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777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777B1
KR102625777B1 KR1020200020421A KR20200020421A KR102625777B1 KR 102625777 B1 KR102625777 B1 KR 102625777B1 KR 1020200020421 A KR1020200020421 A KR 1020200020421A KR 20200020421 A KR20200020421 A KR 20200020421A KR 102625777 B1 KR102625777 B1 KR 10262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base station
neighboring
cells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060A (ko
Inventor
문정모
나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2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77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스몰셀 기지국이, 단말이 선호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의 후보셀의 인접 셀 중에서 하나의 인접 셀을 선택하여 설정 리스트에 포함시키며,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셀 중에서 하나를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한다. 그리고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셀 중에서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되지 않은 셀 중에서 하나를 세컨더리 셀로 선택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mall cell in dual connectivity mode to select a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셀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이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용량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다수의 셀들을 이용해 동시에 트래픽을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DC)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RAT(Radio Access Technology)의 종류와 망 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중 연결성 구조에서, 컨트롤러가 위치하여 단말의 상태를 관리하고 코어망과 제어 신호를 교환하는 기지국을 MN(Master Node)이라 하고, 데이터 전송만을 담당하는 기지국을 SN(Secondary Node)이라 한다. MN은 제어 신호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SN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4G 이동통신 이전까지는 대용량 서비스만을 제공하는데 비해 5G는 대용량 서비스뿐만 아니라 저지연고신뢰와 대용량 디바이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5G 망 구성에서 초기에, 광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은 MN으로 사용되고, 5G 기지국(gNB)를 SN으로 사용하는 EN(E-UTRA-NR)-DC NSA(Non-Stand Alone) 구조가 적용된다. 이후, 5G 기지국이 광역망을 서비스하면, 6GHz 이하 대역의 gNB가 MN이 되고 6GHz 이상 대역의 gNB가 SN이 되는 NR(New Radio)-DC 형태로 구성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DC 구조에서 SN 노드 추가시 최적의 SN 노드의 프라이머리(primary) 셀을 선택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이 다수의 후보 셀에서 최적의 프라이머리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셀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이 셀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이 셀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몰셀 기지국이, 단말이 선호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의 후보셀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호하는 PLMN 내의 후보셀의 인접 셀 중에서 하나의 인접 셀을 선택하여 설정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단계; 상기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셀 중에서 하나를 프라이머리(primary) 셀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셀 중에서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되지 않은 셀 중에서 하나를 세컨더리(secondary) 셀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중 연결 모드 구조에서, 스몰셀 기지국에서 다수의 후보셀이 존재할 때, 사용자의 선호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보조 기지국의 셀 별 신호 세기, 단말의 대역 지원 여부를 고려하여 최적의 프라이머리 셀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셀 선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않는 상황에서도 프라이머리 셀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보조 기지국 추가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선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기계형 통신 장비(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MTC devic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S, MT, AMS, HR-MS, SS, PSS, AT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B), gNB,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매크로 기지국(mac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NB, eNB, gNB, ABS,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선택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101)이 단말과 제어신호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매크로 기지국에 해당되는 MN(Master Node, 마스터 기지국이라고 명명됨)(102)과, 단말과 사용자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몰셀 기지국인 SN(Secondary Node, 보조 기지국이라고도 명명됨)(103)에 연결된다.
마스터 기지국(102)과 보조 기지국(103)은 5G 코어망(5generation core network, 5GC)(104) 또는 EPC(evolved packet core)(105)와 연결되어 외부망과 연동한다. 마스터 기지국(102)과 보조 기지국(103) 사이의 연결은 실시간 전송을 보장하지 않는 비전형 백홀(non-ideal backhaul)로 구성되며, X2 혹은 Xn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조 기지국의 추가, 수정, 삭제와 같은 절차가 수행되며, 사용자 데이터도 데이터가 마스터 기지국(102)에서 보조 기지국(103)으로 전달된다.
단말(101)이 마스터 기지국(102)을 통하여 EPC(105)에 접속(attach)하여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connection) 및 베어러(bearer)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단말(101)은 마스터 기지국(102)과 RRC 연결 상태(RRC connected)가 된다. 마스터 기지국(102)은 예를 들어, 현재 마스터 기지국의 혼잡(Congestion) 상태,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현황 및 마스터 기지국 주변의 보조 기지국의 존재 여부, 그 보조 기지국의 혼잡 상태 등을 고려하여 단말의 DC(Dual connectivity) 사용을 결정한다.
