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789B1 -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789B1
KR102623789B1 KR1020190134717A KR20190134717A KR102623789B1 KR 102623789 B1 KR102623789 B1 KR 102623789B1 KR 1020190134717 A KR1020190134717 A KR 1020190134717A KR 20190134717 A KR20190134717 A KR 20190134717A KR 102623789 B1 KR102623789 B1 KR 102623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riving
signal
display devic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0285A (ko
Inventor
박현규
전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4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7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간에 따라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터치 센싱 신호의 편차를 감소시키고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TOUCH CIRCUIT,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어레이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이 교차되고,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GL)의 교차부에는 액정셀을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된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액정셀의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가 형성되며, 액정셀은 픽셀 전극, 공통 전극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픽셀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에 의해 액정셀들의 액정층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 때, 전계에 의해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량이 조절됨으로써 영상이 구현된다.
구동 회로는 게이트 라인(GL)에 게이트 출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와, 데이터 라인(DL)에 영상 신호(즉, 데이터 전압)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 회로는 데이터 라인(DL)을 구동시켜서 액정셀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는 게이트 라인(GL)을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셀들을 1 수평 라인씩 선택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는 게이트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기 위해, 다수의 스테이지들로 구성된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포함한다.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스테이지는 충전과 방전을 교번으로 진행함으로써 게이트 클럭 신호와 저전위 전압 레벨로 이루어진 게이트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스테이지들의 출력단 각각은 게이트 라인(GL)에 일 대 일로 연결된다. 스테이지들로부터 제1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한 프레임에 한 번씩 순차적으로 발생되어 해당 게이트 라인(GL)에 공급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 입력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를 위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에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는 소자들을 내장하는 패널 내장형(In-cell type)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터치 라인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커패시턴스를 감지하여 터치 유무 및 터치 위치를 감지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커패시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며, 터치 라인에 노이즈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터치 동작에 의한 커패시턴스가 변하게 되어, 터치 센싱에 대한 오동작이 발생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간에 따라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터치 센싱 신호의 편차를 감소시키고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터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터치 스크린 패널이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라인을 통해,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주파수로 구성되는 터치 구동 신호를 터치 전극에 공급하는 터치 회로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터치 라인은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동 라인과, 터치 전극으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센싱 라인을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터치 구동 신호는 구동 라인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주파수로 구성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복수의 주파수는 직교 관계를 가지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터치 구동 신호는 일정한 시간 구간에서의 중첩 주파수가 동일한 중첩 코드의 배열로 구성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터치 구동 신호는 중첩 코드의 배열이 행 벡터 및 열 벡터가 직교하는 정방 행렬로 구성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행 벡터 및 열 벡터가 직교하는 정방 행렬은 하다마드 행렬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터치 회로는 터치 전극으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센싱 신호를 주파수에 따라 분리해서,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터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터치 스크린 패널이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 라인을 통해,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주파수로 구성되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전극에 공급하는 단계와, 터치 전극으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센싱 신호를 주파수에 따라 분리해서,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터치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터치 센싱 신호의 편차를 감소시키고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의 타이밍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시간적으로 분할된 기간에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이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의 타이밍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동 라인마다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를 달리하여 인가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터치 센싱 신호(TSS)의 크기가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상이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예시로 설명한 경우를 이해하기 쉽도록, 구동 라인 마다 시간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 변경을 도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주파수 배열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상이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행 벡터와 열 벡터가 직교하는 정방 행렬을 이용하여 중첩 코드의 배열로 구성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의 주파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 센싱 신호를 주파수에 따라 분리한 경우의 신호 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 기능과,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표시를 위해서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20)는 기능적으로 볼 때,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회로와,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와, 데이터 구동 회로 및 게이트 구동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20)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센싱을 위해서 다수의 터치 전극들(TE)이 배치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과, 터치 스크린 패널(TSP)의 구동 및 센싱 처리를 수행하는 터치 회로(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TSP)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별도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본딩되는 외장형 타입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작 과정에 함께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내장형 타입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내장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 회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토대로, 터치 유무 및 터치 좌표를 검출한다.
