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170B1 - Charging device to prevent breakage of charging cable and poor connection - Google Patents

Charging device to prevent breakage of charging cable and poor conn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170B1
KR102625170B1 KR1020210094837A KR20210094837A KR102625170B1 KR 102625170 B1 KR102625170 B1 KR 102625170B1 KR 1020210094837 A KR1020210094837 A KR 1020210094837A KR 20210094837 A KR20210094837 A KR 20210094837A KR 102625170 B1 KR102625170 B1 KR 10262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harging
charging cable
cabl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13848A (en
Inventor
주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팝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팝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팝폰
Priority to KR102021009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170B1/en
Publication of KR2023001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1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내에 충전케이블을 고정 유지하는 고정수단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적 수단은,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내측 정삼각형상으로 이루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1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100)중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충전케이블(101)이 안착되어 외부로 인출토록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1 인출홈부(1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인출홈부(102)의 반대편 외주면 중앙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인입되는 제1 인입홈부(10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입홈부(104) 내측 소정의 위치에는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를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돌출부(10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 내주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야광링(107)이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에 위치한 상기 야광링(107)의 내측에는 미사용시 너저분하게 놓어 있는 상기 충전케이블(101)을 부착 정리하기 위한 직사각형상의 자석(109)이 구비된 커버체(10); 내부에는 상기 체결공(100)에 대응되는 중앙이 관통된 관통기둥(2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기둥(20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리브(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홈부(102)에 대응되는 제2 인출홈부(20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인입홈부(104)에 대응되는 제2 인입홈부(20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인입홈부(203) 내측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의 이탈 및 유동방지를 위한 제1 고정수단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의 내측에는 PCB(204)가 안착되어 고정가능하도록 PCB안착부(205)가 구비되며 타측 상기 제2 인출홈부(202) 내측에는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및 상기 PCB(204)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제2 고정수단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20); 를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와,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는,
제2 인입홈부(203)와 연결된 가이드바(211)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가이드홈(2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12)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홈(21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통과홈(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과홈(213) 내측으로는 상기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가 안착 고정가능하도록 안착홈(214)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214)의 양측은 격벽(215)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와,
상기 제2 고정수단부(220)는,
상기 제2 인출홈부(202)를 기준으로 내측 양쪽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
일측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충전케이블(101)을 억지끼움식으로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홈(221)이 구비된 구획벽(222); 상기 구획벽(222) 중심에서 타측으로 상기 외주면과 맞닿아 연결되도록 구비된 중심벽(223); 상기 구획벽(222)의 양끝단 가까이에서 타측으로 'ㄴ'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심벽(223)과의 간격에 상기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또는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이탈방지를 위한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용 결합벽(225); 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와,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결합홈(221)의 위치보다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삽입홈(224)의 위치가 상기 중심벽(223)과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을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은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어느 위치 어느 장소에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부착 및 탈착이 손쉬우므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전원공급 케이블에 분기된 복수개 이상의 충전케이블을 결합함으로서 복수개 이상의 휴대폰 및 기타 전자기기의 충전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내에 충전케이블을 고정 유지하는 고정수단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할 수 있으며,
또한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개 이상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PCB inside the main body and cover to prevent theft or loss of the charging cable and to easily distribute charging terminals to connect multiple mobile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charge at on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to secure the charging cable within the main body so that it does not fall off from the PCB due to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ble or external force, thereby ensuring stability of contact in case of disconnection or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As it relates to a preventive charging device,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 respect to the inner center, fastening holes 100 are perforated at positions forming an equilateral triangl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0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hole 100 located in the center among the fastening holes 100. It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draw-out grooves 102 so that it is seated and pulled out to the outside, and at the cen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draw-out groove 102 is a first lead-in groove 104 into which the power supply cable 103 is inserted. is provided, and a pressing protrusion 106 for pressurizing and fixing the power supply cable terminal 105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first lead-in groove 104, and an inner peripheral portion inside the centrally located fastening hole 100 is provided. A plurality of luminous rings 107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display unit 108, and the inner side of the luminous rings 107 located inside the centrally located fastening hole 100 when not in use. A cover body (10) provided with a rectangular magnet (109) for attaching and organizing the messy charging cable (101); Inside, a through pillar (200) with a center pierced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00). is provided, and a rib 201 is formed between the through pillars 200 while maintaining the gap, and a second draw-out groove portion 202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aw-out groove portion 102 is provided, and the first draw-out groove portion 202 is provided. A second lead-in groove 203 corresponding to the lead-in groove 104 is provided, and a first fixing means 21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lead-in groove 203 to prevent the power supply cable 103 from leaving and moving. It is provided with a PCB seating part 205 on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means 210 so that the PCB 204 can be seated and fixed, and a charging cable 101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withdrawal groove 202 on the other side. A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charging cable from coming off and failing to connect, including a main body (20) with a second fixing means (220) formed thereon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from coming off or falling off from the PCB (204);
The first fixing means 210,
A guide bar 211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groove 203 is provided on both sides to form a guide groove 212, and at the end of the guide groove 212, a passage groove 213 is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guide groove 212. is formed, and a seating groove 214 is provided inside the passage groove 213 so that the power supply cable terminal 105 can be seated and fixed, and partition walls 21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groove 214. A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The second fixing means 220,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based on the second withdrawal groove portion 202,
On one side, a partition wall 22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221 to allow the charging cable 101 to be pressed together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 center wall 223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nd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rom the center of the partition wall 222 to the other side; An insertion groove is joined in an 'ㄴ' shape near both ends of the partition wall 222 to the other side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101 from coming off or moving in the gap with the center wall 223. A coupling wall (225) for preventing separation formed at (224); A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including a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224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wall 223 is relatively closer to the center wall 223 than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groove 22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wall 223. By having a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as a structural fea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expensiv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tand,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installed freely in any location, has the effect of being easy to store and manage because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has the effect of using a single power supply cabl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ranched charging cables, it is possible to charge a plurality of mobile phon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stability of contact by providing a fixing means to securely maintain the charging cable within the main body to prevent it from falling off the PCB due to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ble and external forces.
In addition,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PCB inside the main body and cover, preventing theft or loss of the charging cable, and simply distributing charging terminals to enable charging of multiple mobile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at once.

