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619B1 - 드론살포용 서스펜션 기능성 액상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살포용 서스펜션 기능성 액상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619B1
KR102617619B1 KR1020210059941A KR20210059941A KR102617619B1 KR 102617619 B1 KR102617619 B1 KR 102617619B1 KR 1020210059941 A KR1020210059941 A KR 1020210059941A KR 20210059941 A KR20210059941 A KR 20210059941A KR 102617619 B1 KR102617619 B1 KR 10261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ing
drone
fertilizer
liquid fertiliz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703A (ko
Inventor
김익열
백정우
Original Assignee
케이지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지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지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619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C05G5/27Dispersions, e.g. suspensions or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CNITROGENOUS FERTILISERS
    • C05C11/00Other nitrogenous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1/00Fertilisers containing potas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60Biocides or preservatives, e.g. disinfectants, pesticides or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 P, K 비료의 3요소와 붕소, 물리브덴 등 미량요소를 추가로 더 혼합하여 서스펜션 기능이 탁월한 드론 살포용 고농도 액상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적용할 수 없었던 항공 또는 드론 살포용 액상비료를 최초로 공개함에 있어서, 드론 살포용 액상비료 조성물 제조시 가장 바람직한 나프탈렌계 분산제의 첨가비를 탐색하여 제공하되 최적 N, P, K 비료성분과 첨가량을 선택하고 최대한 수용화하여 고농도화 함으로써 드론 또는 항공 살포시 노즐(Nozzle)이 막히지 않고 보관시 결빙이 없는 수용액의 균질화를 달성하였으며 나아가 특히, 수도작을 위한 이용 가능한 규산질 비료 및 기타 병충해 방제용 농약과도 혼용살포 가능성을 시사한 매우 뛰어난 산업상 효과를 제공할뿐 아니라 비료 및 농약 살포 인력을 100배 이상 생력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드론살포용 서스펜션 기능성 액상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liquid-type fertilizer composition having suspension function for drone spray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서스펜션 기능이 탁월한 드론 또는 항공 살포용 고농도 액상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물의 성장속도, 균일한 성장 및 증수는 토양, 기상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농업에서는 작물의 성장과 수확증대가 중요한 목표가 된다. 미래의 먹거리 수급을 위한 안정적인 작물재배 및 수확량 확보는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된다. 작물재배 및 수확량 증대방안으로는 적절한 농약의 살포와 동시에 다량원소 비료와 미량원소 비료의 적절한 량의 적기 살포 공급 그리고 필요한 경우,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사용이 중요하다.
비료의 3요소로서 질소(N), 인산(P), 칼리 외에도 미량 원소 예컨대 붕소는 식물 세포벽의 합성, 리그난화, 탄수화물의 대사, RNA 대사, 호흡작용 식물호르몬 예컨대 lAA의 대사, 페놀화합물의 생합성 등 다양한 생리 합성에 관여한다. 