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503B1 - 해수 전기보일러 - Google Patents

해수 전기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503B1
KR102616503B1 KR1020210125055A KR20210125055A KR102616503B1 KR 102616503 B1 KR102616503 B1 KR 102616503B1 KR 1020210125055 A KR1020210125055 A KR 1020210125055A KR 20210125055 A KR20210125055 A KR 20210125055A KR 102616503 B1 KR102616503 B1 KR 102616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connection
inlet
regular interv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1438A (ko
Inventor
오영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엠이
오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엠이, 오영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엠이
Priority to KR102021012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50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9Continuous flow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는 복수의 가열장치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 각각에는 입수관으로 공급되는 용수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시키는 동시에 가열하면서 출수관으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TCM히터가 일정간격으로 좌우 배열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장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을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복수의 입출구와 이들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를 한쌍씩 연결하는 U자형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방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와 연결구를 한쌍씩 연결하는 U자형 연결통로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후방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용수순환연결기구와,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와 용수순환연결기구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좌우 배열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으로 공급되는 용수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시키면서 가열하여 상기 출수관으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TCM히터를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해수 전기보일러{Seawater Electric Boiler}
본 발명은 해수용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본체의 외부에는 전기보일러가 안전하게 작동하고 있는지의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부에는 전기보일러의 입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출수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TCM히터가 상하 복수단으로 구성된 가열장치를 설치하였으며, 또한 상기 입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직접 가열하여 출수관을 통해서는 설정된 적정온도로 가열된 물을 양식어장 등에 난방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함으로써 양식어장에서는 각종 양식어류를 양식하기 위한 용수를 적정수온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양식어종의 조기성장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해수 및 담수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업은 수산생물을 육성하는 업으로서, 일정한 크기의 양식어장에 해수를 적정수위로 저장해놓은 상태에서 치어를 풀어놓고, 치어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 등을 공급하여 치어가 성어가 될 때까지 양식하는 업을 말한다.
상기한 양식업은 운영하는 양식업체에서는 양식어장에 저장되는 용수의 수온을 어종에 맞추어 인위적으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치어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양식어류의 출하시기를 앞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용수의 수온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는 달리 양식어장에 저장되는 용수의 수온을 어종에 맞게 일정하게 유지시키지 아니할 경우에는 양식어류의 성장을 저해하거나 심한 경우 양식어류를 폐사시킬 수 있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양식업체에서는 양식어류를 양식하기 위하여 양식어장에 저장되는 용수의 온도를 양식어종에 적합한 수온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전기보일러, 스팀보일러 등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전기보일러에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160793호의 양어용 전기보일러가 선행기술로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해수가 저장되는 내측탱크에 종횡방향으로 다수열 배열 설치된 복수의 가열부는 전기히터부재로부터 가열된 열매체유저장관에 저장되어 있는 열매체유와 상기한 내측탱크에 저장되는 해수와의 열교환작용을 이용한 간접가열방식이므로 열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등록특허 제10-0509839호로 제안된 양어장 용수용 보일러의 선행기술은 스팀발생수단을 이용하여 바닷물을 간접가열하는 방식이므로, 이 역시 열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160793호(2012. 06. 27. 공고)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509839호(2005. 08. 23.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양식어류를 양식하기 위한 양식어장으로 공급하는 난방용수를 설정된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식업 운영업체에서는 양식어장에 저장되는 용수의 수온을 양식어종의 양식 여건에 가장 적합한 적정수온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양식어종의 조기성장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다 줄수 있는 열효율이 우수한 전기보일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히터와 배관의 조립성이 극히 우수한 전기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는 복수의 가열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을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복수의 입출구와 이들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를 한쌍씩 연결하는 U자형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방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와 그 연결구를 한쌍씩 연결하는 U자형 연결통로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후방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용수순환연결기구와;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와 