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732B1 - Bus bar joint kit - Google Patents

Bus bar joint k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732B1
KR102616732B1 KR1020230090360A KR20230090360A KR102616732B1 KR 102616732 B1 KR102616732 B1 KR 102616732B1 KR 1020230090360 A KR1020230090360 A KR 1020230090360A KR 20230090360 A KR20230090360 A KR 20230090360A KR 102616732 B1 KR102616732 B1 KR 102616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busbars
plates
plate
bu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0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기현
Original Assignee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9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7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7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절연체로 피복하고 적어도 어느 한쪽 끝은 절연피복을 벗겨내어 제거한 복수 개의 부스바와, 내부에 상기 부스바를 적층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격리하고 보호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부스바들 각각의 적어도 어느 한쪽 끝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바깥으로 돌출하여 일렬로 나란히 배치한 부스덕트 유닛들 간을 연결 접속하기 위한 부스바 조인트 키트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usbars covered with an insulator and at least one end of which is stripped of the insulating coating, and a housing that isolates and protects the busbars by stacking them or arranging them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and each of the busbars. Discloses a busbar joint kit for connecting bus duct units at least one end of which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the outside and are arranged in a row.

Description

부스바 조인트 키트{BUS BAR JOINT KIT}Busbar joint kit {BUS BAR JOINT KIT}

본 발명은 일렬로 나란히 배치한 부스덕트 유닛들을 연결 접속하기 위한 부스바 조인트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바의 전체면을 고른 압력으로 가압 밀착하여 접속 면적이 넓어 접촉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스덕트의 부스바 조인트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bar joint kit for connecting bus duct units arranged in a row. More specifically, the entire surface of the busbar is press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 even pressure, thereby increasing the connection area and minimizing contact resistance as a whole. This relates to a busbar joint kit for busducts that can maintain uniform and stable connections.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비롯해 대형공장, 대형병원 등 대규모 전력을 요구하는 시설에서는 대용량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케이블을 대신하는 이른바 부스덕트(Bus Duct)를 활용한 전기 배선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In general, in facilities that require large amounts of power, such as high-rise buildings, large factories, and large hospitals, electrical wiring uses so-called bus ducts instead of cables to stably supply large amounts of power and minimize energy loss. system is being adopted.

즉, 부스덕트는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은 전도체를 절연물로 감싸거나 지지한 뒤 강판 또는 갈바늄 강판 또는 알루미늄 하우징 안에 수납하여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단위 유닛을 의미하며, 내부의 전도체를 통한 대용량의 전류전송, 효율적인 공간활용, 시공의 편리성 등은 물론 증설과 이설, 사고 처리, 계통의 관리 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bus duct refers to a unit with a certain length by wrapping or supporting a conductor such as aluminum or copper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n storing it in a steel plate, galvanium steel plate, or aluminum housing. It transmits a larg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internal conductor,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efficient use of space and convenience of construction, as well as ease of expansion and relocation, accident handling, and system management.

이러한 부스덕트는 조인트 키트(Joint Kit)를 이용한 접속 방식으로 단위 유닛 간을 연결하고 있다.These bus ducts are connected between units using a joint kit.

즉, 부스덕트의 말단은 조인트 키트에 의해 도체는 도체끼리 서로 접속되고, 접지는 접지끼리 서로 접속된다.That is, at the end of the bus duct, conduct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grou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joint kit.

일례로 종래의 부스바 조인트 키트(Joint Kit)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바(101, 1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간 절연하는 복수 개의 절연판(220)과, 이 절연판(220)들의 한쪽 면에서 부스바(101, 111)와 접촉하는 통전판(230) 및 절연판(220)들 중 최외측 절연판(220)과 통전판(230)들 중 최외측 통전판(230)에 각각 구비된 보호판(210)을 포함하고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busbar joint kit includes a plurality of insulating plates 22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insulate the phases so that the busbars 101 and 111 can be inserted, and these insulating plates The outermost insulating plate 220 among the current-carrying plates 230 and the insulating plates 220 and the outermost current-carrying plate 230 among the current-carrying plates 230 in contact with the busbars 101 and 111 on one side of the plates 220. It includes a protective plate 210 provided in each.

그리고 절연판(220)들과, 통전판(230)들 및 보호판(210)들을 순서대로 적층한 상태에서 체결볼트(250)로 조여서 결합하기 위하여 그 가운데 부분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구멍이 뚫려 있다.In order to fasten the insulating plates 220, the conductive plates 230, and the protective plates 210 in that order by fastening them with fastening bolts 250, bolt holes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re drilled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

또한, 부스바(101, 111)와 통전판(230)은 서로 밀착 접속되고, 부스바(101, 111)는 각 상별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부스바(101, 111)가 체결볼트(250) 등과 접촉으로 인해 상간 절연 파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볼트구멍과 체결볼트(250) 사이에는 절연용 부싱이 삽입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usbars 101 and 111 and the conductive plate 230 a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busbars 101 and 111 must maintain an insulated state for each phase, so the busbars 101 and 111 must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fastening bolts. In order to prevent insulation breakdown between phases due to contact with (250), etc., an insulating bushing is inserted between each bolt hole and the fastening bolt (250).

그런데 이는 통전판(23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체결볼트(250)의 조임 토크로 통전판(230)과 부스바(101, 111)를 가압하여 결합하는 구조적 특성상 한정된 부분에만 압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접촉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mbining the current-carrying plate 230 and the busbars 101 and 111 by pressing them with the tightening torque of the fastening bolt 250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urrent-carrying plate 230, pressure is applied only to a limited portion, which causes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contact was not made uniformly throughout, resulting in poor connection.

더욱이 통전판(230)을 관통하는 볼트구멍으로 인한 접촉부분 단면적이 줄어들고 관통하는 전기흐름에 방해가 되어 통전시 와류 및 자기장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접속 효율이 낮아지고, 이로 인한 고열 발생에 따라 화재 등 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tact area is reduced due to the bolt hole penetrating the conductive plate 230, and the penetrating electric flow is interrupted, and eddy currents and magnetic fields are generated during energization, so the current flow is not smooth, lowering connection efficiency, and resulting in high heat. As it occurred, there was a high risk of accidents such as fire.

