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003B1 - Tart-only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its ope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Tart-only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its opera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003B1
KR102618003B1 KR1020230072618A KR20230072618A KR102618003B1 KR 102618003 B1 KR102618003 B1 KR 102618003B1 KR 1020230072618 A KR1020230072618 A KR 1020230072618A KR 20230072618 A KR20230072618 A KR 20230072618A KR 102618003 B1 KR102618003 B1 KR 102618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t
drum
dough
kneading
b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베이크아이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베이크아이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베이크아이엔
Priority to KR102023007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0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0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80Past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sewhere, e.g. cakes, biscuits or cook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3Baking-tins; Baking forms for making bread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 A21B7/005Baking plants in combination with mixing or kn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0/00Batters, dough or mixtures before baking
    • A21D10/002Dough mixes; Baking or bread improvers; Premix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2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or to be filled after baking, e.g. sandwich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5/00Preserving finished, partly finished or par-baked bakery products; Improving
    • A21D15/02Preserving finished, partly finished or par-baked bakery products; Improving by cooling, e.g. refrigeration,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3/00Cream; Cream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3/12Cream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타르트지의 반죽부터 베이킹, 크림 배합 및 크림 필링까지의 전 과정을 단일한 공장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타르트의 생산성을 개선하고, 타르트지의 반죽에 사용되는 분말들의 입자를 최소화하여 타르트의 식감을 개선할 수 있는,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art productivity 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entire process from tart dough kneading to baking, cream mixing, and cream filling in a single factory, and minimizes the particles of powder used in tart dough dough. It relates to a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that can improve the texture of tarts and improves productivit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escription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TART-ONLY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ITS OPERATING METHOD}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its operating method {TART-ONLY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ITS OPERATING METHOD}

아래 실시예들은 타르트지의 반죽부터 베이킹, 크림 배합 및 크림 필링까지의 전 과정을 단일한 공장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타르트의 생산성을 개선하고, 타르트지의 반죽에 사용되는 분말들의 입자를 최소화하여 타르트의 식감을 개선할 수 있는,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examples below improve tart productivity 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entire process from tart dough kneading, baking, cream mixing, and cream filling in a single factory, and minimize the particles of powder used in tart dough dough to improve the texture of the tart. It relates to a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간식 및 식사대용으로 과자와 빵류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각종 베이커리나 카페, 쿠키/빵 공장 등에서는 다양한 신제품들을 출시하여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Demand for snacks and breads as snacks and meal replacements is increasing, and various bakeries, cafes, and cookie/bread factories are launching various new products and providing them to consumers.

특히, 타르트의 경우 타르트지 위에 크림 및 다양한 필링 등을 추가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에 맞춘 제품들을 제공할 수 있어서 인기를 얻고 있다.In particular, tarts are gaining popularity because they can provide products tailored to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by adding cream and various fillings to the tart paper.

다만, 제품군이 다양해질수록 제조 및 유통 과정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른 마진율 감소 또는 소비자가 상승 등이 초래되어, 소비자 또는 제조/공급자에게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However, as product lines become more diverse,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processes become more complex, resulting in decreased margins or increased consumer prices, increasing the burden on consumers or manufacturers/suppliers.

본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 타르트 제조/유통 시스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오랜 연구개발을 거쳐 타르트를 직접 제조할 수 있는 타르트 특화 제조 시스템을 구축하고, 제조된 타르트에 대한 유통을 직접 운용함으로써 생산성, 가격경쟁력 및 품질이 좋고, 가맹점들과 상생할 수 있는 타르트 제조/유통망을 구축하였다.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tart manufacturing/distribution system, the present applicant established a tart-specialized manufacturing system that can directly manufacture tarts through long-term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directly operates distribution of the manufactured tarts to improve productiv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and established a tart manufacturing/distribution network that has good quality and can coexist with franchisees.

KRKR 10-2023-0072115 10-2023-0072115 AA KRKR 10-1953021 10-1953021 BB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타르트 제조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타르트지의 반죽부터 베이킹, 크림 배합 및 크림 필링까지의 전 과정을 단일한 공장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타르트의 생산성을 개선하고, 타르트지의 반죽에 사용되는 분말들의 입자를 최소화하여 타르트의 식감을 개선할 수 있는,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tart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entire process from tart dough kneading to baking, cream mixing, and cream filling in a single factory. By doing so, the aim is to provide a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with improved productivity that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arts and improve the texture of tarts by minimizing the particles of powder used in tart dough dough.

일실시예에 따르면,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를 체로 걸러내는 거름단계; 체로 걸러진 상기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와, 버터, 계란노른자, 소금 및 물을 혼합하는 반죽단계; 상기 반죽단계에서 생산된 반죽을 소정의 타르트지 틀에 투입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 성형된 타르트지 반죽을 굽는 베이킹단계; 크림치즈, 설탕 및 소정의 추가재료를 혼합하는 크림배합단계; 구워진 타르트지에 크림을 필링하는 필링단계; 크림이 필링된 타르트를 냉동 또는 베이킹하는 후가공단계; 및 상기 타르트를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ieving step of filtering out cake flour and sugar powder through a sieve; A kneading step of mixing the sifted cake flour and sugar powder with butter, egg yolk, salt and water; A molding step of putting the dough produced in the kneading step into a predetermined tart mold and molding it; A baking step of baking the formed tart dough; A cream mixing step of mixing cream cheese, sugar, and certain additional ingredients; A filling step of filling the baked tart with cream; A post-processing step of freezing or baking the cream-filled tart; and a packaging step of packaging the tart. It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including a packaging step.

또한, 상기 반죽단계는: 소정의 반죽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반죽장치는: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부드럼; 상기 외부드럼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드럼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 모터; 상기 외부드럼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2 모터; 일단이 상기 제2 모터에 연결되어, 편심 회전하는 내부드럼; 상기 내부드럼의 타단에 구비되어 개폐 가능한 도어; 상기 내부드럼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드럼베어링; 상기 드럼베어링의 외주면 및 상기 외부드럼의 내주면 사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탄성부재; 및 상기 내부드럼의 옆면 내측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반죽단계는: 상기 외부드럼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도어가 상부를 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드럼에 상기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와, 버터, 계란노른자, 소금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외부드럼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도어가 측부를 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neading step is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kneading device, and the kneading device includes: an external drum form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having an angle adjus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 first moto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nal drum to adjust the angle of the external drum; a second motor fixed to the inside of the external drum; an inner drum whos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and rotates eccentrically; A doo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drum and openable and closed; A drum bearing o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nal drum is seate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radially connec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bearing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rnal drum; and a plurality of blades radially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inner drum, wherein the kneading step includes: controlling the door to face upwar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outer drum; opening the door; Injecting the cake flour, sugar powder, butter, egg yolk, salt and water into the internal drum; closing the door; controlling the door to face the side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external drum; and driving the second motor.

