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675B1 -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 - Google Patents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675B1
KR102626675B1 KR1020237007979A KR20237007979A KR102626675B1 KR 102626675 B1 KR102626675 B1 KR 102626675B1 KR 1020237007979 A KR1020237007979 A KR 1020237007979A KR 20237007979 A KR20237007979 A KR 20237007979A KR 102626675 B1 KR102626675 B1 KR 10262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sole structure
cushioning member
shock absorber
foam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8809A (ko
Inventor
닉 에스 프랭크
도로레스 에스. 톰슨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3003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i.e. the joint between the first metatarsal and first phalan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joint between the fifth phalange and the fifth metatarsal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10)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200)는 상부 표면(214) 및 하부 표면(216)을 구비한 발포 요소(206)를 포함한다. 발포 요소(206)는, (ⅰ) 상부 표면(214) 또는 하부 표면(216) 중 하나에 형성되며, (ⅱ) 밑창 구조체(200)의 발 앞쪽 영역(12)의 제 1 단부(226)로부터 밑창 구조체(200)의 발 중간 영역(14)의 제 2 단부(228)까지 연장되며, (ⅲ) 제 1 단부(226)와 제 2 단부(228) 사이에서 연장되면서 밑창 구조체(200)의 둘레 영역(26)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 1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ⅳ) 제 1 단부(226)와 제 2 단부(228) 사이에서 연장되면서 밑창 구조체(200)의 내부 영역(28)에 배치된 제 2 가장자리를 구비한 리세스(220)를 포함한다. 완충 장치가 리세스(220)의 내부에 배치되며 발포 요소(206)의 상부 표면(214) 또는 하부 표면(21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는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특허 출원은 35 U.S.C. §119(e) 하에 2018 년 7 월 31 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62/712,590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2019 년 7 월 30 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16/525,974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PCT 국제 출원이다. 이들 종래 출원의 개시 내용이 본 출원의 개시 내용의 일부로서 간주되며,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개시는 개괄적으로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완충 장치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반드시 종래 기술인 것은 아닌 본 개시와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신발류의 물품은 통상적으로 갑피와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구조체 상에 발을 수용,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갑피가 끈, 스트랩, 또는 기타 체결구와 협력하여 발 주위에 갑피가 꼭 맞도록 조정될 수 있다. 발 바닥면에 근접한 갑피의 바닥 부분이 밑창 구조체에 부착된다.
밑창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지면과 갑피 사이에서 연장되는 층상 장치를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의 하나의 층은 지면과의 견인력 및 내마모성을 제공하는 겉창을 포함한다. 겉창은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부여할뿐만 아니라 지면과의 견인력을 향상시키는 고무 또는 기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밑창 구조체의 다른 층은 겉창과 갑피의 사이에 배치된 중창을 포함한다. 중창은 발에 완충 기능을 제공하며, 지면 반발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하중 인가 하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어 발에 완충 기능을 제공하는 중합체 발포 재료로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중창에 유체 충전식 블래더(bladder)가 포함되어 밑창 구조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지면 반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중 인가 하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됨으로써 발에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밑창 구조체는 또한, 갑피의 바닥 부분에 근접한 공극 내부에 위치한, 편안함을 향상시키는 안창 또는 깔창 및 갑피에 부착되며 중창과 안창 또는 깔창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트로벨(strobel)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체 충전식 블래더를 채용하는 중창은 전형적으로, 함께 밀봉되거나 결합되는 2 개의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 배리어(barrier) 층으로 형성된 블래더를 포함헌다. 유체 충전식 블래더는 공기와 같은 유체로 가압되며, 육상 운동중과 같이 하중 인가 하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는 경우 블래더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블래더의 내부에 인장 부재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블래더는 하중 인가 하에서 블래더의 탄력적으로 압축됨에 따라 균형 있는 발 지지력 및 반응성 관련 완충 특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US 2006/021251 A1(2006.02.0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도면은 선택된 구성의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의 물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갑피 및 밑창 구조체가 층상 구성으로 배열된 신발류의 물품을 보여주는 도 1의 신발류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4-4를 따라 취한, 신발류의 물품의 종축선에 대응하는 도 1의 신발류의 물품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선 5-5를 따라 취한, 신발류의 물품의 발 앞쪽 영역에 대응하는 도 1의 신발류의 물품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의 물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갑피 및 밑창 구조체가 층상 구성으로 배열된 신발류의 물품을 보여주는 도 6의 신발류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9-9를 따라 취한, 신발류의 물품의 종축선에 대응하는 도 6의 신발류의 물품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신발류의 물품의 발 앞쪽 영역에 대응하는 도 6의 신발류의 물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의 물품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갑피 및 밑창 구조체가 층상 구성으로 배열된 신발류의 물품을 보여주는 도 11의 신발류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선 14-14를 따라 취한, 신발류의 물품의 종축선에 대응하는 도 11의 신발류의 물품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신발류의 물품의 발 앞쪽 영역에 대응하는 도 11의 신발류의 물품의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의 물품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갑피 및 밑창 구조체가 층상 구성으로 배열된 신발류의 물품을 보여주는 도 16의 신발류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선 19-19를 따라 취한, 신발류의 물품의 종축선에 대응하는 도 16의 신발류의 물품의 횡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선 20-20을 따라 취한, 신발류의 물품의 발 앞쪽 영역에 대응하는 도 16의 신발류의 물품의 횡단면도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부분을 표시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구성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예시적인 구성은 본 개시가 철저히 이해되며 본 개시의 범위가 당업자에게 완전히 전달되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의 구성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 요소, 장치, 및 방법의 예와 같은 특정 세부 사항이 설명된다. 당업자라면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세부 사항은 채용될 필요가 없으며, 예시적인 구성이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특정 세부 사항 및 예시적인 구성이 개시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표현 및 "상기"는 문맥상 달리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용어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및 "구비하는(having)"은 포괄적인 의미이며, 따라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지정하긴 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구성 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단계, 공정, 및 동작은, 수행 순서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한, 논의되거나 예시된 특정 순서로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추가의 또는 대안의 단계가 사용될 수도 있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에 대해 "그 위에 있거나", "정합되거나", "연결되거나", "부착되거나" "결합되는"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에 대해 직접 그 위에 있거나, 정합되거나, 연결되거나,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도 있으며, 또는 개재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나 층에 대해 "직접 그 위에 있거나", "직접 정합되거나", "직접 연결되거나", "직접 부착되거나", "직접 결합되는"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개재 요소나 층이 없을 수도 있다. 요소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기타 단어도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사이에" 대 "직접 사이에", "인접하여" 대 "직접 인접하여" 등).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열거 항목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제 1, 제 2, 제 3 등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이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제 2", 및 기타 숫자로 나타내어진 용어와 같은 용어는,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순차 또는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아래에서 논의되는 제 1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이 예시적인 구성의 교시를 벗어나지 않고 제 2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신발류의 물품용의 밑창 구조체가 제공되며, 발포 요소를 포함하며, 발포 요소는 상부 표면 및 발포 요소의 상부 표면 반대측에 형성된 하부 표면을 구비한다. 발포 요소는, (ⅰ)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 중 하나에 형성되며, (ⅱ) 밑창 구조체의 발 앞쪽 영역의 제 1 단부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발 중간 영역의 제 2 단부까지 연장되며, (ⅲ)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면서 밑창 구조체의 둘레 영역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 1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ⅳ)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면서 밑창 구조체의 내부 영역에 배치된 제 2 가장자리를 구비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완충 장치가 리세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발포 요소의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 중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는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완충 장치는 리세스에 의해 짝을 이루어 수용되는 블래더이다. 블래더는 내부에 배치된 인장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블래더가 리세스의 제 1 단부로부터 리세스의 제 2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리세스의 제 1 단부가 곡선형일 수도 있으며 및/또는 리세스의 제 2 단부가 실질적으로 직선형일 수도 있다.
완충 장치는 리세스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블래더 및 리세스의 제 2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블래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성에서, 제 1 가장자리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중 하나로부터 이격된 말단부에서 종결되어 둘레 영역을 통해 개구를 형성한다. 완충 장치가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도 있다.
제 1 가장자리가 밑창 구조체의 외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완충 장치가 실질적으로 리세스를 채울 수도 있다.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가 제공되며,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까지 제 1 종축선을 따라 연장되며 리세스를 구비한 하부 표면을 포함하는 발포 요소를 포함한다. 리세스가 (ⅰ) 밑창 구조체의 발 앞쪽 영역의 제 1 단부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발 중간 영역의 제 2 단부까지 그리고 (ⅱ) 제 1 종축선으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외측면을 향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된 제 2 종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완충 장치가 리세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리세스를 채우며, 완충 장치의 외부 표면이 발포 요소의 하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다.
일 구성에서, 완충 장치는 리세스에 의해 짝을 이루어 수용되는 블래더이다. 블래더는 내부에 배치된 인장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블래더가 리세스의 제 1 단부로부터 리세스의 제 2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일 구성에서, 리세스의 제 1 단부가 곡선형일 수도 있으며 리세스의 제 2 단부가 실질적으로 직선형일 수도 있다.
완충 장치는 리세스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블래더 및 리세스의 제 2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블래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리세스의 외부 가장자리가 발포 요소의 둘레 측면을 통해 연장되어 둘레 측면에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 구성에서, 개구가 밑창 구조체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완충 장치가 실질적으로 리세스를 채울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완충 장치가 가압 유체 충전식 블래더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신발류(10)의 물품은 갑피(100) 및 밑창 구조체(200)를 포함한다. 신발류(10)의 물품은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들 영역은 발 앞쪽 영역(12), 발 중간 영역(14), 및 뒤꿈치 영역(1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발 앞쪽 영역(12)은 발의 지골 및 볼 부분에 해당한다. 발 중간 영역(14)은 발의 아치 영역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뒤꿈치 영역(16)은 종골을 포함하는 발의 뒤쪽 부분에 해당할 수도 있다.
