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824B1 - Container - Google Patents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824B1
KR102619824B1 KR1020220110912A KR20220110912A KR102619824B1 KR 102619824 B1 KR102619824 B1 KR 102619824B1 KR 1020220110912 A KR1020220110912 A KR 1020220110912A KR 20220110912 A KR20220110912 A KR 20220110912A KR 102619824 B1 KR102619824 B1 KR 102619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ifting guide
unit
rotat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9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택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22011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824B1/en
Priority to PCT/KR2023/007748 priority patent/WO202404892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824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2Casings with provision for preventing undesired movement of the sti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Landscapes

  • Glass Compositi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상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부; 상기 승강 가이드부와 동기 회전하도록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측에 결합하며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인가받는 회전부; 및 상단은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부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은 상기 회전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회전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 일 영역을 가압하면, 상기 승강부, 상기 승강 가이드부 및 상기 홀더부가 상기 회전부로부터 일체로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for contents is provided. The content container includes a lifting portion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content at the upper portion; a lifting guide part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ifting unit and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unit; A rotating par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guide unit to rotate synchronously with the lifting guide unit and receiving a user's rotation operation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unit; And the upper end is disposed outside the receiving part, the lower end includes a holder part disposed between the rotating part and the lifting guide part so that the rotating part can be relatively rotated, and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guide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When pressing a lower part of the lifting guid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part, the lifting part, the lifting guide part, and the holder part can be integrally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art.

Description

내용물 용기{CONTAINER}Content container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contents.

현대인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 중 하나로 립스틱이나 선밤 등과 같은 스틱형의 화장품이 점차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틱형의 화장품을 수용하고 있는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을 모두 소진하는 경우, 화장품 용기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일체로 폐기함으로 인하여,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As modern people's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gradually increases, various types of cosmetics are appearing, and one of these various types of cosmetics is stick-type cosmetics such as lipstick and sun balm, which are gradually gaining attention. However, when the cosmetic container containing these stick-type cosmetics is used up all its contents, the cosmetic container cannot be recycled and is discarded altogether, resulting in a waste of resourc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내용물을 리필하여 화장품 용기를 재활용할 수 있는 리필형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리필형 제품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화장품 용기를 잡고 회전시키거나 잡아당기는 등의 번거로운 조작 과정이 필요하게 되는 바, 리필 과정에서 조작의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To solve this problem, refillable products that allow cosmetic containers to be recycled by refilling their contents have recently been released. However, in the case of existing refillable products, a cumbersome operation process such as the user directly holding the cosmetic container and rotating or pulling is required, resulting in a problem that convenience of operation is reduced during the refilling proces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for content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상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부; 상기 승강 가이드부와 동기 회전하도록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측에 결합하며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인가받는 회전부; 및 상단은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부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은 상기 회전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회전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 일 영역을 가압하면, 상기 승강부, 상기 승강 가이드부 및 상기 홀더부가 상기 회전부로부터 일체로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for contents is provided. The content container includes a lifting portion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content at the upper portion; a lifting guide part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ifting unit and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unit; A rotating par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guide unit to rotate synchronously with the lifting guide unit and receiving a user's rotation operation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unit; And the upper end is disposed outside the receiving part, the lower end includes a holder part disposed between the rotating part and the lifting guide part so that the rotating part can be relatively rotated, and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guide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When pressing a lower part of the lifting guid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part, the lifting part, the lifting guide part, and the holder part can be integrally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art.

또한, 상기 회전부의 저면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이 삽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면이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가압이 인가될 수 있다.Additionally, an opening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guide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otating uni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so that the pressure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승강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개방부로 삽입되어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결합부; 및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적어도 일부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을 이격하여 둘러싸는 제 1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guide unit includes a coupling part that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of the rotating part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first edge port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extends downward and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 돌기 및 상기 제 2 걸림 돌기가 상호 체결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가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t least one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rotating part and the lifting guide part may be coupled to enable synchronous rotation.

또한, 상기 제 1 테두리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벽; 및 상기 상벽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가압하면, 상기 상벽에 의하여 상기 수직 돌기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승강 가이드부 및 상기 홀더부가 일체로 상기 회전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edge portion includes an upper wall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portion; and a side wall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wall and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t least one vertical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so that when the coupling portion is pressed, the upper wall As the vertical protrusion is pressed, the lifting guide part and the holder part may be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art as one body.

또한,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개방부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테두리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하측으로 개방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상기 제 2 테두리부가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is formed with a second edge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and the second edge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a space open downwardly between the first edge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there is.

또한, 상기 홀더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 3 테두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third edg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portion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dge por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dge portion.

또한, 상기 승강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용부의 하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승강부가 승강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rst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part below the receiving part, and at least one second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part, so that when the rotating part rotates, the first guide protrusion is formed. As the guide protrusion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protrusion, the elevating unit can be raised and lowered.

