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261B1 -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 Google Patents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261B1
KR102622261B1 KR1020220012636A KR20220012636A KR102622261B1 KR 102622261 B1 KR102622261 B1 KR 102622261B1 KR 1020220012636 A KR1020220012636 A KR 1020220012636A KR 20220012636 A KR20220012636 A KR 20220012636A KR 102622261 B1 KR102622261 B1 KR 102622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ck coupler
tool
plug
socket
hydraulic qu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15775A (en
Inventor
이상경
Original Assignee
이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경 filed Critical 이상경
Priority to KR102022001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261B1/en
Publication of KR2023011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7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26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1/00Hand tools for applying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는, 유압 퀵 커플러의 플러그의 전방 측을 소켓의 전방 내측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하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는, 회전력을 이용해 플러그를 소켓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 및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체결부재를 상기 소켓에 지지시키는 받침부재;를 포함한다. The disclosed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enables fastening the front side of the plug of the hydraulic quick coupler to the front inside of the socket. The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stens the plug to the socket using rotational force. fastening member; and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fastening member to the socket so that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Description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본 발명(Disclosure)은, 유압 퀵 커플러의 플러그와 소켓을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게 하는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ure) relates to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that allows the plug and socket of the hydraulic quick coupler to be quickly and easily coupled with little force.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Here,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ut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prior art.

일반적으로, 유압 퀵 커플러는 유압공급원과 유압기기 사이의 유압 라인 구성 시 별도의 공구 없이 수작업만으로 유압공급원과 유압기기 사이의 유압 라인을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게 한다.In general, a hydraulic quick coupler allows the hydraulic line between a hydraulic supply source and a hydraulic device to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by manual labor without any additional tools when configuring a hydraulic line between a hydraulic supply source and a hydraulic devic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압 퀵 커플러를 나타낸 도면으로, 통상의 유압 퀵 커플러는 유압공급원의 출력단 측에 연결되어 공급밸브 역할을 하는 소켓(20)과, 각종 유압기기의 입력단 측에 연결되어 유입밸브 역할을 하는 플러그(10)를 포함한다.1 and 2 are diagrams showing a hydraulic quick coupl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typical hydraulic quick coupler has a socket 20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a hydraulic supply source and serves as a supply valve, and a socket 20 that is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hydraulic supply source and serves as a supply valve. It includes a plug (10) that is connected and serves as an inlet valv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은 유압통로(26)가 형성하는 몸체의 내부에 전방 배출구(20a)를 개폐시키는 소켓 핀(21)과, 소켓 핀(21)의 후방 측 유압통로(26)에 고정링(24)을 매개로 설치되는 삼발이 형태의 지지구(23)를 포함한다. 이때, 소켓 핀(21)은 지지구(23)가 형성하는 안내공(23a)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배출구(20a)를 개폐시키는데, 소켓 핀(21)과 지지구(23)의 사이에는 소켓 핀(21)을 배출구(20a) 측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22)이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ocket 20 includes a socket pin 21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discharge port 20a inside the body formed by the hydraulic passage 26, and a rear of the socket pin 21. It includes a tripod-shaped support member (23) installed in the side hydraulic passage (26) via a fixing ring (24). At this time, the socket pin 21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3a formed by the support member 23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20a, and between the socket pin 21 and the support member 23 is a socket pin. A coil spring 22 that presses (21) toward the outlet (20a) is disposed.

마찬가지로, 플러그(10)는 유압통로(16)가 형성하는 몸체의 내부 전방 유입구(10a)를 개폐시키는 플러그 핀(11)과, 플러그 핀(11)의 후방 측 유압통로(16)에 고정링(14)를 매개로 설치되는 삼발이 형태의 지지구(13)를 포함한다. 이때, 플러그 핀(11)은 지지구(13)가 형성하는 안내공(13a)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유입구(10a)를 개폐시키는데, 플러그 핀(11)과 지지구(13) 사이에는 플러그 핀(11)을 유입구(10a) 측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12)이 배치된다.Likewise, the plug 10 has a plug pin 11 that opens and closes the internal front inlet 10a of the body formed by the hydraulic passage 16, and a fixing ring (16) on the rear hydraulic passage 16 of the plug pin 11. It includes a tripod-shaped support member 13 installed via 14). At this time, the plug pin 11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3a formed by the support 13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0a, and between the plug pin 11 and the support 13 is a plug pin ( A coil spring 12 is disposed to pressurize 11) toward the inlet 10a.