한편, 부스바(101, 111)는 일반적으로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특성상 열에 따른 수축 및 팽창의 변화가 다른 금속에 비해 크기 때문에 전류가 부스바(101, 111)에 흐를 때 전기 저항에 의하여 줄 열(Joule's heat)이 발생하여 부스바(101, 111)의 길이가 과도하게 신장되는 경우가 있다.Meanwhile, since the busbars 101 and 111 are generally made of highly conductive copper or aluminum, the change in contraction and expansion due to heat is greater than that of other metals, so when current flows through the busbars 101 and 111, the electrical resistance As a result, Joule's heat may be generated and the length of the busbars 101 and 111 may be excessively extended.

즉, 부스바(101, 111)가 열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여 팽창하는 경우 말단 쪽으로 신장하고, 그에 따른 부스바(101, 111)의 길이와 부피 변화로 인해 좌굴(buckling) 현상 등의 변형이 발생하면서 전기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usbars (101, 111) receive heat and expand as their temperature rises, they extend toward the ends, and deformations such as buckling occur due to changes in the length and volume of the busbars (101, 111). As this occurs, electrical resistance increases, which may result in loss of current.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 및 완성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선행기술조사 및 심사에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널리 사용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The background or prior art described above herein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inventor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and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seful for prior art search and examina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is does not mean that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ior art are generally known and wide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ior art are unrelated to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esent invention. .

KRKR 10-237526310-2375263 B1(2022.B1(2022. 03.03. 11)11) KRKR 10-219537210-2195372 B1(2020.B1(2020. 12.12. 18)18) KRKR 10-2020-003234610-2020-0032346 A(2020.A(2020. 03.03. 26)2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부스바 조인트 키트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부스바의 전체면에 고른 압력이 가해지도록 가압 밀착하여 접속 면적이 넓어 접촉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체결용 볼트의 주위를 확실하게 절연하여 부스바와 접촉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부스바 조인트 키트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comprehensively considered all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at the same time, with the idea of solving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busbar joint kit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or applied pressure and adhesion so that even pressure was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busbar to increase the connection area. We wanted to develop a busbar joint kit with a new structure that is wide enough to minimize contact resistance while maintaining an overall uniform and stable connection, and also prevents contact with the busbar by reliably insulating the area around the fastening bolt. As a result of constant research with great effort,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부스바를 균일하게 가압 밀착할 수 있도록 하며 연결부분 단면적을 유지하고 중앙에 관통하고 있는 볼트를 양옆으로 이동시켜 전류흐름의 방해를 제거하도록 하여 와류전류와 자기장을 최소화 할수 있도록 하는 고효율의 부스바 조인트 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purpose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niformly pressurize and adhere the busbar, mainta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ion part, and move the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to both sides to eliminate obstruction of current flow, thereby reducing eddy current and The goal is to provide a highly efficient busbar joint kit that minimizes magnetic field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체결용 볼트의 주위를 확실하게 절연할 수 있도록 하는 부스바 조인트 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purpose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sbar joint kit that can reliably insulate the surroundings of fastening bolts.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a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ose who have it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clearl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절연체로 피복하고 적어도 어느 한쪽 끝은 절연피복을 벗겨내어 제거한 복수 개의 부스바와, 내부에 상기 부스바를 적층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격리하고 보호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부스바들 각각의 적어도 어느 한쪽 끝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바깥으로 돌출하여 일렬로 나란히 배치한 부스덕트 유닛들 간을 연결 접속하기 위한 부스바 조인트 키트를 제시한다.A specific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technical purpose while embody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cover it with an insulator and remove the insulating coating from at least one e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busbars and a housing that isolates and protects the busbars by stacking them or arranging them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and at least one end of each of the busbars protrudes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are lined up in a row. We present a busbar joint kit for connecting the deployed bus duct units.

아울러 상기 부스덕트 유닛들 중 한쪽의 상기 부스바들 끝과, 다른 한쪽의 상기 부스바들 끝을 각각 덮도록 배치되고, 일렬로 놓인 상기 부스바들 끝의 절연피복이 벗겨진 부분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복수 개의 절연판, 상기 부스바들과 상기 절연판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부스덕트 유닛들 중 한쪽의 상기 부스바들 끝과, 다른 한쪽의 상기 부스바들 끝의 절연피복이 벗겨진 부분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판, 상기 부스덕트 유닛들의 상기 하우징 끝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절연판들 중 상기 부스바들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판들을 양쪽에서 감싸듯이 각각 밀착된 한 쌍의 보호브래킷, 상기 보호브래킷들의 서로 마주하는 끝부분에 각각 밀착되고, 사방 가장자리에 각각 리테이닝홀이 뚫리고, 상기 리테이닝홀에 각각 제1볼트를 관통시켜 반대쪽에서 제1너트를 죄어 결합하는 한 쌍의 가압판, 상기 가압판들과 상기 제1볼트들의 헤드와 제1너트들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볼트와 상기 제1너트에 의한 조임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플레이트와셔, 상기 제1볼트들 각각의 둘레를 감싸서 절연하도록 형성된 절연부싱, 상기 부스덕트 유닛들 중 한쪽의 상기 부스바들 끝과, 다른 한쪽의 상기 부스바들 끝이 나란히 놓인 상태로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그 중간에 설치된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조인트 키트를 제시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ulating plates are arranged to cover the ends of the bus bars on one side of the bus duct units and the ends of the bus bars on the other side, and electrically insulate the portions where the insulation coating has been peeled off at the ends of the bus bars placed in a row. , a current-carrying plate mounted between the busbars and the insulating plat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nd of the busbars on one side of the bus duct units and the peeled portion of the end of the busbars on the other side, the bus, A pair of protective brackets respectively fixed to the ends of the housing of the duct units an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surround the insulating plates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busbars from both sides, respectively, at ends of the protective brackets facing each other. A pair of pressure plates that are in close contact, each of which has retaining holes on all four edges, and which is connected by passing a first bolt through each of the retaining holes and tightening a first nut from the opposite side, the heads of the pressure plates and the first bolts, and Plate washers each mounted between the first nuts to uniformly distribute the first bolt and the tightening force caused by the first nut, an insulating bushing formed to surround and insulate each of the first bolts, and the bus duct units Presenting a busbar joint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busbars on one side and the end of the busbars on the other side are placed side by side and include a spacer installed in the middle to maintain a constant gap without direct contact. do.

