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867B1 -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및 추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및 추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867B1
KR102615867B1 KR1020210047517A KR20210047517A KR102615867B1 KR 102615867 B1 KR102615867 B1 KR 102615867B1 KR 1020210047517 A KR1020210047517 A KR 1020210047517A KR 20210047517 A KR20210047517 A KR 20210047517A KR 102615867 B1 KR102615867 B1 KR 102615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surface
surface temperature
swine fever
african swine
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407A (ko
Inventor
오상익
노재희
소경민
허태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04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8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C12Q1/701Specific hybridization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03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nt heat transfer of samples, e.g. emittance meter
    • G01J5/0011Ear thermom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1/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sed by assay method
    • C12Q2561/113Real time ass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2005/0077Im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Abstract

본 발명은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및 추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돈방 내 돈군을 제1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돈군의 체표 온도를 관찰하는 단계; 상기 관찰되는 돈군 중 체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돼지의 특정 부위를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돼지 중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이상인 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으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및 추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및 추정 시스템{Estimating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African swine fever infected pigs using thermal camera}
본 발명은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및 추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ASF)은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African swine fever virus, ASFV) 감염에 의한 돼지 전염병으로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출혈성 돼지 전염병이다. 1921년 케냐에서 최초 보고가 있은 후, 주로 사하라 이남지역에서 발생보고가 있었고, 2007년 이후로 흑해연안인 죠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등 아프리카 이외 지역에서 그 발생 범위가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2018년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된 이후,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2019년 9월 국내 양돈 농가에서 첫 발생이 보고되었다. 국내의 경우에는 2020년 10월까지 총 16개 농가에서 발생하였다. 야생멧돼지에서도 900건이 넘는 양성 개체가 발견되고 있어서 양돈 농가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위험은 언제든지 존재한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이병률이 높고 급성형에 감염되면 치사율이 거의 100%에 이르기 때문에 양돈 산업에 큰 피해를 주어, 이 질병이 발생하면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발생 사실을 즉시 보고해야 하며 돼지와 관련된 국제교역도 즉시 중단되게 되어있으며 국내에서는 이 질병을 가축전염병예방법상 제1종 법정전염병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는 과거에는 그 형태적 유사성 때문에 이리도바이러스과(Iridoviridae)로 분류된 독특한 DNA바이러스로 분류되었으나 그 후 폭스 바이러스과(Poxviridae)의 바이러스와 보다 유사한 성상을 갖는 등 더 성상 해석이 진행되어 현재는 ASF 유사 바이러스과의 유일한 멤버인 아스파바이러스과(Asfarviridae)중 1종의 바이러스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는 환경에 저항성이 높아 오랜기간 생존하며, 바이러스가 많은 단백질로 구성되어있어서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까지 백신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발생 즉시 살처분을 통해 바이러스 전파 위험성을 줄여야 하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감염이 의심되는 개체를 조기에 선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까지 사용되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실험실적 진단법으로는 혈액 및 내부 장기에서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과 감염돈의 혈청에서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 바이러스 검출법으로는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비롯하여 직접면역형광법(DIFT), 항원검출 ELISA가 있다. 또한, 폐사축 부검을 통하여 편도, 림프절, 비장 등의 가검물에서 직접 바이러스를 분리할 수 있으며, 혈구흡착검사를 통해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감염돈의 혈청을 이용한 항체를 검출법은 OIE-ELISA(간접법)와 상용화된 항체검출용 ELISA를 이용하여 1차 선별검사를 진행하고 면역탁본법(IB), 면역과산화효소시험(IPT), 간접형광항체법(IFA)을 통해 최종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44067호에서는 종래의 동물세포를 항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생산을 위한 설비 확충에 큰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조 및 저장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동물에게 감염 가능한 바이러스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식물체를 이용하여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진단 민감도(sensitivity) 및 특이도(specificity)가 높은 재조합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 항원, 및 이를 포함하는 아프리카 돼지열병 진단용 조성물 또는 키트를 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실험실적 진단법은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에서 직접 샘플을 채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경우 아프리카돼지열병 예찰을 위한 모니터링 검사 또한 돈군 내에서 무작위로 선별된 돼지들을 대상으로 채혈을 하여 검사를 진행하였으나 농장에서 무작위로 선별된 돼지들은 그 선발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축이 있어도 채혈 대상에 들어가지 못하면 예찰 과정에서 감염축 선별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혈액 샘플을 통한 정확한 예찰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채혈 전에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이 의심되는 개체들을 조기에 돈군 전체 중에서 선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채혈 등 시료 채취 수행을 위해 사람과 돼지가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한 농장 내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을 추정하기 위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의 대표 증상인 발열 증상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돼지의 