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936B1 -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936B1
KR102616936B1 KR1020210141490A KR20210141490A KR102616936B1 KR 102616936 B1 KR102616936 B1 KR 102616936B1 KR 1020210141490 A KR1020210141490 A KR 1020210141490A KR 20210141490 A KR20210141490 A KR 20210141490A KR 102616936 B1 KR102616936 B1 KR 102616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ipitation
unit
tipping bucket
conduc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7580A (ko
Inventor
신대윤
Original Assignee
(주)세종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강우 filed Critical (주)세종강우
Priority to KR102021014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36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1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11/26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 G01F11/26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for liquid or semi-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weight, e.g. to determine the level of stored liquefied g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수구를 통해 강수를 측정하며, 무게식과 전도식을 같이 사용하는 강수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수 측정장치는, 강수를 모으는 집수구; 상기 집수구의 하부에 위치하며, 낙하되는 강수를 분배받아, 무게에 따라 좌우로 틸팅하는 2개의 티핑 버킷; 상기 티핑 버킷에 부착되어, 상기 낙하되는 강수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부; 상기 티핑 버킷의 하부에 위치하여, 틸팅된 강수를 모아받는 전도 용기; 상기 티핑 버킷과 상기 전도 용기에서 낙하되는 강수의 양이 임계치를 넘을 때,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전도센서부; 상기 전도 용기로부터 집수된 강수를 배수하기 위해 모아두는 하우징부; 상기 무게센서부와 상기 전도센서부에서 측정된 강수의 양을 분석하고, 특정 조건에서 상기 티핑 버킷의 잔여 강수를 강제로 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A precipitation measuring device capable of forcibly discharging precipitation and a precipit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수량계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RTC(Real-Time-Clock)를 이용하여, 매 0시 정밀하게 잔여 강수량을 자동으로 배출하여 정확한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량계는 대기 중에 일어나는 기상현상 중 강수현상(비, 눈 등)을 재는 계기로, 보통 지름 20 cm의 원통에 빗물을 받아서 그 깊이를 측정하여 mm 단위로 표시한다.
이렇게 강수량을 측정하는 우량계의 종류는 저수형 원통 우량계, 저수형 자기우량계, 전도형 우량계, 중량형 우량계, 로드 셀(load cell)형 우량계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관측원리에 따라 무게에 의한 방법과 부피에 의한 방법으로 분류된다. 부피에 의해 강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저수형 원통 우량계, 저수형 자기우량계 등이 있고, 무게에 의해 강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전도형 우량계, 중량형 우량계, 로드셀형 우량계 등이 제시되어 있다.
부피에 의해 강수량을 측정하는 장치는 저수형 원통 우량계, 저수형 자기우량계 등이 있는 바, 저수형 자기우량계는 강수량이 수수기를 통하여 저수탱크에 유입되면 탱크 내부에 내장된 부자가 강수량에 따라 부상되면서 부자축에 연결된 기록펜에 의하여 강수량이 자기지에 기록된다.
