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656B1 - 옥외 소화전 - Google Patents

옥외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656B1
KR102618656B1 KR1020220051860A KR20220051860A KR102618656B1 KR 102618656 B1 KR102618656 B1 KR 102618656B1 KR 1020220051860 A KR1020220051860 A KR 1020220051860A KR 20220051860 A KR20220051860 A KR 20220051860A KR 102618656 B1 KR102618656 B1 KR 102618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losing member
inle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2302A (ko
Inventor
조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코어
Priority to KR1020220051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656B1/ko
Publication of KR2023015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2009/022Hydrants with a tubular valve seat

Abstract

제조가 용이하면서 소방용수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외 소화전이 개시된다. 상기 소화전은 몸체 및상기 몸체 내측의 공간에 배열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는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부분에는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소방용수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유입된 소방용수의 상기 출구로의 전달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개폐 부재 중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방용수와 만나는 부분은 유선형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옥외 소화전{OUTDOOR FIRE HYDRANT}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면서 소방용수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외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옥외 소화전은 옥외에 설치되어 소방용수를 배출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옥외 소화전은 도 1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몸체(100) 내의 공간에 축(110)이 배열되고, 축(110)은 개폐 부재(112)와 결합된다. 이 때, 개폐 부재(112)의 중앙에 홈(210)이 형성되고 해당 축 부분에 홀이 형성되며, 핀이 개폐 부재(112)의 홈(210)과 상기 홀로 삽입됨에 의해 축(110)과 개폐 부재(112)가 결합된다. 즉, 핀을 이용하여 축(110)과 개폐 부재(112)를 결합시킨다.
한편, 개폐 부재(112)는 지지 부재(114) 위에 놓인 상태로 축(110)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움직여야 하는데, 헛돌지 않고 상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112)의 가이드대들(200)을 가이드할 수 있는 돌출부들(300)을 몸체(100)의 내측면에 형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돌출부들(300)을 형성하는 과정이 추가됨에 따라 상기 소화전의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상승시킨다.
또한, 개폐 부재(112)가 하강하면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소방용수가 출구 방향으로 전달되는데, 이 과정에서 유입된 소방용수가 개폐 부재(112)에 부딪히게 된다. 이 경우, 개폐 부재(112)는 원형 몸체 위에 가이드대들(200)이 수직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소화용수가 개폐 부재(112)의 모서리에 부딪히게 되며, 그 결과 모서리 부근에서 와류가 발생하여 상기 소방용수의 손실을 야기한다. 즉, 상기 소화용수의 전달 효율이 낮다.
KR 10-2185188 B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면서 소방용수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외 소화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은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측의 공간에 배열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는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부분에는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소방용수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유입된 소방용수의 상기 출구로의 전달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개폐 부재 중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방용수와 만나는 부분은 유선형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은 몸체; 상기 몸체 내측의 공간에 배열되는 개폐 축; 상기 몸체 내측의 공간에 배열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개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는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부분에는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소방용수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유입된 소방용수의 상기 출구로의 전달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개폐 축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상태로 상하 움직이며, 상기 개폐 부재에 제 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 제 2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 축은 상기 제 1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홀로 삽입되고, 상기 개폐 축 및 상기 제 2 홀에 대응하는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는 각기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들을 통하여 상기 개폐 축과 상기 지지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개폐 축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개폐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가 상하로 움직인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개폐 부재 중 입구로 유입되는 소방용수와 만나는 부분이 유선형 형상을 가지며, 그 결과 와류가 발생하지 않아 상기 소방용수의 손실이 적어지며, 즉 상기 소방용수의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개폐 축과 개폐 부재가 핀으로 결합되지 않고 개폐 축이 나사산 방식으로 개폐 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와 결합되므로, 개폐 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돌출부들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옥외 소화전의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옥외 소화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개폐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 라인을 따라 절취한 옥외 소화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A-A' 라인을 따라 절취한 옥외 소화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옥외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소화용수(예를 들어, 물)의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소화용수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옥외 소화전의 내부 공간에서 개폐를 위해 사용되는 개폐 부재 중 유입되는 소화용수와 만나는 부분이 유선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진 부분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와류가 발생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소화용수의 흐름이 향상되고 손실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부재와 개폐 축이 핀으로 고정된 상태로 개폐 부재의 상하 움직임을 위해 