신발류(10)는 발 앞쪽 영역(12)의 최전방 지점과 관련된 전방 단부(18) 및 뒤꿈치 영역(16)의 최후방 지점에 해당하는 후방 단부(20)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류(10)의 종축선(A10)이 지면에 평행하게 전방 단부(18)로부터 후방 단부(20)까지 신발류(1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축선(A10)은 신발류(10)의 길이를 따라 중앙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신발류(10)를 내측면(22) 및 외측면(24)으로 분할한다. 따라서, 내측면(22) 및 외측면(24)은 각각, 신발류(10)의 대향하는 측면에 해당하며, 영역(12, 14, 16)을 통해 연장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종방향은 전방 단부(18)로부터 후방 단부(20)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하는 반면, 측방향은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이며 내측면(22)으로부터 외측면(24)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신발류(10)의 물품 및, 특히, 밑창 구조체(200)는,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둘레 영역(26) 및 내부 영역(28)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가로 설명될 수도 있다. 둘레 영역(26)은 일반적으로 밑창 구조체(200)의 내부 영역(28)과 외부 둘레 사이의 영역으로서 설명된다. 특히, 둘레 영역(26)은 내측면(22) 및 외측면(24) 각각을 따라 발 앞쪽 영역(12)으로부터 뒤꿈치 영역(16)으로 연장되며, 발 앞쪽 영역(12)과 뒤꿈치 영역(16) 각각의 둘레를 감싼다. 내부 영역(28)은 둘레 영역(26)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밑창 구조체(200)의 중앙 부분을 따라 발 앞쪽 영역(12)으로부터 뒤꿈치 영역(16)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발 앞쪽 영역(12), 발 중간 영역(14), 및 뒤꿈치 영역(16)은 각각, 둘레 영역(26) 및 내부 영역(28)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갑피(100)는 밑창 구조체(200) 상에 지지하기 위해 발을 수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 내부 공극(102)을 형성하는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갑피(100)는 함께 스티칭되거나 접착제 접합되어 내부 공극(102)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갑피(100)용으로 적합한 재료에는 메쉬, 직물, 발포체, 가죽, 및 합성 가죽이 포함될 수도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재료가 내구성, 통기성, 내마모성, 유연성, 및 편안함의 특성을 부여하도록 선택 및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의 횡단면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갑피(100)는 밑창 구조체(200)에 대향하는 하부 표면 및 내부 공극(102)의 풋베드(footbed)(106)를 형성하는 대향하는 상부 표면을 구비한 스트로벨(104)을 포함한다. 스티칭 또는 접착제 사용을 통해 스트로벨이 갑피(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풋베드(106)는 발 바닥면(예를 들어, 발바닥)의 프로파일을 따르는 윤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갑피(100)가 또한, 발 바닥면을 수용하여 신발류(10)의 물품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트로벨(104) 상에 배치되어 갑피(100)의 내부 공극(102)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는 안창 또는 깔창(108)과 같은 추가의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뒤꿈치 영역(16)의 발목 개구(110)가 내부 공극(102)으로의 접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목 개구(110)는 공극(102)의 내부에 발을 고정시키며 내부 공극(102) 내외로의 발의 진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발을 수용할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체결구(112)가 발 주위에 내부 공극(102)이 꼭 맞도록 조정하며 내부 공극 내외로의 발의 진입 및 제거를 허용하도록 갑피(100)를 따라 연장된다. 갑피(100)는 끈을 꿰는 작은 구멍과 같은 구멍 및/또는 체결구(112)를 수용하는 직물 또는 메시 루프와 같은 기타 정합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체결구(112)는 끈, 스트랩, 코드, 후크 앤 루프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체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갑피(100)는 내부 공극(102)과 체결구(11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텅(tongue) 부분(1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200)는 밑창 구조체(200)의 완충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중창(202) 및 신발류(10)의 물품의 지면 정합 표면(30)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겉창(204)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밑창 구조체와 달리, 중창(202)은 복합적으로 형성되며 밑창 구조체(200)의 지역적 완충 효과 및 성능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중창(202)은 협력하여 겉창(204)의 부착을 위한 중창(202)의 하부 표면을 형성하는 발포 요소(206) 및 완충 장치(208)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겉창(204)이 중창(202)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며 신발류(10)의 지면 정합 표면(30)을 형성한다. 발포 요소(206), 완충 장치(208), 및 겉창(204)은, 예를 들어, 접착제 접합 및 멜딩(melding)을 포함하는 다양한 결합 방법을 사용하여 서로 조립 및 고정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발포 요소(206)는 신발류(10)의 전방 단부(18)에 있는 제 1 단부(210)로부터 신발류(10)의 후방 단부(20)에 있는 제 2 단부(212)까지 연장된다. 일부 예에서, 발포 요소(206)는 전방 단부(18)로부터 후방 단부(20)까지 연장되는 연속적인 단일 몸체를 포함하는 단일체형 발포 요소(206)일 수도 있다. 발포 요소(206)는 상부 표면(214) 및 발포 요소(206)의 상부 표면(214) 반대측에 형성된 하부 표면(216)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부 표면(214)과 하부 표면(216) 사이의 거리가 발포 요소(206)의 두께(T206)를 정의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발포 요소(206)의 두께(T206)가 가변적일 수도 있다. 둘레 측면(218)이 상부 표면(214)과 하부 표면(216)의 사이에서 연장되며, 발포 요소(206)의 외부 둘레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발포 요소(206)는 하부 표면(216)에 형성된 리세스(220)를 포함한다. 리세스(220)는 상부 표면(214)과 하부 표면(216)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표면(222) 및 중간 표면(222)으로부터 하부 표면(216)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224)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리세스(220)의 깊이(D220)는 하부 표면(216)으로부터 중간 표면(222)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반면, 리세스(220)의 외부 프로파일은 둘레 벽(224)에 의해 형성된다.
리세스(220)는 발포 요소(206)의 길이를 따라 발 앞쪽 영역(12)의 제 1 단부(226)로부터 발 중간 영역(14)의 제 2 단부(228)까지 연장된다. 리세스(220)는 내부 측면(230) 및 리세스(220)의 내부 측면(230) 반대측에 형성된 외부 측면(232)을 추가로 포함한다. 내부 측면(230) 및 외부 측면(232)은 제 1 단부(226)로부터 제 2 단부(228)로 연장되며, 이에 의해,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부(226)로부터 제 2 단부(228)까지의 최대 거리가 리세스(220)의 길이(L220)를 정의하며, 내부 측면(230)으로부터 외부 측면(232)까지의 최대 거리가 리세스(220)의 폭(W220)을 정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20)의 종축선(A220)이 제 1 단부(226)로부터 제 2 단부(228)까지 연장되며, 리세스(220)의 내부 측면(230)과 외부 측면(23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리세스(220)는 신발류(10)의 종축선(A10)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며, 이에 의해 리세스(220)의 종축선(A220)이 신발류(10)의 종축선(A10)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연장된다. 다시 말해, 내부 측면(230)이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외부 측면(232)이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더 크다. 일부 예에서, 리세스(220)의 내부 측면(230)은 밑창 구조체(200)의 내부 영역(28)에 형성된 반면, 외부 측면(232)은 밑창 구조체(200)의 둘레 영역(26)에 형성된다.
특정 예에서, 리세스(220)는 밑창 구조체(200)의 외측면(24)을 향해 오프셋되며, 이에 의해 외부 측면(232)이 외측면(24)을 따라 둘레 측면(218)에 근접하게 형성되며, 내부 측면(230)이 내측면(22) 상의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이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20)의 외부 측면(232)을 형성하는 둘레 벽(224)의 부분이 중간 표면(222)으로부터 하부 표면(216)까지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둘레 벽(224)의 종단부(233)가 발포 요소(206)의 둘레 측면(218)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234)를 형성한다. 반대로, 내부 측면(230)을 형성하는 둘레 벽(224)의 일부가 중간 표면(222)으로부터 하부 표면(216)까지 완전히 연장되어 내측면(22)을 따라 리세스(220)를 완전히 에워싼다. 일부 예에서, 외부 측면(232)은 외측면(24) 상의 둘레 영역(26)에 형성되는 반면, 내부 측면(230)은 내부 영역(28)에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리세스(220)의 내부 측면(23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축선(A10)과 내측면(22) 상의 둘레 측면(218)의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전히 도 3을 참조하면, 발포 요소(206)의 하부 표면(216)이 리세스(220)의 제 1 단부(226)로부터 리세스(220)의 제 2 단부(228)까지 리세스(220)의 내부 측면(230)과 둘레 측면(218)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밑창 구조체(200)가 발 앞쪽 영역(12) 및 발 중간 영역(14)에 지역적인 완충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는 발 앞쪽 영역(12)과 발 중간 영역(14)의 외측면(24) 상에서의 밑창 구조체(200)의 완충 특성을 정의하는 반면, 발포 요소(206)는 발 앞쪽 영역(12) 및 발 중간 영역(14)의 내측면(22)을 따라 밑창 구조체의 완충 특성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리세스(220)의 둘레 벽(224)이 완충 장치(208)의 외부 둘레 프로파일과 협력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가 실질적으로 리세스(220)를 채운다. 따라서, 둘레 벽(224)의 프로파일이 원하는 완충 장치(208)의 프로파일에 대응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208)는 리세스(220)의 제 1 단부(226)로부터 리세스(220)의 제 2 단부(228)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단일체형 구조체이다. 여기서, 리세스(220)의 제 1 단부(226)는 완충 장치(208)의 아치형 외부 둘레를 수용하도록 아치형일 수도 있는 반면, 리세스(220)의 제 2 단부(228)는 완충 장치(208)의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수용하도록 실질적으로 직선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측면(230)은 내측면(22) 상에서 내부 영역(28)을 통해 연속적인 아치형 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외부 측면(232)은 외측면(24) 상에서 둘레 영역(26)을 통해 연속적인 아치형 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완충 장치(208)는 상부 표면(240) 및 완충 장치(208)의 상부 표면(240) 반대측에 형성된 하부 표면(242)을 포함하여, 상부 표면(240)과 하부 표면(242) 사이의 거리가 완충 장치(208)의 두께(T208)를 정의한다. 외부 둘레 표면(244)이 상부 표면(240)과 하부 표면(242)의 사이에서 연장되며, 완충 장치(208)의 외부 둘레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208)의 두께(T208)가 리세스(220)의 깊이(D22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여, 완충 장치(208)의 상부 표면(240)이 리세스(220)의 중간 표면(222)과 계면 접촉(즉, 접촉)하는 경우, 완충 장치(208)의 하부 표면(242)이 발포 요소(206)의 하부 표면(216)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따라서, 발포 요소(206)의 하부 표면(216)과 완충 장치(208)의 하부 표면(242)이 협력하여 중창(202)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평면형의 하중 지탱 하부 표면을 형성한다.
완충 장치(208)는 제 1 단부(246)로부터 완충 장치(208)의 제 1 단부(246)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제 2 단부(248)까지 연장된다. 완충 장치(208)는 내부 측면(250) 및 완충 장치(208)의 내부 측면(250) 반대측에 형성된 외부 측면(252)을 추가로 포함한다. 내부 측면(250) 및 외부 측면(252)은 제 1 단부(246)로부터 제 2 단부(248)로 연장되며, 이에 의해,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부(246)로부터 제 2 단부(248)까지의 최대 거리가 완충 장치(208)의 길이(L208)를 정의하며, 내부 측면(250)으로부터 외부 측면(252)까지의 최대 거리가 완충 장치(208)의 폭(W208)을 정의한다.
