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688B1 - Tail Stock - Google Patents

Tail St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688B1
KR102617688B1 KR1020190003117A KR20190003117A KR102617688B1 KR 102617688 B1 KR102617688 B1 KR 102617688B1 KR 1020190003117 A KR1020190003117 A KR 1020190003117A KR 20190003117 A KR20190003117 A KR 20190003117A KR 102617688 B1 KR102617688 B1 KR 102617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ailstock
sensing unit
fixing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1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6840A (en
Inventor
김수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9000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688B1/en
Publication of KR2020008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8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3/00Tailstocks; Centres
    • B23B23/005Tailstocks; Centres the centre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3/00Details of centres 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04Adjus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48Measuring or det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부를 일부 해제한 상태에서 제2 이동부를 따라 상기 조작부를 이동시키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제2 센싱부의 위치가 제1 이동부를 따라 상기 조작부가 이동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공소재에 따라 제2 센싱부의 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의 제2 이동부의 위치조절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작업자가 위치조절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비가공시간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심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unit is moved along the second moving part with the fixing part partially release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to which the operation unit was moved along the first moving unit. When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part needs to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processing material, the worker can convenient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moving part to increase work efficiency, reduce the time the worker spends on positioning, and reduce non-processing ti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ailstock to increase product productivity by minimizing

Description

심압대{Tail Stock}Tail stock {Tail Stock}

본 발명은 심압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소재에 따라 제2 센싱부의 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 고정부를 일부 해제하고 제2 이동부를 따라 상기 조작부를 이동시키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제2 센싱부의 위치가 제1 이동부를 따라 상기 조작부가 이동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서 작업자의 제2 이동부의 위치조절작업을 편리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위치조절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비가공시간을 최소화하며, 정확한 위치에 제2 센싱부가 위치하도록 조절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심압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ilstock, and more specifically,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depending on the processing material, if the fixing part is partially released and the operation unit is moved along the second moving part, the second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is moved.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part along the first moving par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to which the operation part was moved, it is convenient for the operato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moving part,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and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position adjustment, thereby reducing non-processing. This relates to a tailstock for minimizing time and preventing malfunction by adjusting the second sensing unit to be located at the correct position.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In general, machine tools refer to machines used to process metal/non-metal workpieces into desired shapes and dimensions using appropriate tools using various cutting or non-cutting processing methods.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복합가공기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including turning centers, vertical/horizontal machining centers, door-type machining centers, Swiss turns, electric discharge machines, horizontal NC boring machines, CNC lathes, and complex processing machines, are widely available in various industrial sites to suit the purpose of the work. It is being used.

공작기계 중 복합가공기란 선삭가공과 드릴, 탭핑, 밀링가공 등 가공형태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는 다기능의 자동공구교환장치(ATC)와 공구 매거진이 장착된 터닝센터를 의미한다. 복합가공기에서 작업자가 가공에 필요한 공구를 로딩하거나 교환시에 공구를 수동으로 공구 매거진에 장착한다.Among machine tools, a complex machining machine refers to a turning center equipped with a multi-functional automatic tool changer (ATC) and tool magazine that performs various machining types such as turning, drilling, tapping, and milling. When an operator loads or exchanges tools required for processing in a multi-processing machine, he or she manually installs the tools into the tool magazine.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control) 기술이 적용되는 조작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반은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모니터를 구비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currently in use are equipped with operating panels that apply numerical control (NC) or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technology. This operating panel is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 switches or buttons and a monitor.

또한, 공작기계는 공작물인 가공소재가 안착되고 공작물 가공을 위해 이송하는 테이블, 가공 전 공작물을 준비하는 팔렛트, 공구 또는 공작물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주축, 공작물 등을 가공중에 지지하기 위한 심압대, 방진구 등을 구비한다. In addition, a machine tool includes a table on which the workpiece, which is the workpiece, is seated and transported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 pallet to prepare the workpiece before processing, a spindle on which the tool or workpiece is combined and rotated, a tailstock to support the workpiece, etc. during processing, and a room. Equipped with a Jingu, etc.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 테이블, 공구대, 주축, 심압대, 방진구 등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축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In general, in machine tools, tables, tool rests, spindles, tailstocks, vibration stoppers, etc. are equipped with transfer units that transfer along a transfer axis to perform various machining.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공구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나 터렛이 사용된다. Additionally, machine tools generally use multiple tools for various processing, and a tool magazine or turret is used as a tool storage location to store and store multiple tools.

이러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툴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 사용된다.These machine tools use multiple tools for various processing, and a tool magazine is used as a tool storage location to store multiple tools.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치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특정한 공구를 공구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다시 수납하기 위한 자동공구교환장치(ATC, AutomaticTool Changer)를 구비한다In addition, machine tools are generally equipped with an automatic tool changer (ATC, Automatic Tool Changer) to withdraw or store a specific tool from a tool magazine according to a command from a numerical control unit in order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machine tool.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비가공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 AutomaticPalette Changer)를 구비한다.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는 팔레트를 공작물 가공 영역과 공작물 설치 영역 간에 자동으로 교환한다. 팔레트에는 공작물이 탑재될 수 있다.Additionally, machine tools are generally equipped with an automatic pallet changer (APC) to minimize non-processing time. The automatic pallet changer (APC) automatically exchanges pallets between the workpiece machining area and the workpiece installation area. A workpiece can be mounted on a pallet.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가공방법에 따라 크게 터닝센터(TURNING CENTER)와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로 분류된다.Additionally, machine tool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turning centers and machining centers depending on the processing method.

