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040B1 - Method for changing the fucn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hanging the fucn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040B1
KR102627040B1 KR1020230050291A KR20230050291A KR102627040B1 KR 102627040 B1 KR102627040 B1 KR 102627040B1 KR 1020230050291 A KR1020230050291 A KR 1020230050291A KR 20230050291 A KR20230050291 A KR 20230050291A KR 102627040 B1 KR102627040 B1 KR 10262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building
enclosure
fram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0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창규
김동훈
이주병
이신재
윤하원
김대순
양준영
허근일
김준엽
한상은
Original Assignee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3005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0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96Repairing or restoring fac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 이용공간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건물의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쉽게 변경시킬 수 있는 건물의 건물의 다목적 외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구조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프레임과, 건물의 외장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외장함체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envelope structure for a building that can improve or easily change the function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without reducing the internal usable space of the building, comprising: a support frame installed on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t consists of a guide fram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an exterior box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and is installed on the guide frame so that it can be pulled out in a drawer type.

Description

건물의 외피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METHOD FOR CHANGING THE FUCNTION OF THE BUILDING ENVELOPE}{METHOD FOR CHANGING THE FUCN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 이용공간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건물의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쉽게 변경시킬 수 있어, 건물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킬 수 있는 건물의 다기능 외피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uilding envelope structure that can improve or easily change the function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user needs without reducing the internal usable space of the building, thereby increasing the life of the building.

최근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 금리인상, 원자재 가격 및 건설단가의 상승 등으로 인하여 신축건물의 개발 등이 주춤하고 있는 반면,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관련한 신기술 기반 ICT산업 등의 성장산업의 주도로 사용자를 배려하고 진화하는 친환경 건축공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 development of new buildings has slowed down due to increased uncertainty in the economy, interest rate hikes, raw material prices and construction costs, etc., while growth industries such as new technology-based ICT industr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have led the way to encourage users. The demand for eco-friendly building spaces that are considerate and evolving is increasing.

그런데 건물 내 각 공간을 지원하는 설비들은 코어를 중심으로 하여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건물의 기능을 부가하고자 설비를 증설하고자 할 경우 코어를 확장시켜야 하고, 그에 따라 사용공간의 실내공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므로, 공사기간 동안 사용이 어렵게 될 뿐 아니라, 건물 내의 이용공간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However, facilities that support each space within a building are generally installed around the core. Therefore, if you want to expand facilities to add functions to the building to meet the needs of users, the core must be expanded, and interior construction of the usable space must be carried out accordingly, which not only makes it difficult to use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but also increases the usable space within the building. There is a problem with this reduction.

다른 한편으로, 건물에 이중외피의 중공층(통풍구)에 개폐구(차양, 루버)를 설치함으로써 실내 에너지 손실방지 및 재실자에 대한 쾌적한 환경의 제공함으로써 건물의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도 1의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novation building of Figure 1 aims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building by preventing indoor energy loss and provid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occupants by installing openings (awnings, louvers) in the hollow layer (ventilating hole) of the double skin of the building. An energy-saving exterior ventilation structure has been proposed.

그런데, 상기 도 1의 외피구조는 기존 외면에 위치하는 내부창(23)에서 조정거리 이격되도록 외부고정창(13)을 설치하고, 각 층의 천장레벨에 맞추어 사이 외부고정창(13)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상부개폐창(11)을 설치하며, 상기 외부고정창(13)의 하부에 개폐가능하도록 하부개폐창(15)을 설치하여 상기 내부창(23)과 외부고정창(13) 사이의 이중공간을 이용하여 건물의 에너지를 절약한다는 것의 획일적인 기능 향상만을 도모하고 있을 뿐, 그 외의 사용자의 건물에 대한 다양한 기능 향상의 요구에 대하여는 아무런 대응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However, the outer shell structure of FIG. 1 installs an external fixed window (13) so that the adjustment distance is spaced from the internal window (23) located on the existing outer surface, and opens and closes on the upper part of the external fixed window (13) in accordance with the ceiling level of each floor. An upper opening/closing window (11) is installed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and a lower opening/closing window (15)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external fixed window (13) to enable opening/closing, thereby creating a double space between the internal window (23) and the external fixed window (13). It only seeks to improve the uniform function of saving energy in the building, and has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respond to other users' requests for various functional improvements to the building.

KRKR 10-1650811 10-1650811 B1B1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의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실내 공간의 환경을 조정함에 있어, 환경 조정을 위한 작업이 단순하고, 이러한 작업 과정 중에도 건물의 이용을 크게 방해하지 않아 사용자의 업무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기능 향상을 위한 설비가 증설되더라도 건물의 사용자 이용공간을 감소시키지 않는 건물의 다목적 외피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피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adjusting the environment of the indoor space to suit the needs of building users, the work to adjust the environment is simple and does not significantly interfere with the use of the building during this work proces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envelope structure for a building that maintains the continuity of work for users and does not reduce the user space of the building even when facilities for functional improvement are added, and a method for changing the exterior function of the building using this structure. there i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건물 외피구조는, 건물의 구조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프레임과, 건물의 외장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외장함체로 구성된다.The building envelope structure according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support frame installed on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 guide fram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It is formed and consists of an exterior box installed on the guide frame so that it can be withdrawn in a drawer style.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관한 일 실시예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편과, 상기 한 쌍의 수직가이드편 후방을 연결하는 연결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수직가이드편의 전방에 외장띠편이 더 설치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guide frame includes a pair of vertical guide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rear of the pair of vertical guide pieces, and an exterior band piece is further installed in front of the vertical guide pieces. It can be.