완충 장치(208)의 길이(L208) 및 폭(W208)은 리세스(220)의 길이(L220) 및 폭(W22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유사하게, 둘레 표면(244)에 의해 형성되는 완충 장치(208)의 제 1 단부(246), 제 2 단부(248), 내부 측면(250), 및 외부 측면(252)의 프로파일이 리세스(220)의 제 1 단부(226), 제 2 단부(228), 내부 측면(230) 및 외부 측면(232)의 프로파일에 대응한다. 따라서, 완충 장치(208)가 리세스(220)의 내부에 배치되면, 완충 장치(208)의 외부 둘레 표면(244)이 리세스(220)의 둘레 벽(224)에 의해 수용되어 접촉하여, 완충 장치(208)가 실질적으로 리세스(220)를 채운다. 따라서, 완충 장치(208)가 본질적으로 리세스(220)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리세스(220)의 외부 측면(232)을 형성하는 둘레 벽(224)의 부분이 중간 표면(222)으로부터 하부 표면(216)까지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개구(234)가 외측면(24) 상의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리세스(220)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완충 장치(208)의 외부 측면(252)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34)를 통해 노출될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완충 장치(208)의 외부 측면(252)이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완충 장치(208)의 외부 측면(252)이 개구(234)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어, 완충 장치(208)의 외부 측면(252)이 둘레 측면(218)과 협력하여 밑창 구조체(200)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부 표면을 형성한다.
도 2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208)는 단일체형 완충 장치(208)로서 형성되며, 밑창 구조체의 외측면(24)을 따라 위치되어 발 앞쪽 영역(12)으로부터 발 중간 영역(14)으로 연장되는 단일 블래더(2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완충 장치(208)의 외부 측면(252)이 밑창 구조체(200)의 외측면(24)에 근접한 반면, 내부 측면(250)은 밑창 구조체(200)의 내부 영역(28)의 내부에 배치된다. 단일체형 완충 장치(208)의 일 예에서, 블래더(25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208)의 제 1 단부(246)로부터 완충 장치의 제 2 단부(248)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완충 장치(208)의 내부 측면(250) 및 외부 측면(252)이 각각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 1 단부(246)로부터 제 2 단부(248)까지 아치형 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상부 표면(240) 및 하부 표면(242)이 제 1 단부(246)로부터 제 2 단부(248)로 그리고 내부 측면(230)으로부터 외부 측면(232)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부(246)는 아치형일 수도 있는 반면, 제 2 단부(248)는 직선형이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발포 요소(206) 및 완충 장치(208)의 물리적 특성은 상이하다. 예를 들어, 발포 요소(206)는 더 큰 완충 및 충격 분포 기능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강성을 가질 수도 있는 반면, 완충 장치(208)는 밑창 구조체(200)의 외측면(24)에 대한 증가된 반응성을 제공하기 위해 제 2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발포 요소(206)는 견고하게 형성된 중합체성 재료를 포함하는 반면, 완충 장치(208)는 블래더(254)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창(204)은 내부 표면(272) 및 겉창(204)의 내부 표면(272) 반대측에 형성된 외부 표면(274)을 포함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발포 요소(206)의 하부 표면(216)과 완충 장치(208)의 하부 표면(242)이 협력하여, 겉창(204)의 내부 표면(272)이 부착되는 중창(202)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하부 표면을 형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겉창(204)은 전방 단부(18)로부터 후방 단부(20)로 그리고 내측면(22)으로부터 외측면(24)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이에 의해 겉창의 외부 표면(274)이 신발류(10)의 지면 정합 표면(30)을 형성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겉창(204)이 단편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겉창(204)은 중창(202)의 하부 표면을 따라 분포된 복수의 겉창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겉창(204)은 신발류의 전방 단부(18) 위로 연장되어 신발류의 토우 캡(toe cap)(276)을 형성한다. 겉창(204)은 견인력 및 내구성을 제공하는 지면 정합 표면(30)을 신발류(10)의 물품에 제공하는,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신발류(10a)의 물품이 제공되며,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a)를 포함한다. 신발류(10a)의 물품에 대하여 신발류(10)의 물품과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 실질적인 유사성을 고려할 때, 이하 설명 및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는 반면, 문자가 추가된 동일한 도면 부호는 수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200a)는 밑창 구조체(200a)의 완충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중창(202a) 및 신발류(10a)의 물품의 지면 정합 표면(30)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겉창(204)을 포함한다. 중창(202a)은 복합적으로 형성되며, 밑창 구조체(200a)의 지역적 완충 효과 및 성능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중창(202a)은 서로 협력하여 겉창(204)을 부착하기 위한 중창(202a)의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발포 요소(206a) 및 완충 장치(208)를 포함한다. 겉창(204)이 중창(202a)의 하부 표면(216)에 부착되어 신발류(10a)의 지면 정합 표면(30)을 형성한다. 발포 요소(206a), 완충 장치(208), 및 겉창(204)은, 예를 들어, 접착제 접합 및 멜딩(melding)을 포함하는 다양한 결합 방법을 사용하여 서로 조립 및 고정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발포 요소(206a)는 상부 표면(214)에 형성된 리세스(220a)를 포함한다. 리세스(220a)는 상부 표면(214)과 하부 표면(216)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표면(222a) 및 중간 표면(222a)으로부터 상부 표면(214)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224a)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리세스(220a)의 깊이(D220a)는 상부 표면(214)으로부터 중간 표면(222a)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반면, 리세스(220a)의 외부 프로파일은 둘레 벽(224a)에 의해 형성된다.
리세스(220a)는 발포 요소(206a)의 길이를 따라 발 앞쪽 영역(12)의 제 1 단부(226a)로부터 발 중간 영역(14)의 제 2 단부(228a)까지 연장된다. 리세스(220a)는 내부 측면(230a) 및 리세스(220a)의 내부 측면(230a) 반대측에 형성된 외부 측면(232a)을 추가로 포함한다. 내부 측면(230a) 및 외부 측면(232a)은 제 1 단부(226a)로부터 제 2 단부(228a)로 연장되며, 이에 의해 제 1 단부(226a)로부터 제 2 단부(228a)까지의 거리가 리세스(220a)의 길이(L220a)를 정의하며, 내부 측면(230a)으로부터 외부 측면(232a)까지의 거리가 리세스(220a)의 폭(W220a)을 정의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20a)의 종축선(A220a)은 제 1 단부(226a)로부터 제 2 단부(228a)까지 연장되며, 리세스(220a)의 내부 측면(230a)과 외부 측면(232a) 사이의 중앙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리세스(220a)는 신발류(10a)의 종축선(A10a)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며, 이에 의해 리세스(220a)의 종축선(A220a)이 신발류(10a)의 종축선(A10a)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연장된다. 다시 말해, 내부 측면(230a)이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외부 측면(232a)이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더 크다. 일부 예에서, 리세스(220a)의 내부 측면(230a)은 밑창 구조체(200a)의 내부 영역(28)에 형성되는 반면, 외부 측면(232a)은 밑창 구조체(200a)의 둘레 영역(26)에 형성된다.
특정 예에서, 리세스(220a)는 밑창 구조체(200a)의 외측면(24)을 향해 오프셋되며, 이에 의해 외부 측면(232a)이 외측면(24)을 따라 둘레 측면(218)에 근접하게 형성되며, 내부 측면(230a)이 내측면(22) 상의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이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20a)의 외부 측면(232a)을 형성하는 둘레 벽(224a)의 부분이 중간 표면(222a)으로부터 상부 표면(214)까지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둘레 벽(224a)의 종단부(233a)가 발포 요소(206a)의 둘레 측면(218)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234a)를 형성한다. 반대로, 내부 측면(230a)을 형성하는 둘레 벽(224a)의 일부가 중간 표면(222a)으로부터 상부 표면(214)까지 완전히 연장되어 내측면(22)을 따라 리세스(220a)를 완전히 에워싼다. 일부 예에서, 외부 측면(232a)이 외측면(24) 상의 둘레 영역(26)에 형성되는 반면, 내부 측면(230b)은 내부 영역(28)에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리세스(220a)의 내부 측면(230a)이 신발류(10a)의 종축선(A10a)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 요소(206a)의 상부 표면(214)이 리세스(220a)의 제 1 단부(226a)로부터 리세스(220a)의 제 2 단부(228a)까지 리세스(220a)의 내측면을 따라 리세스(220a)의 내부 측면(230a)으로부터 둘레 측면(218)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밑창 구조체(200a)는 발 앞쪽 영역(12) 및 발 중간 영역(14)에 지역적인 완충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가 발 앞쪽 영역(12)과 발 충간 영역(14)의 외측면(24) 상에서의 밑창 구조체(200a)의 완충 특성을 정의하는 반면, 발포 요소(206a)는 발 앞쪽 영역(12) 및 발 중간 영역(14)의 내측면(22)을 따라 밑창 구조체(200a)의 완충 특성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리세스(220a)의 둘레 벽(224a)이 완충 장치(208)의 외부 둘레 프로파일과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완충 장치(208)가 실질적으로 리세스(220a)를 채운다. 따라서, 둘레 벽(224a)의 프로파일이 완충 장치(208)의 프로파일에 대응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208)는 리세스(220a)의 제 1 단부(226a)로부터 리세스(220a)의 제 2 단부(228a)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단일체형 구조체이다. 여기서, 리세스(220a)의 제 1 단부(226a)는 완충 장치(208)의 아치형 외부 둘레를 수용하도록 아치형일 수도 있는 반면, 리세스(220a)의 제 2 단부(228a)는 완충 장치(208)의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수용하도록 실질적으로 직선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측면(230a)은 내측면(22) 상의 내부 영역(28)을 통해 연속적인 아치형 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외부 측면(232a)은 외측면(24) 상의 둘레 영역(26)을 따라 연속적인 아치형 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완충 장치(208)는 상부 표면(240) 및 완충 장치(208)의 상부 표면(240) 반대측에 형성된 하부 표면(242)을 포함하여, 상부 표면(240)으로부터 하부 표면(242)까지의 거리가 완충 장치(208)의 두께(T208)를 정의한다. 외부 둘레 표면(244)이 상부 표면(240)과 하부 표면(242)의 사이에서 연장되며, 완충 장치(208)의 외부 둘레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208)의 두께(T208)는 리세스(220a)의 깊이(D220a)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의 하부 표면(242)이 리세스(220a)의 중간 표면(222a)과 계면 접촉(즉, 접촉)하는 경우, 완충 장치(208)의 상부 표면(240)이 발포 요소(206a)의 상부 표면(214)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따라서, 발포 요소(206a)의 상부 표면(214)과 완충 장치(208)의 상부 표면(240)이 협력하여 중창(202a)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하중 지탱 상부 표면을 형성한다.