붕소 결핍은 일반적으로 수확물의 감수는 물론 수확물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붕소는 자연상태에서 고체의 붕산 또는 붕사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붕산의 경우 상온에서 약 5% 정도 극미량이 용해되고 나머지 부분은 용해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붕산의 용해도(solutility)를 높히기 위해 알콜용액류를 사용할 경우 상기 유기용매에 의해 10 ∼ 20%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들 유기용매를 사용할 경우 엽면 살포시 잎이 녹아 타버리는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 특허 제10-1119712호에는 모노에탄올아민을 사용하여 붕소성분의 용해도를 증대시키고 알칼리화된 용액에 우론산을 첨가하여 pH를 조정한 액상비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붕소의 용해도를 높히는 경우 작물의 붕소흡수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물에 붕소를 용해시킨 다음 모노에탄올아민을 첨가한 혼합물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벤젠고리가 제거된 유기붕소화합물을 수득하는 생리활성 증진용 붕소함유 액상비료 조성물이 국내 특허공개 제10-2017-0082347호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붕소함유 생리활성 증진용 액상 유기질 비료조성물의 경우 엽면 살포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살포하는 경우 분자량(MW)이 큰 당단백질 등이 함유된 해조 추출물의 첨가에 의하여 액상 비료의 균일한 분산이 저해되어 수 저장증 침강이 발생되어 균일한 엽면 살포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761889호에는 살균, 살충 효과를 가지는 유황성분을 작물재배에 이용하기 위한 액상 수화유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입도를 미세하게 분말화한 습식 분쇄한 액상 유황분말에 분산재와 증점재 및 미량 요소를 첨가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균일한 분산을 위한 분산제는 무수 말레인산, 침점방지용 증점제는 몬모닐로나이드(montmorillonite)를 사용하였다.
한국 특허공개 제10-2018-0111073호에는 엽면 살포용 액상 규산염 비료 조성물이 식용작물 성장촉진에 유효하도록 개발되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붕산에 이산화규소, 일산화칼슘을 혼합한 복합물을 가열로에 투입 1,600℃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시킨 후 미분쇄하고 물(H2O)에 희석시킨 액상 규산염 비료조성물이나 미분쇄시 Jaw crusher 등으로 조분쇄하였기 때문에 분쇄 입도 size가 물에 응고되어 저장중 침강이 발생되어 균인한 살포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 본 발명자 들은 대한민국 특허 제10-2206865호 일본 요시노 셋고 등록공보를 확인한 바 석고(CaO)용 액상 분산제 조성물을 찾을 수 있었으나 이는 수용성 석고 슬러리용 분산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다.
상기 비료의 3요소 이외에 특정 미량요소 예컨대 붕소(B), 유황(S) 또는 칼슘(Ca)을 엽면 살포하기 위한 액상 비료 조성물이 다수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은 비료 성분의 서스펜션 즉 분산성과는 별개의 과제로 드러났다. 액상배료 상태에서 응고물이나 침강물이 발생하는 경우 항공 또는 드론 살포용으로는 노즐(Nozzl)이 막혀 공중에서 엽면살포가 곤란하다.
한편, 농약살포용 드론은 국내 특허등록 제10-1865462호에 개시되어 있다. 통상 농약은 액상으로서 공중에서 살포하는 바 농약저장통에 저장된 농약이 농약 공급 line을 통해 노즐측으로 공급되어 외부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44414호에는 농약살포용 드론과 이를 이용한 농약살포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이는 침전된 농약 성분을 선회류를 발생시켜 농약살포를 효율화시키는 방법과 그 저장탱크의 구조를 제공한다. 항공살포 또는 드론 살포용 액상 농약의 경우 침전물의 농약저장통 바닥에 침강됨에 따라 살포용 노즐이 막히는 등의 이유로 농약 살포가 원할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비료의 경우 비료를 드론 살포하는 경우, 점성 문제의 야기로 액상 살포는 불가능 하였고 특히 중국에서 개발 시판되는 액상비료의 경우 제품의 점도가 10,000 cps 이상의 고점도로 인하여 8배 이상의 물을 타서 사용해야 하는 등 문제가 있어 국내외에서 상용화가 어렵고, 따라서 분말제 또는 입제 비료를 드론 살포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관행이었다.
이상에서 선행기술 문헌을 조사한 바, 본 발명자들은 구내외 어느 문헌에도 다양한 비료성분의 응결물 또는 수중 침강물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특히 서스펜션 기능성 액상비료 조성물을 얻기 위한 분산제는 발견할 수 없었다.
