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242B1 - Dental Restoration Kit Box - Google Patents

Dental Restoration Kit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242B1
KR102628242B1 KR1020210166141A KR20210166141A KR102628242B1 KR 102628242 B1 KR102628242 B1 KR 102628242B1 KR 1020210166141 A KR1020210166141 A KR 1020210166141A KR 20210166141 A KR20210166141 A KR 20210166141A KR 102628242 B1 KR102628242 B1 KR 102628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upport
main body
frame
dental rest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78397A (en
Inventor
심연수
박성준
임태희
허채현
현심 카렌 무분다
권혜진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6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242B1/en
Publication of KR2023007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242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6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 G06K7/1465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using several successive scans of the optical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88Image or video recognition using optical means, e.g. reference filters, holographic masks, frequency domain filters or spatial domain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복수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어느 한쪽 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고 치과 수복용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핀;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안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지지핀과 공간을 두고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치과 수복 키트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support pins ar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re provided to protrude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 a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 A frame placed on top of the support plate; A dental restoration kit box may be provided including a cover portion detach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with a space between the support pin and the frame.

Description

치과 수복 키트 박스{Dental Restoration Kit Box}Dental Restoration Kit Box

본 발명은 각종 치과 수복용 기구들을 확실하게 지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는 치과 수복 키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restorative kit box that can securely support and store various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s.

일반적으로, 치과 수복을 위한 각종 기구들을 보관하는 키트 박스가 마련되어 있는데, 각 기구의 전용 키트 박스로 구성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Generally, a kit box is provided to store various instruments for dental restoration, and in most cases, it consists of a dedicated kit box for each instrument.

즉, 박스의 내부에 구비하기 위한 기구의 형상에 적합한 수납홈을 형성하고, 이 수납홈에 해당 기구를 삽입하고, 뚜껑을 닫는 구조로서, 다른 기구를 수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That is, it is a structure in which a storage groove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device to be placed inside the box is formed, the device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groove, and the lid is closed,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accommodate other devices.

더욱이, 치과 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임상 교육 현장에서 치과용 수복 실습은 특정 키트만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 범위가 제한적이라서 다양한 수복 실습을 위해 불편하며, 그에 따라 교육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Moreover, in clinical education sites based on dental materials, only specific kits are used for dental restorative practice, so the scope of use is limited, making it inconvenient for various restorative practices, and thu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may be reduced.

본 발명은 치과 수복 실습시 사용되는 각종 기구들을 형태 및 사이즈에 관계없이 모두 수용가능하여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과 수복 키트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restorative kit box that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by accommodating various instruments used in dental restorative practice regardless of shape and size.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복수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어느 한쪽 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고 치과 수복용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핀;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안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지지핀과 공간을 두고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치과 수복 키트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support pins ar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re provided to protrude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 a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 A frame placed on top of the support plate; A dental restoration kit box may be provided including a cover portion detach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with a space between the support pin and the fram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치과 수복용 기구들을 보관할 수 있고, 키트 박스의 내부에 마련된 지지판에 복수의 지지핀이 결합되며, 지지핀은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로서 기구가 안치되면, 안치된 기구의 형상에 따라 접촉되는 지지핀이 수축하여 대면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기구를 모두 수용하여 지지 및 보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various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s, and a plurality of support pins are coupled to a support plate provided inside the kit box, and the support pins have a structure whose length is variable, so that when the instrument is placed, the placed instrument By contracting the support pins in contact according to the shape to face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support, and store instrumen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따라서, 본 발명은 실습에 필요한 다양한 수복용 기구들을 모두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and use all the various restorative instruments needed for practice.

또한, 본 발명은 치과 수복용 기구 수납을 위한 키트 박스에서 복수의 본체부, 프레임 및 지지핀이 구비된 지지판을 수직 방향으로 높이가 조립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기구들을 보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kit box for storing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s, a plurality of body parts, a frame, and a support plate with support pins can be assembl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height, so that more instruments can be sto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트 박스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판에 결합되는 지지핀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트 박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 구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지지판에 격판이 마련된 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키트 박스의 조립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덮개부 내측면에 형성된 안내문 및 QR 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it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pin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kit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Figure 6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structure of Figure 5.
Figure 7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diaphragm i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kit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notice and QR cod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smart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트 박스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it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chematic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키트 박스(10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110), 본체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120), 본체부(110)와 덮개부(120) 사이이면서 본체부(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지지판(130), 지지판(130)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복수로 결합되고, 지지판(130)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지지핀(140), 지지판(130)의 상부에 안치되는 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120)는 최종적으로 프레임(150)의 상부에 덮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kit box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1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a cove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110. (120), a support plate 130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cover 120 an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 plurality of which are combined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a of the support plate 130, and the support plate 13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pin 140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rame 150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130. Accordingly, the cover portion 120 may ultimately cover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50.

