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180B1 -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180B1
KR102616180B1 KR1020230067803A KR20230067803A KR102616180B1 KR 102616180 B1 KR102616180 B1 KR 102616180B1 KR 1020230067803 A KR1020230067803 A KR 1020230067803A KR 20230067803 A KR20230067803 A KR 20230067803A KR 102616180 B1 KR102616180 B1 KR 10261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data structure
axis
input
tex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식
Original Assignee
정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훈식 filed Critical 정훈식
Priority to KR102023006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의료영상 판독을 위한 텍스트정보가 3차원 데이터 구조로 생성되는 텍스트정보 생성단계, 상기 텍스트정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상기 텍스트정보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선택정보만이 판독문 입력란에 입력되는 선택정보 입력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for Inputting Diagnostic Report Using 3D Text Data Structur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To Perform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진의 소견과 진단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영상의학과 검사는 X-선, CT, MRI, 초음파 등 다양한 의료영상기기를 사용하여 피검사자의 인체 내부를 시각화하여 피검사자의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 과정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영상의학과 검사는 검사요청, 검사진행, 의료영상 생성 및 저장, 의료영상 분석, 소견 및 진단 과정을 포함한다.
우선, 임상의는 피검사자의 증상, 진료과정, 예상 질병에 따라 적절한 영상의학과 검사를 요청한다. 그러면, 방사선사는 검사실에서 피검사자의 의료정보와 임상의사의 요청을 취합하여 적절한 검사를 진행한다. 해당 검사가 완료됨에 따라 생성된 의료영상은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ng System; PACS)의 서버에 저장된다.
그러면, 판독의는 판독실에서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ACS)을 통해 의료영상에 접근하여 해당 의료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판독의는 자신의 의학적 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의료영상에서 질병의 유무, 위치, 크기, 형태 등을 판단하고, 피검사자에 대한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 과정을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판독의는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영상 소견, 진단 내용, 필요한 추천 조치 등이 포함된 판독문을 작성한다. 작성된 판독문은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ACS)에 저장되고, 해당 시스템과 연동된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에 저장 및 공유된다.
그러면, 앞서 영상의학과 검사를 요청한 임상의는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ACS) 및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EMR)을 통해 판독문을 조회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검사자와 대면상담을 진행하고, 추가검사 및 치료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최근 영상의학기술의 발전, 인구의 고령화, 건강보험제도의 발달로 편리하고 저렴한 영상의학과 검사 실현, 국민들의 건강의식 증가, 암검진 등 영상의학과 검사를 포함하는 정부차원의 검진 서비스 등의 다양한 이유로 영상의학과 검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영상의학과에서 의료영상을 판독할 판독의의 배출은 매년 일정하기 때문에 판독의 1인당 처리해야할 검사의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검사 1건당 의료영상의 수가 상당히 증가하였기 때문에 판독의의 업무가 가중되고 있어 향후 판독의 정확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 외부의 의료영상 전문의에게 판독을 의뢰하는 원격 판단 시스템의 도입, 표준화된 지침개발, 판독의의 교육, 연수 및 협업 등과 같은 대책이 제안되었다. 다만, 상술한 대책들은 증가하고 있는 영상의학과 검사들을 감당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여전히 판독의가 판독문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획기적인 기술이 본 기술 분야에서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 사용되는 판독문 입력방법은 키보드 방식, 템플릿 방식, 의무 전사 방식(Medical transcription), 음성인식 방식 등이 있다. 키보드 방식은 가장 전통적인 방식이나, 판독문의 입력시간이 오래 걸리고, 오타가 발생할 수 있고, 판독횟수가 높아질수록 판독의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템플릿 방식은 일차원적인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데이터 숫자가 많아질수록 해당 템플릿을 찾는 것이 어렵고, 템플릿 내 제한된 선택지에서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판독의가 다양한 소견이나 진단에 대응하기 어렵다. 그리고 판독의가 의료기관을 옮기거나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ACS)이 변경 및 업데이트되면 이에 적합하게 해당 템플릿을 재구성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의무 전사 방식(Medical transcription)은 대학병원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으로, 전사가 가능한 전문인력을 고용해야 하며, 판독의가 입력을 다시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향후 음성인식 방식에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음성인식 방식은 프로그램을 통해서 음성을 실시간 텍스트로 변환하여 판독문 입력시간을 줄여줄 수 있지만, 판독의의 음성 외 노이즈에 방해를 받을 수 있고, 판독의의 순간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서 판독문에 불필요한 내용이 입력되거나, 필수내용이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84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26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판독문 입력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판독의가 판독문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의료영상 판독을 위한 텍스트정보가 3차원 데이터 구조로 생성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텍스트정보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선택정보만이 판독문 입력란에 입력되는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의료영상 판독을 위한 텍스트정보가 3차원 데이터 구조로 생성되는 텍스트정보 생성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정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상기 텍스트정보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선택정보만이 