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819B1 -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819B1
KR102619819B1 KR1020180068070A KR20180068070A KR102619819B1 KR 102619819 B1 KR102619819 B1 KR 102619819B1 KR 1020180068070 A KR1020180068070 A KR 1020180068070A KR 20180068070 A KR20180068070 A KR 20180068070A KR 102619819 B1 KR102619819 B1 KR 102619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mmunication circuit
emergency call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383A (ko
Inventor
설진홍
조지용
김동우
이태석
손지호
이장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819B1/ko
Priority to PCT/KR2019/007182 priority patent/WO2019240524A1/ko
Priority to US17/059,560 priority patent/US11419179B2/en
Publication of KR2019014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emergency call)를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 제2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긴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위한 트리거를 감지하고, 상기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개시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우선 순위에 따른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EMERGENCY CALL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emergency call)를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최근에는,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자 장치 제조사들은 보다 다양한 기능들을 개발 및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IMS(IP(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을 지원하는 네트워크가 늘어나고 있고,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가 대중화 되고 있다. IMS는, 예를 들면, 호(call) 또는 메시지(예: SMS, MMS 등) 등과 같은 CS(circuit switched) 기반의 서비스(이하, ‘CS 서비스’라 한다)들을 PS(packet switched) 기반의 네트워크에서도 사용(또는 서비스)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나타낼 수 있다. CS 기반의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예: 2G, 3G, 또는 4G 등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를 나타내며, non-3GPP 네트워크(예: Wi-Fi 네트워크)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Wi-Fi 네트워크를 통해 IMS에 접속하여 CS 서비스를 이용하는 예로서, 대표적으로 VoWiFi(voice over Wi-Fi)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VoWiFi 서비스는 IMS의 PS 서비스에 기반하여(즉,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호(voice call) 또는 영상 호(video cal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도메인 서브 시스템(domain subsystem)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음성 호 서비스를 수행할 때, 예를 들면, 셀룰러 도메인(또는 CS 도메인)(예: 2G/3G 등의 셀룰러 도메인)의 제1 통신 모뎀(예: 셀룰러 모뎀) 또는 Wi-Fi 도메인(또는 PS 도메인)의 제2 통신 모뎀(예: Wi-Fi 모뎀)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긴급한 상황에 관련하여 긴급 호(emergency call) 서비스를 제공하며, 긴급 호 발신 시에도 셀룰러 도메인 또는 Wi-Fi 도메인과 같이 다른 도메인 서브 시스템을 통해 긴급 호를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3GPP 표준에서는 전자 장치가 긴급 호(emergency call)를 수행하는 경우, 셀룰러 도메인 또는 Wi-Fi 도메인을 선택하도록 하는 기준을 명시하고 있으며, 긴급 호를 위한 도메인의 우선 순위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서 통신 사업자 마다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긴급 호를 위한 도메인 선택(domain selection)을 위해서는 Wi-Fi 도메인 또는 셀룰러 도메인 중 어떤 도메인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기능과, 선택된 도메인에 관련된 특정 통신 모듈이 긴급 호의 연결 실패(fail) 시 다른 도메인으로 긴급 호 연결을 재시도(예: redial)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적어도 2개의 다른 도메인 서브 시스템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와 같이, 긴급 호의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2개의 통신 모듈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긴급 호 연결 방법은, 예를 들면, 제1 통신 모듈(예: 사업자 마다 우선 순위로 설정된 도메인의 통신 모듈)을 통해 먼저 긴급 호 연결을 시도하고, 이후 해당 시도가 실패하거나 설정된 조건에 맞지 않을 경우 제2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긴급 호 연결을 시도하는 방식일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방식은 긴급 호의 성공 확률은 높일 수 있으나, 반면 긴급 호의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신 모듈로 긴급 호 연결을 시도한 후, 해당 시도가 실패하면 제2 통신 모듈로 긴급 호 연결을 시도함에 따라, 제2 통신 모듈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더욱이, 제2 통신 모듈이, 예를 들면, Wi-Fi 통신 모듈인 경우, 긴급 호의 연결을 위해 IMS(IP(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에 전자 장치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해야 함에 따라, 긴급 호 연결에 따른 시간이 보다 오래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는 사용자의 긴급한 상황에 따른 긴급 호 연결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적어도 2개의 다른 도메인 서브 시스템(domain subsystem)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를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적어도 2개의 다른 도메인 서브 시스템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의 연결에 따른 소요 시간을 줄이면서, 긴급 호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는 긴급 호를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 제2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긴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위한 트리거를 감지하고, 상기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개시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를 판단하고, 판단된 우선 순위에 따른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부를 통해 보이거나 노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 1 무선 통신 회로 및 제 2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 1 통신 회로 및 제 2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emergency call)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와 제 1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시도를 하고, 상기 제 1 시도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네트워크와 제2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시도를 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연결 확인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긴급 호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긴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위한 트리거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트리거에 응답하여,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동작, 판단된 우선 순위에 따른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다른 도메인 서브 시스템(domain subsystem)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긴급 호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다른 도메인 서비스 시스템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의 연결에 따른 소요 시간을 줄이면서, 긴급 호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통신 모듈들에 기반하여 긴급 호의 연결을 동시에(또는 대체적으로 동시에) 시도하고, 시도하는 결과(예: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선택된 통신 모듈로 긴급 호의 연결을 즉각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긴급 호에 관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긴급 호를 연결하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기능 처리 모듈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을 위한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간의 긴급 호 연결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을 위한 내부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 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embedded)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 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132)에 로드(load)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 센서 허브 프로세서(sensor hub processor),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inactive)(예: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active)(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과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142), 미들 웨어(middleware)(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speaker) 또는 리시버(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gesture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기압 센서(barometer sensor),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그립 센서(grip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컬러 센서(color sensor)(예: RGB(red, green, blue)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biometric sensor),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습도 