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810B1 - Biaxially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an Excellent Heat-Seal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y Thereof - Google Patents

Biaxially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an Excellent Heat-Seal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y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810B1
KR102620810B1 KR1020230074028A KR20230074028A KR102620810B1 KR 102620810 B1 KR102620810 B1 KR 102620810B1 KR 1020230074028 A KR1020230074028 A KR 1020230074028A KR 20230074028 A KR20230074028 A KR 20230074028A KR 102620810 B1 KR102620810 B1 KR 102620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olyethylene
biaxially stretched
film
polyethylene film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기상
박상길
김철영
Original Assignee
제이케이머티리얼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케이머티리얼즈(주) filed Critical 제이케이머티리얼즈(주)
Priority to KR102023007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8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8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calende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3/0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32B2333/04Polymers of esters
    • B32B23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산업용 코팅, 인쇄용 및 합지용, 실러블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접착 촉진제를 사용하여 접착강도를 향상시키고, 열수축율을 최소화하여 내열성을 개선하고, 안티블로킹 마스터배치인 마스터칩을 사용하여 가공이 용이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마스터칩을 포함하는 열접착층; 열접착층 상면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결합층; 결합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1코어층; 제1코어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2코어층; 및 제2코어충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마스터칩을 포함하는 표층;을 포함할 수 있다.It is a base film for industrial coating, printing, lamination, and sealables. It uses an adhesion promoter to improve adhesive strength, minimizes heat shrinkage to improve heat resistance, and uses masterchip, an anti-blocking masterbatch, to make it easy to process.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re disclosed. The disclosed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includes a thermal adhesive layer including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and a master chip; A bonding layer containing polyolefin elastomer and ethylene vinyl ace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ealing layer; A first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layer; A second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e layer; and a surface layer including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a master chi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e layer.

Description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Biaxially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an Excellent Heat-Seal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y Thereof}Biaxially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heat seal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Biaxially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an Excellent Heat-Seal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y Thereof}

본 발명은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산업용 코팅, 연포장재 인쇄 및 합지용, 실러블용에 적용될 수 있는 베이스 필름으로서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pecifically, it is a base film that can be applied to industrial coatings, flexible packaging printing and laminating, and sealables, and has improved thermal adhesion. It relates to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 사회가 변화됨에 따라 전기·전자제품에서부터 일상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산업용 포장재, 연포장재 등 포장재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as society has changed, a variety of packaging materials such as industrial packaging materials and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ranging from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to daily necessities.

단일재질인 폴리올레핀은 가볍고 단단하며, 내열성, 내화학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포장재분야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올레핀은 제품 사용 후 재생사용 가능성이 강조되면서 친환경 포장재로 널리 이슈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Polyolefin, a single material, is light and hard, and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so it is widely used in packaging materials. In particular, polyolefin is becoming a widespread issue as an eco-friendly packaging material as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after product use is emphasized.

폴리올레핀 중 하나인 이축연신 폴리에틸렌은 무연신 폴리에틸렌에 비해 인장강도 등이 우수하고,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수분 차단성(Barrier) 성능 등이 다른 재질에 비해 우수하여 연포장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Biaxially stretched polyethylene, one of the polyolefins, has superior tensile strength compared to non-stretched polyethylene, is eco-friendly as it does not emit harmful substances, and has excellent moisture barrier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materials, so it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flexible packaging material. high.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와 결정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유연성과 인성이 우수하여 포장재의 실란트용 필름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축연신하여 필름을 제조해도 산업용 코팅, 연포장재 인쇄 및 합지용으로 사용하는데 있어 가공성, 내열성, 열접착성 등에서 미흡한 면이 있다.In particular, low-density polyethylene not only has low density and crystallinity, but also has excellent flexibility and toughness, so it is widely used as a sealant film for packaging materials. However, even if the film is manufactured by biaxially stretching low-density polyethylene, it can be used for industrial coating, flexible packaging printing, and lamination. There are shortcomings in its use in terms of processability, heat resistance, and thermal adhesiveness.

연포장제 제조과정에서 필름의 열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제나 기타의 수지를 폴리올레핀 필름에 코팅하거나 라미네이트시켜 열접착성을 부여한다. 하지만, 접착제나 기타 수지 등의 코팅만으로는 필름의 바람직한 수준의 접착성을 유지하기는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라미네이트시키는 방법은 열접착성은 개선되나, 복잡한 공정으로 인해 최종 필름의 단가가 높아져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In order to improve the thermal adhesiveness of the film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lexible packaging, adhesives or other resins are coated or laminated on the polyolefin film to provide thermal adhesiveness.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desired level of adhesion of the film only by coating with adhesives or other resins. In addition, the lamination method improves thermal adhesiveness, but is economically inefficient because the cost of the final film increases due to the complicated process.

설령, 코팅이나 라미네이트에 의해 접착성이 개선되더라도, 베이스 필름의 표면 마찰계수가 높아져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Even if adhesion is improved by coating or laminate, the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base film increases, making processing difficult.

따라서 첨가물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재활용이 가능하고, 가공성,내열성, 열접착성 등이 우수한 포장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packaging materials that are eco-friendly and recyclable by minimizing additives, and have excellent processability, heat resistance, and thermal adhesiveness.

공개특허공보 10-2011-0077864 (공개일 2011.07.07.)Public Patent Publication 10-2011-0077864 (Published on July 7, 201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마스터칩을 포함하는 열접착층; 상기 열접착층 상면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결합층; 상기 결합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1코어층; 상기 제1코어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2코어층; 및 상기 제2코어충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마스터칩을 포함하는 표층;을 포함한 다층으로 구성된 필름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기반으로 첨가물 등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이고 재활용이 가능하고, 열접착강도를 향상시키고, 고온에서 열수축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oints, and includes a heat sealing layer including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and a master chip; A bonding layer containing polyolefin elastomer and ethylene vinyl ace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ealing layer; A first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layer; a second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e layer; and a surface layer containing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a master chi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e. It is a multi-layered film that is based on high-density polyethylene, minimizes additives, etc.,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recyclable, improves thermal bonding strength, and improves heat bonding strength at high temperatur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that can minimize thermal contraction ra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마스터칩을 포함하는 열접착층; 상기 열접착층 상면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결합층; 상기 결합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1코어층; 상기 제1코어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2코어층; 및 상기 제2코어충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마스터칩을 포함하는 표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al adhesive layer containing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and a master chip; A bonding layer containing polyolefin elastomer and ethylene vinyl ace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ealing layer; A first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layer; a second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e layer; and a surface layer including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a master chi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e layer.

상기 열접착층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텔렌 30 ~ 50w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45 ~ 65wt 및 마스터칩 3 ~ 10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hermal bond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30 to 50 wt%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45 to 65 wt% of polyolefin elastomer, and 3 to 10 wt% of master chip based on the total weight percent.

상기 결합층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50 ~ 70wt%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0 ~ 50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nd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50 to 70 wt% of polyolefin elastomer and 30 to 50 wt% of ethylene vinyl acetate based on the total weight percent.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밀도가 0.93 ~ 0.95g/cm3이고, 용융지수(MI)가 1 ~ 6이고,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비닐아세테이트를 12 ~ 18wt%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thylene vinyl acetate has a density of 0.93 to 0.95 g/cm3, a melt index (MI) of 1 to 6, and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ntains 12 to 18 wt% of vinyl acetate based on the total weight%.

상기 표층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95 ~ 99wt% 및 마스터칩 1 ~ 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rface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95 to 99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1 to 5 wt% of master chip based on the total weight percent.

상기 마스터칩은 실리카, 합성실리카,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PMMA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5 ~ 10wt%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ster chi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5 to 10 w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silica, synthetic silica, zeolite, calcium carbonate, and PMMA.

상기 열접착층의 두께는 1 ~ 2㎛이고, 상기 결합층의 두께는 2 ~ 4㎛이고, 상기 제2코어층의 두께는 2 ~ 3㎛이고, 상기 표층의 두께는 1 ~ 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ckness of the heat sealing layer is 1 to 2 ㎛,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layer is 2 to 4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re layer is 2 to 3 ㎛, and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layer is 1 to 2 ㎛. Do it as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종방향으로 4 ~ 5배 연신하고, 횡방향으로 9 ~ 11배 연신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is manufactured by stretching 4 to 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9 to 11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실링개시온도가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is characterized by a sealing start temperature of 90°C or lower.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접착강도가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is characterized by an adhesive strength of 5.0 or more.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100℃ ~ 120℃에서 5 ~ 15분동안 열풍가열 후, 열수축율이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shrinkage rate is 3% or less in both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fter heating with hot air at 100 ° C. to 120 ° C. for 5 to 15 minutes.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산업용 코팅, 연포장재 인쇄 및 합지용, 실러블용 베이스 필름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is used as a base film for industrial coating, printing and lamination of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and sealables.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마스터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여 210 ~ 250℃에서 용융압출 한 후, T-Die를 통해 적어도 3층 이상의 다층으로 토출하고, 캐스팅 롤을 이용하여 70℃ 이하로 급냉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연신 시트를 120 ~ 125℃에서 종방향으로 4 ~ 5배 1차 연신하는 단계; 상기 1차 연신된 필름을 125 ~ 130℃에서 횡방향으로 9 ~ 11배 2차 연신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연신된 필름을 열처리존에서 125 ~ 135℃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t least on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and master chip is melt-extruded at 210 to 250°C, and then formed into a multilayer of at least three layers through T-Die. Discharging and rapidly cooling to 70°C or lower using a casting roll to produce an unstretched sheet; First stretching the unstretched sheet 4 to 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120 to 125°C; Secondary stretching the first stretched film 9 to 11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125 to 130°C; and heat-treating the secondarily stretched film at 125 to 135° C. in a heat treatment zone.

상기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층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30 ~ 50w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45 ~ 65wt% 및 마스터칩 3 ~ 10wt%를 포함하는 열접착층; 상기 열접착층 상면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50 ~ 70wt%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0 ~ 50wt%를 포함하는 결합층; 상기 결합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1코어층; 상기 제1코어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2코어층; 및 상기 제2코어충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95 ~ 99wt% 및 마스터칩 1 ~ 5wt%를 포함하는 표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unstretched sheet, the multilayer includes a heat adhesive layer containing 30 to 50 wt% of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45 to 65 wt% of polyolefin elastomer, and 3 to 10 wt% of master chip; A bonding layer containing 50 to 70 wt% of polyolefin elastomer and 30 to 50 wt% of ethylene vinyl ace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ealing layer; A first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layer; a second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e layer; And a surface layer containing 95 to 99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1 to 5 wt% of a master chi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e layer.