Description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Charging device to prevent breakage of charging cable and poor connection}{Charging device to prevent breakage of charging cable and poor connection}

본 발명은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내에 충전케이블을 고정 유지하는 고정수단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PCB inside the main body and cover to prevent theft or loss of the charging cable and to easily distribute charging terminals to connect multiple mobile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charge at on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to secure the charging cable within the main body so that it does not fall off from the PCB due to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ble or external force, thereby ensuring stability of contact in case of disconnection or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It is about a preventive charging device.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PMP, MP3, 네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의 휴대가 가능한 전원 공급 대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기가 필수적인데, 통상의 충전기는 가정용의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전원 공급 대상 기기에 접속되는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며, 하나의 충전기에 하나의 모바일기기만 충전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a charger is essential to enable operation and charging by supplying power to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MPs, MP3s, navigation devices, portable game consoles, digital cameras, and digital camcorders. converts household commercial AC power into direct current power and supplies power to a connector connected to each power supply target device, and is designed so that only one mobile device can be charged on one charger.

그러나, 근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한 번에 여러 종류의 모바일기기를 충전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음식점, 편의점, 호텔, PC 게임방 등 일반 영업소 및 전시장 등의 경우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 정신으로 휴대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를 설치하고 있는 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충전기가 도난당함에 따라 그 피해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use of various types of devices has increased, there is a need to charge several types of mobile devices at once. In particular, services for users are needed in general sales offices and exhibition halls such as restaurants, convenience stores, hotels, and PC game rooms. We are installing chargers that can mentally charge mobile phones, but the damage is increasing a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chargers are stolen.

이러한 충전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94642호 "멀티충전식 휴대폰 충전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플러그와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공급 되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직류전원장치와 상기 직류전원장치로부터 연장되며 그 단부에 충전잭을 갖는 충전케이블로 이루어진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잭과 연결가능한 연결잭과, 상기 연결잭 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단부에 휴대폰의 전원연결포트와 삽입가능한 연장충전잭을 갖는 연장케이블로 이루어진 연장충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충전식 휴대폰 충전기를 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related to this charging device includes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4642, “Multi-Charge Cell Phone Charger,” which is more specifically a power plug that is inserted into an outlet to supply power and a power plug that supplies power from the power plug. In a typical mobile phone charger consisting of a direct current power device that converts AC power into DC power, and a charging cable extending from the direct current power device and having a charging jack at its end, a connection jack connectable to the charging jack, and a charging cable from the connection jack A multi-rechargeable mobile phone charger is propos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xtension charging unit made of an extension cable that extends and has a mobile phone power connection port and an insertable extension charging jack at the end.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9-0024553호 "멀티 충전기"가 있는데,Also, as a prior art, there is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24553 “Multi Charger”.

상기 종래기술은 원반 형태의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는 상용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선이 연결되고, 케이스 측면 둘레로는 등간격으로 전원 공급 대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가 분리 가능 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속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원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전압부;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원을 복수의 전원으로 분배하여 상기 접 속구에 공급하는 전원 분배부;로 구성된 충전기를 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has a disc-shaped case, and a power line for supplying commercial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ase, and connectors for supplying power to a power supply object are separat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side of the case.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that can be connected are formed, and inside the case, a constant voltage unit that converts commercial AC power supplied from a power line into DC power; A charger consisting of a power distribution unit that distributes the direct current power converted from the constant voltage unit into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and supplies them to the connection port.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공공장소 등에서 불특정 다수를 위해 설치되는 경우, 연결케이블의 도난, 분실 등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업주는 도난이나 분실이 일어날 때 마다 케이블을 재구매해야 하는 등의 비용적인 부담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However, when the above two conventional technologies are installed for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n public places, etc., theft or loss of the connecting cable can easily occur, and as a result, the business owner has to repurchase the cable every time the theft or loss occurs. There is bound to be a burden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난을 방지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본원인이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657447호 "분실 방지용 다목적 충전기"를 들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technologies to prevent theft have been proposed in the past, and such prior technologies include Patent No. 10-1657447, “Multipurpose charger for loss prevention,” registered by the applicant. there is.

