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877B1 - 통합 신호 널링 시스템을 구비한 링크 16 트랜시버 - Google Patents

통합 신호 널링 시스템을 구비한 링크 16 트랜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877B1
KR102627877B1 KR1020207036817A KR20207036817A KR102627877B1 KR 102627877 B1 KR102627877 B1 KR 102627877B1 KR 1020207036817 A KR1020207036817 A KR 1020207036817A KR 20207036817 A KR20207036817 A KR 20207036817A KR 102627877 B1 KR102627877 B1 KR 102627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ata
nulling
transcei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438A (ko
Inventor
데이비드 엠. 쿠퍼
존 에이치. 총고우쉬안
Original Assignee
배 시스템즈 인포메이션 앤드 일렉트로닉 시스템즈 인티크레이션,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 시스템즈 인포메이션 앤드 일렉트로닉 시스템즈 인티크레이션, 인크. filed Critical 배 시스템즈 인포메이션 앤드 일렉트로닉 시스템즈 인티크레이션,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1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20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 H04K3/28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with jamming and anti-jamming mechanisms both included in a same device or system, e.g. wherein anti-jamming includes prevention of undesired self-jamming resulting from jamm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6Means for anti-jamming, e.g. ECCM, i.e. electronic counter-counter mea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H04B1/717Pulse-related aspects
    • H04B1/7174Puls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1/00Secr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20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 H04K3/22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 H04K3/224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with countermeasures at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of the jammed signal, e.g. stopping operation of transmitter or receiver, nulling or enhancing transmitted power in direction of or at frequency of jammer
    • H04K3/226Selection of non-jammed channel for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20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 H04K3/22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 H04K3/224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with countermeasures at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of the jammed signal, e.g. stopping operation of transmitter or receiver, nulling or enhancing transmitted power in direction of or at frequency of jammer
    • H04K3/228Elimination in the received signal of jamming or of data corrupted by jam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20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 H04K3/25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arget signal or of transmission, e.g. us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or fast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3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the infrastructure components
    • H04K2203/3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the infrastructure components including a particular configuration of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20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 H04K3/22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 H04K3/224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with countermeasures at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of the jammed signal, e.g. stopping operation of transmitter or receiver, nulling or enhancing transmitted power in direction of or at frequency of jam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링크 16 트랜시버와 같은 보안 무선 트랜시버는 어레이 내의 각각의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관된 SOC를 갖는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여 신호를 수신한다. SOC는 재밍을 완화하는 메시지 널링 시스템으로의 전송을 위해 수신된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채널화한다. 안테나 어레이는 등각일 수 있고, 기존의 링크 16 블레이드를 대체할 수 있다. 개시된 트랜시버는 디지털화 및 채널화가 SoC로 이동되고 널링 시스템으로 대체된 수정된 CMN-4 트랜시버일 수 있다. 트랜시버는 널링 전에 수신된 데이터를 논리적 링크 16 채널에 할당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TRANSEC 정보를 사용하고, 실시예에서는 관심 채널에만 널링을 적용함으로써, 널링을 개선하고 사이드 로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는 신호 진폭보다는 알려진 링크 16 신호 특징 및/또는 상황 인식에 기초하여 원하는 신호와 원치 않는 신호를 구별함으로써, 약한 재밍 신호라도 널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신호 널링 시스템을 구비한 링크 16 트랜시버
다음의 개시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적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재밍 공격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실상 모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 중 하나는 다양한 노이즈 소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간섭 및 신호 방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관심 지역에 걸쳐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능력이다. 군사 통신 시스템의 경우 그리고 또한 일부 민간 통신 시스템의 경우, 적대적 통신, 내비게이션 및 재밍 신호와 같은 적대적 신호의 존재로 인해 통신이 경쟁하는 A2AD(Anti-Access Area Denial) 영역에서 작동하는 경우와 같이, 불리한 상황으로 인해 안정적인 통신을 제공해야 하는 문제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특히,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모바일 전투 자산의 요소 간의 조정 및 상호 통신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재밍 위협이 있을 때 안전하고 전술적인 네트워크를 탄력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A2AD 영역에서 작동하는 경우, 또한 일반적으로 적어도 일부 통신이 적들이 가로 채거나 해석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COMSEC(통신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데 사용되는 현재의 접근 방식에는 메시지 보안 또는 MSEC으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의 암호화와 TSEC 또는 TRANSEC으로 지칭되는 전송 보안이 포함된다. TRANSEC은 일반적으로 의사 랜덤 주파수 호핑 및/또는 신호 커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필요한 의사 랜덤 시퀀스 생성은 암호화 알고리즘 및 키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예로는 링크(Link) 16, 전술 타깃팅 네트워크 기술(Tmactical Targeting Networking Technology, TTNT) 및 공통 데이터 링크(Common Data Link, CDL)가 있다. 특히, 링크 16은 여러 사용자가 상황 인식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미국, NATO 및 동맹국의 최전선 육상, 항공 및 해군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광범위한 전술적 무선 네트워킹 시스템이다.