완충 장치(208)의 길이(L208) 및 폭(W208)은 리세스(220a)의 길이(L220a) 및 폭(W220a)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유사하게, 둘레 표면(244)에 의해 형성되는 완충 장치(208)의 제 1 단부(246), 제 2 단부(248), 내면(250) 및 외면(252)의 프로파일은 리세스(220a)의 제 1 단부(226a), 제 2 단부(228a), 내부 측면(230a) 및 외부 측면(232a)의 프로파일에 대응한다. 따라서, 완충 장치(208)가 리세스(220a)의 내부에 배치되면, 완충 장치(208)의 외부 둘레 표면(244)이 리세스(220a)의 둘레 벽(224a)에 의해 수용되어 접촉하여, 완충 장치(208)가 실질적으로 리세스(220a)를 채운다. 따라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208)는 본질적으로 리세스(220a)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리세스(220a)의 외부 표면(232a)을 형성하는 둘레 벽(224a)의 부분은 중간 표면(222a)으로부터 상부 표면(214)까지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이에 의해 개구(234a)가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리세스(220a)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완충 장치(208)의 외부 표면(252)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34a)를 통해 노출될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완충 장치(208)의 외부 표면(252)이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완충 장치(208)의 외부 측면(252)이 개구(234a)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의 외부 측면(252)이 둘레 측면(218)과 협력하여 밑창 구조체(200a)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부 표면(218)을 형성한다.
이제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신발류(10b)의 물품이 제공되며,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b)를 포함한다. 신발류(10b)의 물품에 대하여 신발류(10) 물품과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 실질적인 유사성을 고려할 때, 이하 설명 및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는 반면, 문자가 추가된 동일한 도면 부호는 수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200b)는 밑창 구조체(200b)의 완충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중창(202b) 및 신발류(10b)의 물품의 지면 정합 표면(30)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겉창(204)을 포함한다. 중창(202b)은 복합적으로 형성되며, 밑창 구조체(200b)의 지역적 완충 효과 및 성능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중창(202b)은 서로 협력하여 겉창(204)의 부착을 위한 중창(202b)의 하부 표면을 형성하는 발포 요소(206b) 및 완충 장치(208b)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겉창(204)은 중창(202b)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며 신발류(10b)의 지면 정합 표면(30)을 형성한다. 발포 요소(206b), 완충 장치(208b), 및 겉창(204)은, 예를 들어, 접착제 접합 및 멜딩(melding)을 포함하는 다양한 결합 방법을 사용하여 서로 조립 및 고정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의 발포 요소(206b)는 하부 표면(216)에 형성된 리세스(220b)를 포함한다. 리세스(220b)는 상부 표면(214)과 하부 표면(216)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표면(222b) 및 중간 표면(222b)으로부터 하부 표면(216)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224b)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리세스(220b)의 깊이(D220b)는 하부 표면(216)으로부터 중간 표면(222b)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반면, 리세스(220b)의 외부 프로파일은 둘레 벽(224b)에 의해 형성된다.
리세스(220b)는 발포 요소(206b)의 길이를 따라 발 앞쪽 영역(12)의 제 1 단부(226b)로부터 발 중간 영역(14)의 제 2 단부(228b)까지 연장된다. 리세스(220b)는 내부 측면(230b) 및 리세스(220b)의 내부 측면(230b) 반대측에 형성된 외부 측면(232b)을 추가로 포함한다. 내부 측면(230b) 및 외부 측면(232b)은 제 1 단부(226b)로부터 제 2 단부(228b)까지 연장되며, 이에 의해 제 1 단부(226b)로부터 제 2 단부(228b)까지의 거리가 리세스(220b)의 길이(L220b)를 정의하며, 내부 측면(230b)으로부터 외부 측면(232b)까지의 거리가 리세스(220b)의 폭(W220b)을 정의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20b)의 종축선(A220b)은 제 1 단부(226b)로부터 제 2 단부(228b)까지 연장되며, 리세스(220b)의 내부 측면(230b)과 외부 측면(232b) 사이의 중앙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리세스(220b)는 신발류(10b)의 종축선(A10b)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며, 이에 의해 리세스(220b)의 종축선(A220b)이 신발류(10b)의 종축선(A10b)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연장된다. 다시 말해, 내부 측면(230b)이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외부 측면(232b)이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더 크다. 일부 예에서, 리세스(220b)의 내부 측면(230b)이 밑창 구조체(200b)의 내부 영역(28)에 형성되는 반면, 외부 측면(232b)은 밑창 구조체(200b)의 둘레 영역(26)에 형성된다.
특정 예에서, 리세스(220b)는 밑창 구조체(200b)의 외측면(24)을 향해 오프셋되어, 외부 측면(232b)이 외측면(24)을 따라 둘레 측면(218)에 근접하게 형성되며, 내부 측면(230b)이 내측면(22) 상의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이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20b)의 외부 측면(232b)을 정의하는 둘레 벽(224b)의 부분은 중간 표면(222b)으로부터 하부 표면(216)까지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둘레 벽(224b)의 종단부(233b)가 발포 요소(206b)의 둘레 측면(218)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234b)를 형성한다. 반대로, 내부 측면(230b)을 형성하는 둘레 벽(224b)의 일부가 중간 표면(222b)으로부터 하부 표면(216)까지 완전히 연장되어 내측면(22)을 따라 리세스(220b)를 완전히 에워싼다. 일부 예에서, 외부 측면(232b)이 외측면(24) 상의 둘레 영역(26)에 형성되는 반면, 내부 측면(230b)은 내부 영역(28)에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리세스(220b)의 내부 측면(230b)이 신발류(10)의 종축선(AF)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 요소(206b)의 하부 표면(216)이 리세스(220b)의 제 1 단부(226b)로부터 리세스(220b)의 제 2 단부(228b)까지 리세스(220b)를 따라 리세스(220b)의 내부 측면(230b)으로부터 둘레 측면(218)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밑창 구조체(200b)는 발 앞쪽 영역(12) 및 발 중간 영역(14)에 지역적인 완충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b)가 발 앞쪽 영역(12)과 발 충간 영역(14)의 외측면(24) 상에서의 밑창 구조체(200b)의 완충 특성을 정의하는 반면, 발포 요소(206b)는 발 앞쪽 영역(12) 및 발 중간 영역(14)의 내측면(22)을 따라 밑창 구조체(200b)의 완충 특성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리세스(220b)의 둘레 벽(224b)이 완충 장치(208b)의 외부 둘레 프로파일과 협력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b)가 실질적으로 리세스(220b)를 채운다. 따라서, 둘레 벽(224b)의 프로파일이 완충 장치(208b)의 프로파일에 대응할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완충 장치(208b)는 리세스(220b)의 제 1 단부(226b)로부터 리세스(220b)의 제 2 단부(228b)까지 불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단편형 구조체이다. 여기서, 둘레 벽(224b)은 리세스(220b)를 복수의 개별 수용부(238)로 분할하기 위해 내부 측면(230b)으로부터 외부 측면(232b)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분할부(236)를 형성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완충 장치(208b)는 상부 표면(240b) 및 완충 장치(208b)의 상부 표면(240b) 반대측에 형성된 하부 표면(242b)을 포함하여, 상부 표면(240b)으로부터 하부 표면(242b)까지의 거리가 완충 장치(208b)의 두께(T208b)를 정의한다. 외부 둘레 표면(244a)이 상부 표면(240b)과 하부 표면(242b)의 사이에서 연장되며, 완충 장치(208b)의 외부 둘레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208b)의 두께(T208b)는 리세스(220b)의 깊이(D220b)와 실질적으로 유사하여, 완충 장치(208b)의 상부 표면(240b)이 리세스(220b)의 중간 표면(222b)과 계면 접촉(즉, 접촉)하는 경우, 완충 장치(208b)의 하부 표면(242b)이 발포 요소(206b)의 하부 표면(216)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따라서, 발포 요소(206b)의 하부 표면(216)과 완충 장치(208b)의 하부 표면(242b)이 협력하여 중창(202b)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하중 지탱 하부 표면을 형성한다.
완충 장치(208b)는 제 1 단부(246b)로부터 완충 장치(208b)의 제 1 단부(246b)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제 2 단부(248b)까지 연장된다. 완충 장치(208b)는 내부 측면(250b) 및 완충 장치(208b)의 내부 측면(250b) 반대측에 형성된 외부 측면(252b)을 추가로 포함한다. 내부 측면(250b) 및 외부 측면(252b)은 제 1 단부(246b)로부터 제 2 단부(248b)까지 연장되며, 이에 의해 제 1 단부(246b)로부터 제 2 단부(248b)까지의 거리가 완충 장치(208b)의 길이(L208b)를 정의하며, 내부 측면(250b)으로부터 외부 측면(252b)까지의 거리가 완충 장치(208b)의 폭(W208b)을 정의한다.
완충 장치(208b)의 길이(L208b) 및 폭(W208b)은 리세스(220b)의 길이(L220b) 및 폭(W220b)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유사하게, 둘레 표면(244a)에 의해 형성되는 완충 장치(208b)의 제 1 단부(246b), 제 2 단부(248b), 내부 측면(250b), 및 외부 측면(252b)의 프로파일은 리세스(220b)의 제 1 단부(226b), 제 2 단부(228b), 내부 측면(230b) 및 외부 측면(232b)의 프로파일에 대응한다. 따라서, 완충 장치(208b)가 리세스(220b)의 내부에 배치되면, 완충 장치(208b)의 외부 둘레 표면(244a)이 리세스(220b)의 둘레 벽(224b)에 의해 수용되어 접촉하여, 완충 장치(208b)가 실질적으로 리세스(220b)를 채운다. 따라서, 완충 장치(208b)는 본질적으로 리세스(220b)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리세스(220b)의 외부 측면(232b)을 형성하는 둘레 벽(224b)의 부분은 중간 표면(222b)으로부터 하부 표면(216)까지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이에 의해 개구(234b)가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리세스(220b)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완충 장치(208b)의 외부 측면(252b)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34b)를 통해 노출될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완충 장치(208b)의 외부 측면(252b)이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완충 장치(208b)의 외부 측면(252b)이 개구(234b)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b)의 외부 측면(252b)이 둘레 측면(218)과 협력하여 밑창 구조체(200b)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부 표면을 형성한다.
리세스(220b)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208b)는 발 앞쪽 영역(12)으로부터 발 중간 영역(14)까지 밑창 구조체(200)의 외측면(24)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블래더(254b)를 포함하는 단편형 구조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완충 장치(208b)의 구성(즉, 단일체형, 단편형)에 관계없이, 완충 장치(208)의 구성 및 위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특성이 유지되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b)가 신발류(10b)의 종축선(A10b)으로부터 오프셋된다. 특히, 완충 장치(208b)의 외부 측면(252b)이 밑창 구조체(200b)의 외측면(24)에 근접한 반면, 내부 측면(250b)은 밑창 구조체(200b)의 내부 영역(28)의 내부에 배치된다.
