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908B1 -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remote control - Google Patents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remote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908B1
KR102627908B1 KR1020210171763A KR20210171763A KR102627908B1 KR 102627908 B1 KR102627908 B1 KR 102627908B1 KR 1020210171763 A KR1020210171763 A KR 1020210171763A KR 20210171763 A KR20210171763 A KR 20210171763A KR 102627908 B1 KR102627908 B1 KR 10262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autonomous vehicle
control unit
vehicl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85236A (en
Inventor
차현록
김유진
황명환
정찬영
김현우
김경민
아마르 안가니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71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908B1/en
Publication of KR2023008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2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9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B60W60/0016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of the vehicle or its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50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G05D2201/021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제어 시 안정성 확보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정보 송수신 지연으로 인한 원격제어자의 위험한 명령값이 하달되더라도 독립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 제어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영상 데이터 송수신 과정의 지연이 존재하는 경우, 원격제어 파라미터값을 토대로 원격제어 대상 차량의 가조작성 공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여차량에서 회피 및 비상정지를 실시할 수 있는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for ensuring stability when remotely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safety of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is ensured through an independent monitoring system even when a dangerous command value is issu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due to a delay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information. When there is a delay in the vide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the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of the remote control target vehicle is calcula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remote control parameter values, and the autonomous driving remote control can perform evasion and emergency stop in the vehicle. It is about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Description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remote control}{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제어 시 안정성 확보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제어 파라미터값을 토대로 원격제어 대상 차량의 가조작성 공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위험 리스크를 허용 가능한 수준까지 저감할 수 있는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to ensure stability when remotely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More specifically, it calculates the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of the vehicle subject to remote control in real time based on remote control parameter values to reduce the risk to an acceptable level. It is about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during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driving.

차량의 원격제어 기술은 무인차량의 자율주행시 비상상황발생시 대처를 용이하게 할 뿐만아니라, 물류 운송을 공간적 제한없이 가능하게 하므로, 화물 운송산업과같은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Vehicle remote control technology not only makes it easier to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when autonomous vehicles are driving, but also enables logistics transportation without spatial limitations, so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 cargo transportation industry.

또한,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시험운행을 통한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무인 자율 주행시에는 자율주행이 해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원거리에 위치한 관제 센터에서 비상시 원격제어를 실시하는 서비스 까지 확장되고 있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there is a need to ensure safety through test runs for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driving. In particular, during unmanned autonomous driving, autonomous driving may often be canceled, so the control center located at a distance The service is also expanding to provide remote control in case of emergency.

한편, 무인 자율 주행시에는 자율주행이 해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으며, 원거리에 위치한 관제 센터에서 비상시 원격제어를 실시하는 서비스가 확장되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during unmanned autonomous driving, autonomous driving may often be canceled, and services that provide remote control in case of emergency from a remote control center are expanding.

다만, 이와 같은 자율주행 차량으로의 신호전달 또는 자율주행 차량으로부터의 신호전달 과정에서 일반적인 무선통신(셀룰러) 방식의 통신을 이용할 경우, 간헐적으로 통신지연이 발생할 때 원격제어의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cellular) communication is us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signals to or from autonomous vehicles, the safety of remote control is not sufficiently secured when communication delays occur intermittently. there is a problem.

특히 영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격 제어를 하는 과정에서 이와 같은 통신 지연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원격제어자가 잘못된 명령값을 하달할 가능성이 있어 잘못된 원격제어의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f such a communication delay exists in the process of remote control based on video data,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mote controller may issue an incorrect command valu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of incorrect remote control cannot be sufficiently secured.