발열은 직장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직장 체온 측정을 위해서도 감염 돼지와 접촉이 불가피하여 이로 인해 사람 접촉을 통한 돈군 내 또는 농장 간에 바이러스가 확산 및 유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접촉 위험을 막기 위해, 체표 온도 측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돼지는 사람과 달리 지방층이 두꺼워 직장 온도 대비 체표 온도가 매우 낮으며, 아프리카 돼지열병의 감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직장 온도는 세계 동물보건기구에서 40.5∼42.0℃로 공지된 반면, 체표 온도에 대한 기준이 없어 체표 온도를 통해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에 대한 추정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체표 온도를 이용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을 접촉 없이 조기에 추정하기 위해,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인공 감염시킨 인공 감염 돼지를 이용하여 아프리카 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을 추정할 수 있는 체표 온도의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위험성이 높은 지역(예를 들어,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농가 또는 야생멧돼지 발생 소재 지역등)에 소재하는 개별 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에 의한 폐사 발생 전인 바이러스 잠복기에 아프리카돼지 열병 감염 의심축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및 추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돈방 내 돈군을 제1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돈군의 체표 온도를 관찰하는 단계;
상기 관찰되는 돈군 중 체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돼지의 특정 부위를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돼지 중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 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으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38℃ 내지 4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5℃ 내지 39.5℃이다.
상기 돼지의 특정 부위는 돼지의 귀 주변부, 목 주변부 및 서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귀 주변부이다.
상기 특정 부위가 귀 주변부일 때,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36℃ 내지 38℃이다.
상기 특정 부위가 목 주변부일 때,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38℃ 내지 40℃이다.
상기 특정 부위가 서혜부일 때,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41℃ 내지 42℃이다.
상기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은 비접촉식 방법이다.
다른 일 측면에서는,
돈방 내 돈군을 촬영하여 체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선별하기 위한 제1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선별된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촬영하여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으로 추정하기 위한 제2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38℃ 내지 4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39℃이다.
상기 제1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1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부는 상기 제1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감염 의심 돼지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돼지에 식별 표식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돼지의 특정 부위는 돼지의 귀 주변부, 목 주변부 및 서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귀 주변부이다.
상기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측면에서는,
돈방 내 돈군을 제1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돈군의 체표 온도를 관찰하는 단계;
상기 관찰되는 돈군 중 체표 온도 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돼지의 특정 부위를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기수집된 체표 온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시기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시기 추정 방법이 제공된다.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은 돼지의 체표 온도를 이용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을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비접촉 방법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여부를 조기에 추정할 수 있어,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확산 및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현장에서 쉽고 빠르게 의심축을 선별할 수 있다.
농가에서는 자체적으로 선별한 감염 의심축에 대해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여부의 실험실적 진단을 폐사 발생 전에 의뢰할 수 있고, 질병 예찰 검사 시에는 선별된 감염 의심축 위주의 검사를 통해 예찰 검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측면에 따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실험의 감염시점부터 폐사까지의 실험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3은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실험의 감염 후 시기별 임상증상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제1 체표 온도 데이터 획득을 위해 7-8주령 돼지를 대상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감염 후 시기별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한 인공 감염 돼지의 돈군 단위 체표 온도 변화를 나타낸 열화상 이미지이고,
도 5는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실험의 감염 후 시기별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한 돈군 내 인공 감염 돼지의 최대 체표 온도 변화를 최대 직장 온도 변화와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체표 온도 데이터 수집을 위해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감염 후 시기별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한 인공 감염 돼지의 귀 주변부, 목 주변부, 서혜부의 평균 체표 온도 변화를 평균 직장 온도와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구별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서열 또는 우선 순위를 나타내거나 예상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열화상 카메라", "제1 열화상 카메라", "제2 열화상 카메라"는 물체나 동물의 온도에 따라 나오는 소정 파장의 빛을 촬영하는 장비일 수 있으며, 일례로, 적외선(Infrared, IR) 카메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 제1 열화상 카메라", 제2 열화상 카메라"는 서로 동일한 장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 "제1 열화상 카메라",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는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분석하여 돼지의 체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는,
돈방 내 돈군을 제1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돈군의 체표 온도를 관찰하는 단계;
상기 관찰되는 돈군 중 체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돼지의 특정 부위를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돼지 중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으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이 제공된다.