센서(humidity sensor), 또는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protocol)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connection terminal)(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motor),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또는 전기 자극 장치(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fuel cell)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wide area network))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 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client-server computing)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 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 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 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구현된 유닛(unit)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compiler)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interprete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 요소들의 각각의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 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들 중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200)에서 긴급 호를 연결하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예시된 전자 장치(예: 도 1 의 전자 장치(101))는 제1 도메인(예: 셀룰러 도메인)을 위한 제1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과 제2 도메인(예: Wi-Fi 도메인)을 위한 제2 통신 모듈(예: Wi-Fi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식별 모듈(identification module)(예: 도 1 의 가입자 식별 모듈(196), 제1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제2 SIM)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식별 모듈은, 예를 들면, SIM, 범용 SIM(USIM, universal SIM), 임베디드 SIM(eSIM, embedded 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표시 장치(160), 통신 모듈(190), 안테나 모듈(197), 가입자 식별 모듈(196) 등)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보이거나 노출되는 입력 및/또는 출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표시 장치(160), 입력 장치(150)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모리(130), 및 통신 모듈(190)(예: 제1 무선 통신 회로, 제2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220)(예: 2G/3G 등의 셀룰러 네트워크, 도 1 의 제 2 네트워크(199))를 통해 제1 서버(230)(예: 도 1 의 서버(108))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260)(예: Wi-Fi 네트워크, 도 1 의 제 1 네트워크(198)))를 통해 제2 서버(270)(예: IMS(IP(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220)와 연관되는 제1 통신 모듈(미도시)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210)(예: 셀룰러 기지국)에 접속(access)하여 제1 네트워크(2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2 네트워크(260)와 연관되는 제2 통신 모듈(미도시)을 이용하여 제2 기지국(250)(예: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접속하여 제2 네트워크(26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제1 기지국(210)과 제1 네트워크(220)를 구분하지 않고 이들을 통칭하여 ‘제1 네트워크(220)’라 하고, 제2 기지국(250)과 제2 네트워크(260)를 구분하지 않고 이들을 통칭하여 ‘제2 네트워크(260)’라 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통신 모듈’의 표현은, 통신 모듈(예: 도 1 의 통신 모듈(190)) 자체를 의미하거나, 또는 통신 모듈과 통신 모듈에 연관된 통신 모뎀(또는 프로세서(예: 도 1 의 프로세서(120)))(예: 셀룰러 모뎀 또는 Wi-Fi 모뎀)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네트워크(220)는, CS(circuit switched) 기반의 네트워크로서, 예를 들면, 2G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또는 LTE 네트워크 등의 셀룰러 네트워크(또는 3GP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네트워크(220)는 전자 장치(101)의 긴급 호 연결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네트워크(220)와 관련된 제1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2 네트워크(260)는, PS(packet switched) 기반의 네트워크로서,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 또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등의 Wi-Fi 네트워크(또는 non-3GP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네트워크(260)는 전자 장치(101)의 긴급 호 연결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2 네트워크(260)와 관련된 제2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네트워크(220)와 제2 네트워크(260)는 전술한 예시와 같이 서로 다른 도메인 서브 시스템(domain subsystem)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2개의 다른 도메인 서브 시스템을 지원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서버(230) 또는 제2 서버(270)는 전자 장치(101)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사업자 서비스의 가입 또는 사업자 네트워크의 접속에 관련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220) 또는 제2 네트워크(260)를 통해 긴급 호 발신을 위한 세션(session)들을 형성(또는 설립)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예: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로 접속되는 해당 네트워크와 긴급 호를 위한 세션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에 의한 긴급 호의 연결을 위한 트리거(trigger)에 응답하여,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네트워크(220)와 제2 네트워크(260)로 동시에(또는 대체적으로 동시에) 긴급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 별로 긴급 호를 위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에 관련된 제1 네트워크(220)와 제2 네트워크(260)의 긴급 호 요청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에 대한 우선 순위를 판단하고,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긴급 호 연결을 위한 타겟(target) 통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220)와 제2 네트워크(260) 중 긴급 호 연결을 위한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이 먼저 수신되는 네트워크에 관련된 통신 모듈을 타겟 통신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타겟 통신 모듈을 결정하면, 결정된 타겟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타겟 전자 장치(240 또는 280)와 긴급 호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타겟 통신 모듈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타겟 통신 모듈을 제외한 다른 통신 모듈에 의한 긴급 호의 연결 시도를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다른 통신 모듈에 연관되는 네트워크에게 긴급 호의 연결을 중단하기 위한 설정된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네트워크와 긴급 호의 연결에 관련된 절차(process)를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원(resource)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기능 처리 모듈(300)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은 전자 장치(예: 도 1 의 전자 장치(101))에서 긴급 호를 연결하는 것에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는 모듈(300)(이하, ‘기능 처리 모듈’이라 한다)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기능 처리 모듈(300)은 프로세싱 회로(processing circuitry)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하드웨어 모듈(hardware module)로 포함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software module)로 포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능 처리 모듈(300)은 트리거 감지 모듈(310), 연결 관리 모듈(320), 상태 판단 모듈(330), 및 긴급 호 수행 모듈(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트리거 감지 모듈(310)은 전자 장치(101)에서 긴급 호가 실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리거 감지 모듈(310)은 사용자에 의해 긴급 호를 발신하는 것에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긴급 호의 연결을 위한 트리거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트리거 감지 모듈(310)은 긴급 호의 연결을 위한 트리거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긴급 호의 시작(또는 개시)에 관련된 정보(예: 트리거 신호)를 연결 관리 모듈(32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연결 관리 모듈(320)은 긴급 호가 실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도메인의 각 통신 모듈들(예: 제1 통신 모듈, 제2 통신 모듈)에 긴급 호의 연결 시도에 관련된 정보(예: 긴급 호 실행 메시지(또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연결 관리 모듈(320)은 각 통신 모듈들의 통신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하는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 상태의 판단은, 예를 들면, 통신 모듈(또는 그 기능)의 온/오프 여부, 또는 통신 모듈에 연관된 네트워크와 연결 상태(예: 서비스(service) 상태)인지 또는 비연결 상태(예: 노 서비스(no service) 상태))인지 여부 등의 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연결 관리 모듈(320)은 상태 판단 모듈(330)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긴급 호를 수행할 타겟 통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태 판단 모듈(330)은 긴급 호 연결을 위한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이,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모듈에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태 판단 모듈(330)은 긴급 호 실행 메시지가 전달된 통신 모듈(예: 제1 통신 모듈 및/또는 제2 통신 모듈)로, 긴급 호의 연결을 허용하는 응답 메시지(예: 제1 네트워크(예: 도 2의 