloses a platform that supports the management of will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in part to prevent legal disputes that may arise due to forgery, falsification, or fabrication. Publication Patent No. 10-2019-0134912 (Priority Patent 2) supports the playback of records such as photos and videos of pets when they were alive to commemorate the deceased or overcome petless syndrome following the death of a pet. A cloud-based VR (virtual reality) memorial system has been launched.

그러나 위 선행특허 1은, 도 1에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전체적인 시스템이 관리서버(400)의 중앙통제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유언장의 기록관리에 부분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나, 그 적용방식은 여전히 관리서버(400)의 중앙통제를 벗어나지 못하여 분산처리 시스템을 전제로 한 블록체인 기술의 본질적 특성과는 차이가 있고, 더욱이 유언장이 일방적 의사표시에 불과하고 유언자의 사후에 법적효력이 발생된다는 현실적 특성을 감안할 때, 위 선행특허 1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참여자(참여노드)가 유언자, 공증인, 대리인 등의 소수로 제한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참여노드의 수가 많을수록 신뢰도가 높아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 prior patent 1, as illustrated in FIG. 1, the entire system is configured to be under central control of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blockchain technology is partially applied to the record management of the will, but the method of application is is still unable to escape the central control of the management server 400, so it is differen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blockchain technology premised o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and furthermore, the will is only a unilateral expression of will and takes legal effect after the testator's death. Considering the realistic characteristics, the blockchain network of Prior Patent 1 above has participants (participating nodes)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testators, notaries, agents, etc., so the advantage of the blockchain network is that the greater the number of participating nodes, the higher the reliability. There was a limitation that it could not be fully saved.

그리고 위 선행특허 2의 추모시스템은, 도 2 (a), (b)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동영상이나 사진 및 문서 등의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저장하고, VR추모관 제공장치(200)에 포함된 제어부(230)를 통해 고인의 조의금 계좌 및 방명록을 관리하는데 부분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고는 있으나, 마찬가지로 여전히 제어부(230)에 의한 중앙통제를 벗어나지 못하여, 정작 중시되어야 할 추모컨텐츠 자체가 블록체인 기술로 관리되지 못한다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And, as can be seen in Figures 2 (a) and (b), the memorial system of the preceding patent 2 stores digital content such as videos, photos, and documents on the cloud server 100, and uses a VR memorial service device 200. ), blockchain technology is partially applied to manage the deceased's condolence account and guestbook through the control unit 230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230, but it is still unable to escape central control by the control unit 230, so memorial content that should be emphasized It had a realistic problem in that it could not be managed with blockchain technology.

(선행특허문헌 1) 특허 제10-2139551호(Prior patent document 1) Patent No. 10-2139551 (선행특허문헌 2) 공개특허 제10-2019-0134912호(Prior Patent Document 2) Publication Patent No. 10-2019-0134912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운영자에게는 단순한 포털기능만으로 회원관리 및 생태계 유지를 담당하게 하고,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에게는 중앙통제가 없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NFT의 생성과 거래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by focusing on the problems of the above background technolog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system operators with a simple portal function to manage membership and maintain the ecosystem, and provide users accessing the system with a blockchain system without central control. The goal is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that can support the creation and trading activities of NFTs through the network.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포털사이트에서 디폴트로 제공되는 추모관이나 전시관의 스킨(배경이미지)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NFT를 활용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그 변경된 스킨디자인을 다시 NFT화하여 유통시키는 선순환 구조의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changing the skin (background image) of a memorial hall or exhibition hall provided by default on a portal site using NFT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to distribute the changed skin design again as NFT. The goal i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that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virtuous cycle ecosystem.

또한,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이벤트의 속성에 따라 테마별로 복수의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커뮤니티에 접속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업로드 뿐만 아니라 NFT의 검증, 채굴 및 거래활동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과 그 운용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plurality of communities by theme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event in the blockchain network, and users can freely perform NFT verification, mining, and transaction activities as well as upload digital content by accessing the community of their cho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to support the ev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NFT 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포털사이트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정보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은 인터넷을 통해 포털사이트를 경유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포털사이트에는 회원관리 및 메신저 기능이 부여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이벤트의 성격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커뮤니티가 포함되도록 구성하되, 이더리움 프로토콜 기반으로 설계되어 각 커뮤니티에 등재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NFT화와 함께 상기 NFT 거래의 검증 및 채굴작업에 대한 보상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확보한 NFT를 이용하여 추모관 및 전시관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과 함께 그 디자인 변경 지원기능에 의해 새로 디자인한 추모관이나 전시관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통해 원하는 추모나 전시이벤트를 가상공간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a portal site, and a blockchain network, and the user terminal equipped with information input and display functions uses the Internet. It is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blockchain network via a portal site, the portal site is given member management and messenger functions, and the blockchain network is configured to include a number of communities that can be randomly select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event. Designed based on the Ethereum protocol, it is equipped with a compensation function for verification of NFT transactions and mining operations along with NFT of digital content registered in each community, and the blockchain network uses NFTs secured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that supports changing the design of the memorial hall and exhibition hall, the design change support function allows you to use the image of the newly designed memorial hall or exhibition hall to hold a desired memorial or exhibition event in virtual space through the display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지원시스템에 적용한 보상기능은 암호화폐를 지정된 전자지갑으로의 전송을 통해 이루어지고, 그 암호화폐는 NFT 자체를 이용하거나 본 발명에 특화된 별도의 이모펫(IMMOPET)을 정의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mpensation function applied to the suppor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plished through transferring cryptocurrency to a designated electronic wallet, and the cryptocurrency is used by using NFT itself or by defining a separate IMMOPET specializ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의 지원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포털사이트에는 시스템 전체의 생태계를 평가하고, 적절한 생태계 조성이 이루어졌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ortal site included in the suppor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equipped with a function that can evaluate the ecosystem of the entire system and monitor whether an appropriate ecosystem has been created.

