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501B1 - 웨어러블 밴드 디바이스로 유저의 뇌파를 측정하고 유저 인터렉션에 피드백되어 영상과 조명과 소리를 적용하여 훈련단계 별 적정 뇌파를 유도함으로써 피트니스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점진적 이완훈련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밴드 디바이스로 유저의 뇌파를 측정하고 유저 인터렉션에 피드백되어 영상과 조명과 소리를 적용하여 훈련단계 별 적정 뇌파를 유도함으로써 피트니스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점진적 이완훈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501B1
KR102620501B1 KR1020230057449A KR20230057449A KR102620501B1 KR 102620501 B1 KR102620501 B1 KR 102620501B1 KR 1020230057449 A KR1020230057449 A KR 1020230057449A KR 20230057449 A KR20230057449 A KR 20230057449A KR 102620501 B1 KR102620501 B1 KR 10262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ser
light source
brain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용
박지숙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이주용
박지숙
이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용, 박지숙, 이재성 filed Critical 이주용
Priority to KR1020230057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3Motion, e.g. physical act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웨어러블 밴드 디바이스로 유저의 뇌파를 측정하고 유저 인터렉션에 피드백되어 영상과 조명과 소리를 적용하여 훈련단계 별 적정 뇌파를 유도함으로써 피트니스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점진적 이완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영상이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광이 출사되는 광원 모듈과,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 모듈과, 유저의 뇌파와 동작을 인식하는 인터렉션 모듈과, 상기 인터렉션 모듈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이완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이완훈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인터렉션 모듈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세타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제1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인터렉션 모듈로부터 제2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알파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제2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인터렉션 모듈로부터 제3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SMR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밴드 디바이스로 유저의 뇌파를 측정하고 유저 인터렉션에 피드백되어 영상과 조명과 소리를 적용하여 훈련단계 별 적정 뇌파를 유도함으로써 피트니스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점진적 이완훈련 방법{GRADUAL RELAXATION TRAINING METHOD TO IMPROVE FITNESS EFFECT BY MEASURING USER'S EEG WITH WEARABLE BAND DEVICE AND APPLYING VIDEO, LIGHTING, AND SOUND AS FEEDBACK TO USER INTERACTION TO INDUCE APPROPRIATE EEG FOR EACH TRAINING STAG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밴드 디바이스로 유저의 뇌파를 측정하고 유저 인터렉션에 피드백되어 영상과 조명과 소리를 적용하여 훈련단계 별 적정 뇌파를 유도함으로써 피트니스 집중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점진적 이완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완(Relaxation)은 신체적 긴장과 심리적 긴장을 저하시키는 과정으로서, 신체적 긴장은 근육이 과도하게 수축된 상태를 의미하며 심리적 긴장은 근심과 걱정이 앞서서 자주 불안하며 자신가의 결여로 각성수준이 과도하게 높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완상태는 인간이 다양한 업무(Task, 일 예로, 필라테스 요가 등의 피트니스 수행)를 수행함에 있어서 집중과 심상과 최상의 수행을 위해 꼭 필요한 과정으로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점진적 이완훈련(Progressive relaxion training)은 1930년도 하버드 대학교의 Jacobson 교수에 의해 개발된 이래로 가장 많이 쓰이는 이완훈련 방법으로서 수행자에게 근육의 긴장과 이완의 느낌을 체험하게 하여 점진적으로 이완상태에 이르게 하는 훈련방법을 의미한다.
한편, 뇌파는 뇌 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파동으로서 Hz 진동수를 단위로 하며, 뇌의 기능을 나타내는 생체정보로 연구되고 있다. 뇌파는 진동수가 낮은 단계(느린 뇌파)에서 높은 단계(빠른 뇌파)로 증가함에 따라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베타파, 고베타파로 구분할 수 있다.
가장 느린 뇌파인 델타파는 숙면 상태를 의미하며 세타파는 명상 상태(렘수면 상태) 알파파는 이완 상태(깨어있는 안정상태) SMR파는 각성 상태로서 움직이지 않는 집중유지에 관여하며, 베타파와 고베타파는 활동/스트레스 상태로서 집중과 불안과 긴장과 스트레스 상태일 수 있다.