제1 네트워크(220))에 의한 alerting indication message, 또는 제2 네트워크(예: 도 2의 제2 네트워크(260))에 의한 183 session progressing message)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긴급 호 수행 모듈(340)은 결정된 타겟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관련된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호의 타겟 전자 장치와 긴급 호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 처리 모듈(3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능 처리 모듈(300)은,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표시 장치(160), 입력 장치(150))를 통해 긴급 호(emergency call)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회선 교환(CS, Circuit Switched)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예: 도 2의 제1 네트워크(220))와 제1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시도를 하고, 제1 시도가 종료되기 전에, 비회선 교환(Non-CS)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 네트워크(예: 도 2의 제2 네트워크(260))와 제2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시도를 하고, 제1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연결 확인 신호에 따라, 제1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긴급 호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능 처리 모듈(300)은, 제1 시도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2 시도를 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능 처리 모듈(300)은, 제1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 중 하나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연결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 중 다른 하나에 대한 연결 시도를 해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을 위한 내부 구성(400)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긴급 호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예: 도 1 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구성은,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4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43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제1 통신 모듈(440), Wi-Fi 모뎀(460), 및 제2 통신 모듈(4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도메인 스위치 컨트롤러(domain switch controller)(420)와 IMS 인터페이스(4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어플리케이션 계층(layer),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framework) 계층 및 라이브러리(library) 계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어플리케이션(예: 도 1 의 어플리케이션(146))이 구동되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IMS 어플리케이션, 비 IMS 어플리케이션 및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라이브러리 계층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이브러리 계층은 IMS 프로토콜 스택(IMS Protocol stack), 비디오 엔진 및 오디오 엔진 등을 포함하는 IMS 라이브러리, RIL(radio interface layer), TCP/IP,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 클라이언트 등과 같은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IMS 라이브러리는 IMS 프로토콜 스택 및 IMS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S 프로토콜 스택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RTP(real time protocol), RTCP(RTP control protocol),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MSRP(message session reply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과 같은 IMS 표준에 정의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MS 라이브러리 내의 비디오 엔진 및 오디오 엔진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엔진은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엔진은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TCP/IP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로써 노드(node)(또는 전자 장치(101))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규정된 프로토콜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ePDG 클라이언트는 Wi-Fi 모뎀(460)을 통해 제공되는 SIP 메시지 또는 음성 패킷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ePDG 클라이언트의 위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 내에 국한되지 않고,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20)에 포함될 수 있거나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RIL은 전자 장치(101)를 위한 운용 시스템으로, 예를 들면,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의 셀코어 레이어(CellCore layer)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 내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RIL은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과 같은 통신 처리 모듈과 AT 명령(AT(attention) command)(또는 헤이즈(hayes) 명령) 또는 고유통신 프로토콜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 사이에는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IPC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 사이의 인터페이스 경로를 나타내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는 IPC를 통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도메인 스위치 컨트롤러(4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기반하여, 제1 도메인(예: 셀룰러 도메인)과 제2 도메인(예: Wi-Fi 도메인 또는 IMS 도메인) 간에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메인 스위치 컨트롤러(420)는 제2 도메인에 관련된 제2 통신 모듈(470)을 통해 제2 네트워크(475)(예: 도 2 의 제 2 네트워크(260))와 긴급 호를 연결하는 경우, 긴급 호를 위한 도메인을 제2 도메인으로 전환할 수 있고, IMS 인터페이스(450)를 통해 Wi-Fi 모뎀(460)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IMS 인터페이스(450)는 전자 장치(101)의 VoWiFi를 이용한 IMS 긴급 호 연결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와 Wi-Fi 모뎀(46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는 2G, 3G, 4G,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통해 음성 호(voice call) 또는 영상 호(video call)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예: 제1 네트워크(445) (예: 도 2 의 제 1 네트워크(220)))와의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는 RF(radio frequency) 시스템(미도시)과의 인터페이스(미도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미도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미도시) 등 다수 개의 서브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네트워크(445)는 2G 또는 3G 등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네트워크(445)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TCP/IP,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엔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는 도시된 구성 요소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는 CS(circuit switched)에 기반하여 긴급 호에 관련된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Wi-Fi 모뎀(460)은 해당 통신 규약(예: IEEE 802.11)에 따라서 SIP 메시지 또는 음성 패킷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예: 제2 네트워크(475))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네트워크(475)는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Wi-Fi 모뎀(460)은 PS(packet switched)에 기반하여(또는 VoWiFi를 이용하여) 긴급 호에 관련된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외부의 전자 장치(예: 도 1 의 전자 장치(102, 104) 및 도 1 의 서버(108) 또는 도 2 의 타겟 전자 장치(240, 280) 및 도 2 의 제 1 서버(230), 제 2 서버(270))와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예: 제1 통신 모듈(440), 제2 통신 모듈(4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통신 모듈(440, 470)은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440)은 2G, 3G, 4G, 또는 LTE 등 셀룰러 통신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듈(또는 무선 통신 회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신 모듈(440)은 회선 교환(CS, Circuit Switched)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 모듈(470)은 IMS 기반 통신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듈(또는 무선 통신 회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통신 모듈(470)은 비회선 교환(Non-CS)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통신 모듈(440)과 제2 통신 모듈((470)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통신 모듈(440)과 제2 통신 모듈(470)은 음성 호 또는 영상 호를 독립적으로 수행하거나 다른 통신 모듈과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네트워크(445)와 제2 네트워크(475)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범위)(예: 셀룰러의 제1 주파수 대역, Wi-Fi의 제2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다른 RAT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또는 범위)은, 예를 들면, 800MHz 내지 2.1GHz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통신 모듈(440)은 제1 주파수 대역 내의 제1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주파수 대역(또는 범위)은 