이로써 본 발명은 부스바의 전체면에 고른 압력이 가해지도록 가압 밀착하여 접속 면적이 넓어 접촉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체결용 볼트의 주위를 확실하게 절연하여 부스바와 접촉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maintain an overall uniform and stable connection while minimizing contact resistance by pressurizing and adhering the bus bar so that ev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bus bar and widening the connection area. In addition, the bus bar is reliably insulated around the fastening bolts. This can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contact with the ba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절연판의 양면에 상기 통전판이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양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통전판의 한쪽 면에 상기 스페이서의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을 안정하게 하는 결합턱이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절연판들의 양쪽 사방 가장자리에 상기 절연부싱을 장착하기 위한 부싱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들의 양쪽 사방 가장자리에 상기 절연부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닝홀이 형성됨으로써 통전판이 부스바에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ing grooves into which the conductive plate is insert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plat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pacer, and a coupling groove of the spac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ductive plate. A coupling jaw that stabilizes the fitting is formed to protrude, bushing grooves for mounting the insulating bushings are formed on both four edges of the insulating plates, and the insulating bushings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both four edges of the pressure plates. By forming a retaining hole to prevent the current conduction plate from being stably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usba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절연판들이 인터로킹(inter-locking)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층되거나 평행하게 놓이도록 상기 절연판들의 한쪽 면 가장자리에 중공형 암슬리브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절연판들의 다른 한쪽 면 가장자리에 상기 암슬리브와 대응하는 모양으로 중공형 수슬리브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절연판들은 상기 가압판들의 한쪽에서 상기 암슬리브와 상기 수슬리브의 중공을 통해 제2볼트를 관통시키고 다른 한쪽에서 제2너트로 죄어 결합되며, 상기 가압판들의 상기 플레이트와셔들과 맞닿는 면에 각각 체결 위치를 잡아주는 스토퍼가 돌출하여 형성됨으로써 한층 더 안정적이고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 arm sleeve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 edge of one side of the insulating plates so that the insulating plates are stacked at regular intervals or placed in parallel by interlocking, and the insulating plates A hollow male sleev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other si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leeve, and the insulating plates penetrate the second bolt through the hollow of the female sleeve and the male sleeve on one side of the pressure plates and a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t is coupled by tightening with a second nut on one side, and a stopper that holds the fastening position is protruding from the surfaces of the pressure plate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plate washers, thereby maintaining a more stable and solid fastening sta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보호브래킷은 상기 부스덕트 유닛 사이의 간격을 신축 작용으로 확장(expansion)시키는 댐퍼부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통전 시 발생하는 상기 부스바들의 열팽창에 따른 응력을 탄력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bracket is formed with a damper portion that expands the gap between the bus duct units by stretching, thereby elastically absorbing stress due to thermal expansion of the bus bars that occurs when electricity is applied. can d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절연판의 가장자리에 표면 누설 거리를 연장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절연 거리를 늘리는 여러 개의 주름을 갖는 스커트가 형성됨으로써 표면을 통해 흐르는 누설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kirt having several wrinkles that increase the insulating distance at regular intervals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insulating plate to extend the surface leakage distance, thereby minimizing leaka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가압판들의 상기 보호브래킷들과 맞닿는 면에 각각 패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홈에 상기 가압판들과 상기 보호브래킷들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수분을 침투를 방지하는 패킹이 끼워짐으로써 전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ck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ressure plate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tection brackets, and the gaps between the pressure plates and the protection brackets are blocked in the packing grooves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Electrical safety can be improved by inserting the packing.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은, 부스바의 전체면에 고른 압력이 가해지도록 가압 밀착하기 때문에 접속 면적이 넓어 접촉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based on a unique solu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presses and adheres so that ev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busbar, so the connection area is wide, minimizing contact resistance and maintaining an overall uniform and stable connection state. It can be maintained.

또한, 체결용 볼트의 주위를 절연부싱으로 확실하게 절연하기 때문에 부스바의 전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접속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rea around the fastening bolt is reliably insulated with an insulating bushing, current flow in the busbar can be smoothed and conne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더구나 부스바가 열팽창하여 말단 쪽으로 길이와 부피가 늘어나더라도 보호브래킷이 댐퍼부의 완충 및 신축 작용에 의해 부스덕트 유닛들 사이의 간격을 확장(expansion)시킬 수 있다.Moreover, even if the busbar thermally expands and increases in length and volume toward the end, the protection bracket can expand the gap between the busduct units by cushioning and expanding the damper part.

즉, 보호브래킷이 댐퍼부가 부스바의 열적 변형에 따른 응력을 탄력적으로 흡수하고 상쇄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otection bracket can elastically absorb and offset the stress caused by thermal deformation of the busbar in the damper part.

