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828B1 -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828B1
KR102622828B1 KR1020210170999A KR20210170999A KR102622828B1 KR 102622828 B1 KR102622828 B1 KR 102622828B1 KR 1020210170999 A KR1020210170999 A KR 1020210170999A KR 20210170999 A KR20210170999 A KR 20210170999A KR 102622828 B1 KR102622828 B1 KR 102622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g
ecg signal
expected
authentication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2978A (ko
Inventor
김정환
최민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1017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828B1/ko
Priority to PCT/KR2022/019411 priority patent/WO2023101488A1/ko
Publication of KR2023008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1Determining signal validity, reliability or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 모듈, 대상자에 대한 심전도 측정 모듈의 심전도 측정 결과를 통해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대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며,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방식과,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기능하는 대표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여 등록하는 등록 모듈, 및 심전도 측정 모듈의 심전도 측정 결과로부터 현재 획득된 실측 심전도 신호와, 등록 모듈에 의해 등록된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BIOMETRIC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심전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 인증이란 개인의 신체적 특징을 통해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여 인증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생체 인증은 개인정보 보호, 금융 보안, 출입 통제 및 출결 관리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나아가, 생체 인증은 성폭력, 스토킹, 또는 가정 폭력 등의 범죄자를 감독하고 통제하기 위한 전자 감독 제도에도 적용되는 등 그 적용 분야가 확장되고 있으며, 상기한 전자 감독 제도의 일환으로서 야간 시간대의 이동을 집 내부로 국한시키는 야간 외출 제한 명령이 부과되는 감시 대상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야간 외출 제한 명령 부과자에 대한 종래의 감시 시스템은 성문 인식(음성 인식)을 통해 감시 대상자를 확인함으로 인해 감시 대상자의 인증 과정에서의 잦은 오류 및 보호 관찰관의 업무 부담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감시 대상자의 감기 등으로 인한 음성 변성 시 감시 대상자의 정확한 인증이 수행될 수 없고, 성문 인증의 정확성 부족으로 인해 보호 관찰관의 추가적인 업무 부담이 야기되고 있으며, 전일의 음성 감독 결과를 담당 직원이 익일에 시스템에 입력하는 비효율성이 존재하고, 나아가 외출 제한이 적용되는 시간 전체에 대하여 감시 대상자의 감독이 불가능한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야간 외출 제한 명령이 부과되는 감시 대상자를 감시함에 있어서 성문 인식을 대체할 수 있는 감시 대상자 인증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5912호(2017. 04. 28.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야간 외출 제한 명령 부과자에 대한 감시 시스템에 적용되었던 종래의 성문 인식 방법을 심전도를 통한 생체 인증 방법으로 대체하여 그 감시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심전도를 통한 생체 인증 방법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제시하여 생체 인증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는 대상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 모듈, 상기 대상자에 대한 상기 심전도 측정 모듈의 심전도 측정 결과를 통해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대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상기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방식과,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기능하는 대표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여 등록하는 등록 모듈, 및 상기 심전도 측정 모듈의 심전도 측정 결과로부터 현재 획득된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등록 모듈에 의해 등록된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상기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는, 상기 복수의 심전도 신호의 중간값(median)에 해당하는 심전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등록 모듈은, 상기 복수의 심전도 신호로서 N개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한 후 그 중간값에 해당하는 심전도 신호를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상기 N개의 심전도 신호 각각에 대한 상관 관계를 분석하며, 상기 N개의 심전도 신호 중,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M개의 심전도 신호를 제거한 후 상기 심전도 측정 모듈을 통해 상기 대상자에 대하여 M개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M개의 심전도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대표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여기서, N 및 M은 2 이상의 자연수, N > M).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등록 모듈은, 상기 수집된 M개의 심전도 신호의 중간값에 해당하는 심전도 신호를 제2 기대 심전도 신호로 결정하고,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상기 제2 기대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를 상기 대표 심전도 신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N개의 심전도 신호와 상기 M개의 심전도 신호를 구성하는 각각의 심전도 신호는, 상기 대상자의 심전도를 나타내는 유효 데이터로 정의되는 샘플링 데이터를 K개 포함하되, 상기 K의 값과 상기 기준치는 상호 의존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여기서, K는 2 이상의 자연수).