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426B1 -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426B1
KR102625426B1 KR1020210159552A KR20210159552A KR102625426B1 KR 102625426 B1 KR102625426 B1 KR 102625426B1 KR 1020210159552 A KR1020210159552 A KR 1020210159552A KR 20210159552 A KR20210159552 A KR 20210159552A KR 102625426 B1 KR102625426 B1 KR 102625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wastewater treatment
treatment tank
toile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2880A (ko
Inventor
남택진
조광민
조형준
김태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5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426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08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articulated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로부터 발생된 오폐수를 오수탱크를 경유하여 기존 변기로 재배출시키는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는, 화장실 내 설치된 세면대나 변기로부터 배출된 오폐수를 저장하는 중간저류조와, 상기 중간저류조와 오폐수유입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화장실 외부에 설치된 변기로 오폐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변기 상부에 설치되는 오폐수처리탱크와, 상기 오폐수처리탱크의 일측에 설치되며, 소독액분사호스를 통해 오폐수처리탱크 내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액분사장치와, 상기 오폐수처리탱크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수위조절밸브 및 상기 오폐수처리탱크, 소독액분사장치 및 수위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Portabl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로부터 발생된 오폐수를 오수탱크를 경유하여 기존 변기로 재배출시키는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주로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에 설치되는 수세식변기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는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질소와 인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악취가 발생하게 되다. 특히,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에 포함된 질소와 인은 미생물의 활동 및 증식을 위한 단백질과 핵산합성의 필수 영양소로 작용하게 되고, 잔류분은 제거되거나 방류되는데 상기 잔류분의 질소와 인이 자연에 방류되어 수질 및 대지를 오염시키게 된다.
발생되는 분뇨 및 오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들여 하수시설 및 급수시설을 설치하여 화장실을 운용하거나, 오수탱크 및 급수탱크를 설치하여 정기적으로 진공수거차량을 이용해 오수탱크내의 오수를 수거하거나, 또는 자연 발효식 화장실 혹은 정화장치를 설치하여 일부의 오수를 방류하는 실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특정 지역 내 화장실을 위해서 상하수 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과도한 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오수탱크 내 오수를 수거하기 위하여 진공수거차량을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정기적인 비용지출의 문제가 있으며, 특히 일정기간 동안 오수탱크에 오수가 쌓이면서 악취 및 해충발생 등과 같은 비위생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1. 한국 특허공개 제10-2016-0145994호(2016.12.21 공개)
본 발명은, 음압병동 내에 설치된 화장실로부터 발생된 오폐수를 오수탱크를 경유하여 기존 변기로 재배출시키는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는, 화장실 내 설치된 세면대나 변기로부터 배출된 오폐수를 저장하는 중간저류조와, 상기 중간저류조와 오폐수유입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화장실 외부에 설치된 변기로 오폐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변기 상부에 설치되는 오폐수처리탱크와, 상기 오폐수처리탱크의 일측에 설치되며, 소독액분사호스를 통해 오폐수처리탱크 내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액분사장치와, 상기 오폐수처리탱크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수위조절밸브 및 상기 오폐수처리탱크, 소독액분사장치 및 수위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폐수처리탱크 하부에 형성되며, 변기를 향해 오폐수를 토출시키는 오폐수토출구와, 상기 오폐수토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폐수처리탱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폐수유입관에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해주는 에어컴프레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간저류조와 연결되어, 중간저류조에 저장된 오폐수를 오폐수유입관으로 전달시키는 폐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기의 일측면에 설치된 물내림장치 및 수위조절밸브와 연동하여, 상기 오폐수처리탱크 내 오폐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물내림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폐수처리탱크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나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오폐수처리탱크의 상부로부터 연결되어 환풍장치까지 연장 형성되는 고무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무호스와 연결되는 환풍장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실로부터 발생되는 오페수를 별도의 상하수시설을 설치하거나 진공수거차량이 주기적으로 오수를 수거하지 않아도, 기존 변기 등을 활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압병동과 같은 내부 음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환경 내에서는, 병동 내 설치된 화장실의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추가설비를 설치하기 어렵고 수거차량의 출입 또한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음압병실용 