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351B1 - Fabric dryer - Google Patents

Fabric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351B1
KR102621351B1 KR1020170018912A KR20170018912A KR102621351B1 KR 102621351 B1 KR102621351 B1 KR 102621351B1 KR 1020170018912 A KR1020170018912 A KR 1020170018912A KR 20170018912 A KR20170018912 A KR 20170018912A KR 102621351 B1 KR102621351 B1 KR 102621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emperature
infrared sensor
control unit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9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2762A (en
Inventor
권재환
김만근
남효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351B1/en
Publication of KR20180092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7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3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1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의류가 처리되는 처리실을 형성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드럼 내부의 일정영역을 향하는 시야를 가지며, 상기 시야 내에서 감지된 적외선을 바탕으로 온도를 획득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해 획득된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드럼 내의 온도 변화를 구하고, 구해진 온도 변화를 바탕으로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clothes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rocessing chamber in which clothes are processed, and includes a drum rotatably provided; a heater that heats air supplied into the drum; an infrared sensor that has a field of view toward a certain area inside the drum and acquires temperature based on infrared rays detected within the field of view;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drum based on the temperature obtained by the infrared sensor and determines the drying state of the clothes based on the obtained temperature change.

Description

의류 건조기{FABRIC DRYER}Clothes dryer{FABRIC DRYER}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lothes dryers.

의류 건조기는 의류가 투입된 드럼 내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종래에는 상기 드럼의 전단부에 전극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 내로 투입된 의류가 상기 전극센서의 양 전극에 닿을 때에, 의류에 함유된 수분에 따라 달라지는 전기저항치를 가지고 건조도를 파악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은, 드럼 내에 투입된 의류의 양이 적은 경우, 의류가 전극센서에 항시 접촉되지 못하고, 드럼 내에서의 의류의 위치에 따라서는 전극센서와 접촉되지 못하여 건조도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A clothes dryer is a device that dries clothes by supplying dry air to a drum in which clothes are loaded. Conventionally, an electrode sensor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drum, and when clothing loaded into the drum touches both electrodes of the electrode sensor, the dryness level is determined using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lothing. However, in this method, when the amount of clothing put into the drum is small, the clothing cannot always contact the electrode sensor, an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lothing in the drum, it cannot contact the electrode sensor, making it difficult to measure the dryness. there was.

이렇게 의류의 건조도가 정확하게 파악되지 못한다면, 건조 운전의 종료 시점을 정확하게 판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의류가 과열이 되더라도 이를 파악하지 못하여, 의류의 손상은 물론이고, 화재의 위험성까지 있었다.If the dryness of the clothes cannot be accurately determined, not only is it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end point of the drying operation, but it is also difficult to determine if the clothes are overheated, leading to damage to the clothes and the risk of fir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to provide a clothes dryer that determines the drying state of clothes using an infrared sensor.

둘째,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드럼 내에 투입된 의류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econd, it provides a clothes dryer that can detect the amount of clothes put into the drum using an infrared sensor.

셋째,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의 과열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ird, it provides a clothes dryer that detects overheating of clothes using an infrared sensor and notifies the user of this.

넷째,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Fourth, to provide a clothes dryer that can detect a fire using an infrared sensor.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내에 처리실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실 내에 의류가 투입된다.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다.In the clothes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ing chamber is formed in a rotatable drum, and clothing is put into the processing chamber. A heater is provided to heat the air supplied into the drum.

상기 드럼 내부의 일정영역을 향하는 시야를 갖는 적외선 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시야 내에서 감지된 적외선을 바탕으로 온도를 획득한다.An infrared sensor having a field of view directed to a certain area inside the drum is provided. The infrared sensor acquires temperature based on infrared rays detected within the field of view.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해 획득된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드럼 내의 온도 변화를 구하고, 구해진 온도 변화를 바탕으로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A control unit is provided that determines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drum based on the temperature obtained by the infrared sensor and determines the drying state of the clothes based on the obtained temperature change.

다르게는,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해 획득된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드럼 내의 온도 변화를 구하고, 구해진 온도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드럼 내에 투입된 의류의 양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lternatively, the clothes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temperature change in the drum based on the temperature obtained by the infrared sensor and determines the amount of clothing loaded into the drum based on the obtained temperature change.

다르게는,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소정의 메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해 획득된 온도들을 바탕으로, 상기 드럼 내의 온도 변화를 구하고, 구해진 온도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의류가 과열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lternatively, the clothes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predetermined message, determines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drum based on the temperatures obtained by the infrared sensor, and determines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drum through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obtained temperature change.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 message notifying that the overheating is displayed.