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등록 모듈은, 상기 대표 심전도 신호와 함께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을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등록하되, 상기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은 ⅰ)상기 복수의 심전도 신호로서 수집된 상기 N개의 심전도 신호에서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M개의 심전도 신호가 제거된 후 남아있는 (N-M)개의 심전도 신호와, ⅱ)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 검증에 적용된 M개의 심전도 신호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1차 인증, 및 상기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2차 인증을 통해 상기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1차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1차 인증에 후속하여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되, 상기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로부터 산출되는 각각의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2차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대상자의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최종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1차 인증에 실패한 경우, 또는 상기 2차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심전도 측정 모듈을 통해 I개의 실측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I개의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대상자의 생체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최종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는 2 이상의 자연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생체 인식 방법은 대상자에 대한 심전도 측정 모듈의 심전도 측정 결과를 통해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대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상기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방식과,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기능하는 대표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여 등록하는 등록 단계, 및 상기 심전도 측정 모듈의 심전도 측정 결과로부터 현재 획득된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등록 단계에서 등록된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상기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등록하는 등록 과정에서 대상자의 심전도 측정 결과로부터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대표할 수 있는 대표 심전도 신호를 소정의 상관 관계 분석 기법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획득함으로써 레퍼런스 데이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대표 심전도 신호와 함께 레퍼런스 데이터의 등록 과정에서 사용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까지 대상자의 생체 인증 과정에 활용하는, 등록 과정과 인증 과정의 유기적인 결합 방식을 통해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생체 인증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심전도를 기반으로 하는 생체 인증은 살아있는 생체 내부에 있는 행동학적 특징을 이용하는 인증기술로, 지문, 얼굴, 홍채, 정맥 등 신체적 특징을 이용하는 인증 기술과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인증기술이 필요로 하는 보안성과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에서 등록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에서 인증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생체 인증 장치는 대상자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레퍼런스 데이터를 등록하고, 등록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통해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며,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는 생체 인증 장치는 앞서 언급한, 야간 외출 제한 명령 부과자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 시스템(이하, 감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시 시스템은 야간 외출 제한 명령 부과자와 같은 감시 대상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감시 대상자에 부착되는 피감시 단말(예: 감시 대상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생체 정보로서 감시 대상자의 심전도를 센싱하는 웨어러블 워치(Wearable Watch))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시 대상자의 위치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감시 대상자의 신원을 인증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신원 인증 방법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심전도 측정을 통한 생체 인증 방식을 채용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심전도 측정 모듈은 감시 대상자가 착용하는 피감시 단말에 구비되는 심전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등록 모듈 및 인증 모듈은 심전도 측정 모듈을 통한 대상자의 심전도 측정 결과로부터 레퍼런스 데이터를 등록하고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관제 서버에 포함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생체 인증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일 구현예를 기술한 것으로서, 대상자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레퍼런스 데이터를 등록한 후, 등록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자의 심전도 측정을 통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인증 시스템(예: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금융 보안 시스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출결 관리 시스템 등)에 본 실시예의 생체 인증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생체 인증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에서 등록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에서 인증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는 심전도 측정 모듈(100), 등록 모듈(200) 및 인증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모듈(100)은 대상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심전도 측정 모듈(100)에 의해 측정된 대상자의 심전도는 등록 모듈(200)에 의한 레퍼런스 데이터 등록 과정과, 인증 모듈(300)에 의한 대상자의 생체 인증 과정에 활용될 수 있다.