즉,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 특히 영상 데이터에 대한 수신 상태를 참조하면, 카메라영상의 대역폭 12Mbps 에서 평균적인 지연시간은 약 14ms 정도이며, 이와 같은 통신 지연으로 인해 원격 제어 과정에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수신이 지연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in the remote control system of a conventional autonomous vehicle as shown in FIG. 1,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the reception state of image data, the average delay time is about 14 ms at a bandwidth of 12 Mbps for camera images, and such communication delay As a result, reception of video data may be delayed during the remote control process.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수신 지연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차량이 정상적으로 이동중이지만 영상 데이터의 수신 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차량 제어의 위험한 상황이 다수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통신 지연은 주로 영상 송신 장치의 처리 지연(Input), 통신 병목현상(Communication), 영상 수신 장치의 처리 지연(Output) 과정에서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delay in receiving video data as shown in FIG. 2, there is a delay in receiving video data even though the vehicle is moving normally,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y dangerous situations in vehicle control occur. This communication delay occurs. It often occurs during the processing delay (Input) of the video transmitting device, communication bottleneck (Communication), and processing delay (Output) of the video receiving device.

즉, 도 3에서와 같이, 네트워크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법과 차량의 원격 제어시의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보면, 원격 제어는 4G/5G 와같은 셀룰러 방식의 무선 이동 데이터 전달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동 통신 방식의 특성상 아무리 적은 데이터의 크기라도 지역과 시간에 관계없이 일관되며 안정적인 지연 시간을 가진 통신 환경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looking at the problems in transmitting network video data and remotely controlling a vehicle, remote control mainly uses cellular wireless mobile data transmission methods such as 4G/5G,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Due to its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to expect a 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 consistent and stable delay times regardless of region and time, no matter how small the data size.

또한, IP 비디오 전송 방식은 기존의 Baseband 전송 방식인 SDI/HDMI가 아닌, 네트워크 IP를 통해 비디오 및 오디오를 전송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패킷손실 또는 지연존재 픽셀이 존재하는경우,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성을 보장하기 위해 수신데이터를 우선 현시하고 있어 그 이외의 데이터는 잔상으로 처리하면서 각각의 레이어에서 지연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IP video transmission method transmits video and audio through network IP rather than the existing baseband transmission method SDI/HDMI. In general, when packet loss or delayed pixels exist, real-time transmission of high-definition video data is difficult. To ensure performance, received data is displayed first,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elays occurring in each layer while other data is processed as an afterimage.

한국공개특허 10-2021-010337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0337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정보 송수신 지연으로 인한 원격제어자의 위험한 명령값이 하달되더라도 독립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 제어의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mprove the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control through an independent monitoring system even when a dangerous command value is issued from a remote controller due to a delay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information.

또한, 영상 데이터 송수신 과정의 지연이 존재하는 경우, 잘못된 환경데이터를 기준으로 원격제어를 실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조작성 공간에 위험원이 있는 경우 차량내부에서 회피 및 비상정지를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In addition, if there is a delay in the vide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there is a possibility of remote control being performed based on incorrect environmental data, so if there is a risk source in the temporary operation space, a system that can perform avoidance and emergency stop inside the vehicl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은, 자율주행 차량에 구비되는 자율주행 제어부 및 자율주행 차량 외부에 구비되는 원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측정하는 영상 데이터 취득부; 취득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종합하여 상기 원격 제어부로 제공하는 영상 송신부; 다양한 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환경 데이터 취득부;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움직임과 위치를 측정하는 실시간 위치 측정 모듈; 취득된 상기 환경 데이터와 측정된 실시간 위치 데이터를 종합하여 종합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율주행 PC; 및 생성된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제어부로 제공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during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including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autonomous vehicle and a remote control unit provided outside the autonomous vehicle. In the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during remote control,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includes: an image data acquisition unit that measures various image data; an image transmitting unit that synthesizes the acquired image data and provides 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An environmental data acquisition unit that measures various environmental data; A real-tim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that measures the movement and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n autonomous driving PC that generates comprehensive location data by combining the acquired environmental data and measured real-time location data; and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ing the generated comprehensive location data to the remote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상기 영상 송신부 및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한 데이터 제공은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원격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data is provided by the video transmitte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he remote control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송신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표시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장애물의 존재여부 및 원격제어의 지속여부를 판단하는 중앙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remote control unit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data signal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 image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image transmitter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and whether remote control continues based on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장애물의 존재여부 및 원격제어의 지속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원격제어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비상정지 또는 회피기동에 대한 신호를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emporarily suspends remote control of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resence of an obstacle and whether remote control continues, and sends a signal for an emergency stop or evasive maneuver to the autonomous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가조작성 공간을 계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to calculate a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when an obstacle exists near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비상조치 시스템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f there are no obstacles near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an emergency action system is implemented.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안전 제어방법에 있어서, 자율주행 차량의 자율주행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제어 모드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종합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부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부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부가 상기 지연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remote safety control method for an autonomous vehicl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isabl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Implementing a remote control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generating the image data and comprehensive location data by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measuring a delay time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The remote control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delay time exceeds a preset standard valu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상기 지연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elay time exceeds a preset standard valu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exists near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중앙 처리부가 자율주행 차량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가조작성 공간을 계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an obstacle exists near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the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is calculated.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는 계산된 상기 가조작성 공간에 대한 침범 여부를 판단하여,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원격제어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비상정지 또는 회피기동에 대한 신호를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is invaded, temporarily suspends remote control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sends a signal for an emergency stop or evasive maneuver to the autonomous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중앙 처리부가 자율주행 차량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및 상기 가조작성 공간을 침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비상조치 시스템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obstacle in the vicinity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that it does not invade the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according to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an emergency action system is implement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done so as to do so.