따라서 부스바의 통전 시 이상온도 상승, 열신축 등에 따른 전기 저항과 전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usbar is energized, electrical resistance and current loss due to abnormal temperature rise, thermal expansion, etc. can be minimized.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부스바 조인트 키트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조인트 키트를 부스덕트 유닛과 함께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조인트 키트를 부스덕트 유닛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조인트 키트를 부스덕트 유닛과 결합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조인트 키트를 구성하는 절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조인트 키트를 구성하는 통전판과 스페이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usbar joint ki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sbar joint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assembled together with the bus duct uni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bar joint kit combined with a bus duc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sbar joint kit combined with a bus duc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ulating plate constituting a busbar joint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ductive plate and spacer constituting a busbar joint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하며,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technic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idea and a meaning commonly used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be provided. Decided to omit it.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조인트 키트는 부스바(B1)(B2)들의 끝이 하우징(H1)(H2)의 내부에서 바깥으로 돌출(노출)하여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벌어져 있는 부스덕트 유닛(U1)(U2)들의 부스바(B1)(B2)들 간을 일렬로 연결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절연판(10), 통전판(20), 보호브래킷(30), 가압판(40), 플레이트와셔(50), 절연부싱(60) 및 스페이서(7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busbar joint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nds of the busbars (B1) (B2) protruding (expos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H1) (H2) to the outside. It is used to connect and connect the bus bars (B1) (B2) of the bus duct units (U1) (U2) sprea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in a row. The main elements that make up this are the insulating plate (10) and the conductive plate. (20), it includes a protective bracket (30), a pressure plate (40), a plate washer (50), an insulating bushing (60), and a spacer (70).

여기서 부스덕트 유닛(U1)(U2)들은 절연체로 피복하고 적어도 어느 한쪽 끝은 절연피복을 벗겨내어 제거한 복수 개의 부스바(B1)(B2)와, 내부에 부스바(B1)(B2)를 적층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격리하고 보호하는 하우징(H1)(H2), 이 하우징(H1)(H2)의 기계적 강도 및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하우징(H1)(H2)의 끝에 각각 배치하는 엔드 블록(E1)(E2)을 포함하고 있다.Here, the bus duct units (U1) (U2) are covered with an insulator, and at least one end has a plurality of bus bars (B1) (B2) with the insulating coating removed, and the bus bars (B1) (B2) are stacked inside. Housings (H1) (H2) that are isolated and protected by being plac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and end blocks that are placed at the ends of each of the housings (H1) (H2)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and fixing force of the housings (H1) (H2). Contains (E1)(E2).

또한, 부스바(B1)(B2)들은 R, S, T, N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부스덕트 유닛(U1)(U2)들의 설치 대상이나 설치 환경, 공급하는 전력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busbars (B1) (B2) may be formed in R, S, T, or N phases, but are not limited to this, and the installation target or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bus duct units (U1) (U2), and the power capacity supplied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ituation.

절연판(10)은 부스바(B1)(B2)들 끝의 절연피복이 벗겨진 부분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하여 일렬로 놓인 부스덕트 유닛(U1)(U2)들 중 한쪽의 부스바(B1)들 끝과, 다른 한쪽의 부스바(B2)들 끝을 각각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The insulating plate 10 is placed at one end of the busbars (B1) among the bus duct units (U1) (U2) placed in a row in order to electrically insulate the portion where the insulation coating at the end of the busbars (B1) (B2) has been peeled off. and are arranged to cover the ends of the busbars (B2) on the other side, respectively.

그리고 절연판(10)의 상하 양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전판(20)이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또 부스바(B1)(B2)들의 폭 방향으로 양쪽 사방 가장자리에는 절연부싱(60)을 장착하기 위한 부싱홈(12)이 형성되어 있다.And, as shown in FIG. 5, mounting grooves 11 are form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sulating plate 10 into which the current conducting plate 20 is inserted and mounted, and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usbars B1 and B2. A bushing groove 12 for mounting the insulating bushing 60 is formed at the edge.

또한, 여러 개의 절연판(10)들이 인터로킹(inter-locking)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층되거나 평행하게 놓이도록 절연판(10) 각각의 한쪽 면 가장자리에는 중공형 암슬리브(13)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반대쪽 면 가장자리에는 암슬리브(13)와 대응하는 모양으로 중공형 수슬리브(14)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hollow arm sleeve 1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dge of one side of each insulating plate 10 so that several insulating plates 10 are stacked at regular intervals or placed in parallel by interlocking. , On the edge of the opposite side, a hollow male sleeve 14 is formed to protru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leeve 13.

즉, 위쪽에 위치하는 절연판(10)의 암슬리브(13) 중공 속에 아래쪽에 위치하는 절연판(10)의 수슬리브(14)가 삽입 결합됨으로써 인터로킹(inter-locking)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층될 수 있다.That is, the male sleeve 14 of the insulating plate 10 located below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female sleeve 13 of the insulating plate 10 located above, so that they are stacked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inter-locking. You can.

아울러 절연판(10)의 암슬리브(13)와 수슬리브(14)는 제2볼트(53)의 몸체 둘레를 감싸서 절연하는 역할도 겸하므로 제2볼트(53)가 부스바(B1)(B2)들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male sleeve 13 and male sleeve 14 of the insulating plate 10 also serve to surround and insulate the body of the second bolt 53, so that the second bolt 53 is connected to the busbars B1 and B2. You can prevent contact with them.

그리고 절연판(10)의 가장자리에는 표면을 통해 흐르는 누설 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표면 누설 거리를 연장하는 여러 개의 주름을 갖는 스커트(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nd at the edge of the insulating plate 10, a skirt 15 having several wrinkles that extend the surface leakage distance at regular intervals is formed integrally to minimize leaka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urface.

즉, 스커트(15)의 주름으로 인해 유전상수가 낮은 공기층을 형성 및 공기의 원활한 유통을 유도하여 절연내력과 공기절연(air insulation) 효과가 향상되고 연면 거리(creeping distance) 늘어남으로써 누설 전류가 흐르지 못하고 우회되기 때문에 전계의 집중을 억제하여 열화를 방지하여 전기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That is, the wrinkles of the skirt 15 form an air layer with a low dielectric constant and induce smooth circulation of air, improving the dielectric strength and air insulation effect and increasing the creeping distance to prevent leakage current from flowing. Since it is bypassed, the concentration of electric fields can be suppressed, preventing deterioration and improving electrical insulation.