이러한 터치 회로(130)는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구동 회로와, 터치 유무 및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 회로(1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품(예: 집적 회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2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회로(130)의 전체 또는 일부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20) 또는 그 내부 회로와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회로(130)의 터치 구동 회로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20)의 데이터 구동 회로와 함께 집적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전극들(TE)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에 기반하여 터치 유무 및 터치 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패시턴스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으로서,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를 센싱할 수도 있고, 자기 정전 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를 센싱할 수도 있다.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의 경우, 다수의 터치 전극들(TE)은 구동 라인을 통해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동 전극과, 센싱 라인을 통해 터치 센싱 신호가 센싱되고 구동 전극과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는 센싱 전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때, 구동 라인과 센싱 라인을 포함하여 터치 라인(TL)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정전 용량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의 경우, 손가락, 펜 등의 포인터 유무에 따라, 구동 전극과 센싱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토대로 터치 유무 및 터치 좌표 등을 검출한다.
자기 정전 용량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의 경우, 각 터치 전극(TE)은 구동 전극의 역할과 센싱 전극의 역할을 모두 하게 된다. 즉, 각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되고,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된 터치 전극(TE)을 통해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자기 정전 용량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에서는, 구동 전극과 센싱 전극의 구분이 없게 된다.
이러한 자기 정전 용량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의 경우, 손가락, 펜 등의 포인터와 터치 전극(TE) 사이에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토대로 터치 유무 및 터치 좌표 등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호 정전 용량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으로 터치를 센싱할 수도 있고, 자기 정전 용량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으로 터치를 센싱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호 정전 용량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이 채택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지만, 자기 정전 용량 기반의 터치 센싱 방식이 채택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등의 다양한 타입의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수의 터치 전극(TE) 및 다수의 터치 라인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터치 전극(TE)으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회로(130)를 포함한다.
다수의 터치 전극(TE)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분할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 라인을 통해 터치 회로(130)와 연결된다.
터치 라인은 터치 회로(130)로부터 출력된 터치 구동 신호를 터치 전극(TE)으로 인가하는 구동 라인(Tx1, ?? , Txn)과, 터치 센싱 신호를 터치 전극(TE)으로부터 터치 회로(130)에 전달하는 센싱 라인(Rx1, ?? , Rxn)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 라인(Tx)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터치 센싱 신호를 전달하는 센싱 라인(Rx)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동 라인(Tx)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센싱 라인(Rx)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구동 라인(Tx)과 센싱 라인(Rx)의 배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터치 회로(130)는 터치 센싱 구간에서 구동 라인(Tx)을 통해 다수의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터치 전극(TE)에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 전극(TE)의 커패시턴스 변화가 발생한다.
터치 회로(130)는 센싱 라인(Rx)을 통해 터치 전극(TE)으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전극(TE)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센싱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의 타이밍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시간적으로 분할된 기간에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이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구동 기간 사이의 기간(예, 블랭크 기간)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포함된 터치 전극(TE)을 구동하여 터치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마다 존재하는 수직 블랭크 기간에 터치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수평 블랭크 기간 중 일부 수평 블랭크 기간에 터치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포함된 공통 전극을 터치 전극(TE)으로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기간에 터치 전극(TE)으로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되고 터치 센싱 기간에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가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구동 신호(TDS)는 시간에 따라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는 펄스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싱 기간에 디스플레이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전극과 신호 라인 등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정전압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터치 구동 신호(TDS)가 인가된 터치 전극(TE)과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사이에 기생 커패시턴스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생 커패시턴스로 인해 터치 센싱 신호(TSS)의 검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전극(TE)과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사이에 형성되는 기생 커패시턴스를 방지하기 위하여, 터치 센싱 기간에 터치 전극(TE)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와 동일한 전압과 위상을 갖는 신호를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등으로 공급할 수 있다.
터치 센싱 기간에 데이터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와 동일한 전압과 위상을 갖는 데이터 전압(Vdata)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센싱 기간에 게이트 라인은 게이트 로우 전압(VGL)이 인가되므로, 터치 구동 신호(TDS)와 동일한 전압과 위상을 갖도록 게이트 로우 전압(VGL)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싱 기간에 터치 구동 신호(TDS)와 동일한 전압과 위상을 갖는 신호를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등으로 공급함으로써, 터치 전극(TE)과 신호 라인 사이에 기생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터치 센싱 신호(TSS)의 검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의 타이밍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구동 기간과 동시에 터치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센싱 기간은 디스플레이 구동 기간과 동일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구동 기간 사이의 블랭크 기간일 수도 있다. 즉, 터치 센싱은 디스플레이 구동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구동과 동시에 터치 센싱이 수행될 수도 있다.
