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245B1 -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245B1
KR102617245B1 KR1020230123489A KR20230123489A KR102617245B1 KR 102617245 B1 KR102617245 B1 KR 102617245B1 KR 1020230123489 A KR1020230123489 A KR 1020230123489A KR 20230123489 A KR20230123489 A KR 20230123489A KR 102617245 B1 KR102617245 B1 KR 102617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video content
module
history information
pack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정민
김윤겸
Original Assignee
현정민
김윤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정민, 김윤겸 filed Critical 현정민
Priority to KR102023012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을 이용한 식품 판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은 동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사전에 제작된 다수의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 받는, 업로드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Video content-based food sales system}
본 발명은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은 우리 모두의 바람이다. 그래서 건강에 좋다는 건강기능식품, 비타민, 보약 등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 조상들은 식사가 보약이라고 하였는데 정말 건강 증진에 가장 중요한 것은 세끼 식사의 내용이다. 우리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면서도 우리 건강을 지켜주는 식품들이 많이 있다. 음식은 우리의 몸이자, 마음이라고 표현하는 것도 과언은 아니다. 현대인의 다양한 욕구와 기호에 맞춰 늘 색다르고 차별화된 제품을 선보여야 하는 식품업계는 '웰빙'이 소비자들의 중요한 생활양식으로 자리 잡으면서 건강한 '먹을거리'에 관심을 쏟고 있다.
미국 시사 주간지 타임(Time)은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토마토, 시금치, 적포도주, 견과류, 브로콜리, 귀리, 연어, 마늘, 녹차, 블루베리 등 10가지를 추천하였다. 또한 색(色)을 가진 식품을 다양하게 섭취할 것을 권장하였다. 한편 미국 건강 전문 월간지 『헬스(Health)』는 2006년 3월호에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우리나라의 '김치', 일본의 '콩과 콩제품', 인도의 '렌즈콩', 그리스의 '요구르트', 스페인의 '올리브유'를 선정하여 발표하였다. 이 잡지는 한국의 김치는 각종 비타민과 유산균이 풍부하고 발효된 배추에는 암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소개했다. 여기에서는 '김치를 달걀과 토마토, 버섯 등을 섞어 스크램블 에그(scrambled egg)로 아침식사를 하는 것도 좋다'고 추천했다. 또한 콩은 암과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데 좋으며, 인도의 말린 콩인 렌즈콩은 단백질과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섬유질이 풍부하다. 요구르트는 면역성을 증진시키고 뼈를 튼튼하게 하며, 올리브유는 심장병 예방에 좋다고 했다.
「조선일보」는 '한국인의 슈퍼푸드 10'으로 비싸고 귀한 음식은 아니지만 몸에는 약처럼 좋은 음식으로 쥐눈이콩, 올리브유, 해조류, 와인, 식초, 솔, 버섯, 마늘, 김치, 매실 등 열 가지 식품을 선정하여 2006년에 신문에 연재한 바 있다. 영양학의 권위자인 스티븐 프랫(Steven G. Pratt) 박사는 그의 저서 『슈퍼푸드(super foods) 』에서 건강에 좋은 14가지의 슈퍼푸드 목록을 제시하였다. 즉 브로콜리, 토마토, 호박, 연어, 호두, 달걀, 시금치, 블루베리, 귀리, 녹차, 오렌지, 콩, 칠면조, 요구르트 등이다.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탁월한 음식을 뜻하는 슈퍼푸드가 진화하고 있다. 토마토, 시금치, 오렌지 등 다양한 슈퍼푸드를 이용한 과자 · 아이스크림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브로콜리의 새싹으로 만든 크래커, 단호박으로 만든 스낵, 요구르트가 들어간 아몬드볼, 오렌지와 통곡물이 그대로 씹히는 시리얼바, 귀리가 들어간 초코바 등 고급 원료인 슈퍼푸드 간의 조화를 통해 새로운 맛을 선보이면서 영양소 간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우리나라 보건복지부 · 국민건강보험공단 · 한국방송공사(KBS)가 권장하는 '한국인이 꼭 먹어야 할 10대 밥상(식품)'으로 마늘, 고등어, 호두, 버섯, 보리, 부추, 김, 달걀, 풋고추, 콩 등을 선정했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균형 잡힌 식생활과 규칙적인 운동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현대인의 생활에서 매일 세끼 식사를 균형 잡힌 식단으로 하기는 어렵다. 