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060B1 -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060B1
KR102620060B1 KR1020220166659A KR20220166659A KR102620060B1 KR 102620060 B1 KR102620060 B1 KR 102620060B1 KR 1020220166659 A KR1020220166659 A KR 1020220166659A KR 20220166659 A KR20220166659 A KR 20220166659A KR 102620060 B1 KR102620060 B1 KR 10262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ing
content
coloring content
user terminal
orig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웅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100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100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100케이션
Priority to KR1020220166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1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non-spatial domain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원본 이미지를 토대로 컬러링 라인을 형성하여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정형화되어 있는 기존의 컬러링 콘텐츠 대신 사용자가 색칠하고 싶은 컬러링 콘텐츠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COLORING CONTENT}
본 발명은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원본 이미지를 토대로 컬러링 라인을 형성하여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정형화되어 있는 기존의 컬러링 콘텐츠 대신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싶은 컬러링 콘텐츠, 색칠을 하고 싶어하는 컬러링 콘텐츠를 임의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컬러링 콘텐츠(Coloring Content)란 색을 칠할 수 있도록 선으로 그린 그림이나 도안이 제공된 콘텐츠를 말한다. 컬러링 콘텐츠는 직접 그림을 드로잉 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색을 칠하는 행위만을 요구하므로 나이, 성별을 불문하고 누구든지 쉽게 접할 수 있는 콘텐츠이다. 컬러링 콘텐츠는 비워져 있는 면에 색을 채워 나갈 때에 상상력과 집중력이 발휘될 수 있게 하여 어린아이 성장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색칠하는 미술 행위 자체가 감정 개선에 효과가 있어 정신의 활력을 얻고 우울감을 개선하고 긍정적인 감정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러한 컬러링 콘텐츠는 사람들에게 컬러링 북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
컬러링 북은 사용자가 색칠 도구를 통하여 직접 색칠하기에 마치 본인이 화가가 된 것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미 색칠이 완료된 그림을 재활용할 수 없으며,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번진 색상 등을 수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컬러링 북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사용자가 직접 컬러링 북을 구매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컬러링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사용자의 실수가 있더라도 수정이 자유로워 언제든지 다시 칠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최근에 개발된 컬러링 북 애플리케이션도 컬러링 콘텐츠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쉽게 해결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표적으로, 컬러링 콘텐츠는 정형화 되어있다는 것이다. 컬러링 콘텐츠는 보통 정형화되어 있는 꽃, 나무 등의 풍경화이거나 유명한 예술작품을 모방한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일 것이다. 만일, 단순 색칠만을 위하여 컬러링 콘텐츠를 접근한 사용자라면 이렇게 정형화된 컬러링 콘텐츠에 흥미를 느낄 수 있겠지만, 본인이 색칠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있거나 보다 창의적인 색칠을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다소 불만족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컬러링 콘텐츠는 불친절하다. 구체적으로 컬러링 콘텐츠는 단순히 색을 칠하는 행위만을 요구하기에 접근성은 높으나, 결과물의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숙련이 필요하고, 컬러링 콘텐츠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에게는 색을 선택하는 것조차도 어려울 수 있는데 이러한 초보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고안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촬영한 원본 이미지를 토대로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여, 정형화되어 있는 기존의 컬러링 콘텐츠 대신 사용자가 색칠하고자 하는 컬러링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숙련도에 따라 컬러링 콘텐츠에 대한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링 콘텐츠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색칠해야 하는 면에 색칠되어야 하는 색상을 표시해주거나 추천해주는 컬러링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은 (a)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원본 이미지-상기 원본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 저장된 이미지임-를 수신 받는 단계, (b)상기 원본 이미지 내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여 식별하는 단계, (c)상기 원본 이미지를 제1 알고리즘을 통하여 제1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d)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제1 컬러링 콘텐츠를 제2 알고리즘을 통하여 보정하여 제2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e)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2 컬러링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알고리즘은 상기 (b) 단계에서 식별된 객체의 트레이싱 라인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알고리즘은 상기 제1 컬러링 콘텐츠와 무관한 부분을 삭제하거나, 촬영 시 흔들림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삭제하거나, 상기 트레이싱 라인의 선명도를 보정하거나, 상기 (b) 단계에서 식별된 객체의 특징을 분석하여 상기 객체의 특징과 관련된 특정 이미지를 제3 알고리즘을 통하여 획득하고, 상기 특정 이미지의 트레이싱 라인을 추가로 삽입해주어 컬러링 라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전송되는 컬러링 콘텐츠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설정한 컬러링 난이도가 적용된 컬러링 콘텐츠이며, 상기 컬러링 난이도는, 높아질수록 색칠해야 할 구분면의 면적, 개수, 또는 상기 컬러링 콘텐츠의 전체 면에 대한 구분면 개수의 비율이 상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원본 이미지,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기 저장된 이미지 