한편, 소켓(20)과 플러그(10)의 후방 유압통로(26, 16)에는 유압공급원의 출력단과 유압기기의 입력단에서 연장된 유압호스(도시되지 않음)에 소켓(20)과 플러그(10)를 각각 체결시키기 위한 나사부(25)(15)가 형성된다. 그리고 플러그(10)의 전방 외주면에는 홈부(17)가 형성되고, 소켓(20)의 전방 외주면에는 플러그(10)를 소켓(20)에 체결시키기 위해 플러그(10)의 홈부(17)가 삽입되는 볼베어링(27)을 내주면에 구비하는 슬리이브(28)가 탄성지지되게 설치된다.Meanwhile, in the rear hydraulic passages 26 and 16 of the socket 20 and the plug 10, the socket 20 and the plug 10 are connected to a hydraulic hose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output end of the hydraulic supply source and the input end of the hydraulic equipment. Threaded portions 25 and 15 are formed for fastening each. A groove 17 is formed on the front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g 10, and a groove 17 of the plug 10 is inserted into the front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ocket 20 to fasten the plug 10 to the socket 20. A sleeve 28 having a ball bearing 27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이렇게 형성된 플러그(10)와 소켓(20)을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시킨 상태에서 슬리이브(28)를 후퇴시킨 후 볼베어링(27)에 플러그(10)의 홈부(17)에 걸릴 때 까지 플러그(10)와 소켓(20)을 서로 가압시키면서 밀어넣게 되는데, 이때 플러그 핀(11)과 소켓 핀(21)이 각각의 코일스프링(12, 22)을 압축시키며 지지구(13, 23)의 안내공(13a, 23a)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플러그 핀(11)과 소켓 핀(21)이 유입구(10a)와 배출구(20a)를 각각 개방시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10)와 소켓(20)은 서로 연결되면서 유압통로(26, 16)를 연결시키게 된다.With the thus formed plug 10 and socket 20 facing each other, the sleeve 28 is retracted, and then the plug 10 is plugged into the ball bearing 27 until it is caught in the groove 17 of the plug 10. and the socket 20 are pushed in while pressing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lug pin 11 and the socket pin 21 compress each coil spring 12 and 22 and guide holes 13a of the supports 13 and 23. , moves backward along 23a), and as a result, the plug pin 11 and the socket pin 21 open the inlet 10a and the outlet 20a, respectively, and the plug 10 as shown in FIG. 2 and socket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hydraulic passages 26 and 16.

그런데,전술한 플러그(10)와 소켓(20)의 체결 및 분리는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간이 좁은 경우에는 플러그(10)와 소켓(20)의 체결 및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connection and separation of the plug 10 and the socket 20 are performed manually by an operat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nect and disconnect the plug 10 and the socket 20 when the space is narrow.

또한, 플러그(10)와 소켓(20)의 체결 및 분리를 위해서는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슬리이브(28)를 후퇴시켜야 하는데, 플러그(10) 및 소켓(20)에 오일이 묻어 있을 경우에는 슬리이브(28)를 후퇴시키기 어려운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nect and separate the plug 10 and the socket 20, the sleeve 28 must be retracted manually by the operator. If oil is on the plug 10 and the socket 20, the sleeve 28 must be retracted manually. There was another problem that made it difficult to retreat (28).

게다가, 유압기기에 유압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10)와 소켓(20)을 분리시킬 경우 슬리이브(28)의 후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압기기에서 제거되지 않은 유압의 비산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눈이나 얼굴 등 피부에 치명상을 입히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plug 10 and the socket 20 are separated while the hydraulic pressure is not completely removed from the hydraulic device, not only will it be difficult to retract the sleeve 28, but the operator will be put at risk due to the scattering of the hydraulic pressure that has not been removed from the hydraulic device. There was another problem that caused fatal damage to the skin, such as the eyes and face.