일 측면에 따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은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의 확진에 앞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보유하는 돼지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돈군 단위 체표 온도 측정 및 개체별 특정 부위에 대한 체표 체온 측정을 통해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을 접촉 없이 조기에 추정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여기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이란, 가축 소유자 또는 수의사에 의해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돼지를 말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증상을 보이지만 시도 가축방역기관 가축방역관이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확인하기 전의 돼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일 측면에 따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 따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위험도가 높은 농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위험도가 높은 농장은 농장 소재 지역(시군구)에서 최근 21일간 양돈 농가 또는 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이 있었던 지역일 수 있다.
먼저, 상기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은 돈방 내 돈군을 제1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돈군의 체표 온도를 관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는 제1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돈군의 체표 온도 변화를 돈군 단위로 관찰하는 단계로서 돈방에서 사육되는 복수의 돼지들의 체표 온도변화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열화상 카메라를 상기 돈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돈방에서 사육되는 돼지 전체 부위의 체표 온도를 관찰할 수 있다.
여기서 "돈방"은 하나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돼지가 사육되고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고, "돈군"은 하나 이상의 돼지를 의미한다.
다음, 상기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은 상기 관찰되는 돈군의 체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선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은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돈군의 체표 온도로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감염 의심 돼지가 발생될 경우 이를 선별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는 상기 관찰되는 돈군 중 체표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돈군의 최대 체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가 발생될 경우 상기 돼지를 감염 의심 돼지로 판단하여 1차적으로 선별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38℃ 내지 4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5℃ 내지 39.5℃이다.
다음, 상기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은 상기 선별된 감염 의심 돼지의 특정 부위를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는 이전 감염 의심 돼지를 선별하는 단계에서 감염 의심 돼지가 발생될 경우 수행하는 단계로서, 선별된 감염 의심 돼지 각각에 대해, 특정 부위를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개체별로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체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돼지의 경우 지방층이 존재하여 체표 온도가 직장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나타나며, 혈액이 체표에 가깝게 지나가는 부위 등의 직장 온도를 대표하는 특정 부위(Region of interest, ROI)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상기 특정 부위는 돼지의 체표 온도를 대표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특정 부위(Region of interest, ROI)는 바람직하게는 귀 주변부, 목 주변부 및 서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접촉적으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귀 주변부이다.
다음, 상기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은 상기 측정한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으로 추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은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측정되는 돼지의 특정 부위 온도로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을 추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는 상기 측정한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부위의 최대 체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돼지로 추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부위가 귀 주변부일 때,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36℃ 내지 38℃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6℃ 내지 37℃이다. 또한, 상기 특정 부위가 목 주변부일 때,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38℃ 내지 4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39℃이다. 또한, 상기 특정 부위가 서혜부일 때,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41℃ 내지 42℃이다.
종래의 경우 체표 온도에 대한 기준 온도 없이 체표 온도 측정을 통해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선별이 어려운 반면 일 측면에 따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은 상기 제1 기준 온도 및 제2 기준 온도를 통해, 직장 온도의 측정 없이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으로 농장 내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존재 여부를 추정할 수 있어 개별 농가에서 보다 안전하고 쉽고 빠르게 감염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준 온도 및 제2 기준 온도는 돈군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인공 감염시킨 인공감염 실험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인공 감염시킨 돼지의 체표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돈군 단위로 측정한 제1 체표 온도 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7~8주령의 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에 인공 감염시킨 감염일로부터 폐사되는 날까지 돼지의 체표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돈군 단위로 측정한 체표 온도 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체표 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체표 온도이다.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상기 제1 체표 온도 데이터 중 급격한 온도 변화가 나타난 시점의 온도 데이터로서, 상기 시점은 폐사 2일전 또는 인공 바이러스 감염 3일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인공 감염시킨 돼지의 특정 부위에 대한 체표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개체 별로 측정한 제2 체표 온도 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7~8주령 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에 인공 감염시킨 감염일로부터 폐사되는 날까지 돼지의 특정 부위에 대한 체표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개체 별로 측정한 체표 온도의 평균값 및 범위 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체표 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체표 온도이다.