다르게는,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상기 드럼 내부의 일정영역을 향하는 시야를 가지며, 상기 시야 내에서 감지된 적외선을 바탕으로 온도를 획득하는 제 1 적외선 센서와, 상기 드럼의 외측의 일정영역을 향하는 시야를 가지며, 상기 시야 내에서 감지된 적외선을 바탕으로 온도를 획득하는 제 2 적외선 센서와, 상기 드럼의 외측 영역으로, 화재 진압을 위한 물 또는 가스를 공급하는 소화기구와, 상기 제 2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소화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포함한다.Alternatively, the clothes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infrared sensor that has a field of view toward a certain area inside the drum and acquires a temperature based on infrared rays detected within the field of view, and a first infrared sensor that points toward a certain area outside the drum. A second infrared sensor that has a field of view and acquires a temperature based on infrared rays detected within the field of view, a fire extinguisher that supplies water or gas for fire suppression to an area outside the drum, and the second infrared sensor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첫째,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하기 때문에, 의류와 접촉하지 않고도 온도 감지가 가능하며, 따라서, 종래 전극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하던 방식에 비해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clothes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emperature using an infrared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ct temperature without contacting clothes, and thus, the accuracy is improved compared to the method of detecting temperature using a conventional electrode sensor. There is.

둘째,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활용하여 쉽게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Second, the amount of laundry can be easily detected using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셋째,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바탕으로 의류의 과열를 감지함으로써, 의류의 열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rmal damage or deformation of clothing by detecting overheating of clothing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넷째,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안전 사고가 예방된다.Fourth, not only can fire occurrence be detected using an infrared sensor, but safety accidents are prevented by automatically notifying the user of a fire occurr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케이싱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구성들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드럼의 입구에서의 습도(a)와 온도(b), 드럼 내의 의류의 온도(c) 및 윈도우의 온도(d)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건조 시간에 따른, 히터의 소비 전력(a), 드럼의 입구에서의 습도(b),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c)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소량 부하일때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다량 부하일때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도시한 그래프(a)와, 이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것(b)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es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inside of the casing of the clothes drye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othes dryer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a clothes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humidity (a) and temperature (b) at the entrance of the drum, the temperature of clothing in the drum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window (d).
Figure 6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power consumption of the heater (a), humidity at the inlet of the drum (b), and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c) according to drying time.
Figure 7 is a graph (a) showing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hen a small load is applied and the temperature detected by an infrared sensor when a large load is applied, and a partially enlarged graph (b) of this.
Figure 8 shows a clothes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케이싱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구성들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es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inside of the casing of the clothes drye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othes dryer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a clothes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내측에 드럼(4)이 배치되는 케이싱(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의 전면에는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10h)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0)에는 투입구(10h)를 여닫는 도어(27)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 a clothes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ing 10 inside which a drum 4 is disposed. An input port 10h through which clothing is input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casing 10. A door 27 that opens and closes the inlet 10h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ing 10.

케이싱(10)은 전면 패널(11), 우측 패널(12), 좌측 패널(13), 백 패널(14) 및 탑 플레이트(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ing 10 may include a front panel 11, a right panel 12, a left panel 13, a back panel 14, and a top plate 15.

전면 패널(11)은 의류 건조기의 전면을 구성한다. 전면 패널(11)에 투입구(10h)가 형성된다. 도어(27)는 전면 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27)는 투명한 윈도우(27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7)가 닫힌 상태에서 윈도우(27a)를 통해 드럼(4)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The front panel 11 constitutes the front of the clothes dryer. An inlet 10h is formed in the front panel 11. The door 27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panel 11. The door 27 may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27a. With the door 27 closed, the inside of the drum 4 can be seen through the window 27a.

전면 패널(11)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16)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6)에는 의류 건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86, 예를 들어, LCD, LED 패널 등), 사용자로부터 의류 건조기의 작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가 구비될 수 있다. A control panel 16 may be placed on the front panel 11. The control panel 16 includes a display unit (86, e.g., LCD, LED panel, etc.) that display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lothes dryer, and an input unit (e.g., button, dial, touch, etc.) that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clothes dryer from the user. screen, etc.) may be provided.

우측 패널(12)과 좌측 패널(13)은 각각 의류 건조기의 우측면과 좌측면을 구성한다. 우측 패널(12)과 좌측 패널(13)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되고, 각 패널(12, 13)의 전단은 전면 패널(11)과 연결되고, 후단은 백 패널(14)과 연결되어 있다. 즉, 우측 패널(12), 좌측 패널(13) 및 백 패널(14)은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ㄷ" 형태의 구조물을 이룬다. 상기 개방된 상면은 탑 플레이트(15)에 의해 덮혀진다.The right panel 12 and the left panel 13 constitute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lothes dryer, respectively. The right panel 12 and the left panel 13 are arranged side by side facing each other, and the front end of each panel 12 and 13 is connected to the front panel 11,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back panel 14. That is, the right panel 12, left panel 13, and back panel 14 form a “ㄷ” shaped structure with the front and top surfaces open. The open upper surface is covered by a top plate (15).

케이싱(10) 내에는 드럼(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0) 내에는 드럼(4)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4)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4)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써, 의류가 처리되는 처리실을 구성한다.The drum 4 may be rotatably disposed within the casing 10. A motor 24 for rotating the drum 4 may be disposed within the casing 10. The drum 4 is cylindrical with the front and back open, and constitutes a processing room where clothes are processed.

드럼(4)의 내주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리프터(6)가 배치될 수 있다. 리프터(6)는 드럼(4)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써, 드럼(4)의 원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4)이 회전되는 중에, 리프터(6)에 의해 의류가 퍼 올려졌다 낙하되는 것이 반복된다.A lifter 6 extending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4. The lifters 6 are protruding inside the drum 4 and may be arranged in plural number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rum 4. While the drum 4 is rotating, the clothes are repeatedly lifted and dropped by the lifter 6.

