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726B1 - Augmented reality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ugmented reality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726B1
KR102624726B1 KR1020190063152A KR20190063152A KR102624726B1 KR 102624726 B1 KR102624726 B1 KR 102624726B1 KR 1020190063152 A KR1020190063152 A KR 1020190063152A KR 20190063152 A KR20190063152 A KR 20190063152A KR 102624726 B1 KR102624726 B1 KR 102624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7202A (en
Inventor
홍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063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726B1/en
Publication of KR20200137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2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7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마련된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포함한 단말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정보 획득부;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따라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를 포함한 안테나 설치 정보를 설정하는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 설정된 안테나 설치 정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미리 정해진 서버로 전송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전달받은 타 서버로부터,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포함한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망 설계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에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증강현실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한다.
An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are disclosed.
An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a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ealth; an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that sets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according to terminal information acquired at a specific time; a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including set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server; a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simulation results of a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performed using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or another server that receives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and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unit that overlaps and displays an image representing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on a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ugmented reality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Augmented reality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 주변의 무선망 설계 정보를 증강현실 이미지로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gmented reality image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around the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module. This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최근, 4G 이동 통신 기술인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를 거쳐 5G 이동 통신이 상용화되는 등 다양한 이동 통신 기술을 위한 무선망이 구축됨에 따라,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무선망을 최적화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과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Recently, as wireless networks for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established, including the commercialization of 5G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4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E (Long Term Evolution) and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tools have been developed. Interest in and requests for technology that optimizes wireless networks using is increasing.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314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은 단순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리 정보만을 이용하여 무선망을 설계하기 때문에, 무선망 설계 및 구축시 실제 현장 상황을 반영할 수 없으며, 그 결과 무선망 설계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떨어지고, 추후 다시 드라이브 테스트를 수행해야 하는 등 무선망 최적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03147, the existing technology designs a wireless network simpl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so it cannot reflect actual field conditions when designing and building a wireless network. As a resul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wireless network design are reduc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time and money is required for wireless network optimization work, such as having to perform drive tests again later.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92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은 무선망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정해진 데이터 폼에 무선망 설계에 필요한 데이터를 직접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고 무선망 설계 프로그램의 사용을 위해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819236, the existing technology requires users who want to use a wireless network design program to directly enter the data required for wireless network design in a designated data form, which reduces convenience of use. There is a problem that high skill level is required to use the wireless network design progra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망 설계 및 구축시 실제 현장 상황을 반영하여 무선망 설계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개선하고 무선망 최적화 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사용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사용이 용이하고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의 사용과 결과에 대한 직관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wireless network design by reflecting actual field conditions when designing and constructing a wireless network,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wireless network optimization work, and to improve the user's skill level and The aim is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method that is easy to use and enables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use and results of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망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포함한 단말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정보 획득부;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따라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를 포함한 안테나 설치 정보를 설정하는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 설정된 안테나 설치 정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미리 정해진 서버로 전송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전달받은 타 서버로부터,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포함한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망 설계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에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증강현실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한다.An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provides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module, and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mera module. a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an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that sets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according to terminal information acquired at a specific time; a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including set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server; a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simulation results of a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performed using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or another server that receives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and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unit that overlaps and displays an image representing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on a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 획득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 수행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자세 감지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과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자세 정보 획득부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ncludes a photographing performing unit that operates the camera module to perform photographing;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location measurement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ostur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posture information including a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using a posture detection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는, 상기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각각 상기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sets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red at the specific time, respectively. and is configured to set the slop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는, 상기 특정 시점에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further includ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t the specific time to the serv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 수신부는, 상기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receiving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further including information about base stations located around the location of the antenna to be install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표시부는,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에 따른 기지국 또는 안테나의 위치, 전파 세기 및 전파 방향 중 1 또는 2 이상에 관한 이미지를 상기 촬영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related to one or more of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or antenna, radio wave intensity, and radio wave direction according to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by overlapping the captured imag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방법은,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망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포함한 단말 정보를 획득하는 (a)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따라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를 포함한 안테나 설치 정보를 설정하는 (b)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설정된 안테나 설치 정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미리 정해진 서버로 전송하는 (c)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전달받은 타 서버로부터,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포함한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하는 (d)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에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An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a) of acquiring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and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Step (b)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ting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according to terminal information acquired at a specific time; Step (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including set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server; (d)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a simulation result of a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performed using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or another server that receives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 step; and a step (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verlaps and displays an image representing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on a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촬영을 수행하는 (a1)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a2)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자세 감지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과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a3)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a) includes a step (a1)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s the camera module to take pictures; Step (a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location measurement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tep (a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quiring post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using the posture detection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각각 상기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in step (b),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hooting direction, and the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red at the specific time to the installation target. It includes setting the posi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antenna.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특정 시점에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step (c) includ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further includ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t the specific time to the serv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step (d) includ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further including information about base stations located around the location of the antenna to be install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에 따른 기지국 또는 안테나의 위치, 전파 세기 및 전파 방향 중 1 또는 2 이상에 관한 이미지를 상기 촬영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in step (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verlaps the captured image with one or two or more of the location, radio wave intensity, and radio wave direction of the base station or antenna according to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It includes the step of displaying.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술한 동작 또는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as a computer program that execute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or methods through a computer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 또는 안테나 설치 작업 현장에서 휴대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설치 대상 안테나의 설치 예정 위치, 방향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안테나 설치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안테나 설치 정보에 따른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무선망 설계 및 구축시 실제 현장 상황을 반영할 수 있으며, 무선망 설계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개선하고 무선망 최적화 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xpected installation loca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antenna to be installed is se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carried at a base station or antenna installation work site, and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set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is set. By displaying design simulation results on th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al time, actual field conditions can be reflected when designing and building a wireless network, improv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wireless network design and reducing the time and cost of wireless network optimization work. can do.