판독문 입력란에 입력되는 선택정보 입력단계;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영상 판독을 위한 텍스트정보가 3차원 데이터 구조로 생성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텍스트정보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선택정보만이 판독문 입력란에 입력됨으로써, 기존의 의료영상에 대한 판독문 입력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판독의가 판독소견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ACS) 및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EMR) 등 타 프로그램과 호환이 가능함으로써, 종래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음성 인식, 템플릿 기반 입력 등의 방식을 대체하거나 병용하여 판독의가 빠르고 정확하게 판독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임상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판독의가 의료영상 판독 후 판독소견을 작성할 시 작성가이드로 활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임상경험에 상관없이 판독문의 질(Quality)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정보 입력란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부 검사를 위한 의료영상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세트 1차 레이어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세트 2차 레이어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세트 1차 레이어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정보가 입력된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ACS)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정보가 입력된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EMR)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정보가 입력된 Windows 메모장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정보가 입력된 엑셀 문서를 표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정보(T) 및 텍스트정보 입력란(Blank_T)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부 검사를 위한 의료영상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세트 1차 레이어(L1_1)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세트 2차 레이어(L2_1)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세트 1차 레이어(L1_2)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정보가 입력된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ACS)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정보가 입력된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EMR)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정보가 입력된 Windows 메모장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정보가 입력된 엑셀 문서를 표시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은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장치(100)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120)를 포함한다. 예컨대,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은 컴퓨터 장치(100) 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상기 기록매체(120)를 읽음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의료영상 판독을 위한 텍스트정보(T)가 3차원 데이터 구조로 생성되는 텍스트정보 생성단계(S300),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정보(T)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단계(S4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상기 텍스트정보(T) 중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된 선택정보만이 판독문 입력란(blank_R)에 입력되는 선택정보 입력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의료영상은 X-선, CT, MRI, 초음파 등 다양한 의료영상기기를 사용하여 피검사자의 인체 내부를 시각화한 영상이다. 그리고 상기 텍스트정보(T)는 판독의가 의료영상 판독 시 소견(Finding)이나 진단(Diagnosis) 자체일 수 있고, 질병 부위, 질병 종류, 크기, 위치, 심각도, 추적 시 변화 등을 표현하기 위한 의학용어일 수 있다.
도 3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상기 텍스트정보 생성단계(S300)는 텍스트정보 입력란(blank_T)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텍스트정보 입력란(blank_T)에 상기 텍스트정보(T)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즉, 판독의는 자신의 의학적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빈번하게 사용되거나 필수적으로 기재되어야 하는 판독문 텍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상기 텍스트정보 입력란(Blank_T)에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으로 텍스트정보(T)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위키피디아(Wikipedia) 기반의 영상의학과 백과사전인 라디오페디아(Radiopaedia) 웹페이지와 논문 사이트를 포함하는 영상의학과 관련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정보 생성단계(S300)는 클립보드 명령어가 이용되어 해당 웹페이지의 특정부분에서 전체 또는 일부 텍스트(Text)가 복사되고, 상기 텍스트정보 입력란(Blank_T)에 붙여넣기 됨으로써 용이하게 입력될 수 있다.
다만, 의학적 지식과 경험이 많은 판독의의 경우 상기 텍스트정보 생성단계(S300)로부터 맞춤형으로 텍스트정보(T)가 입력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으나, 의학적 지식과 경험이 적은 판독의의 경우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웹 스크래핑(Web-Scraping) 기술기반으로 의료정보가 획득되는 의료정보 획득단계(S1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상기 의료정보가 그룹화 되는 의료정보 그룹화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텍스트정보 생성단계(S300)는 사용자가 상기 텍스트정보 입력란(blank_T)에 상기 텍스트정보(T)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그룹화단계(S200)로부터 그룹화된 의료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상기 의료정보 획득단계(S100)는 영상의학과 관련 웹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획득되고, 영상의학과 관련 웹페이지 내 특정부분이 웹 스크래핑(Web-Scraping) 대상이 되어 스크래핑이 수행됨으로써, 다수 개의 의료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의학과 관련 웹페이지는 위키피디아(Wikipedia) 기반의 영상의학과 백과사전인 라디오페디아(Radiopaedia) 웹페이지 또는 논문 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료정보는 영상의학과 관련 웹페이지 내 특정부분에서의 전체 또는 일부 텍스트(Text)일 수 있다.