1 : 대한민국 특허 제1119712호 공개특허공보, 2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7-0082347호 공개특허공보, 3 : 대한민국 특허 제0761889호 등록특허공보, 4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8-0111073호 공개특허공보, 5 : 대한민국 특허 제2206865호 공개특허공보, 6 : 대한민국 특허 제1865462호 공개특허공보, 7 : 대한민국 특허 제1844414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Drone) 또는 항공 살포용 신규한 서스펜션 기능성 고농도 액상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농도 액상비료 조성물의 신규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하에 상세히기재한 바에 따라 명료히 나타나겠으나 질소, 칼륨, 인산 등 비료 3요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비료성분에 붕소, 몰리브덴 등 미량요소 성분의 용해도를 극대화하여 고농도 액상비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 비료제조 기술분야에 공지되거나 사용된 바 없는 분산제를 선택하여 서스펜션 기능성을 증대시켜 상기 비료요소의 성분을 구성하는 화합물을 균일한 용액 상태를 유지하여 노즐(nozzle)이 막히는 일이 없이 항공 또는 드론 살포용 액상비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분산제의 선택적 특성에 의하여 통상의 농약제재와 혼용하여 비료를 살포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국내외 최초로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작물생육과 증수에 영향력이큰 질소(N), 인산(P), 칼륨(K) 등 비료의 3요소 성분과 붕소(B),몰리브덴(Mo) 등 미량요소의 물의 용해도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이들 비료성분의 수용액 내에서의 분산성을 최적화함으로써 특히 항공 또는 드론 살포용 액상비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어서;
(a) 액상비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먼저 정제수(H2O) 30 ∼ 35 중량% 에 분산제 5 ∼ 15 중량% 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에서 얻은 분산제가 혼합된 액상 분산제 용액에 바람직하게는 질소질(N) 비료 35 ∼ 40 중량% 를 첨가하고 다시 혼련 용해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에서 얻은 물과 분산제와 질소질(N) 비료의 혼합물에 바람직하게는 0.0002 ∼ 0.02 중량% 의 미량요소를 추가로 더 첨가하고 다시 혼련 용해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에서 얻은 물, 분산제, 질소질 비료 및 미량요소의 혼합물에 마지막으로 바람직하게는 칼리질 비료(K)를 30℃까지 가온하여 5 ∼ 10 중량% 첨가하고 다시 혼련 용해하는 단계를 모두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액상비료 혼합물의 조성물로서의 비료 특성을 조사 평가함으로써 달성한다.
본 발명은 분산제를 사용한 드론 살포용 균질한 액상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저온 저장중 비료 성분의 침강이나 수분의 빙결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작물 재배지에서 본 발명 액상비료를 드론살포시에는 다양한 액상 농약을 한꺼번에 혼용시용하여도 노즐이 막힘이 없이 단시간 내에 액상비료와 함께 살포함으로써 현저한 비료살포 인력을 감소하여 농작물의 생력재배를 기대할 수 있는 탁월하고 획기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NK 드론 - 다이웰 10%, - 다이웰 20% 및 -POREX 10% 의 제품의 액상상태 ① ∼ ③ 를 점도와 함께 비교한 사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NK 드론 - 다이웰 10% 제품의 액상비료 조성물 제조시 선택하는 분산제 종류별 최종제품의 점도와 색택을 보인 사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NK 드론 - 다이웰 10%, - 다이웰 20% 및 -POREX 10% 의 저온 보관시 빙결 여부를 확인한 실험결과를 보인 사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NK 드론 - 다이웰 10% 제품의 규산질비료(파워규산(TR) 및 시스타액상(TR))의 효용 기능성 여부를 확인한 실험결과를 보인 사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NK 드론 - 다이웰 10% 제품의 농약 5종의 동시혼합 살포 가능성을 보인 실험결과 사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NK 드론 - 다이웰 10% 제품의 함양의 경사지 마늘농장에서의 드론살포 실험결과를 보인 사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NK 드론 - 다이웰 