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188B1 -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이용 서비스의 결제 수단 혜택 정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이용 서비스의 결제 수단 혜택 정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188B1
KR102616188B1 KR1020220026342A KR20220026342A KR102616188B1 KR 102616188 B1 KR102616188 B1 KR 102616188B1 KR 1020220026342 A KR1020220026342 A KR 1020220026342A KR 20220026342 A KR20220026342 A KR 20220026342A KR 102616188 B1 KR102616188 B1 KR 102616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ns
server
target servi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2032A (ko
Inventor
장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어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어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어리
Priority to PCT/KR2022/00930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77568A1/ko
Publication of KR20230002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032A/ko
Priority to KR1020230182913A priority patent/KR20240002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188B1/ko
Priority to US18/398,840 priority patent/US20240154932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41Virtual LANs, VLANs, e.g. virtual private networks [VP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2Capturing of monitoring data
    • H04L43/028Capturing of monitoring data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주소를 DNS 서버 정보로서 가상사설망(VPN) 모듈에 등록하는 단계; 대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DNS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에 대응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로부터, 접속 도메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이용 서비스의 결제 수단 혜택 정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A method and device for outputting benefit information of payment method for using services based on network information}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이용 서비스의 결제 수단 혜택 정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금 소지의 불편성, 카드 소득 공제 혜택 등을 이유로 구매시 현금보다는 카드로 결제하는 고객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카드 사용 고객의 증가 및, 카드 시장의 확대에 따라 카드사들 간의 경쟁도 치열해 지고 있다. 따라서, 카드사 들은 고객들의 카드 가입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혜택 제공이 가능한 여러 종류의 카드 상품들을 출시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혜택을 제공해 주는 여러 장의 카드를 발급받아 소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신용카드를 모바일에 접목한 모바일 신용카드가 결제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존의 모바일 신용카드는 신용 카드사 고객센터 및 홈페이지를 통해서 별도의 모바일카드 신청에 따라 발급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에 카드 정보를 저장하고, 결제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또는 자기장 신호 발생을 통해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모델도 제안되고 있으며, 다양한 사업장에서 지원 및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양한 결제 수단이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결제의 순간에 많은 혼란과 결정의 기로에 놓여진다. 여러 간편 결제, 지역화폐, 멤버십 할인, 신용카드의 혜택, 전월 실적, 각종 포인트 조건 등 알아야 할 사항도 많고, 준비하여야 할 사항도 많고, 미리 계산해 보아야 하는 사항도 너무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행기술 한국등록특허 10-1783708에서는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적합한 추천 카드를 목록으로서 표시하여 주는 추천 카드 목록 제공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10-1441288에서는 서비스 서버에서 추천 결제 방식을 분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주는 기술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기술들은 결국 주문 내용이 최종적으로 결정된 상태이거나, 매장에서 실제 결제하는 시점까지 이르러서야 그 카드를 추천받을 수 있는 것으로, 선택 및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 결정 시점의 혼란 및 긴장을 오히려 더 부가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현재의 결제 방식들은 사용자가 자신에게 해당하는 다양한 혜택들을 결제나 주문을 결정하기 이전에, 자신의 상황, 관심 및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미리 확인하고, 적절한 상품 선택 및 이에 따른 최적 결제 수단을 여유있게 추천받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는 여전히 부족함이 많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 단말의 처리 데이터 중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환경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현재 환경 정보에 적합한 대상 서비스 및 상품 콘텐츠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현재 필요한 것으로 예측되는 특정 상품 콘텐츠에 대한 최적 결제 수단 등의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사전에 미리 안내하고, 해당 서비스에서 적절한 상품 콘텐츠 및 결제 수단을 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이용 서비스의 결제 수단 혜택 정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주소를 DNS 서버 정보로서 가상사설망(VPN) 모듈에 등록하는 단계; 대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DNS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에 대응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로부터, 접속 도메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1 주소를 DNS 서버 정보로서 등록하는 가상사설망(VPN) 모듈; 및 대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사설망 모듈은, 상기 DNS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에 대응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로부터, 접속 도메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혜택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주소를 DNS 서버 정보로서 가상사설망(VPN) 모듈에 등록하고, 대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며, 상기 DNS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에 대응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로부터, 접속 도메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도메인에 대응하는 대상 서비스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대상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여 요청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대상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사전 구축된 결제 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혜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혜택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산출된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DNS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에 대응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알림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현재 환경 정보를 정확히 분석하며, 분석된 현재 환경 정보에 적합한 대상 서비스 및 그 상품 콘텐츠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현재 필요한 것으로 예측되는 특정 상품 콘텐츠에 대한 최적 결제 수단 등의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사전에 미리 안내하고, 해당 서비스에서 적절한 상품 콘텐츠 및 결제 수단을 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이용 서비스의 결제 수단 혜택 정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혜택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 DNS 서버(300) 및 대상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별로 구비한 모바일 단말 장치일 수 있으며,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의 다양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edia Player) 중 어느 하나의 개별적 단말 기기이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 또는 서버 장치 등으로 구현되어, 화면 및 음성을 출력하게 하는 제어 장치일 수 있다.