또한, 상기 승강부의 외측면에는 걸림 턱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승강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다가 상기 걸림 턱이 상기 제한부에 접하면, 상기 승강부의 추가 상승이 제한되고 상기 승강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vating part, and a limiting part in whic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vating par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holder part, and as the elevating part rises, the catching protrusion contacts the limiting part. If so, further elevation of the lifting unit may be restricted and separation of the lifting unit may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 일 영역이 회전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어, 승강 가이드부에 대한 간단한 가압 조작을 통하여 회전부로부터 승강부, 승강 가이드부 및 홀더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리필 조작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guide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part, so that the lifting part, lifting guide part, and holder par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art through a simple pressurizing operation on the lifting guide part, so that the contents are removed. Convenience in refill operation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필 용기에서 회전부에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for coupling to the rotating part in the refill contain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exteri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가이드부 및 회전부가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부의 회전을 통한 승강부의 승강이 가능하며, 리필 용기에서는 외부로 승강 가이드부의 제 1 테두리부가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승강 가이드부의 회전 및 승강부의 승강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guide part and the rotating part are combined, it is possible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part through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and since the first edge of the lifting guide par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refill container, unintentional rotation of the lifting guide par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part from going up and dow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with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with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with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ents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ents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ainer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picted in the attached drawings. In addition, a method of configuring and using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shown in each drawing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For convenience,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described below are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directions.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one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r step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Additionally,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en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en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en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승강부(100), 승강 가이드부(200), 회전부(300) 및 홀더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content container 1000 may include a lifting unit 100, a lifting guide unit 200, a rotating unit 300, and a holder unit 400.

승강부(100)는 내용물을 수용하고, 회전부(300)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며, 내용물을 홀더부(400)의 외측으로 노출 또는 내측으로 수용시킬 수 있다. The lifting unit 100 accommodates the contents, rises or fall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300, and may expose the contents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unit 400 or accommodate the contents inside.

실시예에서, 승강부(100)는 수용부(110), 제 1 가이드 돌기(120) 및/또는 걸림 턱(130)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ifting unit 100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110, a first guide protrusion 120, and/or a locking jaw 130.

수용부(110)는 승강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용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10)의 상부는 개방되고 내측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내용물의 하단부가 수용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되는 고형 또는 반고형 화장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은, 립스틱, 립밤, 선크림, 선밤, 베이스, 파운데이션 등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내용물은, 고형 또는 반고형의 의료용 내용물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용물은 고형 또는 반고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다른 제형이나 종류의 화장료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receiving part 110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part 100 and can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ents. For example,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110 is open an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ntents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110. Here, the content may be a solid or semi-solid cosmetic applied to the user's skin. For example, the contents may be lipstick, lip balm, sunscreen, sunbalm, base, foundation, etc. Also, for example, the content may be solid or semi-solid medical content. However, the cont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compositions that may be solid or semi-solid may be applied, and other formulations or types of cosmetics may be applied.

실시예에서, 수용부(11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고정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 돌기(111)는, 내용물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고정 돌기(111)는 수용부(11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first fixing protrusion 111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11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ents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ving. To this e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11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실시예에서, 수용부(11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고정 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 돌기(112)는, 내용물의 하면에 삽입되어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고정 돌기(112)는 수용부(110)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second fixing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12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ents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ving. For example,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제 1 가이드 돌기(120)는, 회전부(300)에 회전 조작이 인가되면, 승강부(100)가 승하강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 돌기(120)는 수용부(110)의 하측으로 형성되며, 승강부(100)의 하부 일 지점으로부터 상부 일 지점까지 외측면을 따라 소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돌기(120)는 승강 가이드부(200)의 일부(특히, 제 2 가이드 돌기(2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승강 가이드부(200)가 회전하면, 제 1 가이드 돌기(120)는 승강 가이드부(200)의 일부(특히, 제 2 가이드 돌기(230))에 의해 승강부(10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protrusion 120 may guide the lifting unit 100 to rise and fall when a rotational operation is applied to the rotating unit 300. For example,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110 and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along the outer surface from a lower point to an upper point of the lifting part 100.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0 may move along a portion of the lifting guide unit 200 (in particular, the second guide protrusion 230). Accordingly, when the lifting guide unit 200 rotates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ng unit 300,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0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lifting guide unit 200 (in particular, the second guide protrusion 230). It is possible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unit 100.

걸림 턱(130)은, 승강부(100)의 승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턱(130)은 승강부(10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승강부(100)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면 걸림 턱(130)의 단부가 홀더부(400)의 일부(특히, 제한부(420))에 접하게 되면서, 승강부(100)의 추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ocking jaw 130 may limit the lifting height of the lifting unit 100. For example, the locking jaw 130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unit 100, and when the lifting unit 100 rises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end of the catching jaw 130 is a part of the holder part 400. (In particular,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limiting portion 420), further elevation of the lifting portion 100 can be prevented.