또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 NFT 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에서 거래되는 NFT는 헤더와 바디(Body)로 구성되고, 그 바디(Body)에는 창작자 정보와 조회수 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설계하며, 헤더정보는 커뮤니티에서 처리되고 바디(Body)는 탈중앙화 스토리지인 IPFS(InterPlanetray File System)에 저장되어 그 커뮤니티와 IPFS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정보처리를 실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NFT traded in the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header and a body, and the body is designed to further include creator information and number of views information. , Header information is processed by the community and the body is stored in IPFS (InterPlanetray File System), a decentralized storage, and the community and IPFS are organically linked to execute information processing.

그리고 본 발명의 블록체인 NFT 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포털사이트의 화면에서 제공되는 입력창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 회원가입 후 인터넷을 통해 상기 포털사이트를 경유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구비된 다수의 커뮤니티에서 특정커뮤니티를 선택하여 입장하는 단계, 그 커뮤니티에 디지털 컨텐츠의 등재를 통해 NFT의 생성과 검증 및 채굴작업에 참여하여 그에 대한 보상을 받는 단계, 해당 커뮤니티에서의 활동으로 확보한 NFT를 이용하여 추모관 및 전시관의 디자인을 변경하는 단계, 그 변경단계에서 새로 디자인한 추모관이나 전시관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예정하고 있는 이벤트를 가상공간에서 진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gistering as a member by entering information into the input window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portal site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accessing the Internet after registering as a member. Steps of accessing the blockchain network via the portal site, steps of selecting and entering a specific community from multiple communities provided in the blockchain network, creation, verification, and mining of NFTs through registration of digital content in the community The step of participating in the work and receiving compensation, the step of changing the design of the memorial hall or exhibition hall using NFTs obtained through activities in the community, and the step of changing the design of the memorial hall or exhibition hall by using the image of the newly designed memorial hall or exhibition hall in the change stag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steps to conduct the scheduled event in a virtual space.

또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 NFT 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의 운용방법은 포털사이트를 통해 시스템 전체의 생태계를 평가하고, 적절한 생태계 조성이 이루어졌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evaluating the ecosystem of the entire system through a portal site and monitoring whether an appropriate ecosystem has been created. Do it as

본 발명에 의하면, 이더리움 프로토콜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화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NFT의 생성 및 거래를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antages of automated smart contracts can be utilized to the fullest extent through a blockchain network based on the Ethereum protocol, which has the effect of processing the creation and transaction of NFTs easily and quickly.

또한, 경제력이 부족한 창작자라도 누구나 자신의 디지털 창작물을 NFT화하여 거래를 통한 수익창출이 가능하고, 다른 창작자의 NFT를 구매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전시공간을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creators with limited economic power can generate profits through trading by turning their digital creations into NFTs,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sign an exhibition space that suits their tastes by purchasing NFTs from other creators.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순수 P2P방식의 분산처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스가 진행되기 때문에 중앙통제 방식의 처리시스템에서 예상되는 해킹이나 데이터 분실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cess proceeds through a pure P2P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hacking or data loss expected in a centrally controlled process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유언장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의 (a), (b)는 종래의 클라우드 기반 가상현실(VR) 추모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NFT 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포털사이트 초기화면에서 제공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을 뒷받침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시스템의 추모커뮤니티에 입장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추모관의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a will management system using conventional blockchain technology.
Figures 2 (a) and (b) are configuration diagrams to explain a conventional cloud-based virtual reality (VR) memorial system.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supporting the explanation of the functions provided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portal 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of a memorial hall provided to users who enter the memorial community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NFT 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어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없다는 점도 함께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이거나 축소된 의미로 해석하려는 태도는 피해야 할 것이다. 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ess specifically defined different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should be construed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should not be overly comprehensive or reduced in meaning. The attitude of interpreting it as such should be avoid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과 포털사이트(20) 및 이더리움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30)를 주요구성으로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30)에는 이벤트의 속성에 따라 복수의 커뮤니티가 포함되도록 구성한다. 도 3의 시스템에서는 4개의 커뮤니티로 이루어진 구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커뮤니티의 수는 4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추가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도 3의 시스템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이더리움 프로토콜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30)에서 커뮤니티 A는 고인 및 사망한 반려동물 추모용, 커뮤니티 B는 전문가용 전시관, 커뮤니티 C는 일반유저의 NFT작품 전시관, 그리고 커뮤니티 D는 행사지원관 등으로 할당되고, 사용자는 자신이 예정하고 있는 이벤트의 속성에 맞춰 자유롭게 커뮤니티를 선택할 수 있게 지원된다. 이는 축구동호회에서는 축구용품의 거래가 활발하고 야구동호회에서는 야구용품의 거래가 활발한 것처럼, 커뮤니티 A에서는 추모용 NFT, 커뮤니티 B에서는 전문작품 NFT, 커뮤니티 C에서는 일반 사용자가 소유한 NFT 등으로 그 전시영역을 특화시켜 커뮤니티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각 커뮤니티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보상체계를 가변적으로 설계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때는 각 커뮤니티를 폐쇄적 또는 배타적으로 운용하는 것 보다 사용자들의 선택에 따라 각 커뮤니티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활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면, 각 커뮤니티의 생태계 조성에도 유리할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활성화 측면에서도 순기능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3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in FIG. 3 includes a user terminal 10, a portal site 20, and an Ethereum-based blockchain network 30 as its main components. Here, the blockchain network 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event. Although the system in FIG. 3 shows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four communities, the number of communities is not limited to four, and it is possible to add the number as needed. To explain based on the system of Figure 3, in the blockchain network 30 based on the Ethereum protocol, Community A is for memorializing deceased and deceased pets, Community B is an exhibition hall for professionals, and Community C is an exhibition hall for NFT works of general users. , Community D is assigned to an event support center, etc., and users are supported to freely select a commun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ent they are planning. Just as soccer clubs are actively trading soccer equipment and baseball clubs are actively trading baseball equipment, Community A specializes in the display area with commemorative NFTs, Community B with professional work NFTs, and Community C with NFTs owned by general users. This is to create a community ecosystem. This will also help design the compensation system variably according to the level of activation of each community within the blockchain network. In this case, rather than operating each community in a closed or exclusive manner, designing it so that users can freely move and participate in each community according to their choice is not only advantageous in creating the ecosystem of each community, but is also expected to have a positive functional effect in terms of revitalizing the blockchain network. You will be able to.

