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025B1 -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025B1
KR102619025B1 KR1020220009295A KR20220009295A KR102619025B1 KR 102619025 B1 KR102619025 B1 KR 102619025B1 KR 1020220009295 A KR1020220009295 A KR 1020220009295A KR 20220009295 A KR20220009295 A KR 20220009295A KR 102619025 B1 KR102619025 B1 KR 10261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rdant adhesive
waste clothing
anhydride
combustibl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3447A (ko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김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경 filed Critical 김은경
Priority to KR102022000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025B1/ko
Publication of KR20230113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32B17/0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ond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4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불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불연분말과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무게기준으로 25 : 75 ~ 45 : 55로 배합하여 불연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와, 슬레이트를 열처리하여 층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슬레이트에 상기 불연수지를 도포하여 슬레이트에 스며들도록 함으로써 제1 불연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불연 수지층에 유리섬유를 도포하여 유리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리 섬유층에 상기 불연수지를 도포하고 그 위에 수용성 결정체를 뿌려서 제2 불연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불연수지층이 경화되고 나면 수용성 결정체를 물에 용해하여 미세한 구멍들을 만들고, 슬레이트를 1~1.5mm의 두께로 뜯어내어 박리시킴으로써 마감재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산화알루미늄, 이수산화마그네슘을 배합하여 난연 접착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마감재 플레이트의 제2 불연 수지층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난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폐의류를 분쇄한 후 고온에서 압출함으로써 융합에 의해 고분자 분쇄된 폐의류 38 wt%, 목분 15 wt%, 산화 마그네슘 26 wt%, 염화 마그네슘 15 wt%, 펄라이트 5 wt%, 폴리에스테르 폐섬유 1 wt%를 배합하여 폐의류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난연 접착제층에 폐의류 플레이트를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폐의류 플레이트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 난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난연 접착제층에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와, 숙성을 시켜서 마감재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Finish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using waste cloth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이 발명은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폐의류를 고분자 분쇄하여 폐의류 플레이트를 제작한 후 이를 고가의 건축용 마감재 패널 생산에 이용함으로써 폐의류의 활용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슬레이트(slate)를 열처리한 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1~1.5mm의 얇은 두께 박리시키되, 가연성 제품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준불연 수준의 난연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유해물질 함량을 줄여서 친환경적인,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의류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게 되면서 사용후 버려지는 폐의류도 함께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부의 발표에 따르면 하루에 발생되는 의류 폐기물은 2008년 162톤에서 2014년 214톤으로 약 30% 이상 증가했다. 연간으로 따지면 7만 5천톤에 이른다.
폐의류는 수거되어 재활용되거나 해외로 수출되는데, 재활용되는 양은 매우 한정되어 있고, 코로나 19 사태로 인하여 국가간 수출입 절차가 지연됨에 따라 수출되지 못하고 소각페기되어야 하는 양이 증가하게 되면서, 소각폐기하는데 드는 비용도 문제지만, 옷을 태우며 나오는 악성 유해물질이 공기로 퍼지면서 환경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따라 환경오염 측면에서 폐의류 재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폐의류를 재활용하는 방법중의 하나로서, 저가의 고형화 연료를 생산하는 방법에 비하여, 고가의 건축물 자재를 생산하는 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이 폐의류를 재활용하여 건축물 자재를 생산하는 방법의 예로서, 인조 목재의 제조에 있어서 목분에 합성수지를 혼합하는 동시에 다양한 물성이 혼합된 폐의를 재활용하여 분쇄해 혼합하여 인조 목재로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성을 향상을 통한 재활용 가능한 제품을 제공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13610호(공개일자 2014년 11월 11일)의 "폐의류를 이용한 인조목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인조목재"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건축물 자재로서 인조목재는 슬레이트(slate)와 같은 석재에 비하여 내구성, 불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13610호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의류를 