본체부(110)는 예를 들어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4각형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소정 깊이의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box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refore, a storage space of a predetermined depth may b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0.

덮개부(12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110)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내부가 보이는 투명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불투명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cover part 120 may have a space inside and be provided in a shape that matches the main body part 110,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body whose inside is visible. However, it can also be constructed as an opaque body.

또한, 지지판(130)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체부(110)의 상면에 안치되도록 본체부(110)의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핀(140)이 복수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는 다공판 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130 may be made of a flat surface, and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area of the main body 110 so as to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 plurality of support pins 140 may be combined. It may be a porous plate structure in which coupling holes are formed.

프레임(15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따라서, 프레임(150)의 상부 및 하부로 관통된 구조일 수 있으며, 지지판(130)의 상부에 안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The frame 150 may be provided in a frame shape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refore may have a structur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ame 150, and may be supported by being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13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트 박스(100)를 조립하면, 하부에는 본체부(110), 그 위에 지지판(130), 지지판(130) 위에 프레임(150), 프레임(150) 위에 덮개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kit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he lower part includes the main body 110, a support plate 130 above the support plate 130, a frame 150 above the support plate 130, and a cover above the frame 150. Unit 120 may be disposed.

본체부(110)의 상면에 지지판(130)이 안치되면, 지지판(130)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된 지지핀(140)의 양쪽 끝단부로부터 본체부(110)의 바닥면 및 덮개부(120)의 내측면과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support plate 13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v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re formed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pins 140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plate 130. It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120).

여기서, 지지판(130)에 결합된 지지핀(140)은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지지판(130)에 형성된 결합공(131)에 끼워지고 중공 구조를 가지는 몸통부(141), 몸통부(141)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142), 탄성 부재(14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 부재인 제1 지지 부재(143)와 제2 지지 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upport pin 140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30 may have a variable length structure. That is, referring to FIG. 3, the body portion 14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31 formed in the support plate 130 and has a hollow structure, the elastic member 142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141, and the elastic member 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143 and a second support member 144, which are support member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142).

탄성 부재(142)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반복된 수축 및 신장 작용을 하더라도 탄성력이 변형되지 않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142 may be made of a coil spring, etc., and it may be important that the elastic force is not deformed even through repeated contraction and expansion.

또한, 제1 지지 부재(143)와 제2 지지 부재(144)의 단부는 각각 탄성 부재(143)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어 연동되게 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nd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43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4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143 to be interlocked.

제1 지지 부재(143)는 지지판(130)의 상부로 배치되고, 제2 지지 부재(144)는 지지판(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지지 부재(143)와 제2 지지 부재(144)를 가압하면, 몸통부(141)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 부재(142)가 수축되면서 제1 지지 부재(143)와 제2 지지 부재(144)가 몸통부(141)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면서 길이가 축소될 수 있고, 반대로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제1 지지 부재(143)와 제2 지지 부재(144)가 수축되어 있던 탄성 부재(142)의 반발력에 의해 몸통부(141)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143 may be disposed above the support plate 1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4 may be disposed below the support plate 130,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43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When 144 is pressed, the elastic member 142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141 contracts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43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4 move into the body portion 141, respectively. The length may be shortened as it is inserted, and conversely, when the pressing state is released, the first support member 143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4 are compressed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141 by the repulsion force of the contracted elastic member 142. It can be moved outwar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지지판(130)에 복수로 구비되는 지지핀(140)은 지지판(130)에 고정하기 위해서, 몸통부(141)의 소정 위치에 걸림턱(141a)을 형성하고 멈춤링(141b)을 착탈 가능하게 끼울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지판(130)의 상면에는 걸림턱(141a)이 배치되고, 지지판(130)의 하면에는 멈춤링(141b)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In order to secure the support pins 140, which are provided in plurality to the support plate 130, to the support plate 130, a locking protrusion 141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portion 141 and the stop ring 141b is detachable. It can be inserted. In other words, a locking protrusion 141a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30, and a stop ring 141b may be fitted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30.