또한, 강수량이 20 mm가 되면 자동적으로 개수되어 탱크속의 물이 내려가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저수형 자기우량계는 저수탱크에 기본적으로 남아있는 물이 강수가 없는 날이 많아지면 증발을 하기 때문에 강수가 시작되기 전에 미리 싸이폰 테스트를 하여야 하며, 20 mm의 강수가 싸이폰시 배수시간이 약 16초가 걸리며 이때의 강수량 관측을 못하게 된다. 또한 저수탱크에 일정한 양의 물이 저장되어 있어 겨울에는 저수탱크의 물이 동결되어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강수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게식 강수량계가 제안되었는 바, 무게에 의해 강수량을 측정하는 장치는 전도형 우량계, 중량형 우량계, 로드셀형 우량계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된 강수량 측정장치는 버킷에 잔여 강수가 배출되지 않아 강수의 정밀측정이 어렵고 측정오차가 발생되어 정확한 강수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84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수량계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RTC(Real-Time-Clock)를 이용하여, 매 0시 정밀하게 잔여 강수량을 자동으로 배출하여 정확한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중호우, 폭우 등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강수량을 측정해야하는 경우, 각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서 측정 정확도를 높이고 무게식과 전도식의 혼용에 의한 강수 측정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집수구를 통해 강수를 측정하며, 무게식과 전도식을 같이 사용하는 강수 측정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는,
강수를 모으는 집수구(100);
상기 집수구(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낙하되는 강수를 분배받아, 무게에 따라 좌우로 틸팅하는 2개의 티핑 버킷(200);
상기 티핑 버킷(200)에 부착되어, 상기 낙하되는 강수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부(300);
상기 티핑 버킷(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틸팅된 강수를 모아받는 전도 용기(400);
상기 티핑 버킷(200)과 상기 전도 용기(400)에서 낙하되는 강수의 양이 임계치를 넘을 때,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전도센서부(500);
상기 전도 용기(400)로부터 집수된 강수를 배수하기 위해 모아두는 하우징부(600);
상기 무게센서부(300)와 상기 전도센서부(500)에서 측정된 강수의 양을 분석하고, 특정 조건에서 상기 티핑 버킷(200)의 잔여 강수를 강제로 배출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프로세서(801)와 메모리(802)를 포함하며, 특정 조건에서 상기 프로세서(801)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메모리(802)에 저장되어 실행되는 강수량 강제 배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RTC 모듈(803); 및
상기 티핑 버킷(2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시켜, 강수량을 강제로 배출하는 버킷 구동부(8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는 상기 무게센서부(300)와 상기 전도센서부(500)의 센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시간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센서부(500)는 복수의 전극(501) 및 리미터(502)를 포함하며,
상기 티핑 버킷(200)의 하단과 상기 전도 용기(400)의 상부에 상기 전극(501)이 위치하여, 상기 티핑 버킷(200)이 상기 낙하되는 강수에 따라 틸팅하여 상기 전도 용기(400)로 기울어질 때, 상기 복수의 전극(501)이 도통하여 상기 리미터(502)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메모리(802)에 상기 티핑 버킷(200)의 기울어짐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802)에 저장된 상기 티핑 버킷(200)의 기울어짐 상태는 중앙 또는 좌측 기울어짐 또는 우측 기울어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에서 실행되는 상기 강수량 강제 배출 프로그램은, 상기 RTC 모듈(803)이 제공하는 시간이 매일 0시 0분 0초일 때, 상기 메모리(802)에 저장된 상기 티핑 버킷(200)의 기울어짐 상태에 따라, 상기 버킷 구동부(804)를 구동시키되, 상기 기울어짐 상태가 중앙인 경우, 상기 버킷 구동부(804)를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기울어짐 상태가 좌측 또는 우측 기울어짐인 경우, 반대 방향으로 상기 버킷 구동부(804)를 동작시켜 강수량을 강제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주기적으로 상기 통신부(90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시간 정보 데이터 상기 RTC 모듈(803)로부터 제공하는 시간과 비교하여 비교값을 도출하되, 상기 비교값의 차이가 기준 차이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비교값의 차이만큼을 RTC 모듈 시간에 보정하여 상기 메모리(802)에 시간 비교 차이값으로 저장하고, 이를 기준으로 강수량 강제배출 조건을 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단수 또는 복수의 강수 측정장치(1000)로 부터,
무게센서 데이터, 전도센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900)를 통해 전송받는 강수서버(20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수서버(2000)는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의 통신부(9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통신부(2100);
상기 서버통신부(2100)에서 송/수신된 데이터에 강수 측정 장치(1000)의 식별 정보와 시계열 정보를 부가하는 데이터획득부(2200);
상기 데이터획득부(220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2400); 및
상기 데이터획득부(2200)로부터 받은 복수의 데이터에 대해, 정해진 신경망 학습방법을 적용하여 학습시키는 신경망부(2300);