한편,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37413호"에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를 개시하였다.Meanwhil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d a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337413.”

그러나, 전술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37413호"에 개시된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는 유압 퀵 커플러의 체결 뿐만 아니라 분리할 수 있게 제공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로 인해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337413" had a complicated structure because it was provided to not only fasten but also separate the hydraulic quick coupler, and as a result, it had to be manufactured. Not only was it not easy to manufacture, bu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manufacturing cost being high.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3741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337413.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4583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34583.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4583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3458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5608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656087.

본 발명(Disclosure)은, 유압 퀵 커플러의 플러그와 소켓을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게 하는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that allows the plug and socket of the hydraulic quick coupler to be quickly and easily coupled with little force.

본 발명(Disclosure)은, 구조가 단순한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ure) is to provide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with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could be.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Here, a general summa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thi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르면, 유압 퀵 커플러의 플러그의 전방 측을 소켓의 전방 내측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하는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에 있어서,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는, 회전력을 이용해 플러그를 소켓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 및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체결부재를 상기 소켓에 지지시키는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several aspects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that allows fastening the front side of the plug of the hydraulic quick coupler to the front inside of the socket. In the tool for the hydraulic quick coupler, a fastening member that fastens the plug to the socket using rotational force; and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fastening member to the socket so that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에서, 체결부재는, 막대 형상으로 제공되되 후단 측에는 손잡이가 끼워지는 핸들; 및 소켓에 체결될 플러그의 후방 측이 안착되는 체결 포크;를 포함하되, 핸들의 전단 측에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장착부에는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체결 포크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In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 includes a handle provided in the shape of a bar and having a handle fitted at the rear end; And a fastening fork on which the rear side of the plug to be fastened to the socket is seated, but the front side of the handle is " The mounting portion bent into a ruler shape is formed integrally, and a fastening fork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via bolts and nuts.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에서, 체결 포크는,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수평부; 및 수평부의 전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만곡부;를 포함하되, 수평부에는 장착부의 상부면이 수평부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장착부가 끼워지는 장착공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고, 볼트는 헤드부가 수평부의 상부면으로 노출되도록 나사부가 수평부 및 장착부를 관통하며, 장착부를 관통한 나사부에는 너트가 체결될 수 있다.In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fork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rizontal plate; and a curved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wherein a mounting hole through which the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horizontal por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bolt has a head portion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The threaded portion penetrates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so as to be exposed to the surface, and a nut may be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penetrating the moun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에서, 만곡부는 수평부의 전단 측에서 수평부의 하부 측으로 하향 만곡되게 형성되며, 만곡부에는 플러그의 후방 측에 연결된 유압호스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만곡부의 연장단 측에서 수평부의 전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to be curved down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to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has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hydraulic hose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plug. It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extended end side of the curved portion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에서, 만곡부의 상부면은 60~80㎜의 곡률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60 to 80 mm.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에서, 받침부재는, 플러그가 체결될 소켓의 후방 측에 장착되는 받침대; 및 받침대와 볼트의 헤드부를 연결하는 수직한 판 형상의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socket to which the plug is to be fastened; And it may include a vertical plate-shaped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base and the head of the bolt.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에서, 받침대는 환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되되, 받침대에는 외경 측과 내경 측이 이어지도록 받침대의 일측을 짤라서 끊은 전단부가 형성되고, 전단부에 의해 형성된 받침대의 자유단들에는 연결대의 상부 측이 끼워져 걸쳐질 수 있다.In the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 is provided in an annular ring shape, and the stand is formed with a front end portion cut off one side of the stand so that the outer diameter side and the inner diameter side are connected, and the front end portion is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may be inserted into the free ends of the pedestal formed by.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에서, 자유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전체는 연결대의 상부 측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상부 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In the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r all of the free ends may be bent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does not easily fall off.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에서, 연결대의 상부 측에는 받침대의 어느 하나의 자유단 측에 끼워지는 관통공들이 연결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고, 연결대의 하부 측에는 볼트의 헤드부에 형성된 연결 고리에 끼워지는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holes inserted into one free end of the pedestal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an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A connecting hole may be formed to fit into the connecting ring formed on the head of the bolt.