일반적으로 선삭, 밀링, 드릴링, 탭핑, 보링 등 여러가지 가공 공정을 하나의 공작기계에서 한번 공작물 스텝(step)으로 구현할 수 있는 공작기계를 복합가공기(multi-task center or integrated mill turn center)라 한다. 이러한 복합가공기를 이용하면 리드타임(lead time), 부품 수, 작업 부하, 작업 공간 등을 줄이는 것은 물론 생산성과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In general, a machine tool that can implement various machining processes such as turning, milling, drilling, tapping, and boring in one workpiece step is called a multi-task center or integrated mill turn center. Using these complex processing machines can reduce lead time, number of parts, workload, and work space, as well as improve productivity and precis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터닝머신은 가공소재(2)를 클림핑하는 척(3)과 척(3)에 클램핑된 가공소재(2)의 자유단을 고정시키는 심압대(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turning machine includes a chuck (3) for clamping the workpiece (2) and a tailstock (1) for fixing the free end of the workpiece (2) clamped to the chuck (3). It can be included.

심압대(1)는 비교적 긴 가공소재(2)의 자유단을 지지하여 가공소재(2)의 처짐이나 좌굴 현상을 방지하여 가공 품위를 향상시키키 위해 터닝센터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The tailstock 1 is movably disposed within the turning center to support the free end of the relatively long workpiece 2 and prevent sagging or buckling of the workpiece 2 to improve processing quality.

구체적으로, 심압대(1)는 몸통부(11)와 위치조정부(120)로 이루어져 있고, 몸통부(11)는 가공소재(2)의 자유단을 고정시키는 퀼(11)과 퀼(11)이 전진하는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로 전진하여 이동하는 도그(12)를 포함하고, 위치조정부(120)는 가공소재(2)에 따라 가변적인 퀄(11)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공소재(2)가 지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도그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tailstock 1 consists of a body portion 11 and a position adjusting portion 120, and the body portion 11 includes a quill 11 that fixes the free end of the processed material 2 and a quill 11. It includes a dog 12 that moves forward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is forward distance, a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20 checks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quality 11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aterial 2 and moves the processing material 2. To check whether the is supported, a sensor is install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og.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가공소재(2)에 따라 가공소재(2)를 지지하는 퀼(11)의 위치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A선의 위치로 변경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선의 위치로 변경될 수도 있고, 퀼(11)의 위치가 가공소재(2)에 따라 변경되면 퀼(11)의 변경된 위치에 대응하여 도그(12)의 위치가 정해지고, 정해진 도그(1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센서가 위치하도록 센서를 조절해야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1 and 2, depending on the mounted workpiece 2, the position of the quill 11 supporting the workpiece 2 may be changed to the position of line A as shown in Figure 1. 2, it may be changed to the position of line B,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quill 11 changes depending on the processed material 2, the position of the dog 12 changes in response to the changed position of the quill 11. is determined, and the sensor must be adjusted so that the sensor is locat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dog 12.

종래 심압대(100)는 2개 이상의 볼트를 해제(또는 볼트를 조여 결합)해야 위치 센서의 조정이 가능하고, 2개 이상의 볼트를 해제(또는 볼트를 조여 결합)하는 작업도 작업자가 밑에서 위로 렌치를 이용하여 볼트를 해제(또는 볼트를 조여 결합)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위치조정부(120)의 구조가 복잡하고, 작업자가 볼트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여 해제(또는 볼트를 조여 결합)하는 것이 곤란하며, 특히 크기가 작은 중소형 장비의 경우에는 심압대 자체의 사이즈가 작으므로 볼트를 밑에서 해제(또는 볼트를 조여 결합)하기 위해 렌치가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비좁은 상태가 되어 작업자의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여 비가공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tailstock 100, two or more bolts must be released (or bolts tightened to combine) to adjust the position sensor, and two or more bolts to be released (or bolts to be combined) require the worker to use a wrench from the bottom up. The structure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20 is complex because the bolt must be released (or tightened and combined) using , Especially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equipment, the size of the tailstock itself is small, so the space where the wrench can access to release the bolt from underneath (or tighten the bolt) becomes very narrow, making the operator's work quite inconvenient.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that non-processing time increased.

또한, 종래 심압대(100)는 위치조정부(120)의 구조가 복잡하여 밑에서 위로작업자가 렌치를 이용하여 볼트를 해제(또는 볼트를 조여 결합)하는 과정에서 주변 구조물에 의해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힐 위험이 높아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ailstock 100 has a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120, so there is a risk of injury to the worker from surrounding structures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bolt (or tightening the bolt) by using a wrench from the bottom.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high and threatened the safety of workers.