용수순환연결기구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좌우 배열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으로 공급되는 용수를 상기 U자형 연결통로를 경유하여 지그재그상으로 순환시키면서 가열하여 상기 출수관으로 배출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좌우 배열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TCM히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TCM히터(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Heater) 각각은 투명유리관을 구비하며, 상기 투명유리관의 외주에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작동으로 상기 투명유리관을 통과하여 순환하는 용수를 가열하도록 발열되는 투명성 전도층이 일정 두께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열장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을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복수의 입출구와 이들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를 한쌍씩 연결하는 U자형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방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와 연결구를 한쌍씩 연결하는 U자형 연결통로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후방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용수순환연결기구와,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와 용수순환연결기구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좌우 배열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으로 공급되는 용수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시키면서 가열하여 상기 출수관으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TCM히터를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는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 설치하되, 상기 가열장치는 상하 3단, 6단, 9단, 12단, 15단 중 어느 하나의 복수단으로 적층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의 양단에는 입수관 및 출수관을 선택적으로 조립 연결할 수 있는 복수의 입출구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따로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입출구의 전방에는 복수의 전방측 조립마개가 각각 하나씩 나사 조립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입출구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 각각을 한쌍씩 연결하는 U자형 연결통로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방커버가 착탈가능하게 고정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수순환연결기구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의 전방 각각에는 복수의 후방측 연결마개가 하나씩 나사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용수순환연결기구의 후방에는 복수의 연결구를 한쌍씩 연결하기 위한 U자형 연결통로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후방커버가 서로 인접하도록 길이방향을 향해 착탈가능하게 고정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의 입출구 및 복수의 연결구 각각의 후방에는 복수의 입출구측 연결마개 및 복수의 연결구측 연결마개가 일정간격으로 나사 조립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입출구와 복수의 연결구 각각의 후방에 나사 조립되는 복수의 입출구측 연결마개와 복수의 연결구측 연결마개와, 상기 용수순환연결기구의 전방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연결구 각각의 전방에 나사 조립되는 복수의 전방측 연결마개 각각에는 복수의 TCM히터 각각의 양단을 기밀하게 삽입 조립하기 위한 연결공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TCM히터의 투명성 전도층 각각의 양단에는 일자형 메인단자 및 일자형 보조단자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접속단자 및 복수의 보조접속단자가 탄력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와 상기 용수순환연결기구 각각의 양단 각각에는 각형프레임이 조립식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열장치는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 설치된 상태에서 입수관으로 공급되는 용수가 최하단에 위치하는 가열장치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한 후 그 상측으로 적층 설치되는 복수의 가열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는 작동을 반복 수행하는 동안 가열되어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열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출수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는 복수단으로 적층 설치되는 상하측 용수입출수순환기구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입출구 중 상하측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일측의 상하측 입출구를 U자형 연결관으로 차례대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는 복수의 가열장치들이 복수의 U자형 연결관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TCM히터 각각의 양단에는 전,후방 소켓연결관이 기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TCM히터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복수의 전방 소켓연결관 각각은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의 후방에 일정간격으로 나사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입출구측 연결마개 및 복수의 연결구측 연결마개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공에 하나씩 삽입 연결되며, 상기 TCM히터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후방 소켓연결관 각각은 상기 용수순환연결기구의 전방에 일정간격으로 나사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전방측 연결마개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공에 하나씩 삽입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 각각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는 용수가 상하 적층설치된 가열장치를 차례대로 순환할 수 있도록 상하측 가열장치 각각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에 형성된 복수의 입출구 중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상하측 입출구를 연결하는 복수의 U자형 연결관들 중 최상측 가열장치와 그 하측의 가열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U자형 연결관에는 가열장치를 순환하는 용수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용수퇴출밸브가 장설되어 있는 용수퇴출관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입수관과 출수관 각각에는 입수관으로 공급되는 용수 및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분말을 흡착 제거하기 위한 