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284B1 -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및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및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284B1
KR102628284B1 KR1020220060366A KR20220060366A KR102628284B1 KR 102628284 B1 KR102628284 B1 KR 102628284B1 KR 1020220060366 A KR1020220060366 A KR 1020220060366A KR 20220060366 A KR20220060366 A KR 20220060366A KR 102628284 B1 KR102628284 B1 KR 102628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ehicle
torque
sensor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1011A (ko
Inventor
함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2006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284B1/ko
Publication of KR2023016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to an external condition, e.g. rough road surface, side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uspen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B60W40/13Load or w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2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the weight of the machine, e.g. change in weight resulting from passengers boarding a b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0Inputs being a function of ambient conditions
    • F16H59/66Road conditions, e.g. slope, slipp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30Propulsion unit conditions
    • B60G2400/302Selected gear ratio; Transmission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0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49Number of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1)을 통한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은 토크 컨트롤 제어기(40)가 차량(100)의 IG ON(S10)과 IG OFF(S60)사이에서, 차량 주행 전 상기 차량(100)의 무게와 노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한 센서(10,20,30)의 무게 측정 정보와 거리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주행 중 가감속 시 토크 맵(50)에 목록화된 매칭 리스트와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에 기반 된 무게 증감 및 무게중심점 위치변화로 미리 조정(Calibration)되어 매핑된 토크 매핑 값이 변속충격 저감의 토크에 대한 토크 조정 값, 좌회전과 우회전 및 U턴의 회전력 조정 값, 및 방지턱과 요철 노면의 서스펜션 조정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적용함으로써 차체 무게와 함께 탐승객 수 및 적재물 중량을 차량 실 중량으로 한 변속 충격 특성의 조정(calibration)으로 변속충격 최소화와 운전자 및 승객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특히 무게증감에 따른 차량 무게 중심점 이동을 반영함으로써 좌회전, 우회전, U턴 및 방지턱, 요철 노면에서도 최적 승차감을 제공하는 특징이 구현된다.

Description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및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Method for Reducing Shift Shock during Acceleration/Deceleration Based on Real Vehicle Weight Detection and Vehicle Real Weight Detection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 무게와 함께 탐승객 수 및 적재물 중량을 차량 실 중량으로 하여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속도의 가감속시 운전자 및 차량 탑승객의 승차감 저하가 방지되도록 변속충격을 줄이는 제어를 적용한다.
일례로 가감속시 변속충격 저감 방식은 차량 자체의 무게(즉, 차량 중량) 또는 동력장치토크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가감속시 변속충격의 특성을 조정(calibration)하여 준다. 이 경우 상기 동력장치토크는 가솔린 차량의 파워트레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토크, 전동차의 모터 토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차량은 차량 중량 또는 동력장치토크를 가감속 조건에 맞춰 조정(calibration)함으로써 가감속에 따른 변속충격 최소화로 운전자 및 차량 탑승객이 느끼는 승차감을 악화시켜 주지 않는다.
국내공개특허 KR 2012-105774 A (2012.09.26)
하지만, 변속충격 저감을 위한 변속 충격 특성의 조정(calibration)에 차량 중량이 이용되는 방식은 공차 중량인 차량 자체의 무게만이 적용됨으로써 실제적인 차량 무게의 증감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는 차체 무게 외 탐승객 수 및 적재물 중량을 함께 고려해야만 정확한 차량 중량을 얻을 수 있으나, 현재 차량에는 탑승 승객의 수 또는 차량에 적재된 물건을 감지하는 수단과 방법이 적용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차량의 가감속시 비록 변속 충격 특성의 조정(calibration)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적재 물이 하나 없이 운전자만 승차한 경우 운전자는 차량이 갑자기 발진하거나 또는 멈추는 듯한 느낌을 받고, 반대로 차량에 최대 적재물을 싣고 최대 승객 정원이 승차한 경우 운전자와 승객은 차량이 원하는 속도만큼 나아가지 못하거나 또는 생각보다 제동이 잘되지 않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변속 충격 특성의 조정(calibration)이 탐승객 수 및 적재물 중량이 제외된 차량 중량 만 고려하면, 차량의 가감속시 운전자 및 승객에게 제공되는 변속의 충격 또는 승차감이 극과 극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차체 무게와 함께 탐승객 수 및 적재물 중량을 차량 실 중량으로 하여 변속 충격 특성의 조정(calibration)이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 및 승객이 변속 충격을 덜 느끼면서 편안한 승차감 제공이 가능하고, 특히 복수개의 무게감지 센서와 거리측정 센서에 의한 무게 합과 거리 합의 조합과 함께 차량 