단말의 DC 사용을 결정하면, 마스터 기지국(102)은 보조 기지국(103)의 접속 성능을 측정하여 측정 리포트(measurement report)로 보고하도록 단말(101)에게 요청한다. 그리고 마스터 기지국(102)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마스터 기지국(102)이 제어하는 무선 자원으로 단말에게 데이터 송수신을 서비스하던 베어러 중 일부를 보조 기지국(103)을 통하여 서비스되도록 옮기는 절차 즉, 보조 기지국 추가(Secondary Node Addition) 절차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보조 기지국 추가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마스터 기지국(102)은 단말의 능력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5G 이동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지의 여부와,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band)을 체크한다. 그리고 마스터 기지국(102)은 주변의 보조 기지국(103)이 단말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 단말에게 보조 기지국(103)에 대한 측정을 요청한다. 그리고,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측정 리포트 즉, 측정 결과를 토대로 보조 기지국(103)을 통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마스터 기지국(102)은 추가 요청 메시지(SGNB ADDITION REQUEST)를 보조 기지국(103)으로 송신한다(S210). 이때, 마스터 기지국(102)은 보조 기지국(103)으로 이동시킬 베어러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베어러들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을 보조 기지국(103)에게 요청한다. 추가 요청 메시지(SGNB ADDITION REQUEST)는 RRC 및 무선 베어러 구성, 단말 능력(capabil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기지국(103)은 추가 요청 메시지(SGNB ADDITION REQUEST)를 수신하면 해당 베어러에 대한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무선 자원 할당 결과를 포함하는 추가 요청 확인 메시지(SGNB ADDITION REQUEST ACKNOWLEDGE)를 eNB로 송신한다(S220). 여기서, 보조 기지국(103)은 구체적으로, 추가 요청 메시지(SGNB ADDITION REQUEST)를 수신하면 보조 기지국(103)은 후보 셀 들을 결정하고, 후보 셀들 중에서 주보조셀(primary secondary cell) 즉, 프라이머리 셀을 결정하며, 무선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그리고, 추가 요청 확인 메시지(SGNB ADDITION REQUEST ACKNOWLEDGE)를 마스터 기지국(102)으로 송신한다. 추가 요청 확인 메시지(SGNB ADDITION REQUEST ACKNOWLEDGE)는 단말이 보조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자원 및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 기지국 추가 절차에서, 보조 기지국의 셀 선택을 위해 정보가 전달되며, 이 정보는 단말이 선호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리스트, 후보 셀 리스트,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 정보, 후보 셀들의 신호 세기 정보(예를 들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단계(S210)에서 위의 정보가 보조 기지국(10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기지국(103)은 위의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후보 셀 중에서 주보조셀 즉, 프라이머리 셀을 결정한다.
이중 연결 구조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상적으로 매크로 기지국(eNB)가 마스터 기지국(102)의 기능을 수행하고, 스몰셀 기지국(gNB)이 보조 기지국(103)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EN(E-UTRA-NR)-DC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
추가 요청 메시지(SGNB ADDITION REQUEST)를 수신한 보조 기지국인 스몰셀 기지국 즉, gNB가 셀 선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 3a에서와 같이, 먼저, 단말이 선호하는 PLMN들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301). PLMN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배치 및 운용되는 네트워크이며, 단말이 선호하는 PLMN들은 설정 횟수 이상 등록된 PLMN, 우선 순위를 가지는 PLM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선호하는 PLMN들이 있으면, 선호하는 PLMN들 내에서 후보 셀들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302). 후보 셀은 마스터 기지국인 eNB에 속하는 셀이면서 또한 gNB에 대한 이웃 정보를 가지고 있는 셀 즉, gNB의 인접 셀을 나타낸다.
만약 후보 셀들이 있으면, 각 후보 셀들의 인접 셀 리스트가 있는지를 체크한다(S303). 즉, 각 후보 셀들에 대해, 해당 후보 셀에 대한 이웃 정보를 가지고 있는 인접 셀들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인접 셀 리스트가 있으면, 인접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각 인접 셀에 대해 PCI(Physical Cell Identification) 비교 절차를 수행한다(S304).