또한, 스커트(15)는 그 자유단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재료를 줄여 원가절감 및 경량화는 물론이고, 부스바(B1)(B2)들의 삽입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kirt 15 becomes gradually thinner toward the free end,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weight, as well as ensuring ease of insertion of the busbars B1 and B2.

여기서 절연판(10)은 PET 등과 같이 전기절연성 및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sulating plate 10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with excellent electrical insul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PET.

통전판(20)은 부스덕트 유닛(U1)(U2)들 중 한쪽의 부스바(B1)들 끝과, 다른 한쪽의 부스바(B2)들 끝의 절연피복이 벗겨진 부분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부스바(B1)(B2)들과 절연판(10)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The current conduction plate 20 electrically connects the end of the busbars (B1) on one side of the bus duct units (U1) (U2) and the portion where the insulation coating has been peeled off at the end of the busbars (B2) on the other side. It is mounted between the busbars (B1) (B2) and the insulating plate (10) for this purpose.

그리고 통전판(20)의 한쪽 면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70)의 결합홈(71)에 끼워지는 결합을 안정하게 하는 결합턱(21)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And, as shown in FIG. 6, on one side of the current conducting plate 20, a coupling protrusion 21 is formed to protrude to stabilize the coupling into the coupling groove 71 of the spacer 70.

여기서 통전판(20)은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desirable that the current conducting plate 20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or aluminum.

보호브래킷(30)은 절연판(10)들 중 부스바(B1)(B2)들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절연판(10)들을 양쪽에서 감싸듯이 각각 밀착하기 위하여 부스덕트 유닛(U1)(U2)들의 하우징(H1)(H2) 끝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The protection bracket 30 is attached to the housing of the bus duct units (U1) (U2) in order to tightly adhere to each of the insulating plates (10)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busbars (B1) (B2) among the insulating plates (10) as if surrounding them from both sides. They are fixed at the ends of (H1) and (H2), respectively.

즉, 보호브래킷(30)은 부스덕트 유닛(U1)(U2)들 중 한쪽의 부스바(B1)들 끝과, 다른 한쪽의 부스바(B2)들 끝을 보호하기 위하여 좌우 한 쌍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하우징(H1)(H2) 끝의 엔드 블록(E1)(E2)에 고정되어 있다.That is, the protection bracket 30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s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order to protect the end of the busbars (B1) on one side and the end of the busbars (B2) on the other side of the bus duct units (U1) (U2). It is fixed to the end blocks (E1) (E2) at the ends of the housing (H1) (H2).

그리고 보호브래킷(30)은 부스바(B1)(B2)들의 열팽창에 따른 응력을 탄력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부스덕트 유닛(U1)(U2)들 사이의 간격을 확장(expansion)시키는 댐퍼부(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nd the protection bracket 30 is a damper part 31 that expands the gap between the bus duct units (U1) (U2) in order to elastically absorb stress due to thermal expansion of the bus bars (B1) (B2). is formed as a whole.

즉, 댐퍼부(31)는 원활한 완충 및 신축 작용을 위하여 단면이 마치 'ㄷ'자 모양으로 절곡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damper part 31 is formed in a cross-section bent like a 'ㄷ' shape for smooth cushioning and expansion/contraction action.

여기서 보호브래킷(30)은 접지 역할을 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otection bracket 30 is preferably made of an aluminum alloy material to serve as a ground.

가압판(40)은 보호브래킷(30)들의 서로 마주하는 끝부분을 각각 밀착하여 누르기 위하여 보호브래킷(30)들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The pressure plate 40 is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protection brackets 30 to press the opposing ends of the protection brackets 30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가압판(40)의 사방 가장자리에는 리테이닝홀(41)이 뚫려 있다.And retaining holes 41 are formed on all four edges of the pressure plate 40.

또한, 가압판(40)의 리테이닝홀(41)에 끼워지는 절연부싱(60)의 중공에 각각 제1볼트(51)를 관통시켜 반대쪽에서 제1너트(52)를 죄어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lts 51 can be passed through the hollows of the insulating bushings 60 fitted into the retaining holes 41 of the pressure plate 40 and the first nuts 52 can be tightened from the opposite sides.

즉, 한 쌍의 가압판(40)과 제1볼트(51) 및 제1너트(52)에 의해 절연판(10)과 통전판(20), 보호브래킷(30) 및 스페이서(70)를 부스바(B1)(B2)들 사이에 눌러서 고정할 수 있다.That is, the insulating plate 10, the conductive plate 20, the protective bracket 30, and the spacer 70 are connected to the busbar ( It can be fixed by pressing between B1)(B2).

또한, 가압판(40)의 리테이닝홀(41)들 사이에는 절연판(10)의 암슬리브(13) 및 수슬리브(14)의 중공과 통하는 관통구멍(42)이 뚫려 있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42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s of the female sleeve 13 and male sleeve 14 of the insulating plate 10 is formed between the retaining holes 41 of the pressure plate 40.

즉, 절연판(10)들은 가압판(40)들의 관통구멍(42)과, 암슬리브(13) 및 수슬리브(14)의 중공에 각각 제2볼트(53)를 관통시키고 반대쪽에서 제2너트(54)로 죄어 결합할 수 있다.That is, the insulating plates 10 penetrate the second bolts 53 through the through holes 42 of the pressure plates 40 and the hollows of the female sleeve 13 and male sleeve 14, respectively, and attach the second nut 54 from the opposite side. ) can be tightened to join.

그리고 가압판(40)의 플레이트와셔(50)와 맞닿는 면에는 체결 위치를 잡아주는 스토퍼(43)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And, on the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4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late washer 50, a stopper 43 that holds the fastening position is formed to protrude.

