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675B1 - Water softening system - Google Patents

Water softe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675B1
KR102624675B1 KR1020210118396A KR20210118396A KR102624675B1 KR 102624675 B1 KR102624675 B1 KR 102624675B1 KR 1020210118396 A KR1020210118396 A KR 1020210118396A KR 20210118396 A KR20210118396 A KR 20210118396A KR 102624675 B1 KR102624675 B1 KR 10262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ssage
discharge
recover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3025A (en
Inventor
손승길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US17/486,89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098062A1/en
Publication of KR20220043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025A/en
Priority to KR1020230195751A priority patent/KR202400076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 C02F1/469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electro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하는 제거 모드와, 상기 제거 모드 중에 포집된 이온성 물질을 공급받은 원수와 함께 배출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재생수를 배출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 각각 상기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공급 유로;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부터 각각 상기 연수 또는 상기 재생수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배출 유로; 제1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1 회수유로부; 및 제2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2 회수유로부를 포함한다.The water softe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val mode for removing at least a portion of ionic substances contained in supplied raw water based on electrical force and discharging soft water containing less ionic substances than the raw water;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that selectively perform one of the regeneration modes for discharging ionic substances collected during the mode together with the supplied raw water and discharging regenerated water containing more ionic substances than the raw water; first and second supply passages provided to supply the raw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provided to discharge the softened water or the regenerated water from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respectively; a first recovery passage portion for gu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in the first discharge passage to the second supply passage; and a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 for gu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in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o the first supply passage.

Figure 112021102928559-pat00001
Figure 112021102928559-pat00001

Description

연수 시스템 {WATER SOFTENING SYSTEM}Water softening system {WATER SOFTENING SYSTEM}

본 발명은 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ater softening systems.

연수 시스템은, 원수로부터 연수를 생산해 수요처로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PoE(Points of Entry) 타입의 연수 시스템에서는 수요처가 집이 될 수 있고, 수요처로 전달된 연수가 다시 물 사용이 필요한 수전, 샤워 헤드 등으로 전달되어 사용된다.A soft water system is a system that produces soft water from raw water and supplies it to consumers. For example, in a PoE (Points of Entry) type soft water system, the consumer can be a home, and the soft water delivered to the consumer is then delivered to faucets, shower heads, etc. that require water use.

원수로부터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원수를 연수화하는 필터는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지 않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터라 하더라도 포집한 이온성 물질을 배출하는 재생 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해주어야 원활하게 사용이 가능하다.Filters that soften raw water by removing ionic substances from raw water cannot be used permanently, and even filters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must be periodically regenerated to discharge the collected ionic substances in order to use them smoothly. do.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원수를 탈이온화 시키는 전기 탈이온 시스템에서는, 회수율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회수율이란 투입된 물의 양으로 배출되는 연수의 양을 나눈 것인데, 일반적으로 약 80%에 달한다. 만약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연수의 양을 무리하게 늘릴 경우, 충분히 이온성 물질이 원수로부터 제거되지 않아 저품질의 연수가 배출되는 등 연수성능이 떨어지게 된다.In an electric deionization system that deionizes raw water using electrical force,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The recovery rate is the amount of soft water discharged divided by the amount of water input, and generally amounts to about 80%. If the amount of softened water is excessively increased to increase the recovery rate, ionic substances are not sufficiently removed from the raw water, resulting in low-quality soft water being discharged and poor water soften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수율을 높인 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provides a water softening system with increased recovery r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하는 제거 모드와, 상기 제거 모드 중에 포집된 이온성 물질을 공급받은 원수와 함께 배출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재생수를 배출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 각각 상기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공급 유로;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부터 각각 상기 연수 또는 상기 재생수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배출 유로; 제1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1 회수유로부; 제2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2 회수유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유닛이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상기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고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필터 유닛에서 상기 제2 배출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회수유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공급되게 제어한다.The water softe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val mode for removing at least a portion of ionic substances contained in supplied raw water based on electrical force and discharging soft water containing less ionic substances than the raw water; ,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that selectively perform one of the regeneration modes for discharging the ionic substances collected during the removal mode together with the supplied raw water and discharging regenerated water containing more ionic substances than the raw water. ; first and second supply passages provided to supply the raw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provided to discharge the softened water or the regenerated water from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respectively; a first recovery passage portion for gu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in the first discharge passage to the second supply passage; a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 for gu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in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o the first supply passage; and a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wherein when the first filter unit performs the removal mode and the second filter unit performs the regeneration mode, the processor ;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unit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is controlled to be supplied to the first supply passage through the second recovery passage.

이에 따라, 연수 시스템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recovery rate of the softened water system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CDI 방식에서 이온성 물질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을 제어하여 연수를 제공하되 재생수는 배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을 제어하여 연수를 제공하되 재생수는 회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을 제어하여 연수를 제공하되 재생수는 회수 및 배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ater softe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explaining the principle of removing ionic substances in the CDI method.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explaining the principle of electrode regeneration in the CDI method.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soft water is provided by controlling parallel filter units of a water softe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reclaimed water is drained.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soft water is provided and reclaimed water is recovered by controlling filter units configured in parallel in a water softe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filter units configured in parallel in a water softe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trolled to provide soft water while recovering and draining reclaimed water.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ater soften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필터 유닛(11, 12), 공급 유로(21, 22), 배출 유로(31, 32) 및 회수유로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배출 밸브(310, 320), 배수 유로(41, 42), 배수 밸브(410, 420), 수원 유로(60), 수원 밸브(600), 수요처 유로(70), 유량획득부(80) 및 프로세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ater soften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unit 11 and 12, a supply passage 21 and 22, a discharge passage 31 and 32, and a recovery passage 50. Includes. The water soften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charge valves 310 and 320, drain passages 41 and 42, drain valves 410 and 420, a water source passage 60, and a water source valve 600. It may further include a demand channel 70, a flow rate acquisition unit 80, and a processor (not shown).

공급 유로(21, 22)Supply Euro(21, 22)

공급 유로(21, 22)는 원수를 필터 유닛(11, 12)으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유로이다. 공급 유로(21, 22)는 복수로 형성되어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급 유로(21, 22)가 총 2개로 형성되어 제1 공급 유로(21) 및 제2 공급 유로(22)가 병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공급 유로(21, 22)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supply flow passages 21 and 22 are passages provided to supply raw water to the filter units 11 and 12. A plurality of supply passages 21 and 22 may be formed and arranged in parallel.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two supply passages 21 and 22 are shown, and the first supply passage 21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22 are arranged in parallel, but the supply passages 21 and 22 )'s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is.

각 공급 유로(21, 22)는 수원과 필터 유닛(11, 12)을 각각 연결한다. 제1 공급 유로(21)는 제1 필터 유닛(11)에, 제2 공급 유로(22)는 제2 필터 유닛(1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한다는 의미는, 직접 연결하는 경우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수원에 연결된 수원 유로(60)에 각 공급 유로(21, 22)가 연결되어 분지되는 방식으로 수원과 공급 유로(21, 22)가 연결될 수 있다. 수원으로부터 제공받은 물과 재생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수를 필터 유닛(11, 12)에 전달하도록, 각 공급 유로(21, 22)가 내부가 빈 관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원 유로(60)에는 수원 밸브(600)가 형성되어 유로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Each supply flow path (21, 22) connects the water source and the filter units (11, 12), respectively. The first supply flow path 2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unit 11, and the second supply flow path 2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unit 12. The meaning of connection here includes cases of direct connection and cases of indirect connection through other components. Therefore, as shown, the water source and the supply passages 21 and 22 may be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each of the supply passages 21 and 22 is connected to and branched from the water source passage 60 connected to the water source. Each of the supply passages 21 and 2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body to deliver raw wat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water provided from a water source and reclaimed water to the filter units 11 and 12. A water source valve 600 is formed in the water source flow path 60 to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flow path.

