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961B1 - Feed dispensing machine with vacuum maintained - Google Patents

Feed dispensing machine with vacuum maintain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961B1
KR102622961B1 KR1020210015421A KR20210015421A KR102622961B1 KR 102622961 B1 KR102622961 B1 KR 102622961B1 KR 1020210015421 A KR1020210015421 A KR 1020210015421A KR 20210015421 A KR20210015421 A KR 20210015421A KR 102622961 B1 KR102622961 B1 KR 102622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feed
tank
discharge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4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1979A (en
KR102622961B9 (en
Inventor
오동길
Original Assignee
오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길 filed Critical 오동길
Priority to KR1020210015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961B1/en
Publication of KR2022011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9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961B1/en
Publication of KR10262296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961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알맞은 시간에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정해진 시간에 사료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부에 저장되는 사료를 진공보관하고 사료를 배출할 때에도 외부 공기 등이 내부의 사료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개폐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하부호퍼가 형성되고, 사료를 보관하는 상부탱크와, 상기 상부탱크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온도조절부가 형성되는 하부탱크와, 상기 상부탱크의 하측면에서 상부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측에 격벽관통부가 형성되는 이중격벽부와, 상기 이중격벽부의 격벽관통부에 밀착하고 상기 상부탱크의 하부호퍼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진공제어수단과, 상기 상부탱크의 하부호퍼 타측에 밀착하고, 상기 하부탱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진공제어수단과, 상기 하부탱크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를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진공수단과, 상기 제1진공제어수단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조절부와, 상기 하부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중격벽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하부탱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연결되는 수신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연결되는 제어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출부 또는 배출덮개부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덮개부가 열고 닫힐 때 부‹H히거나 끼이는 것이 가능한 거리에 사용자 및 애완동물의 신체를 인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dispensing machine in which a vacuum is maintaine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discharge feed at a set time so that pets can eat food at an appropriate time, and vacuum stores the feed stored inside and feeds the pet. This relates to a feed dispensing machine in which a vacuum is maintained to prevent external air, etc. from contacting the internal feed even when discharging.
A vacuum-maintained feed dispens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main body, an opening and closing part is formed on one side, and a lower hopper is formed on the lower side. , an upper tank for storing feed, a lower tank located below the upper tank and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part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ank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per side to the upper tank, A double bulkhead portion having a bulkhead penetra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a first vacuum control means in close contact with the bulkhead penetrating portion of the double bulkhead por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hopper of the upper tank, and a first vacuum control mean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hopper of the upper tank. A second vacuum control means is in close contact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a vacuum means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and maintains a vacuum state inside,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vacuum control means. and a humidity control unit that detects internal humidity, a discharge unit provided inside the lower tank, connected to the double partition and discharging the feed inside to the outside,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a control unit that inputs an output signal from a receiver connected to one sid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nected control means, and the discharge unit or the discharge cover; , It includes a sensor unit that recognizes the body of the user and pet at a distance where they can be hit or caught when the discharge cover opens and closes.

Description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Feed dispensing machine with vacuum maintained}Feed dispensing machine with vacuum maintained}

본 발명은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알맞은 시간에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정해진 시간에 사료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부에 저장되는 사료를 진공보관하고 사료를 배출할 때에도 외부 공기 등이 내부의 사료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dispensing machine in which a vacuum is maintaine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discharge feed at a set time so that pets can eat food at an appropriate time, and vacuum stores the feed stored inside and feeds the pet. This relates to a feed dispensing machine in which a vacuum is maintained to prevent external air, etc. from contacting the internal feed even when discharging.