또한 패스트푸드, 인스턴트 식품 섭취와 외식 기회가 급증하는 추세이므로 비타민이나 무기질 섭취가 부족하게 된다. '건강기능식품'은 이처럼 일상 식생활에서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와 생리활성 물질을 보충해 주어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정의를 내린 법률이 2008년 3월 개정 · 공포되면서 지금까지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캅셀'의 6개 제형에만 국한되었던 것이 일반 식품 등 어떤 형태로든지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소비자는 건강기능식품을 손쉽게 접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유통시장도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건강기능식품은 일반식품과는 달리 기능성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 · 가공된 식품으로 다양한 식품 형태에 들어간 기능성 원료는 다빈도 혹은 중복 섭취로 인해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잘 관리되지 못하면 과다 섭취 등의 오 · 남용 및 부작용이 우려되므로 선진화된 평가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건강기능식품'과 소위 '건강식품'의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health functional food)은 식품의약품안전청(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으로부터 기능성과 안전성을 인증받은 것으로 철저히 관리된 제품인데 비해 건강식품은 전통적으로 건강에 좋다고 여겨져 널리 섭취된 식품을 일컫는다. 또한 '건강기능식품'과 '기타가공품'의 다른 점은 예를 들면, 홍삼정과 홍삼캔디, 홍삼 음료 등의 '기타가공품'은 홍삼 등을 원료로 제조 · 가공한 식품이며 '건강기능식품'의 홍삼제품도 홍삼을 원료로 사용한 것이다. '기타가공품'은 일반식품으로 분류되어 일상적인 식생활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기호의 목적으로 섭취한다.
한편, 바쁜 현대인들은 식단의 균형이 쉽게 깨질 수 있어 부족해지기 쉬운 성분들을 '건강기능식품'을 통하여 보충할 수 있다. 이에 건강기능식품에는 기능을 나타내는 성분이 신체에서 유용한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로 들어 있다. 하지만 '기타가공품'과 같은 일반식품에는 기능을 나타내는 성분이 낮게 들어있거나 식약청에서 인정한 기능성을 표시하지 못한다. 우리나라에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이 2004년에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철저한 품질 관리를 거친 안전한 건강기능식품이 소비자들에게 유통될 수 있도록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안전한 건강기능식품이 시장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식약청, 업계, 학계 그리고 소비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다.
부작용 또는 독성이 우려되는 78종의 원료는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없다. 78종의 사용금지 원료(2010년 현재)에는 마황과 같은 식물성 원료 33종, 맥각과 같은 동물성 원료 9종, 요힘빈과 같은 단일성분 31종, 기타 5종이 있다. 또한 비아그라의 실데나필과 같이 이미 허가된 의약품의 주성분도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없다.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는 매년 식약청의 연구사업을 통하여 확대하고 있다. 즉 외국에서 사용이 금지된 원료들과 새롭게 독성이 알려진 원료들에 대하여 안전성 검토를 통해 사용금지 원료가 계속 추가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는 식약청 고시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 등에 관한 규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에는 식약청이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에 따라 고시한 37가지 '고시형 품목'과 영업자가 식약청으로부터 그 안전성과 기능성에 대해 인정받은 '개별 인정형 품목'이 있다.
한편, 우리는 몸이 아프면 약을 먹던지, 기능성식품을 구매하여 복용하면서 치료하고자 한다. 그러나 내 몸은 다른 사람과 다르다는 점이 고려되지 못하고 제조자 중심으로 이미 제조된 획일화된 제품을 온라인 샵 또는 오프라인 샵에서 구입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즉, 소비자의 입장에서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 자신에게 꼭 맞는 마치 의사가 나를 위해 조제해 준 처방약처럼 자신에게 관련화된 그런 식품이 필요한 때이다. 어머니가 정성을 들여 가족을 위해 좋은 것을 아끼지 않고 음식에 넣어 밥상을 제공하듯이, 건강식품도 진열대 위에 진열된 것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아닌, 개별 소비자의 건강과 질병 및 질 환을 위해 내 몸에 꼭 맞는 건강식품을 온라인으로 주문하여 맞춤형으로 만들어 제공해 줄 수 있는 주문, 제조, 판매 방식이 필요한 때이다.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시대에 이들의 건강을 챙겨 줄 가족이 없어 질병, 질환, 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식품을 온라인으로 주문하고 구입하여 먹을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
히포크라테스는 음식으로 못 고치는 병은 약으로도 고칠 수 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자연에 분포되어 있는 과일, 야채, 해초, 열매, 씨앗 등 식재료들에 포함된 여러 유효성분들을 기반으로 각종 질병과 질환의 회복, 신체의 약한 부분과 건강을 강화할 수 있는 식재료들을 식품에 매칭시켜 이것들을 갖고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면 더없이 좋을 것이다.