상기 신경망부(2300)에서 학습된 학습결과를 통해,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의 강수 측정 정확도를 판단하는 판단부(2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에 따르면, 강수량계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RTC(Real-Time-Clock)를 이용하여, 매 0시 정밀하게 잔여 강수량을 자동으로 배출하여 정확한 강수량을 측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중호우, 폭우 등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강수량을 측정해야하는 경우, 각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서 측정 정확도를 높이고 무게식과 전도식의 혼용에 의한 강수 측정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장치에서 티핑 버킷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장치에서 히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시스템에서 강수서버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시스템에서 제어부와 통신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측정장치에서 전도센서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장치에서 티핑 버킷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장치에서 히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시스템에서 강수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시스템에서 제어부와 통신부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측정장치에서 전도센서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집수구를 통해 강수를 측정하며, 무게식과 전도식을 같이 사용하는 강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1000)는 크게, 집수구(100)와, 티핑 버킷(200)과, 무게센서부(300)와, 전도 용기(400)와, 전도센서부(500)와, 하우징부(600)와, 제어부(8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는, 강수를 모으는 집수구(100)와, 상기 집수구(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낙하되는 강수를 분배받아, 무게에 따라 좌우로 틸팅하는 2개의 티핑 버킷(200)과, 상기 티핑 버킷(200)에 부착되어, 상기 낙하되는 강수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부(300)와, 상기 티핑 버킷(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틸팅된 강수를 모아받는 전도 용기(400)와, 상기 티핑 버킷(200)과 상기 전도 용기(400)에서 낙하되는 강수의 양이 임계치를 넘을 때,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전도센서부(500)와, 상기 전도 용기(400)로부터 집수된 강수를 배수하기 위해 모아두는 하우징부(600)와, 상기 무게센서부(300)와 상기 전도센서부(500)에서 측정된 강수의 양을 분석하고, 특정 조건에서 상기 티핑 버킷(200)의 잔여 강수를 강제로 배출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집수구(100)는, 강수를 모으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집수구(100)는 깔데기 형상(정면이 역삼각 형상)으로 제작되어 비가 오게 되면, 상기 집수구(100)를 통해 비를 집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집수구(10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류홈(110)이 형성되어 집수되는 강수가 상기 집수구(100)의 끝단으로 배수될 경우, 강수가 상기 와류홈(110)을 따라 흐르게 되어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중호우, 폭우 등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강수량을 수용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강수량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구(100)에는 히터(120)가 구비되어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상기 집수구(100)의 상부 또는 내부에 쌓이는 눈, 우박 등을 신속히 녹일 수 있어 겨울철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보다 정밀한 강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터(120)는 링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집수구(100)에 설치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히터(120)의 일측에는 높이조절브라켓(121)이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브라켓(121)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맞도록 상기 히터(120)의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티핑 버킷(200)은, 상기 집수구(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낙하되는 강수를 분배받아, 무게에 따라 좌우로 틸팅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티핑 버킷(200)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서로 대칭되도록 2개 즉, 상기 집수구(100)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티핑 버킷(20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티핑 버킷(200)은 중심축(210)을 기준으로 좌우로 틸팅하며 회전하게되는데, 상기 티핑 버킷(200)은 강수를 전달받은 후, 이하 설명될 전도 용기(400)로 낙하를 위해 각진 깔데기 형상(정면이 역삼각 형상)의 용기를 구비하여 무게중심에 의하여 강수를 낙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티핑 버킷(200)의 단면은 "U" 형상으로 제작되어 강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고, 상기 티핑 버킷(200)의 일측 끝단은 하부를 향하도록 일정각도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되어 