본 발명에 의하면,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플러그와 소켓을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와 소켓 체결 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g and a socket can be quickly and easily fastened with a small amount of force, the plug and socket fastening work time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providing the effect of reducing operator fatigue. .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not onl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but also improving productivity.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압 퀵 커플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1 and 2 are diagrams showing a hydraulic quick coupl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mplementing the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However, the essential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based on the essential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not be said that the possible embodiments are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is disclosed that the embodiment described in covers the scope that can be easily proposed by way of replacement or change.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below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in understanding the essential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limited to dictionary meanings and are appropriately interpreted as meanings that correspond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를 나타낸 도면이다.Among the attached drawings, Figures 3 to 5 are diagrams showing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100)는 회전력(torque)을 이용해 플러그(10)를 소켓(20)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110) 및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체결부재(110)를 소켓(20)에 지지시키는 받침부재(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3 to 5, the tool 100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stening member 110 that fastens the plug 10 to the socket 20 using torque and a torque to generate the torque.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140 that supports the fastening member 110 to the socket 20.

먼저, 체결부재(110)는 휨 응력에 대응하는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핸들(112)과, 핸들(112)의 전단 측에 장착되는 체결 포크(118)를 포함한다.First, the fastening member 110 includes a handle 112 having structural strength corresponding to bending stress, and a fastening fork 118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handle 112.

핸들(112)은 철재(鐵材)로 제공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제공된다.The handle 112 is made of iron and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bar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s shown.

이때, 핸들(112)의 후단 측에는 작업자가 편안하게 핸들(112)을 잡을 수 있게 손잡이(114)가 끼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114)는 작업자의 손이 미끄러지거나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통상의 고무재질 등으로 제공된다.At this time, a handle 114 is fitted to the rear end of the handle 112 so that the worker can comfortably hold the handle 112. Preferably, the handle 114 is made of a common rubber material to prevent the operator's hand from slipping or feeling uncomfortable.

또한, 핸들(112)의 전단 측에는 핸들(112)을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된 장착부(116)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장착부(116)에는 체결 포크(118)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In addition, the front side of the handle 112 is approximately "" when the handle 112 is viewed from the side. A mounting portion 116 bent into a “shape” is formed integrally, and a fastening fork 118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116.

체결 포크(118)는 핸들(112)과 마찬가지로 구조적 강도를 가지도록 철재(鐵材)로 제공된다.The fastening fork 118, like the handle 112, is made of steel to have structural strength.

이러한 체결 포크(1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수평부(120)와, 수평부(120)의 전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만곡부(132)를 포함한다.As shown, the fastening fork 118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120 provide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plate shape and a curved portion 132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20.

이때, 수평부(120)에는 핸들(112)의 장착부(116)가 끼워지는 장착공(124)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데, 핸들(112)의 장착부(116)는 장착부(116)의 상부면이 수평부(120)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장착공(122)을 통해 끼워진다.At this time, a mounting hole 124 into which the mounting portion 116 of the handle 112 is inserted is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horizontal portion 120.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6 of the handle 112 is formed. It is inser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122 so as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120.

그리고 장착공(122)을 통해 끼워진 장착부(116)와 수평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24) 및 너트(130)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And the mounting portion 116 and the horizontal portion 120 inser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122 are detachably connected via a bolt 124 and a nut 130, as shown.

즉, 볼트(124)는 볼트(124)의 헤드부(126)가 수평부(120)의 상부면으로 노출되도록 볼트(124)의 나사부(128)는 수평부(120) 및 장착부(116)를 관통하며, 장착부(116)를 관통한 볼트(124)의 나사부(128)에는 너트(130)가 체결되어 수평부(120)와 장착부(116)를 흔들림 없이 연결시킨다.That is, the bolt 124 has the head portion 126 of the bolt 124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120, and the threaded portion 128 of the bolt 124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120 and the mounting portion 116. A nut 130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128 of the bolt 124 that penetrates the mounting portion 116 to connect the horizontal portion 120 and the mounting portion 116 without shaking.

