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206B1 -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seeker job competency acquisition statement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 Google Patents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seeker job competency acquisition statement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206B1
KR102615206B1 KR1020220161320A KR20220161320A KR102615206B1 KR 102615206 B1 KR102615206 B1 KR 102615206B1 KR 1020220161320 A KR1020220161320 A KR 1020220161320A KR 20220161320 A KR20220161320 A KR 20220161320A KR 102615206 B1 KR102615206 B1 KR 102615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learning
competency
job seeker
outco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선형
Original Assignee
조선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형 filed Critical 조선형
Priority to KR102022016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2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20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직무 역량 향상을 위해 제공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한 구직자 단말에, 기 수행된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는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의 기능 수행에 따라 구직자 단말에서 자연어 형태로 작성된 학습 성과물을 전자 문서화하고, 전자 문서화된 학습 성과물을 적어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분석하는 학습 성과물 분석부; 및, 학습 성과물 분석부로부터 학습 성과물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학습 데이터에 대한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를 평가하도록 하고, 평가된 학습 성과도에 기반하여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을 갱신함으로써,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이 관리되도록 하는 직무 역량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Specifically, the job seeker terminal performs learning using learning data provided to improve job competency. In, a learning outcome creation request unit that requests creation of a learning outcome for already performed learning data; A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that electronically documents learning outcomes written in natural language on the job seeker's terminal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the learning outcome creation request department, and analyzes the electronically documented learning outcom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cluding at least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And, by receiv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learning outcomes from the learning outcomes analysis department, evaluating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on the learning data, and updating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job seeker based on the evaluated learning performanc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job competency management department that manages the job competency of.

Description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SEEKER JOB COMPETENCY ACQUISITION STATEMENT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Job competency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job seekers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AND JEWELRY INDUSTRY}

본 발명은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구직자의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 활동 기록을 기반으로 구직자의 직무 역량이 관리되도록 하여, 구인을 희망하는 고용 주체 측에 구직자의 직무 역량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직무에 적합한 직업이 매칭되도록 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of job seeker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b competency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seeker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It is related to technology that manages competency, intuitively provides job competency information of job seekers to employers seeking employment, and matches jobs appropriate to the job accordingly.

기업이 산업 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을 충족하는 인재를 채용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과제이다. 과거 기업은 직무에 관계 없이 학벌을 직무 수행 능력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인식하여 왔으며, 채용 과정에서도 충분한 직무 설명이나 명확한 채용 기준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It is a very important task for a company to hire talent that meets the capabilities required to perform jobs in the industrial field. In the past, companies recognized academic background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judging job performance ability regardless of the job, and often did not provide sufficient job descriptions or clear hiring criteria during the hiring process.

한편 이러한 기업의 채용 과정은 직무에 부적합한 인재가 채용되는 사례가 많아 채용한 인재가 실무에 투입되기까지 직무 교육에 상당히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Meanwhile, in the hiring process of these companie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alent unsuitable for the job was hired, so there was a problem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money had to be spent on job training until the hired talent was put into practice.

또한 실무에 투입된 인재가 직무에 적응하지 못하고 조기에 퇴사 또는 이직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기업과 인재에게는 더욱 더 큰 손해가 발생하는 등 그 문제가 심화되고 있었으며, 이에 정부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마다 요구되는 지식, 기술, 능력을 확인하여 인재의 채용 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국가직무수행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을 도입하고, 국가기관, 공공기관, 교육기관 뿐 아니라 민간 기업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oblem was worsening a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alented people employed in the field failed to adapt to their jobs and left the company or changed jobs early, causing even greater losses to companies and talented people. As a result, the government was forced to provide regulations for each job in the industrial fiel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were introduced to identify the required knowledge, skills, and abilities and use them as an important standard when recruiting talent, and not only to national agencies, public agenc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also to private companies. The goal is to spread it.

한편 최근에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들이 발달하면서 NCS를 활용하여 직무 미스매칭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Meanwhile, as big data analysis technologies have developed recently,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job mismatching by using NCS.

일 예로서,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8-0082329호에서는 직무능력 예측을 포함하는 직무 자동 매칭 서비스 및 그를 이용하는 컴퓨팅 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선행기술의 경우 직무역량을 갖추지 못한 예비 직무능력자에게 직업기초능력 기능을 적용하여 직무 자동 매칭의 목표가 미래지향적으로 예측 적용되도록 하는 기술에 불과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럭셔리 시계 주얼리 산업 분야의 직무 역량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직무 역량 학습을 수행 및 수집하여, 이에 따른 직무별 필요 학습 성과지의 작성을 요청하여 구직자의 직무 역량이 갖춰지도록 한다거나, 이를 통해 구직자와 고용 주체 간의 매칭을 도모하도록 하는 기술로 활용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었다.As an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2329 discloses a technology for an automatic job matching service that includes job competency prediction and a computing device using the same.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 candidate who does not have job competency is disclosed. It is only a technology that applies basic job competency functions to job competent people so that the goal of automatic job matching is predicted and applied in a future-oriented manner, an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job competency learning necessary to acquire job competency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is carried out and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as a technology to collect and request the creation of necessary learning outcomes for each job to ensure that job seekers have job capabilities, or to promote matching between job seekers and hiring entities.

이에 본 발명은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의 자기소개서, 포트폴리오 및 직무 역량 기술서 등을 포함하는 학습 성과물의 평가가 구직자 단말에서 수행될 시, 학습 성과물 평가에 대한 평가 일지를 기반으로 구직자의 직무 역량이 관리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evaluation log for the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s when the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s, including the job seeker's self-introduction, portfolio, and job competency description, etc.,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is performed on the job seeker's terminal. The primary purpose is to provide the technology to enable capabilities to be managed.

또한 본 발명은 학습 성과물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구직자의 직무역량 정보를 구인을 희망하는 고용 주체 측으로 제공함에 있어서, 구직자의 직무 역량 정보를 직관적인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여 고용 주체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채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job competency information of job seekers managed based on learning outcomes to the hiring entity seeking employment, so that the job competency information of job seekers is provided in an intuitive form so that the hiring entity can identify the talent needed. The second purpose is to provide technology that enables accurate and rapid hiring.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은, 직무 역량 향상을 위해 제공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한 구직자 단말에, 기 수행된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는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의 기능 수행에 따라 구직자 단말에서 자연어 형태로 작성된 학습 성과물을 전자 문서화하고, 전자 문서화된 학습 성과물을 적어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분석하는 학습 성과물 분석부; 및, 학습 성과물 분석부로부터 학습 성과물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학습 데이터에 대한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를 평가하도록 하고, 평가된 학습 성과도에 기반하여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을 갱신함으로써,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이 관리되도록 하는 직무 역량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job competency of job seeker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is implemented in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skills, requests the job seeker terminal who has performed learning using the learning data provided to improve job competency to create learning outcomes for the already performed learning data. Writing request section; A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that electronically documents learning outcomes written in natural language on the job seeker's terminal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the learning outcome creation request department, and analyzes the electronically documented learning outcom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cluding at least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And, by receiv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learning outcomes from the learning outcomes analysis department, evaluating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on the learning data, and updating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job seeker based on the evaluated learning performanc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job competency management department that manages the job competency of.

이때 상술한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는, 구직자 단말에서 학습 데이터의 학습이 완료된 직후 및, 학습 데이터의 학습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구직자 단말로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일 학습 데이터에 대한 둘 이상의 학습 성과물이 작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learning outcome creation request unit is an input interface that requests creation of learning outcomes from the job seeker terminal immediately after learning of the learning data is completed at the job seeker terminal and after a preset threshol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the learning data is completed. It is desirable to provide so that more than one learning outcome is created for one learning data.

또한 상술한 학습 성과물 분석부는, 학습 데이터의 학습이 완료된 직후에 기록되는 학습 성과물인 제1 학습 성과물에 비하여, 학습 데이터의 학습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기록된 학습 성과물인 제2 학습 성과물에 대한 분석 비중에 대한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더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described above is a learning outcome recorded after a preset threshol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learning of the learning data is completed, compared to the first learning outcome, which is a learning outcome recorded immediately after learning of the learning data is completed. It is desirable to set the weight for the analysis of the second learning outcome relatively higher.