상기 제1차 연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접착층은 상기 표층의 연신온도보다 10℃이하인, 110 ~ 115℃에서 종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stretching step, the heat-sealing layer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110 to 115°C, which is 10°C lower than the stretching temperature of the surface layer.

상기 1차 연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종방향 1차 연신은 코팅된 연신롤을 사용하고, 코팅된 상기 연신롤의 배치는 상기 미연신 시트가 코팅된 상기 연신롤을 감싸고 나가는 동안 접촉을 최대로 하면서, 상기 미연신 시트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180℃ 이상의 랩각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imary stretching step, the longitudinal primary stretching uses a coated stretching roll, and the arrangement of the coated stretching roll maximizes contact while the unstretched sheet wraps around the coated stretching roll. , characterized in that a wrap angle of 180°C or more is maintained to prevent the unstretched sheet from slipping.

상기 코팅된 연신롤에서, 코팅 재질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의 밀도는 2.13 ~ 2.20g/c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ated stretching roll, the coating material includes polytetrafluoroethylene, and the density of the polytetrafluoroethylene is 2.13 to 2.20 g/cc.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은 오염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생산을 가능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manufacturing method is characterized by minimizing contamination and enabling long-term production.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마스터칩을 포함하는 열접착층; 상기 열접착층 상면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결합층; 상기 결합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1코어층; 상기 제1코어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2코어층; 및 상기 제2코어충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마스터칩 포함하는 표층;을 포함한 것으로, 첨가물 등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이고 재활용이 가능하고, 마찰계수를 낮추어 표면의 거칠기를 감소시키고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공이 용이하고, 고온에서 열수축율을 최소화하여 내열성 우수하고, 열접착성이 현저히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al adhesive layer containing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and a master chip; A bonding layer containing polyolefin elastomer and ethylene vinyl ace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ealing layer; A first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layer; a second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e layer; and a surface layer containing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a master chi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e, making i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recyclable by minimizing additives, and lower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to reduce surface roughness and prevent sticking. It is easy to process,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by minimizing heat shrinkage at high temperatures, and provides significantly improved heat adhesiveness.

본 발명에 따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마스터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여 210 ~ 250℃에서 용융압출 한 후, T-Die를 통해 적어도 4층 이상의 다층으로 토출하고, 캐스팅 롤을 이용하여 70℃ 이하로 급냉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연신 시트를 120 ~ 125℃에서 종방향으로 4 ~ 5배 1차 연신하는 단계; 상기 1차 연신된 필름을 125 ~ 130℃에서 횡방향으로 9 ~ 11배 2차 연신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연신된 필름을 열처리존에서 125 ~ 135℃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생산성이 좋고, 두께 편차 및 평활성 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ethylene vinyl acetate, and master chip, and is melt-extruded at 210 to 250°C and then extruded through T-Die. Manufacturing an unstretched sheet by discharging it in at least 4 or more layers and rapidly cooling it to 70°C or lower using a casting roll; First stretching the unstretched sheet 4 to 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120 to 125°C; Secondary stretching the first stretched film 9 to 11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125 to 130°C; and heat-treating the secondarily stretched film at 125 to 135° C. in a heat treatment zone, thereby providing good productivity and excellent thickness deviation and smoothn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공정을 나타낸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연신시 코팅된 롤 배치를 나타낸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응력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나타낸다.
Figure 1 is a flowchart of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oated roll arrangement during longitudinal stretc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stress of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발명자가 임의의 용어를 특정한 경우,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All term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ustom,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dditionally, if the inventor specifies any term in the present invention, its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simply as the names of the terms, bu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마스터칩을 포함하는 열접착층; 상기 열접착층 상면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결합층; 상기 결합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1코어층; 상기 제1코어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2코어층; 및 상기 제2코어충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마스터칩을 포함하는 표층;을 포함한다. 즉,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3층 이상이 적층된 다층인 필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층은 3층 내지 7층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면'은 위의 면을 의미한다.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al adhesive layer containing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and a master chip; A bonding layer containing polyolefin elastomer and ethylene vinyl ace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ealing layer; A first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layer; a second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e layer; and a surface layer including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a master chi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e layer. That is,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may be a multilayer film in which three or more layers are stacked. Therefore, the layers of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may be composed of various layers, such as 3 to 7 layers. In the present invention, 'upper surface' means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열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열접착층은 실링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열접착층은 열접착력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마스터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접착층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텔렌 30 ~ 50w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45 ~ 65wt 및 마스터칩 3 ~ 10wt%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열접착층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텔렌 35 ~ 45w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50 ~ 60wt 및 마스터칩 5 ~ 7wt%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sealing layer. The heat sealing layer may act as a sealing surface. The thermal adhesive layer may includ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and master chip to improve thermal adhesive strength and processability. Therefore, the heat sealing layer may include 30 to 50 wt% of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45 to 65 wt% of polyolefin elastomer, and 3 to 10 wt% of master chip based on the total weight percent. As another example, the heat sealing layer may include 35 to 45 wt% of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50 to 60 wt% of polyolefin elastomer, and 5 to 7 wt% of master chip based on the total weight percent.

또한, 상기 열접착층의 두께는 필름 전체 두께에 대하여 1 ~ 2㎛일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접착층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에는 열접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접착층의 두께가 2㎛ 초과인 경우에는 코어층 등의 두께를 감소시켜 본 발명인 필름의 강도, 내열성 등의 물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heat sealing layer may be 1 to 2 ㎛ relative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lm, but may be more preferably 1.5 ㎛. Theref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thermal adhesive layer is less than 1㎛, thermal adhesive strength can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heat sealing layer exceeds 2㎛,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열접착층에 포함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다양한 결정구조로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이다. 따라서 폴리에틸렌은 필름, 튜브, 플라스틱 부품, 라미네이트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폴리머로 밀도와 분기에 따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가교 폴리에틸렌(PEX 또는 XPLE)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may be included in the heat sealing layer. Polyethylene is a lightweight and durable thermoplastic resin with a variety of crystal structures. Therefore, polyethylene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films, tubes, plastic parts, and laminates. In addition, the polyethylene is a polyolefin-based polymer and is classified into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and cross-linked polyethylene (PEX or XPLE) depending on density and branching. can be classified.

또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1-부텐, 소량의 1-헥센 및 1-옥텐을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텔렌은 저밀도 폴리에텔렌의 긴가지와 달리 짧고 균일한 가지를 가진 선형골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텔렌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강도는 비슷하지만 높은 충격강도에 매우 유연하고,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텔렌은 접착성 촉진제로 사용될 수 있다. 접착성 촉진제는 필름과 같은 이축 배향을 위해 요구되는 응력 처리 조건하에서 적층된 층간 접착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접착성 촉진제의 또다른 이점은 응력으로 유도된 적층된 층의 이탈없이 낮은 온도에서 종연신(MD)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온에서 필름을 신장시키는 것이 고온에서 신장시키는 것보다 큰 배향을 유발하기 때문에 접착성 촉진제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함으로써 낮은 종연신(MD) 온도로 필름의 배향을 크게할 수 있어, 에너지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can be produced by polymerizing ethylene, 1-butene, and a small amount of 1-hexene and 1-octene using a metallocene catalyst.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has a linear skeleton with short and uniform branches, unlike the long branches of low-density polyethylene. Therefore,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has similar strength to high-density polyethylene, but has high impact strength, is very flexible, and can improve chemical resistance. Additionally,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can be used as an adhesion promoter. Adhesion promoters can promote adhesion between laminated layers under stress treatment conditions required for biaxial orientation as a film. Another advantage of adhesion promoters is that they allow longitudinal stretching (MD) at low temperatures without stress-induced separation of the laminated layers. Specifically, because stretching the film at a low temperature causes greater orientation than stretching it at a high temperature, the orientation of the film can be increased at a low longitudinal stretching (MD) temperature by using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an adhesion promoter, and thus energy It can be efficient in some respects.

따라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상기 열접착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 50wt%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상기 열접착층 전체 중량%에 대하야 35 ~ 45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30wt% 미만인 경우에는 열접착층의 가공성, 작업성 등이 저하될 수 있고, 낮은 종연신 온도로 필름의 배향을 크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50wt% 초과인 경우에는 다른 성분의 함량을 감소시켜 열접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may contain 30 to 5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heat sealing layer. As another example,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may contain 35 to 45 wt % based on the total weight % of the heat sealing layer. If the content of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is less than 30 wt%, the processability and workability of the heat sealing layer may be reduced, and it may be difficult to increase the orientation of the film at a low longitudinal stretching temperature.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exceeds 50 wt%, the heat adhesive strength may be reduced by reducing the content of other components.

또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1g/cm3 ~ 0.94cm3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1g/cm3 미만인 경우에는 열접착층의 가공성, 작업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4cm3 초과인 경우에도 저온에서 종연신이 곤란할 수 있으며, 유연성 또한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촉진제로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코어층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코어층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다 높은 유연성과 낮은 결정화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nsity of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may be 0.91 g/cm3 to 0.94 cm3. In addition, when the density of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is less than 0.91 g/cm3, the processability and workability of the heat sealing layer may be reduced. In addition, even when the density of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is more than 0.94 cm3, longitudinal stretching may be difficult at low temperatures, and flexibility may also be reduced. In addition, as an adhesion promoter,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density of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is lower than the density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which is the core layer. In addition,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may preferably have higher flexibility and lower crystallinity than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that is the core layer.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열접착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본 발명인 필름의 열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의 일종으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1-부텐, 소량의 1-헥센 및 1-옥텐을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높은 충격강도에 매우 유연하고,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접착성 촉진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접착성 촉진제는 필름과 같은 이축 배향을 위해 요구되는 응력 처리 조건하에서 적층된 층간 접착성 및 열접착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 The polyolefin elastomer may be included in the heat sealing layer. The polyolefin elastomer can improve the thermal adhesiveness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olefin elastomer is a type of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VLDPE) and can be manufactured by polymerizing ethylene, 1-butene, and small amounts of 1-hexene and 1-octene using a metallocene catalyst. The polyolefin elastomer has high impact strength, is very flexible, and can improve chemical resistance. Additionally, the polyolefin elastomer can be used as an adhesion promoter. That is, the adhesion promoter can promote adhesion and thermal bonding between laminated layers under stress treatment conditions required for biaxial orientation such as a film.