또한, 도 3의 시스템에서 채택한 블록체인 네트워크(30)는 이더리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다. 이더리움 프로토콜은 금융거래에 특화된 기존의 클래식 블록체인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갈래로 출범한 프로토콜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적용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 계약은 합의 프로세스를 자동화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컴퓨터 언어인 실행코드에 의해 작성된 계약조건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계약의 성사와 이행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이더리움 프로토콜 기반의 블록체인에 접속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거래상대가 믿을 만한 사람인지, 제3자의 보증이 뒷받침되어야 하는지, 계약이 안전하게 처리되었는지 등을 전혀 고민할 필요가 없이 편리하게 커뮤니티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dditionally, the blockchain network 30 adopted in the system of FIG. 3 is based on the Ethereum protocol. The Ethereum protocol is a protocol that was launched as a new branch, separated from the existing classic blockchain specialized in financial transactions, and can be said to be characterized by being the first to apply the concept of ‘smart contract’. A smart contract is a computer program that automates the agreement process and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support the conclusion and implementation of a contract when the contract conditions written by executable code, a computer language, are satisfied.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accessing the Ethereum protocol-based blockchain, they can conveniently participate in community activities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whether the transaction partner is trustworthy, whether a third party guarantee is supported, or whether the contract is processed safely.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able to participate.

그러한 이더리움 프로토콜에는 대체가능한 토큰(FT : Fungible Token)의 발행 및 거래를 지원하는 버전(ERC-20)과 대체불가능한 토큰(NFT : Non Fungible Token)의 발행 및 거래를 지원하는 버전(ERC-721)이 존재하는데, 본 발명은 NFT의 발행과 거래를 타겟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도 3의 시스템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를 NFT지원 버전인 ERC-721 기반으로 구성한다. 여기에서 NFT(Non Fungible Token)는 블록체인 기술로 소유권과 거래이력 등에 고유값이 부여된 디지털 자산을 의미하는데, 암호화폐처럼 손쉽게 거래할 수 있고 재판매도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예술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디지털화된 그림이나 영상, 음악 등의 컨텐츠는 무한복제가 가능하여 원본가치가 무의미하지만, NFT화 과정을 거치게 되면 고유의 식별코드를 통해 ‘오리지널’특성이 생성되고 그 NFT 자체의 희소성과 인기에 따라 가치가 변동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잠재적 수익창출 자산으로 더 큰 관심을 받고 있다. The Ethereum protocol includes a version (ERC-20) that supports the issuance and trading of fungible tokens (FT: Fungible Tokens) and a version (ERC-721) that supports the issuance and trading of non-fungible tokens (NFT: Non Fungible Tokens). ) exists, 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targets the issuance and transaction of NFT, the system of Figure 3 configures the blockchain network 30 based on ERC-721, an NFT support version. Here, NFT (Non Fungible Token) refers to a digital asset that is given a unique value such as ownership and transaction history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It is attracting attention in the art field due to its advantages of being easily tradable and resaleable like cryptocurrency. . In particular, digitized contents such as pictures, videos, and music can be copied infinitely, so their original value is meaningless. However, when they go through the NFT process, 'original' characteristics are created throug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carcity and popularity of the NFT itself is increased. Because its value fluctuat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has recently received greater attention as a potential profit-generating asset.

NFT는 ERC-721 포로토콜의 지원기능(스마트 계약)에 의해 NFT의 생성 및 거래과정이 모두 자동화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자신의 디지털 컨텐츠를 NFT화하여 유통시킬 수 있고, 고유의 식별코드에 의해 원작자 정보 뿐만 아니라 소유권의 변동내역까지도 모두 블록체인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도 3의 블록체인 네트워크(30)에서 NFT의 생성, 유통 및 거래이력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이미 공지된 ERC-721 포로토콜을 이용하여 특별한 어려움 없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NFT's creation and transaction process are all automated thanks to the support function (smart contract) of the ERC-721 protocol, so anyone can easily turn their digital content into NFT and distribute it, and the original author's information is provided by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even the details of changes in ownership can all be managed through blockchain, the configuration that enables the creation, distribution, and transaction history management of NFTs in the blockchain network 30 of Figure 3 is the already known ERC-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out any special difficulties using the 721 protocol.

한편, 도 3의 시스템에서 포털사이트(20)는 회원을 관리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30)의 생태계 조성을 지원하면서 그 생태계의 교란행위를 막는 질서유지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설계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광고탑재를 지원하는 기능도 포함시킬 수 있다. 그러한 포털사이트(20)의 담당기능은 순수하게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과 회원관리를 위한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어떠한 형태로든 블록체인 네트워크(30) 내에서 이루어지는 합의 프로세스에 인위적으로 개입하거나 사용자(노드)의 활동에 간섭하는 등의 신뢰도 훼손을 유발할 수 있는 기능은 철저하게 배제되어야 할 것이다. Meanwhile, in the system of FIG. 3, the portal site 20 is designed to manage members, support the creation of the ecosystem of the blockchain network 30, and maintain order by preventing disruptive activities in the ecosystem, and, if necessary, provide advertisements. Functions that support mounting can also be included. The functions of such a portal site (20) should be limited purely to stable operation of the system and member management, and should not artificially intervene in the consensus process within the blockchain network (30) in any form or interfere with the user's (node) control. Functions that may damage reliability, such as interfering with activities, should be completely excluded.