자체의 무게 중심 원점에 대한 차량 무게 중심점 이동을 파악함으로써 무게증감에 따른 차량 무게 중심점 이동 반영으로 좌회전, 우회전, U턴 및 방지턱, 요철 노면에서도 최적 승차감 제공이 가능한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및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은 차량의 IG ON 시, 센서의 무게 측정 정보와 노면에 대한 거리 측정 정보가 토크 컨트롤 제어기에서 수신되는 실 차량 중량 검출 단계; 및 주행 중 가감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를 토크 맵에 목록화된 매칭 리스트와 매칭 하여 무게 증감 및 무게중심점 위치변화로 미리 조정(Calibration)되어 매핑된 토크 매핑 값으로 변속충격 저감의 토크에 대한 토크 조정 값, 좌회전과 우회전 및 U턴에 대한 회전력 조정 값, 및 방지턱과 요철 노면에 대한 서스펜션 조정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변속충격감소 맵 기반 토크 제어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토크 매핑 값은 차량속도,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 페달 중 어느 한 개 이상을 차량 매개인자로 한 기본 매칭 리스트에 대해 탑승인원과 적재화물을 무게증감 매개인자로 한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가 매칭 되어 산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무게증감 매개인자에는 상기 적재화물을 10Kg로 구분하고, 상기 탑승인원을 1인당 70Kg로 구분하여 적용되며, 상기 탑승인원 및 상기 적재화물의 총합은 상기 탑승인원 및 상기 적재화물에 대한 상기 무게 측정 정보의 무게 합과 상기 거리 측정 정보의 거리 합이 상기 차량의 자체 중량과 비교되어 산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력 조정 값 및 상기 서스펜션 조정 값은 차량속도,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 페달 중 어느 한 개 이상을 차량 매개인자로 한 기본 매칭 리스트에 대해 탑승인원과 적재화물로 인한 상기 차량의 총 무게가 발생시키는 무게중심점 위치변화를 무게중심 매개인자로 한 중심 매칭 리스트가 매칭 되어 산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무게중심 매개인자에는 공차가 갖는 차량 무게 중심의 X,Y,Z 축 원점 좌표(0,0,0)에 대해 상기 탑승인원과 상기 적재화물의 X,Y 축 무게 좌표(x1,y1) 및 Z축 높이 좌표(z1)를 상기 센서의 수량에 따른 n개 무게 중심 이동 좌표(x1,y1,z1,...,xn,yn,zn)로 산출하고, 상기 n개 무게 중심 이동 좌표(x1,y1,z1,...,xn,yn,zn)를 더한 후 센서 수로 나누어 구해진 이동 원점 좌표(x,y,z)가 적용되며, 상기 이동 원점 좌표(x,y,z)는 상기 센서의 각각이 갖는 좌표와 무게를 곱한 값 계산에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센서와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는 상기 IG ON 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의 전원 공급은 상기 차량의 주행 시 차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토크 조정 값, 상기 회전력 조정 값, 및 상기 서스펜션 조정 값은 엔진 토크 또는 모터 토크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센서는 무게와 거리를 함께 측정하는 무게&거리 통합 센서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와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이고, 상기 무게&거리 통합 센서 또는 상기 무게측정센서와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차량의 좌석 공간에 놓인 n개 시트 및 트렁크 공간에 각각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무게&거리 통합 센서 및 상기 무게측정센서는 상기 차량의 중간선인 X축을 기준으로 하여 설치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좌석 공간의 n개 시트 사이 공간 및 상기 트렁크 공간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도어 열림시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를 수신이 재개되며, 상기 차량의 도어 미 열림시 주행 지속의 상태에서 IG OFF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은 차량의 IG ON과 IG OFF사이에서, 차량 주행 전 상기 차량의 무게와 노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한 센서의 무게 측정 정보와 거리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주행 중 가감속 시 토크 맵에 목록화된 매칭 리스트와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에 기반 된 무게 증감 및 무게중심점 위치변화로 미리 조정(Calibration)되어 매핑된 토크 매핑 값이 변속충격 저감의 토크에 대한 토크 조정 값, 좌회전과 우회전 및 U턴의 회전력 조정 값, 및 방지턱과 요철 노면의 서스펜션 조정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적용하여 주는 토크 컨트롤 제어기; 상기 차량의 좌석 공간 및 트렁크 공간에 각각 설치되고, 무게 정보와 거리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토크 매핑 값을 상기 토크 조정 값에 적용하여 주는 무게 증감 매핑 테이블, 상기 회전력 조정 값과 상기 서스펜션 조정 값에 적용하여 주는 무게중심 매핑 테이블을 갖춘 토크 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센서는 무게와 거리를 함께 측정하는 무게&거리 통합 센서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와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무게&거리 통합 센서 및 상기 무게측정센서는 상기 차량의 중간선인 X축을 기준으로 하여 n개 시트와 트렁크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n개 시트의 사이 공간 및 상기 트렁크 공간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토크 맵은 차량속도,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 페달 중 어느 한 개 이상을 차량 매개인자로 한 기본 매칭 리스트를 갖는 차량 기본 매핑 테이블, 탑승인원과 적재화물을 무게증감 매개인자 로 한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를 갖고, 상기 기본 매칭 리스트와 매칭으로 상기 토크 조정 값을 산출하는 무게 증감 매핑 테이블, 및 탑승인원과 적재화물의 총 무게를 무게중심 매개인자로 한 중심 매칭 리스트를 갖고, 공차 시 차량 무게 중심의 X,Y,Z 축 원점 좌표(0,0,0)에 대해 상기 탑승인원과 상기 적재화물의 X,Y 축 무게 좌표(x1,y1) 및 Z축 높이 좌표(z1)를 상기 센서의 수량에 대한 이동 원점 좌표(x,y,z)를 산출하는 무게중심 매핑 테이블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센서와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는 통신 네트워크로 