따라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상기 열접착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45 ~ 65wt%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상기 열접착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 60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45wt% 미만인 경우에는 열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낮은 종연신 온도로 필름의 배향을 크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65wt% 초과인 경우에는 다른 성분의 함량을 감소시켜 열접착층의 작업성 및 가공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olyolefin elastomer may contain 45 to 6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heat sealing layer. As another example, the polyolefin elastomer may contain 50 to 60 wt % based on the total weight % of the heat sealing layer. If the content of the polyolefin elastomer is less than 45 wt%, thermal adhesive strength may be reduced, and it may be difficult to increase the orientation of the film at a low longitudinal stretching temperature. In addition, if the content of the polyolefin elastomer exceeds 65 wt%, the content of other components may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workability and processability of the heat sealing layer.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0.90g/cm3 미만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착성 촉진제로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밀도는 코어층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코어층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다 높은 유연성과 낮은 결정화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lyolefin elastomer may have a density of less than 0.90 g/cm3. Additionally, as an adhesion promoter,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density of the polyolefin elastomer is lower than the density of high-density polyethylene, which is the core layer. Additionally, it may be desirable for the polyolefin elastomer to have higher flexibility and lower crystallinity than high-density polyethylene, which is the core layer.

상기 마스터칩은 열접착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칩은 본 발명인 필름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터칩은 마찰계수를 낮추어 필름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가공하는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칩은 안티블로킹(anti-blocking) 마스터배치로서 본 발명인 필름이 들러붙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가공하는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master chip may be included in a thermal adhesive layer. The master chip can improve the processability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master chip can lower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smooth the surface of the film, making it easier to process. In addition, the master chip is an anti-blocking masterbatch, which prevents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sticking or twisting and makes it easy to process.

폴리에틸렌 마스터배치 칩인 상기 마스터칩은 무기물 입자 또는 유기물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터칩은 상기 무기물 입자 또는 유기물 입자를 폴리에틸렌 수지에 첨가하여 컴파운딩 분산시킨 수지이다. 상기 마스터칩은 무기물입자 또는/및 유기물 입자로서 실리카, 합성실리카,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PMMA(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5 ~ 10wt%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입자가 실리카 계열인 경우에 평균 입경이 10㎛ 이하일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인 것이 필름을 가공하는데 더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미세 다공성 알루미늄 규산염 광물로서 주로 흡착제나 촉매로 활용된다. 상기 제올라이트 구조 내 존재하는 매우 규칙적으로 배열된 미세기공들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기체나 액체 분자들을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PMMA는 아크릴 가교 수지로서 bead 형태로 만들어지고 투명성, 내후성 등이 좋은 수지로서 접착 및 인쇄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The master chip, which is a polyethylene masterbatch chip, may include inorganic particles or organic particles. That is, the master chip is a resin obtained by adding the inorganic particles or organic particles to polyethylene resin and dispersing the compound. The master chip may contain 5 to 10 wt% of at least one of silica, synthetic silica, zeolite, calcium carbonate, and PMMA (Methyl Methacrylate) as inorganic particles and/or organic particles. Whe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silica-base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may be 10㎛ or less, but more preferably 5㎛ or less, which makes it easier to process the film. The zeolite is a microporous aluminum silicate mineral that is mainly used as an adsorbent or catalyst. Using the very regularly arranged micropores present in the zeolite structure, small gas or liquid molecules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according to size and shape. The PMMA is an acrylic cross-linked resin that is made in the form of a bead and has good transparency and weather resistance, so it can be easily adhered and printed.

따라서 상기 마스터칩은 상기 열접착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3 ~ 10wt%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마스터칩은 열접착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 7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칩의 함량이 3wt% 미만인 경우에는 마찰계수가 높아 본 발명인 필름을 가공하는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칩의 함량이 10wt% 초과인 경우에는 가공은 용이할 수 있으나, 다른 성분의 함량 감소를 초래하고 투명성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master chip may contain 3 to 10 wt% of the total weight% of the heat sealing layer. As another example, the master chip may contain 5 to 7 wt% of the total weight of the heat sealing layer. If the content of the master chip is less than 3wt%, the friction coefficient is high, making it difficult to process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f the content of the master chip exceeds 10 wt%, processing may be easy, but it may cause a decrease in the content of other components and reduce transparency, etc.

본 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상기 열접착층 상면에 결합층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층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층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50 ~ 70wt%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0 ~ 50wt%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중복된 성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nding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ealing layer. The bonding layer may include polyolefin elastomer and ethylene vinyl acetate. The bonding layer may include 50 to 70 wt% of polyolefin elastomer and 30 to 50 wt% of ethylene vinyl acetate based on the total weight percent.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overlapping components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결합층의 두께는 필름 전체 두께에 대하여 2 ~ 4㎛일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3㎛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층의 두께가 2㎛ 미만인 경우에는 적층된 층간 접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접착층의 두께가 4㎛ 초과인 경우에는 다른 층 등의 두께를 감소시켜 본 발명인 필름의 강도, 내열성 등의 물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layer may be 2 to 4 ㎛ relative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lm, but may be more preferably 2.5 to 3 ㎛. Theref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layer is less than 2㎛, adhesion between laminated layers can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heat sealing layer is more than 4㎛,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other layers.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결합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높은 충격강도에 매우 유연하고,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본 발명인 필름의 열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접착성 촉진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접착성 촉진제는 필름과 같은 이축 배향을 위해 요구되는 응력 처리 조건하에서 적층된 층간 접착성 및 열접착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The polyolefin elastomer may be included in the bonding layer. The polyolefin elastomer has high impact strength, is very flexible, and can improve chemical resistance. Additionally, the polyolefin elastomer can improve the thermal adhesiveness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olyolefin elastomer can be used as an adhesion promoter. Adhesion promoters can promote adhesion and thermal bonding between laminated layers under stress treatment conditions required for biaxial orientation as a film.

따라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상기 결합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 70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50wt% 미만인 경우에는 열접착력 및 높은 충격강도에 대한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낮은 종연신 온도로 필름의 배향을 크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70wt% 초과인 경우에는 다른 성분의 함량을 감소시켜 적층된 층간 접착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olyolefin elastomer may contain 50 to 7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onding layer. If the content of the polyolefin elastomer is less than 50wt%, thermal adhesive strength and flexibility for high impact strength may be reduced, and it may be difficult to increase the orientation of the film at a low longitudinal stretching temperature.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polyolefin elastomer exceeds 70 wt%, the content of other components may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adhesion between laminated layers.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0.90g/cm3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코어층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다 높은 유연성과 낮은 결정화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lyolefin elastomer may have a density of 0.90 g/cm3 or less. Additionally, it may be desirable for the polyolefin elastomer to have higher flexibility and lower crystallinity than high-density polyethylene, which is the core layer.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결합층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한쪽 면인 열접착층에 저융점의 폴리에틸렌 수지인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공압출하는 경우, 하기 기술되는 코어층인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사이의 상용성이 적고, 공압출시 층간의 접착이 불완전하여 바람직한 열접착력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층간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결합층에 포함할 수 있다. The ethylene vinyl acetate may be included in the bonding layer. That is, when the polyolefin elastomer, which is a low melting point polyethylene resin, is co-extruded on the heat sealing layer, which is one side of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which is the core layer described below, and the polyolefin elastomer is low, and when co-extruded Adhesion between layers is incomplete, so desirable thermal adhesive strength cannot be obtaine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se layers, ethylene vinyl acetate may be included in the bonding layer.

또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Additionally, the structure of ethylene vinyl acetate (EVA) is as follows.

[화학식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Formula 1: Ethylene vinyl acetate (EV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로서, 투명도와 광택이 우수하고, 냄새가 거의 없는 극도로 탄력 있고, 질긴 열가소성 수지로서 비닐아세테이트를 12 ~ 18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저렴한 비용, 많은 극성 및 비다공성 기판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 우수한 내굴곡성 및 천공저항성, 방수효과가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다른 수지와 공중합되거나 다층 필름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Ethylene vinyl acetate (EVA) is a copolymer of ethylene and vinyl acetate, and is an extremely elastic and tough thermoplastic resin with excellent transparency and gloss, almost no odor, and may contain 12 to 18 wt% of vinyl acetate. The ethylene vinyl acetate (EVA)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low cost, excellent adhesion to many polar and non-porous substrates, excellent bending resistance and puncture resistance, and excellent waterproofing effect. Therefore, the ethylene vinyl acetate (EVA) can be copolymerized with other resins such as low-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etc. or can be used as part of a multilayer film.

따라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결합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 50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30wt% 미만인 경우에는 적층된 층간 접착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50wt% 초과인 경우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량 감소를 초래하여 열접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ethylene vinyl acetate may contain 30 to 5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onding layer. If the content of ethylene vinyl acetate is less than 30 wt%, adhesion between laminated layers may be reduced. If the content of ethylene vinyl acetate is more than 50 wt%, the content of polyolefin elastomer may be reduced, thereby reducing heat adhesive strength.

또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의 밀도는 0.93 ~ 0.95g/cm3이고, 용융지수는 1 ~ 6일 수 있다. 상기 밀도가 0.93g/cm3 미만인 경우에는 적층된 층간 접착을 저하시킬 수 있고, 0.95g/cm3 초과인 경우에도 고밀도로 연신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용융지수가 1 미만인 경우에는 압출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고, 6 초과인 경우에는 연신성 부족을 초래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ensity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may be 0.93 to 0.95 g/cm3, and the melt index may be 1 to 6. If the density is less than 0.93 g/cm3, adhesion between laminated layers may be reduced, and even if it is more than 0.95 g/cm3, stretchability may be reduced due to high density. If the melt index is less than 1, the extrusion load may increase, and if it is more than 6, it may cause insufficient extensibility.