지지핀(140)은 신축 가능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재질적 특성상 신축이 가능하므로, 기구(10)(20)을 안치하는 경우, 신축성에 의해 기구(10)(20)를 확실하게 지지해줄 수 있다. The support pin 140 may be made of stretchable silicone material. When made of silicone, elasticity is possible due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so when the instruments 10 and 20 are placed, the instruments 10 and 20 can be reliably supported by elasticity.

도 1에 도시된 덮개판(120) 및 지지핀(140)의 구조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일치되지 않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서로 다른 구조가 아니고, 동일한 구조로서 편의상 도시된 것임을 밝혀두고자 한다.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구조와 도 5에 도시된 단면도가 상이한 구조처럼 보이지만, 동일한 구조로서 편의상 도시된 것이다. 또한, 도 4에서 2단에 위치한 제2 본체부(240)와 그 아래에 배치된 제1 프레임(230)의 일부분이 대면되지 못하고 이격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대면된 상태로 조립된 구조이다. The structure of the cover plate 120 and the support pin 140 shown in FIG. 1 is shown as if it does not match the structure shown in FIGS. 2 and 3, but they are not different structures, but are shown for convenience as the same structure.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Likewise, although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and the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FIG. 5 appear to be different structures, they are shown as the same structure for convenience. In addition, in FIG. 4, the second body portion 240 located in the second stage and a portion of the first frame 230 disposed below appear to be spaced apart rather than facing each other, but in fact, they are assembled in a facing state.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트 박스(100)는 본체부(110)의 상면에 지지판(130)이 안치되고, 지지판(130)에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의 지지핀(14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치과 수복 실습을 위한 기구(10)(20)를 지지핀(140) 위와 아래에 배치되게 하면, 지지핀(140)은 기구(10)(20)의 형태에 맞추어서 길이가 가변되면서 지지할 수 있다. The kit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is structure includes a support plate 130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 plurality of support pins 140 of variable length on the support plate 130. Since this is coupled, when the instruments 10 and 20 for dental restorative practice are placed above and below the support pin 140, the support pin 140 has a variable length to match the shape of the instruments 10 and 20. You can support it by doing so.

다시 말해서, 기구(10)(20)의 외면이 일정한 형상을 가지지 않고, 돌출된 부분과 들어간 부분 등 여러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러한 기구(10)(20)중 기구(10)를 지지판(130) 상부에 돌출된 지지핀(140)에 올려 놓으면, 접촉되는 지지핀(140)은 기구(10)의 형태에 맞게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outer surfaces of the mechanisms 10 and 20 do not have a certain shape and are made of various shapes such as protruding parts and recessed parts, the mechanism 10 among these mechanisms 10 and 20 is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130. When placed on the support pin 140 protruding at the top, the length of the support pin 140 in contact can be varied to suit the shape of the device 10.

마찬가지로, 본체부(110)의 내부에 먼저 기구(20)를 집어 넣은 상태에서 지지판(130)을 본체부(110)의 상면에 올려 놓으면, 지지판(130)의 하부로 돌출된 지지핀(140)의 길이가 기구(20)의 형상에 따라 가변되면서 기구(20)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Similarly, when the support plate 13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with the device 20 first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the support pin 140 protrud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130. The length of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device 20, thereby reliably supporting the device 20.

도 3을 참조하면, 지지핀(140)은 지지판(130)의 결합공(131)에 끼워져 고정되는 몸통부(141), 몸통부(141)의 내부에 갖추어진 탄성 부재(142), 탄성 부재(142)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되고 몸통부(141)의 외부로 출몰되는 제1 지지 부재(143)와 제2 지지 부재(144)로 이루어진 구조이므로, 기구(10)를 지지핀(140) 위에 올려 놓으면, 제1 지지 부재(143)가 접촉되고, 기구(10)의 형태에 따라 제1 지지 부재(143)는 몸통부(141)의 내부로 탄성 부재(142)를 수축시키면서 들어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upport pin 140 includes a body portion 141 that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31 of the support plate 130, an elastic member 142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141, and an elastic member. Since it has a structure consisting of a first support member 143 and a second support member 144 that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portion 142 and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41, the mechanism 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in 140. When placed on top, the first support member 143 is contacted, an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device 10, the first support member 143 can enter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141 while contracting the elastic member 142. .

