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685B1 -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 - Google Patents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685B1
KR102619685B1 KR1020220146298A KR20220146298A KR102619685B1 KR 102619685 B1 KR102619685 B1 KR 102619685B1 KR 1020220146298 A KR1020220146298 A KR 1020220146298A KR 20220146298 A KR20220146298 A KR 20220146298A KR 102619685 B1 KR102619685 B1 KR 102619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cement
pile
marker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환
정문경
김주형
최창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4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6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for observation while pl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11/04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1)에 항타되어 근입되는 파일체(10)의 변위를 모니터링 하는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일체(10)의 변위정보(a)를 센싱하는 센서부(100); 및 상기 변위정보(a)를 서버(50)로 송신하는 송수신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파일체(10)의 표면에 부착되는 마커(110); 및 상기 파일체(10)가 항타됨에 따라 상기 마커(110)의 변위를 계측하는 측정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입되는 말뚝의 수직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정확한 관입량과 리바운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말뚝이 예정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Displacement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pile including verticality measurement unit and method of calculating bearing capacity of driving pi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항타 파일의 관입량과 리바운드량을 측정함에 있어서, 항타되는 파일체의 수직도를 측정하여 정확한 관입량과 리바운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관입된 파일체의 지지력을 측정하는 한편 파일체가 지반조건에 맞는 각도로 관입될 수 있도록 한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HC 말뚝의 품질 관리는 정재하시험 또는 동재하시험을 통해 평가한다. 다만, 이러한 평가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높은 비용이 요구되므로 시공되는 전체 말뚝의 1% 이내만이 품질 관리를 위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평가의 대상이 되지 못한 나머지 말뚝은 시항타 또는 항타 관입량을 측정하여 최종 시공 품질을 평가하고 있다.
이 경우 PHC 말뚝의 최종 관입량은 인력으로 측정(현장 용어로 '도마리'라고 한다)되며 말뚝 한 본당 최소 10분에서 15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PHC 말뚝의 일일 시공량(30본)을 고려하면 품질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하루에 6시간 이상이므로, 시공자의 입장에서 이러한 품질 관리가 명확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현실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카메라나 LED 광원 등을 이용하여 20M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파일의 관입량을 측정하는 장비가 개발되었으나 넓은 설치 면적이 요구되고 현장에서의 시공 간섭으로 인하여 실제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원거리 측정 장치는 측정 거리에 따라 오차가 크고, 설치 및 장비 세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장비 운용을 위한 측정자 교육 및 현장 학습이 요구되어 비전문가가 이러한 장비를 운용하는 것이 어렵다.
더하여 종래의 측정 장비는 파일의 상하방향의 이동만을 센싱하여 관입량과 리바운드량을 측정하였기 때문에 파일이 소정의 각도를 갖고 관입되는 경우 정확한 관입량과 리바운드량이 측정되기 어려웠다. 또한, 파일이 예정하는 지지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범주 내에서 수직으로 관입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관입 여부를 육안에 의존하여서만 측정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00824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39443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0187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3076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항타 파일 관입량 측정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관입량 측정 시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넓은 설치 장소가 요구되지 않아 시공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한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타 파일의 변위 및 리바운드량을 현장에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교육이나 실습을 수행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운용 가능한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입되는 말뚝의 수직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정확한 관입량과 리바운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말뚝이 예정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수직 관입 시공이 가능토록 한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반(1)에 항타되어 근입되는 파일체(10)의 변위를 모니터링 하는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일체(10)의 변위정보(a)를 센싱하는 센서부(100); 및 상기 변위정보(a)를 서버(50)로 송신하는 송수신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파일체(10)의 표면에 부착되는 마커(110); 및 상기 파일체(10)가 항타됨에 따라 상기 마커(110)의 변위를 계측하는 측정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마커(110)의 3차원 변위를 측정하되, 상기 마커(110)의 X차원 및 Y차원의 이동을 감지하는 영상 측정부(121); 및 상기 마커(110)의 Z차원 이동을 감지하는 거리 측정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120)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마커(110)의 변위정보(a)를 기초로 상기 파일체(10)의 관입정보(b)를 도출하는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입정보(b)는 상기 파일체(10)의 항타 깊이 정보(b1); 상기 파일체(10)의 리바운드 정보(b2); 및 상기 파일체(10)의 수직도 정보(b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00), 상기 송수신부(200) 및 상기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은 상기 항타 깊이 정보(b1) 및 상기 수직도 정보(b3)를 기초로 상기 