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293B1 -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293B1
KR102622293B1 KR1020217025849A KR20217025849A KR102622293B1 KR 102622293 B1 KR102622293 B1 KR 102622293B1 KR 1020217025849 A KR1020217025849 A KR 1020217025849A KR 20217025849 A KR20217025849 A KR 20217025849A KR 102622293 B1 KR102622293 B1 KR 102622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terminal device
specific
radio frequency
terminal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001A (ko
Inventor
리 첸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정보 보고 방법은,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01월 18일에 중국에서 출원한 특허출원번호가 No. 201910108414.9 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통신 모듈을 갖는 단말 장치에서, 복수의 통신 모듈은 상향 링크 또는 하향 링크를 공동으로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복수의 통신 모듈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때 단말 장치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말 장치의 캐시, 최대 상향 링크 전력, 무선 주파수 링크(상향 링크 또는 하향 링크 포함)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 장치의 각 통신 모듈에 대해,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이 단말 장치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고 기본적으로 인정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에 무선 주파수/무선 주파수 링크가 단지 하나만 있거나 또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무선 주파수 링크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또는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에 의해 점유된 경우,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연결 상태이고 다른 통신 모듈이 유휴 상태이면, 네트워크 장치가 유휴 상태의 통신 모듈을 페이징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거나 또는 단말 장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없으며 또는 단말 장치는 연결 상태의 통신 모듈을 중지해야??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통신 모듈에 응답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단말 장치의 정상적인 통신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 중의 복수의 통신 모듈이 동시에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때, 단말 장치에 무선 주파수/무선 주파수 링크가 단지 하나만 있거나 또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무선 주파수 링크가 점유된 경우, 단말 장치의 복수의 통신 모듈이 네트워크 장치와 정상적으로 통신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정보 보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방법은,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전송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 측면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4 측면에서,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 측면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5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장치의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제6 측면에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제7 측면에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5 측면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8 측면에서,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5 측면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따르면, 단말 장치 중의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에 통신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 메시지를 보고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에 의해 보고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장치에 대해 합리하게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통신 기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의 손실 또는 중단을 방지하며, 서비스 손실 또는 중단 가능성을 줄인다.
여기에 설명된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본 발명에 대한 부당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이다.
복수의 통신 모듈을 갖는 단말 장치의 경우, 복수의 통신 모듈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때, 단말 장치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에 무선 주파수/무선 주파수 링크가 단지 하나만 있거나 또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무선 주파수 링크가 CA 또는 DC에 의해 점유되는 경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연결 상태이고 네트워크 장치가 다른 통신 모듈을 페이징할 때, 다른 통신 모듈은 단말 장치와 정상적으로 통신할 수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무선 주파수 링크가 부족한 경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면, 단말 장치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어 페이징(paging) 손실을 초래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시간을 지연(delay)하여 단말 장치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무선 주파수 링크가 부족한 경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단말 장치는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포기 여부를 선택하거나 또는 현재 서비스를 중단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는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또는 서비스의 우선 순위 또는 통신 객체의 우선 순위 등일 수 있다.
다만, 실제 적용에 있어서, 페이징 메시지가 손실되거나 또는 손실될 가능성이 매우 크며, 대부분의 경우, 단말 장치 중의 일부분 통신 모듈이 여전히 네트워크 장치와 정상적으로 통신할 수 없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정보 보고 방법은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따라서, 단말 장치 중의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에 통신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 메시지를 보고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에 의해 보고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장치에 대해 합리하게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통신 기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의 손실 또는 중단을 방지하며, 서비스 손실 또는 중단 가능성을 줄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고 단지 일부분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원 접속 시스템(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LTE 어드밴스드(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A), New Radio(NR)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되고, 각 통신 모듈은 독립적으로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은 동일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상태에 대응할 수도 있고, 상이한 RRC상태에 대응할 수도 있으며, 상기 RRC상태는 유휴 상태(idle), 연결 상태(RRC Connected) 및 비활성 상태(inactive)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이 모두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또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연결 상태이고, 다른 통신 모듈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이다.
상기 단말 장치는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또는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모바일 사용자 장비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비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휴대용, 포켓형, 핸드 헬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에 탑재된 이동 장치 등과 같은 이동 전화(또는 “휴대폰”이라 함) 및 이동 단말 장치를 갖춘 컴퓨터, 드론 및 항공기와 같은 비행 장비 등과 같은 이동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적용 시나리오에서 단말 장치는 스마트 폰 또는 피처 폰일 수 있다. 상기 휴대폰은 단일 카드, 이중 카드 또는 다중 카드 휴대폰, 단일 번호, 이중 번호 또는 다중 번호 휴대폰, 단일 대기, 이중 대기 또는 다중 대기 휴대폰, 단일 패스, 이중 패스 또는 멀티 패스 휴대폰일 수 있다.