본 명세서에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by inclusion in this section.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을 키우고 사료를 먹이그릇에 급여하게 되면 애완동물이 접근하여 섭취하게 된다. 사육자는 키우는 애완동물의 종류에 따라 먹는 량이 다르고 체격이나 체중, 나이 등에 따라 적정량의 사료 급여량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애완동물의 먹이는 사료를 배분해주는 사육자가 전적으로 책임을 다하고 있어 알맞은 시간에 정확한 량을 급여해 주어야 한다. 사료 급여가 늦게되면 애완동물이 헛구토를 하거나 사료의 양이 조절되지 않으면 애완동물의 체중이 불규칙적으로 변동하고 잘못된 먹이습관을 가지게 되어 질병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Generally, when you raise a pet and feed it into a food bowl, the pet approaches and eats it. The amount a breeder eats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pet he or she is raising, and it is important to set an appropriate amount of feed based on body size, weight, age, etc. The breeder who distributes the food to the pet is fully responsible for feeding it in the correct amount at the right time. If feed is delayed, the pet vomits or the amount of food is not controlled, the pet's weight fluctuates irregularly and it develops incorrect feeding habits, which can lead to diseases.

이와 같은 문저점을 해결하고 정확한 시간에 맞춰 알맞은 사료 급여를 원하는 사육자 또는 사육자가 자리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급여하기 위해서 발명된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에 관련된 선행기술 중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KR 10-1794667 B1 (2017.11.01)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As an example of prior art related to a feed dispensing machine that maintains a vacuum, which was invent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feed feed to pets even if the breeder or breeder who wants to feed the right feed at the correct time is not pres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KR 10-1794667 B1 (2017.11.01) “Automatic Feed Quantity Supply Device” has been disclosed.

개시된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는 본 발명은 사료의 걸림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사료저장통의 공간에 담겨 있는 사료를 응고됨 없이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한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자통의 개방된 하단에 끼워지며 내부에는 통로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통로부를 통과한 사료를 상기 사료 받침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캡, 상기 하부캡의 외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캡의 통로부를 수평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경에 결합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외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하부캡의 통로부를 개방시켜 사료를 통과시키는 블레이드로 구성한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슬리브 및 상기 블레이드는 휨이 자유로운 탄성 재질로 성형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고 개시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ed-quantity automatic feed supply device that prevents feed from jamming and allows the feed contained in the feed storage container to be mixed without coagulation.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ement this is a feed storage bin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pen and a space for storing feed formed inside. It is inserted into the open lower end of the feed storage bin, and a passage is formed inside, and the passage is at the bottom. A lower cap form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passed feed into the feed tray, a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lower cap and driven for a set time with an externally applied power source, and a passage part of the lower cap coupled to the drive motor. A rotating shaft that rotates with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in a horizontally penetrating state, a sleeve coupl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otating shaft, and at least one piece protruding integrally from the outer diameter of the sleev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portion. It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mposed of a blade that rotates according to rotation and opens the passage of the lower cap to allow feed to pass, and the sleeve and the blade constitu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re molded from an elastic material that is free of bending. It is disclosed that this is done.

하지만, 사료을 보관하는 사료저장통과 사료를 배출하는 하부캡은 서로 연통되어 회전을 통해 사료를 옮겨 배출하는 블레이드를 통해 외부에 공기가 사료를 보관하는 사료저장통으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막기위해 습기차단판 등을 배출구에 위치하였지만 사료를 배출할 때에는 잠시 분리해야하고 그렇게 되면 유의미한 양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여 보관중인 사료의 유통기간이 저하되게 되고, 벌레가 유입되거나 내부에 곰팡이 및 미생물이 생장하는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the feed storage bin that stores the feed and the lower cap that discharges the feed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it is possible for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feed storage bin that stores the feed through the blade that moves and discharges the feed through rotation. To prevent this, a moisture barrier plate, etc. is placed at the outlet, but it must be separated for a while when discharging the feed, and if this happens, a significant amount of air can flow inside, shortening the shelf life of the stored feed, and causing insects to enter. There is a problem with mold and microorganisms growing inside.