중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원본 이미지를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컬러링 난이도를 상기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버로부터 컬러링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컬러링 콘텐츠를 출력하고 및 상기 사용자가 컬러링 가이드 요청을 선택 입력한 경우, 상기 원본 이미지의 채도를 조정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가 상기 컬러링 콘텐츠에 오버랩 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형화되어 있는 기존의 컬러링 콘텐츠 대신 사용자가 색칠하고자 하는 컬러링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색칠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키고 결과물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숙련도에 따라 컬러링 콘텐츠에 대한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숙련자가 난이도를 높여가며 컬러링 콘텐츠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고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초보자가 숙련자가 되기 위한 노력을 고무시켜 컬러링 콘텐츠 색칠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컬러링 콘텐츠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면에 색칠되어야 하는 색상을 표시해주거나 추천해주는 컬러링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숙련도가 부족한 초보자들도 컬러링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는 효과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 생성 과정을 그림을 통하여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버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객체 식별부가 원본 이미지 내에 포함된 객체들을 구분하고 식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a 및 5b는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버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2 알고리즘을 통하여 제1 컬러링 콘텐츠가 보완되거나 보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버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2 알고리즘 및 제3 알고리즘을 통하여 제1 컬러링 콘텐츠가 보완되거나 보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컬러링 난이도가 상이한 두 컬러링 콘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비스의 컬러링 가이드 기능을 그림을 통하여 간략히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비스의 또 다른 컬러링 가이드 기능을 그림을 통하여 간략히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컬러링 콘텐츠 생성 시스템(100)]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시스템(이하, 시스템(100)이라고 약칭함.)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0)에 구비된 카메라(122)를 통하여 촬영된 원본 이미지(20), 또는 사용자 단말(120)에 기 저장된 원본 이미지(20)들 중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원본 이미지(20)를 토대로 컬러링 라인(11)을 형성하여 컬러링 콘텐츠(10)를 생성함으로써, 정형화되어 있는 기존의 컬러링 콘텐츠 대신 사용자가 색칠하고 싶은 컬러링 콘텐츠(10)를 임의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컬러링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자극시킬 수 있다.
도1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원본 이미지(20)에 대한 컬러링 콘텐츠(10)를 생성하기 위하여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버(이하, 서버(110)라고 약칭함) 및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120)의 구성요소들을 자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10)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도록 한다.
[컬러링 콘텐츠(10)]
도 2는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10) 생성 과정을 그림을 통하여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2의 (A)는 원본 이미지(20)를 나타낸 것이다. 원본 이미지(2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촬영한 이미지 또는 사용자 단말(120)에 기 저장된 원본 이미지(20)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이미지이다.
도 2의 (B)는 제1 컬러링 콘텐츠(10a)이다. 제1 컬러링 콘텐츠(10a)는 서버(110)가 원본 이미지(20) 내의 객체(21)를 구분하고, 구분된 객체(21)를 제1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트레이싱 라인(11a)을 추출함으로써 생성된 컬러링 콘텐츠(10)이다. 여기서, 제1 컬러링 콘텐츠(10a)는 단순 라인 추출, 트레이싱 작업에 의하여 생성된 결과물이므로, 연결되어 있어야 할 트레이싱 라인(11a)이 끊어져 있을 수 있거나, 객체(21)들이 서로 붙어 있거나 교차되어 있는 경우, 트레이싱 라인(11a)이 다소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있어서 제1 컬러링 콘텐츠(10a)는 사용자가 색칠을 위하여 사용되기에 다소 미흡한 컬러링 콘텐츠(10)이면서도 이후에 별도의 보정이 필요한 컬러링 콘텐츠(10)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1 컬러링 콘텐츠(10a)는 아직까지 컬러링 콘텐츠(10)의 완성된 결과물이라고 볼 수 없는 초벌 상태의 컬러링 콘텐츠(10) 또는 가컬러링 콘텐츠(10)라고 볼 수 있다.
도 2의 (C)는 제2 컬러링 콘텐츠(10b)이다. 제2 컬러링 콘텐츠(10b)는 제1 컬러링 콘텐츠(10a)가 서버(110)의 제2 알고리즘 및 제3 알고리즘에 의하여 보정 또는 보완된 컬러링 콘텐츠(10)이며, 본 발명의 시스템(100)이 결과적으로 생성시키고자 하는 컬러링 콘텐츠(10)는 바로 이 제2 컬러링 콘텐츠(10b)이다. 도2의 (C)를 참고하면, 제2 컬러링 콘텐츠(10b)에는 제1 컬러링 콘텐츠(10b)의 트레이싱 라인(11a)이 보정되어 컬러링 라인(11b)이 형성되고, 컬러링 라인(11b)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색칠할 수 있는 면인 구분면(12)이 형성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시스템(100)이 사용자가 촬영한 또는 선택한 원본 이미지(20)를 토대로 컬러링 콘텐츠(10)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알고리즘(제1 내지 제3 알고리즘)이 실행되며, 이러한 복수 개의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프로세서(114)를 설명할 때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10)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100)의 구성요소인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120)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서버(110)]
도 3은 본 발명의 서버(1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원본 이미지(20)를 수신하고, 원본 이미지(20)를 토대로 컬러링 콘텐츠(10)를 생성한다.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서버(110)는 통신부(111), 객체 식별부(112), 저장부(113) 및 프로세서(114)를 포함한다.
