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204B1 - an apparatus for assisting driving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assisting dri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204B1
KR102627204B1 KR1020220017416A KR20220017416A KR102627204B1 KR 102627204 B1 KR102627204 B1 KR 102627204B1 KR 1020220017416 A KR1020220017416 A KR 1020220017416A KR 20220017416 A KR20220017416 A KR 20220017416A KR 102627204 B1 KR102627204 B1 KR 102627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ar
operating
stop
assistan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2332A (en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박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일 filed Critical 박영일
Publication of KR2022014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3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2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54Controlling members specially adapted for actuation by auxiliary operating members or extensions; Operating members or extensions therefor (pedal exten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12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e.g. by a toothed quadr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8Acceleration input members mounted on steering wheel or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도 손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킨 상태를 손을 떼더라도 설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장애인이 보다 용이하게 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의 일측에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바와,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작동바와, 상기 회전부재에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llows even people who cannot use their legs to operate th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using their hands, and th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remain in the set state even if they are released. This relates to a driving assistance device that allows disabled people to drive more easily by maintaining the driver's ability to drive.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nnecting bar whos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ke pedal and the accelerator pedal, a support shaf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cover, and a rotat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operating ba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ar, and an operating lever install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rotating member.

Figure 112022014998256-pat00003
Figure 112022014998256-pat00003

Description

운전 보조 장치{an apparatus for assisting driving}driving assistance device{an apparatus for assisting driving}

본 발명은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도 손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킨 상태를 손을 떼더라도 설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장애인이 보다 용이하게 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llows even people who cannot use their legs to operate th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using their hands, and th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remain in the set state even if they are released. This relates to a driving assistance device that allows disabled people to drive more easily by maintaining the driver's ability to drive.

일반적인 자동차는 양발 및 양손의 장애가 없는 정상적인 사람들만이 운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었으나, 근자에 들면서는 일부신체의 장애를 가진 장애인들도 쉽게 운전할 수 있는 장애자차량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General cars were designed to be driven only by normal people without disabilities in both feet and hands, but in recent years, disabled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so that even physically disabled people can easily drive them.

장애자차량에서 왼발장애의 경우에는 자동변속기 차량을 이용하면 정상인과 다름없는 운전이 가능하게 되나, 양발이 없거나 사용이 불가능한 신체장애일 경우에는 별도의 운전보조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In the case of a left foot disability in a vehicle for the disabled, it is possible to drive just like a normal person by us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but in the case of a physical disability that prevents the use of both feet or the absence of both feet, a separate driving assistance device must be provided.

이러한 운전보조장치의 일 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609호(2014.09.23.등록)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차량의 스티어링컬럼(50)에 클램프(26)와 고정된 고정브라켓(28); 상기 고정브라켓(2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축(25)과 연결되고, 일측 면에 클립형태의 레버홀더(2)가 형성된 회전판(1); 상기 회전판(1)의 레버홀더(2)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지지축(25)을 중심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레버(7); 상기 조작레버(7)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클립(5)과 상기 고정클립(5)의 일단에 연결된 한개의 연결바(10); 상기 조작레버(7)을 밀고 당기는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를 동작하게 하는 브레이크 조작부재(a)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28)은 좌우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양면에 2개의 가이드공(29a)과 전후간격조절이 가능한 1개의 가이드공(29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xample of such a driving assistance device is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4609 (registered on September 23, 2014)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technical feature of which is the steering column (50) of the vehicle. ) a clamp (26) and a fixed bracket (28); a rotating plate (1)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28) with a support shaft (25) and having a clip-shaped lever holder (2) formed on one side; An operating lever (7)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the lever holder (2) of the rotating plate (1) to rotate in an arbitrary direction about the support shaft (25); A fixing clip (5)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peration lever (7) and one connecting bar (1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ing clip (5); It includes a brake operating member (a) that operates the brake and accelerator by pushing and pulling the operating lever (7), and the fixing bracket (28) has two guide holes (29a) on both sides to enable left and right spacing adjustment. ) and one guide hole (29b) capable of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spacing.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609호(2014.09.23.등록)에 기재된 기술은 조작레버(7)를 사용하여 브레이크와 엑셀레이터를 동작시킬 수 있어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자라도 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으나, 제동 및 가속시에 조작레버(7)를 작동시킨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팔 및 손에 상당한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4609 (registered on September 23, 2014) can operate the brake and accelerator using the control lever (7), allowing even disabled people who cannot use their legs to drive. However, since the control lever 7 must be maintained in an activated state during braking and accele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places considerable strain on the arms and hands.