완충 장치(208b)가 단편형 구조체로서 형성되는 경우, 2 개 이상의 블래더(254b)가 완충 장치(208b)의 종축선(A208b)을 따라 제 1 단부(246b)로부터 제 2 단부(248b)까지 정렬될 수도 있으며, 완충 장치(208b)의 내부 측면(250b) 및 외부 측면(252b)이 개별 블래더(254b)의 개개의 내부 및 외부 측면에 의해 집합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완충 장치(208b)는 한 쌍의 블래더(254b)를 포함한다. 블래더(254b) 중 제 1 블래더는 발 앞쪽 영역(12)에서 리세스(220b)의 제 1 단부(226b)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블래더(254b) 중 제 2 블래더는 발 중간 영역(14)에서 리세스(220b)의 제 2 단부(228b)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블래더(254b)는 리세스(220b)의 중간 표면(222b)으로부터 연장되는 분할부(23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각각의 블래더(254b)가 수용부(238) 중 하나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제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신발류(10c)의 물품이 제공되며,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c)를 포함한다. 신발류의 물품(10c)에 대하여 신발류(10)의 물품과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 실질적인 유사성을 고려할 때, 이하 설명 및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는 반면, 문자가 추라된 동일한 도면 부호는 수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200c)는 밑창 구조체(200c)의 완충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중창(202c) 및 신발류(10c)의 물품의 지면 정합 표면(30)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겉창(204)을 포함한다. 중창(202c)은 복합적으로 형성되며, 밑창 구조체(200c)의 지역적 완충 효과 및 성능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중창(202c)은 협력하여 중창(202c)의 상부 표면(214)을 형성하는 발포 요소(206c) 및 완충 장치(208b)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겉창(204)은 중창(202c)의 하부 표면(216)에 부착되어 신발류(10c)의 지면 정합 표면(30)을 형성한다. 발포 요소(206c), 완충 장치(208b), 및 겉창(204)은, 예를 들어, 접착제 접합 및 멜딩(melding)을 포함하는 다양한 결합 방법을 사용하여 서로 조립 및 고정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7의 발포 요소(206c)는 상부 표면(214)에 형성된 리세스(220c)를 포함한다. 리세스(220c)는 상부 표면(214)과 하부 표면(216)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표면(222c) 및 중간 표면(222c)으로부터 상부 표면(214)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224c)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리세스(220c)의 깊이(D220c)는 상부 표면(214)으로부터 중간 표면(222c)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반면, 리세스(220c)의 외부 프로파일은 둘레 벽(224c)에 의해 형성된다.
리세스(220c)는 발포 요소(206c)의 길이를 따라 발 앞쪽 영역(12)의 제 1 단부(226b)로부터 발 중간 영역(14)의 제 2 단부(228b)까지 연장된다. 리세스(220c)는 내부 측면(230c) 및 리세스(220c)의 내부 측면(230c) 반대측에 형성된 외부 측면(232c)을 추가로 포함한다. 내부 측면(230c) 및 외부 측면(232c)은 제 1 단부(226b)로부터 제 2 단부(228b)까지 연장되어, 제 1 단부(226b)로부터 제 2 단부(228b)까지의 거리가 리세스(220c)의 길이(L220c)를 정의하며, 내부 측면(230c)으로부터 외부 측면(232c)까지의 거리가 리세스(220c)의 폭(W220c)을 정의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20c)의 종축선(A220c)은 제 1 단부(226b)로부터 제 2 단부(228b)까지 연장되며, 리세스(220c)의 내부 측면(230c)과 외부 측면(232c) 사이의 중앙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리세스(220c)는 신발류(10c)의 종축선(A10c)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며, 이에 의해 리세스(220c)의 종축선(A220c)이 신발류(10c)의 종축선(A10c)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연장된다. 다시 말해, 내부 측면(230c)이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외부 측면(232c)이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더 크다. 일부 예에서, 리세스(220c)의 내부 측면(230c)이 밑창 구조체(200c)의 내부 영역(28)에 형성된 반면, 외부 측면(232c)은 밑창 구조체(200c)의 둘레 영역(26)에 형성된다.
특정 예에서, 리세스(220c)는 밑창 구조체(200c)의 외측면(24)을 향해 오프셋되며, 이에 의해 외부 측면(232c)이 외측면(24)을 따라 둘레 측면(218)에 근접하게 형성되며, 내부 측면(230c)이 내측면(22) 상의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이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20c)의 외부 측면(232c)을 형성하는 둘레 벽(224c)의 부분은 중간 표면(222c)으로부터 상부 표면(214)까지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으며, 둘레 벽(224c)의 종단부(233c)가 발포 요소(206c)의 둘레 측면(218)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234c)를 형성한다. 반대로, 내부 측면(230c)을 형성하는 둘레 벽(224c)의 일부가 중간 표면(222c)으로부터 상부 표면(214)까지 완전히 연장되어 내측면(22)을 따라 리세스(220c)를 완전히 에워싼다. 일부 예에서, 외부 측면(232c)이 외측면(24) 상에서 둘레 영역(26)에 형성되는 반면, 내부 측면(230c)은 내부 영역(28)에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리세스(220c)의 내부 측면(230c)이 신발류(10)의 종축선(AF)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 요소(206c)의 상부 표면(214)이 리세스(220c)의 제 1 단부(226b)로부터 리세스(220c)의 제 2 단부(228b)까지 리세스(220c)를 따라 리세스(220c)의 내부 측면(230c)으로부터 둘레 측면(218)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밑창 구조체(200c)는 발 앞쪽 영역(12) 및 발 중간 영역(14)을 통해 지역적인 완충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b)가 발 앞쪽 영역(12)과 발 충간 영역(14)의 외측면(24) 상에서 밑창 구조체(200c)의 완충 특성을 정의하는 반면, 발포 요소(206c)는 발 앞쪽 영역(12) 및 발 중간 영역(14)의 내측면(22)을 따라 밑창 구조체(200c)의 완충 특성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리세스(220c)의 둘레 벽(224c)이 완충 장치(208b)의 외부 둘레 프로파일과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완충 장치(208b)가 실질적으로 리세스(220c)를 채운다. 따라서, 둘레 벽(224c)의 프로파일이 완충 장치(208b)의 프로파일에 대응할 것이다.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 완충 장치(208b)는 리세스(220c)의 제 1 단부(226b)로부터 리세스(220c)의 제 2 단부(228b)까지 불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단편형 구조체이다. 여기서, 둘레 벽(224c)이 리세스(220c)를 복수의 개별 수용부(238)로 분할하기 위해 내부 측면(230c)으로부터 외부 측면(232c)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분할부(236)를 형성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완충 장치(208b)는 상부 표면(240b) 및 완충 장치(208b)의 상부 표면(240b) 반대측에 형성된 하부 표면(242b)을 포함하여, 상부 표면(240b)으로부터 하부 표면(242b)까지의 거리가 완충 장치(208b)의 두께(T208b)를 정의한다. 외부 둘레 표면(244a)이 상부 표면(240b)과 하부 표면(242b)의 사이에서 연장되며, 완충 장치(208b)의 외부 둘레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208b)의 두께(T208b)는 리세스(220c)의 깊이(D220c)와 실질적으로 유사하여, 완충 장치(208b)의 하부 표면(242b)이 리세스(220c)의 중간 표면(222c)과 계면 접촉(즉, 접촉)하는 경우, 완충 장치(208b)의 상부 표면(240b)이 발포 요소(206c)의 상부 표면(214)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따라서, 발포 요소(206c)의 상부 표면(214)과 완충 장치(208b)의 상부 표면(240b)이 협력하여 중창(202c)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하중 지탱 상부 표면을 형성한다.
완충 장치(208b)는 제 1 단부(246b)로부터 완충 장치의 제 1 단부(246b)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제 2 단부(248b)까지 연장된다. 완충 장치(208b)는 내부 측면(250b) 및 완충 장치(208b)의 내부 측면(250b) 반대측에 형성된 외부 측면(252b)을 추가로 포함한다. 내부 측면(250b) 및 외부 측면(252b)은 제 1 단부(246b)로부터 제 2 단부(248b)까지 연장되며, 이에 의해 제 1 단부(246b)로부터 제 2 단부(248b)까지의 거리가 완충 장치(208b)의 길이(L208b)를 정의하며, 내부 측면(250b)으로부터 외부 측면(252b)까지의 거리가 완충 장치(208b)의 폭(W208b)을 정의한다.
완충 장치(208b)의 길이(L208b) 및 폭(W208b)은 리세스(220c)의 길이(L220c) 및 폭(W220c)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유사하게, 둘레 표면(244a)에 의해 형성되는 완충 장치(208b)의 제 1 단부(246b), 제 2 단부(248b), 내부 측면(250b), 및 외부 측면(252b)의 프로파일은 리세스(220c)의 제 1 단부(226b), 제 2 단부(228b), 내부 측면(230c) 및 외부 측면(232c)의 프로파일에 대응한다. 따라서, 완충 장치(208b)가 리세스(220c)의 내부에 배치되면, 완충 장치(208b)의 외부 둘레 표면(244a)이 리세스(220c)의 둘레 벽(224c)에 의해 수용되어 접촉하여, 완충 장치(208b)가 실질적으로 리세스(220c)를 채운다. 따라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208b)는 본질적으로 리세스(220c)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리세스(220c)의 외부 측면(232c)을 형성하는 둘레 벽(224c)의 부분은 중간 표면(222c)으로부터 상부 표면(214)까지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이에 의해 개구(234c)가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리세스(220c)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완충 장치(208b)의 외부 측면(252b)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34c)를 통해 노출될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완충 장치(208b)의 외부 측면(252b)이 둘레 측면(218)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완충 장치(208b)의 외부 측면(252b)이 개구(234c)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b)의 외부 측면(252b)이 둘레 측면(218)과 협력하여 밑창 구조체(200c)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부 표면을 형성한다.
리세스(220c)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208b)는 발 앞쪽 영역(12)으로부터 발 중간 영역(14)까지 밑창 구조체의 외측면(24)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개별 블래더(254b)를 포함하는 단편형 구조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완충 장치(208b)의 구성(즉, 단일체형, 단편형)에 관계없이, 완충 장치(208)의 구성 및 위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특성이 유지되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b)가 신발류(10c)의 종축선(A10c)으로부터 오프셋된다. 특히, 완충 장치(208b)의 외부 측면(252b)이 밑창 구조체(200c)의 외측면(24)에 근접한 반면, 내부 측면(250b)은 밑창 구조체(200c)의 내부 영역(28)의 내부에 배치된다.