1. 한국등록특허공보 KR 10-1794667 B1 (2017.11.01)1. Korean Patent Publication KR 10-1794667 B1 (2017.11.0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료 배출 기계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사료를 배출하는 도중에 들어오는 공기를 막기위해 중공부에 이중으로 배출부를 형성하여 보관중인 사료에는 공기를 들어가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산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폐된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벌레가 침입하지 못하고, 내부에 습도가 조절이 가능하여 곰팡이 등에 의해 사료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inside of the feed discharge machine in a vacuum state and forms a double discharge part in the hollow part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while discharging the feed, thereby allowing air into the stored feed. It is constructed to prevent rancidity, and because it is located in a closed space, insects cannot enter, and the internal humidity can be adjusted to prevent feed quality from deteriorating due to mold, etc. It is a feed discharge machine that maintains a vacuum. We would like to provid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be derived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개폐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하부호퍼가 형성되고, 사료를 보관하는 상부탱크와, 상기 상부탱크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온도조절부가 형성되는 하부탱크와, 상기 상부탱크의 하측면에서 상부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측에 격벽관통부가 형성되는 이중격벽부와, 상기 이중격벽부의 격벽관통부에 밀착하고 상기 상부탱크의 하부호퍼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진공제어수단과, 상기 상부탱크의 하부호퍼 타측에 밀착하고, 상기 하부탱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진공제어수단과, 상기 하부탱크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를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진공수단과, 상기 제1진공제어수단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조절부와, 상기 하부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중격벽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하부탱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연결되는 수신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연결되는 제어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출부 또는 배출덮개부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덮개부가 열고 닫힐 때 부‹H히거나 끼이는 것이 가능한 거리에 사용자 및 애완동물의 신체를 인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A vacuum-maintained feed dispens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med on one side, and a lower hopper formed on the lower side. , an upper tank for storing feed, a lower tank located below the upper tank and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ank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per side to the upper tank, A double bulkhead portion having a bulkhead penetra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a first vacuum control means in close contact with the bulkhead penetrating portion of the double bulkhead por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hopper of the upper tank, and a first vacuum control mean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hopper of the upper tank. A second vacuum control means is in close contact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a vacuum means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and maintains a vacuum state inside,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vacuum control means. and a humidity control unit that detects internal humidity, a discharge unit provided inside the lower tank, connected to the double partition and discharging the feed inside to the outside,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I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a control unit that inputs an output signal from a receiver connected to one sid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nected control means, and the discharge unit or the discharge cover. , It includes a sensor unit that recognizes the body of the user and pet at a distance where it can be hit or caught when the discharge cover opens and clos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중격벽부의 일측면은 일측으로 기울기를 형성하고 내부의 사료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double partition is inclined to one side and the feed inside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는 상부둘레를 따라 이중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이중홈에 대응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has a double groove form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and further includes a cover portion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double groo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무선기기 메세지, 어플 및 원격 방법을 통해 사료 배출명령을 전달하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remote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feed discharge command through a wireless device message, an application, and a remote method.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탱크 또는 하부탱크의 일측에 형성되는 압축공기 및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zzle portion for spraying compressed air and wat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tank or lower tank.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관이 간편한 건사료뿐만 아니라 습사료 또한 장시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진공부가 형성되어 산패, 벌레, 곰팡이가 생기지 않고 사료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뛰어나고 애완동물의 연령대에 맞는 식사공급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과식 방지와 제 시간에 사료를 주지 못해 공복토를 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중패킹을 이용해 적은 진공펌프의 사용으로 장기간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밀폐성과 열전반도체와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냉각장치 및 관련 부품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켜 제조 원가를 감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dry food that is easy to store, but also wet food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and a vacuum is formed to prevent rancidity, bugs, and mold from forming, excellently maintaining feed quality, and being appropriate for the age of the pet. It is possible to set the amount of food supplied,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eating and empty stomachs due to failure to feed on time. The advantage is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vacuum st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using a small vacuum pump using double packing, and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by reduc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cooling device and related parts by using thermoelectric semiconductors and Peltier elements. there i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의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의 상세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maintained feed dispens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feed dispensing machine in which a vacuum is mainta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maintained feed dispens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a vacuum-maintained feed dispens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e will look at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vacuum-maintained feed dispens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below,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단면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상세도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maintained feed dispens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and Figure 4 shows a detailed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1)는, The vacuum-maintained feed discharg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개폐부(11)가 형성되고, 하측에 하부호퍼(21)가 형성되고, 사료를 보관하는 상부탱크(20)와, 상기 상부탱크(20)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온도조절부(32)가 형성되는 하부탱크(30)와, 상기 상부탱크(20)의 하측면에서 상부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측에 격벽관통부(41)가 형성되는 이중격벽부(40)와, 상기 이중격벽부(40)의 격벽관통부(41)에 밀착하고 상기 상부탱크(20)의 하부호퍼(21)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진공제어수단(44)과, 상기 상부탱크(20)의 하부호퍼(21) 타측에 밀착하고, 상기 하부탱크(3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진공제어수단(46)과, 상기 하부탱크(30)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를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진공수단(31)과, 상기 제1진공제어수단(44)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조절부(33)와, 상기 하부탱크(3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중격벽부(40)와 연결되고 내부에 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15)와, 상기 하부탱크(3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부(15)를 밀폐하는 배출덮개부(16)와,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연결되는 수신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연결되는 제어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9) 및 상기 배출부(15) 또는 배출덮개부(16)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덮개부(16)가 열고 닫힐 때 부‹H히거나 끼이는 것이 가능한 거리에 사용자 및 애완동물의 신체를 인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I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11 is formed on one side, and a lower hopper 2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to store feed. an upper tank 20, a lower tank 30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tank 20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32 formed therein, and a lower tank 30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ank 20 to the upper side A double partition wall portion (40) is spaced apart at a set interval and has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has a partition penetrating portion (41) formed on one sid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ition penetrating portion (41) of the double partition wall portion (40) and the upper portion. A first vacuum control means (44)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hopper (21) of the tank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lower hopper (21) of the upper tank (20), and the lower tank (30) A second vacuum control means (46)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30), a vacuum means (31)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30) and maintaining the interior in a vacuum state, and the first vacuum control means ( A humidity control unit 33 is coupled to one side of 44) and detects internal humidity, and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tank 30 and connected to the double partition 40 and discharges the feed inside to the outside. A discharge part 15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30 and a discharge cover part 16 that seals the discharge part 15, and a discharge cover part 16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A control unit 19 that inputs an output signal from a receiver connected to one sid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nected control means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unit 15 or the discharge cover 16. It includes a sensor unit that recognizes the body of the user and pet at a distance where it can be hit or caught when the discharge cover part 16 opens and closes.

