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526B1 -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526B1
KR102617526B1 KR1020210059021A KR20210059021A KR102617526B1 KR 102617526 B1 KR102617526 B1 KR 102617526B1 KR 1020210059021 A KR1020210059021 A KR 1020210059021A KR 20210059021 A KR20210059021 A KR 20210059021A KR 102617526 B1 KR102617526 B1 KR 102617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information
vacant
empty
esti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1802A (ko
Inventor
이원형
조은래
임현성
Original Assignee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국토정보공사 filed Critical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to KR102021005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52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특정 지역의 건물에너지 정보, 상수도 정보, 건축물속성 정보, 소유자 정보, 항공영상, 토지정보, 근린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빈집 데이터를 수집하는 빈집 데이터 수집부; 빈집추정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빈집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빈집 추정부; 상기 빈집 추정 정보에 따른 현장조사 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빈집의 현황정보를 실시간 갱신하고 기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빈집별 등급을 결정하는 빈집현황 관리부; 및 상기 빈집 데이터, 상기 빈집 추정 정보 및 상기 빈집별 등급에 관한 현황정보를 DB화 하고 상기 현황정보를 공간 차원에서 조회, 분석 및 시각화 하여 제공하는 현황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VACANT HOUSE INFORMATION SYSTEM AND VACANT HOUS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본 발명은 빈집 정비계획 수립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자체별 빈집 실태조사, 관리, 정책수립 지원을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시 문제는 사회가 다양해지면서 생활 주변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구체적으로, 구도심의 쇠퇴와 공동화, 도시 개발과 신도시 개발에 따른 인구와 고용의 이동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도시의 노후에 따른 근린 생활환경의 생활편익 시설 기능이 새로운 젊은 주거 세대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켜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기존 구도심 회피 현상과 함께 기존 구도심 주민의 생활권 이탈로 도심 공동화와 함께 빈집이 대거 발생하고 방치되어 새로운 도시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전국적으로 농촌 도시를 구분하지 않고 빈집의 발생률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지역사회의 크고 작은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미국 범죄학자 제임스 윌슨과 조지 켈링의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은 사회 무질서에 관한 이론으로 빈집의 장기 방치 시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 것이다. 빈집에 대하여 유리창이 깨진 빈집과 유리창이 깨지지 않은 빈집을 실험 대상으로 방치했을 때 나타나는 사회적 현상을 연구한 결과 깨진 유리창을 방지하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범죄가 확산되기 시작하며 도심 속의 무질서를 유발하는 효과를 만들고 또 다른 빈집을 양성할 수 있는 현상의 이론이다. 따라서, 추가적인 범죄를 예방하기 위하여 빈집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1773호 (2019.08.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자체별 빈집 실태조사, 관리, 정책수립 지원을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빈집 추정대상 추출과 건축물 및 토지의 기본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빈집 실태조사의 합리적 지원과 실태조사 수행 이후 현황정보 관리 등 빈집 정보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하며, 빈집 소재 지역, 부지면적, 주변환경, 접도조건 등의 근린환경을 분석하여 빈집 활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빈집 정보 시스템은 특정 지역의 건물에너지 정보, 상수도 정보, 건축물속성 정보, 소유자 정보, 항공영상, 토지정보, 근린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빈집 데이터를 수집하는 빈집 데이터 수집부; 빈집추정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빈집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빈집 추정부; 상기 빈집 추정 정보에 따른 현장조사 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빈집의 현황정보를 실시간 갱신하고 기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빈집별 등급을 결정하는 빈집현황 관리부; 및 상기 빈집 데이터, 상기 빈집 추정 정보 및 상기 빈집별 등급에 관한 현황정보를 DB화 하고 상기 현황정보를 공간 차원에서 조회, 분석 및 시각화 하여 제공하는 현황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빈집 추정부는 상기 빈집 데이터를 기초로 기 설정된 추정기준을 충족하는 후보 빈집들을 결정하고, 상기 후보 빈집들의 지번을 이용하여 연속지적도 상에서 매칭하고, 상기 매칭에 성공한 제1 후보 빈집과 상기 매칭에 실패한 제2 후보 빈집으로 분류하며, 상기 제1 후보 빈집에 도로명주소 건물 DB를 매칭하여 건물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빈집 추정부는 상기 건물에너지 정보 중 전기 사용량을 기초로 제1 추정기준을 초과하고 제3 추정기준 이하인 세대를 위험 빈집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기 사용량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위험 빈집의 거주 인원을 예측하며, 상기 위험 빈집의 근린생활 영역을 지정하고, 상기 위험 빈집의 거주 인원과 상기 근린생활 영역 내의 빈집 분포, 노후·불량 주택 분포, 필지 현황, 도로접근성, 경사도, 인구·사회 특성 및 주택 시장 현황을 다차원 분석하여 상기 위험 빈집의 빈집 위험도 및 빈집 예상 시기를 각각 결정하며, 상기 빈집 위험도 및 상기 빈집 예상 시기가 빈집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해당 위험 빈집에 도로명주소 건물 DB를 매칭하여 