마그네틱이 각각 대설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수 전기보일러는 케이스본체의 일측 배면 하단에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입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가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가열장치 각각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평행하도록 배열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면서 가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최상측에 적층설치된 가열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출수관을 통해서는 설정된 적정온도로 가열된 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양식업체에서는 열효율이 우수한 상기 해수 전기보일러에 의해 적정온도로 가열된 용수를 난방용수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양식어장에 저장되어 있는 용수의 수온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어 각종 양식어류를 양식하는 양식업체에서는 양식어장의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양식어류의 조기성장에 도움을 줄수 있을 뿐 아니라 양식어류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전기 보일러는 모듈식으로 사출 성형 제작되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와 용수순환연결기구를 사용하여 히터를 형성하는 유리관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보일러 장치의 조립성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 유리관의 외주에 발명체로서 투명성 전도층을 도포 형성하고 있어, 내부의 물의 가열이나 순환 및 기포 발생 여부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발열선들과 달리 단락의 위험성이 거의 없고 유지보수가 쉬워 보일러의 안정적 운전 및 운전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수 전기보일러의 케이스본체 정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해수 전기보일러의 케이스본체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해수 전기보일러의 케이스본체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해수 전기보일러 케이스본체에 설치되는 가열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TCM히터를 좌우배열 및 상하적층 설치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해수 전기보일러의 케이스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TCM히터의 상하적층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해수 전기보일러의 케이스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TCM히터의 좌우배열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해수 전기보일러에 적용된 복수의 TCM히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3상 3선식 회로구성도이고,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해수 전기보일러의 가열장치를 구성하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와 용수순환연결기구 및 복수의 TCM히터의 좌우 배열설치된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해수 전기보일러의 가열장치를 구성하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11의 (가)(나)도는 본 발명의 해수 전기보일러의 가열장치를 구성하는 용수순환연결기구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가열장치의 조립상태를 평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해수 전기보일러의 케이스본체에 연결되는 입수관 및 출수관에 장착되는 마그네틱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해수 전기보일러의 케이스본체에 연결되는 입수관 및 출수관에 장착되는 마그네틱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해수 전기보일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 전기보일러의 구성 및 작동상태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용어를 정의하면, 본 발명은 특히 해수용에 적합하기는 하나 해수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해수용"이라 함은 해수뿐만 아니라 "담수"나 염분 함량의 거의 없는 깊은 바다 밑의 "심층수"까지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도 1 및 도 2의 도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해수 전기보일러의 케이스본체(1)에 외부에 노출되는 설치되는 각 구성요소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상기 해수 전기보일러의 케이스본체(1)의 상면 중앙에는 양식어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시설의 설치상태 및 외부인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시용 적외선카메라(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본체(1)의 상면 일측 모서리부분에는 전기보일러가 오작동하거나 또는 양식어장으로 외부인의 침입 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경광등(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11)는 외부인의 출입 여부 감시 기능뿐만 아니라 원거리 위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케이싱 내부에 수용하여(또는 온도 센서를 별도 케이싱에 마련할 수도 있다), 온도 센서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수평 방향에서 회전하거나 또는 상하로 회동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먼 거리의 벽면이나 또는 인위적 반사면에 부딛혀 돌아오는 신호로 해당 지점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의 전면에는 전기보일러의 작동상태를 숫자나 문자 및 특정한 모형 등으로 표시하는 디지털 표시화면(13), 전기보일러를 온/오프(on/off)하는 전원스위치(14), 작동알림등(15), 전류계(16), 전압계(17)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본체(1)의 전면도어(18)에는 압력계(19)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전면도어(18)의 내측에는 해수 전기보일러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전기 및 전자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1)의 일측(도면상 우측)에는 착탈조립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검패널(100)에는 환풍기(미도시) 등의 환풍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환풍창(110)과 상,하 및 좌,우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통기구(120)가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의 후면에는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점검도어(130)와 상,하부 각각에는 복수의 입수관설치부(140a) 및 복수의 출수관설치부(150a)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설치 단수에 따라 입수관과 출수관은 좌측 또는 우측의 수직선상의 상하로 위치하거나 또는 대각선으로 위치한다), 상기 점검도어(130) 일측에는 동파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동파방지기(160) 등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상기 