강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21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티핑 버킷(200)의 좌우로 일정거리 이상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11)가 각각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스토퍼의 끝단이 상기 티핑 버킷(2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접촉되어 일정거리 이상 틸팅되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300)는, 상기 티핑 버킷(200)에 부착되어, 상기 낙하되는 강수의 무게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무게센서부(300)는 전도식 강수량계의 구성인 상기 티핑 버킷(200)과 더불어 상기 낙하되는 강수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식 강수량계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무게센서부(300)는, 로드셀 등을 이용하여 상기 티핑 버킷(200)으로 낙하되는 강수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정밀측정하게 되며, 상기 무게센서부(300)는 특정한 로드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에 의해 강수가 낙하되는 순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도 용기(400)는, 상기 티핑 버킷(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틸팅된 강수를 모아받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전도 용기(400)는, 상기 티핑 버킷(200)에 모아진 강수가 틸팅과 중력에 의해 낙하하게 될 경우, 강수의 담수와 동시에 이하 설명될 하우징부(600)로 낙하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도 용기(400)는 상기 티핑 버킷(200)으로 부터 낙하되는 강수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티핑 버킷(200)의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도 용기(400)의 상부 단면은 상기 티핑 버킷(200)으로 부터 낙하되는 강수가 튀지않도록 포집하기 위하여 외측 끝단에서 내측 끝단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도 용기(400)의 상부 외측 끝단은 내측으로 일정각도 곡률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티핑 버킷(200)으로 부터 낙하되는 강수가 외부로 튀지않도록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 용기(400)의 하부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플레이트(410)가 설치되어 낙하되는 강수의 압력에 의해 강수 측정장치(10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보강플레이트(410)와 상기 전도 용기(400)의 하부에는 복수의 보강리브(미도시)가 설치되어 보강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전도센서부(500)는, 상기 티핑 버킷(200)과 상기 전도 용기(400)에서 낙하되는 강수의 양이 임계치를 넘을 때,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구성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전도센서부(500)는 복수의 전극(501) 및 리미터(502)를 포함하며, 상기 티핑 버킷(200)의 하단과 상기 전도 용기(400)의 상부에 상기 전극(501)이 위치하여, 상기 티핑 버킷(200)이 상기 낙하되는 강수에 따라 틸팅하여 상기 전도 용기(400)로 기울어질 때, 상기 복수의 전극(501)이 도통하여 상기 리미터(502)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메모리(802)에 상기 티핑 버킷(200)의 기울어짐 상태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부(600)는, 상기 전도 용기(400)로부터 집수된 강수를 배수하기 위해 모아두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부(600)는 상술된 티핑 버킷(200)과 상기 전도 용기(400)를 통해 낙하되고 측정이 끝난 강수를 포집하게 되는데, 포집된 용량에 따라 강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600)는 원 통형 또는 각이진 통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부(600)의 외부면에는 눈금자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낙하된 강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상기 무게센서부(300)와 상기 전도센서부(500)에서 측정된 강수의 양을 분석하고, 특정 조건에서 상기 티핑 버킷(200)의 잔여 강수를 강제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800)는 프로세서(801)와 메모리(802)를 포함하며, 특정 조건에서 상기 프로세서(801)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메모리(802)에 저장되어 실행되는 강수량 강제 배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RTC 모듈(803) 및 상기 티핑 버킷(2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시켜, 강수량을 강제로 배출하는 버킷 구동부(80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802)는 상기 티핑 버킷(200)의 기울어짐 상태를 자동으로 저장하게 되는데, 상기 티핑 버킷(200)의 기울어짐 상태는 중앙 또는 좌측 기울어짐 또는 우측 기울어짐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어부(800)에서 실행되는 상기 강수량 강제 배출 프로그램은, 상기 RTC 모듈(803)이 제공하는 시간이 매일 0시 0분 0초일 때, 상기 메모리(802)에 저장된 상기 티핑 버킷(200)의 기울어짐 상태에 따라, 상기 버킷 구동부(804)를 구동시키되, 상기 기울어짐 상태가 중앙인 경우, 상기 버킷 구동부(804)를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기울어짐 상태가 좌측 또는 우측 기울어짐인 경우, 반대 방향으로 상기 버킷 구동부(804)를 동작시켜 강수량을 강제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RTC 모듈(803)은, Real-Time-Clock 모듈로 제어부(800) 내부의 프로세서에 의해 획득되는 시간 정보이다.