제1 및 제2 공급 유로(21, 22)에는 후술할 회수유로부(50)가 포함하는 제1 및 제2 상류 회수유로(51, 5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공급 유로(21)는 제1 상류 회수유로(51)를 통해 제2 회수유로부(51, 54, 55)에 연결되고, 제2 공급 유로(22)는 제2 상류 회수유로(52)를 통해 제1 회수유로부(52, 53, 55)에 연결될 수 있다.First and second upstream recovery passages 51 and 52 included in the recovery passage portion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assages 21 and 22,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supply passage 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s 51, 54, 55 through the first upstream recovery passage 51,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passage 52. )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recovery passage portion (52, 53, 55).

배출 유로(31, 32)Discharge flow path (31, 32)

배출 유로(31, 32)는 필터 유닛(11, 12)으로부터 연수 또는 재생수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유로이다. 필터 유닛(11, 12)이 2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배출 유로(31, 32) 역시 이에 대응되는 수로 구성되고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필터 유닛(11)에는 제1 배출 유로(31)가, 제2 필터 유닛(12)에는 제2 배출 유로(32)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출 유로(31, 32)가 총 2개로 형성되어 제1 배출 유로(31) 및 제2 배출 유로(32)가 병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배출 유로(31, 32)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are passages provided to discharge soft water or reclaimed water from the filter units 11 and 12. Since the filter units 11 and 12 may be composed of two, the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may also be composed of a corresponding numb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unit 11, and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unit 1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two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are shown, and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1 and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are shown to be arranged in parallel. However, the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are shown a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is.

배출 밸브(310, 320)는 배출 유로(31, 32)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배출 유로(31, 32)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개도가 조절됨에 따라 배출 유로(31, 32)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배출 유로(31, 32)가 배출 밸브(310, 320)에 의해 폐쇄될 때, 물이 폐쇄된 배출 유로(31, 32)를 통해서는 수요처로 전달되지 않는다. 배출 유로(31, 32)가 배출 밸브(310, 320)에 의해서 개방될 때, 물이 개방된 배출 유로(31, 32)를 통해서 수요처로 전달되거나, 후술할 배수 유로(41, 42)를 통해 배출되거나, 회수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으로부터 제공받은 물이 유동하도록, 각 배출 유로(31, 32)는 내부가 빈 관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valves 310 and 320 are components disposed in each discharge passageway 31 and 32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passageways 31 and 32. As the opening degree is adjusted, the discharge passageways 31 and 32 are opened and closed. It can be open or closed. When the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are closed by the discharge valves 310 and 320, water is not delivered to the consumer through the closed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When the discharge passages (31, 32) are opened by the discharge valves (310, 320), water is delivered to the consumer through the open discharge passages (31, 32) or through the drainage passages (41, 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discharged or recovered. Each of the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so that the water provided from the filter units 11 and 12 flows.

배출 밸브(310, 320) 중 적어도 하나는 연수 시스템(1)의 작동 중에,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배출 밸브(310, 320)는, 제거 모드를 수행하는 필터 유닛(11, 12)에 연결된 배출 유로(31, 32)에 배치된 배출 밸브(310, 320)일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유닛(11, 12) 중 어느 하나가 재생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도, 수요처로는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필터 유닛(11, 12)에서 배출된 연수가 전달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valves 310 and 32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to remain open during operation of the water softening system 1. At this time, the discharge valves 310 and 320 that remain open may be discharge valves 310 and 320 disposed in the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connected to the filter units 11 and 12 performing the removal mode. . Therefore, even while one of the filter units 11 and 12 is in the regeneration mode, the soft 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s 11 and 12 in the removal mode can be delivered to the consumer.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요처에 연결된 수요처 유로(70)에 각 배출 유로(31, 32)가 연결되어 합쳐지는 방식으로 수요처와 배출 유로(31, 32)가 연결될 수 있다. 수요처 유로(70)에는 후술할 유량획득부(80)가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the demand source and the discharge flow path (31, 32) can be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each discharge flow path (31, 32) is connected and combined with the demand source flow path (70) connected to the demand source. A flow rate acquisition unit 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laced in the demand channel 70.

회수유로부(50)Recovery flow department (50)

회수유로부(50)는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필터 유닛(11, 12)으로부터 배출되는 재생수를 다른 필터 유닛(11, 12)으로 회수해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recovery passage unit 50 is a component for recovering and providing the regeneration 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s 11 and 12 performing the regeneration mode to other filter units 11 and 12.

회수유로부(50)는 제1 회수유로부(52, 53, 55)와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 유로(31) 중의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제2 공급 유로(22)로 안내하기 위해 제1 회수유로부(52, 53, 55)가 배치되고, 제2 배출 유로(32) 중의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제1 공급 유로(21)로 안내하기 위해 제2 회수유로부(51, 54, 55)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작용이 가능하도록, 제1 회수유로부(52, 53, 55)는 제1 배출 유로(31)와 제2 공급 유로(22)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는 제2 배출 유로(32)와 제1 공급 유로(21)에 연결될 수 있다.The recovery passage portion 50 may include first recovery passage portions 52, 53, and 55 and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s 51, 54, and 55. The first recovery passage portions 52, 53, and 55 are disposed to gu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in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1 to the second supply passage 22, and the reclaimed water in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is disposed.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s 51, 54, and 55 may be disposed to gu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to the first supply passage 21. To enable each operation, the first recovery passage portions 52, 53, and 55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1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22, and the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s 51, 54, 5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and the first supply passage 21.

제1 회수유로부(52, 53, 55)와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는 공통 회수유로(55)를 공유할 수 있다. 제1 회수유로부(52, 53, 55)는 제1 하류 회수유로(53), 공통 회수유로(55) 및 제2 상류 회수유로(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는 제2 하류 회수유로(54), 공통 회수유로(55) 및 제1 상류 회수유로(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covery passage portions 52, 53, and 55 and the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s 51, 54, and 55 may share a common recovery passageway 55. The first recovery passage portions 52, 53, and 55 may include a first downstream recovery passage 53, a common recovery passage 55, and a second upstream recovery passage 52, and the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 51 , 54, 55) may include a second downstream recovery passage 54, a common recovery passage 55, and a first upstream recovery passage 51.

제1 상류 회수유로(51)와 제2 상류 회수유로(52)는 각각 공통 회수유로(55)를 제1 공급 유로(21)와 제2 공급 유로(22)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하류 회수유로(53)와 제2 하류 회수유로(54)는 각각 공통 회수유로(55)를 제1 배출 유로(31)와 제2 배출 유로(32)에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배출 유로(31, 32)로부터 하류 회수유로(53, 54)를 통해 공통 회수유로(55)로 유입된 재생수가 상류 회수유로(51, 52)를 통해 각각의 공급 유로(21, 22)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재생수의 회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upstream recovery passage 51 and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passage 52 may connect the common recovery passage 55 to the first supply passage 21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22, respectively. The first downstream recovery passage 53 and the second downstream recovery passage 54 may connect the common recovery passage 55 to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1 and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respectively. Reclaimed water flows from each discharge passage (31, 32) into the common recovery passage (55) through the downstream recovery passages (53, 54) to each supply passage (21, 22) through the upstream recovery passages (51, 52). Recovery of reclaimed water can be achieved in a way that it is delivered to .