터치 센싱이 디스플레이 구동과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터치 전극(TE)으로는 터치 구동 신호(TDS)가 인가되고,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해서 데이터 전압(Vdata)이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며, 게이트 라인으로 인가되는 스캔 신호의 출력에 이용되는 게이트 하이 전압(VGH), 게이트 로우 전압(VGL) 등이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포함된 공통 전극이 터치 전극(TE)으로 이용되는 경우, 터치 전극(TE)에 터치 구동 신호(TDS)가 인가되므로 공통 전극과 데이터 전압(Vdata)이 인가되는 픽셀 전극 사이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터치 구동 신호(TDS)는 시간에 따라 전압이 변화하므로, 터치 구동 신호(TDS)가 인가된 공통 전극과 픽셀 전극 사이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차가 형성되지 않아 서브픽셀이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밝기를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라인(D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에 기초하여 변조된 데이터 전압(Vdata)을 공급해줌으로써, 터치 구동 신호(TDS)가 인가된 공통 전극과 픽셀 전극 사이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차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압(Vdata)의 변조는 일 예로, 데이터 구동 회로에서 데이터 전압(Vdata)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감마 전압을 변조하는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치된 그라운드 전압을 변조시켜줌으로써 변조된 데이터 전압(Vdata)이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스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게이트 하이 전압(VGH)과 게이트 로우 전압(VGL)을 터치 구동 신호(TDS)에 기초하여 변조함으로써, 게이트 라인으로 변조된 스캔 신호가 인가되어 게이트 라인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라인으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Vdata)과 게이트 라인으로 인가되는 스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게이트 하이 전압(VGH), 게이트 로우 전압(VGL)을 터치 구동 신호(TDS)에 기초하여 변조해줌으로써,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싱 과정에서 터치 라인에 노이즈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터치 동작에 의한 커패시턴스가 변하게 되어, 터치 센싱에 대한 오동작이 발생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노이즈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구동 라인(Tx)에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를 구동 라인(Tx)마다 달리하여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진행하거나 동시 구동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동 라인마다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를 달리하여 인가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회로(TIC)는 구동 라인(Tx1, Tx2, ?? , Txn-1, Txn)을 통해 서로 다른 주파수의 터치 구동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이 때, 구동 라인(Tx1, Tx2, ?? , Txn-1, Txn)을 통해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는 정현파일 수 있으며, 각 터치 구동 신호(TDS)는 서로 직교 관계(Orthogonal)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지기 때문에, 각 주파수 성분에 따라 분리하여 추출이 가능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치된 터치 전극(TE)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회로(TIC)는 센싱 라인(Rx1, ?? , Rxn)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센싱 신호(TSS)를 수신한다. 터치 센싱 신호(TSS)는 구동 라인(Tx1, Tx2, ?? , Txn-1, Txn)을 통해 인가된 터치 구동 신호(TDS)의 주파수 성분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터치 회로(TIC)는 터치 센싱 신호(TSS)를 주파수 별로 신호를 분리하여 그 크기를 계산한다.
이 때, 터치 회로(TIC)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ation; FFT)과 같은 신호 처리 알고리듬을 이용해서, 터치 센싱 신호(TSS)를 주파수 별로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 주파수 별로 분리된 신호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의 터치 유무를 판별하고,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주파수 및 그 주변 주파수의 신호 크기로부터 터치가 발생한 좌표를 생성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110)로부터 수신된 터치 센싱 신호(TSS)는 인가된 터치 구동 신호(TDS)의 주파수에 따라 응답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터치 센싱 신호(TSS)로부터 분리된 신호는 주파수에 따라 신호의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도 6은 터치 센싱 신호(TSS)의 크기가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터치 센싱 신호(TSS)로부터 분리된 신호가 주파수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하기 때문에, 크기의 편차(△M)가 발생하고,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터치 구동 신호(TDS)로부터 터치 유무 및 터치 좌표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구동 라인(Tx)마다 시간에 따라 주파수를 변경하되 일정한 시간 구간 동안의 중첩 주파수가 동일하도록 동일한 중첩 코드(Super Position Code; SPC)를 가지는 터치 구동 신호(TDS)를 인가함으로써, 센싱 라인(Rx)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센싱 신호(TSS)의 크기를 평탄하게 함으로써, 정확한 터치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상이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터치 회로(TIC)는 구동 라인(Tx1, ?? , Tx4)을 통해 시간에 따라 상이한 주파수를 가지되, 중첩 주파수가 동일하도록 동일한 중첩 코드(SPC)를 가지는 터치 구동 신호(TDS)를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제 1 구동 라인(Tx1) 내지 제 4 구동 라인(Tx4)을 통해 터치 구동 신호(TDS)를 인가하는 경우, 4개의 주파수(f1, f2, f3, f4)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변경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를 각 구동 라인(Tx1, ?? , Tx4)을 통해 인가할 수 있다. 이 때, 각 구동 라인(Tx1, ?? , Tx4)을 통해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의 시간에 따른 주파수를 모두 합산한 중첩 주파수가 동일하도록 터치 구동 신호(TDS)의 주파수를 구성한다.