[통신부(111)]
통신부(111)는 서버(110)가 사용자 단말(120), 또는 컬러링 콘텐츠(10) 생성에 필요한 제3의 서버(미도시)와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통신부(111)는 무선의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의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WiFi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앞서 언급한 제3의 서버는 단일의 서버이거나, 복수의 개의 서버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서버일 수 있으며, 후술할 객체 식별부(112)가 원본 이미지(20)에 대한 객체를 구분하거나 식별할 때, 프로세서(114)가 특정 알고리즘을 실행할 때에 필요한 데이터 리소스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3 서버의 자세한 설명은 이하 객체 식별부(112) 및 프로세서(114)를 설명할 때에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객체 식별부(112)]
객체 식별부(112)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 받은 원본 이미지(20)에 포함된 객체(21)들을 구분하고 식별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말하는 객체(21)는 원본 이미지(20) 내에 포함된 피사체(被寫體)를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촬영한 원본 이미지(20) 내에 포함된 사람, 동물, 건물, 차량, 나무 등의 오브젝트들이 본 발명의 객체(21)가 될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객체 식별부(112)가 원본 이미지(20) 내에 포함된 객체(21)들을 구분하고 식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고하면, 객체 식별부(112)는 학습된 AI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원본 이미지(20)의 객체(21)들을 구분하고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원본 이미지(20)가 사용자에 의하여 촬영된 어느 한 풍경에 대한 이미지라고 가정하였을 때, 객체 식별부(112)는 이러한 풍경 내에 포함된 객체(21)들을 각각 하나의 객체(21)로서 구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객체(21)가 '버스'인지, '나무'인지, '정류장'인지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객체 식별부(112)는 학습된 AI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서도 객체(21)를 식별하지 못할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객체 식별부(112)는 제3 서버와 연계되어 해당 객체(21)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객체 식별부(112)가 해당 객체(21)에 대한 학습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아 해당 객체(21)를 식별하지 못할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프로세서(114)가 객체 식별부(112)에서 식별하지 못한 객체(21)의 이미지를 통신부(111)에 전달하여 통신부(112)가 상기 이미지를 제3 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제3 서버가 해당 객체(21)가 어떤 객체(21)인지 판단해주거나 해당 객체(21)와 유사한 이미지를 전송하여 객체 식별부(112)가 직접 식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저장부(113)]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저장부(113)는 생성된 컬러링 콘텐츠(10)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113)는 컬러링 콘텐츠(10) 생성 서비스 가입 회원들의 정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서버(1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할 때에 입력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113)는 객체 식별부(112)가 객체(21)를 구분하고 식별할 때에 필요한 데이터 리소스, 또는 후술할 프로세서(114)가 알고리즘을 실행할 때에 필요한 데이터 리소스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서버(110)에 의하여 생성된 컬러링 콘텐츠(10)는 저장부(113)를 통하여 일시적으로 또는 장기적으로 저장되며, 저장된 컬러링 콘텐츠(1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서버(110) 내에 업로드 될 수 있으며, 이렇게 업로드 된 컬러링 콘텐츠(10)는 컬러링 콘텐츠(10) 생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타 사용자들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컬러링 콘텐츠(10)는 색칠하기 전/후의 컬러링 콘텐츠(10) 뿐만 아니라 원본의 이미지(20)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14)]
프로세서(114)는 통신부(111), 객체 식별부(112) 및 저장부(113) 각각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서버(110)에 마련된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서(114)가 컬러링 콘텐츠(10)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1 알고리즘, 제2 알고리즘 및 제3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상기 나열된 알고리즘들은 컬러링 콘텐츠(10)가 생성될 때에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14)에 의하여 실행되며, 이하 프로세서(114)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1 내지 제3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알고리즘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 받은 원본 이미지(20)를 토대로 트레이싱 라인(11a)을 추출하여 제1 컬러링 콘텐츠(10a)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1 알고리즘은 객체(21)의 내/외곽선인 트레이싱 라인(11a)을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서, 원본 이미지(20)의 투명도를 높이고 그 위에 형성되는 라인을 따라 트레이스하는 트레이싱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으며, 원본 이미지(20)의 에지(Edge)를 찾아 반환 시키는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제1 알고리즘은 상기 언급한 알고리즘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본 이미지(20) 내의 객체의 트레이싱 라인(11a)을 추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라면 본 발명의 제1 알고리즘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이렇게 제1 알고리즘에 의하여 생성된 컬러링 콘텐츠(10)는 제1 컬러링 콘텐츠(10a)이며,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1 컬러링 콘텐츠(10a)는 단순히 트레이싱 라인(11a)만을 추출하여 생성된 컬러링 콘텐츠(10a)이기에 생성되는 과정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할 트레이싱 라인(11a)이 끊어져 있을 수 있으며, 객체(21)들이 서로 교차되거나 겹쳐져 있는 경우 다소 복잡한 트레이싱 라인(11a)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 미흡한 부분들을 보완하거나 보정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제2 알고리즘은 제1 컬러링 콘텐츠(10a)의 미흡한 부분들을 보완하거나 보정하여 컬러링 라인(11b)을 형성하여 제2 컬러링 콘텐츠(10b)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이다.