종래 관련 분야 특허 기술로서, 고객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단계, 상기 고객의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상태 진단단계 및 상기 진단단계의 결과에 따른 식품 판매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인터넷 사이트 접속단계의 회원가입단계에서는 기본적인 신상자료 및 신체 각 부위의 치수, 혈액형, 가족 병력, 선호식품, 식생활 습관, 자각 증상 등을 기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관련 분야 특허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5681호에서 판매자 기반의 영상/상품 매칭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쉽게 접할 수 있는 동영상 컨텐츠를 통해 식품의 정보를 확인하고 영상 옆에 노출되는 연결링크를 통해 해당 식품을 바로 구매할 수 있는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은,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을 이용한 식품 판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은 동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사전에 제작된 다수의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 받는, 업로드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 중 추천수 또는 조회수가 높은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 목록을 추출하는, 컨텐츠목록 추출단계; 추출된 목록에 포함된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식품 판매 목록이 업로드되면, 사용자단말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식품 판매 목록을 제공하는, 식품판매목록 제공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 의해 주문 정보가 입력되고 주문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은 주문 정보에 포함된 식품의 배송을 요청하는, 배송요청단계; 및 배송 요청을 받은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의 중앙서버는 창고관리단말로 해당 식품 배송 요청을 전송하여 냉동창고에 보관된 판매 식품의 출하를 요청하는, 출하요청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냉동창고의 입구측 벽면에는 포장 완료된 식품의 외부를 최종 클리닝하는 포장제품클린모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장제품클린모듈은,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포장된 식품이 상기 하우징의 후단으로 삽입된 후 전단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후단으로부터 일측을 따라 전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포장식품이동부; 제2 이동롤러와 대향하며 상기 포장식품이동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이동롤러; 및 제1 이동롤러와 대향하며 상기 포장식품이동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이동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동롤러는, 이물질제거벨트의 후단 내향면을 지지하면서 제2 구동롤러와 대향하며 상기 포장식품이동부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구동롤러; 이물질제거벨트의 전단 내향면을 지지하면서 제1 구동롤러와 대향하며 상기 포장식품이동부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2 구동롤러; 및 후단이 제2 구동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전단이 제1 구동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하측의 외향면이 상기 포장식품이동부로 삽입된 포장된 식품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며 포장된 식품 외부 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쉽게 접할 수 있는 동영상 컨텐츠를 통해 식품의 정보를 확인하고 영상 옆에 노출되는 연결링크를 통해 해당 식품을 바로 구매할 수 있는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의 식품 판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창고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클린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의 식품 판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창고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클린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10)은,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을 이용한 식품 판매 방법에 있어서, 업로드단계(S100), 컨텐츠목록 추출단계(S200), 식품판매목록 제공단계(S300), 배송요청단계(S400) 및 출하요청단계(S500)를 포함하여 동영상 컨텐츠 기반 판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로드단계(S100)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은 동영상 제공자단말(400)로부터 사전에 제작된 다수의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목록 추출단계(S200)에서는, 상기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 중 추천수 또는 조회수가 높은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품판매목록 제공단계(S300)에서는, 추출된 목록에 포함된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식품 판매 목록이 업로드되면, 사용자단말(300)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식품 판매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송요청단계(S400)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300)에 의해 주문 정보가 입력되고 주문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10)의 중앙서버(100)는 주문 정보에 포함된 식품의 배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하요청단계(S500)에서는, 배송 요청을 받은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10)의 중앙서버(100)는 창고관리단말(미도시)로 해당 식품 배송 요청을 전송하여 냉동창고(500)에 보관된 판매 식품의 출하를 요청할 수 있다.