돌출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개폐 부재 또는 지지 부재와 개폐 축이 나사산을 통하여 결합되므로 몸체 내측에 별도로 돌출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옥외 소화전의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A-A' 라인을 따라 절취한 옥외 소화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옥외 소화전은 몸체 및 몸체 내부의 공간에 배열되는 개폐 축(406), 개폐 부재(410) 및 지지 부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입구 몸체(400), 연결 몸체(402) 및 출구 몸체(404)를 포함하되, 입구 몸체(400)에는 소화용수가 유입되는 입구(a)가 형성되고, 출구 몸체(404)에는 상기 소화용수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b, 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호수(미도시) 등을 통하여 입구(a)로 유입된 소화용수는 입구 몸체(400) 및 연결 몸체(402)를 통하여 출구 몸체(404)로 전달되고, 상기 전달된 소화용수가 출구 몸체(404)의 출구(b, c)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구 몸체(400)와 연결 몸체(402)가 체결 부재(볼트 등)를 통하여 결합되고, 연결 몸체(402)와 출구 몸체(404)가 체결 부재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입구 몸체(400), 연결 몸체(402) 및 출구 몸체(404)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물론, 입구 몸체(400), 연결 몸체(402) 및 출구 몸체(404)가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입구 몸체(400)는 예를 들어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소방용수가 입구(a)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평부(420) 및 입구(a)를 통하여 유입된 소방용수를 연결 몸체(402)로 전달하는 수직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수평부(420)와 수직부(422) 내측에는 상기 소방용수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연결 몸체(402)는 입구 몸체(400)의 수직부(422)와 연결되며, 예를 들어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몸체(402) 내측에도 소방용수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한다.
출구 몸체(404)는 연결 몸체(402)에 연결되며, 내측 공간으로 흐르는 소방용수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출구들(b 및 c)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출구들(b 및 c)은 대향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개폐 축(406)은 출구 몸체(404), 연결 몸체(402) 및 입구 몸체(40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 축(406)은 상기 공간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개폐 축(406)의 움직임에 따라 옥외 소화전이 개폐될 수 있다.
개폐 부재(410)는 출구 몸체(404), 연결 몸체(402) 및 입구 몸체(40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서 입구 몸체(400) 측에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410)의 중앙부에 홀(610)이 형성되며, 개폐 축(406)이 홀(610)을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 부재(410) 중 유입되는 소방용수와 만나는 부분(600)은 유선형 형상으로 상승 곡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진 부분이 없기 때문에 와류가 발생되지 않고 상기 유입된 소방용수가 개폐 부재(410)를 타고 연결 몸체(402)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방용수의 손실이 상당히 적어지고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 부재(410) 중 유입되는 소방용수와 만나는 부분(600)은 부분적으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분(600) 중 하측 부분의 곡률과 상측 부분의 곡률이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측 부분의 곡률이 하측 부분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즉, 하측 부분은 완만하다가 상측 부분으로 갈수록 가팔라질 수 있다.
이러한 개폐 부재(410)의 하부에는 지지 부재(412)가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12) 상에 홀(7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축(406)이 개폐 부재(410)의 홀(610)을 관통하여 지지 부재(412)의 홀(710)로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지지 부재(412)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대응하는 개폐 축(406)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산들을 통하여 개폐 축(406)이 지지 부재(412)에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개폐 축(406)에 지지 부재(412) 및 개폐 부재(4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종래 소화전에서는 개폐 축과 개폐 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핀을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소화전에서는 나사산 결합을 통하여 개폐 축(406)과 지지 부재(412)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개폐 축(406)은 개폐 부재(410)와 나사산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가이드대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돌출부들이 몸체 내측에 필수적으로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소화전에서는 돌출부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소화전의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
개폐 축(406)에 지지 부재(412) 및 개폐 부재(4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개폐 축(406)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개폐 부재(410) 및 지지 부재(412)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폐 부재(410)는 입구 몸체(400)의 내측 공간에서만 상하로 움직이며, 소정 높이까지 상승하면 더 이상 상승이 안되도록 하는 스토퍼 부재(430)가 상기 몸체 내측에 존재할 수 있다.
개폐 부재(410)의 상승이 스토퍼 부재(430)에 의해 저지되었을 때 개폐 부재(410)의 바닥면 또는 함께 상승한 지지 부재(412)가 상기 소화전의 내측 공간을 폐쇄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소화용수가 연결 몸체(402)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 때, 개폐 부재(410)의 상승은 개폐 부재(410) 또는 지지 부재(412)가 스토퍼 부재(430)에 의해 막힘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반면에, 개폐 부재(410)가 하강하면 상기 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이는 개폐 부재(410)의 상측이 하측보다 폭이 작기 때문에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개폐 부재(410)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 개폐 부재(410)의 구조를 살펴보면, 개폐 부재(410)는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폭을 가지며, 소화용수와 만나는 부분은 유선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 부재(410)와 지지 부재(412)의 상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몸체(400)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홈(800)이 형성되고, 지지 부재(412)의 돌출부(702)가 홈(800)으로 삽입된 채로 지지 부재(412)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을 위하여, 지지 부재(412)는 바디(700) 및 바디(700)로부터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70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70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400 : 입구 몸체 402 : 연결 몸체
404 : 출구 몸체 410 : 개폐 부재
412 : 지지 부재 420 : 수평부
422 : 수직부 430 : 스토퍼 부재