상기 본원인이 등록받은 특허권은 일측에는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USB 단자가 구비된 충전기로서 일측에는 타원형의 제1 절개부가 한 개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타원형의 제2 절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 고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와 결합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제1 오목타원절개부가 한 개 구비 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2 오목타원절개부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고 이면에는 고정 테이프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 서 상기 커버체와 고정구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바닥체와 상기 USB단자에 일측이 결합되도록 포트가 타측에는 복수개의 전선이 분기되어 상기 제1 오목타원절개부 및 제2 오목타원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토록 구비되고 끝단에는 복수개의 핸드폰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잭이 구비된 포트전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체 내측에는 USB 단자안착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USB 단자안착부와 연하여 포트안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용 다목적 충전기를 제시하고 있다.The patent registered by the applicant is a charger equipped with a plug that connects to a power outlet on one side and a USB terminal on the other side, and has an oval-shaped first cutout on one side and an oval-shaped second cutout on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cover bodies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first concave elliptical cutout is provided on one side so as to be able to be combined with the cover body,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cave elliptical cutouts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a fixing tape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In the provided state, a plurality of wires are branch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 so that one side is coupled to the USB terminal and the bottom body fixedly coupled to the cover body and the fixture, thereby forming the first concave oval cutout and the second concave oval cutout. It is provided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a portion and includes a port wire section with a jack at the end to enable charging of a plurality of cell phones, and a USB terminal sea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ttom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seating portion to accommodate a port. A multi-purpose charger for loss prevention is presented, which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a charge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의 포트전선부가 구비되는 포트를 구성함에 있어, 포트안착부의 형상에 따라 포트를 선택해야 함으로서 선택의 제한이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는 연결케이블(모바일기기의 충전을 위한 케이블)을 사용할 수 없으며, 구체적으로 모바일기기 구매시 포함되어 있는 모바일기기 연결용 케이블을 사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포트를 더 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configuring a por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rt wire parts, there is a limitation in selection as the port must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ort seating part, and the existing connection cable (cable for charging mobile devices) is limited. ) cannot be used, and specific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ble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that is included when purchasing a mobile device cannot be used and an additional port must be purchased separately.

특히, 예를 들면, 2개로 분기되는 포트를 이용하다가 세 개로 분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세 개로 분기되는 별도의 포트를 재구매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중복투자로 인해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더 나아 가 하나의 포트전선부가 망가지더라도 개별적으로 교체가 불가능하여 분기된 새로운 포트를 다시 구매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particular, for example, if you are using a port that branches into two and need to branch into three, you must repurchase a separate port that branches into three, and the resulting duplicate investment may lead to increased maintenance costs. Furthermore, even if one port wire section is damaged, it cannot be replaced individually, resulting in the problem of having to repurchase a new branched port.

이와는 별도로 본원인이 등록받은 특허권의 문제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 케이블등이 외부 힘 또는 오래사용에 따라 유동되어 빠지거나 접촉 불량의 문제점도 함께 발생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93768호 발명의 명칭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를 들 수 있다.Separately, the problem with the patent rights registered by the applicant is that, in addition to the above problems, cables, etc., move and fall out due to external force or long-term use, or poor contact also occurs, and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o solve this problem is utility model registration. The title of invention No. 20-0493768 is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cable theft’.

상기 종래기술은 그 핵심이 '커버에 구비된 제1-2관통공이 본체에 구비된 제1-1관통공보다 상기 충전케이블의 더 안쪽에 밀착되어 상기 충전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 이나, 이 정도의 구성으로는 충전케이블이 빠지거나 또는 접촉 불량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는 기술로서 접촉 불량 및 충전케이블이 빠지는 현상에 대한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re of the prior art is that 'the 1-2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cover is in closer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harging cable than the 1-1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fix the charging cable.' It is a technology that cannot solve the problem of the charging cable falling out or poor contact with the configura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blem of poor contact and the charging cable falling out still cannot be solved.

(실용문헌 0001)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94642호(Utility Document 000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94642 (실용문헌 0002) 한국특허공개 제10-2009-0024553호(Practical Document 000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24553 (실용문헌 0003) 한국특허등록 제10-1657447호(Practical Document 000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57447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93768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9376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우선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개 이상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Firs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charging cable to the PCB inside the main body and cover to prevent theft or loss of the charging cable and to enable charging of multiple mobile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at once by simply distributing charging terminals,

또한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내에 충전케이블을 고정 유지하는 고정수단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stability of contact by providing a fixing means to securely maintain the charging cable within the main body so that it does not fall off from the PCB due to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ble or external force.