제1 주파수 범위 밖의, 예를 들면, 2GHz 내지 5GHz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통신 모듈(470)은 제1 주파수 대역 밖의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제2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긴급 호를 동시에 발신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분리된 안테나(예: 도 1 의 안테나 모듈(197))(예: 제1 안테나(예: 메인 통신 안테나), 제2 안테나(예: Wi-Fi 안테나))를 각각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주파수가 다른 RAT를 사용하는 각기 다른 통신 모듈(예: 제1 통신 모듈(440), 제2 통신 모듈(470))을 통해서 긴급 호를 병렬적으로 발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는 이격되어 구성될 수 있고, 제1 통신 모듈(440)은 제1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통신 모듈(470)은 제2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를 통해 제1 통신 모듈(440)을 제어하여 제1 네트워크(445)와 긴급 호 연결을 개시하고, Wi-Fi 모뎀(460)을 통해 제2 통신 모듈(470)을 제어하여 제2 네트워크(475)와 긴급 호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긴급 호에 관련된 트리거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제1 통신 모듈(440)과 제2 통신 모듈(470)에 동시에(또는 대체적으로 동시)에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긴급 호의 개시에 대한 별도의 기준 조건의 설정 없이, 제1 통신 모듈(445)과 제2 통신 모듈(475)을 통해 긴급 호를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동시에 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제1 도메인에 기반하여 긴급 호를 연결하는 경우,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의 2G/3G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기지국(예: 도 2 의 제 1 기지국(210) 또는 제 1 네트워크(220))(예: 제1 네트워크(445))과 시그널링하여 연결을 설정한 후, 긴급 호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긴급 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제2 도메인에 기반하여 긴급 호를 연결하는 경우, Wi-Fi 모뎀(460)의 IMS 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기지국(예: 도 2 의 제 2 기지국(250) 또는 제 2 네트워크(260))(예: 제2 네트워크(475))과 시그널링하여 연결을 설정한 후, 긴급 호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IMS 긴급 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제2 통신 모듈(470)을 통해 제2 네트워크(475)와 긴급 호를 연결하는 경우, 도메인 스위치 컨트롤러(420)를 통해 도메인을 IMS 도메인으로 전환할 수 있고, IMS 인터페이스(450)를 통해 Wi-Fi 모뎀(460)과 연결하여, Wi-Fi 모뎀(460)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에서는 제1 통신 모듈(440)과 제2 통신 모듈(470) 중 긴급 호 연결에 관련된 응답에 기반하여 긴급 호 연결을 수행할 타겟 통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제1 통신 모듈(440)과 제2 통신 모듈(47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로부터 긴급 호 연결에 관련된 응답이 먼저 피드백(또는 수신) 되면, 해당 통신 모듈을 타겟 통신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타겟 통신 모듈에 관련된 도메인을 통해 긴급 호 연결을 수행하는 동안 나머지 다른 통신 모듈에 관련된 도메인에 의한 긴급 호 연결 시도를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Wi-Fi 모뎀(460)을 통해 긴급 호 연결에 관련된 세션을 수행하는 경우,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에 의한 긴급 호의 연결 시도 동작을 종료하도록 하는 종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를 통해 긴급 호 연결에 관련된 세션을 수행하는 경우, Wi-Fi 모뎀(460)에 의한 긴급 호의 연결 시도 동작을 종료하도록 하는 종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긴급 호의 발신이 가능한 적어도 2개의 통신 모듈들(예: 제1 통신 모듈, 제2 통신 모듈)이 존재할 때, 종래에서 긴급 호 연결 방법은, 예를 들면,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먼저 긴급 호를 시도한 후, 해당 시도가 실패하거나 조건에 맞지 않을 경우에, 제2 통신 모듈을 이용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일 예를 살펴보면, 종래에서는 긴급 호 발신이 시작되면 제1 통신 모듈로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달하고, 실행 메시지 전달 직후 기준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조건은, 예를 들면, 타이머 만료, 긴급 호 연결 개시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 초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기준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제2 통신 모듈로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달하여 긴급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서는 긴급 호의 연결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통신 모듈에 의해서만 긴급 호가 가능한 상황이라면, 제1 통신 모듈로 동작을 시도한 후 해당 시도가 실패한 후에, 제2 통신 모듈로 긴급 호의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종래의 기재에서, 제1 통신 모듈과 제 2 통신 모듈은 사업자의 요청 사항에 따라 변경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긴급 호 연결 방법은, 제1 통신 모듈(440)과 제2 통신 모듈(470)로 동시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긴급 호가 트리거 되는 경우, 제1 통신 모듈(440)과 제2 통신 모듈(470)로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예: 대체적으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제1 통신 모듈(440)에 관련된 제1 네트워크(445) 또는 제2 통신 모듈(470)에 관련된 제2 네트워크(475)로부터 긴급 호 연결에 관한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긴급 호 연결을 위한 타겟 통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응답 메시지(또는 알림 메시지(alerting message))는, 예를 들면, 제1 네트워크(445)로부터 수신되는 제1 메시지(예: alerting indication message)와 제2 네트워크(475)로부터 수신되는 제2 메시지(예: 183 session progressing messag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응답 메시지(또는 알림 메시지)가 전달되는 동작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도 7의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제1 통신 모듈(440)을 통해 제1 네트워크(445)로부터 제1 메시지가 먼저 수신되는 경우, 긴급 호 연결을 위한 타겟 통신 모듈로서, 제1 통신 모듈(44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제2 통신 모듈(470)을 통해 제2 네트워크(475)로부터 제2 메시지가 먼저 수신되는 경우, 긴급 호 연결을 위한 타겟 통신 모듈로서, 제2 통신 모듈(470)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타겟 통신 모듈이 결정되면,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이 응답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와 긴급 호를 위한 연결이 형성되면, RIL 계층에서 바로 다른 통신 모듈들에 대해서 호 해제 메시지(call release message)를 전달하여, 긴급 호에 관한 호 연결 절차를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종래 방식에 비해 긴급 호 연결에 따른 실패율을 줄일 수 있고, 종래 방식에 비해 보다 빠르게 긴급 호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시나리오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일 예로, 종래 방식에 따라, CS 도메인으로 긴급 호를 발신하고, 가용한 RAT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실패(fail) 처리되어, 도메인 스위치 컨트롤러(420)에서 임의로 타임아웃(timeout) 처리하고, VoWiFi로 다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략적으로 3초 정도에 긴급 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용한 RAT 검색 후 실패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대기 시간과, 실패에 대한 도메인 스위치 컨트롤러(420)로의 노티(notify)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CS 도메인에서 긴급 호를 발신하기 위해 낭비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종래 방식에 따라, VoWiFi로 긴급 호를 발신하고, 제2 네트워크(475)(예: IMS 서버)로부터 응답(response)을 받지 못한 경우에도, 타임아웃이 발생할 수 있고, 이후 CS 도메인으로 다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VoWiFi로 긴급 호 시도 후 타임아웃 발생 시점까지 일정 시간이 경과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네트워크(475)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하여 타임아웃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예: 대략적으로 20초)과, 실패에 대한 도메인 스위치 컨트롤러(420)로 노티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VoWiFi로 긴급 호를 발신하고, 긴급 호 연결(예: EIMS(Enhanced IMS)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위한 채널 설정(예: emergency APN(Access Point Name) 설정) 후, 전자 장치(101)의 커널(또는 플랫폼) 단에서 해당 인터페이스(예: EIMS PDN interface)로 전달되는 모든 패킷이 드롭(drop)되는 경우(예: 커널(또는 플랫폼) 이슈로 EIMS PDN interface down으로 모든 패킷이 드롭)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470)은 도메인 스위치 컨트롤러(420)로 실패에 대한 노티를 전달할 수 있고, 이후 다시 제1 통신 모듈(440)을 통해 CS 도메인으로 다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VoWiFi로 긴급 호 발신 후 패킷 드롭(packet drop)을 확인하는 시점까지 일정 시간이 경과될 수 있다. 