등록 모듈(200)은 대상자에 대한 심전도 측정 모듈(100)의 심전도 측정 결과를 통해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기능하는 대표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여 등록(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등록 모듈(200)에 의한, 레퍼런스 데이터에 해당하는 대표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등록 모듈(200)은 대상자에 대한 심전도 측정 모듈(100)의 심전도 측정 결과를 통해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① 과정),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대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며(② 과정),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상기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방식과(③ 및 ④ 과정),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기능하는 대표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여 등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⑤ 내지 ⑦ 과정).
등록 모듈(200)의 동작을 각 과정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① 과정에서 등록 모듈(200)은 N개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할 수 있으며(N은 2 이상의 자연수), 이때 N개의 심전도 신호는 각각 K개의 샘플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즉, 하나의 심전도 신호당 K개의 샘플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샘플링 데이터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심전도 신호에서 대상자의 심전도를 나타내는 유효 데이터(예: 측정값의 Peak치)로 정의된다. K개의 샘플링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심전도 신호에서 그 크기가 최대인 Peak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Peak치를 기준으로 그 전단에서 a개의 유효 데이터와 그 후단에서 b개의 유효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방식으로 총 K개의 샘플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즉, K = 1(Peak치) + a + b). 상기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심전도 측정 모듈(100)의 샘플링 레이트는 특정 레이트(예: 250Hz(초당 250개의 유효 데이터 샘플링))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샘플링 데이터의 수 K는, 상관 관계 분석 결과와 비교되는 '기준치'와 상호 의존적으로 결정된다. 등록 모듈(200)은 상기와 같은 K개의 샘플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심전도 신호 수집 동작을 N회 반복하여 대상자에 대한 총 N개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② 과정에서, 등록 모듈(200)은 복수의 심전도 신호(N개의 심전도 신호)를 대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는 등록 모듈(200)이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최종 결정하는 대표 심전도 신호의 후보로서 기능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는 복수의 심전도 신호의 중간값(median)에 해당하는 심전도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예: 전술한 Peak치가 복수의 심전도 신호 중 중간값에 해당하는 심전도 신호). 즉, ① 과정에서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에는 노이즈가 반영되어 그 산포가 클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신호의 trend 및 노이즈에 대한 고려없이 단순 평균치만을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로 결정할 경우,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대표 심전도 신호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등록 모듈(200)은 대표 심전도 신호의 결정 과정에서의 왜곡을 제거하고 그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N개의 심전도 신호의 중간값(median)에 해당하는 심전도 신호를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
③ 및 ④ 과정에서, 등록 모듈(200)은 ② 과정에서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① 과정에서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correlation)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록 모듈(200)은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N개의 심전도 신호 각각에 대한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상관 관계 분석 기법으로서 피어슨(Pearson) 상관 분석이 적용될 수 있다)(③ 과정), N개의 심전도 신호 중,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상관 계수(예: 피어슨 상관 계수, r)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M개의 심전도 신호를 제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M은 N 미만의 자연수)(④ 과정). 후술하는 것과 같이 인증 모듈(300)은 대표 심전도 신호와 함께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도 고려하여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하며,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은 기본적으로 ① 과정에서 수집된 N개의 심전도 신호를 포함하도록 정의되는 점을 고려할 때,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의 레퍼런스성을 높여 생체 인증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N개의 심전도 신호 중 아웃라이어(outlier)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등록 모듈(200)은 N개의 심전도 신호 중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M개의 심전도 신호를 제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⑤ 내지 ⑦ 과정에서, 등록 모듈(200)은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기능하는 대표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등록 모듈(200)은 ④ 과정에서 제거된 수(M) 만큼, 심전도 측정 모듈(100)을 통해 대상자에 대하여 M개의 심전도 신호를 추가적으로 수집하고(⑤ 과정), 수집된 M개의 심전도 신호를 통해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M개의 심전도 신호를 추가적으로 수집하는 ⑤ 과정은, 레퍼런스 데이터로 기능하는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에 포함되는 심전도 신호를 N개로 확보하여 그 레퍼런스성을 확보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심전도 신호를 확보하는 과정으로서 기능한다.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할 때, 등록 모듈(200)은 ⑤ 과정에서 수집된 M개의 심전도 신호의 중간값(median)에 해당하는 심전도 신호를 제2 기대 심전도 신호로 결정하고(⑥ 과정),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제2 기대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상관 계수(예: 피어슨 상관 계수, r)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를 대표 심전도 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⑦ 과정). 즉, 동일한 대상자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수집된 M개의 심전도 신호의 중간값에 해당하는 제2 기대 심전도 신호와, 제1 기대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계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제1 기대 심전도 신호가 대상자의 심전도를 대표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등록 모듈(200)은 상기의 동작을 통해 대표 심전도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⑦ 과정에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제2 기대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계수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⑤ 과정부터 재차 수행될 수 있으며, ⑤ 내지 ⑦ 과정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수행되었음에도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제2 기대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계수가 기준치 미만인 상태가 유지되면, 등록 모듈(200)은 ① 과정에서 획득된 N개의 심전도 신호, 그리고 ② 과정에서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레퍼런스성이 없다고 판단하여 ① 과정부터 재차 수행할 수 있다.