한편, 만곡부(132)는 수평부(120)의 전단 측에서 수평부(120)의 하부 측으로 소정의 곡률로 하향 만곡되게 형성된다.Meanwhile, the curved portion 132 is formed to be curved downwar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from the front end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20 to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20.

이때, 만곡부(132)에는 플러그(10)의 후방 측에 연결된 유압호스(H1), 즉 유압기기(도시되지 않음)의 입력단 측에서 연장된 유압호스(H1)를 수용하는 수용홈(134)이 형성되는데, 수용홈(1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132)의 연장단 측에서 수평부(120)의 전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urved portion 132 has a receiving groove 134 that accommodates the hydraulic hose H1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plug 10, that is, the hydraulic hose H1 extending from the input end of the hydraulic device (not shown). The receiving groove 134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extended end side of the curved portion 132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20 as shown.

즉, 플러그(10)를 소켓(20)에 체결 시 체결 포크(118)의 수용홈(134)으로는 플로그(10)의 후방 측에 연결된 유압호스(H1; 도 4 및 도 5 참조)가 삽입되어 수용되고, 이에 의해 수평부(120) 및 만곡부(132)의 상부면 상에는 유압호스(H1)와 연결된 플러그(10), 다시 말해 소켓(20)에 체결시킬 플러그(10)의 후방 측이 안착된다.That is, when fastening the plug 10 to the socket 20, the hydraulic hose (H1; see FIGS. 4 and 5)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plug 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34 of the fastening fork 118. and is received, whereby the plug 10 connected to the hydraulic hose H1, that is, the rear side of the plug 10 to be fastened to the socket 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120 and the curved portion 132. do.

바람직하게는, 만곡부(132)의 상부면은 60~80㎜의 곡률 반경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플러그(10)를 소켓(20)에 체결 시 소켓(20) 측으로 회전하는 만곡부(132)가 플로그(10)를 원활하게 소켓(20)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게 하게 위함이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132 is formed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60 to 80 mm, which means that when the plug 10 is fastened to the socket 20, the curved portion 132 rotating toward the socket 20 is connected to the plug ( This is to enable the 10) to be smoothly pushed into the socket 20.

여기서, 체결 포크(118)는 다양한 규격의 유압 퀵 커플러의 플러그(10)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며, 플러그(10)의 규격에 맞추어 체결 포크(118)를 사용할 수 있도록 체결 포크(118)와 핸들(112)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Here, the fastening fork 118 is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to correspond to the plug 10 of the hydraulic quick coupler of various specifications, and the fastening fork 118 is made so that the fastening fork 118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plug 10. ) and the handle 112 are detachably connected.

받침부재(140)는 플러그(10)가 체결될 소켓(20)의 후방 측에 장착되는 받침대(142) 및 받침대(142)와 핸들(112)을 연결하는 연결대(148)를 포함한다.The support member 140 includes a stand 142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socket 20 to which the plug 10 is to be fastened, and a connection bar 148 connecting the stand 142 and the handle 112.

받침대(142)는 철재(鐵材)로 제공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링(ring) 형상으로 제공된다.The stand 142 is made of steel and has an annular ring shape as shown.

이때, 받침대(14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42)의 외경 측과 내경 측이 이어지도록 받침대(142)의 방사상 일측을 짤라서 끊은 전단부(144)가 형성되는데, 전단부(144)에 의해 형성된 받침대(142)의 자유단(146a, 146b) 측에는 연결대(148)의 상부 측이 끼워져 걸쳐진다.At this time, a front end portion 144 is formed in the pedestal 142 by cutting one radial side of the pedestal 142 so that the outer diameter side and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pedestal 142 are connected, as show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148 is inserted and placed on the free ends 146a and 146b of the formed pedestal 142.