링크 16 네트워크에서, 정보는 매 시간 프레임 또는 "에포크(epoch")마다 반복되는 복수의 시간 슬롯 각각 동안 지정된 링크 16 대역폭(일반적으로 960 MHz 내지 1,215 MHz)에 걸쳐 있는 51개 주파수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통해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링크 16 네트워크의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논리적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여기서 각각의 채널은 고유한 시간 슬롯 및 주파수 호핑 패턴의 할당에 의해 정의되고 특징을 갖는다. 종종, 링크 16 트랜시버는 이러한 논리 채널 중 하나 이상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MN-4" 트랜시버는 4개의 채널을 통해 "동시 멀티네팅(concurrent multinetting)"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링크 16 네트워크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에포크 링(12) 내의 블록(10)은 시간 슬롯을 나타내고, 열(column)로 적층된 링(16)은 링크 16 네트워크의 논리적 "채널"을 나타낸다. 따라서, 복수의 참가자(14)는 각각의 시간 슬롯(10) 동안 상이한 채널(16) 및/또는 각각의 에포크(12) 동안 상이한 시간 슬롯(10)에 할당되기 때문에, 링크 16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내에서 전송되는 링크 16 메시지는 노드 간에 교환되는 PPLI(Precise Participant Location and Identification) 메시지를 포함한다. PPLI 메시지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MIL-STD-6016에서 찾을 수 있다.
고유한 항재밍 특징에도 불구하고, 링크 16 네트워크의 효과적인 통신 범위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중되고 국부화된 고전력 재밍 신호를 링크 16 노드를 향해 전송하는 방해하는 공격자에 의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때때로, 링크 16 네트워크에서의 재밍의 영향은 링크 16 노드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고 그리고/또는 전송 거리를 줄이기 위해 중간 노드를 통해 신호를 중계함으로써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고, 지형 장애물과 그림자, 무선 지평선 제한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더욱이, 적절한 중계 노드가 사용될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를 중계하는 오버헤드로 노드에 부담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링크 16 수신기에 의해 검출되는 원치않는 또는 "적" 전송, 특히 적대적인 재밍 신호는 종종 원하는 또는 "우호적인"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보다 훨씬 더 강하다.
전력 증가 및/또는 메시지 중계 이외에, 재밍 공격을 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추가 접근 방식은 수신된 신호에 신호 널링(signal nulling)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에 따르면, 그리고 도 2a를 참조하면, 별도의 널링 장치(200)는 어레이 안테나(202)를 사용하여 전체 링크 16 대역폭을 샘플링하고, 수신된 신호에 신호 널링을 적용한 다음, 널링된 신호 데이터를 링크 16 트랜시버로 전송하며, 여기서 적용 가능한 TRANSEC 및 COMSEC 키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링크 16 메시지를 채널화하고, 추출하며 그리고 디코딩하는 데 사용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이러한 접근 방식에 따르면, 널링 장치(200)는 각각의 어레이 안테나(202)에 의해 링크 16 대역폭 내에서 수신된 모든 에너지를 디지털 데이터(206)로 변환하고, 그 후에 내부 프로세서(208)가 널링을 사용하여 어레이 내의 안테나(202) 각각으로부터의 신호에 별도의 가중 인자(210)를 계산하고(208) 적용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널링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2008/0025446, AJ O'Brien, I.J. Gupta, "GNSS 안테나 어레이를 위한 제로 안테나 유도 바이어스를 사용한 최적 적응형 필터링 알고리즘", Navigation, 57(2), Summer 2010, pp. 87-100에 개시된 바와 같이, 또는 미국 특허 출원 2015/02268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GPS 신호로부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터로서 구현되는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널링 알고리즘과 유사할 수 있다.
가중된 신호가 결합된 후(212), 결합된 결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널링 알고리즘에 따라 가중 인자가 조정되고 반복적으로 재적용된다.
널링 알고리즘에 따라 계산된 가중 인자는 특정 지리적 방향 또는 영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무효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널링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맹목적으로", 즉, 순전히 수학적, 휴리스틱 기반으로, 그리고 수신 안테나 어레이의 위치 및/또는 방향에 대한 지식 없이, 또한 우호적인 그리고/또는 적대적인 전송기의 실제 위치에 대한 지식없이, 적용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성공은 적대적(재밍) 신호가 항상 우호적인 신호보다 강하다는 근본적인 가정에 달려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접근 방식은 우호적인 신호가 강한 경우, 우호적인 신호의 의도치 않은 억제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호적인 노드가 근접한 형태로 적대적 위치에 접근하는 경우, 노드 간에 전송되는 링크 16 메시지는 적의 위치에 도달하고 아군이 분산될 때까지, 초기에 적대적 재밍신호보다 강할 수 있다.
또한, 널링 알고리즘은 1차 널링 로브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추가하여 지리적 "사이드 로브(side lobe)"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 로브 효과는 적이 그 방향에 있지 않더라도 아군으로부터의 전송을 방해할 수 있다. 사이드 로브의 문제는 링크 16 대역폭 내의 모든 51개 채널에서 수신된 신호를 동시에 널링하기 위해 필요한 널링 해결수단의 복잡성으로 인해 악화된다.