즉, 4개의 구동 라인(Tx1, ?? , Tx4)에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는 4개의 시간 구간(t1, t2, t3, t4)에 4개의 주파수(f1, f2, f3, f4)를 각각 하나씩 배치하되, 4개의 구동 라인(Tx1, ?? , Tx4)마다 4개의 주파수(f1, f2, f3, f4) 배열 순서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동 라인(Tx1)을 통해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는 4개의 시간 구간(t1, ?? , t4) 동안 순차적으로 f1, f2, f3, f4의 주파수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 2 구동 라인(Tx2)을 통해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는 4개의 시간 구간(t1, ?? , t4) 동안 순차적으로 f4, f1, f2, f3의 주파수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제 3 구동 라인(Tx3)을 통해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는 4개의 시간 구간(t1, ?? , t4) 동안 순차적으로 f3, f4, f1, f2의 주파수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4 구동 라인(Tx4)을 통해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는 4개의 시간 구간(t1, ?? , t4) 동안 순차적으로 f2, f3, f4, f1의 주파수를 가지도록 한다.
그 결과, 제 1 구동 라인(Tx1)을 통해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에 의하여, 제 1 센싱 라인(Rx1)을 통해 검출되는 터치 센싱 신호(TSS)는 f1t1 + f2t2 + f3t3 + f4t4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 2 구동 라인(Tx2)을 통해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에 의하여, 제 1 센싱 라인(Rx1)을 통해 검출되는 터치 센싱 신호(TSS)는 f4t1 + f1t2 + f2t3 + f3t4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 3 구동 라인(Tx3)을 통해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에 의하여, 제 1 센싱 라인(Rx1)을 통해 검출되는 터치 센싱 신호(TSS)는 f3t1 + f4t2 + f1t3 + f2t4 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제 4 구동 라인(Tx4)을 통해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에 의하여, 제 1 센싱 라인(Rx1)을 통해 검출되는 터치 센싱 신호(TSS)는 f2t1 + f3t2 + f4t3 + f1t4 로 나타낼 수 있다.
즉, 4개의 구동 라인(Tx1, ?? , Tx4)에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의 시간에 따른 배열은 시간 구간마다 상이한 주파수로 이루어지지만, t1 내지 t4 시간 구간에 대한 중첩 주파수는 f1 + f2 + f3 + f4 로서 동일한 값을 가지는 중첩 코드(SPC)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 결과, 센싱 라인(Rx1, ?? , Rx4)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센싱 신호(TSS)의 주파수에 따른 신호의 크기는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된다.
이 때, 시간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는 주파수 f1, f2, f3, 및 f4는 터치 센싱 신호(TSS)로부터 주파수 별로 분리할 수 있도록 직교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7에서 예시로 설명한 경우를 이해하기 쉽도록, 구동 라인 마다 시간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 변경을 도표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주파수 배열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4개의 구동 라인(Tx1, ?? , Tx4)에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지는 터치 구동 신호(TDS)를 인가하는 경우, 터치 구동 신호(TDS)를 4개의 주파수(f1, f2, f3, f4)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4개의 시간 구간(T1, T2, T3, T4)에 각각 4개의 주파수(f1, f2, f3, f4)를 한 번씩 사용함으로써, 중첩 주파수가 동일한 중첩 코드(SPC)의 배열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 1 주파수(f1)를 4개의 구동 라인(Tx1, ?? , Tx4)에 대하여 각각 한 번씩 배치하되, 서로 다른 시간 구간에 배치한다. 또한, 제 2 주파수(f2)도 4개의 구동 라인(Tx1, ?? , Tx4)에 대하여 각각 한 번씩 배치하되, 제 1 주파수(f1)가 배치되지 않은 구간 중에서 서로 다른 시간 구간에 각각 배치한다. 이러한 순서로 제 3 주파수(f3) 및 제 4 주파수(f4)도 4개의 구동 라인(Tx1, ?? , Tx4)에 대하여 각각 한 번씩 배치하되, 서로 다른 시간 구간에 배치한다.
