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016B1 - Hybrid control ar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ybrid control ar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016B1
KR102623016B1 KR1020230093709A KR20230093709A KR102623016B1 KR 102623016 B1 KR102623016 B1 KR 102623016B1 KR 1020230093709 A KR1020230093709 A KR 1020230093709A KR 20230093709 A KR20230093709 A KR 20230093709A KR 102623016 B1 KR102623016 B1 KR 102623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ide wall
control arm
reinforc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3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기
김성록
박현준
송교문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알
Priority to KR1020230093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0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0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24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having triangular or Y-shape, e.g. wishb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소재 본체와 복합수지 소재의 보강재를 결합하여 경량, 고 강성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은, 상부벽 및 측벽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 본체(100); 및 본체 내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는 복합수지 소재의 보강재(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측벽의 종단에 라운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106); 측벽의 내면에 오목하게 함몰됨과 더불어 외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딤플(124); 및 보강재의 일부분이며, 측벽의 내면, 플랜지, 및 측벽의 외면을 감싸면서 일체로 연결되고, 딤플이 매립되는 보강버클(218);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 암은, 금속 소재 본체와 복합수지 소재 보강재의 결합구조가 견고해, 보강재의 소재를 최소화하여 경량이면서도 소정의 강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that is lightweight and has high rigidity by combining a metal body and a composite resin reinforcement.
The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al body 100 including an upper wall and a side wall; and a reinforcing material 200 made of a composite resin material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into the main body. And a flange (106) formed by round bending at the end of the side wall; Dimples 124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cavely reces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protrude convexly on the outer surface; and a reinforcing buckle 218, which is a par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the flang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has a dimple embedded therein.
The control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ong bonding structure between the metal body and the composite resin material reinforcement, and can satisfy a certain level of rigidity while being lightweight by minimizing the material of the reinforcement.

Description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Hybrid control arm for vehicle}Hybrid control ar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금속 소재 본체와 복합수지 소재의 보강재를 결합하여 경량, 고 강성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that is lightweight and has high rigidity by combining a metal body and a composite resin reinforcement.

일반적으로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은 휠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팔(arm)의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컨트롤 암(control arm)이라고도 하며, 볼 조인트, 부시 등에 의하여 차축에 연결된다. 이러한 컨트롤 암은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에 있는 것을 어퍼 암(upper arm), 아래에 있는 것을 로어 암(lower arm)이라고 한다. In general, a suspension arm is a member that acts as an arm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a wheel, and is also called a control arm, and is connected to the axle by a ball joint, bush, etc. These control arms can be composed of an upper and lower pair, with the one on top being called the upper arm and the one below being called the lower arm.

종래의 컨트롤 암은 주로 금속 소재로써 제조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차량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중량을 줄이면서도 소정의 강성을 만족하기 위한 컨트롤 암 구조가 일반화되고 있다. Conventional control arms have been manufactured mainly from metal materials, but recently, control arm structures that satisfy a certain level of rigidity while reducing weight for the purpose of lightweighting vehicles have become common.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384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5470호에서는 금속 소재의 바디에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을 결합하는 것으로써 저중량 고강성 현가암을 제공한다. Accordingly,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393849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05470 provide a low-weight, high-rigidity suspension arm by combining a plastic insert molding with a metal body.

그런데 전술한 종래 기술들은, 플라스틱 인서트 사출 후 냉각 시, 스틸보다 수축률이 큰 플라스틱 재료의 인서트 몰딩이 암 바디보다 더 수축하여 암 바디와 플리스틱 인서트 몰딩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암 바디의 전체 강도를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ologies, when cooling after plastic insert injection, the insert molding made of plastic material, which has a higher shrinkage rate than steel, shrinks more than the arm body, resulting in a gap between the arm body and the plastic insert molding, which causes the arm body to shrink. There was a problem of lowering the overall strength.

그리고 금속 소재의 암 바디의 절곡 부위로 인해 플라스틱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이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을 수 있어, 인서트 몰딩이 미성형 되는 부분이 발생하거나 플래쉬(flash)가 생성되어 품질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암 바디가 금형과 접촉하는 부위의 도장이 벗겨져서, 접촉 부위가 나중에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는 문제도 있었다. In addition, the mold for plastic insert injection may not be accurately matched due to the bending portion of the metal arm body, resulting in unmolded portions of the insert molding or flash generation, which deteriorates quality.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aint on the area where the arm body contacts the mold peeled off, and the contact area was later corroded by rainwater, etc.

한편, 암 바디와 금형의 부정확한 매칭으로 인한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 보강재를 암 바디의 전체 면에 사출하거나, 암 바디의 내측 바닥 전면을 채우도록 사출하여 제조하는 방법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서는 보강재 소재가 불필요하게 초과 소요되고 경량화 달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Meanwhile, in order to avoid problems caused by inaccurate matching between the arm body and the mold, there is also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einforcement material by injecting it into the entire surface of the arm body or by injecting it to fill the entire inner bottom of the arm body. However, in this metho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excessive reinforcement materials were used unnecessarily and the achievement of weight reduction was hinde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3849호(2014.05.02.)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393849 (2014.05.02.) 공개특허 제10-2012-0105470호 (2012.09.25.)Publication Patent No. 10-2012-0105470 (2012.09.2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 소재 본체와 복합수지 소재 보강재의 결합이 견고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that has a solid structure in which the combination of the metal body and the composite resin material reinforcement is strong.