다시 도 2b를 참조하면, 이러한 널링 접근 방식과 연관된 추가적인 단점은 널링이 수행된 후 널링 장치가 널링된 데이터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재변환(214)하고, 그 후 COMSEC 인식 트랜시버(204)에 의해 수신되고, 재 디지털화되며, 그리고 해석될 수 있도록 아날로그 신호를 CMN-4 또는 다른 링크 16 트랜시버(204)로 재전송(214)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트랜시버(204)에 의해 다시 디지털 포맷에서 아날로그 포맷으로, 그 후 다시 디지털 포맷으로의 이러한 추가적인 변환은 링크 16 트랜시버(204)에 의해 해석되는 데이터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링크 16 신호 널링에 대한 기존의 접근 방식의 또 다른 단점은 링크 16 트랜시버에 더하여 추가의 크고 고가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 드는 비용, 공간 및 중량 요구사항이다. 특히, 필요한 공간 및 중량은 신호 널링을 포함하도록 기존의 링크 16 설치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중요한 장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16 트랜시버와 같은 TRANSEC 인식 무선 통신 트랜시버에 대한 재밍의 영향을 완화하면서 신호 품질을 개선하고 우호적인 신호의 부주의한 널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많은 부분이 링크 16 통신 및 링크 16 트랜시버를 참조하여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본 개시가 TRANSEC 프로토콜에 의해 보호되고 수신된 데이터가 분석되고 해석되기 전에 채널화를 필요로하는 임의의 보안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황이 달리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여기에서 링크 16에 대한 참조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모든 TRANSEC 보호 통신 프로토콜 및 트랜시버를 참조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SoC를 구비한 개시된 안테나 어레이는 등각이고, 그리고/또는 기존의 링크 16 블레이드 안테나에 대한 직접적인 대체물로서 호환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링크 16 트랜시버는 디지털화 및 채널화 기능이 안테나 어레이의 SoC로 이동되도록 수정된 CMN-4 트랜시버와 같은 종래의 링크 16 트랜시버이며, 트랜시버 내의 종래의 디지털화 및 채널화 하드웨어는 채널화된 데이터에 널링 알고리즘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널링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채널화된 데이터는 추가 데이터 로드를 수용하기 위해 오버클럭킹된(overclocking) 종래의 링크 16 직렬 데이터 링크를 통해 SoC에 의해 트랜시버로 전송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순히 블레이드 안테나를 SoC를 구비한 개시된 안테나 어레이로 대체하고 트랜시버에서 적절한 하드웨어를 교환함으로써 종래의 링크 16 트랜시버 시스템에 신호 널링 능력이 추가될 수 있다.
이전의 접근 방식과 달리, 현재의 널링 장치 및 방법은 "TRANSEC 인식"이다. 즉, 주파수 호핑 및 시간 슬롯 할당을 결정하는 적용 가능한 알고리즘 및 키에 액세스함으로써 링크 16 네트워크의 논리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널링 장치는 수신된 데이터가 채널화된 후 널링 알고리즘을 수신된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실시예는 전체 링크 16 대역폭 내에서 수신된 모든 에너지가 아닌 관심 채널 내에서 수신된 에너지에만 선택적으로 널링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정된 CMN-4 트랜시버는 주어진 임의의 시간에 4개의 채널만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수정된 CMN-4 시스템은 모니터링되는 신호 채널에서 수신되는 에너지에만 선택적으로 널링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널링 알고리즘에 적용되는 제약을 크게 줄여서 관심 신호를 운반하는 채널에만 널링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집중시킴으로써, 널링 해결수단의 복잡성을 줄이고 널링 결과를 개선하며 "사이드 로브"의 널링과 우호적 신호의 의도하지 않은 널링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신호 진폭보다는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재밍 및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신호로부터 원하는 신호를 구별하기 위해, 수신된 데이터에 링크 16 "검출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원치 않는 신호를 널링하고 원하는 우호적인 신호가 적대적이고 원치않는 신호보다 더 강한 경우에도 원하는 신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링크 16 신호 검출기는 변조 유형, 펄스 상승 및/또는 하강 시간, 펄스 폭 및/또는 일반적인 재밍 신호와 매우 다른 링크 16 신호의 기타 특성과 같은 신호 특징을 기반으로 구별한다.
또한, 실시예는 우호적인 신호가 예상될 수 있는 지리적 방향 및/또는 적 신호만이 예상될 수 있는 방향을 결정하고 이러한 정보를 신호 널링에 대한 초기 가중 인자의 세트를 계산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하기 위해, 링크 16 안테나 어레이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즉각적인 인식과 함께, 수신된 링크 16 메시지에 의해 제공되는 PPLI 및 기타 상황 인식 정보를 사용한다
또한, 수신된 데이터가 널링이 적용되기 전에 본 개시의 트랜시버 시스템에 의해 채널화되기 때문에, 링크 16 널링에 대한 기존의 접근 방식의 경우와 같이, 널링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포맷으로 다시 변환한 다음 디지털 포맷으로 다시 변환할 필요가 없다.