또한 상술한 학습 데이터는, 직무 수행 요건이 되는 태도, 지식, 기술 및 장비에 대한 학습 내용을 포함하도록 하고,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위해 구직자 단말에 제공되는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직무 수행 요건이 되는 태도, 지식, 기술 및 장비에 대한 각각의 기록 영역이 할당되어 있어, 구직자 단말로 하여금 할당된 기록 영역에 직무 수행 요건에 대한 세부적인 학습 성과물이 기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learning data includes learning contents about attitudes, knowledge, skills, and equipment that are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and the input interface provided to the job seeker terminal to create learning outcomes includes attitudes that are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Since each recording area is allocated for knowledge, skills, and equipment, it is desirable to have the job seeker's terminal record detailed learning outcomes for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in the allocated recording area.

또한 상술한 학습 성과물 분석부는, 구직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직무 수행 요건에 대한 학습 성과물이 기록될 시, 학습 성과물의 기록 영역별로 기재된 텍스트들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토큰화하고, 직무 역량 관리부에서는, 토큰화된 키워드와 학습 데이터에 학습 목표로 기 저장된 핵심 키워드 간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를 평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learning outcome analysis department tokenizes the texts written in each recording area of the learning outcomes through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when learning outcomes for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are recorded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job seeker's terminal, and the job competency management department, It is desirable to evaluate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by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okenized keywords and key keywords already stored as learning goals in the learning data.

또한 상술한 학습 성과물 분석부는, 구직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직무 수행 요건에 대한 학습 성과물이 기록될 시, 학습 성과물에 포함된 텍스트들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토큰화한 뒤, 토큰화된 키워드를 감성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며, 직무 역량 관리부에서는, 토큰화된 키워드의 감성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구직자의 직무 적합성을 평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when learning outcomes for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are recorded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job seeker's terminal, tokenizes the texts included in the learning outcomes through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and then analyzes the tokenized keywords. When applied to the analysis algorithm, it is desirable for the job competency management department to evaluate the job suitability of job seekers based on the sentiment analysis results of tokenized keywords.

또한 상술한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위해 구직자 단말에 제공되는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기록 영역으로서, 구직자 단말이 기 수행한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 소감이 기록되는 기록 영역이 더 할당되되, 학습 소감이 기록되는 기록 영역은, 가장 성취한 학습 내용 및 성취하지 못한 학습 내용이 기록되는 기록 영역으로 구분되고, 학습 성과물 분석부에서는, 가장 성취한 학습 내용에 대응되는 기록 영역에 기재된 텍스트들 및, 성취하지 못한 학습 내용에 대응되는 기록 영역에 기재된 텍스트들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토큰화하고, 토큰화된 각각의 키워드에 대응되는 직무 역량을 파악하여 직무 역량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에 가중치가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put interface provided to the job seeker terminal for creating the above-mentioned learning outcomes is further allocated as a recording area, where the learning impressions of the learning data already performed by the job seeker terminal are recorded, and the record where the learning impressions are recorded The area is divided into a recording area where the most accomplished and unachieved learning content is recorded, and in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section, the texts written in the recor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most accomplished learning content and the unaccomplished learning content are recorded. The goal is to tokenize the texts written in the corresponding record area through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identify the job competencies corresponding to each tokenized keyword, and assign weight to the individual job competency of the job seeker managed by the job competency management department. desirable.

또한 상술한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은, 기 설정된 임계 기간 동안 구독자 단말에서 작성된 복수의 학습 성과물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에 대한 결과 리포트를 생성하는 결과 리포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결과 리포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에 대한 결과 리포트는, 구직자를 관심 인력으로 등록한 기업 및 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용 주체 단말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job seeker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i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multiple learning outcomes created on subscriber terminals during a pre-set critical period. It further includes a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result report on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and the result report on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job seeker generated in the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is at least one of the companies and organizations that have registered the job seeker as a person of interest. It is desirable to provide it to an employment entity terminal that includes one or the other.

또한 상술한 고용 주체 단말로 제공된 결과 리포트에는, 구직자 단말에서 작성된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시각화한 워드 클라우드가 포함되되, 워드 클라우드는 직무 수행 요건별로 복수 개 생성되도록 하고, 워드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워드는, 학습 성과물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포함하고,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에 따라 키워드에 설정된 서식을 차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sult report provided to the hiring entity terminal described above includes a word cloud visualized using one or more keywords extracted from a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created on the job seeker terminal, and multiple word clouds are created for each job performance requirement, Each keyword that makes up the word cloud includes keywords extracted from learning outcomes, and it is desirable to differentiate the format set for the keywords according to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job seeker.

또한 상술한 결과 리포트 생성부는, 구직자 단말에서 작성된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 대한 개별 열람이 가능하되, 고용 주체 단말로부터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 대한 요약문의 생성 요청이 수신될 경우, 복수의 학습 성과물을 기 설정된 텍스트 요약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 포함된 다수의 문장을 기 설정된 개수의 문장으로 요약 처리하여 고용 주체 단말로 요약문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allows individual viewing of multiple learning outcomes created on the job seeker terminal, but when a request for generating a summary of multiple learning outcomes is received from the hiring entity terminal, the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are preset. It is desirable to apply a text summary algorithm to summarize a number of sentences included in a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into a preset number of sentences so that the summary is provided to the hiring entity's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구직자 단말에서 학습 데이터가 수행될 시, 구직자 단말에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는 등 구직자의 학습 성과를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구직자의 학습 활동 기반의 직무 역량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learning data is performed on the job seeker terminal,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such as requesting the job seeker terminal to create learning outcomes, is repeated to be more based on the job seeker's learning activity. This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manage job competenc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구직자 단말에서 작성된 학습 성과물의 분석으로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가 평가되는 것은 물론이고, 구직자의 직무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어 고용 주체와 구직자 간의 매칭 시 매칭 성사율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is evaluated by analyzing the learning outcomes created on the job seeker's terminal, and the job suitability of the job seeker can be determined, thereby matching the hiring entity and the job seeker.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ity matching success r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학습 성과물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구직자의 직무 역량 정보를 구인을 희망하는 고용 주체 측으로 제공함에 있어서, 구직자의 직무 역량 정보를 워드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등으로 보다 직관적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고용 주체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보다 신속히 채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the job seeker's job competency information managed based on learning outcomes to the hiring entity seeking employment, the job seeker's job competency information is utilized in a word cloud, etc. By providing it in a more intuitive form, it can be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enabling employers to hire the talent they need more quickly.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직자 단말에 제공되는 학습 성과물 기록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의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직자 단말에서 작성된 학습 성과물의 예와, 학습 데이터에 학습 목표로 설정된 키워드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결과 리포트에 포함되는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과 관련된 워드 클라우드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 포함된 텍스트를 기 설정된 개수의 문장으로 요약하는 텍스트 요약 알고리즘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Figures 1 and 2 are diagrams of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seeker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of an input interface for recording learning outcomes provided to a job seek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a learning outcome created on a job seeker'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ample of a keyword set as a learning goal in the learning data.
Figure 5 is an example of a word cloud related to the job competency of an individual job seeker included in a result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ext summary algorithm that summarizes text included in a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into a preset number of sente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facilitate a genera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exampl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tilized, and the written description is intended to encompass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etc. may not be construed to mean that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better or advantageous than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he terms "comprise"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as not doing so.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the same meani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as