게다가 종래 심압대(100)는 센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2개 이상의 볼트를 순차적으로 해제(또는 볼트를 조여 결합)해야 하므로 최초 한 개의 볼트를 해제(또는 볼트를 조여 결합)하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힘)에 의해 센서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의 한 손은 센서의 위치를 잡기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ailstock 100 requires the operator to sequentially release (or tighten and combine) two or more bolts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so the process of first releasing one bolt (or combining by tightening the bolt) In order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sensor from deviating from the correct position due to the force applied (rotating force in the process of tightening the bolt), the worker had to use one hand to position the sensor.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9356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9356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소재에 따라 제2 센싱부의 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 고정부를 일부 해제한 상태에서 제2 이동부를 따라 상기 조작부를 이동시키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제2 센싱부의 위치가 제1 이동부를 따라 상기 조작부가 이동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서 작업자의 제2 이동부의 위치조절작업효율을 높이고, 위치조절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비가공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정확한 위치에 제2 센싱부가 위치하도록 조절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심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aterial by moving the operation unit along the second moving part with the fixing part partially release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to which the operation unit moved along the first moving unit,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or's efficiency in positioning the second moving unit and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positioning. It increases productivity by minimizing non-processing time, and provides a tailstock to prevent malfunction by adjusting the second sensing unit to be located in the correct position.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심압대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바디부;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제1 센싱부; 상기 바디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센싱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마주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2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ortion and an adjustment portion installed on the housing portion, the adjustment portion comprising: a body portion; a first sensing portion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a connection part movably installed on the body; and a second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connection unit to face the first sensing unit while being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에 상기 연결부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센싱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부; 및상기 연결부,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조작부를 결합하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1 센싱부에 대한 상기 제2 센싱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unit installed on the body opposite to the connection uni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And A fixing part that combines the connection part, the body part, and the manipulation part; It further includes, and as the posi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is adjuste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with respect to the first sensing unit may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는, 관통 형성되는 결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하는 결합부; 관통 형성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의 수직방향 일측선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서로 마주하면서 이격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폭방향 일측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coupling portion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through it and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a receiving portion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one vertical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n adjusting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end of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face and be spaced apart from the engag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센싱부를 수용하고 상기 연결부와 함께 상기 제2 센싱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관통 형성되는 제1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art includes a first moving part formed to accommodate the second sensing part and extend horizontally through the second sensing part so that the second sensing part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art; may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이동부에 대응하고,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여 상기 고정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관통 형성되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ing part corresponds to the first moving part, accommodates the fixing part,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enable the fixing part to move. may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상기 제2 센싱부를 수용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to accommodate the second sensing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an extension part that has a fastening hole formed through it to accommodate the fixing part and extends to b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는,상기 고정부를 수용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부에 대응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수직방향 일측에서 폭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unit includes: a support portion that has a fixing hole formed through it to accommodate the fixing part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adjusting part; and a bent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bent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의 본체부는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고, 상기 연결부의 연장부는 상기 조절부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의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장부와 폭방향으로 대향되고, 상기 조작부의 절곡부는 상기 조절부의 선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홀, 상기 제2 이동부 및 상기 고정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adjacent to the receiving portion,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adjust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adjusting portions. It is opposite to the extension 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bent part of the operation part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adjustment part, and the fixing part can be fastened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the second moving part, and the fixing hole.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센싱부의 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고정부를 일부 해제하고 상기 제2 이동부를 따라 상기 조작부를 이동시키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제2 센싱부의 위치가 제1 이동부를 따라 상기 조작부가 이동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if the fixing part is partially released and the operation unit is moved along the second moving part, the second senso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may mov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to which the manipulation unit moves along the first moving unit.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는 제2 센싱부의 위치 조절을 위한 조정부의 구조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하나의 고정부를 이용하여 해제(또는 결합)할 수 있고, 작업자가 작업자의 정면에서 고정부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고정부의 해제(또는 결합)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중소형장비와 같이 심압대 자체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도 렌치등을 활용하여 작업자가 바라보는 전면에서 고정부의 해제 (또는 결합)을 할 수 있어 공간이 비좁은 상태에서도 렌치등을 이용하여 제2 센싱부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비가공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leased (or combined) using one fixing part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adjust the structure of the adjustment par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operator can check the fixing part from the front of the worker. Work convenience and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allowing the work to be released (or combined) of the fixing part in a safe state. In particular, even when the size of the tailstock itself is small, such as in small and medium-sized equipment, the fixing part can be released (or combined) from the front facing the operator using a wrench, etc., so even in tight spaces, the second The position of the sensing part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which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non-processing time and increasing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는 조정부가 작업자가 작업자의 전면에서 제2 센싱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작업자가 직접 조정부를 확인하며 렌치등을 이용하여 고정부를 해제(또는 결합)하면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주변 구조물에 의해 손이 긁히는 등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adjuster so that the operato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from the front of the worker, so that the operator can directly check the adjuster and adjust it by releasing (or combining) the fixing part using a wrench, etc. Therefore, it is effective in protecting workers by preventing them from sustaining injuries such as scratching their hands by surrounding structures.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는 종래 심압대와 같이 제2 센싱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작업자가 2개 이상의 볼트를 순차적으로 해제(또는 볼트를 조여 결합)할 필요 없이 하나의 고정부를 해제한 후 다시 하나의 고정부를 결합하면 되므로, 제2 센싱부를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수 회에 걸친 가공 후에도 가공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제2 센싱부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심압대의 오작동을 감소시킴으로서 정밀하게 소재가공을 하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operator to sequentially release (or tighten the bolts to) two or more bolts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like a conventional tailstock, but can be used again after releasing one fixing part. Since one fixing part can be combined, the second sensing part can be firmly fixed in the correct position, preven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part from changing due to vibration occurring during processing even after several times of processing. Accordingly, by reducing malfunction of the tailstock, it is possible to improve product quality through precise material processing.

더욱이 본발명에 의한 심압대는 절곡부가 조절부의 선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부를 체결홀, 제2 이동부 및 고정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조작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회전되는 순간 절곡부가 조절부의 선단과 접촉하면서 고정되므로 작업자가 제2 센싱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별도로 조작부를 손으로 잡고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가 편리하게 고정부를 해제하였다가 체결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 및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since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bent portion is adjacent to the tip of the adjusting portion, the operating portion is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fixed portion through the fastening hole, the second moving portion, and the fixing hol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moment the control unit is rotated, the bent part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control unit, so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separately hold the control unit by hand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Therefore,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release the fixing unit. The tightening and faste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repeatedly,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operator convenience and working time.

도 1은 종래 심압대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심압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조정부(20)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C-C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조정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조정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조정부(20)를 나타낸다.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tailstock.
Figure 2 shows a conventional tailstock.
Figure 3 shows a tail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ilstock adjustment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CC of Figure 1.
Figure 6 shows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tailstock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tailstock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the tailstock adjustment unit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심압대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tail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therefo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es not rule out addition.