상기 외장함체에 관한 일 실시예는, 마감패널이 설치된 외장프레임과, 상기 외장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한 고정프레임 및, 상기 외장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을 연결하면서 인접한 외장함체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삽입개구가 형성된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된다.One embodiment of the exterior enclosure includes an exterior frame on which a finishing panel is installed, a fixed frame located at the rear of the exterior frame, and an insertion opening that connects the exterior frame and the fixed fram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an adjacent exterior enclosure. It consists of a connected frame formed by.

상기한 건물 외피구조를 이용하여 그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기능을 변경시키고자 하는 대상 외장함체를 외장구조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b) 상기의 대상 외장함체를 가이드프레임상에서 슬라이딩시켜 서랍식으로 외장구조체 외부로 인출시키는 단계; c) 상기의 대상 외장함체 내부의 카트리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기능을 가진 카트리지를 삽입시키는 단계; d) 상기의 대상 외장함체를 가이드패널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서랍식으로 외장구조체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가 포함되어 순차 진행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ing a method of changing the func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structure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steps of a) separating the exterior enclosure whose function is to be changed from the exterior structure; b) sliding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on a guide frame and pulling it out of the exterior structure in a drawer manner; c) removing the cartridge inside the target enclosure and inserting a cartridge with a new function; d) sliding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on a guide panel and inserting it into the exterior structure in a drawer manner; is included and carried out sequentially.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b)단계에서 인출시키고자 하는 대상 외장함체의 전면에 가설함체를 위치시키고, 상기 대상 외장함체가 가설함체의 내부로 인입되게 한다. 이를 위한 가설함체는 대상 외장함체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단면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수직바들과, 상기 수직바들을 일체화시키면서 대상 외장함체가 놓여지는 바닥프레임과, 내측에 위치한 한 쌍의 수직바 사이를 제외한 나머지 수직바들 사이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ㄷ자 형상의 이탈방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mporary enclosure is placed in front of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to be pulled out in step b), and the object exterior enclosure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temporary enclosure. The temporary enclosure for this purpose includes vertical bars installed at each corner of a square cross-sec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a floor frame on which the object exterior enclosure is placed while integrating the vertical bars, and a pair of vertical bars located on the inside. It consists of a U-shaped breakaway prevention frame that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remaining vertical bars except for .

본 발명은 사용자 요구에 따라 건물의 기능 내지 실내의 환경을 쉽게 변경하거나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건물의 효용성이 극대화된다. 특히 이를 위한 설비 등의 공사를 진행함에 있어 건물 외피의 일부에 대하여 서랍식으로 인출입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뿐 코어부분에 대한 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사기간 중에도 건물의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업무 단절을 야기시키지 않고, 실내의 이용공간을 감소시키지 않을 뿐더러, 사용 가능한 공간을 점유한 불합리한 기계 유닛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오히려 실내의 이용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게 하며, 공사기간을 최소화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hange or improve the function of a building or its indoor environment according to user needs, thereby maximizing the utility of the building. In particular, when constructing equipment for this purpose, only a part of the building's exterior is pulled in and out in a drawer manner, and construction on the core part is not required, so the building can be used even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thereby interrupting the user's work. Not only does it not cause damage and does not reduce the indoor usable space, but it also allows the indoor usable space to be expanded by eliminating unreasonable mechanical units that occupy usable space, and improves economic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construction period. I order i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물 다목적 외피구조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상기 외피구조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6은 상기 외피구조를 건물에 구축시키는 과정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각 설명도이다.
도 7 내지 10은 상기 외피구조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가설함체에 관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 13은 상기 가설함체를 이용한 외피구조의 기능 변경에 관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Figure 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energy-saving exterior ventilation structure of a renovation buil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multi-purpose building envelop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shell structure.
4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outer shell structure in a building.
7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hanging the function of the outer shell structure.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temporary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2 and 13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n embodiment of changing the function of the outer shell structure using the temporary enclosur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준으로 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ased o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However, whe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scured or unclear, the description of the known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건물 다목적 외피구조(간단히 '건물 외피구조'라 함)에 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외장구조체(100)로부터 후술하는 외장함체(130)의 하나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상기 외피구조를 형성시키 위한 지지프레과 가이드프레임(120) 및 외장함체(130)를 각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 state in which one of the exterior enclosures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eparated from the exterior structure 100 to illustrate the concept of the multi-purpose building envelope structure (simply referred to as 'building envelop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shows the support frame, guide frame 120, and exterior enclosure 130 for forming the outer shell structure.