본 발명은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의 자기소개서, 포트폴리오 및 직무 역량 기술서 등을 포함하는 학습 성과물의 평가가 구직자 단말에서 수행될 시, 학습 성과물 평가에 대한 평가 일지를 기반으로 구직자의 직무 역량이 관리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학습 성과물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구직자의 직무역량 정보를 구인을 희망하는 고용 주체 측으로 제공함에 있어서, 구직자의 직무 역량 정보를 직관적인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여 고용 주체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채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of job seeker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Specifically, job seekers' self-introductions, portfolios, and job competency description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The first purpose is to provide technology to manage the job seeker's job competency based on the evaluation log for the learning outcome evaluation when the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s, including the like, is performed on the job seeker's terminal.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the job competency information of job seekers managed based on learning outcomes to the hiring entity seeking employment, the job competency information of the job seeker is provided in an intuitive form to provide the talent needed by the hiring entity. The second purpose is to provide technology that enables more accurate and rapid adop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세부적인 설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개진하기로 하며,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rovid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multiple drawings may be simultaneously referred to to explain one or more technical features o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10)의 구성도를 살펴보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 1, let us look at the configuration of a learning activity record-based job competency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10 including job seeker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직무 역량 향상을 위해 제공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한 구직자 단말(20)에 기 수행된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는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11),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11)의 기능 수행에 따라 구직자 단말(20)에서 자연어 형태로 작성된 학습 성과물을 전자 문서화하고, 전자 문서화된 학습 성과물을 적어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분석하는 학습 성과물 분석부(12) 및, 학습 성과물 분석부(12)로부터 학습 성과물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학습 데이터에 대한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를 평가하고, 평가된 학습 성과도에 기반하여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을 갱신함으로써,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이 관리되도록 하는 직무 역량 관리부(13)를 포함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1, in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ing product creation request unit requests the job seeker terminal 20, which has performed learning using the learning data provided to improve job capabilities, to create a learning outcome for the previously performed learning data. (11),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at electronically documents learning outcomes written in natural language at the job seeker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the learning outcome creation request unit 11, and includes at least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for the electronically documented learning outcomes.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12, which analyzes the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receiv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learning outcomes from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12, evaluates the job seeker's learning achievement level for the learning data, and adds the evaluated learning achievement level to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12. It includes a job competency management department (13) that manages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job seeker by updating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job seeker based on the job competency.

먼저 상술한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11)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11)에서 언급되는 상술한 학습 데이터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하여 생성된 학습 데이터의 개념으로서 직무 수행 요건이 되는 태도, 지식, 기술 및 장비에 대한 학습 내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First, looking at the above-mentioned learning outcome creation request unit 11 in detail, the above-mentioned learning data mentioned in the learning outcome creation request unit 11 refers to the concept of learning data generated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It can be understood to include learning about attitudes, knowledge, skills and equipment that are performance requirements.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학습 데이터가 시계주얼리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학습 데이터의 개념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학습 데이터가 시계주얼리 분야 이외의 다른 전문 분야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As an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learning data is understood as a concept of learning data for training experts in the watch jewelry field.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learning data is used in fields other than the watch jewelry field. It may also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learning data for other specialized field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술한 학습 데이터는 복수의 학습 데이터가 커리큘럼화되어 커리큘럼 상의 스케줄에 따라 구직자 단말(20)에 제공되는 것이거나, 구직자 단말(20)로부터 학습 수행 요청이 수신될 때마다 기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제공하는 등의 학습 방식이 채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learning data is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converted into a curriculum and provided to the job seeker terminal 20 according to a schedule on the curriculum, or pre-stored learning data is provided whenever a request to perform learning is received from the job seeker terminal 20. Learning methods such as:

아울러, 상술한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11)에서는 구직자 단말(20)에서 학습 데이터의 수행이 완료되었음이 감지될 때마다 기 수행된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learning outcome creation request unit 11 may request creation of a learning outcome for the already performed learning data whenever it detects that the job seeker terminal 20 has completed the execution of the learning data.

이때 본 발명에서는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기 위하여, 도 3의 10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직자 단말(20)에 제공하여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quest the creation of a learning outcome, an input interface for the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 can be provided to the job seeker terminal 20 as shown at 100 in FIG. 3 to request the creation of a learning outcome.

구체적으로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위하여 구직자 단말(20)에 제공되는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직무 수행 요건이 되는 태도, 지식, 기술 및 장비에 대한 각각의 기록 영역이 할당되어 있어 구직자 단말(20)로 하여금 할당된 기록 영역에 직무 수행 요건에 대한 세부적인 학습 성과물이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input interface provided to the job seeker terminal 20 to create learning outcomes, each recording area for attitudes, knowledge, skills and equipment required for job performance is assigned, allowing the job seeker terminal 20 to Detailed learning outcomes for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can be recorded in the recording area.

일 예로서, 학습 데이터가 시계의 외관부와 시계의 케이스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학습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때, 직무 수행 요건 중 태도에 대한 기록 영역에는 시계의 외관부와 시계의 케이스에 사용되는 재료를 담당하는 직무에서는 어떤 태도가 필요한지에 대한 기록이 요청될 수 있고, 직무 수행 요건 중 지식에 대한 기록 영역에는 시계의 외관부와 시계의 케이스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실무 지식에 대한 기록이 요청될 수 있으며, 직무 수행 요건 중 기술 또는 장비에 대한 기록 영역에는 시계의 외관부와 시계의 케이스를 진단, 수리하는 것에 대한 기록이 요청될 수 있는 것이다.As an example, when the learning data includes learning content about the materials used for the exterior of the watch and the watch case, the record area for attitude among the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includes the material used for the exterior of the watch and the watch case. For jobs in charge of materials, a record of what attitude is required may be requested, and in the knowledge record area among the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a record of working knowledge of the materials used for the exterior of the watch and the case of the watch may be requested. Among the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records of diagnosing and repairing the exterior of the watch and the case of the watch may be requested in the recording area for technology or equipment.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11)는 구직자 단말(20)에서 학습 데이터의 학습이 완료된 직후, 구직자 단말(20)에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는 상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직전에 학습한 학습 데이터에 대한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를 판단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earning product creation request uni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bove-described input interface for requesting the job seeker terminal 20 to create a learning outcome immediately after learning of the learning data is completed in the job seeker terminal 20. It can function to determine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based on the learned learning data.

즉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11)는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이 완료된 직후 구직자 단말(20)로 하여금 학습 데이터와 관련된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즉, 제1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여, 구직자 학습 내용을 잘 이해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learning outcome creation request unit 11 requests the job seeker terminal 20 to create a learning outcome related to the learning data (i.e., requests creation of the first learning outcome) immediately after completing learning about the learning data, and the job seeker terminal 20 requests the creation of a learning outcome related to the learning data. You can judge whether you have understood the learning content well.

다만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학습 성과물로서 구직자 단말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의 작성을 요청하는 실시 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의 작성과 함께 구직자의 포트폴리오 작성을 요청하여, 구직자 단말에서 작성된 포트폴리오를 학습 성과물 중 하나로 포함하여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scription was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requesting the job seeker's terminal to write a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 as a learning outcome.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b seeker's portfolio is created along with the writing of the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 described above. By requesting, the portfolio created on the job seeker's terminal may be managed by including it as one of the learning outcom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11)가 구직자 단말(20)에서 학습 데이터의 학습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시간(예를 들어 30 내지 60분)이 경과한 이후 시점에 구직자 단말(20)로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재요청(즉 제2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도록 하여 일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둘 이상의 학습 성과물이 작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et threshold time (for example, 30 to 60 minutes) i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learning product creation request unit 11 described above completes learning of the learning data in the job seeker terminal 20. After the elapse, the job seeker terminal 20 may be requested to re-create the learning outcome (i.e., request the creation of a second learning outcome) so that two or more learning outcomes are created for one learning data.

즉 이는, 하나의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이 수행된 직후와 학습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여, 하나의 학습 데이터에 적어도 두 개의 학습 성과물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최초 작성된 학습 성과물과 임계 시간 이후에 작성된 학습 성과물 간을 비교하여 구직자가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학습 내용을 얼마나 이해하고 기억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수행되도록 하여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is requests the creation of learning outcomes immediately after learning is performed on one learning data and after a preset threshol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learning was performed, so that at least two learning outcomes are created in one learning data. By doing so, an evaluation is made of how much the job seeker understands and remembers the learning content included in the learning data by comparing the learning outcomes created initially with the learning outcomes created after a critical time, thereby evaluating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It can be done.