또한, 가압판(40)의 보호브래킷(30)과 맞닿는 면에는 패킹홈(44)이 형성되어 있고, 그 패킹홈(44)에는 가압판(40)들과 보호브래킷(30)들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수분을 침투를 막는 패킹(45)이 끼워져 있다.In addition, a packing groove 4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40 in contact with the protection bracket 30, and the packing groove 44 closes the gap between the pressure plates 40 and the protection brackets 30. Therefore, a packing (45) that prevents moisture from penetrating is installed.

여기서 패킹(45)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패킹홈(44)에 더브테일 이음(dovetail joint) 방식으로 각각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packing 45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and can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acking groove 44 by a dovetail joint.

즉, 패킹(45)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횡단면의 형상이 원형 모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패킹홈(44)에 일부분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진 채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분이 절연판(10)과 밀착 시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기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packing 45 is formed in the form of a strip with a certain length,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is circular, so that a portion of the packing 45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packing groove 44 and maintained in a state where it does not come off. When a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ulating plate 10, it is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and can maintain an airtight state.

플레이트와셔(50)는 제1볼트(51)와 제1너트(52)에 의한 조임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가압판(40)들과 제1볼트(51)들의 머리와 제1너트(52)들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The plate washer 50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plates 40, the heads of the first bolts 51, and the first nuts 52 in order to uniformly distribute the tightening force caused by the first bolt 51 and the first nut 52. They are each installed in between.

절연부싱(60)은 제1볼트(51)의 몸체 둘레를 감싸서 절연하기 위하여 양단이 가압판(40)들의 리테이닝홀(41)에 끼워져 있다. The insulating bushing 60 is inserted into the retaining holes 41 of the pressure plates 40 at both ends to surround and insulate the body of the first bolt 51.

즉, 절연부싱(60)은 제1볼트(51)가 부스바(B1)(B2)들과 접촉되면서 상간 절연 파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판(10)들의 부싱홈(12)이 각각 장착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은 리테이닝홀(41)에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되어 있다.That is, the insulating bushing 60 is equipped with the bushing grooves 12 of the insulating plates 10 to prevent interphase insulation breakdown from occurring when the first bolt 5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usbars B1 and B2.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serted into the retaining hole 41 and coupled to prevent separation.

여기서 절연부싱(60)은 전기절연성 및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sulating bushing 60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with excellent electrical insul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스페이서(70)는 부스덕트 유닛(U1)(U2)들 중 한쪽의 부스바(B1)들 끝과, 다른 한쪽의 부스바(B2)들 끝이 나란히 놓인 상태로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부스덕트 유닛(U1)(U2)들 중 한쪽의 부스바(B1)들 끝과, 다른 한쪽의 부스바(B2)들 끝이 나란히 놓인 그 중간에 설치되어 있다. The spacer 70 maintains a constant gap between the ends of the busbars (B1) on one side of the bus duct units (U1) (U2) and the ends of the busbars (B2) on the other side without direct contact. In order to do this, the ends of the busbars (B1) on one side of the bus duct units (U1) (U2) and the ends of the busbars (B2) on the other side ar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bus duct units (U1) (U2).

그리고 스페이서(70)의 상하 양면에는 통전판(20)의 결합턱(21)이 끼워지는 결합홈(71)이 형성되어 있다.And on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pacer 70, a coupling groove 71 is formed into which the coupling jaw 21 of the current conducting plate 20 is inserted.

여기서 스페이서(70)는 전기절연성 및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pacer 70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with excellent electrical insul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조인트 키트는 별도의 커버(130)로 바깥쪽을 감싸서 보호하고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busbar joint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tected and maintain airtightness by wrapping the outside with a separate cover 13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조인트 키트는 제1볼트(51)와 제1너트(52)의 조임력 및 이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플레이트와셔(50)에 의해 가압판(40)이 부스바(B1)(B2)들의 전체면에 고른 압력이 가해지도록 가압 밀착하기 때문에 접속 면적이 넓어 접촉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busbar joint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plate 40 is connected to the busbar by the tightening force of the first bolt 51 and the first nut 52 and the plate washer 50 that evenly distributes it. Because ev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B1) and (B2), the connection area is wide, minimizing contact resistance and maintaining an overall uniform and stable connection.

또한, 통전판(20)들에 제1볼트(51)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 없으므로, 종래와 달리 통전 시 구멍의 주변에 와류 및 자기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are no holes in the conductive plates 20 for passing the first bolts 51, it is possible to prevent eddy currents and magnetic fields from being generated around the holes during conduction of electricity, unlike in the prior art.

아울러 제1볼트(51)의 몸체 주위를 절연부싱(60)으로 확실하게 절연하여 부스바(B1)(B2)들과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스바(B1)(B2)의 전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접속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around the body of the first bolt (51) is reliably insulated with an insulating bushing (60) to block direct contact with the busbars (B1) (B2), the current flow in the busbars (B1) (B2) You can increase connection efficiency by making it smoother.

그뿐만 아니라 부스바(B1)(B2)가 열팽창하여 말단 쪽으로 길이와 부피가 늘어나더라도 보호브래킷(30)이 댐퍼부(31)의 완충 및 신축 작용에 의해 부스덕트 유닛(U1)(U2)들 사이의 간격을 확장(expansion)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busbars (B1) (B2) thermally expand and increase in length and volume toward the end, the protection bracket (30) is used to protect the bus duct units (U1) (U2) by the buffering and expansion action of the damper portion (31). The gap between them can be expand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may be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exempl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oadly applied by replacing components and changing it to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modifying and apply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절연판 11: 장착홈
12: 부싱홈 13: 암슬리브
14: 수슬리브 15: 스커트
20: 통전판 21: 결합턱
30: 보호브래킷 31: 댐퍼부
40: 가압판 41: 리테이닝홀
42: 관통구멍 43: 스토퍼
44: 패킹홈 45: 패킹
50: 플레이트와셔 51: 제1볼트
52: 제1너트 53: 제2볼트
54: 제2너트 60: 절연부싱
70: 스페이서 71: 결합홈
10: Insulating plate 11: Mounting groove
12: Bushing groove 13: Arm sleeve
14: Sleeve 15: Skirt
20: conductive plate 21: coupling jaw
30: Protection bracket 31: Damper part
40: pressure plate 41: retaining hole
42: Through hole 43: Stopper
44: packing groove 45: packing
50: Plate washer 51: First bolt
52: 1st nut 53: 2nd bolt
54: second nut 60: insulating bushing
70: Spacer 71: Coupling groove