한편, 뇌파는 외부자극이나 신체상태에 따라 자율적으로 조절되는데, 뇌기능이 저하되면 신체상태와 맞지 않는 느린뇌파나 빠른뇌파가 우세하게 나타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뉴로피드백 훈련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맞는 적절한 뇌파를 강화 또는 억제하는 과정을 반복해서 뇌 기능을 발달시킬 수 있다.
특히, SMR 뇌파훈련은 뇌의 각성능력을 향상시켜 주의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이용되는데, "휴식이완의 알파파 상태"와 "행동 중의 베타파 상태"의 중간 정도로 볼 수 있으며, 일 예로, 피트니스 운동을 하기 전의 점진적 이완훈련의 과정에서 수행자의 뇌파를 세타파에서 알파파로 종국적으로 SMR파로 점진적으로 각성시키는 경우 심리적 긴장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종국적으로 SMR파 상태로 각성시켜 후행하는 피트니스 본운동 세션에서 집중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수행자의 뇌파 상태는 주변 환경의 색상과 조도(Lux)와 색온도(K)와 소리 주파수(Hz)에 따라 유도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피트니스 환경에서 유저 인터렉션에 따라 영상과 조명과 소리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추가하는 경우, 점진적 이완훈련에 뉴로피드백을 적용하여 이완훈련을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본 피트니스 집중도까지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웨어러블 밴드 디바이스로 유저의 뇌파를 측정하고 유저 인터렉션에 피드백되어 영상과 조명과 소리를 적용하여 훈련단계 별 적정 뇌파를 유도함으로써 피트니스 집중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점진적 이완훈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은 영상이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광이 출사되는 광원 모듈과,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 모듈과, 유저의 뇌파와 동작을 인식하는 인터렉션 모듈과, 상기 인터렉션 모듈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이완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이완훈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인터렉션 모듈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세타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제1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인터렉션 모듈로부터 제2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알파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제2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인터렉션 모듈로부터 제3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SMR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점진적 이완훈련의 각 단계에서 유저의 동작과 뇌파에 따라 인터렉션되어 유저 주변의 환경(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색상, 광원 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의 색온도와 조도, 스피커 모듈에서 나오는 소리의 주파수)을 조절하여 적정 뇌파 자극을 유도함으로써, 이완훈련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음 세션인 본 피트니스 운동을 집중하여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을 구성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10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을 구성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1000)은 헬스/요가/필라테스 등을 수행하는 피트니스 클럽에서 본 운동을 시작하기 전단계에서 본 운동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이완훈련 방법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1000)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피트니스 스튜디오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과 인터렉션 모듈(40)과 네트워크(50)와 메인 서버(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피트니스 스튜디오의 벽면 등에 대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수행자(유저)들이 이완훈련이나 본 운동을 수행할 때 실제 촬영 영상, 시뮬레이션 영상, VFX 영상, 가상현실 영상, 증강현실 영상 등이 재생되는 모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행자들은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1000)을 수행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수용하며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재생되는 영상콘텐츠는 피트니스 스튜디오에서 수행되는 운동의 종류와 수행자의 나이 성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자연환경을 모티브로한 파도가 치는 해변에 대한 VFX 영상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 모듈(20)은 피트니스 스튜디오의 천정 등에 대면적으로 설치되어 특정 조도와 색온도의 광을 출사하는 모듈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행자들은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1000)을 수행함에 있어서 광원 모듈(20)에서 출사되는 광을 시각적으로 수용하며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광원 모듈(20)로서 LCD, LED, OLED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피커 모듈(30)은 피트니스 스튜디오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리(특정 주파수의 음향 패턴)을 출력하는 모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행자들은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1000)을 수행함에 있어서 스피커 모듈(30)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청각적으로 수용하며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30)로서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렉션 모듈(40)은 수행자의 모션과 뇌파 등을 측정하여 특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듈일 수 있으며, 메인 서버(60)에서는 인터렉션 모듈(40)로부터 측정된 현재 유저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을 제어하여, 수행자(유저)의 