파일체(10)의 지지력 정보(d4)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110)는 상기 파일체(10)의 두께 방향(A)을 따라 길이방향을 갖는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영상 측정부(121)는 상기 파일체(10)가 항타되기 전에 상기 마커(110)와 같은 각도를 갖는 평행선 정보(d)를 기준으로, 상기 파일체(10)가 항타됨에 따라 상기 마커(110)와 상기 평행선 정보(d) 사이의 각도정보(a1)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측정부(121)는 상기 파일체(10)가 항타되기 전에 상기 마커(110)와 상기 평행성 정보(d)와의 수직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파일체(10)가 항타됨에 따라 상기 마커(110)와 상기 평행성 정보(d) 사이의 수직 거리 변화에 따른 수직방향 변위 정보(a3)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정보(a)는 상기 각도정보(a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측정부(122)는 상기 측정부(120)와 상기 마커(110) 사이의 거리정보(a2)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정보(a)는 상기 거리정보(a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입정보(b)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항타되는 파일체의 변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일체(10)에 상기 마커(110)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상기 센서부(100)를 상기 파일체(10)의 주변부에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측정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변위정보(a)를 생성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관입정보 생성모듈(400)를 이용하여 상기 관입정보(b)를 도출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관입정보(b)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체의 변위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이 상기 마커(110)의 수직방향 변위 정보(a3)를 기초로 상기 항타 깊이 정보(b1) 및 상기 리바운드 정보(b2)를 도출함과 아울러, 상기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이 상기 거리정보(a2) 및 상기 각도정보(a1)를 기초로 상기 수직도 정보(b3)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체의 변위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2 단계(S200)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관입량 측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넓은 설치 장소가 요구되지 않아 시공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타 파일의 변위 및 리바운드량을 현장에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교육이나 실습을 수행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운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입되는 말뚝의 수직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정확한 관입량과 리바운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말뚝이 예정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변위의 방향을 마커가 부착된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변위의 방향을 파일체의 상면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마커 및 평행성 정보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파일체가 항타됨에 따라 발생되는 변위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입정보 모듈의 기능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위정보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관입정보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입량 정보 및 리바운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캡쳐 화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도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캡쳐 화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지반(1)에 항타되어 근입되는 파일체(10)의 변위 및 리바운드량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한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파일체(10)의 변위정보(a)를 센싱하는 센서부(100) 및 변위정보(a)를 서버(50)로 송신하는 송수신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7).
이 경우 센서부(100)는 파일체(10)의 표면에 부착되는 마커(110) 및 파일체(10)가 항타됨에 따라 마커(110)의 변위를 계측하는 측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마커(110)는 지름 2cm 정도의 반사 테이프일 수 있다. 측정부(120)는 반사 테이프의 거동을 0 ~ 50m 의 거리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평면적인 변위뿐만 아니라 3차원 방향으로의 변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측정부(120)는 마커(110)의 3차원 변위를 측정하되, 마커(110)의 X차원 및 Y차원의 이동을 감지하는 영상 측정부(121) 및 마커(110)의 Z차원 이동을 감지하는 거리 측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도 3).
영상 측정부(121)는 파일체(10)의 항타에 따른 영상정보를 기초로 마커(110)의 평면방향(X차원 및 Y차원 방향) 이동 거리를 측정한다. 다만, Z차원으로 이동 여부는 영상정보만을 기초하여 정확한 측정이 곤란하므로 거리 측정부(122)를 이용하여 측정부(120)와 마커(110)간의 거리 변화량을 통해 Z차원으로의 이동 거리를 측정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파일체(10)의 수직방향으로의 근입량과 리바운트량 뿐만 아니라 수직도를 측정하기 위해 수직방향(Y)으로의 이동량,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량(X), 전방 및 후방 방향(Z)으로의 이동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00)를 통해 측정된 변위정보(a)는 마커(110)의 수직방향 변위 정보(a3)와 측정부(120)와 마커(110) 사이의 거리정보(a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측정부(120)에 의해 생성된 마커(110)의 변위정보(a)를 기초로 파일체(10)의 관입정보(b)를 도출하는 관입정보 생성모듈(400) 및 센서부(100), 송수신부(200) 및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8).
이 경우 도출되는 관입정보(b)는 파일체(10)의 항타 깊이 정보(b1), 파일체(10)의 리바운드 정보(b2) 및 파일체(10)의 수직도 정보(b3)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은 항타 깊이 정보(b1) 및 수직도 정보(b3)를 기초로 파일체(10)의 지지력 정보(d4)를 추가적으로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커(110)는 파일체(10)의 두께 방향(A)을 따라 길이방향을 갖는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4).
이 경우 영상 측정부(121)는 파일체(10)가 항타되기 전에 마커(110)와 같은 각도를 갖는 평행선 정보(d)를 기준으로, 파일체(10)가 항타됨에 따라 마커(110)와 평행선 정보(d) 사이의 각도정보(a1)를 생성할 수 있다.