중앙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단말(300) 및 제공자단말(400)과 통신망을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하며, 사용자단말(300)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식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웹(Web)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현된 온라인 플랫폼(platform)에 접속된 사용자단말(300)로 식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식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마켓(예, 구글플레이,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식품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에 의해 소지되는 사용자단말(300) 및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자에 의해 소지되는 제공자단말(400)은 스마트폰(SmartPhone), 패드(Pad), 데스크탑, PC, 노트북(Notebook), 태블릿(Tablet) 등의 단말에 해당할 수 있으며,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하여 식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 네트워크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300)은 웹 또는 앱을 통해 회원 가입 또는 인증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식품 관련 동영상 콘텐츠는, 해당 식품의 영양 성분, 식품의 기능적 효과, 모든 조리 과정이 포함된 동영상, 스토리 영상 또는 이미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중앙서버(100)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중앙서버 및 마케팅 서버는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앙서버(100)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개발 환경은 다수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다수의 개발 시스템을 사용하며, 각 개발 시스템은 개발자의 제어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직접 관리할 수 있다. 각 개발 시스템은 신뢰 플랫폼 모듈(TPM: Trusted Platform Module) 표준기술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사용 허가된 개발 시스템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신뢰 플랫폼 모듈(TPM)은 일종의 보안 장치로서, 데이터 암호화를 위한 보안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사용에 대한 개발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개발자가 사용하는 개발 시스템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개발 시스템으로부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소스코드,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순수 바이너리, 코드에 대한 상세설명을 위한 문서, 코드의 이해를 위한 공정 수식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권한 정보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읽을 수 있는 읽기 권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 및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권한,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를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생성 또는 수정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여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도 공유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빌드한 모듈을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 또는 수정 이력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는 이력 정보를 통해 특정 변수의 값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단계별로 추적할 수 있고, 그 특정 변수가 임의의 다른 변수의 값 변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여부,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일자,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빈도,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수정한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인덱스를 부여하여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즉,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중요도에 따라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종류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일자 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 예로,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특정 일자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 예로,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최고 권한 정보로 간주되는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에 해당하는 개발 시스템에 의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 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효율적인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해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인덱스에 도달하면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인덱스를 오름차순으로 하여 3 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장 낮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조건 없이 삭제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는 생성/수정 일자가 오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이력 정보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은 낮으므로 조건 없이 삭제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 중요도를 분류할 수 있으며,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만을 유지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 성/수정 빈도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그 생성/수정 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보다 높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유지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그 권한 정보가 최고 권한 정보로 간주되는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인 이력 정보는 그대로 유지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장 높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는 생성/수정 일자가 비교적 최근의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이력 정보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은 높으므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앙서버(100)의 구성 중 일부는 인공지능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의사결정 이유 제시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의사결정 이유 제시 모듈은, 주어지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서 분류·예측할 뿐만 아니라 결정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적절한 근거를 찾아, 인공지능이 제시한 결과에 대해서 왜 그런 결과가 나오는지에 대한 이유를 사용자 레벨에서 설명할 수 있다. 