본 개시의 제1 일반적인 측면은 통합 신호 널링 시스템을 구비한 링크 16 트랜시버이다. 트랜시버는 링크 16 대역폭 내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 각각에 대해,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관되고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디지털화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온 칩(system-on-a chip, SoC), 디지털화된 무선 신호를 채널화하도록 구성된 TRANSEC 인식 채널라이저(channelizer), 채널라이저와 데이터 통신을 하고 채널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메시지가 유지되는 동안 채널화된 데이터를,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적대적 신호가 억제된 널링된 데이터(nulled data)로 변환하기 위해 널링(nulling) 알고리즘에 따라 채널화된 데이터에 가중 인자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널링 시스템, 및 널링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하는 MSEC 인식 링크 16 메시지 제어기 ― 메시지 제어기는 널링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널링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메시지를 해석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TRANSEC 인식 채널라이저는 SoC에 포함되고, 각각의 SoC가 TRANSEC를 인식하고, 각각의 SoC가 그의 연관된 안테나 엘리먼트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채널화된 데이터로 변환한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에서, SoC는 메시지 제어기에 의해 관심 채널로 지정된 링크 16 채널에서 수신된 에너지만을 채널화하고 널링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는 채널화된 데이터를 SoC로부터 널링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직렬 데이터 링크를 더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직렬 데이터 링크는 채널화된 데이터의 오버클럭킹된(overclocked) 통신을 위해 구성된다. 또한,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직렬 데이터 링크는 200% 내지 300%의 인자만큼 오버클럭킹될 수 있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는 널링 시스템에 포함되고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신호와 링크 16 신호가 아닌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신호를 구별하도록 구성된 링크 16 검출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널링 시스템은 링크 16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를 억제하고 링크 16 신호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링크 16 검출기는 변조 유형, 펄스 상승 시간, 펄스 하강 시간 및 펄스 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링크 16 신호와 링크 16 신호가 아닌 데이터를 구별한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에서, 안테나 어레이는 등각 안테나 어레이일 수 있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에서, 안테나 어레이는 링크 16 대역폭 내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에서, 안테나 어레이는 배열되지 않은 링크 16 블레이드 안테나에 대한 직접적인 대체물로서 호환될 수 있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에서, 널링 시스템은 채널화된 데이터에 적용되는 가중 인자를 예측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우호적인 전송기의 추정된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안테나 어레이에 관한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에서, 널링 시스템은 가중 인자를 계산할 때 공간 시간 적응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일반적인 측면은 링크 16 메시지를 유지하는 동안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a.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에 의해 링크 16 대역폭 내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 각각에 대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채널화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c. 채널화된 데이터를 널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널링 알고리즘에 따라 가중 인자의 세트를 결정하고 채널화된 신호에 가중 인자를 적용하는 단계 ― 가중 인자를 적용함으로써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메시지가 유지되는 동안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적대적 신호가 억제되는 널링된 데이터로 채널화된 데이터를 변환함 ―
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 각각에 대해,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는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관된 TRANSEC 인식 SoC에 의해 채널화된 데이터로 변환된다. 제14항의 방법은, 널링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메시지의 MSEC 인식 링크 16 메시지 제어기에 의해 해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는 관심 채널로 지정된 채널에 포함된 채널화된 데이터만이 SoC에 의해 널링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에서, 채널화된 데이터는 직렬 데이터 링크를 통해 널링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에서, 직렬 데이터 링크를 통해 채널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직렬 데이터 링크를 오버클럭킹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직렬 데이터 링크를 오버클럭킹하는 것은 200% 내지 300%의 인자만큼 직렬 데이터 링크를 오버클럭킹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에서, 상기 가중 인자를 결정하는 것은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신호와 링크 16 신호가 아닌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신호를 구별하기 위해 링크 16 검출기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링크 16 검출기는 변조 유형, 펄스 상승 시간, 펄스 하강 시간 및 펄스 