이미 잘 알려진 것처럼, 블록체인 기술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된 순수분산 P2P(Peer to Peer) 시스템에서 중앙서버의 통제를 받지 않고 각 사용자(노드)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거래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이는 부정행위(거래장부 조작)를 하려는 데는 많은 노력과 비용 및 시간이 요구되지만, 정직하게 행동하면 그만큼의 경제적 보상이 주어진다는 통상의 도덕률을 가상공간에서 구현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 P2P시스템에서 각 노드의 상호작용에 의한 의사결정 규칙(합의 알고리즘)이 반드시 필요하며,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많은 수의 사용자(노드)가 참여하는 생태계의 조성이 선행되어야만 한다.As is already well known, blockchai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secures the reliability of transactions through the interaction of each user (node) without being controlled by a central server in a purely distributed P2P (Peer to Peer) system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This can be said to be a technology that implements in a virtual space the usual moral law that a lot of effort, cost, and time are required to commit fraud (manipulating transaction ledgers), but if you act honestly, you will receive a corresponding amount of economic reward. Therefore, blockchain technology requires decision-making rules (consensus algorithms) based on the interaction of each node in a distributed P2P system, and in order to secure high reliabilit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cosystem in which as many users (nodes) as possible participate. It must come first.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도 3에 나타낸 시스템의 포털사이트(20)에는 적정한 수의 참여자(노드) 모집을 통해 건전한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시스템상에서 지원하는 기능까지 포함시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어느 정도의 충성고객들이 확보될 때까지 일정기간 무료체험이나 경품제공 등의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시스템의 안정성을 사전에 검증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시켜 설계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blockchain technology, the portal site 20 of the system shown in Figure 3 should be designed to include functions that support the system to create a healthy ecosystem by recruiting an appropriate number of participants (nodes). It would be desirable. For example, it would be a good idea to design it to include a monitoring function that can verify the stability of the system in advance by encouraging users' interest and holding events such as free trials or priz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ntil a certain level of loyal customers are secured. It could be an alternative.

그리고 도 3의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30)의 모든 컨텐츠 데이터를 여러 노드에 분산저장할 수 있는 IPFS(InterPlanetray File System)를 채택하고 있는데, IPFS(40)는 파일에 부여된 식별코드(ID)에 기반하여 실행되는 하이퍼 미디어 프로토콜로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노드들이 서로의 저장공간을 공유하고, 여유공간의 임대 등을 통해 네트워크에 공헌한 만큼의 보상이 주어지도록 설계한 탈중앙화 스토리지 시스템을 말한다.And the system of FIG. 3 adopts the InterPlanetray File System (IPFS), which can distribute and store all content data of the blockchain network 30 in multiple nodes. IPFS 40 uses the identification code (ID) assigned to the file. It is a hypermedia protocol run based on a decentralized storage system designed so that each node connected to the network shares each other's storage space and is rewarded for its contribution to the network through rental of free space.

이러한 IPFS(40)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같이 파일의 경로를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암호화된 해시값과 매칭된 파일을 확인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해시값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블록체인 기술과 쉽게 접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도 3의 시스템에서는 그러한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IPFS(40)를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IPFS (40) is a blockchain technology that operates based on hash values because it is a method of checking files that match encrypted hash values through the Internet rather than finding the file path like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integrate with. The system in FIG. 3 adopts IPFS (40) to take full advantage of such advantages.

도 3의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는 포털사이트(20)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입장하여 자신이 업로드한 디지털 컨텐츠를 NFT화하여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고, 타인소유의 NFT 거래와 관련된 채굴작업이나 검증작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포털사이트(20)의 권한은 무료로 회원을 모집하고 최소한의 개인정보만으로 등록회원을 관리하면서 오로지 네트워크 생태계의 질서유지를 위한 기능만 예외적으로 허용하고 있을 뿐, 그 이외의 사용자 활동에는 어떠한 개입이나 간섭도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of FIG. 3, users can enter the blockchain network through the portal site 20 and freely trade the digital content they upload by converting it into NFT, and mining or verification work related to NFT transactions owned by others. You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At this time, the authority of the portal site (20) is to recruit members free of charge, manage registered members with minimal personal information, and only exceptionally allow functions for maintaining order in the network ecosystem, and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user activities. It is designed to prevent interference.

도 4는 본 발명의 포털사이트(20) 초기화면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단순화시켜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4의 초기화면의 구성은 크게 정보입력창, 시스템 안내영역, 광고영역 및 모니터링창이 포함되어 있다. Figure 4 is a simplified example of the functions provided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portal si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initial screen in Figure 4 largely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window, a system guidance area, an advertisement area, and a monitoring window.

도 4의 화면구성에서 보면, 우선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통해 본 발명의 이모펫 포털사이트(20)로 입장한다. 사용자가 입장하면 본 발명의 이모펫 포털사이트에서는 도 4의 초기화면을 제공하는데, 그 초기화면은 적어도 회원등록 또는 로그인(LOG-IN) 기능을 지원하는 입력창과 각 블록체인 커뮤니티에 링크되는 복수의 아이콘(50) 및 시스템 전체의 운용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알림창을 구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때 초기화면은 장래의 커뮤니티 확장에 대비하여 서브화면으로의 전환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초기화면을 통해 추모관 커뮤니티에 입장하더라도 그 추모대상이 고인일 때와 반려동물일 때, 그리고 사용자의 종교에 따라 그 분위기와 성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추모커뮤니티의 메인화면에서 추모대상이나 사용자의 종교적 신념에 맞는 커뮤니티에 쉽게 입장할 수 있도록 서브화면으로의 전환기능을 포함시켜 설계하면, 사용자의 관심영역에 대한 몰입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핑작업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screen configuration of FIG. 4, the user first enters the emopet portal si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ddress bar of the web browser. When a user enters, the Emopet portal 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initial screen of Figure 4, which includes at least an input window supporting member registration or login (LOG-IN) functions and a plurality of links to each blockchain community. It is designed to be equipped with an icon (50) and a notification window that can monitor the operating status of the entire system. At this time, it would be desirable to configure the initial screen to support the function of switching to a sub screen in preparation for future community expansion. For example, even if a user enters the memorial community through the initial screen, the atmosphere and personality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object of memorialization is a deceased person or a pet, and the user's religion. Therefore, the object of memorialization or If the design includes a transition function to a sub-screen so that users can easily enter a community that matches their religious beliefs, it can be expected to not only increase the user's immersion in the area of interest but also improve the convenience of surfing. There will be.