이로써, 제 1 시간 구간(T1) 내지 제 4 시간 구간(T4)에서, 4개의 구동 라인(Tx1, ?? , Tx4)에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는 각각 제 1 주파수(f1) 내지 제 4 주파수(f4)를 한 번씩 가지므로 중첩 주파수는 모두 f1 + f2 + f3 + f4 로 동일하게 되면서,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가 나타나므로, 터치 센싱 신호(TSS)를 주파수 별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상이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터치 전극(TE)에 터치 구동 신호(TDS)를 인가하는 구동 라인(Tx)이 16개(Tx1, ?? , Tx16)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16개의 주파수(f1, ?? , f16)를 시간에 따라 한 번씩 배치함으로써 중첩 주파수가 동일한 중첩 코드(SPC)의 배열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각 구동 라인(Tx1, ?? , Tx16)에 직교 관계에 있는 16개의 주파수(f1, ?? , f16)을 시간에 따라 한 번씩 배치하되, 동일한 시간에는 구동 라인(Tx1, ?? , Tx16)에 동일한 주파수가 배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첩 코드(SPC)의 배열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 라인(Tx)이 3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터치 전극(TE)에 터치 구동 신호(TDS)를 인가하는 구동 라인(Tx)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시간에 따라 사용되는 주파수의 개수도 증가하게 되어,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TDS)의 주파수 대역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구동 신호(TDS)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개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시간 구간에서 중첩 주파수가 동일한 중첩 코드(SPC)의 배열로 구성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 그룹을 형성하고, 터치 구동 신호(TDS) 그룹을 행 벡터와 열 벡터가 직교하는 정방 행렬로 확장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행 벡터와 열 벡터가 직교하는 정방 행렬을 이용하여 중첩 코드의 배열로 구성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의 주파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터치 회로(TIC)는 먼저 일정한 시간 구간에서 중첩 주파수가 동일한 중첩 코드(SPC)의 배열로 구성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 그룹을 형성한다.
여기에서는 위에서 예시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구동 라인(Tx1) 내지 제 4 구동 라인(Tx4)에 대해서 시간에 따라 4개의 주파수(f1, f2, f3, f4)로 구성되는 4 X 4 배열의 중첩 코드(SPC)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4개의 주파수(f1, f2, f3, f4)를 이용해서, 4개의 구동 라인(Tx1, ?? , Tx4)에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가 동일한 중첩 주파수를 가지는 중첩 코드(SPC)의 배열로 터치 구동 신호(TDS) 그룹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터치 구동 신호(TDS) 그룹은 행 벡터와 열 벡터가 직교하는 정방 행렬을 이용하여 확장할 수 있다. 행 벡터와 열 벡터가 직교하는 정방 행렬의 예로서는 하다마드(Hadamard) 행렬을 들 수 있다. 하다마드 행렬은 모든 성분이 +1, 또는 -1의 값을 가지며, 행 벡터들과 열 벡터들이 각각 서로 직교하는 정방 행렬이다. 이와 같이, 직교 관계에 있는 정방 행렬을 사용함으로써 터치 센싱 신호(TSS)로부터 주파수 별로 신호를 분리하기가 용이해 진다.
예를 들어, 터치 구동 신호(TDS) 그룹을 16개의 구동 신호(Tx1, ?? , Tx16)에 확장하는 경우, 4 X 4 배열의 터치 구동 신호(TDS) 그룹을 하다마드 행렬에 따라 그대로(+1)로 배치하거나, 반전시켜서(-1)로 배치함으로써, 4개의 주파수(f1, f2, f3, f4)를 이용하여 중첩 주파수가 동일한 16 X 16 배열의 터치 구동 신호(TDS)를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16개의 구동 라인(Tx1, ?? , Tx16)에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를 4개의 주파수(f1, f2, f3, f4)로 직교 관계로 구성할 수 있으며, 터치 전극(TE)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 구동 신호(TDS)의 주파수 개수를 감소시키면서도, 터치 센싱 신호(TSS)의 주파수에 따른 크기 편차를 평준화시켜서 노이즈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터치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 센싱 신호를 주파수에 따라 분리한 경우의 신호 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터치 회로(TIC)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과 같은 신호 처리 알고리듬을 이용해서, 센싱 라인(Rx)을 통해 수신된 터치 센싱 신호(TSS)로부터 구동 라인(Tx)을 통해 인가된 터치 구동 신호(TDS)에 포함된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분리하게 될 것이다.