다중 통신 모듈은 다중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일 수 있고, 상기 SIM카드는 물리적 카드 또는 eSIM과 같은 가상 카드일 수 있고, 하나의 SIM카드는 하나의 휴대폰 번호 또는 다수의 휴대폰 번호에 대응될 수 있으며; 휴대폰 번호는 실제 휴대폰 또는 가상 휴대폰 번호일 수 있으며; 휴대폰 번호는 또한 다수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다수의 통신 모듈은 다수의 SIM카드 또는 다수의 휴대폰 번호 또는 다수의 SIM카드의 다수의 휴대폰 번호에 대응될 수 있으며; 또는, 동일한 휴대폰 번호는 다수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다중 통신 모듈은 하나의 SIM카드에 대응되는 다수의 휴대폰 번호일 수 있으며, 실제 휴대폰 번호 또는 가상 휴대폰 번호일 수 있다.
또한, 다중 통신 모듈은 하나의 휴대폰 번호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다중 통신 모듈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또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일 수 있으며,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WCDMA의 기지국(NodeB) 또는 LTE의 진화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및 5G 기지국(gNB)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를 제한하지 않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실시예에서는 gNB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흐름도이며, 상기 정보 보고 방법은 단말 장치에 적용되며, 상기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보고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즉:
S102: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단말 장치 중의 복수의 통신 모듈이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면,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단말 장치에 포함된 특정 통신 모듈에 의해 보고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현재 네트워크 장치와 RRC연결을 갖는 통신 모듈에 의해 보고하거나 또는 다른 통신 모듈에 의해 보고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에는 구체적으로 다음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즉:
(1) 단말 장치가 다중 통신 상태에 있거나 또는 다중 통신 상태를 지원하며;
상기 다중 통신 상태는 단말 장치 중의 복수의 통신 모듈과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시분할, 주파수 분할, 공간 분할 또는 코드 분할을 통해 네트워크에 동시에 연결되어 네트워크와의 동시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2) 단말 장치에 의해 다중 통신 모드가 활성화되며;
상기 다중 통신 모드에서, 단말 장치는 내부의 복수의 통신 모듈이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동시에 RRC 연결되거나 네트워크 장치와 차례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3)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상기 상향 링크 수는 단말 장치에서 동시 전송에 사용되는 상향 링크 수를 나타낼 수 있다.
(4)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상기 하향 링크 수는 단말 장치에서 동시 전송에 사용되는 하향 링크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5)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UpLink Radio Frequency, UL RF)의 수는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및 사용할 수 없는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의 합일 수 있다.
(6)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UpLink Radio Frequency link, UL RF link)의 수는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 및 사용할 수 없는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의 합일 수 있다.
(7)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DownLink Radio Frequency, DL RF)의 수는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및 사용할 수 없는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의 합일 수 있다.
(8)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DownLink Radio Frequency link, DL RF link)의 수는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 및 사용할 수 없는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의 합일 수 있다.
(9)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10)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11)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12)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13) 단말 장치의 복수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우선 순위는 높은 우선 순위와 낮은 우선 순위, 베어러 서비스의 우선 순위, 하드웨어 공유의 우선 순위, 자원 점유의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높은 우선 순위와 낮은 우선 순위는 통신 모듈 자체에 대한 우선 순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 장치에 기본 및 보조 SIM카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기본 및 보조 SIM의 서비스, 하드웨어 공유 또는 자원 점유에 관계없이, 기본 SIM카드의 우선 순위가 항상 보조 SIM카드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
베어러 서비스의 우선 순위는 서비스 자체의 우선 순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 장치에서 호출 서비스의 우선 순위가 항상 다른 서비스(예를 들어, 데이터)의 우선 순위보다 높으며, 또는 특정 게임 서비스의 우선 순위가 다른 데어터 서비스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
마찬가지로, 하드웨어 공유의 우선 순위는 하드웨어 공유 자체의 우선 순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자원 점유의 우선 순위는 자원 점유 자체의 우선 순위로 이해될 수 있다.