건물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빈집현황 관리부는 상기 빈집 추정 정보와 상기 현장조사 결과 간의 차이를 수치화 하고 해당 수치화 결과를 상기 현황정보에 반영하며, 상기 현황정보 제공부는 상기 해당 수치화 결과와 상기 빈집별 등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공간 차원의 조회, 분석 및 시각화 과정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 빈집현황 관리부는 상기 해당 수치화 결과에 따른 가중치를 상기 등급 기준 별로 적용하여 상기 빈집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빈집현황 관리부는 상기 빈집 추정 정보와 상기 현장조사 결과를 기초로 상기 해당 빈집의 근린생활 영역 내의 빈집 분포, 노후·불량 주택 분포, 필지 현황, 도로접근성, 경사도, 인구·사회 특성 및 주택 시장 현황을 차원 별로 비교하여 상기 해당 수치화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현황정보 제공부는 상기 차원 별로 상기 해당 수치화 결과에 관한 시각화 맵을 생성하고, 상기 시각화 맵은 상기 빈집 추정 정보에 관한 제1 레이어와 상기 현장조사 결과에 관한 제2 레이어 간의 중첩을 통해 도출되며, 상기 차원 별로 독립된 가중치가 적용된 결과 상기 제1 및 제2 레이어 각각의 투명도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빈집 정보 제공 방법은 특정 지역의 건물에너지 정보, 상수도 정보, 건축물속성 정보, 소유자 정보, 항공영상, 토지정보, 근린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빈집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빈집추정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빈집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빈집 추정 정보에 따른 현장조사 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빈집의 현황정보를 실시간 갱신하고 기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빈집별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빈집 데이터, 상기 빈집 추정 정보 및 상기 빈집별 등급에 관한 현황정보를 DB화 하고 상기 현황정보를 공간 차원에서 조회, 분석 및 시각화 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은 지자체별 빈집 실태조사, 관리, 정책수립 지원을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은 빈집 추정대상 추출과 건축물 및 토지의 기본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빈집 실태조사의 합리적 지원과 실태조사 수행 이후 현황정보 관리 등 빈집 정보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하며, 빈집 소재 지역, 부지면적, 주변환경, 접도조건 등의 근린환경을 분석하여 빈집 활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빈집 정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빈집 정보 제공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빈집 정보 제공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빈집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빈집 현황정보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빈집은 법률적으로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또는 자치구의 구청장이 거주 또는 사용 여부를 확인한 날부터 1년 이상 아무도 거주 또는 사용하지 아니하는 주택에 해당하며, 미분양주택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택은 제외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환경에 따라 빈집의 정의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빈집 정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빈집 정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빈집 정보 시스템(100)을 이용하고 빈집 관련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빈집 정보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다양한 분석 정보를 수신하여 활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빈집 현황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와 연결되어 동작 가능한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와 연동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은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는 빈집 정보를 구축하고 빈집 현황정보를 공간 차원에서 조회, 분석 및 시각화 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빈집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빈집 추정 정보 및 현황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가 빈집 용도 추천을 포함하여 빈집 현황정보 분석 및 제공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빈집 정보 제공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빈집 정보 제공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는 빈집 데이터 수집부(310), 빈집 추정부(330), 빈집현황 관리부(350), 현황정보 제공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빈집 데이터 수집부(310)는 특정 지역의 건물에너지 정보, 상수도 정보, 건축물속성 정보, 소유자 정보, 항공영상, 토지정보, 근린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빈집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빈집 데이터 수집부(310)는 다양한 방식으로 특정 지역에 대한 빈집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건물에너지 정보는 해당 지역의 전기, 가스 등을 포함하는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세대별, 건물별, 월별, 분기별 등 통계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수도 정보는 수도 사용량, 상수도 요금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축물속성 정보는 건축물 용도, 건립시기, 층수, 세대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린시설 정보는 시설별 용도, 공간분포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빈집 데이터 수집부(310)는 수집된 빈집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집 데이터 수집부(310)는 빈집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비정상적인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빈집 데이터를 유형 별로 분류하고 정제할 수 있다.