먼저, 인접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 인접 셀의 PCI와 gNB의 PCI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305).
gNB의 PCI와 일치하는 PCI를 가지는 인접 셀이 존재하면, 해당 인접 셀이 지원하는 대역이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인지를 판단한다(S306). 만약 단말이 지원하는 밴드이면, 해당 인접 셀을 세컨더리(secondary) 셀 리스트에 포함시킨다(S307). 이때, 해당 인접 셀이 지원하는 대역이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인 경우,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측정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인접 셀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후보 셀의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예를 들어, 세기가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만, 해당 인접 셀을 세컨더리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음에, 현재 세컨더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셀 중 최고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셀을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 및 지정한다(S309).
이러한 단계(S304~S309)를 하나의 후보 셀이 가지는 인접 셀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인접 셀들에 대해 수행한다.
한편, 단계(S303)에서 하나의 후보 셀에 대해 인접 셀 리스트가 없는 경우, 모든 후보 셀에 대해 인접 셀 체크 여부가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고(S310), 모든 후보 셀에 대해 인접 셀 체크 여부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302)로 복귀하여 다른 후보 셀에 대해 단계(S304~S309)를 반복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선호하는 PLMN들 내에서 후보 셀들 각각에 대해서 인접 셀별로 단계(S304~S309)가 수행됨에 따라 세컨더리 셀 리스트에 포함되는 셀 중에서 최고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셀이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된다.
한편, 단말이 선호하는 PLMN들이 없거나 후보 셀이 없거나 또는 모든 후보 셀에 대해서 단계(S304~S309)를 수행한 경우, 도 3b에서와 같이, 프라이머리 셀이 발견되지 않으면(S311), 모든 gNB의 인접 셀 정보를 참조하여 eNB와 연결되어 있는 셀들을 찾는다(S312, S313). 다음, eNB와 연결되어 있는 셀들 중에서 로드(load)가 가장 작은 셀(예를 들어, 활성화된(active) 사용자 수가 설정 개수 이하이거나 무선 자원 사용률이 설정 사용률 이하인 셀 등)을 선택하고, 선택된 셀을 gNB의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 및 지정한다(S314, S315).
한편, 세컨더리 셀 리스트에서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되지 않은 셀들은 gNB의 세컨더리 셀로 지정된다.
이러한 셀 선택 과정을 통해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중 연결 모드 중 EN-DC 구조에서 보조 기지국에서 다수의 후보셀이 존재할 때, 사용자의 선호 PLMN, 보조 기지국의 셀 별 신호 세기, 단말의 대역 지원 여부를 고려하여 최적의 프라이머리 셀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선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선택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43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4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450) 및 저장 장치(460)를 포함하며, 이들은 버스(47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위의 도 2, 도 3a 및 도 3b을 토대로 설명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중앙 처리 장치(CPU)이거나, 또는 메모리(420) 또는 저장 장치(46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420)는 프로세서(4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410)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420)는 프로세서(410)에서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460)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20)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421) 및 RAM(4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420)/저장 장치(460)는 프로세서(4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410)와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430)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공받아 프로세서(21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430)는 프로세서(410)의 처리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4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410)로 전달하거나, 프로세서(410)의 처리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450)는 마스터 기지국과 X2 혹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이 셀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몰셀 기지국이, 마스터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추가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단말이 선호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호하는 PLMN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호하는 PLMN내의 후보셀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호하는 PLMN 내의 후보셀의 인접 셀 중에서 하나의 인접 셀을 선택하여 설정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단계;
    상기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셀 중에서 하나를 프라이머리(primary) 셀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셀 중에서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되지 않은 셀 중에서 하나를 세컨더리(secondary) 셀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단계는, 인접 셀의 PCI(Physical Cell Identification), 인접 셀이 지원하는 대역 그리고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후보셀의 인접 셀 중에서 하나의 인접 셀을 선택하는, 셀 선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단계는,
    상기 후보셀의 인접 셀 중에서 상기 스몰셀 기지국의 PCI와 일치하는 PCI를 가지는 인접 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일치하는 PCI를 가지는 인접 셀 중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을 지원하는 인접 셀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을 지원하는 인접 셀 중에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인접 셀을 선택하여 상기 설정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 선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셀 중에서 최고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인접 셀을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하는, 셀 선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셀이 없거나, 또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스몰셀 기지국이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셀들을 찾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되어 있는 셀 중에서 로드(load)가 가장 작은 셀을 선택하여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셀 선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가장 작은 셀은, 활성화된 사용자 수가 설정 개수 이하인 셀 또는 무선 자원 사용률이 설정 사용률 이하인 셀을 나타내는, 셀 선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셀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스몰셀 기지국이 마스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이 선호하는 PLMN 리스트, 후보 셀 리스트, 후보 셀들의 신호 세기 정보,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선호하는 PLMN은 설정 횟수 이상 등록된 PLMN 및 우선 순위를 가지는 PLM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셀 선택 방법.