그리고 본래 블록체인 기술이 누구나 계정을 생성하여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성을 원칙으로 하고 있음에도, 본 발명에서 사용자들에게 소정의 입력절차를 요구하는 것은 악의적인 의도로 어떤 사용자가 임의의 많은 계정을 생성하여 합의 알고리즘에 나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이른바 시빌공격(Sybil Attack)에 대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라 할 수 있다. And although the original blockchain technology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openness in which anyone can freely participate by creating an account, the reason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requiring users to enter a certain input procedure is with malicious intent, so that a user can create an arbitrary number of accounts. It can be said to be a minimum safety measure against so-called Sybil attacks, which seek to exert negative influence on the consensus algorithm.

또한, 본 발명의 이모펫 포털사이트(20)는 무료회원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그 초기화면이나 서브화면에는 팝업 또는 배너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여 수익을 창출하거나 메시지 교환 또는 실시간 채팅기능 등의 부가기능을 지원하여 네트워크 생태계를 활성화시키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emo-pet portal si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for free members, a function that can display pop-up or banner advertisements is added to the initial screen or sub-screen to generate revenue, exchange messages, or have a real-time chat function, etc. It would also be desirable to use it as a means to revitalize the network ecosystem by supporting additional functions.

도 5는 본 발명의 추모커뮤니티에 입장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추모관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 포털사이트(20)의 초기화면에서 입력절차를 완료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추모커뮤니티를 선택하여 입장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도 5의 (a), (b)에 예시된 것과 같이, 디폴트로 설정된 추모관 이미지를 자신의 단말기(10)로 제공받아 본격적인 커뮤니티 활동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원하는 커뮤니티에 입장하여 자신이 보유한 추모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데, 그 업로드된 컨텐츠는 본 발명의 ERC-721 프로토콜을 통해 NFT로 자동변환되어 전시 및 판매 등의 거래활동이 가능해지고, 그 거래이력은 참여자(참여노드)의 검증을 거쳐 블록체인에 담겨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의 (a), (b)와 같은 디폴트 이미지에서 출발하여 자신이 창작한 컨텐츠의 NFT나 다른 사람에게 구매한 NFT를 활용하여 추모관의 구조를 새롭게 디자인하는 등의 커뮤니티 활동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memorial image provided to users who enter the memorial commun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ho completes the input process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portal si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memorial community of his choice and enters. At this time, the user enters the default as illustrated in (a) and (b) of FIG. 5. By receiving the image of the memorial hall set to your terminal (10), you can begin full-fledged community activities. At this time, the user can enter the desired community and upload the memorial-related digital content he or she owns. The uploaded content is automatically converted to NFT through the ERC-721 protocol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ing transaction activities such as exhibition and sales. , the transaction history is recorded in the blockchain after verification by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nodes). Therefore, users can freely engage in community activities, such as starting from the default image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5 and redesigning the structure of the memorial hall using NFTs of content they have created or NFTs purchased from others. becomes possible to perform.

또한, 새롭게 디자인한 추모관 이미지를 다시 NFT화하여 전시나 판매 활동을 계속 이어나가면, 추모관 디자인의 지속적 개선과 함께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선순환 구조의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때 거래를 위한 암호화폐로는 NFT 자체에 화폐가치를 부여하여 이용하거나 본 발명에 특화시켜 ‘이모펫 (IMMOPET)’을 정의하여 이용할 수 있는데, 이들의 화폐가치는 이더리움 체계의 가상화폐와 호환성을 갖도록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NFT 자체가 암호화된 해시값으로 가상공간에서 유통되는 디지털 정보라는 점에서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친숙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지의 이더리움 체계의 가상화폐와 연계시키는 것이 커뮤니티 생태계 조성에도 유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통상적인 NFT에는 소유자, 거래정보, 저작물 내용 및 시간정보를 블록체인에 담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NFT에 창작자 정보와 조회수 정보가 더 담길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기존 블록체인 기술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고, NFT의 가치기준을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 지표 중의 하나로 창작자 정보와 조회수는 충분한 매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if the newly designed memorial hall image is converted into NFT and exhibition or sales activities are continued, it will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memorial hall design,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and creation of a virtuous cycle ecosystem. At this time, the cryptocurrency for transaction can be used by assigning a monetary value to the NFT itself, or by defining 'IMMOPET' as specializ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monetary value is compatible with the virtual currency of the Ethereum system. It would be desirable to define it to have. This is because NFT itself is digital information distributed in virtual space as an encrypted hash value, and linking it with the known virtual currency of the Ethereum system that users can easily understand and use familiarly will be advantageous for creating a community ecosystem. In addition, a typical NFT contains the owner, transaction information, work content, and time information in the blockchain,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ould be desirable to design the NFT so that it can further contain creator information and number of views information. This is because it can maximize user immersion in community activities while taking full advantage of the exist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is one of the indicators that can evaluate the value standard of NFT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creator information and number of views have sufficient appeal. .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는 NFT의 헤더만으로 정보처리가 이루어지고 그 NFT의 내용(Body)은 IPFS(InterPlanetray File System)에 분산저장하여 각 커뮤니티와 IPFS(40)의 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운용하면, 본 발명 전체 시스템에서의 정보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내에서의 과도한 트래픽 발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blockchain network, information processing is carried out only with the header of the NFT, and the contents (body) of the NFT are distributed and stored in the IPFS (InterPlanetray File System), so that when the functions of each community and IPFS (40) are organically linked and operated, Not only can the speed of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enti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e increased, but the effect of alleviating excessive traffic within the community can be expected.