Claims (5)

절연체로 피복하고 적어도 어느 한쪽 끝은 절연피복을 벗겨내어 제거한 복수 개의 부스바(B1)(B2)와, 내부에 상기 부스바(B1)(B2)를 적층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격리하고 보호하는 하우징(H1)(H2)을 포함하며, 상기 부스바(B1)(B2)들 각각의 적어도 어느 한쪽 끝은 상기 하우징(H1)(H2)의 내부에서 바깥으로 돌출하여 일렬로 나란히 배치한 부스덕트 유닛(U1)(U2)들 간을 연결 접속하기 위한 부스바 조인트 키트에 있어서,
상기 부스덕트 유닛(U1)(U2)들 중 한쪽의 상기 부스바(B1)들 끝과, 다른 한쪽의 상기 부스바(B2)들 끝을 각각 덮도록 배치되고, 일렬로 놓인 상기 부스바(B1)(B2)들 끝의 절연피복이 벗겨진 부분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복수 개의 절연판(10); 상기 부스바(B1)(B2)들과 상기 절연판(10)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부스덕트 유닛(U1)(U2)들 중 한쪽의 상기 부스바(B1)들 끝과, 다른 한쪽의 상기 부스바(B2)들 끝의 절연피복이 벗겨진 부분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판(20); 상기 부스덕트 유닛(U1)(U2)들의 상기 하우징(H1)(H2) 끝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절연판(10)들 중 상기 부스바(B1)(B2)들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판(10)들을 양쪽에서 감싸듯이 각각 밀착된 한 쌍의 보호브래킷(30); 상기 보호브래킷(30)들의 서로 마주하는 끝부분에 각각 밀착되고, 사방 가장자리에 각각 리테이닝홀(41)이 뚫리고, 상기 리테이닝홀(41)에 각각 제1볼트(51)를 관통시켜 반대쪽에서 제1너트(52)를 죄어 결합하는 한 쌍의 가압판(40); 상기 가압판(40)들과 상기 제1볼트(51)들의 머리와 제1너트(52)들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볼트(51)와 상기 제1너트(52)에 의한 조임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플레이트와셔(50); 양단이 상기 리테이닝홀(41)에 끼워지고 상기 제1볼트(51)의 몸체 둘레를 감싸서 절연하는 절연부싱(60); 상기 부스덕트 유닛(U1)(U2)들 중 한쪽의 상기 부스바(B1)들 끝과, 다른 한쪽의 상기 부스바(B2)들 끝이 나란히 놓인 상태로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그 중간에 설치된 스페이서(70)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판(10)들의 양면에 상기 통전판(20)이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1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연판(10)들의 양쪽 사방 가장자리에 상기 절연부싱(60)을 장착하기 위한 부싱홈(1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70)의 양면에 결합홈(71)이 형성되고, 상기 통전판(20)들의 한쪽 면에 상기 스페이서(70)의 결합홈(71)에 끼워지는 결합을 안정하게 하는 결합턱(21)이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싱(60)의 양단은 상기 리테이닝홀(41)에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조인트 키트.
A plurality of busbars (B1) (B2) covered with an insulator and at least one end of which is stripped of the insulating coating, and the busbars (B1) (B2) are stacked inside or arrang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to isolate them. It includes protective housings (H1) (H2), and at least one end of each of the busbars (B1) (B2) protrudes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s (H1) (H2) and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busbar joint kit for connecting the bus duct units (U1) (U2),
The busbars (B1) are arranged to cover the ends of the busbars (B1) on one side of the bus duct units (U1) (U2) and the ends of the busbars (B2) on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nd are arranged in a row. ) (B2) A plurality of insulating plates (10) that electrically insulate the portions at the ends of which the insulating coating has been peeled off; It is mounted between the bus bars (B1) (B2) and the insulating plate (10) a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us bars (B1) on one side of the bus duct units (U1) (U2) and the bus on the other side. A conductive plate (20)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parts where the insulation coating has been peeled off at the ends of the bars (B2); The insulating plate 10 is fixed to the ends of the housings H1 and H2 of the bus duct units U1 and U2, respectively, and is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busbars B1 and B2 among the insulating plates 10. ) a pair of protective brackets (3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if surrounding them on both sides; Each of the protective brackets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posite ends, retaining holes 41 are drilled on all four edges, and a first bolt 51 is passed through each retaining hole 41 to be bolted from the opposite side. A pair of pressure plates (40) coupled by tightening the first nut (52); It is mounted between the pressure plates 40 and the heads of the first bolts 51 and the first nuts 52 to uniformly apply the tightening force by the first bolts 51 and the first nuts 52. Dispersing plate washer (50); an insulating bushing (60) whose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retaining hole (41) and that surrounds and insulates the body of the first bolt (51); The ends of the busbars (B1) on one side of the bus duct units (U1) (U2) and the ends of the busbars (B2) on the other side are placed side by side and do not directly contact each other, but maintain a constant gap. It includes a spacer 70 installed in the middle;
Mounting grooves 11 into which the conductive plate 20 is insert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plates 10, and bushing grooves for mounting the insulating bushing 60 are formed on both edges of the insulating plates 10. (12) is formed, and a coupling groove 7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pacer 70, and a coupling groove 7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71 of the spacer 70 on one side of the conductive plates 20. A busbar joint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jaws 21 that stabilize the are each protruding, and both ends of the insulating bushing 60 are inserted into the retaining hole 41 and coupled to prevent separ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10)들이 인터로킹(inter-locking)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층되거나 평행하게 놓이도록 상기 절연판(10)들의 한쪽 면 가장자리에 중공형 암슬리브(13)가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절연판(10)들의 반대쪽 면 가장자리에 상기 암슬리브(13)와 대응하는 모양으로 중공형 수슬리브(14)가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40)들의 상기 리테이닝홀(41)들 사이에 상기 암슬리브(13) 및 상기 수슬리브(14)의 중공과 통하는 관통구멍(42)이 각각 뚫리고,
상기 절연판(10)들은 상기 가압판(40)들의 관통구멍(42)과, 상기 암슬리브(13) 및 상기 수슬리브(14)의 중공에 각각 제2볼트(53)를 관통시키고 반대쪽에서 제2너트(54)로 죄어 결합되며,
상기 가압판(40)들의 상기 플레이트와셔(50)들과 맞닿는 면에 각각 체결 위치를 잡아주는 스토퍼(43)가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조인트 키트.
According to paragraph 1,
A hollow arm sleeve 13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 edge of one side of each of the insulating plates 10 so that the insulating plates 10 are stacked at regular intervals or placed in parallel by interlocking, and the insulating plates 10 A hollow male sleeve (1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opposite side of each of (1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leeve (13),
Through holes 42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s of the female sleeve 13 and the male sleeve 14 are formed between the retaining holes 41 of the pressure plates 40, respectively,
The insulating plates 10 have second bolts 53 penetrating the through holes 42 of the pressure plates 40 and the hollows of the female sleeve 13 and the male sleeve 14, respectively, and a second nut on the opposite side. It is joined by tightening (54),
A busbar joint kit, characterized in that stoppers (43) that hold the fastening positions are protruding from the surfaces of the pressure plates (40) in contact with the plate washers (5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브래킷(30)은 상기 부스바(B1)(B2)들의 열팽창에 따른 응력을 탄력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부스덕트 유닛(U1)(U2)들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키는 댐퍼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조인트 키트.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protection bracket 30 has a damper portion 31 that expands the gap between the bus duct units (U1) (U2) to elastically absorb stress due to thermal expansion of the bus bars (B1) (B2). A busbar joint k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10)들의 가장자리에 표면을 통해 흐르는 누설 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표면 누설 거리를 연장하는 여러 개의 주름을 갖는 스커트(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40)들의 상기 보호브래킷(30)들과 맞닿는 면에 각각 패킹홈(44)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44)에 상기 가압판(40)들과 상기 보호브래킷(30)들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수분을 침투를 방지하는 패킹(45)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조인트 키트.
According to claim 1 or 3,
At the edges of the insulating plates 10, a skirt 15 having several wrinkles extending the surface leakage distance at regular intervals is integrally formed to minimize leaka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urface,
Packing grooves 44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ressure plates 40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tective brackets 30, respectively,
A busbar joint kit, characterized in that packing (45) is inserted into the packing groove (44)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pressure plates (40) and the protection brackets (30)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KR1020230090360A 2023-07-12 2023-07-12 Bus bar joint kit KR1026167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360A KR102616732B1 (en) 2023-07-12 2023-07-12 Bus bar joint k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360A KR102616732B1 (en) 2023-07-12 2023-07-12 Bus bar joint k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732B1 true KR102616732B1 (en) 2023-12-21