승강 가이드부(200)는, 승강부(1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승강부(10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가이드부(200)는 회전부(300)와 동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부(300)에 회전 조작이 인가되면 승강 가이드부(200)가 회전부(300)의 회전력을 승강부(100)로 전달하며 승강부(100)를 승강시킬 수 있다.The lifting guide unit 200 is arrang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ifting unit 100 and can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100. Specifically, the lifting guide unit 200 is coupled to enable synchronous rotation with the rotating unit 300, so that when a rotation operation is applied to the rotating unit 300, the lifting guide unit 200 transfer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unit 300 to the lifting unit 100. ) and can elevate the lifting unit 100.

실시예에서, 승강 가이드부(200)의 하단은 회전부(3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회전부(300)의 외측으로 승강 가이드부(200)의 하단 일 영역(예를 들어, 승강 가이드부(200)의 측면, 하면 등)이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된 승강 가이드부(200)의 일 영역을 가압하면, 승강부(100), 승강 가이드부(200) 및 홀더부(400)가 회전부(300)로부터 일체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소진할 경우, 승강부(100)를 회전부(3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한 뒤, 새로운 내용물이 수용된 승강부(100), 승강 가이드부(200) 및 홀더부(400)의 조합을 회전부(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guide unit 2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ng unit 300. A lower part of the lifting guide unit 200 (e.g., a side surface, lower surface, etc. of the lifting guide unit 2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unit 300, and a portion of the exposed lifting guide unit 2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unit 300. When the area is pressed, the lifting unit 100, the lifting guide unit 200, and the holder unit 400 can be separated from the rotating unit 300. Accordingly, when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lifting unit 100 are exhausted, the lifting unit 10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rotating unit 300 and then the lifting unit 100, the lifting guide unit 200 and A combination of the holder parts 400 can be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300.

실시예에서, 승강 가이드부(200)는, 결합부(210), 제 1 테두리부(220) 및/또는 제 2 가이드 돌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ifting guide part 20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210, a first edge part 220, and/or a second guide protrusion 230.

결합부(210)는, 회전부(3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회전부(3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210)에 대한 간단한 가압 조작을 통하여 승강부(100), 승강 가이드부(200) 및 홀더부(400)가 회전부(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21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300.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portion 300 so that a user's external force can be applied. Accordingly, the lifting unit 100, the lifting guide unit 200, and the holder unit 400 can be separated from the rotating unit 300 through a simple pressurization operation on the coupling unit 210.

실시예에서, 결합부(21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걸림 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 돌기(211)는, 회전부(300)에 회전 조작이 인가되면 회전부(300)와 승강 가이드부(200)가 동기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걸림 돌기(211)는 결합부(210)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 돌기(211)는 회전부(300)의 일부(특히, 제 2 걸림 돌기(311))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00)가 회전하면, 회전부(300)의 일부(특히, 제 2 걸림 돌기(311))와 체결된 제 1 걸림 돌기(211)에 의해 승강 가이드부(20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first locking protrusion 21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0.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11 may enable the rotary part 300 and the lifting guide part 200 to rotate synchronously when a rotational operation is applied to the rotary part 300. For exampl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11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11 may be engaged with a part of the rotating part 300 (particularl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11). 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unit 300 rotates, the lifting guide unit 200 rotates together by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211 engaged with a part of the rotating unit 300 (in particular,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311). You can.

제 1 테두리부(220)는, 결합부(21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부(100), 승강 가이드부(200) 및 홀더부(400)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에서, 회전부(300)에 결합되기 위한 승강 가이드부(200)의 일부 구성(예를 들어, 결합부(210))이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필 용기의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테두리부(220)는, 승강 가이드부(20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적어도 일부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결합부(210)의 외주면을 이격하여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 1 테두리부(22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 1 테두리부(220)는 본 발명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dge portion 220 may prevent at least part of the exterior of the coupling portion 21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pecifically, in a refill container including a container unit 100 containing new contents, a lifting guide unit 200, and a holder unit 400,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guide unit 200 to be coupled to the rotating unit 300 (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210 can be made invisible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aesthetics of the exterior of the refill container can be improved. To this end, the first edge portion 220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unit 200,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extends downwar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0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there is. However, the shape of the first edge portion 220 is an example, and the first edge portion 220 may include any type of structure f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에서, 제 1 테두리부(220)는, 상벽(221) 및 측벽(222)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edge portion 220 may include an upper wall 221 and a side wall 222.

상벽(221)은, 결합부(210)에 인가된 외력을 홀더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벽(221)은 승강 가이드부(200)의 하단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10)에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벽(221)은 홀더부(400)의 일부(특히, 수직 돌기(410))를 가압하여 회전부(300)로부터 승강 가이드부(200)와 홀더부(400)가 일체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The upper wall 221 may transmit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upling portion 210 to the holder portion 400. For example, the upper wall 221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unit 200. When the user's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upling part 210, the upper wall 221 presses a part of the holder part 400 (particularly, the vertical protrusion 410) to separate the lifting guide part 200 and the holder from the rotating part 300. The part 400 can be separated as one piece.

