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077B1 - 유휴 모드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위한 송신, 재송신, 및 harq 프로세스 - Google Patents

유휴 모드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위한 송신, 재송신, 및 harq 프로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077B1
KR102616077B1 KR1020217012730A KR20217012730A KR102616077B1 KR 102616077 B1 KR102616077 B1 KR 102616077B1 KR 1020217012730 A KR1020217012730 A KR 1020217012730A KR 20217012730 A KR20217012730 A KR 20217012730A KR 102616077 B1 KR102616077 B1 KR 102616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 mode
processor
uplink
generating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577A (ko
Inventor
바라트 쉬레스타
시우 시안 림
마르타 마르티네즈 타라델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5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04L1/1678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where the control information is for timing, e.g. time 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05Routing actions in the presence of nodes in sleep or doze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휴 모드에서의 UE는 송신, 재송신, 및/또는 HARQ를 위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한 RNTI 및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구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유휴 모드에서, UE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업링크 송신을 생성한다. 업링크 송신 이후에, UE는 재송신 타이머를 시작하고, HARQ ACK/NACK에 대한 구성 데이터에 제공된 RNTI로 PDCCH를 모니터링한다.

Description

유휴 모드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위한 송신, 재송신, 및 HARQ 프로세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1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754,479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이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대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유휴 모드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PUR)들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이동 통신 기술은 다양한 표준들 및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무선 이동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표준들 및 프로토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통상, 산업 그룹들에게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로서 알려져 있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 802.16 표준; 및 통상, 산업 그룹들에게 Wi-Fi로서 알려져 있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들에 대한 IEEE 802.11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LTE 시스템들 내의 3GPP RAN(radio access network)들에서, 기지국은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내의 E-UTRAN 노드 B(또한, 통상, evolved Node B, enhanced Node B, eNodeB, 또는 eNB로서 표기됨)와 같은 RAN 노드 및/또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 알려진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제5 세대(5G) 무선 RAN들에서, RAN 노드들은 5G 노드, 뉴라디오(new radio, NR) 노드 또는 g 노드 B(gNB)를 포함할 수 있다.
RAN들은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사용하여 RAN 노드와 UE 사이에서 통신한다. RAN들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ERAN(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RAN),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또는 E-UTRAN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RAN들 각각은 특정 3GPP RAT에 따라 동작한다. 예를 들어, GERAN은 GSM 및/또는 EDGE RAT를 구현하고, UTRAN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RAT 또는 다른 3GPP RAT를 구현하고, E-UTRAN은 LTE RAT를 구현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RAN 노드를 통해 UE에 접속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SGW(serving gateway),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PDN gateway, PGW), ANDSF(access network detection and selection function) 서버,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 및/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UE를 위한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UE를 위한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예컨대, eNB 또는 gNB)을 위한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인터페이스들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셀은 무선 네트워크와 UE 사이의 통신 링크를 제공한다. 셀 내의 UE는 보통, 2개의 작동 상태들, 즉 접속 상태 및 유휴 상태를 갖는다. 셀은, 접속 상태의 UE에 대해, 셀 내의 UE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를 구성하고, UE는 전용 업링크/다운링크 리소스를 사용하여 C-RNTI에 기초하여 셀 내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UE가 어떠한 서비스도 갖지 않거나 UE의 서비스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 무선 네트워크는 UE에게 유휴 상태에 진입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유휴 상태의 UE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있을 때, UE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및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 셋업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UE가 C-RNTI를 재획득하고 접속 상태에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UE는 전용 업링크/다운링크 리소스들을 다시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소정 실시 형태들은 유효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를 갖는 UE들에 대한 유휴 상태(본 명세서에서 유휴 모드로도 지칭됨)에서 전용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들에서의 송신을 제공한다. 초기에는 유휴 모드에서 전용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들에 중점을 둘 수 있지만, 공유 리소스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유휴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이 전용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들에서의 송신을 위해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HARQ 프로세스가 지원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하나 초과의 HARQ 프로세스가 지원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은 대응하는 기계형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PDCCH) 검색 공간의 재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휴 모드에서, 소정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전용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PUR)가 지원되고, 무경쟁(contention-free) 공유 PUR 및 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cell broadcast service, CBS) PU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구성된 리소스에서의 업링크(UL) 송신에 대해, 소정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및/또는 초기 데이터 송신(early data transmission, EDT) 절차들에 대한 폴백(fallback) 메커니즘이 지원된다.
사전구성된 UL 리소스들에서의 송신에 대해, 소정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RRC 유휴 UE는 검증 기준을 통과한 최신 TA를 사용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사전구성된 UL 리소스들이 RRC 시그널링에 의해 나타내진다. 적어도 UE-특정 RRC 시그널링이 지원될 수 있다.
이전에, UE는 유휴 모드에서 사용할 어떠한 HARQ 구성도 갖지 않았다. 본 명세서의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PUR)는, 접속 모드에 있을 때, 유휴 모드에서 사용될 UE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HARQ 프로세스가 유휴 모드에서 PUR에서의 송신을 위해 지원될 때, HARQ 프로세스는 접속 모드에서 랜덤 액세스 또는 정상 HARQ 절차에서의 HARQ 프로세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형태들은 HARQ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 있고, PUR에서의 송신을 위한 재송신들을 처리할 수 있다.
PUR이 전용 RRC 시그널링 또는 브로드캐스트에 의해 구성될 때,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 주기성 및 허용되는 커버리지 향상(coverage enhancement, CE) 레벨, HARQ 프로세스의 수 등과 같은 파라미터들이 유휴 모드에서 PUR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UE가 TBS 파라미터에 나타내진 크기보다 큰 UL 데이터를 갖는 경우에, UE는 PUR을 사용하여 RRC 접속 요청 메시지 + 버퍼 상태 리포트(buffer status report, BSR) + UL 데이터의 세그먼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평면(control plane, CP) 솔루션에 대해, 소정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UE는, BSR와 함께 또는 BSR 없이, 비-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NAS)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으로 RRC 접속 요청(즉, RRCEarlyDataRequest)을 전송할 수 있다. NAS PDU에서의 CP 데이터가 PUR에 대한 TBS에 피팅(fit)되지 않는 경우, UE는, BSR과 함께 또는 BSR 없이, NAS 서비스 요청만을 갖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NAS와 액세스 계층(access stratum, AS) 사이의 상호작용은, PUR의 TBS 크기 한도에 기초하여 CP 데이터 + NAS 시그널링을 송신할지 또는 NAS 시그널링만을 송신할지 또는 NAS 서비스 요청만을 송신할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NAS와 AS 사이의 상호작용은 UE 구현에 맡겨질 수 있다.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솔루션에 대해, 소정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UE는, 멀티플렉싱된 사용자 평면 데이터 및/또는 BSR과 함께 또는 이들 없이,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이전에 이전 접속에서의 다음 홉 체이닝 카운터(next-hop chaining counter, NCC)를 수신한 경우에 AS 보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새로운 메시지 클래스는 보안이 활성화되었음을 기지국(예컨대, eNB 또는 gNB)에게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PUR에 대한 TBS보다 더 큰 경우, 세그먼트화가 수행될 수 있고, 세그먼트 데이터는 RRC 재개 요청 메시지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UE는 UE가 PUR에서 멀티플렉싱된 사용자 U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때에만 AS 보안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그렇지 않을 때, UE는 PUR에서 BSR과 함께 또는 BSR 없이 레거시 RRCConnectionResume 메시지를 전송한다.
HARQ 프로세스
소정 실시 형태들은 랜덤 액세스 절차들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HARQ 프로세스를 적용한다.