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링크 16 신호와 링크 16 신호가 아닌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에서, 널링 알고리즘에 따라 가중 인자 세트를 결정하는 것은 공간 시간 적응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선행 실시예에서, 가중 인자를 결정하는 것은 가중 인자를 예측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우호적인 전송기의 추정된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와 함께 안테나 어레이에 관한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일반적인 측면은 링크 16 트랜시버에 신호 널링 능력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링크 16 트랜시버의 안테나를 링크 16 대역폭 내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로 대체하는 단계 ―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 각각에 대해, TRANSEC 인식 시스템 온 칩은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관되고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채널화된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됨 ―, 수신된 데이터를 채널화하기 위해 구성된 서브시스템을 링크 16 트랜시버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SoC와 데이터 통신하고, SoC로부터 채널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메시지가 유지되는 동안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적대적인 신호가 억제되는 널링된 데이터로 채널화된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해 널링 알고리즘에 따라 채널화된 데이터에 가중 인자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널링 시스템을 링크 16 트랜시버 내에 설치하는 단계 ― 널링 시스템은 링크 16 트랜시버로 널링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됨 ―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안테나 어레이는 등각 안테나 어레이이다.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것은 오버클럭킹된 전송 모드에서 SoC로부터 널링 시스템으로 채널화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링크 16 트랜시버의 직렬 데이터 링크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오버클럭킹된 전송 모드는 200% 내지 300%의 인자만큼 오버클럭킹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 및 이점은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많은 추가 특징 및 이점이 도면, 명세서 및 청구 범위의 관점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언어는 주로 가독성 및 교육 목적을 위해 선택되었으며, 본 발명의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링크 16 채널 아키텍처의 그래픽 예시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외부 널링 장치와 링크 16 트랜시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외부 널링 장치의 컴포넌트를 도시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물리적 아키텍처의 단순화된 예시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널링 능력을 포함하도록 기존의 링크 16 트랜시버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SoC에 의해 수신된 링크 16 데이터의 채널화를 도시한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레이에서 대응하는 수신 안테나 요소와 연관된 복수의 SoC에 의한 수신 데이터의 채널화 및 링크 16 트랜시버에서 채널화된 데이터의 널링 장치로의 전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널링 트랜시버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도시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개시는 신호 품질을 개선하고 우호 신호를 부주의하게 널링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재밍의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는 통합 신호 널링 시스템(302, 304, 306)을 구비한 링크 16 트랜시버 시스템(300)이다. 개시된 트랜시버 시스템(300)은 안테나 어레이(302)를 사용하여 링크 16 대역폭 내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한다. "시스템 온 칩"("System on a Chip", "SoC")은 어레이 내의 각각의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308)와 연관되고 수신된 데이터를 디지털화한 후, 데이터를 채널화하고 채널화된 데이터를 널링 시스템(314)으로 전송하는 TRANSEC 인식 채널라이저(channelizer)로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널링 시스템(314)은 채널화된 데이터에, 실시예에서는 선택된 채널에만 신호 널링을 적용하며, 그 후, 널링된 데이터는 추가 분석 및 해석을 위해 메시지 제어기(310)로 전달된다.
도 3a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SoC는 TRANSEC을 인식하고, SoC가 총체적으로 채널라이저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연관된 안테나 엘리먼트(308)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채널화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화된 데이터는 SoC로부터, 도 3a에서 링크 16 트랜시버 유닛(306) 내에 메시지 제어기(310)와 함께 포함되는 널링 시스템(314)으로 직접 전송된다. 실시예는 안테나 어레이(302) 내에 블레이드 전송 안테나(312)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SoC를 갖는 어레이 안테나(302)는 등각이며, 그리고/또는 기존 링크 16 블레이드 안테나에 대한 직접적인 대체물로서 호환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링크 16 트랜시버(306)는 수신되고 채널화된 데이터에 널링 알고리즘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널링 시스템(314)으로 디지털화 및 채널화를 대체함으로써 수정된 CMN-4 트랜시버와 같은 다른 통상적인 링크 16 트랜시버이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채널화된 데이터는 증가된 데이터 로드를 수용하기 위해 오버클럭킹 기존의 직렬 데이터 링크(304)를 통해 SoC에 의해 트랜시버(306)로 전송된다. 오버클럭킹은 직렬 데이터 링크의 프로세서(들)를 클럭 속도를 높여 정격보다 더 빠른 속도로 작동하는 것을 지칭함에 유의한다. 일 예에서, 오버 클러킹은 정격 속도보다 250% 더 빠르게 수행된다. 추가 예에서, 오버클럭킹은 클럭 속도보다 200% ~ 300% 더 크다.