도 1은 종래 심압대를 나타내고, 도 2는 종래 심압대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tailstock, and Figure 2 shows a conventional tailstock.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조정부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Figure 3 shows a tail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djusting part of the tail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1의 C-C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조정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Figure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C-C of Figure 1, and Figure 6 shows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tailstock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조정부의 작동원리를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조정부를 나타낸다.Figure 7 shows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tailstock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shows the tailstock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가로방향, 즉 도 4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방향"이란 수평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높이방향, 즉 도 4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하며, "폭방향"이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방(상부)이란 "수직방향"에서 위쪽 방향, 즉 도 4에서 Y축의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하부)이란 "수직방향"에서 아래쪽 방향, 즉 도 4에서 Y축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The 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Horizontal direction” refers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that is, the “Width direction” means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n addition, upward (upper) refers to the upward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toward the top of the Y axis in Figure 4, and downward (lower) refers to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downward to the Y axis in Figure 4. It means the direction it is facing.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는 하우징부(10)와 조정부(20)를 포함한다.The tailst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tailst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10 and an adjustment part 20.

하우징부(10)는 심압대(1)의 외형을 형성한다. The housing portion 10 forms the external shape of the tailstock 1.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부(10)는 퀄(11)과 도그(1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housing portion 10 includes a quail 11 and a dog 12.

퀼(11)은 가공소재(2)를 자유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비교적 긴 가공소재(2)의 일측은 척(3)에 클램핑되어 고정되고, 가공소재(2)의 타측 자유단은 퀼(11)에 의해 지지되고, 이에 의해 가공소재(2)의 처짐이나 좌굴 현상을 방지하여 가공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quill (11) serves to support the free end of the processed material (2).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relatively long workpiece 2 is clamped and fixed to the chuck 3, and the other free end of the workpiece 2 is supported by the quill 11, thereby preventing the workpiece 2 from sagging. The processing qualit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buckling phenomenon.

도그(12)는 퀼(11)이 전진하는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로 전진하여 이동한다., 도그(12)는 가공소재(2)의 길이에 따라 가변적으로 이동하는 퀄(1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2 센싱부(23)와 함께 가공소재(2)가 정확하게 지지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 dog 12 moves forward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he quill 11 moves forward. The dog 12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quill 11, which moves variabl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orkpiece 2. It plays a role that can be play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workpiece 2 is accurately supported with the second sensing unit 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조정부(20)는 바디부(21), 제1 센싱부(22), 연결부(24) 및 제2 센싱부(2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adjusting unit 20 includes a body unit 21, a first sensing unit 22, a connecting unit 24, and a second sensing unit 23.

조정부(20)는 가공소재(2)에 따라 변화하는 퀼(1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정해진 도그(12)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2 센싱부(23)를 도그(1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즉, 도 3에서 도그(12)를 기준으로 수직방향(Z)으로 아래쪽)에 오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adjusting unit 20 checks the position of the dog 12, which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quill 11 that changes depending on the processing material 2, and adjusts the second sensing unit 23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dog 12. It serves to adjust the position (that is,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with respect to the dog 12 in FIG. 3).

바디부(21)는 일측이 하우징부(10)와 결합되어 조정부(20)를 하우징부(10)에 연결하고, 제1 센싱부(22)와 제2 센싱부(23)를 수용하며, 연결부(24)에 연결된 제2 센셍부(23)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1 is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10 to connect the adjustment portion 20 to the housing portion 10, accommodates the first sensing portion 22 and the second sensing portion 23,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The second sensor (23) connected to (24) is allowed to move.

도 4 및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센싱부(22)는 제1 센싱부(22)는 퀼(11)이 정상적으로 원점으로 복귀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로서 바디부(21)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센싱부(22)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6 to 7, the first sensing part 22 is inserted into the body part 21 as a sensor to check whether the quill 11 has normally returned to the origin. and installed. Additionally,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e first sensing unit 22 may be comprised of a proximity sensor.

제1 센싱부(22)는 한 번 바디부(21)에 장착된 이후에는 장착된 위치에서 고정되므로 다시 위치를 조절할 필요는 없다. Once the first sensing unit 22 is mounted on the body unit 21, it is fixed in its installed position, so there is no need to adjust its position again.

도 4 및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 센싱부(23)는 퀼(11)이 스토로크 내에서 가공소재(2)를 정상적으로 지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로서, 제1 센싱부(22)와 수평방향(즉, 도 4 에서 X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센싱부(23)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6 to 7, the second sensing unit 23 is a sensor for checking whether the quill 11 normally supports the workpiece 2 within the stroke, and the first sensing unit They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2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e., the X direction in FIG. 4). Additionally,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e second sensing unit 23 may be comprised of a proximity sensor.

제2 센싱부(23)는 연결부(24)에 설치되고, 가공소재(2)의 길이에 따라 제2 센싱부(23)의 위치를 조정해야 한다. The second sensing unit 23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24,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mus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rocessed material 2.

도 4 및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부(24)는 바디부(3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연결부(24)는 이동 가능하게 바디부(32)에 설치되어 연결부(24)에 설치된 제2 센싱부(23)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6 to 7, the connection part 24 is movably installed on the body part 32. That is, the connection part 24 is movably installed on the body part 32 and serves to move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part 23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2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는 조작부(25) 및 고정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ailst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nipulation unit 25 and a fixing unit 26.

조작부(25)는 바디부(21)에 연결부(24)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제2 센싱부(23)의 위치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25)는 바디부(21)와 연결되어 있고, 연결부(24)도 바디부(21)와 연결되어 있으며, 조작부(25)와 연결부(24)는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작부(25)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면 연결부(24) 및 연결부(24)에 설치된 제2 센싱부(23)의 위치도 함께 조정된다.The manipulation unit 25 is installed on the body 21 opposite the connection unit 24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Specifically, the operation unit 25 is connected to the body unit 21, and the connection unit 24 is also connected to the body unit 21. Since the operation unit 25 and the connection unit 24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the operation unit 25 ),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24 and the second sensing unit 23 installed on the connection part 24 are also adjusted.

