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187B1 -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8187B1 KR102628187B1 KR1020230044200A KR20230044200A KR102628187B1 KR 102628187 B1 KR102628187 B1 KR 102628187B1 KR 1020230044200 A KR1020230044200 A KR 1020230044200A KR 20230044200 A KR20230044200 A KR 20230044200A KR 102628187 B1 KR102628187 B1 KR 1026281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thing
- conductive
- sensor module
- sensor device
- ski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567 electromyograph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43321 Cnid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6—Wearable electrodes, e.g. having straps or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생체 전기신호를 통해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에 연결된 것으로서, 의복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일부가 의복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여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센서 모듈로 전달하는 신호수집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는, 의복에 대한 센서 모듈의 장착과 분리가 자유로우므로, 의복의 제한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일상복을 착용한 상태로도 근활성도 신호를 얼마든지 측정할 수 있어 간편하고 활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의복으로부터 센서 모듈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의복의 세탁에 제약을 주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는, 의복에 대한 센서 모듈의 장착과 분리가 자유로우므로, 의복의 제한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일상복을 착용한 상태로도 근활성도 신호를 얼마든지 측정할 수 있어 간편하고 활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의복으로부터 센서 모듈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의복의 세탁에 제약을 주지 않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근전도 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 등을 이용해 센서를 몸에 직접 부착한다거나, 센서가 내장된 검사 전용 옷을 굳이 착용하지 않고도 근활성도 신호를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전도(筋電圖) 센서는, 신체의 근육에 힘을 줄 때 발생하는 생체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근육에 얼마나 많은 힘이 들어가고 있는지를 파악해주는 장치이다. 근전도 센서를 이용해, 가령, 근육을 제대로 사용해서 운동하고 있는지, 또는 환자나 장애인의 경우 근육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전도 센서는, 그 특성 상, 근육과의 밀착이 이루어져야 정확한 측정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테면, 사용자의 맨살에 밀착되어야만 근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 근전도 센서 장치의 대부분은, 테이프 등을 이용해 센서를 맨 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옷을 탈의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손이 닿지 않는, 가령, 등 부분에 위치하는 근육에는 센서를 부착시킬 수 없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사례는 많지 않고, 병원이나 실험실 환경에서 연구나 진단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전도 센서 장치를, 타이즈에 내장하는 경우도 있다. 내장된 센서 장치는, 타이즈 착용자의 근육에 접하여 근활성도 신호를 측정한다. 그러나 센서 장치가 내장된 타이즈는 '특수복'으로서 타이즈가 없다면 근전도를 측정할 수 없는 한계를 갖는다. 더욱이, 타이즈가 오염되더라도 내장된 센서 장치 때문에 세척이 쉽지 않아 사용성이 떨어진다.
이와 관련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14164호 (의복형 근전도 및 기능적 전기자극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전기자극 시스템은, 안감과 겉감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안감은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감의 내측의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자극전극들과 근전도 전극들이 장착되어 있어,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며, 기능적 전기 자극(FES)을 할 수 있는 근전도-기능적 전기자극용 의류; 근전도-기능적 전기자극용 의류의 외측에 장착되어 자극전극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근전도-기능적 전기자극 본체부; 각 근전도 전극 개별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불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스위치인 근전도전극 사용/불사용키, 각 자극 전극 개별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불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스위치인 자극전극 사용/불사용키를 포함하는 단말 키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부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상복에 장착 사용이 가능하므로 간편하고 활용성이 뛰어나며, 의복의 세탁에 제약을 주지 않는,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생체 전기신호를 통해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에 연결된 것으로서, 의복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일부가 의복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여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센서 모듈로 전달하는 신호수집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다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는, 의복을 구성하는 의복원단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의복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하는 신호수집부와; 상기 신호수집부로부터 제공된 생체 전기신호를 통해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과; 의복원단의 외측에 구비되고, 신호수집부와 센서 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부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는, 의복에 대한 센서 모듈의 장착과 분리가 자유로우므로, 의복의 제한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일상복을 착용한 상태로도 근활성도 신호를 얼마든지 측정할 수 있어 간편하고 활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의복으로부터 센서 모듈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의복의 세탁에 제약을 주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가 의복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센서 장치의 도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단자 패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에서 의복에 고정되는 전도성 라이너와 전도성 포켓을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전도성 포켓에 장착되는 센서 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센서 장치의 도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단자 패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에서 의복에 고정되는 전도성 라이너와 전도성 포켓을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전도성 포켓에 장착되는 센서 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근전도 센서 장치는, 착용자 신체 근육의 전기적 활성 정보를 알아내는 웨어러블 장비로서, 외부의 컴퓨터나 관리자 단말기(미도시)(스마트폰이나 테블릿피씨 등)와 유무선으로 접속 된다. 근전도 센서 장치가 알아낸 정보는 컴퓨터나 단말기로 전송되어 내부 처리된 후, 착용자 근육의 상태가 그래프나 수치적으로 출력된다. '착용자'는 의복의 착용자를 의미하며, '의복'은 본 발명의 센서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옷이다.