(14)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현재 통신 모듈은 단말 장치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업로드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로 이해될 수 있다.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는 절전 모드(PSM, Power Saving Mode),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상태, 확장된 DRX 상태, 디태치(Detach) 상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디태치(detach) 상태는 단말 장치가 꺼져 있거나 비 통신 모드(예를 들어, 비행기 모드)에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는,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모듈의 통신 특징에는,
네트워크 장치의 하향 링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으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으며; 서비스를 시작할 수 없으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으며; 네트워크 장치에 액세스할 수 없는 등 특징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이하, 접근 불가능이라 약칭),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가 아니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 특정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에 해당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접근 불가능한 통신 모듈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해당 현재 통신 모듈이 접근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또는 접근 가능한 통신 모듈이 다른 통신 모듈이 접근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또는 접근 가능한 통신 모듈이 현재 통신 모듈이 후속 단계에서 접근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또는 연결 상태에 있는 통신 모듈이 현재 통신 모듈이 접근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또는 연결 상태에 있는 통신 모듈이 다른 통신 모듈이 접근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에 현재 통신 모듈 또는 특정 통신 모듈이 접근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하는 정보의 유효 시간에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즉:
단말 장치가 현재 통신 모듈 또는 특정 통신 모듈이 접근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하는 즉시로 접근 불가능한 통신 모듈에 대해 적용되며; 또는,
단말 장치가 현재 통신 모듈 또는 특정 통신 모듈이 접근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한 후에, 접근 불가능한 통신 모듈에 대해 즉시 적용되며; 또는,
단말 장치가 현재 통신 모듈 또는 특정 통신 모듈이 접근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한 후에,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접근 불가능한 통신 모듈에 적용된다.
해당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는 단말 장치에 의해 다시 보고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접근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다음의 특정 서비스 또는 객체는 접근 불가능한 경우와 유사하다.
(15)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서비스는 호출 서비스일 수 있고,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게임 서비스 등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의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서비스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의 통신 특징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즉:
해당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으며, 해당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통신 모듈에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서비스가 존재하면,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보고하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에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서비스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을 보고할 수 있다.
(16)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객체는 특정 통신 단말 또는 특정 유형의 통신 객체 또는 특정 휴대폰 번호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특정 객체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지 여부는 단말 장치의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객체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객체의 통신 특징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즉:
해당 객체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으며, 해당 객체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통신 모듈에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객체가 존재하면,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보고하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에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 특정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객체를 갖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17)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접근 가능한 상태는 상기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와 반대되며,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한 상태인 경우, 접근 가능한 상태에서, 통신 모듈의 통신 특징은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장치의 하향 링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장치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한 상태인 경우,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한 상태가 아니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 특정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18) 단말 장치 중 특정 서비스가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접근 가능한 상태인 서비스는 호출 서비스일 수 있고,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게임 서비스 등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의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서비스가 접근 가능한 상태인 경우, 접근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의 통신 특징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즉:
해당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통신 모듈에 접근 가능한 상태인 서비스가 존재하면,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가 접근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보고하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에 접근 가능한 상태인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 특정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서비스를 갖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19)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객체는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른 단말 장치로 이해될 수 있으며, 특정 객체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지는 단말 장치의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객체가 접근 가능한 상태인 경우, 접근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객체의 통신 특징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해당 객체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객체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통신 모듈에 접근 가능한 상태인 객체가 포함되면,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가 접근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보고하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에 접근 가능한 상태인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객체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을 보고할 수 있다.
(20)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RF)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현재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으면,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있으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특정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21)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RF Link)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현재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으면,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있으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특정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22)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현재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으면,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있으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특정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23)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현재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으면,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있으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특정 통신 모듈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24) 단말 장치 중 반송파 집성(CA) 또는 이중 연결(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현재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으면,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있으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특정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25)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현재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으면,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있으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특정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26)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현재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으면,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있으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특정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27)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현재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으면,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재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있으면,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특정 통신 모듈에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다음 상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즉:
제1 상황:
단말 장치 중의 제1 통신 모듈이 연결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제1 통신 모듈의 수가 복수인 경우, 제1 통신 모듈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 중의 다른 통신 모듈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통신 모듈은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황:
단말 장치 중의 제1 통신 모듈이 연결 상태이고 제2 통신 모듈이 연결 상태에 진입하려 하거나 또는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시작하려 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와 정보 교환을 수행하려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제1 통신 모듈의 수가 복수인 경우, 제1 통신 모듈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며, 제2 통신 모듈은 단말 장치 중의 제1 통신 모듈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신 모듈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간주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한다.
제3 상황:
단말 장치 중의 제2 통신 모듈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제1 통신 모듈의 수가 복수인 경우, 제1 통신 모듈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며, 제2 통신 모듈은 단말 장치 중의 제1 통신 모듈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신 모듈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간주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한다.
제4 상황:
단말 장치 중의 제2 통신 모듈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제2 통신 모듈의 수가 복수인 경우, 제2 통신 모듈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간주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 중의 다른 통신 모듈은 접근 가능한 상태일 수 있으며, 또는 다른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한다.
또한, 제2 통신 모듈은 접근 가능한 상태로 간주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 중의 다른 통신 모듈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으며, 또는 다른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한다.