그리고, 상기 반죽장치는: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축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을 따라 상기 도어의 일측을 타공하여 형성되는 편심축 통공부; 상기 편심축 통공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호스부; 상기 호스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분무노즐; 상기 편심축 통공부의 양쪽에 배치되며 상기 호스부에 고정되어, 상기 호스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내부드럼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드럼 내부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반죽단계는: 상기 내부드럼의 습도를 기반으로 상기 분무노즐로부터 물을 분무하는 분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kneading device includes: an eccentric shaft hole formed by perforating one side of the door along an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motor; A hose portion inserted through the eccentric shaft hole; A spray nozzle provided at the end of the hose unit; Flange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ccentric shaft hole and fixed to the hose portion to prevent the hos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and a humidity sensor disposed inside the inner drum to measure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inner drum, wherein the kneading step includes: a spraying step of spraying water from the spray nozzle based on the humidity of the inner drum. It may further include ;.

아울러, 상기 성형단계 및 베이킹단계는: 소정의 성형 베이킹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성형 베이킹 장치는: 상기 반죽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호간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부를 따라 이송 가능한 한 쌍의 타르트지 틀; 상기 타르트지 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타르트지 틀 내부에 투입된 반죽을 가압하는 제1 가압플런저; 상기 제1 가압플런저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반죽을 타르트지 틀 내부에 투입하는 반죽투입관; 상기 반죽투입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죽투입관 내부의 반죽을 가압하는 제2 가압플런저; 상기 타르트지 틀 및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반죽을 가열하는 열선; 및 상기 타르트지 틀 및 제1 가압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타르트지 틀, 제1 가압플런저 및 제2 가압플런저에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단계는: 한 쌍의 상기 타르트지 틀을 서로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가압플런저를 하강시켜 상기 타르트지 틀에 삽입하여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죽투입관을 통해 상기 반죽을 상기 타르트지 틀 내부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2 가압플런저를 하강시켜 상기 반죽투입관 내부의 반죽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열선을 작동시켜 상기 반죽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제2 가압플런저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가압플런저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한 쌍의 상기 타르트지 틀을 서로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lding step and the baking step are: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molding baking device, and the molding baking device includes: a base providing a space on which the dough is placed; A pair of tart pan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and capable of being transported along the upper part of the base so as to be spaced apart o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first pressure plunger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art mold to pressurize the dough placed inside the tart mold; a dough input pip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pressure plunger to inject the dough into the tart mold; A second pressure plunger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ugh input pipe to pressurize the dough inside the dough input pipe; A heating element provided on the tart mold and base to heat the dough; And a hydraulic circuit connected to the tart mold and the first pressurizing jig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tart mold, the first pressure plunger, and the second pressure plunger; and the forming step includes: a pair of the tarts. A step of bringing the frames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lowering the first pressure plunger and inserting it into the tart mold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Injecting the dough into the tart mold through the dough input pipe; lowering the second pressure plunger to pressurize the dough inside the dough input pipe; heating the dough by operating the heating element; raising the second pressure plunger; Raising the first pressure plunger;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spacing the pair of tart pans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거름단계는: 소정의 거름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거름장치는: 하단에 소정의 체망이 구비되고, 옆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제1 바스켓; 상기 제1 바스켓을 수용하며, 하단에 소정의 호퍼가 형성되는 제2 바스켓; 상기 제1 바스켓을 제2 바스켓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장치; 소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는 제1 공기배관; 상기 제1 공기배관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제2 공기배관; 상기 제2 공기배관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3 공기배관; 상기 호퍼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3 공기배관을 연결하되, 상기 제1 공기배관 내지 제3 공기배관의 진행방향과 소정의 예각을 가지도록 연결되는 분말배관; 및 상기 제3 공기배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토출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장치는: 상기 제2 바스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3 모터; 상기 제3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제3 모터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1 바스켓의 측부에 형성된 걸림턱을 밀어내도록 구비되는 레버; 상기 제2 바스켓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 상기 제1 바스켓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부까지 연결되어, 상기 제2 바스켓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1 바스켓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바스켓의 호퍼면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바스켓의 체망을 이격시키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ing step is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filtering device, and the filtering device includes: a first basket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sieve at the bottom, having a cylindrical side, and having an open top; a second basket that accommodates the first basket and has a predetermined hopper at the bottom; a vibration device that vibrates the first basket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within the second basket; An air pump that supplies predetermined compressed air; A first air pipe connected to the air pump; a second air pip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air pipe, the inner diameter of which gradually decreases; a third air pip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air pipe, the inner diameter of which gradually increases; a powder pipe connecting the third air pipe from the bottom of the hopper at a predetermined acute angle wit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rst to third air pipes; and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an end of the third air pipe, wherein the vibration device includes: a third motor fixed to one side of the second basket; a lever connected to the third motor,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third motor, and provided to push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a side of the first basket;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top of the second basket; a first spring connected from the top of the first basket to the support portion and apply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press the second basket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second spring fix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basket to space the sieve mesh of the first basket from the top of the ho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ket.

일실시예에 따르면, 타르트지의 반죽부터 베이킹, 크림 배합 및 크림 필링까지의 전 과정을 단일한 공장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ntire process from tart dough kneading to baking, cream mixing, and cream filling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in a single factory.

또한, 타르트지의 반죽 과정을 포함한 타르트 생산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art production process, including the tart dough kneading process, can be automated.

그리고, 타르트지의 반죽의 습도/수분함유량을 반죽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타르트지의 바삭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gree of crispness of the tart paper can be adjusted by actively controlling the humidity/moisture content of the tart paper dough during the kneading process.

아울러, 타르트지의 반죽에 사용되는 분말들의 입자를 최소화하여 타르트의 식감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xture of the tart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particles of powder used in the tart dough.

또한, 타르트지의 성형 과정과 베이킹 과정을 일체화하여, 생산에 소요되는 공정 수 및 택타임을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ntegrating the tart paper molding process and baking process, the number of processes and takt time required for production can be reduced.

그리고, 타르트지가 베이킹되는 동안 수축되는 부피를 보상함으로써, 베이킹 과정에서 타르트지의 모양이 찌그러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And, by compensating for the volume that shrinks while the tart is baking, the shape of the tar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orted during the bak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에 포함된 반죽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에 포함된 성형 베이킹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에 포함된 거름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method of a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kneading device included in a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lding baking device included in a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rainer included in a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so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e same as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meani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a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he top', 'on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fu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techn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conduct them together due to a related relationship.