특히, 오른손으로 스티어링휠 및 기어를 제어하여야 하므로 왼손으로 제동 및 가속을 제어하여야 하는데, 완전히 멈춘 상태로 신호를 대기하거나 일정한 속도로 주행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왼팔 및 왼손에 상당한 부하가 가해지며 그에 따라 상당한 피로감을 주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steering wheel and gears must be controlled with the right hand, braking and acceleration must be controlled with the left hand. When waiting for a signal at a complete stop or driving at a constant speed, a significant load is applied to the left arm and left hand. It causes considerable fatigue.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609호(2014.09.23.등록)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4609 (registered on September 23, 201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석의 하부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에 연결바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바를 가압하기 위한 작동레버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켜 브레이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어 장애인이라도 손을 사용하여 운전할 수 있는 운전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bar connected to th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river's seat, and an operating lever for pressing the connection bar so that the driver can use the driver's hand to press the connection bar. By rotating the operating lever, the brake or accelerator pedal can be operated, thereby providing a driving assistance device that allows even disabled people to drive using their hand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브레이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를 설정된 위치에 멈추기 위한 멈춤부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중 또는 정차중에 운전자가 손으로 작동레버를 작동시킨 상태를 유지하지 않더라도 가속 또는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하는 운전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p 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cover to stop the operating lever for operating the brake or accelerator pedal at a set position, so that the driver can operate the operating lever by hand while driving or stopping. It provides a driving assistance device that makes driving easier by stably maintaining acceleration or stopping even if the driver is not maintaining the driv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se problems;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의 일측에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바와,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작동바와, 상기 회전부재에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necting bar whose ends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ke pedal and the accelerator pedal, a support shaf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cover, a rotat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 and a connection ba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operating ba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r and an operating lever installed to protrude laterally on the rotating member.

여기서,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바의 상부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에는 상기 연결바의 하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connection part to which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bar is connected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operating bar, and a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bar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brake pedal and accelerator pedal.

이때, 상기 연결부에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가 지지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through hole passing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a sliding par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bar, and a support ledg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part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do.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레버를 현재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멈춤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a stopper for fixing the operating lever in its current posi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cover.

여기서, 상기 멈춤부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멈춤부재와,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멈춤레버와, 상기 멈춤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멈춤홈과, 상기 멈춤레버의 단부에 상기 멈춤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멈춤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top unit includes a stop memb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cover and formed in an arc shape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operation lever, a stop lever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stop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top groov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stop protrusion formed at the end of the stop lever to be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이때, 상기 멈춤레버는 바 형상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교차하여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상기 멈춤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top lever consists of a bar-shaped handle portion, a bent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handle portion and connected to cross and rotate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stop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bent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한편, 상기 작동레버와 멈춤레버 사이에는 멈춤레버가 작동레버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fix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operation lever and the stop lever to maintain the stop lever in contact with the operation lever.

또한,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바를 회전시키는 보조 작동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 작동부는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과, 상기 작동바와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기 위한 중심바와, 상기 중심바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복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레버 브라켓과, 상기 레버 브라켓에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는 보조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auxiliary operation part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place to rotate the operation bar, wherein the auxiliary operation part includes a wire each connected to an end of the operation bar, a sheath formed on an outside of the wire, and an auxiliary operation unit adjacent to the operation bar. A fixing bracket for fixing one end of the covering, a center bar for installation in an arbitrary place, a lever bracke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bar to fix the other end of the covering, and a hinge coupling to the lever bracke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auxiliary lever to which th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그리고,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바를 회전시키는 보조 작동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 작동부는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과, 상기 작동바와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과, 상기 설치 브라켓의 양측에 상기 피복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피복 고정부와, 상기 설치 브라켓에 단부가 힌지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양측에 연결되는 보조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auxiliary operating part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place to rotate the operating bar, wherein the auxiliary operating part includes a wire each connected to an end of the operating bar, a sheath formed on an outside of the wire, and an auxiliary operating part adjacent to the operating bar. A fixing bracket for fixing one end of the covering, an installation bracket installed at an arbitrary place, a covering fixing part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covering on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bracket, and an end hinged to the installation bracket. The end of the wire is characterized by an auxiliary lever connected to both sides.