또한, 본 발명은 인서트 사출용 금형과의 매칭이 용이하면서도 보강재의 사출 용융물이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는 본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having a body structure that is easy to match with a mold for insert injection and allows the injection mel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to flow uniform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은,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하향 절곡된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을 포함하여 하측으로 개방된 형상의 금속 소재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복합수지 소재의 보강재;를 포함한다.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 metal structure open downward, including an upper wall and two opposing side walls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material body; and a reinforcing material made of composite resin that is formed within the main body through insert injection and fills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body.

그리고 두 개의 상기 측벽 종단에, 상기 본체의 개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측벽의 내면에 오목하게 함몰됨과 더불어 외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딤플; 및 상기 보강재의 일부분이며, 상기 측벽의 내면,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측벽의 외면을 감싸면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딤플이 매립되는 보강버클;을 포함한다. And at the ends of the two side walls, flanges are formed by bending round in a direction to expand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t least one dimple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cavely reces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protrudes convexly on the outer surface; and a reinforcing buckle that is par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the flang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in which the dimple is embedded.

상기 딤플은 상기 측벽과 상기 플랜지가 연결되는 만곡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The dimple is disposed adjacent to a curved portion where the side wall and the flange are connected.

상기 딤플에, 상기 딤플의 중앙부에 상기 딤플의 내면과 외면을 가로질러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강재는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측벽의 내, 외부로 연결된다. The dimpl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mple across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dimple,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ide wall.

상기 보강재는, 상기 두 개의 측벽 내면을 비스듬하게 가로지르는 보강리브가 'X' 자 형상으로 교차 된 형상으로, 상기 상부벽의 하면을 채우지 않는 보강격자;를 포함한다. The reinforcing material includes a reinforcing grid that does not fill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in which reinforcing ribs diagonally cross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two side walls are crossed in an 'X' shape.

상기 보강격자는 복수가 일체로 연결되되, 인접하는 상기 보강격자들은 서로의 보강리브 끝단이 상기 보강버클을 통해 연결된다.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grids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ends of the reinforcing ribs of adjacent reinforcing gri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einforcing buckle.

그리고 상기 상부벽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 및 상기 보강재의 일부분이며, 상기 고정홀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벽 상면에 형성되는 버튼;을 포함한다. and at least one fixing hole formed upward and downward through the upper wall; and a button that is par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passes through the fixing hole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상기 고정홀과 상기 버튼은 상기 보강리브의 교차점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The fixing hole and the button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intersection of the reinforcing ribs.

그리고 상기 측벽은 상기 상부벽과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벽의 폭의 외측 방향으로 2 ~ 5°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And the side wall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2 to 5°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width of the upper wall, based on a vertical line with the upper wall.

그리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되는 볼조인트;를 포함한다. An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first connection part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ball joint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연통 형성된 소켓; 볼부와 스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부가 상기 소켓에 수용되는 볼스터드; 및 상기 소켓과 상기 볼부 사이의 공간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를 덮는 볼시트;를 포함한다. The ball joint includes a socket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having first and second openings in communication at the top and bottom; A ball stud including a ball portion and a stud portion, the ball portion being accommodated in the socket; and a ball sheet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socket and the ball portion, and covering the first opening.

상기 볼시트는 상기 보강재의 사출 성형과 동시에 사출 성형 되되, 상기 보강재의 게이트와 별개로 구비되는 볼시트 게이트를 통해 복합수지 용융물이 주입되는 것을 통해 상기 보강재와 분리형으로 형성된다. The ball seat is injection molded simultaneously with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reinforcing material by injecting a composite resin melt through a ball seat gat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gat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또한,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볼스터드의 작동각 범위 내에서 상기 볼부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부를 감싸며, 상기 소켓에 수용되는 볼베어링;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all joint further includes a ball bearing accommodated in the socket and surrounding the ball portion so that the ball portion can rotate freely within the operating angle range of the ball stud.

상기 볼베어링은, 상기 볼부의 일부를 감싸는 윤활시트, 상기 볼부 종단의 비구면부를 덮으면서 상기 윤활시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캡, 및 상기 윤활시트 외부 구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켓의 내면에 지지되는 고정날개를 포함한다. The ball bearing includes a lubrication sheet that surrounds a portion of the ball portion, a cap that covers the aspherical surface at the end of the ball portion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ubrication sheet, and a fixture that protrudes radially from the outer spherical surface of the lubrication sheet and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Includes wings.

상기 볼시트는 상기 소켓과 볼베어링 사이의 공간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를 덮는다. The ball seat is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socket and the ball bearing, and covers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은, 상기 딤플을 대체하여, 상기 측벽에, 상기 측벽을 부분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절곡 돌출시켜서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포밍돌기;가 구비된다.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dimple, and includes at least one forming formed on the side wall by partially cutting the side wall and then bending and protruding the cut portion inward or outward. Protrusions; are provided.

또는, 상기 고정홀을 대체하여, 상기 상부벽에, 상기 상부벽을 부분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절곡 돌출시켜서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포밍돌기;가 구비된다. Alternatively, in place of the fixing hole, at least one form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wall by partially cutting the upper wall and then bending and protruding the cut portion inward or outward is provided.

본 발명의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에 의하면, 종래의 스틸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에 비해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의 중량 감소 및 연비가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weigh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manufacturing from a conventional steel material, thereby achieving lightness, and thus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reduc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improving fuel efficiency.