일실시예에 따르면,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를 체로 걸러내는 거름단계(S1); 체로 걸러진 상기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와, 버터, 계란노른자, 소금 및 물을 혼합하는 반죽단계(S2); 상기 반죽단계(S2)에서 생산된 반죽을 소정의 타르트지 틀(21)에 투입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S3); 성형된 타르트지 반죽을 굽는 베이킹단계(S4); 크림치즈, 설탕 및 소정의 추가재료를 혼합하는 크림배합단계(S5); 구워진 타르트지에 크림을 필링하는 필링단계(S6); 크림이 필링된 타르트를 냉동 또는 베이킹하는 후가공단계(S7); 및 상기 타르트를 포장하는 포장단계(S8);를 포함하는,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ieving step (S1) of filtering the cake flour and sugar powder through a sieve; Kneading step (S2) of mixing the sieved cake flour and sugar powder with butter, egg yolk, salt and water; A molding step (S3) of putting the dough produced in the kneading step (S2) into a predetermined tart mold (21) and molding it; Baking step (S4) of baking the formed tart dough; Cream mixing step (S5) of mixing cream cheese, sugar, and certain additional ingredients; A filling step (S6) of filling the baked tart with cream; A post-processing step (S7) of freezing or baking the cream-filled tart; and a packaging step (S8) of packaging the tart. It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including a packaging step (S8) of packaging the tart.

상기 거름단계(S1);에서는,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를 각각 체로 걸러내어 입자가 굵은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를 걸러내고, 입자가 가는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만을 상기 반죽단계(S2)에 공급한다.In the sieving step (S1), the cake flour and sugar powder are each sieved to filter out the coarse-grained cake flour and sugar powder, and only the fine-grained cake flour and sugar powder are supplied to the kneading step (S2).

여기서, 후술하는 거름장치의 동작에 따라, 입자가 굵은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가 분쇄/분리되어 가는 입자로 변환될 수 있다. (달라붙었던 입자들이 서로 분리되어 입자의 크기가 작아짐)He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ltering device described later, the coarse-grained flour and sugar powder can be converted into fine particles by pulverizing/separating them. (The stuck particles separate from each other and the particle size decreases)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거름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trainer may be provided individually for each of the cake flour and sugar powder.

상기 반죽단계(S2);에서는, 상기 박력분, 슈가파우더, 버터, 계란노른자, 소금 및 물을 혼합하여 타르트지(크림이 토핑되는 빵/쿠키에 해당하는 부분)를 만들 반죽을 제조한다.In the kneading step (S2), the cake flour, sugar powder, butter, egg yolk, salt, and water are mixed to prepare dough to make a tar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read/cookie topped with cream).

여기서, 박력분, 슈가파우더, 버터, 계란노른자, 소금 및 물의 비율은 일반적인 타르트지의 반죽 비율(주지관용기술)을 참조하여 실시할 수 있다.Here, the ratio of cake flour, sugar powder, butter, egg yolk, salt, and water can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dough ratio of a general tart (known as a known technique).

상기 성형단계(S3);에서는, 반죽단계(S2)에서 제조된 반죽을 성형하여 반죽을 타르트지 모양(소정의 그릇 모양)으로 만든다.In the forming step (S3), the dough prepared in the kneading step (S2) is molded to make the dough into a tart shape (a predetermined bowl shape).

이 때, 상기 바닥면이 베이킹단계(S4)에서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유산지 트레이에 반죽을 담을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bottom surface from burning during the baking step (S4), the dough can be placed on a predetermined parchment paper tray.

상기 베이킹단계(S4);에서는, 상기 반죽을 가열하여 구움으로써 타르트지를 제조한다. 상기 반죽을 굽는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은 일반적인 타르트지 베이킹 과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In the baking step (S4), a tart is manufactured by heating and baking the dough. The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baking the dough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 general tart baking process.

상기 크림배합단계(S5);에서는, 크림치즈, 설탕 및 소정의 추가재료를 혼합하여 타르트지에 토핑할 크림을 제조한다.In the cream mixing step (S5), cream cheese, sugar, and certain additional ingredients are mixed to prepare cream to top the tart.

여기서 추가재료로는 과일맛 분말, 초코 분말, 초코칩, 과일 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Here, additional ingredients may include fruit flavor powder, chocolate powder, chocolate chips, fruit filling, etc.

상기 필링단계(S6);에서는, 베이킹단계(S4)에서 제조된 타르트지의 내주면(그릇 형상의 내부/상부)에 상기 크림배합단계(S5)에서 제조된 크림을 주입/토핑한다.In the filling step (S6), the cream prepared in the cream mixing step (S5) is injected/topped o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nside/top of the bowl shape) of the tart prepared in the baking step (S4).

이후, 후가공단계(S7);에서는, 제조된 타르트의 유통 방식이나 토핑 재료 등에 따라 냉동 또는 추가 베이킹될 수 있다.Thereafter, in the post-processing step (S7), the manufactured tart may be frozen or additionally baked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method or topping ingredients.

예를 들어, 택배 포장되어 전국으로 배송되는 타르트인 경우에는 이를 냉동시켜 냉동탑차 등을 기반으로 배송시킴으로써 타르트의 변형을 방지하고 소비자에게 도착할 때까지 맛을 유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art packaged by courier and shipped nationwide, it can be frozen and delivered in a refrigerated truck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tart and maintain its taste until it reaches the consumer.

다른 예를 들어, 베이커리, 카페 등으로 직접 공급되어 단기간 내에 소비자에게 공급되어 섭취될 타르트인 경우에는 이를 상기 베이킹단계(S4)와 별도로 추가 베이킹하여 배송/배달시킴으로써 최적의 맛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tarts that are directly supplied to bakeries, cafes, etc. to be supplied and consumed by consumer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y can be supplied to consumers with optimal taste by additionally baking them and delivering them separately from the baking step (S4). .

상기 포장단계(S8);에서는, 일반적인 타르트 또는 베이커리류의 포장 과정 등에 따라 타르트를 비닐 및 박스에 포장한다.In the packaging step (S8), the tart is packaged in plastic and a box according to a typical tart or bakery packaging process.

또한, 상기 반죽단계(S2)는: 소정의 반죽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반죽장치는: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부드럼(11); 상기 외부드럼(11)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드럼(11)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 모터(111); 상기 외부드럼(11)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2 모터(112); 일단이 상기 제2 모터(112)에 연결되어, 편심 회전하는 내부드럼(12); 상기 내부드럼(12)의 타단에 구비되어 개폐 가능한 도어(14); 상기 내부드럼(12)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드럼베어링(121); 상기 드럼베어링(121)의 외주면 및 상기 외부드럼(11)의 내주면 사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탄성부재(122); 및 상기 내부드럼(12)의 옆면 내측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123);를 포함하여, 상기 반죽단계(S2)는: 상기 외부드럼(11)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도어(14)가 상부를 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도어(14)를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드럼(12)에 상기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와, 버터, 계란노른자, 소금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도어(14)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외부드럼(11)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도어(14)가 측부를 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터(112)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neading step (S2) is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kneading device, and the kneading device includes: an external drum 11 that forms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is provided to adjust the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 first motor 111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nal drum 11 to adjust the angle of the external drum 11; a second motor 112 fixed to the inside of the external drum 11; an inner drum (12) whos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112) and rotates eccentrically; A door 14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drum 12 and openable and closed; A drum bearing 121 o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nal drum 12 is seate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122 radially connec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bearing 121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rnal drum 11; and a plurality of blades 123 radially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inner drum 12. The kneading step (S2) includes: adjusting the angle of the outer drum 11 to close the door 14. Controlling to face upward; Opening the door 14; Injecting the cake flour, sugar powder, butter, egg yolk, salt and water into the internal drum (12); closing the door (14); Controlling the door 14 to face the side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external drum 11; and driving the second motor 112.