이때, 상기 설치 브라켓의 단부에 멈춤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멈춤 부재는 상기 설치 브라켓과 상기 보조 레버와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멈춤 부재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멈춤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레버의 일측에는 멈춤 레버가 힌지 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멈춤 레버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멈춤홈에 삽입되는 멈춤돌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무게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stopp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installation bracket, the stopping member is formed in an arc shape around a hinge joint between the installation bracket and the auxiliary lever, and a stop member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stopping member. A stop groove is formed, and a stop lever is installed in a hinged manner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lever. A stop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is formed on one end of the stop lever, and a weight is formed on the other end. .

한편,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의 일측에 단부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과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를 당기도록 제어하는 보조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wire whos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ke pedal and the accelerator pedal, a sheath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wire, a fixing bracket for fixing one end of the sheath adjacent to the brake pedal and the accelerator pedal, and an arbitrary pl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auxiliary operation unit installed in and controlling the wire to be pulled.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석의 하부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에 연결바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바를 가압하기 위한 작동레버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켜 브레이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어 장애인이라도 손을 사용하여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connecting bar is connected to th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driver's seat, and an operating lever is provided to press the connecting bar, so that the driver rotates the operating lever by hand to apply the brake or accelerator pedal.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even disabled people to drive using their hands.

그리고,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브레이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를 설정된 위치에 멈추기 위한 멈춤부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중 또는 정차중에 운전자가 손으로 작동레버를 작동시킨 상태를 유지하지 않더라도 가속 또는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p 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cover to stop the operating lever for operating the brake or accelerator pedal at a set position, so that the driver does not maintain the operating lever by hand while driving or stopping. Even without acceleration, the acceleration or stopping state can be maintained stably, which has the effect of making driving easier.

도 1은 종래의 운전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운전 보조 장치의 브레이크의 작동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브레이크를 작동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멈춤부를 작동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멈춤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riving assistance device.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brak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driving assistance device.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brakes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ctivated.
Figure 5 is a state diagram of the stopper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ctivated state.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opper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브레이크를 작동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멈춤부를 작동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멈춤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다.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is activated, and Figure 5 is a state in which the stop uni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ivated. is a state diagram,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opper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브레이크 페달(110) 및 엑셀레이터 페달(120)의 일측에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바(260)와 상기 연결바(26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00)와 상기 작동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25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as shown in FIGS. 3 to 6,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connecting bar 260 whos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ke pedal 110 and the accelerator pedal 120, and the connecting bar ( It consists of an operating unit 200 that operates the operating unit 260 and an operating lever 250 installed on the operating unit 200 to operate the operating unit.

여기서, 상기 작동부(200)는 스티어링 휠이 설치되는 스티어링 컬럼을 보호하기 위한 스티어링 컬럼 커버(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축(210)과 상기 지지축(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20)와 상기 회전부재(220)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26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작동바(230)로 이루어진다.Here, the operating unit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a support shaft 210 and a support shaft 210 installed on one side of a steering column cover (not shown) to protect the steering column on which the steering wheel is installed. It consists of a rotating member 220 and an operating bar 23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member 220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ar 260.

그래서, 운전자가 상기 작동레버(250)를 회전시켜 상기 작동부(200)를 구성하는 회전부재(220)와 작동바(230)를 통하여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120)와 연결되는 연결바(26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120)을 작동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driver rotates the operating lever 250, which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110 or the accelerator pedal 120 through the rotating member 220 constituting the operating unit 200 and the operating bar 230. The bar 260 is moved downward to operate the brake pedal 110 or the accelerator pedal 120.

따라서, 본 발명의 운전 보조 장치를 통하여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팔과 손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Therefor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driver to drive stably using his arms and hands even if he cannot use his legs.