본 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상기 결합층 상면에 제1코어층을 포함한다. 폴리에틸렌은 다양한 결정구조로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이다. 따라서 폴리에틸렌은 필름, 튜브, 플라스틱 부품, 라미네이트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폴리머로 밀도와 분기에 따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가교 폴리에틸렌(PEX 또는 XPLE)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re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layer. Polyethylene is a thermoplastic resin that is lightweight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with a variety of crystal structures. Therefore, polyethylene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films, tubes, plastic parts, and laminates. In addition, the polyethylene is a polyolefin-based polymer and is classified into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and cross-linked polyethylene (PEX or XPLE) depending on density and branching. can be classified.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100wt%로 제1코어층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코어층의 두께는 필름 전체 두께에 대하여 14㎛ ~ 49㎛이거나 20 ~ 24㎛일 수 있다. 상기 제1코어층의 두께가 14㎛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인 필름의 내열성, 투명성 등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코어층의 두께가 49㎛ 초과인 경우에는 다른 층 등의 두께 감소를 초래하여 본 발명인 필름의 열접착력, 가공성 등을 저하시킬 수 있다.The high-density polyethylene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core layer at 100 wt%. Addi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re layer may be 14 μm to 49 μm or 20 to 24 μm relative to the entire thickness of the film.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re layer is less than 14㎛,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duced.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re layer exceeds 49㎛, the thickness of other layers may be reduced, which may reduce the thermal adhesive strength and processability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선형구조 또는 낮은 수준의 짧은 분기를 지닌 열가소성 수지로서 본 발명인 필름의 열수축을 방지하여 내열성을 향상시키고,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비해 충격강도가 비교적 낮지만, 신장률이 적고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모듈러스가 좋아 필름의 표면이 빳빳하여 가공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is a thermoplastic resin with a linear structure or a low level of short branches, and can improve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by preventing heat shrinkage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has a relatively low impact strength compared to low-density polyethylene, but has low elongation and excellent tensile strength, so it can be easily processed. That is,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has a good modulus and the surface of the film is stiff, making it easy to process.

또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4 ~ 0.96g/cm3이고, 용융지수(MI)는 0.5 ~ 6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5 ~ 2,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5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융지수는 g/10분으로 표현된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4g/cm3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성이 부족하고, 0.96g/cm 초과인 경우에는 연신성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압출부하를 초래하여 작업이 어려울 수 있고, 용융지수가 6 초과인 경우에는 높은 유동성으로 연신성이 부족하여 필름을 형성하는데 어려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sity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may be 0.94 to 0.96 g/cm3, and the melt index (MI) may be 0.5 to 6, preferably 0.5 to 2, and more preferably 1 to 1.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lt index is expressed as g/10 min. If the density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is less than 0.94 g/cm3, heat resistance may be insufficient, and if the density is greater than 0.96 g/cm, the extensibility may be insufficient. In addition, if the melt index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is less than 0.5, it may cause extrusion load and may be difficult to work with, and if the melt index is more than 6,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film due to insufficient extensibility due to high fluidity.

본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상기 제1코어층 상면에 제2코어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2코어층은 100wt%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어층의 두께는 필름 전체 두께에 대하여 2 ~ 3㎛일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일 수 있다. 상기 제2코어층의 두께가 2㎛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인 필름의 열접착력, 가공성 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코어층의 두께가 3㎛ 초과인 경우에는 필름의 내열성 등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ore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e layer. The second core layer may include 100wt% high-density polyethylen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re layer may be 2 to 3 ㎛ relative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lm, but may be more preferably 2.5 ㎛.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re layer is less than 2㎛, the thermal adhesive strength and processability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duced. Additionally,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re layer is more than 3㎛,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of the film may be reduced.

본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상기 제2코어층 상면에 표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층은 인쇄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표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마스터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층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95 ~ 99wt% 및 마스터칩 1 ~ 5w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층의 두께는 필름 전체 두께에 대하여 1 ~ 2㎛일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일 수 있다. 상기 표층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인 필름의 열접착력, 접착강도 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층의 두께가 2㎛ 초과인 경우에는 내열성 등을 저하시킬 수 있다.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rface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e layer. The surface layer can act as a printing surface. The surface layer may include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a master chip. The surface layer may include 95 to 99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1 to 5 wt% of master chip based on the total weight. Addi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layer may be 1 to 2㎛ relative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lm, but may be more preferably 1.5. If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layer is less than 1㎛, the thermal adhesive force and adhesive strength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duced. Additionally, if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layer exceeds 2㎛, heat resistance, etc. may be reduced.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상기 표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표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95 ~ 99wt%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표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97 ~ 98wt%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95%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성 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99wt% 초과인 경우에는 안티블로킹 마스터배치인 마스터칩의 함량 감소를 초래하여 가공하는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may be included in the surface layer.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may contain 95 to 99 wt % based on the total weight % of the surface layer. As another example,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may contain 97 to 98 wt % based on the total weight % of the surface layer. Therefore, if the conten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is less than 95%, heat resistance, etc. may be reduced. Additionally, if the content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exceeds 99 wt%, the content of the master chip, which is an anti-blocking masterbatch, may be reduced, making processing difficult.

또한, 상기 고밀도 폴리에텔렌의 밀도는 0.94 ~ 0.96g/cm3이고, 용융지수(MI)는 0.5 ~ 6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5 ~ 2, 보다 바람직하게는 1 ~1.5일 수 있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4g/cm3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성이 부족하고, 0.96g/cm 초과인 경우에는 연신성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압출부하를 초래하여 작업이 어려울 수 있고, 용융지수가 6 초과인 경우에는 높은 유동성으로 연신성이 부족하여 필름을 형성하는데 어려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sity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may be 0.94 to 0.96 g/cm3, and the melt index (MI) may be 0.5 to 6, preferably 0.5 to 2, and more preferably 1 to 1.5. If the density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is less than 0.94 g/cm3, heat resistance may be insufficient, and if the density is greater than 0.96 g/cm, the extensibility may be insufficient. In addition, if the melt index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is less than 0.5, it may cause extrusion load and may be difficult to work with, and if the melt index is more than 6,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film due to insufficient extensibility due to high fluidity.

상기 마스터칩은 상기 표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칩은 본 발명인 필름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터칩은 마찰계수를 낮추어 필름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가공하는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칩은 안티블로킹(anti-blocking)마스터배치로서 본 발명인 필름이 들러붙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가공하는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master chip may be included in the surface layer. The master chip can improve the processability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master chip can lower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smooth the surface of the film, making it easier to process. In addition, the master chip is an anti-blocking masterbatch, which prevents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sticking or twisting and makes it easy to process.

폴리에틸렌 마스터배치 칩인 상기 마스터칩은 무기물 입자 또는 유기물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터칩은 상기 무기물 입자 또는 유기물 입자를 폴리에틸렌 수지에 첨가하여 컴파운딩 분산시킨 수지이다. 상기 마스터칩은 무기물입자 또는/및 유기물 입자로서 실리카, 합성실리카,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PMMA(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5 ~ 10wt%포함할 수 있다. The master chip, which is a polyethylene masterbatch chip, may include inorganic particles or organic particles. That is, the master chip is a resin obtained by adding the inorganic particles or organic particles to polyethylene resin and dispersing the compound. The master chip may contain 5 to 10 wt% of at least one of silica, synthetic silica, zeolite, calcium carbonate, and PMMA (Methyl Methacrylate) as inorganic particles and/or organic particles.

따라서, 상기 마스터칩은 상기 열접착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5wt%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마스터칩은 열접착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 3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칩의 함량이 1wt% 미만인 경우에는 마찰계수가 높아 본 발명인 필름을 가공하는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칩의 함량이 5wt% 초과인 경우에는 가공은 용이할 수 있으나, 다른 성분의 함량 감소를 초래하여 투명성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ster chip may contain 1 to 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heat sealing layer. As another example, the master chip may contain 2 to 3 wt% of the total weight of the heat sealing layer. If the content of the master chip is less than 1 wt%, the friction coefficient is high, making it difficult to process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f the content of the master chip exceeds 5wt%, processing may be easy, but it may cause a decrease in the content of other components, thereby reducing transparency, etc.

이와 같이, 다층으로 적층된 본 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두께는 20 ~ 60㎛ 이거나 25 ~ 3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일 수 있다. 이 떼, 상기 열접착층의 두께는 1 ~ 2㎛이고, 상기 결합층의 두께는 2 ~ 4㎛이고, 상기 제2코어층의 두께는 2 ~ 3㎛이고, 상기 표층의 두께는 1 ~ 2㎛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산업용 코팅, 연포장재 인쇄 및 합지용, 실러블용 베이스 필름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As such, the thickness of the biaxially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may be 20 to 60 μm or 25 to 35 μm, and more preferably 30 μm. In this group, the thickness of the heat sealing layer is 1 to 2 ㎛,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layer is 2 to 4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re layer is 2 to 3 ㎛, and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layer is 1 to 2 ㎛. It can be. Within the above range,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as a base film for industrial coatings, printing and lamination of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and sealables.

또한, 본 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100 ~ 120℃에서 5 ~ 15분동안 열풍가열 후 열수축율이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 3%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헤이즈는 4.5% 이하이고, 필름접착강도는 5.0 이상이다. In addition,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t shrinkage rate of 3% or less in both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fter heating with hot air at 100 to 120 ° C. for 5 to 15 minutes. In addition, the haze of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4.5% or less, and the film adhesive strength is 5.0 or more.

따라서,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열수축율을 최소화하여 내열성을 개선하고, 마찰계수를 낮추어 가공이 용이하고, 저밀도의 폴리올레핀 엘라스터머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열접착력이 우수한 다층으로 구성된 산업용 코팅, 연포장재 인쇄 및 합지용, 실러블용 베이스 필름이다. 또한, 첨가물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이고 재활용이 가능한 열접착성이 개선된 필름이다.Therefore,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improves heat resistance by minimizing heat shrinkage, is easy to process by lower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is an industrial coating composed of multiple layers with excellent heat adhesion by using low-density polyolefin elastomer and ethylene vinyl acetate. , It is a base film for printing and lamination of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and sealables. In addition, it is a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that minimizes additives and is eco-friendly and recyclable.