대상 서비스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접속되는 서비스 서버일 수 있으며, 쇼핑, 배달, 숙박 등의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서버들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DNS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요청된 도메인 네임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IP 주소 응답을 처리하는 통상의 DNS 서버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요청된 대상 서비스 서버(400)의 DNS 조회 요청에 대응하는 실제 IP 주소 응답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를 통해 제공되는 혜택 정보 서비스에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단말 식별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결제 수단 정보,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혜택 정보 서비스 등록을 위해,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고객 정보를 확인하고,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서비스별 혜택 정보 제공을 위한 결제 수단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결제 수단 정보, 유효 기간 정보, 생년월일 정보, 비밀번호 정보, 결제 수단 명의 인증 정보 및 단말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가상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VPN)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VPN 모듈을 이용한 대상 서비스 서버(400)와의 통신을 변환 및 암호화 처리할 수 있으며, 그 처리 과정에서, 별도의 식별 프로세스에 따라 획득되는 도메인 네임 정보를 이용한 대상 서비스 서버(400)의 식별 및 알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대상 서비스 서버(400)의 식별 및 알림을 위한 패킷 변환을 수행하여 도메인 네임 정보를 분석하되, 대상 서비스 서버(400)와의 정상적인 통신은 유지될 수 있도록 원본 패킷의 복원 변환 및 전달 프로세스를 병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사설망 모듈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부 또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처리될 수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의 대상 서비스 서버(400)의 이용과는 무관하게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사설망 모듈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일 구성 요소로서 사전에 구축된 모듈일 수 있으나, 내부 네트워크 망 내에서 분리 구성되는 별도의 서버로서 동작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주소를 DNS 서버 정보로서 가상사설망(VPN) 모듈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대상 서비스 서버(40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DNS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400)에 대응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DNS 서버(300)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로부터, 접속 도메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회 요청 결과 정보는, 상기 도메인 네임 정보 조회를 요청한 DNS 서버 정보인 제1 주소와, 상기 조회를 요청한 도메인 네임 정보와,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 조회 요청 결과로서의 IP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는 상기 조회 요청 결과 정보의 상기 제1 주소를 원본 주소로 복원함에 따라, 대상 서비스 서버(400)와의 접속 및 패킷 송수신은 정상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는 상기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IP 주소로 송수신되는 패킷의 도메인을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400)의 패킷들로 분류 처리할 수 있으며, 그 분류 빈도 또는 횟수 등에 따라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실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에만 접근되는 대상 서비스 서버(400)의 도메인 네임을 직접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도메인 네임 정보를 이용한 통신 패킷을 분석하여, 그 횟수 또는 빈도 등에 따라 사전 설정된 규칙에 기반한 접속 도메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접속 도메인 정보에 기초한 대상 서비스의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로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는 자신이 접속한 쇼핑 어플리케이션, 숙박 어플리케이션, 웹 어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구동 환경에 따라,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알림 정보가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알림 정보는, 예를 들어 팝업 메시지로 출력되거나,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알림 메시지 형태로 출력되거나, 음성 및 진동 등과 함께 출력되는 등의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쿠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대상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보유한 제1 결제 카드의 쿠팡 서비스에서 의 할인율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마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다른 대상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이마트 서비스에서 적립되는 제2 결제 카드의 적립률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결제 수단 정보 관리부(13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40), 패킷 정보 분석부(150), 혜택 정보 처리부(160), 출력부(170), 가상사설망 모듈(19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수단 정보 관리부(130)는,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를 등록하고 저장 및 관리한다. 여기서 결제 수단 정보는, 현금 카드 정보, 신용 카드 정보, 온라인 결제 계좌 정보, 결제 QR 코드 정보, 결제 바코드 정보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족 공유 카드 정보, 타인 카드 정보 등도 사전 설정 및 인증에 따라 등록 처리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웹 어플리케이션, 배달 어플리케이션, 쇼핑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서비스 서버(400)와의 통신에 따라 상기 다양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온라인 어플리케이션들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40)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40)는, 사용자 위치 정보, 와이파이 접속 정보, 웹 접속 정보,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결제 기록 정보, VPN 접속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저장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가상사설망 모듈(190) 또는 혜택 정보 처리부(16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가상사설망 모듈(190)은, 제1 주소를 DNS 서버 정보로서 등록하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40)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대상 서비스 서버(400)와의 DNS 조회 패킷을 변환하거나 복원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가상사설망 모듈(190)은, 상기 DNS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DNS 