따라서, 도 3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종래의 링크 16 트랜시버 시스템(306)은 단순히 블레이드 안테나를 통합 SoC(308)를 구비한 개시된 안테나 어레이(302)로 교체하고(316), 트랜시버(306)로부터 채널화 하드웨어를 제거하여(318) 그것을 널링 시스템(314)로 대체하며(320), 채널화된 데이터를 SoC로부터 널링 시스템(314)으로 전송하는 직렬 데이터 인터페이스(304)를 오버클럭킹함(322)에 의해 신호 널링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링크 16 신호를 널링하는 이전의 접근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의 널링 장치 및 방법은 TRANSEC을 인식하므로, 널링 전에 수신된 데이터를 채널화할 수 있다. 실시예는 또한 전체 링크 16 대역폭에서 수신된 모든 에너지를 널링하는 것이 아니라 관심있는 채널에서 수신된 에너지에만 선택적으로 널링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정된 CMN-4 트랜시버(306)는 주어진 임의의 시간에 4개의 채널만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이들 4개의 채널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널링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4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수신된 데이터(400)는 예를 들어 도면에서 A, B, C 및 D로 지시된 4개의 관심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4개의 채널에 속하는 데이터는 51개의 사용 가능한 주파수(12)(도면에서는 8개만 도시됨)와 각각의 에포크의 시간 슬롯(10)(도면에서는 16개의 시간 슬롯만 도시됨)에 배포된다. 주파수 호핑 패턴 및 시간 슬롯 할당은 하나 이상의 고유 키로 제어되는 의사 랜덤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SoC 칩(402)이 TRANSEC을 인식하기 때문에, 그들은 사용중인 주파수 호핑 패턴 및 시간 슬롯 할당을 인식하고, 적절한 시간 슬롯 및 주파수를 선택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채널화된 데이터(404)로 모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안테나 어레이(302)의 수신 안테나(308)와 연관된 각각의 SoC(402)는 적어도 관심 채널에 대해 전체 데이터 세트를 수신하여 채널화한 다음, SoC(402)의 모두로부터 채널화된 데이터가 널링 알고리즘에 따른 가중 인자의 적용을 위해 널링 시스템(314)으로 전송된다. 실시예에서, 채널화된 데이터는 종래의 링크 16 RF 동축 케이블과 같은 기존의 데이터 링크(304)를 통해 다중화된 직렬 데이터로서 전송된다.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수용하기 위해,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직렬 데이터 링크(304)는 오버클럭킹된다. 실시예에서, 직렬 데이터 링크(304)는 200% 내지 300%의 인자에 의해 오버클럭킹된다.
결과적으로,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널링 시스템(314)은 메시지 제어기(310)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신호 채널(404)에만 선택적으로 널링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널링 알고리즘에 대해 배치되는 제약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관심 채널에만 널링 프로세스를 집중시키고, 널링 해결수단을 단순화하며, 널링 결과를 개선하고, 널링 "사이드 로브" 및 우호적 신호의 의도하지 않은 널링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신호 진폭보다는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원하는 신호를 재밍 및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신호와 구별하기 위해, 수신된 데이터에 링크 16 "검출기"(500)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널링 시스템(314)이 원하지 않는 신호를 널링할 가중 인자(210)를 계산하고 원하는 신호가 원하지 않는 신호보다 더 강한 경우에도 원하는 신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링크 16 검출기(500)는 변조 유형, 펄스 상승 및/또는 하강 시간, 펄스 폭, 및/또는 일반적인 재밍 신호와는 매우 다른 링크 16 신호의 기타 특성과 같은 신호 특징에 기초하여 재밍 신호와 같은 원하지 않는 적대적 신호와 바람직한 링크 16을 구별한다.
더욱이, 실시예는, 우호적인 신호가 예상될 수 있는 지리적 방향 및/또는 적 신호만이 예상될 수 있는 방향을 결정하고, 신호 널링을 위한 초기 가중 인자(210)를 계산하기 위한 기초로서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 링크 16 안테나 어레이(302)의 위치 및 방향의 즉각적인 인식과 함께 링크 16 메시지 및/또는 다른 상황 인식 정보로부터 수신된 PPLI 정보를 사용한다.
또한, 수신된 데이터가 널링이 적용되기 전에 채널화되기 때문에, 링크 16 신호 널링에 대한 기존의 접근 방식의 경우와 같이, 널링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포맷으로 다시 변환한 다음 디지털 포맷으로 다시 변환할 필요가 없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방법 실시예는 안테나 어레이(600) 내의 복수의 수신 안테나에 의한 링크 16 대역폭 내의 무선 신호 에너지를 수신하는 단계, 실시예에서 수신 안테나와 연관되고 안테나 어레이(602)에 통합된 SoC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채널화하는 단계, 예를 들어 링크 16 검출기(604)를 사용하여 채널화된 데이터 내에서 링크 16 메시지를 검출하는 단계,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메시지를 유지하는 동안, 가중 인자를 최적화하고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적대적 신호를 억제하기 위해 채널화된 데이터에 그들을 적용하는 단계, 및 널링된 데이터를 MSEC 인식 메시지 제어기(608)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제출물의 각각 및 모든 페이지와 그 안의 모든 내용은 특성화되거나, 식별되거나, 또는 번호가 매겨져 있더라도, 출원의 형태나 배치에 관계없이 모든 목적에 대해 본 출원의 실질적인 부분으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는 완전한 것으로 의도되거나 또는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출원이 한정된 수의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형태로만 한정되지 않고, 그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개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가능한 특징 조합을 명시적으로 개시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특징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자기 모순이 아닌 임의의 조합으로 교환되고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아래의 종속 청구항에서 제시된 제한은 종속 청구항이 논리적으로 서로 호환되지 않는 한,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임의의 수 및 임의의 순서로 대응하는 독립 청구항과 결합될 수 있다.