또한, 상기 특정 부위는 귀 주변부, 목 주변부 및 서혜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귀 주변부이다.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상기 제2 체표 온도 데이터 중 급격한 온도 변화가 나타난 시점의 온도 데이터로서, 상기 시점은 폐사 2일전 또는 인공 바이러스 감염 3일차일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는
돈방 내 돈군을 제1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돈군의 체표 온도를 관찰하는 단계;
상기 관찰되는 돈군 중 체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돼지의 특정 부위를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돼지 중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시기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시기 추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시기 추정 방법과 전술한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의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시기 추정 방법은 상기 측정한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기수집된 체표 온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선별된 감염 의심 돼지의 감염 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표 온도 데이터와 함께 인공 감염 돼지의 감염 시기별 임상 증상 데이터 및 직장 온도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시기를 쉽고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는,
돈방 내 돈군을 촬영하여 체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선별하기 위한 제1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선별된 감염 의심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촬영하여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으로을 추정하기 위한 제2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시스템을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시스템은 전술한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제1 기준 온도 및 제2 기준 온도는 돈군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인공 감염시킨 인공감염 실험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1 열화상 카메라는 돈방 내 돈군을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얻고 이로부터 감염 의심 돼지를 1차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돈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되는 상기 돈군 중 체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선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38℃ 내지 4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5℃ 내지 39.5℃이다.
상기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시스템은 상기 제1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1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출력부는 상기 제1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감염 의심 돼지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돼지에 식별 표식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제1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감염 의심 돼지가 1차적으로 선별될 경우, 상기 감염 의심 돼지 각각에 대해,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개체별로 측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부위는 돼지의 체표 온도를 대표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특정 부위(Region of interest, ROI)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귀 주변부, 목 주변부 및 서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접촉적으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귀 주변부이다.
상기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되는 돼지의 특정 부위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으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상기 특정 부위가 귀 주변부일 때,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36℃ 내지 38℃이고, 상기 특정 부위가 목 주변부일 때,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38℃ 내지 40℃이고, 상기 특정 부위가 서혜부일 때,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41℃ 내지 42℃이다.
상기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시스템은 상기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 및 실험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예 1>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 인공 감염 실험
7~8주령 돼지 10두를 대상으로 베트남 국립수의연구소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농도: 103.5 HAD50, 1 ml 근육접종) 공격접종을 수행하였다. 이때, 실험 시설의 기온은 0-3일차(27.0℃) 및 4-8일차(28.0℃)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접종 전(0 day-post-inoculation, 0 dpi)과 접종 후 폐사까지 매일 같은 시간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인공 감염 돼지의 임상증상을 점수화하여 평가하고, 열화상 카메라를 촬영하여 체표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체표 온도 측정 직후 직장 온도를 측정하였다(도 2 참조).
이때 상기 촬영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 감염군 대상 전체적인 돈방 내 돈군 열화상 사진을 촬영하여 돈방에서 사육되는 돼지 전체 부위의 체표 온도를 돈군 단위로 측정하고, 각각 개체에 대하여 등쪽(귀 주변부 포함), 배쪽(목 부위, 서혜부 포함)을 개체 별로 촬영하였다.
(1) 폐사 결과
바이러스 접종 후 폐사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접종 5일차 접종 6일차 접종 7일 접종 8일
1두 3두 1두 5두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이러스 접종 후 5일째부터 폐사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8일째 전두수 폐사하였다. 평균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돼지의 폐사 시기는 7.0±1.2일 이였다.
(2) 임상증상 점수 측정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임상증상 발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하의 방법으로 임상 증상을 측정하였다.