또한, 별도의 거치대 없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asy installation without a separate stand,

또한 하나의 전원공급 케이블에 분기된 복수개 이상의 충전케이블을 결합함으로서 복수개 이상의 휴대폰 및 기타 전자기기의 충전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imultaneous charging of a plurality of mobile phon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ranched charging cables into a single power supply ca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The specific solu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is,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내측 정삼각형상으로 이루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1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100)중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충전케이블(101)이 안착되어 외부로 인출토록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1 인출홈부(1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인출홈부(102)의 반대편 외주면 중앙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인입되는 제1 인입홈부(10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입홈부(104) 내측 소정의 위치에는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를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돌출부(10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 내주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야광링(107)이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에 위치한 상기 야광링(107)의 내측에는 미사용시 너저분하게 놓어 있는 상기 충전케이블(101)을 부착 정리하기 위한 직사각형상의 자석(109)이 구비된 커버체(10); 내부에는 상기 체결공(100)에 대응되는 중앙이 관통된 관통기둥(2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기둥(20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리브(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홈부(102)에 대응되는 제2 인출홈부(20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인입홈부(104)에 대응되는 제2 인입홈부(20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인입홈부(203) 내측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의 이탈 및 유동방지를 위한 제1 고정수단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의 내측에는 PCB(204)가 안착되어 고정가능하도록 PCB안착부(205)가 구비되며 타측 상기 제2 인출홈부(202) 내측에는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및 상기 PCB(204)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제2 고정수단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20); 를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와,"With respect to the inner center, fastening holes 100 are perforated at positions forming an equilateral triangl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0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hole 100 located in the center among the fastening holes 100. It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draw-out grooves 102 so that it is seated and pulled out to the outside, and at the cen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draw-out groove 102 is a first lead-in groove 104 into which the power supply cable 103 is inserted. is provided, and a pressing protrusion 106 for pressurizing and fixing the power supply cable terminal 105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first lead-in groove 104, and an inner peripheral portion inside the centrally located fastening hole 100 is provided. A plurality of luminous rings 107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display unit 108, and the inner side of the luminous rings 107 located inside the centrally located fastening hole 100 when not in use. A cover body (10) provided with a rectangular magnet (109) for attaching and organizing the messy charging cable (101); Inside, a through pillar (200) with a center pierced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00). is provided, and a rib 201 is formed between the through pillars 200 while maintaining the gap, and a second draw-out groove portion 202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aw-out groove portion 102 is provided, and the first draw-out groove portion 202 is provided. A second lead-in groove 203 corresponding to the lead-in groove 104 is provided, and a first fixing means 21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lead-in groove 203 to prevent the power supply cable 103 from leaving and moving. It is provided with a PCB seating part 205 on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means 210 so that the PCB 204 can be seated and fixed, and a charging cable 101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withdrawal groove 202 on the other side. A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charging cable from coming off and failing to connect, including a main body (20) with a second fixing means (220) formed thereon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from coming off or falling off from the PCB (204);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는,The first fixing means 210,

제2 인입홈부(203)와 연결된 가이드바(211)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가이드홈(2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12)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홈(21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통과홈(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과홈(213) 내측으로는 상기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가 안착 고정가능하도록 안착홈(214)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214)의 양측은 격벽(215)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와,A guide bar 211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groove 203 is provided on both sides to form a guide groove 212, and at the end of the guide groove 212, a passage groove 213 is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guide groove 212. is formed, and a seating groove 214 is provided inside the passage groove 213 so that the power supply cable terminal 105 can be seated and fixed, and partition walls 21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groove 214. A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상기 제2 고정수단부(220)는,The second fixing means 220,

상기 제2 인출홈부(202)를 기준으로 내측 양쪽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based on the second withdrawal groove portion 202,

일측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충전케이블(101)을 억지끼움식으로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홈(221)이 구비된 구획벽(222); 상기 구획벽(222) 중심에서 타측으로 상기 외주면과 맞닿아 연결되도록 구비된 중심벽(223); 상기 구획벽(222)의 양끝단 가까이에서 타측으로 'ㄴ'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심벽(223)과의 간격에 상기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또는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이탈방지를 위한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용 결합벽(225); 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와,On one side, a partition wall 22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221 to allow the charging cable 101 to be pressed together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 center wall 223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nd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rom the center of the partition wall 222 to the other side; An insertion groove is joined in an 'ㄴ' shape near both ends of the partition wall 222 to the other side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101 from coming off or moving in the gap with the center wall 223. A coupling wall (225) for preventing separation formed at (224); A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including a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결합홈(221)의 위치보다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삽입홈(224)의 위치가 상기 중심벽(223)과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224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wall 223 is relatively closer to the center wall 223 than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groove 22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wall 223. The above purpose can be achieved by incorporating a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as a structural featur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어느 위치 어느 장소에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부착 및 탈착이 손쉬우므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전원공급 케이블에 분기된 복수개 이상의 충전케이블을 결합함으로서 복수개 이상의 휴대폰 및 기타 전자기기의 충전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expensiv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tand,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freely installed in any location, and has the effect of being easy to store and manage because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ranched charging cables with the power supply cable, it is possible to charge more than one mobile phone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at the same time.