그리고 보강재의 버튼 및 고정버클을 통해 본체와 보강재 사이가 밀착됨으로써 견고한 결합 구조를 가지게 되어, 하중, 응력 등의 힘이 컨트롤 암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됨으로써 중량 대비 최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button and fixing buckle of the reinforcement material provide close contact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reinforcement material, resulting in a solid bonding structure. Forces such as load and stress are distributed uniformly throughout the control arm, which has the remarkable effect of securing maximum rigidity relative to the weight. There is.

이에 더해, 딤플 부분에 본체의 좌굴(buckling) 발생 가능성이 작아진다. 또한, 본체 측벽의 연결홀을 통과하여 연결되는 보강재 주변이 상기 딤플을 채우는 보강재를 통해 보강됨으로써 응력이 최소화되어 더욱 견고한 결속구조를 가지므로, 컨트롤 암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buckling of the body in the dimple area is reduced. In addition, the area around the reinforcement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o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is reinforced with the reinforcement filling the dimple, thereby minimizing stress and creating a more robust binding structure, which has the significant effect of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control arm.

게다가 본체와 보강재가 매우 견고한 결속구조를 가지므로, 종래 본체와 보강재의 접촉 면적 향상을 위해 전면에 채워지던 보강재의 불필요한 면적을 제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경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have a very strong bonding structure, the unnecessary area of the reinforcing material that was previously filled on the front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can be removed,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in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그리고 복합수지 소재의 보강재를 인서트 사출시 본체와 금형과의 매칭성이 향상되어, 보강재에 미성형 되는 부분이 발생하거나 플래쉬가 생성되는 것이 억제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본체가 금형과 접촉하는 부위의 도장이 벗겨지는 문제가 해결됨으로써 부식 등의 내구성 저하 요인이 억제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insert-injecting a reinforcing material made of composite resin, the matching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old is improved, and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unmolded parts or flash in the reinforcing material. In addition, by solving the problem of peeling off the paint on the area where the body contacts the mold,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suppressing factors that reduce durability such as corros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에서 본체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을 구성하는 포밍돌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에 결합된 볼조인트의 부분 단면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hybrid control arm shown in Figure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2
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forming protrusions constituting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ball joint coupled to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에 따른 차량용 컨트롤 암은 하기의 기재에서 어퍼 컨트롤 암을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어 컨트롤 암에도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vehicle control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described below by taking the upper control arm as an exampl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also be applied to the lower control arm.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의 사시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암(10)은 금속 소재의 본체(100)와, 복합수지 소재의 보강재(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control ar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made of metal and a reinforcement material 200 made of composite resin.

본체(100)는 예컨대 "U" 자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U” shape, for example.

본체(100)는 상부벽(102)과, 상기 상부벽(102)으로부터 하향 절곡된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104)을 포함하여 하측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100)는 금속 소재의 판을 스탬핑(stamping) 가공하여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includes an upper wall 102 and two opposing side walls 104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102 and has a shape open downward. This body 100 may be formed into an integrated structure by stamping a metal plate.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강철 또는 비철 금속 소재일 수 있다. Here, the main body 100 may be made of steel or non-ferrous metal.

보강재(200)는 상기 본체(100) 내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재(200)는 상기 상부벽(102)과 측벽(104)들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를 채운다.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formed as an integral part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insert injection. That is,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fills at least a por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upper wall 102 and the side walls 104.

상기 보강재(200)는 예컨대, 폴리아미드(Polyamide)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수지에, 유리섬유 또는 카본섬유가 첨가된 복합수지 소재일 수 있다.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may be, for example, a composite resin material in which glass fiber or carbon fiber is added to polyamide or polyoxymethylene resin.

이러한 상기 보강재(200)는 경량화를 위해 격자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200)의 일부분은 상기 측벽(104)의 내, 외를 감싸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may be configured in a grid-like structure to reduce weight. Additionally,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ide wall 104.

먼저, 본체(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에서 본체만을 도시한 사시도가, 도 4에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낸 도면이, 그리고 도 5에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in body of the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shown in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 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long line B-B of FIG. 3. A drawing showing a cross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s shown.

도 3을 참고로, 상기 본체(100)는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방측 중앙부에는 제1 연결부(112)가, 후방측에는 제2 연결부(1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연결부(112)는 차량의 휠 측에 연결되는 링크 부품의 연결을 위한 볼조인트(300)가 설치되는 부위이며, 상기 제2 연결부(114)는 차체 측에 연결되는 링크 부품의 연결을 위한 부시가 압입 설치되는 부위이며, 상기 본체(100)에 용접을 통해 결합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main body 100 has a “⊂” shape,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112 is provided at the front center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is provided at the rear side. The first connection part 112 is a part where the ball joint 300 is installed for connecting the link parts connected to the wheel side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4 is a part for connecting the link part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his is the area where the bush for press-fitting is installed, and can be joined to the main body 100 through welding.

그리고 도 4를 보면, 상기 본체(100)는 상부벽(102)과 측벽(104)이 일체로 연결되고, 하향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측벽(104)의 종단에는 본체(100)의 개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106)가 일체로 형성된다. And looking at FIG. 4, the main body 100 has an upper wall 102 and a side wall 104 integrally connected and has a shape that is open downward. And at the end of the side wall 104, a flange 106 is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round in a direction to expand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00.

이러한 상기 상부벽(102), 상기 측벽(104), 및 상기 플랜지(10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U" 자형의 금속 소재의 판을 스탬핑 가공하여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wall 102, the side wall 104, and the flange 106 are preferably form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by stamping a substantially “U” shaped metal plate.