즉, 조작부(25)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제1 센싱부(22)에 대한 제2 센싱부(23)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That is,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25,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with respect to the first sensing unit 22 can be adjust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1)는 제2 센싱부(23)의 위치 조절을 위한 조정부(20)의 구조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하나의 고정부(26)를 이용하여 해제(또는 결합)할 수 있고, 작업자가 작업자의 정면에서 고정부(26)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고정부(26)의 해제(또는 결합)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tailsto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leased (or can be combined), and work convenience and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allowing the worker to release (or combine) the fixing part 26 while being able to check the fixing part 26 from the front of the worker.

특히, 중소형장비와 같이 심압대 자체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도 렌치등을 활용하여 작업자가 바라보는 전면에서 고정부(26)의 해제 (또는 결합)을 할 수 있어 공간이 비좁은 상태에서도 렌치등을 이용하여 제2 센싱부(23)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비가공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다.In particular, even when the size of the tailstock itself is small, such as in small and medium-sized equipment, the fixing part 26 can be released (or combined) from the front facing the operator using a wrench, etc., so a wrench, etc. can be used even in tight spaces.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thereby minimizing non-processing time and increasing productivity.

고정부(26)는 연결부(24), 바디부(21) 및 조작부(25)를 결합한다. The fixing part 26 combines the connecting part 24, the body part 21, and the operating part 25.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부(26)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져 나사결합을 하고 필요에 따라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와셔등을 더 구비할 수 있고, 고정부(26)는 T렌치 또는 L렌치를 이용하여 체결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e fixing part 26 is made of bolts and nuts and is screwed together, and if necessary,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washer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and the fixing part 26 can be used with a T wrench or L wrench. It can be used to close or cancel.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의 바디부(21)는 결합부(211), 수용부(213) 및 조절부(21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body portion 21 of the tailst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ortion 211, a receiving portion 213, and an adjusting portion 216.

결합부(211)는 하우징부(10)에 결합되어 조정부(20)를 하우징부(10)에 결합한다. 결합부(211)는 결합부(21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착홀(212)을 구비하고 있으며 결착홀(212)을 통해 나사 등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하우징부(10)에 결합한다. The coupling portion 211 is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10 to couple the adjusting portion 20 to the housing portion 10. The coupling portion 211 has a fastening hole 212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211, and is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10 through the fastening hole 212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부(213)는 삽입홀(212) 및 제1 이동부(215)를 포함한다. 수용부(213)는 결합부(211)의 수직방향 일측선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receiving part 213 includes an insertion hole 212 and a first moving part 215. The receiving portion 213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from one vertical end of the coupling portion 211.

삽입홀(212)은 수용부(213)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관통형성된 삽입홀(212)에 제1 센싱부(22)를 수용하여 제1 센싱부(22)를 바디부(21)에 설치하게 된다.The insertion hole 212 is formed to penetrate the receiving portion 213, and the first sensing portion 22 is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hole 212 formed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to install the first sensing portion 22 on the body portion 21. I do it.

제1 이동부(215)는 수용부(213)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관통 형성되고, 제1 이동부(215)에는 연결부(24)에 설치된 제2 센싱부(23)가 수용되어 제2 센싱부(23)가 제1 이동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moving part 215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through the receiving part 213, and the second sensing part 23 installed on the connecting part 24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moving part 215 to perform second sensing. The part 23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moving part.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조절부(216)는 수용부(213)의 폭방향 일측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결합부(211)와 서로 마주하면서 이격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조절부(216)는 제2 이동부(217)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adjusting portion 216 extends vertically from one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213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installed to face and be spaced apart from the engaging portion 211. Additionally, the adjusting unit 216 includes a second moving unit 217.

제2 이동부(217)는 조절부(216)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관통 형성되고, 제2 이동부(217)에는 고정부(26)가 수용되어 고정부(26)가 제2 이동부(217)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moving part 217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through the adjusting part 216, and the fixing part 26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moving part 217, so that the fixing part 26 is the second moving part ( 217) is formed so that it can be moved along.

도 4를 참조하면, 제2 이동부(217)는 제1 이동부(215)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moving part 217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moving part 215.

구체적으로 제2 이동부(217)는 제1 이동부(215)가 수용부(213)에 설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절부(216)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이동부(217)는 제1 이동부(215)의 수평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 이동부(215)의 수평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moving part 217 is formed in the adjusting part 216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moving part 215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part 213, and the second moving part 217 is I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moving part 215 or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moving part 215.

즉, 제1 이동부(215)가 제2 이동부(217)와 대응되게 형성되면, 제2 이동부(217)를 따라 이동하는 조작부(25)의 위치가 특정되면, 특정된 조작부(2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이동부(215)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센싱부(23)가 위치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f the first moving part 21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moving part 217, and the position of the manipulation part 25 moving along the second moving part 217 is specified, the specified manipulation part 25 The second sensing unit 23 moving along the first moving unit 215 can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

도 4 및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의 연결부(21)는 본체부(241) 및 연장부(24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 and 6 to 7 , the connection portion 21 of the tailst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241 and an extension portion 243.

본체부(241)는 관통홀(242)을 구비하고 있으며, 수용부(213)에 대응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관통홀(242)은 제2 센싱부(23)를 수용하기 위해 본체부(24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main body portion 241 has a through hole 242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receiving portion 213. The through hole 242 is formed to penetrate the main body 241 to accommodate the second sensing unit 23.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4에서는 수용부(213)의 상부에 본체부(241)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센싱부(23)는 본체부(241)의 관통홀(242)에 삽입되어 본체부(241)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용부(213)의 제1 이동부(215)에 삽입됨으로서 제1 이동부(215)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in Figure 4, the main body 241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213, and the second sensing part 2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42 of the main body 241 to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moving part 215 of the receiving part 213 while installed in the part 241, movement along the first moving part 215 is possible.