이런 상태에서 덮개부(120)를 덮으면, 덮개부(120)의 내측면과 지지핀(140) 사이에 기구(10)가 위치하고, 지지판(130)의 하부에도 기구(20)가 위치하여 기구(10)(20)의 전체에 대하여 고르게 지지하므로, 키트 박스(100)안에 보관된 기구(10)(20)는 흔들림없이 제자리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cover 120 is covered in this state, the mechanism 10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20 and the support pin 140, and the mechanism 20 is also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130, so that the mechanism ( Since the entire 10)(20) is evenly supported, the instruments 10 and 20 stored in the kit box 100 can remain in place without shaking.

만일, 기구(10)를 지지핀(140)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수축되어 있던 제1 지지 부재(143)는 탄성 부재(142)의 반발력에 의해 몸통부(141)로부터 돌출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If the mechanism 1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pin 140, the contracted first support member 143 will protrude from the body portion 141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2 and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You can.

따라서, 본 발명의 키트 박스(100)는 다양한 형태 및 사이즈를 가진 기구들을 모두 수용하여 흔들림 없이 확실하게 지지해줄 수 있다.Therefore, the kit box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all instrument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support them reliably without shaking.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서, 키트 박스(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kit box 200 can be provided.

즉,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의 키트 박스(200)는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제1 본체부(210), 제1 지지판(220), 제1 프레임(230), 제2 본체부(240), 제2 지지판(250), 제2 프레임(260), 덮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kit box 200 of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210, a first support plate 220, a first frame 230, and a second sequentially from the bottom to the top. It may include a main body 240, a second support plate 250, a second frame 260, and a cover 270.

따라서, 제2 본체부(240)와 제2 프레임(260) 및 그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지지판(250)은 높이 조절용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고, 키트 박스(200)의 높이를 더 높게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더 많은 프레임 및 지지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럼으로써 보다 많은 치과 수복 기구들을 구비하고, 실습 교육시 편리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cond main body 240, the second frame 26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50 provided between them can serve as a height adjuster, and in order to assemble the kit box 200 to a higher height, In this case, more frames and support plates can be provided. In this way, more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s can be equipped and conveniently taken out and used during practical training.

제1 지지판(220)과 제2 지지판(250)에는 복수의 제1 지지핀(280)과 제2 지지핀(29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핀(280)과 제2 지지핀(290)은 앞서 설명한 지지핀(14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late 22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5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ns 280 and second support pins 290. The first support pin 280 and the second support pin 29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support pin 140 described above.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트 박스(200)에는 2개의 키트 박스를 조립한 구조로서, 각각의 키트 박스에 치과 수복용 기구(10)(20)(30)(40)를 안치하여 지지되게 할 수 있다. The kit box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5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kit boxes are assembled, and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s 10, 20, 30, and 40 are placed in each kit box. It can be supported.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키트 박스(200)는 본체부(210)는 최하단에 하나만 마련하고, 그 위에 순차적으로 제1 지지판(220), 제1 프레임(230), 다시 제2 프레임(260), 제2 지지판(250), 제3 프레임(262) 및 덮개부(27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판(220)에는 제1 지지핀(280)이 복수로 결합되고, 제2 지지판(250)에는 제2 지지핀(290)이 복수로 결합되고, 따라서, 제1 지지핀(280)의 하단부와 본체부(210)의 내부면 사이 공간, 제1 지지핀(280)과 제2 지지핀(290)의 사이 공간, 제2 지지핀(290)의 상단부와 덮개부(270) 사이의 공간에 치과 수복용 기구(10)(20)(30)를 안치하여 지지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6, the kit box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ly one main body portion 210 at the bottom, and sequentially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220, a first frame 230, and a second support plate 210 thereon. It may be provided with a frame 260, a second support plate 250, a third frame 262, and a cover portion 270.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ns 280 ar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220,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ns 290 ar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250.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in 280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in 280 and the second support pin 290, an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in 290 and the cover part 270.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s 10, 20, and 30 can be placed and supported.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지지판(130)에 격판(300)을 마련할 수 있다. 격판(300)은 지지판(130)의 상부 및 하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7,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partition 300 on the support plate 130. The diaphragm 30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late 130.