빈집 추정부(330)는 빈집추정 알고리즘을 기초로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빈집 추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빈집 추정부(330)는 빈집 데이터 수집부(310)에 의해 수집된 빈집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빈집추정 알고리즘은 다양한 빈집 데이터들을 각 차원 별로 분석하여 빈집 가능성이 높은 세대를 빈집으로 추정할 수 있다. 빈집추정 알고리즘은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통계적 모델이 적용될 수도 있다. 빈집 추정부(330)에 의해 추정된 빈집 추정 정보는 이후 단계에서 빈집 현황에 관한 DB 구축 또는 빈집 분석 과정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빈집 추정부(330)는 빈집 데이터를 기초로 기 설정된 추정기준을 충족하는 후보 빈집들을 결정하고, 후보 빈집들의 지번을 이용하여 연속지적도 상에서 매칭하고, 매칭에 성공한 제1 후보 빈집과 매칭에 실패한 제2 후보 빈집으로 분류하며, 제1 후보 빈집에 도로명주소 건물 DB를 매칭하여 건물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먼저 빈집 추정부(330)는 세대별 전기 사용량을 기준으로 특정 기간 동안 전기 사용량이 거의 없는 세대를 후보 빈집으로 결정하여 이후 단계에서 빈집 추정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후보 빈집은 빈집 데이터에 기초하여 빈집일 확률이 높은 것으로 예비적으로 결정된 세대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빈집 추정부(330)는 통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경우 세대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에너지 사용량을 기준으로 후보 빈집을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집 추정부(330)는 전기 사용량, 상수도 사용량 및 도시가스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추정기준 이하인 세대를 후보 빈집으로 결정할 수 있다. 빈집 데이터에는 다양한 에너지 사용량이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기 사용량, 상수도 사용량 및 도시가스 사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빈집 추정부(330)는 각 에너지 사용량 별로 후보 빈집 결정을 위한 제1 추정기준을 독립적으로 설정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추정기준은 빈집에서 발생 가능한 통상적인 에너지 사용량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빈집 추정부(330)는 복수의 에너지 사용량들을 동시에 이용하여 후보 빈집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빈집 추정부(330)는 전기 및 상수도 사용량 모두가 기 설정된 제1 추정기준 이하인 경우에만 후보 빈집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빈집 추정부(330)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에너지 사용량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빈집 추정부(330)는 특정 후보 빈집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 이내의 비교 영역을 정의하고, 비교 영역 내에 존재하는 세대들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며, 특정 후보 빈집의 사용량과 평균 사용량 간의 차이가 제2 추정기준 이하인 특정 후보 빈집을 후보 빈집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때, 비교 영역은 빈집 후보 결정을 위해 평균적인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고자 하는 범위 영역으로서 각 후보 빈집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제2 추정기준은 평균 사용량에 대한 편차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빈집 추정부(330)는 후보 빈집들의 지번을 이용하여 연속지적도 상에서 매칭하고, 매칭 여부에 따라 제1 후보 빈집과 제2 후보 빈집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매칭에 실패한 제2 후보 빈집의 경우 이후 분석 과정에서 제외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빈집 추정부(330)는 제1 후보 빈집에 도로명주소 건물 DB를 매칭하여 건물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빈집 추정부(330)는 건물에너지 정보 중 전기 사용량을 기초로 제1 추정기준을 초과하고 제3 추정기준 이하인 세대를 위험 빈집으로 결정하고, 전기 사용량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위험 빈집의 거주 인원을 예측하며, 위험 빈집의 근린생활 영역을 지정하고, 위험 빈집의 거주 인원과 근린생활 영역 내의 빈집 분포, 노후·불량 주택 분포, 필지 현황, 도로접근성, 경사도, 인구·사회 특성 및 주택 시장 현황을 다차원 분석하여 위험 빈집의 빈집 위험도 및 빈집 예상 시기를 각각 결정하며, 빈집 위험도 및 빈집 예상 시기가 빈집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해당 위험 빈집에 도로명주소 건물 DB를 매칭하여 건물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빈집 추정부(330)는 건물에너지 정보 중 전기 사용량을 기초로 제1 추정기준을 초과하고 제3 추정기준 이하인 세대를 위험 빈집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험 빈집은 현재는 빈집이 아니지만 가까운 미래에 빈집이 될 가능성이 높은 세대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위험 빈집은 빈집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세대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빈집은 세대원 수가 1명 또는 2명인 집에 