또한, 작업자가 안테나 설치 예정 위치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카메라 자세를 조절하는 단순한 방식으로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안테나 설치 정보를 자동 설정하고, 해당 시뮬레이션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증강현실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사용이 용이하고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의 사용과 결과에 대한 직관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operator automatically sets the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by simply adjusting the camera pos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antenna installation location, and displays the simulation results as an augmented reality image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displaying it, it is easy to use regardless of the user's skill level and enables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use and results of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Furthermor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clearly understan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at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various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망 설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촬영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증강현실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wireless network desig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aptured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들은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후술되는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clarify solutions to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y rather obscures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designer, manufacturer, etc. Therefore, definitions of terms described below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망 설계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1 shows a wireless network desig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용되는 무선망 설계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10), 망 관리 서버(20) 및 시뮬레이션 서버(3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지리 정보 서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wireless network desig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and a simulation server 30,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geographic information server ( 40) may further be included.

이동 통신 단말(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카메라 모듈을 가지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 기기이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기지국 또는 안테나 설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자신이 휴대한 이동 통신 단말(10)을 이용하여 망 관리 서버(20) 또는 시뮬레이션 서버(30)에 접속하여 무선망 설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a portable device that has a camera module and i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C, o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s will be explained again below, workers performing base station or antenna installation work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y carry to access the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or simulation server 30 to provid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You can receive it.

망 관리 서버(20)는, NMS(Network Management System)의 NMS 서버에 해당하는 서버로서, 무선망의 자원이나 장비를 감시, 제어 및 관리하는 서버이다. 망 관리 서버(20)는 무선망을 구성하는 기지국의 위치와 안테나 방향, 기울기, 출력 등과 같은 기지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The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is a server corresponding to an NMS server of a Network Management System (NMS) and is a server that monitors, controls, and manages resources and equipment of a wireless network. The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stores and manages base st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tenna direction, tilt, and output of base stations constituting the wireless network, in a database.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안테나 또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는, 위도 및 경도로 표현될 수 있는 수평 방향 위치는 물론, 고도로 표현될 수 있는 수직 방향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location’ of a base station, antenna, 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horizontal position that can be expressed in latitude and longitude, as well as a vertical position that can be expressed in altitude.