도 5a 및 5b는 제2 알고리즘을 통하여 제1 컬러링 콘텐츠(10a)가 보완되거나 보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의 (A)는 제1 알고리즘을 통하여 생성된 제1 컬러링 콘텐츠(10a)이며, 연결되어 있어야 할 트레이싱 라인(11a)들이 여러 군데 끊어져 있어 색칠해야 할 구분면(12)의 경계를 판단하기 어렵기에 아직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에는 미흡한 컬러링 콘텐츠(10)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미흡한 점을 보정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14)는 제2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제2 알고리즘은 끊어져 있는 트레이싱 라인(11a)을 연결하기 위하여, 먼저, 원본 이미지(20)와 제1 컬러링 콘텐츠(10a)을 비교하여 해당 트레이싱 라인(11a)이 필수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지 판단하고,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고 판단되면, 원본 이미지(20)에 포함된 객체(21)의 내/외곽선을 토대로 끊어져 있는 트레이싱 라인(11a)을 연결하여 보정 및 보완이 완료된 컬러링 라인(11b)을 생성한다.
한편, 제2 알고리즘은 제1 컬러링 콘텐츠(10a)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무관한 부분을 삭제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프로세서(114)가 제2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컬러링 콘텐츠(10a)와 무관한 부분을 삭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의 (A)에 도시된 제1 컬러링 콘텐츠(10a)는 사용자가 원본 이미지(20)를 촬영할 때에 사용자 단말(120)을 파지하던 사용자의 손가락 일부가 카메라(122)의 촬영 프레임에 잡혀 다른 객체(21: 버스, 산, 나무 등)과 같이 트레이싱 라인(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트레이싱 라인(11a)까지 형성된 손가락은 당연히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촬영된 객체(21)일 것이며, 다른 객체(21)들이 나타내던 풍경의 분위기와는 무관한 객체(21)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알고리즘은 객체 식별부(112)가 식별한 객체(21)들 간의 관계들을 학습된 AI 인공지능 기술을 통하여 분석하여 다른 객체(21)들과 비슷한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거나 제1컬러링 콘텐츠(10a)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무관한 객체(21)를 삭제할 수 있다(도 5b의 (B) 참고). 이렇게 제2 알고리즘을 통하여 무관한 객체(21)가 삭제된 제1 컬러링 콘텐츠(10a)는 상기 객체(21)가 삭제되어 여백이 발생되며, 이 여백은 제3 알고리즘에 의하여 보정 및 보완될 수 있다.
한편, 제2 알고리즘이 삭제하고자 하는 객체(21)가 사실 사용자가 의도했던 객체(21)일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의 프로세서(114)는 해당 객체(21)를 삭제하기 이전에 사용자에게 "해당 객체를 삭제하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이를 수락해야만 해당 객체(21)를 삭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제2 알고리즘에 의하여 삭제되는 객체(21)들은 촬영 실수에 의하여 발생되는 사용자의 신체, 지나가는 행인 등이 될 수 있으며, 촬영 시 흔들림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도 제2 알고리즘을 통하여 삭제될 수 있다.
도 6은 프로세서(114)가 제2 알고리즘 및 제3 알고리즘을 실행시켜 제1 컬러링 콘텐츠(10a)를 보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알고리즘은 객체 식별부(112)를 통하여 식별된 객체(21)들의 특징을 분석하여 객체(21)의 특징과 관련된 특정 이미지를 제3 알고리즘을 통하여 획득하고, 상기 특정 이미지의 트레이싱 라인(11a)을 추가로 삽입해주어 컬러링 라인(11b)을 생성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제1 컬러링 콘텐츠(10a)는 제2 알고리즘에 의하여 무관하다고 판단된 객체(21)가 삭제되어 있으며, 객체(21)가 삭제된 부분에 여백이 형성되어 있는 컬러링 콘텐츠(10)이다. 이렇게 여백이 포함된 제1 컬러링 콘텐츠(10a)가 생성되면, 프로세서(114)는 사용자에게 재촬영을 요구하지 않고, 제3 알고리즘을 실행시켜 불완전한 부분(예: 여백)을 보완해주어 완전한 컬러링 라인(11b)을 형성시켜준다. 구체적인 예로, 도 6의 (A)에서 여백에 의하여 불완전한 부분이 형성된 객체(21)인 '버스'는 제3 알고리즘에 의하여 완전한 형태의 '버스'로 보완된다. 도 6의 (B)를 참고하면, 제3 알고리즘은 '버스'를 완전한 형태로 보완하기 위하여, 저장부(113)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제3 서버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중에서 '버스'의 형태가 유사한 특정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정 이미지와 불완전한 부분을 비교하여 불완전한 부분에 채워져야 할 구조와 형태를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결과값의 트레이싱 라인(11a)을 불완전한 부분 삽입하여 '버스'가 완전한 형태로 보완될 수 있도록 한다(도 6의 (C)).
이상, 본 발명의 서버(11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2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20)]
사용자 단말(120)은 컬러링 콘텐츠(10) 생성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으며, 스마트 폰, 데스크탑, 랩탑, 태블릿 PC 등과 같이 통신 모듈이 구비된 단말 형태의 장치를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200)에는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7은 이러한 사용자 단말(1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부(121), 카메라(122), 애플리케이션(123) 및 프로세서(124)를 포함한다.