이러한 추모커뮤니티 환경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춰 디자인한 추모관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추모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추모커뮤니티의 활동은 추모관의 디자인 변경을 위한 스킨(배경 이미지)이나 제례음식 또는 헌화용 꽃의 이미지를 주요 거래 아이템으로 등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데, 그러한 이미지를 사용자가 추모커뮤니티에 업로드하면, ERC-721 프로토콜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30)에서 자동으로 NFT화되어 그 사용자가 소유하거나 다른 사용자와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지원하게 될 것이다. In this memorial community environment, users can hold memorial events in a variety of ways using memorial hall images designed to suit their tastes. At this time, the activities of the memorial community begin with listing skins (background images) for changing the design of the memorial hall or images of ritual food or flowers for wreaths as main transaction items. When a user uploads such images to the memorial community, ERC It will be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NFT in the -721 protocol-based blockchain network (30) and will be software-supported so that it can be owned by the user or traded with other users.

그리고 추모커뮤니티에 접속한 사용자(노드)들은 이미 공지된 방식으로 NFT의 소유권 이전과 관련된 트랜잭션의 생성, 블록검증 및 채굴작업에 참여하여 가상화폐로 보상받는 추모커뮤니티 활동을 계속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의 보상은 사용자가 개설한 전자지갑에 암호화폐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users (nodes) who access the memorial community will be able to continue their memorial community activities by participating in transaction creation, block verification, and mining operations related to the transfer of ownership of NFTs in a known manner and receiving compensation in virtual currency. At this time, compensation is made by transferring cryptocurrency to the electronic wallet opened by the user.

그러한 추모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확보한 NFT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추모대상이 고인일 경우에는 생전에 남긴 음성이나 영상 또는 기록물의 디지털 컨텐츠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추모관을 새롭게 디자인할 수 있을 것이고, 마찬가지로 추모대상이 반려동물인 경우에도 살아있을 때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나 되돌아 보고 싶은 순간을 담은 동영상의 재생을 고려하여 그 분위기에 맞춰 추모관을 새롭게 디자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디자인에 자신이 없거나 시간여유가 없는 상황이라면 다른 사용자가 완성한 디자인의 추모관 NFT를 구매하여 별도의 디자인 변경없이 그 NFT의 추모관 이미지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한데, 그와 같이 거래되는 완성디자인의 추모관 NFT는 조회수나 거래이력에 따라 자산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Using NFTs secured through such memorial community activities, users will be able to design a new memorial hall appropriate for the deceased, taking into account the digital content of the voice, video, or record left behind when the memorial object is a deceased person. Even in the case of pets, the memorial hall could be redesigned to suit the atmosphere by considering the playback of photos of the animals when they were alive or videos of moments they would like to look back on. At this time, if you are not confident in the design or do not have time, it is possible to purchase an NFT of a memorial hall with a design completed by another user and use the image of the memorial hall in the NFT as is without changing the design. NFTs will be recognized for their asset value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or transaction history.

다른 한편으로, 매년 주기적으로 진행되는 조상님의 제례(제사)와 같은 추모이벤트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매년 개최되는 이벤트가 지속적으로 누적된 기록으로 영구보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상의 뿌리를 확인하고 가풍이 유지되도록 가족사를 교육할 수 있는 족보의 형태로 보관하거나 후손에게 전승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emorial events such as ancestral ancestral rites that are held periodically every year,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vents held every year to be permanently preserved as continuously accumulated records, so that the roots of the ancestors can be traced. It will have the advantage of being kept in the form of a genealogy that can be used to confirm and educate family history to maintain family traditions, or to be passed down to descendants.

여기에서는 추모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이모펫 포털사이트를 설명하였으나, 전시회나 공식행사와 관련된 다른 커뮤니티 활동도 그 이벤트의 속성이나 분위기에만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이모펫 포털사이트(20)를 통한 이벤트 지원은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Here, the emo pet portal 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focusing on the memorial community, but other community activities related to exhibitions and official events differ only in the attributes and atmosphere of the event, and the emo pe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goes substantially the same process. Event support through the pet portal site (20) will be readily available.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고 자신의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때 회원가입은 무료이며, 등록된 회원에게는 1인당 하나의 전자지갑을 만들 수 있는 권한이 허용된다. 1인당 하나의 전자지갑으로 제한하는 것은 모든 회원이 본 발명에서 적용한 블록체인 기술의 합의 알고리즘에 동일한 조건에서 참여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Figure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system op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user accesses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as a member, and proceeds with the process of creating his/her electronic wallet. At this time, membership registration is free, and registered members are permitted to create one electronic wallet per person. Limiting one electronic wallet per person is intended to allow all members to participate in the consensus algorithm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same conditions.

그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는 포털사이트(20)에 탑재된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시스템 전체의 생태계를 평가하고, 적절한 생태계 조성이 이루어질 때까지 사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무료체험이나 경품제공 등의 행사를 지원하여, 적정 수준의 생태계 조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될 경우 본격적인 서비스를 개시하게 될 것이다. Next, the system administ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es the entire ecosystem of the system through the monitoring function mounted on the portal site 20, and holds events such as free trials or prizes to attract users until an appropriate ecosystem is create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ppropriate level of ecosystem creation has been achieved, full-scale services will be launched.

다음단계로 사용자는 자신이 예정하고 있는 이벤트의 특성을 판단하고 그 특성에 맞는 커뮤니티를 선택하여 입장한다. 각 커뮤니티의 입장은 본 발명의 웹 브라우저 화면에서 제공하는 아이콘(50)이나 버튼이미지를 클릭하여 입장할 수 있다. 이때 각 커뮤니티는 이벤트의 특성을 포괄하는 메인화면과 세분화된 서브화면이 서로 링크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의 아이콘(50)을 클릭하여 자신이 원하는 커뮤니티에 입장할 수 있게 된다. In the next step, the user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ent he or she is planning and selects a community that fits those characteristics to enter. You can enter each community by clicking the icon 50 or button image provided on the web browse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each community is composed of a main screen encompas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ent and a detailed sub-screen linked to each other, and the user can enter the community of his choice by clicking the icon 50 on the main screen and sub-screen.