상기 외부드럼(11);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내부드럼(12)의 내측에 반죽 재료를 투입할 때는 개구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조절되고, 반죽 재료의 투입이 완료되어 내부드럼(12)을 편심 회전시킬 때에는 측부를 향하도록 조절된다.The outer drum 11 is provided so that its angle can be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dough ingredients are introduced into the inner drum 12, the opening is adjusted to face upward, and the dough ingredients are completely added. When rotating the inner drum 12 eccentrically, it is adjusted to face the side.

상기 외부드럼(11) 및 내부드럼(12)은 각각 내부가 비어있고 상단이 개구된 원통(실린더)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xternal drum 11 and the internal drum 12 may each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an open top.

상기 외부드럼(11)의 외측에는 상기 제1 모터(111)의 맞은편에서 힌지결합되는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111) 및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 외부드럼(11)은 제1 모터(11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된다.A support hing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motor 111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external drum 11. The external drum 11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tor 111 and the support is adjusted in angle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motor 111.

상기 반죽장치의 평단면도가 도 2 (a) 및 도 2 (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내부드럼(12)이 편심축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 2 (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2 (b)에 도시된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kneading device is shown in Figures 2(a) and 2(b). As the inner drum 12 rotates along the eccentric axis, it can be driven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 (a) to the state shown in FIG. 2 (b).

상기 제2 모터(112);는 외부드럼(11)의 내측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motor 112 may be fix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external drum 11.

상기 내부드럼(12);은 하단이 상기 제2 모터(112)의 회전축에 고정되되, 내부드럼(12)의 저면을 구성하는 원판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상기 제2 모터(112)의 회전축이 고정됨으로써, 제2 모터(112)에 의해 내부드럼(12)이 편심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inner drum 12 is fix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motor 112, and the second motor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disk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inner drum 12. By fixing the rotation axis of 112, the inner drum 12 can be configured to rotate eccentrically by the second motor 112.

상기 도어(14);는 내부드럼(12)의 상단에 구비되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되어 내부드럼(12)에 수용된 반죽 재료 내지 반죽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차단한다.The door 14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internal drum 12, and is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prevent the dough ingredients or dough contained in the internal drum 12 from leaking out.

상기 드럼베어링(121);은 상기 내부드럼(12)의 상단 외주면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드럼베어링(121)은 상기 탄성부재(12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내부드럼(12)이 편심회전할 때 내부드럼(12)의 상단부가 가동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rum bearing 121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drum 12 is seated. The drum bearing 121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22 and functions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inner drum 12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movable range when the inner drum 12 rotates eccentrically.

예를 들어, 내부드럼(12)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내부드럼(12)이 좌측으로 편심된 상태에서는 드럼베어링(121)이 내부드럼(1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며, 드럼베어링(121)을 지지하는 탄성부재(122)는 드럼베어링(121)에 우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반대로, 내부드럼(12)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내부드럼(12)이 우측으로 편심된 상태에서는 드럼베어링(121)이 내부드럼(12)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며, 드럼베어링(121)을 지지하는 탄성부재(122)는 드럼베어링(121)에 좌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internal drum 12 is viewed from the front, when the internal drum 12 is eccentric to the left, the drum bearing 121 moves to the left along the internal drum 12, and the drum bearing 121 moves to the left. The elastic member 122 supporting applies elastic force to the drum bearing 121 in the right direction. Conversely, when the internal drum 12 is viewed from the front, when the internal drum 12 is eccentric to the right, the drum bearing 121 moves to the right along the internal drum 12 and supports the drum bearing 121. The elastic member 122 applies elastic force to the drum bearing 121 in the left direction.

도 2 (c)에는 도면을 기준으로 내부드럼(12)이 상부로 편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내부드럼(12) 내부에 있던 반죽은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In Figure 2 (c), the inner drum 12 is shown eccentrically upward with respect to the drawing. In this state, the dough inside the internal drum 12 falls to the bottom.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22)는 제2 모터(112)의 회전축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탄성계수가 낮은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22)는 드럼베어링(121)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되 탈거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Here, the elastic member 122 may be composed of a spring or the like with a low elastic coefficient to minimize the load appli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motor 112. (The elastic member 122 is a member that functions to support the drum bearing 121 so that it can move within an appropriate range but not be removed)

상기 블레이드(123);는 내부드럼(12)의 옆면 내측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소정의 장방형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반죽 재료들이 내부드럼(12)의 내측에서 내부드럼(12)의 회전을 따라서 같이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lade 123 is a predetermined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radially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inner drum 12, and the dough ingredients are moved along the rotation of the inner drum 12 inside the inner drum 12. It performs the function of inducing rotation.

자중에 따라 내부드럼(12)의 하단(옆으로 누운 상태의 내부드럼(12)의 하단. 내부드럼(12)의 옆면 일측)에 위치한 반죽 재료들은 블레이드(123)가 없다면 내부드럼(12)에 접촉하고 있는 일부 반죽 자료들만이 마찰력에 의해 내부드럼(12)을 따라 회전하며, 나머지 재료들은 관성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려고 하게 된다.Depending on its own weight, the dough ingredient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drum 12 (the bottom of the inner drum 12 when lying on its side. One side of the inner drum 12) are placed on the inner drum 12 if there is no blade 123. Only some of the dough materials in contact rotate along the inner drum 12 due to frictional force, and the remaining materials do not rotate due to inertia and try to maintain their positions.

블레이드(123)는 반죽 재료들을 밀어내어 내부드럼(12)의 회전에 따라 반죽 재료들을 회전시키며, 회전에 의해 내부드럼(12)의 상단(옆으로 누운 상태의 내부드럼(12)의 상단. 내부드럼(12)의 옆면 타측)까지 올라간 반죽 재료는 제2 모터(112)가 정지되어 내부드럼(12)이 일시정지된 순간 자중에 의해 내부드럼(12)의 하단(옆으로 누운 상태의 내부드럼(12)의 하단. 내부드럼(12)의 옆면 일측)으로 낙하하며 수타(手打) 반죽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blade 123 pushes out the dough ingredients and rotates the dough ingredient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ternal drum 12, and the top of the internal drum 12 (the top of the internal drum 12 when lying on its side) by rotation. Inside The dough material that has risen to the other side of the drum 12 is moved to the bottom of the inner drum 12 (the inner drum in a sideways state) by its own weight at the moment the second motor 112 is stopped and the inner drum 12 is temporarily stopped. It falls to the bottom of (12) (one side of the inner drum (12)) and can achieve a similar effect to kneading dough by hand.