또한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내에 충전케이블을 고정 유지하는 고정수단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할 수 있으며,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stability of contact by providing a fixing means to securely maintain the charging cable within the main body to prevent it from falling off the PCB due to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ble and external forces.

또한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개 이상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PCB inside the main body and cover, preventing theft or loss of the charging cable, and simply distributing charging terminals to enable charging of multiple mobile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at once.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and is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서 커버체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서 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서 본체에 충전케이블 및 전원공급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cover in the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charging cable and power supply cable combined with the main body of the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ince various changes can be made and various forms can be taken,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and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nventional or dictionary definitions. It is not limited to the meaning, and the meaning and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the fact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or may exist.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ave Terms a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No.

이하,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which i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long with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서 커버체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서 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서 본체에 충전케이블 및 전원공급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or's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charging cable separation and connection failur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or's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charging cable separation and connection failure, and Figure 3 is the present inventor's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charging cable separation and connection failure.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cover in the devic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in the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charging cable and connection fail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of the charging cable and power supply cable combined with the main body of the charging device for prevention, and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of th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Below,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일반적인 충전장치는 일측에는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P)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USB 단자(U)가 구비된 충전케이블(101)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First, a general charging device is a charging cable (101) equipped with a plug (P) connected to a power outlet on one side and a USB terminal (U) on the other side.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지시부호 10은 커버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체(10)은 이면 즉, 저면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내측 정삼각형상으로 이루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1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100)중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충전케이블(101)이 안착되어 외부로 인출토록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1 인출홈부(1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인출홈부(102)의 반대편 외주면 중앙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인입되는 제1 인입홈부(10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입홈부(104) 내측 소정의 위치에는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를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돌출부(10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 내주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야광링(107)이 다수개 형성되어 표면 즉, 외부에는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에 위치한 상기 야광링(107)의 내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자석(109)이 구비된 구조이며, 충전케이블(101)을 미사용시에는 커버체(10) 내측에 구비된 상기 자석(109)의 자력이 커버체(10) 표면까지 미침으로 인해 플레시블한 상기 충전케이블(101)을 절곡 또는 구부려서 충전케이블(101) 선단에 위치한 부위를 상기 자석(109)을 이용하여 커버체(10) 표면에 부착하여 충전케이블(101)이 너저분하게 놓어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The reference numeral 10 indicates a cover body, and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ver body 10 has fastening holes (100) on its back side, that is, at positions formed in an equilateral triang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ased on the inner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 is perforated, and a pair of first drawing grooves 10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ly located fastening hole 100 among the fastening holes 100 so that a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01 are seated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The first lead-in groove 104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lead-out groove 102, into which the power supply cable 103 is inserted, and the power supply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first lead-in groove 104. A pressing protrusion 106 is provided to pressurize and fix the cable terminal 105, and a plurality of luminous rings 107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centrally located fastening hole 100 to form a surface, that is, an external surface. It is capable of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8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rectangular magnet 109 is provided inside the luminous ring 107 located inside the centrally located fastening hole 100, and the charging cable 101 is provided. When not in us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09 provided inside the cover body 10 extends to the surface of the cover body 10, thereby bending or bending the flexible charging cable 101 to bend the tip of the charging cable 101. By attaching the part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body 10 using the magnet 109, the problem of the charging cable 101 being left messy can be solved.

지시부호 20은 본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상기 체결공(100)에 대응되는 중앙이 관통된 관통기둥(2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기둥(20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리브(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홈부(102)에 대응되는 제2 인출홈부(20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인입홈부(104)에 대응되는 제2 인입홈부(20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인입홈부(203) 내측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의 이탈 및 유동방지를 위한 제1 고정수단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의 내측에는 PCB(204)가 안착되어 고정가능하도록 PCB안착부(205)가 구비되며 타측 상기 제2 인출홈부(202) 내측에는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및 상기 PCB(204)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제2 고정수단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The reference numeral 20 indicates the main body, and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through pillar 200 penetrated through the center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00, and A rib 201 is formed between the through pillars 200 while maintaining a gap, a second pullout groove 202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out groove 102 is provided, and the first pullout groove 104 ) is provided with a second lead-in groove 20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ad-in groove 203, and a first fixing means 21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lead-in groove 203 to prevent the power supply cable 103 from leaving and moving.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means 210 is provided with a PCB seating part 205 so that the PCB 204 can be seated and fixed, and the charging cable 101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withdrawal groove 202 on the other side. The second fixing means 220 is formed to prevent it from falling off the PCB 20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는,As shown in Figure 5, the first fixing means 210 is,

제2 인입홈부(203)와 연결된 가이드바(211)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가이드홈(2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12)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홈(21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통과홈(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과홈(213) 내측으로는 상기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가 안착 고정가능하도록 안착홈(214)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214)의 양측은 격벽(215)이 형성된 것이며,A guide bar 211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groove 203 is provided on both sides to form a guide groove 212, and at the end of the guide groove 212, a passage groove 213 is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guide groove 212. is formed, and a seating groove 214 is provided inside the passage groove 213 so that the power supply cable terminal 105 can be seated and fixed, and partition walls 21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groove 214.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수단부(220)는,As shown in Figure 5, the second fixing means 220,