그리고 상기 상부벽(102)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122)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홀(122)은 보강재(200)의 사출 형성 시 복합수지 용융물이 상기 상부벽(102) 하면에서 상면으로 일부 유출되도록 안내한다. And the upper wall 102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xing hole 122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The fixing hole 122 guides the composite resin melt to partially flow out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102 when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injection-formed.

따라서, 보강재(200)는 용융 상태에서 상기 고정홀(122)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벽(102) 상면으로 용출되고, 이후 냉각되면서 버튼(216)을 형성한다. 이러한 버튼(216)은 상기 본체(100)로부터 상기 보강재(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Accordingly,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passes through the fixing hole 122 in a molten state and is elu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102, and then cools to form the button 216. This button 216 prevents the reinforcement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상기 본체(100)와 상기 보강재(2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고정홀(122)은 상기 상부벽(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In order to firmly couple the main body 100 and the reinforcement 200, it is most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22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wall 102.

다음, 상기 측벽(104)은 상기 상부벽(102)과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벽(102)의 폭의 외측 방향으로 2 ~ 5°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벽(102) 측에서 상기 플랜지(106) 측으로 갈수록 상기 측벽(104)들 사이의 폭이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Next, the side wall 104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2 to 5°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width of the upper wall 102, based on a vertical line with the upper wall 102. That is, it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between the side walls 104 becomes wider as it moves from the upper wall 102 side to the flange 106 side.

전술한 상기 측벽(104)의 각도 설정에 따른 구조는, 상기 본체(100) 내에 보강재(200)를 인서트 사출로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결합 시, 상기 금형이 상기 측벽(104)의 경사를 따라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복합수지 용융물이 상기 측벽(104)의 경사를 따라 자연히 상기 본체(100) 내로 유동되게 한다.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angle setting of the side wall 104 described above is such that when combining a mold for forming the reinforcement 200 in the main body 100 by insert injection, the mold naturally follows the slope of the side wall 104. Allow it to be inserted. In addition, the composite resin melt naturally flows into the main body 100 along the slope of the side wall 104.

또한, 상기 측벽(104)에도 상기 보강재(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딤플(124)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side wall 104 is also provided with a dimple 124 as a component to prevent the reinforcement 200 from being separated.

도 5를 참고하면, 딤플(124)은 상기 측벽(104)의 내면에 오목하게 함몰됨과 더불어 상기 측벽(104)의 외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딤플(124)은 반구면 또는 부분 구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측벽(104)의 내면에서 반구 또는 부분 구로 가압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한 형태로써, 내면은 오목하고 외면은 볼록한 형태의 딤플(dimple) 구조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5, the dimple 124 is formed to be concavely reces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and to protrude convex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Specifically, the dimple 124 has a hemispherical or partially spherical shape.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is pressed into a hemisphere or a partial sphere to protrude outward, and has a dimpl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surface is concave and the outer surface is convex.

따라서, 보강재(200)는 용융 상태에서 상기 딤플(124)의 오목한 공간 내에 충전되고, 이후 냉각되면서 상기 딤플(124)의 오목한 형상과 부합하는 볼록한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와 상기 보강재(200)의 딤플(124)과 돌출부의 결합 형상으로 인해 평면좌표 X, Y 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와 상기 보강재(200)의 결합이 더욱 견고 해진다. Accordingly,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filled in the concave space of the dimple 124 in a molten state, and then cooled to form a convex protrusion that matches the concave shape of the dimple 124. Due to the combined shape of the dimples 124 and protrusions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they are firmly fixed in the plane coordinates It becomes.

여기서, 상기 딤플(124)의 테두리, 즉 상기 딤플(124)과 상기 측벽(104)이 이어지는 경계는 완만하고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강재(200)를 형성하는 복합수지 용융물이 상기 딤플(124) 내로 와류 없이 부드럽게 유동되게 하기 위함이다. Here, the edge of the dimple 124, that is, the boundary between the dimple 124 and the side wall 104, is preferably formed as a gently curved surface. This is to ensure that the composite resin melt forming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flows smoothly without eddy currents into the dimple 124.

한편, 상기 플랜지(106)는 상기 보강재(200) 내에 매립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200)의 일부분은 상기 측벽(104)의 내면, 상기 플랜지(106), 및 상기 측벽(104)의 외면을 감싸면서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Meanwhile, the flange 106 is embedded in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As previously mentioned,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structured to surround and integrally connect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the flange 10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따라서, 상기 보강재(200)가 본체(100)에 인서트 사출된 후에 냉각 시 수축하면서 상기 플랜지(106)를 상기 본체(100)의 내측, 다시 말해 상기 플랜지(106)의 굽힘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면서, 상기 본체(100)와 상기 보강재(20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진다. Therefore, after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insert-injected into the main body 100, it shrinks when cooled and the force pulling the flange 106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bending of the flange 106, is exerted. As it acts, the bon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becomes stronge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랜지(106)는 상기 보강재(200)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후술할 보강버클(218) 내에 매립된다. 보강버클(218)은 상기 보강재(200)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써, 상기 측벽(104)의 내면, 상기 플랜지(106), 및 상기 측벽(104)의 외면을 감싸면서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보강버클(218)의 구체적인 형상은 이후에 보강재(2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할 때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flange 106 is embedded in a reinforcing buckle 21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ch forms par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The reinforcing buckle 218 constitutes a par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the flange 10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The specific shape of the reinforcing buckle 218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described.