다시말해, 상기 제2 모터(112)(상기 제2 모터(112)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내부드럼(12)을 편심회전시키되,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내부드럼(12) 옆면이 하단을 향하고 있을 때 작동하여 내부드럼(12)을 180도 회전시킨 뒤 일시정지하고,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내부드럼(12) 옆면이 상단을 향하고 있을 때 작동하여 내부드럼(12)을 다시 180도 회전시킨 뒤 일시정지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econd motor 112 (the step of driving the second motor 112) rotates the inner drum 12 eccentrically, and the side of the inner drum 12 furthest from the rotation axis is at the bottom. It operates when the inner drum (12) is turned 180 degrees and then pauses, and when the side of the inner drum (12) furthest from the rotation axis is facing toward the top, it operates and rotates the inner drum (12) by 180 degrees again. You can then repeat the pause process.

상기 내부드럼(12)에 상기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와, 버터, 계란노른자, 소금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드럼(11)의 상부에 상기 반죽 재료(박력분 및 슈가파우더와, 버터, 계란노른자, 소금 및 물)들을 투입하는 배관 등이 배치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step of adding the cake flour and sugar powder, butter, egg yolk, salt and water to the inner drum 12, the dough ingredients (cake flour and sugar powder and , butter, egg yolk, salt, and water) can be placed.

그리고, 상기 반죽장치는: 상기 제2 모터(112)의 회전축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을 따라 상기 도어(14)의 일측을 타공하여 형성되는 편심축 통공부(140); 상기 편심축 통공부(14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호스부(13); 상기 호스부(13)의 단부에 구비되는 분무노즐(130); 상기 편심축 통공부(140)의 양쪽에 배치되며 상기 호스부(13)에 고정되어, 상기 호스부(13)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131); 및 상기 내부드럼(12)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드럼(12) 내부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반죽단계(S2)는: 상기 내부드럼(12)의 습도를 기반으로 상기 분무노즐(130)로부터 물을 분무하는 분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neading device includes: an eccentric shaft hole 140 formed by perforating one side of the door 14 along an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motor 112; A hose portion (13) inserted through the eccentric shaft hole (140); A spray nozzle 130 provided at the end of the hose portion 13; a flange portion 131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ccentric shaft through hole 140 and fixed to the hose portion 13 to prevent the hose portion 13 from being separated; And a humidity sensor disposed inside the inner drum 12 and measuring the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inner drum 12. The kneading step (S2) includes: measuring the humidity of the inner drum 12. It may further include a spraying step of spraying water from the spray nozzle 130.

상기 편심축 통공부(140);는 편심축(제2 모터(112)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어, 제2 모터(112)가 회전하더라도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The eccentric shaft through hole 140 is disposed on the same axis as the eccentric shaft (rotation axis of the second motor 112), so its position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second motor 112 rotates.

상기 호스부(13);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유연하게 휘어지는 고무 호스, 실리콘 호스, PVC 호스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드럼(11)이 회전하거나 도어(14)가 개폐될때 따라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hose part 13 is composed of a rubber hose, silicone hose, PVC hose, etc. that ha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bends flexibly, and can flow when the external drum 11 rotates or the door 14 is opened and closed. It is structured so that

상기 분무노즐(130);은 내부드럼(12)의 내측에 물을 스프레이 형태로 분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pray nozzle 130 functions to spray water on the inside of the internal drum 12 in the form of a spray.

상기 플랜지부(131);는 상기 편심축 통공부(140)를 기준으로 호스부(13)의 두 지점에 체결/고정되어, 호스부(13)가 상기 편심축 통공부(140)를 기준으로 회전은 가능하지만 더 깊이 삽입되거나 탈거되지는 않도록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lange portion 131 is fastened/fixed to two points of the hose portion 13 based on the eccentric shaft through hole 140, so that the hose portion 13 is connected to the eccentric shaft through hole 140. Although rotation is possible,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reventing movement so that it cannot be inserted deeper or removed.

상기 호스부(13)의 연결구조가 도 2 (d)에 도시되어 있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hose portion 13 is shown in Figure 2 (d).

상기 반죽단계(S2)는: 상기 내부드럼(12)의 습도를 기반으로 상기 분무노즐(130)로부터 물을 분무하는 분무단계;를 포함하여, 반죽단계(S2)가 수행되는 도중에 반죽이 건조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내부드럼(12)의 상대습도가 소정의 수치 이하인 것으로 측정되었을 때) 지정된 양의 물을 분무함으로써 반죽의 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kneading step (S2) includes: a spraying step of spraying water from the spray nozzle 130 based on the humidity of the internal drum 12, and the dough is dried while the kneading step (S2) is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when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internal drum 12 is measured to be below a predetermined value), the humidity of the dough can be maintained by spraying a specified amount of water.

아울러, 상기 성형단계(S3) 및 베이킹단계(S4)는: 소정의 성형 베이킹 장치에 의해, 일체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ming step (S3) and the baking step (S4) may be performed integrally or sequentially by a predetermined forming baking device.

상기 성형 베이킹 장치는: 상기 반죽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호간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상기 베이스(20)의 상부를 따라 이송 가능한 한 쌍의 타르트지 틀(21); 상기 타르트지 틀(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타르트지 틀(21) 내부에 투입된 반죽을 가압하는 제1 가압플런저(22); 상기 제1 가압플런저(22)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반죽을 타르트지 틀(21) 내부에 투입하는 반죽투입관(23); 상기 반죽투입관(2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죽투입관(23) 내부의 반죽을 가압하는 제2 가압플런저(24); 상기 타르트지 틀(21) 및 베이스(20)에 구비되어, 상기 반죽을 가열하는 열선; 및 상기 타르트지 틀(21) 및 제1 가압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타르트지 틀(21), 제1 가압플런저(22) 및 제2 가압플런저(24)에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단계(S3)는: 한 쌍의 상기 타르트지 틀(21)을 서로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가압플런저(22)를 하강시켜 상기 타르트지 틀(21)에 삽입하여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죽투입관(23)을 통해 상기 반죽을 상기 타르트지 틀(21) 내부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2 가압플런저(24)를 하강시켜 상기 반죽투입관(23) 내부의 반죽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열선을 작동시켜 상기 반죽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제2 가압플런저(24)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가압플런저(22)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한 쌍의 상기 타르트지 틀(21)을 서로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rming baking device includes: a base 20 that provides a space on which the dough is placed; A pair of tart paper molds 21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20 and capable of being transported along the upper part of the base 20 so as to be spaced apart o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first pressure plunger (22)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tart mold (21) to pressurize the dough placed inside the tart mold (21); A dough input pipe (23)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pressure plunger (22) to inject the dough into the tart mold (21); A second pressure plunger (24)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ugh input pipe (23) to pressurize the dough inside the dough input pipe (23); A heating element provided on the tart mold 21 and the base 20 to heat the dough; And a hydraulic circuit connected to the tart mold 21 and the first pressurizing jig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tart mold 21, the first pressure plunger 22, and the second pressure plunger 24. And the forming step (S3) includes: bringing the pair of tart molds 21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lowering the first pressure plunger (22) and inserting it into the tart mold (21)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Injecting the dough into the tart mold (21) through the dough input pipe (23); lowering the second pressure plunger (24) to pressurize the dough inside the dough input pipe (23); heating the dough by operating the heating element; Raising the second pressure plunger (24); Raising the first pressure plunger (22);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spacing the pair of tart pans 21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성형 베이킹 장치의 작동방식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ld baking device is shown in FIG. 3.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을 타르트지 틀(21)에 투입한 뒤 제1 가압플런저(22)를 하강시키면 도 3 (b) 상태에서 타르트지 반죽이 성형된다. 이 때, 제2 가압플런저(24) 및 열선을 작동시켜 반죽이 베이킹되면서 변형되는 부피를 보상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a), when the dough is put into the tart paper mold 21 and the first pressure plunger 22 is lowered, the tart paper dough is formed in the state of Figure 3 (b). At this time, the second pressure plunger 24 and the heating wire can be operated to compensate for the volume deformed while the dough is baked.

