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808B1 -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 Google Patents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808B1
KR102620808B1 KR1020220190089A KR20220190089A KR102620808B1 KR 102620808 B1 KR102620808 B1 KR 102620808B1 KR 1020220190089 A KR1020220190089 A KR 1020220190089A KR 20220190089 A KR20220190089 A KR 20220190089A KR 102620808 B1 KR102620808 B1 KR 102620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amera
information
computing devi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90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민기
Original Assignee
(주)재미진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미진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재미진 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22019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8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80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36Morpholog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20044Skeletonization; Medial axis trans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팅장치는 기 디자인된 캐릭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that includes a computing device, wherein the computing device displays a pre-designed character on a display unit.

Description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의 디자인된 캐릭터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모델링한 캐릭터를 포함하는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that receives user input for an existing designed character and includes a character modeled based on the received input.

근래에 애니메이션 제작기술일 발달함에 따라, 캐릭터를 생성하거나, 모델링하여 이를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중에서 기존 캐릭터를 기반으로 이를 활용하기 위한 프로덕션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특히 그래픽카드가 발달함에 따라 이와 같은 모델링이 컴퓨터 환경 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래픽 소프트웨어들이 시중에 배포되고 있다. As animation produc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in recent years, attempts to utilize this by creating or modeling characters are actively underway. In particular, attempts are being made to produce and utilize existing characters based on existing characters, and in particular, as graphics cards develop, graphics software that allows such modeling to be performed in a computer environment is being distributed on the market. .

한편, 최근 메타버스 캐릭터 제작 시스템에서는 캐릭터의 사실적인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복수의 마커를 부착한 연기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골격을 생성하고, 미리 구현한 캐릭터 이미지에 생성된 골격을 리깅함으로써 실제 연기자의 모션이 반영된 캐릭터의 움직임을 구현, 생동감을 불러 일으키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Meanwhile, the recent Metaverse character creation system uses various methods to implement realistic movements of characters. Most commonly, the skeleton is created by sensing the movements of an actor with multiple markers attached, and the skeleton created in a pre-implemented character image is rigged to create character movement that reflects the actual actor's motion, creating a sense of vitality. It's in progress.

여기서, 메타버스 가상 공간 내에서 캐릭터가 다양한 가상 사물과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 경우, 가상 사물과의 상호 작용에 따른 캐릭터의 움직임 변화를 구현하기 위해, 연기자는 가상 사물에 대응하는 실제 사물과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연기를 하며, 이러한 연기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게 된다.Here, when a character interacts with various virtual objects with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in order to implement changes in the character's movement according to interaction with the virtual objects, the actor interacts with real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objects. The performer performs the act and senses the actor's move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캐릭터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캐릭터를 기반으로 하여, 캐릭터를 모델링하여 3D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들의 움직임을 반영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이를 메타버스 가상 공간 내에서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대비 일원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3D image by modeling the character based on an existing character or a character input by the user, create content reflecting their movements, and provide it with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ast. The goal is to improve user convenience by providing a unified ser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팅장치는 기 디자인된 캐릭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wherein the computing device displays a pre-designed character on a display unit.