서버(300)로부터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400)에 대응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로부터, 접속 도메인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사설망 모듈(190)은, 상기 DNS 서버 정보로부터 DNS 서버(300)로 요청되는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패킷을 구성하고, 상기 DNS 서버(300)로부터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가상사설망 모듈(190)은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 조회 요청 결과 정보의 발신주소를, 상기 DNS 서버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원본 주소로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40)에서는 특별한 이상 없이 대상 서비스 서버(400)의 IP 주소를 식별하고, 식별된 IP 주소로의 패킷송수신을 처리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상사설망 모듈(190)은,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로부터 알림 대상 도메인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사설망 모듈(190)은 필터링된 알림 대상 도메인 정보를 패킷 정보 분석부(150)로 제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400)로의 요청 패킷을 분석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패킷 정보 분석부(150)는, 상기 알림 대상 도메인 정보에 등록된 도메인 중 특정 도메인으로의 요청 횟수 또는 빈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도메인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접속 도메인 정보가 생성되면, 혜택 정보 처리부(16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도메인에 대응하는 대상 서비스 정보를 식별하고, 사전 등록된 혜택 정보 제공 장치(200)로, 상기 대상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혜택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상기 대상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혜택 정보 처리부(160)는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부(170)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일측에,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알림 정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수단별 헤택 알림 정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전 설정된 결제 수단 중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에 대응하여 결정된, 대상 서비스의 상품 콘텐츠 결제 혜택이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의 민족 앱이 실행될 때, 상단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적 결제 수단 혜택 알림이 표시될 수 있다. 알림이 선택된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앱에서 사용 가능한 카드 및 멤버십 혜택 정보가 화면상에 제공될 수 있고, 각 카드의 이번 달 남은 혜택 등이 산출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혜택 정보는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에서 미리 산출되어 혜택 정보 처리부(160)로 전달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택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이용되는 경우, 혜택 정보 처리부(160)는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택시 결제와 관련된 혜택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알림을 표시하며, 알림이 선택되면 택시 결제 관련 최적 결제 수단 및 혜택 정보가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웹 페이지인 마켓 컬리 웹 접속 시점에서, 화면 상단에 혜택 정보 처리부(160)에서 구성된 혜택 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사설망 모듈(190)은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공하며, 접속 도메인 정보로부터 식별된 웹 어플리케이션의 접속 정보가 마켓 컬리인 경우, 혜택 정보 처리부(160)는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마켓컬리 결제와 관련된 혜택 정보를 확인하고, 출력부(170)는 이에 대응하는 알림을 표시하며, 알림이 선택되면 마켓컬리 결제 관련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혜택 정보 처리부(160)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에 기초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알림 정보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제어부(110)의 처리 동작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백그라운드 구동에 따라 처리될 수 있으며,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는 포그라운드 구동에 따라 알림 메시지 출력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제 수단 별 혜택 정보는 음성 또는 문자 정보의 알림 메시지 방식으로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포그라운드 방식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80)의 메모리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서비스 방식으로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출력부(170)의 디스플레이상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포그라운드 실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종료되며 화면 상에서도 종료 처리될 수 있다. 반면 백그라운드 방식의 경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라 하더라도 화면 상에 출력되지 않은 상태로 실행 및 종료 가능한 방식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혜택 정보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는, 통신부(220) 및 혜택 정보 산출부(210)를 포함하고, 혜택 정보 산출부(210)는, 결제 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211) 및 혜택 정보 데이터베이스(213)를 포함한다.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제1 주소를 DNS 서버 정보로서 가상사설망(VPN) 모듈에 등록하고, 대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며, 상기 DNS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에 대응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로부터, 접속 도메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도메인에 대응하는 대상 서비스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대상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여 요청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혜택 정보 산출부(210)는, 상기 대상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사전 구축된 결제 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211) 및 혜택 정보 데이터베이스(213)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220)는, 상기 산출된 사용자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전 설정된 금융 기관 또는 카드사 서버 등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211) 및 이에 대응하여 매핑되는 혜택 정보 데이터베이스(213)를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에 따라 업데이트 및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10)는,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 장치에 대해 혜택 정보 서비스 및 결제 수단 정보를 등록한다(S1001).