또한, 상기 비상조치 시스템은, 자율주행 시스템에서의 위험 최소화 운행 또는 최소 위험 운전(MRM: Minimum Risk Maneuver)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mergency response system is preferably a risk-minimizing operation or minimum risk operation (MRM) in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일반적인 자동차업계의 안전 무결성 수준을 고려한 지연 시간 안정화를 통해 안정적인 통신 및 안전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무인 자율 주행 차량에서의 자율 주행이 해제될 시에도 운행의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stable communication and safe remote control through delay time stabilization considering the safety integrity level of the general automobile industry, and through this, autonomous driving in an unmanned autonomous vehicle is possible. Even when released, safety of operation can be ensured.

또한, 무선 통신이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무인 차량 상태의 피드백까지 통신 안정성 확보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원격 운전자가 상황에 대한 이해 및 평가를 문제 없이 수행할 수 있어 무인차량의 자율주행시 비상상황 발생시 대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carried out in two directions rather than one way, even feedback on the state of the unmanned vehicle can be included in securing communication stability, and the remote driver can understand and evaluate the situation without problems, enabling the autonomous vehicle to operate autonomous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while driving.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제어시 네트워크 영상 전송 방법과 원격 제어시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CAN 통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SW 아키텍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안전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조작성 공간을 사용한 회피 및 비상정지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 및 모식도이다.
Figures 1 to 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network video transmission method and problems in remote control when remotely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during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remote control CAN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remote control SW archite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remote safety control method for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and 9 are graphs and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avoidance and emergency stop process using a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mean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es cases where it is. 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ad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제어 시 안정성 확보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정보 송수신 지연으로 인한 원격제어자의 위험한 명령값이 하달되더라도 독립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 제어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영상 데이터 송수신 과정의 지연이 존재하는 경우, 원격제어 파라미터값을 토대로 원격제어 대상 차량의 가조작성 공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여차량에서 회피 및 비상정지를 실시할 수 있는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for ensuring stability when remotely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safety of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is ensured through an independent monitoring system even when a dangerous command value is issu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due to a delay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information. When there is a delay in the vide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the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of the remote control target vehicle is calcula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remote control parameter values, and the autonomous driving remote control can perform evasion and emergency stop in the vehicle. It is about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본 발명인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에 구비되는 자율주행 제어부 및 자율주행 차량 외부에 구비되는 원격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측정하는 영상 데이터 취득부; 취득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종합하여 상기 원격 제어부로 제공하는 영상 송신부; 다양한 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환경 데이터 취득부;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움직임과 위치를 측정하는 실시간 위치 측정 모듈; 취득된 상기 환경 데이터와 측정된 실시간 위치 데이터를 종합하여 종합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율주행 PC; 및 생성된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제어부로 제공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4, which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during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driv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provided in an autonomous vehicle and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provided outside the autonomous vehicle. It includes a remote control unit, wherein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includes an image data acquisition unit that measures various image data; an image transmitting unit that synthesizes the acquired image data and provides 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An environmental data acquisition unit that measures various environmental data; A real-tim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that measures the movement and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n autonomous driving PC that generates comprehensive location data by combining the acquired environmental data and measured real-time location data; and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ing the generated comprehensive location data to the remote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자율주행 차량에 구비되는 자율주행 제어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의 많은 위치에 영상 데이터 취득부(V-WFH-L)가 장착되어 차량 주변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describe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provided in an autonomous vehicle in more detail, it is desirable for the image data acquisition unit (V-WFH-L) to be installed in many locations of the vehicle to acquire as much image data as possible from around the vehicle.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전방, 후방, 좌전방, 후전방의 4개 장소에 영상 데이터 취득부가 도시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최소 2개 이상 최대한 많은 위치에 영상 데이터 취득부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mage data acquisition unit is shown in four locations: the front, rear, left front, and rear front of the vehicl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mage data is acquired in at least two or as many locations as possible, if necessary. Additional parts may be installed.

