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271B1 - 휴대용 파워뱅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파워뱅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271B1
KR102623271B1 KR1020210131407A KR20210131407A KR102623271B1 KR 102623271 B1 KR102623271 B1 KR 102623271B1 KR 1020210131407 A KR1020210131407 A KR 1020210131407A KR 20210131407 A KR20210131407 A KR 20210131407A KR 102623271 B1 KR102623271 B1 KR 102623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ttery
power
modu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8676A (ko
Inventor
주쌍돈
Original Assignee
주쌍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쌍돈 filed Critical 주쌍돈
Priority to KR102021013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2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4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10Control circuit supply, e.g.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19Charger status, e.g. volt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파워뱅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파워뱅크장치는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의 함체로서, 내부에 충전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부는 개폐 가능한 덮개가 결합되는 본체; 상기 덮개의 상부 표면상에 설치되고, 전원 스위치, 직류전압 출력단자, 배터리 충전용 입력단자, UV 램프모듈 및 디스플레이모듈이 마련되는 다기능 패널; 상기 덮개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충전 전력을 인가하는 무선 충전모듈; 상기 본체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LED 램프모듈; 및, 상기 배터리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상기 다기능 패널, 무선 충전모듈 및 LED 램프모듈로 구동전력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파워뱅크로서의 용도와 함께,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다기능성을 갖고, 심미감과 휴대성이 개선되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파워뱅크장치{portable power bank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파워뱅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전자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면서, 휴대성과 심미감을 갖는 파워뱅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학의 발전에 따라 전자기기의 사용이 필수가 되면서 휴대폰, 오락용기기, 노트북 등이 다양한 전자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는 야외 활동에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조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파워뱅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선박, 야외공연장, 캠핑장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배터리팩 등의 파워뱅크장치는 사각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단자, (-)단자에 전원소켓으로 전력을 인가시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통상적인 파워뱅크장치는 직류 출력단자, USB 출력단자 등의 출력단자가 구비되나, 야외에서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적인 요소가 부족하고,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파워뱅크는 선박이나, 자동차에 이용될 수 있도록 용량과 크기가 상당하여 휴대성이 떨어진다. 뿐만아니라, 기존의 파워뱅크는 그 형태가 단순하여 심미감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보조적인 전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심미감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기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파워뱅크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194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474호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파워뱅크로서의 용도와 함께,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다기능성을 갖고, 심미감과 휴대성이 개선되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파워뱅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파워뱅크장치는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의 함체로서, 내부에 충전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부는 개폐 가능한 덮개가 결합되는 본체; 상기 덮개의 상부 표면상에 설치되고, 전원 스위치, 직류전압 출력단자, 배터리 충전용 입력단자, UV 램프모듈, 스피커가 연결되는 스피커단자 및, 상기 직류 전압 출력단자에 공급되는 직류의 전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배터리의 잔류전류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마련되는 다기능 패널; 상기 본체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충전 전력을 인가하는 무선 충전모듈; 상기 본체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LED 소자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이 방열판과 함께 설치되고, 실리콘 또는 테프론 소재의 기밀부재가 구비되는 LED 램프모듈; 양측 끝단이 소정 절곡된 손잡이바와,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바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어 손잡이바가 접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슬롯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기 다기능 패널을 통과하여 덮개에 삽입되는 나사가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덮개에 고정되도록 덮개에 삽입된 나사에 스크류 체결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덮개 상부면에 장착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상기 다기능 패널, 무선 충전모듈 및 LED 램프모듈로 구동전력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LED 램프모듈 및 UV 램프모듈은, 출력광의 밝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램프 조절 스위치가 상기 덮개의 둘레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아세탈 수지 20~50wt%, 유리섬유 49~79wt%, 카본 0.1~1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조성물로 사출성형되고, 상기 유리섬유는 SiO2 52~75.5wt%, Al2O3 0.5~23.8wt%, CaO 0.01~25wt%, MgO 0.5~10.3wt%, B2O3 0.01~21.8wt%, Na2O+K2O 0.27~18wt%의 화학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파워뱅크로서의 용도와 함께,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다기능성을 갖고, 심미감과 휴대성이 개선되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본 발명의 효과들은 후술할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파워뱅크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파워뱅크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파워뱅크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덮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손잡이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의 배향과 관련하여 된다. 본 발명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특정한 용어들에 설명되는 것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으로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및/또는' 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휴대용 파워뱅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전자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면서, 휴대성, 다기능성 및 심미감을 갖는 파워뱅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파워뱅크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파워뱅크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파워뱅크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파워뱅크장치는, 본체(100), 다기능 패널(200), 무선 충전모듈(300), LED 램프모듈(400) 및 제어회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의 함체로서, 내부에 충전가능한 배터리(110)가 내장되고, 상부는 개폐 가능한 덮개(120)가 결합된다.