드럼(4)의 외주면에는 벨트(26)가 감길 수 있다.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pulley,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벨트(26)는 상기 풀리에 감길 수 있다. 상기 풀리와 밸트(26)를 통해 전달된 모터(24)의 회전력에 의해 드럼(4)이 회전된다. 그러나, 드럼(4)을 회전시키는 방법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면은 개방되고, 후면은 닫힌 형태로 드럼이 구성되고, 모터(24)의 회전축이 드럼의 닫힌 후면과 결합되는 직접 구동 방식도 가능하다.A belt 26 may b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4. A pulley (not shown) rotated by a motor 24 may be provided, and a belt 26 may be wound around the pulley. The drum 4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24 transmitted through the pulley and the belt 26. However, the method of rotating the drum 4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direct drive method is also possible in which the drum is configured with the front open and the rear closed,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24 is coupled to the closed rear of the drum.

모터(24)는 벨트(26)와 함께 송풍기(2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24)의 회전축이 송풍기(22)와 결합되어 송풍기(22)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기어, 벨트 등의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tor 24 may be configured to rotate blower 22 together with belt 26 . For example,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24 is combined with the blower 22 to rotate the blower 22,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is transmitted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such as a gear or belt to rotate the pulley. It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다르게는, 모터(24)는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축과, 송풍기(22)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축을 갖는 양축 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motor 24 may be configured as a two-axis motor having a first axis for rotating the pulley and a second axis for rotating the blower 22.

또, 다르게는, 드럼(4)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별도로 송풍기(22)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motor for rotating the blower 22 may be furth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tor for rotating the drum 4.

케이싱(10) 내에는 드럼(4)을 사이에 두고, 전방 프레임(5)과 후방 프레임(8)이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전방 프레임(5), 드럼(4) 및 후방 프레임(8)에 의해 처리실이 규정된다. 전방 프레임(5)에는 드럼(4)의 개방된 전면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전방 프레임(5)과 후방 프레임(8)에는 각각 드럼(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56, 64)가 구비된다.In the casing 10, a front frame 5 and a rear frame 8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drum 4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rocessing chamber is defined by the front frame (5), drum (4) and rear frame (8).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drum 4 is formed in the front frame 5. The front frame 5 and the rear frame 8 are each provided with at least one roller 56, 64 that rotatably supports the drum 4.

흡기덕트(29)는 드럼(4)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송풍기(22)의 흡입력에 의해 드럼(4) 내의 공기가 흡기덕트(29)로 흡입된다. 흡기덕트(29)로 흡입된 공기는 배기관(20)을 통해 케이싱(10)의 외부로 배기된다.The intake duct 29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drum 4. The air in the drum 4 is sucked into the intake duct 29 by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er 22.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duct 29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10 through the exhaust pipe 20.

린트필터(18)는 드럼(4)으로부터 흡기덕트(29)로 토출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린트(lint)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채집하는 것이다. 린트필터(18)는 망사구조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송풍기(22) 운전시, 드럼(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상기 필터에 의해 채집된다.The lint filter 18 collects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or dust floating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4 to the intake duct 29. The lint filter 18 may include a mesh-structured filter, and when the blower 22 is operat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4 is collected by the filter.

케이싱(10) 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42)가 구비될 수 있다. 후방 프레임(8)에는 급기구(8h)가 형성되고, 처리실(즉, 드럼(4) 내부)은 급기구(8h)를 통해 급기덕트(17)와 연통되어 있다.A heater 42 may be provided to heat the air within the casing 10. An air supply opening 8h is formed in the rear frame 8, and the processing chamber (i.e., inside the drum 4)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pply duct 17 through the air supply opening 8h.

급기덕트(17)는 케이싱(10) 내부의 공기를 드럼(4) 내로 안내하는 것으로써, 송풍기(22)의 흡입력에 의해 드럼(4) 내에 부압이 작용하면, 히터(42)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급기덕트(17)의 입구(172)로 유입된 후, 출구(171)를 통해 드럼(4) 내로 공급된다.The air supply duct 17 guides the air inside the casing 10 into the drum 4. When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within the drum 4 by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er 22,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42 is heated. After air flows into the inlet 172 of the air supply duct 17, it is supplied into the drum 4 through the outlet 171.

의류 건조기는 적외선 센서(8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81)는 처리실 내에 고정되며, 일정한 시야 내의 물체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을 감지한다. 적외선 센서(81)는 감지된 적외선을 바탕으로 온도(즉, 온도를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적외선 센서(81)는 적외선을 감지할 시 열기전력을 발생하는 열전대들로 구성된 서머파일(thermopile)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dryer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81. The infrared sensor 81 is fixed in the processing chamber and detects infrared rays emitted from objects within a certain field of view. The infrared sensor 81 outputs temperature (i.e., a signal indicating temperature) based on the detected infrared rays. The infrared sensor 81 may include a thermopile composed of thermocouples that generate thermal electromotive force when detecting infrared rays.