예컨대, 영상의학과 관련 웹페이지의 특정부분에 ‘Pelvic kidney with obstructing ureteric calculus.’, ‘Normal right kidney in position and size.’가 기재되어 있다면, 상기 의료정보 획득단계(S100)는 ‘Pelvic kidney(골반 신장)’, ‘Ureteric calculus(요관 결석)’, ‘Normal(정상)’ 및 ‘Right kidney(오른쪽 신장)’과 같은 의료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료정보는 질병 부위를 나타내는 텍스트, 질병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 크기를 나타내는 텍스트, 위치를 나타내는 텍스트, 심각도를 나타내는 텍스트, 추적 시 변화를 나타내는 텍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료정보 그룹화단계(S200)는 상기 의료정보에서 질병 부위, 질병 종류, 크기, 심각도, 추적 시 변화, 질병 종류와 동반해서 자주 발생하는 또 다른 질병이 분류되어 그룹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의료정보 획득단계(S100) 및 의료정보 그룹화단계(S200)를 포함함으로써, 의학적 지식과 경험이 적은 판독의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임의의 신체부위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텍스트정보(T)를 입력할 시 추천 키워드(Keyword)로써 상기 의료정보를 참고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텍스트정보 생성단계(S300)는, 다수 개의 요소(x1,...,xn)를 갖는 임의의 항목(ym)이 X축에 배치되는 X축 배치단계(S310), 다수 개의 항목(y1,...,yn)이 Y축에 배치되는 Y축 배치단계(S320) 및 임의의 항목(ym) 내 임의의 요소(xk)에 대한 보조요소(z)가 Z축에 배치되는 Z축 배치단계(S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n, m, k는 양의 정수이다.
도 2의 일실시예를 보면,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3차원 데이터 구조는 1차 레이어(L1_1) 및 2차 레이어(L2_1)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레이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팝업창일 수 있다.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텍스트정보 생성단계(S300)는 3차원 데이터 구조의 텍스트정보(T)가 신체부위별로 또는 의료영상의 촬영부위별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의 (a)를 보면, 상기 1차 레이어(L1_1)는 상기 X축과 상기 Y축을 포함함으로써 2차원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X축은 항목(ym)별 다수 개의 요소(x1,...,xn)가 배치될 수 있고, Y축에는 다수 개의 항목(y1,...,yn)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b)를 보면, 상기 2차 레이어(L2_1)는 Z축을 포함함으로써, 임의의 항목(ym) 내 임의의 요소(xk)에 대한 다수 개의 보조요소(z1,...,zn)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텍스트정보 생성단계(S300)는 상기 1차 레이어(L1_1)와 2차 레이어(L2_1)가 이용되어 3차원 데이터 구조의 텍스트정보(T)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3차원 데이터 구조는 1차 레이어(L1_1) 및 2차 레이어(L2_1)를 1세트로 하고, 다수 개의 세트가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도 2의 일실시예와 같이 1차 레이어(L1_1)와 2차 레이어(L2_1)가 1세트로 생성된 상태에서, 또 다른 1차 레이어(L1_2)가 기 생성된 2차 레이어(L2_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X축 배치단계(S310)는 상기 임의의 보조요소(zh)에 대해서 다수 개의 제2 세부요소(s1,...,sn)를 갖는 임의의 제1 세부요소(wt)가 X축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t는 양의 정수이다. 그리고 상기 Y축 배치단계(S320)는 다수 개의 제1 세부요소(w1,...,wn)가 Y축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또 다른 1차 레이어(L1_2)는 제1 세부요소(w)와 제2 세부요소(s)가 2차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1차 레이어(L1_2)에 연결된 또 다른 2차 레이어(L2_2)가 도 2의 일실시예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1차 레이어 및 2차 레이어를 포함하는 세트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상기 텍스트정보(T)의 확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텍스트 정보(T)는 1차 레이어(L1_1)와 다수 개의 2차 레이어(L2_1)를 포함하는 3차원 데이터 구조로 생성됨으로써, 해당 세트 내 1차 레이어(L1_1)와 각 2차 레이어(L2_1)는 연결적임으로 순서대로 처리될 수 있는 직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수 개의 2차 레이어(L2_1)간은 독립적임으로 동시에 처리될 수 있는 병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3차원 데이터 구조로 텍스트정보(T)가 생성됨으로써, 확장성이 높아질 수 있고, 판독의가 판독소견을 보다 구체적으로 작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정보 생성단계(S300)는 상기 텍스트정보(T) 일측에 라디오 버튼 또는 체크박스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텍스트정보 생성단계(S300)는 임의의 항목(y)에 대한 다수 개의 요소(x1,...,xn)는 단일선택을 위한 라디오 버튼 또는 중복선택을 위한 체크박스가 동일하게 생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요소(x)에 대한 다수 개의 보조요소(z1,...,zn)는 단일선택을 위한 라디오 버튼 또는 중복선택을 위한 체크박스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제1 세부요소(w)에 대한 다수 개의 제2 세부요소(s)는 단일선택을 위한 라디오 버튼 또는 중복선택을 위한 체크박스가 