연장부(243)는 체결홀(244)을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부(241)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다. 체결홀(244)은 고정부(26)를 수용하기 위해 연장부(243)에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extension portion 243 has a fastening hole 244 and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41 to b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astening hole 244 is formed through the extension part 243 to accommodate the fixing part 26.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4에서는 조절부(216)에 연장부(243)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부(26)는 연장부(243)의 체결홀(244)에 삽입되고 순차적으로 조절부(216)의 제2 이동부(217)에 삽입됨으로서 제2 이동부(217)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in Figure 4, an extension part 243 is installed on the adjustment part 216, and the fixing part 26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44 of the extension part 243 and sequentially adjusts the adjustment part (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moving part 217 of 216, movement along the second moving part 217 becomes possibl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1)는 조정부(120)가 작업자가 작업자의 전면에서 제2 센싱부(2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작업자가 직접 조정부(120)를 확인하며 렌치등을 이용하여 고정부를 해제(또는 결합)하면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주변 구조물에 의해 손이 긁히는 등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ailsto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adjustment unit 120 so that the operato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from the front of the worker, so that the operator can directly check the adjustment unit 120 and use a wrench, etc. Since the fixing part can be adjusted by releasing (or combining) it can be used to protect workers by preventing them from getting injured, such as their hands being scratched by surrounding structures.

도 4 및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의 조작부(25)는 지지부(251) 및 절곡부(25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 and 6 to 7 , the operating unit 25 of the tailst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unit 251 and a bent unit 253.

지지부(251)는 고정홀(252)을 구비하고 있으며, 조절부(216)에 대응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고정홀(252)은 고정부(26)를 수용하기 위해 지지부(25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support part 251 has a fixing hole 252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adjusting part 216. The fixing hole 252 is formed through the support part 251 to accommodate the fixing part 26.

고정부(26)는 연장부(243)의 체결홀(244)에 삽입되고 순차적으로 조절부(216)의 제2 이동부(217)에 삽입됨으로서 제2 이동부(217)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시 순차적으로 고정홀(252)에 삽입된다.The fixing part 26 can be moved along the second moving part 217 by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44 of the extension part 243 and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moving part 217 of the adjusting part 216. It is installed properly, and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252.

절곡부(253)는 지지부(251)의 수직방향 일측에서 폭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다. 또한, 조작부(25)의 절곡부(253)는 조절부(216)의 선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The bent portion 253 extends from one vertical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51 to be bent in the width direction. Additionally, the bent portion 253 of the operating portion 25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adjusting portion 216.

이에 따라 절곡부(253)는 고정부(26)가 볼트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너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2 센싱부(23)를 조정하는 경우에 절곡부(253)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절곡부(253)를 파지하여 편리하게 제2 센싱부(23)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ent portion 253 can function as a nut when the fixing portion 26 is made of a bolt, and when the operator adjusts the second sensing portion 23, the bent portion 253 functions as a handle. Since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control the second sensing unit 23 by holding the bent part 253.

또한, 절곡부(253)는 조절부(216)의 선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부(26)를 체결홀(244), 제2 이동부(217) 및 고정홀(25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조작부(25)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작부(25)가 회전되는 순간 절곡부(253)가 조절부(216)의 선단과 접촉하면서 고정된다.In addition, since the bent portion 253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adjusting portion 216, it sequentially penetrates the fixing portion 26 through the fastening hole 244, the second moving portion 217, and the fixing hole 252. In order to prevent the manipulation unit 25 from rotating due to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the moment the manipulation unit 25 is rotated, the bent portion 253 is fixed while contacting the tip of the adjustment unit 216.

이에 따라 작업자가 제2 센싱부(23)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별도로 조작부(25)를 손으로 잡고 조정할 필요가 없고, 작업자가 고정부(26)를 해제하였다가 체결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 및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there is no need for the operator to separately hold and adjust the operation unit 25 by hand, and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repeat the work of releasing and fastening the fixing unit 26. This can reduce operator convenience and work time.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의 연결부(24)의 본체부(241)는 수용부(213)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연결부(24)의 연장부(243)는 조절부(216)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4 to 7, the main body portion 241 of the connecting portion 24 of the tailst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receiving portion 213, and the connecting portion 24 The extension part 243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adjustment part 216.

또한 조작부(25)의 지지부(251)는 조절부(216)를 사이에 두고 연장부(243)와 폭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조작부(25)의 절곡부(253)는 조절부(216)의 선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251 of the operating portion 25 is installed to face the extension portion 243 in the width direction with the adjusting portion 216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bent portion 253 of the operating portion 25 is aligned with the adjusting portion 216. It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그리고 고정부(26)는 체결홀(244), 제2 이동부(217) 및 고정홀(25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된다.And the fixing part 26 is fastened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244, the second moving part 217, and the fixing hole 252.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1)는 종래 심압대(100)와 같이 제2 센싱부(23)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작업자가 2개 이상의 볼트를 순차적으로 해제(또는 볼트를 조여 결합)할 필요 없이 하나의 고정부(26)를 해제한 후 다시 하나의 고정부(26)를 결합하면 되므로, 제2 센싱부(23)를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수 회에 걸친 가공 후에도 가공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제2 센싱부(23)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심압대(1)의 오작동을 감소시킴으로서 정밀하게 소재를 가공하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tailsto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conventional tailstock 100, the operator sequentially releases two or more bolts (or tightens and combines the bolt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Since there is no need to release one fixing part 26 and then reconnect one fixing part 26, the second sensing part 23 can be firmly fixed in the correct position,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even after several times of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from changing due to vibration occurring during processing, and thereby reduce malfunction of the tailstock 1, thereby improving product quality by processing the material precisely.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가공소재(2)에 따라 가공소재(2)를 지지하는 퀼(11)의 위치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A선의 위치로 변경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선의 위치로 변경될 수도 있고, 퀼(11)의 위치가 가공소재(2)에 따라 변경되면 퀼(11)의 변경된 위치에 대응하여 도그(12)의 위치가 정해지고, 정해진 도그(1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센싱부(23)가 위치하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depending on the mounted workpiece 2, the position of the quill 11 supporting the workpiece 2 may be changed to the position of line A as shown in Figure 1. , As shown in FIG. 2, it may be changed to the position of line B,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quill 11 changes depending on the processed material 2, the position of the dog 12 changes in response to the changed position of the quill 11.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econd sensing unit 23 to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dog 12.