또한, 망 관리 서버(20)는, 이동 통신 단말(10)로부터 무선망 설계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이동 통신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현재 이동 통신 단말(10)의 주변에 있는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회득된 정보를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로서 시뮬레이션 서버(3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request for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search the current surrounding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the database. Information about existing base stations can be obtained, and the obtain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imulation server 30 as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시뮬레이션 서버(30)는, 주식회사 케이티에서 개발된 CellTrek과 같은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서버이다.이러한 시뮬레이션 서버(30)는 시뮬레이션 수행을 위한 기본 정보를 망 관리 서버(20)로부터 수신하여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이 완료되면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동 통신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imulation server 30 is a server that performs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using a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tool such as CellTrek developed by KT Co., Ltd. This simulation server 30 is a network management server tha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performing simulation. It is received from (20) to perform a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and when the simulation is completed, the simulation results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이 경우, 이동 통신 단말(10)은 시뮬레이션 서버(30) 또는 망 관리 서버(20)로부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포함하는 무선망 설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무선망 설계 정보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10)에 설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이동 통신 단말(10)에 설치되는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10)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이동 통신 단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동 통신 단말(10)과 연동하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ceives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simulation results from the simulation server 30 or the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oves the receiv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this end, a device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s will be explained again below,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an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that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combination with the hardwa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f course, it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interoperate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지리 정보 서버(40)는,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에 요구되는 지도 정보나 지형 정보를 망 관리 서버(20) 또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130)에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지리 정보 서버(40)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포함하거나 GIS와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eographic information server 40 is a server that provides map information or terrain information required for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to the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or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This geographic information server 40 may include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or be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GIS.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100)가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2 shows a block diagram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이동 통신 단말(10)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100)가 설치되는 이동 통신 단말(10)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11), 시각적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2),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3),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나 이동 통신 기지국을 기반으로 해당 이동 통신 단말(10)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모듈(14), 자이로 센서(gyro sensor)나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자세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감지 모듈(15),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위치 측정 모듈(14)은 고도 센서나 기압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의 수직 방향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n which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a display 12 that outputs a visual image, and an image sensor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A camera module 13 that takes images using a camera module 13, a position measurement module 14 that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based o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a gyro sensor. It may include a posture detection module 15 that detects the pos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using a posture sensor such as ) 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nput module 16 that receives user inp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14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using an altitude sensor or an air pressure sensor.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10)을 이용하여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무선망 설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말 정보 획득부(110),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120),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130), 무선망 설계 정보 수신부(140) 및 증강현실 이미지 표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00 can provid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or this purpose,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00 includes a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an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120, a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30, a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and augmented reality. It may include an image display unit 150.

단말 정보 획득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10)의 위치와 그 카메라 모듈(13)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포함한 단말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단말 정보 획득부(110)는 카메라 모듈(13)을 동작시켜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 수행부(112), 이동 통신 단말(10)의 위치 측정 모듈(14)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114), 및 이동 통신 단말(10)의 자세 감지 모듈(15)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3)의 촬영 방향과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자세 정보 획득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is configured to acquire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13. To this end,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uses the photography performing unit 112, which operates the camera module 13 to perform photography, and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1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 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13 is obtained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4, which acquir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position detection module 15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t may include a postur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6 that acquires posture information.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따라,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안테나 설치 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120)는,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포함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각각 상기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set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according to terminal information obtained at a specific time by a user's command. In this case, the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120 set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red at a specific time as the loca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respectively. It can be configured to set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130)는,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안테나 설치 정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미리 정해진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130)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망 관리 서버(20)를 통해 시뮬레이션 서버(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130)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시뮬레이션 서버(30)로 직접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130)는 상기 특정 시점에 카메라 모듈(13)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에 더 포함시켜 해당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is configured to transmit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including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 by the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120 to a predetermined server. In this case,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o the simulation server 30 through the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transmit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o the simulation server 30. Additionally,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3 at the specific time point in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corresponding server.