화장실의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장치를 기존 변기에 설치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비용 없이, 수거차량의 출입 없이도 용이하게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오폐수처리탱크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오폐수처리탱크의 또 다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중간저류조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의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는, 화장실 내 설치된 세면대나 변기로부터 배출된 오폐수를 저장하는 중간저류조(10)와, 상기 중간저류조(10)와 오폐수유입관(11)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화장실 외부에 설치된 변기로 오폐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변기 상부에 설치되는 오폐수처리탱크(20)와,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소독액분사호스(33)를 통해 오폐수처리탱크(20) 내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액분사장치(30)와,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수위조절밸브(40) 및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 소독액분사장치(30) 및 수위조절밸브(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중간저류조(10)는 음압병동을 포함한 다양한 시설의 화장실 내에 설치된 세면대에서 사용된 물이나, 변기로부터 배출된 오폐수를 오폐수처리탱크(20)에 보내기 전 중간 저장을 위한 구성으로, 일정량의 오폐수를 수용할 수 있는 함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면대나 변기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저류조(10)는 세면대로부터 연결된 배관(P1) 및 변기와 연결된 배관(P2)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배관을 통해 전달된 오폐수는 중간저류조(10) 내에 저장되었다가 오폐수유입관(11)을 통해 오폐수처리탱크(20)로 보내진다.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는 전달된 오폐수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정수위 이상의 오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된 챔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처리된 오폐수를 하부에 위치한 변기로 배출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지면에 인접 설치되는 중간저류조(10)로부터 지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오폐수처리탱크(20)로 오폐수를 전달하기 위하여 펌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오폐수유입관(11)으로부터 전달된 오폐수는 오폐수처리탱크(20) 상측면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는 변기와 같이 오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를 향해 오폐수를 토출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오폐수처리탱크(20)를 지지해주기 위한 지지대(25)가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처리탱크(20) 하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251)와 상기 플레이트(251)에서 지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2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오폐수처리탱크(20) 구조에 의하여, 오폐수처리를 필요로 하는 장소, 특히 음압병동에 오폐수유입관(11)만을 연결하여 설치 가능할뿐만 아니라, 최초 설치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오폐수처리가 필요한 다수의 음압병동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51) 하부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물튀김방지장치(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튀김방지장치(255)는 변기 위에 설치된 오폐수처리탱크(20)에서 변기를 향해 오폐수가 토출되면서 물이 튀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수직프레임(253)에서 일정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변기의 크기나 높이에 따라 달리 적용하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소독액분사호스(33)를 통해 오폐수처리탱크(20) 내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액분사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소독액분사장치(30)는 크게 소독액저장장치(31)와 소독액분사호스(3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독액이 내장된 소독액저장장치(31)로부터 일정주기를 가지고 소독액분사호스(33)를 통해 오폐수처리탱크(20) 내부로 소독액이 분사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오폐수를 정화시킨다. 오폐수처리탱크(20) 내에 수용된 오폐수를 다시 변기와 같은 2차처리장치로 보내는 과정 중간에서 소독 및 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소독액분사호스(33)를 통해 유입된 소독액은 오폐수와 잘 교반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반장치가 오폐수처리탱크(2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수위조절밸브(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밸브(40)는 오폐수처리탱크(20) 내 저장된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유입되는 오폐수와 배출되는 오폐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넘치거나 부족하지 않게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오폐수처리탱크(20)의 하측부와 상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수위를 그 사이범위로 유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 소독액분사장치(30) 및 수위조절밸브(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오폐수처리탱크(20)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을 밸브 등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소독액분사장치(30)로부터 분사되는 소독액의 양읠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수위조절밸브(40)를 제어하여 탱크 내 저장된 오폐수의 양을 