상기 베이스(20);는 반죽이 안착될 수 있는 바닥면으로써, 베이스(20)의 상부에 소정의 유산지가 안착된 상태로 성형단계(S3) 및 베이킹단계(S4)가 수행될 수 있다.The base 20 is a bottom surface on which the dough can be placed, and the forming step (S3) and baking step (S4) can be perform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parchment paper placed on the top of the base 20.

상기 한 쌍의 타르트지 틀(21);은 베이스(20)의 상부에 밀착되거나 1~2mm가량 이격되어 배치되며, 타르트지 틀(21) 한 쌍이 상호간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상기 베이스(20)의 상부를 따라 이송 가능하다. The pair of tart molds 21 ar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base 20 or spaced apart by about 1 to 2 mm, and the pair of tart molds 21 ar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20 so that they are spaced apart o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transport along.

각각이 반원형 형상을 가지는 상기 한 쌍의 타르트지 틀(21)이 서로 밀착하게 되면 원형의 타르트지 모양이 형성되며, 타르트지 틀(21)에 형성된 공간에 반죽을 투입함으로써 틀 모양에 따라 반죽을 성형할 수 있다.When the pair of tart molds 21, each of which has a semicircular shape,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circular tart shape is formed. By putting dough into the space formed in the tart mold 21, the dough is mold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ld. It can be molded.

상기 제1 가압플런저(22);는 상기 타르트지 틀(2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1 가압플런저(22)가 하강하여 타르트지 틀(2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제1 가압플런저(22)와 타르트지 틀(21)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최종 타르트지의 형상이 된다.The first pressure plunger (22)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art mold (21), and the first pressure plunger (22) is lowered and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art mold (21). At this time, the internal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pressure plunger 22 and the tart paper mold 21 becomes the shape of the final tart paper.

타르트지 반죽에 소정의 피케(반죽을 타공하여 형성되는 구멍)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가압플런저(22)의 저면에 소정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In order to form a predetermined pique (a hole formed by perforating the dough) in the tart dough, an embodiment in which predetermine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pressure plunger 22 is also possible.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가압플런저(24)와 반죽투입관(23) 등의 구성에 따른 반죽량 보상 기능에 따라 피케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타르트지 반죽을 균일하게 베이킹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t dough can be baked evenly even if no pique is formed according to the dough volume compens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ressure plunger 24 and the dough input pipe 23. You can.

상기 반죽투입관(23);에 의해, 플라스틱 사출 공정에서 스프루/런너에 해당하는 타르트지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소정의 '그릇'형상으로 형성된 타르트지의 중심부에 소정의 기둥/막대 형상의 부분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필링단계(S6)를 수행하기 전에 이 기둥/막대 형상 부분을 제거하고 크림을 필링할 수 있다.Through the dough input pipe 23, a tar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prue/runner can be formed in the plastic injection process. In other words, a predetermined column/rod-shaped portion is further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art paper formed in a predetermined 'bowl' shape, and before performing the peeling step (S6), this column/rod-shaped portion is removed and the cream is peeled. can do.

상기 제1 가압플런저(22)와 타르트지 틀(21)은 제1 압력으로 가압되어 타르트지 반죽을 성형할 수 있으며, 제2 가압플런저(24)는 상기 제1 압력보다 낮은 제2 압력으로 가압됨으로써, 베이킹단계(S4)(열선 가열 과정)에서 반죽이 수축하거나 기포가 빠져나가는 등의 원인으로 타르트지의 일부분이 허물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당 부피만큼 타르트지 틀(21) 내부에 반죽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The first pressure plunger 22 and the tart mold 21 are pressurized with a first pressure to form tart dough, and the second pressure plunger 24 is pressurized with a second pressure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By doing so, it prevents parts of the tart from collapsing or deforming due to causes such as dough shrinkage or air bubbles escaping during the baking step (S4) (heating wire heating process), and dough is placed inside the tart paper mold 21 by the corresponding volume. Additional inputs can be made.

여기서, 상기 타르트지 틀(21)과 제1 가압플런저(22) 사이의 공간 부피(타르트지의 최종 부피)가 1(기준값)일 때, 상기 반죽투입관(23)에 추가로 충진되는 반죽량은 0.1 내지 0.2 수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Here, when the space volume (final volume of tart paper) between the tart paper mold 21 and the first pressure plunger 22 is 1 (reference value), the amount of dough additionally filled in the dough input pipe 23 is It can be adjusted to a level of 0.1 to 0.2.

다시말해, 상기 반죽투입관(23)을 따라 기준값 대비 총 1.1 내지 1.2 만큼의 반죽을 투입한 뒤, 상기 제2 가압플런저(24)로 상기 반죽투입관(23) 내부의 반죽을 가압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fter injecting a total of 1.1 to 1.2 of the dough along the dough input pipe 23 compared to the standard value, the dough inside the dough input pipe 23 can be pressurized with the second pressure plunger 24. .

상기 열선;은 반죽을 가열하여 구울 수 있도록 타르트지의 베이킹 온도에 맞추어 가열될 수 있다. 이 때, 반죽을 따른 열전도에 의해 상기 반죽투입관(23)에 투입된 반죽(0.1 내지 0.2 기준값 분량)들도 같이 베이킹될 수 있다.The heating wire may be heated according to the baking temperature of the tart paper so that the dough can be heated and baked. At this time, the dough (0.1 to 0.2 standard amount) introduced into the dough input pipe 23 can be baked together due to heat conduction along the dough.