상기 컴퓨팅장치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부; 저장부; 크롤링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팅장치로부터 상기 기 디자인된 캐릭터와 관련된 캐릭터정보에 대한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캐릭터정보를 검색엔진 또는 상기 서버 자체적 API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상기 캐릭터정보에 대한 검색결과를 크롤링한 검색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검색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며,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제1카테고리는 상기 캐릭터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제2카테고리는 상기 캐릭터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텍스트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정보에서 기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포함된 대표이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대표이미지에 대응하는 2차원상의 2D캐릭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2D캐릭터를 상기 복수의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상기 대표이미지에 대한 후면이미지 및 측면이미지에 기초하여 3차원상의 3D캐릭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팅장치가 접속할 수 있도록 생성된 메타버스에 상기 생성된 3D캐릭터가 반영된 상기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3D아바타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팅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텍스트정보에 포함된 성별, 인종, 나이, 직업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3D아바타에 상기 제2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변경사항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ncludes a server network-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wherein the serv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storage unit; crawling department; and a control unit, wherein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first user input for charact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designed character from the computing device, the control unit sends the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nput to a search engine or the server itself. Search using an API to obtain search information that crawls the search results for the character information, classify the obtained search information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classified according to preset standards, and the first category among the plurality of categories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a second category among the plurality of categories includes a plurality of 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Identify the included representative image, create a two-dimensional 2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representative image, and attach the created 2D character to the back image and side image for the representative imag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is, a 3D character is created in three dimensions,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3D avatar that can move within the metaverse space in which the generated 3D character is reflected in the metaverse created so that the computing device can access, and the control unit When receiving a second user input for any one of gender, race, age, and occupation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text information from the computing device, chang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input are reflected in the 3D avatar.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컴퓨팅장치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행동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행동영상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과 관련된 골격움직임을 추출하여, 상기 3D아바타에 해당 움직임이 반영된 이모티콘을 생성하며,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거치부는 상기 카메라를 고정 및 탈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의 하중을 지지하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의 일 모서리에 위치하여 삽입홈을 포함하는 삽입프레임; 상기 카메라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카메라 내부에 마련된 홈에 회전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여 마련된 나사선;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거치부는 상기 삽입프레임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부에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싱; 상기 삽입홈 및 삽입프레임이 내부에 관통삽입 될 때 이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레버; 상기 삽입홈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카메라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일단에 걸림턱; 타단에는 상기 고정된 카메라를 탈착하도록 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레버베이스; 상기 케이싱 내 일 영역에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에서 상기 걸림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거치부는 상기 삽입프레임이 내부로 관입하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삽입홈에 맞닿아 고정하며,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레버베이스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이 상기 삽입홈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삽입홈이 걸림상태를 벗어나 상기 카메라를 탈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further includes a camera network-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wherein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action image captured from the camera, the control unit extracts a skeletal movement related to an action performed based on the acti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3D avatar. It generates an emoticon reflecting the movement, and the camera includes a camera holder, wherein the camera holder includes a mounting frame that is provided to fix and detach the camera and supports the load of the camera. An insertion frame located at one corner of the mounting frame and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It includes a thread provided correspondingly so that it can be rotated and inserted into a groove provided inside the camera for coupling with the camera, wherein the camera holder includes a base at the bottom to provide a space for the insertion frame to penetrate and be fixed. A casing formed to surround the base; A locking lever for fixing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insertion frame when they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 locking protrusion at one end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to allow the camera to be fixed; A lever base including a button at the other end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xed camera;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lever on a rotation axis that allows rotation in a region within the casing, and when the insertion frame penetrates the camera holder, the locking protrusion abuts against the insertion groove and is fixe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lever base rotates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discharged from the insertion groove, allowing the insertion groove to break out of the locked state and detach the camera.

기존 캐릭터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캐릭터를 기반으로 하여, 캐릭터를 모델링하여 3D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들의 움직임을 반영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이를 메타버스 가상 공간 내에서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대비 일원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ased on existing characters or characters entered by users, 3D images are created by modeling the characters, content reflecting their movements is created and provided with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providing a unified service compared to the past.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동작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카메라가 추가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카메라거치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카메라거치부의 동작수행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algorithm of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amera is added to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mera holder in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camera holder in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refer to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r operation described in the examples below.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 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singular expressions ar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cludes expressions of In addition,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nsist', 'include', and 'have' refer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lternative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is not excluded in advance.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or 'uni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nd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and can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processor.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refers to not only all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but also each one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excluding the others or a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configured to” may mean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Configured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specifically designed to” in terms of hardware. Instead, 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working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hrase "processor configured (or set) to perform A, B, and C" refers to a processor dedicated to performing the operations (e.g., an embedded processor), or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on a memory device. , may refer to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is is intended to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and therefore does not limi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동작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카메라(300)가 추가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카메라거치부(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카메라거치부(400)의 동작수행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algorithm of the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amera 300 is added to the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holder 400 in the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holder 400 in the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state diagram of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기 디자인된 캐릭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컴퓨팅장치(100) 및 이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200)를 포함한다.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uting device 100 including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pre-designed character, and a server 200 connected thereto through a network.

여기서 디자인된 캐릭터란 독특한 인물이나 동물의 모습을 디자인에 도입한 것으로,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 나오는 등장인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또는 시각적으로 특정 감정적 효과를 불러일으키도록 만들어진 2D 또는 3D 캐릭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캐릭터는 사전에 사용자 등에 의해 디자인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a designed character is one that incorporates the appearance of a unique person or animal into the design, and may refer to a character from an animation, game, etc., or may refer to a 2D or 3D character visually created to evoke a specific emotional effect. there is. Meanwhile, such characters may include ones designed in advance by a user, etc.