반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패킷 드롭을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실패에 대한 도메인 스위치 컨트롤러(420)로 노티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VoWiFi로 긴급 호를 발신하고, 긴급 호 연결(EIMS PDN 연결)을 위한 채널 설정(예: emergency APN 설정) 후, 제2 네트워크(475)(예: IMS 서버)로 초대(invite)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TCP 3-way handshake 시도 시 SYN패킷에 대한 응답을 제2 네트워크(475)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VoWiFi로 긴급 호 발신 후 제2 네트워크(475)로부터 응답을 대기하는 시점까지 일정 시간이 경과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SYN 패킷에 대한 응답을 위한 TCP retransmission을 설정된 반복 횟수 동안 수행하는 시간과, 도메인 스위치 컨트롤러(420)로 노티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445)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440), 제2 네트워크(475)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470), 및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위한 트리거를 감지하고, 상기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개시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우선 순위에 따른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440)과 상기 제2 통신 모듈(470)로 긴급 호 연결을 위한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통신 모듈(440)과 상기 제2 통신 모듈(470)이 대응하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통신 모듈(440)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470) 중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를 먼저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위한 타겟 통신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타겟 통신 모듈을 제외한 다른 통신 모듈로 상기 긴급 호의 연결 개시를 종료하기 위한 종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440)과 상기 제2 통신 모듈(470)의 통신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440)과 상기 제2 통신 모듈(470)이 통신 연결 상태이면, 상기 제1 통신 모듈(440)과 상기 제2 통신 모듈(470)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하고, 셀룰러 도메인의 상기 제1 통신 모듈(440)이 통신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제1 통신 모듈(440)로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달하고, PS(Packet Switched) 도메인의 상기 제2 통신 모듈(470)이 통신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제1 통신 모듈(440)과 상기 제2 통신 모듈(470)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제1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과 제2 SIM을 포함하고, 상기 제1 SIM과 상기 제2 SIM 별 캠프 온(camp on) 네트워크를 판단하고, 상기 캠프 온 네트워크를 판단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440)과 상기 제2 통신 모듈(460)에 관한 긴급 호 연결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440)과 상기 제2 통신 모듈(470)은 다른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440)과 상기 제2 통신 모듈(470)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른 안테나를 사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445)와 상기 제2 네트워크(475)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부를 통해 보이거나 노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 1 무선 통신 회로 및 제 2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 1 통신 회로 및 제 2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emergency call)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와 제 1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시도를 하고, 상기 제 1 시도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 2 네트워크와 제2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시도를 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연결 확인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긴급 호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시도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제 2 시도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중 하나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연결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중 다른 하나에 대한 연결 시도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 및 제 2 무선 통신 회로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는 800MHz 내지 2.1GHz의 제 1 주파수 범위 내의 제 1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 1 주파수 범위 밖의 제 2 주파수 범위 내의 제 2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 2 주파수 범위는 2GHz 내지 5GHz 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1 안테나와 이격된 제 2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 1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 2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제 1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및 제 2 SIM을 수용할 수 있는 제 1 소켓 및 제 2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 1 SIM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 2 SIM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는 회선 교환(Circuit Switched)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는 비회선 교환(Non-Circuit Switched)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500)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5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1 의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예: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도 3의 기능 처리 모듈(300), 도 4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긴급 호 연결을 위한 트리거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를 조작하여 긴급 상황에 대한 긴급 호를 연결하기 입력 동작(예: 긴급 전화 번호 입력 및 발신 버튼 입력, 또는 긴급 호의 자동 발신을 위한 설정된 패턴의 제스처(또는 단축 버튼) 입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의 입력 동작을 감지할 시, 긴급 호에 관련된 트리거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503)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을 통해 긴급 호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통신 모듈(예: 도 4 의 제 1 통신 모듈(440)) 및 제2 통신 모듈(예: 도 4 의 제 2 통신 모듈(470)) 등과 같이 복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를 위해 복수의 통신 모듈들(예: 제1 통신 모듈, 제2 통신 모듈) 각각으로 긴급 호를 위한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통신 모듈들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방식인 제1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 방식인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2G, 3G, 4G, 또는 LTE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은 Wi-Fi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은 상술한 방식 이외에도 긴급 호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방식 및 그에 대응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예: 도 4 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는 긴급 호를 수행하기 위해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4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로 전달함과 동시에, 긴급 호를 수행하기 위해 IPC 메시지를 Wi-Fi 모뎀(예: 도 4의 Wi-Fi 모뎀(46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20)로부터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는 각각의 통신 모듈들은 대응하는 각각의 네트워크들(예: 도 4의 제1 네트워크(445), 제2 네트워크(475))과 긴급 호 연결에 관련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동작(505)에서, 프로세서(120)는 네트워크와 긴급 호를 위한 통신이 연결된(또는 긴급 호 연결을 성공한) 통신 모듈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 중에서 긴급 호 연결을 가장 먼저 성공한 통신 모듈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의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예: 도 4 의 제1 네트워크(445)에 의한 제 1 메시지(alerting message), 또는 제2 네트워크(475)에 의한 제 2 메시지(183 session progressing message))을 해당 네트워크로부터 먼저 수신한 통신 모듈을 긴급 호를 위한 타겟 통신 모듈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507)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 중에서 타겟 통신 모듈(예: 긴급 호 연결을 가장 먼저 성공한 통신 모듈)이 판단되면, 판단된 타겟 통신 모듈을 통해서 긴급 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긴급 호의 수행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성이 전송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작성된 문자 메시지의 전송을 미리 지정된 기관 또는 미리 지정된 수신인의 전자 장치로의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 중에서 타겟 통신 모듈을 제외한 다른 통신 모듈을 이용한 긴급 호 연결 개시를 종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 연결을 성공한 통신 모듈을 제외한 다른 통신 모듈로 긴급 호 연결 개시를 종료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다른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120)로부터 종료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긴급 호 연결 개시를 종료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600)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6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 연결을 위한 트리거(이하, ‘긴급 호에 관련된 트리거’라 한다)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603)에서,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에 관련된 트리거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통신 모듈들(예: 도 4의 제1 통신 모듈(440) 및 제2 통신 모듈(470))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2G, 3G, 4G, 또는 LTE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고, 제2 통신 모듈은 Wi-Fi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서로 다른 도메인의 통신 모듈을 나타낼 수 있다.