본 발명의 건물 외피구조는 육면체 형상을 가진 외장함체(13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하나의 외장구조체(100)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외장구조체(100)를 구성하는 각 외장함체(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서랍식으로 외부로 인출되고, 인출된 외장함체(130)는 다시 서립식으로 외장구조체(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외장함체(130) 내부에는 전동루버 카트리지(140a), 공조 카트리지(140b) 및, 전기 통신 등 건축공간의 환경제어를 위한 각종 인프라 기능을 가진 카트리지 등 건물의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변경 내지 다양한 외관을 창출시킬 수 있는 기술 인프라 카트리지(140)가 탑재된다.The building envelop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continuously installing exterior boxes 130 having a hexahedral shape to form one exterior structure 100. However, as shown in FIG. 2, each exterior box 130 constituting the exterior structure 100 is independent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pulled out to the outside in a drawer style, and the drawn exterior box 130 is again pulled out in a standing style.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tructure 100. In addition, inside the exterior enclosure 130, there are cartridges with various infrastructure functions for environmental control of building space such as electric communication, electric louver cartridge 140a, air conditioning cartridge 140b, etc., which can be used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building, change it, or make various changes. A technical infrastructure cartridge 140 that can create an appearance is mount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건물 외피구조는 상기와 같이 외장함체(130)를 외장구조체(100)로부터 인출입시키면서 그 내부공간에 카트리지(140)만을 교체시킴으로써, 획일적으로 채광이나 환기만을 고려하는 일반적인 관념과는 달리, 건물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한 적합한 설비적 기능이 부가되거나 증진되게 할 수 있는 다목적의 외피구조가 되게 한다.Accordingly, the building envelop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al concept that uniformly considers only lighting and ventilation by removing and retracting the exterior enclosure 130 from the exterior structure 100 as described above and replacing only the cartridge 140 in the interior space. Unlike, it becomes a multi-purpose outer structure that can add or enhance appropriate facility functions in response to the needs of building users.

이러한 본 발명의 건물 외피구조는, 도 3에 도시된 지지프레임(110)과 가이드프레임(120) 및 외장함체(130)로 구성된다.The building envelop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pport frame 110, a guide frame 120, and an exterior enclosure 130 shown in FIG. 3.

도 3의 (a)에 예시된 지지프레임(110)은 건물의 구조체에 설치되어 외장함체(130) 등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며, 외장함체(130)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120)이 건물 외측으로 돌출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The support frame 110 illustrated in (a) of FIG. 3 is installed on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to support the load caused by the exterior enclosure 130, etc., and the guide frame 120 that guides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exterior enclosure 130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It protrudes outward so that it can be fixedly installed.

이러한 지지프레임(110)은 건물의 신축시 설치될 수도 있고 기존 건물의 외벽에 추가 설치될 수도 있다. This support frame 110 may be installed when a new building is constructed o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 of an existing building.

가이드프레임(120)은 외장함체(130)를 하부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외장함체(130)가 인접한 외장함체(130)와 분리되어 서랍식으로 인출입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가이드프레임(120)은 외장함체(130)의 인출입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면 족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편(121)과 상기 한 쌍의 수직가이드편(121)을 후방에서 연결하는 연결대(122)로 구성되어 상하로 개방된 ㅁ형상을 가지며, 이에 놓여지는 카트리지(140)의 종류에 따라, 상기의 개방된 부분에 받침판(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판은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카트리지(140)의 교체에 범용성을 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frame 120 supports the exterior case 130 from the bottom an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exterior case 130 to be separated from the adjacent exterior case 130 and drawn in and out in a drawer manner. This guide frame 120 is sufficient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exterior case 130 to be withdrawn and retracted.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3, it includes a pair of vertical guide pieces 1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t is composed of a connecting rod 122 that connects the pair of vertical guide pieces 121 at the rear and has a ㅁ shape that is open up and down,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cartridge 140 placed on it, a support plate is installed in the open portion.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late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so as to have versatility in replacing the cartridge 140.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편의상 도 3의 (b)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한다.For convenience, the description in this specification is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b) of FIG. 3.

수직가이드편(121)의 상하부는 함체의 저면과 상면이 위치하게 되는 바, 함체의 인출입이 정확하고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수직가이드편(121)의 상하부에는 가이드롤러가 더 설치될 수 있다.Sin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ertical guide piece 121 are located on the bottom and upper surfaces of the enclosure, guide rollers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vertical guide piece 121 to ensure that the enclosure is pulled in and out more accurately and more smoothly.