  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이 셀을 선택하는 장치로서,
    마스터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이 선호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리스트, 후보 셀 리스트, 후보 셀들의 신호 세기 정보,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셀 선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호하는 PLMN 리스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선호하는 PLMN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호하는 PLMN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호하는 PLMN 내의 후보셀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호하는 PLMN 내의 후보셀의 인접 셀 중에서 하나의 인접 셀을 선택하여 설정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단계;
    상기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셀 중에서 하나를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셀 중에서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되지 않은 셀 중에서 하나를 세컨더리 셀로 선택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셀 선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단계 수행시,
    상기 후보셀의 인접 셀 중에서 상기 스몰셀 기지국의 PCI(Physical Cell Identification)와 일치하는 PCI를 가지는 인접 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일치하는 PCI를 가지는 인접 셀 중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을 지원하는 인접 셀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을 지원하는 인접 셀 중에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인접 셀을 선택하여 상기 설정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셀 선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후보셀이 없거나, 또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스몰셀 기지국이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셀들을 찾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되어 있는 셀 중에서 로드가 가장 작은 셀을 선택하여 프라이머리 셀로 선택하는 단계
    를 추가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드가 가장 작은 셀은, 활성화된 사용자 수가 설정 개수 이하인 셀 또는 무선 자원 사용률이 설정 사용률 이하인 셀을 나타내는, 셀 선택 장치.








KR1020200020421A 2020-02-19 2020-02-1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2625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421A KR102625777B1 (ko) 2020-02-19 2020-02-1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421A KR102625777B1 (ko) 2020-02-19 2020-02-1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060A KR20210106060A (ko) 2021-08-30
KR102625777B1 true KR102625777B1 (ko) 2024-01-17

Family

ID=7750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421A KR102625777B1 (ko) 2020-02-19 2020-02-1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7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5998A (ja) * 2014-01-31 2016-12-2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マスタ基地局及びセカンダリ基地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56572A1 (en) * 2017-03-22 2018-09-27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5998A (ja) * 2014-01-31 2016-12-2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マスタ基地局及びセカンダリ基地局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5-195529*
3GPP TS36.423 v15.8.0*
TS 36.423 V15.8.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060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1318B2 (en) Method for processing traffic in unused band in an intermediate access point
WO2019192524A1 (zh) 接入选择方法及装置
US9516548B2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JP558431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通信方法
US20130016648A1 (en) Connectivity Setup For Dynamic Wireless Mesh Networks
CN102123480B (zh) 中继节点接入能力的通知及传输方法
EP2514110B1 (en) Interferen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self-organizing system
CN102695227B (zh) 一种家用基站协作传输数据的方法及家用基站
EP3648505B1 (en) Device and method for load distribution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278100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base station
US20180020486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reless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EP28902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creasing gateway stability in a lte mode femto cell system
EP2819450B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11611892B1 (en) Dynamic control of single-rat service based on threshold presence of dual-RAT-capable devices
JP5767738B2 (ja)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無線端末
WO2012142823A1 (zh) 小区切换方法、设备及系统
CN106797614B (zh) 无线基站、移动站、无线通信系统、无线基站的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CN115398975A (zh) 用于侧链路中继通信的信令传输的系统和方法
US11638199B1 (en) Dynamic control of connections with dual-connectivity-capable devices
JP6587752B2 (ja) 端末ハンドオーバ方法、制御部、端末、基地局、及びシステム
KR101756637B1 (ko) 무선 구성 파라미터들의 동기화
KR10262577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모드의 스몰셀 기지국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2013193B1 (ko) 소형셀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90005816A (ko) 5g 통신 시스템의 소형셀 ap의 성능 보장을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구동 방법
KR102011666B1 (ko) 5G 소형셀을 이용한 D-to-D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