그리고, 가상사설망 모듈(190)에서는 가상의 제1 주소를 DNS 서버로 등록한다(S1003).
이후, 제어부(11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4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대상 서비스 서버 접속을 시도한다(S1005).
서버 접속을 위한 DNS 조회 요청을 포함하는 UDP 패킷이 식별되면(S1007), 가상사설망 모듈(190)에서는, 상기 제1 주소에서 DNS 서버(300)로의 DNS 조회 요청 패킷을 변환 생성한다(S1009).
그리고, 가상사설망 모듈(190)는 DNS 서버(300)를 통해 DNS 조회를 요청하며(S1011), DNS 서버(300)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DNS 조회 응답을 수신한다(S1013).
이후, 가상사설망 모듈(190)은, DNS 조회 결과 패킷의 발신 주소를 원래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 주소로 복원하고(S1015), 복원된 DNS 조회 결과 패킷은 제어부(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40)로 전달된다(S1017).
그리고, 가상사설망 모듈(190)에서는 DNS 조회 결과 패킷으로부터 알림 대상 도메인 정보를 필터링 처리한다(S1019).
여기서, 상기 알림 대상 도메인 정보는 사전 설정된 대상 서비스별로 매핑되어 필터링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aa.com은 a 배달 서비스를 나타내고, bbb.com의 b 호텔 예약 서비스를 나타내고, ccc.com은 c 택시 서비스를 나타내는 등으로 필터링 분류 처리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에서는 상기 복원된 DNS 조회 결과 패킷을 이용하여 식별된 IP 주소 정보로, 대상 서비스 서버(400)와의 서비스 정보 요청 및 응답을 처리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S1021, S1023).
여기서, IP 주소 정보와의 서비스 정보 요청 및 응답은 TCP/IP 패킷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에 따라, 가상사설망 모듈(190)은 패킷 정보 분석부(150)를 통해, 사전 필터링된 도메인 중 특정 도메인으로의 IP 패킷 요청 횟수 또는 빈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한다(S1025). 임계치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필터링 및 패킷 분석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가상사설망 모듈(190)는 접속 도메인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S1027).
이러한 처리에 따라, DNS 요청 정보의 UDP 패킷 분석에 따른 도메인 정보 분석 및 대상 서비스 도메인 필터링이 1차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이후의 TCP/IP 패킷의 요청 횟수 또는 빈도 분석에 따라, 대상 서비스를 2차적으로 확정할 수 있는 바, 그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도메인 정보는, 패킷으로부터 식별되는 도메인에서 제공하는 특정 대상 서비스를 알림 대상 서비스로 설정하는 알림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에서는, 혜택 정보 처리부(160)를 통해,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로의 알림 대상 서비스의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요청하고(S1029),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는 요청된 알림 대상 서비스의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응답으로서 상기 혜택 정보 처리부(160)로 제공한다(S1031).
이후, 제어부(110)에서는, 출력부(170)를 통해, 포그라운드에서 이미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서비스에 대응하여, 보유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출력한다(S1033).