회수유로부(50)의 개폐를 위해 각종 회수밸브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류 회수유로(51)와 제2 상류 회수유로(52)에는 각각 제1 상류 회수밸브(510)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류 회수유로(53)와 제2 하류 회수유로(54)에는 각각 제1 하류 회수밸브(530)와 제2 하류 회수밸브(540)가 배치될 수 있다.Various recovery valves may be disposed to open and close the recovery passage portion 50. Specifically, a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10 and a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52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upstream recovery passage 51 and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passage 52, respectively. A first downstream recovery valve 530 and a second downstream recovery valve 54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ownstream recovery passage 53 and the second downstream recovery passage 54, respectively.

제1 하류 회수밸브(530)와 제2 하류 회수밸브(540)는, 제1 배출 유로(31) 또는 제2 배출 유로(32)로부터 공통 회수유로(55)로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일 수 있다. 제1 하류 회수밸브(530)와 제2 하류 회수밸브(540)가 공통 회수유로(55)로의 물의 흐름만을 허용하고, 반대로 공통 회수유로(55)로부터 각 배출 유로(31, 32)로 물이 역류하는 것은 차단하여, 재생수가 필터 유닛(11, 12)의 출구단을 통해 필터 유닛(11, 12)에 다시 유입되거나, 배출 유로(31, 32)를 통해 수요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downstream recovery valve 530 and the second downstream recovery valve 540 may be check valves that only allow flow from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1 or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to the common recovery passage 55. there is. The first downstream recovery valve 530 and the second downstream recovery valve 540 only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common recovery passage 55, and conversely, water flows from the common recovery passage 55 to each discharge passage 31 and 32. Backflow can be blocked to prevent recycled water from flowing back into the filter units (11, 12) through the outlet ends of the filter units (11, 12) o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consumer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s (31, 32). .

회수유로부(50)에는 재생수를 압송하기 위해 펌프(550)가 배치될 수 있다. 펌프(550)는, 후술할 1 및 제2 배수 밸브(410, 4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는 한계유량보다 큰 한계유량으로 재생수를 압송하는 정유량 펌프(550)일 수 있다. 펌프(550)가 물을 압송하는 방향은, 배출 유로(31, 32) 측으로부터 공급 유로(21, 22) 측으로 향하는 방향이다.A pump 550 may be disposed in the recovery passage portion 50 to pump out reclaimed water. The pump 550 may be a constant flow pump 550 that pumps reclaimed water at a limit flow rate greater than the limit flow rate that can be discharg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rain valves 410 and 4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mp 550 pumps water is from the discharge flow path (31, 32) side to the supply flow path (21, 22) side.

필터 유닛(11, 12)Filter units (11, 12)

필터 유닛(11, 12)은 원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연수를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필터 유닛(11, 12)은 공급 유로(21, 22)에 각각 마련되고,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제거하여,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상태를 제거 모드라고 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제거 모드 중에 포집된 이온성 물질을 공급받은 원수와 함께 배출하여,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재생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상태를 재생 모드라고 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제거 모드와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11, 12)의 2개의 필터 유닛(11, 12)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filter units 11 and 12 are components that remove ionic substances in raw water to create soft water. The filter units 11 and 12 are provided in the supply passages 21 and 22, respectively, and remove at least a portion of the io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upplied raw water by electrical force, so that the water contains less ionic substances than the raw water. Soft water can be discharged. This operating state can be referred to as removal mode. The filter units 11 and 12 may discharge the ionic substances collected during the removal mode together with the supplied raw water, thereby discharging regenerated water containing more ionic substances than the raw water. This operating state can be referred to as a playback mode. The filter units 11 and 12 can selectively perform either removal mode or regeneration mode. The filter units 11 and 1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filter units 11 and 12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11 and 12 are disposed. , its composition is not limited to this.

필터 유닛(11, 12)은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 중에 전기 탈이온 방식이 있다. 전해질 중의 하전입자에 직류전압이 작용하면, 양의 하전입자는 음극으로 이동하고, 음의 하전입자는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를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이라 한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전기적인 힘(전기영동)의 원리를 바탕으로 전극이나 이온교환막 등을 통해서 물 속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이동시켜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The filter units 11 and 12 may remove ionic substances using an electrical deioniza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among the methods for removing ionic substances, there is an electrodeionization method. When a direct current voltage acts on the charged particles in the electrolyte, the positively charged particles move to the cathode, and the negatively charged particles move to the anode. This is called electrophoresis. Electrodeionization refers to a method of removing ions (ionic substances) in water by selectively adsorbing or moving them through electrodes or ion exchange membranes based on the principle of electrical force (electrophoresis).

전기 탈이온 방식에는, ED(Electrodialysis),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의 방식이 있다. ED 방식의 필터 유닛(11, 12)은, 전극과 이온교환막을 구비한다. 그리고 EDI 방식의 필터 유닛(11, 12)은, 전극, 이온교환막 및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한다. 이에 반해 CDI 방식의 필터 유닛(11, 12)은 이온교환막이나 이온교환수지를 모두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하지 않는다.Electrodeionization methods include electrodialysis (ED), electro deionization (EDI), 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EDI), and capacitive deionization (CDI). The ED type filter units 11 and 12 are provided with electrodes and an 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EDI type filter units 11 and 12 are equipped with electrodes, an ion exchange membrane, and an ion exchange resin. In contrast, the CDI type filter units 11 and 12 do not include either an ion exchange membrane or an ion exchange resin, or do not include an ion exchange res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11, 12)은, 전기 탈이온 방식 중 축전식 탈이온(CDI) 방식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CDI 방식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전극의 표면에서 이온(또는 이온성 물질)이 흡착되고 탈착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온을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The filter units 11 and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ionic substances using a capacitive deionization (CDI) method among the electrical deionization methods. The CDI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removing ions using the principle that ions (or ionic substances) are adsorbed and desorbed from the surface of an electrode by electrical force.

도 2는 CDI 방식에서 이온성 물질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explaining the principle of removing ionic substances in the CDI method.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explaining the principle of electrode regeneration in the CDI method.

도 2 및 도 3을 더 참조하여, CDI 방식의 제거 모드와 재생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이온을 포함하는 물이 전극의 사이를 통과하면, 음이온은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고, 양이온은 음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흡착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흡착으로 물 중에서 이온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유닛(11, 12)이, 필터 유닛(11, 12)를 통과하는 물 중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해 제거하는 모드를 제거 모드라고 한다.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removal mode and playback mode of the CDI method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ure 2,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 and water containing ions passes between the electrodes, negative ions move to the anode and positive ions move to the cathode. In other words, adsorption occurs. Ions can be removed from water through this kind of adsorption. In this way, the mode in which the filter units 11 and 12 remove ions (ionic substances)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s 11 and 12 through the electrode is called a removal mode.

그런데 전극의 흡착 용량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흡착이 계속되면 전극은 더 이상 이온을 흡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전극에 흡착된 이온을 탈착시켜 전극을 재생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에 제거 모드 때와는 반대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유닛(11, 12)이 전극을 재생하는 모드를 재생 모드라 한다. 재생 모드는 제거 모드의 전이나 후에 수행될 수 있다.However,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electrode is limited. Therefore, if adsorption continues, the electrode reaches a state where it can no longer adsorb ions.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regenerate the electrode by desorbing the ions adsorbed on the electrode. 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a voltage opposite to that in the removal mode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de, or no voltage may be applied. In this way, the mode in which the filter units 11 and 12 regenerate the electrodes is called a regeneration mode. Replay mode can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removal mode.