앞에서는 '기준치'를 ④ 과정에서 적용되는 기준치와(즉, ② 과정에서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① 과정에서 획득된 N개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계수와 비교되는 파라미터), ⑦ 과정에서 적용되는 기준치(즉, ② 과정에서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⑥ 과정에서 결정된 제2 기대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계수와 비교되는 파라미터)로 구분하여 표기하였으며, 위 두 기준치는 앞서 언급한 샘플링 데이터의 수 K와 의존적으로 결정되는 범위 내에서, 동일한 값을 갖거나, 또는 상이한 값을 갖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④ 과정에서 적용되는 기준치를 제1 기준치로 정의하고, ⑦ 과정에서 적용되는 기준치를 제2 기준치로 정의할 때, 제1 및 제2 기준치 모두 0.95로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제1 기준치는 0.95로 설정되고 제2 기준치는 0.99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기준치는 상호 의존적으로 결정될 필요는 없으나, 제1 및 제2 기준치와 샘플링 데이터의 수 K 간의 의존성은 상관 관계 분석의 신뢰도 확보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샘플링 데이터의 수 K와 상호 의존적으로 결정되는 제약을 받으면 된다. 예시로서, 샘플링 데이터의 수 K가 300, 제1 기준치가 0.95로 설정된 경우를 상정할 때, ③ 및 ④ 과정에서 산출되는,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N개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계수가 제1 기준치인 0.95 이상이면 p-value < 0.000001 이상의 상관 분석 신뢰도를 갖는다. 또한, 샘플링 데이터의 수 K가 300, 제2 기준치가 0.99로 설정된 경우를 상정할 때, ⑦ 과정에서 산출되는,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제2 기대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계수가 제2 기준치인 0.99 이상이면 역시 p-value < 0.000001 이상의 상관 분석 신뢰도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상관 분석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샘플링 데이터의 수 K와 제1 및 제2 기준치는 상호 의존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값은 설계자의 실험적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결정된 대표 심전도 신호는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등록된다. 이때, 등록 모듈(200)은 대표 심전도 신호와 함께,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도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등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은, ⅰ)① 과정에서 수집된 N개의 심전도 신호에서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④ 과정에서 M개의 심전도 신호가 제거된 후 남아있는 (N-M)개의 심전도 신호와, ⅱ)⑤ 내지 ⑦ 과정에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 검증에 적용된 M개의 심전도 신호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즉,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은 대표 심전도 신호 결정에 직접적으로 관여된 심전도 신호의 그룹으로 정의된다.