여기서, 상기 본체부(10)는 용기 형태로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측벽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벽의 형성 구성에 따라 상부에 뚜껑 등의 결합체가 단단히 밀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부에는 미끄럼 방지 구성이 추가되어 슬립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 내부에 구비되고 보다 상세히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개방부 일측에 고리형태로 걸려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되는 상기 상부탱크(20)는 일측에 개폐부(11)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개방부와 상기 개폐부(11)가 덮개결합하기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상부탱크(20)는 하측에 호퍼 형태로 일측으로 기울기가 형성되어 상기 이중격벽부(40)를 통해 흘러 내려온 사료를 상기 배출부(15)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탱크(30)는 본체부(10)의 상부를 상부탱크(20)가 차지하고 남는 소정의 공간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내부에는 외부에 공기를 배출하는 상기 진공수단(31)과 온도를 조절하는 상기 온도조절부(32) 및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습도조절부(33)가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탱크(30)의 일측에는 상기 배출부(15)가 형성되고 사료를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main body 10 is in the form of a container, with one side open and capable of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and the inner wall is formed in a double layer to facilitate temperature control. Depending on the formation of the wall, a lid, etc. can be installed on the top. It is possible for the combination to be tightly sealed. Additionally, an anti-slip structure is added to the bottom to prevent slip accidents. The upper tank 20,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is hooked in a ring shape on one side of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10 and coup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on one side.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 is formed so that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 can be easily combined with the cover, and the upper tank 20 is tilted to one side in the form of a hopper on the lower side. is formed, making it possible to move the feed flowing down through the double partition portion 40 to the discharge portion 15. The lower tank 30 can be form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left by the upper tank 20 occupying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has the vacuum means 31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and temperature control inside. It is possible for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2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control unit 33 to control the humidity to be located. The discharge part 1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tank 30, and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feed out.