고분자 분쇄하여 폐의류 플레이트를 제작한 후 이를 고가의 건축용 마감재 패널 생산에 이용함으로써 폐의류의 활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레이트를 열처리한 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1~1.5mm의 얇은 두께 박리시키되, 가연성 제품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준불연 수준의 난연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유해물질 함량을 줄여서 친환경적인,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불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불연분말과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무게기준으로 25 : 75 ~ 45 : 55로 배합하여 불연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와, 슬레이트를 열처리하여 층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슬레이트에 상기 불연수지를 도포하여 슬레이트에 스며들도록 함으로써 제1 불연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불연 수지층에 유리섬유를 도포하여 유리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리 섬유층에 상기 불연수지를 도포하고 그 위에 수용성 결정체를 뿌려서 제2 불연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불연수지층이 경화되고 나면 수용성 결정체를 물에 용해하여 미세한 구멍들을 만들고, 슬레이트를 1~1.5mm의 두께로 뜯어내어 박리시킴으로써 마감재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산화알루미늄, 이수산화마그네슘을 배합하여 난연 접착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마감재 플레이트의 제2 불연 수지층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난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폐의류를 분쇄한 후 고온에서 압출함으로써 융합에 의해 고분자 분쇄된 폐의류 38 wt%, 목분 15 wt%, 산화 마그네슘 26 wt%, 염화 마그네슘 15 wt%, 펄라이트 5 wt%, 폴리에스테르 폐섬유 1 wt%를 배합하여 폐의류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난연 접착제층에 폐의류 플레이트를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폐의류 플레이트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 난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난연 접착제층에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와, 숙성을 시켜서 마감재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 불연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경화 촉진제로서의 이미다졸 염을 무수물 100중량부당 1 내지 4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경화제를 상기 불연수지에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 이미다졸 염은 1,2-메틸-1H-이미다졸과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 카르복실산 화합물은 아세트산, 프로판산, 헥산산, 2-에틸헥산산, 옥탄산, 노난산, 데칸산, 톨오일 지방산 (TOFA)의 적어도 1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 무수물은 폴리세바스산 및 폴리아젤라산 무수물;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 프탈산 무수물, 메틸 나드산 무수물, 헥사히드로 프탈산 무수물 및 메틸헥사히드로 프탈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치환된 숙신산 무수물, 시트르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의 부가물, 도데실 숙신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비닐 및 말레산 무수물의 스티렌 공중합체, 다중-고리 지환족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의 적어도 1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 불연분말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카본(carbon), 시아누르산(cyanuric acid), 인산 알루미늄(aluminum phosphate), 아연 몰리브데이트(zinc molybdate), 수산화마그네슘(magnesia hydrate), 수산화 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규산칼슘(calcium siklicate)을 배합하여 제조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 불연분말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35~40 wt%, 카본(carbon) 20~25 wt%, 시아누르산(cyanuric acid) 20~25 wt%, 인산 알루미늄(aluminum phosphate) 5~10 wt%, 아연 몰리브데이트(zinc molybdate) 2~5 wt%, 수산화마그네슘(magnesia hydrate) 2~5 wt%, 수산화 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2~5 wt%, 규산칼슘(calcium siklicate) 5~10 wt%를 배합하여 제조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 폐의류 플레이트는 비중이 1.1 미만으로 제조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며, 슬레이트 시트와, 상기 슬레이트 시트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불연 수지층과, 상기 제1 불연 수지층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리 섬유층과, 상기 유리 섬유층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불연 수지층과, 상기 제2 불연 수지층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난연 접착제층과, 상기 제1 난연 접착제층의 위에 접착되어 있는 폐의류 플레이트와, 상기 폐의류 플레이트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난연 접착제층과, 상기 제1 난연 접착제층의 위에 접착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은, 폐의류를 고분자 분쇄하여 폐의류 플레이트를 제작한 후 이를 고가의 건축용 마감재 패널 생산에 이용함으로써 폐의류의 활용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슬레이트를 열처리한 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1~1.5mm의 얇은 두께 박리시키되, 