[통신부(121)]
사용자 단말(121)의 통신부(121)는 서버(110)의 통신부(111)와 데이터 교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21)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1)의 카메라(122)를 통하여 촬영한 원본 이미지(20)를 서버(11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서버(110)에서 생성한 컬러링 콘텐츠(10)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메라(122)]
카메라(122)는 원본 이미지(20)를 촬영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 단말(121)의 프로세서(122)에 의하여 실행되거나, 컬러링 콘텐츠(10) 생성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123)이라고 약칭함)을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카메라(122)가 애플리케이션(123)을 통하여 실행될 때에는 사용자 단말(120) 화면 상에 일정한 규격의 촬영 프레임을 제공해주거나 완성도 높은 컬러링 콘텐츠(10)를 생성하기 위한 최적의 구도를 추천해주며, 현재의 날씨, 조도 등의 촬영 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밝기, 각도, 촬영 기법 등을 추천해주는 별도의 가이드 기능이 포함되어 실행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23)]
애플리케이션(123)은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컬러링 콘텐츠(10)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저장된, 사용자 단말(120)의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이다.
애플리케이션(123)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0) 내에 구비된 카메라(122)를 통하여 촬영한 원본 이미지(20), 또는 사용자 단말(120) 내에 기 저장된 이미지 중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원본 이미지(20)를 서버(110)에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123)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컬러링 난이도를 서버(110)에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123)은 서버(110)로부터 컬러링 콘텐츠(10)를 수신하여 수신된 컬러링 콘텐츠(10)를 사용자 단말(120) 화면 상에 출력하는 인스트력션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123)은 사용자가 컬러링 가이드 요청을 선택 입력한 경우, 원본 이미지(20)의 채도를 조정하여 원본 이미지(20)가 컬러링 콘텐츠(10)에 오버랩 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있다.
[프로세서(124)]
프로세서(124)는 통신부(121), 카메라(122), 애플리케이션(123) 각각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4)의 하드웨어 적인 부분은 서버(110)의 프로세서(114)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고자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24)의 프로세서(114)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수신된 입력에 따라 상기 나열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14)는 애플리케이션(123)의 인스트럭션을 실행시켜 사용자가 컬러링 콘텐츠(10)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2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은 컬러링 콘텐츠(10)를 직접적으로 생성하는 서버(110)를 주체로 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서버(110)가 컬러링 콘텐츠(10)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은 먼저, 서버(110)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원본 이미지(20)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시작한다(S101). 여기서 원본 이미지(2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촬영한 이미지 또는 사용자 단말(12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말한다.
이후에, 서버(110)는 객체 식별부(112)를 통하여 원본 이미지(20) 내의 객체(21)를 구분하고 식별한다(S102). 예를 들어, 원본 이미지(20)가 '버스', '나무', '산', '정류장'이 포함된 풍경 이미지라고 가정하였을 때, 객체 식별부(112)는 상기 원본 이미지(20)에 포함된 '버스', '나무', '산', '정류장' 각각의 객체(21)들의 위치를 구분하고, 해당 객체가 버스인지, 나무인지를 식별한다.
다음으로, 서버(110)는 제1 알고리즘을 통하여 제1 컬러링 콘텐츠(10a)를 생성한다(S103). 여기서 제1 알고리즘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 받은 원본 이미지(20)를 토대로 트레이싱 라인(11a)을 추출하여 제1 컬러링 콘텐츠(10a)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이다. 제1 컬러링 콘텐츠(10a)는 단순 라인 추출, 트레이싱 작업에 의하여 생성된 결과물이므로 아직까지 컬러링 콘텐츠(10)의 완성된 결과물이라고 볼 수 없는 초벌 상태의 컬러링 콘텐츠(10) 또는 가컬러링 콘텐츠(10)이며, 이후에 별도의 보정이 필요한 컬러링 콘텐츠(10)이다.
참고로, 제1 알고리즘을 통하여 생성된 제1 컬러링 콘텐츠(10a)는 보정되기 이전에 가컬러링 콘텐츠(10)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알고리즘을 통하여 생성된 제1 컬러링 콘텐츠(10a)가 사용자가 원했던 컬러링 콘텐츠(10)가 아닐 수도 있기에, 제1 컬러링 콘텐츠(10a)를 보정하기 이전에 사용자에게 제1 컬러링 콘텐츠(10a)를 보여주어 사용자가 원본 이미지(20)를 재촬영 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준다.
이후에, 서버(110)는 제2 알고리즘을 통하여 제2 컬러링 콘텐츠(10b)를 생성한다(S104). 여기서 제2 알고리즘은 1 컬러링 콘텐츠(10a)의 미흡한 부분들을 보완하거나 보정하여 컬러링 라인(11b)을 형성하여 제2 컬러링 콘텐츠(10b)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이다. 제2 컬러링 콘텐츠(10b)에는 트레이싱 라인(11a)이 제2 알고리즘에 의하여 보정된 컬러링 라인(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컬러링 라인(11b)에 의하여 사용자가 색칠하는 공간인 구분면(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알고리즘은 제1 컬러링 콘텐츠(10a)의 불완전한 부분(예: 여백)을 완전한 형태로 보정하기 위하여 제3 알고리즘과 연동되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알고리즘은 불완전한 부분이 포함된 객체(21)와 유사한 특정 이미지를 저장부(113) 또는 제3 서버를 통하여 획득하며, 특정 이미지와 불완전한 부분을 비교하여 불완전한 부분에 채워져야 할 구조와 형태를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결과값의 트레이싱 라인(11a)을 불완전한 부분에 삽입해주는 알고리즘이다.