상기 이중격벽부(40)는 상기 상부탱크(20)의 하측면에서 상부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측에 격벽관통부(41)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진공제어수단(44)은 상기 이중격벽부(40)의 격벽관통부(41)에 밀착하고, 상기 상부탱크(20)의 하부호퍼(21)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진공제어수단(44)은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탱크(20)에 보관되어 있던 사료가 상기 이중격벽부(40)를 따라 흘러내려와 상기 제1진공제어수단(44)의 소정의 공간에 담겨지는 것이 가능하고 일측으로 연결된 회전동작부(45)에 의해서 상기 제1진공제어수단(44)이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게되어 담겨있는 사료가 하부에 위치한 상기 하부호퍼(21)를 거쳐 상기 배출부(15)로 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동작부(45)는 적정량의 사료를 배출하기 위해서 원하는 각도를 설정하여 회전동작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double partition 40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ank 20 to the upper part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a partition penetrating part 41 can be formed on one side. The first vacuum control means 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ition penetrating part 41 of the double partition 4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hopper 21 of the upper tank 20. The first vacuum control means 44 is open at the top so that the feed stored in the upper tank 20 flows down along the double partition 40 and enters the predetermined space of the first vacuum control means 44. The first vacuum control means (44) is rotated in a preset direction by the rotation operation unit (45) connected to one side, so that the contained feed passes through the lower hopper (21) located at the bottom. It is possible to fall into the discharge section (15). The rotation operation unit 45 is capable of transmitting a rotation motion by setting a desired angle in order to discharge an appropriate amount of feed.

상기 제2진공제어수단(46)은 상기 상부탱크(20)의 하부호퍼(21) 타측에 밀착하고, 상기 하부탱크(3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출부(15)를 통해 사료를 배출할때 상기 하부탱크(30)의 내부로 공기가 들어오게 되고 연통되어 있는 상기 이중격벽부(40)를 통해 상기 상부탱크(20)로 공기가 침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호퍼(21)의 타측에 완전히 밀착하여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사료를 배출할때에만 상기 하부탱크(30)에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사료가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배출부(15)가 열리기 전에 다시 회전하여 상기 하부호퍼(21)의 타측에 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vacuum control means 4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lower hopper 21 of the upper tank 20 and can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30. When discharging fe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15, air enters the inside of the lower tank 30, and air invades the upper tank 20 through the communicating double partition 40.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completely adher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hopper (21)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and only when discharging the feed, it rotates based on the axis coupled to the lower tank (30) to allow the feed to move and discharge. Before the part 15 is opened, it is possible to rotate again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lower hopper 21.

상기 센서부는 사료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또는 애완동물의 신체가 상기 배출부(15)에 끼거나 부‹H혀서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배출부(15) 또는 배출덮개부(16)의 일측에 형성되고 거리센서, 시각센서, 촉각센서, 열감지센서 등의 센서가 하나 이상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센서부는 상기 제어부(19)에 연결되어 내부의 진공수단 및 제어수단과 연동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nsor unit is capable of preventing accidents from occurring due to the body of the user or pet being caught or crushed in the discharge unit 15 dur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feed, and the sensor unit is capable of preventing accidents from occurring due to the body of the user or pet being caught or crushed in the discharge unit 15. It is possible that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art 16 and includes one or more sensors such as a distance sensor, a visual sensor, a tactile sensor, and a heat sensor. In addition, the sensor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9 and linked with the internal vacuum means and control means.

도4에서 사료가 상기 상부탱크(20)의 제1공간부(A)에서 보관되다가 기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이 되면, 상기 이중격벽부(40)의 기울기를 따라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1진공제어수단(44)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진공제어수단(44)이 회전하면서 외주면이 상기 이중격벽부(40)의 격벽관통부(41)를 막으면서 사료를 하부로 떨어트리고, 상기 제2공간부(B)에서 사료는 상기 하부호퍼(21)에 밀착된 상기 제2진공제어수단(46)을 지나 하부에 위치한 제3공간부(C)의 상기 배출부(15)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In Figure 4, when the feed is stor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A) of the upper tank 20 and is operated at a preset time or by user operation, the feed located at the lower part along the slope of the double partition 40 It moves to the first vacuum control means (44), and as the first vacuum control means (44) rotat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blocks the partition penetration part (41) of the double partition part (40) and the feed falls to the bottom. , in the second space (B), the feed passes through the second vacuum control means (46)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hopper (21) an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art (15) of the third space (C) located at the bottom. It is possible for it to be discharged outside through.