10% 제품의 군산 일대의 보리밭에서의 드론살포 실험결과와 입제비료를 손으로 살포한 일반관행구의 비교 실험결과를 보인 사진도이다(드론 처리구는 10kg/1200평 에 대하여 2회에 걸쳐 밑거름과 웃거름으로 항공 살포하고, 일반관행구는 요소 55kg/1200평 을 인력 손으로 살포하고, 밑거름도 요소 75kg/1200평 을 인력으로 살포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항공 또는 드론 살포용 액상비료 조성물용으로 바람직한 분산제는 리그닌계이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계이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계, 멜라민계 등의 계면활성제도 사용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리그린계는 감수제로 공지되어 있고 이 밖에도 고성능 감수제로서는 멜라민계, 나프탈렌계, 아미노설폰산계, 폴리카본산계가 있으나 특히 폴리카본산계는 콘크리트 혼화제로도 사용되어 왔다. 상기 감수제 들은 통상 유동화제로 사용되고 또 계면활성제로 통용되어 왔다. 리그린계 화합물은 식물성수지 화합물로서 레미콘에서 감수작용 및 분산작용이 우수하다. 한편 나프탈렌계 화합물은 고강도 파일 제조용으로 사용되고 AE 감수제로 고강도 PSC 파일용으로 사용된다.
멜라민계는 콘크리트 혼화제로서 주로 유럽, 미국 등지에서 사용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리그린 감수제의 감수율이 5 ∼ 6% 인데 반하여 나프탈렌계 감수제 8 ∼ 12%, 멜라민계 감수제 20% 까지 증가시키며, AE가 첨가된 나프탈렌계 AE 감수제는 10 ∼ 15% 유동화 효과가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사실들을 감안하여 상기 공지된 리그린계,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폴리카보네이트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화제를 항공 또는 드론용 액상비료 조성물의 분산제로 사용하는데 성공하였다. 상기 분산제들은 식물비료 성분이 되는 무기화합물의 응고를 억제하는데 유효하지만 특히, 나프탈렌계 분산제는 비료성분 입자들을 상호분리시켜 단일 입자화 하여 분산시키고 점도를 낮추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액상비료 조성물은 상기 분산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물에 혼련시킨 다음 N, P, K 비료 3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혼합시킨 후 다시 식물 생리활성 성분인 붕산, 몰리브덴 등 미량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더 첨가 혼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4종의 분산제의 첨가량(중량%)이 정제수(H2O)를 포함하여 첨가되는 비료 조성물 총중량의 7.5 중량% 이하인 때에는 액상비료 조성물의 점도(cps)가 150 이하, 특히 100까지 낮아져서 항공 또는 드론 살포용으로 적합하지 않고 그 첨가량이 12.5 중량% 이상, 특히 20 중량%에 이른 때에는 액상비료 조성물의 점도(cps)가 10,000 이상으로 높아지면 살포용으로는 가능하지만 시비 후 비효가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도 1 ① ∼ ③).
항공살포 또는 드론 살포용 비료의 살포는 농약 살포방식을 원용하여 지금까지 입제비료 또는 분말상 비료가 개발 사용되어 왔다. 국내에서는 항공 또는 드론 살포용 입제비료로서 N-P-K 28-0-12 type(드론 NK(TR), 충남그린팜사) 그리고 항공살포용 입제비료로는 N-P-K 3-0-7 및 34-0-12 type(엔피코(TR), 주식회사 풍농)가 각각 25 ∼ 35 kg/10a 용 밑거름과 웃거름 10kg/10a 용으로 각각 판매 사용되어 왔다. 한편, 분말상 소용제로는 역시 팜한농사의 N-P-K 23-2-23 type의 2kg 분말비료를 항공 또는 드론살포시 8배의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항공 또는 드론용 입제비료는 상기 입상비료 1포대를 600평 정도 살포하고 하강하게 되어 항공기나 드론 사용 효율이 지나치게 낮고 거기에다 입제비료 살포를 위해서는 별도의 항공 또는 드론용 악세서리를 별도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할뿐 아니라 악세서리 착, 부착도 용이하지 않고 액상비료용 입제비료용 구별되어 있고 또 20kg 이상의 입제비료의 경우는 Drone 살포가 대단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편 드론용 분말상 비료의 경우는 정제수와 용해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용해도가 낮아 균일한 수용액화에 한계가 있고 "헬리퍼트" 제품의 분말상 비료의 경우 20L 의 물에 2kg 한봉지를 희석하여 사용시 1회 살포용 액상비료의 양이 22kg에 이르러 드론살포가 용이하지 않고 나아가 분말상 비료의 8배 이상의 물을 첨가하여야 그나마 균일한 용액화가 되므로 항공 및 드론살포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더욱 곤란한 것은 비료 농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비효가 대단히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 비료의 살포는 작물의 종류별, 생육시기별 또는 착색, 수세 등의 용도를 위해 살포하는 경우 입제의 경우에는 균일한 살포가 곤란하고, 분말제의 경우에는 비료성분의 액상 균질화가 어려워 비료살포 효과를 제대로 달성하기가 곤란하였다.