적외선 센서(81)는 제어부(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2)에 의해 제어된다. 적외선 센서(81)로부터 출력된 온도가 제어부(82)로 전달된다. 제어부(82)는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각종 전장 부품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를 위한 CPU와, 의류 건조기의 작동 제어를 위한 각종 데이터가 담기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2)는 적외선 센서(81)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바탕으로 의류 건조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The infrared sensor 8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2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82. The temperature output from the infrared sensor 8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82. The control unit 82 controls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lothes dryer, and may include a CPU for such control and a memory containing various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dryer. The control unit 82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dryer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81.

적외선 센서(81)는, 바람직하게는, 후방 프레임(8)의 상부(즉, 드럼(4)의 중간 높이 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그 시야가 대략 전방 하측을 향한다. 특히, 적외선 센서(81)이 시야 내에는, 도어(27)가 닫힌 상태에서, 윈도우(27a)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된다.The infrared sensor 81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top of the rear frame 8 (i.e., above the mid-height of the drum 4), and its field of view is directed approximately toward the front and lower side. In particular, at least a portion of the window 27a is located within the field of view of the infrared sensor 81, when the door 27 is closed.

의류 건조기는 드럼(4) 내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를 통한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84)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밸브(84)는 제어부(82)의 제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물탱크(미도시)에 담긴 물이거나, 수도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된 물일 수 있다.The clothes dryer may include a flow path that supplies water into the drum 4 and a water supply valve 84 that controls water supply through the flow path. The water supply valve 84 can be opened and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2.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low path may be water contained in a water tank (not shown) or water supplied directly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such as a faucet.

의류 건조기는 소화기구(85)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기구(85)는 케이싱(10) 내에서 드럼(4)의 외부 공간(또는, 처리실의 외부)에서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것으로, 노즐을 통해 물을 살포하는 펌프나 압축 가스를 분사하는 압축가스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에 의해 살포되는 물에는 습윤제, 산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거품을 만드는 첨가제 및/또는 부동액이 섞일 수 있다. 상기 압축가스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로는 이산화탄소 등이 있다.The clothes dryer may include a fire extinguisher (85).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85 is for extinguishing a fire that occurs in the external space of the drum 4 (or outside the processing room) within the casing 10, and is equipped with a pump that sprays water through a nozzle or sprays compressed gas. It may include a compressed gas supply device. The water sprayed by the pump may be mixed with a wetting agent, a foaming additive that blocks oxygen, and/or antifreeze. Gas supplied by the compressed gas supply device includes carbon dioxide and the like.

소화기구(85)는 제어부(82)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어부(82)는 화재가 발생된 것이 감지된 경우, 소화기구(85)를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mechanism 8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82. That is, when a fire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82 can extinguish the fire by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85.

통신부(87)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소정의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통신부(87)는 제어부(82)에 의해 제어되며, 정해진 규약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87)는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거주지 내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와 연결되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87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etwork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87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82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according to established protocol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87 is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AP) in the residence using Wi-Fi, an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there is.

도 5는 드럼의 입구에서의 습도(a)와 온도(b), 드럼 내의 의류의 온도(c) 및 윈도우의 온도(d)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의류의 온도(c)와 윈도우(27a)의 온도는, 드럼(4) 내에 일정량의 의류를 투입한 상태에서 건조 운전을 실시하고, 이 과정에서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구한 영상의 온도 분포를 분석하여 구한 것이다. 특히, 의류의 온도(c)는 적외선 카메라의 시야 중, 드럼(4) 내측면을 향하는 영역의 온도이고, 윈도우의 온도(d)는 적외선 카메라의 시야 중, 윈도우(27a)를 향하는 영역의 온도이다. 여기서, 의류의 온도(c)와 윈도우의 온도(d)는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일정 주기로 획득한 영상들을 정해진 수의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고, 각 집합에 속하는 프레임들에서의 온도 상한(Max), 하한(Min) 및 평균(Ave)을 구한 것이다.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humidity (a) and temperature (b) at the entrance of the drum, the temperature of clothing in the drum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window (d). Here, the temperature of the clothing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window 27a are determined by performing a drying operation with a certain amount of clothing placed in the drum 4, and analyz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image obtained through an infrared camera during this process. So it was saved.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c) of the clothing is the temperature of the area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4 in the field of view of the infrared camera, and the temperature (d) of the window is the temperature of the area facing the window 27a in the field of view of the infrared camera. am. Here, the temperature of the clothing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window (d) are divided into a fixed number of frames by dividing images acquired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an infrared camera, and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 limits in the frames belonging to each set are determined. (Min) and average (Ave) were obtained.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윈도우(27a)의 온도는 건조 운전의 초기에 해당하는 대략 10분까지는 상승하였다가 그 이후에는 비교적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다. 건조 운전 초기에는 드럼(4) 내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윈도우(27a)의 온도가 상승하나,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는 윈도우(27a)가 흡수한 열량과 외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빼앗기는 열량이 비슷해지기 때문이다.As can be seen from the graph, the temperature of the window 27a increases until approximately 10 minutes, corresponding to the beginning of the drying operation, and then changes relatively little thereafter. At the beginning of the drying operation, the temperature of the window 27a rises due to the hot air supplied into the drum 4, bu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amount of heat absorbed by the window 27a is similar to the amount of heat lost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Because you lose.