컴퓨팅장치(100)는 예컨대, 개인 컴퓨터, 서버(200)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데이터 처리를 중앙 서버(200)가 아닌 데이터가 발생하는 주변(edge)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에지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며, 기재된 것만으로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Computing device 100 may be,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server 200 computer, handheld or laptop device, mobile device (mobile phone, PDA, media player, etc.), multiprocessor system, consumer electronic device, mini computer, mainframe computer. , distributed computing including any of the above-described systems or devices, and an edge computing environment in which data is processed at the edge where the data is generated rather than at the central server 200, and is comprised only of the description. It is not limited.

컴퓨팅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Computing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memory. Here, the processor may include,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etc.,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You can have a core.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장치(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The memory may be volatile memory (eg, RAM, etc.), non-volatile memory (eg, ROM, flash memory, etc.), or a combination thereof. Additionally, computing device 100 may include additional storage. Storage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agnetic storage, optical storage, etc.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one or mor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and other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an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program, etc. may also be stored.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stored in storage may be loaded into memory for execution by a processor.

또한, 컴퓨팅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300),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장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사용자입력부 또는 출력 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컴퓨팅 장치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장치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and an output device.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keyboard, mouse, pen, voice input device, touch input device, infrared camera 300, video input device, or any other input device. Additionally,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displays, speakers, printers, or any other output devices. Additionally, the computing device may use an input device or output device provided in another computing device as a user input unit or output device. Additionally,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allows the computing device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Her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modem, a network interface card (NIC), an integrated network interface,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receiver, an infrared port, a USB connection, or other interfaces for connecting the computing device to other computing devices.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wired connection or a wireless connection.