나아가, 상기 딤플(124)은 상기 측벽(104)과 상기 플랜지(106)가 연결되는 만곡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재(200)가 상기 측벽(104)의 내면, 상기 플랜지(106), 및 상기 측벽(104)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에서, 상기 보강재(200) 내에 상기 딤플(124)도 함께 매립된다. Furthermore, the dimple 124 is disposed adjacent to a curved portion where the side wall 104 and the flange 106 are connected. Therefore, in a structure where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surrounds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the flange 10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the dimple 124 is also embedded within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

이에 더해, 상기 딤플(124)의 중앙부에는 상기 딤플(124)의 내면과 외면을 가로질러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126)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mple 124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hole 126 that penetrates across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dimple 124.

그리고 상기 보강재(200)는 상기 연결홀(126)을 통과하여 상기 측벽(104)의 내, 외부로 연결된다. 즉, 상기 딤플(124)의 내, 외부를 감싸는 보강버클(218) 사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재(200) 일부가 상기 연결홀(126)을 가로질러 경화됨으로써 상기 보강재(200)가 상기 본체(100)의 개방 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26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ide wall 104. That is, it is connected between the reinforcing buckles 218 surround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imple 124.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hardened across the connection hole 126, thereby preventing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pen side of the main body 100.

이어서, 보강재(2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 Nex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1, 2, and 6.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2.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보강재(200)는 상기 두 개의 측벽(104) 내면을 비스듬하게 가로지르는 보강리브(212, 214)가 "X" 자 형상으로 교차 된 형상으로, 상기 상부벽(102)의 하면을 채우지 않는 보강격자(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200)는 이러한 보강격자(210) 복수(210-1 내지 210-n)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s 2 and 6,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has a shape in which reinforcing ribs 212 and 214 diagonally cross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two side walls 104 are crossed in an "X" shape, and the upper wall ( It includes a reinforcing grid 210 that does not fill the lower surface of 102).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grids 210 (210-1 to 210-n) are integrally connected.

여기서, 인접하는 상기 보강격자(210-1, 210-2)들은 서로의 보강리브(212-1과 214-2, 214-1과 212-2) 끝단이 상기 측벽(104)의 내면에서 맞닿아 연결된다. 따라서, 인접하여 연결된 상기 보강리브(212-1과 214-2)와 상기 측벽(104)은 삼각형 구조를 이루게 되어 더욱 견고한 지지력을 가진다. Here, the ends of the reinforcing ribs (212-1 and 214-2, 214-1 and 212-2) of the adjacent reinforcing grids (210-1, 210-2) contact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connected. Accordingly, the adjacently connected reinforcing ribs 212-1 and 214-2 and the side wall 104 form a triangular structure, thereby providing more solid support.

그리고 상기 보강격자(210-1, 210-2)들 간의 연결부에는, 상기 보강재(200) 일부분이 상기 본체(100)의 종단을 감싸는 형태의 보강버클(218)이 구비된다. And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inforcing grids 210-1 and 210-2, a reinforcing buckle 218 in which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surrounds the longitudinal end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상기 보강버클(218)은 상기 측벽(104)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부벽(218a)과, 상기 내부벽(218a)과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플랜지(106)를 감싸면서 상기 측벽(104)의 외면에 결합되는 "ㄱ" 자 형의 외부벽(218b)을 포함한다. The reinforcing buckle 218 has an inner wall 218a in the shape of a surface to increase adhesion to the side wall 104, and the inner wall 218a and the upper end are integrally connected to surround the flange 106. It includes an “L” shaped outer wall (218b)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여기서, 상기 외부벽(218b)의 높이가 상기 내부벽(218a)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강버클(218)은 ""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0)의 일부분에서 측벽(104)의 내면, 플랜지(106) 및 측벽(104)의 외면을 일체로 감싸는 형태를 통해 상기 보강재(2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218b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218a. That is, the reinforcement buckle 218 is " It is made in the shape of, and the fixing force of the reinforcement 200 is improved by integrally surroun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the flange 10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in a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보강버클(218) 내에는 상기 딤플(124)이 매립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재(200)의 일부분이 상기 본체(100)와 결합하는 구조임에도 상기 딤플(124)과의 결합을 통해 결합력을 보완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dimple 124 is embedded in the reinforcement buckle 218. Accordingly, although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structured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he coupling force can be supplemented through coupling with the dimple 124.

이와 더불어, 상기 내부벽(218a)과 상기 외부벽(218b)이 상기 딤플(124)에 관통된 연결홀(126)을 통해서도 일체로 연결되어 매우 견고하게 결속된다. In addition, the inner wall 218a and the outer wall 218b are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26 penetrating the dimple 124 and are very firmly coupled.

이러한 상기 보강재(200)는 상면이 상기 상부벽(102)의 하면에 접합 되되, 격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벽(102)의 하면 전체를 채우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보강리브(212, 214)의 높이는 상기 상부벽(102)의 하면에서 상기 플랜지(106)의 하면까지의 높이보다 3mm 이상 더 높게 구성된다. 즉, 상기 보강재(200)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의 하면보다 3mm 이상 높게 돌출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joi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102, but is formed in a lattice form and does not fill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102. And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ribs 212 and 214 is 3 mm or more higher than the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102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06.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protrudes more than 3 mm high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상기 보강재(200)의 측면 역시 상기 보강버클(218)의 내부벽(218a)만이 상기 측벽(104)의 내면에 접합 되고, 상기 측벽(104)의 전체를 채우지 않는다. The sid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also joined to the inner wall 218a of the reinforcing buckle 218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4, and does not fill the entire side wall 104.