측벽(222)은, 결합부(21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출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벽(222)은 상벽(221)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결합부(2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ide wall 222 may hide at least part of the exterior of the coupling portion 210. To this end, the side wall 222 may extend downward along the perimeter of the upper wall 221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0.

또한, 측벽(222)은, 홀더부(400)와 밀착하여 승강 가이드부(200)와 홀더부(400)의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222)은 외주면이 제 1 테두리부(220)와 접하고 있는 홀더부(400)의 일부(특히, 제 3 테두리부(43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홀더부(400)의 내주면에 밀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ide wall 222 can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lder part 400 to increase the support force of the lifting guide part 200 and the holder part 400. For example, the side wall 22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 portion of the holder portion 400 (particularly, the third peripheral portion 430) whos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im portion 220,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art 400.

제 2 가이드 돌기(230)는, 회전부(300)에 회전 조작이 인가되면, 승강부(10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이드 돌기(230)는 승강 가이드부(200)의 내측면에 제 1 가이드 돌기(12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부(300)와 승강 가이드부(200)가 동기 회전하면, 제 2 가이드 돌기(230)가 회전하게 되는데, 제 2 가이드 돌기(230)를 따라 제 1 가이드 돌기(120)가 이동하면서 승강부(100)를 승강시킬 수 있다.The second guide protrusion 230 may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100 when a rotational operation is applied to the rotating unit 300 . For example, the second guide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unit 200 to correspond to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0. When the rotation unit 300 and the lifting guide unit 200 rotate synchronously by the user's rotation operation, the second guide protrusion 230 rotates, and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0 follows the second guide protrusion 230. The lifting unit 100 can be raised and lowered while moving.

회전부(300)는, 승강부(100)를 승강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인가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300)는 승강 가이드부(200)와 동기 회전하도록 승강 가이드부(200)의 하측에 결합하며, 사용자가 회전 조작을 가하면 회전부(300)와 함께 회전하는 승강 가이드부(200)에 의해 승강부(100)가 승강할 수 있다.The rotating unit 300 may receive authorization for a user's rotation operation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unit 100 . For example, the rotating part 30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guide part 200 to rotate synchronously with the lifting guide part 200, and when the user applies a rotation operation, the lifting guide part 200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part 300. ), the lifting unit 100 can be raised and lowered.

실시예에서, 회전부(300)의 저면에는 개방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310)에는, 승강 가이드부(20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부(310)에는 결합부(2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개방부(310)를 통하여 결합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200)(특히, 결합부(210))의 하면은 개방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부(300)로부터 승강 가이드부(200)를 분리하기 위한 사용자의 가압이 인가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n open part 31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otating part 300.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guide unit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310. Specifically, the coupling portion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portion 3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portion 310.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part 200 (in particular, the coupling part 2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part 310, and a user's pressure is applied to separate the lifting guide part 200 from the rotating part 300. It can be.

실시예에서, 개방부(31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걸림 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걸림 돌기(311)는, 회전부(300)와 승강 가이드부(200)가 동기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걸림 돌기(311)는 개방부(310)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제 1 걸림 돌기(211)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310)에 결합부(210)가 삽입되면, 제 1 걸림 돌기(211) 및 제 2 걸림 돌기(311)가 상호 체결됨에 따라, 회전부(300)와 승강 가이드부(200)는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second locking protrusion 31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310.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11 may enable the rotation unit 300 and the lifting guide unit 200 to rotate synchronously. For example,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11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310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11 . When the coupling part 21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310,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11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11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ng part 300 and the lifting guide part 200 rotate synchronously. Possibly combined.

회전부(300)의 저면에는, 제 2 테두리부(3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테두리부(312)는, 개방부(310)에 결합부(210)가 삽입될 경우 승강 가이드부(200)와 회전부(300)의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테두리부(312)는 개방부(310)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 2 테두리부(312)가 제 1 테두리부(220)와 결합부(210)의 사이에 하측으로 개방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A second edge portion 312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bottom of the rotating portion 300. The second edge portion 312 can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ifting guide portion 200 and the rotating portion 300 when the coupling portion 21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ortion 310. For example, the second edge portion 312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long the perimeter of the opening portion 310, and the second edge portion 312 is between the first edge portion 220 and the coupling portion 210. It can be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open to the lower side.

홀더부(400)는, 내용물, 승강부(100) 및/또는 승강 가이드부(200)를 둘러싸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400)의 상단은 수용부(110)의 외측에 배치되고, 하단은 승강 가이드부(200)와 회전부(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홀더부(400)는, 회전부(300)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부(300)의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회전부(300)의 회전 조작에 독립되며, 회전부(300)의 회전 시에도 홀더부(400)는 회전하지 않고 회전 고정될 수 있다.The holder unit 40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contents, the lifting unit 100, and/or the lifting guide unit 200. 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holder part 400 may be placed outside the receiving part 110, and the lower end may be placed between the lifting guide part 200 and the rotating part 300. In addition, since the holder unit 400 is disposed inside the rotary unit 300 so that the rotary unit 300 can be relatively rotated, it is independent of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ry unit 300, and even when the rotary unit 300 rotates, the holder unit ( 400) can be rotated and fixed without rotating.