컴퓨팅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 (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be connected by various interconnections such as buses (e.g.,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USB, firmware (IEEE 1394), optical bus structure, etc.), They may also be interconnected by a network.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component", "system", etc. generally refer to computer-related entities that are hardwar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or software in exec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컴퓨팅장치(1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며,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각각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제작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외부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etwork 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100 and can store various data, and other external devices included in each animation character creation system through programs or applications. You can control th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통신부, 저장부, 크롤링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a crawling unit,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컴퓨팅장치(100) 또는 외부의 다른 전자장치 등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adio Control,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는 BLE(Bluetooth Low Energy), SPP(Serial Port Profile), Wi-Fi Direct, 적외선 통신,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municate with the computing device 100 or other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in addition to a connection unit including a connector or terminal for wired connec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one or more of Wi-Fi, Bluetooth, Zigbee, infrared communication, Radio Control, Ultra-Wide Band (UWM), Wireless USB,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BLE (Bluetooth Low Energy), SPP (Serial Port Profile), Wi-Fi Direct, infrared communication, Zigbee,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의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통신사별 IoT망을 갖는 IoT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IoT통신모듈은 별개의 통신부를 가진 복수의 사물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다양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IoT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oT통신모듈을 이용하면 설정된 지역 내에서 보다 원활한 통신망이 제공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described above. It may include an IoT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n IoT network for each communication company, and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network of a plurality of objects having separate communication units. It can refer to all IoT communication networks that are connected through and enable services based on various platforms. By using such IoT communication modules, a more seam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provided within the designated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통신부를 통해 컴퓨팅장치(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외부 검색플랫폼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수신된 수집정보 중 키워드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와 텍스트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후술할 제어부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제어부에 의해 엑세스되어,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는 서버(200)에 대한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기 위한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computing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receiv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arch platform and store it, and may store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among the collected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Image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stored. The storage unit can store various data according to the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torage unit is accessed by the control unit to read, record, modify, delete, update, etc. data. The storage unit uses a non-volatile device such as flash memory, hard-disc drive, or solid-state drive (SSD) to preserve data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system power is provided to the server 200. May contain volatile memory.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volatile memory such as a buffer or RAM for temporarily loading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롤링부는 복수의 검색엔진을 접속하여, 복수의 검색엔진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대한 검색 시 웹 상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를 외부플랫폼 또는 서버(200)로부터의 API를 통해 이들을 크롤링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크롤링은 API를 통해 하는 것 외에도 API를 이용하지 않고 복수의 검색엔진 각각의 웹사이트 주소를 찾아내고, 해당 웹사이트 주소의 URL을 탐색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현된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플랫폼이란 복수의 검색엔진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컨대, 외부플랫폼에서의 API는 구글, 네이버, 다음, 야후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craw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plurality of search engines, and retrieves a plurality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web from an external platform or server 200 when searching for user input fo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arch engines. It can serve to collect information by crawling them through API.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using the API, crawling is implemented to collect information by finding the website address of each of multiple search engines without using the API and repeating the process of searching the URL of the website address. It can include all means. In addition, external platforms mean using APIs provided by multiple search engines. For example, APIs in external platforms may include Google, Naver, Daum, Yahoo,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서버(2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 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서버(200) 외에도 다른 외부의 전자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control to operate various components of the server 200.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ntrol program (or instructions) that allows performing such control operations, an inactive memory in which the control program is installed, a volatile memory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installed control program is loaded, and at least one that executes the loaded control program. It may include a processor or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dditionally, such a control program may be stored in other external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to the server 200.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서버(200)의 제조 시에 서버(2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200)로부터 광고용 캐릭터 제작 시스템은 서버(200)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program may include program(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BIOS, device driver, operating system, firmware, platform, and application program. As an embodiment, the application program is pre-installed or stored in the server 200 when manufacturing the server 200, or receives application data from the outside during future use and uses the server (200) based on the received data. 200). The data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200, such as an application market, to the advertising character creation system server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etc.,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이미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이미지에 대한 윤곽선을 인식하고, 인식된 윤곽선을 포함하도록 하는 캐릭터화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모델링을 통해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한 컨텐츠의 기본적인 골격을 만들고, 그 생성된 골격의 표면에 대한 처리하여, 2D 또는 3D 이미지 또는 영상을 토대로 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만들어내는 랜더링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랜더링에는 투영(Projection), 클리핑(Clipping), 은면처리(Hidden Surface), 셰이딩(Shading), 매핑(Mapping) 과정이 포함되며, 투영은 3D 객체를 2차원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클리핑은 모니터에 나오지 않는 객체의 영역을 커버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은면처리는 객체의 보이는 부분과 보이지 않는 부분을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셰이딩은 음영, 조명 빛, 광원의 빛, 반사광, 투명한 효과 등을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매핑은 객체의 표면에 텍스쳐 등의 질감과 반사된 풍경 등을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2D 또는 3D 이미지 또는 영상을 토대로 이미지와 영상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image, it recognizes the outline of the received image and generates a characterized image that includes the recognized outline.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creates a basic skeleton of content including an image or video through modeling, processes the surface of the created skeleton, and performs rendering to create an image or video based on a 2D or 3D image or video. You can. Rendering includes projection, clipping, hidden surface, shading, and mapping. Projec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converting a 3D object into a 2D image, and clipping refers to the process of covering the area of an object that does not appear on the monitor, hidden surface processing refers to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visible and invisible parts of the object, and shading refers to shading, light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reflected light, and transparent effects. Mapping refers to the process of processing textures and reflected scenery on the surface of an object.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rve to create images and videos based on 2D or 3D images or video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기 디자인된 캐릭터와 관련된 캐릭터정보에 대한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S10)하면, 수신된 캐릭터정보에 대한 검색결과를 크롤링한 검색정보를 획득(S20)하고, 획득된 검색정보를 이미지정보와 텍스트정보에 따라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S30)하고, 미지정보에서 대표이미지를 식별하고, 이에 대응하는 2차원상의 2D캐릭터를 생성(S40)하고, 2D캐릭터를 대표이미지의 후면, 측면이미지에 기초하여 3차원상의 3D캐릭터로 생성 및 분류(S50)하고,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3D캐릭터가 반영된 3D아바타를 생성(S60)하여, 텍스트정보에 관한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3D아바타에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메타버스 공간 내에 표시(S70)할 수 있다.When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first user input for character information related to a pre-designed character (S10), it obtains search information by crawling the search results for the received character information ( S20), classify the obtained search information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according to image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S30), identify representative images from the unknown information, and generate corresponding two-dimensional 2D characters (S40), Create and classify 2D characters into three-dimensional 3D characters based on the back and side images of the representative image (S50), create a 3D avatar reflecting the 3D character in the metaverse space (S60), and provide information on text information. 2When user input is received, changes can be reflected in the 3D avatar and displayed in the metaverse space (S70).