본 발명은 내열성 및 투명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공정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공정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연신시 코팅된 롤 배치를 나타낸다.Figure 1 is a flowchart of a manufacturing process for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manufacturing process for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coated roll arrangement during longitudinal stretching.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3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마스터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여 210 ~ 250℃에서 용융압출 한 후, T-Die를 통해 적어도 3층 이상의 다층으로 토출하고, 캐스팅 롤을 이용하여 70℃ 이하로 급냉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연신 시트를 120 ~ 125℃에서 종방향으로 4 ~ 5배 1차 연신하는 단계; 상기 1차 연신된 필름을 125 ~ 130℃에서 횡방향으로 9 ~ 11배 2차 연신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연신된 필름을 열처리존에서 125 ~ 135℃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three processes. That is, at least on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ethylene vinyl acetate, and master chip is melt-extruded at 210 to 250°C, and then discharged as a multi-layer of at least three layers through a T-Die, and then cast. Manufacturing an unstretched sheet by rapidly cooling it to 70°C or lower using a roll; First stretching the unstretched sheet 4 to 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120 to 125°C; Secondary stretching the first stretched film 9 to 11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125 to 130°C; and heat-treating the secondarily stretched film at 125 to 135° C. in a heat treatment zone.

상기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마스터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여 210 ~ 250℃에서 용융압출 한 후, T-Die를 통해 적어도 3층 이상의 다층으로 토출하고, 캐스팅 롤을 이용하여 70℃ 이하로 급냉한다.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unstretched sheet includes at least on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ethylene vinyl acetate, and master chip, and melt-extruding the sheet at 210 to 250°C, then forming at least three layers through T-Die. Discharge in the above multiple layers and rapidly cool to 70°C or lower using a casting roll.

즉,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30 ~ 50wt%,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45 ~ 65wt% 및 상기 마스터칩 3 ~ 10wt%를 포함하는 열접착층; 상기 열접착층 상면에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50 ~ 70wt% 및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0 ~ 50wt%를 포함하는 결합층; 상기 결합층 상면에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단독으로 이루어진 제1코어층; 상기 제1코어층 상면에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단독으로 이루어진 제2코어층; 및 상기 제2코어층 상면에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95 ~ 99wt% 및 마스터칩 1 ~ 5wt%를 포함하는 표층;을 공압출기의 호퍼에 차례대로 넣어 용융압출한다. 용융압출된 수지를 T-Die를 통해 판상형태로 적어도 3층 이상의 다층으로 토출하고, 캐스팅 롤을 이용하여 70℃이하로 냉각고체화할 수 있다. That is, a heat sealing layer containing 30 to 50 wt% of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45 to 65 wt% of the polyolefin elastomer, and 3 to 10 wt% of the master chip; A bonding layer containing 50 to 70 wt% of the polyolefin elastomer and 30 to 50 wt%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ealing layer; A first core layer made solely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layer; a second core layer made solely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e layer; and a surface layer containing 95 to 99 wt%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1 to 5 wt% of the master chi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e layer; are sequentially placed into the hopper of the coextruder and melt-extruded. The melt-extruded resin can be discharged in a plate-shaped form with at least 3 or more layers through a T-Die, and cooled to 70°C or lower and solidified using a casting roll.

상기 용융압출시, 성형 소재의 가열용융은 압출성형기로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성형수지를 가열용융하지 않고 연화한 상태로 성형해도 무방하다. 이 때 사용되는 압출성형기는 일축 압축성형기, 이축 동방향 또는 이방향 압출성형기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가능하며, 통기구멍을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물성의 균일성을 위해 일축 직렬 랜 덤형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압출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 상황에 따라 선택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온도를 수지의 융점부터 분해온도보다 50℃정도 높은 온도가 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출온도는 210 ~ 250℃ 범위내로, 210℃보다 낮으면 완전한 용융이 불가능하여 압출시 압이 상승할 수 있으며, 250℃보다 높으면 분해현상이 현저해져 황화현상이 발생하고 압출기내에서 열화, 발포 등을 초래할 수 있다.During the melt extrusion, the molding material is generally heated and melted using an extrusion molding machine, but the molding resin may be molded in a softened state without heating and melting. The extrusion molding machine used at this time can be any of a single-axis compression molding machine, a twin-axis co-directional or a bi-directional extrusion molding machine,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ventilation hole, but a single-axis serial random type may be more preferable for uniformity of physical properties. there is. Extrusion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each situation. Preferably, the temperature is about 50°C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and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resin. Therefore, the extrusion temperature is within the range of 210 ~ 250℃. If it is lower than 210℃, complete melting is impossible and the pressure may increase during extrusion. If it is higher than 250℃, decomposition phenomenon becomes noticeable, sulfurization occurs, and deterioration occurs in the extruder. It may cause foaming, etc.

또한, 상기 냉각·고체화는 금속 롤을 사용하여 시트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거나 표면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냉각온도는 7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0 ~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65℃일 수 있다. 냉각온도가 70℃ 초과인 경우에는 고화된 성형물의 결정화도가 증가하여 연신적성이 떨어질 수 있다. 냉각속도는 3 내지 200℃초의 범위내에서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oling/solidif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metal roll to uniform the thickness of the sheet or improve surface properties. The cooling temperature may be 70°C or lower, preferably 60 to 70°C, and more preferably 65°C. If the cooling temperature exceeds 70°C, the degree of crystallinity of the solidified molding may increase and the stretching suitability may decrease. The cooling rate can be determined within the range of 3 to 200 degrees Celsius.

상기 종방향으로 1차 연신하는 단계는 상기 미연신 시트를 120 ~ 125℃에서 종방향으로 4 ~ 5배로 연신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first stretching in the machine direction, the unstretched sheet may be stretched 4 to 5 times in the machine direction at 120 to 125°C.

상기 종방향으로 1차 연신하는 단계에서, 롤의 속도차를 이용하는 종방형 연신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생산성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최저 2개의 닙롤사이 및 가이드롤로 고정되어 주행하는 필름을 닙롤의 압공정 또는 롤 자체에서 가열하면서 2대의 닙롤의 속도차를 이용하여 종방향 연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신온도는 120 ~ 125℃ 범위내로, 연신온도가 120℃ 미만인 경우에는 연화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연신이 불량해질 수 있으며, 125℃ 초과인 경우에는 결정화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균일한 기계적 물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연신비가 4배 미만인 경우에는 연신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5배 초과인 경우에는 횡방향 연신이 어려워질 수 있다.In the first stretching ste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stretching using the speed difference of rolls is the most common method and is widely used due to its excellent productivity. In other words, longitudinal stretching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two nip rolls while heating the film, which is fixed and running between at least two nip rolls and guide rolls, in the pressure process of the nip rolls or in the rolls themselves.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within the range of 120 to 125℃. If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less than 120℃, stretching may be poor due to insufficient softening. If it exceeds 125℃, crystallization progresses too much and uniform mechanical properties cannot be obtained. . Additionally, if the stretching ratio is less than 4 times, the stretching effect cannot be obtained, and if it is more than 5 times, transverse stretching may become difficult.

또한, 상기 종방향으로 1차 연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접착층은 상기 표층의 연신온도보다 10℃이하로서, 110 ~ 115℃에서 종방향으로 연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열접착층은 접착성 촉진제로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과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포함함으로써, 응력으로 유도된 적층된 층의 이탈없이 낮은 온도에서 종연신(MD)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온에서 필름을 신장시키는 것이 고온에서 신장시키는 것보다 큰 배향을 유발하기 때문에 접착성 촉진제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과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사용함으로써 낮은 종연신(MD) 온도로 필름의 배향를 크게할 수 있어, 에너지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first stretching ste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eat-adhesive layer can b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110 to 115 °C, which is 10°C lower than the stretching temperature of the surface layer. That is, the thermal bonding layer contains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and polyolefin elastomer as an adhesion promoter, so that longitudinal stretching (MD) can be performed at a low temperature without separation of the laminated layers induced by stress. Specifically, because stretching the film at a low temperature causes greater orientation than stretching it at a high temperature, the orientation of the film can be increased at a low longitudinal stretching (MD) temperature by using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and polyolefin elastomer as adhesion promoters. , it can be efficient in terms of energy.

또한, 종방향 연시시 작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연신롤의 오염도는 증가하여 롤 표면의 광택이 감소하여 백탁이 되어 필름의 오염뿐만 아니라 생산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중 하나가 연신롤의 배치와 연신롤의 코팅 재질일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working time elapses during longitudinal stretch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tretching roll increases, and the gloss of the roll surface decreases and becomes cloudy, which can lead not only to contamination of the film but also to a decrease in productivity. Therefore, one of the ways to solve this problem may be the arrangement of the stretching roll and the coating material of the stretching roll.

즉,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1차 연신하는 단계에서 종방향 1차 연신은 코팅된 연신롤을 사용하고, 코팅된 상기 연신롤의 배치는 상기 미연신 시트가 코팅된 상기 연신롤을 감싸고 나가는 동안 접촉을 최대로 하면서, 상기 미연신 시트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180℃ 이상의 랩각을 유지할 수 있다. 각각의 연신롤에 닙롤은 2개씩 붙을 수 있고, 연신은 1 ~ 2번롤, 3 ~ 4번롤, 5 ~ 6번롤 사이에 이루어져 총3단의 연신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총3단의 연신 구간에서 종방향 연신은 4 내지 5배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된 연신롤에서, 코팅 재질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의 밀도는 2.13-2.20g/cc이다. 따라서 상기 연신롤의 배치와 코팅 재질로 인하여 필름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장신간 생산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3, in the primary stretching step, a coated stretching roll is used for the longitudinal primary stretching, and the arrangement of the coated stretching roll is such that the unstretched sheet surrounds the coated stretching roll. While maximizing contac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wrap angle of 180°C or more to prevent the unstretched sheet from slipping. Two nip rolls can be attached to each stretching roll, and stretching is performed between rolls 1 and 2, rolls 3 and 4, and rolls 5 and 6, giving a total of three stretching sections. In the three stretching sections, longitudin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4 to 5 times. Additionally, in the coated stretching roll, the coating material is made of polytetrafluoroethylene, and the density of the polytetrafluoroethylene is 2.13-2.20 g/cc. Therefore,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stretching roll and the coat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ong film with minimal contamination of the film.

상기 횡방향으로 2차 연신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연신된 필름을 120 ~ 125℃에서 횡방향으로 9 ~ 11배로 연신할 수 있다. In the second stretching step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rst stretched film may be stretched 9 to 11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120 to 125°C.