결속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를 함께 송신하는 LIN 버스,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로 분리하는 아날로그 라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아날로그 라인은 상기 무게 측정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송신하는 무게측정 정보 라인, 및 상기 거리 측정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송신하는 거리측정 정보 라인으로 구분되고, 상기 무게측정 정보 라인과 상기 거리측정 정보 라인은 상기 LIN 버스의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를 더블 체크(Double check)하여 주며, 상기 전원라인은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의 제어로 주행 전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고, 주행 시작 시 상기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에 의한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은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차량의 가감속시 차량 탑승객 수 및 적재 물 수량으로 인한 차량 중량변화에 관계없이 운전자 및 승객이 변속 충격을 덜 느끼면서 편안한 승차감 제공이 가능한 변속 충격 특성의 조정(calibration)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복수개 센서로 감지된 차량 탑승객 수 및 적재 물 수량을 무게 증감 매개인자로 하여 케이스별 다양한 조합으로 차량 가감속시 무게 증감 상황을 반영한 토크의 변화량 값이 토크량 매핑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차량의 무게 중심점 위치 변화에 따른 매칭 리스트(즉, CASE)별로 여러 가지 설정이 가능함으로써 방지턱 또는 요철 노면을 지날 때 각 바퀴에 걸리는 전자식 서스펜션 값을 매칭 리스트별로 적합하게 매핑할 수 있다. 넷째, 매칭 리스트별 토크량 매핑이 차량 자체의 무게 중심 원점에 대한 차량 무게 중심점 이동을 반영함으로써 좌회전 또는 우회전, 선회(U턴)와 같은 차량 회전에서도 적합한 변속 충격 특성의 조정(calibration)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승객 및 적재 물건 제외한 자동차만의 무게 중심점이 동일 차종에서 오차 범위 내에서 모두 동일한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동일 차종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의 구성 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거리 통합 센서를 무게측정센서와 거리측정센서로 분리 구성한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토크 컨트롤 제어기의 통신 네트워크 구성 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증감을 반영한 차량 무게 중심 이동 계산의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은 자동차 IG ON(S10)과 자동차 IG OFF(S60)의 전 과정을 통해 토크 컨트롤 제어기 동작 모드(S20)에서 수행한 실 차량 중량 검출(S30)에 기반 하여 차량의 가감속시 요구되는 변속 충격 특성의 조정(calibration)을 위한 변속충격감소 맵 기반 토크 제어(S40)가 수행되고, 차량 상태 변화가 기반 되어 토크 제어 초기화(S50)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실 차량 중량 검출(S30)은 차량 무게 중심점 위치 변화가 발생되는 차량 무게 변화를 복수개의 무게 및 거리 센서로 검출하고, 상기 변속충격감소 맵 기반 토크 제어(S40)는 차량 무게에 기반 된 여러 가지 매칭 리스트(즉, CASE)별 토크 맵으로 차량 무게 중심점 위치 변화를 반영함으로써 적재 물이 하나 없이 운전자만 승차한 경우나 차량에 최대 적재물을 싣고 최대 승객 정원이 승차한 경우에서도 토크제어가 최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은 기존의 차량에는 적용하지 않던 탐승객 인원 수 및 차량 적재 물건에 따른 차량 무게 변화를 실 차량 중량으로 하여 변속 충격의 특성 조정(calibration)이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가감속시 운전자 및 승객이 변속 충격을 덜 느끼게 하면서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 제어 주체는 토크 컨트롤 제어기(40)이다.
먼저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S10의 자동차 IG ON 인식 시 S20의 토크 컨트롤 제어기 동작 모드 진입 단계로 전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차량(100)에 적용된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1)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IG ON(S10)은 차량(100)의 엔진 또는 모터 온(ON)이고,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 동작 모드 진입(S20)은 배터리의 전원 공급에 따른 토크 컨트롤 제어기(40)의 활성화 상태이다.
이어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실 차량 중량 검출(S30)은 S31의 토크 컨트롤 제어기 무게 & 거리측정 센서 전원 공급 단계, S32의 각 무게 및 거리 측정 센서 동작 모드 진입 단계, S33의 각각의 센서 무게 및 거리 측정 정보 송신& 토크 제어기 정보 수신 단계로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차량(100)의 운전석 공간(101), 좌석 공간(102) 및 트렁크 공간(103)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1)을 구성하는 무게&거리 통합 센서(10)와 연결된다.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1)을 구성하는 무게측정센서(20)와 거리측정센서(30)와 각각 연결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1)을 구성하는 통신 네트워크(60)와 결선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60)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버스(61), 아날로그 라인(63,64) 및 전원라인(66)으로 구성됨으로써 무게&거리 통합 센서(10) 또는 무게측정센서(20)와 거리측정센서(30)를 토크 컨트롤 제어기(40)와 연결하여 준다.
그러므로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무게&거리 통합 센서(10)(도2 참조) 또는 무게측정센서(20)와 거리측정센서(30)(도 3 참조)의 측정 신호들을 받고, 차량(100)의 가감속시 입력된 센서 신호 값들을 토대로 하여 변속 충격 최소화가 이루어지는 차량(100)의 토크 량(즉, 파워트레인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토크 또는 전동차의 모터 토크)을 변화시켜 준다. 이 경우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파워트레인(Power train)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차량에선 엔진 컨트롤 제어기이고, 전동차에선 모터 컨트롤 제어기일 수 있다.