상기와 같이 등록 모듈(200)에 의해 레퍼런스 데이터가 등록된 이후, 인증 모듈(300)은 기본적으로 심전도 측정 모듈(100)의 심전도 측정 결과로부터 현재 획득된 실측 심전도 신호와, 등록 모듈(200)에 의해 등록된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인증 모듈(30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측 심전도 신호와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1차 인증(① 및 ② 과정), 및 실측 심전도 신호와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2차 인증을 통해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③ 및 ④ 과정). 인증 모듈(300)에 의한 생체 인증 과정에서 적용되는 상관 관계 분석 기법, 심전도 신호의 구성, 그리고 샘플링 데이터의 수 K와 기준치 간의 상호 의존성은 등록 모듈(200)에 의한 등록 과정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인증 모듈(300)의 동작을 각 과정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① 과정에서 인증 모듈(300)은 심전도 측정 모듈(100)을 통해 대상자의 심전도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생체 인증 과정에서 실측되어 레퍼런스 데이터와 비교되는 심전도 신호를 실측 심전도 신호로 정의한다). 인증 과정의 ① 과정에서 획득되는 심전도 신호는 등록 과정의 ① 과정에서 획득되는 심전도 신호와 같이 K개의 샘플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② 과정에서, 인증 모듈(300)은 실측 심전도 신호와, 등록 모듈(200)에 의해 등록된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상관 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예: 0.99) 이상인 경우 1차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차 인증에 성공 시, 인증 모듈(300)은 1차 인증에 후속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③ 과정), 이 경우 실측 심전도 신호와 전술한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로부터 산출되는 각각의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예: 0.99) 이상인 경우 2차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대상자의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④ 과정). 실측 심전도 신호와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 분석에 후속하여, 대표 심전도 신호의 결정에 활용된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 또한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관 관계가 분석되는 방식으로 생체 인증이 수행됨으로써, 대상자의 생체 인증이 매우 정확하고 신뢰도 높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증 모듈(300)은 상기한 1차 인증에 실패한 경우, 또는 2차 인증에 실패한 경우, 심전도 측정 모듈(100)을 통해 I개의 실측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I개의 실측 심전도 신호와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며(⑤ 과정),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대상자의 생체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⑥ 과정). 만약, ⑤ 과정에서 산출된 상관 계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2차 인증에 해당하는 ③ 과정이 재차 수행될 수 있으며(I개의 실측 심전도 신호 및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 간의 상관 분석), ③ 과정에 따른 2차 인증과, 2차 인증의 실패에 따른 ⑤ 과정이 미리 지정된 횟수 반복적으로 수행되면 대상자의 생체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방법을 설명하며,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적인 설명은 배제하고 시계열적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등록 모듈(200)은 대상자에 대한 심전도 측정 모듈(100)의 심전도 측정 결과를 통해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대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며,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방식과,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기능하는 대표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여 등록한다(S100).
도 7을 참조하여 S100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등록 모듈(200)은 대상자에 대한 심전도 측정 모듈(100)의 심전도 측정 결과를 통해 복수의 심전도 신호로서 N개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한다(S101).
이어서, 등록 모듈(200)은 S101 단계에서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대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를 결정한다(S102). S102 단계에서, 등록 모듈(200)은 N개의 심전도 신호 중 그 중간값에 해당하는 심전도 신호를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로 결정한다.
이어서, 등록 모듈(200)은 S102 단계에서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S101 단계에서 수집된 N개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상관 계수를 산출한다(S103).
이어서, 등록 모듈(200)은 S101 단계에서 수집된 N개의 심전도 신호 중, S103 단계에서 산출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M개의 심전도 신호를 제거한다(S104).
이어서, 등록 모듈(200)은 심전도 측정 모듈(100)을 통해 대상자에 대하여 M개의 심전도 신호를 추가 수집한다(S105).
이어서, 등록 모듈(200)은 S105 단계에서 수집된 M개의 심전도 신호를 대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2 기대 심전도 신호를 결정한다(S106). S102 단계와 같이, M개의 심전도 신호 중 그 중간값에 해당하는 심전도 신호가 제2 기대 심전도 신호로 결정된다.
이어서, 등록 모듈(200)은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제2 기대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상관 계수를 산출한다(S107).