이와 같은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컴퓨팅장치(100)로부터 기 디자인된 캐릭터와 관련된 캐릭터정보에 대한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제1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캐릭터정보를 검색엔진 또는 상기 서버(200) 자체적 API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캐릭터정보에 대한 검색결과를 크롤링한 검색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검색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제1카테고리는 캐릭터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정보를 포함하며, 제2카테고리는 캐릭터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텍스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o describe this operation in more detail, whe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first user input for character information related to a pre-designed character from the computing device 100, it responds to the first user input. Search for character information using a search engine or the server 200's own API to obtain search information by crawling search results for character information, and divide the obtained search information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classified according to preset standards. Can be classified. At this time, among the plurality of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may include a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haract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category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haracter information.

한편, 여기서 캐릭터정보란 디자인된 캐릭터를 설명하는 각종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기 디자인된 캐릭터의 외양적 특징, 성격적 특징, 직업적 특징, 성별특징, 해당 캐릭터가 존재하는 컨텐츠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외양적 특징은 눈모양, 눈동자, 눈꺼풀, 코의 형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성격적 특징은 외향적, 내향적, 장난꾸러기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직업적 특징으로는 초중고등학교의 학생, 선생님, 대장장이, 검사, 몬스터 등의 모든 애니메이션, 게임, 현실의 직업 등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종류적 특징과 관련하여, 연령대 별로 제한을 두도록(5세이하, 12세이하, 15세이하, 19세 이상)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캐릭터가 게임속에서 존재하는 캐릭터인지, 게임이라면, RPG게임, 슈팅게임 등의 종류를 한정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애니메이션이라면, 스포츠, 로맨스 등의 종류를 한정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캐릭터의 특징에 대한 설명적 문구는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의 캐릭터를 설명하는 캐릭터정보에 대한 검색결과를 통해 검색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검색정보에서 이미지정보와 텍스트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Meanwhile, here, character information may include all kinds of information that describes the designed character, for example,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gender characteristics, and type of content in which the character exists. It may include etc. For example, external characteristics may include eye shape, pupils, eyelids, nose shape, etc., personality characteristics may include extroversion, introversion, and mischievousness,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may includ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can contain information about all animations, games, and real-life occupations such as students, teachers, blacksmiths, swordsmen, and monsters.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type of content, restrictions can be set for each age group (under 5 years old, under 12 years old, under 15 years old, over 19 years old), and whether the character exists in the game or if it is a game. , RPG games, shooting games, etc., it may contain information limited to the types, and if it is an animation, it may include information limited to the types of sports, romance, etc. The above example may include all descriptive phrases about the character's characteristics,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search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search results for character information describing the above character, and image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are classified and stored from the obtained search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이미지정보에서 기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포함된 대표이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대표이미지에 대응하는 2차원상의 2D캐릭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2D캐릭터를 복수의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대표이미지에 대한 후면이미지 및 측면이미지에 기초하여 3차원상의 3D캐릭터를 생성하며, 컴퓨팅장치(100)가 접속할 수 있도록 생성된 메타버스에 생성된 3D캐릭터가 반영된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3D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캐릭터정보가 남자, 고등학생, 애니메이션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이미지정보에서 기 설정된 20~30%의 비율 이상으로 검색되는 동일한 이미지정보가 검색되면, 이를 대표이미지로 식별하고, 제어부는 이와 같은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윤곽선을 인식하여 2D캐릭터를 생성하며, 3D모델링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측면이미지, 후면이미지를 반영한 3차원 상의 3D캐릭터와 이에 기초하여 기 생성된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3D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는 기존의 가상현실 환경이라는 용어보다 보다 진보한 개념으로, 웹과 인터넷 등의 가상 세계가 현실세계에 흡수된 증강 현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메타버스는 마을의 지도를 모방하도록 구성된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되며, 각각의 구역을 애니메이션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공간으로 조성하고, 각각의 컴퓨팅장치(100)의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아바타를 조작하여, 컨텐츠 상에서 각종 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메타버스는 서버(200)에서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된 가상의 공간일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메타버스 공간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representative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at a preset ratio or more, generates a two-dimensional 2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representative image, and converts the generated 2D character into a plurality of images. A three-dimensional 3D character is created based on the rear and side images of the representative imag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and within the metaverse space where the 3D character is reflected in the metaverse created so that the computing device 100 can access it. You can create a 3D avatar that can move. For example, the character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boy, a high school student, and an animation, and if the same image information that is searched at a rate of more than a preset 20 to 30% is found in the image information searched based on this information, it is identified as a representative image.