완충 장치(208b)가 단편형 구조체로서 형성되는 경우, 2 개 이상의 블래더(254b)가 완충 장치(208b)의 종축선(A208b)을 따라 제 1 단부(246b)로부터 제 2 단부(248b)까지 정렬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완충 장치(208b)의 내부 측면(250b) 및 외부 측면(252b)이 개별 블래더(254b)의 개개의 내부 및 외부 측면에 의해 집합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완충 장치(208b)는 한 쌍의 블래더(254b)를 포함한다. 블래더(254b) 중 제 1 블래더는 발 앞쪽 영역(12)에서 리세스(220c)의 제 1 단부(226b)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블래더(254b) 중 제 2 블래더는 발 중간 영역(14)에서 리세스(220c)의 제 2 단부(228b)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블래더(254b)는 리세스(220c)의 중간 표면(222c)으로부터 연장되는 분할부(23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각각의 블래더(254b)가 수용부(238) 중 하나의 내부에 수용된다.
완충 장치(208, 208b)가 단일체형 구조체(208)로서 형성되는지 단편형 구조체(208b)로서 형성되는지에 상관없이, 블래더(254, 254b)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블래더(254, 254b)가 제 1 상부 배리어 층(256) 및 제 2 하부 배리어 층(257)을 포함하며, 이들 층이 별개의 위치에서 서로 결합되어 챔버(258, 258b) 및 둘레 이음매(260, 260b)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부 배리어 층(256)과 하부 배리어 층(257)이 협력하여 챔버(258a)의 기하학적 치수(예를 들어, 두께, 폭 및 길이)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둘레 이음매(260, 260b)가 챔버(258a)의 경계를 형성하여 챔버(258, 258b)의 내부에 유체(예를 들어, 공기)를 밀봉한다. 따라서, 챔버(258, 258b)는 상부 배리어 층(256)과 하부 배리어 층(257)의 내부 표면이 함께 결합되지 않으며 따라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블래더(254, 254b)의 영역과 연관된다.
상부 및 하부 배리어 층(256, 257)은 리세스(220a 내지 220c)의 원하는 프로파일에 대응하도록 성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부 배리어 층(256) 및 하부 배리어 층(257)은, 하부 배리어 층(257) 및 상부 배리어 층(256)이 함께 연결되어 결합되는 경우 둘레 이음매(260, 260b)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함몰부 및 가늘어진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 다양한 표면을 형성하는 개개의 금형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접착제 접합에 의해 상부 배리어 층(256)과 하부 배리어 층(257)이 결합되어 둘레 이음매(260, 260b)를 형성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열 접합에 의해 상부 배리어 층(256)과 하부 배리어 층(257)이 결합되어 둘레 이음매(260, 260b)를 형성한다. 일부 예에서, 상부 배리어 층(256) 및 하부 배리어 층(257)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형상화 및 멜딩을 용이하게 하는 온도로 가열된다. 일부 예에서, 상부 배리어 층(256) 및 하부 배리어 층(257)이 개개의 금형 사이에 위치되기 전에 가열된다. 다른 예에서는, 금형이 상부 배리어 층(256) 및 하부 배리어 층(257)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가열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챔버(258, 258b)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성형 공정은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금형 부분 내부에 진공 포트를 통합하여, 상부 배리어 층(256) 및 하부 배리어 층(257)이 개개의 금형 부분과 접촉하도록 끌어 당겨진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공기와 같은 유체가 상부 배리어 층(256)과 하부 배리어 층(257) 사이의 영역으로 주입될 수도 있어, 압력 증가로 인해 상부 배리어 층(256) 및 하부 배리어 층(257)이 개개의 금형 부분의 표면과 정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배리어 층"(예를 들어, 배리어 층(256, 257))은 단층 및 다층 필름을 모두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리어 층(256, 257)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각각, 단층 필름(단일 층)으로부터 생성(예를 들어, 열 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리어 층(256, 257)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각각, 다층 필름(다수의 하위 층)으로부터 생성(예를 들어, 열 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된다. 어느 한 양태에서, 각각의 층 또는 하위 층은 약 0.2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 밀리미터 범위의 필름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각각의 층 또는 하위 층용의 필름 두께가 약 0.5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5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층 또는 하위 층용의 필름 두께가 약 1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일 수 있다.
배리어 층(256, 257)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독립적으로 투명, 반투명, 및/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배리어 층 및/또는 챔버에 대한 "투명"이라는 용어는 빛이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배리어 층을 통과하여 관찰자가 배리어 층을 투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불투명 배리어 층의 경우, 빛이 배리어 층을 통과하지 못하여 관찰자가 배리어 층을 전혀 투시할 수 없다. 반투명 배리어 층은 투명 배리어 층과 불투명 배리어 층의 사이에 있어, 빛이 반투명 층을 통과하긴 하지만 빛 중 일부가 산란되어 관찰자가 층을 명확하게 투시할 수 없다.
배리어 층(256, 257)은 각각,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중합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가교 결합 가능한 중합체를 포함하는 탄성 중합체성 재료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탄성 중합체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PU) 공중 합체, 하나 이상의 에틸렌-비닐 알코올(EVOH) 공중합체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폴리 우레탄"은 우레탄기(-N(C=O)O-)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올리고머 포함)를 의미한다. 이러한 폴리 우레탄은 우레탄기 이외에 에스테르, 에테르, 우레아, 알로파네이트, 뷰렛, 카르보디이미드, 옥사졸리디닐, 이소시나우레이트, 우레디온, 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추가 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 우레탄이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를 하나 이상의 폴리올과 중합하여 (-N(C=O)O-) 결합을 갖는 공중합체 사슬을 생성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폴리 우레탄 공중합체 사슬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적합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트리메틸오일프로판(TMP)을 갖는 TDI 부가물,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 테트라 메틸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수소화된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HXDI), 나프탈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NDI), 1,5- 테트라 히드로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PPDI), 3,3'-디메틸 디페닐 1-4, 4'-디이소시아네이트(DDDI), 4,4'-디벤질 디이소시아네이트(DBDI), 4-클로로-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공중합체 사슬에는 실질적으로 방향족 기가 없다.
특정 양태에서, 폴리 우레탄 중합체 사슬은 HMDI, TDI, MDI, H12 지방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디이소시네이트로부터 생성된다. 일 양태에서, 열가소성 TPU는 폴리 에스테르계 TPU, 폴리 에테르계 TPU, 폴리 카프로 락톤계 TPU, 폴리 카보네이트계 TPU, 폴리 실록산계 TPU,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중합체 층은 다음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EVOH 공중합체, 폴리(염화 비닐), 폴리 비닐리덴 중합체 및 공중합체(예를 들어, 폴리 염화 비닐리덴), 폴리 아미드(예를 들어, 비정질 폴리 아미드), 아미드계 공중합체, 아크릴로 니트릴 중합체(예를 들어, 아크릴로 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에테르 이미드, 폴리 아크릴 이미드, 및 상대적으로 낮은 가스 투과율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기타 중합체 재료. 이들 재료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선택적으로 폴리 이미드 및 결정질 중합체의 조합을 포함하는 TPU 공중합체의 혼합물도 적합하다.
배리어 층(256, 257)은, 개시 내용이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인용된, 미첼(Mitchell) 등의 미국 특허 제 5,713,141 호 및 미첼 등의 미국 특허 제 5,952,065 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 이상의 하위 층(다층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배리어 층(256, 257)이 2 개 이상의 하위 층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적합한 다층 필름의 예는,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인용된, 본크(Bonk) 등의 미국 특허 제 6,582,786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마이크로층 필름을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배리어 층(256, 257)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나 이상의 TPU 공중합체 재료 및 하나 이상의 EVOH 공중합체 재료로 번갈아 형성된 하위 층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배리어 층(256)의 하위 층의 총 개수는 적어도 네 개(4)의 하위 층, 적어도 열 개(10)의 하위 층, 적어도 이십 개(20)의 하위 층, 적어도 사십 개(40)의 하위 층, 및/또는 적어도 육십 개(60)의 하위 층을 포함한다
블래더(254, 254b)는 열 성형(예를 들어, 진공 열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사출 성형, 진공 성형, 회전 성형, 전사 성형, 압력 성형, 열 밀봉, 주조, 저압 주조, 스핀 주조, 반응 사출 성형, 무선 주파수(RF) 용접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여 배리어 층(256, 257)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배리어 층(256, 257)은 공압출에 이어 진공 열 성형에 의해 생성되어 팽창성 블래더(254)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래더는 챔버(258)가 유체(예를 들어, 가스)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밸브(예를 들어, 일방향 밸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배리어 층(256)과 하부 배리어 층(257)의 대향하는 내부 표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챔버(258, 258b)의 내부 공극(262)을 형성한다. 챔버(258, 258b)의 내부 공극(262)은 내부에 인장 요소(264, 264b)를 수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인장 요소(264, 264b)는 상부 인장 시트(268)와 하부 인장 시트(269)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인장 스트랜드(26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인장 시트(268)는 상부 배리어 층(256)에 부착될 수도 있는 반면, 하부 인장 시트(269)는 하부 배리어 층(257)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챔버(258, 258b)가 가압 유체를 수용하는 경우, 인장 요소(264, 264b)의 인장 스트랜드(266)가 인장 상태로 배치된다. 상부 인장 시트(268)가 상부 배리어 층(256)에 부착되며 하부 인장 시트(269)가 하부 배리어 층(257)에 부착되기 때문에, 인장 스트랜드(266)는 가압 유체가 내부 공극(262)으로 주입되는 경우 완충 장치(208, 208b)의 원하는 형상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구현예에서, 인장 요소(264, 264b)는 완충 장치(208, 208b)의 실질적으로 평면형 상부 표면(240, 240b) 및 하부 표면(242, 242b)을 유지한다
챔버(258, 258b)는 유지된 가스 압력을 보존하기 위해 낮은 가스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챔버(258, 258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의 부틸 고무 층에 대한 질소 가스 투과율보다 적어도 약 열 배(10) 낮은 질소 가스 투과율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챔버(258, 258b)는 50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필름 두께(배리어 층(256)의 두께를 기준으로 함)에 대해 15 입방 센티미터/제곱 미터ㆍ대기압ㆍ하루(cm3/m2ㆍatmㆍday) 이하의 질소 가스 투과율을 갖는다. 추가 양태에서, 투과율은 10 cm3/m2ㆍatmㆍday 이하, 5 cm3/m2ㆍatmㆍday 이하, 또는 1 cm3/m2ㆍatmㆍday 이하이다.