상기 횡방향으로 2차 연신하는 단계에서, 연신은 통상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도 제한은 없지만, 텐터 횡연신은 가장 일반적이다. 주행중인 필름 양끝을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클립 등으로 고정하고, 그 고정상태를 적당한 온도에서 양끝의 클립 사이의 거리를 점차 넓혀 감으로써 횡방향 연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신온도는 125 ~ 130℃ 범위 내로, 연신온도가 125℃ 미만인 경우에는 연화가 불충분하여 연신이 어려워질 수 있고, 130℃ 초과인 경우에는 표면이 일부 용해되어 균일한 두께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연신비가 9배 미만인 경우에는 횡방향 기계적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반대로 11배 초과하면 파단이 일어날 수 있다.In the step of secondary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tretching may be carried out not only by conventional methods but also by other methods without limitation, but tenter transverse stretching is the most common. Transverse stretching can be achieved by fixing both ends of the running film with continuously running clips, and graduall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lips at both ends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within the range of 125 to 130°C. If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less than 125°C, stretching may be difficult due to insufficient softening, and if it is higher than 130°C, the surface may partially dissolve and a uniform thickness cannot be obtained. Additionally, if the stretching ratio is less than 9 times, the transverse mechanical strength is not sufficient, and conversely, if it exceeds 11 times, fracture may occur.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2차 연신된 필름을 열처리존에서 125 ~ 135℃로 열처리하여 본 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필름의 치수 안정성, 내열성, 강도 등 균일성을 위하여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통상적으로 하는 방법이지만 필름의 인장상태, 이완 상태 또는 제한 수축 상태하에서 125 ~ 135℃범위에서 0.5 내지 120초 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the heat treatment step, the secondary stretched film can be heat treated at 125 to 135° C. in a heat treatment zone to produce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heat treated for uniformity such as dimensional stability, heat resistance, and strength. The heat treatment is a common method, but it may be preferable to perform it for 0.5 to 120 seconds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125 to 135°C under the tension, relaxation or limited contraction of the film.

또한, 상기 열처리는 상기 범위내에서 조건을 변경하여 2회 이상 실시하여도 가능하며 분위기는 일반 공기, 아르곤가스나 질소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하에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 단계를 거치지 않으면 특히 유리전이 온도 부근에서 변형하기 쉬우며 후가공이나 고객의 사용시 제한이 될 수 있다. 필름에 가장 적합한 열처리 온도는 분위기내를 통과하는 필름의 속도, 즉 처리시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처리시간은 각종 조건에 따라 결정되나 통상적으로는 3분 이하로 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열처리 시간이 길면 성형중 필름이 늘어나는 등 변형이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two or more times by changing the conditions within the above range, and the atmosphere can be carried out under general air, argon gas, nitrogen gas, or a mixture of these gases. If this heat treatment step is not performed, it is prone to deformation, especially nea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may limit post-processing or customer use. The most suitable heat treatment temperature for the film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peed of the film passing through the atmosphere, that is, the processing time. Processing time is determined depending on various conditions, but generally it may be better to set it to 3 minutes or less. If the heat treatment time is long, deformation such as stretching of the film may occur during molding.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3공정에 의해 제조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5층 구조로 된 다층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manufactured through the above three processes can produce a multilayer film with a five-layer structure.

따라서, 본 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종방향으로 4 ~ 5배 연신하고, 횡방향으로 9 ~ 11배 연신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및 2차 연신된 필름을 100℃ ~ 120℃에서 5 ~ 15분동안 열풍가열 후, 열수축율은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 3% 이하이다. 또한, 필름의 헤이즈가 4.5% 이하, 접착강도가 5.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실링개시온도가 90℃ 이하이다. 즉, 실링개시온도가 90℃이하로 저온에서도 접착강도(실링강도)가 우수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이다.Therefore,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stretching 4 to 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9 to 11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addition, after heating the first and second stretched films with hot air at 100°C to 120°C for 5 to 15 minutes, the heat shrinkage rate is 3% or less in both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dditionally, the haze of the film is 4.5% or less and the adhesive strength is 5.0 or more. In addition, the sealing start temperature of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90°C or lower. In other words, it is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excellent adhesive strength (sealing strength) even at low temperatures with a sealing start temperature of 90°C or low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은 오염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이 좋고, 두께 편차 및 평활성 등이 우수한 공정을 제공한다.As such,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with high productivity by minimizing contamination and excellent thickness deviation and smoothness.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하기의 제조예 및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Hereinafter,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will be illustrated. The following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are provided only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Manufacture of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실시예 1] -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Example 1] - Preparation of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열접착층에는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40w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55wt% 및 마스터칩 5wt%(합성실리카 5wt% 함유)그래뉼을 사용하고, 결합층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60wt%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40wt% 그래뉼을 사용하고, 제1코어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 그래뉼을 사용하고, 제2코어층에도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 그래뉼을 사용하고, 표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98wt% 및 마스터칩 2wt%(합성실리카 5wt% 함유) 그래뉼을 사용하여, 각각의 층을 다른 압출기로 밀어내어 롤로 용융 접착하여 열접착층-결합층-제1코어층-제2코어층-표층으로 적층된 5층 필름으로 압출하고, 캐스팅 롤에서 65℃로 냉각고체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연신 시트를 종방향으로 4배 연신후에, 횡방향으로 9배 연신하고, 다수 구역으로 구성된 열처리존에서 135℃로 단계적으로 열처리하여 30㎛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The thermal bonding layer uses 40wt%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55wt% polyolefin elastomer, and 5wt% master chip (containing 5wt% synthetic silica) granules, and the bonding layer uses 60wt% polyolefin elastomer and 40wt% ethylene vinyl acetate granules. The first core layer uses 100wt% high-density polyethylene granules, the second core layer also uses 100wt% high-density polyethylene granules, and the surface layer contains 98wt%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2wt% master chip (containing 5wt% synthetic silica) granules. Using a , each layer is extruded by another extruder, melted and bonded with a roll, and extruded into a 5-layer film laminated as a heat sealing layer, a bonding layer, a first core layer, a second core layer, and a surface layer, and the casting roll is heated to 65°C. An unstretched sheet was produced by cooling and solidifying. 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4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n stretched 9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n stepwise heat treated at 135°C in a heat treatment zone composed of multiple zones to produce a 30㎛ thick film.

[실시예 2] -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Example 2] - Preparation of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열접착층에는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30w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60wt% 및 마스터칩 10wt%(합성실리카 5wt% 함유) 그래뉼을 사용하고, 결합층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70wt%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0wt% 그래뉼을 사용하고, 표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95wt% 및 마스터칩 5wt%(합성실리카 5wt% 함유) 그래뉼을 사용하여, 30.4㎛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The thermal bonding layer uses 30wt%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60wt% polyolefin elastomer, and 10wt% master chip (containing 5wt% synthetic silica) granules, and the bonding layer uses 70wt% polyolefin elastomer and 30wt% ethylene vinyl acetate granules. The surface lay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30.4㎛ thick film was prepared using 95wt%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5wt% master chip (containing 5wt% synthetic silica) granules.

[실시예 3] -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Example 3] - Preparation of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열접착층에는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50w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47wt% 및 마스터칩 3wt%(합성실리카 5wt% 함유) 그래뉼을 사용하고, 결합층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50wt%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50wt% 그래뉼을 사용하고, 표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99wt% 및 마스터칩 1wt%(합성실리카 5wt% 함유) 그래뉼을 사용하여, 30.0㎛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The thermal bonding layer uses 50wt%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47wt% polyolefin elastomer, and 3wt% master chip (containing 5wt% synthetic silica) granules, and the bonding layer uses 50wt% polyolefin elastomer and 50wt% ethylene vinyl acetate granules. The surface lay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30.0㎛ thick film was prepared using 99wt%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1wt% master chip (containing 5wt% synthetic silica) granules.

[비교예 1] -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Comparative Example 1] - Production of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열접착층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55w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43wt% 및 마스터칩 2wt%(합성실리카 5wt% 함유) 그래뉼을 사용하고, 결합층은 폴리에틸렌 엘라스토머 45wt%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55wt% 그래뉼을 사용하고, 표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99.5wt% 및 마스터칩 0.5wt%(합성실리카 5wt% 함유) 그래뉼을 사용하여 열접착층-결합층-표층으로 적층된 3층 필름으로 두께가 30.1㎛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The thermal bonding layer uses 55wt%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43wt% polyolefin elastomer, and 2wt% master chip (containing 5wt% synthetic silica) granules, and the bonding layer uses 45wt% polyethylene elastomer and 55wt% ethylene vinyl acetate granules. The surface layer is a three-layer film laminated as a heat sealing layer, bonding layer, and surface layer using 99.5 wt%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0.5 wt% master chip (containing 5 wt% synthetic silica) granules, except that the thickness is 30.1 ㎛. A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1.

[비교예 2] -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Comparative Example 2] - Production of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열접착층에는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73wt% 및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27wt% 그래뉼을 사용하고, 결합층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72wt%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28wt% 그래뉼을 사용하고, 표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 그래뉼을 사용하여, 31.2㎛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The thermal bonding layer uses 73wt%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and 27wt% polyolefin elastomer granules that do not contain inorganic particles, the bonding layer uses 72wt% polyolefin elastomer and 28wt% ethylene vinyl acetate granules, and the surface layer uses 100wt% high-density polyethylene granules. A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film with a thickness of 31.2 μm was prepared.

[비교예 3] -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Comparative Example 3] - Production of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열접착층에는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65w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23wt% 및 마스터칩 12wt%(합성실리카 5wt% 함유) 그래뉼을 사용하고, 결합층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20wt%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80wt% 그래뉼을 사용하고, 표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93wt% 및 마스터칩 7wt%(합성실리카 5wt% 함유)그래뉼을 사용하여, 30.0㎛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The thermal bonding layer uses 65wt%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23wt% polyolefin elastomer, and 12wt% master chip (containing 5wt% synthetic silica) granules, and the bonding layer uses 20wt% polyolefin elastomer and 80wt% ethylene vinyl acetate granules. A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urface layer was made of 93 wt%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7 wt% master chip (containing 5 wt% synthetic silica) granules, and a 30.0 μm thick film was prepared.

[비교예 4] -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Comparative Example 4] - Production of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미연신 시트를 종방향으로 6배 연신후에, 횡방향으로 12배 연신하여 필름 두께가 20.2㎛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6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stretched 12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lm thickness was 20.2 ㎛.

[비교예 5] -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Comparative Example 5] - Production of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미연신 시트를 종방향으로 3배 연신후에, 횡방향으로 8배 연신하여 필름 두께가 41.0㎛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3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stretched 8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lm thickness was 41.0 ㎛.