의사결정 이유 제시 모듈을 통해 사용자와 인공지능 상호간의 신뢰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가능케 함으로써, 문제나 오류 발생 시 사용자에 의한 피드백이 적절하게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의사결정 이유 제시 모듈을 둠으로써, 인공지능이 제시하는 결과에 대해서 왜 그런 결과가 나오는 지에 대한 원인을 명쾌하게 설명할 수 없어 사용자가 인공지능에 가질 수 있는 불신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과도하게 학습을 진행할 경우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최적해가 아닌 지역 내 최적해가 선택될 수 있다는 과적합화(overfitting)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사결정 이유 제시 모듈은 모델 구축 모듈 및 이유 설명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델 구축 모듈은 심층 설명 학습 모듈, 해석 가능한 모델 생성 모듈 및 모델 귀납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심층 설명 학습 모듈은 변형된 딥러닝 기술로서 심층 신경망이 설명 가능한 특징들을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은닉계층의 노드가 의미 있는 속성을 나타내도록 학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팔과 다리의 이미지를 구분하는 모델을 학습한다면, 각 은닉 노드가 손톱이나 발톱 모양, 손가락이나 발가락 모양, 손바닥이나 발바닥의 위치 등을 나타내도록 학습해서 모델이 어떤 이미지를 손이라고 판단했을 때 활성화된 은닉 노드를 통해 판단의 근거를 알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의 근거는 예를 들어 RNN(순환신경망, Recurrent Neural Network) 등의 자연어 생성 모델을 통해 언어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RNN은 딥러닝의 모델이며 인공신경망의 한 종류로서, 시계열 데이터와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조절벡터와 망각벡터 그리고 출력 조절벡터를 이용하여 입력과 출력데이터를 얻는다. 입력조절벡터에서는 입력신호가 활성화함수와의 연결계층을 거친 후에 값을 받아들이며 망각 벡터는 과거 입력의 일부를 현재 입력에 반영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출력조절벡터는 과거의 값과 수정된 입력값을 고려하여 활성화 함수를 이용해 값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그 최종결과는 다시 입력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순환신경망은 문서 감정을 분류하거나 필기체를 인식하는데 주로 활용되며, 음성 인식, 시계열 예측이나 파형생성을 할 때에도 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입력데이터가 순서가 없는 고정된 모양이어도 적절할 순서에 따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심층 설명 학습 모듈은 이미지에 근거가 되는 부분을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시스템이 고양이 이미지를 분류할 경우, 기존 시스템은 입력된 이미지의 고양이 여부 만을 도출하지만, 심층 설명 학습 모듈은 고양이 여부를 도출하고, 이것의 근거(털, 수염 등)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해석 가능한 모델 생성 모듈은, 구조화된 데이터를 해석 가능한 인과관계 모델로 구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BPL(bayesian program learning)을 이용하여 해석 가능한 모델 생성 모듈을 구축할 수 있으며, BPL은 작은 조각들의 조합으로 표현하도록 학습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글자를 생성하는 모델을 학습할 때 글자를 획으로 나누어서 가장 합리적인 획의 조합으로 생성하도록 한다. BPL은 대량의 데이터가 없이도 사람과 같이 한 번 보면 그대로 모방할 수 있으며, Neural Network(신경망 모델)를 진화시킨 것으로서 새로운 사건이 주어졌을 때 그 사건을 바탕으로 확률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BPL은 가상 변수들에 들어가는 가중치만 바꾸는 방식이 아니라, 중간에 다른 가상 변수를 생성하는 내용까지 포함된다. 새로운 환경이 주어지면 다른 방식으로 현상을 이해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동전을 100번 던져서 앞면이 60번, 뒷면이 40번 나와서 앞 면이 나올 확률을 60%로 잡은 다음, 다음번에 뒷면이 나오게 되면 앞면이 나올 확률을 59.4%로 내리는 방식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해석 가능한 모델 생성 모듈은 확률론적 접근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확률론적 접근 방법은 몇 가지 샘플만으로도 학습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길이가 긴 의자와 짧은 의자를 보여주면 중간 길이의 의자도 있다는 것을 배우는 것과 비슷하다. 즉, 부족한 데이터를 스스로 채워 나가며 학습하는 기 술이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확률론적 접근 방법은 수학적 계산을 통해 스스로 확률과 프로그램을 보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해석 가능한 모델 생성 모듈은 And-Or-Graph를 이용하여 구현된 수 있다. And-Or- Graph는 AND/OR 그래프란 rule의 조건 및 결론관계와 AND/OR 관계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인공지 능에 의해 도출되는 중간 및 최종 데이터가 구조화 되어있어 모델의 결정과정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쉬운 장점 이 있다. 즉, AND 노드와 OR 노드로 그래프를 나타내는데, AND 노드는 모두 처리되어야 하며 OR 노드는 하나만 처리되면 끝낼 수 있다. AND/OR 그래프를 이용하면 서로 산재해 있는 rule들의 집합을 하나의 구조로 조감할 수 있으며 각 문장간의 논리적인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모델 귀납 모듈은 임의의 블랙박스 모델을 설명가능한 모델로 추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델 귀납 모듈은 LIME(local interpretable model-agnostic explanations)로 구현될 수 있으며, LIME은 임의의 블랙박스 모 델을 이미 설명이 가능한 데이터 주변에서 희소 선형 결합을 통해 국부적으로 설명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를 분류하는 블랙박스 모델이 어떤 이미지를 심장이라고 판단했다면 이미 설명 가능한 다른 모 델의 심장에 대한 설명 즉, 심장을 표현하는 픽셀들을 주어진 이미지와 대조하여 어느 부분이 심장이라고 판단 한 근거인지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모델 귀납 모듈은 모델을 일련의 if-then 조건문으로 표현하는 BRL(bayesian rule lists)로 구현될 수 있다. BRL은 고차원, 다변수인 특징공간을 간단하고 이미 해석 가능한 조건문으로 나누어 복잡한 모델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심층 설명 학습 모듈, 해석 가능한 모델 생성 모듈 및 모델 귀납 모듈은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결합되어 작용될 수 있으며, 그 구현 