Claims (10)

  1. 몸체;
    상기 몸체 내측의 공간에 배열되는 개폐 부재;
    상기 공간 내에 배열되는 개폐 축; 및
    상기 개폐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개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는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부분에는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소방용수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유입된 소방용수의 상기 출구로의 전달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개폐 부재 중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방용수와 만나는 부분은 유선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폐 축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상태로 상하 움직이고, 상기 개폐 축은 상기 개폐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돌출부가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축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개폐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은 옥외 소화전이되,
    상기 몸체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입구 몸체, 연결 몸체 및 출구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는 상기 입구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출구는 상기 출구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 부재 중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방용수와 만나는 부분 중 하측 부분의 곡률과 상측 부분의 곡률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몸체는,
    상기 입구가 형성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 수직한 수직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입구 몸체의 내측 공간에서만 상하로 움직이고, 상기 개폐 부재가 상승하면 상기 수직부의 내측 공간을 차단하여 상기 소방용수의 전달을 차단하고, 상기 개폐 부재가 하강하면 상기 수직부의 내측 공간을 개방하여 상기 소방용수의 전달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에 제 1 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 제 2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 축은 상기 제 1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홀로 삽입되며,
    상기 개폐 축 및 상기 제 2 홀에 대응하는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는 각기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들을 통하여 상기 개폐 축과 상기 지지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6. 삭제
  7. 몸체;
    상기 몸체 내측의 공간에 배열되는 개폐 축;
    상기 몸체 내측의 공간에 배열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개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는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부분에는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소방용수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유입된 소방용수의 상기 출구로의 전달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개폐 축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상태로 상하 움직이며, 상기 개폐 부재에 제 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 제 2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 축은 상기 제 1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홀로 삽입되고,
    상기 개폐 축 및 상기 제 2 홀에 대응하는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는 각기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들을 통하여 상기 개폐 축과 상기 지지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개폐 축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개폐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가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돌출부가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축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개폐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 중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방용수와 만나는 부분은 유선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10. 삭제
KR1020220051860A 2022-04-27 2022-04-27 옥외 소화전 KR102618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860A KR102618656B1 (ko) 2022-04-27 2022-04-27 옥외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860A KR102618656B1 (ko) 2022-04-27 2022-04-27 옥외 소화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302A KR20230152302A (ko) 2023-11-03
KR102618656B1 true KR102618656B1 (ko) 2023-12-28

Family

ID=8874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860A KR102618656B1 (ko) 2022-04-27 2022-04-27 옥외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6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3865B1 (ja) * 2012-05-31 2014-03-05 株式会社イシザキ・コーポレーション 逆止弁および揚水システム
KR102304796B1 (ko) * 2020-12-21 2021-09-27 육송(주) 옥외 지상식 소화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574A (en) * 1975-06-24 1977-01-10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Constant measuring device
KR102185188B1 (ko) 2020-02-20 2020-12-01 육송(주) 회전 가능한 지상형 옥외소화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3865B1 (ja) * 2012-05-31 2014-03-05 株式会社イシザキ・コーポレーション 逆止弁および揚水システム
KR102304796B1 (ko) * 2020-12-21 2021-09-27 육송(주) 옥외 지상식 소화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302A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7603B2 (en) Apparatus for separation of gas-liquid mixtures and promoting coalescence of liquids
KR102618656B1 (ko) 옥외 소화전
RU2484201C1 (ru) Гаситель энергии водосброс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9790805B2 (en) Steam valve device and steam turbine plant
KR101718898B1 (ko)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측벽이 일체형 구조로 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사각 물탱크
CN201558429U (zh) 侧开式防火止回阀
EP2484981A1 (en) Suction apparatus
KR20090071657A (ko) 축압 주수 탱크 및 플로우 댐퍼의 제조 방법
TR199902756A2 (xx) So�utucu ak�m� stabilize etme kolayl��� olan n�kleer reakt�r�n i� yap�s�
US20190240682A1 (en) Shower Device Without Remaining Water
CN215505861U (zh) 一种进出口流速有角度偏转的阀门滤网结构
KR101353834B1 (ko) 분기배관 연결장치
US20030185334A1 (en) Core inlet structure for coolant
CN206668315U (zh) 隔爆水袋棚及系统
EP3633200A1 (en) Oil separation structure and compressor
KR100424531B1 (ko)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RU2708523C1 (ru) Гаситель энергии водного потока
KR102621165B1 (ko) 벨마우스
US11421690B2 (en) Silencer and compressor
GB2222074A (en) Circulating water pool
RU2648699C1 (ru) Гаситель энергии водного потока
CN112741972A (zh) 一种比例混合器
CN105864467A (zh) 单向阀
CN105443784B (zh) 大容量套筒调节阀
RU2815140C2 (ru) Гаситель энергии водного по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