그리고, 상기 작동바(230)의 단부에는 연결부(240)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부(240)에는 상기 연결바(260)의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110) 및 엑셀레이터 페달(120)에는 상기 연결바(230)의 하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a connection part 240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operating bar 230.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bar 26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40, and the brake pedal 110 and the accelerator pedal ( 120),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ng bar 23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여기서, 상기 연결부(240)는 상기 작동바(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부(244)를 통하여 좌우로 회전할 수도 있다.Here, the connecting portion 240 may rotate based on the center of the operating bar 230, or may rotate left and right through the hinge portion 244 formed on the side.

이때, 상기 브레이크 페달(110) 및 엑셀레이터 페달(120)에는 연결 브라켓(270)이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 브라켓(270)에는 4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구조나 유니버셜 조인트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바(230)가 각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At this time, a connection bracket 270 is installed on the brake pedal 110 and the accelerator pedal 120. The connection bracket 27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tilted in four directions or a universal joint to connect the connection bar 230. ) can be bent in each direction.

그래서, 운전자가 상기 작동레버(250)를 회전시켜 회전부재(220)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작동바(23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연결부(240)의 힌지부(244)에 의해 절곡되어 연결바(230)와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So, when the driver rotates the operating lever 250 and the rotating member 220 rotates, and the operating bar 230 is tilted to one side accordingly, it is bent by the hinge portion 244 of the connecting portion 240. This maintains an appropriate angle with the connection bar 230.

또한, 상기 연결바(26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12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연결바(260)의 하단이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연결부(240)가 상기 작동바(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연결바(260)가 휘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결바(260)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주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brake pedal 110 or the accelerator pedal 120 moves downward due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connecting bar 260,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ar 260 moves rearward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 240 rotates based on the center of the operating bar 230 to prevent the connecting bar 260 from bending, thereby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connecting bar 260.

한편, 상기 작동바(230)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부(240)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관통공(242)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242)에는 상기 연결바(26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부(262)가 삽입된다.Meanwhile, a through hole 242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in the connection part 240 installed at the end of the operation bar 230. The through hole 242 has a sliding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bar 260. (262)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262)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턱(264)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턱(264)는 상기 연결부(24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Here, a support protrusion 264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liding part 262 to protrude outward, and the support protrusion 264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240.

그래서, 운전자가 상기 작동레버(250)를 회전시켜 회전부재(2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작동바(230)는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연결부(240)가 지지턱(264)를 통하여 연결바(26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river rotates the operating lever 250 to rotate the rotating member 220, as shown in FIG. 4, the operating bar 230 locat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member 220 rotates downward. As a result, the connection part 240 presses the connection bar 260 downward through the support jaw 264.

또한, 상기 회전부재(2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작동바(230)는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작동바(230)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부(240)에 형성되는 관통공(242)이 연결바(26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부(262)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연결바(260)는 상하 이동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operating bar 230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member 220 rotates upward, and the through hole 242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240 installed at the end of the operating bar 230 is connected. By moving upward along the sliding portion 262 formed at the top of the bar 260, the connecting bar 260 does not move up and down.

따라서, 운전자가 작동레버(25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한 쌍의 연결바(260) 중에서 일측만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120)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도록 한다.Therefore,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r rotates the operating lever 250, only one side of the pair of connecting bars 260 moves downward so that only one of the brake pedal 110 or the accelerator pedal 120 is operated.

한편, 상기 스티어링 컬럼 커버(미도시)의 일측에는 멈춤부(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멈춤부(300)는 운전자가 제동 또는 가속을 위하여 작동레버(250)를 작동시킨 후, 현재 위치를 고정하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상태로 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Meanwhile, a stopper 3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cover (not shown), and the stopper 300 fixes the current position after the driver operates the operation lever 250 for braking or acceleration. This allows you to drive more comfortably.

여기서, 상기 멈춤부(300)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 커버(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되는 멈춤부재(330)와 상기 작동레버(25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멈춤레버(310)로 이루어진다.Here, the stopper 300 consists of a stopper 3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cover (not shown) and a stop lever 310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250.

이때, 상기 멈춤부재(330)는 바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별도의 설치 브라켓(미도시)을 통하여 스티어링 컬럼 커버(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레버(250)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topping member 330 is formed in a bar shape or plate shape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cover (not shown) through a separate installation bracket (not shown), and is located at the turning radius of the operating lever 250. It is formed in an arc shape to correspond.