해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 사용량이 평균 이하인 세대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추정기준은 세대원 수가 1 명 또는 2명인 세대들의 평균 전기 사용량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빈집 추정부(330)는 전기 사용량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위험 빈집의 거주 인원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집 추정부(330)는 월별, 주별 및 일별 전기 사용량 등 전기 에너지에 관한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위험 빈집의 거주 인원을 예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빈집 추정부(330)는 위험 빈집의 근린생활 영역을 지정하고, 위험 빈집의 거주 인원과 근린생활 영역 내의 빈집 분포, 노후·불량 주택 분포, 필지 현황, 도로접근성, 경사도, 인구·사회 특성 및 주택 시장 현황을 다차원 분석하여 위험 빈집의 빈집 위험도 및 빈집 예상 시기를 각각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집 추정부(330)는 위험 빈집을 중심으로 400m 이내의 영역을 근린생활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빈집 추정부(330)는 위험 빈집의 거주 인원과 근린생활 영역 내의 빈집 분포, 노후·불량 주택 분포, 필지 현황, 도로접근성, 경사도, 인구·사회 특성 및 주택 시장 현황을 각각의 차원들로 정의한 후 해당 차원들 각각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으며, 등급화된 차원값들을 이용하여 위험 빈집의 빈집 위험도와 빈집 예상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빈집 추정부(330)는 빈집 위험도 및 빈집 예상 시기가 빈집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해당 위험 빈집에 도로명주소 건물 DB를 매칭하여 건물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빈집 조건은 현재 빈집은 아니지만 빈집 위험도가 높고 빈집 예상 시기가 짧은 세대를 빈집과 동일하게 처리하기 위한 경계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빈집 추정부(330)는 빈집 조건을 설정하고 해당 빈집 조건을 충족하는 위험 빈집들을 빈집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여 이후 단계에서의 빈집 분석 과정에 반영시킬 수 있다.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빈집 추정 정보에 따른 현장조사 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빈집의 현황정보를 실시간 갱신하고 기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빈집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빈집 추정부(330)에 의해 추정된 빈집 추정 정보를 기초로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된 현장조사 결과를 현황정보에 반영하여 갱신할 수 있다. 각 지자체의 빈집 관리 담당자는 빈집 추정 정보에 기초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방문, 유선 상담, 측량, 영상촬영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빈집 정보 시스템(100)에 입력할 수 있다.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과거에 수행된 빈집 추정과 현장 조사 결과를 순차적으로 기록할 수 있고, 히스토리 분석 기능을 제공하여 빈집 변화 과정에 대한 추적 및 분석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빈집 추정 정보와 현장조사 결과 간의 차이를 수치화 하고 해당 수치화 결과를 현황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된 빈집 현황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빈집 추정부(330)에 의해 추정된 예측정보와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된 실제정보 간의 차이를 각 요소 별로 산출하여 빈집 현황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빈집에 관한 예측과 실제 정보들 사이의 오차 정보는 이후 빈집 분석 과정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해당 수치화 결과에 따른 가중치를 등급 기준 별로 적용하여 빈집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빈집 추정 정보와 현장조사 결과의 각 파라미터 별로 수치화 하여 표현할 수 있고, 수치값들 간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각 파라미터에 대해 빈집 발생 요인과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독립적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각 파라미터에 부여된 가중치를 각 파라미터의 수치값에 적용한 후 이를 통합하여 빈집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현황정보 제공부(370)는 빈집 데이터, 빈집 추정 정보 및 빈집별 등급에 관한 현황정보를 DB화 하고 현황정보를 공간 차원에서 조회, 분석 및 시각화 하여 제공할 수 있다. 현황정보 제공부(370)는 자자체 별로 수집된 빈집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여 통합 DB를 구축할 수 있다. 현황정보 제공부(370)는 DB화 된 현황정보를 기반으로 공간 차원의 조회, 분석 및 시각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전용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황정보 제공부(370)에 의해 구축된 통합 DB는 빈집 분석, 빈집 정비계획 수립 및 빈집 예방 등의 다양한 정책 수립 과정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황정보 제공부(370)는 빈집 추정 정보와 현장조사 결과를 기초로 해당 빈집의 근린생활 영역 내의 빈집 분포, 노후·불량 주택 분포, 필지 현황, 도로접근성, 경사도, 인구·사회 특성 및 주택 시장 현황을 차원 별로 비교하여 해당 수치화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근린생활 영역은 빈집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 이내의 영역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해당 빈집의 활용에 영향을 받거나 또는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효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린생활 영역은 빈집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400m 이내의 영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