이때 수직가이드편(121)의 상부는 외장함체(130)의 저면에 접하게 되고, 수직가이드편(121)의 하부는 외장함체(130)의 상면에 근접하게 되는 바, 수직가이드편(121)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직롤러(121a)로 구성시키고, 수직가이드편(121)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는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수평롤러(121b)로 구성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guide piece 121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rior enclosure 130, and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guide piece 121 is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rior enclosure 130. The guide roller installed at the top can be configured as a vertical roller (121a) that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guide roller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guide piece (121) can be configured as a horizontal roller (121b) that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또한 수직가이드편(121)의 전방에는 외장띠편(123)이 더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n exterior band piece 123 may be further installed in front of the vertical guide piece 121.

상기 외장띠편(123)은 상하부에 위치한 각 외장함체(130) 사이에 발생하는 넓은 공간을 마감 처리하여 외관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외장함체(130)와의 사이에 상기 외장함체(130) 내부와 연통하는 공기유통개구(123a)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외장띠편(123)의 상면을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시킴으로써 외장함체(130) 내부에 유입된 먼지나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으며, 하면에 물끊기 홈(미도시)을 더 형성시켜 우기시 빗물이 외장함체(130)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The exterior strip 123 not only improves the appearance by finishing the large space created between each exterior enclosure 130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but also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of the exterior enclosure 130 between the exterior enclosures 130 and the exterior enclosure 130. An air distribution opening (123a) is formed. At this time, by configu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rior strip 123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outward direction, dust or water flowing into the exterior enclosure 13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water disconnection groove (not shown)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is can prevent rainwater from seeping into the exterior box 130 during the rainy season.

요구된 기능을 가진 카트리지(140)를 내부에 수용하여 가이드프레임(120)에 놓이는 외장함체(130)는 건물의 외장을 형성하며, 상술한 가이드프레임(120)에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3의 (c)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한 외장프레임(131)과 상기 외장프레임(131)과 이격하여 후방에 위치한 고정프레임(132) 및, 상기 외장프레임(131)과 고정프레임(132)을 연결하는 측방의 연결프레임(133)으로 구성된다.The exterior box 130, which accommodates the cartridge 140 with the required function inside and is placed on the guide frame 120, forms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and is installed on the above-described guide frame 120 so that it can be withdrawn in a drawer type. , as illustrated in (c) of FIG. 3, the exterior frame 131 located in the front, the fixed frame 132 located in the rear and spaced apart from the exterior frame 131, and the exterior frame 131 and fixed. It consists of a lateral connection frame 133 connecting the frame 132.

외장프레임(131)은 본 발명의 건물 외피구조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부분으로서, 그의 내측에는 유리(131a)와 같은 고정된 마감부재 내지 키네틱 입면 파사드 카트리지(140c)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The exterior frame 131 is the outermost part of the building envelop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xed finishing member such as glass 131a or a kinetic elevation facade cartridge 140c may be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exterior frame 131.

고정프레임(132)은 본 발명의 건물 외피구조에서 실내측에 위치한 부분으로서 그 내부는 관리자 출입 창호, 배연창, 고정 단열유리, 카트리지 점검패널이 설치될 수도 있다.The fixed frame 132 is a part located on the indoor side of the building envelop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interior may be installed with an administrator access window, a smoke window, fixed insulating glass, and a cartridge inspection panel.

연결프레임(1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장프레임(131)과 고정프레임(132)을 연결하여 카트리지(140) 수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나, 다른 한편으로는 인접한 외장함체(130)들과 일체를 이루어 외장구조체(100)가 형성되게 하거나 외장구조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야 하는 바, 연결프레임(133)은 인접한 외장함체(130)에 대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예컨대 연결프레임(133)에 연결공(133a)을 형성시켜 볼트의 체결 및 해지를 통해 외장함체(130)가 인접한 외장함체(13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frame 133 connects the exterior frame 131 and the fixed frame 132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artridge 140, but on the other hand, it is integrated with the adjacent exterior boxes 130. As the exterior structure 100 must be formed or be separated from the exterior structure 100, the connection frame 133 must be configured to be removable from the adjacent exterior box 130. For example, a connection hole 133a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frame 133 to enable the exterior case 130 to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an adjacent exterior case 130 by fastening and disengaging bolts.

또한 연결프레임(133)은 외장함체(1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카트리지(140)를 빼내거나 새로운 카트리지(140)를 집어 넣을 수 있는 삽입개구(13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he connection frame 133 must be configured to have an insertion opening 134 through which the cartridge 140 accommodated inside the exterior case 130 can be removed or a new cartridge 140 can be inserted.

상기와 같이 외장프레임(131)과 고정프레임(132) 및 연결프레임(133)으로 구성된 외장함체(130)의 저면에는 레일(13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135)은 수직가이드편(121)의 상면 또는 수직가이드편(121)에 설치된 수직롤러(121a)에 놓여져 외장함체(130)의 전후방 슬라이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a rail 135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exterior box 130 composed of the exterior frame 131, the fixed frame 132, and the connection frame 133. The rail 135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guide piece 121 or the vertical roller 121a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piece 121, so that the outer case 130 can be slid back and forth stably.