그리고, 상기 멈춤부재(330)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간격으로 멈춤홈(332)이 형성되고, 상기 멈춤레버(310)의 단부에는 상기 멈춤홈(332)에 삽입되도록 멈춤돌부(316)가 형성된다.Additionally, stop grooves 33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edge of the stop member 330, and a stop protrusion 31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top lever 310 to be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332.

여기서, 상기 멈춤레버(310)는 바 형상의 손잡이부(312)와 상기 손잡이부(312)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250)의 일측에 교차하여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절곡부(314)와 상기 절곡부(314)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상기 멈춤돌부(316)로 이루어진다.Here, the stop lever 310 includes a bar-shaped handle portion 312 and a bent portion 314 that is formed by bending an end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312 and is connected to rotate across on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250. and the stop protrusion 316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bent portion 314.

그래서, 운전자가 가속 또는 감속을 위하여 작동레버(250)를 회전시킨 후, 상기 멈춤레버(310)를 작동레버(250) 쪽으로 당기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레버(310)가 절곡부(314)의 힌지결합부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절곡부의 단부에 형성된 멈춤돌부(316)가 상기 멈춤부재(330)에 형성되는 멈춤홈(332)에 삽입된다.So, after the driver rotates the operation lever 250 for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n the stop lever 310 is pulled toward the operation lever 250, as shown in FIG. 5, the stop lever 310 moves toward the bent portion. It rotates based on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314, and accordingly, the stop protrusion 316 formed at the end of the be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332 formed in the stop member 330.

이때, 상기 작동레버(250)와 멈춤레버(310) 사이에는 고정부재(3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부재(320)는 상기 멈춤레버(310)가 작동레버(250)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At this time, a fixing member 32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operation lever 250 and the stop lever 310. The fixing member 320 maintains the stop lever 310 in contact with the operation lever 250. Let it be done.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250)의 일측에 설치되는 팝업 수용부(321)와 상기 멈춤레버(3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팝업 삽입부(32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멈춤레버(310)를 작동레버(250)에 인접하도록 하여 상기 팝업 삽입부(324)가 팝업 수용부(321)에 삽입되면 팝업 삽입부(324)가 고정되어 상기 멈춤레버(310)가 작동레버(250)에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Here, the fixing member 320 includes a pop-up receiving portion 32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lever 250 and a pop-up insertion portion 32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opping lever 310, as shown in FIG. 6. It consists of making the stop lever 310 adjacent to the operation lever 250, so that when the pop-up insertion part 324 is inserted into the pop-up receiving part 321, the pop-up insertion part 324 is fixed and the stop lever ( 310) is maintained adjacent to the operating lever 250.

따라서, 상기 멈춤부재(330)에 형성되는 멈춤홈(332)에 상기 멈춤돌부(316)가 삽입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120)의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작동레버(250)가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로 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by inserting the stopping protrusion 316 into the stopping groove 332 formed in the stopping member 330, even if the return force of the brake pedal 110 or the accelerator pedal 120 is applied, the operating lever 250 prevents it from rotating any further, allowing the driver to drive more comfortably.

또한, 다시 한번 상기 멈춤레버(310)를 작동레버(25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팝업 수용부(321)에서 팝업 삽입부(324)가 인출되어 작동 레버(25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when the stop lever 310 is pressed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250, the pop-up insertion portion 324 is pulled out from the pop-up receiving portion 321 and the operating lever 250 can be rotated.

이때, 전술한 고정부재(32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구성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fixing member 320 is already known,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작동레버(250)의 일측에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부재(350)가 측방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방지부재(350)의 단부에는 상기 멈춤레버(31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걸림턱(352)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Meanwhile,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lever 250, a rotation prevention member 350, which is formed in a bar shape, is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At the end of the rotation prevention member 350, the rotation radius of the stop lever 310 is defined. The limiting stopping protrusion 352 is formed to be bent.