[비교예 6] -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Comparative Example 6] - Production of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미연신 시트를 종방향으로 6배 연신후에, 횡방향으로 8배 연신하여 필름 두께가 28.0㎛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6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8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lm thickness was 28.0 ㎛.

하기 표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성분과 함량을 나타낸다.Table 1 below shows the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또는
비교예
Example or
Comparative example
층구분Floor classification 성분 및 함량(wt%)Ingredients and content (wt%) 연신비(배)Extension ratio (pear) 필름 전체
두께 (㎛)
film full
Thickness (㎛)
HDPEHDPE LLDPELLDPE POEPOE EVAEVA 마스터칩master chip 종방향longitudinal 횡방향transverse 실시예 1Example 1 열접착층Heat adhesive layer -- 4040 5555 -- 55 44 99 30.030.0 결합층bonding layer -- -- 6060 4040 -- 제1코어층1st core layer 100100 -- -- -- -- 제2코어층2nd core layer 100100 -- -- -- -- 표층surface layer 9898 -- -- -- 22 실시예 2Example 2 열접착층Heat adhesive layer -- 3030 6060 -- 1010 44 99 30.430.4 결합층bonding layer -- -- 7070 3030 -- 제1코어층1st core layer 100100 -- -- -- -- 제2코어층2nd core layer 100100 -- -- -- -- 표층surface layer 9595 -- -- -- 55 실시예 3Example 3 열접착층Heat adhesive layer -- 5050 4747 -- 33 44 99 30.030.0 결합층bonding layer -- -- 5050 5050 -- 제1코어층1st core layer 100100 -- -- -- -- 제2코어층2nd core layer 100100 -- -- -- -- 표층surface layer 9999 -- -- -- 1On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열접착층Heat adhesive layer -- 5555 4343 -- 22 44 99 30.130.1 결합층bonding layer -- -- 4545 5555 -- 표층surface layer 99.599.5 -- -- -- 0.50.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열접착층Heat adhesive layer -- 7373 2727 -- -- 44 99 31.231.2 결합층bonding layer -- -- 7272 2828 -- 제1코어층1st core layer 100100 -- -- -- -- 제2코어층2nd core layer 100100 -- -- -- -- 표층surface layer 100100 -- -- -- --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열접착층Heat adhesive layer -- 6565 2323 -- 1212 44 99 30.030.0 결합층bonding layer -- -- 2020 8080 -- 제1코어층1st core layer 100100 -- -- -- -- 제2코어층2nd core layer 100100 -- -- -- -- 표층surface layer 9393 -- -- -- 77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1과 성분 및 함량 동일Same ingredients and content as Example 1 66 1212 20.220.2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실시예 1과 성분 및 함량 동일Same ingredients and content as Example 1 33 88 41.041.0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실시예 1과 성분 및 함량 동일Same ingredients and content as Example 1 66 88 28.028.0

<시험예><Test example>

[시험예 1] - 접착강도 시험[Test Example 1] - Adhesion strength test

실시예 내지 비교예에 따라 각각 제조된 필름을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KS F 3101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The film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to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KS F 3101 metho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시험예 2] - 투명도 시험[Test Example 2] - Transparency test

실시예 내지 비교예에 따라 각각 제조된 필름을 NIPPON DENSHOKU(Japan, Model NDH-7000)사의 헤이즈미터를 이용하여 ASTM D-1003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The film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to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D-1003 method using a haze meter from NIPPON DENSHOKU (Japan, Model NDH-7000).

[시험예 3] - 열수축율(MD/TD) 시험[Test Example 3] - Heat shrinkage (MD/TD) test

실시예 내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 10cm × 10cm로 재단하고, 100℃에서 5분간 열풍가열 후, 시편의 종방향(MD)과 횡방향(TD)의 길이를 하기의 식에 따라 측정하였다.The film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cut into 10 cm

열수축율(%) = (열처리전 길이 - 열처리후 길이)/(열처리전 길이) × 100Heat shrinkage rate (%) = (length before heat treatment - length after heat treatment)/(length before heat treatment) × 100

[시험예 4] - 인장강도, 파단연신율 시험[Test Example 4] -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test

실시예 내지 비교예에 따라 각각 제조된 필름을 10cm × 10cm로 재단하고, 척간간격이 50mm가 되도록 장착하여 ASTM D-882로 측정하였다.The film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to Comparative Examples were cut to 10 cm × 10 cm, mounted so that the spacing between chucks was 50 mm, and measured using ASTM D-882.

[시험예 5] - 마찰계수 시험[Test Example 5] - Friction coefficient test

실시예 내지 비교예에 따라 각각 제조된 필름을 ASTM D-1894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The film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to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D-1894 measurement method.

하기 표 2는 상기 시험예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Table 2 below shows the results for the above test examples.

시험항목Test Items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필름두께(㎛)Film thickness (㎛) 30.030.0 30.430.4 30.030.0 30.130.1 31.231.2 30.030.0 20.220.2 41.041.0 28.028.0 접착강도
(kgf/15mm)
Adhesive strength
(kgf/15mm)
5.35.3 5.65.6 5.15.1 3.73.7 4.34.3 4.14.1 4.34.3 4.34.3 3.93.9
헤이즈(%)Haze (%) 4.04.0 4.44.4 3.83.8 6.56.5 7.17.1 6.26.2 5.15.1 5.85.8 5.35.3 열수
축율
(%)
thermal water
reduction rate
(%)
MDM.D. 3.003.00 3.003.00 2.752.75 4.754.75 2.702.70 2.752.75 4.504.50 4.254.25 3.253.25
TDTD 1.251.25 1.501.50 1.001.00 4.504.50 1.001.00 2.702.70 2.502.50 2.252.25 1.251.25 인장
강도
(MPa)
Seal
robbery
(MPa)
MDM.D. 78.078.0 81.881.8 86.886.8 62.862.8 75.475.4 71.871.8 63.063.0 70.370.3 72.272.2
TDTD 257.1257.1 280.3280.3 296.9296.9 169.2169.2 237.4237.4 210.5210.5 171.2171.2 248.5248.5 194.2194.2 파단
연신율
fracture
elongation
MDM.D. 313.5313.5 321.1321.1 331.4331.4 241.2241.2 270.3270.3 252.2252.2 252.1252.1 271.0271.0 301.2301.2
TDTD 44.544.5 45.245.2 47.247.2 37.937.9 35.735.7 33.233.2 33.133.1 37.737.7 40.240.2 마찰
계수
friction
Coefficient
IN/ININ/IN 0.320.32 0.260.26 0.350.35 0.350.35 0.410.41 0.300.30 0.330.33 0.400.40 0.310.31
OUT/OUTOUT/OUT 1.151.15 1.20 1.20 1.291.29 1.431.43 1.521.52 1.261.26 1.261.26 1.751.75 1.321.3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접착강도 5.0 ~ 6.0kgf/15mm, 열수축율이 3.0% 이하, 헤이즈가 4.5 이하, 마찰계수가 0.35(IN)/1.30(OUT) 이하로서 인쇄용 및 합지용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접착력으로 실러블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낮은 마찰계수로 인하여 가공 또한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ferring to Table 2,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hesive strength of 5.0 to 6.0 kgf/15mm, a heat shrinkage rate of 3.0% or less, a haze of 4.5 or less, and a coefficient of friction of 0.35 (IN). It was found that it is not only suitable for printing and lamination as it is less than /1.30(OUT), but also is a base film for sealables with excellent adhesive strength, and is also easy to process due to the low coefficient of friction.

특히, 다층 구조로 된 필름의 열접착층 및 결합층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여, 모든 실시예에서 접착강도가 5.0 ~ 6.0kgf/mm로서, 실러블용 접착강도 허용수준인 3.5kgf/15mm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접착성 촉진제로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와 에틸렌비닐아세트를 적정 함량을 포함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비교예의 경우 모든 실시예에 비해 접착강도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연신비 및 횡연신비가 지나치가 작은 비교예 5의 경우에 접착강도가 가장 낮을 값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접착강도는 접착성 촉진제의 유무와 적정 함량 및 연신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particular, the heat sealing layer and the bonding layer of the multi-layered film contain at least one of polyolefin elastomer or ethylene vinyl acetate, and the adhesive strength is 5.0 to 6.0 kgf/mm in all examples, which is an acceptable adhesive strength level for sealable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more than 3.5kgf/15mm. It was found that this was the result of including appropriate amounts of polyolefin elastomer and ethylene vinyl acetate as adhesion promote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content of polyolefin elastomer was relatively small, it was found that the adhesive strength was lowered compared to all exampl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strength showed the lowest value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5, where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tretch ratios were excessively small.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affect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dhesive promoter, the appropriate content, and the stretching ratio.

또한, 모든 실시예에서 3% 이하의 열수축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내열성이 좋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2층 이상에서 사용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적고 3층으로 구성된 비교예 1, 종방향 및 횡방향 연신비가 모든 실시예에 비해 큰 비교예 4의 경우 열수축율이 현저히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지의 종류 및 함량뿐만 아니라, 종방향 및 횡방향의 연신비도 본 발명인 필름의 열수축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ll examples showed a heat shrinkage rate of 3% or less. It was found that this was the result of using high-density polyethylene, which has good heat resistance, in two or more laye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which had a small conten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consisted of three layers, and Comparative Example 4, where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 stretching ratios were larger than those of all examples, it was found that the thermal contraction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the type and content of the resin, but also the stretching ratio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ffected the thermal contraction rate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모든 실시예에서 4.5% 이하의 투명도를 얻을 수 있었다. 반면, 3층으로 구성된 비교예 1과,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경우 6% 초과의 투명도를 나타내었고, 연신비만 실시예 1과 상기한 비교예 4 내지 6은 모든 실시예에 비해 탁도가 상승, 즉 투명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지 종류 및 함량뿐만 아니라, 연신비도 본 발명인 필름의 물성, 즉 투명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dditionally, transparency of 4.5% or less was obtained in all examples. 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which were composed of three layers, showed transparency exceeding 6%, and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4 to 6 only had lower draw ratio turbidity than all examples.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that is, the transparency decreas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the type and content of resin, but also the stretching ratio affects the physical properties, that is, transparency,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마찰계수가 0.35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안티브로킹 마스터배치인 마스터칩이 모든 실시예에 소량 첨가됨으로써, 본 발명인 필름의 마찰계수 향상을 방지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인 필름의 표면이 매끄럽고, 꼬이거나 둘러붙지 않아 인쇄용 및 합지용 베이스 필름으로써 가공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무기물 입자인 마스터칩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는 마찰계수가 0.40 이상으로 가장 높고, 아주 소량 함유한 비교예 1이 그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고, 비교예 3이 가장 낮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비교예 3은 마스터칩이 다량 추가되나,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적어 실시예에 비해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분 및 함량은 실시예 1과 동일하나 연신비가 상이한 비교예 4 내지 6은 모든 실시예에 비해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마찰계수는 안티브로킹 마스터배치의 유무와 함량,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 종방향 및 횡방향 연신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riction coefficient was 0.35 or less in al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evented the improvement of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small amount of master chip, an anti-blocking masterbatch, to all examp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urface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mooth and was not twisted or stuck, making it suitable for processing as a base film for printing and lamination. 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 2, which did not contain the master chip, which was an inorganic particle, had the highest friction coefficient of over 0.40, Comparative Example 1, which contained a very small amount, ranked next, and Comparative Example 3 ranked lowest. In Comparative Example 3, a large amount of master chips were added, but the conten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was small, so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 higher coefficient of friction compared to the Example. In addition, Comparative Examples 4 to 6, which had the same components and contents as Example 1 but different stretching ratios, were found to have higher friction coefficients than all Example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friction coefficient was also affected by the presence and content of anti-blocking masterbatch, the conten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tretching ratios.