특히 '옷'은 타이트한 운동복이나 검사복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착용하는 평상복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근전도 센서 장치는, 의복의 제한 없이, 사용자가 기존에 입던 자신의 옷에 그대로 장착하여 운용 가능하다. 이처럼 사용 접근성이 용이하므로, 많은 사람들이, 운동, 스포츠를 하면서 스스로의 상태를 진단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쿼트 운동을 하기 전에 허벅지, 엉덩이, 등에 센서 장치를 장착하고, 운동 하는 동안 각 근육들에 제대로 자극이 가해지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근육이 제대로 자극되지 않을 경우, 바른 형태가 되도록 운동 자세를 즉시 교정해가며 자신에게 맞는 자세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센서 장치를, 스마트톤 앱과 연동시키거나, AI 기술을 접목시켜 센서 플랫폼이 사용자에게 직접 운동 진단 및 피드백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가 의복(100)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a는 상의(上衣), 도 1b는 하의(下衣)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의복(100)의 여러 부분에 센서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장치(1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진다. 센서 장치의 위치는, 측정하고자 하는 근육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이처럼 센서 장치(1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센서 장치(10)의 센서 모듈(20)이 의복(100)에 붙박이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착탈 가능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센서 장치(10)의 적용 개수도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10)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센서 장치의 도립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10)는, 센서 모듈(20)과, 신호수집부를 포함한다.
센서 모듈(20)은,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 정보를 측정하고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 모듈(20)은, 케이스(21), 모듈 본체(26), 배터리(28), 통신부(29), 작동 표시부(27)를 갖는다.
케이스(21)는 속이 빈 육면체형 부재이며, 착용자의 피부(S)를 향하는 저면에 3개의 핀 출입 통로(22)를 갖는다. 핀 출입 통로(22)는 고정 니들(25)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고정 니들(25)의 적용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니들(25)이 세 개 이므로, 핀 출입 통로(22) 또한 세 개 이다. 참고로, 근전도 센싱을 위해 고정 니들(25)은 두 개 이상이 필요하다. 그리고 고정 니들(25)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핀 출입 통로(22)는 대략 L 자의 형상을 취하고, 출입구(22a)와 고정구(22b)로 이루어진다. 출입구(22a)는 고정 니들(25) 선단의 피어싱 단부(25a)가 출입하는 구멍이다. 또한 고정구(22b)는, 피어싱 단부(25a)를 커버하며 고정 니들(25)이, 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구(22b)의 아래쪽에는 걸림 돌기(23)가 구비되어 있다. 걸림 돌기(23)는 피어싱 단부(25a)가 출입구(22a)로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걸림 돌기(23)의 측부에는 전극(24)가 위치한다. 전극(24)은 모듈 본체(2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이다. 피어싱 단부(25a)가 걸림 돌기(23)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고정 니들(25)과 모듈 본체(26)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모듈 본체(26)는, 측정한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 정보를 출력한다. 모듈 본체(26) 자체의 기능과 구조는 일반적인 근전도센서와 같으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모듈 본체(26)가 알아낸 정보는 통신부(29)를 통해 외부의 장비, 즉, 컴퓨터나 관리자 단말기로 전달된다. 배터리(28)는 충전식 배터리이고, 모듈 본체(26)와 통신부(29)와 작동 표시부(27)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작동 표시부(27)는, 센서 모듈(2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며, 동작 램프(27a)와 정지 램프(27b)를 포함한다. 동작 램프(27a)는 생체 전기신호가 모듈 본체(26)로 전달될 때 점등되는 LED램프이다. 또한 정지 램프(27b)는 전기신호가 차단되었을 때 점등되는 LED램프이다. 의복(100) 착용자는 작동 표시부(27)를 통해, 센서 장치(10)가 동작하고 있는지를 육안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신호수집부는, 센서 모듈(20)에 연결된 부재로서, 그 일부가 의복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여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센서 모듈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신호수집부로서 세 개의 고정 니들(25)이 적용된다. 고정 니들(25)은 일반적인 옷핀과 마찬가지로 선단부가 바늘처럼 뾰족한 형상을 취하는 전도성 금속부재이다. 고정 니들(25)의 선단부는 피어싱 단부(25a)이다. 피어싱 단부는, 위에 설명한 것처럼, 걸림 돌기(23)에 걸린 상태로 전극(24)과 접속된다.