한편, 상술한 S1029 및 S1031 단계의 요청 및 전송과정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제어부(110)의 혜택 정보 처리부(160)를 통해, 별도의 요청 및 응답 없이 알림 대상 서비스의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 식별 과정이 처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혜택 정보 처리부(160)는, 대상 서비스에 따른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사전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저장부(18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사전에 저장된 대상 서비스에 따른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술한 알림 대상 서비스의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경우, 혜택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미리 구축된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사전에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기 위한 설치 데이터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대상 서비스 서버에 대한 접속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VPN(가상사설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에 대응하는 DNS(도메인 네임 서버)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로부터, 접속 도메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주소를 DNS 서버 정보로서 상기 VPN 모듈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VPN 모듈에서, 상기 DNS 서버로부터의 상기 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UDP 패킷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UDP 패킷으로 구성된 상기 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로부터 알림 대상 도메인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로의 요청 IP 패킷을 분석하여, 상기 알림 대상 도메인 정보에 등록된 도메인 중 특정 도메인으로의 요청 횟수 또는 빈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도메인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5.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VPN(가상사설망) 모듈; 및
    대상 서비스 서버에 대한 접속 요청을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VPN 모듈은,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에 대응하는 DNS(도메인 네임 서버)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로부터, 접속 도메인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주소를 DNS 서버 정보로서 상기 VPN 모듈에 등록하고,
    상기 VPN 모듈은,
    상기 DNS 서버로부터 상기 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를 UDP 패킷으로 획득하며,
    UDP 패킷으로 구성된 DNS 조회 요청 결과 정보로부터 알림 대상 도메인 정보를 필터링하고, 상기 대상 서비스 서버로의 요청 IP 패킷을 분석하여, 상기 알림 대상 도메인 정보에 등록된 도메인 중 특정 도메인으로의 요청 횟수 또는 빈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도메인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도메인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20026342A 2021-06-29 2022-02-28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이용 서비스의 결제 수단 혜택 정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2616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9306 WO2023277568A1 (ko) 2021-06-29 2022-06-29 사용자 단말 이용 서비스에 따른 결제 수단 혜택 정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30182913A KR20240002230A (ko) 2021-06-29 2023-12-15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이용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US18/398,840 US20240154932A1 (en) 2021-06-29 2023-12-28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usage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84702 2021-06-29
KR1020210084702 2021-06-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2913A Division KR20240002230A (ko) 2021-06-29 2023-12-15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이용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032A KR20230002032A (ko) 2023-01-05
KR102616188B1 true KR102616188B1 (ko) 2023-12-21

Family

ID=8492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342A KR102616188B1 (ko) 2021-06-29 2022-02-28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이용 서비스의 결제 수단 혜택 정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1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037A (ko) * 2007-12-13 2009-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결제카드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US10613713B2 (en) * 2015-10-07 2020-04-07 Google Llc Integration of content in non-browser applications
KR20180120546A (ko) * 2017-07-14 2018-11-06 주식회사 마켓링크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032A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4195B2 (en) Increasing sales efficiency by identifying customers who are most likely to make a purchase
US10467601B1 (en) Itemized digital receipts
US1186903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payment using loyalty rewards
US20230376931A1 (en) Payment device and process
US20200034893A1 (en) Social infusion of media content
US20170255988A1 (en) Mobile application for managing offer records
CN110401630A (zh) 交易凭证的验证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US20230410076A1 (en) Embedded card reader security
AU2014275173A1 (en) Rule-based funds allocation in electronic transactions
US20170255989A1 (en) Management of offer records for a mobile device
US11257029B2 (en) Pickup article cognitive fitment
KR102616188B1 (ko)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이용 서비스의 결제 수단 혜택 정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3584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yment option curation
US116513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context-based electronic offer communication
US10902450B2 (en) Customer-assisted item retrieval
KR20240002230A (ko)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이용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US10769608B2 (en) Intelligent checkout management system
US10691736B2 (en) Contextualized analytics platform
US20230125814A1 (en) Credit score management apparatus, credit score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200311775A1 (en) Automated self-serve smart billboard
US201601328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fault payment setting
US20220400368A1 (en) Mobile device roaming optimization and operation
CA2973824C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context-based electronic offer communication
US20200380504A1 (en) Mobile payment verification
JP2024507067A (ja) 組み込みカード・リーダ・セキュリテ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