다른 실시 형태들은 랜덤 액세스 절차들에서 사용되는 HARQ 프로세스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HARQ 프로세스들이 지원되는 경우, 개별 랜덤 액세스 절차가 각각의 HARQ 프로세스에 대해 개시될 수 있다. PUR에서의 송신에 응답하여 HARQ 피드백(예컨대, 확인응답(acknowledgment, ACK) 또는 부정적 확인응답(negative acknowledgement, NACK) 정보) 및/또는 송신 또는 재송신에 대한 새로운 승인이 HARQ 프로세스 식별자(ID)를 나타낼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PUR에서의 UL 송신 이후에, UE는 새로운 재송신 타이머를 시작한다. UE는 PUR 구성으로 제공된 새로운 RNTI를 사용하여 공통 구성으로 제공된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 내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한다.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하고 어떠한 것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예컨대, ACK/NACK 또는 다른 메시지가 eNB로부터 수신되지 않음), UE는 PUR에서의 송신이 실패였다고 결정하고, 다른 PUR에서의 재송신을 생성한다. 각각의 재송신 이후에, 소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PUR 재송신 타이머가 재시작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하고 UE에 의해 어떠한 것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UE는 레거시/EDT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폴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하고 UE에 의해 어떠한 것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UE는 PUR에서의 송신이 성공적이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재송신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소정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기지국(예컨대, eNB 또는 gNB)은 소정 액션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새로운 RNTI에 어드레싱되는 재송신 승인을 제공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기지국은 레거시/EDT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폴백할 것을 UE에게 나타내는 NACK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경쟁 해결 MAC CE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는 표시 또는 성공적인 ID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UE는 즉시 슬립 상태가 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기지국은 유휴 모드에서 머무를 것(예컨대, EDT에서의 EarlyDataComplete 또는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와 유사함) 또는 접속 모드로 이동할 것(예컨대, RRCConnectionSetup 또는 RRCConnectionResume 메시지)을 UE에게 명령하는 RRC 메시지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재송신 이후에, PUR 재송신 타이머가 재시작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유휴 모드에서의 HARQ 프로세스는 UL HARQ를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UL 송신 이후에, UE는 HARQ RTT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고, 이어서 불연속 수신 모드(discontinuous reception mode, DRX) 재송신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으며, 여기서 타이머가 만료하고 UE에 의해 어떠한 것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UE는 송신의 실패를 결정하고, 다른 PUR에서의 재송신을 생성하거나; 타이머가 만료하고 UE에 의해 어떠한 것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UE는 레거시/EDT 랜덤 액세스에 폴백할 수 있거나; 또는 타이머가 만료하고 UE에 의해 어떠한 것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UE는 송신이 성공적이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유휴 모드에서의 HARQ 프로세스는 UL HARQ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는데, 여기서 HARQ 프로세스는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에 대응한다.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의 마지막 반복 이후에, UE는 미리정의된 검색 공간,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응답을 위해 사용되는 CSS와 동일한 검색 공간에서 ACK/NACK에 대한 PDCCH를 모니터링한다. PDCCH의 모니터링은 PUSCH의 마지막 반복 이후에 x번째 TTI(예를 들어, 제4 TTI)에서 시작할 수 있다. UE에 의해 어떠한 것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UE는 송신을 실패로 간주할 수 있고, 다음 PUR에서 재송신하거나 새로운 레거시 RACH/EDT를 개시한다. NACK가 수신되는 경우, UE는 초기 송신의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TTI에서의 동일한 리소스 구성을 사용하여 재송신한다. ACK가 수신되는 경우, UE는 송신이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성공적인 PUR 송신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UE가 PUR에서의 송신에 응답하여 RRC 메시지(유휴 상태에서 머무를 것 또는 RRC_CONNECTED로 이동할 것을 UE에게 나타냄)를 수신하는 경우, RRC 메시지는 새로운 TA 커맨드 및/또는 NCC를 포함할 수 있고, TA 유효성 타이머를 재시작할 수 있다. BSR에 기초하여, 기지국(예컨대, eNB 또는 gNB)은 UE가 새로운 HARQ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나머지 UL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추가 UL 승인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UE가 PUR에서의 송신에 응답하여 어떠한 것도 수신하지 않거나 ACK를 수신하지 않고, 송신이 성공적이라고 간주되는 경우, UE는 유휴 모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UE가 UP 셀룰러 사물 인터넷(cellular internet of things, C-IoT) 최적화를 사용하고 있고, PUR에서의 송신을 위해 이미 활성화된 보안을 갖는 경우, UE는, UE가 여전히 송신할 추가적인 데이터를 갖고 있다면, 현재 TA가 여전히 유효한 동안에 다음 PUR에서 동일한 기존의 키들을 사용할 수 있다. PUR에서 EDT를 사용하기 위해, EDT를 개시하는 조건이 추가될 수 있는데, 이는 송신할 다수의 패킷들이 있는 경우에도, EDT가 PUR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단일 HARQ 프로세스에 대해, HARQ 프로세스 ID = 0이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다수의 HARQ 프로세스들의 경우, HARQ 프로세스 ID는 하기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HARQ 프로세스 ID = [floor(CURRENT_TTI/PURinterval)] 모듈로 numberOfHARQ-Processes, 여기서 CURRENT_TTI=[(SFN * 10) + 서브프레임 번호]인데, SFN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이고, CURRENT_TTI는 번들의 제1 송신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을 지칭한다.
동기식 HARQ에 대해, 소정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HARQ 프로세스 ID = CURRENT_TTI 모듈로 numberOfHARQ-Processes이다.
소정 실시 형태들은 유휴 모드에서 PUR의 해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 형태에서, UE가 PUR을 해제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TA 유효성 타이머가 여전히 작동하고 있는 경우, UE는 PUR에서 새로운 RRC 메시지,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E), 또는 계층 1(L1)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PUR의 해제를 기지국(예컨대, eNB 또는 gNB)에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UE가 레거시 물리적 RACH(physical RACH, PRACH) 리소스를 사용하여 레거시 RRC 접속/재개 확립 절차를 개시하거나, EDT PRACH 리소스를 사용하여 EDT를 개시하는 경우, PUR은 해제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UE를 위한 방법(100)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블록(102)에서, UE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구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성 데이터는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를 포함한다. 블록(104)에서, 유휴 모드에서, UE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업링크 송신을 생성한다. 블록(106)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의 업링크 송신 이후에, UE는 재송신 타이머를 시작한다. 블록(108)에서, UE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확인응답(ACK) 또는 부정적 확인응답(NACK)을 위해 구성 데이터에 제공되는 RNTI를 사용하여 공통 검색 공간(CSS) 내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한다. 블록(110)에서, ACK 또는 NACK를 수신하기 이전에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한 것에 응답하여, UE는, 업링크 송신이 실패했다고 결정하고, 다른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서의 재송신을 생성한다. 블록(112)에서, 재송신을 생성한 이후에, UE는 재송신 타이머를 재시작한다.