본 발명의 건물 외피구조 구축은, 먼저 외장함체(130)의 하중이 안전하게 건물의 구조체로 전달될 수 있도록 건물의 구조체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10)에 가이드프레임(120)의 고정을 위한 브라켓(111)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111)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110)에 가이드프레임(120)을 고정 설치한 후,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에 외장함체(130)를 설치하는 과정이 순차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외장함체(130)의 저면에 가이드프레임(120)을 먼저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을 지지프레임(110)에 설치된 브라켓(111)에 체결 고정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In constructing the building envelop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bracket 111 for fixing the guide frame 120 to the support frame 110 installed on the building structure so that the load of the exterior enclosure 130 can be safely transferred to the building structure. ) is installed, the guide frame 120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10 using the bracket 111, and then the exterior enclosure 130 is installed on the guide frame 120 in order. This can be done by first fixing the guide frame 120 to the bottom of the exterior enclosure 130 and then fastening the guide frame 120 to the bracket 111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10. there is.

예컨대 건물의 저층, 특히 1층의 경우는 전자의 방식에 의하고, 양중을 필요로 하는 2층 이상에 대하여는 후자의 방식에 의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외피구조를 건물에 형성시키는 과정이 세분화된 전자에 의한 방식의 각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For example, the safety of work can be ensured by using the former method for the lower floors of a building, especially the first floor, and using the latter method for the second or higher floors that require lifting. Figures 4 to 6 show each step of the detailed electronic method of forming the outer she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building.

도 4는 가이드프레임(120)의 고정 설치를 위한 브라켓(111)을 지지프레임(110)에 설치하는 것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 Figure 4 shows installation of the bracket 111 for fixed installation of the guide frame 120 on the support frame 110.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에는 브라켓(111)의 설치를 위해 체결공(110a)을 미리 형성시킨다.As shown in (a) of FIG. 4, a fastening hole 110a is formed in advance in the support frame 110 for installation of the bracket 111.

지지프레임(110)의 체결공(110a)에 대응하는 브라켓(111)의 체결공(111a)은 전후방향의 장공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이들의 결합에 관한 시공오차를 쉽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111)에는 가이드프레임(120)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111b)이 더 구비되어야 하는 바, 상기 체결공(111b) 역시 상하방향의 장공으로 형성시킴으로써 가이드프레임(120)과의 결합에 관한 시공오차를 쉽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hole 111a of the bracket 111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10a of the support frame 110 is formed as a long ho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that construction errors related to their combination can be easily corrected. In addition, the bracket 111 must be further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111b for coupling with the guide frame 120, and the fastening hole 111b is also formed as a lo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nnect to the guide frame 12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easily correct construction errors related to combination.

도 4의 (b)는 지지프레임(110)에 브라켓(111)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1)은 지지프레임(110)의 상하면에 각각 설치된다.Figure 4(b) explains a method of installing the bracket 111 on the support frame 110. As shown, the brackets 111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frame 110, respectively.

도 5는 지지프레임(110)에 가이드프레임(120)을 설치하는 것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installation of the guide frame 120 on the support frame 110.

가이드프레임(120)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에 설치된 브라켓(111)과의 볼트 체결을 위해 체결공(124a)이 구비된 접합편(124)이 더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5, the guide frame 120 has a joining piece 124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124a for bolting to the bracket 111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10. More can be installed.

도 5의 (b)는 브라켓(111)에 접합편(124)을 볼트 체결하는 방식으로 지지프레임(110)에 다수 개의 가이드프레임(120)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igure 5(b)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frames 120 are successive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10 by bolting the joining piece 124 to the bracket 111.

도 6은 본 발명의 건물 외피구조를 형성시키기 위한 마지막 단계인, 외장함체(130)를 지지프레임(110)에 고정된 가이드프레임(120)에 설치하는 것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hows the installation of the exterior enclosure 130 on the guide frame 120 fixed to the support frame 110, which is the final step in forming the building envelop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외장함체(130)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등의 양중수단에 의해 양중되어 가이드프레임(120) 상면에 거치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하부가 가이드프레임(120)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층에 위치한 지지프레임(110)의 하면에 설치된 브라켓(111)에 고정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a) of FIG. 6, the exterior enclosure 130 is installed by being lifted by a lifting means such as a crane a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120, and the lower part is fixed to the guide frame 120. And the upper part is fixed to the bracket 111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10 located on the upper floor, thereby maintaining structural stability.

도 6의 (b)는 다수 개의 외장함체(130)를 연속 설치하여 외장구조체(100)를 구축 완료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exterior structure 100 has been complet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exterior boxes 130 in succession.

외장함체(13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카트리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장함체(130)를 외장구조체(100)로부터 서랍식으로 인출된 후 새로운 카트리지(140)로 교체된다. 도 7 내지 10은 이에 관한 각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건물 외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artridge 140 accommodated inside the exterior case 130 is replaced with a new cartridge 140 after the exterior case 130 is pulled out from the exterior structure 100 in a drawer manner, as described above. 7 to 10 show each step in this regard, and with reference to thes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changing the func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is as follow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내부의 카트리지(140) 기능을 변경시키고자 하는 외장함체(130)(이를 다른 외장함체와 구별하기 위하여 '대상 외장함체'라 한다)를 외장구조체(100)로부터 분리시켜 인출시킨다.As shown in FIG. 7, first, the outer box 130 (referred to as 'target outer box'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outer boxes) for which the function of the internal cartridge 140 is to be changed is removed from the outer structure 100. Separate and withdraw.