그래서, 상기 멈춤레버(310)가 일정 거리 이상 작동레버(250)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멈춤레버(310)를 용이하게 작동레버(250)와 접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preventing the stop lever 3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peration lever 250 by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the stop lever 310 can be easily rotat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operation lever 250.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200)와 이격되고 운전자가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부(200)의 작동바(230)를 회전시키는 보조 작동부(400)가 구비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operating bar 230 of the operating unit 200 is installed at a loca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operating unit 200 and can be easily operated by the driver. An auxiliary operation unit 400 that rotates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보조 작동부(400)는 상기 작동바(23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432)와 상기 와이어(432)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434)과 상기 작동바(230)와 인접한 상기 피복(434)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440)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위한 중심바(410)와 상기 중심바(4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복(434)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레버 브라켓(422)과 상기 레버 브라켓(422)에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432)의 단부가 연결되는 보조 레버(420)로 이루어진다.Here, the auxiliary operating unit 400 includes a wire 432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operating bar 230, a covering 434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wire 432, and an adjacent operating bar 230. A fixing bracket 440 for fixing one end of the covering 434 and a center bar 410 for being installed in an arbitrary place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bar 410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vering 434 It consists of a fixed lever bracket 422 and an auxiliary lever 420 that is hingedly coupled to the lever bracket 422 and to which the end of the wire 432 is connected.

그래서, 운전자가 왼손의 근처에 설치된 상기 중심바(4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중심바(410)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 레버(420)중 어느 일측을 회전시켜 중심바(410)와 인접하게 하면 작동바(23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120)을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So, while the driver is holding the center bar 410 installed near the left hand, one of the auxiliary levers 42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bar 410 is rotated to be adjacent to the center bar 410. When the operating bar 230 is rotated downward to operate the brake pedal 110 or the accelerator pedal 120, driving becomes easier.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200)와 이격되고 운전자가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부(200)의 작동바(230)를 회전시키는 보조 작동부(400')가 구비된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operating bar 230 of the operating unit 200 is installed at a loca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operating unit 200 and can be easily operated by the driver. An auxiliary operation unit 400' that rotates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보조 작동부(400')는 상기 작동바(23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432)와 상기 와이어(432)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434)과 상기 작동바(230)와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440)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470)과 상기 설치 브라켓(470)의 양측에 상기 피복(434)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피복 고정부(464)와 상기 설치 브라켓(470)에 단부가 힌지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432)의 단부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보조 레버(420')로 이루어진다.Here, the auxiliary operation unit 400' includes a wire 432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operation bar 230, a covering 434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wire 432, and the operation bar 230. A fixing bracket 440 for fixing one end of the adjacent covering, an installation bracket 470 installed in an arbitrary place, and a covering fixing part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covering 434 to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bracket 470. It consists of an auxiliary lever 420', the end of which is hinged to 464 and the installation bracket 470, and the ends of the wire 432 are connected to both sides, respectively.

그래서, 상기 보조 레버(420')를 좌우로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432)를 당겨줌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엘셀레이터 페달(120)을 각각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rotating the auxiliary lever 420' to the left and right to pull the wire 432, the brake pedal 110 or the elevator pedal 120 can be operated, respectively.

이때, 상기 멈춤 부재(460)는 상기 설치 브라켓(470)의 양단부에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데, 상기 멈춤 부재(460)는 상기 설치 브라켓(470)과 상기 보조 레버(420')와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멈춤 부재(46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멈춤홈(46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topping member 460 has ends each coupled to both ends of the installation bracket 470, and the stopping member 460 centers on a hinge joint between the installation bracket 470 and the auxiliary lever 420'. It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a stop groove 46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stop member 460.

여기서, 상기 보조 레버(420')의 일측에는 상기 멈춤 부재(46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멈춤 레버(450)가 힌지 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멈춤 레버(45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멈춤홈(462)에 삽입되는 멈춤돌부(456)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무게추(452)가 형성된다.Here,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lever 420', a stop lever 450 is installed in a hinged manner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stop member 460, and at one end of the stop lever 450, the stop groove 462 ) A stop protrusion 456 is formed that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and a weight 452 is formed on the other end.

그래서, 상기 멈춤 레버(450)는 상기 무게추(452)에 의해 자중에 의해 일측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멈춤돌부(456)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멈춤홈(462)에 자연스럽게 삽입되게 된다.Therefore, one end of the stop lever 450 moves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due to the weight 452, and accordingly, the stop protrusion 456 formed on the other end moves upward to form the stop groove 462. ) is naturally inserted into.