이후에, 서버(110)는 생성된 컬러링 콘텐츠(10)를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함(S105)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이 마무리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2 실시 예>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은 사용자 단말(120)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컬러링 콘텐츠(10)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의 주체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120)이 원본 이미지(20)를 서버(110)에 전송하는 것에서 시작한다(S201). 이 때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123)의'촬영' 인터페이스를 터치함으로써 실행되는 카메라(122)로 원본 이미지(20)를 촬영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중 하나를 원본 이미지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컬러링 난이도를 서버(110)에 전송한다(S202). 여기서, 컬러링 난이도는 초보자와 숙련자가 구분되어 각자 실력에 맞는 컬러링 콘텐츠(10)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초보자에게 숙련자가 되기 위한 노력을 고무시켜 컬러링 콘텐츠(10) 색칠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일종의 재미요소이다. 컬러링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색칠해야 할 구분면(12)의 면적 줄어들며, 컬러링 콘텐츠(10)의 전체 면에 대한 구분면(12) 개수의 비율이 증가한다. 이렇게 컬러링 난이도에 의하여 증가되는 구분면(12)은 해당 객체(21)의 명암, 그림자, 채도를 기준으로 증가된 것이다. 또한, 컬러링 난이도에 의하여 증가되는 구분면(12)은 하나의 객체(21)에 포함된 구성을 정밀하게 구분하여 증가된 것이다. 예를 들어, 컬러링 콘텐츠(10)에 나무 한 그루의 객체(21)가 포함되어 있다는 전제로, 이 컬러링 콘텐츠(10)의 컬러링 난이도가 높아지면, 나무 한 그루의 잎, 뿌리, 또는 잎에 포함된 잎맥, 잎자루 등의 구분면(12)이 추가로 생성되어 컬러링 콘텐츠(10)의 전체 면에 대한 구분면(12) 개수의 비율 증가될 수 있다.
도 10은 컬러링 난이도가 상이한 두 컬러링 콘텐츠(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컬러링 콘텐츠(10-1)에는 화분에 심어진 꽃들을 객체(21)로 하여 컬러링 라인(11b)과 구분면(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의 컬러링 콘텐츠(10-1)는 꽃 한 송이에 포함된 꽃잎 전체를 하나의 구분면(12)으로 하고 있으며, 꽃의 줄기, 또는 화분을 구분면(12)으로 하여, 구분면(12) 각각의 면적이 크고, 컬러링 콘텐츠(10-1)의 전체 면에 대한 구분면(12) 개수의 비율이 적기에 비교적 쉬운 컬러링 난이도를 가진 컬러링 콘텐츠(10)라고 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컬러링 콘텐츠(10-2)는 도10의 (A)의 컬러링 콘텐츠(10-2)에 컬러링 난이도를 높인 컬러링 콘텐츠(10)이다. 난이도가 높아진 컬러링 난이도에 의하여 컬러링 콘텐츠(10-2)는 꽃 한 송이에 포함된 꽃잎 각각에 구분면(12)이 생성될 뿐만 아니라 꽃받침, 꽃의 암술/수술의 구분면(12) 형성되어 사용자가 색칠해야 할 구분면의 면적이 줄어 들고, 컬러링 콘텐츠(10-2)의 전체 면에 대한 구분면(12) 개수의 비율이 증가하여, 도10의 (A)에 도시된 컬러링 콘텐츠(10-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색칠하기 어려워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컬러링 난이도를 선택하는 S202단계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123)을 설치한 이후 원본 이미지(20)를 촬영하는 단계(S101)이전에도 실시될 수 있으며, 서버(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20)이 컬러링 콘텐츠(10)를 수신 받은 이후에도 실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비스 애플리케이션(123)을 설치한 이후라면 언제든지 컬러링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다.