무선망 설계 정보 수신부(140)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수신한 서버 또는 해당 서버를 통해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전달받은 타 서버로부터,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포함한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무선망 설계 정보 수신부(140)는,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receives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performed using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hat received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or another server that received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server. It is configured to receiv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In this case,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receiver 14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that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about base stations located around the location of the antenna to be installed.

증강현실 이미지 표시부(150)는, 카메라 모듈(13)에 의해 촬영되어 이동 통신 단말(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에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증강현실 이미지 표시부(150)는 무선망 설계 정보에 따른 기지국 또는 안테나의 위치, 전파 세기 및 전파 방향 중 1 또는 2 이상에 관한 이미지를 상기 촬영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unit 150 is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representing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by overlapping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3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mages related to one or more of the location, radio wave intensity, and radio wave direction of the base station or antenna according to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overlapping the captured image.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방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100)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10)의 세부 동작들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Figure 3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3, detailed oper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quipped with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chronological ord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또는 안테나 설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안테나 설치 후보지에서 이동 통신 단말(10)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100)를 실행시키면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100)의 단말 정보 획득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10)의 위치와 그 카메라 모듈(13)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포함한 단말 정보를 획득한다(S310, S320).As shown in FIG. 3, when a worker performing base station or antenna installation work executes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t the antenna installation candidate site,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00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of acquires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13 (S310, S320).

즉, 이동 통신 단말(10)의 촬영 수행부(112)가, 카메라 모듈(13)을 동작시켜 촬영을 수행한다(S310). 카메라 모듈(13)을 통한 촬영이 수행되는 동안, 이동 통신 단말(10)의 위치 정보 획득부(114)는 위치 측정 모듈(14)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동 통신 단말(10)의 자세 정보 획득부(116)는 이동 통신 단말(10)의 자세 감지 모듈(15)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3)의 촬영 방향과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자세 정보를 획득한다(S320).That is, the photographing unit 1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perates the camera module 13 to perform photographing (S310). While shooting through the camera module 13 is performed,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using th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14, The postur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6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quires post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13 using the posture detection module 15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320).

그 다음, 이동 통신 단말(10)의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따라,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안테나 설치 정보를 설정한다(S330). 이 경우,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120)는, 상기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포함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각각 상기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로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이나 안테나의 ‘위치’는, 위도 및 경도로 표현될 수 있는 수평 방향 위치는 물론, 고도로 표현될 수 있는 수직 방향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provides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according to terminal information obtained at a specific time by a user's command. Set (S330). In this case, the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120 sets the loca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red at the specific time, respectively. It can be set to . As previously mentioned, the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tenna may include a horizontal position that can be expressed in latitude and longitude, as well as a vertical position that can be expressed in altitude.