한편, 근린생활 영역 내의 빈집 분포, 노후·불량 주택 분포, 필지 현황, 도로접근성, 경사도, 인구·사회 특성 및 주택 시장 현황은 크게 인구 요인, 경제 요인, 주거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근린생활 영역 내에서 빈집의 생활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요인들에 해당할 수 있다. 현황정보 제공부(370)는 각 차원 별로 수치화 결과를 기반으로 특징 벡터를 생성하여 공간 분석을 학습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즉, 현황정보 제공부(370)는 지자체 별로 수집된 빈집 관련 빅데이터 정보를 기초로 빈집 현황정보에 관한 특징 벡터들을 학습 데이터로서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학습하여 빈집 추정, 위험도 예측, 등급 분류 등의 다양한 분석에 활용 가능한 학습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황정보 제공부(370)는 차원 별로 해당 수치화 결과에 관한 시각화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시각화 맵은 빈집 추정 정보에 관한 제1 레이어와 현장조사 결과에 관한 제2 레이어 간의 중첩을 통해 도출되며, 차원 별로 독립된 가중치가 적용된 결과 제1 및 제2 레이어 각각의 투명도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황정보 제공부(370)는 차원 별 수치값을 등급화 하고 각 등급 별로 색상을 부여하여 빈집 현황에 관한 시각화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시각화 맵은 복수의 레이어들을 중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제1 레이어는 빈집 추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고, 제2 레이어는 현장조사 결과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으며, 시각화 맵은 제1 및 제2 레이어들을 상호 중첩시킨 결과로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차원 별 수치값의 고저에 따라 가중치가 차등적으로 부여될 수 있고, 전체 차원들에 대한 통합 가중치를 기초로 각 레이어의 투명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차원들로 정의되는 차원 별 수치값이 각각 빈집 추정 정보와 현장조사 결과로 도출된 경우, 제1 차원의 경우 빈집 추정 정보의 수치값이 현장조사 결과의 수치값보다 높으면 빈집 추정 정보에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차원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상대적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대적 가중치는 수치값 간의 차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빈집 추정 정보 및 현장조사 결과에 대해 각각 제1 내지 제3 차원들의 가중치가 합산되면 현황정보 제공부(370)는 최종 합산 결과에 따라 각 레이어의 투명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빈집 데이터 수집부(310), 빈집 추정부(330), 빈집현황 관리부(350) 및 현황정보 제공부(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빈집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는 빈집 데이터 수집부(310)를 통해 특정 지역의 건물에너지 정보, 상수도 정보, 건축물속성 정보, 소유자 정보, 항공영상, 토지정보, 근린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빈집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단계 S410).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는 빈집 추정부(330)를 통해 빈집추정 알고리즘을 기초로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빈집 추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는 빈집현황 관리부(350)를 통해 빈집 추정 정보에 따른 현장조사 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빈집의 현황정보를 실시간 갱신하고 기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빈집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50).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는 현황정보 제공부(370)를 통해 빈집 데이터, 빈집 추정 정보 및 빈집별 등급에 관한 현황정보를 DB화 하고 현황정보를 공간 차원에서 조회, 분석 및 시각화 하여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7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빈집 현황정보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빈집 정보 제공 장치(130)는 빈집현황 관리부(350)를 통해 빈집 추정 정보에 따른 현장조사 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빈집의 현황정보를 실시간 갱신할 수 있다.