또한 영상 데이터 취득부는 일반적인 이미지 및 동영상을 획득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카메라를 비롯하여, 야간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적외선 카메라 등도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2D 또는 3D 카메라 등 다양한 영상 데이터 취득부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data acquisition unit may include analog and digital cameras that acquire general images and videos, as well as infrared cameras to increase nighttime visibility, and various image data acquisition units such as 2D or 3D cameras may be used.

이와 같이 자율주행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서 각각 취득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영상 송신부에서 종합하여 이를 상기 원격 제어부로 제공하게 되며, 원격 제어부에 포함되는 영상 표시부에서는 영상 송신부로부터 제공받은 각각의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video data acquired from various locations of the autonomous vehicle are synthesized by the video transmitter and provid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and the video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unit displays each video data provided from the video transmitter. You can.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영상 데이터 취득부에서 취득한 영상 데이터를 4개의 서로 다른 모니터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원격 제어부의 구성에 따라 하나의 모니터에 종합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원격지에서 차량 내부와 동일하게 구성한 후 각각의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he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four image data acquisition units are displayed on four different monitors, but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 unit, they can also be comprehensively displayed on one monitor, and can be displayed inside the vehicle and at a remote location. After configuring the same, each video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한편, 이와 같은 영상 데이터 이외에도, 자율주행 제어부에서는 다양한 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환경 데이터 취득부 및 자율주행 차량의 움직임과 위치를 측정하는 실시간 위치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환경 데이터 취득부는 대표적으로 라이다(Lidar, Velodyne VLP-16)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시간 위치 측정 모듈로는 GNSS/IMU 와 같은 글로벌 위성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such video data,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 environmental data acquisition unit that measures various environmental data and a real-tim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that measures the movement and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environmental data acquisition unit include: Lidar (Velodyne VLP-16) can be used, and a global satellite navigation system such as GNSS/IMU can be used as a real-tim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라이다와 같은 상기 환경 데이터 취득부 역시 필요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2개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다.A plurality of environmental data acquisition units such as LIDAR can also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of the autonomous vehicle as needed, and in this embodiment, two units are installed each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이러한 환경 데이터와 실시간 위치 데이터는 각각 자율주행 PC로 취합되는데, 자율주행 PC에서는 취합된 데이터들을 종합하여 종합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종합 위치 데이터는 통신 모듈을 통해 최종적으로 원격 제어부로 제공된다.These environmental data and real-time location data are each collected by the self-driving PC. The self-driving PC synthesizes the collected data to generat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and the generated comprehensive location data is ultimately provid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do.