챔버(258, 258b)는 유체 충전 상태(예를 들어, 신발류(10)에 제공된 바와 같이) 또는 비충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챔버(258, 258b)는 가스 또는 액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유체를 포함하도록 충전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는, 챔버(258, 258b)가 대안으로서 펠릿(pellet), 비드(bead), 분쇄 재활용 재료 등과 같은 다른 매체(예를 들어, 발포 비드 및/또는 고무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제공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래더(254b)가 완충 장치(208b)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블래더(254b)의 내부 공극(262)이 서로 상이하게 충전되거나 가압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가스는 공기, 질소(N2)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258, 258b)에 제공된 유체는 챔버(258, 258b)가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내부 공극(262)은 15 psi(평방 인치 당 파운드) 내지 25 psi 범위의 압력에 있다. 다른 예에서는, 내부 공극(262)이 20 psi 내지 25 psi 범위의 압력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내부 공극(262)이 20 psi의 압력을 갖는다. 다른 예에서는, 내부 공극(262)이 25 psi의 압력을 갖는다. 대안으로서, 챔버(258, 258b)에 제공된 유체는 챔버(258, 258b)가 가압되지 않고 오히려 단순히 대기압에서의 유체 부피를 포함하도록 대기압에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포 요소(206 내지 206c)는 발포체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적인 중합체성 재료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에 완충 기능, 반응성 및 에너지 분포 특성을 부여한다. 발포 요소(206 내지 206c)가 탄성적인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일체형 조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각각 하나 이상의 탄성적인 중합체성 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요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요소는 융합 공정을 사용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상이한 탄성적인 중합체성 재료에 요소를 현탁함으로써 서로 부착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복수의 요소가 서로 부착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완충 요소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구조체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독립적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안의 예로서, 복수의 독립적인 완충 요소가 복수의 발포 입자일 수도 있으며, 블래더 또는 쉘 구조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발포 요소(206 내지 206c)는 배리어 막과 같은 필름으로 형성된 비교적 반투명한 블래더 또는 쉘 내부에 포함된 복수의 발포 입자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발포 요소(206 내지 206c)용의 예시의 탄성적인 중합체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탄성 중합체(예를 들어,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TPE))와 같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발포 또는 성형에 기초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지방족 중합체, 방향족 중합체, 또는 이들 모두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단일 중합체, 공중합체(삼원 공중합체 포함), 또는 이들 모두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올레핀 동종 중합체,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올레핀계 중합체의 예는 폴리 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EVOH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불포화 모노-지방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폴리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폴리 아크릴산, 폴리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폴리 아크릴로 니트릴, 폴리 아크릴 아세테이트, 폴리 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 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 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이들의 유도체, 공중합체 및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이오노머 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양태에서, 이오노머 중합체는 카르 복실산 작용기, 설폰산 작용기, 이의 염(예를 들어, 나트륨, 마그네슘, 칼륨 등) 및/또는 이의 무수물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오노머 중합체(들)는 하나 이상의 지방산-개질 이오노머 중합체, 폴리 스티렌 설포네이트, 에틸렌-메타 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아크릴로 니트릴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폴리 아미드 공중합체(예를 들어, 폴리 아미드-폴리 에테르 공중합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폴리 우레탄(예를 들어, 가교 결합 폴리 우레탄 및/또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가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천연 및/또는 합성 고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적인 중합체성 재료가 발포 중합체성 재료인 경우, 발포 재료가 온도 및/또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기체로 상전이되는 물리적 발포제 또는 활성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가스를 형성하는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하여 발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학적 발포제는 아도디카본 아미드, 중탄산 나트륨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아조 화합물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발포 중합체성 재료가 가교 결합 발포 재료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쿠밀 퍼옥사이드와 같은 퍼옥사이드계 가교 결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발포 중합체성 재료는 안료, 개질 또는 천연 점토, 개질 또는 비개질 합성 점토, 활석 유리 섬유, 분말형 유리, 개질 또는 천연 실리카, 탄산 칼슘, 운모, 종이, 목재 칩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적인 중합체성 재료가 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탄성적인 중합체성 재료가 성형된 탄성 중합체인 경우, 비경화 탄성 중합체(예를 들어, 고무)가 선택적인 충전제 및 황계 또는 퍼옥사이드계 경화 패키지와 같은 경화 패키지와 함께 반버리(Banbury) 혼합기에서 혼합되며, 캘린더링 가공되며, 형상화 과정을 거쳐, 금형 내부에 배치되어, 가황 처리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탄성적인 중합체성 재료가 발포 재료인 경우, 재료가 사출 성형 공정과 같은 성형 공정 중에 발포될 수도 있다.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는 사출 성형 시스템의 배럴에서 용융되며,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발포제 및 선택적으로 가교 결합제와 결합된 다음, 발포제를 활성화하는 조건 하에서 금형 내로 주입되어 성형 발포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탄성적인 중합체성 재료가 발포 재료인 경우, 발포 재료가 압축 성형 발포체일 수도 있다. 압축 성형이 발포체의 물리적 특성(예를 들어, 밀도, 강성 및/또는 경도)을 변경하거나 발포체의 물리적 형상을 변경하거나(예를 들어, 2 개 이상의 발포체 조각을 융합하거나 발포체를 형상화하는 등), 또는 둘 다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압축 성형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발포 예비 성형품을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중합체성 재료를 사출 성형 및 발포함으로써, 발포 입자 또는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발포 시트 스톡을 절단함으로써 시작된다. 이어서, 압축 성형 발포체가 발포 중합체성 재료(들)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예비 성형품을 압축 금형에 배치하고 하나 이상의 예비 성형품에 충분한 압력을 인가하여 폐쇄된 금형 내에서 하나 이상의 에비 성형품을 압축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일단 금형이 폐쇄되면, 압축 성형 발포체의 외부 표면에 스킨을 형성하여 예비 성형품(들)을 변경하거나, 개별 발포 입자를 서로 융합하거나, 발포체(들)의 밀도를 영구적으로 증가시키거나, 이들의 조합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폐쇄된 금형 내부의 하나 이상의 예비 성형품에 충분한 열 및/또는 압력이 인가된다. 가열 및/또는 압력 인가 후, 금형이 개방되어 성형된 발포 물품이 금형으로부터 제거된다.
아래의 항은 전술한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제 1 항. 발포 요소를 포함하며, 발포 요소는 상부 표면 및 발포 요소의 상부 표면 반대측에 형성된 하부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 발포 요소는, (ⅰ) 하부 표면에 형성되며, (ⅱ) 밑창 구조체의 발 앞쪽 영역의 제 1 단부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발 중간 영역의 제 2 단부까지 연장되며, (ⅲ)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면서 밑창 구조체의 둘레 영역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 1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ⅳ)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면서 밑창 구조체의 내부 영역에 배치된 제 2 가장자리를 구비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완충 장치가 리세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발포 요소의 하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는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제 2 항. 제 1 항에 있어서, 완충 장치가 리세스에 의해 짝을 이루어 수용되는 블래더인 것인 밑창 구조체.
제 3 항. 제 2 항에 있어서, 블래더가 내부에 배치된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4 항. 제 1 항에 있어서, 완충 장치가 리세스의 제 1 단부로부터 리세스의 제 2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블래더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5 항. 제 4 항에 있어서, 리세스의 제 1 단부가 곡선형이며 리세스의 제 2 단부가 실질적으로 직선형인 것인 밑창 구조체.
제 6 항. 제 1 항에 있어서, 완충 장치가 리세스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블래더 및 리세스의 제 2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블래더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7 항.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가장자리가 발포 요소의 둘레 측면을 통해 연장되어 둘레 측면에 개구를 형성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8 항. 제 7 항에 있어서, 완충 장치가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9 항.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가장자리가 밑창 구조체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10 항. 제 1 항에 있어서, 완충 장치가 실질적으로 리세스를 채우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11 항.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까지 제 1 종축선을 따라 연장되며 리세스를 구비한 하부 표면을 포함하는 발포 요소를 포함하는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 리세스가 (ⅰ) 밑창 구조체의 발 앞쪽 영역의 제 1 단부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발 중간 영역의 제 2 단부까지, (ⅱ) 제 1 종축선으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외측면을 향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된 제 2 종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완충 장치가 리세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리세스를 채우며, 완충 장치의 외부 표면이 발포 요소의 하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다.
제 12 항. 제 11 항에 있어서, 완충 장치가 리세스에 의해 짝을 이루어 수용되는 블래더인 것인 밑창 구조체.
제 13 항. 제 12 항에 있어서, 블래더가 내부에 배치된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14 항. 제 12 항에 있어서, 완충 장치가 리세스의 제 1 단부로부터 리세스의 제 2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블래더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15 항. 제 14 항에 있어서, 리세스의 제 1 단부가 곡선형이며 리세스의 제 2 단부가 실질적으로 직선형인 것인 밑창 구조체.