각도정보(a1)는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이 수직도 정보(b3)를 생성함에 있어 파일체(10)의 기울림 정도를 수치적으로 측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영상 측정부(121)는 파일체(10)가 항타되기 전에 마커(110)와 평행성 정보(d)와의 수직 거리를 기준으로, 파일체(10)가 항타됨에 따라 마커(110)와 평행성 정보(d) 사이의 수직 거리 변화에 따른 수직방향 변위 정보(a3)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으로 마커(110) 및 평행성 정보(d)는 거리 편차에 무관하게 형태적으로 확인 가능한 영상 정보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현장 상황에 맞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텅링 시스템은 관입정보(b)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항타되는 파일체의 변위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타되는 파일체의 변위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은 파일체(10)에 마커(110)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센서부(100)를 파일체(10)의 주변부에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측정부(120)를 이용하여 변위정보(a)를 생성하는 제2 단계(S200), 제어부(500)가 관입정보 생성모듈(400)를 이용하여 관입정보(b)를 도출하는 제3 단계(S300) 및 디스플레이부(300)를 이용하여 관입정보(b)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계(S200)는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이 마커(110)의 수직방향 변위 정보(a3)를 기초로 항타 깊이 정보(b1) 및 리바운드 정보(b2)를 도출함과 아울러,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이 거리정보(a2) 및 각도정보(a1)를 기초로 수직도 정보(b3)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타 파일의 변위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 중 제2 단계(S200)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지반
10 : 파일체
50 : 서버
100 : 센서부
200 : 송수신부
300 : 디스플레이부
400 : 관입정보 생성 모듈
500 : 제어부

Claims (14)

  1. 지반(1)에 항타되어 근입되는 파일체(10)의 변위를 모니터링 하는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일체(10)의 변위정보(a)를 센싱하는 센서부(100); 및
    상기 변위정보(a)를 서버(50)로 송신하는 송수신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파일체(10)의 표면에 부착되는 마커(110); 및
    상기 파일체(10)가 항타됨에 따라 상기 마커(110)의 변위를 계측하는 측정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마커(110)의 3차원 변위를 측정하되,
    상기 마커(110)의 X차원 및 Y차원의 이동을 감지하는 영상 측정부(121); 및
    상기 마커(110)의 Z차원 이동을 감지하는 거리 측정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120)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마커(110)의 변위정보(a)를 기초로 상기 파일체(10)의 관입정보(b)를 도출하는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입정보(b)는
    상기 파일체(10)의 항타 깊이 정보(b1);
    상기 파일체(10)의 리바운드 정보(b2); 및
    상기 파일체(10)의 수직도 정보(b3);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100), 상기 송수신부(200) 및 상기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은 상기 항타 깊이 정보(b1) 및 상기 수직도 정보(b3)를 기초로 상기 파일체(10)의 지지력 정보(d4)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110)는 상기 파일체(10)의 두께 방향(A)을 따라 길이방향을 갖는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영상 측정부(121)는 상기 파일체(10)가 항타되기 전에 상기 마커(110)와 같은 각도를 갖는 평행선 정보(d)를 기준으로, 상기 파일체(10)가 항타됨에 따라 상기 마커(110)와 상기 평행선 정보(d) 사이의 각도정보(a1)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측정부(121)는 상기 파일체(10)가 항타되기 전에 상기 마커(110)와 상기 평행선 정보(d)와의 수직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파일체(10)가 항타됨에 따라 상기 마커(110)와 상기 평행선 정보(d) 사이의 수직 거리 변화에 따른 수직방향 변위 정보(a3)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정보(a)는 상기 각도정보(a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부(122)는 상기 측정부(120)와 상기 마커(110) 사이의 거리정보(a2)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정보(a)는 상기 거리정보(a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입정보(b)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11항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항타되는 파일체의 변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일체(10)에 상기 마커(110)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상기 센서부(100)를 상기 파일체(10)의 주변부에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측정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변위정보(a)를 생성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관입정보 생성모듈(400)를 이용하여 상기 관입정보(b)를 도출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관입정보(b)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체의 변위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이 상기 마커(110)의 수직방향 변위 정보(a3)를 기초로 상기 항타 깊이 정보(b1) 및 상기 리바운드 정보(b2)를 도출함과 아울러,