이로부터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전원라인(66)을 통해 무게&거리 통합 센서(10) 또는 무게측정센서(20)와 거리측정센서(3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 무게 & 거리측정 센서 전원 공급(S31) 및 상기 무게 및 거리 측정 센서 동작 모드 진입(S32)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전원라인(66)은 토크 컨트롤 제어기(40)에서 제어되는 차량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의 전원을 무게&거리 통합 센서(10) 또는 무게측정센서(20)와 거리측정센서(30)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LIN 버스(61) 및 아날로그 라인(63,64)을 통해 상기 센서 무게 및 거리 측정 정보 송신&토크 제어기 정보 수신(S33)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게&거리 통합 센서(10)는 무게와 거리를 측정하는 총 8개의 제1 내지 8 무게&거리 통합 센서(10a,...,h)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8 무게&거리 통합 센서(10a,...,h)의 각각은 무게측정 신호와 거리측정 신호를 발생하며, 차량(100)에 승차한 사람과 적재한 물건의 무게를 비교 및 교차하여 그 측정값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무게측정 신호의 무게 합과 거리측정 신호의 거리 합이 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거리측정 신호는 차량 하부로부터 노면 바닥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신호이며, 상기 무게&거리 통합 센서(10)의 수량은 고정된 것은 아니며, 차량 가감속시 승차감 품질의 목표에 따라 유동적으로 그 수량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8 무게&거리 통합 센서(10a,...,h)는 차량(100)의 좌석 공간(102)에 6개의 제1 내지 6 무게&거리 통합 센서(10a,10b,10c,10d,10e,10f)를 적용하며, 차량(100)의 트렁크 공간(103)에 2개의 제7,8 무게&거리 통합 센서(10a,10b,10c,10d,10e,10f)를 적용한다.
특히 상기 제1 내지 6 무게&거리 통합 센서(10a,10b,10c,10d,10e,10f)는 차량(100)의 중간선인 X축을 기준으로 하여 고르게 분산된 위치에 적용하되, 상기 제1,2 무게&거리 통합 센서(10a,10b)는 좌석 공간(102)에 설치된 독립 시트인 1열 시트(110), 상기 제3,4 무게&거리 통합 센서(10c,10d)는 통합 시트인 2열 시트(120), 상기 제5,6 무게&거리 통합 센서(10e,10f)는 통합 시트인 3열 시트(130)에 각각 적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7,8 무게&거리 통합 센서(10g,10h)는 트렁크 공간(103)서 차량(100)의 중간선인 X축을 기준으로 하여 고르게 분산된 위치에 적용한다.
반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무게측정센서(20)는 제1 내지 7 무게측정센서(20a,...,g)로 구분되고, 차량(100)의 중간선인 X축을 기준으로 하여 제1,2 무게측정센서(20a,20b)는 1열 시트(110), 제3,4 무게측정 센서(20c,20d)는 2열 시트(120), 제5,6 무게측정센서(20e,20f)는 3열 시트(130), 제7 무게측정센서(20g)는 트렁크 공간(103)에 각각 적용한다.
그리고 상기 거리측정센서(30)는 제1 내지 3 거리측정센서(30a,30b,30c)로 구분되고, 차량(100)의 중간선인 X축을 기준으로 하여 제1 거리측정센서(30a)는 트렁크 공간(103), 제2 거리측정센서(30b)는 2,3열 시트(120,130) 사이 공간, 제3 거리측정센서(30c)는 1,2열 시트(110,120) 사이 공간에 각각 적용한다.
특히 상기 제7 무게측정센서(20g)와 상기 제1 거리측정센서(30a)는 트렁크 공간(103)에서 동일한 위치에 적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LIN 버스(61)는 무게&거리 통합 센서(10) 또는 무게측정센서(20)와 거리측정센서(30)에서 측정한 무게측정정보 신호 및 거리측정정보 신호를 LIN 통신으로 토크 컨트롤 제어기(40)에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LIN 통신은 차량 내에서 도어, 시트, 스티어링 휠, 루프, 엔진 등 제어기가 멀리 있는 센서 및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킬 때 주로 사용되는 통신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이 메인 네트워크 라인이라면 LIN 통신은 제어기의 서브 네트워크 라인이다.
일례로 상기 아날로그 라인(63,64)은 무게측정 정보 라인(63)과 거리측정 정보 라인(64)으로 구분되며, 상기 무게측정 정보 라인(63)은 무게&거리 통합 센서(10) 또는 무게측정센서(20)에서 측정된 무게 측정 정보 아날로그 신호, 상기 거리측정 정보 라인(64)은 무게&거리 통합 센서(10)와 거리측정센서(30)에서 측정된 거리 측정 정보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므로 상기 LIN 버스(61)와 상기 아날로그 라인(63,64)은 LIN 및 아날로그 신호 비교로 각 센서들로부터의 무게 정보를 더블 체크(Double check)함으로써 두 신호의 값인 LIN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가 서로 다를 때 결선 또는 센서의 출력 회로가 고장 났음을 용이하게 인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60)는 수시로 바뀌고 변경되지 않는 무게 정보의 특성상 CAN과 같이 고속으로 신호를 빠르게 전달 할 필요가 없는 LIN 통신이 이용되어 아날로그 신호를 중복 체크하고, 고장 시 LIN 신호로 정보를 대체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고장 발생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곳의 정보를 이용하여 무게 감지 기능을 계속 유지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계속해서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상기 변속충격감소 맵 기반 토크 제어(S40)를 S41의 주행 시작 & 각각의 센서 전원 공급 차단에 의한 센서 OFF 단계, S42의 주행중 가감속시 무게를 고려하여 미리 조정(Calibration)되어 매핑된 토크 매핑값을 적용하여 토크 제어 단계로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에 의한 주행 시작 & 각각의 센서 전원 공급 차단에 의한 센서 OFF(S41)는 IG ON 시 센서(10,20,30)로 가는 전력이 유지되다 주행 시작 후에는 센서(10,20,30)로 가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전원라인(66)의 전원을 제어하여 준다. 이러한 전원제어방식은 IG ON 후 주행을 시작한 후에는 승객의 무게나, 적재된 물건의 무게가 변경이 될 일이 없으므로 무게 및 거리 측정을 위한 센서 동작이 필요 하지 않기 때문이고, 이는 주행 시작 후 센서 동작에 따른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여 줄 수 있는 장점도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에 의한 주행중 가감속시 무게를 고려하여 미리 조정(Calibration)되어 매핑한 토크 매핑 값을 적용한 토크 제어(S42)는 토크 맵(50)을 이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무게&거리 통합 센서(10)(도 2 참조) 또는 무게측정센서(20)와 거리측정센서(30)(도 3 참조)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측정 신호들에 대해 무게측정 신호의 무게 합과 거리측정 신호의 거리 합을 조합함과 같이 센서 수신 값들을 합하고, 차체 중량을 기본값으로 하여 비교하며, 이들로부터 현재 차량에 대한 승객 및 적재 물건의 총합을 인지한다.