실시예에서, 홀더부(400)의 상부가 개방 형성되어, 승강부(100)가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에 내용물이 효과적으로 도포되도록 내용물의 상측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경우, 홀더부(400)의 개방 형성된 상단에는 내용물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pper part of the holder part 400 is formed open, so that the contents, which rise together with the elevation part 10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when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ents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skin,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tents may be formed at the open upper end of the holder portion 400.

실시예에서, 홀더부(400)는, 수직 돌기(410), 제한부(420) 및/또는 제 3 테두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holder portion 400 may include a vertical protrusion 410, a limiting portion 420, and/or a third edge portion 430.

수직 돌기(410)는, 결합부(210)에 인가된 외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돌기(410)는 홀더부(400)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 1 테두리부(220)의 일 영역에 접할 수 있다. 결합부(210)에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벽(221)은 수직 돌기(410)를 가압하여 회전부(300)로부터 승강 가이드부(200)와 홀더부(400)가 일체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The vertical protrusion 410 can receiv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upling portion 210. For example, the vertical protrusion 410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400 and may contact an area of the first edge portion 220 . When the user's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upling part 210, the upper wall 221 presses the vertical protrusion 410 so that the lifting guide part 200 and the holder part 400 are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art 300. there is.

제한부(420)는, 승강부(100)의 승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부(420)는 홀더부(40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승강부(100)가 상승하다가 걸림 턱(130)이 제한부(420)에 접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부(100)의 추가 상승이 제한되고 승강부(1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limiting unit 420 may limit the lifting height of the lifting unit 100 . For example, the limiting portion 420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400, and as the elevating portion 100 rises, the stopping protrusion 13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imiting portion 420. In this case, further elevation of the lifting unit 100 may be restricted and separation of the lifting unit 100 may be prevented.

실시예에서, 제한부(420)에는 관통홀(42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21)에는, 승강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부(420)의 상측으로는 승강부(100)의 상측 영역(예를 들어, 수용부(110))이 배치될 수 있고, 승강부(100)의 하측 영역은 관통홀(421)을 통과하여 제한부(420)의 하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through hole 421 may be formed in the limiting portion 420. At least a portion of the lifting unit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21. For example, the upper area of the lifting part 100 (e.g., the receiving part 110) may be disposed above the limiting part 420, and the lower area of the lifting part 100 may be disposed through a through hole ( It may pass through 421 and be disposed below the limiting portion 420.

또한, 제한부(420)의 상측으로 수용부(110)가 배치될 경우, 수용부(110)의 하면이 제한부(420)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210)에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면, 제 1 테두리부(220)에 의해 승강 가이드부(200)와 함께 홀더부(400)가 이동하게 되는데, 제한부(420)는 수용부(110)의 하면을 가압하여 홀더부(400)와 함께 승강부(100) 또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210)를 가압하면, 회전부(300)로부터 승강부(100), 승강 가이드부(200) 및 홀더부(400)가 일체로 분리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accommodating part 110 is disposed above the limiting part 420,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imiting part 420. In this case, when the user's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upling part 210, the holder part 400 moves together with the lifting guide part 200 by the first edge part 220, and the limiting part 420 accommodates By pres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110, the lifting unit 100 can also move together with the holder unit 400. Accordingly, when the coupling part 210 is pressed, the lifting part 100, the lifting guide part 200, and the holder part 400 can be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art 300.

실시예에서, 관통홀(421)은 비원형(non-circular)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관통홀(421)에 삽입되며 관통홀(421)의 내측에서 승강하는 승강부(100)의 일 영역 또한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00)가 회전하더라도, 회전 고정되는 홀더부(400)에 의해 승강부(100) 또한 회전하지 않으며, 승강부(100)는 승강 가이드부(20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through hole 421 is formed in a non-circular shape, and correspondingly, the elevating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21 and ascends and descends inside the through hole 421. One region may also be formed non-circularly. Accordingly, even if the rotating part 300 rotates, the lifting part 100 does not rotate due to the holder part 400 that is fixed in rotation, and the lifting part 100 is lift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lifting guide part 200. You can.

제 3 테두리부(430)는, 승강 가이드부(200)와 밀착하여 홀더부(400)와 승강 가이드부(200)의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테두리부(430)는 내주면이 제 1 테두리부(220)(특히, 측벽(222))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홀더부(4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 1 테두리부(220)의 외주면에 밀착할 수 있다.The third edge portion 4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ifting guide portion 200 and can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holder portion 400 and the lifting guide portion 200. For example, the third edge portion 43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portion 400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dge portion 220 (particularly, the side wall 222).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art 220.