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outline based on this image information and creates a 2D character, and uses a 3D modeling program to create a 3D character reflecting the side and back images and a metaverse already created based on this. You can create a 3D avatar that moves in space. Here, Metaverse is a compound word of 'Meta', which means processing and abstraction, and 'Universe', which means the real world, and means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Metaverse is a more advanced concept than the existing term virtual reality environment, and can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where the virtual world such as the web and the Internet is absorbed into the real world. For example, the metaverse creates a metaverse space configured to imitate a map of a village, each area is created as a space provided by animation content, and the metaverse space is crea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of each computing device 100. It refers to a space where you can manipulate your avatar and play various types of content. Such a metaverse may be a virtual space received and stored in the server 200 through a user input unit, or it may be a metaverse space provided by another server 20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컴퓨팅장치(100)로부터 복수의 텍스트정보에 포함된 성별, 인종, 나이, 직업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3D아바타에 제2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3D아바타가 생성된 경우에 이를 커스터마이징 하여 개인의 취향에 따라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econd user input for any one of gender, race, age, and occupation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text information from the computing device 100, the second user inputs the 3D avatar. Changes corresponding to input can be reflec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when a 3D avatar is created, it can be customized and produced according to individual tast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컴퓨팅장치(1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카메라(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카메라(300)로부터 촬상된 행동영상을 수신하면, 행동영상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과 관련된 골격움직임을 추출하여, 3D아바타에 해당 움직임이 반영된 이모티콘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각각의 3D아바타에 대한 개성을 살리도록 하는 이모티콘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카메라(300)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한 골격움직임을 반영한 영상을 생성하여, 캐릭터에 원하는 움직임을 부가한 이모티콘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The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300 network-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100. At this time,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action image captured from the camera 300, the control unit extracts the skeletal movement related to the action performed based on the action image, creates an emoticon reflecting the movement in the 3D avata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there is. This allows the creation of emoticons that bring out the individuality of each 3D avatar within the metaverse space. It receives images captured through the camera 300, creates images reflecting skeletal movements based on the images, and creates images that reflect the skeletal movements of the characters. You can create emoticons with desired movements ad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카메라(300)를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카메라거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컨텐츠를 제작할 때는 보통 일정 조건 하에서 마련된 스튜디오에서 관련 준비를 하는데, 이때 카메라거치부(400)를 통해 카메라(300)를 탈착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캐릭터의 이모티콘을 제작할 때 본인의 카메라(300)를 통해 제작할 수 있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메라(300)를 보다 용이하게 고정 및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카메라거치부(4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holder 400 that detachably fixes the camera 300. When producing animation content, related preparations are usually made in a studio prepared under certain conditions. At this time, the camera 300 is made detachable through the camera holder 400 so that the user can use his or her camera 300 when creating a character emoticon. This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security and allowing the camera 300 to be more easily fixed and combined. Hereinafter, the camera holder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카메라거치부(400)는 카메라(300)를 고정 및 탈착가능하게 마련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거치프레임(410)과 거치프레임(410)의 일 모서리에 위치하여 삽입홈(411)을 포함하는 삽입프레임(412)과, 카메라(300)와의 결합을 위해 카메라(300)의 내부에 마련된 회전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여 마련된 나사선(4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holder 400 of the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the camera 300 can be fixed and detachably mounted on a mounting frame 410 that supports the load and at one corner of the mounting frame 410. It may include an insertion frame 412 that is positioned and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411, and a thread 413 provided correspondingly so that it can be rotated and inserted inside the camera 300 for coupling with the camera 3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카메라거치부(400)는 삽입홈(411) 및 삽입프레임(412)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부에 베이스(420)와 베이스(420)를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싱(4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홈(411) 및 삽입프레임(412)이 내부에 관통삽입 될 때 이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레버(4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삽입홈(411)에 관통삽입되어 카메라(3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일단에 걸림턱을 포함하며, 타단에는 고정된 카메라(300)를 탈착하도록 하는 버튼(441)을 포함하는 레버베이스(442)와 베이스(420) 또는 케이싱(430)의 일 영역에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고정커버에 연결되어 걸림레버(4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4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삽입프레임(412)이 내부로 관입하면, 걸림레버(440)의 걸림턱이 삽입홈(411)에 맞닿아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며, 카메라(300)를 제거해야할 때는 버튼(441)을 케이싱(430) 내부로 누르면, 레버베이스(44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걸림턱은 탄성력이 있는 부재로써 삽입홈(411)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휘어져서 삽입홈(411)이 걸림턱으로부터 걸림상태를 벗어나며, 이를 통해 카메라(300)가 탈착될 수 있다. The camera holder 400 of the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e 420 and a base (420) at the bottom to provide a spac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groove 411 and the insertion frame 412 are fixed. It may include a casing 430 formed to surround 420).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locking lever 440 for fixing the insertion groove 411 and the insertion frame 412 when they are inserted through the inside, and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411 so that the camera 300 is fixed. A lever base 442 including a locking protrusion at one end and a button 441 at the other end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xed camera 300, and a lever base 442 in one area of the base 420 or casing 430.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443 that is connected to a fixed cover including a rotating shaft allowing rotation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lever 440. For example, when the insertion frame 412 penetrates inside, the locking jaw of the locking lever 440 abuts on the insertion groove 411 and fixes it so that it cannot move, and when the camera 300 needs to be removed, the button 441 is attached to the casing. (430) When pressed inward, the lever base 442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at this time, the locking jaw is an elastic member and is bent in the direction discharged from the insertion groove 411,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411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It escapes from the jammed state, and through this, the camera 300 can be detach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컴퓨팅장치
200: 서버
300: 카메라
400: 카메라거치부
410: 거치프레임
411: 삽입홈
412: 삽입프레임
413: 나사선
420: 베이스
421: 걸림턱 수용부
430: 케이싱
440: 걸림레버
441: 버튼
442: 레버베이스
443: 탄성부재
100: Computing device
200: server
300: Camera
400: Camera holder
410: Mounting frame
411: Insertion groove
412: Insertion frame
413: thread
420: base
421: Locking jaw receptor
430: Casing
440: Locking lever
441: button
442: Lever base
443: Elastic member