배터리(11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110)를 이용하며, 예를 들어 12V, 12A 납축전지를 배터리(110)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110)의 충전은 교류 220V 전원을 직류 12V로 변환하는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하거나, 차량용 배터리(직류 12V)에 연결하여 충전할 수도 있다. 한편, 배터리(110)의 (+) 전극 단자와 (-) 전극 단자가 상기 다기능 패널(200)에 전선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10)는 본체(100)의 내부 하측에 내장되며, 원통형상의 본체(100) 의 상부는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본체(100) 상부에는 개폐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덮개(120)가 구비된다. 덮개(120)는 본체(100)와 그 접합부를 따라 밀폐용 고무 패킹이 마련되어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덮개(120)는 스크류 방식으로 본체(10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이 외부 충격에 의한 임의적인 개방을 방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내장된 배터리(110)의 보호를 위하여 본체(100)에 내장된 배터리(110)의 외주변에는 적절한 단열부재가 위치될수 있다. 적절한 단열부재는 배터리(110) 외주변과 덮개(120)와의 사이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스티로폼, 스폰지, 우레탄 스폰지 또는 우레탄 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단열부재로는 우레탄 폼 또는 우레탄 스폰지를 이용하여 배터리(11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체(100)는 외형에서 심미감을 갖도록 맥주캔 형태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본체(100)의 소재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와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또는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아세탈 수지에 유리섬유와 카본의 첨가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본체(100)를 성형하기 위한 적절한 소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아세탈 수지 20~50wt%, 유리섬유 49~79wt%, 카본 0.1~1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체(100)를 사출성형하되, 폴리아세탈 수지는 고분자 내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출 전 110~130℃에서 3~5시간 동안 건조한 후, 사출온도 190~220℃, 사출압력 100~110Mpa, 금형온도 50~65℃로 하여 사출성형한다.
상기 폴리아세탈 폴리머는 결정성 고분자로써 호모폴리머(homopolymer)와 코폴리머(copolymer)의 두 종류가 있으며 플라스틱 재료 중에서 우수한 내피로성과 내크리프(creep)성 및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고 있다. 호모폴리머는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고, 높은 인장강도와 굽힘강도를 가지며 내피로성과 경도가 우수하다. 또한 마찰저항이 적어서 내마모성 및 내열성과 내수성이 뛰어나다.
상기 폴리아세탈 수지의 사용량이 20wt% 미만인 경우에는 본체(100) 성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5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내구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폴리아세탈 수지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의 20~5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는 SiO2 52~75.5wt%, Al2O3 0.5~23.8wt%, CaO 0.01~25wt%, MgO 0.5 ~ 10.3wt%, B2O3 0.01 ~ 21.8wt%, Na2O+K2O 0.27~18wt%의 화학조성을 갖는 E-glass, C-glass, AR-glass, S-glass, D-glass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이때 유리섬유의 비중은 2.57, 연화온도 850℃, 유전율(1MHz 22℃) 6.70이며, 두께 1.11~1.20mm, 중량 920~998.1g/㎡, 인장강도 755.4~816.3 kg/inch, 신율 4.0~4.8%이다.
상기 유리섬유의 사용량이 49wt%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 휨강도 등이 떨어지고, 79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본체(100) 성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유리섬유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의 49~79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본은 강도 증가를 위해 사용하는 보조제로서, 그 사용량이 0.1wt% 미만인 경우에는 물리적 특성 향상을 위한 보조제로서의 기능이 미미하고, 1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성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미려한 형태의 본체(100) 성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카본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의 0.1~1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의 성분 구성비를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 35wt%, 유리섬유 64.5wt%, 카본 0.5wt%이다.
한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본체(100)를 제조하는 경우, 비닐에스터 수지 10 ~ 50wt%에 유리섬유 70 ~ 90wt%를 함침시켜 제조하는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Eglass 유리섬유 70wt%와 비닐에스터 수지 30wt%의 배합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에스터수지는 내화학성 및 고온에서의 저항성이 폴리에스터수지에 비해 우수하고, 폴리에스터수지, 에폭시수지에 비해 생산과정이 단순하다.
상기 비닐에스터 수지의 사용량이 10wt% 미만인 경우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의 몸체의 형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5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유리섬유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비닐에스터 수지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의 전체 성분함량에 대해 10 ~ 50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는 폴리아세탈 수지에 첨가하는 유리섬유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며, 이때 사용량이 70wt%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 휨강도 등이 떨어지고, 9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본체(100) 성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유리섬유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의 70~90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의 성분 구성비를 예를 들면, 비닐에스터 수지 30wt%, 유리섬유 70wt%이다.