한편 이때, 본 발명의 전술한 학습 성과물 분석부(12)는 구직자 단말(20)의 입력 수단을 통해 직무 수행 요건에 대한 학습일지가 기록될 시, 학습 성과물의 기록 영역별(즉, 직무 수행 요건별 기록 영역)로 기재된 텍스트들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토큰화하고, 직무 역량 관리부(13)에서는 토큰화된 키워드와 학습 데이터에 학습 목표로 기 저장된 핵심 키워드 간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가 평가되게 된다.Meanwhile, at this time, when the learning log for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is recorded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job seeker terminal 20, the above-described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the learning outcomes by recording area (i.e.,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Texts written in (star record area) are tokenized through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and the job competency management department (13) compar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tokenized keywords and key keywords already stored as learning goals in the learning data to determine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will be evaluated.

일 실시 예로서,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도 4의 200에서는 구직자 단말(20)에서 작성된 학습 성과물에 대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의 210에서는 구직자 단말(20)에서 수행된 학습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핵심 키워드에 대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As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4, an example of a learning outcome created in the job seeker terminal 20 is shown at 200 in FIG. 4, and an example of a learning outcome created in the job seeker terminal 20 is shown at 210 in FIG. 4, and is stored in learning data performed on the job seeker terminal 20. Examples of key keywords are shown.

이때, 학습 성과물 분석부(12)에서는 구직자 단말(20)에서 자연어 형태로 작성된 학습 성과물을 자연어 분석하기 위하여 형태소 분석, 구문 분석과 같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술한 형태소 분석은 학습 성과물에 포함된 문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형태소라는 최소 의미 단위로 분리시키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어근, 접두사/접미사, 품사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12 may use analysis algorithms such as morphological analysis and syntactic analysis to analyze the learning outcomes written in natural language on the job seeker terminal 20. Specifically, the morphological analysi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on the learning outcomes.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haracter data contained in and separating them into minimum meaning units called morphemes is performed,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distinguishing roots, prefixes/suffixes, and parts of speech.

또한 상술한 구문 분석은 문장의 구조를 분석(또는 파싱, parsing)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쉽게 말해 구직자 단말(20)(40)에서 입력된 학습 성과물에서 주어, 동사, 목적어 등의 문장 성분이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문장 성분에 따른 문장 구조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syntactic analysis performs the function of analyzing (or parsing)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To put it simply, the learning outcomes input from the job seeker terminal 20 (40) include sentence components such as subject, verb, and object. It can be understood as analyzing the sentence structure according to sentence components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일 실시 예로서, 학습 성과물 분석부(12)에서는 도 4의 400에 기재된 "매장에서는 개인 정보 수집 동의에 고객님의 사인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한다"라는 문장을 형태소 분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분석할 경우, 어근(실질 형태소)으로서 "시계수리의뢰서, 작성, 매장, 개인 정보 수집 동의, 고객님, 사인, 필수"를 분리하고, "~에서는, ~에, ~의, ~을, ~으로~"등을 접미사(문법 형태소)로 분리해낸 뒤 실질 형태소에 해당하는 어근을 주요 키워드로 이용하여, 학습 데이터에 설정된 핵심 키워드와의 유사성을 비교함으로써 훈련 성과도를 판단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12 analyzes the sentence "The store must obtain the customer's signature to consent to the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wn at 400 in FIG. 4 based on a morpheme analysis algorithm, the root As a (substantive morpheme), separate "watch repair request form, writing, store, consent to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customer, signature, required", and add "in, to, of, to, to~", etc. with suffixes ( After separating them into grammatical morphemes), the root corresponding to the actual morpheme is used as the main keyword, and the training performance can be judged by comparing the similarity with the key keyword set in the learning data.

이때 상술한 주요 키워드와 핵심 키워드가 얼마나 유사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주요 키워드에 핵심 키워드가 모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순한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코사인 유사도 판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두 키워드 그룹 간의 유사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a means of determining how similar the above-mentioned main keyword is to the core keyword, a simple method of checking whether the main keyword includes all the core keywords may be used, but a cosine similarity judgment algorithm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keyword groups. Similarity can also be judged.

구체적으로 상술한 코사인 유사도 판단 알고리즘은, 문장(또는 문장 내 실질 형태소 기반) 내 각 단어들의 벡터를 구하고, 벡터 간의 코사인 각도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으로, 일반적으로 코사인 값은 -1 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므로, 두 벡터의 방향이 같을수록 유사하다고 볼 수 있고, 각도가 수직인 경우 0을 반환하고, 완전히 다를 경우 -1을 반환하여 유사도를 판단한다.Specifically, the cosine similarity judgment algorithm described above is an algorithm that obtains the vector of each word in a sentence (or based on the actual morpheme within the sentence) and determines the similarity using the cosine angle between the vectors. Generally, the cosine value is -1 to 1. Since it has a value between two vectors, the more the directions of the two vectors are the same, the more similar they can be considered. If the angle is vertical, 0 is returned, and if they are completely different, -1 is returned to judge the similarity.

일 실시 예로서 하기 표 1에서는 주요 키워드와 핵심 키워드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코사인 유사도 판단 알고리즘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As an example, Table 1 below shows the main keywords and key keywords, and applying them to the cosine similarity judgment algorithm is as follows.

시계수리
의뢰서
watch repair
request letter
작성write 매장store 개인정보
수집동의
Privacy
Consent to collection
고객(님)sir) 사인(서명)autograph (signature) 필수essential
주요
키워드
main
keyword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핵심
키워드
main point
keyword
1One 1One 00 1One 1One 1One 1One

코사인 유사도 판단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수식은 하기와 같고,The formula for applying the cosine similarity judgment algorithm is as follows,

수식 1: Formula 1:

상기 수식을 풀이하여 보면, By interpreting the above formula,

= (1*1)+(1*1)+(1*0)+(1*1)+(1*1)+(1*1)+(1*1) = 6이고, = * = ≒ 6.48 이므로, 유사도는 6/6.48=0.926, 즉 두 문장 간의 유사도는 92.6%의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산출될 수 있다. = (1*1)+(1*1)+(1*0)+(1*1)+(1*1)+(1*1)+(1*1) = 6, = * = Since ≒ 6.48, the similarity can be calculated as 6/6.48=0.926, that is,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sentences is 92.6%.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직자가 입력한 학습 성과물의 주요 키워드와 일 학습 데이터에 설정된 핵심 키워드 간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키워드 간의 유사성이 90%이상일 시,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고, 80% 이상 90%미만일 시,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며, 65 내지 80%미만일 시 보통인 것으로 판단하고, 65%미만인 경우 훈련 성과도가 좋지 아니한 것으로 훈련 성과도를 차등적으로 판단하여 구직자 개개인의 학습 성과도가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main keywords of the learning outcomes entered by the job seek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key keywords set in the daily learning data is determined, and when the similarity between the keywords is more than 90%,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is judged to be very excellent. If it is 80% or more but less than 90%, it is judged as excellent, if it is 65 to less than 80%, it is judged as average, and if it is less than 65%, the training performance is judged to be poor, and the training performance is judged differentially to determine the individual job seeker's This means that learning outcomes can be managed.