실시예에서, 내용물 용기(1000)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는, 내용물 및 홀더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회전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덮개부는 홀더부(400)의 상단을 개방 또는 밀폐함으로써, 내용물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내용물에 이물질이 묻는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ents container 10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ortion. The cover part surrounds the content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der part 400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300. By opening or sealing the top of the holder part 400, the cover part can prevent contamination such as exposing the contents to the outside or foreign substances sticking to the contents.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 돌기(120) 및 제 2 가이드 돌기(230)의 위치가 반대로 변경되거나, 제 1 걸림 돌기(211) 및 제 2 걸림 돌기(311)의 위치가 반대로 변경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더라도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날 것임은 자명하다.The content container 1000 according to FIGS. 1 to 3 is an example,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example, various implementations such as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guide protrusion 230 to the opposite side, or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211 a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311 to the opposite side. For example,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nd even if they are changed, the same effect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hiev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회전부로부터 승강부, 승강 가이드부 및 홀더부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4의 (a)는 분리되기 전의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분리된 후의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ents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ure 4 shows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lifting part, lifting guide part, and holder part from the rotating part. Figure 4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ents container before separation, and Figure 4 (b) is a separated view.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ents container.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부(300)의 개방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부(210)의 하면을 가압하게 되면, 제 1 테두리부(220)(특히, 상벽(221))에 의해 수직 돌기(410)가 가압되어, 승강 가이드부(200)와 함께 홀더부(400)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한부(420)는 수용부(110)의 하면을 가압하여 홀더부(400)와 함께 승강부(100)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0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310 of the rotating portion 300 is press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edge portion 220 (particularly, the upper wall 221). By pressing the vertical protrusion 410, the holder part 400 can move together with the lifting guide part 200. In addition, the limiting part 420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0 so that the lifting part 100 and the holder part 400 can move together.

이와 같이, 결합부(210)의 노출된 일 영역을 가압하는 동작을 통하여, 회전부(300)로부터 승강부(100), 승강 가이드부(200) 및 홀더부(400)가 일체로 분리될 수 있고, 회전부(300)에 새로운 내용물이 수용된 승강부, 승강 가이드부 및 홀더부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를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내용물을 모두 소진한 내용물 용기(1000)에 대한 용이한 리필이 가능해질 수 있다.In this way, through the operation of pressing an exposed area of the coupling part 210, the lifting part 100, the lifting guide part 200, and the holder part 400 can be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art 300. , a refill container including an elevating part containing new contents, an elevating guide part, and a holder part can be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300. In other words, it may be possible to easily refill the content container 1000 whose contents have been completely consumed.

도 4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의 동작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동작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content container 1000 according to FIG. 4 is exemplary, and various operation method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승강부 및 이에 수용된 내용물이 승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5의 (a)는 승강부가 상승하기 전의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승강부가 상승한 후의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ents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ure 5 shows the process of the lifting unit and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being raised and lowered. 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ents container before the lifting unit rises, and 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ents container after the lifting unit rises.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contents.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회전부(300)에 회전 조작을 인가하면, 제 1 걸림 돌기(211) 및 제 2 걸림 돌기(311)가 상호 체결되어 있어, 회전부(300)와 함께 승강 가이드부(200)가 회전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200)가 회전하면, 제 2 가이드 돌기(230)가 회전하게 되는데, 제 2 가이드 돌기(230)를 따라 제 1 가이드 돌기(120)가 이동하면서 승강부(100)가 승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user applies a rotation operation to the rotary unit 300,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11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11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ifting guide part ( 200) can rotate. When the lifting guide unit 200 rotates, the second guide protrusion 230 rotates. As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0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protrusion 230, the lifting unit 100 can be lifted. there is.

이때, 관통홀(421)의 비원형의 형상에 대응하여 관통홀(421)에 삽입되어 관통홀(421)의 내측에서 승강하는 승강부(100)의 일 영역 또한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00)가 회전하더라도, 회전 고정되는 홀더부(400)에 의해 승강부(100) 또한 회전하지 않으며, 승강부(100)는 승강 가이드부(20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response to the non-circular shape of the through hole 421, one area of the lifting unit 100 tha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21 and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through hole 421 may also be formed in a non-circular shape. Accordingly, even if the rotating part 300 rotates, the lifting part 100 does not rotate due to the holder part 400 that is fixed in rotation, and the lifting part 100 is lift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lifting guide part 200. You can.

이후, 승강부(100)가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걸림 턱(130)이 제한부(420)에 접하게 되면서, 승강부(100)의 추가 상승이 제한되고 승강부(1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lifting unit 100 rises to a certain height, the stopping jaw 1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imiting part 420, thereby restricting the further rise of the lifting unit 100 and preventing the lifting unit 100 from leaving. It can be.

도 5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의 동작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동작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content container 1000 according to FIG. 5 is exemplary, and various operation method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ainer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용기 세트(3000)는, 내용물 용기(1000) 및 적어도 하나의 리필 용기(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용물 용기(1000)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ontainer set 3000 may include a content container 1000 and at least one refill container 2000. At this time, the content container 1000 can be described in the same way as the content container 1000 according to FIGS. 1 to 3.