따라서 이러한 작용을 위해, 필터 유닛(11, 12)이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제거 모드와,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원수가 필터 유닛(11, 12)에 공급될 때, 제거 모드에서는 원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적어도 일부 제거해 연수를 생성하여 필터 유닛(11, 12)이 배출하고, 재생 모드에서는 전극이 가지고 있던 이온성 물질을 원수에 제공하여 이온성 물질의 함량이 증가한 물을 필터 유닛(11, 12)이 배출할 수 있다.Therefore, for this action, the filter units 11, 12 may comprise electrodes. The filter units 11 and 12 can selectively perform one of a removal mode in which ionic substances are removed by electrodeionization through an electrode and a regeneration mode in which the electrode is regenerated. Therefore, when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s 11 and 12, in the removal mode, at least some of the ionic substances in the raw water are removed to create soft water, which the filter units 11 and 12 discharge, and in the regeneration mode, the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de are removed. By providing ionic substances to raw water, the filter units 11 and 12 can discharge water with an increased content of ionic substances.

필터 유닛(11, 12)은 상술한 것과 같이 공급 유로(21, 22)와 배수 유로(41, 42)에 연결되어, 공급 유로(21, 22)를 통해 물을 전달받고, 배수 유로(41, 42)를 통해 처리가 이루어진 물을 배출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에는 수원으로부터 전달된 물과 재생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수가 제공될 수 있고, 제공된 원수에 대해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연수를 생성해 배출하거나, 이온성 물질을 내보내 재생수를 생성해 배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units (11, 12) are connected to the supply passages (21, 22) and the drainage passages (41, 42), receive water through the supply passages (21, 22), and drain the water passages (41, 22). 42), the treated water can be discharged. The filter units 11 and 12 may be provided with raw wat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water delivered from a water source and reclaimed water, and may remove ionic substances from the supplied raw water to generate and discharge soft water, or discharge ionic substances. Recycled water can be generated and discharged.

배수 유로(41, 42)Drainage flow path (41, 42)

배수 유로(41, 42)는 배출 유로(31, 32)에 연결되어 배출 유로(31, 32) 중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배수 유로(41, 42) 역시 배출 유로(31, 32)와 같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관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rain passages 41 and 42 are component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and drain the water in the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to the outside. Accordingly, like the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the drain passages 41 and 42 may also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to allow fluid to flow.

배수 유로(41, 42)는 배출 유로(31, 32)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출 유로(31, 32)가 제1 배출 유로(31)와 제2 배출 유로(32)를 포함하므로, 배수 유로(41, 42) 역시 제1 배수 유로(41)와 제2 배수 유로(42)를 포함하고, 제1 배수 유로(41)는 제1 배출 유로(31)에 연결되고, 제2 배수 유로(42)는 제2 배출 유로(32)에 연결될 수 있다.Drainage passages 41 and 42 may be disposed in each of the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include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1 and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the drainage passages 41 and 42 also include the first discharge passage 41. ) and a second drainage passage 42, the first drainage passage 4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1, and the second drainage passage 4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there is.

필터 유닛(11, 12)을 통과한 물이 배수 유로(41, 4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특히 필터 유닛(11, 12)이 재생 모드로 작동 중일 때 배출 유로(31, 32)를 통해 배출된 재생수가, 배수 유로(41, 4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어 버려질 수 있다.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s 11 and 12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assages 41 and 42. In particular, when the filter units 11 and 12 are operating in a regeneration mode, the regener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s 31 and 3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s 41 and 42 and be discarded.

다만 이러한 물이 항상 배출되지는 않고, 그 배출여부와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유로(41, 42)의 개폐를 위해 배수 유로(41, 42)에 배수 밸브(410, 42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수 유로(41, 42)가 제1 배수 유로(41) 및 제2 배수 유로(42)를 포함하므로, 제1 배수 유로(41)에는 제1 배수 밸브(410)가, 제2 배수 유로(42)에는 제2 배수 밸브(420)가 배치될 수 있다.However, this water is not always discharged, and whether it is discharged and the amount of discharge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drain valves 410 and 420 may be provided in the drain passages 41 and 42 to open and close the drain passages 41 and 42, respective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ain passages 41 and 42 include the first drain passage 41 and the second drain passage 42, the first drain passage 41 has a first drain valve 410. , a second drain valve 42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drain passage 42.

배수 밸브(410, 420)는 소정의 유량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정유량 밸브일 수 있다.The drain valves 410 and 420 may be constant flow valves provided to discharge water at a predetermined flow rate.

유량획득부(80)Flow rate acquisition unit (80)

유량획득부(80)는 수요처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 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물의 유량을 획득하는 구성요소이다. 유량획득부(80)는 제1 배출 유로(31)와 제2 배출 유로(32)에 의해 배출되는 연수의 총유량을 획득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유량획득부(80)는 수요처 유로(70)에 배치되어, 수요처 유로(70)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획득할 수 있다. 유량획득부(80)는 칼만 와류 방식,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식 등을 이용하여 수요처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을 획득할 수 있으나, 유량을 획득하는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low rate acquisition unit 80 is a component that acquires the flow rate of water delivered to the consumer, that is, the flow rate of water used by the user. The flow rate acquisition unit 80 is provided to obtain the total flow rate of soft water discharged by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1 and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Accordingly, the flow rate acquisition unit 80 is disposed in the demand destination flow path 70 and can obtain the flow rat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demand destination flow path 70. The flow rate acquisition unit 80 can acquire the flow rate of water delivered to the demand destination using the Kalman vortex method, a method using the Doppler effect, etc., but the method of obtaining the flow rate is not limited to this.

유량획득부(80)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획득된 유량을 프로세서로 전달한다. 프로세서는 전달받은 유량에 따라, 각 밸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전달받은 유량에 기초해 펌프(5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필터 유닛(11, 12)의 작동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The flow rate acquisition unit 8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transmits the obtained flow rate to the processor. The processor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valve according to the received flow rate. Additionally, the processo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550 based on the received flow rate and determine the operating status of the filter units 11 and 12.

프로세서processor

프로세서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논리 연산이 가능한 소자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필터 유닛(11, 12), 배출 밸브(310, 320) 등의 구성요소들에 연결되어, 제어명령에 따른 신호를 각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고, 각종 센서 또는 획득부들에 연결되어 획득된 정보를 신호의 형태로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연수 시스템(1)이 포함하는 밸브들과 필터 유닛(11, 12), 유량획득부(80) 및 펌프(5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더 가져 상호 통신할 수 있다.A processor is a component that includes elements capable of logical operations that perform control commands, and may include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he processor is connected to components such as the filter units 11 and 12 and discharge valves 310 and 320, and can transmit signals according to control commands to each component, and is connected to various sensors or acquisition units to obtain signals. Information can be received in the form of signals.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lves, filter units 11 and 12, flow rate acquisition unit 80, and pump 550 included in the water softening system 1. Since the processo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component, i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connecting with a conductive wire or by further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연수 시스템(1)은 저장매채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제어명령들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활용될 수 있다. 저장매체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서버,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저장매체에는 이 밖에도 프로세서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데이터 등이 더 저장될 수 있다.The training system 1 further includes a storage medium, so that control commands performed by the processor can be stored and utilized in the storage medium. The storage medium may be a device such as a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rive (SSD), server, volatile media, or non-volatile media, but the type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data needed by the processor to perform task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프로세서가 연수 시스템(1)을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11, 12)을 제어하여 연수를 제공하되 재생수는 배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11, 12)을 제어하여 연수를 제공하되 재생수는 회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The manner in which the processor controls the water softening system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filter units 11 and 12 configured in parallel in the water soften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trolled to provide soft water and drain the reclaimed water.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soft water is provided and reclaimed water is recovered by controlling the filter units 11 and 12 configured in parallel in the water soften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필터 유닛(11)이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12)이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제2 필터 유닛(12)이 제거 모드를 수행할 때 제1 필터 유닛(11)이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필터 유닛(11, 12)들이 작동할 수도 있으며, 이 때 물의 흐름과 밸브의 작동 상태 역시 상응하도록 바껴서 연수 시스템(1)이 작동할 수 있다.The description will be made assuming that the first filter unit 11 performs a removal mode and the second filter unit 12 performs a regeneration mode. However,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filter units 11 and 12 may operate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filter unit 11 performs the regeneration mode when the second filter unit 12 performs the removal mode. , at this time, the water flow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lve can also be changed to correspond, so that the water softening system (1) can operate.