도 4에는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촬영 이미지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4 shows an example of a captured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3)을 통해 촬영되는 촬영 이미지(I)는 실시간으로 이동 통신 단말(10)의 화면(12)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10)의 화면(12)은 촬영 이미지(I)가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부(12a)와 부가 정보가 표시되는 부가 정보 표시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부가 정보 표시부(12b)에는 위치 정보 획득부(114)에 의해 획득되는 이동 통신 단말(10)의 위치(X), 카메라 모듈(13)의 촬영 방향(Y)과 틸트 각도(Z)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동 통신 단말(10)을 원하는 자세로 조정한 후 '확인' 탭을 터치하여 해당 시점의 이동 통신 단말 위치,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각각 상기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로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aptured image I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3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real time. Additionally, the screen 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include an image display unit 12a on which the captured image I is displayed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unit 12b on which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unit 12b includes the location (X)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quir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4, the shooting direction (Y) and tilt angle (Z) of the camera module 13. Information regarding such things may be displayed. After adjus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the desired posture, the worker touches the 'Confirm' tab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at point in time,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to the posi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respectively. It can be set to .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10)의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130)는,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안테나 설치 정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통신 모듈(11)을 통해 미리 정해진 서버로 전송한다(S340). 이 경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130)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망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130)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시뮬레이션 서버(30)로 직접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130)는 상기 특정 시점에 카메라 모듈(13)에 의해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에 더 포함시켜 해당 서버로 전송하여,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의 입력 정보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ransmits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including the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 by the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120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1. It is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server through (S340). In this case,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may transmit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o the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transmit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o the simulation server 30. In addition,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further includes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3 at the specific time point in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rresponding server to be used as input information for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can do.

망 관리 서버(20)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에 포함된 안테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10) 주변에 기 설치된 기지국의 위치와 안테나 방향, 기울기, 출력 등과 같은 주변 기지국 정보를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에 포함시켜 시뮬레이션 서버(30)로 전달한다(S350). 그러면, 시뮬레이션 서버(30)는,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S360), 시뮬레이션이 완료되면 시뮬레이션 결과를 망 관리 서버(2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10)로 전송한다(S370). 실시예에 따라, 시뮬레이션 서버(30)는 해당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동 통신 단말(10)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The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refers to the antenna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and adds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base stations, such as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already installed arou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tenna direction, inclination, and output, to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It is included and delivered to the simulation server 30 (S350). Then, the simulation server 30 performs a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using a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tool (S360), and when the simulation is completed, the simulation result is s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Transmit (S37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imulation server 30 may directly transmit the simulation resul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그 다음, 이동 통신 단말(10)의 무선망 설계 정보 수신부(140)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수신한 서버 또는 해당 서버를 통해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전달받은 타 서버로부터,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포함한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 무선망 설계 정보 수신부(140)는, 망 관리 서버(20)로부터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Next,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receiver 1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ceives the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simulation results from the server that received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or another server that received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Receive desig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receiver 140 may receiv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that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about base stations located around the location of the antenna to be installed.

그 다음, 이동 통신 단말(10)의 증강현실 이미지 표시부(150)는,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카메라 모듈(13)에 의해 촬영되어 이동 통신 단말(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에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표시한다(S390). 이 경우, 증강현실 이미지 표시부(150)는 무선망 설계 정보에 따른 기지국 또는 안테나의 위치, 전파 세기 및 전파 방향 중 1 또는 2 이상에 관한 이미지를 상기 촬영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Next,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unit 1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pplie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3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mages representing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are overlapped and displayed (S390).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images related to one or more of the location, radio wave intensity, and radio wave direction of the base station or antenna according to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overlapping the captured image.