그리고 작물의 종류별로 사용하는 경우, 벼나 보리나 밀의 경우와 달리 고구마, 감자와 같은 마령서 작물이나 고랭지 배추, 조파재배하는 마늘이나 양파 작물의 경우에는 비료성분의 균일한 살포가 특히 필요한 바, 종래의 입제비료나 드론 살포시 단순히 물을 첨가 혼합하여 살포하는 분말상 비료의 경우는 비료성분의 균일한 용해가 곤란하므로 비료성분의 균일한 살포가 거의 불가능 하였다.
본 발명 분산제를 사용하여 균질하게 제조된 액상비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10kg 또는 20kg 살포용 드론 살포의 경우 액상농약 살포용 cartrage 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Nozzle 이 막히지 않기 때문에 1일 1,500 ∼ 2,000 평 정도의 재배작물의 드론 살포가 가능한 특장점이 있다.
이밖에도 본 발명의 특장점은 국내의 최초 개발된 서스펜션 기능성 고농도 액상비료로서 따라서 비효가 우수하고 신속한 점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분말상 비료에 물을 가수하여 혼화한 다음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항공 또는 드론 살포용으로 액상비료를 cartrage 에 부어 농약 살포용 노즐을 사용하여 즉시 현장(in situ)에서 액상살포가 가능하다는 편리한 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액상 비료로서 물은 통상의 농약과 혼용 살포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장점은 기상조건과 재배작물의 수세, 토양조건에 따라 살포시기와 횟수등을 맞춤형 살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실시예에 제조방법과 비료 type 을 상세히 기재하지만 예컨대 N-P-K 23-0-8-1(Mg) 등 다른 다양한 액상비료 조성물 및 나아가 농약혼합 액상제제의 제조 및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작물재배 시기별 맞춤형 액상질소 전용제품 N-P-K 23-0-0, 30-0-0, 35-0-0 등의 제조, 공급 및 살포를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 각 재배작물별/재배시기별 맞춤형 N-P-K 예컨대, 작물 종류별 재배시기 초기용 액상비료, 종기용 액상비료 또는 후기용 액상비료의 제조, 공급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분산제에 바람직한 질소(N) 비료는 요소, 칼리(K) 비료는 염화가리(KCl)가 가장 바람직하고 황산암모늄(NH3SO4)이나 황산칼륨(K2SO4)는 바람직하지 않았다.
이하에서, 본 발명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및 그 적용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기술자가 분산제의 종류와 첨가비의 수치한정 그리고 제조방법의 단순한 변경에 의한 상승적 효과를 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부 본 발명에 속한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상온에서 정제수(H2O) 33.97 중량% 를 스텐레스스틸 탱크에 투입한 다음 분산제 10 중량% 를 첨가하고 Homogenizer 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다음은 요소비료 40 중량% 를 칭량하여 다시 첨가하고 10분 이상 균질화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물과 분산제 및 요소를 균질한 혼화물에 수용성이 우수한 염화칼리(KCl) 10 중량% 를 첨가 혼합한 다음 다시 10분 이상 Homogenizer로 균질하게 혼화하였다. 용기를 30℃의 중저온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수용성 붕산 0.02 중량% 와 수용성 몰리브덴 0.0002 중량% 를 추가로 더 첨가하여 다시 균질하게 혼화시켰다. 상기 염화칼리와 미량요소는 서로 선,후 첨가가 변경 가능하였다.
상기에서 N-K 비료 23-0-8-1(Mg) 제조를 위해서 필요에 따라 수용성 고토(MgO) 1 중량% 를 추가로 더 첨가하고 다시 혼화하여 본 발명 드론용 액상비료를 수득하였다(제품명 NK드론-다이웰 10%).
본 발명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서스펜션 타입의 고농도 액상비료는 항공 또는 드론용으로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 제조예 1 ∼ 2를 동시 수행하였다.
<비교예 1 ∼ 2>