Claims (28)

  1. 통합 신호 널링 시스템(integral signal nulling system)을 구비한 링크(Link) 16 트랜시버로서,
    링크 16 대역폭 내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상기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 각각에 대해, 상기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관되고 상기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디지털화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온 칩(system-on-a chip, SoC);
    디지털화된 무선 신호를 채널화하도록 구성된 TRANSEC 인식 채널라이저(channelizer);
    상기 채널라이저와 데이터 통신을 하고, 채널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메시지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를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적대적 신호가 억제된 널링된 데이터(nulled data)로 변환하기 위해 널링(nulling) 알고리즘에 따라 채널화된 데이터에 가중 인자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널링 시스템; 및
    상기 널링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하는 MSEC 인식 링크 16 메시지 제어기 ― 상기 메시지 제어기는 상기 널링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널링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메시지를 해석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링크 16 트랜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RANSEC 인식 채널라이저는 상기 SoC에 포함되고, 각각의 SoC가 TRANSEC을 인식하고, 각각의 SoC가 그의 연관된 안테나 엘리먼트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채널화된 데이터로 변환하는,
    링크 16 트랜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oC는 상기 메시지 제어기에 의해 관심 채널로 지정된 링크 16 채널에서 수신된 에너지만을 채널화하고 상기 널링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링크 16 트랜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를 상기 SoC로부터 상기 널링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직렬 데이터 링크
    를 더 포함하는 링크 16 트랜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데이터 링크는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의 오버클럭킹된 통신(overclocked communication)을 위해 구성되는,
    링크 16 트랜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데이터 링크는 200% 내지 300%의 인자만큼 오버클럭킹되는,
    링크 16 트랜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 시스템에 포함되고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신호와 링크 16 신호가 아닌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신호를 구별하도록 구성된 링크 16 검출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널링 시스템은 링크 16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를 억제하고 상기 링크 16 신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링크 16 트랜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16 검출기는 변조 유형, 펄스 상승 시간, 펄스 하강 시간 및 펄스 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링크 16 신호와 링크 16 신호가 아닌 데이터를 구별하는,
    링크 16 트랜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등각 안테나 어레이(conformal antenna array)인,
    링크 16 트랜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링크 16 대역폭 내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전송 블레이드
    를 더 포함하는, 링크 16 트랜시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배열되지 않은 링크 16 블레이드 안테나에 대한 직접적인 대체물로서 호환되는,
    링크 16 트랜시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 시스템은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에 적용되는 상기 가중 인자를 예측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우호적인 전송기의 추정된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관한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링크 16 트랜시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 시스템은 상기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경우 공간 시간 적응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링크 16 트랜시버.
  14. 링크 16 메시지를 유지하는 동안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에 의해 링크 16 대역폭 내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 각각에 대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채널화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채널화된 데이터를 널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널링 알고리즘에 따라 가중 인자의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채널화된 신호에 상기 가중 인자를 적용하는 단계 ― 상기 가중 인자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메시지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적대적 신호가 억제되는 널링된 데이터로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를 변환함 ―
    를 포함하는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 각각에 대해, 상기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는 상기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관된 TRANSEC 인식 SoC에 의해 채널화된 데이터로 변환되는,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메시지의 MSEC 인식 링크 16 메시지 제어기에 의해 해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관심 채널로 지정된 채널에 포함된 채널화된 데이터만이 상기 SoC에 의해 상기 널링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는 직렬 데이터 링크를 통해 상기 널링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데이터 링크를 통해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직렬 데이터 링크를 오버클럭킹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데이터 링크를 오버클럭킹하는 것은 200% 내지 300%의 인자만큼 상기 직렬 데이터 링크를 오버클럭킹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인자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 16 신호와 링크 16 신호가 아닌 채널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신호를 구별하기 위해 링크 16 검출기를 사용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16 검출기는 변조 유형, 펄스 상승 시간, 펄스 하강 시간 및 펄스 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링크 16 신호와 링크 16 신호가 아닌 데이터를 구별하는,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 알고리즘에 따라 가중 인자의 세트를 결정하는 것은,
    공간 시간 적응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인자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가중 인자를 예측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우호적인 전송기의 추정된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관한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사용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적대적인 무선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207036817A 2018-05-22 2019-04-23 통합 신호 널링 시스템을 구비한 링크 16 트랜시버 KR102627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86,027 US10805035B2 (en) 2018-05-22 2018-05-22 Link 16 transceiver with integral signal nulling system
US15/986,027 2018-05-22
PCT/US2019/028711 WO2019226264A1 (en) 2018-05-22 2019-04-23 Link 16 transceiver with integral signal null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438A KR20210011438A (ko) 2021-02-01
KR102627877B1 true KR102627877B1 (ko) 2024-01-19

Family

ID=6861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817A KR102627877B1 (ko) 2018-05-22 2019-04-23 통합 신호 널링 시스템을 구비한 링크 16 트랜시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05035B2 (ko)