임상증상 점수 측정은 아래 표 2에서와 같이 6개의 임상증상 카테고리 분류 후 각 최대 3점씩 임상증상 발현 양상에 따라 매일 점수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 및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임상증상 점수
열(0~3점) 0: <39.5
1: 39.5~40.5
2: 40.6~41.0
3: >41.0
거동(0~3점) 0: 정상
1: 활동 감소, 경미하거나 중간정도의 둔함
2: 외부자극 반응 감소
3: 외부 자극 반응이 현저히 감소하거나 부족함, 움직이지 않음
피부(0~3점) 0: 정상
1: 신체 청색증(cyanotic) 영역(<10%)
2: 신체 청색증(cyanotic) 영역(11%~25%)
3: 신체 청색증(cyanotic) 영역(>25%)
소화기관(0~3점) 0: 정상
1: 항문주변의 대변(경미한 설사)
2: 둔근을 덮는 대변 (중등도 설사)
3: 혈액과 함께 후 둔부를 덮는 대변 또는 광범위한 점액성 설사(심각한 혈변)
호흡기관(0~3점) 0: 정상
1: 경미한 호흡곤란(노력성 호흡)
2: 중등도의 호흡곤란 또는 기침
3: 심한 호흡 곤란
신체 상태(0~3점) 0: 정상
1: 공복
2: 공복, 근육감소
3: 쇠약해짐
감염
0일차
감염
1일차
감염
2일차
감염
3일차
감염
4일차
감염
5일차
감염
6일차
감염
7일차
감염
8일차
0.2±0.6점 0.2±0.6점 0.4±0.8점 2.4±1.3점 6.2±1.5점 10.0±2.2점 12.1±4.1점 12.8±1.8점 12.0±5.7점
도 3 및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공 감염시키지 않은 대조군 돼지(5두) 대비 인공 감염 돼지의 경우 감염 3일째부터 임상점수 차이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감염 3일차(폐사 시작 2일 전)에 30%의 감염 돼지에서 총점 3점 이상의 임상증상 점수를 보였으며, 감염 4일째 모든 돼지가 총점 3점 이상의 임상증상 점수를 보이며, 평균 임상증상 점수도 6.2점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임상증상이 전체적으로 발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로부터 감염 4일차(폐사 시작 1일 전)의 데이터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임상 증상이 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 잠복기는 3.3±0.5일로 측정되었다.
(3) 직장 온도 측정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 직장 온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감염전 1일차 2일차 3일차 4일차 5일차 6일차 7일차 8일차
직장평균 온도 38.9℃ 39.2℃ 38.7℃ 40.1℃ 40.9℃ 40.5℃ 41.3℃ 41.0℃ 39.8℃
직장최고 온도 39.8℃ 39.9℃ 40.1℃ 40.7℃ 41.5℃ 41.2℃ 41.6℃ 41.7℃ 41.5℃
이유 시기 돼지 평균 직장 온도 39.3℃(참고문헌: Disease of Swine 7th edition., M Straw.)이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돼지는 40.5-42℃ 사이의 발열 증상을 보인다고 보고된 바 있다(참고 문헌: OIE disease card).측정결과, 감염 후 지속적인 체온 상승을 보이며, 감염 3일차(폐사 시작 2일 전)에 30%의 감염 돼지에서 40.5℃ 이상의 직장 온도를 나타내었으며, 감염 4일째부터 평균 40.5℃ 이상의 고열이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감염 4일차(폐사 시작 1일 전)의 데이터에서 가장 유의적인 발열 증상이 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하여 40.5℃ 이상의 발열 증상은 감염 3.8±0.6일 후부터 발현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4)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돈군 단위 체표 온도 측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공 감염 돼지의 돈군 단위의 체표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하기 표 5 및 도 4에 나타내고 최대 직장 온도와 비교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때, 돈방 온도는 감염 전부터 3일째까지는 27℃, 4일째부터 8일째는 28℃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돈방 습도는 감염 전부터 3일째까지는 70%, 4일째(68%), 5-6일째(65%), 7일째(70%), 8일째(69%)로 유지하였다.
감염전 1일차 2일차 3일차 4일차 5일차 6일차 7일차 8일차
돈군의 최대 체표온도 36.7℃ 35.4℃ 35.0℃ 38.5℃ 39.7℃ 39.9℃ 39.3℃ 39.1℃ 40.2℃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돈군의 최대 체표 온도 측정결과, 감염 3일차(폐사 시작 2일 전)부터 38.5℃ 이상의 체표 온도를 나타내는 개체가 나타났다.
즉, 감염 3일차(폐사 시작 2일전)에 아프리카열병 감염에 의해 발열증상을 보이는 개체들은 체표 온도의 유의적인 상승으로 발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된 돈방 내 돈군의 최대 체표 온도가 인공 감염 돼지의 폐사 시작 2일 전(바이러스 감염 3일차) 온도일 때, 즉, 38.5℃ 이상일 때 아프리카돼지열병 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해볼 수 있다.