가연성 제품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준불연 수준의 난연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유해물질 함량을 줄여서 친환경적인,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된 슬레이트에 제1 불연 수지층, 유리섬유층, 제2 불연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된 슬레이트를 박리시킴으로써 마감재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구성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은, 불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10)와, 상기 불연분말과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무게기준으로 25 : 75 ~ 75 : 55로 배합하여 불연수지를 제조하는 단계(S20)와, 슬레이트를 열처리하여 층을 분리시키는 단계(S30)와, 슬레이트 위에 상기 불연수지를 도포하여 슬레이트에 스며들도록 함으로써 제1 불연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40)와, 상기 제1 불연 수지층에 유리섬유를 도포하여 유리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S50)와, 상기 유리 섬유층에 상기 불연수지를 도포하고 그 위에 수용성 결정체를 뿌려서 제2 불연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60)와, 상기 제2 불연수지층이 경화되고 나면 수용성 결정체를 물에 용해하여 미세한 구멍들을 만들고, 슬레이트를 1~1.5mm의 두께로 뜯어내어 박리시킴으로써 마감재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S70)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산화알루미늄, 이수산화마그네슘을 배합하여 난연 접착제를 제조하는 단계(S80)와, 상기 마감재 플레이트의 제2 불연 수지층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난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S90)와, 폐의류를 분쇄한 후 고온에서 압출함으로써 융합에 의해 고분자 분쇄된 폐의류 38 wt%, 목분 15 wt%, 산화 마그네슘 26 wt%, 염화 마그네슘 15 wt%, 펄라이트 5 wt%, 폴리에스테르 폐섬유 1 wt%를 배합하여 폐의류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S100)와, 상기 제1 난연 접착제층에 폐의류 플레이트를 접착하는 단계(S110)와, 상기 폐의류 플레이트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 난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제2 난연 접착제층에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S130)와, 숙성을 시켜서 마감재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불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10)에서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카본(carbon), 시아누르산(cyanuric acid), 인산 알루미늄(aluminum phosphate), 아연 몰리브데이트(zinc molybdate), 수산화마그네슘(magnesia hydrate), 수산화 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규산칼슘(calcium siklicate)을 배합하여 불연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는 30~40 wt%로 배합한다.
상기 카본(carbon)과 시아누르산(cyanuric acid)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비율의 50~60 wt%로 각각 배합한다.
상기 인산 알루미늄(aluminum phosphate)은 시아누르산(cyanuric acid) 비율의 30~35 wt%로 배합한다.
상기 아연 몰리브데이트(zinc molybdate)는 인산 알루미늄(aluminum phosphate) 비율의 40~50 wt%로 배합한다.
상기 수산화마그네슘(magnesia hydrate)과 수산화 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은 인산 알루미늄(aluminum phosphate) 비율의 45~50 wt%로 배합한다.
상기 규산칼슘(calcium siklicate)은 인산 알루미늄(aluminum phosphate) 비율과 동일한 wt%로 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연분말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35~40 wt%, 카본(carbon) 20~25 wt%, 시아누르산(cyanuric acid) 20~25 wt%, 인산 알루미늄(aluminum phosphate) 5~10 wt%, 아연 몰리브데이트(zinc molybdate) 2~5 wt%, 수산화마그네슘(magnesia hydrate) 2~5 wt%, 수산화 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2~5 wt%, 규산칼슘(calcium siklicate) 5~10 wt%를 배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불연분말은 할로겐프리 성분으로 유해성이 없다.
상기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와 카본(carbon)은 열과 반응하여 질소 성분이 탄소 및 가스로 탄화막을 형성하고, 탄화막의 팽창효과로 열과 산소를 차단하여 물질분해의 가스가 착화되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와 카본(carbon)의 첨가비율이 57%가 넘어가게 되면 불연수지의 점도가 높아져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는 효과를 유발하게 되어 불연성이 저하된다,
상기 수산화마그네슘(magnesia hydrate)과 수산화 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은 열반응시 물을 생성하여 연기 및 독성가스 발생을 억제한다.
상기 시아누르산(cyanuric acid)과 인산 알루미늄(aluminum phosphate)과 아연 몰리브데이트(zinc molybdate)는 연소된 수진의 빠른 탄화생성을 촉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반응을 촉진하고 결합력을 높여준다.
상기 불연분말은 400 mesh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400 mesh 이하인 경우 점판암의 기공사이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잘 흡수되지 않아서 돌이 잘 뜯어지지 않거나 불연분말의 뭉침현상으로 인해서 불연성능이 제품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게 된다.
상기 불연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S20)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불연분말을 15분 이상 교반하며, 교반후 12분에서 12분 사이에 경화제를 투입한다.