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빈집 추정 정보와 현장조사 결과를 기초로 해당 빈집의 근린생활 영역 내의 빈집 분포, 노후·불량 주택 분포, 필지 현황, 도로접근성, 경사도, 인구·사회 특성 및 주택 시장 현황을 차원 별로 비교하여 해당 수치화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근린생활 영역에 관한 빈집 분포, 노후·불량 주택 분포 등은 차원 기준(51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차원 별로 해당 수치화 결과에 관한 시각화 맵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빈집 추정 정보와 현장조사 결과에 대해 각 차원 별로 독립된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차원 기준(510) 별로 수치값의 고저에 따라 빈집 추정 정보와 현장조사 결과에 대한 가중치(w1, w2)를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각 차원 기준(510)에 대한 통합 가중치를 기초로 각 레이어의 투명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의 경우, 빈집 추정 정보의 통합 가중치는 33이고, 현장조사 결과의 통합 가중치는 32이므로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각 정보에 대응되는 레이어의 투명도를 각각 0.67, 0.68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빈집현황 관리부(350)는 통합 가중치가 더 높은 빈집 추정 정보의 투명도를 더 낮도록 설정하여 시각화 맵에서는 현장조사 결과보다 더 잘 표현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빈집 정보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빈집 정보 제공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빈집 데이터 수집부 330: 빈집 추정부
350: 빈집현황 관리부 370: 현황정보 제공부
390: 제어부
510: 차원 기준

Claims (8)

  1. 특정 지역의 건물에너지 정보, 상수도 정보, 건축물속성 정보, 소유자 정보, 항공영상, 토지정보, 근린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빈집 데이터를 수집하는 빈집 데이터 수집부;
    빈집추정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빈집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빈집 추정부;
    상기 빈집 추정 정보에 따른 현장조사 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빈집의 현황정보를 실시간 갱신하고 기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빈집별 등급을 결정하는 빈집현황 관리부; 및
    상기 빈집 데이터, 상기 빈집 추정 정보 및 상기 빈집별 등급에 관한 현황정보를 DB화 하고 상기 현황정보를 공간 차원에서 조회, 분석 및 시각화 하여 제공하는 현황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빈집 추정부는
    상기 건물에너지 정보 중 전기 사용량을 기초로 제1 추정기준을 초과하고 제3 추정기준 이하인 세대를 위험 빈집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기 사용량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위험 빈집의 거주 인원을 예측하며,
    상기 위험 빈집의 근린생활 영역을 지정하고,
    상기 위험 빈집의 거주 인원과 상기 근린생활 영역 내의 빈집 분포, 노후·불량 주택 분포, 필지 현황, 도로접근성, 경사도, 인구·사회 특성 및 주택 시장 현황을 다차원 분석하여 상기 위험 빈집의 빈집 위험도 및 빈집 예상 시기를 각각 결정하며,
    상기 빈집 위험도 및 상기 빈집 예상 시기가 빈집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해당 위험 빈집에 도로명주소 건물 DB를 매칭하여 건물 주소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집 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집 추정부는
    상기 빈집 데이터를 기초로 기 설정된 추정기준을 충족하는 후보 빈집들을 결정하고, 상기 후보 빈집들의 지번을 이용하여 연속지적도 상에서 매칭하고, 상기 매칭에 성공한 제1 후보 빈집과 상기 매칭에 실패한 제2 후보 빈집으로 분류하며, 상기 제1 후보 빈집에 도로명주소 건물 DB를 매칭하여 건물 주소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집 정보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집현황 관리부는 상기 빈집 추정 정보와 상기 현장조사 결과 간의 차이를 수치화 하고 해당 수치화 결과를 상기 현황정보에 반영하며,
    상기 현황정보 제공부는 상기 해당 수치화 결과와 상기 빈집별 등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공간 차원의 조회, 분석 및 시각화 과정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집 정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빈집현황 관리부는
    상기 해당 수치화 결과에 따른 가중치를 상기 등급 기준 별로 적용하여 상기 빈집별 등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집 정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빈집현황 관리부는
    상기 빈집 추정 정보와 상기 현장조사 결과를 기초로 상기 해당 빈집의 근린생활 영역 내의 빈집 분포, 노후·불량 주택 분포, 필지 현황, 도로접근성, 경사도, 인구·사회 특성 및 주택 시장 현황을 차원 별로 비교하여 상기 해당 수치화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집 정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황정보 제공부는
    상기 차원 별로 상기 해당 수치화 결과에 관한 시각화 맵을 생성하고, 상기 시각화 맵은 상기 빈집 추정 정보에 관한 제1 레이어와 상기 현장조사 결과에 관한 제2 레이어 간의 중첩을 통해 도출되며, 상기 차원 별로 독립된 가중치가 적용된 결과 상기 제1 및 제2 레이어 각각의 투명도가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집 정보 시스템.