뇌에서 세타파 자극이 발생하거나 알파파 자극이 발생하거나 SMR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뉴로피드백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렉션 모듈(40)은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1000)을 이용하는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 형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렉션 모듈(40)은 유저가 머리에 착용하는 밴드형태로 마련되어 임피던스에 의해 유저의 뇌파를 측정하는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인터렉션 모듈(40)은 유저를 촬상하여 측정하여 특정 모션 센싱값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메라 모듈은 유저가 사용하는 이동식 단말기 형태로 마련되거나 피트니스 스튜디오의 벽면에 고정된 고정 카메라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과 인터렉션 모듈(40)과 메인 서버(60)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인 서버(3)는 피트니스 스튜디오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서버로서,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1000)과 관련한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1000)은 영상이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이 출사되는 광원 모듈(20)과,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 모듈(30)과, 유저의 뇌파와 동작을 인식하는 인터렉션 모듈(40)과, 인터렉션 모듈(4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을 제어하는 메인 서버(60)를 포함하는 이완훈련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1000)은 메인 서버(60)가 인터렉션 모듈(40)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세타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을 제어하는 제1단계(100); 메인 서버(60)가 인터렉션 모듈(40)로부터 제2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알파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을 제어하는 제2단계(200); 메인 서버(60)가 인터렉션 모듈(40)로부터 제3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SMR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을 제어하는 제3단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서버(60)가 인터렉션 모듈(40)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세타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을 제어하는 제1단계(100) 는 점진적 이완훈련을 준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수행자는 비교적 조용한 장소에서 편한안 자세를 취하면서 수동적 태도로 점진적 이완훈련을 위한 준비를 시작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수행자의 뇌파는 명상상태와 같은 세타파(명상상태에서 발생되는 뇌파)가 지배적인 경우가 바람직하며 수행자는 편안한 가부좌나 긴장을 풀고 정자세로 서 있는 것과 같은 제1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렉션 모듈(40)에서 발생하는 제1신호는 수행자의 뇌파에 대한 신호와 수행자가 제1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60)는 제1신호로부터 현재 수행자의 뇌파에서 세타파의 발생비율이 특정값 이상인지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고 수행자가 제1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신호에 따라 수행자가 점진적 이완훈련을 준비하는 단계인 것을 파악하여, 수행자의 뇌에서 세타파 자극이 발생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인 서버(60)는 피트니스 클럽의 강사들에 의해 조작되는 별도의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제1단계(100)를 시작시키거나 종료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제1단계(100)에서 수행자의 뇌에서 세타파를 자극하기 위한 환경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의 복수의 픽셀에서 청색이 차지하는 비율이 특정값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컬러 테라피 이론에 따르면 수행자가 청색으로 주로 이루어진 영상이나 사진을 시청하는 경우 세타파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행자의 뇌에서 세타파를 자극하기 위한 환경에서는 광원 모듈(20)이 색온도가 7000K를 기준으로 인근 범위이고 밝기가 500lx를 기준으로 인근 범위의 광을 출사할 수 있으며, 스피커 모듈(30)이 주파수 4Hz 이상 8Hz 이하의 범위의 소리 패턴을 출력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메인 서버(60)에서는 제1단계까 진행되는 동안 인터렉션 모듈(40)에서 수신한 제1신호로부터 수행자의 뇌파에서 세타파의 발생비율이 특정값 이상인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명상 상태가 제대로 진행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서버(60)가 인터렉션 모듈(40)로부터 제2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알파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을 제어하는 제2단계(200) 는 점진적 이완훈련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수행자는 팔 이완, 발 이완, 종아리 이완, 허벅지 이완 등의 순으로 부위별 이완훈련을 진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수행자의 뇌파는 이완상태와 같은 알파파(이완상태, 깨어있는 안정상태에서 발생되는 뇌파)가 지배적인 경우가 바람직하며 수행자는 이완부위를 반복적으로 긴장시킨 다음 이완시키는 제2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렉션 모듈(40)에서 발생하는 제2신호는 수행자의 뇌파에 대한 신호와 수행자가 제2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60)는 제2신호로부터 현재 수행자의 뇌파에서 알파파의 발생비율이 특정값 이상인지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고 수행자가 제2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신호에 따라 수행자가 점진적 이완훈련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파악하여, 수행자의 뇌에서 알파파 자극이 발생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인 서버(60)는 피트니스 클럽의 강사들에 의해 조작되는 별도의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제2단계(200)를 시작시키거나 