상기 제3공간부(C)는 배출부(15)가 위치하여 외부의 공기가 자주 들어오게 되어 사료를 배출한뒤 상기 배출덮개부(16)를 닫아도 제3공간부(C)에는 공기가 차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수단(31)을 작동하게 되어 상기 제3공간부(C)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제1공간부(A)와 제2공간부(B)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third space (C), the discharge part (15) is located, so that external air frequently enters, so even if the discharge cover (16) is closed after discharging the feed, the third space (C) is filled with air. There will be. Therefore, the vacuum means 31 is operated to discharge the air in the third space (C) to the outside and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first space (A) and the second space (B). It is possible.

상기 이중격벽부(40)의 일측면은 일측으로 기울기를 형성하고 내부의 사료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double partition 40 is inclined to one side and the feed inside moves along the slope.

여기서, 상기 이중격벽부(40)는 상기 상부탱크의 하측면에서 상부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이중격벽부(40)의 하측에 중심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호퍼 형태 또는 일측으로 기울기가 형성되어 상기 격벽관통부(41)를 통해 사료를 상기 배출부(15)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double partition 40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ank upward, has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has a hopper shape with an inclination center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uble partition 40. Alternatively, a slope is formed on one side, making it possible to move feed to the discharge unit 15 through the partition penetration unit 41.

상기 개폐부(11)는 상부둘레를 따라 이중홈(12)이 형성되고,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 has a double groove 12 form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상기 개폐부(11)의 이중홈(12)에 대응결합되는 덮개부(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over part 13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double groove 12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

여기서, 상기 개폐부(11)는 상기 상부탱크(20)에 포대에 담겨있는 사료를 옮겨 담기 쉽도록 가능한 넓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이중홈(12)은 상기 본체부(10)의 개폐부(11)의 상부둘레를 따라 상기 본체부(10)와 상부탱크(20)가 결합상태의 틈과 추가적인 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덮개부(13)는 홈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갈고리 등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진공수단(31)이 상기 본체부(1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내부를 진공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덮개부(13) 및 이중홈(12)의 구조에 따라 완전히 밀폐되어 상기 개폐부(11)를 통해 공기가 침습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중홈(12) 또는 덮개부(13)는 결합구조에 고무패킹을 구성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지속적인 밀폐가 가능하다.Her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 can be formed as wide as possible to easily transfer the feed contained in the bag to the upper tank 20, and the double groove 12 i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 of the main body 10. ) It is possible to form a plurality of grooves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tank 20 in which gaps and additional grooves are formed in the coupled state, and the cover portion 13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grooves. It is possible to have a connecting structure such as a hook if possible. When the vacuum means 31 discharges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10 to maintain a vacuum state inside the body 10, it is completely seal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ver 13 and the double groove 1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intrusion. In addition, the double groove 12 or the cover portion 13 has a rubber packing in the coupling structure, enabling more efficient and continuous sealing.

상기 제어부(19)는 무선기기 메세지, 어플 및 원격 방법을 통해 사료 배출명령을 전달하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19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emote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feed discharge command through a wireless device message, an application, and a remote method.

여기서, 상기 제어부(19)는 원격제어부를 더 형성하여 MQTT서버를 통한 사료 잔여량, 온도 습도 제어 등이 가능하여 이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메세지, 어플 및 원격통신을 활용하여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출중인 상황에도 보관중인 사료의 상태 및 잔여량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는 상황에 맞춰서 온도 습도를 조절하거나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배식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control unit 19 further forms a remot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amount of feed remaining, temperature and humidity through an MQTT server, and can be operated using messages, applications and remote communications from wireless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it. Therefore, even when the user is ou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atus and remaining amount of stored feed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in real time, and the user can adjus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feed the pet.