리필 용기(2000)는, 승강부, 승강 가이드부(200'), 홀더부(400') 및 리필 캡(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리필 용기(2000)의 승강부, 승강 가이드부(200') 및 홀더부(400')는 내용물 용기(1000)의 승강부(100), 승강 가이드부(200) 및 홀더부(400)와 동일하게 설명된다. The refill container 2000 may include a lifting part, a lifting guide part 200', a holder part 400', and a refill cap 500. At this time, the lifting part, the lifting guide part 200', and the holder part 400' of the refill container 2000 are connected to the lifting part 100, the lifting guide part 200, and the holder part 400 of the content container 1000. It is explained in the same way.

리필 캡(500)은, 홀더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홀더부(4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리필 캡(500)은 홀더부(400')의 상단을 밀폐함으로써, 내용물에 이물질이 묻는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내용물 용기(1000)의 내용물이 소진된 경우, 회전부(300)로부터 승강부(100), 승강 가이드부(200) 및 홀더부(400)를 분리하고, 리필 캡(500)이 분리된 리필 용기(2000)를 내용물 용기(1000)의 회전부(300)에 결합할 수 있다.The refill cap 500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der part 400'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lder part 400'. The refill cap 500 seals the top of the holder portion 400',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such as foreign substances from sticking to the contents. When the contents of the content container 1000 are exhausted, the user separates the lifting part 100, the lifting guide part 200, and the holder part 400 from the rotating part 300, and refills the refill cap 500 with the separated refill cap 500. The container 200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300 of the content container 1000.

실시예에서, 리필 용기(2000)에서는, 내용물 용기(1000)의 회전부(300)에 결합되기 위한 승강 가이드부(200')의 구성(예를 들어, 결합부(210))이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가이드부(200)의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in the refill container 2000,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guide part 200'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210) to be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300 of the content container 1000 is not visible to the outside. can do. Accordingly, the aesthetics of the exterior of the lifting guide unit 200 can be improved.

실시예에서, 리필 용기(2000)에서는, 홀더부(400')의 외측으로 제 1 테두리부(220)가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1 테두리부(22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제 1 테두리부(220)의 회전, 즉 승강 가이드부(20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필 용기(2000) 자체에서는 의도하지 않은 승강부의 승강을 방지할 수 있고, 승강 가이드부(200')와 내용물 용기(1000)의 회전부(300)가 결합한 후에 비로소 승강부의 승강이 가능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in the refill container 2000, the first edge portion 22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portion 400'. Since the first edge portion 22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unintentional rotation of the first edge portion 220, that is, rotation of the lifting guide portion 200'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the refill container 2000 itself can prevent unintentional rais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unit,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unit can be possible only after the lifting guide part 200' and the rotating part 300 of the content container 1000 are combined. there is.

도 6에 따른 용기 세트(3000)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ntainer set 3000 according to FIG. 6 is exemplary,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mal embodiments are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00: 승강부 110: 수용부
111: 제 1 고정 돌기 112: 제 2 고정 돌기
120: 제 1 가이드 돌기 130: 걸림 턱
200, 200': 승강 가이드부 210: 결합부
211: 제 1 걸림 돌기 220: 제 1 테두리부
221: 상벽 222: 측벽
230: 제 2 가이드 돌기 300: 회전부
310: 개방부 311: 제 2 걸림 돌기
312: 제 2 테두리부 400, 400': 홀더부
410: 수직 돌기 420: 제한부
421: 관통홀 430: 제 3 테두리부
500: 리필 캡 1000: 내용물 용기
2000: 리필 용기 3000: 용기 세트
100: lifting part 110: receiving part
111: first fixing protrusion 112: second fixing protrusion
120: First guide projection 130: Locking jaw
200, 200': lifting guide part 210: coupling part
211: first catching protrusion 220: first edge portion
221: upper wall 222: side wall
230: Second guide protrusion 300: Rotating part
310: opening 311: second locking protrusion
312: second edge portion 400, 400': holder portion
410: vertical protrusion 420: limiting portion
421: Through hole 430: Third edge portion
500: Refill cap 1000: Content container
2000: Refill container 3000: Container set

Claims (9)