또한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차량(100)의 토크량 변화에 토크 맵(50)의 토크 매핑 값을 적용하고, 상기 토크 매핑 값은 차량(100)의 가감속 상황을 가져오는 여려가지 매칭 리스트가 고려된 변속 충격 특성의 조정(calibration)으로 변경됨으로써 운전자 및 차량 탑승객이 느끼는 변속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토크 맵(50)은 미리 조정(Calibration)되어 매핑됨으로써 달라지는 토크 매핑 값을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로 제공하고, 토크 매핑 값의 토크량은 차량 개발 시 차량(100)의 차체 중량에 더해진 추가 무게 변화의 무게증감 매개인자(X) 및 무게중심 매개인자(Z)로 하여 여러 가지 매칭 리스트별로 목록화된다. 이 경우 CASE는 매칭 리스트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크 맵(50)은 차량 개발 시 실제 많은 테스트를 반복 수행 하여 얻은 데이터에 대한 정성적/정략적 평가를 통하여 구축된 차량 기본 매핑 테이블(51), 무게 증감 매핑 테이블(53) 및 무게중심 매핑 테이블(55)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차량 기본 매핑 테이블(51)은 차량속도 매개인자(A), 브레이크 페달 매개인자(B), 엑셀 페달 매개인자(C) 및 기타 매개인자(D)로 구분되며, 상기 차량속도 매개인자(A)는 시속 20Km/h 미만의 기본 매칭 리스트 1, 시속 20Km/h~40Km/h의 기본 매칭 리스트 2, 시속 40Km/h~60Km/h의 기본 매칭 리스트 3, 시속 60Km/h~80Km/h의 기본 매칭 리스트 4, 시속 80Km/h~100Km/h의 기본 매칭 리스트 5, 시속 100Km/h~120Km/h의 기본 매칭 리스트 6, 시속 120Km/h~140Km/h의 기본 매칭 리스트 7, 시속 140Km/h~160Km/h의 기본 매칭 리스트 8, 데드존(Dead Zone)의 기본 매칭 리스트 9와 같이 시속 20Km/h를 기준으로 하여 목록화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 매개인자(B)는 브레이크 동작의 기본 매칭 리스트 1 및 브레이크 미동작의 기본 매칭 리스트 2로 구분되고, 상기 엑셀 페달 매개인자(C)는 가감속시 엑셀 페달의 타겟 값을 적용하며, 상기 기타 매개인자(D)는 차량의 가감속시 변속 충격 특성의 조정(calibration)에 영향을 끼치는 차량 매개인자로서 차종에 따라 달라진다.
일례로 상기 무게 증감 매핑 테이블(53)은 차량의 탑재물건 무게와 차량의 승객 환산 무게로 구분하며, 상기 탑재물건 무게는 10Kg 미만의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 1, 10Kg~20Kg의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 2, 20Kg~30Kg의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 3, 30Kg~40Kg의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 4와 같이 10Kg을 기준으로 목록화하고, 상기 승객 환산 무게는 승객 1명 무게 70Kg의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 5, 승객 2명 무게 140Kg의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 6, 승객 3명 무게 210Kg의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 7, 승객 4명 무게 280Kg의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 8, 승객 5명 무게 350Kg의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 9와 같이 승객 1명당 70Kg을 기준으로 하여 목록화한다.