이어서, 등록 모듈(200)은 S107 단계에서 산출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S108),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를 대표 심전도 신호로 결정하여 등록한다(S109). 한편, S108 단계에서 상관 계수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S105 단계부터 재차 수행되며, S105 단계 내지 S108 단계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수행되었음에도 S108 단계에서 상관 계수가 기준치 미만인 상태가 유지되면 S101 단계부터 재차 수행된다. 또한, S109 단계에서, 등록 모듈(200)은 대표 심전도 신호와 함께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을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등록한다.
S100 단계를 통해 레퍼런스 데이터가 등록된 이후, 인증 모듈(300)은 심전도 측정 모듈(100)의 심전도 측정 결과로부터 현재 획득된 실측 심전도 신호와, S100 단계에서 등록된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한다(S200).
도 8을 참조하여 S200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증 모듈(300)은 대상자에 대한 심전도 측정 모듈(100)의 심전도 측정 결과를 통해 실측 심전도 신호를 획득한다(S201).
이어서, 인증 모듈(300)은 S201 단계에서 획득된 실측 심전도 신호와 S100 단계를 통해 등록된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상관 계수를 산출한다(S202).
이어서, 인증 모듈(300)은 S202 단계에서 산출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S203), 실측 심전도 신호와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상관 계수를 각각 산출한다(S204).
이어서, 인증 모듈(300)은 S204 단계에서 산출된 각각의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S205), 대상자의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최종 판단한다(S206).
한편, S203 단계에서 상관 계수가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S205 단계에서 상관 계수가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증 모듈(300)은 심전도 측정 모듈(100)을 통해 대상자에 대하여 I개의 실측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S207), 수집된 I개의 실측 심전도 신호와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상관 계수를 산출하며(S208), 산출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S209) 대상자의 생체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최종 판단한다(S210). 만약, S209 단계에서 상관 계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S204 단계 및 S205 단계를 통해 I개의 실측 심전도 신호 및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 간의 상관 분석이 수행될 수 있으며, S205 단계에서 상관 계수가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과 S209 단계에서 상관 계수가 기준치 미만으로 판단되는 것이 미리 지정된 횟수 반복적으로 수행되면 대상자의 생체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최종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등록하는 등록 과정에서 대상자의 심전도 측정 결과로부터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대표할 수 있는 대표 심전도 신호를 소정의 상관 관계 분석 기법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획득함으로써 레퍼런스 데이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대표 심전도 신호와 함께 레퍼런스 데이터의 등록 과정에서 사용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까지 대상자의 생체 인증 과정에 활용하는, 등록 과정과 인증 과정의 유기적인 결합 방식을 통해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생체 인증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심전도 측정을 통한 생체 인증 과정을 야간 외출 제한 명령 부과자에 대한 감시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감시 대상자에 대한 감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심전도 측정 모듈
200: 등록 모듈
300: 인증 모듈

Claims (10)

  1. 대상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 모듈;
    상기 대상자에 대한 상기 심전도 측정 모듈의 심전도 측정 결과를 통해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를 대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상기 수집된 복수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방식과,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기능하는 대표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여 등록하는 등록 모듈; 및
    상기 심전도 측정 모듈의 심전도 측정 결과로부터 현재 획득된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등록 모듈에 의해 등록된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상기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는, 상기 복수의 심전도 신호의 중간값(median)에 해당하는 심전도 신호이며,
    상기 등록 모듈은, 상기 복수의 심전도 신호로서 N개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한 후 그 중간값에 해당하는 심전도 신호를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상기 N개의 심전도 신호 각각에 대한 상관 관계를 분석하며, 상기 N개의 심전도 신호 중,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M개의 심전도 신호를 제거한 후 상기 심전도 측정 모듈을 통해 상기 대상자에 대하여 M개의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M개의 심전도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대표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여기서, N 및 M은 2 이상의 자연수, N > M).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듈은, 상기 수집된 M개의 심전도 신호의 중간값에 해당하는 심전도 신호를 제2 기대 심전도 신호로 결정하고,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와 상기 제2 기대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를 상기 대표 심전도 신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심전도 신호와 상기 M개의 심전도 신호를 구성하는 각각의 심전도 신호는, 상기 대상자의 심전도를 나타내는 유효 데이터로 정의되는 샘플링 데이터를 K개 포함하되, 상기 K의 값과 상기 기준치는 상호 의존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여기서, K는 2 이상의 자연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듈은, 상기 대표 심전도 신호와 함께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을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등록하되, 상기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은 ⅰ)상기 복수의 심전도 신호로서 수집된 상기 N개의 심전도 신호에서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M개의 심전도 신호가 제거된 후 남아있는 (N-M)개의 심전도 신호와, ⅱ)상기 제1 기대 심전도 신호의 유효성 검증에 적용된 M개의 심전도 신호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1차 인증, 및 상기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2차 인증을 통해 상기 대상자의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1차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1차 인증에 후속하여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되, 상기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하위 심전도 신호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로부터 산출되는 각각의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2차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대상자의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최종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1차 인증에 실패한 경우, 또는 상기 2차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심전도 측정 모듈을 통해 I개의 실측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I개의 실측 심전도 신호와 상기 대표 심전도 신호 간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대상자의 생체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최종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여기서, I는 2 이상의 자연수).