프로세서는 도 5와 같이, 제2 필터 유닛(12)에서 제2 배출 유로(32)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를 통해 제1 공급 유로(21)로 공급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1 필터 유닛(11)에서 배출되는 연수는 제1 배출 유로(31)를 통해 수요처로 배출되고, 제2 필터 유닛(12)에서 제2 배출 유로(32)로 배출되는 재생수는 제2 회수유로부(51, 54, 55)와 제1 공급 유로(21)를 통해 수원으로부터 제공된 물과 함께 제1 필터 유닛(11)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필터 유닛(11)은 수원으로부터 제공된 물과 함께 회수된 재생수를 전달받아 이온성 물질의 제거를 실시해 연수를 배출하므로, 회수율이 높아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processor cau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unit 12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to enter the first supply passage through the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s 51, 54, and 55. 21) can be controlled to be supplied. The soft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er unit 11 is discharged to the consumer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1, and the reclaim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unit 12 to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is discharged to the second recovery passage. It can be delivered to the first filter unit 11 along with water provided from a water source through the units 51, 54, and 55 and the first supply passage 21. Accordingly, the first filter unit 11 receives the recovered recycled water together with the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ource, removes ionic substances, and discharges soft water, thereby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이러한 물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는 제1 배출 밸브(310)와 제1 상류 회수밸브(510)는 개방되고, 제2 배출 밸브(320)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배수되는 물이 없도록 제1 배수 밸브(410)와 제2 배수 밸브(42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배출 밸브(320)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가 폐쇄되어, 재생수가 수요처로 전달되거나 제2 필터 유닛(12)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o allow this water flow to occur, the processor controls the first discharge valve 310 and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10 to be opened and the second discharge valve 320 and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520 to be closed. You can. Additionally,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first drain valve 410 and the second drain valve 420 to be closed so that no water is drained. The second discharge valve 320 and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520 are closed to prevent the reclaimed water from being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or re-introduced into the second filter unit 12.

프로세서는 제2 필터 유닛(12)이 재생 모드를 시작한 후 소정 시간 동안에는 도 4와 같이 재생수가 제2 배수 유로(42)를 통해 배수되게 제어하고, 소정 시간 이후부터 재생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는 도 5와 같이 재생수가 제1 공급 유로(21)로 공급되게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controls the regeneration water to be drained through the second drain passage 42 as shown in FIG. 4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econd filter unit 12 starts the regeneration mode, and from a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regeneration mode ends, As shown in 5, the reclaimed water can be controlled to be supplied to the first supply passage 21.

재생 모드로 필터 유닛(11, 12)이 작동하는 초기에는 필터 유닛(11, 12)이 포함하는 다량의 이온성 물질이 물과 같이 배출되므로, 재생수의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가 지나치게 높아, 회수되어 연수의 사용에 이용될 경우 연수의 품질을 저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초기 발생하는 재생수는 회수되는 대신 배수될 필요가 있다.Initially, when the filter units 11 and 12 operate in the regeneration mode, a large amount of io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ilter units 11 and 12 are discharged together with water, so the TDS (Total Dissolved Solids) of the regeneration water is high. If it is too high, it may impair the quality of soft water if it is recovered and used for soft water. Therefore, the initially generated reclaimed water needs to be drained instead of recovered.

그러나 재생 모드로 필터 유닛(11, 12)이 작동하기 시작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뒤에는, 재생수의 TDS가 충분히 낮아진 상태가 되므로, 재생수가 회수되어 연수의 사용에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 뒤부터는 배수를 중단하고 회수되어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Howev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after the filter units 11 and 12 start operating in the regeneration mode, the TDS of the regeneration water becomes sufficiently low, so the regeneration water can be recovered and used for soft water. Therefor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drainage can be stopped and recovered, thereby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위 소정의 시간은, 재생 모드가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재생수의 TDS가 수원으로부터 제공받는 물의 TDS의 3배 미만이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수 시스템(1)이 각 배출 유로(31, 32)에 TDS의 획득이 가능하고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는 TDS획득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획득된 TDS가 수원으로부터 제공받는 물의 TDS의 3배 이상일 때에는 배수가 일어나고, 그 이하가 되면 회수가 일어나도록 프로세서가 각 밸브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above predetermined time may be the time from when the regeneration mode is executed to the time when the TDS of the regenerated water becomes less than 3 times the TDS of the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ource. In addition, the water softening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DS acquisition unit (not shown) capable of acquiring TDS in each discharge flow path (31, 32) and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so that the obtained TDS is transferred from the water source. The processor may control each valve so that drainage occurs when the TDS of the water provided is more than 3 times, and recovery occurs when it is less than that.

이러한 물의 흐름이 발생하게 프로세서는, 제2 필터 유닛(12)이 재생 모드를 시작한 후 소정 시간 동안에는 재생수가 배수되도록, 제1 배출 밸브(310)와 제2 배수 밸브(420)는 개방되되, 제1 및 제2 상류 회수밸브(510, 520)와 제1 배수 밸브(41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제2 필터 유닛(12)이 재생 모드를 시작한 후 소정 시간 이후부터는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를 통해 재생수가 제1 공급 유로(21)로 공급되도록, 제1 배출 밸브(310)와 제1 상류 회수밸브(510)는 개방되고, 제2 배출 밸브(320)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와, 제1 및 제2 배수 밸브(410, 4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최초 단계에서는 회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상류 회수밸브(510, 520)를 전부 폐쇄하고, 제2 배수 밸브(420)를 개방해 배수가 일어나도록 한다.In order for this water flow to occur, the processor opens the first discharge valve 310 and the second drain valve 420 so that the regeneration water is dr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econd filter unit 12 starts the regeneration mode. The first and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s 510 and 520 and the first drain valve 410 can be controlled to close. And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supply the first discharge water to the first supply passage 21 through the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s 51, 54, and 55 from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econd filter unit 12 starts the regeneration mode. The valve 310 and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10 are open, and the second discharge valve 320,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520, and the first and second drain valves 410 and 420 are closed. It can be controlled as much as possible. That is, to prevent recovery from occurring in the initial stage, the processor closes all of the first and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s 510 and 520 and opens the second drain valve 420 to allow drainage.