동작(605)에서, 프로세서(120)는 각 통신 모듈들에 관련된 네트워크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네트워크와 긴급 호를 위한 통신이 연결된(또는 긴급 호 연결을 성공한) 통신 모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 중에서 우선 순위의(예: 긴급 호 연결을 가장 먼저 성공한) 통신 모듈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의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예: 도 4의 제1 네트워크(445)에 의한 제 1 메시지(alerting indication message), 또는 제2 네트워크(475)에 의한 제 2 메시지(183 session progressing message))을 해당 네트워크로부터 먼저 수신한 통신 모듈을 긴급 호를 위한 타겟 통신 모듈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605)에서, 프로세서(120)는 네트워크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통신 모듈이 없는 경우(동작(605)의 아니오), 응답의 수신을 대기하고, 동작(603)으로 진행하여 동작(603) 이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가 수행되기 전까지 상기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의 동작을 미리 정해진 시간(또는 횟수)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동작(605)에서, 프로세서(120)는 네트워크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통신 모듈이 있는 경우(동작(605)의 예), 동작(607)에서, 타겟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긴급 호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모듈(440)과 제2 통신 모듈(470) 중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자 장치(101)의 긴급 호의 연결을 위한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먼저 수신한 통신 모듈을 타겟 통신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타겟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해당 네트워크와 긴급 호를 위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609)에서, 프로세서(120)는, 순차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타겟 통신 모듈을 제외한 다른 통신 모듈에 의한 긴급 호 연결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타겟 통신 모듈을 제외한 다른 통신 모듈로 긴급 호 연결 개시를 종료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다른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120)로부터 종료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네트워크와의 긴급 호 연결 개시를 위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다른 통신 모듈을 통해 대응하는 네트워크로 긴급 호의 연결 시도를 종료하는 메시지를 전달하여, 긴급 호 연결을 위한 세션을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동작(611)에서, 프로세서(120)는 타겟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긴급 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긴급 호의 수행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성이 전송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작성된 문자 메시지의 전송을 미리 지정된 기관 또는 미리 지정된 수신인의 전자 장치(예: 도 1 의 전자 장치(102, 104) 및 도 1 의 서버(108) 또는 도 2 의 타겟 전자 장치(240, 280) 및 도 2 의 제 1 서버(230), 제 2 서버(270))로의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간의 긴급 호 연결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700)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제2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2 네트워크(260) 또는 도 4의 제 2 네트워크(475), IMS 네트워크)의 IMS 서버(710) 사이의 신호 송수신 관계로, 예를 들면, IMS 긴급 호(emergency call)의 동작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은 전자 장치(101)의 긴급 호를 위한 연결 요청 및 제2 네트워크가 전자 장치(101)에 요청에 대응하는 관련 응답(예: 183 session progressing message)을 제공하는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701)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네트워크(예: Wi-Fi 네트워크)의 IMS 서버(710)에, 전자 장치(101)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예: IMS emergency registr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101)가 IMS 서버(710)에 등록되어야 하며, 전자 장치(101)의 등록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IMS 서버(7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2 네트워크 사이에 IMS 긴급 호(emergency call)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장치(101)의 능력(capability) 등을 교환하고 적절한 자원(resource)이 현재 존재 하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이후 전자 장치(101)를 IMS 서버(710)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703)에서, 전자 장치(101)는 IMS 서버(710)에 등록 이후, 긴급 호 수행을 위해 긴급 세션(emergency session) 시작을 IMS 서버(710)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긴급 호를 위한 초대(invite) 메시지를 IMS 서버(71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705)에서, IMS 서버(710)는 전자 장치(101)의 요청에 응답하여, 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예: 긴급 호를 처리하는 전담 콜 센터)를 선택(PSAP selection)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MS 서버(710)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에 대응하여 PSAP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MS 서버(710)는 전자 장치(101)의 IMS 긴급 호를 처리할 수 있는 PSAP 선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707)에서, IMS 서버(710)는 PSAP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1)의 긴급 호 연결을 허용하는 메시지(예: 100 Trying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에 전송하고, 동작(709)에서, 세션 연결을 위한 메시지(예: 183 session progressing message)를 전자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세션 연결을 위한 메시지(예: 183 session progressing message)는 전자 장치(101)의 긴급 호의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IMS 서버(710)는 전자 장치(101)의 초대(invite)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100 Trying 메시지 또는 183 session progressing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에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동작(7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IMS 서버(710)와 전용의 긴급 베어러(dedicated emergency bearer)를 형성(또는 설립)(established)할 수 있다.
동작(713)에서, 전자 장치(101)는 PRACK(provisional response ACKnowledgement)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아직 설립되지 않은 세션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임시 응답(provisional ACK)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RACK는 전자 장치(101)의 INVITE에 대한 IMS 서버(710)의 200 OK와 같은 최종 응답(final response) 수신 이전에, 전자 장치(101)에 의해 생성되며, IMS 서버(710)의 183 session progressing에 대한 전자 장치(101)의 응답이 PRACK에 포함될 수 있다.
동작(715)에서, IMS 서버(710)는 전자 장치(101)의 초대(INVITE)에 대한 최종 응답(final response)을 200 OK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1 통신 모듈(440)과 제2 통신 모듈(470)로 동시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가 전달되고, 각 통신 모듈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로 긴급 호에 관련된 연결을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또는 알림 메시지(alerting message))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긴급 호를 위한 타겟 통신 모듈을 판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이러한 예시로서, IMS 네트워크(예: IMS 서버(71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레거시 네트워크(legacy network)(예: 2G/3G 네트워크), 즉,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네트워크(445)에서도 도 7과 유사한 방식으로 응답 메시지(예: alerting indication message)를 전자 장치(101)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 중 우선 순위의 타겟 통신 모듈을 결정할 때, 알림 메시지(예: alerting indication message 또는 183 session progressing message)가 먼저 수신된 통신 모듈을 타겟 통신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800)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8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 연결을 위한 트리거(이하, ‘긴급 호에 관련된 트리거’라 한다)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803)에서,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에 관련된 트리거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통신 모듈들(예: 도 4의 제1 통신 모듈(440) 및 제2 통신 모듈(470))의 통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또는 그 기능)의 온/오프 여부, 또는 통신 모듈에 연관된 네트워크와 연결 상태(예: 서비스(service) 상태)인지 또는 비연결 상태(예: 노 서비스(no service) 상태)인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8에서는 제1 통신 모듈이 레거시 네트워크(예: 2G/3G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통신 모듈(예: 도 4의 제1 통신 모듈(440))이고, 제2 통신 모듈이 IMS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통신 모듈(예: 도 4의 제2 통신 모듈(470))인 것을 예로 설명될 수 있다.