도 2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UE를 위한 방법(200)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블록(202)에서, UE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구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성 데이터는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포함한다. 블록(204)에서, 유휴 모드에서, UE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업링크 송신을 생성한다. 블록(206)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의 업링크 송신 이후에, UE는 재송신 타이머를 시작한다. 블록(208)에서, UE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확인응답(ACK) 또는 부정적 확인응답(NACK)을 위해 구성 데이터에 제공되는 RNTI를 사용하여 공통 검색 공간(CSS) 내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한다. 블록(210)에서, ACK 또는 NACK를 수신하기 이전에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한 것에 응답하여, UE는 초기 데이터 송신(EDT)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한 폴백을 개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예컨대, eNB 또는 gNB)을 위한 방법(300)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블록(302)에서, 방법(300)은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해 UE를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및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로 구성한다. 블록(304)에서, 방법(300)은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에서 UE로부터의 업링크 송신을 프로세싱한다. 블록(306)에서, 업링크 송신에 응답하여, 방법(300)은 RNTI를 사용하여 UE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시적인 시스템들 및 장치들
도 4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네트워크의 시스템(400)의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시스템(400)은 UE(402); 5G 액세스 노드 또는 RAN 노드((R)AN 노드(408)로서 도시됨);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UPF(404)로서 도시됨);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 서비스들, 인터넷 액세스 또는 제3자 서비스들일 수 있는 데이터 네트워크(DN(406)); 및 5G 코어 네트워크(5GC)(CN(410)으로서 도시됨)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CN(410)은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AUSF(414)); 코어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412));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SMF(418)); 네트워크 노출 기능(NEF(416)); 정책 제어 기능(PCF(422)); 네트워크 기능(NF) 저장 기능(Repository Function)(NRF(420)); 통합 데이터 관리(UDM(424)); 및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AF(426))을 포함할 수 있다. CN(410)은 또한, 구조화된 데이터 저장 네트워크 기능(Structured Data Storage network function, SDSF),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 저장 네트워크 기능(Unstructured Data Storage network function, UDSF) 등과 같은 도시되지 않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UPF(404)는 인트라-RAT 및 인터-RAT 이동성에 대한 앵커 포인트, DN(406)에 대한 상호접속부의 외부 PDU 세션 포인트, 및 멀티홈(multi-homed) PDU 세션을 지원하기 위한 브랜칭 포인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 UPF(404)는 또한,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 패킷 점검을 수행할 수 있고, 정책 규칙들의 사용자 평면 부분을 강제할 수 있고, 패킷들을 합법적으로 인터셉트할 수 있고(UP 수집); 트래픽 사용 리포팅, 사용자 평면에 대한 QoS 처리(예컨대, 패킷 필터링, 게이팅, UL/DL 레이트 집행)를 수행할 수 있고, 업링크 트래픽 검증(예컨대, SDF 대 QoS 흐름 맵핑),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전송 레벨 패킷 마킹, 및 다운링크 패킷 버퍼링 및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트리거링을 수행할 수 있다. UPF(404)는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트래픽 흐름들을 라우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업링크 분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DN(406)은 다양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서비스들, 인터넷 액세스, 또는 제3자 서비스들을 표현할 수 있다.
AUSF(414)는 UE(402)의 인증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인증 관련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AUSF(414)는 다양한 액세스 유형들을 위한 공통 인증 프레임워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MF(412)는 등록 관리(예컨대, UE(402) 등을 등록하기 위함), 접속 관리, 도달성 관리, 이동성 관리, 및 AMF-관련 이벤트들의 합법적인 인터셉션, 그리고 액세스 인증 및 인가를 담당할 수 있다. AMF(412)는 SMF(418)에게 SM 메시지들에 대한 전송을 제공할 수 있고, SM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기 위한 투명한 프록시(proxy)로서 작용할 수 있다. AMF(412)는 또한, UE(402)와 SMS 기능(SMSF)(도 4에 의해 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메시지들을 위한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AMF(412)는 AUSF(414) 및 UE(402)와의 상호작용, UE(402) 인증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확립되었던 중간 키의 수신을 포함할 수 있는 보안 앵커 기능(Security Anchor Function, SEA)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USIM 기반 인증이 사용되는 경우, AMF(412)는 AUSF(414)로부터 보안 자료를 검색할 수 있다. AMF(412)는 또한, 보안 컨텍스트 관리(Security Context Management, SCM)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그것이 액세스-네트워크 특정 키들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를 SEA로부터 수신한다. 게다가, AMF(412)는 RAN CP 인터페이스의 종단점(N2 기준점), NAS (NI) 시그널링의 종단점일 수 있고, NAS 암호 및 무결성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AMF(412)는 또한, N3 인터워킹-기능(interworking -function, IWF) 인터페이스를 통해 UE(402)와의 NAS 시그널링을 지원할 수 있다. N3IWF는 신뢰되지 않은 엔티티들에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N3IWF는 각각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을 위한 N2 및 N3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종단점일 수 있고, 이와 같이, PDU 세션들 및 QoS에 대한 SMF 및 AMF로부터의 N2 시그널링을 처리할 수 있고, IPSec 및 N3 터널링을 위한 패킷들을 캡슐화/탈캡슐화할 수 있고, 업링크에서 N3 사용자 평면 패킷들을 마킹할 수 있고, N2를 통해 수신된 그러한 마킹에 연관된 QoS 요건들을 고려하여 N3 패킷 마킹에 대응하는 QoS를 강제할 수 있다. N3IWF는 또한, UE(402)와 AMF(412) 사이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제어 평면 NAS (NI) 시그널링을 릴레이할 수 있고, UE(402)와 UPF(404) 사이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사용자 평면 패킷들을 릴레이할 수 있다. N3IWF는 또한, UE(402)와의 IPsec 터널 확립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SMF(418)는 세션 관리(예컨대, UPF와 AN 노드 사이의 터널 유지를 포함하는, 세션 확립, 수정 및 해제); UE IP 어드레스 할당 및 관리(선택적 인가를 포함함); UP 기능의 선택 및 제어; 트래픽을 적절한 목적지로 라우팅하기 위한 UPF에서의 트래픽 조향의 구성들; 정책 제어 기능들을 향한 인터페이스들의 종단; 정책 집행 및 QoS의 제어 부분; 합법적 인터셉트(SM 이벤트들 및 LI 시스템으로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것임); NAS 메시지들의 SM 부분들의 종단;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AN에 대한 N2 위에서 AMF를 통해 전송되는, AN 특정 SM 정보의 개시자; 세션의 SSC 모드의 결정을 담당할 수 있다. SMF(418)는 하기의 로밍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QoS SLA들(VPLMN)을 적용하기 위한 로컬 집행의 처리; 충전 데이터 수집 및 충전 인터페이스(VPLMN); 합법적 인터셉트(SM 이벤트들 및 LI 시스템으로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VPLMN 내의 것임); 외부 DN에 의한 PDU 세션 인가/인증을 위한 시그널링의 전송을 위해 외부 DN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지원.
NEF(416)는 제3자, 내부 노출/재노출, 애플리케이션 기능들(예컨대, AF(426)), 에지 컴퓨팅 또는 포그(fog) 컴퓨팅 시스템들 등에 대해 3GPP 네트워크 기능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 및 능력들을 안전하게 노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 형태들에서, NEF(416)는 AF들을 인증하고/하거나, 인가하고/하거나, 드로틀(throttle)할 수 있다. NEF(416)는 또한, AF(426)와 교환되는 정보 및 내부 네트워크 기능들과 교환되는 정보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EF(416)는 AF-서비스-식별자 및 내부 5GC 정보 사이에서 변환될 수 있다. NEF(416)는 또한, 다른 네트워크 기능들의 노출된 능력들에 기초하여 다른 네트워크 기능(NF)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구조화된 데이터로서 NEF(416)에, 또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여 데이터 저장 NF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저장된 정보는 NEF(416)에 의해 다른 NF들 및 AF들에 재노출될 수 있고/있거나, 분석들과 같은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NRF(420)는 서비스 발견 기능들을 지원할 수 있고, NF 인스턴스들로부터 NF 발견 요청들을 수신할 수 있고, 발견된 NF 인스턴스들의 정보를 NF 인스턴스들에 제공할 수 있다. NRF(420)는 또한, 이용가능한 NF 인스턴스들의 정보 및 그들의 지원되는 서비스들을 유지한다.