동일하게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일선택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1개만 선택되는 것이고, 중복선택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1개 이상이 선택되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단계(S4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정보(T)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단계(S4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해당 텍스트정보(T)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텍스트정보 생성단계(S300)로부터 생성된 상기 라디오 버튼 또는 상기 체크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의 일실시예를 보면, 흉부 검사를 판독하는 일실시예이다. 해당 의료영상은 폐와 심장 등 피검사자의 흉부가 촬영된 것이다. 1차 레이어(L1_1)에서 상기 항목(y)은 해당 의료영상으로부터 판독될 수 있는 포괄적인 내용으로써, 혈관장치(Vascular Device), 심장(Heart), 폐렴(Pneumonia), 부종(Edema), 결절(Nodule) 등 특정장치 유무, 신체 부위 또는 질병 종류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레이어(L1_1)에서 항목(y)별 요소(x)는 항목(y) 내에서 세부적으로 판독될 수 있는 내용으로써, 결절(Nodule) 항목(y)의 요소(x)는 고형결절(Solid), 새로 생긴 결절(Active) 및 드문결절(Rare) 등 질병 심각도, 질병 위치, 방식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폐렴(Pneumonia) 항목(y)의 요소(x)는 양쪽 폐렴(both), 오른쪽 폐렴(rt), 왼쪽 폐렴(lt), 양쪽 의심스러운 폐렴(both suspicious), 오른쪽 의심스러운 폐렴(rt suspicious), 왼쪽 의심스러운 폐렴(lt suspicio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2차 레이어(L2_1)에서 상기 보조요소(z)는 요소(x) 내에서 더 세부적으로 판독될 수 있는 내용으로써, 결절의 요소(x)는 전체고형결절(SN), 석회화된고형결절(CN), 불투명한고형결절(GGN), 부분적고형결절(PSN) 및 고형 및 석회화된 고형결절(SC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세트의 1차 레이어(L1_2)에서 상기 보조요소(z) 내 제1 세부요소(w)와 제2 세부요소(s)는 상기 보조요소(z) 내에서 더 세부적으로 판독될 수 있는 내용이다. 예컨대, 제1 세부요소(w)는 결절숫자, 결절크기, 결절위치, 초진/재진검사, 결절추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절숫자에 대한 제1 세부요소(w)는 1개, 2개, 3개, 4개, 5개, several, 10개 이하의 multiple, 10개 이상의 multiple 등을 포함하는 제2 세부요소(s)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선택정보 입력단계(S5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상기 텍스트정보(T) 중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된 선택정보만이 판독문 입력란(blank_R)에 입력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에 상기 텍스트정보(T) 및 선택정보가 표시되는 형태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 및 선택이 용이하도록 그래픽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Windows OS, IOS, Linux, Android 등의 운영체제가 설치되고,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 및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말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개인PC, 태블릿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정보 입력단계(S500)는 다수 개의 텍스트정보(T) 중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텍스트정보(T) 일측에 제공된 라디오 버튼 또는 체크박스가 선택된 텍스트정보(T)가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서 조합됨으로써, 상기 선택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정보 입력단계(S500)는 라디오 버튼 또는 체크박스가 선택된 텍스트정보(T)가 ‘1’이 되고, 선택되지 않은 텍스트정보(T)가 ‘0’이 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된 텍스트정보(T)만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된 순서대로 또는 각 레이어에 배열된 순서대로 나열되어 상기 선택정보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정보 입력단계(S500)는, 입력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클립보드 명령어가 이용되어 타 프로그램에 구비된 판독문 입력란(blank_R)에 상기 선택정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정보 입력단계(S500)는, 기 설정된 판독문 입력란(blank_R)에서 상기 클립보드 명령어가 이용되어 상기 선택정보가 복사된 후 타 프로그램의 판독문 입력란(blank_R)에 선택정보가 붙여넣기 됨으로써, 해당 판독문 입력란(blank_R)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선택정보 입력단계(S500)는 클립보드 명령어가 이용됨으로써, 타 프로그램 간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선택정보의 글자수가 상당히 많더라도 빠른 속도로 상기 판독문 입력란(blank_R)에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정보 입력단계(S500)는, 입력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키보드 이벤트 시뮬레이션이 이용되어 타 프로그램에 구비된 판독문 입력란(blank_R)에 상기 선택정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정보 입력단계(S500)는 Sendinput 함수가 이용되어 마치 사용자가 직접 타 프로그램에 구비된 판독문 입력란(blank_R)에 입력하는 것처럼 상기 키보드 이벤트 