  8. 빈집 정보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빈집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빈집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특정 지역의 건물에너지 정보, 상수도 정보, 건축물속성 정보, 소유자 정보, 항공영상, 토지정보, 근린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빈집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빈집 추정부를 통해, 빈집추정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빈집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빈집현황 관리부를 통해, 상기 빈집 추정 정보에 따른 현장조사 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빈집의 현황정보를 실시간 갱신하고 기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빈집별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현황정보 제공부를 통해, 상기 빈집 데이터, 상기 빈집 추정 정보 및 상기 빈집별 등급에 관한 현황정보를 DB화 하고 상기 현황정보를 공간 차원에서 조회, 분석 및 시각화 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빈집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에너지 정보 중 전기 사용량을 기초로 제1 추정기준을 초과하고 제3 추정기준 이하인 세대를 위험 빈집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기 사용량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위험 빈집의 거주 인원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위험 빈집의 근린생활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 빈집의 거주 인원과 상기 근린생활 영역 내의 빈집 분포, 노후·불량 주택 분포, 필지 현황, 도로접근성, 경사도, 인구·사회 특성 및 주택 시장 현황을 다차원 분석하여 상기 위험 빈집의 빈집 위험도 및 빈집 예상 시기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빈집 위험도 및 상기 빈집 예상 시기가 빈집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해당 위험 빈집에 도로명주소 건물 DB를 매칭하여 건물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집 정보 제공 방법.
KR1020210059021A 2021-05-07 2021-05-07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 KR102617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21A KR102617526B1 (ko) 2021-05-07 2021-05-07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21A KR102617526B1 (ko) 2021-05-07 2021-05-07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802A KR20220151802A (ko) 2022-11-15
KR102617526B1 true KR102617526B1 (ko) 2023-12-27

Family

ID=8404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021A KR102617526B1 (ko) 2021-05-07 2021-05-07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5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73B1 (ko) * 2019-02-15 2019-08-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빈집 활용성 평가 방법,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73B1 (ko) * 2019-02-15 2019-08-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빈집 활용성 평가 방법,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802A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 et al. A data-driven approach to optimize urban scale energy retrofit decisions for residential buildings
Cavalieri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social losses based on physical damage and interaction with infrastructural systems
Seyrfar et al. Data-driven approach for evaluating the energy efficiency in 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s
Grussing et al. Discrete Markov approach for building component condition, reliability, and service-life prediction modeling
He et al. A framework of identifying critical water distribution pipelines from recovery resilience
Yu et al. Improving emergency preparedness to cascading disasters: A case‐driven risk ontology modelling
Lin et al. Predictive analytics for building power demand: Day-ahead forecasting and anomaly prediction
KR100760625B1 (ko)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318017B1 (ko) 빈집 관리분석 및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617526B1 (ko) 빈집 정보 시스템 및 빈집 정보 제공 방법
Zhang et al. ARIMA Model‐Based Fire Rescue Prediction
Alrobaie et al.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building energy prediction (MVBEP): An interpretable data-driven model development and analysis framework
KR102499435B1 (ko) 인공 지능 기반 신용 평가 모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480518B1 (ko) 신용평가 모델 업데이트 또는 교체 방법 및 장치
Feijoo-Martinez et al. Event analysis on power communication networks with big data for maintenance forms
Yang et al. Configuration, deployment, and scheduling models for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patrol services
Liu et al. A data mining method for potential fire hazard analysis of urban buildings based on Bayesian network
KR20200019284A (ko) 에너지 빅데이터 수집에 기반한 에너지 분석 및 솔루션 제시 플랫폼을 위한 방법
Chen et al. Optimizing cluster selections for the replacement planning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Assaf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heat resilience index: Measuring communities resilience to extreme heat events
KR102617525B1 (ko) 빈집 정비계획 수립 방법 및 장치
KR102654056B1 (ko) 모바일을 활용한 빈집 실태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7269A (ko) 행위자 기반 주거이동 시뮬레이션 방법 및 이의 기록매체
KR102617527B1 (ko) 거래망체계구축을 위한 빈집 거래 시스템 및 빈집 거래 방법
KR102617524B1 (ko) 에너지 데이터를 활용한 빈집추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