의류의 온도(c)는 건조 운전 초기부터 대략 40분까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며, 대략 40분부터 히터(42)의 발열이 줄어들도록 제어되어, 그 이후에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았다.The temperature (c) of the clothes tends to increase from the beginning of the drying operation until about 40 minutes, and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42 is controlled to decrease from about 40 minutes, so that it no longer increases after that.

의류 온도의 상한(Max)과 하한(Min)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윈도우(27a)의 경우에 비해 큼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드럼(4) 내에서의 의류의 위치 변동으로 인해 영상에서 구한 온도에 편차가 생기기 때문이다. 즉, 의류가 한곳에 뭉친 경우에는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드럼(4)의 내측면의 면적이 증가하고, 따라서 드럼(4)의 내측면으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아 더 큰 값으로 온도가 감지된다. 통상 드럼(4)의 내측면은 의류보다 더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이렇게 의류가 한쪽으로 치우친 경우에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더 높은 온도가 구해지는 것이다. 반대로, 같은 조건에서 의류가 고르게 분산된 경우에는 더 낮은 온도가 구해질 것이기 때문에, 온도의 상한(Max)과 하한(Min) 간에 차이가 줄어든다.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imit (Max) and the lower limit (Min) of the clothing temperature is overall larger than that of the window 27a, which is due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lothing within the drum 4, resulting in a deviation in the temperature obtained from the image. Because it happens. In other words, when clothing is bunched up in one place, the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4 increases in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infrared camera, and therefore, the influence of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4 is greater, resulting in a larger value. The temperature is sensed.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4 usually rises higher than that of the clothing, a higher temperature is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red when the clothing is biased to one side. Conversely, if clothing is evenly distribu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 lower temperature will be obtained, thus reduc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Max) and lower temperatures (Min).

또한, 의류 온도의 상한(Max)과 하한(Min)의 차이는, 의류가 건조됨에 따라 줄어드는 현상이 보이는데, 이는 의류의 젖은 부분이 줄어들고 건조와 더불어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따라서, 의류 온도의 상한(Max)과 하한(Min)의 차이가 일정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을 감지하여, 건조의 완료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imit (Max) and lower limit (Min) of the clothing temperature appears to decrease as the clothing dries. This phenomenon occurs because the wet part of the clothing shrinks and swells as it dri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completion time of drying by detect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imit (Max) and lower limit (Min) of the clothing temperature is reduced to a certain level.

한편, 적외선 센서(81)에 의한 온도 감지는, 바람직하게는 드럼(4)이 회전되는 중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적외선 센서(81)의 시야가 고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드럼(4)의 회전에 의해 의류의 위치가 변동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대부분의 의류들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이 적외선 센서(8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드럼(4) 내에 의류가 가득 차 있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에도, 드럼(4)의 회전에 의해 의류가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건조과정 중에 옷감의 전체 부분의 표면 온도를 골고루 측정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emperature detection by the infrared sensor 81 is preferably performed while the drum 4 is rotating. Therefore, even if the field of view of the infrared sensor 81 is fixed, since the position of the clothing chang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drum 4, infrared rays emitted from most clothing are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81. It can be. In addition, even in the general case where the drum 4 is not full of clothing, the clothing moves smoothly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due to the rotation of the drum 4, so theoretically, the surface temperature of all parts of the clothing is evenly distributed during the drying process. It becomes possible to measure.

도 6은 건조 시간에 따른, 히터의 소비 전력(a), 드럼의 입구에서의 습도(b),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c)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Figure 6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power consumption of the heater (a), humidity at the inlet of the drum (b), and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c) according to drying time.

도 6을 참조하면, 적외선 센서(81)를 통해 감지된 온도(c)는 상한과 하한의 차이가 의류가 건조됨에 따라 줄어드는 현상이 보인다. 제어부(82)는 적외선 센서(81)에 의해 획득된 온도들을 바탕으로 드럼(4) 내의 온도 변화를 구하고, 이렇게 구해진 온도 변화를 바탕으로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temperature c detect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81 appears to decrease as the clothing dries. The control unit 82 may determine the temperature change within the drum 4 based on the temperatures obtained by the infrared sensor 81, and determine the drying state of the clothing based on the temperature change thus obtained.

구체적으로, 적외선 센서(81)에 의해 획득된 온도들을 바탕으로 구한 온도 변화 상에서 온도의 상한과 하한의 차이는 건조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82)는 상기 온도 변화 상에서 온도의 상한과 하한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가 되면, 의류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히터(42)의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42)의 작동이 종료되는 시점은 의류의 건조가 완료되는 건조 완료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emperature in the temperature change obtained based on the temperatures obtained by the infrared sensor 81 can be an indicator of the degree of dryness. Accordingly,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emperature in the temperature change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82 determines that drying of clothes is complete and terminate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42. Here, the time when the operation of the heater 42 ends can be said to be the drying completion time when the drying of the clothes is completed.