아울러 고정 니들(25)의 후단부는 니들 써포터(21c)에 지지된다. 니들 써포터(21c)는 고정 니들(25)을 화살표 c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일반적인 옷핀이 어느 각도 범위 내에서 벌어지려고 하는 것처럼, 고정 니들(25)도 탄성 바이어스 되는 것이다. 고정 니들(25)이 화살표 c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피어싱 단부(25a)를 출입구(22a) 내부로 누른 후 걸림 돌기(23)를 넘기면 (도 3의 화살표 d방향), 피어싱 단부(25a)가 걸림 돌기(23)에 걸려 잠긴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니들 써포터(21c)는 케이스(21) 내부에서 다른 전극(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고정 니들(25)에 의해 수집된 생체 전기신호는 니들 써포터(21c)를 거쳐 모듈 본체(26)로 전달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센서 장치(10)의 장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자신이 착용한, 또는 착용할 의복(100)에서 센서 장치를 설치할 지점을 선택한다. 센서 장치를 설치할 지점은, 근활성도를 측정할 근육에 대향하는 부분이다.
설치할 지점을 선택했다면, 상기 고정 니들(25)로 의복원단(101)을 찔러, 피어싱 단부(25a)를 의복원단(101)의 외부에서 내부로, 또한 내부에서 외부로 통과시킨 후, 핀 출입 통로(22)로 삽입 후 도 3의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구(22b)에 위치시킨다. 고정 니들(25)를 분리할 때에는 역순으로 진행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장착된 고정 니들(25)은, 의복(100) 착용자의 피부(S)에 접하며, 착용자의 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수집하여 센서 모듈(20)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10)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의복원단(101)의 저면, 즉 피부를 향하는 면에 전도성 라이너(41)가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도성 라이너(41)는 의복원단(101)의 내측에 결합하며, 고정 니들에 의해 뚫리며, 의복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여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하는 신호수집부이다.
전도성 라이너(41)는 의복원단(101)에 대해 재봉 방식으로 고정 가능하다. 또한 전도성 라이너(41)의 개수는 고정 니들(25)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니들(25)이 세 개 적용되므로 전도성 라이너(41)도 세 개가 적용된다. 이 때 세 개의 전도성 라이너(41)는 서로에 대해 이격되고, 고정 니들(25)에 일대일 대응한다. 각각의 고정 니들(25)은 의복원단(101)을 뚫고 들어와 전도성 라이너(41)와 결합한다.
전도성 라이너(41)는 전도성을 갖는 원단이다. 전도성 라이너(41)는, 가령, 일반 원단에 전도성물질을 코팅한 것일 수도 있고, 금속사(金屬絲)가 포함된 원단일 수 도 있다.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는 한 전도성 라이너(41)의 종류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전도성 라이너(41)의 모양은, 근육을 보다 넓게 커버할 수 있도록, 근육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단순한 사각형의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a는 도 5의 가동형 단자 패드(30)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단자 패드의 도립 사시도이다. 또한 도 6c는 도 6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10)에는 가동형 단자 패드(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동형 단자 패드(30)나 후술하는 고정형 단자 패드(43) 모두, 피부에 대한 센서 장치(10)의 접촉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가동형 단자 패드(30)는 의복(100)의 내측에서 고정 니들(25)과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피부(S)와 접하고,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하여 고정 니들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가동형'이라 함은, 단자 패드(30)가 의복원단(101)으로부터 분리되어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동형 단자 패드(30)는, 고정 니들(25)의 개수와 같으며,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다.