바람직하게는, 받침대(142)의 자유단(146a, 146b) 중 어느 하나 또는 전체는 연결대(148)의 상부 측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상부 측으로 절곡 형성된다.Preferably, one or all of the free ends 146a and 146b of the pedestal 142 are bent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148 cannot be easily removed.

도 3 내지 도 5에는 어느 하나의 자유단(146a) 측이 상부 측으로 절곡된 받침대(142)가 도시되어 있다.3 to 5 show a pedestal 142 in which one free end 146a is bent toward the upper side.

이렇게 형성된 받침대(142)는 내경 측으로는 소켓(20)의 후방 측에 연결되는 유압호스(H2)가 관통하며, 이러한 상태 하에서 소켓(20)의 후방 측에 연결되는 유압호스(H2)에 의해 받침대(142)는 소켓(20)의 후방 측에 장착된다.The hydraulic hose H2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socket 20 penetrates the pedestal 142 formed in this way on the inner diameter side, and under this condition, the pedestal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hose H2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socket 20. (142)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socket (20).

연결대(148)는 받침대(142)와 마찬가지로 철재((鐵材)로 제공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The connection bar 148 is made of steel like the pedestal 142, bu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vertically extending plate as shown.

이때, 연결대(148)의 상부 측은 플러그(10)를 소켓(20)에 체결 시 받침대(142)의 어느 하나의 자유단(146a, 146b) 측에 끼워지는데, 이를 위해서 연결대(148)의 상부 측에는 받침대(142)의 자유단(146a, 146b) 측에 끼워지는 관통공(150)들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148 is inserted into one of the free ends (146a, 146b) of the pedestal 142 when the plug 10 is fastened to the socket 20. For this purpose,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148 is Through holes 150 ar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ree ends 146a and 146b of the pedestal 142.

관통공(150)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14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이는 다양한 규격으로 제공되는 플러그(10) 및 소켓(20)에 호환가능하게 사용하기 위함이다.As shown, the through holes 15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148, which is intended to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plug 10 and socket 20 provided in various specifications. am.

그리고 연결대(148)의 하부 측은 핸들(112)과 체결 포크(118)를 연결시키는 볼트(124)의 헤드부(126)에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서 볼트(124)의 헤드부(126)에는 연결 고리(136)가 형성되고, 연결대(148)의 하부 측에는 연결 고리(136)에 끼워지는 연결공(152)이 형성된다.And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148 is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126 of the bolt 124 connecting the handle 112 and the fastening fork 118. For this, the head portion 126 of the bolt 124 has a connecting ring. (136) is formed, and a connecting hole 15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148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ing 136.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100)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플러그(10)를 소켓(20)에 체결시키는데, 받침부재(140)의 받침대(142) 및 연결대(148)는 받침점의 기능을 수행하며, 체결부재(110)의 체결 포크(118)는 작용점의 기능을 핸들(112)에 끼워진 손잡이(114)는 힘점의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hydraulic quick coupler too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stens the plug 10 to the socket 20 using the lever principle, and the pedestal 142 and the connecting rod 148 of the support member 140 are the fulcrum. The fastening fork 118 of the fastening member 110 functions as an action point, and the handle 114 inserted into the handle 112 functions as a force point.

도 3 내지 도 5에는 받침대(142)의 단면 형상이 장방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받침대(142)는 원형 및 타원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연결대(148)의 관통공(150) 또한 원형 및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3 to 5,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edestal 142 is shown as a rectangle, but the pedestal 142 can be formed into a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through hole 150 of the connecting rod 148 is also circular. And it may be formed in an oval shape.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100)의 사용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Below, the state of use of the hydraulic quick coupler tool 100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유압 퀵 커플러의 플러그(10)를 소켓(20)에 체결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소켓(20)의 후방 측에 받침부재(140)의 받침대(142)를 장착한다.In order to fasten the plug 10 of the hydraulic quick coupler to the socket 20, the support 142 of the support member 140 is first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socket 20.