시뮬레이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선택정보 입력단계(S500)는 키보드 이벤트 시뮬레이션이 이용됨으로써, 클립보드 명령어가 제한되는 타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상기 선택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보드의 배열 및 종류에 상관없이 특수문자가 포함된 상기 선택정보가 용이하게 입력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의 일실시예를 보면,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타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영상의학과에서 의료영상 판독을 위해 사용하는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ng System; PACS)일 수 있고, 상기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ACS)과 연동되어 의료기관에서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일 수 있고, Windows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Windows 메모장일 수 있고,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문서 프로그램일 수 있고, 웹 브라우저(Web browser)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래 의료영상 판독을 위해서 사용하는 타 프로그램과 호환성을 향상시켜 판독의를 포함하는 의료진이 새로운 프로그램에 적응해야하는 부담을 줄이고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임상경험이 많은 판독의가 의료영상 판독 후 판독소견을 작성할 시 키보드를 이용하여 일일이 의학용어들을 나열할 필요 없이 해당 판독문에 필요한 텍스트정보(T)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판독소견을 작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판독소견 작성에 대한 효율성이 현저히 높아질 수 있고, 더 나아가 임상의 및 피검사자의 대기시간 역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상경험이 부족한 판독의가 의료영상 판독 후 판독소견을 작성할 시 작성가이드로 활용될 수 있어 임상경험에 상관없이 임상경험이 많은 판독의와 동일하게 판독소견을 작성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로 구현되는 경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양태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컴포넌트와 같은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 또는 컴포넌트들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데이터 형식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양태들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격 처리 디바이스들에 의해 작업들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들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에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으로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컴퓨터 장치
11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120.. 기록매체
200.. 사용자 단말
L1.. 1차 레이어
L2.. 2차 레이어
x.. 요소
y.. 항목
z.. 보조요소
w.. 제1 세부요소
s.. 제2 세부요소
blank_T.. 텍스트정보 입력란
blank_R.. 판독문 입력란
T.. 텍스트정보
S100.. 의료정보 획득단계
S200.. 의료정보 그룹화단계
S300.. 텍스트정보 생성단계
S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단계
S500.. 선택정보 입력단계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의료영상 판독을 위한 텍스트정보가 3차원 데이터 구조로 생성되는 텍스트정보 생성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정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상기 텍스트정보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선택정보만이 판독문 입력란에 입력되는 선택정보 입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텍스트정보 생성단계는,
    다수 개의 요소를 갖는 임의의 항목이 X축에 배치되는 X축 배치단계;
    다수 개의 항목이 Y축에 배치되는 Y축 배치단계; 및
    임의의 항목 내 임의의 요소에 대한 보조요소가 Z축에 배치되는 Z축 배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데이터 구조는,
    상기 X축과 상기 Y축을 포함하는 1차 레이어와 상기 Z축을 포함하는 2차 레이어가 1세트가 되고,
    상기 X축 배치단계는,
    상기 임의의 보조요소(zh)에 대해서 다수 개의 제2 세부요소(s1,...,sn)를 갖는 임의의 제1 세부요소(wt)가 X축에 배치되고,
    상기 Y축 배치단계는,
    다수 개의 제1 세부요소(w1,...,wn)가 Y축에 배치되고,
    상기 텍스트정보 생성단계는,
    다수 개의 항목(y1,...,yn)에 대한 다수 개의 요소(x1,...,xn)를 포함하는 1차 레이어와 임의의 항목(ym) 내 임의의 요소(xk)에 대한 다수 개의 보조요소(z1,...,zn)를 포함하는 2차 레이어가 생성된 상태에서, 임의의 보조요소(zh)에 대해서 다수 개의 제1 세부요소(wt)에 대한 다수 개의 제2 세부요소(s1,...,sn)를 포함하는 또 다른 1차 레이어가 기 생성된 2차 레이어에 연결됨으로써, 다수 개의 세트가 연결되어 상기 텍스트정보의 확장성을 높이고 판독의가 판독문을 보다 구체적으로 작성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여기서, n, m, k, t, h는 양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정보 입력단계는,
    입력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클립보드 명령어가 이용되어 타 프로그램에 구비된 판독문 입력란에 상기 선택정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정보 입력단계는,