PCF(422)는 제어 평면 기능(들)에 정책 규칙들을 제공하여 이들을 강제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거동을 관리하기 위해 통합 정책 프레임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PCF(422)는 또한, UDM(424)의 UDR 내의 정책 결정들에 관련있는 가입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해 프론트 엔드(FE)를 구현할 수 있다.
UDM(424)은 통신 세션들의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처리를 지원하기 위해 가입 관련 정보를 처리할 수 있고, UE(402)의 가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UDM(424)은 2개의 부분들, 즉 애플리케이션 FE 및 사용자 데이터 저장소(User Data Repository, UDR)를 포함할 수 있다. UDM은 UDM FE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크리덴셜(credential)들, 위치 관리, 가입 관리 등등의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여러 상이한 프론트 엔드들이 상이한 트랜잭션들에서 동일한 사용자를 서빙할 수 있다. UDM-FE는 UDR에 저장된 가입 정보에 액세스하고, 인증 크리덴셜 프로세싱; 사용자 식별 처리; 액세스 인가; 등록/이동성 관리; 및 가입 관리를 수행한다. UDR은 PCF(422)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UDM(424)은 또한, SMS 관리를 지원할 수 있으며, 여기서 SMS-FE는 앞서 논의된 바와 유사한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구현한다.
AF(426)는 트래픽 라우팅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영향을 제공할 수 있고, 네트워크 능력 노출(Network Capability Exposure, NCE)에 액세스할 수 있고, 정책 제어를 위해 정책 프레임워크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NCE는, 5GC 및 AF(426)가 NEF(416)를 통해 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일 수 있으며, 이는 에지 컴퓨팅 구현들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구현예들에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및 제3자 서비스들은 전송 네트워크 상의 감소된 엔드-투-엔드(end-to-end) 레이턴시 및 부하를 통한 효율적인 서비스 전달을 달성하기 위해 UE(402) 액세스 연결 포인트에 가깝게 호스팅될 수 있다. 에지 컴퓨팅 구현들에 대해, 5GC는 UE(402)에 가까운 UPF(404)를 선택할 수 있고, N6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404)로부터 DN(406)으로 트래픽 조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는 UE 가입 데이터, UE 위치, 및 AF(426)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AF(426)는 UPF (재)선택 및 트래픽 라우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오퍼레이터 배치에 기초하여, AF(426)가 신뢰된 엔티티인 것으로 간주될 때,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AF(426)가 관련있는 NF들과 직접 상호작용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CN(410)은 SMSF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SMS 가입 검사 및 검증, 및 UE(402)로/로부터 SMS-GMSC/IWMSC/SMS 라우터와 같은 다른 엔티티들로/로부터 SM 메시지들의 릴레이를 담당할 수 있다. SMS는 또한, UE(402)가 SMS 전송을 위해 이용가능한 통지 절차를 위해 AMF(412) 및 UDM(424)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예컨대, UE를 도달가능하지 않은 플래그로 설정하고, UE(402)가 SMS를 위해 이용가능할 때 UDM(424)에 통지함).
시스템(400)은 하기의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Namf: AMF에 의해 나타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smf: SMF에 의해 나타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nef: NEF에 의해 나타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pcf: PCF에 의해 나타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udm: UDM에 의해 나타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af: AF에 의해 나타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nrf: NRF에 의해 나타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및 Nausf: AUSF에 의해 나타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시스템(400)은 하기의 기준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N1: UE와 AMF 사이의 기준점; N2: (R)AN과 AMF 사이의 기준점; N3: (R)AN과 UPF 사이의 기준점; N4: SMF와 UPF 사이의 기준점; 및 N6: UPF와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의 기준점. NF들에서의 NF 서비스들 사이에는 더 많은 기준점들 및/또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들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인터페이스들 및 기준점들은 명료함을 위해 생략되었다. 예를 들어, NS 기준점은 PCF와 AF 사이에 있을 수 있고; N7 기준점은 PCF와 SMF 사이에 있을 수 있고; N11 기준점은 AMF와 SMF 사이에 있을 수 있고;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CN(410)은, CN(410)과 CN(706) 사이의 인터워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MME(예컨대, MME(들)(714))와 AMF(412) 사이의 인터-CN 인터페이스인 Nx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의해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시스템(400)은 ((R)AN 노드(408)와 같은) 다수의 RAN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Xn 인터페이스는 5GC(410)에 접속하는 2개 이상의 (R)AN 노드(408)(예컨대, gNB들 등) 사이, CN(410)에 접속하는 (R)AN 노드(408)(예컨대, gNB)와 eNB 사이, 그리고/또는 CN(410)에 접속하는 2개의 eNB들 사이에 정의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Xn 인터페이스는 Xn 사용자 평면(Xn-U) 인터페이스 및 Xn 제어 평면(Xn-C)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Xn-U는 사용자 평면 PDU들의 비-보장된 전달을 제공할 수 있고, 데이터 포워딩 및 흐름 제어 기능을 지원/제공할 수 있다. Xn-C는 관리 및 에러 처리 기능, Xn-C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기능; 하나 이상의 (R)AN 노드(408) 사이의 접속 모드에 대한 UE 이동성을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접속 모드(예컨대, CM-CONNECTED)에서의 UE(402)에 대한 이동성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성 지원은 이전(소스) 서빙 (R)AN 노드(408)로부터 새로운(타깃) 서빙 (R)AN 노드(408)로의 콘텍스트 전달; 및 이전(소스) 서빙 (R)AN 노드(408)와 새로운(타깃) 서빙 (R)AN 노드(408) 사이의 사용자 평면 터널들의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Xn-U의 프로토콜 스택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전송 계층 상에 구축된 전송 네트워크 계층, 및 사용자 평면 PDU들을 반송하기 위한 UDP 및/또는 IP 계층(들)의 상부 상의 GTP-U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Xn-C 프로토콜 스택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 프로토콜(Xn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Xn-AP)로 지칭됨), 및 SCTP 계층 상에 구축되는 전송 네트워크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SCTP 계층은 IP 계층의 상부에 있을 수 있다. SCTP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들의 보장된 전달을 제공한다. 전송 IP 계층에서,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송신은 시그널링 PDU들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Xn-U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Xn-C 프로토콜 스택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디바이스(500)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디바이스(500)는 적어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커플링되는,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 기저대역 회로부(504), 무선 주파수(RF) 회로부(RF 회로부(520)로서 도시됨), FEM(front-end module) 회로부(FEM 회로부(530)로서 도시됨),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532), 및 PMC(power management circuitry)(PMC(534)로서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디바이스(500)의 컴포넌트들은 UE 또는 RAN 노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디바이스(500)는 보다 적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RAN 노드는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대신에 EPC로부터 수신되는 IP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프로세서/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디바이스(500)는, 예를 들어, 메모리/저장소, 디스플레이, 카메라, 센서, 또는 입출력(I/O) 인터페이스와 같은 추가적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아래에 설명되는 컴포넌트들은 하나 초과의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예컨대, 상기 회로부들은 C-RAN(Cloud-RAN) 구현들을 위한 하나 초과의 디바이스에 개별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는 하나 이상의 단일-코어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는 범용 프로세서들 및 전용 프로세서들(예컨대, 그래픽 프로세서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들 등)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은 메모리/저장소와 커플링될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운영 체제들이 디바이스(500) 상에서 실행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의 프로세서들은 EPC로부터 수신되는 IP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504)는 하나 이상의 단일-코어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504)는 RF 회로부(520)의 수신 신호 경로로부터 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그리고 RF 회로부(520)의 송신 신호 경로에 대한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또는 제어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504)는 기저대역 신호들의 생성 및 프로세싱을 위해 그리고 RF 회로부(520)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504)는 3G(third generation) 기저대역 프로세서(3G 기저대역 프로세서(506)), 4G(fourth generation) 기저대역 프로세서(4G 기저대역 프로세서(508)), 5G(fifth generation) 기저대역 프로세서(5G 기저대역 프로세서(510)), 또는 다른 기존의 세대들, 개발 중인 또는 향후 개발될 세대들(예컨대, 2G(second generation), 6G(sixth generation) 등)에 대한 기타 기저대역 프로세서(들)(5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504)(예컨대,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중 하나 이상)는 RF 회로부(52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무선 제어 기능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예시된 기저대역 프로세서들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메모리(518)에 저장되고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514)을 통해 실행되는 모듈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제어 기능들은 신호 변조/복조, 인코딩/디코딩, 무선 주파수 시프팅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504)의 변조/복조 회로부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Fourier Transform, FFT), 프리코딩, 또는 성상도(constellation) 맵핑/디맵핑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504)의 인코딩/디코딩 회로부는 콘볼루션, 테일바이팅(tail-biting) 콘볼루션, 터보, 비터비(Viterbi), 또는 저밀도 패리티 검사(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인코더/디코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변조/복조 및 인코더/디코더 기능의 실시 형태들은 이러한 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는, 다른 적합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504)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DSP(들)(516)와 같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디오 DSP(들)(516)는 압축/압축해제 및 에코 제거를 위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다른 적합한 프로세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의 컴포넌트들은 단일 칩, 단일 칩세트에서 적합하게 조합되거나, 또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동일한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504) 및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의 구성 컴포넌트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SOC(system on a chip) 상에서와 같이,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504)는 하나 이상의 무선 기술들과 호환가능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504)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다른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s),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504)가 하나 초과의 무선 프로토콜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실시 형태들은 다중 모드 기저대역 회로부로 지칭될 수 있다.