상기 제2 인출홈부(202)를 기준으로 내측 양쪽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based on the second withdrawal groove portion 202,

일측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충전케이블(101)을 억지끼움식으로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홈(221)이 구비된 구획벽(222)과,On one side, a partition wall 22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221 so that the charging cable 101 can be pressure-fitt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and

상기 구획벽(222) 중심에서 타측으로 상기 외주면과 맞닿아 연결되도록 구비된 중심벽(223)과,A center wall 223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nd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rom the center of the partition wall 222 to the other side,

상기 구획벽(222)의 양끝단 가까이에서 타측으로 'ㄴ'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심벽(223)과의 간격에 상기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또는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이탈방지를 위한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용 결합벽(225)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An insertion groove is joined in an 'ㄴ' shape near both ends of the partition wall 222 to the other side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101 from coming off or moving in the gap with the center wall 223. It consists of a separation prevention coupling wall (225) formed at (224),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결합홈(221)의 위치보다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삽입홈(224)의 위치가 상기 중심벽(223)과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것이다.Preferably, the positions of the insertion grooves 224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wall 223 are relatively closer to the center wall 223 than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grooves 22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wall 223. It was formed.

이와 같이 구성된 이유는 충전케이블(101)이 상기 결합홈(221)을 통과한 후 안쪽으로 꺾임 현상을 통해 충전케이블(101)의 유동이나 이탈 등으로 인한 접촉 불양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this configuration is to prevent poor contact due to movement or separation of the charging cable 101 through the inward bending phenomenon after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groove 221.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10)와 본체(20)가 전원공급 케이블(103)과 충전케이블(101)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00)과 일치되는 관통기둥(200)을 나사 등 고정구로 고정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6, the cover body 10 and the main body 20 are aligned with the fastening hol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cable 103 and the charging cable 101 are combined. It is formed by fixing and combining the through pillar 200 with a screw or other fixture,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공급 케이블(103) 일측 끝단에 구비된 플러그(P)를 콘센트에 결합하고 충전케이블에 구비된 각각의 USB단자(U)에 모발일기기를 결합하여 충전하는 것이다.In the combin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plug (P) provided at one end of the power supply cable (103) is connected to an outlet, and the hair diary device is connected to each USB terminal (U) provided on the charging cable to charge.

이때, 야광링(107)에 의해 커버체(10) 표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08)를 통해 양광빛의 발생으로 인해 충전여부 또는 본 발명의 위치 파악등등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충전케이블(101)을 미사용시에는 커버체(10) 내측에 구비된 자석(109)의 자력이 커버체(10) 표면까지 미침으로 인해 플레시블한 상기 충전케이블(101)을 절곡 또는 구부려서 충전케이블(101) 선단에 위치한 부위를 상기 자석(109)을 이용하여 커버체(10) 표면에 부착하여 충전케이블(101)이 너저분하게 놓어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 기타 외부 환경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충전케이블(101) 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PCB(204)로 부터 접촉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로서 본 발명의 핵심인 제1 고정수단부(210)과 제2 고정수단부(220)에 대하여 설명하면,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charging or the lo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cted by generating sunlight through the display unit 108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body 10 by the luminous ring 107, and also to check the charging cable 101. ) When not in us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09 provided inside the cover body 10 extends to the surface of the cover body 10, thereby bending or bending the flexible charging cable 101 and cutting the tip of the charging cable 101. By attaching the part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body 10 using the magnet 109, the problem of the charging cable 101 being messy can be solved. When using it in this way, it can be caused by the user's carelessness or other external environment. The possible charging cable 101 or power supply cable 103 is a structur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contact defects from the PCB 204, and is composed of the first fixing means 210 and the second fixing means (210), which are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220),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제1 및 제2 인입홈부(104, 203)을 통해 인입된 후 상기 가이드바(211)로 이루어진 가이드홈(212)에 결합되고 더 나아가서 상기 통과홈(213)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외부의 어느 정도의 힘에 의해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상기 통과홈(213)으로 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가 안착홈(214)으로 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고 이로 인해 PCB(204)로 부터 접촉 불량의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The first fixing means 210 is connected to the guide bar 211 after the power supply cable 103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try grooves 104 and 203, as shown in FIGS. 4 and 5. It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212 and is further coupled to the passage groove 213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so that the power supply cable 103 is not separated from the passage groove 213 by a certain degree of external force. By doing so, there is no risk of the power supply cable terminal 105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214, and thus the problem of poor contact from the PCB 204 can be minimized.