지지판(130)의 중앙에 구비된 격판(30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비치되는 기구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event left and right movement of instruments provided on both sides with the diaphragm 300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130 in betwee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트 박스(100)는 편의상 도면에는 본체부(110), 지지판(130), 덮개부(120)는 대면만 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걸림턱 또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서로 끼움식으로 흐트러지지 않고 조립되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kit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drawing as if the main body 110, the support plate 130, and the cover 120 are only facing each other for convenience, but there is a locking protrusion or By forming a locking groove, they can be assembl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fitting them together.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트 박스(200)도 일 실시 예의 키트 박스(100)와 마찬가지로, 걸림턱 및 걸림홈을 형성하여 서로 끼움식으로 흐트러지지 않고 조립되게 할 수 있다. Like the kit box 100 of one embodiment, the kit box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an be assembl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forming a locking protrusion and a locking groove.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키트 박스(100)(200)를 구성하는 덮개부(120)(270)의 내측면에는 치과 수복 실습을 위한 스티커 형태의 안내문(400) 등을 부착할 수 있고, 일측면에는 QR 코드(410)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a guide 400 in the form of a sticker for dental restorative practice can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s 120 and 270 constituting the kit box 100 an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QR code 410 can be formed on one side.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스마트폰(500)의 카메라를 통해 QR 코드(410)를 인식하면, 스마트폰에서 인터넷 접속되어 치과 수복 실습 관련 교육 영상을 볼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QR code 410 through the camera of his or her smartphone 500, the smartphone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can view educational videos related to dental restorative practice.

또한, 본 발명의 키트 박스(100)(200)는 별도의 거치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고, 따라서 경사지게 거치된 키트 박스(100)(200)로부터 편리하게 치과 수복용 기구를 꺼내서 실습 교육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it boxes (100)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a separate stand, so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s can be conveniently taken out from the kit boxes (100) (200) mounted at an angle for hands-on training. It can be used when

10,20,30... 기구
100... 키트 박스
110... 본체부 120... 덮개부
130... 지지판 131... 결합공
140... 지지핀 141... 몸통부
141a... 걸림턱 141b... 멈춤링
142... 탄성 부재 143... 제1 지지 부재
144... 제2 지지 부재 150... 프레임
200... 키트 박스
210... 본체부 220... 제1 지지판
230... 제1 프레임 240... 제2 본체부
250... 제2 지지판 260... 제2 프레임
262... 제3 프레임
270... 덮개부 280... 제1 지지핀
290... 제2 지지핀 300... 격판
400... 안내문 410... QR 코드
10,20,30... mechanism
100... kit box
110... main body 120... cover part
130... support plate 131... coupling hole
140... support pin 141... body
141a... Locking jaw 141b... Stop ring
142... elastic member 143... first support member
144... second support member 150... frame
200... kit box
210... main body 220... first support plate
230... first frame 240... second main body
250... second support plate 260... second frame
262... 3rd frame
270... cover part 280... first support pin
290... 2nd support pin 300... plate
400... Notice 410... QR code