Claims (3)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팅장치는 기 디자인된 캐릭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컴퓨팅장치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부; 저장부; 크롤링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팅장치로부터 상기 기 디자인된 캐릭터와 관련된 캐릭터정보에 대한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캐릭터정보를 검색엔진 또는 상기 서버 자체적 API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상기 캐릭터정보에 대한 검색결과를 크롤링한 검색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검색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며,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제1카테고리는 상기 캐릭터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제2카테고리는 상기 캐릭터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텍스트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정보에서 기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포함된 대표이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대표이미지에 대응하는 2차원상의 2D캐릭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2D캐릭터를 상기 복수의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상기 대표이미지에 대한 후면이미지 및 측면이미지에 기초하여 3차원상의 3D캐릭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팅장치가 접속할 수 있도록 생성된 메타버스에 상기 생성된 3D캐릭터가 반영된 상기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3D아바타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팅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텍스트정보에 포함된 성별, 인종, 나이, 직업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3D아바타에 상기 제2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변경사항을 반영하며,
상기 캐릭터정보는 상기 기 디자인된 캐릭터의 게임 또는 애니메이션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따른 외양적 특징, 성격적 특징, 직업적 특징을 포함하며,
상기 외양적 특징은 눈모양, 눈동자, 눈꺼풀 및 코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성격적 특징은 외향적, 내향적 및 장난꾸러기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직업적 특징은 학교의 학생, 선생님, 대장장이, 검사 및 몬스터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대표이미지는 상기 이미지정보에서 기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포함된 것으로 식별하며, 상기 생성된 2D캐릭터를 상기 대표이미지에 대한 후면이미지 및 측면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3D캐릭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
In the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Includes a computing device,
The computing device displays a pre-designed character on a display unit,
Includes a server network-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The server is
Ministry of Communications; storage unit; crawling department; and a control unit,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first user input for charact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designed character from the computing device,
Search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nput using a search engine or the server's own API to obtain search information by crawling search results for the character information,
The obtained search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classified according to preset standards,
A first category among the plurality of categories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A second category among the plurality of categories includes a plurality of 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identifies representative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in more than a preset ratio,
Create a two-dimensional 2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representative image,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3D character based on the generated 2D character and the rear image and side image of the representative imag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3D avatar that can move within the metaverse space in which the generated 3D character is reflected in the metaverse created so that the computing device can access,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econd user input for any one of gender, race, age, and occupation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text information from the computing device, it changes the 3D avata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input. Reflect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includes external characteristic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any one of the game or animation of the pre-designed character,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include information about eye shape, pupils, eyelids and nose shape,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clude information about extrovert, introvert and mischievous type, and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include information about being a student at school. , contains information about teachers, blacksmiths, swordsmen, and monster types,
Animation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resentative image is identified as being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in a preset ratio or more, and the 3D character is generated based on the back and side images of the generated 2D character. Crafting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장치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행동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행동영상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과 관련된 골격움직임을 추출하여, 상기 3D아바타에 해당 움직임이 반영된 이모티콘을 생성하며,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거치부는 상기 카메라를 고정 및 탈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의 하중을 지지하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의 일 모서리에 위치하여 삽입홈을 포함하는 삽입프레임; 상기 카메라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카메라 내부에 마련된 홈에 회전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여 마련된 나사선;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거치부는 상기 삽입프레임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부에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싱; 상기 삽입홈 및 삽입프레임이 내부에 관통삽입 될 때 이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레버;
상기 삽입홈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카메라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일단에 걸림턱; 타단에는 상기 고정된 카메라를 탈착하도록 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레버베이스; 상기 케이싱 내 일 영역에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에서 상기 걸림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거치부는 상기 삽입프레임이 내부로 관입하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삽입홈에 맞닿아 고정하며,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레버베이스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이 상기 삽입홈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삽입홈이 걸림상태를 벗어나 상기 카메라를 탈착하며,
상기 걸림턱은 탄성력이 있는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camera network 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action image captured from the camera, the control unit extracts skeletal movement related to the action performed based on the action image and generates an emoticon reflecting the movement in the 3D avatar,
The camera includes a camera holder,
The camera holder includes a mounting frame that is provided to fix and detach the camera and supports the load of the camera; An insertion frame located at one corner of the mounting frame and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It includes a thread provided correspondingly so that it can be rotated and inserted into a groove provided inside the camera for coupling with the camera,
The camera holder includes a base at the bottom to provide a space for the insertion frame to pass through and be fixed therein. A casing formed to surround the base; A locking lever for fixing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insertion frame when they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 locking protrusion at one end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to allow the camera to be fixed; A lever base including a button at the other end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xed camera;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lever at a rotation axis that allows rotation in an area within the casing,
When the insertion frame penetrates the camera holder, the locking protrusion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groove.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lever base rotates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discharged from the insertion groove. The insertion groove is released from the jammed state and the camera is detached,
A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wherein the locking step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KR1020220190089A 2022-12-30 2022-12-30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KR1026208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089A KR102620808B1 (en) 2022-12-30 2022-12-30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089A KR102620808B1 (en) 2022-12-30 2022-12-30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808B1 true KR102620808B1 (en) 2024-01-09