이처럼 제2 센싱부(23)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는 상기 제2 센싱부(23)의 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 고정부(26)를 일부 해제하고 제2 이동부(217)를 따라 조작부(25)를 이동시키면 연결부(24)에 연결된 제2 센싱부(23)의 위치가 제1 이동부(215)를 따라 조작부(25)가 이동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in this way, the tailst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ixing unit 26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When partially released and the operation unit 25 is moved along the second moving unit 217,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4 is changed so that the operation unit 25 moves along the first moving unit 215. You can move from one location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자의 정면에서 고정부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고정부의 해제(또는 결합)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work convenience and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worker to release (or combine) the fixing part while being able to check the fixing part from the front of the worker.

또한, 제2 센싱부(23)의 위치 조절은 고정부(26)를 완전히 해제할 필요 없이 렌치등을 이용하여 약 180도 정도만 돌리면 고정부(26)가 제2 센싱부를 움직일 수 있는 정도로 고정부(26)가 해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can be adjusted to the extent that the fixing unit 26 can move the second sensing unit by turning it about 180 degrees using a wrench, etc., without the need to completely release the fixing unit 26. (26) can be released.

따라서 렌치등을 이용하여 고정부(26)를 약 180도 정도만 돌린 상태에서 작업자는 작업자의 전면에 위치한 절곡부(253)를 파지하여 편리하게 제2 센싱부(2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제2 센싱부(23)의 조정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 및 가공소재(2)의 생상성을 증대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by holding the bent part 253 located in front of the operator while turning the fixing part 26 about 180 degrees using a wrench, etc. The adjustment time of the second sensing unit 23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operator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of the processing material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tailstock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장착되는 가공소재(2)에 따라 가공소재(2)를 지지하는 퀼(11)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퀼(11)의 위치가 가공소재(2)에 따라 변경되면 퀼(11)의 변경된 위치에 대응하여 도그(12)의 위치가 각각 정해지고, 각각 정해진 도그(1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센싱부(23)가 위치하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The position of the quill (11) supporting the processed material (2)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mounted work material (2), and if the position of the quill (11) changes depending on the processed material (2), the position of the quill (11) may change. The positions of the dogs 12 are 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changed positions, an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econd sensing unit 23 to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s of the dogs 1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가공소재(2)의 길이에 따라 정해진 각각의 도그(12)의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아래부분에 제2 센싱부(23)가 위치하도록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각각의 화살표의 길이만큼 조절부를 이동시켜야 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second sensing unit 23 is located vertically below the position of each dog 12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orkpiece 2. The control unit must be moved by the length of each arrow shown.

조절부(216)를 이동시키면 조절부(216)에 연결된 연결부(24)가 동시에 이동하고, 연결부(24)에 설치된 제2 센싱부(23)도 동시에 이동하게 됨으로서 제2 센싱부(23)의 위치가 조정되게 된다. When the control unit 216 is moved, the connection unit 24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16 moves simultaneously, and the second sensing unit 23 installed on the connection unit 24 also moves simultaneously, thereby increasing the The position is adjusted.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자의 정면에서 고정부(26)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고정부의 해제(또는 결합)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work convenience and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worker to release (or combine) the fixing part 26 while being able to check the fixing part 26 from the front of the worker.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와 마찬가지로 하우징부(10)와 조정부(20)를 포함한다. 다만, 제2 센싱부(23) 외에 부가적으로 제3 센싱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tailstock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8, the tailstock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ortion 10 and an adjusting portion 20, like the tailst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addition to the second sensing unit 23, it may additionally include a third sensing unit 27.

도 8에는 제3 센싱부(27)가 한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공소재(2)의 길이나 터닝머신의 크기등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only one third sensing unit 27 is shown in FIG. 8,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ultiple units may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processing material 2 or the size of the turning machine.

제3 센싱부(27)는 상술한 제2 센싱부(23)와 동일하다. 다만. 제2 센싱부(23) 외에 제3 센싱부(27)를 더 바디부(21)에 설치함으로서 퀼(11)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2 센싱부(23) 또는 제 3 센싱부(27)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별도로 제2 센싱부(23)를 다시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다.The third sensing unit 27 is the same as the second sensing unit 23 described above. but. By installing the third sensing unit 27 in the body part 21 in addition to the second sensing unit 23, the second sensing unit 23 or the third sensing unit 27 chang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quill 11. By operating it,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adjust the second sensing unit 23 again.