RF 회로부(520)는 비고체 매체(non-solid medium)를 통한 변조된 전자기 방사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520)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위치들, 필터들, 증폭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부(520)는 FEM 회로부(53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들을 하향 변환(down-convert)하고 기저대역 신호들을 기저대역 회로부(504)에 제공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수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부(520)는 또한, 기저대역 회로부(504)에 의해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상향 변환(up-convert)하고 RF 출력 신호들을 송신을 위해 FEM 회로부(530)에 제공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송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520)의 수신 신호 경로는 믹서 회로부(mixer circuitry)(522), 증폭기 회로부(524) 및 필터 회로부(5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520)의 송신 신호 경로는 필터 회로부(526) 및 믹서 회로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부(520)는 또한, 수신 신호 경로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522)에 의한 사용을 위해 주파수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기 회로부(52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522)는 합성기 회로부(528)에 의해 제공되는 합성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FEM 회로부(53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들을 하향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폭기 회로부(524)는 하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필터 회로부(526)는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하향 변환된 신호들로부터 원하지 않는 신호들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LPF(low-pass filter) 또는 BPF(bandpass filter)일 수 있다.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추가 프로세싱을 위해 기저대역 회로부(504)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제로-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들일 수 있지만, 이것이 요구사항은 아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522)는 수동 믹서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실시 형태들의 범주가 이러한 점에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522)는 FEM 회로부(530)에 대한 RF 출력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합성기 회로부(528)에 의해 제공되는 합성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입력 기저대역 신호들을 상향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저대역 신호들은 기저대역 회로부(504)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필터 회로부(526)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522)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522)는 2개 이상의 믹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각기, 직교 하향변환 및 상향변환을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522)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522)는 2개 이상의 믹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제거(image rejection)(예컨대, 하틀리(Hartley) 이미지 제거)를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522) 및 믹서 회로부(522)는, 제각기, 직접 하향변환 및 직접 상향변환을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522)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522)는 슈퍼-헤테로다인(super-heterodyne) 동작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 및 입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들일 수 있지만, 실시 형태들의 범주는 이러한 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 및 입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일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520)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및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고, 기저대역 회로부(504)는 RF 회로부(520)와 통신하기 위한 디지털 기저대역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듀얼 모드 실시 형태들에서, 각각의 스펙트럼에 대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개별 무선 IC 회로부가 제공될 수 있지만, 실시 형태들의 범주는 이러한 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합성기 회로부(528)는 프랙셔널-N 합성기(fractional-N synthesizer) 또는 프랙셔널 N/N+1 합성기일 수 있지만, 다른 유형들의 주파수 합성기들이 적합할 수 있으므로 실시 형태들의 범주가 이러한 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합성기 회로부(528)는 델타-시그마 합성기, 주파수 체배기, 또는 주파수 분주기를 갖는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는 합성기일 수 있다.
합성기 회로부(528)는 주파수 입력 및 분주기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RF 회로부(520)의 믹서 회로부(522)에 의한 사용을 위해 출력 주파수를 합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합성기 회로부(528)는 프랙셔널 N/N+1 합성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주파수 입력은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에 의해 제공될 수 있지만, 그것이 요구사항은 아니다. 분주기 제어 입력은 원하는 출력 주파수에 따라 기저대역 회로부(504) 또는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분주기 제어 입력(예컨대, N)은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채널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RF 회로부(520)의 합성기 회로부(528)는 분주기, DLL(delay-locked loop), 멀티플렉서 및 위상 누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분주기는 DMD(dual modulus divider)일 수 있고, 위상 누산기는 DPA(digital phase accumulator)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DMD는 프랙셔널 분주비를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캐리아웃(carry out)에 기초하여) N 또는 N+1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입력 신호를 분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에서, DLL은 캐스케이딩되고(cascaded) 튜닝가능한 지연 요소들의 세트, 위상 검출기, 전하 펌프, 및 D형 플립 플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들에서, 지연 요소들은 VCO 주기를 Nd개의 동등한 위상 패킷들로 나누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Nd는 지연 라인에 있는 지연 요소들의 개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DLL은 지연 라인을 통한 총 지연이 하나의 VCO 사이클이라는 점을 보장하는 것을 돕기 위해 네거티브 피드백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합성기 회로부(528)는 출력 주파수로서 캐리어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주파수는 캐리어 주파수의 배수(예컨대, 캐리어 주파수의 2배, 캐리어 주파수의 4배)일 수 있고, 서로에 대해 다수의 상이한 위상들을 갖는 캐리어 주파수에서 다수의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쿼드러처 생성기(quadrature generator) 및 분주기 회로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주파수는 LO 주파수(fLO)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520)는 IQ/폴라 변환기(IQ/polar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5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532)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들에 대해 동작하도록, 수신된 신호들을 증폭시키도록, 그리고 수신된 신호들의 증폭된 버전들을 추가 프로세싱을 위해 RF 회로부(5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수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53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532)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송신을 위해 RF 회로부(520)에 의해 제공되는 송신을 위한 신호들을 증폭시키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송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송신 또는 수신 신호 경로들을 통한 증폭은 RF 회로부(520)에서만, FEM 회로부(530)에서만, 또는 RF 회로부(520) 및 FEM 회로부(530) 둘 모두에서 행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FEM 회로부(530)는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동작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TX/RX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530)는 수신 신호 경로 및 송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530)의 수신 신호 경로는, 수신된 RF 신호들을 증폭시키고 증폭된 수신된 RF 신호들을 출력으로서 (예컨대, RF 회로부(520)에) 제공하기 위한 LNA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530)의 송신 신호 경로는 (예컨대, RF 회로부(520)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RF 신호들을 증폭시키기 위한 PA(power amplifier), 및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532) 중 하나 이상에 의한) 후속하는 송신을 위해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PMC(534)는 기저대역 회로부(504)에 제공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PMC(534)는 전원 선택, 전압 스케일링, 배터리 충전, 또는 DC-DC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500)가 UE에 포함될 때, 디바이스(500)가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때 PMC(534)가 종종 포함될 수 있다. PMC(534)는 바람직한 구현 크기 및 방열 특성들을 제공하면서 전력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PMC(534)가 기저대역 회로부(504)에만 커플링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PMC(534)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 RF 회로부(520), 또는 FEM 회로부(530)와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른 컴포넌트들과 커플링되고 이들에 대한 유사한 전력 관리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PMC(534)는 디바이스(500)의 다양한 절전 메커니즘들을 제어할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들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500)가, 디바이스가 트래픽을 곧 수신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그것이 RAN 노드에 여전히 접속되어 있는 RRC_Connected 상태에 있다면, 디바이스는 일정 기간의 비활동 이후에 DRX(Discontinuous Reception Mode)라고 알려진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동안, 디바이스(500)는 짧은 시간 간격들 동안 전력 다운될 수 있고 따라서 절전할 수 있다.