한편, 상기 보강리브(212, 214)의 교차점(213)은 상기 측벽(104)들의 폭 방향에서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보강재(200)가 상기 측벽(104)들을 지지하는 힘이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사출 게이트를 상기 보강리브(212, 214) 교차점(213) 위치에 배치하면 복합수지 용융물의 유동 속도가 각 부분별로 균일해져 사출물인 보강재(200)의 품질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Meanwhil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intersection 213 of the reinforcing ribs 212 and 214 is located at a midpoi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ide walls 104. Accordingly, the force supporting the side walls 104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may be balanced. In addition, when the injection gate is placed at the intersection 213 of the reinforcing ribs 212 and 214, the flow speed of the composite resin melt becomes uniform for each par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which is an injection product.

그리고 앞서 언급했던 상기 상부벽(102)의 고정홀(122)은 상기 보강리브(212, 214)의 교차점(213)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즉, 상기 교차점(213)에 상기 고정홀(122)을 통과한 버튼(216)이 구비된다. And the fixing hole 122 of the upper wall 102 mentioned above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213 of the reinforcing ribs 212 and 214. That is, a button 216 passing through the fixing hole 122 is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213.

상기 고정홀(122) 중 일부는 상기 보강재(200)의 사출 게이트로 이용될 수 있다. Some of the fixing holes 122 may be used as injection gates for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10)을 구성하는 포밍돌기(128)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rming protrusion 128 constituting the hybrid control arm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포밍돌기(128)는 상기 딤플(124) 또는 상기 고정홀(122)을 대체할 수 있다. The forming protrusion 128 may replace the dimple 124 or the fixing hole 122.

도 7을 참고하면, 포밍돌기(128)는 상기 측벽(104)에, 상기 측벽(104)을 부분 절개한 후 상기 절개된 부분을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절곡하여 돌출시킨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포밍돌기(128)는 상기 딤플(124)을 대체하는 것이므로, 상기 보강버클(218) 내에 매립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forming protrusion 128 is formed on the side wall 104 by partially cutting the side wall 104 and then bending the cut portion inward or outward to protrude. Since this forming protrusion 128 replaces the dimple 124, it is embedded in the reinforcing buckle 218.

또는, 상기 포밍돌기(128)는 상기 고정홀(122)을 대체하여 상기 상부벽(10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216) 내에 매립된다. Alternatively, the forming protrusion 128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wall 102 in place of the fixing hole 122 and be embedded in the button 216.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암(10)은 금속 소재의 본체(100)에 복합수지 소재의 보강재(200)를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ar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forming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of a composite resin material on the main body 100 of a metal material through insert injection.

이때에, 상기 보강재(200)의 인서트 사출 성형과 동시에 볼조인트(300)의 볼시트(340)가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At this time, the ball seat 340 of the ball joint 300 is insert injection molded simultaneously with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먼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제1 연결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연결부(112)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에 압입 및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First, a first connection portion 112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2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press-fitting and welding.

상기 제1 연결부(112)에는 볼조인트(300)가 결합된다. A ball joint 30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2.

상기 볼조인트(300)는, 상기 제1 연결부(112)에 결합되며 상하로 제1 개구부(312) 및 제2 개구부(314)가 연통 형성된 소켓(310), 구관절의 역할을 하는 볼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310)에 수용되는 볼스터드(320), 상기 볼부(322) 종단의 비구면부(미도시)와의 사이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볼부(322) 상면을 덮는 캡(334), 그리고 상기 볼부(322)의 외부 구면을 감싸며 상기 볼스터드(320)가 작동각 범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볼시트(340)를 포함한다. The ball joint 300 includes a socket 310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2 and has a first opening 312 and a second opening 314 in communication at the top and bottom, and a ball portion 322 that serves as a ball joint. ) and a cap 334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portion 322 to form a closed space between the ball stud 320 accommodated in the socket 310 and the aspherical portion (not shown) at the end of the ball portion 322. ), and a ball seat 340 that surrounds the outer spherical surface of the ball portion 322 and allows the ball stud 320 to move within the operating angle range.

상기 캡(334) 내에, 상기 볼부(322)의 비구면부와의 공간에는 윤활제가 구비된다. In the cap 334, a lubricant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aspherical portion of the ball portion 322.

상기 볼시트(340)는 상기 소켓(310)과 상기 볼부(322) 사이의 공간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볼부(322)를 감싸면서 상기 캡(334) 상부 및 상기 제1 개구부(312), 상기 제2 개구부(314)를 덮는다. 상기 볼시트(340)는 인서트 사출로 형성되므로, 내부 형상은 상기 볼부(322)에 상기 캡(334)이 결합된 상태의 외부 형상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ball seat 340 is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socket 310 and the ball part 322, and surrounds the ball part 322 and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cap 334 and the first opening 312. ), covering the second opening 314. Since the ball seat 340 is formed by insert injection, the internal shape is formed to match the external shape when the cap 334 is coupled to the ball portion 322.

그리고 상기 볼시트(340)는 상기 보강재(200)의 사출 성형과 동시에 사출 성형이 되되, 상기 보강재(200)의 게이트와 별개로 구비되는 볼시트 게이트를 통해 복합수지 용융물이 주입되는 것을 통해 상기 보강재(200)와 분리형으로 형성된다. The ball seat 340 is injection molded simultaneously with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and the composite resin melt is injected through a ball seat gat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gat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t is formed separately from (200).