따라서, 운전자가 보조 레버(420')를 작동시킨 후 상기 멈춤돌부(456)이 멈춤홈(462)에 삽입되어 작동한 상태를 고정하게 되며, 운전자가 상기 무게추(452)를 회전시켜 멈춤돌부(456)을 멈춤홈(462)에서 이격시킨 후 다시 보조 레버(420')를 이동시켜 작동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fter the driver operates the auxiliary lever 420', the stop protrusion 456 is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462 to fix the operating state, and the driver rotates the weight 452 to press the stop protrusion. After moving (456) away from the stop groove (462), the operating state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auxiliary lever (420') again.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보조 작동부(400')의 구성은 동일하고, 상기 와이어(432)의 단부가 브레이크 페달(110)과 엘셀레이터 페달(120)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부(200)가 없이 보조 작동부(400') 만으로 제동 및 가속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auxiliary operation unit 400' is the same, and the end of the wire 432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110 and the escalator pedal. Each is connected to 120, so that braking and acceleration can be controlled only with the auxiliary operation unit 400' without the operation unit 200.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작동부(400')를 구성하는 보조 레버(420')의 양측에 와이어(432)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조 작동부(400')에 브레이크 페달(110)과 엘셀레이터 페달(120)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432)만이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ires 432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auxiliary lever 420' constituting the auxiliary operation unit 4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auxiliary operation unit 400' ) can also be used by connecting only the wire 432 connected to either the brake pedal 110 or the elevator pedal 12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above.

본 발명은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도 손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킨 상태를 손을 떼더라도 설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장애인이 보다 용이하게 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llows even people who cannot use their legs to operate th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using their hands, and th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remain in the set state even if they are released. This relates to a driving assistance device that allows disabled people to drive more easily by maintaining the driver's ability to drive.

110 : 브레이크 페달 120 : 엑셀레이터 페달
200 : 작동부 210 : 지지축
220 : 회전부재 230 : 작동바
240 : 연결부 250 : 작동레버
260 : 연결바 270 : 연결브라켓
300 : 멈춤부 310 : 멈춤레버
320 : 고정부재 330 : 멈춤부재
400,400' : 보조 작동부 410 : 중심바
420,420' : 보조 레버
110: brake pedal 120: accelerator pedal
200: operating unit 210: support shaft
220: Rotating member 230: Operating bar
240: Connection 250: Operating lever
260: connection bar 270: connection bracket
300: stop 310: stop lever
320: fixing member 330: stopping member
400,400': Auxiliary operating unit 410: Center bar
420,420': Auxiliary lever