도 5에는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증강현실 이미지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5 shows an example of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10)의 증강현실 이미지 표시부(150)는, 카메라 모듈(13)을 통해 촬영되는 촬영 이미지에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오버랩한 증강현실 이미지(I')를 이동 통신 단말(10)의 화면(12) 중 이미지 표시부(12a)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증강현실 이미지(I')에는 망 관리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무선망 설계 정보에 따른 기지국 또는 안테나의 위치, 전파 세기 및 전파 방향 중 1 또는 2 이상에 관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10)의 화면(12) 중 부가 정보 표시부(12b)에는 안테나 설치 정보로 설정된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X), 방향(Y) 및 기울기(Z)에 관한 정보와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 결과에 관한 수치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unit 1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displays an augmented reality image that overlaps an image representing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with a captured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3. (I') can b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12a of the screen 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 may display images related to one or two or more of the location, radio wave intensity, and radio wave direction of the base station or antenna according to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etwork management server 20. . In addi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unit 12b of the screen 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X), direction (Y), and tilt (Z)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set as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network. Numerical information regarding design simulation results may be display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컴퓨터 시스템과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구동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은 해당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해당 동작이나 작업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세그먼트들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내지 프로그램 세그먼트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들일 수 있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든 종류의 매체가 포함된다. 예컨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ROM, RAM, EEPROM, 레지스터, 플래시 메모리,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또는 광 데이터 기록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다양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 배치되어 프로그램 코드들을 분산 방식으로 저장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Meanwhil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a computer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that runs the computer system. Whe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gram segments that execute the corresponding operation or task through the computer system. These computer programs or program segments may be stored in vario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media that record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For exampl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include ROM, RAM, EEPROM, registers, flash memory, CD-ROM, magnetic tape, hard disk, floppy disk, or optical data recording device. Additionally, these recording media can be distributed across computer systems connected to various networks to store or execute program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 또는 안테나 설치 작업 현장에서 휴대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설치 대상 안테나의 설치 예정 위치, 방향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안테나 설치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안테나 설치 정보에 따른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무선망 설계 및 구축시 실제 현장 상황을 반영할 수 있으며, 무선망 설계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개선하고 무선망 최적화 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xpected installation loca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antenna to be installed is se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carried at a base station or antenna installation work site, and the set antenna is installed. By displaying information-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results on th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al time, actual field conditions can be reflected when designing and building a wireless network, improv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wireless network design, and improving wireless network optimization work. You can save time and cost.

또한, 작업자가 안테나 설치 예정 위치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카메라 자세를 조절하는 단순한 방식으로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안테나 설치 정보를 자동 설정하고, 해당 시뮬레이션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증강현실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사용이 용이하고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의 사용과 결과에 대한 직관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operator automatically sets the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by simply adjusting the camera pos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antenna installation location, and displays the simulation results as an augmented reality image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displaying it, it is easy to use regardless of the user's skill level and enables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use and results of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more, of cours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various technical problem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s well as in the related technical fiel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clearly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viously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perspective rather than a limiting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 110 : 단말 정보 획득부
112 : 촬영 수행부 114 : 위치 정보 획득부
116 : 자세 정보 획득부 120 :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
130 :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 140 : 무선망 설계 정보 수신부
150 : 증강현실 이미지 표시부
100: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110: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2: Photographing performance unit 114: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6: Attitud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130: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reception unit
150: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unit