케이스본체(1)의 저면 네모서리부분 각각에는 이동용 바퀴(1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케이스본체(1)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수공(180)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케이스본체(1)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입수관(140) 중 어느 하나의 입수관(140)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용수가 상기 케이스본체(1) 내부에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가열장치(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적정온도로 가열되어 출수관(15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본체(1)의 내부에는 입수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적정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장치(2)가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2)는 케이스본체(1) 내부에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조립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구조틀체(2a)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2)를 상하 9단으로 적층설치된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와 같이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는 복수의 가열장치(2)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와 용수순환연결기구(3b) 및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와 용수순환연결기구(3b)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TCM히터(3c), 그리고 상기 용수입출수순한기구(3a)와 용수순환연결기구(3b) 각각의 양단에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각형프레임(4a)(4b)과 상기 복수의 TCM히터(3c)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복수의 메인접속단자(5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자형 메인단자(5a) 및 복수의 보조접속단자(5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자형 보조단자(5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입출구(31)(32)의 전방 각각에는 전방측 조립마개(31a)(32a)가 나사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의 입출구(31) 후방에는 입출구측 연결마개(31b)가 나사 조립되어 있고, 상기 타측의 입출구(32) 후방에도 입출구측 연결마개(32b)가 나사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전방에는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입출구(31)(32) 사이에 복수쌍의 연결구(33)(34) 각각을 한쌍씩 연결하기 위한 U자형 연결통로(35)(36)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전방커버(35a)(36a)가 착탈가능하게 고정 부착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후방에는 양측 입출구(31)(32) 각각의 후단에 입출구측 연결마개(31b)(32b)가 하나씩 나사 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한쌍씩의 연결구(33)(34) 각각의 후단에도 복수의 연결구측 연결마개(37b)(38b)가 하나씩 나사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후방에는 복수의 입출구측 연결마개(31b)(32b)와 복수의 연결구측 연결마개(37b)(38b) 등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도록 나사 조립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도 10 참조)
상기 용수순환연결기구(3b)는 도 11의 (가)(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면에는 복수의 연결구(37) 각각의 전단에 나사 조립되는 복수의 전방측 연결마개(38)가 일정간격으로 나사 조립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상기 복수의 연결구(37) 각각의 후단에 나사 조립되는 복수의 후방커버(39)가 볼트 등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 부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수순환연결기구(3b)에는 도 8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구(37)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연결구(37) 각각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전단에는 복수의 전방측 조립마개(38)가 하나씩 나사 조립되어 있으며(도 8의 확대도 참조), 상기 용수순환연결기구(3b)의 후면에는 복수의 후방커버(39)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복수의 후방커버(39)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U자형 연결통로(39a)에는 복수의 연결구(37)들이 한쌍씩 연결되는 구조로 조립되어 있다.(도 8 참조)
또한 상기 가열장치(2)를 구성하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 및 용수순환연결기구(3b) 각각의 양단에는 한쌍의 각형프레임(4a)(4b)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장치(2)는 케이스본체(1) 내부에 사각형상으로 조립설치되는 구조틀체(2a)에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도 5 참조)
한편, 상기 가열장치(2)를 구성하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와 용수순환연결기구(3b) 사이에는 복수의 TCM히터(3c)가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서로 팽행하도록 좌우로 배열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TCM히터(3c) 각각은 투명유리관(310)과 이의 외주에 일정 두께로 코팅된 투명성 전도층(3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TCM히터(3c)들은 전원공급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부(200)에서 인출되는 메인전선(210)이 직결되는 일자형 메인단자(5a)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접속단자(51)와, 상기 일자형 메인단자(210)에서 인출되는 보조전선(220)이 연결되는 일자형 보조단자(5b)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보조접속단자(52)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TCM히터(3c) 각각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200)에 R, S, T 3상 3선식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3상 4선식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3상 3선식으로 회로를 구성할 경우, 전원공급부(200)에서 R,S,T 3상으로 각각 인출되는 복수의 메인전선(210)들은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 설치되는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2)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TCM히터(3a) 각각의 일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일자형 메인단자(5a)에 연결되며, 상기 일자형 메인단자(5a) 각각에서 인출되는 복수의 보조전선(220)은 상기 복수의 TCM히터(3a) 각각의 타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일자형 