구분
N
(질소
함량
P
(수용성
인산)
K
(수용성
칼리)
Mg
(수용성
고토)
B
(수용성
붕소)
Mo
(수용성
몰리브덴)

특성
실시예1/
NK드론-다이웰10%

23

0

8

1

0.05

0.0005

양호

비교예1/
NK드론-다이웰20%

26

0

10

1

0.05

0.0005
원료석출여부(O)
빙결여부(O)
냄새(없음)

비교예1/
NK드론-POREX 10%

23

0

8

1

0.05

0.0005
원료석출여부(O)
빙결여부(O)
냄새(나쁨)
[실시예 2] NK드론-다이웰 10% 제품 제조용 분산제 종류별 처리 및 점도비교
본 발명 드론 살포용 액상비료 조성물 제조에 있어 상기 실시예 1에 기초하여 분산제의 종류별 처리결과 액상비료의 점도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또 색택은 대체로 도 2와 같았다.

구분
분산제 종류
비고
리그닌계 폴리카보네이트계 멜라민계 나프탈린계 축합물
점도(cps) 155 165 159 150
색택colour) 황갈색 황갈색 황회색 연황갈색
<실험예 1> 품질특성(수용성, 침전응고 및 빙결여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1의 제품과 비교예 1 ∼ 2 제품의 특성을 대비비교할 때 실시예 1의 제품의 품질이 현저히 양호하였다. 즉, 원료 성분의 석출, 빙결이 없고 냄새도 없었으나, 비교예 1 ∼ 2 제품 특히 비교예 1 제품은 -20℃ 이하 보관시 결빙이 없었으나, 비교예 2 ∼ 3의 경우 빙결이 있었지만, 15℃에서 해동시 원상 복귀되었으며 빙결이 없어졌고, 비교예 2의 경우도 이와 같았다(도 3 ⓐ ∼ ⓒ 참조).
<실험예 2> 규산질 비료 및 농약 혼용하여 동시 작물 병충해 방제 가능성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제품과 비교예 1 ∼ 2 제품의 sample을 사용하여 규산질 비료 및 농약 혼용 가능성 여부와 동시에 작물 병충해 방제 가능성 여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파워규산(TR) 혼용시에는 응고가 약간 발생되었고 시스타액상(TR) 규산비료는 혼용이 가능하였다(도 4 ⓐ ∼ ⓑ).
한편, 농약 성분별/제형별 혼용 기능성 여부를 5종의 농약을 선정하여 3회에 걸쳐 확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5종의 농약은 1.액상 항공스타(성분: 아족시트로빈, 발리다마이신A), 2.유현탁제 살리미(성분: 에토펜프록스, 메타플루미존), 3.미탁제 청실홍실(성분: 디노테푸란, 에토펜프록스), 4.유제 주렁(성분: 람다사이할로트린), 5.액상수화제 골드미(성분: 트리사이클라졸, 발리다마이신A) 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 액상비료 조성물과 혼용 사용 기능성이 있는 제품은 상기 1, 2, 3, 4 및 5의 모든 농약이 해당되었다(도 5 ① ∼③).
이하에서는 드론을 사용한 항공 살포용 액상비료 조성물의 재배실험 결과이다.
<재배실험 1> 마늘재배 경사지 토양의 항공살포 재배실험
본 발명에 따른 재배실험을 위해 NK드론-다이웰10% 제품 23-0-8-1(고토) type 제품을 사용하여 마늘밭 1,500평을 15L 양의 단위로 살포 재배한 실험결과는 도 6과 같다. 경사지에 유용하게 사용하여 드론 살포함으로써 종래 입제나 분말 살포방법에 의한 재배방식 보다 노동력을 10배 이상 절약할 수 있었다.
<재배실험 2> 보리 재배지의 항공살포 재배실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NK드론-다이웰10% 제품, 23-0-8-1(고토) type 제품을 사용하여 보리밭에 살포실험을 수행하였다(도 7). 본 발명에 따른 Drone 처리구가 종래 손으로 살포하던 입제비료 살포구(일반관행구)에 비해 비료살포 인력을 10배 이상 생력화 할 수 있었다.
상기 마늘밭 및 보리밭의 드론 처리구의 경우는 농약을 액상비료 조성물에 함께 병용 시용하는 경우 다시 10배의 노동 인력을 생력화할 수 있으므로 10 × 10, 즉 100배의 인력을 생력화할 수 있어 1인이 100인을 감당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Claims (5)