특히, 드럼(4) 내에 투입된 의류의 양이 적은 경우(즉, 소량 부하의 경우), 건조가 진행될수록 상한과 하한의 차이가 작아지는 것이 확연하게 파악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의류의 건조도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7 참조.).In particular, when the amount of clothing put into the drum 4 is small (i.e., in the case of a small load), it is clearly see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decreases as drying progresses,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dryness of the clothing. It can be judged accurately (see Figure 7).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는 건조시간이 대략 54분에 이르렀을 시, 온도의 상한과 하한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가 되었으며, 이때 제어부(82)에 의해 히터(42)의 작동이 종료되었다.Referring to FIG. 6, in the embodiment, when the drying time reached approximately 54 minu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 limits became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heater 42 was terminated by the control unit 82.

도 7은 소량 부하일때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다량 부하일때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도시한 그래프(a)와, 이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것(b)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드럼(4) 내에 투입된 의류의 양에 따라 소량 부하이 경우와 다량 부하인 경우로 구분하고, 양 경우에 있어서 같은 조건으로 건조운전을 실시할 시, 건조 운전의 초기, 소량 부하의 경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상한과 하한의 차이가 큼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으로부터 건조 운전의 초기에 드럼(4) 내에 투입된 포의 양을 추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건조 운전의 설정들을 구성 및/또는 변경할 수 있다.Figure 7 is a graph (a) showing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hen a small load is applied and the temperature detected by an infrared sensor when a large load is applied, and a partially enlarged graph (b) of this. Referring to FIG. 7, depending on the amount of clothing put into the drum 4, it is divided into a small load case and a large load case, and when drying operation i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both cases, at the beginning of the drying operation, the small load case is In the case of ,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is relatively high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is large. Accordingly, from thes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amount of fabric introduced into the drum 4 at the beginning of the drying operation, and the settings of the drying operation can be configured and/or changed accordingly.

특히, 리프터(6)는 합성수지재의 사출물로써, 건조 운전 초기에 의류보다 온도 상승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특히, 소량 부하의 경우는 리프터(6)가 노출되는 부분이 많아 감지되는 온도가 전반적으로 높고, 드럼(4)의 회전에 의해 유발된 의류의 유동으로 인해, 리프터(6)가 의류에 의해 가려졌다가 노출되는 것이 빈번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의류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윈도우(27a)가 의류에 의해 가려지는 면적 또한 가변되기 때문에, 온도의 상한과 하한의 차이도 크다.In particular, the lifter 6 is an injection molded product of synthetic resin, and its temperature rises faster than that of clothing at the beginning of the drying oper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mall load, the detected temperature is generally high due to the large exposed portion of the lifter (6), and due to the flow of clothing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drum (4), the lifter (6) is obscured by clothing. Not only is the window 27a, which has a relatively lower temperature than the clothing, frequently exposed, but the area covered by the clothing also varies, so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temperature is also large.

구체적으로, 제어부(82)는 건조 초기(즉, 히터(42)가 작동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온도 수준과, 온도의 상한과 하한의 차이를 바탕으로 드럼(4) 내의 의류의 양을 추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건조 운전이 설정들을 구성 및/또는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82)는 건조 초기에 적외선 센서(81)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이고, 온도의 상한과 하한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드럼(4)내에 투입된 의류가 소량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82)는 건조시간(예를 들어, 히터(42)의 작동 시간)을 줄여, 그로 인한 소비전력의 저감과 의류의 고온 노출을 억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82 controls the temperature in the drum 4 based on the temperature level at the beginning of drying (that is, until a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heater 42 is opera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temperature. The amount of clothing can be estimated and the drying operation can configure and/or change settings accordingly.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81 at the beginning of drying is higher than a preset level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 limits is higher than the preset value, the control unit 82 determines that only a small amount of clothing has been put into the drum 4. You can judg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82 can reduce the drying time (eg, the operating time of the heater 42),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suppressing exposure of clothing to high temperatures.

한편, 제어부(82)는 적외선 센서(81)를 통해 구해진 온도로부터 드럼(4) 내의 의류의 분포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드럼(4)에 같은 양의 의류가 투입되었다고 하더라도, 의류가 엉켜 있는 경우에는 온도의 상한과 하한 간의 차이가 크고, 반대로 의류가 고르게 분산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온도의 상한과 하한 간의 차이가 작다. 이러한 특성으로부터 제어부(82)는 드럼(4) 내의 의류의 분포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건조 운전의 설정을 구성 및/또는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82 may determine the distribution state of clothing in the drum 4 from the temperature obtain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81. Even if the same amount of clothing is put into the drum 4, if the clothing is tangl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 limits is large, and conversely, if the clothing is evenly distribu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 limits is relatively small. From these characteristics, the control unit 82 can determine the distribution state of clothing in the drum 4 and configure and/or change the drying operation settings accordingly.

한편, 제어부(82)는 적외선 센서(81)에 의해 구해진 온도가 기 설정된 허용치 이상인 경우, 히터(42)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82)는 드럼(4) 내의 온도가 과열된 것으로 판단하고, 의류의 손상이나 화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42)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82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er 42 when the temperature obtained by the infrared sensor 8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oleranc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82 may determine that the temperature within the drum 4 is overheated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er 42 to prevent damage to clothing or a fire.