한편 본 발명의 학습 성과물 분석부(12)는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를 더욱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학습 데이터의 학습이 완료된 직후에 기록되는 학습 성과물인 제1 학습 성과물과, 학습 데이터의 학습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기록된 학습 성과물인 제2 학습 성과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를 판단함에 있어서, 제1 학습 성과물과 제2 학습 성과물의 분석 비중을 달리 설정하도록 하여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가 더욱 면밀히 분석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more systematically analyze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arning outcome, which is a learning outcome recorded immediately after learning of the learning data is completed, and a first learning outcome, which is a learning outcome recorded immediately after learning of the learning data is completed. When determining a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by analyzing the second learning outcome, which is a learning outcome recorded after a preset critical time has elapsed, the analysis weight of the first learning outcome and the second learning outcome is varied. By setting this,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can be analyzed more closely.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제1 학습 성과물에 대한 분석 비중보다 제2 학습 성과물에 대한 분석 비중에 대한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더 높게 설정하여, 소정 시간이 흐른 뒤에 구직자가 학습 데이터의 학습 내용을 얼마나 기억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 비중을 높여 구직자가 수행한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 내용이 장기 기억으로 형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As an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for the analysis proportion of the second learning outcome is set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e analysis proportion for the first learning outcome, and how much the job seeker learns from the learning data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analysis on whether the job seeker remember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earning content of the learning data performed by the job seeker has been formed into long-term memory.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제1 학습 성과물과 제2 학습 성과물에 대한 분석 비중을 2:8, 3:7 또는 4:6의 분석 비중이 되도록 설정하여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를 보다 면밀히 분석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나, 제1 학습 성과물에 비하여 제2 학습 성과물에 대한 분석 비중이 큰 경우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As a specific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lysis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learning outcomes is set to 2:8, 3:7, or 4:6 to more closely analyze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analysis proportion of the second learning outcom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learning outcome, it is preferable that it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학습 성과물 분석부(12)는 구직자 단말(20)의 입력 수단을 통해 직무 수행 요건에 대한 학습 이지가 기록될 시, 학습 성과물에 포함된 텍스트들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토큰화한 뒤, 토큰화된 키워드를 감성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도록 하고, 직무 역량 관리부(13)에서는 토큰화된 키워드의 감성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구직자의 직무 적합성을 판단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when learning information about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is recorded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job seeker terminal 20,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to process the texts included in the learning outcomes. After tokenization, the tokenized keywords are applied to the sentiment analysis algorithm, and the job competency management unit 13 may function to determine the job suitability of the job seeker based on the sentiment analysis results of the tokenized keywords.

구체적으로 감성 분석이란 텍스트에 들어 있는 의견이나 감성, 평가, 태도 등의 주관적인 정보를 컴퓨터를 통해 분석하는 기술 분야로서, 크게 자연어 기반의 문장의 어떤 부분에 어떤 의견이 담겨 있는지를 정의하고, 이를 요약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sentiment analysis is a technical field that analyzes subjective information such as opinions, emotions, evaluations, and attitudes contained in text through a computer. It largely defines which opinions are contained in which part of a natural language-based sentence and summarizes them. It is accomplished through a process of

감성 분석의 방법론으로서 기존에는 어휘 기반의 감성 분석이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 인공지능 및 딥 러닝 등의 머신 러닝이 상용화되면서 이러한 모델들을 이용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버트(BERT,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orm transformers)와 같은 트랜스포머 기반의 머신 러닝을 이용한 신경망 모델이 다수 적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감성 분석 방법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직자의 학습 성과물에서 드러나는 감정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또는 중립적인지를 판단하여 구직자의 직무 적합성을 판단하도록 기능할 수 있게 된다.As a methodology for sentiment analysis, vocabulary-based sentiment analysis has been previously performed, but with the recent commercialization of machine learning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ep learning, analysis using these models is being conducted. Recently, BERT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orm transformers) has been used. ), many neural network models using transformer-based machine learning are being applie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se sentiment analysis methodologies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emotions revealed in the job seeker's learning outcomes are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This allows it to function to determine job suitability of job seekers.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위해 구직자 단말(20)에 제공되는 입력 인터페이스에 기록 영역으로서 구직자 단말(20)이 기 수행한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 소감이 기록되는 기록 영역을 더 할당(도 3의 100 참조)되도록 하고, 학습 소감이 기록되는 기록 영역을 가장 성취한 학습 내용 및 가장 성취하지 못한 학습 내용이 기록되는 기록 영역으로 구분하여, 학습 성과물 분석부(12)로 하여금 가장 성취한 학습 내용에 대응되는 기록 영역에 기재된 텍스트들 및, 성취하지 못한 학습 내용에 대응되는 기록 영역에 기재된 텍스트들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토큰화하고, 토큰화된 각각의 키워드에 대응되는 직무 역량을 파악하여 직무 역량 관리부(13)에서 관리되는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에 가중치가 부여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ression of learning about the learning data already performed by the job seeker terminal 20 is stored as a recording area in the input interface provided to the job seeker terminal 20 for creating the above-described learning outcomes. The recording area to be recorded is further allocated (see 100 in FIG. 3), and the recording area where learning impressions are recorded is divided into the recording area where the most accomplished and least accomplished learning contents are recorded, and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12) Tokenize the texts written in the recor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most accomplished learning content and the texts written in the recor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unaccomplished learning content through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and each tokenized keyword It may function to assign weight to the job competency of each job seeker managed by the job competency management department 13 by identifying the job competency corresponding to the job competency.

일 실시 예로서 도 4의 200을 참조하여 보면, 구직자 단말(20)로부터 작성된 학습 성과물에서 가장 성취한 내용으로서 시계 수리 의뢰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성취하였다는 학습 성과물이 기록되었고, 성취하지 못한 내용 또는 힘든 내용은 없었다는 학습 성과물이 기록되었을 경우, 본 발명의 직무 역량 관리부(13)는, 시계 수리 의뢰서에 대응되는 직무 역량인 구직자의 기술 역량에 대한 가중치를 예를 들어 10% 증대되도록 하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200 in FIG. 4, the learning outcome that the method of writing a watch repair request form was achieved as the most accomplished content in the learning outcomes created from the job seeker terminal 20 was recorded, and the content that was not achieved or When the learning outcome that there was no difficult content is recorded, the job competency management uni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a weight such that the weight of the job seeker's technical competency, which is the job competency corresponding to the watch repair request, is increased by, for example, 10%. It can be done.

물론, 도 4의 200의 실시 예에서는 성취하지 못한 내용 또는 힘든 내용이 없는 것으로 기록되었으나, 예를 들어 구직자 단말(20)로부터 시계 수리 의뢰서에 문제점을 표시하는 방법을 암기하는 것이 어려웠다는 기록이 입력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보면, 본 발명의 직무 역량 관리부(13)는 시계 수리 의뢰서에 문제점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응되는 직무 역량인 구직자의 지식 역량에 대한 가중치를 10% 감소시키도록 하여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Of course, in the embodiment 200 of FIG. 4, it was recorded that there was no content that could not be achieved or difficult content, but, for example, a record was input that it was difficult to memorize how to indicate a problem in a watch repair request form from the job seeker terminal 20. Assuming that this is the case, the job competency management uni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weight of the job seeker's knowledge competency, which is the job competency corresponding to the method of indicating a problem in a watch repair request, by 10%, so that the job seeker's individual job Capacity management may be implemen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 수행에 의하여, 구직자가 입력한 학습 성과물을 기반으로 구직자의 개인 직무 역량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하여 볼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the effect of systematically managing the job seeker's personal job competency based on the learning outcomes entered by the job seeker can be expec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는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10)의 주요 구성으로서, 전술한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11), 학습 성과물 분석부(12) 및 직무 역량 관리부(13)와 함께 결과 리포트 생성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mponents of the learning activity record-based job competency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10, including job seeker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are as described above. It may further include a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14) along with a learning outcome creation request unit (11), a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12), and a job competency management unit (13).

구체적으로 상술한 결과 리포트 생성부(14)는 전술한 학습 성과물 분석부(12)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기 설정된 임계 기간 동안 구독자 단말에서 작성된 복수의 학습 성과물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에 대한 결과 리포트를 생성하도록 기능한다.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14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12, and analyzes the results of analyzing a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created in the subscriber terminal during a preset critical period to determine the job seeker's individual status. It functions to generate a report on the results of job competencies.

이때, 상술한 결과 리포트 생성부(14)에서 생성된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에 대한 결과 리포트는, 고용 주체와 구직자를 매칭하기 위하여 마련된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매칭 서버(30)를 매개로, 고용 주체 단말(40)(예를 들어 기업 또는 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개념)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ult report on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job seeker generated by the above-mentioned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14 is transmitted to the hiring entity terminal via the cloud server-based matching server 30 provided to match the hiring entity and the job seeker. (40) (e.g., the concept of a terminal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mpany or an institution).