조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간저류조(10)와 연결되어, 중간저류조(10)에 저장된 오폐수를 오폐수유입관(11)으로 전달시키는 폐수펌프(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수펌프(70)는 중간저류조(10)에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지면에 인접하여 설치된 중간저류조(10) 내부의 오폐수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오폐수처리탱크(20)로 보내기 위한 펌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중간저류조(10)는 화장실 내 설치된 세면대나 변기로부터 발생된 오폐수를 지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폐수펌프(70) 구성 통해 압력을 가해줌으로써 오폐수를 높은 위치의 오폐수처리탱크(20)까지 전달하여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폐수유입관(11)에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해주는 에어컴프레셔(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저류조(10)의 오폐수를 높은 위치에 있는 오폐수처리탱크(20)로 펌핑하여 전달해주기 위하여 에어컴프레셔(60)가 상기 오폐수유입관(11)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폐수유입관(11)을 통과하는 오폐수는 에어컴프레셔(60)로부터 발생된 고압의 에어를 통해 높은 위치의 오폐수처리탱크(20) 상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컴프레셔(60)는 제어부(50)와 연동하여 지속적으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해줌으로써 중간저류조(10)로부터 오폐수처리탱크(20)까지 오폐수를 전달해줄 수 있으나, 상기 중간저류조(10) 내에 저장된 오폐수의 양에 따라 에어컴프레셔(60)의 작동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저류조(10) 내에 저장된 오폐수가 적은 경우에는 상기 에어컴프레셔(6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중간저류조(10) 내에 저장된 오폐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서 오폐수유입관(11)이 막히거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에서 에어컴프레셔(60)를 작동시켜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 하부에 형성되며, 변기를 향해 오폐수를 토출시키는 오폐수토출구(21)와, 상기 오폐수토출구(21)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개폐밸브(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폐수처리탱크(20)에 저장된 오폐수를 하부에 위치한 기존 화장실의 변기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오폐수처리탱크(20) 하부에 오폐수토출구(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오폐수의 토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오폐수토출구(21)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개폐밸브(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동개폐밸브(23)는 통과되는 오폐수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 구성으로, 상기 수위조절밸브(40)와 연동하여 일정수위 이상이 되는 경우, 제어부(50)로부터 개방신호를 전달받아 자동으로 개방되어 오폐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오폐수토출구(21)는 외부의 기존 화장실의 변기와 연결되어 기존 화장실의 변기로 오폐수를 토출시킴으로써 기존 화장실의 변기의 배관을 통하여 오폐수를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변기의 일측면에 설치된 물내림장치(L) 및 수위조절밸브(40)와 연동하여,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 내 오폐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물내림장치(L)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에서 배출되는 오폐수가 변기 내부에 그대로 남지 않고 변기의 물내림작용과 연동하여 바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50)는 변기의 물내림장치(L) 및 수위조절밸브(40)와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수위조절밸브(40)에서 일정수위 이상의 오폐수가 감지된 경우 오폐수토출구(21)의 자동개폐밸브(23)가 열리면서 토출작용이 이루어지고, 이에 연동하여 제어부(50)에서 변기의 물내림장치(L)를 작동시켜 실시간으로 토출된 오폐수를 바로 배출시킴으로써 변기 내에 남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나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오폐수처리탱크(20)의 상부로부터 연결되어 환풍장치(90)까지 연장 형성되는 고무호스(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무호스(80)와 연결되는 환풍장치(90)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90a, 9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는 음압병동을 포함한 다양한 시설의 화장실에서 발생된 오폐수가 저장되는 장소로, 소독액을 분사시켜 내부 소독하는 것과는 별도로 그 내부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가스를 제거해줄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오폐수처리탱크(2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무호스(80)가 연결되어, 냄새 및 가스를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고무호스(80)의 끝단에는 환풍장치(90)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환풍장치(90)를 통해 기체가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풍장치(90)는 일반 건물에 설치되는 환풍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동이 용이한 박스형의 환풍장치(8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풍장치(80)의 내부에는 배출되는 가스, 특히 음압병동 내 환자들로부터 발생된 비말 등을 필터링하기 위한 목적의 흡착필터(90a) 또는 헤파필터(90b)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박스형의 환풍장치(80)는 개폐가 용이하여 필터를 쉽게 교체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폐수처리탱크(20)를 포함한 구성 전체를 포함하는 하우징(100)이 변기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오폐수처리탱크(20)와 변기 전체를 감싸도록 전면이 폐쇄되어 이루어지되, 하부면은 개방되어 상기 오폐수유입관(11)이 오폐수처리탱크(20)와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 구성을 통해 오폐수 처리장치와 변기를 포함한 전체구성을 하나의 모듈로써 관리할 수 있으며, 전면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 패널을 통해 내부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중간저류조