한편, 제어부(82)는 적외선 센서(81)에 의해 구해진 온도의 변동 주기를 바탕으로 드럼(4)의 회전 속도를 구할 수 있다. 드럼(4)의 회전속도에 따라 리프터(6)가 적외선 센서(81)의 시야에 주기적으로 노출되며, 그로 인해, 적외선 센서(81)에 의해 구해진 온도 역시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제어부(82)는 이러한 온도 변동 주기를 바탕으로 드럼(4)의 회전 속도를 구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82 can determine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4 based on the temperature fluctuation period obtained by the infrared sensor 81. Depending on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4, the lifter 6 is periodically exposed to the field of view of the infrared sensor 81, an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btained by the infrared sensor 81 also exhibits characteristics of periodically changing.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82 can obtain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4 based on this temperature fluctuation cycl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드럼(4)의 외측에 배치되는 적외선 센서(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83)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적외선 센서(81)와 동일하다.Figure 8 shows a clothes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a clothes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sensor 83 disposed outside the drum 4. The configuration of the infrared sensor 83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infrared sensor 81.

적외선 센서(83)는 그 시야가 히터(42)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센서(83)는 드럼(6)의 하측(바람직하게는, 히터(42)의 하측)에 배치되고, 시야가 히터(42)를 향하는 반향, 즉, 위쪽을 바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센서(83)는 히터(4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infrared sensor 83 is arranged so that its field of view faces the heater 42. Specifically, the infrared sensor 83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um 6 (preferably, the lower side of the heater 42) and can be configured so that its field of view is directed toward the heater 42, that is, upward. there is. Accordingly, the infrared sensor 83 can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42.

필요에 따라, 드럼(4)의 내측을 향하는 적외선 센서(81)를 제 1 적외선 센서(81)라고 하고, 드럼(4)의 외측에 배치되는 적외선 센서(81)를 제 2 적외선 센서(83)라고 구분하기로 한다.If necessary, the infrared sensor 81 facing the inside of the drum 4 is referred to as the first infrared sensor 81, and the infrared sensor 81 disposed outside the drum 4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infrared sensor 83. Let's distinguish it as follows.

의류 건조기에서 화재는 드럼(4)의 내부뿐만 아니라, 드럼(4)의 외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즉, 린트가 적체되고, 히터(42)의 과열이나 전선의 합선에 의해 린트에 불이 붙음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발화가 시작되는 지점을 적외선 센서(83)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면, 화재에 대한 경보를 주거나 소화를 위한 제어(예를 들어 소화기구(85)를 작동)를 할 수 있을 것이다.In a clothes dryer, a fire can occur not only inside the drum 4, but also outside the drum 4. In other words, lint may accumulate and the lint may catch fire due to overheating of the heater 42 or short circuit of the electric wire. In this case, if the point where ignition starts can be confirmed using the infrared sensor 83, it will be possible to give a fire alarm or control fire extinguishing (for example,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85).

만약 화재가 발생할 경우, 발화점에서의 불꽃은 다른 영역과는 달리 온도가 수백 내지 수천도로써 이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온도는 적외선 센서(83)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제어부(82)는 적외선 센서(83)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86)를 통해 경고를 하거나, 소화기구(85)를 작동시킬 수 있다. 소화기구(85)는 히터(42)를 향해 물을 분사하거나, 가스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82)에 의해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If a fire occurs, the temperature at the ignition point is unusually high, with temperatures ranging from hundreds to thousands of degrees, unlike other areas. This temperature can be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83, and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83 is higher than a preset standard value, the control unit 82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and displays the display unit 86. A warning can be issued or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85) can be activated.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85 may be configured to spray water or gas toward the heater 42, and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when the control unit 82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다르게는, 제어부(82)는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을 차단하고 급수밸브(84)를 개방하거나, 통신부(87)를 통해 원격지로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다.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82 may cut off the power and open the water supply valve 84, or may notify a remote location of the fir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87.

특히, 통신부(87)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로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소방서로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문자를 보내거나, 인터넷을 통해 신고를 하는 등의 화재 발생을 알리는 적적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87 can notify the user's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 smart phone) of the occurrence of a fire through the network.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sends a text message to the fire departmen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ropriate measures can be taken to notify of the occurrence of a fire, such as sending a message or reporting it via the Internet.

한편, 적외선 센서(81, 83)에 의한 화재 감지 동작은, 전원 버튼이 입력된 경우뿐만 아니라, 전원 버튼이 선택되지 않은 대기 전원 상태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e detection operation by the infrared sensors 81 and 83 can be performed not only whe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but also in a standby power state in which the power button is not selected.