상기 유압회로;는 일반적인 유압기계장치(유압프레스 등)의 구성에 따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hydraulic circuit is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hydraulic machine (hydraulic press, etc.),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거름단계(S1)는: 소정의 거름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거름장치는: 하단에 소정의 체망(310)이 구비되고, 옆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제1 바스켓(31); 상기 제1 바스켓(31)을 수용하며, 하단에 소정의 호퍼(320)가 형성되는 제2 바스켓(32); 상기 제1 바스켓(31)을 제2 바스켓(32)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장치; 소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는 제1 공기배관(331); 상기 제1 공기배관(331)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제2 공기배관(332); 상기 제2 공기배관(332)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3 공기배관(333); 상기 호퍼(32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3 공기배관(333)을 연결하되, 상기 제1 공기배관(331) 내지 제3 공기배관(333)의 진행방향과 소정의 예각을 가지도록 연결되는 분말배관(334); 및 상기 제3 공기배관(333)의 단부에 연결되는 토출배관(335);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장치는: 상기 제2 바스켓(32)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3 모터(34); 상기 제3 모터(34)에 연결되며, 상기 제3 모터(34)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1 바스켓(31)의 측부에 형성된 걸림턱(311)을 밀어내도록 구비되는 레버(35); 상기 제2 바스켓(32)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36); 상기 제1 바스켓(3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부(36)까지 연결되어, 상기 제2 바스켓(32)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1 스프링(37); 및 상기 제1 바스켓(31)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바스켓(32)의 호퍼(320)면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바스켓(31)의 체망(310)을 이격시키는 제2 스프링(38);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ing step (S1) is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filtering device, and the filtering device includes: a first basket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sieve 310 at the bottom, the sid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top is open. (31); a second basket 32 that accommodates the first basket 31 and has a predetermined hopper 320 at the bottom; a vibration device that vibrates the first basket (31)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within the second basket (32); An air pump that supplies predetermined compressed air; A first air pipe 331 connected to the air pump; a second air pipe (332)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air pipe (331)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a third air pipe (333)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air pipe (332) and whose inn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A powder pipe that connects the third air pipe 333 from the bottom of the hopper 320 and is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cute angle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irst air pipe 331 to the third air pipe 333. (334); and a discharge pipe 335 connected to an end of the third air pipe 333, wherein the vibration device includes: a third motor 34 fixed to one side of the second basket 32; A lever ( 35); a support portion 36 protruding inward from the top of the second basket 32; a first spring (37) connected from the top of the first basket (31) to the support portion (36) and apply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press the second basket (32)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second spring 38 tha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basket 31 and separates the screen mesh 310 of the first basket 31 from the top of the hopper 320 surface of the second basket 32. May include ;.

상기 제1 바스켓(31);은 하단에 소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체망(310)을 구비하고, 옆면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basket 31 may be provided with a sieve net 310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at the bottom, have a cylindrical side surface, and be configured to have an open top.

상기 제2 바스켓(32);은 상기 제1 바스켓(31)의 옆면 외주면이 접하도록, 내주면이 소정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스켓(31)의 체망(310)을 거쳐 낙하하는 분말들이 배출되도록 하단에 호퍼(320)(고깔)가 형성된다.The second basket 32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ner peripheral surface formed in a predetermined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of the first basket 3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asket 31, and the upper end is open. In addition, a hopper 320 (cone) is formed at the bottom so that powder falling through the sieve 310 of the first basket 31 is discharged.

상기 진동장치;는 제1 바스켓(31)을 제2 바스켓(32)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제1 바스켓(31)의 체망(310) 상부에 있는 분말들을 털어내어 체망(310)을 통해 걸러지게 유도하며, 분말 입자끼리 달라붙어 입자의 크기가 큰 분말들을 분쇄한다.The vibrating device vibrates the first basket 3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side the second basket 32 to shake off the powder on the top of the sieve 310 of the first basket 31 and filter it through the sieve 310. It causes the powder particles to stick together and crushes the powders with large particle sizes.

상기 공기펌프;는, 호퍼(320)로부터 배출되는 분말들을 반죽장치에 공급하도록 동력(공기압)을 제공한다.The air pump provides power (air pressure) to supply the powder discharged from the hopper 320 to the kneading device.

상기 제1 공기배관(331); 제2 공기배관(332); 제3 공기배관(333); 및 분말배관(334);은 상기 공기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기반으로 벤츄리 효과를 발생시켜 박력분 분말이 토출배관(335)으로 공급되도록 유도한다.The first air pipe 331; Second air pipe (332); Third air pipe (333); and the powder pipe 334; generates a venturi effect based on the air pressure supplied from the air pump to induce soft powder to be supplied to the discharge pipe 335.

상기 제3 모터(34);는 상기 레버(35)를 지속적/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레버(35)는 제1 바스켓(31)의 걸림턱(311)을 밀어내다가 상부를 향하게 될 때 걸림턱(311)으로부터 이탈하고, 제1 바스켓(31)은 레버(35)로부터 하중을 받아 상부로 이송되었다가 상기 제1 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하부로 이송되면서 소정의 충격이 발생한다. 이 때 발생한 충격에 의해 상기 제1 바스켓(31)의 체망(310)에 안착/정체되어 있었던 분말들이 털어지거나 분쇄되어 제2 바스켓(32)의 호퍼(320)로 낙하하게 된다.The third motor 34 continuously/continuously rotates the lever 35, and the lever 35 pushes the locking protrusion 311 of the first basket 31 and is caught when it faces upward. After breaking away from the jaw 311, the first basket 31 receives a load from the lever 35 and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and then transferred back to the lower par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37, thereby generating a predetermined impact. . Due to the impact generated at this time, the powders settled/settled in the sieve 310 of the first basket 31 are shaken off or pulverized and fall into the hopper 320 of the second basket 32.

도 4 (a)에는 제1 바스켓(31)이 하부에 위치한 상태가, 도 4 (b)에는 제1 바스켓(31)이 레버(35)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4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sket 31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and Figure 4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sket 31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by the lever 3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은, 전술한 반죽장치, 성형 베이킹 장치 및 거름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The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ystem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kneading device, forming baking device, and straining devi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S1 : 거름단계
S2 : 반죽단계
S3 : 성형단계
S4 : 베이킹단계
S5 : 크림배합단계
S6 : 필링단계
S7 : 후가공단계
S8 : 포장단계
D : 반죽
11 : 외부드럼
111 : 제1 모터
112 : 제2 모터
12 : 내부드럼
120 : 편심축
121 : 드럼베어링
122 : 탄성부재
123 : 블레이드
13 : 호스부
130 : 분무노즐
131 : 플랜지부
14 : 도어
140 : 편심축 통공부
20 : 베이스
21 : 타르트지 틀
22 : 제1 가압플런저
23 : 반죽투입관
24 : 제2 가압플런저
31 : 제1 바스켓
310 : 체망
311 : 걸림턱
32 : 제2 바스켓
320 : 호퍼
331 : 제1 공기배관
332 : 제2 공기배관
333 : 제3 공기배관
334 : 분말배관
335 : 토출배관
34 : 제3 모터
35 : 레버
36 : 지지부
37 : 제1 스프링
38 : 제2 스프링
S1: Fertilization stage
S2: Kneading stage
S3: Forming stage
S4: Baking step
S5: Cream mixing step
S6: Peeling step
S7: Post-processing stage
S8: Packaging stage
D: Dough
11: external drum
111: first motor
112: second motor
12: Internal drum
120: Eccentric axis
121: Drum bearing
122: Elastic member
123: blade
13: hose part
130: Spray nozzle
131: Flange part
14: door
140: Eccentric shaft through hole
20: base
21: Tart mold
22: first pressure plunger
23: Dough input pipe
24: Second pressure plunger
31: first basket
310: sieve
311: Stopper
32: 2nd basket
320: Hopper
331: 1st air pipe
332: 2nd air pipe
333: Third air pipe
334: Powder piping
335: discharge pipe
34: third motor
35: lever
36: support part
37: first spring
38: 2nd spring