프로세서는, 유량획득부(80)가 획득한 연수의 유량이 소정의 임계유량보다 클 경우 작동하고, 임계유량 이하일 경우 작동하지 않도록 펌프(5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유량은 펌프(550)가 정유량 펌프(550)일 때 가지는 한계유량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연수의 유량 이상의 유량을 펌프(550)가 압송하려 할 경우, 제거 모드를 수행하는 제1 필터 유닛(11)으로 수원에서 바로 물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수원에서 공급 유로(21, 22)로 제공된 물이 전부 제2 필터 유닛(12)에 전달된 뒤 재생수가 되어 회수유로부(50)를 거쳐 제1 필터 유닛(11)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원으로부터 제공된 물에 대해 회수된 재생수가 적절한 비율을 유지하면서 섞여 제1 필터 유닛(11)으로 제공되어 양질의 연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위와 같은 제어를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pump 550 to operate when the flow rate of the soft water obtained by the flow rate acquisition unit 80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critical flow rate, and to not operate when the flow rate of the soft water is less than the critical flow rate. Here, the critical flow rate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itical flow rate when the pump 550 is a constant flow rate pump 550. When the pump 550 attempts to pump a flow rate higher than the flow rate of soft water that the user wants to use, water is not delivered directly from the water source to the first filter unit 11 performing the removal mode, but rather is delivered from the water source to the supply flow path 21. This is because all of the water provided to , 22) can be delivered to the second filter unit 12 and then converted into reclaimed water and delivered to the first filter unit 11 through the recovery passage unit 50. The processor may perform the above control so that the recycled water recovered from the water source is mixed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ratio and provided to the first filter unit 11 to produce high-quality soft water.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필터 유닛(11)으로 제공되는 재생수의 양이, 상기 제1 필터 유닛(11)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수의 양의 30% 내지 40%가 되도록 상기 펌프(55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pump 550 so that the amount of regenerated water provided to the first filter unit 11 is 30% to 40% of the amount of soft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er unit 11. there is.

배수 밸브(410, 420)가 소정의 한계유량을 가지는 정유량 밸브일 수 있고, 펌프(550)는 이러한 소정의 한계유량보다 큰 유량으로 물을 압송하는 정유량 펌프(550)일 수 있다. 따라서 펌프(550)를 작동시킴에 따라 일반적인 경우 제2 필터 유닛(12)을 통과하는 유량보다 많은 유량이 제2 필터 유닛(12)을 통과할 수 있고, 재생수의 TDS를 낮춰서 회수시킬 수 있다. 회수되는 재생수의 TDS가 낮아지므로, 회수율을 높이면서도 제1 필터 유닛(11)을 통해 생성되는 연수의 질이 높아질 수 있다.The drain valves 410 and 420 may be constant flow rate valves having a predetermined limit flow rate, and the pump 550 may be a constant flow rate pump 550 that pumps water at a flow rate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limit flow rate. Therefore, by operating the pump 550, a flow rate greater than the flow rate that normally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12 can pass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12, and the TDS of the reclaimed water can be lowered and recovered. Since the TDS of the recovered recycled water is lowered, the quality of soft water generated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11 can be improved while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프로세서는 각 밸브 및 필터 유닛(11, 12)의 제어를 반대로 하여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연수를 제공하며 재생수는 배수하되 도 4에서와 반대로 제1 필터 유닛(11)이 재생 모드를, 제2 필터 유닛(12)이 제거 모드를 수행할 경우, 프로세서는 제2 배출 밸브(320)는 개방되고, 제1 배출 밸브(310)와, 제1 상류 회수밸브(510)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배수가 제1 배수 유로(41)로 이루어지도록 제1 배수 밸브(410)는 개방되고 제2 배수 밸브(4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재생수를 회수하되 도 5에서와 반대로 제1 필터 유닛(11)이 재생 모드를, 제2 필터 유닛(12)이 제거 모드를 수행할 경우, 프로세서는 제2 배출 밸브(320)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는 개방되고, 제1 배출 밸브(310)와 제1 상류 회수밸브(51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배수되는 물이 없도록 제1 배수 밸브(410)와 제2 배수 밸브(42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perform reverse control of each valve and filter unit (11, 12).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soft water is provided and regenerated water is drained, but contrary to FIG. 4, when the first filter unit 11 performs the regeneration mode and the second filter unit 12 performs the removal mode, the processor The second discharge valve 320 can be controlled to be open, and the first discharge valve 310,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10, and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520 can be controlled to be closed. Additionally,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first drain valve 410 to be opened and the second drain valve 420 to be closed so that drainage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drain passage 41. 5, when the first filter unit 11 performs the regeneration mode and the second filter unit 12 performs the removal mode, contrary to FIG. 5, the processor operates the second discharge valve 320 and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520 can be controlled to be open, and the first discharge valve 310 and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10 can be controlled to be closed. Additionally,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first drain valve 410 and the second drain valve 420 to be closed so that no water is drained.

다른 실시예Other embodiment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2)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11, 12)을 제어하여 연수를 제공하되 재생수는 회수 및 배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2)은, 제1 배수 밸브(410b), 제2 배수 밸브(420b), 제1 상류 회수밸브(510b), 제2 상류 회수밸브(520b), 제1 하류 회수밸브(530b), 제2 하류 회수밸브(540b) 및 프로세서를 통한 그 제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일부 차이가 있고, 이외의 부분에서는 동일하므로, 아래 설명될 차이가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설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2)에 적용된다.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soft water is provided by controlling the parallel filter units 11 and 12 of the water softening system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eclaimed water is recovered and drained. The water softening system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ain valve 410b, a second drain valve 420b, a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10b, a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520b, and a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10b. 1 There are some differences from the water soften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wnstream recovery valve 530b, the second downstream recovery valve 540b, and its control through the processor, and other parts are the same, so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water softening system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pplies to the water softening system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xcept for differences to be explained.

프로세서는 도 6과 같이, 제2 필터 유닛(12)에서 제2 배출 유로(32)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수의 일부가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를 통해 제1 공급 유로(21)로 공급되고, 제2 배출 유로(32)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수의 나머지 일부는 제2 배수 유로(42)를 통해 배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필터 유닛(11)에서 배출되는 연수는 제1 배출 유로(31)를 통해 수요처로 배출되고, 제2 필터 유닛(12)에서 제2 배출 유로(32)로 배출되는 재생수의 일부는 제2 회수유로부(51, 54, 55)와 제1 공급 유로(21)를 통해 수원으로부터 제공된 물과 함께 제1 필터 유닛(11)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2 배출 유로(32)로 배출되는 재생수의 나머지 일부는 제2 배수 유로(42)를 통해 버려질 수 있다. 즉 제2 배출 유로(32)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수가 각각 제2 회수유로부(51, 54, 55)와 제2 배수 유로(42)로 분배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 the processor causes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unit 12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to flow through the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s 51, 54, and 55 to the first supply passage 21. )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reclaim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can be controlled to be drain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42. The soft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er unit 11 is discharged to the consumer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1, and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unit 12 to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is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Reclaimed water can be delivered to the first filter unit 11 together with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ource through the recovery passage portions 51, 54, 55 and the first supply passage 21, and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The remaining portion may be discarded through the second drain passage 42. That is, the reclaim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is distributed to the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s 51, 54, and 55 and the second drainage passage 42, respectively.

이러한 물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는 제1 상류 회수밸브(510b)와 제2 배수 밸브(420b)의 개도를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게 조절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출 유로(32)로 배출되는 재생수는 일부가 제1 상류 회수밸브(510b)를 통과해 제1 필터 유닛(11)으로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배수 밸브(420b)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제1 상류 회수밸브(510b)와 제2 배수 밸브(420b)의 개도 제어를 통해, 제2 회수유로부(51, 54, 55)와 제2 배수유로(42)로 각각 배출되는 재생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배출 밸브(320b)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b)가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재생수가 수요처로 전달되거나 제2 필터 유닛(12)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o allow this water flow to occur, the processor may adjust the opening degrees of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10b and the second drain valve 420b so that they are at least partially open and not completely closed.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2 passes through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10b and is provided to the first filter unit 11,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valve 420b. It can be. That is, the processor controls the opening degrees of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10b and the second drain valve 420b to control the recycled water discharged to the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s 51, 54, 55 and the second drainage passage 42, respectively.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second discharge valve 320b and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520b to close, thereby preventing the reclaimed water from being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or re-introduced into the second filter unit 12.