보조단자(5b)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일자형 메인단자(5a) 및 일자형 보조단자(5b) 각각에는 복수의 메인접속단자(51) 및 복수의 보조접속단자(5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자형 메인단자(5a) 및 일자형 보조단자(5b)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메인접속단자(51) 및 보조접속단자(52) 각각은 상기 복수의 TCM히터(3c)의 투명유리관(310)에 코팅된 투명성 전도층(320)의 양단을 탄력적으로 붙잡아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메인접속단자(51) 및 복수의 보조접속단자(52)들이 상기 복수의 TCM히터(3c)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성 전도층(320)의 양단을 탄력적으로 붙잡아준 상태에서 복수의 U자형 연결고리(53)(54)를 결속시켜주게 되면 상기한 복수의 메인접속단자(51) 및 복수의 보조접속단자(52)들은 복수의 TCM히터(3a)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성 전도층(320)을 정확하게 붙잡고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9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2) 각각에 좌우 배열설치되는 상기 복수의 TCM히터(3c) 각각을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와 용수순환연결기구(3b)에 기밀하게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TCM히터(3c) 각각은 투명유리관(310)의 양단에는 전,후방 소켓연결관(7a)(7b)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방 소켓연결관(7a)의 삽입부(71)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후방에 일정간격으로 나사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입출구측 연결마개(31b)(32b) 및 복수의 연결구측 연결마개(37b)(38b)에 삽입되어 패킹(75)을 압착하는 상태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전방 소켓연결관(7a)의 지지부(73)는 TCM히터(3c)의 투명유리관(310) 일단을 오링(77)과 함께 감싸주는 상태로 연결된다.(도 8의 확대도 참조)
상기 후방 소켓연결관(7b)의 삽입부(72)는 용수순환연결기구(3b)의 전방에 일정간격으로 나사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전방측 연결마개(38) 각각에 삽입되어 패킹(76)을 압착하는 상태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후방 소켓연결관(7b)의 지지부(74)는 TCM히터(3c)의 투명유리관(310) 타단을 오링(78)과 함께 감싸주는 상태로 연결된다.(도 8의 확대도 참조)
따라서 상기 복수의 TCM히터(3c)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와 용수순환연결기구(3b) 사이에 기밀하게 배열설치된 상태에서 용수를 순환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는 복수의 가열장치(2) 각각은 복수의 U자형 연결관(6)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된 복수의 가열장치(2)들은 전부 연결된 상태가 된다.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2)를 구성하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출구(31)(32) 각각에는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는 2개의 가열장치(2)들은 U자형 연결관(6)의 상하 양단이 연결되는 구조로 차례대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도시와 같이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는 복수의 가열장치(2)들 중 최하단에 적층설치되는 1단(F1)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출구(31)에는 그 전방에 나사 조립되어 있는 전방측 조립마개(31a)의 연결공(31a-1)으로 입수관(140)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한편, 상기 1단(F1)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 타측(도면상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출구(32)의 전방에 나사 조립되어 있는 전방측 연결마개(32a)의 연결공(32a-1)과 2단(F2) 가열장치(2)에 형성된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타측(도면상 우측)에 형성되는 입출구(32)의 전방에 나사 조립되어 있는 전방측 조립마개(32a)의 연결공(32a-1) 각각에 첫번째 U자형 연결관(6)의 상하 양단을 삽입하여 연결하게 되면 상기 1단(F1)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입출구(32)와 상기 2단(F2)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입출구(32)는 첫번째 U자형 연결관(6)에 의해 연결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1단(F1) 가열장치(2)를 순환하는 용수는 상기한 첫번째 U자형 연결관(6)을 통해 2단(F2) 가열장치(2)로 이동하여 순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2단(F2)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 일측(도면상 좌측)에 형성된 입출구(31)에 나사 조립된 전방측 조립마개(31a)의 연결공(31a-1)과 3단(F3) 가열장치(2)에 형성된 일측(도면상 좌측)의 입출구(31)의 전방에 나사 조립된 전방측 조립마개(31a)의 연결공(31a-1) 각각에 두번째 U자형 연결관(6)의 상하 양단을 삽입하여 연결하게 되면 상기 2단(F2)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에 형성된 일측(도면상 좌측) 입출구(31)와 상기 3단(F3)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에 형성된 일측(도면상 좌측) 입출구(31)는 두번째 U자형 연결관(6)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2단(F2) 가열장치(2)를 순환하는 용수가 상기 3단(F3) 가열장치(2)로 이동하여 순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3단(F3)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 타측(도면상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출구(32)와 4단(F4)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 타측(도면상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출구(32)를 세번째 U자형 연결구(6)로 연결하게 되면 상기 3단(F3) 가열장치(2)를 순환하는 용수가 상기 4단(F4) 가열장치(2)로 이동하여 순환하게 되므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8단(F8)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출구(31)와 9단(F9)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출구(31)를 여덟번째 U자형 연결관(6a)으로 연결하게 되면 상기 8단(F8) 가열장치(2)를 순환하는 용수가 상기 9단(F9) 가열장치(2)로 이동하여 순환하게 되며, 상기 9단(F) 가열장치(2)를 순환하는 용수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타측(도면상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출구(32)에 연결되어 있는 출수관(150)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복수단으로 적층성치된 복수의 가열장치(2)를 상하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U자형 연결관(6)(6a)의 상하 양단에는 기밀패킹(60)이 감싸고 있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전방에 나사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전방측 조립마개(31a)(32a) 중 선택된 어느 일측의 연결공(31a-1)(32a-1)에 삽입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U자형 연결관(6)(6a) 각각은 상하 2개의 가열장치(2)를 기밀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도 8의 확대도 참조)