이에 따라 작업자가 별도로 제2 센싱부(23)를 조정하기 위한 노력 및 시간을 들일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감소시키고, 비가공시간의 최소화를 통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re is no need for the operator to separately spend effort and time to adjust the second sensing unit 23, thereby reducing the operator's working time and increasing product productivity by minimizing non-processing tim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what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1 : 심압대 , 2 : 가공소재
3 : 척 10 : 하우징부,
11 : 퀼, 12 : 도그,
20 : 조정부, 21 : 바디부.
211 : 결합부, 212 : 결착홀,
213 : 수용부, 214 : 삽입홀,
215 : 제1 이동부, 216 : 조절부,
217 : 제2 이동부, 22 : 제1 센싱부,
23 : 제2 센싱부, 24 : 연결부
241 : 본체부, 242 : 관통홀,
243 : 연장부, 244 : 체결홀,
25 : 조작부, 251 : 지지부,
252 : 고정홀, 253 : 절곡부,
26 : 고정부 27 : 제3 센싱부
1: Tailstock, 2: Processing material
3: Chuck 10: Housing part,
11: Quill, 12: Dog,
20: adjustment part, 21: body part.
211: coupling portion, 212: binding hole,
213: receiving portion, 214: insertion hole,
215: first moving part, 216: controlling part,
217: second moving unit, 22: first sensing unit,
23: second sensing unit, 24: connection unit
241: main body, 242: through hole,
243: extension part, 244: fastening hole,
25: control unit, 251: support unit,
252: fixing hole, 253: bent part,
26: fixing part 27: third sensing part

Claims (9)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심압대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제1 센싱부;
상기 바디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
상기 제1 센싱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마주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2 센싱부;
상기 바디부에 상기 연결부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센싱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부; 및
상기 연결부,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조작부를 결합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1 센싱부에 대한 상기 제2 센싱부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In the tailstock including a housing portion and an adjustment portion installed in the housing portion,
The adjustment department,
body part;
a first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body;
a connection part movably installed on the body;
a second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connection unit to face the first sensing unit and be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body opposite the connection uni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and
a fixing part combining the connection part, the body part, and the manipulation part; Including,
Tail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relative to the first sensing unit is adjusted as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unit is adjus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관통 형성되는 결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하는 결합부;
관통 형성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의 수직방향 일측선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서로 마주하면서 이격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폭방향 일측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dy part,
A coupling portion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a receiving portion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one vertical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tailstock comprising: an adjusting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face and be spaced apart from the engag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센싱부를 수용하고 상기 연결부와 함께 상기 제2 센싱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관통 형성되는 제1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In paragraph 3
The receiving part is,
A tailstock comprising: a first moving part that accommodates the second sensing unit and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through the second sensing unit to enable movement of the second sensing unit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이동부에 대응하고,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여 상기 고정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관통 형성되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ntrol unit,
A tailstock comprising a second mov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ving part, accommodating the fixing part and extending horizontally through the fixing part so that the fixing part can be mov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센싱부를 수용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According to clause 5,
The connection part i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second sensing portion to accommodate the second sensing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A tailstock comprising a fastening hole formed through a penetrating hole to accommodate the fixing part, and an extension part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in the width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부에 대응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수직방향 일측에서 폭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 unit,
a support portion having a fixing hole formed through the fixing portion to accommodate the fixing portion,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adjusting portion; and
A tailstock comprising a bent portion extending from one vertical side of the support portion to be bent in the width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본체부는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고, 상기 연결부의 연장부는 상기 조절부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의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장부와 폭방향으로 대향되고, 상기 조작부의 절곡부는 상기 조절부의 선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홀, 상기 제2 이동부 및 상기 고정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In clause 7,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adjacent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adjusting portion,
The support por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faces the extension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with the adjust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bent por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adjusting portion,
The tailst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art is fastened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the second moving part, and the fixing ho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부의 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고정부를 일부 해제하고 상기 제2 이동부를 따라 상기 조작부를 이동시키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제2 센싱부의 위치가 제1 이동부를 따라 상기 조작부가 이동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According to clause 8,
If position adjustment of the second sensing unit is necessary,
When the fixing part is partially released and the operation unit is moved along the second moving uni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operation unit is moved along the first moving unit. The tailstock that does.
KR1020190003117A 2019-01-10 2019-01-10 Tail Stock KR102617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17A KR102617688B1 (en) 2019-01-10 2019-01-10 Tail St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17A KR102617688B1 (en) 2019-01-10 2019-01-10 Tail St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840A KR20200086840A (en) 2020-07-20
KR102617688B1 true KR102617688B1 (en) 2023-12-26

Family

ID=7183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117A KR102617688B1 (en) 2019-01-10 2019-01-10 Tail St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6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2818B (en) * 2021-12-10 2023-05-02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有限公司 Long shaft type workpiece clamping and measuring mechanism for lathe
KR102649100B1 (en) * 2022-05-10 2024-03-18 현대위아 주식회사 Apparatus for Checking Curvic Coupling Clamp of Tool Holder for Machine Tool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085Y1 (en) * 1995-12-30 1999-03-30 석진철 Transfer confirming device of cnc
KR20180093562A (en) 2017-02-14 2018-08-22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Tail st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840A (en)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7688B1 (en) Tail Stock
JPS63229233A (en) Machine tool
KR20200102685A (en) Apparatu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magazine tool
EP3907039A1 (en)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KR101443145B1 (en) A Chuck for clamping machine work
JP3985998B2 (en) Machine tools for complex machining
KR102652210B1 (en) Universal head attachment and machine tool aving the same
KR20160001434A (en) A Chuck for clamping machine work
KR20220124002A (en) Clamping device of spindle for machine tool
KR102562141B1 (en) Machine tool
KR102620703B1 (en) Machine too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H0890302A (en) Metal cutting machine tool
KR20210122614A (en) Tool storage device of machine tool
KR102630395B1 (en) Machine tool
KR20160055469A (en) The 3D processing method of product by using machine in center and thereof device
KR20190096015A (en) Door apparatus
KR20230139018A (en) Machine tool gantry loader expansion device and expansion method
JPH0246321B2 (en)
KR102592019B1 (en) Automatic pallet changer
JPS63156601A (en) Automatic machine tool
KR20060073720A (en) Auto feeding and location fitting available servo driven vibration preventing implement
KR102507372B1 (en) Support device for boring spindle
KR20190112913A (en) Tool machine having steady rest
KR102532214B1 (en) Cover apparatus of machine tool
WO2023276270A1 (en) Opposed twin-spindle lat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