프로세서에 의한 상술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1 상류 회수밸브(510b), 제2 상류 회수밸브(520b), 제1 배수 밸브(410b) 및 제2 배수 밸브(420b) 중 적어도 하나는 개도의 조절을 통해 유량의 제어가 가능한 유량 조절 밸브일 수 있다. 유량 조절 밸브로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o enable the above-described control by the processor, the opening degre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10b,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520b, the first drain valve 410b, and the second drain valve 420b is adjusted. It may be a flow control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A solenoid valve, etc. may be used as a flow control valve, but the type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하류 회수밸브(530b)와 제2 하류 회수밸브(540b) 역시 각 회수유로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체크밸브이면서 개도 제어를 통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하류 회수밸브(530b)와 제2 하류 회수밸브(540b)의 개도 제어를 통해 회수되는 재생수의 유량을 더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downstream recovery valve 530b and the second downstream recovery valve 540b are also disposed in each recovery passage section, they may be check valves and valves capable of adjusting the flow rate through opening control. The processor can further adjust the flow rate of recovered reclaimed water by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s of the first downstream recovery valve 530b and the second downstream recovery valve 540b.

제2 상류 회수밸브(520b), 제1 하류 회수밸브(530b) 및 제1 배수 밸브(410b) 중 적어도 하나가 유량 조절 밸브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필터 유닛(1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제1 배수 유로(41)와 제1 회수유로부(51, 54, 55)로 분배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520b, the first downstream recovery valve 530b, and the first drain valve 410b may be a flow control valve. Through this,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11 can be distributed to the first drain passage 41 and the first recovery passage portions 51, 54, and 55.

제1 상류 회수밸브(510b), 제2 하류 회수밸브(540b) 및 제2 배수 밸브(420b) 중 적어도 하나가 유량 조절 밸브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필터 유닛(12)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제2 배수 유로(42)와 제2 회수유로부(52, 53, 55)로 분배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10b, the second downstream recovery valve 540b, and the second drain valve 420b may be a flow control valve. Through this,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12 can be distributed to the second drain passage 42 and the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s 52, 53, and 5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프로세서는 각 밸브 및 필터 유닛(11, 12)의 제어를 반대로 하여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may reverse the control of each valve and filter unit 11 and 12.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us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2 : 연수 시스템
11 : 제1 필터 유닛
12 : 제2 필터 유닛
21 : 제1 공급 유로
22 : 제2 공급 유로
31 : 제1 배출 유로
32 : 제2 배출 유로
41 : 제1 배수 유로
42 : 제2 배수 유로
50 : 회수유로부
51 : 제1 상류 회수유로
52 : 제2 상류 회수유로
53 : 제1 하류 회수유로
54 : 제2 하류 회수유로
55 : 공통 회수유로
60 : 수원 유로
70 : 수요처 유로
80 : 유량획득부
310 : 제1 배출 밸브
320 : 제2 배출 밸브
410, 410b : 제1 배수 밸브
420, 420b : 제2 배수 밸브
510, 510b : 제1 상류 회수밸브
520, 520b : 제2 상류 회수밸브
530, 530b : 제1 하류 회수밸브
540, 540b : 제2 하류 회수밸브
550 : 펌프
600 : 수원 밸브
1, 2: Water softening system
11: first filter unit
12: second filter unit
21: 1st supply euro
22: Second supply flow path
31: first discharge passage
32: Second discharge passage
41: first drainage flow path
42: 2nd drainage channel
50: Recovery Euro Department
51: First upstream recovery channel
52: Second upstream recovery channel
53: 1st downstream recovery channel
54: Second downstream recovery channel
55: Common recovery path
60: Suwon Euro
70: Demand Euro
80: Flow acquisition unit
310: first discharge valve
320: second discharge valve
410, 410b: first drain valve
420, 420b: second drain valve
510, 510b: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520, 520b: 2nd upstream recovery valve
530, 530b: first downstream recovery valve
540, 540b: Second downstream recovery valve
550: pump
600: water source valve