여기서, 상기 RTC 모듈(803)은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점점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하 설명될 강수서버(2000)로 부터 GTC(Global-Time-Clock)을 수신하여, RTC 모듈과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RTC 모듈(803)의 시간과의 차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여 동기화하게 된다.
상기 버킷 구동부(804)는, 상기 중심축(210)과 축결합되어 상기 디핑 버킷(2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시켜 강수량을 강제 배출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버킷 구동부(804)는 서보모터로 구현되어 보다 정밀하게 상기 티핑 버킷(2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킷 구동부(804)는 상기 제어부(800)에 의해 설정된 일정시간에 맞춰 틸팅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800)에 매 8시로 설정해 놓으면, 상기 버킷 구동부(804)는 매 8시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210)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디핑 버킷(2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어 강수량을 일 3회 강제 배출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800)는 다시 리셋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버킷 구동부(804)는 상기 중심축(210)을 역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디핑 버킷(200)이 원위치로 틸팅되어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주기적으로 상기 통신부(90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시간 정보 데이터 상기 RTC 모듈(803)로부터 제공하는 시간과 비교하여 비교값을 도출하되, 상기 비교값의 차이가 기준 차이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비교값의 차이만큼을 RTC 모듈 시간에 보정하여 상기 메모리(802)에 시간 비교 차이값으로 저장하고, 이를 기준으로 강수량 강제배출 조건을 정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무게센서부(300)와 상기 전도센서부(500)의 무게센서 데이터와 전도센서 데이터를 통해, 강수량을 추정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하우징부(600)의 집수량을 추정한 뒤, 추정된 강수량과 추정된 집수량을 비교하여, 강수 측정의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무게센서부(300)와 상기 전도센서부(500)로 부터 획득한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강수량 및 집수량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단위시간당 상기 무게센서 데이터와 상기 전도센서 데이터를 합산하여 연산한 강수량과, 단위시간당 집수량을 연산하여, 상기 강수량과 상기 집수량의 차이가, 임계 차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무게센서부(300) 또는 상기 전도센서부(500)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는 상기 무게센서부(300), 상기 전도센서부(500)의 센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통신부(900)를 통해 상기 무게센서부(300), 상기 전도센서부(500)의 센서 데이터를 외부(예를 들면, 강수서버(2000))로 유무선으로 송신하거나, 외부(예를 들면, 강수서버(2000))로부터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하게 될 때, 이를 안전하게 보안하기 위해, 유무선 통신에 적합한 암호화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호화는 이러한 임베디드 컴퓨팅 환경에서 적합한 경량 해시 함수(lightweight hash function)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량 해시 함수란, SHA-3와 같은 표준적인 암호화 해시 알고리즘에서 일부 컴퓨팅 파워가 높게 소요되는 특징들을 제외하고도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팅 파워가 상대적으로 낮게 소모되는 해시 함수(일방향 함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경량 해시함수 중에서도 키가 없이(unkeyed) 데이터의 치환(permutation)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폰지(Sponge)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스폰지는 원본 메시지(여기서는 랜덤키의 원본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만든 뒤(padding), 이를 키의 생성자만 알 수 있는 특정한 기준 크기(예를 들어 특정 비트 사이즈로 분할된 원본 메시지)로 복수 개로 분할한 뒤, 복수 개로 분할된 데이터(분할된 원본 메시지)의 후단에 랜덤한 데이터들을 여러 업데이트 함수를 활용하여 교환하고, 반대편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기준 크기를 활용하여 복호화도록 구현된다.