이 때, 터치 구동 신호(TDS)는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다수의 주파수는 중첩 주파수가 동일한 중첩 코드(SPC)의 배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센싱 라인(Rx)을 통해 수신된 터치 센싱 신호(TSS)로부터 분리된 주파수 별 신호의 크기는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된다.
그 결과, 일정한 크기를 나타내는 지점을 기준으로 터치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터치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15)

  1. N(N은 자연수) X N 배열의 터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터치 스크린 패널이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라인을 통해,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변경되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전극에 공급하는 터치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M(M은 N의 약수) X M 배열의 터치 구동 신호 그룹을 직교 관계에 있는 정방 행렬을 이용하여 N X N 배열로 확장한 신호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라인은
    상기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동 라인; 및
    상기 터치 전극으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센싱 라인을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M개의 주파수로 구성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직교 관계를 가지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일정한 시간 구간에서의 중첩 주파수가 동일한 중첩 코드의 배열로 구성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 행렬은 하다마드 행렬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회로는
    상기 터치 전극으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센싱 신호를 주파수에 따라 분리해서,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9. 터치 회로에서 N(N은 자연수) X N 배열의 터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터치 스크린 패널이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 라인을 통해,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변경되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상기 터치 전극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전극으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센싱 신호를 주파수에 따라 분리해서,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M(M은 N의 약수) X M 배열의 터치 구동 신호 그룹을 직교 관계에 있는 정방 행렬을 이용하여 N X N 배열로 확장한 신호인 터치 구동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라인은
    상기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동 라인; 및
    상기 터치 전극으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센싱 라인을 포함하는 터치 구동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M개의 주파수로 구성되는 터치 구동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직교 관계를 가지는 터치 구동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일정한 시간 구간에서의 중첩 주파수가 동일한 중첩 코드의 배열로 구성되는 터치 구동 방법.
  14. 삭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 행렬은 하다마드 행렬인 터치 구동 방법.
KR1020190134717A 2019-10-28 2019-10-28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 KR102623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717A KR102623789B1 (ko) 2019-10-28 2019-10-28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717A KR102623789B1 (ko) 2019-10-28 2019-10-28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285A KR20210050285A (ko) 2021-05-07
KR102623789B1 true KR102623789B1 (ko) 2024-01-10

Family

ID=7591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717A KR102623789B1 (ko) 2019-10-28 2019-10-28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7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086B1 (ko) 2016-01-20 2017-04-1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정전 용량 터치센서 장치 및 감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3565A1 (en) * 2010-07-16 2012-01-19 Perceptive Pixel Inc. Techniques for Locally Improving Signal to Noise in a Capacitive Touch Sensor
US8766931B2 (en) * 2010-07-16 2014-07-01 Perceptive Pixel Inc. Capacitive touch sensor having code-divided and time-divided transmit waveforms
US10620737B2 (en) * 2014-12-08 2020-04-14 Tactual Labs Co. Differential transmission for reduction of cross-talk in projective capacitive touch sensors
KR102417379B1 (ko) * 2015-11-03 2022-07-07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터치 센싱 콘트롤러 및 이를 갖는 터치 센싱장치
KR20180076512A (ko) *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시변구동신호를 이용한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시스템
KR102390164B1 (ko) * 2017-10-30 2022-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방법, 터치 센싱 회로 및 터치 표시장치
KR102024307B1 (ko) * 2017-11-28 2019-09-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레벨 하다마드 행렬을 이용한 센서 시스템의 송신 및 수신 장치와,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086B1 (ko) 2016-01-20 2017-04-1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정전 용량 터치센서 장치 및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285A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7452B2 (en) Touch display device, touch sens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US9335852B2 (en) In-cell touch display device
US9046954B2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671883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357768B1 (ko) 터치 센싱 장치
EP2884374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15072686A (ja) ディスプレイ保護技術
US9128713B2 (en) Method and circuit to optimize N-line LCD power consumption
JP2019121383A (ja) タッチ表示装置、タッチ駆動回路、及びタッチ駆動方法
US11307698B2 (en) Touch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526247B2 (en) Touch display device, touch circuit and touch driving method thereof
CN112181190B (zh) 驱动电路、触摸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13050813A (zh) 触摸显示装置及其触摸驱动方法
KR20150067824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623789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
KR102251722B1 (ko) 간섭 측정치들을 이용한 전력 소비 최적화
US11740737B2 (en) Touch display device, touch driving circuit and touch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40138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05872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3814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패널
KR20160092095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768563B2 (en) Touch display device
KR101688428B1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20015689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