대상 외장함체(130)의 측면에 위치한 연결프레임(133)을 인접한 외장함체(130)로부터 분리시키고, 아울러 대상 외장함체(130)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프레임(110)과 가이드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시켜, 대상 외장함체(130)로 하여금 지지프레임(110)의 상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때 외장구조체(100)로부터 분리된 대상 외장함체(130)가 불시에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해 놓을 수 있다.The connection frame 133 located on the side of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is separated from the adjacent exterior enclosure 130,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object enclosure 130 are separated from the support frame 110 and the guide frame 120. By separating, the target exterior box 130 can be freely mov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10. At this time, necessary measures can be taken to prevent the target exterior box 130 separated from the exterior structure 100 from sliding unexpectedly.

외장구조체(100)로부터 대상 외장함체(130)가 분리되면, 이를 가이드프레임(120)상에서 서랍식으로 슬라이딩시켜 외장구조체(100) 외부로 인출시킨다.When the target exterior box 130 is separated from the exterior structure 100, it is pulled out of the exterior structure 100 by sliding it in a drawer manner on the guide frame 120.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이 완료된 대상 외장함체(130)의 내부에 기 수용되어 있던 카트리지(140)를 제거하고, 새로운 기능을 가진 카트리지(140)를 대상 외장함체(130)에 삽입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8, the cartridge 140 previously stored inside the target outer case 130 for which withdrawal has been completed is removed, and the cartridge 140 with a new function is placed in the target outer case 130. Insert.

물론 상기한 카트리지(140)의 교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외장프레임(131)에 키네틱 입면 파사드 카트리지(140c)를 설치할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외장프레임(131)의 내측에 기 설치되어 있던 유리(131a)를 교체 대상의 카트리지(140)와 함께 제거한 후, 외장프레임(131)에 키네틱 입면 파사드 카트리지(140c)를 설치한다. 도 9는 외장함체(130)에 설치되어 있던 전동루버 카트리지(140a)와 함께 외장 마감부재인 유리(131a)를 제거하고 키네틱 입면 파사드 카트리지(140c)를 설치하는 것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Of course, the kinetic elevation facade cartridge 140c can be installed on the exterior frame 131 as described above by replacing the cartridge 140. In this case, the glass already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exterior frame 131 After removing (131a) together with the cartridge 140 to be replaced, the kinetic elevation facade cartridge 140c is installed on the exterior frame 131. Figure 9 shows removing the glass 131a, which is an exterior finishing member, along with the electric louver cartridge 140a installed in the exterior enclosure 130, and installing the kinetic elevation façade cartridge 140c.

카트리지(140)의 교체가 완료되면, 대상 외장함체(130)를 다시 가이드프레임(120)상에서 슬라이딩 시켜 서랍식으로 외장구조체(100) 내부로 삽입시키고, 이를 상부에 위치한 지지프레임(110)과 하부에 위치한 가이드프레임(120) 및 측면에 위치한 각 외장함체(130)에 고정시킨다. 대상 외장함체(130)에 카트리지(140)가 교체됨으로써 건물에 기존의 기능을 증대시키거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대상 외장함체(130)에 카트리지(140)가 교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When the replacement of the cartridge 140 is completed, the target exterior case 130 is slid again on the guide frame 120 and inserted into the exterior structure 100 in a drawer manner, an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frame 110 located at the top and the bottom. It is fixed to the guide frame 120 located and each exterior box 130 located on the side. By replacing the cartridge 140 in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existing functions can be increased or new functions can be added to the building. Figure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cartridge 140 has been replaced in the target exterior case 130.

한편, 대상 외장함체(130)의 인출작업이 공중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대상 외장함체(130)가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여지가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he operation of withdrawing the target exterior case 130 is performed in the ai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in which the target exterior case 130 falls.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상 외장함체(130)를 외장구조체(100) 외부로 인출시킬 때,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시키고자 하는 대상 외장함체(130)의 전면에 가설함체(150)를 위치시켜 외장구조체(100)에 임시 고정시키고, 대상 외장함체(130)가 외장구조체(100)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가설함체(150) 내부로 인입되게 함으로써 상술한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한다.Theref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rget exterior case 130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structure 100,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front of the target exterior case 130 to be pulled out The temporary enclosure 150 is temporarily fixed to the exterior structure 100, and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is separated from the exterior structure 100 and at the same time is introduced into the temporary enclosure 150, thus ensuring the above-mentioned safety issues. Solve the problem.