즉, 상기 볼시트(340)와 상기 보강재(200)는 서로 분리된 구성요소이면서, 동 시간대의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한 번에 제조된다. That is, the ball seat 340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are separate components, but are manufactured at once through an insert injection molding process at the same time.

상기 볼조인트(300)는 상기 볼스터드(320)가 유동할 수 있게 상기 볼부(322)를 감싸며, 상기 소켓(310)에 수용되는 볼베어링(330)을 더 포함한다. The ball joint 300 surrounds the ball portion 322 so that the ball stud 320 can move, and further includes a ball bearing 330 accommodated in the socket 310.

상기 볼베어링(330)은, 상기 볼부(322)의 일부를 감싸는 윤활시트(332), 상기 볼부(322) 종단의 비구면부를 덮으면서 상기 윤활시트(332)와 일체로 형성되는 캡(334), 및 상기 윤활시트(332) 외부 구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켓(310)의 내면에 지지 되는 고정날개(336)를 포함한다. The ball bearing 330 includes a lubrication sheet 332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ball part 322, a cap 334 formed integrally with the lubrication sheet 332 and covering the aspherical surface at the end of the ball part 322, and The lubricating sheet 332 includes fixed wings 336 that protrude radially from the outer spherical surface and ar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310.

상기 캡(334) 내에, 상기 볼부(322)의 비구면부와의 공간에는 윤활제가 구비된다. In the cap 334, a lubricant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aspherical portion of the ball portion 322.

그리고 상기 볼시트(340)는 상기 소켓(310)과 볼베어링(330) 사이의 공간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312)를 덮는다. The ball seat 340 is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socket 310 and the ball bearing 330, and covers the first opening 312.

이러한 상기 볼베어링(330)은 상기 고정날개(336)가 상기 소켓(310) 내벽에 의해 지지 됨으로써 흔들림 없이 중심축이 고정된다. 더불어 상기 볼시트(340)의 사출 후에는 상기 고정날개(336)에 의해, 상기 볼시트(34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central axis of the ball bearing 330 is fixed without shaking because the fixed wing 336 is supported by the inner wall of the socket 310. In addition, after the ball seat 340 is injected, the fixed blade 336 prevents the ball seat 340 from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컨트롤 암 100 : 본체
102 : 상부벽 104 : 측벽
106 : 플랜지 112 : 제1 연결부
114 : 제2 연결부 122 : 고정홀
124 : 딤플 126 : 연결홀
128 : 포밍돌기 200 : 보강재
210 : 보강격자 212, 214 : 보강리브
213 : 교차점 216 : 버튼
218 : 보강버클 218a : 내부벽
218b : 외부벽 300 : 볼조인트
310 : 소켓 312 : 제1 개구부
314 : 제2 개구부 320 : 볼스터드
322 : 볼부 330 : 볼베어링
332 : 윤활시트 334 : 캡
336 : 고정날개 340 : 볼시트
10: control arm 100: main body
102: upper wall 104: side wall
106: Flange 112: First connection part
114: second connection 122: fixing hole
124: Dimple 126: Connection hole
128: Forming protrusion 200: Reinforcement material
210: Reinforcement grid 212, 214: Reinforcement rib
213: intersection 216: button
218: Reinforcement buckle 218a: Internal wall
218b: External wall 300: Ball joint
310: socket 312: first opening
314: second opening 320: ball stud
322: Ball part 330: Ball bearing
332: Lubrication sheet 334: Cap
336: fixed wing 340: ball seat