내용물 용기로서,
상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부;
상기 승강 가이드부와 동기 회전하도록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측에 결합하며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인가받는 회전부; 및
상단은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부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은 상기 회전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회전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 일 영역을 가압하면, 상기 승강부, 상기 승강 가이드부 및 상기 홀더부가 상기 회전부로부터 일체로 분리되는, 내용물 용기.
As a container for contents,
An elevating portion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contents at the upper portion;
a lifting guide part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ifting unit and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unit;
A rotating par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guide unit to rotate synchronously with the lifting guide unit and receiving a user's rotation operation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unit; and
The upper end is disposed outside the receiving part, and the lower end includes a holder part disposed between the rotating part and the lifting guide part so that the rotating part can be relatively rotated,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guide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and when a region of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guid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part is pressed, the lifting part, the lifting guide part, and the holder part are integrated from the rotating part. Separate container for conte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저면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이 삽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면이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가압이 인가되는, 내용물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n opening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otating part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guide part is inserted,
A content container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part and the pressure is appli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개방부로 삽입되어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결합부; 및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적어도 일부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을 이격하여 둘러싸는 제 1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According to claim 2,
The lifting guide part,
a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rotating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a first edge port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extends downward and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 돌기 및 상기 제 2 걸림 돌기가 상호 체결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가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용물 용기.
According to claim 3,
At least on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t least one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A content container in which the rotary part and the lifting guide part are coupled to enable synchronous rotation as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두리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벽; 및 상기 상벽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가압하면, 상기 상벽에 의하여 상기 수직 돌기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승강 가이드부 및 상기 홀더부가 일체로 상기 회전부로부터 분리되는, 내용물 용기.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edge portion includes an upper wall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portion; And a side wall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perimeter of the upper wall and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t least one vertical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When the coupling part is pressed, the vertical protrusion is pressed by the upper wall, and the lifting guide part and the holder part are integrally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개방부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테두리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하측으로 개방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상기 제 2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내용물 용기.
According to claim 3,
A second edge portion is formed on the rotating portion and protrudes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portion,
A content container in which the second edge portion is inserted into a space opened downwardly between the first edge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 3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According to claim 3,
A content container, wherein a third edge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portio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dge por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dg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용부의 하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승강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first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part below the receiving part, and at least one second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part,
When the rotating part rotates, the first guide protrusion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protrusion, so that the lifting part is raised and lowe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외측면에는 걸림 턱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승강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다가 상기 걸림 턱이 상기 제한부에 접하면, 상기 승강부의 추가 상승이 제한되고 상기 승강부의 이탈이 방지되는, 내용물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evating part, and a limiting part is formed in the holder part to form a through hole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vating part is inserted,
When the lifting part is raised and the locking protrus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imiting part, further rise of the lifting part is restricted and separation of the lifting part is prevented.
KR1020220110912A 2022-09-01 2022-09-01 Container KR1026198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12A KR102619824B1 (en) 2022-09-01 2022-09-01 Container
PCT/KR2023/007748 WO2024048924A1 (en) 2022-09-01 2023-06-07 Contents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12A KR102619824B1 (en) 2022-09-01 2022-09-01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824B1 true KR102619824B1 (en) 2024-01-03

Family

ID=8953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912A KR102619824B1 (en) 2022-09-01 2022-09-01 Contai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9824B1 (en)
WO (1) WO2024048924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456B1 (en) * 2019-01-17 2020-11-24 펌텍코리아(주) Lipstick case with convenient refill structure
KR20210006778A (en) * 2019-07-09 2021-01-19 함형길 A refillable stick-type cosmetic vessel
KR102371335B1 (en) * 2021-11-15 2022-03-08 주식회사 정민 Refill type stick faundation vessel
KR102389856B1 (en) * 2022-03-11 2022-04-28 주식회사 씨티케이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142Y1 (en) * 2019-11-25 2021-02-08 주식회사 리치코스 Lipstick tub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456B1 (en) * 2019-01-17 2020-11-24 펌텍코리아(주) Lipstick case with convenient refill structure
KR20210006778A (en) * 2019-07-09 2021-01-19 함형길 A refillable stick-type cosmetic vessel
KR102371335B1 (en) * 2021-11-15 2022-03-08 주식회사 정민 Refill type stick faundation vessel
KR102389856B1 (en) * 2022-03-11 2022-04-28 주식회사 씨티케이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8924A1 (en)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145B1 (en) Stick content container
JP7343239B2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that can be used up
CN110799061B (en) Stick-type cosmetic material container with side push button
KR102042647B1 (en) Cosmetinc container
KR200493142Y1 (en) Lipstick tube
KR101859186B1 (en) Stick type cosmetic vessel contain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KR102476664B1 (en) Compact container with replacement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KR102011701B1 (en) A button retractable typed container
KR20120002205U (en) Spuit type cosmetics container
KR102282237B1 (en) Retractable container
KR102265177B1 (en) A spuit-typed cosmetic container
KR20170067564A (en) Lipstick container assembly
KR20120007725U (en) Spuit type cosmetics container
KR102196810B1 (en)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KR102619824B1 (en) Container
CN107198339B (en) Lipstick container
KR20190113365A (en) Cosmetic vessel
KR20220069500A (en)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807294B1 (en) Vessel with a dual applicator
KR101071101B1 (en) The cosmetic case
KR200460286Y1 (en) Vessel for powder cosmetic
KR200496167Y1 (en) Container
KR102121998B1 (en) cosmetic vessel
KR20210050838A (en) Retractable container
KR20180006204A (en) Lipgloss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