제5 상황:
제2 통신 모듈이 네트워크 연결을 시작하기 전에, 제1 통신 모듈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한다.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제1 통신 모듈의 수가 복수인 경우, 제1 통신 모듈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며, 제2 통신 모듈은 단말 장치 중의 제1 통신 모듈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모듈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한다.
상기 5가지 상황에서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은 5가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 장치 중의 구체적인 특정 통신 모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동일한 상황에서,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이 상이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상황에서, 제1 통신 모듈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제2 통신 모듈도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때, 네트워크 장치에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RRC메시지에는 상기 제1 정보가 전달된다.
상기 메시지에는,
사용자 보조 정보(UE assistance information);
전송 시에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자체 정의 메시지 - 상기 제1 정보를 단독 RRC메시지로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Msg1);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Msg3);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Msg5);
RRC 해제(release)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RRC 중단(suspend)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 단계를 기반으로 제1 정보를 보고할 RRC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의 통신 모듈이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인 경우, 랜덤 액세스 과정의 Msg1 메시지 또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Msg3 메시지 또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Msg5 메시지를 통해 보고할 수 있다. 단말 장치의 통신 모듈이 연결 상태인 경우, 사용자 보조 정보(UE assistance information) 또는 전송 시에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자체 정의 메시지를 통해 보고할 수 있다. 단말 장치의 통신 모듈이 상태 변환 상태인 경우, RRC 해제(release)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또는 RRC 중단(suspend)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보고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한 후, 제2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면, 단말 장치는 다음 동작, 즉:
네트워크 장치에 제2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및,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세스에 진입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미리 설정 조건은 단말 장치 중의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통신 충돌이 해결되었음을 나타내며, 상기 제2 정보는 단말 장치의 정상적인 통신을 위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미리 설정 조건에는 다음 조건, 즉: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
상기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3 통신 모듈에 의해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
상기 제3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단말 장치 중 연결 상태인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제3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RRC 해제 메시지를 요청하기 위한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
상기 제3 통신 모듈에 의해 RRC 중단 메시지를 수신;
상기 제3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RRC 중단 메시지를 요청하기 위한 제2 요청 메시지를 전송; 및,
미리 설정된 타이머의 지속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머는 단말 장치 중 통신 모듈의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후문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상기 제2 정보에는 구체적으로 다음 정보, 즉:
(1) 단말 장치가 다중 통신 상태에 있거나 또는 다중 통신 상태를 지원 - 상기 다중 통신 상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존재함을 나타냄 - ;
(2) 단말 장치는 다중 통신 모드를 재개 - 상기 다중 통신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음 - ;
(3)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4)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5)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6)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7)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8)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9)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10)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11)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12)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13) 복수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우선 순위는 높은 우선 순위 및 낮은 우선 순위, 베어러 서비스 우선 순위,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14)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15)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16)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17)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18) 단말 장치 중 특정 서비스가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19)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20)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있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21)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있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22)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있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23)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있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24)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있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25)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있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26)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있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27)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있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1) 내지(27)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제1 정보 중의(1) 내지(27)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가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세스에 진입하는 단계에는 다음 단계, 즉:
대상 통신 모듈이 네트워크 장치에 추적 영역 업데이트(Tracking Area Update, TAU)를 시작하는 단계 -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미리 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임 - ;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네트워크 장치에 TAU를 시작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단말 장치 중의 상기 대상 통신 모듈과 서로 다른 통신 모듈로 이해될 수 있음 - ;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이 유휴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유휴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단말 장치 중의 상기 대상 통신 모듈과 서로 다른 통신 모듈로 이해될 수 있음 - ;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이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 이전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 대상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진입하기 전의 상태가 유휴 상태이면, 대상 통신 모듈은 유휴 상태에 진입하며, 대상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진입하기 전의 상태가 비활성 상태이면, 대상 통신 모듈은 비활성 상태에 진입함 - ;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 이전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단말 장치 중의 상기 대상 통신 모듈과 서로 다른 통신 모듈로 이해될 수 있음 - ;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이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단말 장치 중의 상기 대상 통신 모듈과 서로 다른 통신 모듈로 이해될 수 있음 - ;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단말 장치에서 통신 모듈의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를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단말 장치는 통신 모듈의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타이머(Timer)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타이머는 다음 조건, 즉:
단말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가 보고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1 시간 및 제2 시간 이후의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경우 - 상기 제1 시간에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고, 상기 제2 시간에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단말 장치의 상기 제1 정보가 수신됨 -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경우, 타이밍을 시작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공동으로 합의될 수도 있고,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으며, 프로토콜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구성된 고정 시간일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미리 설정된 타이머가 타이밍을 시작한 후, 단말 장치 중의 타이밍 이전에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타이밍 기간에 여전히 상기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미리 설정된 타이머의 지속 시간이 설정된 지속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상기 설정된 지속 시간은 상기 미리 설정된 지속 시간과 동일할 수 있음), 단말 장치 중의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다음 동작, 즉:
상기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
네트워크 장치의 하향 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서비스를 시작하는 동작;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 동작;
네트워크 장치에 액세스하는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타이머는 다음 조건, 즉:
네트워크 장치에 제2 정보가 전송된 경우 -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단말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되는 제2 정보임 - ;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제3 시간 및 제4 시간 이후의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경우 - 상기 제3 시간에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2 정보를 보고하고, 상기 제4 시간에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단말 장치의 제2 정보가 수신됨 -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경우, 타이밍을 종료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공동으로 합의될 수도 있고,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으며, 프로토콜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구성된 고정 시간일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따르면, 단말 장치 중의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에 통신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 메시지를 보고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에 의해 보고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장치에 대해 합리하게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통신 기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의 손실 또는 중단을 방지하며, 서비스 손실 또는 중단 가능성을 줄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며,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며,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즉:
S202: 단말 장치의 제1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응한 단계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가 제1 정보를 보고한 후,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정보에는 다음 정보, 즉:
단말 장치가 다중 통신 상태에 있거나 또는 다중 통신 상태를 지원 - 상기 다중 통신 상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존재함을 나타냄 - ;
단말 장치에 의해 다중 통신 모드가 활성화 - 상기 다중 통신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음 - ;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단말 장치기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복수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 상기 우선 순위는 높은 우선 순위 및 낮은 우선 순위, 베어러 서비스 우선 순위,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단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및,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제1 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정보를 수신 후, 상기 제1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장치에 대해 제1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정보에 의해 단말 장치 중의 특정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것을 확인 후, 페이징 메시지가 상응한 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지 못하여 페이징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통신 모듈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제2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에 제2 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며, 제2 미리 설정 조건은 단말 장치 중의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통신 충돌이 해결되었음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2 미리 설정 조건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제2 정보는 단말 장치의 정상적인 통신을 위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 정보, 즉:
상기 단말 장치가 다중 통신 상태에 있거나 또는 다중 통신 상태를 지원 - 상기 다중 통신 상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존재함을 나타냄 - ;
상기 단말 장치는 다중 통신 모드를 재개 - 상기 다중 통신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음 - ;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높은 우선 순위 및 낮은 우선 순위, 베어러 서비스 우선 순위,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제2 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제2 정보를 수신 후, 제2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장치에 대해 제2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는 제2 정보에 의해 단말 장치 중의 특정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근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 것을 확인 후, 이러한 통신 모듈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응답할 수 있도록, 이러한 통신 모듈에 페이징 메시지를 시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따르면, 단말 장치 중의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에 통신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 메시지를 보고하고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해 보고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장치에 대해 합리하게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통신 기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의 손실 또는 중단을 방지하며, 서비스 손실 또는 중단 가능성을 줄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특정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는도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속한다. 일부 경우에, 청구 범위에 기술된 동작 또는 단계는 실시예에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여전히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첨부도면에 설명된 프로세스가 반드시 표시된 특정 순서나 연속적인 순서로 구현되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일부 구현 방식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도 가능하거나 유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조도이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전송 모듈(3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에는 다음 정보, 즉:
상기 단말 장치가 다중 통신 상태에 있거나 또는 다중 통신 상태를 지원 - 상기 다중 통신 상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존재함을 나타냄 - ;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다중 통신 모드가 활성화되며, 상기 다중 통신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음;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높은 우선 순위 및 낮은 우선 순위, 베어러 서비스 우선 순위,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반송파 집성(CA) 또는 이중 연결(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특징에는 다음 특징, 즉:
네트워크 장치의 하향 링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으며; 서비스를 시작할 수 없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액세스할 수 없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근 가능한 상태에서, 통신 특징에는 다음 특징, 즉:
네트워크 장치의 하향 링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액세스할 수 있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는 다음 상태, 즉:
절전 모드; 불연속 수신(DRX) 상태; 확장된 DRX 상태; 및, 디태치(detach)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모듈(31)은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에는,
제1 통신 모듈이 연결 상태이면,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연결 상태이고 제2 통신 모듈이 바로 연결 상태에 진입하려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네트워크 연결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모듈(31)은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가 전달된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RRC메시지에는,
사용자 보조 정보; 전송 시에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자체 정의 메시지; 랜덤 액세스 중 메시지(Msg1); 랜덤 액세스 중 메시지(Msg3); 랜덤 액세스 중 메시지(Msg5); RRC 해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및, RRC 중단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모듈(31)이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한 후,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다음 동작, 즉:
상기 전송 모듈(31)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제2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또는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세스에 진입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제2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통신 충돌이 해결되었음을 나타내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정상적인 통신을 위한 정보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에는 다음 정보, 즉:
상기 단말 장치가 다중 통신 상태에 있거나 또는 다중 통신 상태를 지원 - 상기 다중 통신 상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존재함을 나타냄 - ;
상기 단말 장치는 다중 통신 모드를 재개 - 상기 다중 통신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음 - ;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높은 우선 순위 및 낮은 우선 순위, 베어러 서비스 우선 순위,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미리 설정 조건에는 다음 조건, 즉: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
상기 단말 장치 중 연결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인 제3 통신 모듈에 의해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
상기 제3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RRC 해제 메시지를 요청하기 위한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
상기 제3 통신 모듈에 의해 RRC 중단 메시지를 수신;
상기 제3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RRC 중단 메시지를 요청하기 위한 제2 요청 메시지를 전송; 및,
미리 설정된 타이머의 지속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가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세스에 진입하는 단계는 다음 단계, 즉:
대상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추적 영역 업데이트(TAU)를 시작하는 단계 -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미리 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임 - ;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TAU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이 유휴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유휴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이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 이전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 이전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이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에는 통신 모듈의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타이머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타이머는 다음 조건, 즉: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가 보고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1 시간 및 제2 시간 이후의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경우 - 상기 제1 시간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고, 상기 제2 시간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정보가 수신됨 -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타이머는 타이밍을 시작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머의 지속 시간 동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상기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머의 지속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다음 단계, 즉: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하향 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서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액세스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머는 다음 조건, 즉: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제2 정보가 전송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제3 시간 및 제4 시간 이후의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경우 - 상기 제3 시간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2 정보를 보고하고, 상기 제4 시간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머가 종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도1 의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각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내용이 중복되는 것을 피면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 중의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에 통신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 메시지를 보고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에 의해 보고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장치에 대해 합리하게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통신 기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의 손실 또는 중단을 방지하며, 서비스 손실 또는 중단 가능성을 줄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이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41)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에는 다음 정보, 즉:
상기 단말 장치가 다중 통신 상태에 있거나 또는 다중 통신 상태를 지원 - 상기 다중 통신 상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존재함을 나타냄 - ;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다중 통신 모드가 활성화되며, 상기 다중 통신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음;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높은 우선 순위 및 낮은 우선 순위, 베어러 서비스 우선 순위,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해 제1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스케줄링 모듈(42)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모듈(42)이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해 제1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한 후, 상기 수신 모듈(41)은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미리 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전송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통신 충돌이 해결되었음을 나타내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정상적인 통신을 위한 정보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에는 다음 정보, 즉:
상기 단말 장치가 다중 통신 상태에 있거나 또는 다중 통신 상태를 지원 - 상기 다중 통신 상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존재함을 나타냄 - ;
상기 단말 장치는 다중 통신 모드를 재개 - 상기 다중 통신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음 - ;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높은 우선 순위 및 낮은 우선 순위, 베어러 서비스 우선 순위,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모듈(42)은 상기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해 제2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도2 의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각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내용이 중복되는 것을 피면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 중의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에 통신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 메시지를 보고하고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해 보고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장치에 대해 합리하게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통신 기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의 손실 또는 중단을 방지하며, 서비스 손실 또는 중단 가능성을 줄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에는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통신 장치가 단말 장치인 경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단말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01), 메모리(502),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5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 장치(500)의 각 구성 요소는 버스 시스템(505)을 통해 연결된다. 버스 시스템(505)은 이들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및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버스 시스템(505)에는 데이터 버스 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가 포함된다. 다만,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5에서는 각 버스를 버스 시스템(505)으로 통합하여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503)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키보드 또는 클릭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5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 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에 따르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두배 데이터 속도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 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RAM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902)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502)에는 실행 가능한 모듈 또는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서브 세트, 또는 이들의 확장 세트, 운영 체제(5021)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5022)과 같은 구성 요소가 저장된다.