연장된 기간 동안 데이터 트래픽 활동이 없다면, 디바이스(500)는,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로부터 접속해제되고 채널 품질 피드백, 핸드오버 등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하지 않는, RRC_Idle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디바이스(500)는 초저전력 상태로 되고, 디바이스는 그것이 또다시 네트워크를 리스닝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고 이어서 또다시 전력 다운되는, 페이징을 수행한다. 디바이스(500)는 이러한 상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그것은 다시 RRC_Connected 상태로 전환된다.
부가의 절전 모드는, 디바이스가 페이징 간격(몇 초 내지 수 시간의 범위에 있음)보다 긴 기간들 동안 네트워크에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시간 동안, 디바이스는 전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불가(unreachable)하고 완전히 전력 다운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 전송되는 임의의 데이터는 큰 지연을 초래하고, 이것은 지연이 용인가능한 것으로 가정된다.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의 프로세서들 및 기저대역 회로부(504)의 프로세서들은 프로토콜 스택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들의 요소들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대역 회로부(504)의 프로세서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계층 3, 계층 2, 또는 계층 1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의 프로세서들은 이러한 계층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예컨대, 패킷 데이터)를 이용하고 계층 4 기능(예컨대, TCP(transmission communication protocol) 및 UDP(user datagram protocol) 계층들)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계층 3은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계층 2는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계층 1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UE/RAN 노드의 물리적(PHY)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기저대역 회로부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들(600)을 도시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5의 기저대역 회로부(504)는 3G 기저대역 프로세서(506), 4G 기저대역 프로세서(508), 5G 기저대역 프로세서(510), 기타 기저대역 프로세서(들)(512), CPU(514), 및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활용되는 메모리(5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들 각각은 메모리(518)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각자의 메모리 인터페이스(60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504)는, 메모리 인터페이스(604)(예컨대, 기저대역 회로부(504) 외부의 메모리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회로부 인터페이스(606)(예컨대, 도 5의 애플리케이션 회로부(502)로/로부터 데이터를 발신/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RF 회로부 인터페이스(608)(예컨대, 도 5의 RF 회로부(520)로/로부터 데이터를 발신/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무선 하드웨어 접속 인터페이스(610)(예컨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컴포넌트들, Bluetooth® 컴포넌트들(예컨대, Bluetooth® Low Energy), Wi-Fi® 컴포넌트들, 및 다른 통신 컴포넌트들로/로부터 데이터를 발신/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전력 관리 인터페이스(612)(예컨대, PMC(534)로/로부터 전력 또는 제어 신호들을 발신/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회로부들/디바이스들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의 컴포넌트들(700)을 도시한다. CN(706)의 컴포넌트들은 기계 판독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명령어들을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물리적 노드 또는 별개의 물리적 노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네트워크 기능들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에 저장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통해 상기 설명된 네트워크 노드 기능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가상화하기 위해 활용된다(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됨). CN(706)의 로직 인스턴스화는 네트워크 슬라이스(702)로 지칭될 수 있다(예컨대, 네트워크 슬라이스(702)는 HSS(708), MME(들)(714), 및 S-GW(71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CN(706)의 일부분의 로직 인스턴스화는 네트워크 서브슬라이스(704)로 지칭될 수 있다(예컨대, 네트워크 서브슬라이스(704)는 P-GW(716) 및 PCRF(7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NFV 아키텍처들 및 인프라구조들은, 산업-표준 서버 하드웨어, 저장 하드웨어, 또는 스위치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물리적 리소스들 상으로, 대안적으로는 사설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기능들을 가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NFV 시스템들은 하나 이상의 EPC 컴포넌트들/기능들의 가상 또는 재구성가능한 구현들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NFV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800)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에 따른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시스템(800)은,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자(VIM(802)으로서 도시됨),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804)로서 도시됨), VNF 관리자(VNFM(806)으로서 도시됨),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들(VNF(808)로서 도시됨), 요소 관리자(EM(810)으로서 도시됨), NFV 오케스트레이터(NFVO(812)로서 도시됨), 및 네트워크 관리자(NM(814)으로서 도시됨)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VIM(802)은 NFVI(804)의 리소스들을 관리한다. NFVI(804)는 시스템(800)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또는 가상 리소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하이퍼바이저들을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VIM(802)은 NFVI(804)로 가상 리소스들의 수명 사이클(예컨대, 하나 이상의 물리적 리소스들과 연관된 가상 머신(VM)들의 생성, 유지보수, 및 해체)을 관리하고, VM 인스턴스들을 추적하고, VM 인스턴스들 및 연관된 물리적 리소스들의 성능, 결함 및 보안을 추적하고, VM 인스턴스들 및 연관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다른 관리 시스템들에 노출시킬 수 있다.
VNFM(806)은 VNF(808)를 관리할 수 있다. VNF(808)는 EPC 컴포넌트들/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VNFM(806)은 VNF(808)의 수명 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고, VNF(808)의 가상 태양들의 성능, 결함 및 보안을 추적할 수 있다. EM(810)은 VNF(808)의 기능적 태양들의 성능, 결함 및 보안을 추적할 수 있다. VNFM(806) 및 EM(810)으로부터의 추적 데이터는, 예를 들어, VIM(802) 또는 NFVI(804)에 의해 사용되는 성능 측정(PM)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VNFM(806) 및 EM(810) 둘 모두는 시스템(800)의 VNF들의 양을 확장/축소할 수 있다.
NFVO(812)는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예컨대, EPC 기능, 컴포넌트 또는 슬라이스를 실행하기 위해) NFVI(804)의 리소스들을 조정, 인가, 해제 및 참여시킬 수 있다. NM(814)은 네트워크의 관리를 위한 책임을 갖는 최종 사용자 기능들의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VNF들을 갖는 네트워크 요소들, 비-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들,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VNF들의 관리는 EM(810)을 통해 발생할 수 있음).