반면에, 제2 고정수단부(220)의 경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204)에 고정 접촉된 충전케이블(101)의 타측이 우선적으로 상기 결합홈(221)에 각각 양측에 한쌍씩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홈(224)을 통과 결합함에 있어 상기 결합홈(221)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중심벽(223)쪽으로 더욱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벽(223) 족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삽입홈(224)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 이후 상기 제1 및 제2 인출홈부(102, 202)로 인출됨으로서 외부에서 충전케이블(101)을 어느 정도의 힘으로 당길때에는 상기 삽입홈(224)과 결합홈(221)이 외부 힘을 견딜 수 있어 PCB(204)까지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므로 결국 충전케이블(101)이 PCB(204)와의 접촉 불량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fixing means 220,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other side of the charging cable 101 in fixed contact with the PCB 204 is preferential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21, respectively. When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224 in a state where one pair on each side is pressure-fitted, the center wall 223 is relatively closer to the center wall 223 than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groove 221. After being bent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224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it is pulled out into the first and second withdrawal grooves 102 and 202, so that when the charging cable 101 is pu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force from the outside, the insertion Since the groove 224 and the coupling groove 221 can withstand external forces and do not affect the PCB 204, problems such as poor contact between the charging cable 101 and the PCB 204 can be minimized.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어느 위치 어느 장소에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부착 및 탈착이 손쉬우므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전원공급 케이블에 분기된 복수개 이상의 충전케이블을 결합함으로서 복수개 이상의 휴대폰 및 기타 전자기기의 충전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expensiv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tand,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freely installed in any location, and has the effect of being easy to store and manage because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ranched charging cables with the power supply cable, it is possible to charge more than one mobile phone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at the same time.

또한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내에 충전케이블을 고정 유지하는 고정수단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할 수 있으며,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stability of contact by providing a fixing means to securely maintain the charging cable within the main body to prevent it from falling off the PCB due to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ble and external forces.

또한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개 이상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PCB inside the main body and cover, preventing theft or loss of the charging cable, and simply distributing charging terminals to enable charging of multiple mobile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at on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of cours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understand the above-described content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it is obvious that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커버체 20 : 본체
100 : 체결공 101 : 충전케이블
102 : 제1 인출홈부 103 : 전원공급 케이블
104 : 제1 인입홈부 105 : 전원공급 케이블단자
106 : 가압돌출부 107 : 야광링
108 : 디스플레이부 109 : 자석
200 : 관통기둥 201 : 리브
202 : 제2 인출홈부 203 : 제2 인입홈부
204 : PCB 205 : PCB안착부
210 : 제1 고정수단부 211 : 가이드바
212 : 가이드홈 213 : 통과홈
214 : 안착홈 215 : 격벽
220 : 제2 고정수단부 221 : 결합홈
222 : 구획벽 223 : 중심벽
224 : 삽입홈 225 : 이탈방지용 결합벽
P : 플러그 U : USB단자
10: cover body 20: main body
100: fastening hole 101: charging cable
102: first withdrawal groove 103: power supply cable
104: first inlet groove 105: power supply cable terminal
106: Pressure protrusion 107: Luminous ring
108: display unit 109: magnet
200: Penetrating pillar 201: Rib
202: second lead-out groove 203: second lead-in groove
204: PCB 205: PCB seating part
210: first fixing means 211: guide bar
212: Guide groove 213: Passing groove
214: Seating groove 215: Bulkhead
220: second fixing means 221: coupling groove
222: partition wall 223: center wall
224: Insertion groove 225: Coupling wall to prevent separation
P: Plug U: USB terminal