상기 운영체제(5021)는 다양한 기본 서비스를 구현하고 하드웨어 기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 계층, 코어 라이브러리 계층, 드라이버 계층 등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5022)에는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브라우저(Browser) 등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502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500)는 메모리(5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50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50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다음 단계, 즉: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가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들은 프로세서(501)에 적용되거나 프로세서(5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501)의 하드웨어의 집적 로직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501)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또는 이산된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도를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범용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프로세서도 임의의 일반 프로세서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되는 것으로 직접 구현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업계에서 신뢰성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롬-리드 온리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ROM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PROM 및 레지스터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메모리(502)에 위치하며, 프로세서(501)는 메모리(502)중의 정보를 판독하여 하드웨어를 통해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세서(50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정보 지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본 발명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의 구현을 위한 처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또는 그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된 기능의 모듈(예를 들어, 단계, 함수 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5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내용의 중복되는 것을 피면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해당 통신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인 경우,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이며, 네트워크 장치(600)의 물리적 장치 구조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602), 메모리(603), 송신기(601) 및 수신기(604)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적용에서, 송신기(601) 및 수신기(604)는 안테나(605)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603)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작동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3)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602)를 위해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603)는 고속 RAM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메모리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포함 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메모리(6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장치(600)에서 프로세서(602)는 다음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의 제1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은 프로세서(602)에 적용되거나 프로세서(6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602)의 하드웨어의 집적 로직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02)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etwork Processor, NP) 등을 포함하는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된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도를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범용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프로세서도 임의의 일반 프로세서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되는 것으로 직접 구현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업계에서 신뢰성이 있는 저장매체,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롬-리드 온리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ROM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PROM 및 레지스터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메모리(603)에 위치하며, 프로세서(602)는 메모리(603) 중의 정보를 판독하여 하드웨어를 통해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방법을 실행하고,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해당 통신 장치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요컨대,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와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상기 실시예에 설명된 시스템, 장치, 모듈 또는 유닛은 컴퓨터 칩 또는 객체에 의해 구현되거나 특정 기능을 가진 제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인 구현 장치는 컴퓨터이다. 구체적으로, 컴퓨터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랩톱 컴퓨터, 휴대폰, 카메라 폰, 스마트 폰, 개인용 디지털 비서, 미디어 플레이어, 내비게이션 장치, 이메일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기기 또는 이러한 기기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는 영구 및 비 영구, 이동식 및 비 이동식 매체가 포함되며, 정보 저장은 모든 방법 또는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정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일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로는 상변화 메모리(P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기타 유형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시디롬 드라이브(CD-ROM),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학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기타 자기 스토리지 장치 또는 비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컴퓨팅 장치가 액세스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의 정의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는 변조된 데이터 신호 및 반송파와 같은 일시적인 매체(transitory media)가 포함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 “함유” 또는 다른 변형은 비 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으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면,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의 본질적 부분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단말 장치(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시켜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 매체(예를 들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목적 및 청구 범위에 따른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27)

  1. 정보 보고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방법은,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냄 -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반송파 집성(CA) 또는 이중 연결(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다중 통신 상태에 있거나 또는 다중 통신 상태를 지원 - 상기 다중 통신 상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존재함을 나타냄 - ;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다중 통신 모드가 활성화되며, 상기 다중 통신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되며,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에는 높은 우선 순위 및 낮은 우선 순위, 베어러 서비스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특징에는:
    네트워크 장치의 하향 링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으며; 서비스를 시작할 수 없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액세스할 수 없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접근 가능한 상태에서, 통신 특징에는:
    네트워크 장치의 하향 링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액세스할 수 있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제1 통신 모듈이 연결 상태이면,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연결 상태이고 제2 통신 모듈이 바로 연결 상태에 진입하려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네트워크 연결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제2 미리 설정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제2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또는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세스에 진입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제2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통신 충돌이 해결되었음을 나타내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정상적인 통신을 위한 정보를 나타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다중 통신 상태에 있거나 또는 다중 통신 상태를 지원 - 상기 다중 통신 상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존재함을 나타냄 - ;
    상기 단말 장치는 다중 통신 모드를 재개 - 상기 다중 통신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음 - ;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높은 우선 순위 및 낮은 우선 순위, 베어러 서비스 우선 순위,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리 설정 조건에는;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
    상기 단말 장치 중 연결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인 제3 통신 모듈에 의해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
    상기 제3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RRC 해제 메시지를 요청하기 위한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
    상기 제3 통신 모듈에 의해 RRC 중단 메시지를 수신;
    상기 제3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RRC 중단 메시지를 요청하기 위한 제2 요청 메시지를 전송; 및,
    미리 설정된 타이머의 지속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세스에 진입하는 단계는,