대상 외장함체(130) 내부의 카트리지(140) 교체는, 대상 외장함체(130)가 가설함체(150)에 인입된 그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고, 대상 외장함체(130)가 수용된 가설함체(150)를 지상으로 하강시켜 지상에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Replacement of the cartridge 140 inside the target outer box 130 may be per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target outer box 130 is inserted into the temporary box 150, or the temporary box in which the target outer box 130 is accommodated ( 150) can be lowered to the ground and made to take place on the ground.

상기한 가설함체(150)는 상술한 대상 외장함체(13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외장함체(130)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단면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수직바(151)들과, 상기 수직바(151)들의 하부에 위치한 바닥프레임(153)과, 수직바(151)들 사이를 연결하여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 중의 대상 외장함체(130) 또는 인입이 완료된 대상 외장함체(130)가 가설함체(150)의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프레임(152)으로 구성된다.The above-described temporary enclosure 150 must be configured to have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above-described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but i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Likewise, vertical bars 151 installed at each corner of a square cross-sec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arget exterior box 130, a floor frame 153 located below the vertical bars 151, and a vertical bar 151 ) is composed of a separation prevention frame 152 that connects between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in the process of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r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that has been completely introduc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emporary enclosure 150. .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프레임(152)은 가설함체(150)에 놓여진 대상 외장함체(130)의 높이 이하에 위치해야 하며, 대상 외장함체(130)의 중간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에 각 설치된다.Therefore, the separation prevention frame 152 must be located below the height of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placed on the temporary enclosure 150, and only one may be installed to be located at the mid-height of the object enclosure 130, but preferably. are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1.

또한, 대상 외장함체(130)가 가설함체(15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야 하는 바, 이탈방지프레임(152)은 내측에 위치한 한 쌍의 수직바(151) 사이를 제외한 나머지 수직바(151)들 사이만을 연결하여 ㄷ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must be inserted into the temporary enclosure 150, the separation prevention frame 152 is installed on the remaining vertical bars 151 except between a pair of vertical bars 151 located on the inside. By connecting only the spaces, it has a U-shape.

상기 이탈방지프레임(152) 중 측방의 내면에 수평롤러(152b)를 구비시켜 가설함체(150) 내부로의 대상 외장함체(130)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A horizontal roller 152b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of the escape prevention frame 152 to allow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to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temporary enclosure 150.

상기 바닥프레임(153)은 수직바(151)들을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키면서 인입된 대상 외장함체(130)가 놓여지게 된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수직바(151)들을 상부에서도 일체화시켜 가설함체(150)의 구조적 형상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The floor frame 153 structurally integrates the vertical bars 151 and the inserted exterior box 130 is placed thereon. Although not shown, the structural shape of the temporary enclosure 150 can be maintained more stably by integrating the vertical bars 151 at the top.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to make the present invention easier to understand, s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is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100; 외장구조체 110; 지지프레임
110a,111a,111b,124a; 체결공 111; 브라켓
120; 가이드프레임 121; 수직가이드편
121a; 수직롤러 121b,152b; 수평롤러
122; 연결대 123; 외장띠편
123a; 공기유통개구 124; 접합편
130; 외장함체 131; 외장프레임
131a; 유리 132; 고정프레임
133; 연결프레임 133a; 연결공
134; 삽입개구 135; 레일
140; 카트리지 140a; 전동루버 카트리지
140b; 공조 카트리지 140c; 키네틱 입면 파사드 카트리지
150; 가설함체 151; 수직바
152; 이탈방지프레임 153; 바닥프레임
100; exterior structure 110; support frame
110a,111a,111b,124a; fastening hole 111; Brackets
120; Guide frame 121; Vertical guide
121a; Vertical rollers 121b, 152b; horizontal roller
122; connecting rod 123; Exterior belt
123a; air distribution opening 124; joint piece
130; Exterior enclosure 131; Exterior frame
131a; glass 132; fixed frame
133; Connection frame 133a; connector
134; Insertion opening 135; rail
140; Cartridge 140a; Electric louver cartridge
140b; Air conditioning cartridge 140c; Kinetic elevation façade cartridge
150; Temporary enclosure 151; vertical bar
152; Breakaway prevention frame 153; floor frame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건물의 구조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설치되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프레임(120)과, 건물의 외장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에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외장함체(130)로 구성되는 건물의 다목적 외피구조를 이용하여 그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a) 기능을 변경시키고자 하는 대상 외장함체(130)를 외장구조체(100)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b) 상기의 대상 외장함체(130)를 가이드프레임(120)상에서 슬라이딩시켜 서랍식으로 외장구조체(100) 외부로 인출시키는 단계;
c) 상기의 대상 외장함체(130) 내부의 카트리지(140)를 제거하고 새로운 기능을 가진 카트리지(140)를 삽입시키는 단계;
d) 상기의 대상 외장함체(130)를 가이드패널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서랍식으로 외장구조체(100)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가 포함되어 순차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피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A support frame 110 installed on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 guide frame 120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10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a drawer type on the guide frame 120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A method of changing the function of a building using a multi-purpose envelope structure composed of an exterior enclosure 130 that is installed to be retractable,
a) separating the exterior enclosure 130 whose function is to be changed from the exterior structure 100;
b) sliding the target exterior box 130 on the guide frame 120 and pulling it out of the exterior structure 100 in a drawer manner;
c) removing the cartridge 140 inside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and inserting a cartridge 140 with a new function;
d) sliding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on a guide panel and inserting it into the exterior structure 100 in a drawer manner; a method of changing the exterior function of a building, which includes and proceeds sequential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인출시키고자 하는 대상 외장함체(130)의 전면에 가설함체(150)를 위치시키고,
상기 대상 외장함체(130)는 가설함체(15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피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In step b), the temporary enclosure 150 is placed in front of the external enclosure 130 to be pulled out,
A method of changing the exterior function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temporary enclosure (15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함체(150)는,
대상 외장함체(130)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단면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수직바(151)들과,
상기 수직바(151)들을 일체화시키면서 대상 외장함체(130)가 놓여지는 바닥프레임(153)과,
내측에 위치한 한 쌍의 수직바(151) 사이를 제외한 나머지 수직바(151)들 사이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ㄷ자 형상의 이탈방지프레임(15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피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9,
The temporary enclosure 150 is,
Vertical bars 151 installed at each corner of a square cross-sec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arget exterior box 130,
A floor frame 153 on which the target exterior box 130 is placed while integrating the vertical bars 151,
A method of changing the function of the building's exteri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U-shaped breakaway prevention frame (152)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remaining vertical bars (151) except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bars (151) located on the inside.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프레임(152)은 가설함체(150)에 놓여진 대상 외장함체(130)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피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10,
A method of changing the exterior function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scape prevention frame 152 is located below the height of the target exterior enclosure 130 placed on the temporary enclosure 15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프레임(152) 중 측방의 내면에는 수평롤러(152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피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10,
A method of changing the exterior function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horizontal roller (152b)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a side of the escape prevention frame (152).
KR1020230050291A 2023-04-17 2023-04-17 Method for changing the fucn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KR102627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291A KR102627040B1 (en) 2023-04-17 2023-04-17 Method for changing the fucn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291A KR102627040B1 (en) 2023-04-17 2023-04-17 Method for changing the fucn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040B1 true KR102627040B1 (en) 2024-01-19