일례로 상기 무게중심 매핑 테이블(55)은 무게증감 매개인자(X)에 따른 차량 전체 무게의 합과 차량 중심의 X,Y,Z 좌표 값에 따른 차량(100)의 무게중심점 위치변화를 무게중심 매개인자(Z)로 하고, 이를 좌회전의 중심 매칭 리스트 1, 우회전의 중심 매칭 리스트 2 및 U턴의 중심 매칭 리스트 3과 같이 차량(100)의 자세 변화에 적합한 회전이 이루어지기 위한 회전력 매핑 값을 목록화하고, 방지턱의 중심 매칭 리스트 4 및 요철 노면의 중심 매칭 리스트 5와 같이 차량(100)의 노면 통과에 따른 적합한 전자식 서스펜션의 조정 매핑 값을 목록화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무게중심 매핑 테이블(55)은 승객 및 적재 물건을 제외한 차량(100) 만의 무게 중심점이 존재하며, 상기 무게 중심점은 차종별로는 다르나 동일 차종은 오차 범위내에서 모두 동일한 특성을 가짐에 기반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에서 차량 자체의 무게 중심 원점을 중심으로 3차원 공간의 가로의 X축, 세로의 Y축, 높이의 Z축을 설정하면, 물건 및 승객이 탑승하기 전에 차량 자체의 무게 중심의 원점 좌표를 (0,0,0)로 할 수 있고, 무게 및 거리 센서가 센서 마다 적용 위치의 고정 상태이므로 그 위치 좌표를 제1 내지 8 무게&거리 통합 센서(10a,...,h)의(x1,y1),(x2, y2),...,(x8, y8), 제1 내지 7 무게측정센서(20a,...,g)의(x1,y1),(x2, y2),...,(x7, y7), 제1 내지 3 거리측정센서(30a,30b,30c)의(x1,y1),(x2, y2),(x3, y3)와 같이 이미 정해 줄 수 있으며, 높이의 Z축 측정은 1,2,3열 시트(110,120,130)의 각각에 타는 사람 또는 적재 물건의 중량에 따른 높이로 측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약 10Kg의 아기와 10Kg의 카시트가 2열 시트(120)에 있다면, 이는 (20kg*x2, 20kg*y2, 20kg*z2)의 좌표와 무게를 곱한 값이 나오고, 이런 방법으로 각 센서의 중량 곱하기 좌표의 값이 토크 제어 제어기(40)로 전달된다. 이를 통해 상기 토크 제어 제어기(40)는 각 x, y, z 좌표를 더한 후 센서의 수로 나누면 사람 및 무게에 의한 새로운 무게 중심점 x,y,z 좌표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중심 매핑 테이블(55)은 새로운 무게 중심점 x,y,z 좌표를 좌회전과 우회전 및 U턴에 대한 회전력 조정 값을 위한 조향 제어기 정보 및 방지턱과 요철 노면에 대한 서스펜션 조정 값을 위한 서스페션 제어기 정보에 대해, 차량 고유의 무게중심= (0,0,0), #1 센서 (센싱 무게*X1, 센싱 무게*Y1, 센싱 거리 Z1), #2 센서 (센싱 무게*X2, 센싱 무게*Y2, 센싱 거리 Z2), #n 센서 (센싱 무게*Xn, 센싱 무게*Yn, 센싱 거리 Zn)를 동일하게 적용한다.
따라서 토크 조정 값의 토크 변화량, 회전력 조정 값 및 서스펜션 조정 값을 위해 미리 조정(Calibration)되어 매핑된 토크 매핑 값의 산출에 적용되는 차량(100)의 무게 중심의 좌표는 "(X모든 값의 합/센서 수, Y모든 값의 합/ 센서 수, 모든 센싱 거리의 합/ 센서수)"로 수식화 되어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토크 맵(50)은 차량 기본 매핑 테이블(51)에 적용된 A,B,C,D 매개인자들의 상황 및 각 매개인자 상황에 해당하는 매칭 리스트 들의 조합을 통하여 차량 가감속시 변속 충격을 최소화 하는 토크의 변화량을 매핑(Mapping)이 기본으로 적용되고, 차량 기본 매핑 테이블(51)의 다양한 매칭 리스트 들에‘무게 증감’이라는 매개인자 X가 추가된 무게 증감 매핑 테이블(53)이 추가된 무게 증감 매개인자(X)를 통해 매칭 리스트 를 무게로 구분한 조합을 만들어 줌으로써 차량 기본 매핑 테이블(51)에서 얻은 토크 조정 값을 나타내는 토크 변화량 값의 조정(calibration)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무게 증감 매핑 테이블(53)의 다양한 매칭 리스트 들에 차량 중심의 X,Y 좌표 값에 따른 무게중심점 위치변화가 추가된 무게 증감 매핑 테이블(53)이 추가된 무게중심 매개인자(Z)를 통해 매칭 리스트를 무게중심점 위치변화로 구분한 조합을 만들어 무게 증감 매핑 테이블(53)에서 얻은 토크 조정 값을 나타내는 토크 변화량 값의 재 조정(calibration)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토크 맵(50)의 토크 매핑 값은 차량 자체의 토크 조정 값이 탑재물건과 탑승인원의 무게를 감안한 1차 토크 조정 값으로 다시 변환되고, 상기 1차 토크 조정 값이 무게 증감에 따른 무게중심점 위치변화를 감안한 2차 토크 조정 값인 토크 재조정 값으로 변환하며, 상기 1차 토크 조정 값 또는 상기 2차 토크 조정 값이 가감속시 토크 컨트롤 제어기(40)가 요구하는 토크 제어값으로 제공하여 준다.
이후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상기 토크 제어 초기화(S50)를 S51의 차량 도어 열림(door open) 단계, S52의 주행 지속 단계로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차량 도어 열림(S51)은 차량(100)의 전후방 좌/우측 도어에 적용된 도어 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열림 신호를 토크 컨트롤 제어기(40)가 인식하여 판단된다.
그러므로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차량 도어 열림(S51)의 인식시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기존의 토크 매핑 값을 초기화한 후 S30의 실 차량 중량 검출 단계로 복귀한다.
반면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40)는 차량 도어 열림(S51)의 미인식시 주행 지속(S52)을 S60의 자동차 IG OFF 단계까지 유지하여 준다. 이 경우 상기 자동차 IG OFF(S60)는 기존의 토크 매핑 값이 초기화됨을 의미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1)을 통한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은 토크 컨트롤 제어기(40)가 차량(100)의 IG ON(S10)과 IG OFF(S60)사이에서, 차량 주행 전 차량(100)의 무게와 노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한 센서(10,20,30)의 무게 측정 정보와 거리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주행 중 가감속 시 토크 맵(50)에 목록화된 매칭 리스트와 무게 측정 정보와 거리 측정 정보에 기반 된 무게 증감 및 무게중심점 위치변화로 미리 조정(Calibration)되어 매핑된 토크 매핑 값이 변속충격 저감의 토크에 대한 토크 조정 값, 좌회전과 우회전 및 U턴의 회전력 조정 값, 및 방지턱과 요철 노면의 서스펜션 조정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적용하여 준다.