일 실시 예로서, 고용 주체 단말(40)은 매칭 서버(30)에 접속하여 필요로 하는 인재 정보(예를 들어 직무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한 뒤, 입력된 인재 정보에 매칭되는 기 설정된 인원의 구직자 정보를 제공받아 볼 수 있으며, 그 중 고용 주체 단말(40)이 관심 인력으로 등록한 구직자에 대한 정보를 결과 리포트로 제공받아 볼 수 있게 된다.As an embodiment, the hiring entity terminal 40 connects to the matching server 30, inputs required talent information (for example, job-related information), and then selects a preset number of people who match the inputted talent information. Job seeker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nd viewed, and among them, information on job seekers registered as interested personnel by the hiring entity terminal 40 can be provided and viewed as a result report.

구체적으로 고용 주체 단말(40)로 제공된 구직자의 직무 역량과 관련된 결과 리포트에는 구직자 단말(20)에서 작성된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시각화한 워드 클라우드가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sult report related to the job seeker's job competency provided to the hiring entity terminal 40 may include a word cloud visualized using one or more keywords extracted from a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created in the job seeker terminal 20.

이때 워드 클라우드는 전술한 직무 수행 요건 전체에 대하여 하나의 워드 클라우드가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도 5의 400과 같이, 직무 수행 요건(태도, 지식, 기술 또는 장비)별로 복수의 워드 클라우드가 생성되도록 하여 고용 주체 측에서 구직자에 대한 결과 리포트를 받아 보았을 때, 워드 클라우드를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구직자가 직무 수행 요건별로 갖춘 직무 역량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볼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one word cloud may be created for all of the above-mentioned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but preferably, as shown at 400 in FIG. 5, a plurality of word clouds are created for each job performance requirement (attitude, knowledge, technology, or equipment). It is desirable to create a report so that when the hiring entity receives a report on the results of the job seeker,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intuitively understand and see what job competencies the job seeker has for each job performance requirement just by looking at the word cloud. do.

한편 상술한 워드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워드는 구직자가 작성한 학습 성과물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포함하도록 하되,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에 따라 키워드에 설정된 서식이 차별화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each keyword constituting the above-mentioned word cloud should includ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learning outcomes written by the job seeker, but the format set for the keywords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job seeker.

일 실시 예로서, 워드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워드는 구직자의 학습 성과물에서 추출된 주요 키워드로 구성되되, 구직자가 작성한 학습 성과물에서 빈도수가 높은 키워드에 강조 서식(예를 들어 키워드의 크기를 다른 키워드들에 비하여 크게 설정하거나, 키워드의 색상을 강조색으로 표시하는 등)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lurality of keywords constituting the word cloud are composed of main keywords extracted from the learning outcomes of the job seeker, and the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in the learning outcomes written by the job seeker are highlighted in a format (for example, the size of the keyword is changed to another keyword). You can set it larger than others, display the keyword color as an accent color, etc.).

이때 키워드의 빈도수가 높을수록 강조 서식을 적용하는 것은, 구직자가 특정 분야의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을 집중하여 특정 키워드가 반복적으로 등장함이 자연스럽고, 이에 특정 분야의 직무 역량이 향상되었을 것으로 예측하여 볼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igher the frequency of keywords, the more emphasis format is applied. It is natural for job seekers to focus their learning on learning data in a specific field, so that specific keywords appear repeatedly, and it is expected that job competency in that specific field will improv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is is because it can be seen.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워드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워드는 구직자의 학습 성과물에서 추출된 주요 키워드로 구성되되, 학습 성과물의 기록 영역 중 가장 성취한 내용에 대한 기록이 입력되는 기록 영역에 작성한 키워드에 강조 서식을 적용하여 구직자 스스로가 생각하는 직무 역량을 고용 주체 측으로 어필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keywords constituting the word cloud are composed of main keywords extracted from the job seeker's learning achievements, and are included in the keywords written in the record area where the record of the most accomplished contents is entered among the learning achievements record area. By applying an emphasis format, the job seeker may be able to appeal to the hiring entity about his/her job capabiliti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결과 리포트 생성부(14)는 구직자 단말(20)에서 작성된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 대한 개별 열람이 가능하다. 다만, 고용 주체 단말(40)에서 복수의 학습 성과물을 일일이 열람하여 살펴보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고용 주체 단말(40)로부터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 대한 요약문의 생성 요청을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14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individual viewing of a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created in the job seeker terminal 20. However, since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browse and examine a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one by one at the hiring entity terminal 40,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quest for generating a summary of a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can be received from the hiring entity terminal 40. .

이에 본 발명의 결과 리포트 제공부는 고용 주체 단말(40)로부터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 포함된 다수의 문장을 기 설정된 개수의 문장으로 요약 처리하여 고용 주체 단말(40)에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 대한 요약문이 제공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sult report provi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ummarizes a plurality of sentenc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from the hiring entity terminal 40 into a preset number of sentences and provides a summary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to the hiring entity terminal 40. It can function to provide.

도 6의 50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이어가면, 본 발명에서는 도 6의 50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직자 단말(20)에서 작성된 복수의 학습 성과물을 단문 처리하기 위하여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Continuing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500 in FIG. 6,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500 in FIG. 6, the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lgorithm is used to briefly process a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created on the job seeker terminal 20. can be used.

이러한 LDA 알고리즘은 주어진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서 토픽별 단어의 분포를 추정하고, 주어진 문서에서 발견된 단어의 분포를 분석하여, 복수의 학습 성과물이 어떠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지를 관측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으로 이해될 수 있다.This LDA algorithm can be understood as an algorithm that estimates the distribution of words by topic in a given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analyzes the distribution of words found in a given document, and observes what topics the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cover. there is.

더욱 상세하게 상술한 LDA 알고리즘은 학습 성과물 내 모든 단어들에 임의의 토픽 번호를 부여한 뒤, 학습 성과물 내의 토픽 분포와, 학습 성과물 내의 단어 분포를 연산하여 학습 성과물에서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과 관련된 주요 토픽을 추정하곤 한다.The LDA algorithm described in more detail assigns random topic numbers to all words in the learning output, then calculates the distribution of topics within the learning output and the distribution of words within the learning output to identify key topics related to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job seeker in the learning output. It is often assumed that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LDA 알고리즘 대신 동시출현단어 분석 또는 공기어(Co-occurrence)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키워드 셋에 대응하는 단어가 등장하는 문장에서 상관 계수가 높은 단어를 추출함으로써, 학습 성과물에서 직무 역량과 관련된 주요 토픽을 추정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Of cours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ords with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are extracted from sentences in which words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set appear using a co-occurrence word analysis or co-occurrence analysis algorithm instead of the LDA algorithm described above. , an algorithm may be used to estimate key topics related to job competencies from learning outcom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LDA 알고리즘 및 동시 출현 단어 분석 알고리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서 구독자 개인의 직무 역량과 관련된 주요 토픽이 추정되면, 본 발명에서는 추출된 단어의 분포 및 단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단어가 등장한 문장의 구조를 학습하여 기 설정된 개수 이내의 문장(예를 들어 5 이내 문장)으로 축약된 문장을 생성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f major topics related to the job capabilities of individual subscribers are estimated from a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using an algorithm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LDA algorithm and the co-occurring word analysis algorithm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xtracted words Information about the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words is applied to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to learn the structure of sentences in which words appear, and to generate sentences condensed to sentences within a preset number (for example, sentences within 5).