  10. 삭제
KR1020210170999A 2021-12-02 2021-12-02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2622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999A KR102622828B1 (ko) 2021-12-02 2021-12-02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PCT/KR2022/019411 WO2023101488A1 (ko) 2021-12-02 2022-12-01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999A KR102622828B1 (ko) 2021-12-02 2021-12-02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978A KR20230082978A (ko) 2023-06-09
KR102622828B1 true KR102622828B1 (ko) 2024-01-09

Family

ID=8661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999A KR102622828B1 (ko) 2021-12-02 2021-12-02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2828B1 (ko)
WO (1) WO202310148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819B1 (ko) * 2014-12-30 2021-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300B1 (ko) * 2014-09-01 2021-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1587874B1 (ko) * 2014-09-30 2016-01-22 국방과학연구소 단일 채널 심전도를 이용한 생체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1863840B1 (ko) * 2017-01-18 2018-06-01 울산과학기술원 심전도 기반의 인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819B1 (ko) * 2014-12-30 2021-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488A1 (ko) 2023-06-08
KR20230082978A (ko) 202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9635B1 (en) Method and system of identifying users based upon free text keystroke patterns
US200500841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person
US8762734B2 (en) Biometric pressure grip
CN108629167B (zh) 一种结合可穿戴设备的多智能设备身份认证方法
US20140120876A1 (en) Ecg measur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060106571A1 (en) Biometric apparatus and method using bio signals
US81692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ural activity identification
JP2008140197A (ja) 認証システムの管理方法
Illiano et al. Detecting malicious data injections in event detection wireless sensor networks
WO2008144174A1 (en) Methods for using a biometric parameter in the identification of persons
Hussein et al. An IoT real-time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ECG fiducial extracted features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US20080004999A1 (en) High-security time-and-attendance data collection system
Vhaduri et al. Biometric-based wearable user authentication during sedentary and non-sedentary periods
Bridges et al. Towards malware detection via cpu power consumption: Data collection design and analytics
Karnan et al. Bio password—keystroke dynamic approach to secure mobile devices
Beton et al. Biometric secret path for mobile user authentication: A preliminary study
US7155040B2 (en) Generation of quality field information in th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CN111210912A (zh) 一种帕金森预测方法及装置
KR102622828B1 (ko)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US202303854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de-channel monitoring of a processor on a communication network
EA034208B1 (ru) Способ идентификации характеристического профиля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KR102614078B1 (ko) 생체 신호를 이용한 개인 인증 장치 및 방법
JP5970328B2 (ja) 生体認証サーバおよび生体認証の運用管理方法
Motwani et al. A multimodal behavioral biometric technique for user identification using mouse and keystroke dynamics
CN112385180A (zh) 基于交易时间戳将身份和易于获得的个人标识符信息进行匹配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