(5)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돼지 개체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 측정
돼지의 심부 체온을 대표할 수 있는 특정 부위로서, 아래의 3 부위에 대한 온도 변화를 감염 후 시기별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고, 평균 직장 온도와 비교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 귀 주변부: 돼지 체온을 대표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부위
- 목 주변부: 돼지 정맥이 지나가는 부위로 ROI로 사용된 사례 존재
- 서혜부: 돼지 체표 중에 피부 온도가 가장 높은 부위
ROI dpi 0일차 1일차 2일차 3일차 4일차 5일차 6일차 7일차 8일차
귀 주변부
(℃)
평균 33.3 34.5 33.6 36.2 37.1 38.6 37.1 39.4 34.4
범위 32.2-34.0 33.8-35.8 32.5-36.3 33.2-37.5 35.2-40.0 36.9-39.2 35.3-37.8 37.8-40.7 33.6-35.1
목 주변부
(℃)
평균 34.7 35.9 34.7 38.5 39.4 39.4 38.5 39.4 37.3
범위 34.0-35.4 34.7-37.3 33.8-3634 37.8-39.7 38.2-39.7 38.7-40.0 38.1-39.4 38.5-40.6 35.0-39.1
서혜부
(℃)
평균 38.2 38.9 37.8 40.8 41.9 42.0 41.9 42.3 39.9
범위 37.2-39.1 38.5-39.5 36.1-38.9 40.0-41.5 40.8-42.7 41.2-42.4 40.9-42.8 41.2-42.8 38.0-41.7
도 6 및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염 3일차(폐사 시작 2일 전) 귀 주변부, 목 주변부, 서혜부 각각의 최대 체표 온도에서 모두 급격한 유의적인 온도 상승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된 돼지의 특정 부위의 최대 체표 온도가 인공 감염 돼지의 특정 부위의 폐사 시작 2일 전(바이러스 감염 3일차) 최대 체표 온도 이상일 때,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된 돼지 귀 주변부 체표 온도가 36.2℃이상일 때, 또는 목 주변부 체표 온도가 38.5℃ 이상일 때, 서혜부 체표 온도가 40.8℃이상일 때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Claims (15)

  1. 돈방 내 돈군을 제1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돈군의 체표 온도를 관찰하는 단계;
    상기 관찰되는 돈군 중 체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돼지의 특정 부위를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돼지 중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으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부위는 귀 주변부, 목 주변부 및 서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인공 감염시킨 돈군의 체표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염일로부터 폐사되는 날까지 측정한 제1 체표 온도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온도로서, 상기 제1 체표 온도 데이터에서의 폐사 2일전 또는 인공 감염 3일차의 온도이고,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인공 감염시킨 돈군 내 개체 각각의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의 평균값을 감염일로부터 폐사되는 날까지 기록한 제2 체표 온도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온도로서, 상기 제2 체표 온도 데이터에서의 폐사 2일전 또는 인공 감염 3일차의 온도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38℃ 내지 40℃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38.5℃ 내지 39.5℃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의 특정 부위는 돼지의 귀 주변부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부위가 귀 주변부일 때,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36℃ 내지 38℃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부위가 목 주변부일 때,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38℃ 내지 40℃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부위가 서혜부일 때,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41℃ 내지 42℃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9. 돈방 내 돈군을 제1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돈군의 체표 온도를 관찰하는 단계;
    상기 관찰되는 돈군 중 체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돼지의 특정 부위를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기수집된 체표 온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시기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부위는 귀 주변부, 목 주변부 및 서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인공 감염시킨 돈군의 체표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염일로부터 폐사되는 날까지 측정한 제1 체표 온도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온도로서, 상기 제1 체표 온도 데이터에서의 폐사 2일전 또는 인공 감염 3일차의 온도이고,
    상기 기수집된 체표 온도 데이터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인공 감염시킨 돈군 내 개체 각각의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의 평균값을 감염일로부터 폐사되는 날까지 기록한 제2 체표 온도 데이터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시기 추정 방법.