다기능 패널(200)은 상기 덮개(120)의 상부 표면상에 설치되고, 전원 스위치(210), 직류 전압 출력단자(220), 배터리(110) 충전용 입력단자(230), UV 램프모듈(240) 및 디스플레이모듈(250)이 마련되며, 파워뱅크장치가 오디오허브 기능이 구현되도록 스피커와 연결되는 스피커 출력단자(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기능 패널(200)은 하기와 같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1) 파워뱅크로 사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류출력 전압 제공 기능 및 충전/방전 기능
2) 전자기기 표면을 소독 및 살균을 위한 UV 램프 및 광량 조절 기능
3) 시야확보를 위한 LED 램프의 광량 조절 기능
4) 배터리(110)의 잔류전류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
5) 직류 출력 전압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
본 발명에서 다기능 패널(200)은 상기 기능들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회로(500), 바람직하게는 회로기판과 연결된다. 제어회로(500)는 상기 배터리(110)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다기능 패널(200), 무선 충전모듈(300) 및 LED 램프모듈(400)로 구동전력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구동회로가 실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다기능 패널(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모듈(250)을 통해서 상기 직류 전압 출력단자(220)에 공급되는 직류의 전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배터리(110)의 잔류전류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배터리(110)를 납축전지로 이용하는 경우, 납축전지의 황산 비중 측정을 통해 배터리(110)의 전압이 측정될 수 있으며, 상시 전압측정을 통하여 잔류전류량이 산출될 수 있다. 측정된 전압과 이로부터 산출된 잔류전류량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50)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110)의 전압을 상시적으로 측정하여 잔류전류량을 산출하고, 그 잔류전류량이 한계 레벨 이하로 떨어지기 전에 방전을 차단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과방전 검출 및 차단용 소프트웨어, 더 이상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전차단회로 등으로 과방전 방지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시로 측정하는 전압량과 잔류전류량을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50)에 가시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배터리(110)의 잔류전류량과 전압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충전모듈(3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단면에 설치되며,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충전 전력을 인가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 충전모듈(300)은 공지된 무선충전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적절한 단독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LED 램프 모듈은 본체(100)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배터리(110)의 전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빛을 방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본체(100)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LED 램프모듈(400)은 복수개의 LED 소자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이 적절한 방열판과 함께 설치되어 배터리(110)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실리콘이나 테프론 소재의 기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기능 패널(200)은 배터리(110)의 (+) 전극 단자와 (-) 전극 단자에 직결 연결되는 배터리(110) 단자, 전원 스위치(210)가 구비되며, 덮개(120)의 둘레면이 소정 높이로 형성되고, 이 둘레면에 별도로 LED 램프모듈(400)의 온/오프/광량 조절을 위한 스위치와 UV 램프 모듈의 온/오프/광량 조절을 위한 스위치가 탑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회로(500)는 전원 스위치(210), 직류 전압 출력단자(220), 배터리(110) 충전용 입력단자(230), UV 램프모듈(240), 디스플레이모듈(250), 스피커 출력단자(260), 무선 충전모듈(300) 및 LED 램프모듈(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부품의 작동이 조작되기 위한 스위치 및 단자가 다기능 패널(200) 및 덮개(120)에 적절하게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LED 램프모듈(400) 및 UV 램프모듈(240)은 출력광의 밝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램프 조절 스위치(410, 420)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120)의 둘레면에 각 램프 조절 스위치(410, 420)가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LED 램프 및 UV 램프의 광량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램프모듈(400) 및 UV 램프모듈(240)의 구동전압이 온/오프/광량을 변화시키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이러한 적절한 PWM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파워뱅크장치는 사용자의 휴대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덮개(120)의 상부면에 손잡이부(1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다기능 패널(200)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다기능 패널(200)의 조작편의를 위하여 덮개(120) 상부면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덮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손잡이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잡이부(130)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손잡이바(131)가 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양측 끝단이 소정 절곡된 손잡이바(131)와,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바(131)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어 손잡이바(131)가 접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슬롯(1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다기능 패널(200)을 통과하여 덮개(120)에 삽입되는 나사(133)가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는 홀더(134) 및, 상기 홀더(134)가 덮개(120)에 고정되도록 덮개(120)에 삽입된 나사(133)에 스크류 체결되는 고정부재(135)로 손잡이부(130)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부(130)는 접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다기능 패널 조작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파워뱅크장치는 상기 언급한 이외에 내장스피커, 보안카메라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치나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110: 배터리