동작(805)에서, 프로세서(120)는, 동작(803)의 판단하는 결과에 적어도 기반하여, 복수의 통신 모듈들이 모두 통신 연결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805)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이 모두 통신 연결 상태인 경우(동작(805)의 예), 동작(815)으로 진행하여, 동작(815) 이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하여, 복수의 통신 모듈들에 기반하여 긴급 호에 관련된 연결을 동시에 시도할 수 있다.
동작(805)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이 모두 통신 연결 상태가 아닌 경우(동작(805)의 아니오), 동작(807)에서, 복수의 통신 모듈들이 모두 통신 비연결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807)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이 모두 통신 비연결 상태인 경우(동작(807)의 예), 동작(811)으로 진행하여, 동작(811) 이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CS 도메인의(예: 회선 교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예: 제1 통신 모듈(440))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달하여, CS 도메인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긴급 호에 관련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동작(807)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이 모두 통신 비연결 상태가 아닌 경우(동작(807)의 아니오), 동작(809)에서, 통신 연결된 통신 모듈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모듈(440)이 통신 연결된 상태인지, 또는 제2 통신 모듈(470)이 통신 연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CS 도메인의 경우 전자 장치(101)가 순간적인 전계 악화로 노 서비스(no service)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101)의 이동, 또는 전계의 상황 변화 등으로 인해 전자 장치(101)가 다시 서비스 상태로 바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의 경우, 일반적으로 CS 도메인, 예를 들면, 레거시 네트워크와 상시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제1 통신 모듈(440)이 비연결 상태이고, PS 도메인의 제2 통신 모듈(470)만 연결 상태인 경우에는, 제1 통신 모듈(440)과 제2 통신 모듈(470)에 모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반면, PS 도메인의 경우 주변의 기지국(예: 액세스 포인트 등)의 부재로 전계의 악화 상황이 빈번할 수 있고, 제2 통신 모듈(470)(또는 Wi-Fi 기능)이 비활성화(또는 오프) 상태인 경우가 많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제2 통신 모듈(470)이 비연결 상태이고, CS 도메인의 제1 통신 모듈(440)만 연결 상태인 경우에는, 제1 통신 모듈(440)만을 이용하여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동작(809)에서, 프로세서(120)는 동작(809)의 판단하는 결과에 기반하여, 통신 연결된 통신 모듈이 제1 통신 모듈(440)인 것을 판단하면(동작(809)의 예), 동작(811)에서, 제1 통신 모듈(440)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동작(811)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모듈(440)에 기반하여 긴급 호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동작(809)에서, 프로세서(120)는 동작(809)의 판단하는 결과에 기반하여, 통신 연결된 통신 모듈이 제2 통신 모듈(470)인 것을 판단하면(동작(809)의 아니오), 동작(815)에서, 복수의 통신 모듈들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동작(817)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에 대한 우선 순위의(예: 네트워크로부터 응답 메시지(예: 제1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1 네트워크(220) 또는 도 4의 제 1 네트워크(445))에 의한 alerting indication message, 또는 제2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2 네트워크(260) 또는 도 4의 제 2 네트워크(475))에 의한 183 session progressing message)를 수신한) 통신 모듈을 긴급 호 연결을 위한 타겟 통신 모듈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819)에서, 프로세서(120)는 우선 순위에 따른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긴급 호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로세서(120)는 제2 통신 모듈(470)이 비활성화 상태(예: 통신 비연결 상태)인 경우, 제2 통신 모듈(470)을 활성화 하여, 복수의 통신 모듈들에 기반하여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VoWiFi를 통한 긴급 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을 위한 내부 구성(900)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 예시된 긴급 호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구성은, 전술한 도 4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 도메인 스위치 컨트롤러(920), IMS 인터페이스(960),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940), 제1 통신 모듈(950), Wi-Fi 모뎀(970), 및 제2 통신 모듈(980) 등은, 도 4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0), 도메인 스위치 컨트롤러(420), IMS 인터페이스(450),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430), 제1 통신 모듈(440), Wi-Fi 모뎀(460), 및 제2 통신 모듈(470) 등에 대응할 수 있으며, 그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도 9의 예시에서는, 전자 장치(101)가 듀얼 SIM(dual SIM)(예: 제1 SIM 및 제2 SIM)(미도시)을 포함하고, 제1 통신 모듈(950)과 제2 통신 모듈(980)이 서로 다른 SIM을 기반으로 동작 가능한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 내부에, 제1 SIM 및 제2 SIM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SIM 및 제2 SIM은 제1 소켓 및 제2 소켓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듀얼 SIM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경우, 제1 통신 모듈(950)은 제1 SIM을 기반으로 CS 도메인을 사용하도록 하고, 제2 통신 모듈(980)은 제2 SIM을 기반으로 VoWiFi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듀얼 SIM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경우, 제1 통신 모듈(950)은 제2 SIM을 기반으로 CS 도메인을 사용하도록 하고, 제2 통신 모듈(980)은 제1 SIM을 기반으로 VoWiFi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1)는 제1 SIM과 제2 SIM 사이의 전환을 위한 SIM 스위치 컨트롤러(9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IMS 인터페이스(960)를 제1 SIM을 위한 제1 IMS 인터페이스(961)와 제2 SIM을 위한 제2 IMS 인터페이스(962)로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듀얼 SIM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101)는 SIM 스위치 컨트롤러(930)를 통해, 제1 SIM과 제2 SIM이 현재 캠프 온(camp on) 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는 제1 SIM과 제2 SIM 별 캠프 온 네트워크를 판단하고, SIM 별 캠프 온 네트워크를 판단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모듈(950)과 제2 통신 모듈(980)에 관한 긴급 호 연결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IM 별 매칭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 모듈 마다 셀룰러 도메인 또는 Wi-Fi 도메인으로 긴급 호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950)은 제1 SIM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통신 모듈(980)은 제2 SIM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제1 SIM과 제2 SIM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모듈(950)과 제2 통신 모듈(980)이 서로 다른 안테나를 사용하는 방식인 경우, SIM 스위치 컨트롤러(930)에서 제1 SIM에 연관된 통신 모듈을 통해 시도하는 긴급 호를 제2 SIM에 연관된 통신 모듈에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SIM에 연관된 통신 모듈과 제2 SIM에 연관된 통신 모듈 각각을 통해 동시에 긴급 호의 연결을 시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긴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위한 트리거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트리거에 응답하여,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판단된 우선 순위에 따른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연결을 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긴급 호 연결을 위한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대응하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를 먼저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위한 타겟 통신 모듈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타겟 통신 모듈을 제외한 다른 통신 모듈로 상기 긴급 호의 연결 개시를 종료하기 위한 종료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통신 연결 상태이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하는 동작, 셀룰러 도메인의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통신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작, PS(Packet Switched) 도메인의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통신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제1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과 제2 SIM을 포함하고, 상기 제1 SIM과 상기 제2 SIM 별 캠프 온(camp on) 네트워크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캠프 온 네트워크를 판단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관한 긴급 호 연결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다른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른 안테나를 사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전자 장치
120: 프로세서
190, 440, 470: 통신 모듈
300: 기능 처리 모듈
310: 트리거 감지 모듈
320: 연결 관리 모듈
330: 상태 판단 모듈
340: 긴급 호 수행 모듈
41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CS(Circuit Switched) 기반의 제1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회로;
    PS(Packet Switched) 기반의 제2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긴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위한 트리거를 감지하고,
    상기 트리거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 각각의 통신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가 모두 서비스 상태이거나, 또는 CS 도메인의 상기 제1 통신 회로가 노 서비스 상태이고 PS 도메인의 상기 제2 통신 회로가 서비스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고,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 중 상기 전송된 긴급 호 실행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먼저 수신하는 통신 회로를 판단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 중 하나를 상기 긴급 호를 실행하기 위한 타겟 통신 회로로 선택하고,
    상기 타겟 통신 회로를 선택한 이후, 상기 선택된 타겟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CS 도메인의 상기 제1 통신 회로가 서비스 상태이고 상기 PS 도메인의 상기 제2 통신 회로가 노 서비스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회로를 통해 전송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송하고, 및