이로부터 상기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은 차체 무게와 함께 탐승객 수 및 적재물 중량을 차량 실 중량으로 한 변속 충격 특성의 조정(calibration)으로 변속충격 최소화와 운전자 및 승객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특히 무게증감에 따른 차량 무게 중심점 이동을 반영함으로써 좌회전, 우회전, U턴 및 방지턱, 요철 노면에서도 최적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1 :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10 : 무게&거리 통합 센서
10a,...,h : 제1 내지 8 무게&거리 통합 센서
20 : 무게측정센서
20a,...,g : 제1 내지 7 무게측정센서
30 : 거리측정센서
30a,30b,30c : 제1 내지 3 거리측정센서
40 : 토크 컨트롤 제어기 50 : 토크 맵
51 : 차량 기본 매핑 테이블 53 : 무게 증감 매핑 테이블
55 : 무게중심 매핑 테이블 60 : 통신 네트워크
61 : LIN 버스 63 : 무게측정 정보 라인
64 : 거리 측정 정보 라인 66 : 전원라인
100 : 차량
101 : 엔진 공간 102 : 좌석 공간
103 : 트렁크 공간 110 : 1열 시트
120 : 2열 시트 130 : 3열 시트

Claims (20)

  1. 차량의 IG ON 시, 센서의 무게 측정 정보와 노면에 대한 거리 측정 정보가 토크 컨트롤 제어기에서 수신되는 실 차량 중량 검출 단계; 및
    주행 중 가감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를 토크 맵에 목록화된 매칭 리스트와 매칭 하여 무게 증감 및 무게중심점 위치변화로 미리 조정(Calibration)되어 매핑된 토크 매핑 값으로 변속충격 저감의 토크에 대한 토크 조정 값, 좌회전과 우회전 및 U턴에 대한 회전력 조정 값, 및 방지턱과 요철 노면에 대한 서스펜션 조정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변속충격감소 맵 기반 토크 제어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와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는 상기 IG ON 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의 전원 공급은 상기 차량의 주행 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크 매핑 값은
    차량속도,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 페달 중 어느 한 개 이상을 차량 매개인자로 한 기본 매칭 리스트에 대해 탑승인원과 적재화물을 무게증감 매개인자로 한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가 매칭 되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게증감 매개인자에는
    상기 적재화물을 소정 무게로 구분하고, 상기 탑승인원을 1인당 소정 체중으로 구분하여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탑승인원 및 상기 적재화물의 총합은
    상기 탑승인원 및 상기 적재화물에 대한 상기 무게 측정 정보의 무게 합과 상기 거리 측정 정보의 거리 합이 상기 차량의 자체 중량과 비교되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조정 값 및 상기 서스펜션 조정 값은
    차량속도,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 페달 중 어느 한 개 이상을 차량 매개인자로 한 기본 매칭 리스트에 대해 탑승인원과 적재화물로 인한 상기 차량의 총 무게가 발생시키는 무게중심점 위치변화를 무게중심 매개인자로 한 중심 매칭 리스트가 매칭 되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 매개인자에는
    공차가 갖는 차량 무게 중심의 X,Y,Z 축 원점 좌표(0,0,0)에 대해 상기 탑승인원과 상기 적재화물의 X,Y 축 무게 좌표(x1,y1) 및 Z축 높이 좌표(z1)를 상기 센서의 수량에 따른 n개 무게 중심 이동 좌표(x1,y1,z1,...,xn,yn,zn)로 산출하고,
    상기 n개 무게 중심 이동 좌표(x1,y1,z1,...,xn,yn,zn)를 더한 후 센서 수로 나누어 구해진 이동 원점 좌표(x,y,z)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 원점 좌표(x,y,z)는
    상기 센서의 각각이 갖는 좌표와 무게를 곱한 값 계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크 조정 값, 상기 회전력 조정 값, 및 상기 서스펜션 조정 값은 엔진 토크 또는 모터 토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무게와 거리를 함께 측정하는 무게&거리 통합 센서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와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무게&거리 통합 센서 또는 상기 무게측정센서와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차량의 좌석 공간에 놓인 n개 시트 및 트렁크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게&거리 통합 센서 및 상기 무게측정센서는
    상기 차량의 중간선인 X축을 기준으로 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좌석 공간의 n개 시트 사이 공간 및 상기 트렁크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도어 열림시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를 수신이 재개되며,
    상기 차량의 도어 미 열림시 주행 지속의 상태에서 IG OFF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15. 차량의 IG ON과 IG OFF 사이에서, 차량 주행 전 상기 차량의 무게와 노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한 센서의 무게 측정 정보와 거리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주행 중 가감속 시 토크 맵에 목록화된 매칭 리스트와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에 기반 된 무게 증감 및 무게중심점 위치변화로 미리 조정(Calibration)되어 매핑된 토크 매핑 값이 변속충격 저감의 토크에 대한 토크 조정 값, 좌회전과 우회전 및 U턴의 회전력 조정 값, 및 방지턱과 요철 노면의 서스펜션 조정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적용하여 주는 토크 컨트롤 제어기;
    상기 차량의 좌석 공간 및 트렁크 공간에 각각 설치되고, 무게 정보와 거리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토크 매핑 값을 상기 토크 조정 값에 적용하여 주는 무게 증감 매핑 테이블, 상기 회전력 조정 값과 상기 서스펜션 조정 값에 적용하여 주는 무게중심 매핑 테이블을 갖춘 토크 맵이 포함되고,
    상기 센서와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는 통신 네트워크로 결속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를 함께 송신하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버스,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로 분리하는 아날로그 라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무게와 거리를 함께 측정하는 무게&거리 통합 센서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와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무게&거리 통합 센서 및 상기 무게측정센서는 상기 차량의 중간선인 X축을 기준으로 하여 n개 시트와 트렁크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n개 시트의 사이 공간 및 상기 트렁크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토크 맵은