앞서 설명한 영상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는 영상 송신부 및 통신 모듈에 의하여 원격 제어부로 제공되는데, 데이터 제공은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원격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 때의 통신으로는 5G/4G 등 다양한 통신 환경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video data and environmental data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by the video transmitter and communication module. The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at this time uses various communication environments such as 5G/4G. It can be achieved through.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 CAN 통신 구조에 따르면, 차량의 기본제어를 위한 VCU, 배터리 관리를 위한 BMS 모듈, 원격제어를 위한 송수신 VCU 모듈, 변압용 인버터, 자율주행을 위한 제어 PC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노드에서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송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CAN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a VCU for basic control of the vehicle, a BMS module for battery management, a transmission/reception VCU module for remote control, an inverter for transforming, and control for autonomous driving. It may include a PC, etc., and can receive data from each node and transmit it.

한편, 차량 외부에서 임의의 거리만큼 떨어진 원격 제어부는,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에서 획득한 다양한 영상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들을 수신받고 원격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다.Meanwhile, a remote control unit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receives various image data and environmental data obtain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and enables remote control.

이러한 원격 제어부에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영상 송신부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데이터 및 통신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종합 위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표시부, 영상 데이터 및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장애물의 존재여부 및 원격제어의 지속여부를 판단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remote control unit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data signal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 image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video transmitter and comprehensive location data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obstacl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image data and comprehensive location data.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mote control.

데이터 수신부 및 영상 표시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특히 원격 제어부에서는 자율주행 제어부에서 획득한 다양한 영상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원격제어를 함에 있어서 이를 순차적으로 판단하고 각각의 기준에 따른 명령을 내릴 수 있다.The data receiver and video display unit are as described above, and in particular, the remote control unit can sequentially judge them and issue commands according to each standard when conducting remote control based on various image data and environmental data obtain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here is.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안전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 7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부에 포함된 중앙 처리부에서 수행되는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안전 제어방법으로는, 자율주행 차량의 자율주행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제어 모드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종합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부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부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부가 상기 지연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7 showing a remote safety control method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safety control method of an autonomous vehicle performed by a central processing unit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unit includes autonomous driving. Deactivat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of the vehicle; Implementing a remote control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generating the image data and comprehensive location data by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measuring a delay time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The remote control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delay time exceeds a preset standard value; may include.

원격 제어부에서 원격제어를 시작하기 전 단계에서, 자율주행 차량의 자율주행 상태가 진행중인지 또는 해제가 되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게 되는데, 자율주행 상태가 진행중이라면 원격 제어모드로 변환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자율주행 상태가 이어지게 되며, 자율주행 상태가 해제되었다면 차량 외부의 원격 제어모드로 전환하게 된다.At the stage before starting remote control in the remote control unit,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the autonomous driving state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in progress or has been canceled. If the autonomous driving state is in progress, autonomous driving continues without being converted to remote control mode. The state continues, and if the autonomous driving state is canceled, it switches to remote control mode outside the vehicle.

이와 같은 원격제어 모드로 변환된 이후에는, 원격 제어부에서 원격제어에 필요한 다양한 영상정보, 환경정보, 제어정보 등을 송/수신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자율주행 제어부에서 영상 데이터 및 종합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자율주행 제어부로부터 원격 제어부로 영상 데이터 및 종합 위치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being converted to this remote control mode, the remote control unit transmits/receives various video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necessary for remote control. Typically,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as described above transmits and receives video data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After generating the location data, it is desirable for the image data and comprehensive lo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이 때, 자율주행 제어부로부터 원격 제어부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예상치 못하게 지연될 수 있고, 이동 통신 방식의 특성상, 아무리 적은 데이터의 크기라도 지역/시간에 관계없이 일관되며 안정적인 지연 시간을 가진 통신 환경을 기대할 수는 없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이 지연될 경우에는 원격제어자가 잘못된 명령값을 하달할 가능성이 있어 잘못된 원격제어의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data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the transmitted data may be delayed unexpectedly,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thod, no matter how small the data size, the delay is consistent and stable regardless of region/time. Since a 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 time cannot be expected, if data transmission is delay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mote controller may issue an incorrect command value, which may lead to problems in which the safety of incorrect remote control is not sufficiently secured.