Claims (11)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하향 절곡된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을 포함하여 하측으로 개방된 형상의 금속 소재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복합수지 소재의 보강재;를 포함하고,
두 개의 상기 측벽 종단에, 상기 본체의 개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측벽의 내면에 오목하게 함몰됨과 더불어 외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딤플; 및
상기 보강재의 일부분이며, 상기 측벽의 내면,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측벽의 외면을 감싸면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딤플이 매립되는 보강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딤플에, 상기 딤플의 중앙부에 상기 딤플의 내면과 외면을 가로질러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강재는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측벽의 내, 외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a body made of metal that is open downward and includes an upper wall and two opposing side walls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and
It includes a reinforcing material made of composite resin that is formed within the main body through insert injection and fills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body,
Flanges formed at the ends of the two side walls are roundly bent in a direction to expand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t least one dimple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cavely reces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protrudes convexly on the outer surface; and
It is a par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the flang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includes a reinforcing buckle in which the dimple is embedded,
The dimpl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hole formed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dimple across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dimple,
The reinforcing material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ide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은 상기 측벽과 상기 플랜지가 연결되는 만곡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According to claim 1,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wherein the dimple is disposed adjacent to a curved portion where the side wall and the flange are connect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두 개의 측벽 내면을 비스듬하게 가로지르는 보강리브가 'X' 자 형상으로 교차 된 형상으로, 상기 상부벽의 하면을 채우지 않는 보강격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격자는 복수가 일체로 연결되되, 인접하는 상기 보강격자들은 서로의 보강리브 끝단이 상기 보강버클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ement material is,
Reinforcing ribs diagonally cross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two side walls are intersected in an 'X' shape, and a reinforcing grid that does not fill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wherein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grids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ends of the reinforcing ribs of the adjacent reinforcing gri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einforcing buck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 및
상기 보강재의 일부분이며, 상기 고정홀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벽 상면에 형성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According to claim 4,
At least one fixing hole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wall; and
A button that is par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passes through the fixing hole,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compris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과 상기 버튼은 상기 보강리브의 교차점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According to claim 5,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hole and the button ar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of the reinforcing rib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상부벽과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벽의 폭의 외측 방향으로 2 ~ 5°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According to claim 1,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wherein the side wall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2 to 5°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width of the upper wall, based on a vertical line with the upper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되는 볼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연통 형성된 소켓;
볼부와 스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부가 상기 소켓에 수용되는 볼스터드; 및
상기 소켓과 상기 볼부 사이의 공간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를 덮는 볼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시트는
상기 보강재의 사출 성형과 동시에 사출 성형 되되, 상기 보강재의 게이트와 별개로 구비되는 볼시트 게이트를 통해 복합수지 용융물이 주입되는 것을 통해 상기 보강재와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nnection part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It includes a ball joint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ball joint is,
a socket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having first and second opening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A ball stud including a ball portion and a stud portion, the ball portion being accommodated in the socket; and
A ball sheet is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socket and the ball portion and covers the first opening,
The ball seat is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jection molded simultaneously with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reinforcing material by injecting a composite resin melt through a ball seat gat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gat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볼스터드의 작동각 범위 내에서 상기 볼부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부를 감싸며, 상기 소켓에 수용되는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베어링은,
상기 볼부의 일부를 감싸는 윤활시트,
상기 볼부 종단의 비구면부를 덮으면서, 상기 윤활시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캡, 및
상기 윤활시트 외부 구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켓의 내면에 지지되는 고정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볼시트는
상기 소켓과 볼베어링 사이의 공간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According to claim 8,
The ball joint surrounds the ball portion so that the ball portion can rotate freely within the operating angle range of the ball stud, and further includes a ball bearing accommodated in the socket,
The ball bearing is,
A lubricating sheet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ball portion,
A cap that covers the aspherical surface at the end of the ball portion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ubrication sheet, and
It includes a fixed wing that protrudes radially from the outer spherical surface of the lubrication sheet and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The ball seat is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socket and the ball bearing, and covering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을 대체하여,
상기 측벽에, 상기 측벽을 부분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절곡 돌출시켜서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포밍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9,
In place of the dimple,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wall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orming protrusion formed by partially cutting the side wall and then bending and protruding the cut portion inward or outward.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을 대체하여,
상기 상부벽에, 상기 상부벽을 부분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절곡 돌출시켜서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포밍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The method of claim 5 or 6,
In place of the fixing hole,
A hybrid control ar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wall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orming protrusion formed by partially cutting the upper wall and then bending and protruding the cut portion inward or outward.
KR1020230093709A 2023-07-19 2023-07-19 Hybrid control arm for vehicle KR1026230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3709A KR102623016B1 (en) 2023-07-19 2023-07-19 Hybrid control ar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3709A KR102623016B1 (en) 2023-07-19 2023-07-19 Hybrid control arm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016B1 true KR102623016B1 (en) 2024-01-10

Family

ID=8951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709A KR102623016B1 (en) 2023-07-19 2023-07-19 Hybrid control ar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01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470A (en) 2009-12-18 2012-09-25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Composite component
KR101393849B1 (en) 2012-12-12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aw arm for vehicle
KR20170080449A (en)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일진 Hybrid suspension arm
KR20170098007A (en)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만도 ball joint
KR101792107B1 (en) * 2016-12-28 2017-11-20 주식회사 일진 Hybrid suspension arm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00001063A (en)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일진 Suspension arm and ball joint
CN113895193A (en) * 2021-10-19 2022-01-07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Control arm and car for ca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470A (en) 2009-12-18 2012-09-25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Composite component
KR101393849B1 (en) 2012-12-12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aw arm for vehicle
KR20170080449A (en)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일진 Hybrid suspension arm
KR20170098007A (en)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만도 ball joint
KR101792107B1 (en) * 2016-12-28 2017-11-20 주식회사 일진 Hybrid suspension arm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00001063A (en)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일진 Suspension arm and ball joint
CN113895193A (en) * 2021-10-19 2022-01-07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Control arm and car for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136B1 (en) Hybrid suspension ar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00134083A (en) Ball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63089B1 (en) Connector piece for the articulated connection of components located in the suspension of a vehicle
KR10131164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ll and socket joint and joint manufactured according to said method
US9393850B2 (en) Stabilizer li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771847B2 (en) Hybrid suspension arm for vehicles
KR101792107B1 (en) Hybrid suspension arm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93541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suspension arm using fixing pin and hybrid suspension arm manufactured using same
CN103201527A (en) Stabilizer li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00053802A (en) Bracket for mounting a shock absorber
KR102623016B1 (en) Hybrid control arm for vehicle
KR102623037B1 (en) Hybrid control arm for vehicle
JP2022191353A (en) window stay
KR102623025B1 (en) Hybrid control arm for vehicle
JPH1161868A (en) Manhole cover made of fiber-reinforced resin
CN218929117U (en) Combined type upper control arm assembly
JP3128682U (en) Mounting structure of groove lid on side groove body
KR101855754B1 (en) Center pillar assembly for vehicle
KR102252368B1 (en) Assist Arm
CN214366265U (en) Oil pan assembly
JP7260491B2 (en) Ball seat and ball joint
US5806297A (en) Resin chain having resin-molded reinforcing plates
RU223241U1 (en) HARNESS UNIT FOR CONNECTION OF AN ARTICULATE FREIGHT CAR
CN115151449A (en) Bumper for vehicle
CN112119227A (en) Ball joint, in particular for a chassis part of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