Claims (3)

반죽장치, 성형 베이킹 장치 및 거름장치를 포함하는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를 체로 상기 거름장치로 걸러내는 거름단계;
체로 걸러진 상기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와, 버터, 계란노른자, 소금 및 물을 상기 반죽장치로 혼합하는 반죽단계;
상기 반죽단계에서 생산된 반죽을 소정의 타르트지 틀에 투입하여 상기 성형 베이킹 장치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성형된 타르트지 반죽을 상기 성형 베이킹 장치로 굽는 베이킹단계;
크림치즈, 설탕 및 소정의 추가재료를 혼합하는 크림배합단계;
구워진 타르트지에 크림을 필링하는 필링단계;
크림이 필링된 타르트를 냉동 또는 베이킹하는 후가공단계; 및
상기 타르트를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죽장치는: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부드럼;
상기 외부드럼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드럼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 모터;
상기 외부드럼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2 모터;
일단이 상기 제2 모터에 연결되어, 편심 회전하는 내부드럼;
상기 내부드럼의 타단에 구비되어 개폐 가능한 도어;
상기 내부드럼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드럼베어링;
상기 드럼베어링의 외주면 및 상기 외부드럼의 내주면 사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탄성부재; 및
상기 내부드럼의 옆면 내측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반죽단계는:
상기 외부드럼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도어가 상부를 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드럼에 상기 박력분 및 슈가파우더와, 버터, 계란노른자, 소금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외부드럼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도어가 측부를 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의 운용 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a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including a kneading device, a forming baking device, and a straining device,
A sieving step of filtering the flour and sugar powder through a sieve using the sieve device;
A kneading step of mixing the sieved cake flour and sugar powder, butter, egg yolk, salt and water using the kneading device;
A molding step of putting the dough produced in the kneading step into a predetermined tart mold and molding it with the molding baking device;
A baking step of baking the formed tart dough using the forming baking device;
A cream mixing step of mixing cream cheese, sugar, and certain additional ingredients;
A filling step of filling the baked tart with cream;
A post-processing step of freezing or baking the cream-filled tart; and
Including a packaging step of packaging the tart,
The kneading device is:
An external drum that forms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is provided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 first moto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nal drum to adjust the angle of the external drum;
a second motor fixed to the inside of the external drum;
an inner drum whos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and rotates eccentrically;
A doo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drum and openable and closed;
A drum bearing o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nal drum is seate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radially connec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bearing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rnal drum;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blades radially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inner drum,
The kneading steps are:
controlling the door to face upwar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external drum;
opening the door;
Injecting the cake flour, sugar powder, butter, egg yolk, salt and water into the internal drum;
closing the door;
controlling the door to face the side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external drum; and
Including: driving the second motor,
Method of operating a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삭제delete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장치는: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축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을 따라 상기 도어의 일측을 타공하여 형성되는 편심축 통공부;
상기 편심축 통공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호스부;
상기 호스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분무노즐;
상기 편심축 통공부의 양쪽에 배치되며 상기 호스부에 고정되어, 상기 호스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내부드럼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드럼 내부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반죽단계는: 상기 내부드럼의 습도를 기반으로 상기 분무노즐로부터 물을 분무하는 분무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의 운용 방법
In claim 1,
The kneading device is:
An eccentric shaft hole formed by perforating one side of the door along an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motor;
A hose portion inserted through the eccentric shaft hole;
A spray nozzle provided at the end of the hose unit;
Flange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ccentric shaft hole and fixed to the hose portion to prevent the hos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and
It includes a humidity sensor disposed inside the inner drum and measuring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inner drum,
The kneading step further includes: a spraying step of spraying water from the spray nozzle based on the humidity of the internal drum.
Method of operating a tart-specific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KR1020230072618A 2023-06-07 2023-06-07 Tart-only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26180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618A KR102618003B1 (en) 2023-06-07 2023-06-07 Tart-only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its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618A KR102618003B1 (en) 2023-06-07 2023-06-07 Tart-only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its operat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003B1 true KR102618003B1 (en) 2023-12-27

Family

ID=8937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618A KR102618003B1 (en) 2023-06-07 2023-06-07 Tart-only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its opera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00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665A (en) * 2014-12-04 2016-06-14 (주)상건 Duck frying method using low temperature water
KR101953021B1 (en) 2017-05-22 2019-05-17 이선영 A manufacturing method of a tart using pears
KR102376923B1 (en) * 2021-04-13 2022-03-18 정설희 Feeding apparatus for bread paste
KR20230072115A (en)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시노펙스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berweb and fiberweb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665A (en) * 2014-12-04 2016-06-14 (주)상건 Duck frying method using low temperature water
KR101953021B1 (en) 2017-05-22 2019-05-17 이선영 A manufacturing method of a tart using pears
KR102376923B1 (en) * 2021-04-13 2022-03-18 정설희 Feeding apparatus for bread paste
KR20230072115A (en)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시노펙스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berweb and fiberweb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8655B1 (en) Process for making a baked cup shaped food product
US4927656A (en) Method of producing edible vessel
JP3492371B2 (en) Multi-part mold for baking dough products and method of making baked dough products
EP1879486B1 (en) System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bread
KR101235392B1 (en) Moulding device of doughnut shaped food and moulding method of the same
WO2013015234A1 (en) Shutter device for producing wrapped food product, and method therefor
CZ2003383A3 (en) Process for producing aerated foodstuff article and a cellular foodstuff article per se
MX2013014324A (en) Edible receptacles for frozen confections.
KR102618003B1 (en) Tart-only manufacturing system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its operating method
US6156364A (en) Molded pizza crust
JPH02203734A (en) Strudel containing cake
RU2715851C2 (en) Biscuit with filler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5661904B1 (en) Encapsulated food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US9801393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shelf-stable filled sponge-type bakery product
WO2016107652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pcorn nougat
KR102051658B1 (en) Manufacture line of Chocolate pie
US9220278B2 (en) Flat bread dinner ware serving apparatus for serving flatbreads, including features to form, fill, fold and wrap flatbreads, tortillas, burritos, wraps and pastry sheets in a uniquely novel controlled fashion
JP6041414B1 (en) Ring-shaped food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JP65291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 enveloped food
CN112998038A (en) Western-style cake making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CN101683085A (en) Method for making wafer cone
JP7146304B2 (en) Wrapped food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WO20030434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baking dough in a mould
KR101738746B1 (en) Preparing method of large hollow bread
CN101683086A (en) Method for making waffle c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