따라서, 영상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지연 시간이 자동차/도로교통분야의 지능형 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Therefore, it is essential to measure the delay time in the video data transmission process,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is delay time is above th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standard in the automobile/road traffic field.

지연 시간이 ITS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원격제어를 위한 영상 데이터 수신이 원활한 상태이므로, 지속적으로 원격제어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계속해서 송수신 하게 되며, 반대로 지연 시간이 ITS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원격제어를 위한 영상 데이터 수신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원격제어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들을 미리 방지하거나 컨트롤 할 필요가 있다.If the delay time is below the ITS standard, video data for remote control is received smoothly, so various data for remote control are continuously transmitted and received. Conversely, if the delay time is above the ITS standard, video data for remote control is continuously transmitted. Since reception is not smooth, it is necessary to prevent or control problems that may occur during remote control.

즉, 상기 지연 시간이 미리 설정된 ITS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중앙 처리부가 영상 데이터 및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if the delay time exceeds a preset ITS standard valu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exists near the autonomous vehicle based on image data and comprehensive location data.

만약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즉각적인 비상정지나 회피기동 등이 요구되지는 않는 상황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비상조치시스템을 실시하면 된다. 이러한 비상조치시스템으로는, 자율주행 시스템에서의 위험 최소화 운행 또는 최소 위험 운전(MRM: Minimum Risk Maneuver)인 것이 바람직하다.If there are no obstacles, it is likely that the situation does not require an immediate emergency stop or evasive maneuver, so a general emergency response system can be implemented. It is desirable for this emergency response system to be a risk-minimizing operation or minimal risk operation (MRM: Minimum Risk Maneuver) in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그러나, 자율주행 제어부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에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원격 제어부에서 전달받아 확정된 경우에는, 즉각적인 비상정지나 회피기동 등이 요구되는 상황일 가능성이 높다.However, if the presence of an obstacle is recognized in the image data and environmental data obtain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and this data is received and confirmed by the remote control unit, it is highly likely that an immediate emergency stop or evasive maneuver is requir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영상 데이터 및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가조작성 공간을 계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차량 가조작성 공간을 활용한 회피 및 비상정지에 대한 것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f an obstacle exists near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image data and comprehensive location data, the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can be calculated, and avoidance and emergency stop using this vehicle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are also provided. It is shown in Figures 8 and 9.

즉,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중앙 처리부가 자율주행 차량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가조작성 공간을 계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an obstacle exists near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the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is calculated.

중앙 처리부는 계산된 상기 가조작성 공간에 대한 침범 여부를 판단하여,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원격제어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비상정지 또는 회피기동에 대한 신호를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is invaded, temporarily suspends remote control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transmits a signal for emergency stop or evasive maneuver for the autonomous vehicle to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It is done so that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에서의 각각의 변수들은 다음과 같은 값을 나타낸다.Each variable in the graph shown in FIG. 8 represents the following values.

즉,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원격제어가 가지는 지연시간과 이를 인지하고 멈추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토대로, 위와 같은 원격제어 파라미터값을 적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가조작성 공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게 되며, 계산된 결과에 따라 원격제어로써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비상정지를 실시하거나 또는 위험구역에 대한 회피기동을 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위험측 리스크를 허용가능한 수준까지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delay time of the vehicle's remote control and the time it takes to recognize and stop it, the tentative manipulation space of the autonomous vehicle using the above remote control parameter values is calculated in real time, and the calculated result is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isk on the dangerous side can be reduced to an acceptable level by performing an emergency stop on the autonomous vehicle or controlling it to make an evasive maneuver in a dangerous area through remote control.