상기 경화제는 경화 촉진제로서의 이미다졸 염을 무수물 100중량부당 1 내지 4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이미다졸 염은 1,2-메틸-1H-이미다졸과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카르복실산 화합물은 아세트산, 프로판산, 헥산산, 2-에틸헥산산, 옥탄산, 노난산, 데칸산, 톨오일 지방산 (TOFA)의 적어도 1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수물은 폴리세바스산 및 폴리아젤라산 무수물;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 프탈산 무수물, 메틸 나드산 무수물, 헥사히드로 프탈산 무수물 및 메틸헥사히드로 프탈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치환된 숙신산 무수물, 시트르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의 부가물, 도데실 숙신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비닐 및 말레산 무수물의 스티렌 공중합체, 다중-고리 지환족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의 적어도 1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
상기 제1 난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S90)에서, 표면층이 직접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어서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높은 접착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폐의류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S100)에서는, 폐의류 플레이트의 비중을 1 미만으로 제조한다.
상기 제2 난연 접착제층에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S130)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시트는 결정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칼렌더링 공법으로 시트화한 것으로서, 친환경적 소재이며, 내열성이 168℃로 열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시트는 마감재 플레이트와 폐의류 플레이트의 수축팽창율의 차이에 의한 변형을 막기 위하여 두께 0.7 mm 이상으로 시공된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된 슬레이트를 박리시킴으로써 마감재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플레이트의 구성은, 슬레이트(1)로부터 박리되어 있는 슬레이트 시트(11)와, 상기 슬레이트 시트(11)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불연 수지층(12)과, 상기 제1 불연 수지층(12)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리섬유층(13)과, 상기 유리 섬유층(13)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불연 수지층(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구성은, 슬레이트 시트(11)와, 상기 슬레이트 시트(11)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불연 수지층(12)과, 상기 제1 불연 수지층(12)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리섬유층(13)과, 상기 유리 섬유층(13)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불연 수지층(14)과, 상기 제2 불연 수지층(14)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난연 접착제층(15)과, 상기 제1 난연 접착제층(15)의 위에 접착되어 있는 폐의류 플레이트(16)와, 상기 폐의류 플레이트(16)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난연 접착제층(17)과, 상기 제1 난연 접착제층(17)의 위에 접착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 시트(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35~40 wt%, 카본(carbon) 20~25 wt%, 시아누르산(cyanuric acid) 20~25 wt%, 인산 알루미늄(aluminum phosphate) 5~10 wt%, 아연 몰리브데이트(zinc molybdate) 2~5 wt%, 수산화마그네슘(magnesia hydrate) 2~5 wt%, 수산화 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2~5 wt%, 규산칼슘(calcium siklicate) 5~10 wt%로 이루어지는 불연분말을 제조한다(S10).
다음에, 상기 불연분말과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무게기준으로 25 : 75 ~ 45 : 55로 배합한 후에, 불연분말과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15분 이상 교반하여 불연수지를 제조한다(S20). 상기 불연분말이 25% 미만이면 불연성이 안나오고, 45% 이상이면 슬레이트(1)를 뜯어내지 못하게 된다. 불연분말과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교반한지 12분에서 13분 사이에 경화 촉진제로서의 이미다졸 염을 무수물 100중량부당 1 내지 4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경화제를 투입한다.
이어서, 가연성가스 토오치(torch)를 이용하여 슬레이트(1)의 표면을 열처리하여 표면층이 분리되도록 한다(S30).
다음에, 열처리된 슬레이트(1)의 표면에 상기 불연수지를 도포하여 슬레이트(1)에 스며들도록 함으로써 제1 불연 수지층(12)을 형성한다(S40).
이어서, 상기 제1 불연 수지층(2)에 유리섬유를 도포하여 유리섬유층(13)을 형성한다(S50).
다음에, 상기 유리 섬유층(13)에 상기 불연수지를 도포하고 그 위에 굵은 소금과 같은 수용성 결정체를 뿌려서 제2 불연 수지층(14)을 형성한다(S60).
도 2는 슬레이트(1)에 제1 불연 수지층(12), 유리섬유층(13), 제2 불연 수지층(14)이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제2 불연수지층(14)이 건조되어 경화되고 나면, 수용성 결정체를 물에 용해하여 미세한 구멍들을 만들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레이트(1)를 1~1.5mm의 두께로 뜯어내어 박리시킴으로써 슬레이트 시트(11)의 위에 제1 불연 수지층(12), 유리섬유층(13), 제2 불연 수지층(14)이 형성되어 있는 마감재 플레이트를 제조한다(S70).