종료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제2단계(200)에서 수행자의 뇌에서 세타파를 자극하기 위한 환경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의 복수의 픽셀에서 청색이 차지하는 비율이 특정값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컬러 테라피 이론에 따르면 수행자가 청색으로 주로 이루어진 영상이나 사진을 시청하는 경우 알파파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행자의 뇌에서 알파파를 자극하기 위한 환경에서는 광원 모듈(20)이 색온도가 6500K를 기준으로 인근 범위이고 밝기가 700lx를 기준으로 인근 범위의 광을 출사할 수 있으며, 스피커 모듈(30)이 주파수 8.6Hz를 기준으로 인근 범위의 소리 패턴을 출력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메인 서버(60)에서는 제2단계까 진행되는 동안 인터렉션 모듈(40)에서 수신한 제2신호로부터 수행자의 뇌파에서 알파파의 발생비율이 특정값 이상인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명상 상태가 제대로 진행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서버(60)가 인터렉션 모듈(40)로부터 제3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SMR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을 제어하는 제3단계(300) 는 점진적 이완훈련을 마무리하고 본 운동을 준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수행자는 숨을 크게 들이마시고 3초간 유지하다가 천천히 내쉬며 이완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진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수행자의 뇌파는 본 운동을 준비하기 위해 각성상태와 같은 SMR파(각성상태, 집중을 유지하여 본 운동을 수행하도록 유도)가 지배적인 경우가 바람직하며 수행자는 일어난 상태로 크게 심호흡을 반복하는 제3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렉션 모듈(40)에서 발생하는 제3신호는 수행자의 뇌파에 대한 신호와 수행자가 제3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60)는 제3신호로부터 현재 수행자의 뇌파에서 SMR파의 발생비율이 특정값 이상인지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고 수행자가 제3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신호에 따라 수행자가 점진적 이완훈련을 마무리하고 본 운동을 준비하는 단계인 것을 파악하여, 수행자의 뇌에서 SMR파 자극이 발생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원 모듈(20)과 스피커 모듈(3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인 서버(60)는 피트니스 클럽의 강사들에 의해 조작되는 별도의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제3단계(300)를 시작시키거나 종료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제3단계(300)에서 수행자의 뇌에서 SMR파를 자극하기 위한 환경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의 복수의 픽셀에서 주황색이 차지하는 비율이 특정값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컬러 테라피 이론에 따르면 수행자가 주황색으로 주로 이루어진 영상이나 사진을 시청하는 경우 SMR파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행자의 뇌에서 SMR파를 자극하기 위한 환경에서는 광원 모듈(20)이 색온도가 3000K를 기준으로 인근 범위이고 밝기가 800lx를 기준으로 인근 범위의 광을 출사할 수 있으며, 스피커 모듈(30)이 주파수 18Hz를 기준으로 인근 범위의 소리 패턴을 출력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메인 서버(60)에서는 제3단계까 진행되는 동안 인터렉션 모듈(40)에서 수신한 제3신호로부터 수행자의 뇌파에서 SMR파의 발생비율이 특정값 이상인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명상 상태가 제대로 진행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점진적 이완훈련의 각 단계에서 유저의 동작과 뇌파에 따라 인터렉션되어 유저 주변의 환경(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색상, 광원 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의 색온도와 조도, 스피커 모듈에서 나오는 소리의 주파수)을 조절하여 적정 뇌파 자극을 유도함으로써, 이완훈련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음 세션인 본 피트니스 운동을 집중하여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주는 장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이완훈련 방법(1000)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

  1. 영상이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광이 출사되는 광원 모듈과,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 모듈과, 유저의 뇌파와 동작을 인식하는 인터렉션 모듈과, 상기 인터렉션 모듈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이완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이완훈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인터렉션 모듈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세타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제1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인터렉션 모듈로부터 제2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알파파 자극이 발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인터렉션 모듈로부터 제3신호를 수신하고, 유저의 뇌에서 SMR파(SensoryMotorRhythmwave) 자극이 발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의 복수의 픽셀에서 청색이 차지하는 비율이 특정값 이상이고, 상기 광원 모듈이 색온도가 7000K이고 밝기가 500lx인 광을 출사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이 주파수 4Hz 이상 8Hz 이하의 범위의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의 복수의 픽셀에서 청색이 차지하는 비율이 특정값 이상이고, 상기 광원 모듈이 색온도가 6500K이고 밝기가 700lx인 광을 출사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이 주파수 8.6Hz인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의 복수의 픽셀에서 주황색이 차지하는 비율이 특정값 이상이고, 상기 광원 모듈이 색온도가 3000K이고 밝기가 800lx인 광을 출사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이 주파수 18Hz인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완훈련 방법.