이때 본 발명에서는 단어의 분포가 많아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단어가 포함된 문장일수록 보조사와 부사의 사용 빈도를 가중함으로써, 강조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다 자연스러운 문장 처리를 위하여 예를 들어 RNN(Recurrent Neural Network )언어 모델과 같은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문 컨텐츠의 가독성을 높이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 of use of auxiliaries and adverbs can be weighted so that sentences containing words that are judged to be of high importance due to the large distribution of words can be highlighted, and for more natural sentence processing, for example, RNN (Recurr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adability of short text content by using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such as a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또 다른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나, 구직자의 결과 리포트를 제공받아 본 고용 주체 단말(30)에서는, 채용을 희망하거나, 면접 보기를 희망하는 하나 이상의 구직자 단말(20)에 채용 제안 또는 면접 제의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게 하여, 상기와 같은 메시지를 수신한 구직자 단말(20)이 채용 또는 면접 제의에 응할 시, 구직자 단말(20)과 고용 주체 단말(30) 상호 간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구직자와 고용 주체 간의 만남이 성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explicitly mentioned in the attached drawing, the hiring entity terminal 30, which has received the job seeker's result report, proposes employment to one or more job seeker terminals 20 who wish to be hired or interview.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message about an interview offer, so that when the job seeker terminal 20 that has received the above message responds to the recruitment or interview offer, the job seeker terminal 20 and the hiring entity terminal 3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providing a separate interfac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a meeting between a job seeker and an employ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종합적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구직자 단말에서 학습 데이터가 수행될 시, 구직자 단말에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는 등 구직자의 학습 성과를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구직자의 학습 활동 기반의 직무 역량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general, according to the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learning data is performed on the job seeker terminal, the learning outcomes are provided to the job seeker terminal. By repeat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such as requesting writing,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manage job competency based on the job seeker's learning activiti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구직자 단말에서 작성된 학습 성과물의 분석으로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가 평가되는 것은 물론이고, 구직자의 직무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어 고용 주체와 구직자 간의 매칭 시 매칭 성사율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is evaluated by analyzing the learning outcomes created on the job seeker's terminal, and the job suitability of the job seeker can be determined, thereby matching the hiring entity and the job seeker.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ity matching success r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학습 성과물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구직자의 직무 역량 정보를, 구인을 희망하는 고용 주체 측으로 제공함에 있어서, 구직자의 직무 역량 정보를 워드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등으로 보다 직관적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고용 주체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보다 신속히 채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the job seeker's job competency information managed based on learning outcomes to the hiring entity seeking a job, the job seeker's job competency information is provided using a word cloud. By providing it in a more intuitive form, it can be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enabling employers to hire the talent they need more quickly.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Next, referring to FIG. 7,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6 described above Description of unnecessary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omputing device 10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d an input/output subsystem ( It may include at least an I/O subsystem (11400), a power circuit (11500),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At this time,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correspond to a user terminal (A) connected to a tactile interface device or the computing device (B) described above.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magnetic disk, SRAM, DRAM, ROM, flash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there is.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software modules, instruction sets, or various other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access to the memory 11200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couple input and/or output peripherals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to the processor 11100 and the memory 11200.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a software module or set of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12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process data.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can couple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 devices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For example,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peripheral devices such as a monitor, keyboard, mouse, printer, or, if necessary, a touch screen or sensor to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put/output peripheral devices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some of the terminal's components. For exampl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batteries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 power status indicator, or a power source. It may contain arbitrar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include an RF circuit to transmit and receive RF signals, also known as electromagnetic signals,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이러한 도 7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7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of FIG. 7 is only an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omits some components shown in FIG. 7, further includes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7, or 2 It may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that combines more than one component.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7, and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iFi, 3G, LTE)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also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 PC-based program or a mobile terminal-specific application.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installed on a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a file distribution system. As an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fil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purpose or special-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that run on the operating system.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Additionally, a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a single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multiple processing elements and/or multiple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Additionally,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possibl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may be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used by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It can be embodied permanently or temporarily.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ing device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optical media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Claims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직무 역량 향상을 위해 제공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한 구직자 단말에, 기 수행된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는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
상기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의 기능 수행에 따라 구직자 단말에서 자연어 형태로 작성된 학습 성과물을 전자 문서화하고, 전자 문서화된 학습 성과물을 적어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분석하는 학습 성과물 분석부; 및,
상기 학습 성과물 분석부로부터 상기 학습 성과물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에 대한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를 평가하도록 하고, 평가된 학습 성과도에 기반하여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을 갱신함으로써,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이 관리되도록 하는 직무 역량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학습 성과물 작성 요청부는,
상기 구직자 단말에서 상기 학습 데이터의 학습이 완료된 직후 및, 상기 학습 데이터의 학습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구직자 단말로 상기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요청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일 학습 데이터에 대한 둘 이상의 학습 성과물이 작성되도록 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는,
직무 수행 요건이 되는 태도, 지식, 기술 및 장비에 대한 학습 내용을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위해 상기 구직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직무 수행 요건이 되는 태도, 지식, 기술 및 장비에 대한 각각의 기록 영역이 할당되어 있어, 상기 구직자 단말로 하여금 할당된 기록 영역에 상기 직무 수행 요건에 대한 세부적인 학습 성과물이 기록되도록 하며,
상기 학습 성과물의 작성을 위해 상기 구직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기록 영역으로서, 상기 구직자 단말이 기 수행한 학습 데이터에 대한 학습 소감이 기록되는 기록 영역이 더 할당되되,
상기 학습 소감이 기록되는 기록 영역은,
가장 성취한 학습 내용 및 성취하지 못한 학습 내용이 기록되는 기록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학습 성과물 분석부에서는,
상기 가장 성취한 학습 내용에 대응되는 기록 영역에 기재된 텍스트들 및, 상기 성취하지 못한 학습 내용에 대응되는 기록 영역에 기재된 텍스트들을 상기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토큰화하고, 토큰화된 각각의 키워드에 대응되는 직무 역량을 파악하여 상기 직무 역량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에 가중치가 부여되도록 하되,
성취하지 못한 내용 또는 힘든 내용이 없었다는 학습 성과물이 기록된 경우, 각 키워드에 대응되는 구직자의 직무 역량에 대한 가중치 수치를 증가시키고, 성취하지 못한 내용 또는 힘든 내용이 있는 것으로 입력된 경우, 각 키워드에 대응되는 구직자의 직무 역량에 대한 가중치 수치를 감소시키고,
상기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은,
기 설정된 임계 기간 동안 상기 구직자 단말에서 작성된 복수의 학습 성과물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에 대한 결과 리포트를 생성하는 결과 리포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과 리포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에 대한 결과 리포트는, 구직자를 관심 인력으로 등록한 기업 및 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용 주체 단말로 제공되도록 하되, 구직자의 결과 리포트를 제공받아 본 고용 주체 단말에서는, 채용을 희망하거나, 면접 보기를 희망하는 하나 이상의 구직자 단말에 채용 제안 또는 면접 제의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게 하여, 채용 제안 또는 면접 제의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한 구직자 단말이 채용 또는 면접 제의에 응할 시, 구직자 단말과 고용 주체 단말 상호 간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
In the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job seekers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implemented in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that store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comprising:
A learning product creation request unit that requests the job seeker terminal, who has performed learning using the learning data provided to improve job competency, to create a learning outcome for the already performed learning data;
A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that electronically documents learning outcomes written in natural language on the job seeker's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f the learning outcome creation request unit, and analyzes the electronically documented learning outcom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cluding at least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and,
By receiv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learning outcomes from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unit, evaluating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learning data, and updating the job seeker's individual job competency based on the evaluated learning performance, the job seeker Includes a job competency management department that ensures that individual job competencies are managed;
The learning outcome request section is:
Immediately after learning of the learning data is completed at the job seeker terminal and after a preset threshol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learning of the learning data is completed, an input interface for requesting creation of the learning outcome is provided to the job seeker terminal. Ensure that two or more learning outcomes are created for the training data,
The learning data is,
Include learning about attitudes, knowledge, skills and equipment required to perform the job;
In the input interface provided to the job seeker terminal for creating the learning outcomes, respective recording areas for attitudes, knowledge, skills and equipment that are requirements for performing the job are allocated, allowing the job seeker terminal to record the assigned information. Ensure that detailed learning outcomes for the above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are recorded in the area,
The input interface provided to the job seeker terminal for creating the learning outcomes is further allocated a recording area in which impressions of learning about learning data already performed by the job seeker terminal are recorded as the recording area,
The recording area where the learning impressions are recorded is,
It is divided into recording areas where the most accomplished and least accomplished learning content is recorded,
In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department,
Texts written in the recor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most accomplished learning content and texts written in the recor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unachieved learning content are tokenized through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and correspond to each tokenized keyword. By identifying the job competency required, weight is given to the job competency of each job seeker managed by the job competency management department.
If learning outcomes that indicate that there were no content that was not achieved or that were difficult were recorded, the weight value of the job seeker's job competency corresponding to each keyword is increased, and if it is entered that there is content that was not achieved or that was difficult, the weight value for the job competency of the job seeker corresponding to each keyword is increased. Reduce the weight value for the job competency of the corresponding job seeker,
The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job seeker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It further includes a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result report on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job seeker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a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created on the job seeker terminal during a preset critical period,
The result report on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job seeker generated in the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shall be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employe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mpanies and institutions that have registered the job seeker as a person of interest, and shall be provided with the job seeker's result report. In this hiring entity terminal, a message about a job offer or interview offer can be sent to one or more job seeker terminals who wish to be hired or have an interview, so that the job seek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message about the job offer or interview offer is Job competency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eparate interface that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the job seeker's terminal and the hiring entity's terminal when responding to a recruitment or interview offer.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성과물 분석부는,
상기 학습 데이터의 학습이 완료된 직후에 기록되는 학습 성과물인 제1 학습 성과물에 비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의 학습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기록된 학습 성과물인 제2 학습 성과물에 대한 분석 비중에 대한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더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department,
Compared to the first learning outcome, which is a learning outcome recorded immediately after learning of the learning data is completed, the second learning outcome is a learning outcome recorded after a preset threshol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learning of the learning data is completed.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job seeker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which is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analysis weight to be relatively high.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성과물 분석부는,
상기 구직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직무 수행 요건에 대한 학습 성과물이 기록될 시, 상기 학습 성과물의 기록 영역별로 기재된 텍스트들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토큰화하고,
상기 직무 역량 관리부에서는, 토큰화된 키워드와 상기 학습 데이터에 학습 목표로 기 저장된 핵심 키워드 간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구직자의 학습 성과도를 평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department,
When learning outcomes for the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are recorded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job seeker terminal, the texts written in each recording area of the learning outcomes are tokenized through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The job competency management department evaluates the job seeker's learning performance by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okenized keywords and key keywords pre-stored as learning goals in the learning data. Job seeker job competency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acquired ski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성과물 분석부는,
상기 구직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직무 수행 요건에 대한 학습 성과물이 기록될 시, 상기 학습 성과물에 포함된 텍스트들을 상기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토큰화한 뒤, 토큰화된 키워드를 감성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며,
상기 직무 역량 관리부에서는, 상기 토큰화된 키워드의 감성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구직자의 직무 적합성을 평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earning outcome analysis department,
When learning outcomes for the job performance requirements are recorded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job seeker terminal, the texts included in the learning outcomes are tokenized through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and then the tokenized keywords are applied to the sentiment analysis algorithm. And
The job competency management department evaluates the job suitability of the job seeker based on the sentiment analysis results of the tokenized keywords. Job competency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of job seeker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 주체 단말로 제공된 결과 리포트에는,
상기 구직자 단말에서 작성된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시각화한 워드 클라우드가 포함되되,
상기 워드 클라우드는 직무 수행 요건별로 복수 개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워드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워드는, 상기 학습 성과물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포함하고, 구직자 개인의 직무 역량에 따라 키워드에 설정된 서식을 차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result report provided to the hiring entity terminal,
It includes a word cloud visualized using one or more keywords extracted from a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created on the job seeker terminal,
Multiple word clouds are created for each job performance requirement,
Each keyword constituting the word cloud includes keywords extracted from the learning outcomes, and job competency of job seekers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at set for the keywords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job competency of the individual job seeker.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acquired ski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리포트 생성부는,
상기 구직자 단말에서 작성된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 대한 개별 열람이 가능하되,
상기 고용 주체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 대한 요약문의 생성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복수의 학습 성과물을 기 설정된 텍스트 요약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학습 성과물에 포함된 다수의 문장을 기 설정된 개수의 문장으로 요약 처리하여 상기 고용 주체 단말로 요약문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Individual viewing of multiple learning outcomes created on the job seeker terminal is possible,
When a request for generating a summary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is received from the hiring entity terminal,
Luxury characterized by applying a preset text summary algorithm to the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to summarize a plurality of sentenc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learning outcomes into a preset number of sentences and providing a summary to the hiring entity terminal.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competency acquisition descriptions for job seekers in the watch and jewelry industry.
KR1020220161320A 2022-11-28 2022-11-28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seeker job competency acquisition statement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KR1026152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320A KR102615206B1 (en) 2022-11-28 2022-11-28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seeker job competency acquisition statement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320A KR102615206B1 (en) 2022-11-28 2022-11-28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seeker job competency acquisition statement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206B1 true KR102615206B1 (en) 2023-12-19