상기 상부탱크(20) 또는 하부탱크(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압축공기 및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forming a nozzle part for spraying compressed air and water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tank 20 or the lower tank 30.

여기서 상기 노즐부는 상부탱크(20) 또는 하부탱크(3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19)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9)에 청소명령이 전달되면 일측에 연결된 상기 노즐부에서 청소단계에 따라 공기와 물을 분사하여 내부의 잔여사료 등을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nozzle pa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tank 20 or the lower tank 3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9. When a cleaning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9, it is possible to spray air and water from the nozzle unit connected to one side according to the cleaning step to clean remaining feed, etc. insid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is is not the ca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
10 : 본체부
11 : 개폐부
12 : 이중홈
13 : 덮개부
15 : 배출부
16 : 배출덮개부
17 : 디스플레이부
18 : 조작부
19 : 제어부
20 : 상부탱크
21 : 하부호퍼
30 : 하부탱크
31 : 진공수단
32 : 온도조절부
33 : 습도조절부
40 : 이중격벽부
41 : 격벽관통부
44 : 제1진공제어수단
45 : 회전작동부
46 : 제2진공제어수단
A : 제1공간부
B : 제2공간부
C : 제3공간부
1: Feed discharge machine with vacuum maintained
10: main body
11: opening and closing part
12: double groove
13: cover part
15: discharge part
16: Discharge cover part
17: Display unit
18: control panel
19: control unit
20: upper tank
21: Lower hopper
30: Lower tank
31: Vacuum means
32: Temperature control unit
33: Humidity control unit
40: double bulkhead part
41: Bulkhead penetration part
44: First vacuum control means
45: Rotation operating unit
46: Second vacuum control means
A: First space part
B: Second space part
C: Third space

Claims (5)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개폐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하부호퍼가 형성되고, 사료를 보관하는 상부탱크;
상기 상부탱크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온도조절부가 형성되는 하부탱크;
상기 상부탱크의 하측면에서 상부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측에 격벽관통부가 형성되는 이중격벽부;
일측에 형성된 개방부 및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한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격벽부 및 상기 하부호퍼 사이에 중심축이 수평을 이루도록 인접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진공제어수단;
상기 상부탱크의 하부호퍼 타측에 밀착하고, 상기 하부탱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진공제어수단;
상기 하부탱크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를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진공수단;
상기 제1진공제어수단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조절부;
상기 하부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중격벽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하부탱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부를 밀폐하는 배출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연결되는 수신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연결되는 제어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출부 또는 배출덮개부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덮개부가 열고 닫힐 때 부‹H히거나 끼이는 것이 가능한 거리에 사용자 및 애완동물의 신체를 인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진공제어수단은,
회전에 따라, 일측의 개방부가 상기 이중격벽부의 하부 또는 상기 하부호퍼의 상부 중 하나와 연결되고, 타측의 외주면이 상기 하부호퍼의 상부 또는 상기 이중격벽부의 하부 중 하나를 밀폐하는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
a main body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 upper tank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part on one side, a lower hopper on the lower side, and storing feed;
A lower tank located below the upper tank and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med therein;
a double bulkhead portion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ank to the top,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having a partition penetra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A first vacuum control means that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nd an internal receiving space, and is disposed adjacent to and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double partition and the lower hopper so that the central axis is horizontal;
a second vacuum control mean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lower hopper of the upper tank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Vacuum mean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and maintaining the interior in a vacuum state;
A humidity control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vacuum control means and detecting internal humidity;
A discharge part provided inside the lower tank, connected to the double partition, and discharging the feed inside to the outside;
A discharge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nk and sealing the discharge portion;
A control unit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unit, inputs an output signal from a receiver connected to one sid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nected control means; and
A sensor unit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unit or the discharge cover unit and recognizing the body of the user and the pet at a distance that can be hit or caught when the discharge cover opens and closes;
Including,
The first vacuum control means is,
As it rotates, the opening on one side is connected to either the lower part of the double partition or the upper part of the lower hopp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seals either the upper part of the lower hopper or the lower part of the double partition wall to maintain a vacuum. discharge mach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격벽부의 일측면은 일측으로 기울기를 형성하고 내부의 사료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
According to clause 1,
A feed dispensing machine in which a vacuum is maintained, wherein one side of the double partition is inclined to one side and the feed inside moves along the inclined pla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부둘레를 따라 이중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이중홈에 대응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
According to clause 1,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has a double groove form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A vacuum-maintained feed dispensing machine further comprising a cover portion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double groo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기기 메세지, 어플 및 원격 방법을 통해 사료 배출명령을 전달하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
According to clause 1,
A feed dispensing machine in which a vacuum is maintained,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remote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feed dispensing command through a wireless device message, an application, and a remote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탱크 또는 하부탱크의 일측에 형성되는 압축공기 및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
According to clause 1,
A vacuum-maintained feed dispensing machine further comprising a nozzle portion that sprays compressed air and water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tank or lower tank.
KR1020210015421A 2021-02-03 2021-02-03 Feed dispensing machine with vacuum maintained KR1026229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21A KR102622961B1 (en) 2021-02-03 2021-02-03 Feed dispensing machine with vacuum maintain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21A KR102622961B1 (en) 2021-02-03 2021-02-03 Feed dispensing machine with vacuum maintained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979A KR20220111979A (en) 2022-08-10
KR102622961B1 true KR102622961B1 (en) 2024-01-10
KR102622961B9 KR102622961B9 (en) 2024-04-08