Claims (4)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내측 정삼각형상으로 이루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1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100)중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충전케이블(101)이 안착되어 외부로 인출토록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1 인출홈부(1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인출홈부(102)의 반대편 외주면 중앙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인입되는 제1 인입홈부(10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입홈부(104) 내측 소정의 위치에는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를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돌출부(10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 내주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야광링(107)이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에 위치한 상기 야광링(107)의 내측에는 미사용시 너저분하게 놓어 있는 상기 충전케이블(101)을 부착 정리하기 위한 직사각형상의 자석(109)이 구비된 커버체(10);
내부에는 상기 체결공(100)에 대응되는 중앙이 관통된 관통기둥(2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기둥(20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리브(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홈부(102)에 대응되는 제2 인출홈부(20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인입홈부(104)에 대응되는 제2 인입홈부(20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인입홈부(203) 내측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의 이탈 및 유동방지를 위한 제1 고정수단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의 내측에는 PCB(204)가 안착되어 고정가능하도록 PCB안착부(205)가 구비되며 타측 상기 제2 인출홈부(202) 내측에는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및 상기 PCB(204)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제2 고정수단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20);
를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Fastening holes 100 are perforated at positions forming an equilateral triangl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ased on the inner center, and a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0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ly located fastening hole 100 among the fastening holes 100. A pair of first draw-out grooves 102 are provided so that they are seated and pulled out to the outside, and a first lead-in groove 104 into which the power supply cable 103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ce opposite to the first draw-out groove 102. It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106 for pressurizing and fixing the power supply cable terminal 105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first lead-in groove 104, and a predetermined pressure protrusion 106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centrally located fastening hole 100. A plurality of luminous rings 107 are formed at intervals of a cover body (10) provided with a rectangular magnet (109) for attaching and organizing the charging cable (101) placed there;
Inside, a through pillar 200 penetrating the center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00 is provided, and ribs 201 are formed between the through pillars 200 while maintaining a gap, and the first withdrawal A second withdrawal groove 202 corresponding to the groove 102 is provided, and a second lead-in groove 203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ad-in groove 104. Power is supplied inside the second lead-in groove 203. A first fixing means 210 is provided to prevent the cable 103 from coming off and moving, and a PCB seating part 205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means 210 so that the PCB 204 can be seated and fixed. ) is provided, and a second fixing means 220 is formed inside the second withdrawal groove 202 on the other side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101 from detaching and falling off from the PCB 204. ;
A charging device that prevents charging cable separation and connection fail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는,
제2 인입홈부(203)와 연결된 가이드바(211)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가이드홈(2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12)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홈(21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통과홈(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과홈(213) 내측으로는 상기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가 안착 고정가능하도록 안착홈(214)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214)의 양측은 격벽(215)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means 210,
A guide bar 211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groove 203 is provided on both sides to form a guide groove 212, and at the end of the guide groove 212, a passage groove 213 is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guide groove 212. is formed, and a seating groove 214 is provided inside the passage groove 213 so that the power supply cable terminal 105 can be seated and fixed, and partition walls 21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groove 214. A charging device that prevents the charging cable from coming off and failing to conn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수단부(220)는,
상기 제2 인출홈부(202)를 기준으로 내측 양쪽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
일측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충전케이블(101)을 억지끼움식으로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홈(221)이 구비된 구획벽(222);
상기 구획벽(222) 중심에서 타측으로 상기 외주면과 맞닿아 연결되도록 구비된 중심벽(223);
상기 구획벽(222)의 양끝단 가까이에서 타측으로 'ㄴ'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심벽(223)과의 간격에 상기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또는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이탈방지를 위한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용 결합벽(225);
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ixing means 220,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based on the second withdrawal groove portion 202,
On one side, a partition wall 22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221 to allow the charging cable 101 to be pressed together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 center wall 223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nd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rom the center of the partition wall 222 to the other side;
An insertion groove is joined in an 'ㄴ' shape near both ends of the partition wall 222 to the other side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101 from coming off or moving in the gap with the center wall 223. A coupling wall (225) for preventing separation formed at (224);
A charging device that prevents charging cable separation and connection failur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결합홈(221)의 위치보다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삽입홈(224)의 위치가 상기 중심벽(223)과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224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wall 223 is relatively closer to the center wall 223 than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groove 22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wall 223. A charging device that prevents the charging cable from coming off and connection failure.
KR1020210094837A 2021-07-20 2021-07-20 Charging device to prevent breakage of charging cable and poor connection KR1026251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837A KR102625170B1 (en) 2021-07-20 2021-07-20 Charging device to prevent breakage of charging cable and poor 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837A KR102625170B1 (en) 2021-07-20 2021-07-20 Charging device to prevent breakage of charging cable and poor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848A KR20230013848A (en) 2023-01-27
KR102625170B1 true KR102625170B1 (en) 2024-01-15

Family

ID=8510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837A KR102625170B1 (en) 2021-07-20 2021-07-20 Charging device to prevent breakage of charging cable and poor conn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170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642Y1 (en) 2005-06-22 2005-09-02 김종면 The portable telephone charger of multi-charging style
KR20090024553A (en)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에스피씨엔씨 Multi-function charger
KR101657447B1 (en) * 2014-09-01 2016-09-20 주식회사 팝폰 Loss prevention versatile charger
KR200493768Y1 (en) * 2019-05-16 2021-06-02 (주)정인일렉텍 Spinning floating sensor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848A (en)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0119C (en) Charging device
JP201921344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US8961220B2 (en) Multipurpose ultra-portable electronics cable
AU2006241303B2 (en) Cable management device for use in connection with a power center, and cabl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US7399201B1 (en) Electronic device charging platform and portable electrical outlet enclosure
US9912154B2 (en) Electrical power supplying device having a central power-receptacle assembly with a penisula-like housing structure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power plugs, adaptors and modules while concealed from view during power supplying operations
US7553174B2 (en) Cable management device configured to support one or more 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US10355424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KR200484178Y1 (en) Multi-Charging System
US20120019208A1 (en) Charg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2625170B1 (en) Charging device to prevent breakage of charging cable and poor connection
KR101657447B1 (en) Loss prevention versatile charger
KR200493768Y1 (en) Spinning floating sensor cleaner
KR101375777B1 (en) The portable battery charger
KR102290297B1 (en) Multi Charger with Loss of Charge Cable and Anti-Theft
KR102362069B1 (en) Charging device with storage
US20180175654A1 (en) Portable Speaker Charging Structure
KR200394642Y1 (en) The portable telephone charger of multi-charging style
KR20140001311U (en) Charg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ic
CN209402212U (en) Storage type replaceable plug charger
US9252609B2 (en) Hanging folder device charging system
KR101314548B1 (en) Desk
KR20190140585A (en) Recoiler for displaying goods
KR20150106576A (en) Mobile Phone Holder
KR200470483Y1 (en) Earphon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