도 9는 기계 판독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명령어들을 판독하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에 따른, 컴포넌트들(9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각각이 버스(922)를 통해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12)(또는 프로세서 코어들), 하나 이상의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918), 및 하나 이상의 통신 리소스들(920)을 포함한 하드웨어 리소스들(902)의 도식적 표현을 도시한다. 노드 가상화(예컨대, NFV)가 이용되는 실시 형태들의 경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서브슬라이스들이 하드웨어 리소스들(902)을 이용하기 위한 실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하이퍼바이저(904)가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912)(예컨대,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같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RFIC(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다른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914) 및 프로세서(916)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918)은 메인 메모리, 디스크 저장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918)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소 등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리소스들(920)은 네트워크(9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주변기기 디바이스들(906) 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들(908)과 통신하기 위한 상호접속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 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리소스들(920)은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커플링하기 위한) 유선 통신 컴포넌트들, 셀룰러 통신 컴포넌트들, NFC 컴포넌트들, Bluetooth® 컴포넌트들(예컨대, Bluetooth® Low Energy), Wi-Fi® 컴포넌트들, 및 다른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924)은 프로세서들(912) 중 적어도 임의의 것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애플릿, 앱, 또는 다른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924)은 프로세서들(912),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918),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 중 적어도 하나 내에(예컨대, 프로세서의 캐시 메모리 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게다가, 명령어들(924)의 임의의 부분이 주변기기 디바이스들(906) 또는 데이터베이스들(908)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하드웨어 리소스들(902)로 전송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들(912)의 메모리,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918), 주변기기 디바이스들(906), 및 데이터베이스들(908)은 컴퓨터 판독가능 및 기계 판독가능 매체들의 예들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들에 대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서 설명되는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의 실시예 섹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들, 기법들, 프로세스들,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기저대역 회로부는 후술되는 실시 형태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UE, 기지국, 네트워크 요소 등과 연관된 회로부는 실시 형태 섹션에서 후술되는 실시 형태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섹션
다음 실시예들은 추가의 실시 형태들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이다. 본 장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메모리 디바이스로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로부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구성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한다. 구성 데이터는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유휴 모드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업링크 송신을 생성하고;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의 업링크 송신 이후에, 재송신 타이머를 시작하고;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확인응답(ACK) 또는 부정적 확인응답(NACK)을 위해 구성 데이터에 제공되는 RNTI를 사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한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장치이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ACK 또는 NACK를 수신하기 이전에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한 것에 응답하여, 업링크 송신이 실패했다고 결정하도록 그리고 다른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서의 재송신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 3은 실시예 2의 장치이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재송신 이후에, 재송신 타이머를 재시작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 4는 실시예 1의 장치이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ACK 또는 NACK를 수신하기 이전에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한 것에 응답하여, 초기 데이터 송신(EDT)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한 폴백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 5는 실시예 1의 장치이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재송신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업링크 리소스의 재송신 승인을 프로세싱하도록; 그리고 재송신 승인의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재송신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 6은 실시예 1의 장치이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재송신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NACK를 수신하도록 - NACK는 초기 데이터 송신(EDT)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폴백할 것을 나타냄 -; 그리고 NACK에 응답하여, EDT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한 폴백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 7은 실시예 1의 장치이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재송신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경쟁 해결 절차가 완료되어 있다는 표시 및 성공적인 식별자(ID)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경쟁 해결 절차가 완료되어 있다는 표시 또는 성공적인 ID에 응답하여, 슬립 모드에 진입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 8은 실시예 1의 장치이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재송신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유휴 모드에 남아 있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구성(RRC) 메시지를 프로세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 9는 실시예 1의 장치이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재송신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유휴 모드로부터 접속 모드로 이동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구성(RRC) 메시지를 프로세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 10은 실시예 1의 장치이며, 여기서 다수의 HARQ 프로세스들은 유휴 모드에서 지원되고, 프로세서는 다수의 HARQ 프로세스들 각각에 대한 상이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 11은 실시예 10의 장치이며, 여기서 HARQ 피드백 메시지, 새로운 송신을 위한 제1 업링크 리소스들의 제1 승인, 및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업링크 송신에 응답하는 재송신을 위한 제2 업링크 리소스들의 제2 승인 중 적어도 하나는 HARQ 프로세스 식별자(ID)를 포함한다.
실시예 12는 실시예 1의 장치이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타이밍 어드밴스(TA) 유효성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기지국에 대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해제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 13은 실시예 12의 장치이며, 여기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RRC) 메시지,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및 계층 1(L1)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명령어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E)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게 하고 - 구성 데이터는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포함함 -; 유휴 모드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업링크 송신을 생성하게 하고;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의 업링크 송신 이후에, 재송신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고;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확인응답(ACK) 또는 부정적 확인응답(NACK)을 위해 구성 데이터에 제공되는 RNTI를 사용하여 공통 검색 공간(CSS) 내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하게 한다.
실시예 15는 실시예 14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여기서 명령어들은, ACK 또는 NACK를 수신하기 이전에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한 것에 응답하여, 업링크 송신이 실패했다고 결정하도록, 그리고 다른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서의 재송신을 생성하도록 프로세서를 추가로 구성한다.
실시예 16은 실시예 15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여기서 명령어들은, 재송신을 생성한 이후에, 재송신 타이머를 재시작하도록 프로세서를 추가로 구성한다.
실시예 17은 실시예 14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여기서 명령어들은, ACK 또는 NACK를 수신하기 이전에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한 것에 응답하여, 초기 데이터 송신(EDT)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한 폴백을 개시하도록 프로세서를 추가로 구성한다.
실시예 18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을 위한 방법이다. 본 방법은,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UE)를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및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로 구성하는 단계;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해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서 UE로부터의 업링크 송신을 프로세싱하는 단계; 및 업링크 송신에 응답하여, RNTI를 사용하여 UE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9는 실시예 18의 방법이며, 여기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로 UE를 구성하는 단계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구성 데이터는 RNTI를 포함한다.
실시예 20은 실시예 18의 방법이며, 여기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로 UE를 구성하는 단계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구성 데이터는 RNTI를 포함한다.
실시예 21은 실시예 18의 방법이며, 여기서 RNTI를 사용하여 UE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업링크 리소스의 재송신 승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2는 실시예 18의 방법이며, 여기서 RNTI를 사용하여 UE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UE가 초기 데이터 송신(EDT)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해 폴백하기 위한 표시를 포함하는 부정적 확인응답(NACK)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3은 실시예 18의 방법이며, 여기서 RNTI를 사용하여 UE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슬립 모드에 진입할 것을 UE에게 나타내기 위해 경쟁 해결 절차가 완료되어 있다는 표시 및 성공적인 식별자(ID)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4는 실시예 18의 방법이며, 여기서 RNTI를 사용하여 UE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UE가 유휴 모드에 남아 있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구성(RRC)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5는 실시예 18의 방법이며, 여기서 RNTI를 사용하여 UE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UE가 유휴 모드로부터 접속 모드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구성(RRC)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된 실시 형태들 중 임의의 것이,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실시 형태(또는 실시 형태들의 조합)와 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제공하지만, 총망라하거나 또는 실시 형태들의 범주를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수정들 및 변형들이 위의 교시들을 고려하여 가능하거나, 다양한 실시 형태들의 실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실시 형태들 및 구현예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기계 실행가능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들(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 로직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들은 특정 실시 형태들의 설명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들은 단일 시스템들로 조합될 수 있거나, 다른 시스템들에 부분적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다수의 시스템들로 분할될 수 있거나, 다른 방식들로 분할 또는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파라미터들/속성들/태양들/등등이 다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파라미터들/속성들/태양들/등등은 단지 명확함을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들에서 설명되며, 파라미터들/속성들/태양들/등등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의 파라미터들/속성들/등등과 조합되거나 그에 대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이상의 내용이 명료함을 위해 어느 정도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그의 원리들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소정 변화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프로세스들 및 장치들 둘 모두를 구현하는 많은 대안적인 방식이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그 설명은 본 명세서에 주어진 세부사항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및 등가물들 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

Claims (25)

  1.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를 위한 장치로서,