그 다음에 커뮤니티에 입장한 사용자는 자신이 창작하거나 타인으로부터 입수한 디지털 컨텐츠를 커뮤니티 네트워크에 업로드한다. 이때 업로드된 컨텐츠는 이더리움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30)에서 NFT로 자동전환되어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지원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들은 NFT의 거래와 관련된 트랜잭션 블록을 검증하고 채굴하는 작업에 참여하여 보상을 받거나 새로운 NFT의 생성작업에 참여하는 등의 커뮤니티 활동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들은 자신이 등재하여 생성한 NFT나 타인의 NFT를 구매하여 그 NFT의 디자인을 변경한 후 변경된 디자인을 다시 NFT화하여 커뮤니티에 유통시키는 등의 활동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30)의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고, 그 기여도에 따른 추가보상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Next, users who enter the community upload digital content they created or obtained from others to the community network. At this time, the uploaded content is automatically converted to NFT on the Ethereum-based blockchain network (30) and supported for transactions. Accordingly, users will be able to continue community activities such as verifying and mining transaction blocks related to NFT transactions, receiving rewards, or participating in the creation of new NFTs. In addition, users revitalize the ecosystem of the blockchain network (30) by purchasing NFTs that they have registered and created or other people's NFTs, changing the design of the NFT, and then converting the changed design into NFT and distributing it to the community. You can contribute, and you may receive additional compensation depending on your contribution.

다음으로 사용자는 확보한 NFT를 활용하여 추모관이나 전시관 등의 구조를 자신의 취향에 맞게 디자인하고, 그 변경된 디자인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예정하고 있던 이벤트를 가상공간에서 진행한다. 이때 예술작품의 전시이벤트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작가가 자신의 예술작품을 NFT화하여 커뮤니티 내에서 개인 전시회를 개최할 수 있고, 일반인들은 특정테마와 관련된 타인의 NFT를 구매하여 전시회를 개최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인을 추모하는 커뮤니티 활동 중에 사용자들 사이에서 지인을 발견할 경우에는 후손들이 모르는 고인과의 추억을 담은 기록이나 추모사 등을 커뮤니티 네트워크에 등재하거나 본 발명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메신저 기능이나 채팅기능을 이용하여 상주와의 인연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Next, the user uses the secured NFT to design the structure of a memorial hall or exhibition hall to suit his or her taste, and uses the image of the changed design to hold the planned event in virtual space.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n exhibition event of artwork, the artist can turn his or her artwork into NFTs and hold a personal exhibition within the community, and the general public can also hold an exhibition by purchasing other people's NFTs related to a specific theme. . In addition, if an acquaintance is discovered among users during community activities to commemorate the deceased, a record containing memories of the deceased or a memorial speech, etc. containing memories of the deceased that descendants do not know, can be registered on the community network or the messenger function or chat function supported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doing so, you will be able to continue your relationship with Sangju.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곳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커뮤니티 활동을 지속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users will be able to access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ny time and anywhere where an Internet connection is available and continue the community activities they wan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더리움 프로토콜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화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여 NFT의 생성 및 거래에 참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can participate in the creation and transaction of NFTs by taking full advantage of the automated smart contract through the Ethereum protocol-based blockchain network.

또한, 경제력이 부족한 창작자라도 누구나 자신의 디지털 창작물을 NFT화하여 거래를 통한 수익창출이 가능하고, 다른 창작자의 NFT를 구매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전시공간을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creators with limited economic power can generate profits through trading by converting their digital creations into NFTs, and can purchase NFTs from other creators to design an exhibition space that suits their tastes.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순수 P2P방식의 분산처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스가 진행되기 때문에 중앙통제 방식의 처리시스템에서 우려되는 해킹이나 데이터 분실 등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cess proceeds through a pure P2P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it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risk of hacking or data loss, which is a concern in a centrally controlled processing system.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10 : 사용자 단말 20 : 포털사이트
30 : 블록체인 네트워크 40 : IPFS
50 : 아이콘
10: User terminal 20: Portal site
30: Blockchain network 40: IPFS
50: Icon

Claims (10)