즉, 이러한 경량 해시함수를 활용하여, 해시함수의 보안성을 확보하면서, 일반적인 해시함수의 사용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전력소모를 적게하고, 오래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 측정시스템의 강수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강수 측정장치(1000)로 부터, 상기 무게센서 데이터, 전도센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900)를 통해 전송받는 강수서버(20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강수서버(2000)는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의 통신부(9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통신부(2100)와, 상기 서버통신부(2100)에서 송/수신된 데이터에 강수 측정 장치(1000)의 식별 정보와 시계열 정보를 부가하는 데이터획득부(2200)와, 상기 데이터획득부(220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2400) 및 상기 데이터획득부(2200)로부터 받은 복수의 데이터에 대해, 정해진 신경망 학습방법을 적용하여 학습시키는 신경망부(2300)와, 상기 신경망부(2300)에서 학습된 학습결과를 통해,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의 강수 측정 정확도를 판단하는 판단부(25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신경망부(2300)는 상기 데이터획득부(2200)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데이터를 학습시키되, 각 데이터를 획득한 센서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신경망을 이용하여 각 센서의 데이터가 노이즈인지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신경망부(2300)는 상기 센서의 종류가 무게센서와 전도센서의 경우에는 비지도 학습모델인 LSTM(Long Short Term Memory)기반 모델을 사용하고, 상기 센서의 종류가 광전센서인 경우에는 생성 학습모델인 GAN, VAE, AnoGAN 중 하나를 사용하거나, SVM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술된 LSTM(Long Short Term Memory)기반 모델은, 시계열적으로 축적된 데이터의 처리에 적합하고, SVM기반 모델은, 외란과 같은 노이즈의 패턴의 추정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통해 각 데이터를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경망부(2300)는 상술된 세가지 센서 모두에 대해서, 학습모델을 사용할 때, 학습 데이터의 인코딩을 수행하는 어텐션 메커니즘(센서 데이터의 처리에 적합한 기법)을 부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판단부(2500)는 상기 신경망부(2300)로부터 학습된 학습모델을 통해, 입력된 센서 데이터의 값이 노이즈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노이즈라고 추정되는 경우는 해당 센서 데이터의 값을 상기 강수량과 집수량의 연산시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2500)는 상기 학습모델을 통해 추정된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강수량과 상기 집수량의 연산하고, 상기 강수량과 상기 집수량의 단위 시간당 차이가, 임계 차이값보다 큰 경우, 상기 서버통신부(2100)를 통해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의 제어부(800)로 상기 무게센서부(300) 또는 상기 전도센서부(500)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판단부(2500)도 학습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한 뒤, 강수량과 집수량의 차이가 큰 경우, 센서 오류라고 추정하여 상기 제어부(800)에 송신하게 된다.