Claims (13)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망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포함한 단말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정보 획득부;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따라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를 포함한 안테나 설치 정보를 설정하는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
설정된 안테나 설치 정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미리 정해진 서버로 전송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전달받은 타 서버로부터,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포함한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망 설계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에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증강현실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설치 정보 설정부는,
상기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각각 상기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
An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at provides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module,
a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an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that sets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according to terminal information acquired at a specific time;
a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including set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server;
a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simulation results of a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performed using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or another server that receives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and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unit that overlaps and displays an image representing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on a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Augmented reality-ba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hooting direction, and the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red at the specific time are set to the loca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respectively. A device that provides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 획득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 수행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자세 감지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과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자세 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 photographing performing unit that operates the camera module to perform photographing;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location measurement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 postur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posture information including a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using a posture detection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전송부는, 상기 특정 시점에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wherein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further includ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t the specific time to th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 수신부는, 상기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receiving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further including information about base stations located around the location of the antenna to be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표시부는,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에 따른 기지국 또는 안테나의 위치, 전파 세기 및 전파 방향 중 1 또는 2 이상에 관한 이미지를 상기 촬영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images related to one or more of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or antenna, radio wave intensity, and radio wave direction according to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by overlapping the captured image. A device that provides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망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포함한 단말 정보를 획득하는 (a)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따라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를 포함한 안테나 설치 정보를 설정하는 (b)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설정된 안테나 설치 정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미리 정해진 서버로 전송하는 (c)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전달받은 타 서버로부터, 상기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 무선망 설계 시뮬레이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포함한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하는 (d)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에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e)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특정 시점에 획득된 단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틸트 각도를 각각 상기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방향 및 기울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방법.
An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at provides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module,
Step (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quiring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Step (b)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ting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direction, and tilt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according to terminal information acquired at a specific time;
Step (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including set antenna installation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server;
(d)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a simulation result of a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performed using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or another server that receives the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 step; and
A step (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verlapping and displaying an image representing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on a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step (b),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e location, direction, and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tenna, respectively, by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acquired at the specific time. A method of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comprising the step of setting a slo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촬영을 수행하는 (a1)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a2)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자세 감지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과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a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방법.
In clause 7,
In step (a),
Step (a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ng the camera module to take pictures;
Step (a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location measurement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augmented reality-based wireless network comprising the step (a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quiring post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shooting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camera module using a posture detection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특정 시점에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방법.
In clause 7,
The step (c) includes transmit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ulation input information further includ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t the specific time to the server. How to provide network design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설치 대상 안테나의 위치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망 설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방법.
In clause 7,
Step (d)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further including information about base stations located around the location of the antenna to be installed. How to provide network design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무선망 설계 정보에 따른 기지국 또는 안테나의 위치, 전파 세기 및 전파 방향 중 1 또는 2 이상에 관한 이미지를 상기 촬영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무선망 설계 정보 제공 방법.
In clause 7,
The step (e) includes the step of display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mage related to one or more of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or antenna, the intensity of radio waves, and the direction of radio waves according to the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overlapping with the captured image. A method of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제7항 내지 제8항,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that executes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8 and 10 to 12 through a computer system, and is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KR1020190063152A 2019-05-29 2019-05-29 Augmented reality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KR1026247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152A KR102624726B1 (en) 2019-05-29 2019-05-29 Augmented reality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152A KR102624726B1 (en) 2019-05-29 2019-05-29 Augmented reality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202A KR20200137202A (en) 2020-12-09
KR102624726B1 true KR102624726B1 (en) 2024-01-11

Family

ID=7378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152A KR102624726B1 (en) 2019-05-29 2019-05-29 Augmented reality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72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7646A (en) * 2012-07-09 2014-01-30 Hitachi Ltd Arrangement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of wireless base station
KR101686906B1 (en) * 2015-02-13 2016-12-16 박진영 Antenna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203B1 (en) * 2010-08-10 201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7646A (en) * 2012-07-09 2014-01-30 Hitachi Ltd Arrangement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of wireless base station
KR101686906B1 (en) * 2015-02-13 2016-12-16 박진영 Antenna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202A (en)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6365B2 (en) Server, user terminal,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16556B1 (en) Method,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ccessing information on person using augmented reality
US10845456B2 (en) Supporting the use of radio maps
US11243288B2 (en) Location error radius determination
KR101373007B1 (en) Method for identifying peripheral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CN10133948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icture file
US20140098249A1 (en) Terminal, method of forming video, apparatus to form an image,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701503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signal coverage mapping
CN101971606A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data recorded with associated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CN103634900A (en) Method of position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03064980A (en) Method and system for inquiring information of scenic spots on basis of mobile terminal an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CN105264492A (en) Automatic discovery of system behavior
CN107484120A (en) Intelligent guide method, tour guide device and equipment based on third party application
WO2023142823A1 (en) Assisted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EP3875902B1 (en) Plan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eying and mapping sampling points, control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7766476B (en) Crowdsourcing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based on building block data and storage medium
KR102624726B1 (en) Augmented reality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CN110967036B (en) Test method and device for navigation product
CN109902193B (en) Cell search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237464A (en) Positioning system, positioning method, positioner, and storage medium
KR101675422B1 (en)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geotag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0007276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lace information
JP3232054U (en) Surveying device
US20220171894A1 (en) Cad locator for site navigation
US20230136211A1 (en) Information set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