다음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산화알루미늄, 이수산화마그네슘을 배합하여 난연 접착제를 제조한다(S80).
이어서, 상기 마감재 플레이트의 제2 불연 수지층(14)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난연 접착제층(15)을 형성한다(S90). 이때 제2 불연 수지층(14)에 형성되어 있던 미세한 구멍으로 난연 접착제가 채워짐으로써 평탄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난연 접착제의 접착력을 높여주게 된다.
다음에, 폐의류를 분쇄한 후 고온에서 압출함으로써 융합에 의해 고분자 분쇄된 폐의류 38 wt%, 목분 15 wt%, 산화 마그네슘 26 wt%, 염화 마그네슘 15 wt%, 펄라이트 5 wt%, 폴리에스테르 폐섬유 1 wt%를 배합하여 폐의류 플레이트(16)를 제조한다(S100),
이어서, 상기 제1 난연 접착제층(15)에 상기 폐의류 플레이트(16)를 접착한다(S110).
다음에, 상기 폐의류 플레이트(16)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 난연 접착제층(17)을 형성한다(S120).
이어서, 상기 난연 접착제층(17)에 폴리프로필렌 시트(18)를 접착한다(S130). 상기 폴리프로필렌 시트(18)는 두께 0.7 mm 이상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마감재 플레이트와 폐의류 플레이트(16)의 수축팽창율의 차이에 의한 변형을 막도록 한다.
다음에, 숙성을 시켜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마감재 패널을 제조한다(S140).
1 : 슬레이트
11 : 슬레이트 시트
12 : 제1 불연 수지층
13 : 유리섬유층
14 : 제2 불연 수지층
15 : 제1 난연 접착제층
16 : 폐의류 플레이트
17 : 제2 난연 접착제층
18 : 폴리프로필렌 시트

Claims (9)

  1. 불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불연분말과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무게기준으로 25 : 75 ~ 45 : 55로 배합하여 불연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와,
    슬레이트를 열처리하여 층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슬레이트에 상기 불연수지를 도포하여 슬레이트에 스며들도록 함으로써 제1 불연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불연 수지층에 유리섬유를 도포하여 유리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리 섬유층에 상기 불연수지를 도포하고 그 위에 수용성 결정체를 뿌려서 제2 불연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불연수지층이 경화되고 나면 수용성 결정체를 물에 용해하여 미세한 구멍들을 만들고, 슬레이트를 1~1.5mm의 두께로 뜯어내어 박리시킴으로써 마감재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산화알루미늄, 이수산화마그네슘을 배합하여 난연 접착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마감재 플레이트의 제2 불연 수지층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난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폐의류를 분쇄한 후 고온에서 압출함으로써 융합에 의해 고분자 분쇄된 폐의류 38 wt%, 목분 15 wt%, 산화 마그네슘 26 wt%, 염화 마그네슘 15 wt%, 펄라이트 5 wt%, 폴리에스테르 폐섬유 1 wt%를 배합하여 폐의류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난연 접착제층에 폐의류 플레이트를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폐의류 플레이트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 난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난연 접착제층에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와,
    숙성을 시켜서 마감재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경화 촉진제로서의 이미다졸 염을 무수물 100중량부당 1 내지 4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경화제를 상기 불연수지에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다졸 염은 1,2-메틸-1H-이미다졸과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 화합물은 아세트산, 프로판산, 헥산산, 2-에틸헥산산, 옥탄산, 노난산, 데칸산, 톨오일 지방산 (TOFA)의 적어도 1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물은 폴리세바스산 및 폴리아젤라산 무수물;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 프탈산 무수물, 메틸 나드산 무수물, 헥사히드로 프탈산 무수물 및 메틸헥사히드로 프탈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치환된 숙신산 무수물, 시트르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의 부가물, 도데실 숙신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비닐 및 말레산 무수물의 스티렌 공중합체, 다중-고리 지환족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의 적어도 1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분말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카본(carbon), 시아누르산(cyanuric acid), 인산 알루미늄(aluminum phosphate), 아연 몰리브데이트(zinc molybdate), 수산화마그네슘(magnesia hydrate), 수산화 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규산칼슘(calcium siklicate)을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분말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35~40 wt%, 카본(carbon) 20~25 wt%, 시아누르산(cyanuric acid) 20~25 wt%, 인산 알루미늄(aluminum phosphate) 5~10 wt%, 아연 몰리브데이트(zinc molybdate) 2~5 wt%, 수산화마그네슘(magnesia hydrate) 2~5 wt%, 수산화 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2~5 wt%, 규산칼슘(calcium siklicate) 5~10 wt%를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폐의류 플레이트는 비중이 1.1 미만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며,