Family

ID=8932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360A KR102616732B1 (en) 2023-07-12 2023-07-12 Bus bar joint k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73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114A (en) * 2008-01-23 2009-07-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Bus bars joint improved accuracy of assemble and absorption of thermal expansion
KR101413994B1 (en) * 2012-12-17 2014-07-04 주식회사 신화기전 Busbar joint cover
KR20180111522A (en) * 2017-03-30 2018-10-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Busduct
KR20200032346A (en) 2018-09-18 2020-03-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Busduct connection kit
KR102195372B1 (en) 2013-12-30 2020-12-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expansion and contraction type busduct joint
KR102375263B1 (en) 2021-06-09 2022-03-16 주식회사 신화기전 A bus duct connector for effective fire preven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114A (en) * 2008-01-23 2009-07-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Bus bars joint improved accuracy of assemble and absorption of thermal expansion
KR101413994B1 (en) * 2012-12-17 2014-07-04 주식회사 신화기전 Busbar joint cover
KR102195372B1 (en) 2013-12-30 2020-12-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expansion and contraction type busduct joint
KR20180111522A (en) * 2017-03-30 2018-10-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Busduct
KR20200032346A (en) 2018-09-18 2020-03-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Busduct connection kit
KR102375263B1 (en) 2021-06-09 2022-03-16 주식회사 신화기전 A bus duct connector for effective fire preven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4445A (en) Thermally efficient power busway system with integral clamping mechanism
EP3010093B1 (en) Joint assembly for a busduct
US7819681B1 (en) Thermally efficient busway joint pack
US4945188A (en) Bus system
US8163998B2 (en) Electrical busway flange end stub
US8926351B2 (en) Busway joint pack with heat sink insert
US20140322990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53749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antilever arm
GB2212673A (en) Power busway support
JPH0270217A (en) Thermally efficient spline joint for distribution bus
KR102195372B1 (en) expansion and contraction type busduct joint
US6265666B1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busway having a two-piece housing
US5828006A (en) Busway system with wedge brace supports
US6399882B1 (en) Dual-hinged door for a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busway
US11189998B2 (en) Apparatus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two laminated multi-phase busbars
KR102616732B1 (en) Bus bar joint kit
US20120118605A1 (en) Busbar clamping systems
JP5646353B2 (en) Bus duct connection structure
WO2019201429A1 (en) Apparatus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two laminated multi-phase busbars and switchboard arrangement including such an apparatus
US10522991B2 (en) Compact busway for low and medium voltage
KR20110054540A (en) A busduct connection member make use of semi-metal gasket
EP3391488B1 (en) Busbar
KR20160099354A (en) Bus-duct of multi-layer epoxy
JPWO2003023920A1 (en)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KR102631390B1 (en) Busduct connection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