Family

ID=8953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90089A KR102620808B1 (en) 2022-12-30 2022-12-30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80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872B1 (en) * 2010-05-31 2011-03-16 권영민 Camera stand
KR20190101832A (en)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An elel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ustem object based on a avata
KR102469274B1 (en) * 2022-06-30 2022-11-22 주식회사 에이펀인터렉티브 Metaverse character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biometric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872B1 (en) * 2010-05-31 2011-03-16 권영민 Camera stand
KR20190101832A (en)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An elel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ustem object based on a avata
KR102469274B1 (en) * 2022-06-30 2022-11-22 주식회사 에이펀인터렉티브 Metaverse character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biometric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3469B2 (en) Configuring a virtual world user-interface
US20200306637A1 (en) 3d avatar plugin for third-party games
US20200151965A1 (en) Method and system to generate authoring conditions for digital content in a mixed reality environment
US20120233076A1 (en) Redeeming offers of digital content items
Simonetti Ibañez et al. Vuforia v1. 5 SDK: Analysis and evaluation of capabilities
WO20181427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8109209A (en) A kind of method for processing video frequency and its device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110176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ing and segmenting portions of the real world for visual digital authoring in a mixed reality environment
US118872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pulating a digital environment using a semantic map
US119898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conditions for digital objects in augmented reality
US201403659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Playable Video Game From A Static Model
CN105099883A (en) Instant messaging method and system for game
US202401314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mental topological update within a data flow graph in gaming
Sim et al. Crowdsourcing ideas for augmented reality museum experiences with children
JP718928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large 3D models on remote devices
KR102620808B1 (en) Anim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Vasudevan et al. An Intelligent Boxing Applic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for two users –Human Computer Interaction attempt
KR102550207B1 (en) Character creation system for advertising
CN112333473A (en) Interaction method, interaction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hampion Mixed histories, augmented pasts
Charnley Digital Unreason: Jordan Wolfson’s ‘Evil Jew’
Grabarczyk Virtually indie
US200900998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Environmentally-Sensitive Simulations on a Data Processing System
KR102484313B1 (en) Interworking system between metaverse avatars and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characters
US202400709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onymized digital hum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