Claims (7)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복수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어느 한쪽 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고 치과 수복용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상기 지지핀과 공간을 두고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핀은,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중공형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서 외부로 출몰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 수복 키트 박스.
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support pins ar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re provided to protrude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 a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
a cover portion detach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space between the support pin and the main body portion; Including,
The support pin is,
A hollow body fixed to the support plate,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and
A dental restorative kit box including a support member coupled to an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body to the outside to have a variable length.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는 프레임이 안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덮개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치과 수복 키트 박스.
According to claim 1,
A frame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A dental restorative kit box having the cover portion detach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복수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어느 한쪽 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고 치과 수복용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상기 지지핀과 공간을 두고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핀은 상기 지지판의 양측면에 길이가 가변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지지핀은 상기 지지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공간이 마련되게 배치되며,
상기 공간을 통해 치과용 수복 기구가 안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지지핀은 출몰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치과용 수복 기구의 형상에 대면되게 길이가 가변되면서 지지되는 치과 수복 키트 박스.
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support pins ar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re provided to protrude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 a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
a cover portion detach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space between the support pin and the main body portion; Including,
The support pin protrudes to have a variable length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The support pin is arranged to provide a space at the top or bottom of the support plate,
A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 is placed and supported through the space,
The support pin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member that protrudes and retracts, and the support member is supported while its length is variable to face the shape of the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복수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어느 한쪽 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고 치과 수복용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핀;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안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지지핀과 공간을 두고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지지판과 지지핀, 프레임은 세트가 되고,
상기 세트는 수직 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복수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최상단의 프레임에 상기 덮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세트에 치과 수복용 기구를 보관하는 치과 수복 키트 박스.
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support pins ar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re provided to protrude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 a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
A frame placed on top of the support plate;
a cover portion detach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with a space between the support pin and the frame; Including,
The main body, support plate, support pin, and frame are a set,
The se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detachable units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ver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most frame,
A dental restorative kit box storing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s in the plurality of se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는 치과 수복 관련 안내문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 일측에는 QR 코드가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치과 수복 교육을 위한 관련 영상이 인터넷 접속되어 출력되는 치과 수복 키트 박스.
According to claim 1,
A notice related to dental restora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 QR cod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and when the QR code is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 related video for dental restorative education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output to the user terminal.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에 대하여 복수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판의 적어도 어느 한쪽 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고 치과 수복용 기구를 지지하는 제1 지지핀;
상기 제1 지지판의 상부에 안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안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핀이 결합된 제2 지지판,
상기 제2 지지판의 상부에 안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제2 지지핀과 공간을 두고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치과 수복용 기구가 안치되는 치과 수복 키트 박스.
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 first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n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supporting a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
a first frame placed on top of the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to which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n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rame are coupled,
a second frame placed on top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 cover portion detach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with a space between the second support pin and the second frame; Including,
A dental restorative kit box in which a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 is placed through space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respective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어느 한쪽면에는 안치되는 치과 수복 기구의 좌우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격판이 마련되는 치과 수복 키트 박스.
According to claim 1,
A dental restorative kit box in which a diaphragm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rocking of the dental restorative instrument placed thereon.
KR1020210166141A 2021-11-26 2021-11-26 Dental Restoration Kit Box KR1026282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141A KR102628242B1 (en) 2021-11-26 2021-11-26 Dental Restoration Kit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141A KR102628242B1 (en) 2021-11-26 2021-11-26 Dental Restoration Kit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397A KR20230078397A (en) 2023-06-02
KR102628242B1 true KR102628242B1 (en) 2024-01-23

Family

ID=8675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141A KR102628242B1 (en) 2021-11-26 2021-11-26 Dental Restoration Kit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242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384B1 (en) * 2018-12-24 2021-04-09 이태경 Surgical unit type kit for customized dental implant surgery
KR102403405B1 (en) * 2020-03-11 2022-05-31 (주)오성엠앤디 Cassette For Medical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397A (en)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49604A (en) Vaulting box
CN1647402B (en) Rotary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WO2016085394A1 (en) Device for viewing stereoscopic 3d images
KR102628242B1 (en) Dental Restoration Kit Box
JPH05509005A (en) Combination optical toy assembly
US20220339552A1 (en) Construction toy
CN205563062U (en) A portable projection arrangement for geography teaching
JP2020074872A (en) Connection toy
US3096587A (en) Sketching device
KR200248871Y1 (en) Keeping file of test paper
CN219085549U (en) Three-dimensional model structure
GB2203056A (en) Multi-part carrying device
KR20090008944U (en) A reflecting mirror using the bamboo
KR830000623Y1 (en) Block case
KR102316628B1 (en) A learning tool system that provides a standard tailoring method
KR20200073556A (en) Variable table
KR102565010B1 (en) Mannequin head storage and carrying case for wig display
JP7489758B2 (en) screen
RU224518U1 (en) BLOCK STAND
CN212302759U (e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robot
CN213285639U (en) Detachable toy doll
JP2018108269A (en) Block toy
US547217A (en) Educational
US845845A (en) Puzzle.
JPS607346Y2 (en) packag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