여기서, 받침대(142)는 소켓(20)의 후방 측에 미리 장착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받침대(1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20)의 후방 측에 유압호스(H2) 연결 시에 소켓(20)의 후방 측에 장착된다.Here, the stand 142 is provided pre-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socket 20, and the stand 142 is used to connect the socket 20 when the hydraulic hose H2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socket 20 as described above. )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20)에 받침대(142)가 장착되어 준비되면, 체결 포크(118)의 수용홈(134) 내로 플러그(10)의 후방 측과 연결된 유압호스(H1)를 삽입시킨 상태 하에서 체결 포크(118)의 수평부(120) 및 만곡부(132)의 상부면 상에 유압호스(H1)와 연결된 플러그(10)의 후방 측을 안착시킨 후 플러그(10)의 전방 측을 소켓(20)의 전방 내측으로 삽입시켜 플러그(10)와 소켓(20)을 가체결 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and 142 is mounted and prepared on the socket 20, the hydraulic hose H1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plug 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34 of the fastening fork 118. After seating the rear side of the plug 10 connected to the hydraulic hose H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120 and the curved portion 132 of the fastening fork 118, the front side of the plug 10 is connected to the socket 20. ) to temporarily fasten the plug (10) and the socket (20).

그리고 플러그(10)와 소켓(20)이 가체결되면, 작업자는 연결대(148)의 상부 측에 형성된 관통공(150)을 받침대(142)의 어느 하나의 자유단(146a, 146b)에 끼워 받침대(142)와 핸들(112)을 연결시킨다.And when the plug 10 and the socket 20 are temporarily fastened, the worker inserts the through hole 15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stand 148 into one of the free ends 146a and 146b of the stand 142 to connect the stand to the stand 148. Connect (142) and handle (112).

그리고 이와 동시에 핸들(112)의 손잡이(114)를 하부 측으로 가압하는데, 이때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체결 포크(118)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의해 플러그(10)도 상승하면서 소켓(20)에 체결된다.At the same time, the handle 114 of the handle 112 is pressed toward the lower side, and at this time, the fastening fork 118 rises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as a result, the plug 10 also rises and is fastened to the socket 20. .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100)는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플러그(10)와 소켓(20)을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10)와 소켓(20) 체결 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게 한다.The hydraulic quick coupler too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in this way can quickly and easily fasten the plug 10 and the socket 20 with little force, so the work time for fastening the plug 10 and the socket 20 is reduced.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thereby reducing worker fatigue.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100)는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The hydraulic quick coupler too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reduces the number of parts, so it not only reduces manufacturing costs but also improves productivity.

Claims (9)