또한 상기 8단(F8) 및 9단(F9)에 적층설치되어 있는 상하측 2개의 가열장치(2)를 연결하는 여덟번째 U자형 연결관(6a)의 상,하부에는 순환하는 용수의 수온을 측정하는 나사 조립와 용수퇴출관(62) 및 용수퇴출관(62)을 개폐하는 용수퇴출 조절밸브(6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1단(F1)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형성된 입출구(31)에 연결되는 입수관(140)에는 공급되는 용수의 수온을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41)와 드레인밸브(142)가 장설되어 있는 드레인관(1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9단(F9)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타측(도면상 우측)에 형성된 입출구(32)에 연결되는 출수관(150)에는 9단(F9) 가열장치(2)를 순환한 후 배출되는 용수의 수온을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51)와 압력감지센서(152) 및 공기나 물을 빼내기 위한 수동밸브(1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입수관(140) 및 출수관(150) 각각의 양측에는 구멍(8c,8d,9c,9d)(8d,9d는 8c,9c의 마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도 15에서는 보이지 않음)이 형성되고, 그 구멍(8c,8d,9c,9d)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덮개(8)(9)의 내측에는 입수관(140)으로 공급되는 용수 및 출수관(150)으로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가루 등을 흡착 제거하기 위한 마그네틱(8a)(8b)(9a)(9b)이 서로 대칭하는 상태로 한쌍씩 장착되어 있다.(도 14 및 도 15 참조)
따라서 상기 입수관(140)을 통해 최하단에 설치된 1단(F1)의 가열장치(2)로 공급되는 용수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가루 등은 입수관(140) 양측에 대설되어 있는 한쌍의 마그네틱(8a)(8b)에 흡착되므로 상기 1단(F1)의 가열장치(2)에 공급되어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된 복수의 가열장치(2)를 순환하는 용수에는 금속가루가 제거된 상태이며, 또한 최상측에 적층되어 있는 가열장치(2)에 연결된 출수관(150)으로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되는 금속가루는 출수관(150) 양측에 대설되어 있는 한쌍의 마그네틱(9a)(9b)에 흡착 제거되므로 양식어장으로 공급하고자 하는 난방용수는 금속가루가 완전 제거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해수 전기보일러의 케이스본체(1) 내부에 복수의 가열장치(2)를 상하로 설치하고자 하는 적층단에 따라 최하측에 설치되는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입출구(31)(3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입수관(140)을 상기 케이스본체(1)의 후면에 형성된 복수의 입수관설치부(140a)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수관(140)을 삽입한 다음, 삽입된 입수관(140)을 최하단에 적층설치되는 가열장치(2)에 연결하며, 또한 최상측에 적층설치된 가열장치(2)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3a)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입출구(31)(3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출수관(150)을 상기 케이스본체(1)의 후면에 형성된 복수의 출수관설치부(150a) 중 선택된 하나에 출수관(150)을 삽입한 후 삽입된 출수관(150)를 최상단에 적층설치되는 가열장치(2)에 연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본체(1)의 내부에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된 복수의 가열장치(2)에 입수관(140)과 출수관(150)을 각각 연결한 다음, 상기 입수관(140)으로 용수를 공급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출수관(150)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밸브(153)를 개방조작한 상태에서 입수관(140)으로 용수를 공급하게 되면 공급되는 용수가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가열장치(2) 각각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이어서 상기 케이스본체(1) 내부에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된 복수의 가열장치(2)에 용수를 공급하고자 할 때에는 출수관(150)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밸브(153)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입수관(140)으로 용수를 공급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수동밸브(153)가 잠겨있을 때에는 용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수동밸브(153)를 개방조작한 상태에서 용수를 공급하는 작동을 진행하여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2) 전체에 용수가 충분히 채워진 상태가 되면 개방되어 있는 수동밸브(153)는 폐쇄조작하는 한편, 상기 입수관(140)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계속 진행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본체(1)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원스위치(14)을 온(on)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케이스본체(1) 내부에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가열장치(2) 각각에 좌우 배열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3c) 각각은 상기 입수관(14)을 통해 계속 공급 순환하게 되는 용수를 가열하게 된다.
즉, 전원공급부(200)에서 메인전선(21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일자형 메인단자(5a)과 일자형 보조단자(5b) 각각으로 인가되면 상기 일자형 메인단자(5a) 및 일자형 보조단자(5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메인접속단자(51) 및 보조접속단자(52)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TCM히터(3c)의 투명성 전도층(320)의 양단에 전원이 인가되며, 이로 인해 상기 TCM히터(3c)의 투명성 전도층(320)이 발열하여 투명유리관(310)을 가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TCM히터(3c)의 투명유리관(310)을 순환하는 용수를 가열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용수가열작동은 용수가 복수의 TCM히터(3c)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는 동안 계속되므로 최하단에 적층되어 있는 1단(F1) 가열장치(2)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3c)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는 용수부터 가열되기 시작하여 2단(F2) 가열장치(2)에서 최상단 9단(F9) 가열장치(2)에 이르기까지 각단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3c)를 순환하는 동안 계속 가열되는 작동으로 상기 9단(F9) 가열장치(2)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3)를 통과하는 용수는 설정된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출수관(150)으로 배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출수관(150)을 통해 배출되는 용수는 설정된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로 배출된다.