제 16 항. 제 11 항에 있어서, 완충 장치가 리세스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블래더 및 리세스의 제 2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블래더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17 항. 제 11 항에 있어서, 리세스의 외부 가장자리가 발포 요소의 둘레 측면을 통해 연장되어 둘레 측면에 개구를 형성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18 항. 제 17 항에 있어서, 완충 장치가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19 항. 제 18 항에 있어서, 개구가 밑창 구조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제 20 항. 제 11 항에 있어서, 완충 장치가 실질적으로 리세스를 채우는 것인 밑창 구조체.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전술한 설명 자체로 완전한 것으로 의도되거나 본 개시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특정 구성의 개별 요소 또는 특징이 일반적으로 그러한 특정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더라도, 적용 가능하다면 상호 교환 가능하며, 선택된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성의 개별 요소 또는 특징이 또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이 본 개시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이러한 모든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상부 표면,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발포 요소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하부 표면, 및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둘레 측면을 포함하는 발포 요소로서, 상기 발포 요소는, (i) 상기 상부 표면 또는 상기 하부 표면 중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고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리세스, (ii) 상기 상부 표면 또는 상기 하부 표면 중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고 제3 단부로부터 제4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 리세스, (iii) 상기 발포 요소의 내측(medial side) 또는 외측(lateral side) 중 하나를 따라 상기 제1 리세스를 노출하도록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둘레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리세스까지 연장되는 제1 개구, (iv) 상기 발포 요소의 내측 또는 외측 중 하나를 따라 상기 제2 리세스를 노출하도록 상기 제3 단부와 상기 제4 단부 사이에서 상기 둘레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리세스까지 연장되는 제2 개구, 및 (v) 상기 발포 요소의 내측 또는 외측 중 다른 하나를 따라 상기 제1 리세스를 에워싸도록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내측 또는 외측 중 다른 하나를 따라 상기 제2 리세스를 에워싸도록 상기 제3 단부와 상기 제4 단부 사이에서,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둘레 벽을 포함하는 발포 요소;
    상기 제1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제1 완충 부재로서, (i) 상기 내측 또는 상기 외측 중 하나에서 상기 둘레 측면을 통해 상기 제1 개구에 의해 노출되고, (ii) 상기 내측 또는 상기 외측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둘레 벽에 의해 에워싸이는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제2 완충 부재로서, (i) 상기 내측 또는 상기 외측 중 하나에서 상기 둘레 측면을 통해 상기 제2 개구에 의해 노출되고, (ii) 상기 내측 또는 상기 외측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둘레 벽에 의해 에워싸이며, 상기 제1 완충 부재보다 상기 밑창 구조체의 뒤꿈치 영역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제2 완충 부재
    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요소는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 사이에서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벽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유체 충전식 블래더인 것인, 밑창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충전식 블래더는 내부에 배치된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상기 제3 단부로부터 상기 제4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는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제1 축선을 따라 정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선은 상기 밑창 구조체의 중앙의 종축선에 수렴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같은 크기 및 같은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인, 밑창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발 앞쪽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0. 제1항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11.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상부 표면,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발포 요소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하부 표면, 및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둘레 측면을 포함하는 발포 요소로서, 상기 발포 요소는, (i) 상기 상부 표면 또는 상기 하부 표면 중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고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리세스, (ii) 상기 상부 표면 또는 상기 하부 표면 중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고 제3 단부로부터 제4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 리세스, (iii) 상기 발포 요소의 내측(medial side) 또는 외측(lateral side) 중 하나를 따라 상기 제1 리세스를 노출하도록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둘레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리세스까지 연장되는 제1 개구, (iv) 상기 발포 요소의 내측 또는 외측 중 하나를 따라 상기 제2 리세스를 노출하도록 상기 제3 단부와 상기 제4 단부 사이에서 상기 둘레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리세스까지 연장되는 제2 개구, 및 (v) 상기 발포 요소의 내측 또는 외측 중 다른 하나를 따라 상기 제1 리세스를 에워싸도록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내측 또는 외측 중 다른 하나를 따라 상기 제2 리세스를 에워싸도록 상기 제3 단부와 상기 제4 단부 사이에서,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둘레 벽을 포함하는 발포 요소;
    상기 제1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제1 완충 부재로서, (i) 상기 내측 또는 상기 외측 중 하나에서 상기 둘레 측면을 통해 상기 제1 개구에 의해 노출되고, (ii) 상기 내측 또는 상기 외측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둘레 벽에 의해 에워싸이는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제2 완충 부재로서, (i) 상기 내측 또는 상기 외측 중 하나에서 상기 둘레 측면을 통해 상기 제2 개구에 의해 노출되고, (ii) 상기 내측 또는 상기 외측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둘레 벽에 의해 에워싸이며, 상기 밑창 구조체의 종축선을 따라 상기 제1 완충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제2 완충 부재
    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요소는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 사이에서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벽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유체 충전식 블래더인 것인, 밑창 구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충전식 블래더는 내부에 배치된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상기 제3 단부로부터 상기 제4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는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제1 축선을 따라 정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선은 상기 밑창 구조체의 중앙의 종축선에 수렴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같은 크기 및 같은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인, 밑창 구조체.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발 앞쪽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0. 제11항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KR1020237007979A 2018-07-31 2019-07-30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 KR102626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12590P 2018-07-31 2018-07-31
US62/712,590 2018-07-31
KR1020217005079A KR102508755B1 (ko) 2018-07-31 2019-07-30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
US16/525,974 US11071349B2 (en) 2018-07-31 2019-07-30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6/525,974 2019-07-30
PCT/US2019/044150 WO2020028371A1 (en) 2018-07-31 2019-07-30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079A Division KR102508755B1 (ko) 2018-07-31 2019-07-30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809A KR20230038809A (ko) 2023-03-21
KR102626675B1 true KR102626675B1 (ko) 2024-01-17

Family

ID=692293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079A KR102508755B1 (ko) 2018-07-31 2019-07-30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
KR1020237007979A KR102626675B1 (ko) 2018-07-31 2019-07-30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079A KR102508755B1 (ko) 2018-07-31 2019-07-30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071349B2 (ko)
EP (2) EP4356775A2 (ko)
KR (2) KR102508755B1 (ko)
CN (2) CN112638193A (ko)
WO (1) WO2020028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755B1 (ko) * 2018-07-31 2023-03-09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
WO2023113852A1 (en) * 2021-12-14 2023-06-22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20240074533A1 (en) * 2022-09-01 2024-03-0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tacked forefoot bladd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3920A1 (en) 2001-11-21 2003-05-22 Nike, Inc.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US20060021251A1 (en) 2002-05-09 2006-02-02 Nike, Inc.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n insert
US20120233885A1 (en) 2011-03-16 2012-09-20 Nike, Inc. Footwear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Chambers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3925Y2 (ko) * 1986-04-11 1988-11-16
US4817304A (en) * 1987-08-31 1989-04-04 Nike, Inc. And Nike International Ltd. Footwear with adjustable viscoelastic unit
GB2221378A (en) * 1988-08-02 1990-02-07 Far East Athletics Limited Sole with the compressible shock absorbers
US5097607A (en) * 1990-05-07 1992-03-24 Wolverine World Wide, Inc. Fluid forefoot footware
US5155927A (en) * 1991-02-20 1992-10-20 Asics Corporation Shoe comprising liquid cushioning element
US5313717A (en) * 1991-12-20 1994-05-24 Converse Inc. Reactive energy fluid filled apparatus providing cushioning, support, stability and a custom fit in a shoe
US5952065A (en) 1994-08-31 1999-09-14 Nike, Inc.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flexible barrier membrane
US6120880A (en) * 1995-03-23 2000-09-19 Crow; William R. Performance enhancing athletic shoe components and methods
US5806209A (en) 1996-08-30 1998-09-15 Fila U.S.A., Inc. Cushioning system for a shoe
US20020121031A1 (en) * 1998-01-30 2002-09-05 Steven Smith 2a improvements
CN1210147C (zh) 1998-09-11 2005-07-13 耐克国际有限公司 柔韧性膜
US6562427B2 (en) * 2001-10-11 2003-05-13 Chinook Trading Company Airbag for shoes
AU2003202225B2 (en) * 2002-01-04 2008-03-06 New Balance Athletic Shoe, Inc. Shoe sole and cushion for a shoe sole
AU2003203502B2 (en) * 2002-04-10 2005-05-19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Sole
US7396574B2 (en) * 2003-05-28 2008-07-08 Robert C. Bogert Self-inflating cushion and footwear including same
US7020990B2 (en) * 2004-01-13 2006-04-04 M. Steven Khoury Orthopedic device for distributing pressure
US7200955B2 (en) * 2004-06-04 2007-04-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WO2006022678A2 (en) * 2004-08-03 2006-03-02 New Balance Athletic Shoe, Inc. Insert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256147B2 (en) * 2004-11-22 2012-09-04 Frampton E. Eliis Devices with internal flexibility sipes, including siped chambers for footwear
US7802378B2 (en) * 2005-02-14 2010-09-28 New Balance Athletic Shoe, Inc. Insert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insert
ITTO20050427A1 (it) * 2005-06-16 2006-12-17 Diadora Invicta S P A Calzatura con sistema di stabilizzazione regolabile, particolarmente per il controllo della pronazione e/o supinazione
KR20070049747A (ko) * 2005-11-09 2007-05-14 선호영 골프화
US7444767B2 (en) * 2005-11-15 2008-11-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having higher density peripheral portion
JP4728103B2 (ja) * 2005-11-17 2011-07-20 Sriスポーツ株式会社
US20070113425A1 (en) * 2005-11-23 2007-05-24 Gary Wakley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US20080047164A1 (en) * 2006-08-23 2008-02-28 Soren Vindriis Cushioning insole adjustment kit
US7757411B2 (en) * 2007-04-25 2010-07-20 Wolverine World Wide, Inc. Shock absorbing footwear construction
TW201026297A (en) * 2009-01-08 2010-07-16 zan-yu Ceng Body balancing device
US8209885B2 (en) * 2009-05-11 2012-07-03 Brooks Sports, Inc. Shoe assembly with non-linear viscous liquid
US8650775B2 (en) * 2009-06-25 2014-02-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perimeter and central elements
US8479412B2 (en) * 2009-12-03 2013-07-09 Nike, Inc. Tethered fluid-filled chambers
US9801428B2 (en) * 2009-12-03 2017-10-31 Nike, Inc. Tethered fluid-filled chamber with multiple tether configurations
US9144268B2 (en) * 2010-11-02 2015-09-29 Nike, Inc. Strand-wound bladder
US9750300B2 (en) * 2011-12-23 2017-09-0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elevated plate sole structure
US9179733B2 (en) * 2011-12-23 2015-11-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elevated plate sole structure
US10806214B2 (en) * 2013-03-08 2020-10-20 Nike, Inc. Footwear fluid-filled chamber having central tensile feature
US20150272272A1 (en) * 2014-03-27 2015-10-01 Chinook Asia Llc Footwear cushioning system
US9974356B2 (en) * 2014-08-06 2018-05-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with arcuate underside cavity insert
WO2016151728A1 (ja) * 2015-03-23 2016-09-29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スタビライザを有する靴
US10327506B2 (en) * 2015-04-08 2019-06-25 Nike, Inc. Article with overlay secured to bladder element over im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rticle
US10070691B2 (en) * 2015-11-03 2018-09-1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bladder element having a cushioning component with a single central opening and a cushioning component with multiple connecting featur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1026475B2 (en) * 2016-09-08 2021-06-08 Nike, Inc.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le member
KR102206247B1 (ko) * 2017-02-01 2021-01-2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CN114983090A (zh) * 2017-05-18 2022-09-02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带有拉伸部件的铰接缓冲垫及制造缓冲垫的方法
KR102508755B1 (ko) * 2018-07-31 2023-03-09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의 물품용 밑창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3920A1 (en) 2001-11-21 2003-05-22 Nike, Inc.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US20060021251A1 (en) 2002-05-09 2006-02-02 Nike, Inc.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n insert
US20120233885A1 (en) 2011-03-16 2012-09-20 Nike, Inc. Footwear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Cham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8371A1 (en) 2020-02-06
CN115530479A (zh) 2022-12-30
EP3829381B1 (en) 2024-03-06
US20200037705A1 (en) 2020-02-06
US11071349B2 (en) 2021-07-27
EP4356775A2 (en) 2024-04-24
KR20210034641A (ko) 2021-03-30
KR102508755B1 (ko) 2023-03-09
CN112638193A (zh) 2021-04-09
US20210337928A1 (en) 2021-11-04
US11528960B2 (en) 2022-12-20
EP3829381A1 (en) 2021-06-09
US11903442B2 (en) 2024-02-20
US20230098712A1 (en) 2023-03-30
KR20230038809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9649B2 (en)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US11612213B2 (en)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KR102657289B1 (ko)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
US11596199B2 (en)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KR20220098230A (ko) 신발류 물품용 블래더
US11528960B2 (en)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