또한, 별도로 구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3000)를 통해 상기 강수서버(2000)로 부터 통신되는 데이터들을 통해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의 모니터링과, 고장 추정시 알람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에 따르면, 강수량계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RTC(Real-Time-Clock)를 이용하여, 매 0시 정밀하게 잔여 강수량을 자동으로 배출하여 정확한 강수량을 측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중호우, 폭우 등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강수량을 측정해야하는 경우, 각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서 측정 정확도를 높이고 무게식과 전도식의 혼용에 의한 강수 측정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집수구 110 : 와류홈
200 : 티핑 버킷 210 : 중심축
211 : 스토퍼 300 : 무게센서부
400 : 전도 용기 410 : 보강플레이트
500 : 전도센서부 501 : 복수의 전극
502 : 리미터 600 : 하우징부
800 : 제어부 801 : 프로세서
802 : 메모리 803 : RTC 모듈
804 : 버킷 구동부 900 : 통신부
1000 : 강수 측정장치 2000 : 강수서버
2100 : 서버 통신부 2200 : 데이터획득부
2300 : 신경망부 2400 : 데이터베이스부
2500 : 판단부 3000 : 모바일 디바이스

Claims (10)

  1. 집수구를 통해 강수를 측정하며, 무게식과 전도식을 같이 사용하는 강수 측정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는,
    강수를 모으는 집수구(100);
    상기 집수구(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낙하되는 강수를 분배받아, 무게에 따라 좌우로 틸팅하는 2개의 티핑 버킷(200);
    상기 티핑 버킷(200)에 부착되어, 상기 낙하되는 강수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부(300);
    상기 티핑 버킷(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틸팅된 강수를 모아받는 전도 용기(400);
    상기 티핑 버킷(200)과 상기 전도 용기(400)에서 낙하되는 강수의 양이 임계치를 넘을 때,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전도센서부(500);
    상기 전도 용기(400)로부터 집수된 강수를 배수하기 위해 모아두는 하우징부(600);
    상기 무게센서부(300)와 상기 전도센서부(500)에서 측정된 강수의 양을 분석하고, 특정 조건에서 상기 티핑 버킷(200)의 잔여 강수를 강제로 배출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800)는 프로세서(801)와 메모리(802)를 포함하며, 특정 조건에서 상기 프로세서(801)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메모리(802)에 저장되어 실행되는 강수량 강제 배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800)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RTC 모듈(803); 및
    상기 티핑 버킷(2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시켜, 강수량을 강제로 배출하는 버킷 구동부(80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800)에서 실행되는 상기 강수량 강제 배출 프로그램은, 상기 RTC 모듈(803)이 제공하는 시간이 매일 0시 0분 0초일 때, 상기 메모리(802)에 저장된 상기 티핑 버킷(200)의 기울어짐 상태에 따라, 상기 버킷 구동부(804)를 구동시키되, 상기 기울어짐 상태가 중앙인 경우, 상기 버킷 구동부(804)를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기울어짐 상태가 좌측 또는 우측 기울어짐인 경우, 반대 방향으로 상기 버킷 구동부(804)를 동작시켜 강수량을 강제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는 상기 무게센서부(300)와 상기 전도센서부(500)의 센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시간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센서부(500)는 복수의 전극(501) 및 리미터(502)를 포함하며,
    상기 티핑 버킷(200)의 하단과 상기 전도 용기(400)의 상부에 상기 전극(501)이 위치하여, 상기 티핑 버킷(200)이 상기 낙하되는 강수에 따라 틸팅하여 상기 전도 용기(400)로 기울어질 때, 상기 복수의 전극(501)이 도통하여 상기 리미터(502)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메모리(802)에 상기 티핑 버킷(200)의 기울어짐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802)에 저장된 상기 티핑 버킷(200)의 기울어짐 상태는 중앙 또는 좌측 기울어짐 또는 우측 기울어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7. 삭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0)는 주기적으로 상기 통신부(90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시간 정보 데이터 상기 RTC 모듈(803)로부터 제공하는 시간과 비교하여 비교값을 도출하되, 상기 비교값의 차이가 기준 차이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비교값의 차이만큼을 RTC 모듈 시간에 보정하여 상기 메모리(802)에 시간 비교 차이값으로 저장하고, 이를 기준으로 강수량 강제배출 조건을 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9. 청구항 1,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강수 측정장치(1000)로 부터,
    무게센서 데이터, 전도센서 데이터를 통신부(900)를 통해 전송받는 강수서버(20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강수서버(2000)는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의 통신부(9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통신부(2100);
    상기 서버통신부(2100)에서 송/수신된 데이터에 강수 측정 장치(1000)의 식별 정보와 시계열 정보를 부가하는 데이터획득부(2200);
    상기 데이터획득부(220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2400); 및
    상기 데이터획득부(2200)로부터 받은 복수의 데이터에 대해, 정해진 신경망 학습방법을 적용하여 학습시키는 신경망부(2300);
    상기 신경망부(2300)에서 학습된 학습결과를 통해, 상기 강수 측정장치(1000)의 강수 측정 정확도를 판단하는 판단부(2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시스템.