가동형 단자 패드(30)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작되며, 본체(31), 밀착판(35), 신호 전달 부재(37), 니들 홀더(33)를 갖는다. 본체(31)는 니들 홀더(33)와 신호 전달 부재(37)와 밀착판(35)을 수용 보호한다. 밀착판(35)은 직사각 금속판으로서 본체(31)의 하부로 노출된다. 니들 홀더(33)는 중공튜브의 형상을 취하고 그 내부로 고정 니들(25)을 통과시킨다. 고정 니들(25)은 니들 홀더(33)의 내주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결국, 밀착판(35)을 통해 수집된 생체 전기신호는 신호 전달 부재(37)와 니들 홀더(33)를 거쳐 고정 니들(25)로 전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고정형 단자 패드(43)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에 예를 든 가동형 단자 패드(30)가 의복원단(10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에 비해, 도 7의 고정형 단자 패드(43)는 의복원단(101)에 고정되어 있다. 의복원단(101)은 의복(100)을 구성하는 원단이며 단자 패드(43)가 장착될 지점에 사각의 관통로(101a)를 갖는다. 관통로(101a)는 핀 결합부(43b)를 의복 외부로 노출시키는 통로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형 단자 패드(43)는, 의복원단(101)의 안쪽면에 고정되는 본체(43a), 세 개의 밀착판(43d), 신호 전달 부재(43e), 니들 홀더(43c)를 갖는다. 고정형 단자 패드(43)도 인서트사출 방식으로 제작 가능하다.
본체(43a)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절연성 부재이다. 본체(43a)는 의복원단(101)에 대해 재봉 고정된다. 본체(43a)를 의복원단(101)에 고정시킴으로써 관통로(101a)는 차단된다.
밀착판(43d)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금속판이며 세 개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다. 밀착판(43d)은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한다. 니들 홀더(43c)는 중공튜브형 금속부재이다. 고정 니들(25)은 니들 홀더(43c)에 장착되며 고정 니들(2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니들 홀더(43c)와 밀착판(43d)은 신호 전달 부재(43e)를 통해 연결된다. 결국, 밀착판(43d)을 통해 수집된 전기신호는 신호 전달 부재(43e)와 고정 니들(25)을 통해 센서 모듈(20)로 전달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10)의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10)는, 신호수집부, 커넥터부(45), 센서 모듈(20)을 구비한다.
신호수집부는, 의복원단(101)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의복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하는 세 개의 전도성 라이너(41)를 구비한다. 각 전도성 라이너(41)는 전도성 입자가 도포되거나 또는 금속사가 포함된 원단이며,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부는, 의복원단(101)의 외측에 구비되고, 신호수집부인 전도성 라이너(41)와 센서 모듈(2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커넥터부는, 제1신호 전달 부재(45a)와 제2신호 전달 부재(45b)를 갖는다. 제1,2신호 전달 부재(45a, 45b)는 서로에 대해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접착천, 예를 들어, 벨크로천이다.
제1신호 전달 부재(45a)는, 의복원단(101)을 사이에 두고 전도성 라이너(41)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제1신호 전달 부재(45a)와 전도성 라이너(41)는 전도성 재봉사(49)를 통해 접속된다. 전도성 재봉사(49)는 의복원단(101)에, 전도성 라이너(41)와 제1신호 전달 부재(45a)를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역할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겸한다.
경우에 따라 일반 재봉사를 추가하여 제1산호전달부재(45a)와 전도성 라이너(41)를 보다 강력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전도성 라이너(41)에 제1신호 전달 부재(45a)를 접속시킬 수 있는 한, 전도성 재봉사(49) 이외에 다른 전도수단을 얼마든지 적용 할 수 있다.
제2신호 전달 부재(45b)는 센서 모듈(20)의 케이스(21) 저면에 고정된다. 제2신호 전달 부재(45b)는 케이스(21) 내부의 전극(24)에 각각 접속된다.