인장강도 및 파단연신율 또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기반으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마스터칩을 적절하게 함유한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t was confirmed that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of the example based on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appropriately containing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ethylene vinyl acetate, and master chip were higher than the comparative example.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제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Claims (18)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에 있어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마스터칩을 포함하는 열접착층;
상기 열접착층 상면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결합층;
상기 결합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1코어층;
상기 제1코어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2코어층; 및
상기 제2코어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마스터칩을 포함하는 표층;을 포함하며,
상기 열접착층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텔렌 30 ~ 50w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45 ~ 65wt 및 마스터칩 3 ~ 10wt%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층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50 ~ 70wt%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0 ~ 50wt%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밀도가 0.93 ~ 0.95g/cm3이고, 용융지수(MI)가 1 ~ 6이고,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비닐아세테이트를 12 ~ 18wt%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In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 thermal adhesive layer containing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and a master chip;
A bonding layer containing polyolefin elastomer and ethylene vinyl ace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ealing layer;
A first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layer;
a second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e layer; and
It includes a surface layer containing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a master chi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e layer,
The heat sealing layer contains 30 to 50 wt% of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45 to 65 wt% of polyolefin elastomer, and 3 to 10 wt% of master chip, based on the total weight percent,
The bonding layer contains 50 to 70 wt% of polyolefin elastomer and 30 to 50 wt% of ethylene vinyl acetate based on the total weight%,
The ethylene vinyl acetate has a density of 0.93 to 0.95 g/cm3 and a melt index (MI) of 1 to 6,
The ethylene vinyl acetate is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12 to 18 wt% of vinyl acetate based on the total we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95 ~ 99wt% 및 마스터칩 1 ~ 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rface layer is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95 to 99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1 to 5 wt% of master chip based on the total weight perc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칩은 실리카, 합성실리카,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PMMA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5 ~ 10wt%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According to clause 5,
The master chip is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5 to 10 w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silica, synthetic silica, zeolite, calcium carbonate, and PMM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층의 두께는 1 ~ 2㎛이고, 상기 결합층의 두께는 2 ~ 4㎛이고, 상기 제2코어층의 두께는 2 ~ 3㎛이고, 상기 표층의 두께는 1 ~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투명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hickness of the heat sealing layer is 1 to 2 ㎛,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layer is 2 to 4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re layer is 2 to 3 ㎛, and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layer is 1 to 2 ㎛.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종방향으로 4 ~ 5배 연신하고, 횡방향으로 9 ~ 11배 연신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is manufactured by stretching 4 to 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9 to 11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실링개시온도가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is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start temperature is 90 ° C. or l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접착강도가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is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5.0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100℃ ~ 120℃에서 5 ~ 15분동안 열풍가열 후, 열수축율이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is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shrinkage rate is 3% or less in both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fter heating with hot air at 100 ° C. to 120 ° C. for 5 to 15 minu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산업용 코팅, 연포장재 인쇄 및 합지용, 실러블용 베이스 필름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is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as a base film for industrial coating, printing and lamination of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and sealables.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마스터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여 210 ~ 250℃에서 용융압출 한 후, T-Die를 통해 적어도 3층 이상의 다층으로 토출하고, 캐스팅 롤을 이용하여 70℃ 이하로 급냉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연신 시트를 120 ~ 125℃에서 종방향으로 4 ~ 5배 1차 연신하는 단계;
상기 1차 연신된 필름을 125 ~ 130℃에서 횡방향으로 9 ~ 11배 2차 연신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연신된 필름을 열처리존에서 125 ~ 135℃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t least on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elastomer, ethylene vinyl acetate, and master chip is melt-extruded at 210 to 250°C, and then discharged in at least three layers through a T-Die, and a casting roll is used. manufacturing an unstretched sheet by rapidly cooling it to 70°C or lower;
First stretching the unstretched sheet 4 to 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120 to 125°C;
Secondary stretching the first stretched film 9 to 11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125 to 130°C;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on, comprising the step of heat-treating the secondarily stretched film at 125 to 135° C. in a heat treatment zon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층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30 ~ 50w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45 ~ 65wt% 및 마스터칩 3 ~ 10wt%를 포함하는 열접착층;
상기 열접착층 상면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50 ~ 70wt%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0 ~ 50wt%를 포함하는 결합층;
상기 결합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1코어층;
상기 제1코어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wt%을 포함하는 제2코어층; 및
상기 제2코어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95 ~ 99wt% 및 마스터칩 1 ~ 5wt%를 포함하는 표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unstretched sheet,
The multilayer is,
A heat sealing layer containing 30 to 50 wt% of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45 to 65 wt% of polyolefin elastomer, and 3 to 10 wt% of master chip;
A bonding layer containing 50 to 70 wt% of polyolefin elastomer and 30 to 50 wt% of ethylene vinyl ace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ealing layer;
A first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layer;
a second core layer containing 100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e lay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on, comprising a surface layer containing 95 to 99 w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1 to 5 wt% of a master chi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e lay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연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접착층은 상기 표층의 연신온도보다 10℃이하인, 110 ~ 115℃에서 종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14,
In the first stretching step,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ermal adhesive layer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110 to 115 ° C, which is 10 ° C lower than the stretching temperature of the surface lay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연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종방향 1차 연신은 코팅된 연신롤을 사용하고, 코팅된 상기 연신롤의 배치는 상기 미연신 시트가 코팅된 상기 연신롤을 감싸고 나가는 동안 접촉을 최대로 하면서, 상기 미연신 시트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180℃ 이상의 랩각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In the first stretching step,
The longitudinal primary stretching uses a coated stretching roll, and the arrangement of the coated stretching roll is such that the unstretched sheet maximizes contact while wrapping and exiting the coated stretching roll and prevents the unstretched sheet from slipp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characterized in that a wrap angle of 180°C or higher is maintain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된 연신롤에서,
코팅 재질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의 밀도는 2.13-2.20g/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16,
In the coated stretching roll,
The coating material includes polytetrafluoroethylene,
A method for producing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nsity of the polytetrafluoroethylene is 2.13-2.20 g/cc.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은 오염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생산을 가능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7,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iaxially stretch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thermal adhe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minimizes contamination and enables long-term production.
KR1020230074028A 2023-06-09 2023-06-09 Biaxially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an Excellent Heat-Seal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y Thereof KR1026208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028A KR102620810B1 (en) 2023-06-09 2023-06-09 Biaxially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an Excellent Heat-Seal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028A KR102620810B1 (en) 2023-06-09 2023-06-09 Biaxially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an Excellent Heat-Seal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y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810B1 true KR102620810B1 (en) 2024-01-03

Family

ID=8953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028A KR102620810B1 (en) 2023-06-09 2023-06-09 Biaxially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an Excellent Heat-Seal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y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81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864A (en) 2009-12-30 2011-07-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Biaxyally oriented polyester thermal adhesive film
JP2019517938A (en) * 2016-06-03 2019-06-27 ボレアリス エージー Multilayer structure
JP2022187929A (en) * 2021-06-08 2022-12-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Laminate and wrapp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864A (en) 2009-12-30 2011-07-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Biaxyally oriented polyester thermal adhesive film
JP2019517938A (en) * 2016-06-03 2019-06-27 ボレアリス エージー Multilayer structure
JP2022187929A (en) * 2021-06-08 2022-12-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Laminate and wrap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6749B1 (en) Polyethylene laminates for use in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US4623587A (en) Multi-layer film or sheet material
JP5883360B2 (en) LAMINATED FILM COMPOSITION, PACKAGE PRODUCT MADE FROM THEM, AND METHOD OF USE
EP2598326B1 (en) Heat sealable film with linear tear properties
JP5667064B2 (en) Biaxially stretched film
JP2024041794A (en)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propylene film
JP2019517938A (en) Multilayer structure
US2005022703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thylene copolymer
AU699596B2 (en) Heat sealable multilayer film and its method of preparation
JPH02171241A (en) High-strength highly modulous polyolefin composite improved in stretching capacity in solid
CN1894095A (en) Lamination adhesion of foil to thermoplastic polymers
JP7372129B2 (en) Polypropylene multilayer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3072686B1 (en) Multi-layer polymeric films
US20170282507A1 (en) Biaxially oriented polyolefin film with high moisture vapor barrier and stiffness properties
JP4392859B2 (en)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0385905B (en) Laminated co-extrusion film containing double-protection core barrier layers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KR102620810B1 (en) Biaxially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an Excellent Heat-Seal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y Thereof
JP2023044724A (en) Biaxially-oriented polyethylene thin films for thermoforming,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ethod for using the same, thermoforming method, and products
CN115674838A (en) Stiffness-enhanced temperature-resistant polyethylen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648996B1 (en) Biaxially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an Excellent Heat-Resistance and Transparenc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y Thereof
JP7315717B2 (en) multilayer structure
JP2023015849A (en) Laminate for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outer package
EP0298730A1 (en) Oriented polypropylene films
JPS62268621A (en) Manufacture of laminating non-oriented raw film
WO2023127972A1 (en) Polypropylene multi-layer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