KR1020210141490A 2021-10-22 2021-10-22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 KR102616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90A KR102616936B1 (ko) 2021-10-22 2021-10-22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90A KR102616936B1 (ko) 2021-10-22 2021-10-22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580A KR20230057580A (ko) 2023-05-02
KR102616936B1 true KR102616936B1 (ko) 2023-12-27

Family

ID=8638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490A KR102616936B1 (ko) 2021-10-22 2021-10-22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9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02684A (ja) * 2017-06-09 2019-01-10 iシステムリサーチ株式会社 雨量等変化率計測システム、雨量等変化率計測方法、及び雨量等変化率計測用装置
KR102023876B1 (ko) * 2018-09-10 2019-09-23 제아정보통신(주) 강우/강설 감시 시스템
KR102106563B1 (ko) * 2019-08-14 2020-05-26 남지현 집수량 조절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강수량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685A (ko) * 2003-07-22 2005-01-28 정찬권 강우량계의 표준시각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강우량측정시스템
KR20040012620A (ko) * 2003-11-06 2004-02-11 이부용 스트레인게이지식 로드셀과 티핑버킷을 이용한 강우량측정 방법
KR20170038481A (ko) 2015-09-30 2017-04-07 양장은 센서를 이용한 강수량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02684A (ja) * 2017-06-09 2019-01-10 iシステムリサーチ株式会社 雨量等変化率計測システム、雨量等変化率計測方法、及び雨量等変化率計測用装置
KR102023876B1 (ko) * 2018-09-10 2019-09-23 제아정보통신(주) 강우/강설 감시 시스템
KR102106563B1 (ko) * 2019-08-14 2020-05-26 남지현 집수량 조절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강수량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580A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677B1 (ko) 이동식 수질오염 측정 시스템
CN103428901B (zh) 一种移动终端及其数据保护方法
CN115375137B (zh) 一种非煤矿山尾矿库的安全风险预警预测系统
KR20180077647A (ko) 비탈면 붕괴 감지 시스템
KR102616936B1 (ko) 강수량 강제배출이 가능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측정시스템
CN114818518A (zh) 一种陡坡防滑坡危险监测信息分析方法
CN117113236A (zh) 一种智慧城市监控系统及数据处理方法
JP2004183340A (ja) 切土のり面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に使用する切土のり面崩壊危険度判定システムと土中水分状況計測方法
Prakash et al. FLOODWALL: a real-time flash flood monitoring and forecasting system using IoT
KR102508436B1 (ko) 인공지능을 활용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시스템
CN205138598U (zh) 一种城市公共道路积水智能监控系统
Oguz et al. IoT-based strategies for risk management of rainfall-induced landslides: a review
KR102435673B1 (ko) 차량형 이동식 강우 관측 장치
KR102531140B1 (ko) 광전센서를 이용한 강수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강수 시스템
CN116990847B (zh) 基于边缘计算的北斗gnss接收机解算方法和系统
KR20220163565A (ko) 실시간 비탈면 붕괴 통합 감지 시스템
KR102352137B1 (ko) IoT활용 도로결빙 감지 및 예측시스템
JP7048026B2 (ja) 雨量等変化率計測システム、雨量等変化率計測方法、及び雨量等変化率計測用装置
CN117108458A (zh) 海上风电分区腐蚀安全评估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209470902U (zh) 一种用于土壤含水率的检测设备
CN106643605B (zh) 船闸运行状态下门体水平跳变实时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KR20060025450A (ko)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수위 측정시스템
CN115798164A (zh) 一种洪涝灾害影响的配电杆塔倾斜监测方法及系统
CN110264671A (zh) 一种基于多传感器信息融合在山体滑坡中的预测方法
KR101947790B1 (ko) 수위예측을 위한 강우관측소용 수위계측기둥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