  10. 돈방 내 돈군을 촬영하여 체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선별하기 위한 제1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선별된 감염 의심 돼지의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촬영하여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인 돼지를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으로 추정하기 위한 제2 열화상 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부위는 귀 주변부, 목 주변부 및 서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인공 감염시킨 돈군의 체표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염일로부터 폐사되는 날까지 측정한 제1 체표 온도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온도로서, 상기 제1 체표 온도 데이터에서의 폐사 2일전 또는 인공 감염 3일차의 온도이고,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인공 감염시킨 돈군 내 개체 각각의 상기 특정 부위의 체표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의 평균값을 감염일로부터 폐사되는 날까지 기록한 제2 체표 온도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온도로서, 상기 제2 체표 온도 데이터에서의 폐사 2일전 또는 인공 감염 3일차의 온도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38℃ 내지 40℃인,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1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부는 상기 제1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체표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 돼지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돼지에 식별 표식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1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시스템.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시스템.
KR1020210047517A 2021-04-13 2021-04-13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및 추정 시스템 KR102615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17A KR102615867B1 (ko) 2021-04-13 2021-04-13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및 추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17A KR102615867B1 (ko) 2021-04-13 2021-04-13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및 추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07A KR20220141407A (ko) 2022-10-20
KR102615867B1 true KR102615867B1 (ko) 2023-12-21

Family

ID=8380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517A KR102615867B1 (ko) 2021-04-13 2021-04-13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및 추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8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3692A (zh) * 2019-07-04 2019-10-15 南京农业大学 基于热红外的猪只发热自动监测诊断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226B1 (ko) * 2016-11-09 2018-07-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3692A (zh) * 2019-07-04 2019-10-15 南京农业大学 基于热红外的猪只发热自动监测诊断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07A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aefer et al. Early detection and prediction of infection using infrared thermography
Rainwater-Lovett et al. Detection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infected cattle using infrared thermography
Galinska et al. Brucellosis in humans-etiology, diagnostics, clinical forms
Quintanilla-Gozalo et al. Seroprevalence of Neospora caninum infection in dairy and beef cattle in Spain
Daş et al.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n ELISA for the diagnosis of the two most common ascarids in chickens using plasma or egg yolks
Abubakar et al. Incidence of peste des petits ruminants (PPR) virus in sheep and goat as detected by immuno-capture ELISA (Ic ELISA)
Momotani Epidemiological situation and control strategies for paratuberculosis in Japan.
Van der Heijden et al. Field application of immunoassays for the detection of Mycobacterium bovis infection in the African buffalo (Syncerus caffer)
Hsi et al. Seroepidemiological and molecular investigation of spotted fever group rickettsiae and Coxiella burnetii in Sao Tome Island: A One Health approach
Qiu et al. High prevalence of Trichomonas gallinae in domestic pigeons (Columba livia domestica) in subtropical southern China
Porter et al. Use of thoracic ultrasonography to improve disease detection in experimental brd infection
KR102615867B1 (ko) 체표 온도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의심축 추정 방법 및 추정 시스템
Rivera et al. Eradication of bovine brucellosis in the 10th Region de Los Lagos, Chile
Bezerra et al. Risk factors analysis applied to antibodies to Bovine Herpesvirus Type 1,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ovine Leukemia Virus and Brucella abortus among cattle: a cross-sectional study
Bernardo et al. A critical assessment of abattoir surveillance as a screening test for swine ascariasis.
Martucciello et al. Field evaluation of the interferon gamma assay for diagnosis of tuberculosis in water buffalo (Bubalus bubalis) comparing four interpretative criteria
Lyashchenko et al. Pulmonary disease due to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a horse: zoonotic concerns and limitations of antemortem testing
MacDonald et al. Active and passive disease surveillance in wild turkeys (Meleagris gallopavo) from 2008 to 2018 in Pennsylvania, USA
Gündüz et al. Determining the prevalence of Cryptosporidium infections with Acid Fast Staining and ELISA in calves at the Kars Province of Turkey
Luzzago et al. A scoring system for risk assessment of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in dairy herds in Northern Italy
Flach et al. Systemic isosporiasis (Atoxoplasmosis) in passerine birds at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London Zoo
Schader et al. Investigation into the prevalence of Serratospiculum spp. in wild falcons of the greater Sydney region
Zelalem et al. Evaluation of the newcastle disease antibody level after vaccination regimes in chickens in Debrezeit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Ethiopia
Whitehead et al. Burden of exposure to infectious bursal disease virus, infectious bronchitis virus, Newcastle disease virus, Mycoplasma gallisepticum, and intestinal parasites in introduced broiler chickens on the Galapagos
Kumar et al.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clinical, and pathological aspects of malignant catarrhal fe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