  1. 정제수, 나프탈렌계 분산제, 요소 및 염화가리를 포함하는 액상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액상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정제수 30 ∼ 35 중량%에 나프탈렌계 분산제 5 ∼ 15 중량% 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나프탈렌계 분산제가 혼합된 액상 분산제 용액에 요소 35 ∼ 40 중량% 를 첨가하고 다시 혼련 용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물과 분산제와 요소의 혼합물에 미량요소 0.0002 ∼ 0.02 중량% 를 추가로 더 첨가하고 다시 혼련 용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에 염화가리를 30℃까지 가온하여 5 ∼ 10 중량% 첨가하고 다시 혼련 용해하는 단계를 모두 포함하여 제조된 것이 특징인 드론 살포용 서스펜션 기능성 액상비료 조성물.
  2. 제1항의 액상비료 조성물이 연황갈색 색택과 점도 150cps 인 것이 특징인 드론 살포용 서스펜션 기능성 액상비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59941A 2021-05-10 2021-05-10 드론살포용 서스펜션 기능성 액상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1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941A KR102617619B1 (ko) 2021-05-10 2021-05-10 드론살포용 서스펜션 기능성 액상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941A KR102617619B1 (ko) 2021-05-10 2021-05-10 드론살포용 서스펜션 기능성 액상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703A KR20220152703A (ko) 2022-11-17
KR102617619B1 true KR102617619B1 (ko) 2023-12-27

Family

ID=8423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941A KR102617619B1 (ko) 2021-05-10 2021-05-10 드론살포용 서스펜션 기능성 액상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6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6246A (ja) * 2015-04-20 2018-06-21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肥料農薬製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4702A (ja) * 1982-01-21 1983-07-25 Kumiai Chem Ind Co Ltd 水中懸濁型農薬製剤
KR100761889B1 (ko) 2006-04-05 2007-10-04 김진철 친환경 살균, 살충, 비료의 효능을 갖는 액상수화유황과그 제조방법 및 그 이용방법
KR101119712B1 (ko) 2009-04-28 2012-03-23 제이아그로 주식회사 칼슘의 흡수와 영양경로에서의 이동성을 증대시킨 액상비료조성물
JP6293584B2 (ja) 2013-06-19 2018-03-14 花王株式会社 石膏用液体分散剤組成物
KR20170082347A (ko) 2016-01-06 2017-07-14 농업회사법인 제이아그로 주식회사 작물의 생리활성용 액상비료조성물
KR101865462B1 (ko) 2016-05-09 2018-06-07 김성진 농약 살포용 드론
KR20180111073A (ko) 2017-03-31 2018-10-11 농업회사법인 더나투라(주) 액상규산염 비료 조성물 및 액상규산염 비료의 제조방법
KR101844414B1 (ko) 2017-11-07 2018-04-02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농약 살포용 드론과 이를 이용한 농약살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6246A (ja) * 2015-04-20 2018-06-21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肥料農薬製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703A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528B1 (ko) 음식물 쓰레기등의 유기질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EP3260437B1 (en) Acid composition based on leonardite and amino acids
CN107417467A (zh) 一种绿色提质水溶性肥料及其制备方法
CN107721601A (zh) 一种有机肥的制作工艺
CN102674933A (zh) 一种生物有机复混肥
CN104649820A (zh) 一种木菠萝专用肥料的制备方法
CN108456061A (zh) 一种抗病害促吸收安全稳定叶面肥及其制备方法
CN104692923A (zh) 一种木菠萝专用肥料
CN105367238A (zh) 沃柑专用有机复混肥及其制备方法
CN106747949A (zh) 一种苗木花卉种植用培养基及其制备方法
KR102617619B1 (ko) 드론살포용 서스펜션 기능성 액상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910576A (zh) 提高桑树桑叶产量和质量的有机无机复混肥
CN112674100A (zh) 一种28-高芸苔素内酯、氯吡脲混配的作物生长调节剂及其应用
KR20200084977A (ko) 액상 규산염으로부터 산성 액상 규산의 제조 방법
CN105061110A (zh) 一种桉树专用复混肥料及其制备方法
CN112998019A (zh) 一种28-高芸苔素内酯与胺鲜酯混配开发方法
CN112715551A (zh) 一种28-高芸苔素内酯、乙烯利混配的作物生长调节剂及其应用
CN110483208A (zh) 一种有机水溶壳聚糖功能性肥料
CN102199060A (zh) 烟草用功能有机肥的生产方法
KR20010097881A (ko) 1자형 고체 비료의 제조방법
KR100420449B1 (ko) 유기농산물용 비료
CN112358354B (zh) 一种黄花菜水肥一体化种植的保蕾专用肥及其制备方法
CN112674099A (zh) 一种28-高芸苔素内酯与吲哚乙酸混配的作物生长调节剂或农药及其应用
CN103583539A (zh) 噻苯隆水分散粒剂及制备方法与应用
CN101712582A (zh) 一种有机无机高效全素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