Family

ID=8971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291A KR102627040B1 (en) 2023-04-17 2023-04-17 Method for changing the fucn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04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233A (en) * 1998-05-27 1999-12-07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Curtain wall unit, mou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unit type curtain wall
JP2004285820A (en) * 2003-03-05 2004-10-14 Nagatomo Komuten:Kk Cantilever support mechanism for draw body
KR101650811B1 (en) 2014-09-30 2016-09-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Energy saving envelope ventilation structure in renovation building
KR20220131738A (en) * 2021-03-22 2022-09-29 주식회사 인테그라디앤씨 Integrated Modular Smart Facad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233A (en) * 1998-05-27 1999-12-07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Curtain wall unit, mou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unit type curtain wall
JP2004285820A (en) * 2003-03-05 2004-10-14 Nagatomo Komuten:Kk Cantilever support mechanism for draw body
KR101650811B1 (en) 2014-09-30 2016-09-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Energy saving envelope ventilation structure in renovation building
KR20220131738A (en) * 2021-03-22 2022-09-29 주식회사 인테그라디앤씨 Integrated Modular Smart Facad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9243C (en) Movable building
KR102627040B1 (en) Method for changing the fucn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WO2020183446A1 (en) Modular thermal panels for building shells and methods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reof
CN201190335Y (en) Box telescopiform composite wooden house
CN204781540U (en) It flower structure
CN211499348U (en) Bear formula building curtain and decorate component and building curtain
CN210288855U (en) A various steel furred ceiling for toilet
CN201047181Y (en) Simple machinery room
CN210425418U (en) Improved antique vent
EP0724677B1 (en) Multistorey residential building and process for erecting the latter
CN103291183A (en) Energy-saving environment-friendly multifunction window
CN106930654A (en) A kind of installation method of sliding door
CN209227873U (en) A kind of indoor decoration suspended ceiling device adjustment structure
CN209025213U (en) A kind of mobile house with assembled wall
CN204899594U (en) Integration window with waterproof frame
CN207526160U (en) Increase the convex tabernacle of residential housing storage space
CN113431243B (en) Fast assembly formula aluminium honeycomb composite sheet
CN219887257U (en) Novel frame brick curtain wall structure and novel frame brick curtain wall
CN216346842U (en) Decorative fresh air deodorizing air pipe
CN210320366U (en) Hidden installation building structure of outer machine of air conditioner
CN115653475A (en) Integrated sunshade door and window roller shutter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CN102877773A (en) Concealed roller blind structure
CN211008389U (en) Shielding cover convenient for overhauling roller shutter motor
CN215859270U (en) Quick board house and quick board house equipment system
CN215336877U (en) Energy-conserving ventilation structure for architectural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