    박리된 점판암과,
    상기 박리된 점판암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불연 수지층과,
    상기 제1 불연 수지층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리 섬유층과,
    상기 유리 섬유층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불연 수지층과,
    상기 제2 불연 수지층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난연 접착제층과,
    상기 제1 난연 접착제층의 위에 접착되어 있는 폐의류 플레이트와,
    상기 폐의류 플레이트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난연 접착제층과,
    상기 제1 난연 접착제층의 위에 접착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KR1020220009295A 2022-01-21 2022-01-21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1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295A KR102619025B1 (ko) 2022-01-21 2022-01-21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295A KR102619025B1 (ko) 2022-01-21 2022-01-21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447A KR20230113447A (ko) 2023-07-31
KR102619025B1 true KR102619025B1 (ko) 2023-12-29

Family

ID=8745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295A KR102619025B1 (ko) 2022-01-21 2022-01-21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0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693B1 (ko) * 2007-04-07 2007-09-28 주식회사 부일세이프텍 불연성 적층 시이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137B1 (ko) * 1992-04-06 1995-07-25 주식회사럭키 열가소성 수지와 폐섬유 및 필름 분쇄물을 이용한 시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68283B1 (ko) * 2006-02-22 2007-10-17 송병식 폴리염화비닐분말과 섬유분말을 이용하여 방음패널을제작하는 방법
KR20140013610A (ko) 2012-07-25 2014-02-05 박철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80131229A (ko) * 2017-05-31 2018-12-10 김문옥 준불연성 섬유복합 내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693B1 (ko) * 2007-04-07 2007-09-28 주식회사 부일세이프텍 불연성 적층 시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447A (ko) 202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726B1 (ko) 발포공정을 이용한 경량의 연질 세라믹 보온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경량의 연질 세라믹 보온단열재
KR101575989B1 (ko) 팽창흑연을 이용한 경량화된 흡음내화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CN1162512C (zh) 阻燃组合物
KR101081405B1 (ko) 세라믹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다공성 세라믹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619025B1 (ko) 폐의류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98266B1 (ko) 내화성 보드의 제조방법
KR20130100939A (ko) 내화성 커튼월용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
KR101448253B1 (ko) 발포성 탄화층 구조의 내화피복재 조성물
KR102237988B1 (ko)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KR20180128815A (ko) 천공된 피막구조를 가지는 준불연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2638501B1 (ko) 점판암을 이용한 실내외장식용 준불연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256879B (zh) 环保水性无机阻燃涂料
CN112175436B (zh) 无机膨胀型防火涂料
KR102626994B1 (ko) 경량 건축 내외장재용 불연성 세라믹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CN104277634A (zh) 一种抗开裂膨胀型钢结构防火涂料
KR100591267B1 (ko) 비 할로겐 난연제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지않는 환경친화용 건축용 난연 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CN117303797B (zh) 一种高强度多温段防火芯材及其复合板、制备方法和应用
KR101538132B1 (ko) 마감용 내화단열재가 삽입된 건물벽체
KR102619050B1 (ko) 불연성 스티로폼의 제조방법
JP3220741B2 (ja) 耐火シート用材料並びに耐火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る耐火被覆方法
CN108793846A (zh) 一种泡沫玻璃保温防火板及其制备方法
KR102582950B1 (ko) 수성 발포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재확산방지 단열재 매트
TWI722969B (zh) 無機膨脹型防火塗料
KR102258690B1 (ko) 내열 및 불연 특성을 갖는 불연소재,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건축 내장재, 보온재, 흡음재 및 단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