    차량속도,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 페달 중 어느 한 개 이상을 차량 매개인자로 한 기본 매칭 리스트를 갖는 차량 기본 매핑 테이블,
    탑승인원과 적재화물을 무게증감 매개인자로 한 무게변화 매칭 리스트를 갖고, 상기 기본 매칭 리스트와 매칭으로 상기 토크 조정 값을 산출하는 무게 증감 매핑 테이블, 및
    탑승인원과 적재화물의 총 무게를 무게중심 매개인자로 한 중심 매칭 리스트를 갖고, 공차 시 차량 무게 중심의 X,Y,Z 축 원점 좌표(0,0,0)에 대해 상기 탑승인원과 상기 적재화물의 X,Y 축 무게 좌표(x1,y1) 및 Z축 높이 좌표(z1)를 상기 센서의 수량에 대한 이동 원점 좌표(x,y,z)를 산출하는 무게중심 매핑 테이블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18. 삭제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라인은 상기 무게 측정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송신하는 무게측정 정보 라인, 및 상기 거리 측정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송신하는 거리측정 정보 라인(64)로 구분되고,
    상기 무게측정 정보 라인과 상기 거리측정 정보 라인은 상기 LIN 버스의 상기 무게 측정 정보와 상기 거리 측정 정보를 더블 체크(Double check)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원라인은 상기 토크 컨트롤 제어기의 제어로 주행 전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고,
    주행 시작 시 상기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KR1020220060366A 2022-05-17 2022-05-17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및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KR102628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366A KR102628284B1 (ko) 2022-05-17 2022-05-17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및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366A KR102628284B1 (ko) 2022-05-17 2022-05-17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및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011A KR20230161011A (ko) 2023-11-27
KR102628284B1 true KR102628284B1 (ko) 2024-01-24

Family

ID=8896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366A KR102628284B1 (ko) 2022-05-17 2022-05-17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및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2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2058A (ja) 2008-12-15 2010-06-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電動車両及びそのピッチング制御装置
JP2011036072A (ja) 2009-08-04 2011-02-17 Nissan Motor Co Ltd 電動車両の制御装置
KR102050394B1 (ko) 2018-08-29 2019-11-29 현대위아(주) Awd 차량의 토크 분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304B1 (ko) 2011-03-16 2012-12-20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 구동차량의 토크분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50028879A (ko) * 2013-08-29 2015-03-17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지도정보를 활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20210077054A (ko) * 2019-12-16 2021-06-2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변속패턴 전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2058A (ja) 2008-12-15 2010-06-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電動車両及びそのピッチング制御装置
JP2011036072A (ja) 2009-08-04 2011-02-17 Nissan Motor Co Ltd 電動車両の制御装置
KR102050394B1 (ko) 2018-08-29 2019-11-29 현대위아(주) Awd 차량의 토크 분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011A (ko) 202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0781B2 (en) Vehicula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7264620B (zh) 用于控制自控车辆的转向的方法和系统
US8818677B2 (en) System and method of vehicle speed control having vehicle speed limit control and speed increase rate control
CN100417560C (zh) 集成式车辆运动控制系统
CN106840097B (zh) 一种基于自适应扩展卡尔曼滤波的道路坡度估计方法
RU2505432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7472006B2 (en) Vehicle dynamics control architecture
US201302971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e system in a vehicle
CN103097222B (zh) 控制扭矩引导机构的方法和扭矩引导系统
ITTO20080168A1 (it) Sistema di controllo della dinamica di un veicolo, con caratteristiche di regolazione dei parametri di controllo tarabili dall'utilizzatore.
CN101389506B (zh) 车辆的高度控制装置
CN103003120A (zh) 车辆控制装置
CN112477863A (zh) 一种车辆、扭矩输出方法及装置
CN103459224A (zh) 车辆的驱动力控制装置
KR102628284B1 (ko) 차량 실 중량 감지를 통한 가감속시 변속충격감소 방법 및 차량 실 중량 감지 시스템
US20040199313A1 (en) Acceleration enhancement algorithm
US20080065302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trol Setpoint Adapted to a Slope and/or Load Situation for a Motor Vehicle Engine-Transmission Unit Transmission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US20060178799A1 (en) Enhanced roll control system
CN114620052A (zh) 一种车辆信号处理方法、装置和驾驶设备
US10102842B2 (en)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vehicle
CN102464017A (zh) 用于车辆的不足转向评估
US20230241940A1 (en) Suspension control device, vehicle, and suspension control method
KR20090065299A (ko) 차량 가속도 측정에 의한 운전패턴 학습 로직
CN113401114B (zh) 一种半挂汽车横摆稳定性控制方法
CN109878348B (zh) 一种用于前后轴分布式驱动电动车的运动控制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