따라서 양식업체에서는 설정된 고온으로 가열된 용수를 난방용수로 공급받아 양식어장에 저장되어 있는 바닷물을 양식어종에게 가장 알맞는 온도가 되도록 난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식어장에 저장되어 있는 바닷물의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양식어종의 성장에 많은 도움을 줄 뿐아니라 양식어종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해수 전기보일러는 상기와 같이 케이스본체(1) 내부에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된 복수의 가열장치(2)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3c) 및 복수의 U자형 연결관(6)을 순환하는 용수에서 공기층(기포)이 생기게 될 때에는 용수가 원활하게 순환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지만, 이때에는 상기 8단(F8)과 9단(F9)의 가열장치(2)를 연결하는 U자형 연결관(6a)에 장설되어 있는 용수퇴출 조절밸브(63)를 개방조작하여 용수를 퇴출시키는 방법으로 복수의 TCM히터(3c) 등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제거할 수 있으며, 공기층을 제거한 후에는 상기 용수퇴출 조절밸브(63)를 폐쇄조작하게 되면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된 복수의 가열장치(2)에 공급되는 용수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케이스본체(1) 내부에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된 복수의 가열장치(2)에 공급되는 용수는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2) 각각에 좌우 배열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3c)를 차례대로 순환하면서 점차 고온으로 계속 가열되므로 최상측의 가열장치(2)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3c)를순환한 후 상기 출수관(150)을 통해 배출되는 용수는 설정된 적정온도로 뜨겁게 가열하여 양식어장의 난방용수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양식업을 운영하는 양식업체의 양식어장에 저장된 바닷물(또는 담수 또는 심층수)을 난방하기 위하여 설정된 고온의 가열된 난방용수를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목욕탕이나 사우나탕 등에서 사람이 사용하는 목욕용 물을 설정된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공급하기 위한 전기보일러의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케이스본체 11 : 적외선카메라
12 : 경광등 13 : 디지털 표시화면
14 : 전원스위치 15 : 작동알림등
16 : 전류계 17 : 전압계
18 : 전면도어 19 : 압력계
100 : 점검패널 110 : 환풍창
120 : 통기구 140 : 입수관
140a : 입수관설치부 150: 출수관
141 : 온도감지센서 142 : 드레인밸브
143 : 드레인관 151 : 온도감지센서
152 : 압력감지센서 153 : 수동밸브
150a : 출수관설치부 160 : 동파방지기
2 : 가열장치 2a : 구조틀체
3a : 용수입출수순환기구 3b : 용수순환연결기구
3c : TCM히터 31, 32 : 입출구
31a, 32a : 전방측 조립마개 31a-1, 32a-1 : 연결공
31b, 32b : 입출구측 연결마개 33, 34 : 연결구
35, 36 : U자형 연결통로 35a, 36a : 전방커버
35b, 36b : 연결구측 연결마개 37b 38b : 연결구측 연결마개
37 : 연결구 38 : 전방측 조립마개
39 : 후방커버 39a : U자형 연결통로
4a, 4b : 각형프레임 5a : 일자형 메인단자
5b : 일자형 보조단자 51 : 메인접속단자
52 : 보조접속단자 53, 54 : U자형 연결고리
6, 6a : U자형 연결관 60 : 기밀패킹
61 : 압력감지센서 62 : 용수퇴출관
63 : 용수퇴출 조절밸브 7a : 전방 소켓연결관
7b : 후방 소켓연결관 71, 72 : 삽입부
73, 74 : 지지부 75, 75 : 패킹
77, 78 : 오링 8, 9 : 덮개
8a,8b,9a,9b : 마그네틱 8c,8d,9c,9d : 구멍(마그네틱, 덮개 장착용)

Claims (12)

  1.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는 복수의 가열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을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복수의 입출구와 이들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를 한쌍씩 연결하는 U자형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방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와 그 연결구를 한쌍씩 연결하는 U자형 연결통로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후방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용수순환연결기구와;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와 용수순환연결기구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좌우 배열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으로 공급되는 용수를 상기 U자형 연결통로를 경유하여 지그재그상으로 순환시키면서 가열하여 상기 출수관으로 배출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좌우 배열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TCM히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TCM히터 각각은 투명유리관을 구비하며, 상기 투명유리관의 외주에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작동으로 상기 투명유리관을 통과하여 순환하는 용수를 가열하도록 발열되는 투명성 전도층이 일정 두께로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 각각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는 용수가 상하 적층설치된 가열장치를 차례대로 순환할 수 있도록 상하측 가열장치 각각의 용수입출수순환기구에 형성된 복수의 입출구 중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상하측 입출구를 연결하는 복수의 U자형 연결관들 중 최상측 가열장치와 그 하측의 가열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U자형 연결관에는 가열장치를 순환하는 용수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용수퇴출밸브가 장설되어 있는 용수퇴출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전기보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는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어 있되, 상기 가열장치는 상하 3단, 6단, 9단, 12단, 15단과 같이 3의 배수인 복수단으로 적층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전기보일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의 양단에는 입수관 및 출수관을 선택적으로 조립 연결할 수 있는 복수의 입출구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따로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입출구의 전방에는 복수의 전방측 조립마개가 각각 하나씩 나사 사조립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입출구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 각각을 한쌍씩 연결하는 U자형 연결통로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방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전기보일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순환연결기구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의 전방 각각에는 복수의 후방측 연결마개가 하나씩 나사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용수순환연결기구의 후방에는 복수의 연결구를 한쌍씩 연결하기 위한 U자형 연결통로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후방커버가 