S201 단계 또는 S202 단계 이후에, 사용자 단말(120)은 서버(110)로부터 컬러링 콘텐츠(10)를 수신한다(S103).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컬러링 가이드 요청이 있을 시, 컬러링 가이드를 실행시키면서(S204),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컬러링 콘텐츠 생성 방법이 마무리된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컬러링 가이드는 해당 구분면(12)에 어떠한 색을 칠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사용자에게 칠해야 할 색을 시각적으로 알려주거나 추천해주는 기능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비스의 컬러링 가이드 기능을 그림을 통하여 간략히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20)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컬러링 가이드 요청이 있을 시, 컬러링 콘텐츠(10)에 원본 이미지(20)를 오버랩(Overlap)시킨다. 원본 이미지(20)가 오버랩 된 컬러링 콘텐츠(10)는 색칠해야 할 구분면(12)에 원본 이미지(20)에서 나타내는 색상이 그대로 매칭되어 사용자가 해당 구분면(12)에 어떠한 색을 칠해야 할지 고민하지 않아도 오버랩 된 원본 이미지(20)에서 나타내는 색상을 따라 색칠할 수 있도록 유도해준다. 이 때, 컬러링 콘텐츠(10)에 오버랩 되는 원본 이미지(20)는 비교적 투명하게 채도가 조절된 원본 이미지(20)이다. 이렇게 원본 이미지(20) 자체가 아닌 채도가 조절된 원본 이미지(20)를 오버랩 시켜 컬러링 가이드로 사용하는 이유는 원본 이미지(20) 자체가 컬러링 콘텐츠(10)에 오버랩 되면, 컬러링 콘텐츠(10)에 이미 색이 칠해진 것과 같아 사용자의 흥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색칠할 때에 비어진 공간을 채워가며 느낄 수 있는 재미를 절감시켜 컬러링 콘텐츠(10)를 하는 목적 의식이 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리하자면, 컬러링 가이드는 원본 이미지(20)의 채도를 사용자가 색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조절하여 사용자가 구분면(12)에 색을 칠할 때에 느끼는 재미를 잃지 않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구분면(12)에 어떠한 색을 칠할 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해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비스의 또 다른 컬러링 가이드 기능을 그림을 통하여 간략히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20)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컬러링 가이드 요청이 있을 시, 해당 구분면(21)에 칠해져야 할 색상을 사용자 단말(120) 상에 표시해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 표시되는 색상은 해당 구분면(12)과 매칭되는 원본 이미지(21)의 색상일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구분면(12)과 매칭되는 원본 이미지(21)의 색상뿐만 아니라 원본 이미지(21)의 색상과 비슷한 색상들도 추천해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가 해당 구분면(12)의 명암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또는 창의적으로 구분면(12)을 색칠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수동적인 색칠만이 아닌 능동적인 색칠이 가능하도록 색칠의 자유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다.
참고로, 컬러링 가이드 기능을 통하여 표시되는 색상은 제4 알고리즘에 의하여 추출된 색상이다. 제4 알고리즘은 객체(21)의 색감을 식별하고 추출하는 알고리즘이다. 구체적으로, 제4 알고리즘은 원본 이미지(20)에 포함된 객체(21)가 나타내는 색상을 헥스코드(Hex color codes)를 기준으로 식별하며, 식별된 색상의 코드 번호를 추출할 뿐만 아니라 추출된 색상의 코드 번호와 유사한 범위에 속한 코드 번호까지 추출함으로써 원본 이미지(20)에 매칭되는 색상뿐만 아니라 비슷한 색감의 색상까지도 사용자에게 표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알고리즘이 녹색 잎을 가진 나무의 색을 추출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4 알고리즘은 헥스코드에서의 녹색에 해당하는 '#998899(녹색)'코드 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998899(녹색)'코드 번호와 유사 범위에 속하는 코드 번호인 '#6a8518(풀색)', '#808000(올리브색)', '#81c147(연두색)'도 같이 추출해주어 원본 이미지(20)에 매칭되는 색상 뿐만 아니라 비슷한 색감의 색상까지도 사용자에게 표시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컬러링 콘텐츠 10a: 제1 컬러링 콘텐츠 10b: 제2 컬러링 콘텐츠
10c: 제3 컬러링 콘텐츠
11a 트레이싱 라인 11b: 컬러링 라인
12: 구분면
20: 원본 이미지
21: 객체
100: 시스템
110: 서버
111: 통신부
112: 객체 식별부
113: 저장부
114: 프로세서
120: 사용자 단말
121: 통신부
122: 카메라
123: 애플리케이션
124: 프로세서

Claims (5)

  1.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버가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사용자 단말로부터 원본 이미지-상기 원본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 저장된 이미지임-를 수신 받는 단계;
    (b)상기 원본 이미지 내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여 식별하는 단계;
    (c)제1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객체의 트레이싱 라인을 추출함으로써 제1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d)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제1 컬러링 콘텐츠를 제2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정하여 제2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되, 상기 제2 알고리즘은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제1 컬러링 콘텐츠를 비교하여 임의의 끊어져 있는 트레이싱 라인이 필수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지 판단하고,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내외곽선을 토대로 상기 끊어져 있는 트레이싱 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및
    (e)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2 컬러링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전송되는 컬러링 콘텐츠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설정한 컬러링 난이도가 적용된 컬러링 콘텐츠이며, 상기 컬러링 난이도는, 높아질수록 색칠해야 할 구분면의 면적, 개수, 또는 상기 컬러링 콘텐츠의 전체 면에 대한 구분면 개수의 비율이 상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컬러링 콘텐츠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컬러링 가이드 요청이 있을 시 컬러링 가이드를 실행시키되, 상기 컬러링 가이드는 상기 제2 컬러링 콘텐츠 상에 투명하게 채도가 조절된 원본 이미지가 오버랩 된 것인,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컬러링 콘텐츠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은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것들로서,
    상기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은,
    (a)사용자 단말로부터 원본 이미지-상기 원본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 저장된 이미지임-를 수신 받는 단계;
    (b)상기 원본 이미지 내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여 식별하는 단계;
    (c)제1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객체의 트레이싱 라인을 추출함으로써 제1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d)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제1 컬러링 콘텐츠를 제2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정하여 제2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되, 상기 제2 알고리즘은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제1 컬러링 콘텐츠를 비교하여 임의의 끊어져 있는 트레이싱 라인이 필수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지 판단하고,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내외곽선을 토대로 상기 끊어져 있는 트레이싱 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및