Claims (14)

의류가 처리되는 처리실을 형성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드럼 내부의 일정영역을 향하는 시야를 가지며, 상기 시야 내에서 감지된 적외선을 바탕으로 온도를 획득하는 제 1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에 의해 획득된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드럼 내의 온도 변화를 구하고, 구해진 온도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드럼 내에 투입된 의류의 양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A drum forming a processing room in which clothes are processed and rotatably provided;
a heater that heats air supplied into the drum;
a first infrared sensor that has a field of view toward a certain area inside the drum and acquires a temperature based on infrared rays detected within the field of view; and
A clothes dry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temperature change in the drum based on the temperature obtained by the first infrared sensor and determines the amount of clothing loaded into the drum based on the obtained temperature cha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가 작동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 수준과, 온도의 상한과 하한의 차이를 바탕으로 상기 의류의 양을 판단하는 의류 건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clothes dryer that determines the amount of clothes based on the temperature level detected by the first infrared senso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temperature until a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heater is activa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이고, 상기 온도의 상한과 하한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의류의 양이 소량인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 건조기.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 clothes dryer that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clothing is small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irst infrared sensor is higher than a preset level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preset valu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양이 소량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히터의 작동 시간을 줄이는 의류 건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A clothes dryer that reduces the operating time of the hea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clothes is sm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해진 온도 변화를 바탕으로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의류 건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clothes dryer that determines the drying state of clothes based on the obtained temperature chang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에 의해 구해진 온도의 상한과 하한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의류의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 건조기.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 unit,
A clothes dryer that determines that drying of the clothes has been complet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emperature obtained by the first infrared sensor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히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의류 건조기.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A clothes dryer that stops operation of the hea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drying of the clothes is comp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에 의해 온도가 감지되는 중에, 상기 드럼이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의류 건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clothes dryer that controls the drum to rotate while the temperature is detected by the first infrared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메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해진 온도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의류가 과열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predetermined message,
The control unit,
A clothes dry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 message notifying that the clothes are overheat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obtained temperature change.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실을 여닫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처리실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처리실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의 시야 내에 상기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분이 속하는 의류 건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Further comprising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processing chamber,
The door is
It includes a transparent window so that the inside of the treatment chamber is visible when the treatment chamber is closed,
A clothes drye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window falls within the field of view of the first infrared senso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처리실 내로 토출하는 급기구가 형성된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는,
상기 후방 프레임에 고정되는 의류 건조기.
According to claim 10,
A rear fram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rum and provided with a supply port for discharging air heated by the heater into the treatment chamber,
The first infrared sensor,
A clothes dryer fixed to the rea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측의 일정영역을 향하는 시야를 가지며, 상기 시야 내에서 감지된 적외선을 바탕으로 온도를 획득하는 제 2 적외선 센서; 및
상기 드럼의 외측 영역으로, 화재 진압을 위한 물 또는 가스를 공급하는 소화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소화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 second infrared sensor that has a field of view toward a certain area outside the drum and acquires temperature based on infrared rays detected within the field of view; and
It further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device that supplies water or gas for fire suppression to the outer area of the drum,
A clothes dry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infrared sensor.
제 12 항에 있어서,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지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의류 건조기.
According to claim 12,
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predetermined network,
The control unit,
A clothes dryer that detects a fire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infrared sensor and notifies a remote location of the fir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fire occur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외선 센서는 상기 드럼의 하측에 배치되고, 시야가 상기 히터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의류 건조기.
According to claim 12,
The second infrared sensor is disposed below the drum and has a field of view toward the heater.
KR1020170018912A 2017-02-10 2017-02-10 Fabric dryer KR1026213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912A KR102621351B1 (en) 2017-02-10 2017-02-10 Fabric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912A KR102621351B1 (en) 2017-02-10 2017-02-10 Fabric dr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62A KR20180092762A (en) 2018-08-20
KR102621351B1 true KR102621351B1 (en) 2024-01-04

Family

ID=6344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912A KR102621351B1 (en) 2017-02-10 2017-02-10 Fabric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3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827B1 (en) * 2018-10-30 2024-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 Laundry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9301A1 (en) * 2007-12-20 2009-06-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Tumble dry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tumble drying device
JP2010042118A (en) * 2008-08-12 2010-02-25 Mitsubishi Electric Corp Drying machine and washing and dry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829B1 (en) * 2010-12-23 2013-12-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A drying apparatus for clothing and control method of a drying apparatus for cloth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9301A1 (en) * 2007-12-20 2009-06-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Tumble dry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tumble drying device
JP2010042118A (en) * 2008-08-12 2010-02-25 Mitsubishi Electric Corp Drying machine and washing and dry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62A (en)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272B2 (en)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KR102025181B1 (en) Clothing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336419B1 (en) Clothes dryer
US20080148592A1 (en) Dryer with safety function
US20150059200A1 (en) Dry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80148597A1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JPH07289783A (en) Electric dryer
KR100651864B1 (en) Automaticall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143646A (en) Dryness detection device and clothes dryness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US20090183385A1 (en) Controlling method of dryer
KR102621351B1 (en) Fabric dryer
KR20080032398A (en) Method for dryer
KR10193908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657433B2 (en)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648727B (en) Washing machine and furnace drying method
US10151061B1 (en) Dryer appliances and methods of operation
CN109863268B (en) Laundry treating machine
JP2014018608A (en) Clothes dryer
KR10197025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7313874B2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121586A (en) Dryer and method for clothes
WO2021008625A1 (en) Dryer appliance with slide bearing assemblies including wear detection features
KR20180116876A (en) Fabric dryer and fabric drying system having the same
CN105026636B (en) Dehumidifier
KR102490844B1 (en) Control method for dry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