KR1020230057449A 2023-05-03 2023-05-03 웨어러블 밴드 디바이스로 유저의 뇌파를 측정하고 유저 인터렉션에 피드백되어 영상과 조명과 소리를 적용하여 훈련단계 별 적정 뇌파를 유도함으로써 피트니스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점진적 이완훈련 방법 KR10262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449A KR102620501B1 (ko) 2023-05-03 2023-05-03 웨어러블 밴드 디바이스로 유저의 뇌파를 측정하고 유저 인터렉션에 피드백되어 영상과 조명과 소리를 적용하여 훈련단계 별 적정 뇌파를 유도함으로써 피트니스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점진적 이완훈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449A KR102620501B1 (ko) 2023-05-03 2023-05-03 웨어러블 밴드 디바이스로 유저의 뇌파를 측정하고 유저 인터렉션에 피드백되어 영상과 조명과 소리를 적용하여 훈련단계 별 적정 뇌파를 유도함으로써 피트니스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점진적 이완훈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501B1 true KR102620501B1 (ko) 2024-01-02

Family

ID=8951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449A KR102620501B1 (ko) 2023-05-03 2023-05-03 웨어러블 밴드 디바이스로 유저의 뇌파를 측정하고 유저 인터렉션에 피드백되어 영상과 조명과 소리를 적용하여 훈련단계 별 적정 뇌파를 유도함으로써 피트니스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점진적 이완훈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5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525A (ko) * 2012-02-16 2013-08-2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96276A (ko) * 2016-02-15 2017-08-2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뇌파를 이용한 학습환경 제어 방법
KR20200064400A (ko) * 2018-11-29 2020-06-08 천영호 IoT 기반 원격 수면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525A (ko) * 2012-02-16 2013-08-2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96276A (ko) * 2016-02-15 2017-08-2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뇌파를 이용한 학습환경 제어 방법
KR20200064400A (ko) * 2018-11-29 2020-06-08 천영호 IoT 기반 원격 수면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31212B (zh) 用于经皮振动的造波的系统和方法
Ghandeharioun et al. BrightBeat: Effortlessly influencing breathing for cultivating calmness and focus
US20200029889A1 (en) Biofeedback system and method
US11000669B2 (en) Method of virtual reality system and implementing such method
US20140316192A1 (en) Biofeedback Virtual Reality Sleep Assistant
WO2012117376A1 (en) Breathing guidance device and method
US2022036209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nscutaneous vibration for sexual arousal
Nakahara et al.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to expressive piano performance
KR102299217B1 (ko) 클라우드 기반 암 재활환자 통합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20501B1 (ko) 웨어러블 밴드 디바이스로 유저의 뇌파를 측정하고 유저 인터렉션에 피드백되어 영상과 조명과 소리를 적용하여 훈련단계 별 적정 뇌파를 유도함으로써 피트니스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점진적 이완훈련 방법
Morales et al. An adaptive model to support biofeedback in AmI environments: a case study in breathing training for autism
Weffers Breathe with the ocean: a system for relaxation using audio, haptic and visual stimuli
KR20200016272A (ko) 통증 완화 치료를 제공하는 장치
KR20220136973A (ko) 사용자의 심리가 안정화되도록 사용자에게 긴장이완 훈련을 위한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01068A1 (en) Mood adjus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al-time biosensor signals from a subject
US20220218942A1 (en) Full-sensory guided-meditation system
JP2002336357A (ja) 呼吸誘導方法、感覚刺激装置、感覚刺激制御装置および照明制御装置
Kulkarni et al. RespiCo: A novel, flexible, and stand-alone electronic respiratory coaching device
Dijk et al. Systems to support relaxation by using tactile, acoustic and visual stimuli
WO2024059191A2 (en) Systems and methods of temperature and visual stimulation patterns
WO202322959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nscutaneous vibration
Riefel MIND YOURSELF: Using an artistic psychological brain-computer interface to increase self-consciousness
Singha et al. Mindful Movement: VR-Enhanced Yoga and Exercise for Well-Being
US20210090708A1 (en) System and method to offer wellness programs
KR20230055779A (ko) Vr 노출치료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