본 발명에서와 같은 원격제어시의 가조작성 공간을 통한 회피 및 비상정지 방법은, 자율주행 차량이 필수적으로 지녀야 할 안전도 수준을 만족하기 위한 자기진단기능이 있다는 가정하에 계산되며, 자율주행 차량이 가지고 있는 안전 보조센서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실시 가능한 충돌회피 알고리즘이다.The avoidance and emergency stop method through the temporary operation space during remote control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alcula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self-diagnosis function to satisfy the safety level that an autonomous vehicle must have, and that the autonomous vehicle has a self-diagnosis function. It is a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that can be implemented when existing safety auxiliary sensors operate normall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정보 지연으로 인한 원격제어자의 위험한 명령값이 하달되더라도 독립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업계의 안전 무결성 수준을 고려한 회피동작을 통해 안정적인 통신 및 안전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be improved through an independent monitoring system even if a dangerous command value is issu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due to video information delay, but also the safety of the autonomous vehicle can be improved through avoidance actions taking into account the safety integrity level of the automobile industry. It has the advantage of stable communication and safe remote control.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자율주행 차량에 구비되는 자율주행 제어부 및 자율주행 차량 외부에 구비되는 원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측정하는 영상 데이터 취득부;
취득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종합하여 상기 원격 제어부로 제공하는 영상 송신부;
다양한 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환경 데이터 취득부;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움직임과 위치를 측정하는 실시간 위치 측정 모듈;
취득된 상기 환경 데이터와 측정된 실시간 위치 데이터를 종합하여 종합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율주행 PC; 및
생성된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제어부로 제공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부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원격제어의 지속여부를 결정하고,
원격제어가 지속되는 경우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로부터 상기 원격제어부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지연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지연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차량의 자가진단 지연시간, 차량통신 지연시간, 차량멈춤동작이 시작되고 종료되기까지의 시간 및 조작마진에 의하여 생기는 시간간격 각각에 대한 장애물의 이동속도와 차량의 이동속도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차량의 가조작성 공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상기 장애물이 계산된 상기 가조작성 공간을 침범하는 경우에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원격제어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비상정지 또는 회피기동에 대한 신호를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In the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during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driving, which includes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autonomous vehicle and a remote control unit provided outside the autonomous vehicle,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An image data acquisition unit that measures various image data;
an image transmitting unit that synthesizes the acquired image data and provides 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An environmental data acquisition unit that measures various environmental data;
A real-tim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that measures the movement and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n autonomous driving PC that generates comprehensive location data by combining the acquired environmental data and measured real-time location data; and
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rovides the generated comprehensive location data to the remote control unit,
The remote control unit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 whether to continue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When remote control continues, the delay time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is measured,
If the delay time exceeds a preset standard value,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autonomous vehicle,
When an obstacle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movement of the obstacle for each of the vehicle's self-diagnosis delay time, vehicle communication delay time, time from start to end of vehicle stopping operation, and time interv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margin. Based on the speed and moving speed of the vehicle, the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calculated in real time,
When the obstacle invades the calculated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temporarily stopping remote control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transmitting a signal for an emergency stop or evasive maneuver for the autonomous vehicle to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during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driv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송신부 및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한 데이터 제공은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원격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during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data provided by the video transmitte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영상 송신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remote control unit,
a dat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data signal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during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driving, further comprising a video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video data provided from the video transmitter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비상조치 시스템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during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an emergency action system is implemented when there are no obstacles near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제1항의 자율주행 원격제어시의 안전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안전 제어방법에 있어서,
자율주행 차량의 자율주행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제어 모드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종합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부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부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부가 상기 지연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지연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앙 처리부가 자율주행 차량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차량의 자가진단 지연시간, 차량통신 지연시간, 차량멈춤동작이 시작되고 종료되기까지의 시간 및 조작마진에 의하여 생기는 시간간격 각각에 대한 장애물의 이동속도와 차량의 이동속도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차량의 가조작성 공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계산된 상기 가조작성 공간을 침범하는 경우에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원격제어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비상정지 또는 회피기동에 대한 신호를 상기 자율주행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안전 제어방법.
In the remote safety control method of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control during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vehicle of claim 1,
Deactivat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Implementing a remote control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generating the image data and comprehensive location data by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measuring a delay time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The remote control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delay time exceeds a preset standard value;
When the delay time exceeds a preset standard valu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near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an obstacle exists near the autonomous vehicle, the vehicle's self-diagnosis delay time, vehicle communication delay time, time from start to end of vehicle stopping operation, and time interv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margin, respectively. Calculating in real time the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of the autonomous vehicle based on the moving speed of the obstacle and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When the obstacle invades the calculated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temporarily stopping remote control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transmitting a signal for an emergency stop or evasive maneuver for the autonomous vehicle to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A remote safety control method for an autonomous vehicle,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종합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중앙 처리부가 자율주행 차량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및 상기 가조작성 공간을 침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비상조치 시스템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안전 제어방법.
In clause 7,
According to the image data and the comprehensive location data,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obstacle in the vicinity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that it does not invade the temporary manipulation space, an emergency action system is implemented. A remote safety control method f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조치 시스템은, 자율주행 시스템에서의 위험 최소화 운행 또는 최소 위험 운전(MRM: Minimum Risk Maneuv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안전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The emergency action system is a remote safety control method f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risk minimization operation or minimum risk operation (MRM: Minimum Risk Maneuver) in an autonomous vehicle system.
KR1020210171763A 2021-12-03 2021-12-03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remote control KR1026279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763A KR102627908B1 (en) 2021-12-03 2021-12-03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remot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763A KR102627908B1 (en) 2021-12-03 2021-12-03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remote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236A KR20230085236A (en) 2023-06-14
KR102627908B1 true KR102627908B1 (en) 2024-01-25