Family

ID=8938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320A KR102615206B1 (en) 2022-11-28 2022-11-28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seeker job competency acquisition statement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20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399A (en)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ocational education
KR20110108005A (en) * 2010-03-26 2011-10-05 주식회사 스픽케어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KR20190133931A (en) * 2018-05-24 2019-12-04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to response based on sentence paraphrase recognition for a dialog system
KR20200103143A (en) * 2019-02-08 2020-09-02 나인채 Personnel Evaluators and Promotion Target Evaluation Methods by Using AI Technology
KR102368188B1 (en) * 2021-11-29 2022-03-02 (주)올워크 Ai-based job matching system
KR102461454B1 (en) * 2020-02-06 2022-11-0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Document Summarization System And Summary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399A (en)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ocational education
KR20110108005A (en) * 2010-03-26 2011-10-05 주식회사 스픽케어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KR20190133931A (en) * 2018-05-24 2019-12-04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to response based on sentence paraphrase recognition for a dialog system
KR20200103143A (en) * 2019-02-08 2020-09-02 나인채 Personnel Evaluators and Promotion Target Evaluation Methods by Using AI Technology
KR102461454B1 (en) * 2020-02-06 2022-11-0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Document Summarization System And Summary Method Thereof
KR102368188B1 (en) * 2021-11-29 2022-03-02 (주)올워크 Ai-based job match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321751B2 (en) Neural network system for text classification
Davis et al. Indicators as a technology of global governance
Graham The general linear model 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l Pilar Salas-Zárate et al. A study on LIWC categories for opinion mining in Spanish reviews
US20160293034A1 (en) Question answering system-based generation of distractors using machine learning
US201403439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Constructed Recommendations
Qasim et al. Concept map construction from text documents using affinity propagation
Hassanein et al. Predicting personality traits from social media using text semantics
Zhitomirsky‐Geffet et al. Toward multiviewpoint ontology construction by collaboration of non‐experts and crowdsourcing: The case of the effect of diet on health
Paredes-Valverde et al. An ontology-based approach with which to assign human resources to software projects
Zhang et al. A weakly supervised approach to Chinese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partitioned self-training
Chijioke et al. Understanding theory in social science research: Public administration in perspective
Heppner et al. Automating articulation: Apply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 post-secondary credit transfer
Bajaba et al. The bottom-up impa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employee job crafting: a serial mediation model
Dascalu et al. Predicting academic performance based on students’ blog and microblog posts
KR102359638B1 (en) Medical institution analysys management system through sentiment analysis tailored to the medical field
Kolog et al. Towards automated e-counselling system based on counsellors emotion perception
Németh et al. Bio, psycho, or social: supervised machine learning to classify discursive framing of depression in online health communities
Arnulf et al. Semantic algorithms can detect how media language shapes survey responses in organizational behaviour
Sun et al. Hierarchical word mover distance for collaboration recommender system
Tang et al. Consumer decision support systems for novice buyers–a design science approach
de Siles AI, on the Law of the Elephant: Toward Understa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615206B1 (en) A system for providing job competency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activity records including job seeker job competency acquisition statement for each job in the luxury watch and jewelry industry
Gubelmann et al. Capturing the varieties of natural language inference: A systematic survey of existing datasets and two novel benchmarks
Kong et al. Evaluating a bilingual text-mining system with a taxonomy of key words and hierarchical visualization for understanding learner-generated 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