결국, 제2신호 전달 부재(45b)를 제1신호 전달 부재(45a)에 결합하면, 전도성 라이너(41)가 수집한 전기신호는, 전도성 재봉사(49)와 커넥터부(45)를 거쳐 센서 모듈(20)로 전달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에서 의복에 고정되는 전도성 라이너(41)와 전도성 포켓을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전도성 포켓에 장착되는 센서 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의복원단(101)의 저면에 신호수집부로서의 전도성 라이너(41)가 구비되고, 의복원단(101)의 상면에는 전도성 포켓(51)이 고정된다.
전도성 포켓(51)은 의복원단(101)을 사이에 두고 전도성 라이너(41)에 일대일 대응하는 부재이다. 전도성 포켓(51)은, 전도성 재봉사(49)를 통해 각각의 전도성 라이너(41)와 접속하는 커넥터이다. 또한, 전도성 포켓(51)은 두 겹의 전도성원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도성 포켓(51)에는 클립 수용부(51a)가 마련되어 있다. 클립 수용부(51a)는 전도성 탄성 클립(39)이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공간이다.
탄성 클립(39)은 센서 모듈(20)의 케이스(21) 저면에 고정된 일정두께의 금속부재이다. 탄성 클립(39)은 센서 모듈 내부의 회로와 접속된다. 탄성 클립(39)은 전도성 포켓(51)과 함께 커넥터를 구성한다. 각 탄성 클립(39)을 클립 수용부(51a)에 삽입함으로써, 전도성 포켓(51)에 대한 센서 모듈(20)의 결합이 완료되며, 전도성 라이너(41)에서 수집된 생체 전기신호는, 전도성 재봉사(49), 전도성 포켓(51), 탄성 클립(39)을 통해 센서 모듈(20)로 전달되게 된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2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센서 장치(10)는, 센서 모듈(20)을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센서 장치(10)를 사용자가 원하는 일상복에 적용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의복 세탁에 제약을 주지도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센서 장치 20: 센서 모듈 21: 케이스
21c: 니들 써포터 22: 핀 출입 통로 22a: 출입구
22b: 고정구 23: 걸림 돌기 24: 전극
25: 고정 니들 25a: 피어싱 단부 26: 모듈 본체
27: 작동 표시부 27a: 동작 램프 27b: 정지 램프
28: 배터리 29: 통신부 30: 가동형 단자 패드
31: 본체 33: 니들 홀더 35: 밀착판
37: 신호 전달 부재 39: 탄성 클립 41: 전도성 라이너
43: 고정형 단자 패드 43a: 본체 43b: 핀 결합부
43c: 니들 홀더 43d: 밀착판 43e: 신호 전달 부재
45: 커넥터부 45a: 제1신호 전달 부재 45b: 제2신호 전달 부재
49: 전도성 재봉사 51: 전도성 포켓 51a: 클립 수용부
100: 의복 101a: 관통로
21c: 니들 써포터 22: 핀 출입 통로 22a: 출입구
22b: 고정구 23: 걸림 돌기 24: 전극
25: 고정 니들 25a: 피어싱 단부 26: 모듈 본체
27: 작동 표시부 27a: 동작 램프 27b: 정지 램프
28: 배터리 29: 통신부 30: 가동형 단자 패드
31: 본체 33: 니들 홀더 35: 밀착판
37: 신호 전달 부재 39: 탄성 클립 41: 전도성 라이너
43: 고정형 단자 패드 43a: 본체 43b: 핀 결합부
43c: 니들 홀더 43d: 밀착판 43e: 신호 전달 부재
45: 커넥터부 45a: 제1신호 전달 부재 45b: 제2신호 전달 부재
49: 전도성 재봉사 51: 전도성 포켓 51a: 클립 수용부
100: 의복 101a: 관통로
Claims (10)
-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 정보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에 연결된 것으로서, 의복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의복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여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센서 모듈로 전달하는 신호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집부는,
의복을 구성하는 의복원단을 뚫어 의복원단에 고정되는 전도성 고정 니들을 구비하는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원단의 내측에 결합하며, 고정 니들에 의해 뚫리며, 의복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여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하는 전도성 라이너;를 더 포함하는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내측에서 고정 니들과 접속되며, 피부와 접하고,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하여 고정 니들에 전달하는 단자 패드;를 더 포함하는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패드는,
피부에 접하는 밀착판과,
밀착판을 지지하는 본체와,
밀착판에 접속되고 고정 니들과 결합하는 니들 홀더를 구비하는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 - 삭제
- 의복을 구성하는 의복원단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의복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하는 신호수집부;
상기 신호수집부에 의해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 정보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 모듈;
의복원단의 외측에 구비되고, 신호수집부와 센서 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집부는,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전도성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의복원단을 사이에 두고 전도성 라이너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전도성 재봉사를 통해 전도성 라이너와 접속되는 제1신호 전달 부재와,