순서도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이유 설명 인터페이스 모듈은 인공지능의 의사결정에 대한 설명을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유 설명 인터페이스 모듈은 제시한 설명이 반복적일 것, 필요한 설명을 모두 포함하고 있을 것, 불필요한 설명을 포함하지 않을 것, 양이 적절할 것 등을 필수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공지능이 어떠한 과정과 이유로 최종 결과를 도출했는지와 각 단계별로 영향을 미친 요소나 데이터가 무엇인지 언어, 표, 이미지, 그래프, 수식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유 설명 인터페이스 모듈은 사용자의 정정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유 설명 인터페이스 모듈은 정정가능성은 설명이 유동적일 것, 사용자의 피드백을 존중할 것, 점진적인 변화를 주시할 것 등을 필수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제시된 설명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설명의 명확도와 활용도 등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이유 설명 인터페이스 모듈의 효과를 평가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의사결정 이유 제시 모듈은, 인과관계 모델로 형성될 수 있다. 인과과계 모델은 딥러닝과 마르코브 랜덤 필드를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학습 데이터로부터 심층 마르코브 랜덤 필드 모델의 확률 분포를 모델링하고, 확률 변수들 사이의 조건부 독립성을 나타내는 마르코브 랜덤 필드의 구조를 학습한다. 구조가 학습된 마르코브 랜덤 필드의 잠재 함수를 심층 신경망으로 추론하여 입력 변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잠재 함수에 필요한 매개 변수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를 완화하고, 변수 연관관계에 대한 제약 없이 복잡한 연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클래스 분류 문제를 보조태스크인 속성, 슈퍼퍼카테고리와 같이 학습한 후, 출력 단계에서 선형 결합하여 효과적인 표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과관계가 정확히 학습되었는지 사람이 확인하고 피드백을 주어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호작용 학습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의사결정 이유 제시 모듈은, 분석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시계열 함수를 다양한 커널을 바탕으로 다변수 가우시안으로 회귀분석 하는 기술로서, 가우시안 프로세스에서 커널을 표현하는 최적의 커널 조합을 학습하여 주어진 시계열 데이터를 위에서 찾은 커널 조합을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여러 개의 시계열 데이터가 있을 때에도 공통적으로 표현되는 커널 및 각 시계열 데이터의 특성을 표현하는 커널의 조합을 학습하여 여러 개의 시계열 데이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시계열 데이터 분석 모델을 통해 찾은 커널의 조합을 자연어로 작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공지능에 의해 도출된 의사결정의 도출과정 및 그 이유를 자연어로 설명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의사결정 이유 제시 모듈을 통해, 인공지능의 의사결정 과정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시각화 및 문자화 함으로써, 의사결정에 과정에 관여한 구성요소를 설명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복잡한 모델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원인요소와 결과요소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자동 보고서의 형식으로 작성됨으로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뿐만 아니라 이유를 제공하여 인공지능이 보다 정밀하게 인간과 상호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10)은, 상기 냉동창고(500)의 입구측 벽면에는 포장 완료된 식품의 외부를 최종 클리닝하는 포장제품클린모듈(6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포장제품클린모듈(600)은,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기둥(605), 하우징(610), 포장식품이동부(620), 제1 이동롤러(630), 제2 이동롤러(640) 및 전후이동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10)은, 지지기둥(605)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을 따라 포장식품이동부(620)가 형성된다.
포장식품이동부(620)는, 포장 식품(F)이 하우징(610)의 후단으로 삽입된 후 하우징(610)의 전단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610)의 후단으로부터 하우징(610)의 일측을 따라 하우징(610)의 전단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면서 제1 이동롤러(630)와 제2 이동롤러(640)가 설치된다.
제1 이동롤러(630)는, 제2 이동롤러(640)와 대향하면서 포장식품이동부(620)의 상측에 설치되어 포장식품이동부(620)를 따라 이동 중인 포장 식품(F)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제2 이동롤러(640)는, 제1 이동롤러(630)와 대향하면서 포장식품이동부(620)의 하측에 설치되어 포장식품이동부(620)를 따라 이동 중인 포장 식품(F)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예서, 제1 이동롤러(630)는, 제1 구동롤러(631), 제2 구동롤러(632) 및 이물질제거벨트(6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동롤러(640)는, 후술하는 제1 이동롤러(630)와 상하 대칭 구조로서, 제1 이동롤러(630)의 제1 구동롤러(631), 제2 구동롤러(632) 및 이물질제거벨트(63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구동롤러(631)는, 이물질제거벨트(633)의 후단 내향면을 지지하면서 제2 구동롤러(632)와 대향하면서 포장식품이동부(620)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요청이 전달되면 제2 구동롤러(63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제2 구동롤러(632)는, 이물질제거벨트(633)의 전단 내향면을 지지하면서 제1 구동롤러(631)와 대향하면서 포장식품이동부(620)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요청이 전달되면 제1 구동롤러(6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이물질제거벨트(633)는, 후단이 제2 구동롤러(632)에 의해 지지되고, 전단이 제1 구동롤러(631)에 의해 지지되어 하측의 외향면이 포장식품이동부(620)로 삽입된 포장 식품(F)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제1 구동롤러(631)와 제2 구동롤러(632)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포장 식품(F)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포장 식품(F)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전후이동부(650)는, 하우징(610)의 일측에 설치되며, 포장식품이동부(620)의 후단으로 포장 식품(F)이 삽입되면 포장 식품(F)을 체결한 후 포장식품이동부(620)를 따라 포장 식품(F)을 하우징(610)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클린모듈(600)은, 사용자가 포장 식품(F)을 파지 후 포장식품이동부(620)를 따라 이동시켜 줄 필요 없이, 포장 식품(F)이 포장식품이동부(620)에 삽입되면 전후이동부(650)가 포장 식품(F)을 파지 후 포장식품이동부(620)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전후이동부(650)는, 이동체(651), 삽입홈(652), 밀착판(653) 및 기어부(6541, 6542)를 포함한다.