EP (1) EP3811707A4 (ko)
JP (1) JP7146950B2 (ko)
KR (1) KR102627877B1 (ko)
AU (1) AU2019275226A1 (ko)
CA (1) CA3100064A1 (ko)
TW (1) TWI797335B (ko)
WO (1) WO2019226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5358B1 (en) 2020-04-20 2021-06-01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ethod of adaptively mitigating common template multi-channel wireless interference
US11394414B2 (en) * 2020-04-20 2022-07-19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ethod of wireless interference mitigation with efficient utilization of computational resources
CN111510182B (zh) * 2020-06-12 2020-09-29 成都锐新科技有限公司 一种link16信号模拟器
CN112713949B (zh) * 2020-11-10 2022-04-26 中国人民解放军海军航空大学航空作战勤务学院 一种ttnt数据链信道负载统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2460B1 (en) 2001-09-26 2005-10-04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Efficient space-time adaptive processing (STAP) filter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s
CA2469185A1 (en) 2001-12-05 2003-06-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 calibrated reduced rank adaptive processor
US7552442B1 (en) 2004-01-27 2009-06-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ilitary data link integ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609753B1 (en) * 2005-09-13 2009-10-27 Rockwell Collins, Inc. Link 16 radio receiver using antenna diversity
US7920860B2 (en) 2006-10-31 2011-04-05 Aircell Llc System for managing the multiple air-to-ground communications links originating from each aircraft in an air-to-ground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JP2011147002A (ja) 2010-01-15 2011-07-28 Kyocera Corp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9250312B1 (en) * 2011-08-05 2016-02-0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High altitude radio frequency positioning system
US8976837B1 (en) 2011-08-09 2015-03-10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Low probability of detection (LPD) waveform
US8995902B2 (en) 2011-08-12 2015-03-31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 Integration Inc. Link 16-based geolocation of hostile jammers
EP3567736A1 (en) 2011-08-19 2019-11-13 Quintel Cayma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vation plane spatial beamforming
US8902114B1 (en) * 2011-09-23 2014-12-02 Rockwell Collins, Inc. Anti-jam cognitive BAVA ESA radiating element incorporating integrated Z-FAB tunable filters
US8588416B2 (en) 2012-01-12 2013-11-19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communication
US9581699B2 (en) 2013-03-13 2017-02-28 Mayflower Communications Company, Inc. Distortionless mean phase antijam nulling of GPS signals
US9118437B1 (en) * 2013-05-22 2015-08-25 Rockwell Collins, Inc. Spatially segmented anti-jam antenna
JP6140565B2 (ja) 2013-07-30 2017-05-31 日本放送協会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US9935797B1 (en) * 2017-04-05 2018-04-03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Enchanced Link 16 detection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US10158416B1 (en) 2017-11-30 2018-12-18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Unattended black side data link re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6264A1 (en) 2019-11-28
EP3811707A1 (en) 2021-04-28
JP2021525475A (ja) 2021-09-24
JP7146950B2 (ja) 2022-10-04
AU2019275226A1 (en) 2020-12-03
US10805035B2 (en) 2020-10-13
KR20210011438A (ko) 2021-02-01
TWI797335B (zh) 2023-04-01
EP3811707A4 (en) 2022-06-29
TW202005296A (zh) 2020-01-16
CA3100064A1 (en) 2019-11-28
US20190363819A1 (en)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877B1 (ko) 통합 신호 널링 시스템을 구비한 링크 16 트랜시버
Wang et al. Physical-layer security of 5G wireless networks for Io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CN111052642B (zh) 射频通信和干扰设备及相应的方法
KR20120042648A (ko) 멀티모드 통신 유닛
Dinesh et al. Modified spider monkey optimization—An enhanced optimization of spectrum sharing in cognitive radio networks
Shafi et al. A survey on security issues of 5G NR: Perspective of artificial dust and artificial rain
So-In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n energy-harvesting IoT system using a UAV friendly jammer and NOMA under cooperative attack
Li et al. Friendly-jamming schemes to secure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in 5G and beyond communications
Pärlin et al. Transferring the full-duplex radio technology from wireless networking to defense and security
Pärlin et al. Full-duplex transceivers for defense and security applications
Lu et al. Proactive eavesdropping via covert pilot spoofing attack in multi-antenna systems
Kaidenko et al. Anti-jamming system for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
Zhang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empowered physical layer security for 6G: State-of-the-ar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Zhang et al. Opportunistic Wiretapping/jamming: A new attack model in millimeter-wave wireless networks
Thanh et al. Secure multi-hop data transmission in cognitive radio networks under attack in the physical layer
Saarnisaari et al. Future military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from electronic warfare perspective
Qiao et al. Channel spoofer: Defeating channel variability and unpredictability
Maeng et al. SDR-based 5G NR C-band i/q monitoring and surveillance in urban area using a helikite
Rupasinghe et al. Physical layer security for UAV communications
Kaidenko et al. Principles of Constructing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s Protected from the Effects of Jamming Attacks for Small-Sized Unmanned Aerial Vehicles
Camilo et al. Combined interference and communications strategy as a defense mechanism in cognitive radio military networks
Chen Investigation of primary user emulation attack in cognitive radio networks
Zheng et al. 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Enabled Anti-Detection for Secure Sensing and Communications
Prajapati et al. Physical Layer Security Optimisation for NOMA Based UAV Communication for Optimal Resource Allocation
Pärlin Multifunction Radios and Interference Suppression for Enhanced Reliability and Security of Wireless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