Claims (12)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하는 제거 모드와, 상기 제거 모드 중에 포집된 이온성 물질을 공급받은 원수와 함께 배출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재생수를 배출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 각각 상기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공급 유로;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부터 각각 상기 연수 또는 상기 재생수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배출 유로;
제1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1 회수유로부;
제2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2 회수유로부;
상기 재생수를 압송하기 위해 상기 제2 회수유로부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제1 배출 유로와 상기 제2 배출 유로에 의해 배출되는 연수의 총유량을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유량획득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 상기 펌프, 상기 유량획득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필터 유닛이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상기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고 할 때, 상기 제2 필터 유닛에서 상기 제2 배출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회수유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공급되게 제어하고,
상기 유량획득부가 획득한 연수의 유량이 소정의 임계유량보다 클 경우 작동하고, 상기 임계유량 이하일 경우 작동하지 않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A removal mod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io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upplied raw water is removed based on electrical force to discharge soft water containing fewer ionic substances than the raw water, and the ionic substances collected during the removal mode are removed.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that selectively perform one of the regeneration modes for discharging together with supplied raw water and discharging regenerated water containing more ionic substances than the raw water;
first and second supply passages provided to supply the raw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provided to discharge the softened water or the regenerated water from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respectively;
a first recovery passage portion for gu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in the first discharge passage to the second supply passage;
a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 for gu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in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o the first supply passage;
a pump disposed in the second recovery passage section to pump out the reclaimed water;
a flow rate acquisition unit provided to obtain a total flow rate of soft water discharged by the first discharge flow path and the second discharge flow path; and
It includes a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the pump, and the flow rate acquisition unit,
The processor;
Whe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filter unit performs the removal mode and the second filter unit performs the regeneration mod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generation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unit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is the second filter unit. 2 Controlling supply to the first supply passage through the recovery passage,
A water softening system that controls the pump to operate when the flow rate of the soft water obtained by the flow rate acquisition unit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critical flow rate, and to not operate when the flow rate is less than the critical flow r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출 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배출 밸브;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2 회수유로부에 배치되는 제1 상류 회수밸브; 및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회수유로부에 배치되는 제2 상류 회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배출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상류 회수밸브에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배출 유로로부터 상기 제2 회수유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재생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 배출 밸브와 상기 제1 상류 회수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 배출 밸브와 상기 제2 상류 회수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first and second discharge valv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s;
a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disposed in the second recovery passageway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an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disposed in the first recovery passageway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The processor is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alves and the first and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s,
The processor opens the first discharge valve and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so that reclaim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o the first supply passage through the second recovery passage, and the second discharge valve and A water softening system wherein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is controlled to be clos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출 유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수 유로; 및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수 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배수 밸브에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배출 유로로부터 상기 제2 회수유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재생수의 일부가 공급되고, 상기 제2 배출 유로로부터 상기 제2 배수 유로를 통해 재생수의 나머지 일부가 배수되도록, 상기 제1 배출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 배출 밸브와 상기 제2 상류 회수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1 상류 회수밸브와 상기 제2 배수 밸브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first and second drain passag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to drain the reclaimed water; and
It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drain valv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drain flow path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s,
The processor is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rain valves,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supply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from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o the first supply passage through the second recovery passage, and to drai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from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 the first discharge valve is opened, the second discharge valve and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are closed, and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and the second drainage valve are controlled to be at least partially op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출 유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수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상기 재생 모드를 시작한 후 소정 시간 동안에는 상기 재생수가 상기 제2 배수 유로를 통해 배수되게 제어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후부터 상기 재생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는 상기 재생수가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공급되게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drain passag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to drain the reclaimed water,
The processor:
Controlling the regeneration water to drain through the second drain passag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second filter unit starts the regeneration mode,
A water softening system that controls the regeneration water to be supplied to the first supply flow path from the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regeneration mode ends.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하는 제거 모드와, 상기 제거 모드 중에 포집된 이온성 물질을 공급받은 원수와 함께 배출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재생수를 배출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 각각 상기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공급 유로;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부터 각각 상기 연수 또는 상기 재생수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배출 유로;
제1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1 회수유로부;
제2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2 회수유로부;
상기 재생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출 유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수 유로;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수 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배수 밸브;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출 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배출 밸브;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2 회수유로부에 배치되는 제1 상류 회수밸브; 및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회수유로부에 배치되는 제2 상류 회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 상기 제1 및 제2 배수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배출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상류 회수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필터 유닛이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상기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고 할 때, 상기 제2 필터 유닛에서 상기 제2 배출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회수유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공급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2 배출 유로로부터 상기 제2 회수유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재생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 배출 밸브와 상기 제1 상류 회수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 배출 밸브와 상기 제2 상류 회수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배출 유로로부터 상기 제2 회수유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재생수의 일부가 공급되고, 상기 제2 배출 유로로부터 상기 제2 배수 유로를 통해 재생수의 나머지 일부가 배수되도록, 상기 제1 배출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 배출 밸브와 상기 제2 상류 회수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1 상류 회수밸브와 상기 제2 배수 밸브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상기 재생 모드를 시작한 후 소정 시간 동안에는 재생수가 배수되도록, 상기 제1 배출 밸브와, 상기 제2 배수 밸브는 개방되되, 상기 제1 및 제2 상류 회수밸브와, 상기 제1 배수 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상기 재생 모드를 시작한 후 소정 시간 이후부터는 상기 제2 회수유로부를 통해 재생수가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 배출 밸브와, 상기 제1 상류 회수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 배출 밸브와, 상기 제2 상류 회수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배수 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A removal mod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io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upplied raw water is removed based on electrical force to discharge soft water containing fewer ionic substances than the raw water, and the ionic substances collected during the removal mode are removed.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that selectively perform one of the regeneration modes for discharging together with supplied raw water and discharging regenerated water containing more ionic substances than the raw water;
first and second supply passages provided to supply the raw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provided to discharge the softened water or the regenerated water from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respectively;
a first recovery passage portion for gu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in the first discharge passage to the second supply passage;
a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 for gu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in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o the first supply passage;
first and second drain passag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to drain the reclaimed water;
first and second drain valv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drain flow paths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s;
first and second discharge valv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s;
a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disposed in the second recovery passageway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and
It includes a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disposed in the first recovery passageway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
a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the first and second drain valve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alves, and the first and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s;
The processor:
Whe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filter unit performs the removal mode and the second filter unit performs the regeneration mod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generation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unit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is the second filter unit. 2 Controlling supply to the first supply passage through the recovery passage,
The first discharge valve and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are opened so that reclaim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o the first supply passage through the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 and the second discharge valve and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are opened. The recovery valve is controlled to close,
A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o the first supply passage through the second recovery passage,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claimed water is drained from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he discharge valve is opened, the second discharge valve and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are closed, and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and the second drainage valve are controlled to be at least partially open,
The first discharge valve and the second drain valve are opened so that the regeneration water is drai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second filter unit starts the regeneration mode, the first and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s, and the first The drain valve is controlled to close,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econd filter unit starts the regeneration mode, the first discharge valve and the first upstream recovery valve are opened so that the regenera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supply passage through the second recovery passage. , wherein the second discharge valve, the second upstream recovery valve, and the first and second drain valves are controlled to be clo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출 유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수 유로; 및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수 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정유량 밸브인 제1 및 제2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2 배수 밸브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는 한계유량보다 큰 유량으로 재생수를 압송하는 정유량 펌프인, 연수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first and second drain passag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to drain the reclaimed water; and
It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drain valves, which are constant flow rate valv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drain flow path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s,
The pump is a constant flow pump that pumps reclaimed water at a flow rate greater than the limit flow rate tha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val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필터 유닛으로 제공되는 재생수의 양이, 상기 제1 필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수의 양의 30% 내지 40%가 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ocessor controls the pump so that the amount of reclaimed water provided to the first filter unit is 30% to 40% of the amount of soft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수유로부와 상기 제2 회수유로부는 공통 회수유로를 공유하고,
상기 제1 회수유로부는 상기 공통 회수유로와 상기 제1 배출 유로를 연결하는 제1 하류 회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수유로부는 상기 공통 회수유로와 상기 제2 배출 유로를 연결하는 제2 하류 회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 유로 또는 상기 제2 배출 유로로부터 상기 공통 회수유로로의 흐름만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1 하류 회수유로와 상기 제2 하류 회수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하류 회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recovery passageway and the second recovery passageway share a common recovery passageway,
The first recovery passage portion includes a first downstream recovery passage connecting the common recovery passage and the first discharge passage,
The second recovery passage portion includes a second downstream recovery passage connecting the common recovery passage and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First and second downstream recovery valv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downstream recovery passages are provided to allow only flow from the first discharge passage or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o the common recovery passage. Including, water soften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제거 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연수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lter unit is a water softening system that selectively performs one of a removal mode in which the ionic material is removed by electrodeionization through an electrode and a regeneration mode in which the electrode is regenerated.
KR1020210118396A 2020-09-28 2021-09-06 Water softening system KR102624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86,895 US20220098062A1 (en) 2020-09-28 2021-09-27 Water softening system
KR1020230195751A KR20240007636A (en) 2020-09-28 2023-12-28 Water softe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681 2020-09-28
KR20200125681 2020-09-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5751A Division KR20240007636A (en) 2020-09-28 2023-12-28 Water soften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025A KR20220043025A (en) 2022-04-05
KR102624675B1 true KR102624675B1 (en) 2024-01-15

Family

ID=8118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396A KR102624675B1 (en) 2020-09-28 2021-09-06 Water soften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67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550B1 (en) * 2008-06-10 2008-10-02 (주)원하이테크 Apparatus for generating concentrated gas being capable of controlling concentration of gas by using flow control valve and method of generating concentrated gas b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557B1 (en) * 2009-10-14 2016-07-05 코웨이 주식회사 Softener System
KR102557399B1 (en) * 2019-03-07 2023-07-2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Water soften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550B1 (en) * 2008-06-10 2008-10-02 (주)원하이테크 Apparatus for generating concentrated gas being capable of controlling concentration of gas by using flow control valve and method of generating concentrated gas b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025A (en)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763B1 (en) Water softening system
KR102010978B1 (en)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using capacitive deioniz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57399B1 (en) Water softening system
CN107406282B (en) System and method for capacitive deionization of fluids
KR20120078611A (en) Water purifier and water-tre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948006B1 (en) Water purifier
KR102624675B1 (en) Water softening system
KR20240007636A (en) Water softening system
KR102621163B1 (en) Softening system
KR20240023585A (en) Water softener system
US20210198127A1 (en) Water softening system
KR102232416B1 (en) Water purifier having deionization filter
CN111465583A (en) Water purifier provided with deionizing fil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98182B1 (en) Softening system
KR102666200B1 (en) Water softening system
US20230128055A1 (en) Water-softening system
KR20200130975A (en) 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reverse osmosis filter
KR102253335B1 (en) Softening system
KR102275495B1 (en) Softening system
KR20240073836A (en) Water softening system
KR20220050762A (en) Water softening system
CN111757855B (en) Water purifier with deionizing fil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91677A (en) Water treatment system
US20220119284A1 (en) Water softening system
KR102419367B1 (en) Scale-free evaporative coo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