유압 퀵 커플러의 플러그의 전방 측을 소켓의 전방 내측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하는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에 있어서,
상기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는,
회전력을 이용해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 및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체결부재를 지지시키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는,
막대 형상으로 제공되되 후단 측에는 손잡이가 끼워지는 핸들; 및
상기 소켓에 체결될 상기 플러그의 후방 측이 안착되는 체결 포크;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의 전단 측에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 고, 상기 장착부에는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상기 체결 포크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 되며,
상기 체결 포크는,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전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만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장착부의 상부면이 상기 수평부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상기 장착부가 끼워지는 장착공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헤드부가 상기 수평부의 상부면으로 노출되도록 나사부가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며, 상기 장착부를 관통한 상기 나사부에는 상기 너트가 체결되는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
In the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that allows fastening the front side of the plug of the hydraulic quick coupler to the front inside of the socket,
The tool for the hydraulic quick coupler is,
A fastening member that fastens the plug to the socket using rotational force; and
Includes a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the fastening member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The fastening member is,
A handle provided in the shape of a bar with a handle fitted at the rear end; and
Including a fastening fork on which the rear side of the plug to be fastened to the socket is se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handle, there is a " "A mounting portion bent into a shape is formed integrally, and the fastening fork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via bolts and nuts,
The fastening fork is,
A horizontal portion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rizontal plate; and
It includes a curved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end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 mounting hole into which the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horizontal por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The bolt has a threaded portion penetrating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so that the head portion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nut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penetrating the mount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수평부의 전단 측에서 상기 수평부의 하부 측으로 하향 만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후방 측에 연결된 유압호스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상기 만곡부의 연장단 측에서 상기 수평부의 전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
In claim 1,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to curve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to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in which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a hydraulic hose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plug is formed in the curved portion to extend from the extended end side of the curved portion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상부면은 60~80㎜의 곡률 반경으로 형성되는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
In claim 1,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60 to 80 m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플러그가 체결될 상기 소켓의 후방 측에 장착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와 상기 볼트의 헤드부를 연결하는 수직한 판 형상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
In claim 1,
The support member is,
A stand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socket into which the plug is to be fastened; and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including a vertical plate-shaped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pedestal and the head of the bol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환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받침대에는 외경 측과 내경 측이 이어지도록 상기 받침대의 일측을 짤라서 끊은 전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받침대의 자유단들에는 상기 연결대의 상부 측이 끼워져 걸쳐지는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
In claim 6,
The pedestal is provided in an annular ring shape,
A front end portion is formed on the pedestal by cutting one side of the pedestal so that the outer diameter side and the inner diameter side are connected,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free ends of the pedestal formed by the front end por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전체는 상기 연결대의 상부 측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상부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
In claim 7,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in which any one or all of the free ends are bent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cannot be easily remove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상부 측에는 상기 받침대의 어느 하나의 상기 자유단 측에 끼워지는 관통공들이 상기 연결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의 하부 측에는 상기 볼트의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연결 고리에 끼워지는 연결공이 형성되는 유압 퀵 커플러용 공구.
In claim 7,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table, through hol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section, and are inserted into the free end side of one of the pedestals,
A tool for a hydraulic quick coupler in which a connecting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ing formed in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KR1020220012636A 2022-01-27 2022-01-27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KR1026222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636A KR102622261B1 (en) 2022-01-27 2022-01-27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636A KR102622261B1 (en) 2022-01-27 2022-01-27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775A KR20230115775A (en) 2023-08-03
KR102622261B1 true KR102622261B1 (en) 2024-01-05

Family

ID=8756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636A KR102622261B1 (en) 2022-01-27 2022-01-27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261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663A (en) * 1992-03-25 1993-10-19 Bridgestone Corp Pipe inspecting jig
JPH08112777A (en) * 1994-10-13 1996-05-07 Maezawa Kiyuusou Kogyo Kk Method and device for fitting soft pipe
KR200334583Y1 (en) 2003-09-17 2003-11-28 김승복 An one hand type connecting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the quick coupling
KR100656087B1 (en) 2004-12-02 2006-12-08 주식회사 로템 Oil pressure and air pressure pump for coupling junctional device
KR102337413B1 (en) 2020-09-28 2021-12-08 이상경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775A (en)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493B1 (en) fitting assembly device
KR102622261B1 (en)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CN209223676U (en) A kind of pipeline feed clamp
CN205852575U (en) There is the simple vice of cutting function
CN210677675U (en) Cylinder sleeve stud assembling device
KR102337413B1 (en) Tool for hydraulic quick coupler
CN103962496A (en) Handheld type self-puncture riveting machine
CN211709023U (en) But high-efficient anchor clamps of eccentric part of automatically clamped grinding
CN213410089U (en) Pipe reducing machine with stable limiting function
CN208543421U (en) Open screwing element and mandrel maintenance adjustment platform
CN217304615U (en) Fastener tensile test anchor clamps
CN220348300U (en) Cylinder sleeve drawing tool
CN212665476U (en) Tight structure in top of leading hoof riveting spot facing work in stopper
CN215785753U (en) Fork ear hole extrusion strengthening tool
CN211203553U (en) Connection structure of display support
CN110977524A (en) Mechanical clamping type steering knuckle clamp
KR101756889B1 (en) A press for fixing parts of a vehicle
CN219945356U (en) Clamp for deep drilling
CN216421063U (en) Be applied to well stick of powder mould
CN211163771U (en) Drawing disc
CN212123113U (en) Tool for taking out shoulder-free sleeve
CN218364082U (en) Thin-wall part plane grinding and clamping tool
KR102067218B1 (en) Processing jig for workpiece
CN216328049U (en) Dismounting device for rotor bearing with shaft
CN214559092U (en) Crankshaft key groove milling positio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