이동체(651)는, 하우징(61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하우징(610)의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후단에 삽입홈(652)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체(651)는, 하우징(610)의 일측과 대향하는 이동체(651)의 밀착면의 상측 및 하측에 하우징(610)의 일측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체결되기 위한 결합돌기(6511, 6512)가 구비되어 하우징(6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할 수 있다.
삽입홈(652)은, 포장식품이동부(620)의 후단으로 삽입되는 포장 식품(F)이 이동체(651)의 후단으로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포장식품이동부(620)와 대향하면서 이동체(651)의 후단에 형성된다.
밀착판(653)은, 삽입홈(652)의 하측에서 다수 개의 탄성체(6531)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며, 삽입홈(652)으로 삽입되는 포장 식품(F)의 하측으로 밀착되어 포장 식품(F)을 체결한다.
기어부(6541, 6542)는, 이동체(651)의 내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되, 하우징(610)의 일측과 대향하는 이동체(651)의 밀착면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하우징(610)의 일측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상부레일(R1)과 하부레일(R2)에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이동체(651)를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포장 식품(F)이 포장식품이동부(620)에 삽입되면 전후이동부(650)가 포장 식품(F)을 파지 후 포장식품이동부(620)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고객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켜 주고, 포장 식품(F)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배송 받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

Claims (3)

  1.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을 이용한 식품 판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은 동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사전에 제작된 다수의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 받는,
    업로드단계;
    상기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 중 추천수 또는 조회수가 높은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 목록을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의 중앙서버가 추출하는,
    컨텐츠목록 추출단계;
    추출된 목록에 포함된 식품 관련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식품 판매 목록이 업로드되면,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의 중앙서버가 사용자단말(300)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식품 판매 목록을 제공하는,
    식품판매목록 제공단계;
    상기 사용자단말(300)에 의해 주문 정보가 입력되고 주문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의 중앙서버는 주문 정보에 포함된 식품의 배송을 요청하는,
    배송요청단계; 및
    배송 요청을 받은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의 중앙서버는 창고관리단말로 해당 식품 배송 요청을 전송하여 냉동창고에 보관된 판매 식품의 출하를 요청하는,
    출하요청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냉동창고의 입구측 벽면에는 포장 완료된 식품의 외부를 최종 클리닝하는 포장제품클린모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포장제품클린모듈은,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포장된 식품이 상기 하우징의 후단으로 삽입된 후 전단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후단으로부터 일측을 따라 전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포장식품이동부;
    제2 이동롤러와 대향하며 상기 포장식품이동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이동롤러; 및
    제1 이동롤러와 대향하며 상기 포장식품이동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이동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롤러는,
    이물질제거벨트의 후단 내향면을 지지하면서 제2 구동롤러와 대향하며 상기 포장식품이동부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구동롤러;
    이물질제거벨트의 전단 내향면을 지지하면서 제1 구동롤러와 대향하며 상기 포장식품이동부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2 구동롤러; 및
    후단이 제2 구동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전단이 제1 구동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하측의 외향면이 상기 포장식품이동부로 삽입된 포장된 식품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며 포장된 식품 외부 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 상에서 구현되고,
    상기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사용에 대한 개발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개발자가 사용하는 개발 시스템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하고, 개발 시스템으로부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되,
    상기 권한 정보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읽을 수 있는 읽기 권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 및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권한,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를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생성 또는 수정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여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도 공유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상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생성 또는 수정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 상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 또는 수정 여부, 상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 또는 수정 일자, 상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 또는 수정 빈도, 상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 또는 수정한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력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인덱스를 부여하여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인덱스를 오름차순으로 하여 세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세 개의 구간 중 가장 낮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조건 없이 삭제하고, 세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생성 또는 수정 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보다 높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유지하는 방식으로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세 개의 구간 중 가장 