    (e)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2 컬러링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전송되는 컬러링 콘텐츠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설정한 컬러링 난이도가 적용된 컬러링 콘텐츠이며, 상기 컬러링 난이도는, 높아질수록 색칠해야 할 구분면의 면적, 개수, 또는 상기 컬러링 콘텐츠의 전체 면에 대한 구분면 개수의 비율이 상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컬러링 콘텐츠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컬러링 가이드 요청이 있을 시 컬러링 가이드를 실행시키되, 상기 컬러링 가이드는 상기 제2 컬러링 콘텐츠 상에 투명하게 채도가 조절된 원본 이미지가 오버랩 된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20166659A 2022-12-02 2022-12-02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62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659A KR102620060B1 (ko) 2022-12-02 2022-12-02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659A KR102620060B1 (ko) 2022-12-02 2022-12-02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060B1 true KR102620060B1 (ko) 2024-01-05

Family

ID=8954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659A KR102620060B1 (ko) 2022-12-02 2022-12-02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060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194B1 (ko) * 2010-07-19 2011-01-26 권순욱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11430A (ko) * 2013-07-22 2015-02-02 주식회사 엠텔로 영상 컬러링/레터링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50116613A (ko) * 2014-04-08 2015-10-16 (주) 제일엠아이 비파괴 검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56848B1 (ko) * 2016-11-01 2017-07-12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불법 주정차 관리 시스템
KR20190002308A (ko) * 2017-06-29 2019-01-08 예스튜디오 주식회사 수익을 창출하는 채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51433B1 (ko) * 2018-10-15 2019-05-21 조정우 사진 드로잉 장치
KR20200050108A (ko) * 2018-11-01 2020-05-11 예스튜디오 주식회사 창작자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채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6404A (ko) * 2019-03-04 2020-09-14 이경연 컬러링 워크 북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119059A (ko) * 2020-03-24 2021-10-05 예스튜디오 주식회사 그림 서비스 및 소셜 공유 플랫폼
KR20220075861A (ko) * 2020-11-30 2022-06-08 방성환 이미지 인식 기반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194B1 (ko) * 2010-07-19 2011-01-26 권순욱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11430A (ko) * 2013-07-22 2015-02-02 주식회사 엠텔로 영상 컬러링/레터링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50116613A (ko) * 2014-04-08 2015-10-16 (주) 제일엠아이 비파괴 검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56848B1 (ko) * 2016-11-01 2017-07-12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불법 주정차 관리 시스템
KR20190002308A (ko) * 2017-06-29 2019-01-08 예스튜디오 주식회사 수익을 창출하는 채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51433B1 (ko) * 2018-10-15 2019-05-21 조정우 사진 드로잉 장치
KR20200050108A (ko) * 2018-11-01 2020-05-11 예스튜디오 주식회사 창작자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채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6404A (ko) * 2019-03-04 2020-09-14 이경연 컬러링 워크 북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119059A (ko) * 2020-03-24 2021-10-05 예스튜디오 주식회사 그림 서비스 및 소셜 공유 플랫폼
KR20220075861A (ko) * 2020-11-30 2022-06-08 방성환 이미지 인식 기반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 vinci Eye App, [YouTube 동영상], 2020.06.21.,[2023.04.06 검색],<https://www.youtube.com/watch?v=MWuH456sH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0433B2 (en) Skin tone assisted digital image color matching
WO2017088340A1 (zh) 图像信息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US201502776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Real-Time Modification of Videos and Images Within a Social Network Format
CN108109161B (zh) 基于自适应阈值分割的视频数据实时处理方法及装置
CN106200918B (zh) 一种基于ar的信息显示方法、装置和移动终端
WO2022227393A1 (zh) 图像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111911B (zh) 基于自适应跟踪框分割的视频数据实时处理方法及装置
CN106203286A (zh) 一种增强现实的内容获取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1784568A (zh) 人脸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10321849B (zh) 图像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400254A (zh) 一种口红试妆方法及装置
US12041373B2 (en) Applying video effects within a video communication session
US116700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avatar with pronounced features
CN116744820A (zh) 数字彩妆师
WO2023197780A1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507061A (zh) 美甲图案选择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615261A (zh) 增强现实中图像的处理方法、处理装置及存储介质
CN114820292A (zh) 图像合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78206A (ko) 음성 인식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편집 기술
KR102620060B1 (ko) 컬러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u et al. Adaptive color transfer from images to terrain visualizations
US10706590B2 (en) Subtitle beat generation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server
CN112183122A (zh) 文字识别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7102726A (zh) 一种基于ar的学前教育系统
CN115953597B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