서로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을 향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전기보일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의 입출구 및 복수의 연결구 각각의 후방에는 복수의 입출구측 연결마개 및 복수의 연결구측 연결마개가 일정 간격으로 나사 조립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전기보일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TCM히터의 투명성 전도층 각각의 양단에는 일자형 메인단자 및 일자형 보조단자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접속단자 및 복수의 보조접속단자가 탄력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전기보일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용수입출수순환기구와 상기 용수순환연결기구 각각의 양단 각각에는 각형프레임이 조립식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전기보일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 설치된 상태에서 입수관으로 공급되는 용수가 최하단에 위치하는 가열장치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한 후 그 상측으로 적층설치되는 복수의 가열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TCM히터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는 작동을 반복 수행하는 동안 가열되어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열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출수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전기보일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는 복수단으로 적층 설치되는 상하측 용수입출수순환기구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입출구 중 상하측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일측의 상하측 입출구를 U자형 연결관으로 차례대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상하 복수단으로 적층 설치되는 복수의 가열장치들이 복수의 U자형 연결관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전기보일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TCM히터 각각의 양단에는 전,후방 소켓연결관이 기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TCM히터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복수의 전방 소켓연결관 각각은 상기 용수입출수순환기구의 후방에 일정간격으로 나사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입출구측 연결마개 및 복수의 연결구측 연결마개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공에 하나씩 삽입 연결되며, 상기 TCM히터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후방 소켓연결관 각각은 상기 용수순환연결기구의 전방에 일정 간격으로 나사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전방측 연결마개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공에 하나씩 삽입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전기보일러.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과 출수관 각각에는 입수관으로 공급되는 용수 및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분말을 흡착 제거하기 위한 마그네틱이 각각 대설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전기보일러.
KR1020210125055A 2021-09-17 2021-09-17 해수 전기보일러 KR102616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055A KR102616503B1 (ko) 2021-09-17 2021-09-17 해수 전기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055A KR102616503B1 (ko) 2021-09-17 2021-09-17 해수 전기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438A KR20230041438A (ko) 2023-03-24
KR102616503B1 true KR102616503B1 (ko) 2024-01-15

Family

ID=8587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055A KR102616503B1 (ko) 2021-09-17 2021-09-17 해수 전기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5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981Y1 (ko) * 2006-08-14 2007-01-02 최성철 조립식 유체나노가열 세트
KR100950093B1 (ko) * 2009-05-11 2010-03-26 염동섭 공급수의 여과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KR101689307B1 (ko) * 2016-04-01 2016-12-23 (주)동국이앤씨 보일러용 배관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839B1 (ko) 2003-03-04 2005-08-23 이태희 양어장 용수용 보일러
KR101160793B1 (ko) 2011-12-12 2012-06-27 윤미자 양어장용 전기보일러
KR101367334B1 (ko) * 2012-01-16 2014-02-28 이진성 온수 및 난방수 순간 가열 구조를 갖는 전기보일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981Y1 (ko) * 2006-08-14 2007-01-02 최성철 조립식 유체나노가열 세트
KR100950093B1 (ko) * 2009-05-11 2010-03-26 염동섭 공급수의 여과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KR101689307B1 (ko) * 2016-04-01 2016-12-23 (주)동국이앤씨 보일러용 배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438A (ko)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5839B2 (en) Humidification device and air treatment system
CA2394518C (en) Photobioreactor
US8685238B2 (en) Point-of-use solar powered water disinfection device and associated custom water storage container
CN202269280U (zh) 一种迷你多功能集成水族箱
KR102616503B1 (ko) 해수 전기보일러
KR20240020398A (ko) 해수 전기보일러
US3535513A (en) Germicidal lamp appliance for sterilizing the water in aquariums or swimming pools
US10993382B2 (en) Modular greenhouse assembly
DE102016102107A1 (de) Vivaristik-System
CN104310313A (zh) 阵列式制氧机机柜及供氧方法
CN106889008A (zh) 多功能养殖水箱及层叠式养殖装置
DE202019001121U1 (de) Trinkwasserzirkulationsvorrichtung
CN206005597U (zh) 一种泥鳅养殖水循环系统
DE102007036285B3 (de) Pflanzvorrichtung zur Luftreinigung
CN209362222U (zh) 座椅式微藻空气净化设备
US4150665A (en) Heater for hot tubs and storage tanks
DE2817960C2 (ko)
CN205141439U (zh) 一种防水低压配电柜
CN205830807U (zh) 一种智能水族箱
CN104472419A (zh) 一体化水生生物循环养殖系统
CN204799486U (zh) 新型水景景观柱
CN107549001A (zh) 植物种植箱
CN110800678B (zh) 一种智能控温的鱼缸
CN206005372U (zh) 一种温室大棚通风装置
CN218382714U (zh) 家用龙头水毒性连续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