11 : 오폐수유입관
20 : 오폐수처리탱크
21 : 오폐수토출구
23 : 자동개폐밸브
25 : 지지대
251 : 플레이트
253 : 수직프레임
255 : 물튀김방지장치
30 : 소독액분사장치
31 : 소독액저장장치
33 : 소독액분사호스
40 : 수위조절밸브
50 : 제어부
60 : 에어컴프레셔
70 : 폐수펌프
80 : 고무호스
90 : 환풍장치
90a : 흡착필터
90b : 헤파필터
100 : 하우징
L : 물내림장치

Claims (7)

  1. 화장실 내 설치된 세면대나 변기로부터 배출된 오폐수를 저장하는 중간저류조;
    상기 중간저류조와 오폐수유입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화장실 외부에 설치된 기존 화장실의 변기로 오폐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존 화장실의 변기 상부에 설치되는 오폐수처리탱크;
    상기 오폐수처리탱크의 일측에 설치되며, 소독액분사호스를 통해 오폐수처리탱크 내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액분사장치;
    상기 오폐수처리탱크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수위조절밸브;
    상기 오폐수처리탱크, 소독액분사장치 및 수위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오폐수처리탱크 하부에 형성되며, 기존 화장실 변기와 연결되어 기존 화장실 변기로 오폐수를 토출시키는 오폐수토출구; 상기 오폐수토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개폐밸브; 및
    상기 중간저류조와 연결되어, 중간저류조에 저장된 오폐수를 오폐수유입관으로 전달시키는 폐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존 화장실의 변기의 일측면에 설치된 물내림장치 및 수위조절밸브와 연동하고, 상기 오폐수처리탱크 내 오폐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물내림장치를 작동시키며,
    상기 오폐수 처리 탱크는 플레이트와 복수개의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오폐수처리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오폐수유입관만을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이동 설치 가능하고,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오폐수처리탱크에서 기존 화장실 변기를 향해 오폐수가 토출되면서 물이 튀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튀김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처리탱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폐수유입관에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해주는 에어컴프레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처리탱크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나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오폐수처리탱크의 상부로부터 연결되어 환풍장치까지 연장 형성되는 고무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호스와 연결되는 환풍장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
KR1020210159552A 2021-11-18 2021-11-18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 KR102625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552A KR102625426B1 (ko) 2021-11-18 2021-11-18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552A KR102625426B1 (ko) 2021-11-18 2021-11-18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880A KR20230072880A (ko) 2023-05-25
KR102625426B1 true KR102625426B1 (ko) 2024-01-16

Family

ID=8654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552A KR102625426B1 (ko) 2021-11-18 2021-11-18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4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384A (ja) * 2003-05-30 2004-12-16 Akurosu:Kk 処理水回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3832B2 (ja) * 1995-03-17 1999-04-19 福助工業株式会社 トイレ
KR101044413B1 (ko) * 2009-02-19 2011-06-27 최병인 빗물과 지열을 이용한 물과 에너지절약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60145994A (ko) 2015-06-11 2016-12-21 김익진 무방류 순환화장실의 오폐수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384A (ja) * 2003-05-30 2004-12-16 Akurosu:Kk 処理水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880A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8857B2 (en) Rotary cleaning apparatus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US5160606A (en) Gray water recovery system with ozone treatment
US20060180532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831928B1 (ko) 이동용 목욕차
WO2020040244A1 (ja) 畜舎、畜舎の臭気低減システム及び脱臭装置並びに畜舎の換気システム
KR20130007122A (ko) 약제 분무장치
US20150027941A1 (en) Portable sewage collection system
CN105201057A (zh) 一种用于公共卫生间的除臭设备
KR100927991B1 (ko) 세척식 배수트랜치가 구비된 조리장 세척배수장치
KR102625426B1 (ko) 이동형 오폐수 처리장치
CN107429508B (zh) 移动式冲水厕所系统
KR20180031648A (ko) 축사 지붕 설치용 탈취장치
KR100902791B1 (ko) 탈취 장치
CN102120633A (zh) 一种接触消毒池
KR20180040535A (ko) 축사 외벽 설치용 탈취장치
KR200349853Y1 (ko) 조립식 돈사
JP7411006B2 (ja) 散水ろ床装置、および散水ろ床装置の運転方法
JP2020174566A (ja) 畜舎およびその換気システム
CN100537447C (zh) 人工山坡地景观生活污水处理方法和系统
KR102449327B1 (ko) 분뇨 살균정화 처리 장치
JPH0424932Y2 (ko)
JP2022179007A (ja) 浄化槽用汚泥除去装置
CN201942548U (zh) 一种接触消毒池
CN210107603U (zh) 一种环保公厕气体净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