    상기 제2 통신 회로를 통해 전송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상기 제1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가 각각 대응하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수신에 기반하여 우선 순위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먼저 수신하는 통신 회로를,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위한 타겟 통신 회로로 결정하고,
    상기 타겟 통신 회로를 제외한 다른 통신 회로로 상기 긴급 호의 연결 개시를 종료하기 위한 종료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과 제2 SIM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SIM과 상기 제2 SIM 각각에 대한 캠프 온(camp on) 네트워크를 판단하고,
    상기 캠프 온 네트워크를 판단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에 관한 긴급 호 연결 방식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는 서로 다른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이용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른 안테나를 사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제1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실행하고,
    상기 제1 시도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2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이한 상기 제2 네트워크와 제2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시도를 실행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연결 확인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중에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를 실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하나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연결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다른 하나에 대한 연결 시도를 해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회로는 800MHz 내지 2.1GHz의 제1 주파수 범위 내의 제1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범위 밖의 제2 주파수 범위 내의 제2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주파수 범위는 2GHz 내지 5GHz 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SIM 및 제2 SIM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소켓 및 제2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SIM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 회로는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9. 삭제
  20.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긴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위한 트리거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트리거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CS(Circuit Switched) 기반의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회로와 PS(Packet Switched) 기반의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 회로 각각의 통신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가 모두 서비스 상태이거나, 또는 CS 도메인의 상기 제1 통신 회로가 노 서비스 상태이고 PS 도메인의 상기 제2 통신 회로가 서비스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 중 상기 전송된 긴급 호 실행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먼저 수신하는 통신 회로를 판단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통신 회로 중 하나를 상기 긴급 호를 실행하기 위한 타겟 통신 회로로 선택하는 동작;
    상기 타겟 통신 회로를 선택한 이후, 상기 선택된 타겟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CS 도메인의 상기 제1 통신 회로가 서비스 상태이고 상기 PS 도메인의 상기 제2 통신 회로가 노 서비스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회로를 통해 전송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통신 회로를 통해 전송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긴급 호 실행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상기 제1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호의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068070A 2018-06-14 2018-06-14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619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070A KR102619819B1 (ko) 2018-06-14 2018-06-14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 방법 및 장치
PCT/KR2019/007182 WO2019240524A1 (ko) 2018-06-14 2019-06-14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 방법 및 장치
US17/059,560 US11419179B2 (en) 2018-06-14 2019-06-14 Method and apparatus for emergency call connection by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070A KR102619819B1 (ko) 2018-06-14 2018-06-14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383A KR20190141383A (ko) 2019-12-24
KR102619819B1 true KR102619819B1 (ko) 2024-01-02

Family

ID=6884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070A KR102619819B1 (ko) 2018-06-14 2018-06-14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19179B2 (ko)
KR (1) KR102619819B1 (ko)
WO (1) WO2019240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6852B2 (en) 2019-08-01 2022-06-07 Apple Inc. Backup cellular connectivity for essential services
EP4173437A4 (en) * 2020-06-30 2024-03-06 Qualcomm Inc PROCEDURES FOR IMPROVED EMERGENCY NOTIFICATION
US11576224B2 (en) * 2020-10-29 2023-0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fallback strategy for a motor vehicle
KR20220074117A (ko) * 2020-11-27 2022-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긴급 호를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을 선택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4014652A1 (ko) * 2022-07-13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긴급 호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39788A1 (en) * 2016-11-14 2018-05-17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Emergency Calls on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3010A1 (en) 2008-11-03 2010-05-06 Qualcomm Incorporated Reprioritization of wireless networks for reselection to support voice call
US8831555B2 (en) 2009-04-03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an emergency call
WO2012000085A1 (en) * 2010-06-28 2012-01-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adio access technology selection
KR101683301B1 (ko) * 2010-12-06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긴급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US9584553B2 (en) * 2013-06-28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User experience of a voice call associated with a device
US20150119103A1 (en) * 2013-10-29 2015-04-30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Management for Multiple Concurrently Active Technologies
CN106465079B (zh) * 2014-11-21 2019-07-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执行紧急呼叫的方法及设备
US9930504B2 (en) * 2015-07-28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call failure rate i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capable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39788A1 (en) * 2016-11-14 2018-05-17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Emergency Calls on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0524A1 (ko) 2019-12-19
KR20190141383A (ko) 2019-12-24
US11419179B2 (en) 2022-08-16
US20210235541A1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819B1 (ko)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 방법 및 장치
CN111404873B (zh) 在支持mec的网络环境中提供ims服务的电子装置
RU2645275C2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них и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US11051269B2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s and method therefor
CN111742564B (zh) 无线通信系统中支持多个sim的设备和方法
KR20200099735A (ko)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224027B2 (en) Cell registration method and device
US11134435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method therefor
KR102050379B1 (ko) 호 이동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01496A (ko)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3668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330104A1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measurement repor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US10616778B2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realizing coexistence of miracast and hotspot
US1186359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request in electronic device
US10986222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ed transmission of voice data packet and method thereof
US202300528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path of du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call
KR2022009986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콜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
CN115623612A (zh) 多次呼叫失败的呼叫恢复
KR20220121703A (ko) 측정 보고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