Family

ID=8284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421A KR102622961B1 (en) 2021-02-03 2021-02-03 Feed dispensing machine with vacuum maintain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96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191Y1 (en) * 2004-12-08 2005-03-17 재 윤 김 The Rubber Air Chuck for Air Shaft
KR102176973B1 (en) * 2018-08-03 2020-11-10 오동길 Storing apparatus having double vacuum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901B1 (en) * 2014-11-28 2016-08-04 주식회사 에코플랜 Apparatus for mamufacturing pet foods
KR101794667B1 (en) 2015-04-09 2017-11-07 이창현 device of supply pig feed
KR101965048B1 (en) * 2017-03-08 2019-04-03 (주)세성 An AGV Based Automatic Feeding System for Cattle Shed
KR102108465B1 (en) * 2018-08-10 2020-05-11 문아영 Dispenser for feed storage and supply of companion anim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191Y1 (en) * 2004-12-08 2005-03-17 재 윤 김 The Rubber Air Chuck for Air Shaft
KR102176973B1 (en) * 2018-08-03 2020-11-10 오동길 Storing apparatus having double vacuum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979A (en) 2022-08-10
KR102622961B9 (en) 202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743B1 (en) Appararus to feed automatically fodder
US7409923B2 (en) Pet food storage and feeder device
US6135056A (en) Automatic pet food dispenser at definite times and for a definite quantity
US6789503B1 (en) Automatic animal feeding device
US6367417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animal food dispenser
US6988465B2 (en) Automatic pet food dispensing device
US9277730B2 (en) Plunger gate animal feeder attachment
EP0938841B1 (en) Automatic feed distribution device for cats and dogs
US4651679A (en) Pelletized material feeder and water combination
US5730082A (en) Insect resistant pet dish with automatic water level maintenance
CN206196636U (en) A kind of automatically feed feeder
US20070277738A1 (en) Pet watering device
WO2010059663A2 (en) Combined pet food and water dispenser
EP1713322B1 (en) Food dispens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quariums
KR20140024522A (en) Automatic feeding apparatus for a pet
US20190335707A1 (en) Automatic feed device
KR102622961B1 (en) Feed dispensing machine with vacuum maintained
KR100668237B1 (en) Device of supply pig feed
EP0018748A2 (en) Livestock feeder system with water level control
KR20220111976A (en) Mechanical device in which vacuum is maintained in the inner tank
KR20220111978A (en) Mechanical device that maintains vacuum at all times
KR20220111977A (en) Vacuum maintenance machine
KR102290327B1 (en) a dog feeder with the function of making wet ingredients
KR101923115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fixed quantity food
CN108238345B (en) Classified storage barrel for pet fe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