    메모리 디바이스로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로부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구성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메모리 인터페이스 -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상기 구성 데이터는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를 포함함 -;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유휴 모드에서,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업링크 송신을 생성하고;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의 상기 업링크 송신 이후에, 재송신 타이머를 시작하고;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확인응답(acknowledgment, ACK) 또는 부정적 확인응답(negative acknowledgment, NACK)을 위해 상기 구성 데이터에 제공되는 상기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한 상기 RNTI를 사용하여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 내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CK 또는 상기 NACK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업링크 송신이 실패했다고 결정하도록 그리고 다른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서의 재송신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송신을 생성한 이후에, 상기 재송신 타이머를 재시작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CK 또는 상기 NACK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한 것에 응답하여, 초기 데이터 송신(early data transmission, EDT)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한 폴백(fallback)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송신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업링크 리소스의 재송신 승인을 프로세싱하도록; 그리고
    상기 재송신 승인의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재송신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송신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상기 NACK를 수신하도록 - 상기 NACK는 초기 데이터 송신(EDT)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폴백할 것을 나타냄 -; 그리고
    상기 NACK에 응답하여, 상기 EDT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한 상기 폴백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송신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경쟁 해결 절차가 완료되어 있다는 표시 및 성공적인 식별자(ID)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경쟁 해결 절차가 완료되어 있다는 표시 또는 상기 성공적인 ID에 응답하여, 슬립 모드에 진입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송신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상기 유휴 모드에 남아 있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구성(radio resource configuration, RRC) 메시지를 프로세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송신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상기 유휴 모드로부터 접속 모드로 이동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구성(RRC) 메시지를 프로세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HARQ 프로세스들은 상기 유휴 모드에서 지원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수의 HARQ 프로세스들 각각에 대한 상이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HARQ 피드백 메시지, 새로운 송신을 위한 제1 업링크 리소스들의 제1 승인, 및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상기 업링크 송신에 응답하는 재송신을 위한 제2 업링크 리소스들의 제2 승인 중 적어도 하나는 HARQ 프로세스 식별자(ID)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유효성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기지국에 대한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서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해제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RRC) 메시지,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 및 계층 1(L1)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4.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E)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게 하고 -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상기 구성 데이터는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포함함 -;
    유휴 모드에서,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업링크 송신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유휴 모드에서의 상기 업링크 송신 이후에, 재송신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고;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확인응답(ACK) 또는 부정적 확인응답(NACK)을 위해 상기 구성 데이터에 제공되는 상기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한 상기 RNTI를 사용하여 공통 검색 공간(CSS) 내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ACK 또는 상기 NACK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업링크 송신이 실패했다고 결정하도록, 그리고 다른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서의 재송신을 생성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추가로 구성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재송신을 생성한 이후에, 상기 재송신 타이머를 재시작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추가로 구성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ACK 또는 상기 NACK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한 것에 응답하여, 초기 데이터 송신(EDT)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한 폴백을 개시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추가로 구성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을 위한 방법으로서,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UE)를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및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로 구성하는 단계;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해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서 상기 UE로부터의 업링크 송신을 프로세싱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송신에 응답하여,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구성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유휴 모드 통신을 위한 상기 RNTI를 사용하여 상기 UE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로 상기 UE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상기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로 상기 UE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상기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NTI를 사용하여 상기 UE에 대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업링크 리소스의 재송신 승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NTI를 사용하여 상기 UE에 대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초기 데이터 송신(EDT)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해 폴백하기 위한 표시를 포함하는 부정적 확인응답(NACK)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NTI를 사용하여 상기 UE에 대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슬립 모드에 진입할 것을 UE에게 나타내기 위해 경쟁 해결 절차가 완료되어 있다는 표시 및 성공적인 식별자(ID)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NTI를 사용하여 상기 UE에 대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상기 유휴 모드에 남아 있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구성(RRC)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NTI를 사용하여 상기 UE에 대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상기 유휴 모드로부터 접속 모드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구성(RRC)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12730A 2018-11-01 2019-10-24 유휴 모드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위한 송신, 재송신, 및 harq 프로세스 KR102616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54479P 2018-11-01 2018-11-01
US62/754,479 2018-11-01
PCT/US2019/057885 WO2020092126A1 (en) 2018-11-01 2019-10-24 Transmission, retransmission, and harq process for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in idle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577A KR20210052577A (ko) 2021-05-10
KR102616077B1 true KR102616077B1 (ko) 2023-12-20

Family

ID=7046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730A KR102616077B1 (ko) 2018-11-01 2019-10-24 유휴 모드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위한 송신, 재송신, 및 harq 프로세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410166A1 (ko)
KR (1) KR102616077B1 (ko)
CN (1) CN112997432A (ko)
WO (1) WO2020092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8947A1 (en) * 2018-09-28 2020-04-02 Intel Corporation Preconfigured shared resources for uplink transmission
CN111262648B (zh) * 2018-11-30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US20220140979A1 (en) * 2019-02-15 2022-05-05 Nokia Technologies Oy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control signaling enhancements
CN114175548A (zh) * 2019-05-03 2022-03-11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预配置的上行链路资源监视搜索空间的方法及其设备
WO2021005492A1 (en) * 2019-07-08 2021-0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ing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210266876A1 (en) * 2020-02-25 2021-08-26 Qualcomm Incorporated Consolidated feedback indication and feedback transmission
JP2023518502A (ja) * 2020-03-24 2023-05-01 鴻穎創新有限公司 Configured Grant設定のための方法及びユーザ機器
EP4280501A2 (en) * 2021-01-15 2023-1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erminal to evaluate validity of harq process and device for s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57447B1 (ko) * 2021-10-26 2023-07-1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경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6261A1 (en) * 2008-01-04 2009-08-06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enhanced uplink using a shared control channel
US8824423B2 (en) * 2008-12-10 2014-09-02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dure in the transition of 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60866A1 (en) * 2010-02-12 2011-08-24 Panasonic Corporation Component carrie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using resource assignments
EP2360864A1 (en) * 2010-02-12 2011-08-24 Panasonic Corporation Component carrier (de)activ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ing carrier aggregation
CA2816921C (en) * 2010-11-08 2018-03-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reless resources
US8755340B2 (en) * 2010-11-08 2014-06-17 Blackberry Limited Releasing wireless resources
TWI574532B (zh) * 2011-05-10 2017-03-1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獲得次胞元上鏈定時校準方法及裝置
KR20140014544A (ko) * 2012-07-24 2014-02-06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US10432380B2 (en) * 2016-10-31 2019-10-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ynamically configurable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configuration
US11546929B2 (en) * 2017-01-09 2023-0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for semi-static configuration in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10888*
3GPP R2-18144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577A (ko) 2021-05-10
WO2020092126A1 (en) 2020-05-07
CN112997432A (zh) 2021-06-18
US20210410166A1 (en)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6077B1 (ko) 유휴 모드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위한 송신, 재송신, 및 harq 프로세스
US11979926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abling relay services for user equipment to access 5GC via a residential gateway
US20230389125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gnaling for Power Saving
US11700604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USCH default beam in multi-panel operation
EP3451553A2 (en) Mechanisms for monitoring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with common search space and user equipment-specific search space in a beamformed system
US20210203449A1 (en) Mechanism on response of pre-allocated resource based pusch transmission
US10631256B2 (en) Power headroom of grantless uplink
US11038662B2 (en) Interruption for SCel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with 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
EP38041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ement period and accuracy for beam reporting based on l1-rsrp
US20220377756A1 (en) Beam management enhancement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peration
KR102583548B1 (ko) 정책 및 제어 기능에 의한 사용자 장비로의 v2x 정책 및 파라미터 프로비저닝
WO2020117796A1 (en) Congestion control across different public land mobile networks
EP384179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e capability indication for cell identification delay requirements
EP38580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ication and acquisition of mobile network public warnings in connected mode for coverage enhanced user equipment
US11778529B2 (en) Robust header compression indication after path switch during handover
WO2022027431A1 (en) Base station access control techniques for inactive direct transmission
WO2022027479A1 (en) Access control of user equipments for inactive direct transmissions
JP2024073491A (ja) 間欠受信(drx)動作のためのビーム管理拡張
EP3857744A1 (en) Backhaul signaling for notification and coordination in remote interferenc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