사용자 단말(10)과 포털사이트(2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NFT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인터넷을 통해 상기 포털사이트(20)를 경유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30)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정보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포털사이트(20)에는 회원관리 및 메신저 기능과 함께 시스템 전체의 생태계를 평가하고, 적절한 생태계 조성이 이루어졌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30)는 이벤트의 성격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커뮤니티가 포함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30)는 이더리움 프로토콜 기반으로 설계되어 각 커뮤니티에 등재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NFT화와 함께 상기 NFT 검증 및 채굴작업에 참여하는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보상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보상기능은 암호화폐를 지정된 전자지갑으로 전송하여 이루어지도록 설계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30)에는 사용자가 상기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확보한 NFT를 사용하여 추모관 및 전시관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이 구비하되,
상기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통해 새로 디자인한 추모관이나 전시관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로 원하는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NFT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
In a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that includes a user terminal (10), a portal site (20), and a blockchain network (30),
The user terminal 10 is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blockchain network 30 via the portal site 20 via the Internet,
The user terminal 10 is equipped with information input and display functions, and the portal site 20 has member management and messenger functions, as well as a function to evaluate the ecosystem of the entire system and monitor whether an appropriate ecosystem has been created. This is provided,
The blockchain network 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number of communities that can be randomly select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event,
The blockchain network 30 is designed based on the Ethereum protocol and has a compensation function for community activities participating in the NFT verification and mining work along with NFT conversion of digital content registered in each community,
The compensation function for the above community activities is designed to be achieved by transferring cryptocurrency to a designated electronic wallet,
The blockchain network 30 is equipped with a function that allows users to change the design of memorial halls and exhibition halls using NFTs secured through the community activities,
A virtual reality memorial based on blockchain NFT, characterized in that a desired event can be hel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 using the image of the newly designed memorial hall or exhibition hall through a function that supports changing the design.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는 NFT정보는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Body)에는 창작자 정보와 조회수 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설계한 것이 특징인 블록체인 NFT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NFT information supporting the community activities consists of a header and a body, and the body is designed to further include creator information and view count information. It is a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Header) 정보는 상기 커뮤니티에서 처리되고 상기 바디(Body)는 탈중앙화 스토리지인 IPFS(InterPlanetray File System)에 저장되어 상기 커뮤니티와 IPFS(40)의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정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NFT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header information is processed by the community, and the body is stored in IPFS (InterPlanetray File System), a decentralized storage, so that the functions of the community and IPFS (40) are organically linked to process information.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featuring
사용자 단말(10)과 포털사이트(2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NFT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상기 포털사이트(20)의 화면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는 단계,
상기 회원으로 가입하는 단계 후 인터넷을 통해 상기 포털사이트(20)를 경유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30)에 구비된 다수의 커뮤니티에서 특정커뮤니티를 선택하여 입장하는 단계,
상기 커뮤니티에 디지털 컨텐츠를 등재하여 NFT를 생성하거나 기존 NFT의 검증 및 채굴작업에 참여하여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암호화폐를 보상으로 받는 단계,
상기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확보한 NFT를 이용하여 추모관 및 전시관의 이미지 디자인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을 변경하는 단계에서 새로 디자인한 추모관이나 전시관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상공간에서 원하는 이벤트를 진행하는 단계가 포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NFT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의 운용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ng a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10, a portal site 20, and a blockchain network 30,
The user terminal 10 registers as a member by enter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portal site 20;
After signing up as a member, accessing the blockchain network (30) via the portal site (20) via the Internet;
Selecting and entering a specific community from a plurality of communities provided in the blockchain network 30,
A step of registering digital content in the community to create an NFT or participating in the verification and mining of an existing NFT and receiving cryptocurrency as compensation for community activities;
A step of changing the image design of the memorial hall and exhibition hall using NF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community activities;
Blockchain NFT-ba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changing the design includes the step of conducting a desired event in virtual space through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 using the image of the newly designed memorial hall or exhibition hall. How to operate a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사이트(20)를 통해 시스템 전체의 생태계를 평가하고, 적절한 생태계 조성이 이루어졌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NFT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의 운용방법
In clause 7,
Operation of a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by evaluating the entire ecosystem of the system through the portal site 20 and further including a step of monitoring whether an appropriate ecosystem has been created.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는 NFT정보는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Body)는 탈중앙화 스토리지인 IPFS(40)에 저장하여 운용되도록 설계한 것이 특징인 블록체인 NFT기반의 가상현실 추모 및 전시 이벤트 지원시스템의 운용방법
In clause 7,
NFT information supporting the community activities consists of a header and a body, and the body is designed to be stored and operated in IPFS (40), a decentralized storage. It is a blockchain NFT-based system. Operation method of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KR1020210159613A 2021-11-18 2021-11-18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628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613A KR102628388B1 (en) 2021-11-18 2021-11-18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613A KR102628388B1 (en) 2021-11-18 2021-11-18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914A KR20230072914A (en) 2023-05-25
KR102628388B1 true KR102628388B1 (en) 2024-01-23

Family

ID=8654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613A KR102628388B1 (en) 2021-11-18 2021-11-18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38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567B1 (en)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Blockchain based art transaction data sharing service provi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912A (en) 2018-05-11 2019-12-05 (주)코아텍 Virtual reality memorial system based on cloud and method of providing virtual reality
KR102139551B1 (en) 2019-03-07 2020-07-29 넷마블 주식회사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testament
KR102364801B1 (en) * 2019-09-24 2022-02-28 박은수 Providing method for service based on web browser based on blockchain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567B1 (en)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Blockchain based art transaction data sharing service provi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914A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plin Move fast and break things: How Facebook, Google, and Amazon have cornered culture and what it means for all of us
Owen Disruptive power: The crisis of the state in the digital age
JP6391128B1 (en) Transaction management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Goanta Selling LAND in Decentraland: The regime of non-fungible tokens on the Ethereum blockchain under the digital content directive
US11170457B2 (en) Transaction management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exploitation right management
Bal Taxation of virtual currency
US20230264105A1 (en) Facilitating authenticated play of games via game nfts
US20230070586A1 (en) Methods for Evolution of Tokenized Artwork, Content Evolution Techniques, Non-Fungible Token Peeling, User-Specific Evolution Spawning and Peeling,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plex Token Development and Simulation
Hanson The social media revolution: An economic encyclopedia of friending, following, texting, and connecting
Stalder Open cultures and the nature of networks
CN112669165A (en) Unified access method applying digital personal code chain
Gilden The social afterlife
US20230298001A1 (en) Non-fungible token (nft) purchase and transfer system
KR102628388B1 (en) Blockchain NFT-based virtual reality memorial and exhibition event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Liu Commercial-state empire: A political economy perspective on social surveillance in contemporary China
Goanta The private governance of identity on the silk road
KR10256482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NFT-based anonymous chatting dating services using genome (genetic and multiomic) data
US20230298008A1 (en) Omniverse platform for predictive digital asset identification and recommendation in different metaverses
JP2023004074A (en) NF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NF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US11973875B2 (en) Computer systems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utilizing digital resource accessing mechanism schema for digital tokens
Calcaterra et al. Future of Decentralization
US20230208646A1 (en) System and exchange for managing rights of publicity
Daglio Sharing Economy-Trust, legislation and the new technological change
Attico Blockchain ecosystem. Driving mass adoption
WO20240442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ticket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