높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유지하고,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 및 상기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인공지능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인공지능이 제시한 결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인공지능이 제시한 결과에 대한 이유를 사용자 레벨에서 설명하는 의사결정 이유 제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의사결정 이유 제시 모듈은, 모델 구축 모듈 및 이유 설명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모델 구축 모듈은 상기 인공지능이 설명 가능한 특징들을 학습하는 심층 설명 학습 모듈, 구조화된 데이터를 해석 가능한 인과관계 모델로 구축하는 해석 가능한 모델 생성 모듈 및 임의의 블랙박스 모델을 설명 가능한 모델로 추론하는 모델 귀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유 설명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인공지능의 의사결정에 대한 설명을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표현하되, 상기 인공지능이 어떤 과정과 이유로 최종 결과를 도출했는지와, 각 단계별로 영향을 미치 요소나 데이터가 무엇인지를 언어, 표, 이미지, 그래프, 수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30123489A 2023-09-15 2023-09-15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 KR102617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489A KR102617245B1 (ko) 2023-09-15 2023-09-15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489A KR102617245B1 (ko) 2023-09-15 2023-09-15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245B1 true KR102617245B1 (ko) 2023-12-27

Family

ID=8937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3489A KR102617245B1 (ko) 2023-09-15 2023-09-15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2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335B1 (ko) * 2018-12-04 2020-05-18 신동호 공간 확보형 식품 포장기
KR20210034874A (ko) * 2019-09-23 2021-03-31 청년극장 주식회사 레시피 콘텐츠 추천에 따른 밀키트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7601B1 (ko) * 2022-07-02 2022-12-15 주식회사 아이써치마케팅 스토어 마케팅 최적화 시스템
KR102510216B1 (ko) * 2021-08-19 2023-03-15 주식회사 앱플러 비디오 커머스 시스템에서 다수의 동일 상품의 영상을 이용해 특정 구간의 종단 검색과 이를 수집된 영상으로 판매 비디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335B1 (ko) * 2018-12-04 2020-05-18 신동호 공간 확보형 식품 포장기
KR20210034874A (ko) * 2019-09-23 2021-03-31 청년극장 주식회사 레시피 콘텐츠 추천에 따른 밀키트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0216B1 (ko) * 2021-08-19 2023-03-15 주식회사 앱플러 비디오 커머스 시스템에서 다수의 동일 상품의 영상을 이용해 특정 구간의 종단 검색과 이를 수집된 영상으로 판매 비디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77601B1 (ko) * 2022-07-02 2022-12-15 주식회사 아이써치마케팅 스토어 마케팅 최적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ng et al. Major dietary patterns and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in women
Carruth et al. Revisiting the picky eater phenomenon: neophobic behaviors of young children
Mol Mind your plate! The ontonorms of Dutch dieting
Moding et al. Infant temperament and feeding history predict infants' responses to novel foods
Zimmerman Habit, custom, and power: a multi-level theory of population health
Sutherland et al. Like parent, like child: child food and beverage choices during role playing
Leonard et al. Kids, caregivers, and cartoons: The impact of licensed characters on food choices and consumption
Levin et al. A multi-component treatment to reduce packing in children with feeding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Gallen et al. Cognitive acceptance mechanisms of discontinuous food innovations: The case of insects in France
Huh et al. More similar but less satisfying: Comparing preferences for and the efficacy of within-and cross-category substitutes for food
Leblanc et al. Effects of a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romoting the Mediterranean diet
US1185468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nourishment refinement using psychiatric markers
Liu et al. Cutting calories: the preference for lower caloric density versus smaller quantities among restrained and unrestrained eaters
Türkmenoğlu et al. Recommending healthy meal plans by optimising nature-inspired many-objective diet problem
Goodwin et al. Measuring preference for supernormal over natural rewards: A two-dimensional anticipatory pleasure scale
Buchanan et al. Predictors of diet failure: A multifactorial cognitive and behavioural model
Ross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pecific questions to classify a child as food texture sensitive
Davis et al. Pleasure vs. identity: More eating simulation language in meat posts than plant-based posts on social media# foodtalk
Coulthard et al. Food neophobia and the evaluation of novel foods in adults; the sensory, emotional, association (SEA) model of the decision to taste a novel food
Sullivan et al. Indulgent foods can paradoxically promote disciplined dietary choices
McMahon et al. A retrospective consecutive controlled case series of underspoon: a modified-bolus placement to address behavior that interfere with swallowing
KR102617245B1 (ko) 동영상 컨텐츠 기반 식품 판매 시스템
Cooper The ingredient co-occurrence network of packaged foods distributed in the United States
Taylor et al. Machine learning to support visual inspection of data: A clinical application
Lively et al. Mothers’ self-reported grocery shopping behaviours with their 2-to 7-year-old children: Relationship between feeding practices and mothers’ willingness to purchase child-requested nutrient-poor, marketed foods, and fruits and veget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