    상기 관입정보 생성모듈(400)이 상기 거리정보(a2) 및 상기 각도정보(a1)를 기초로 상기 수직도 정보(b3)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체의 변위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따른 상기 제2 단계(S200)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20146298A 2022-11-04 2022-11-04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 KR102619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298A KR102619685B1 (ko) 2022-11-04 2022-11-04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298A KR102619685B1 (ko) 2022-11-04 2022-11-04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685B1 true KR102619685B1 (ko) 2023-12-29

Family

ID=8933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298A KR102619685B1 (ko) 2022-11-04 2022-11-04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68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076B1 (ko) 2011-03-08 2012-10-2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3차원 사진측정을 이용한 실시간 파일 관입량 측정 시스템
JP5483079B2 (ja) * 2009-12-09 2014-05-07 五洋建設株式会社 杭のリバウンド量及び貫入量の計測方法及び計測装置
KR102039443B1 (ko) 2019-07-29 2019-11-01 정창식 항타기에 의한 파일 관입량 자동 측정시스템
JP2020007732A (ja) * 2018-07-04 2020-01-16 有限会社ネットライズ Slamの手法を応用した矢板の地中位置測定方法とその装置
KR102201871B1 (ko) 2019-08-22 2021-01-11 윤춘호 레이저를 이용한 구조물 기초파일 최종관입량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200824B1 (ko) 2020-09-01 2021-01-12 (주)영신디엔씨 카메라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파일항타 관입량 및 리바운드량 자동측정시스템
KR20210081722A (ko) * 2019-12-24 2021-07-02 이준협 리바운드 체크장치
JP2021191932A (ja) * 2020-06-05 2021-12-16 大成建設株式会社 打設データ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3079B2 (ja) * 2009-12-09 2014-05-07 五洋建設株式会社 杭のリバウンド量及び貫入量の計測方法及び計測装置
KR101193076B1 (ko) 2011-03-08 2012-10-2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3차원 사진측정을 이용한 실시간 파일 관입량 측정 시스템
JP2020007732A (ja) * 2018-07-04 2020-01-16 有限会社ネットライズ Slamの手法を応用した矢板の地中位置測定方法とその装置
KR102039443B1 (ko) 2019-07-29 2019-11-01 정창식 항타기에 의한 파일 관입량 자동 측정시스템
KR102201871B1 (ko) 2019-08-22 2021-01-11 윤춘호 레이저를 이용한 구조물 기초파일 최종관입량 측정장치 및 방법
KR20210081722A (ko) * 2019-12-24 2021-07-02 이준협 리바운드 체크장치
JP2021191932A (ja) * 2020-06-05 2021-12-16 大成建設株式会社 打設データ管理システム
KR102200824B1 (ko) 2020-09-01 2021-01-12 (주)영신디엔씨 카메라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파일항타 관입량 및 리바운드량 자동측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limeš et al. The monitoring of slow-moving landslides and assessment of stabilisation measures using an optical–mechanical crack gauge
Stark et al. Slope inclinometers for landslides
CN108385691A (zh) 集成北斗高精度定位系统的基坑监测、预警和施工管理d-bim平台
CN102893283A (zh) 用于水平井关联及地质导向的系统和方法
Tuckey An integrated field mapping-numerical modelling approach to characterising discontinuity persistence and intact rock bridges in large open pit slopes
CN106767676A (zh) 一种空间垂向分布点位置测量方法及系统
CN104748695B (zh) 基于区段精细测量的大断面地下洞室早期变形监测方法
Levenberg Inferring pavement properties using an embedded accelerometer
McCallen et al. A laser-based optical sensor for broad-band measurements of building earthquake drift
CN109211137A (zh) 一种快速识别隧道掌子面岩性的装置及方法
Jeng et al. Interpretation of slope displacement obtained from inclinometers and simulation of calibration tests
KR102619685B1 (ko) 수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항타 파일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법
Facas et al. Influence of rocking motion on vibratory roller-based measurement of soil stiffness
KR102033506B1 (ko) 동재하 시험 및 파일의 지내력 측정용 리바운드 체크장치
CN104406566B (zh) 一种矿井智能综合地质测量仪及其测量方法
CN114061403B (zh) 基于bim的工程监理监控系统
KR102189111B1 (ko) 머신러닝,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탐지시스템
Kalenjuk et al. Large-scale monitoring of retaining structures: new approaches on the safety assessment of retaining structures using mobile mapping
Laefer et al. Viability assessment of terrestrial LiDAR for retaining wall monitoring
Theland et al. Assessment of small-strain characteristics for vibration predictions in a Swedish clay deposit
KR102558998B1 (ko) 항타 파일의 변위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항타 파일의 변위 계측 방법
JP7145249B2 (ja) 埋設物判別システム、及び埋設物判別方法
Zhao A New Image Processing Algorithm for Geological Structure Identification of Rock Slopes Based on Drone-Captured Images
KR102431752B1 (ko) 입체마커의 cctv 영상인식기술을 이용한 건설용 가시설 및 구조물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Alzahrani Detection of mine roof failure using inexpensive LiDAR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