Claims (11)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의 일측에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바와,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작동바와,
상기 회전부재에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레버를 현재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멈춤부가 설치되고,
상기 멈춤부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멈춤부재와,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멈춤레버와,
상기 멈춤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멈춤홈과,
상기 멈춤레버의 단부에 상기 멈춤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멈춤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레버와 멈춤레버 사이에는 멈춤레버가 작동레버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A connecting bar whos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ke pedal and accelerator pedal,
A support shaf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cover,
A rotat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
An operating ba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ar,
It consists of an operating lever installed to protrude laterally on the rotating member,
A stopper for fixing the operating lever in its current posi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cover,
The stopper includes a stopp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cover and formed in an arc shape to correspond to the turning radius of the operating lever,
A stop lever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lever,
Stopp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topping member,
It consists of a stop protrusion formed at an end of the stop lever to be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A driv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on lever and the stop lever to maintain the stop lever in contact with the operation le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바의 상부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에는 상기 연결바의 하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t the end of the operation bar, a connection part to which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bar is connected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A driv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ng bar is installed on the brake pedal and the accelerator pedal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ng bar can be rot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가 지지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through hole passing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A sliding par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bar,
A driv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ledg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liding part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레버는 바 형상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교차하여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상기 멈춤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op lever includes a bar-shaped handle,
a bent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handle portion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perating lever so as to cross and rotate;
A driving assistance device comprising the stop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bent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바를 회전시키는 보조 작동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 작동부는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과,
상기 작동바와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중심바와,
상기 중심바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복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레버 브라켓과,
상기 레버 브라켓에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는 보조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uxiliary operating unit is further provided to be installed at an arbitrary location to rotate the operating bar,
The auxiliary operating unit includes a wire each connected to an end of the operating bar,
a sheath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wire,
A fixing bracket for fixing one end of the cover adjacent to the operating bar,
A center bar installed in a random place,
Lever bracket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bar to secure the other end of the cover;
A driv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auxiliary lever coupled to the lever bracket with a hinge and to which an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바를 회전시키는 보조 작동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 작동부는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과,
상기 작동바와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과,
상기 설치 브라켓의 양측에 상기 피복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피복 고정부와,
상기 설치 브라켓에 단부가 힌지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양측에 연결되는 보조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uxiliary operating unit is further provided to be installed at an arbitrary location to rotate the operating bar,
The auxiliary operating unit includes a wire each connected to an end of the operating bar,
a sheath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wire,
A fixing bracket for fixing one end of the cover adjacent to the operating bar,
An installation bracket installed in an arbitrary location,
a covering fixing part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vering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bracket;
A driv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hinged to the installation bracket and the end of the wire is made of an auxiliary lever connected to both sid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브라켓의 단부에 멈춤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멈춤 부재는 상기 설치 브라켓과 상기 보조 레버와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멈춤 부재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멈춤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레버의 일측에는 멈춤 레버가 힌지 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멈춤 레버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멈춤홈에 삽입되는 멈춤돌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무게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 stopp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at an end of the installation bracket,
The stop member is formed in an arc shape centered on a hinge joint between the installation bracket and the auxiliary lever,
A stop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stop member,
A stop lev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lever in a hinged manner,
A driv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top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is formed on one end of the stop lever, and a weight is formed on the other end.
삭제delete
KR1020220017416A 2021-04-13 2022-02-10 an apparatus for assisting driving KR10262720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18 2021-04-13
KR20210047618 2021-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332A KR20220142332A (en) 2022-10-21
KR102627204B1 true KR102627204B1 (en) 2024-01-24

Family

ID=8380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416A KR102627204B1 (en) 2021-04-13 2022-02-10 an apparatus for assisting dri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2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5930B1 (en) * 2023-03-22 2023-1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for actuating vehicl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by han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522B1 (en) * 1998-12-16 2002-06-20 탁 본 구 Device for operating stop pedal and accelerator pedal of vehicle for handicapped pers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896A (en) * 1989-08-07 1991-03-29 허인희 Gypsum board pap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9990031147U (en)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Hand controller of handicapped vehicle
KR200474609Y1 (en) 2013-08-16 2014-10-07 최태윤 Assistive devices for disabled motor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522B1 (en) * 1998-12-16 2002-06-20 탁 본 구 Device for operating stop pedal and accelerator pedal of vehicle for handicapped pers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332A (en)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7978A (en) Wheelchair safety brakes
US4415056A (en) Handicapped-driven sidecar
JP2932261B2 (en) Operating element device for controlling longitudinal and lateral movement of a motor vehicle
US5865065A (en) Hand brake for a wheeled walker
KR101567233B1 (en) Single Linkage type Drive Assistance System for Handicapped Person
EP0919901A2 (en) Adjustable pedal mechanism
KR102627204B1 (en) an apparatus for assisting driving
US10308114B2 (en) Hand control throttle system
JP3072479B2 (en) wheelchair
US6332258B1 (en) Method for disposing a brake for motorcycles having foot boards
US5813944A (en) Hand-operated speed control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motor vehicle
US6263753B1 (en) Control device for motor vehicle steering, brake and accelerator
US6578860B1 (en) Dual function wheelchair
US5282522A (en) Multi-purpose speed control apparatus
JP2006123909A (en) Brake operating mechanism in auxiliary brake device of automobile
JP4582323B2 (en) Brake grip device
US4228865A (en) Vehicle control system for the handicapped
JPH07132808A (en) Pedal mechanism
JP3319682B2 (en) Accelerat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NL1012413C2 (en) Roll support.
KR900004453Y1 (en) Emergency stop apparatus of vibration roller
JP7433666B2 (en) Braking device for walking vehicles
JPS5937247B2 (en) power vehicle safety pedal
JPH10225549A (en) Rear wheel steerable skate board for wasteland
JP3509434B2 (en) Small electric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