    입력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키보드 이벤트 시뮬레이션이 이용되어 타 프로그램에 구비된 판독문 입력란에 상기 선택정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5. 삭제
KR1020230067803A 2023-05-25 2023-05-25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KR102616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803A KR102616180B1 (ko) 2023-05-25 2023-05-25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803A KR102616180B1 (ko) 2023-05-25 2023-05-25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180B1 true KR102616180B1 (ko) 2023-12-20

Family

ID=8937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803A KR102616180B1 (ko) 2023-05-25 2023-05-25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1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88B1 (ko) 2007-02-16 2008-07-01 주식회사내쇼날 테스팅 랩 아시아 Dcs를 이용한 원격 의료판독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08400B1 (ko) 2019-07-12 2020-05-28 주식회사 딥노이드 의료영상 판독을 위한 컨테이너 기반의 인공지능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88B1 (ko) 2007-02-16 2008-07-01 주식회사내쇼날 테스팅 랩 아시아 Dcs를 이용한 원격 의료판독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08400B1 (ko) 2019-07-12 2020-05-28 주식회사 딥노이드 의료영상 판독을 위한 컨테이너 기반의 인공지능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yu Zhang 외, PathNarratives: Data annotation for pathological human-AI collaborative diagnosis, Frontiers in Medicine, 2023.01.26., pp.1-16.* *
Sascha Seifert 외, Semantic Annotation of Medical Images, SPIE Medical Imaging 2010, 2010.03.11., Vol.7628, pp.1-9.* *
Vasiliki Kougia 외, RTEX: A novel methodology for Ranking, Tagging, and Explanatory diagnostic captioning of radiography exams, arXiv, 2020.06.11., pp.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5694B2 (en) Gesture-based communication and reporting system
JP6914839B2 (ja) 放射線レポートのためのレポート内容のコンテキスト生成
US7421647B2 (en) Gesture-based reporting method and system
Aminololama-Shakeri et al.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US11500920B2 (en) Visual annotations on medical images
US201100288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imaging
JP2020149682A (ja) 治療順序を判定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
US115376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data processing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processing
JP201615182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1900265B2 (en) Database systems and interactive user interfaces for dynamic conversational interactions
JP5337992B2 (ja) 医用情報処理システム、医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16990A (ja) 検査報告書を生成する装置及び方法
Moulik et al.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P2009078082A (ja) 医用情報処理システム、医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ontos et al. Can AI help make screening mammography “lean”?
Branstetter IV Basics of imaging informatics: part 2
Sahni et al. The actionable imaging report
Zhang et al. Comparison of chest radiograph captions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vs completed by radiologists
JP2009059381A (ja) 医療診断支援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診断支援情報記録媒体
KR102616180B1 (ko) 3차원 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의료영상 판독문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Wang et al. Toward standardized premarket evaluation of computer aided diagnosis/detection products: insights from FDA-approved products
CN108292527A (zh) 临床发现轮盘-探索临床概念的系统
Gefter et al. Human-AI Symbiosis: A Path Forward to Improve Chest Radiography and the Role of Radiologists in Patient Care
WO202315795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300992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gnosis management based on medical information of pat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