상기 센서 모듈에 고정되며 제1신호 전달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신호 전달 부재를 구비하는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신호 전달 부재는,
서로에 대해 분리 결합이 가능한 전기 전도성 접착천인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 - 의복을 구성하는 의복원단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의복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생체 전기신호를 수집하는 신호수집부;
상기 신호수집부에 의해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 정보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 모듈;
의복원단의 외측에 구비되고, 신호수집부와 센서 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집부는,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전도성 라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의복원단을 사이에 두고 전도성 재봉사를 통해 각 전도성 라이너와 접속되고, 클립 수용부를 제공하는 복수의 전도성 포켓을 가지며,
상기 센서 모듈에는, 전도성 포켓의 클립 수용부에 끼움 결합하는 전도성 탄성 클립이 장착되는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의 외측에는, 센서 모듈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부가 구비되는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6690 | 2022-04-15 | ||
KR20220046690 | 2022-04-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8097A KR20230148097A (ko) | 2023-10-24 |
KR102628187B1 true KR102628187B1 (ko) | 2024-01-23 |
Family
ID=8851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4200A KR102628187B1 (ko) | 2022-04-15 | 2023-04-04 |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818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4164B1 (ko) * | 2008-12-31 | 2012-02-2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복형 근전도 및 기능적 전기자극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2934B1 (ko) * | 2004-05-21 | 2006-06-2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착용형 생체신호 검출모듈 및 이를 포함한 측정장치 |
KR20220121740A (ko) * | 2021-02-25 | 2022-09-01 | 한국과학기술원 | 근전도 센서 시스템 |
KR102624534B1 (ko) * | 2021-06-23 | 2024-01-12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의 모니터링 시스템 |
-
2023
- 2023-04-04 KR KR1020230044200A patent/KR1026281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4164B1 (ko) * | 2008-12-31 | 2012-02-2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복형 근전도 및 기능적 전기자극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8097A (ko) | 2023-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7471B1 (ko) | 가슴 부착 분리형 무선 심박 측정 장치 | |
US20160095527A1 (en) | Electrocardiography device for garments | |
JP5487496B2 (ja) | 生体電気信号計測用装置 | |
KR20090009645A (ko) | 생체신호 측정의복과 생체신호 처리시스템 | |
KR20070060971A (ko) | 생체신호의 측정을 위한 스마트 의복 | |
Paradiso et al. | Electronic textile platforms for monitoring in a natural environment | |
KR102628187B1 (ko) | 착탈형 근전도 센서 장치 | |
CN211355458U (zh) | 心电监测衣 | |
CN210931377U (zh) | 可穿戴式多生理数据采集装置 | |
JP2006506160A (ja) | 簡単化された電極を有する個人との生体電気的相互作用のためのシステム | |
JP6601609B2 (ja) | 心臓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情報システム | |
GB2594256A (en) | Assembly,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WO2023052752A1 (en) | System comprising article and electronics module | |
CN211409064U (zh) | 心电监测衣 | |
CN211355457U (zh) | 心电监测衣 | |
CN114376542A (zh) | 生理参数采集结构及生理参数监测装置 | |
CN211609763U (zh) | 一种可测量多种生理参数的背心结构 | |
SK8218Y1 (sk) | Inteligentný odev na monitoring biodát človeka, najmä signálu z elektrokardiogramu | |
WO2017009878A1 (en) | Electronic device for multiparameter remote monitoring. | |
CN210494067U (zh) | 信息采样与传输组件、信息采集装置、检测装置及检测系统 | |
JP2018143383A (ja) | 着衣型ウェアラブルセンサ | |
US20160278702A1 (en) |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belt | |
KR101418080B1 (ko) | 건강 관리용 디지털 의류 | |
CN112244777A (zh) | 一种心肺耦合睡眠质量监测手环 | |
CN211355459U (zh) | 心电监测衣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