Family

ID=8674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763A KR102627908B1 (en) 2021-12-03 2021-12-03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remote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90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3884A (en) 2009-08-19 2011-03-03 Ihi Aerospace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for semi-autonomous unmanned vehicle
JP2011048448A (en) 2009-08-25 2011-03-10 Ihi Aerospace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of semi-autonomous type vehicle
WO2014141479A1 (en) 2013-03-15 2014-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Remote operation system
WO2018155159A1 (en) * 2017-02-24 2018-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Remote video output system and remote video out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340B1 (en) * 2016-08-24 2018-06-21 국방과학연구소 Remote controll device and remote controll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
KR20200119356A (en) * 2019-03-08 2020-10-20 주식회사 만도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US11167770B2 (en) 2020-02-13 2021-11-09 Baidu Usa Llc Autonomous vehicle actuation dynamics and latency identif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3884A (en) 2009-08-19 2011-03-03 Ihi Aerospace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for semi-autonomous unmanned vehicle
JP2011048448A (en) 2009-08-25 2011-03-10 Ihi Aerospace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of semi-autonomous type vehicle
WO2014141479A1 (en) 2013-03-15 2014-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Remote operation system
WO2018155159A1 (en) * 2017-02-24 2018-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Remote video output system and remote video out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236A (en)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8341B2 (en) Trailer detection and autonomous hitching
US20190361436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remote monitoring device
EP3684674B1 (en) Inferred bird's-eye view for trailer reverse assist
US1080971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using an enhanced trajectory following configuration
US11633994B2 (en) Vehicle-trailer distanc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US11287827B2 (en) Visual object tracker
CN108614566B (en) Operation method for parallel driving
CN108776481B (en) Parallel driving control method
US20220182498A1 (en) System making decision based on data communication
WO20190498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lf-position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US111952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vehicl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P3669358B1 (en) Server,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nd system
KR102627908B1 (en)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remote control
CN113771561A (en) Vehicle towing method, electronic device, towing vehicle and storage medium
CN110979319A (en) Driving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230176572A1 (en) Remote operation system and remote operation control method
KR102482613B1 (en) Dynamically-localized sensors for vehicles
US20210018934A1 (en) Travel control device, travel system, and travel program
JP74836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mobile body control device, and mobile body
JP7212294B2 (e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US20220390937A1 (en) Remote traveling vehicle, remote traveling system, and meander traveling suppression method
WO20240097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20415194A1 (en) Anti-collision system and method for an aircraft and aircraft including the anti-collision system
CN115615418A (en) Aircraft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and aircraft including the collision avoidance system
JP2024060467A (en) Remote operation control method, remote operation system, and mobile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