    대상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추적 영역 업데이트(TAU)를 시작하는 단계 -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미리 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임 - ;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TAU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이 유휴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유휴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이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 이전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 이전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통신 모듈이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는 통신 모듈의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타이머가 포함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가 보고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1 시간 및 제2 시간 이후의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경우 - 상기 제1 시간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하고, 상기 제2 시간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정보가 수신됨 - ;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타이머는 타이밍을 시작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머의 지속 시간 동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상기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머의 지속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하향 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서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액세스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제2 정보가 전송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제3 시간 및 제4 시간 이후의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경우 - 상기 제3 시간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2 정보를 보고하고, 상기 제4 시간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함 - ;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머가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정보 수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단말 장치의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냄 -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반송파 집성(CA) 또는 이중 연결(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다중 통신 상태에 있거나 또는 다중 통신 상태를 지원 - 상기 다중 통신 상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존재함을 나타냄 - ;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다중 통신 모드가 활성화되며, 상기 다중 통신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되며,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에는 높은 우선 순위 및 낮은 우선 순위, 베어러 서비스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미리 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전송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통신 충돌이 해결되었음을 나타내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정상적인 통신을 위한 정보를 나타냄 - ;를 더 포함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다중 통신 상태에 있거나 또는 다중 통신 상태를 지원 - 상기 다중 통신 상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존재함을 나타냄 - ;
    상기 단말 장치는 다중 통신 모드를 재개 - 상기 다중 통신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음 - ;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높은 우선 순위 및 낮은 우선 순위, 베어러 서비스 우선 순위,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단말 장치로서,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전송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반송파 집성(CA) 또는 이중 연결(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네트워크 장치로서,
    단말 장치의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1 미리 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 조건은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통신 충돌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통신 충돌을 보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상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하향 링크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의 수;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의 수;
    하드웨어 공유 우선 순위 및 자원 점유 우선 순위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복수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서비스;
    상기 단말 장치 중 접근 가능한 상태인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의 특정 객체;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반송파 집성(CA) 또는 이중 연결(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상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 중 CA 또는 DC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가 없는 특정 통신 모듈 또는 현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5.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217025849A 2019-01-18 2020-01-17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KR102622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08414.9 2019-01-18
CN201910108414.9A CN111263384B (zh) 2019-01-18 2019-01-18 一种信息上报、接收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CT/CN2020/072699 WO2020147821A1 (zh) 2019-01-18 2020-01-17 信息上报、接收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001A KR20210115001A (ko) 2021-09-24
KR102622293B1 true KR102622293B1 (ko) 2024-01-08

Family

ID=7095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849A KR102622293B1 (ko) 2019-01-18 2020-01-17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913959A4 (ko)
KR (1) KR102622293B1 (ko)
CN (1) CN111263384B (ko)
WO (1) WO2020147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9869A (zh) * 2020-08-13 2022-02-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报能力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3259262B (zh) * 2021-03-29 2023-04-14 杭州涂鸦信息技术有限公司 消息上报方法及相关装置
CN113490201B (zh) * 2021-06-11 2023-08-08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4000A1 (en) * 2011-07-25 2013-01-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aging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ith dual sim
US20150163827A1 (en) 2013-12-06 2015-06-11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aging for Mutli-Standby Devices
US20180160422A1 (en) * 2016-12-07 2018-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dual sim dual standby (dsds) devices for managing data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1100184B4 (de) * 2011-05-24 2015-07-09 Spreadtrum Communications (Shanghai) Co., Ltd. Kommunikationsterminal mit Mehrfach-Modus, Mehrfach-SIM und Mehrfach-Bereitschaft, und Arbitrierungs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Arbitrieren eines Empfangskonfliktes desselben
US10708920B2 (en) * 2015-03-03 2020-07-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evice capability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182456B2 (en) * 2015-10-15 2019-01-15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 detection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WO2018016853A1 (en) * 2016-07-18 2018-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network interconnectiv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4000A1 (en) * 2011-07-25 2013-01-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aging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ith dual sim
US20150163827A1 (en) 2013-12-06 2015-06-11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aging for Mutli-Standby Devices
US20180160422A1 (en) * 2016-12-07 2018-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dual sim dual standby (dsds) devices for managing data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3959A4 (en) 2022-07-27
WO2020147821A1 (zh) 2020-07-23
EP3913959A1 (en) 2021-11-24
CN111263384A (zh) 2020-06-09
US20210345151A1 (en) 2021-11-04
KR20210115001A (ko) 2021-09-24
CN111263384B (zh)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64369A1 (zh) 一种状态配置方法和设备
US117005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RRC connec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252778B2 (en) Data communication while in RRC inactive state
US2020037497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2622293B1 (ko)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US201501638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ging for Mutli-Standby Devices
US20220015188A1 (en) Method for configuring information,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2021018557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radio ac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WO2021196102A1 (zh) 用户终端的省电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3009364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30272212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autonomous management of radio resources across dual networks
US2022013261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1034515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220322286A1 (en) Paging collision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US202200305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pdcch monitoring period
US20230319947A1 (en) Data Communication while in RRC Inactive State
JP2022502958A (ja) 早期データ伝送及び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通知エリア更新
CN113261385B (zh) 无线通信中的灵活下行链路控制信号监测
US2022038640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initiation of random access procedure for a user equipment configured with power savings, and network node thereof
US2023031878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1757455B (zh) 调整下行发送定时的方法和通信装置
CN111867127A (zh) 天线面板信息的配置方法及装置
JP2024516908A (ja) 要求情報の送信方法、ue及びネットワーク側機器
US10701665B2 (en) Paging method and device
US12010539B2 (e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