120: 덮개
130: 손잡이부
200: 다기능 패널
210: 전원 스위치
220: 직류 전압 출력단자
230: 충전용 입력단자
240: UV 램프모듈
250: 디스플레이모듈
260: 스피커 출력단자
300: 무선 충전모듈
400: LED 램프모듈
500: 제어회로

Claims (5)

  1.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의 함체로서, 내부에 충전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부는 개폐 가능한 덮개가 결합되는 본체;
    상기 덮개의 상부 표면상에 설치되고, 전원 스위치, 직류전압 출력단자, 배터리 충전용 입력단자, UV 램프모듈, 스피커가 연결되는 스피커단자 및, 상기 직류 전압 출력단자에 공급되는 직류의 전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배터리의 잔류전류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마련되는 다기능 패널;
    상기 본체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충전 전력을 인가하는 무선 충전모듈;
    상기 본체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LED 소자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이 방열판과 함께 설치되고, 실리콘 또는 테프론 소재의 기밀부재가 구비되는 LED 램프모듈;
    양측 끝단이 소정 절곡된 손잡이바와,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바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어 손잡이바가 접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슬롯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기 다기능 패널을 통과하여 덮개에 삽입되는 나사가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덮개에 고정되도록 덮개에 삽입된 나사에 스크류 체결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덮개 상부면에 장착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상기 다기능 패널, 무선 충전모듈 및 LED 램프모듈로 구동전력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LED 램프모듈 및 UV 램프모듈은, 출력광의 밝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램프 조절 스위치가 상기 덮개의 둘레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아세탈 수지 20~50wt%, 유리섬유 49~79wt%, 카본 0.1~1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조성물로 사출성형되고, 상기 유리섬유는 SiO2 52~75.5wt%, Al2O3 0.5~23.8wt%, CaO 0.01~25wt%, MgO 0.5~10.3wt%, B2O3 0.01~21.8wt%, Na2O+K2O 0.27~18wt%의 화학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파워뱅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31407A 2021-10-05 2021-10-05 휴대용 파워뱅크장치 KR102623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407A KR102623271B1 (ko) 2021-10-05 2021-10-05 휴대용 파워뱅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407A KR102623271B1 (ko) 2021-10-05 2021-10-05 휴대용 파워뱅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676A KR20230048676A (ko) 2023-04-12
KR102623271B1 true KR102623271B1 (ko) 2024-01-09

Family

ID=8598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407A KR102623271B1 (ko) 2021-10-05 2021-10-05 휴대용 파워뱅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2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538B2 (ja) * 1992-07-14 2001-07-11 株式会社リコー 光軸制御装置
JP3202037B2 (ja) * 1990-06-19 2001-08-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しきい値デコーダ制御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478882Y1 (ko) * 2014-07-31 2015-11-27 이디에스 주식회사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용 파워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6764B1 (en) * 2000-06-05 2001-12-04 Clement Virtudes Portable solar-powered CD player and electrical generator
KR200458949Y1 (ko) 2009-11-26 2012-03-21 (주)파인엔지니어링 선박용 포터블 파워뱅크
TWM471087U (zh) * 2013-07-11 2014-01-21 Samya Technology Co Ltd 捲線器行動電源
CN204706908U (zh) * 2015-05-27 2015-10-14 佳泛国际有限公司 易拉罐式移动电源
KR102131948B1 (ko) 2018-04-04 2020-07-09 (주)엘탑 용량 가변형 파워뱅크 시스템
KR20210067639A (ko) * 2019-11-29 2021-06-08 강상호 살균기능을 갖는 보조배터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037B2 (ja) * 1990-06-19 2001-08-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しきい値デコーダ制御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3187538B2 (ja) * 1992-07-14 2001-07-11 株式会社リコー 光軸制御装置
KR200478882Y1 (ko) * 2014-07-31 2015-11-27 이디에스 주식회사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용 파워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676A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0001223A (es) Soldadura portatil accionada por bateria.
CN202756857U (zh) 一种平板电脑支架
EP3029256B1 (en) Opening/closing tool
KR102623271B1 (ko) 휴대용 파워뱅크장치
US7461942B1 (en) Lighting system
CN208987166U (zh) 智能音箱
CN202218332U (zh) 电视机
CN206471880U (zh) 一种多功能手机充电宝
CN212305840U (zh) Led灯串的电源控制盒
CN104983255A (zh) 杯子
CN205716605U (zh) 一种可伸缩折叠的太阳能led台灯
CN207945621U (zh) 太阳能爆闪灯
CN208078883U (zh) 一种易于安装的开关电源
CN106308349A (zh) 一种带有声控led灯的水杯
KR200401234Y1 (ko) 가방, 배낭, 텐트 또는 신발의 표면 부착용 조명로고
WO2001072905A3 (en) Flame-retardant resin molding
CN212631259U (zh) 手持式led杀菌灯
CN204970868U (zh) 智能饮水机的壳体装置
CN110094707A (zh) 一种音箱灯
CN205913443U (zh) 一种多功能暖手宝
CN216220770U (zh) 一种多功能浴室镜箱
CN110266079A (zh) 一种具有led紫外线杀菌功能的充电宝
CN204042464U (zh) 具特殊光学结构的发光物
CN216495022U (zh) 一种置物架
CN211632084U (zh) 一种磁控开关led化妆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