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026B1 -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026B1
KR102615026B1 KR1020230064842A KR20230064842A KR102615026B1 KR 102615026 B1 KR102615026 B1 KR 102615026B1 KR 1020230064842 A KR1020230064842 A KR 1020230064842A KR 20230064842 A KR20230064842 A KR 20230064842A KR 102615026 B1 KR102615026 B1 KR 102615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work
shared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민
김난희
Original Assignee
(주)다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우기술 filed Critical (주)다우기술
Priority to KR102023006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계층 구조를 갖는 조직도에 따라 작업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작업 공간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 및 작업 공간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해, 작업 공간의 콘텐츠 및 작업 공간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관리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만료 기간, 접속 가능한 최대 횟수, 다운로드 가능한 최대 횟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와 다운로드, 변경 및 삭제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권한, 및 콘텐츠에 접근 가능한 링크를 포함하는 공유 작업 정보 및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공유 작업을 수행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가 변경된 경우,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의 변경 전 버전과 별도의 변경 후 버전을 생성하여, 변경 전 버전과 하나의 공유 작업으로 버전관리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SERVER FOR OPERATING BUSINESS COLLABORATION PLATFORM USING CLOUD-BASED DATA SHARING PLATFORM}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에서 업무 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데이터 환경에서 협업은 현대 비즈니스 운영의 필수 요소로 꼽히고 있다. 최근 펜데믹(COVID-19)에 따라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공유 작업 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급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가속되었다.
클라우드 데이터 환경을 이용한 협업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없애 생산성과 효율성이 향상시켜 왔다.
2000년대 초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의 인터넷망을 사용한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대두되었다. 이를 통해, 원격으로 다른 PC에 접속하거나 물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있는 저장공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 널리 보급되었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 넘어 문서 또는 파일에 대해 함께 작업하고 그 결과물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클라우드 공간을 활용한 협업 도구들은 어떤 사용자가 어떤 파일을 어떻게 수정하였는지 확인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들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지 일괄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지속되어 왔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만큼 협업에 있어 보안에 관한 문제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안 프로토콜도 함께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여전히 인터넷 기반의 공유 업무 공간은 각 사용자들의 권한 분배, 조직 설정의 효율성에 대한 문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공유 플랫폼에서 효율적인 업무 협업을 위한 사용자 및 저장공간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국내특허공보 제10-144867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를 제공한다.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계층 구조를 갖는 조직도에 따라 작업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작업 공간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 및 작업 공간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해, 작업 공간의 콘텐츠 및 작업 공간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관리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만료 기간, 접속 가능한 최대 횟수, 다운로드 가능한 최대 횟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와 다운로드, 변경 및 삭제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권한, 및 콘텐츠에 접근 가능한 링크를 포함하는 공유 작업 정보 및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공유 작업을 수행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가 변경된 경우,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의 변경 전 버전과 별도의 변경 후 버전을 생성하여, 변경 전 버전과 하나의 공유 작업으로 버전관리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를 공유 작업을 수행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개별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횟수()를 총 커뮤니케이션횟수(M)로 나눈 값, 개별 사용자의 트래픽량()을 총 트래픽량(T)으로 나눈 값 및 개별 사용자가 참여한 공유 작업의 수()를 총 공유 작업 수(ST)로 나눈 값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각 곱한 값의 합으로부터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작업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 작업 점수가 높은 순서로 개별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 작업 점수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공유 작업을 수행할 개별 사용자를 결정하고, 콘텐츠를 결정된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는, 산출된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작업 점수에 전체 공유 작업 사용자 수를 곱하여 개별 사용자의 업무 처리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개별 사용자 업무 처리율이 1을 초과하는 경우 개별 사용자는 전체 공유 작업 사용자 중 업무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하고, 산출된 개별 사용자 업무 처리율이 1 이하인 경우 개별 사용자는 전체 공유 작업 사용자 중 업무량이 적은 것으로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를 공유 작업을 수행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콘텐츠의 공유 작업 결과물을 수신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개별 사용자의 협업 데이터 정확도, 작업후 콘텐츠 용량에서 작업전 콘텐츠 용량을 –A 값을 작업후 콘텐츠 용량으로 나눈 값으로 표현되는 개별 사용자 비용 절감 및 개별 사용자 작업시간을 평균 작업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표현되는 개별 사용자 생산성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각 곱한 값의 합으로부터 협업 성취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협업 성취도 점수가 높은 순서로 개별 사용자의 협업 성취도 점수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공유 작업을 수행할 개별 사용자를 결정하고, 콘텐츠를 결정된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는, 개별 사용자의 트래픽량()을 개별 사용자가 각 공유 작업 수행요청의 응답에 소요된 응답시간()의 합으로 나눈 값, 개별 사용자의 협업 데이터 정확도()를 개별 사용자의 생산성과 개별 사용자가 수행한 전체 공유 작업수에서 재수행 요청이 발생한 공유 작업수를 뺀 값을 수행한 전체 공유 작업수로 나눈값으로 표현되는 오류율()의 곱으로 나눈 값 및 개별 사용자가 참여한 공유 작업의 수()를 총 공유 작업 수(ST)로 나눈 값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각 곱한 값의 합으로부터 개별 사용자의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개별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성과 점수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개별 사용자에 대한 업무 성과를 판단하고, 사용자 성과 점수가 가장 높은 사용자에게 그룹생성요청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클라우드 공간 내에서 사용자간의 업무 협업 이력을 추적하고, 이를 분석하여 각 사용자들의 업무량 및 수행 능력을 판단함으로써 효율적인 업무 및 사용자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의 구동 환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a는 조직도에 따른 작업 공간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b는 작업 공간에 따라 사용자를 초대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그룹 생성 요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작업 공유부가 작업을 공유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작업 분석을 통한 작업 공간 활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협업 현황을 나타내는 대시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공유 작업 공간의 용량 증설 신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공유 작업 공간의 콘텐츠 공유 이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공유 콘텐츠에 대한 권한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의 구동 환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100)(이하, '서버'라고 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제공되는 전용 소프트웨어(예: web based S/W, 모바일 및 PC용 애플리케이션 등)를 사용하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서버(100)를 통해 공유콘텐츠데이터베이스에 콘텐츠를 저장 및 편집하여 관리할 수 있고, 관리 권한을 부여하거나 삭제하는 등 권한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 인증, 접속, 콘텐츠의 저장, 수정, 권한 부여 및 변경 등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 수행에 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술한 기능에 제한되지 않고, 서버(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을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공유콘텐츠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을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로서, 사용자의 범주에 따라 서로 다른 권한을 보유함으로써 주체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콘텐츠의 제한을 부여함으로써 객체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콘텐츠에 대한 주도권을 보유한 사용자로서 '호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을 부여받는 사용자로서 '게스트' 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호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직(예: 프로젝트, 사업체, 업무 조직)으로 구분되어 콘텐츠를 제공 또는 관리하는 관리자가 될 수 있으며, 게스트는 호스트가 제공 또는 관리하는 콘텐츠에 대해 접근 및 사용에 대한 권한을 호스트로부터 부여받은 사용자가 될 수 있다.
다만, '호스트'와 '게스트'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상대적인 관계에 따른 분류가 될 수 있으며, 예컨대, 작업 공간 외부의 사용자에게 외부 공유용 링크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작업 공간의 콘텐츠를 공유한 경우, 콘텐츠를 공유한 사용자는 작업 공간을 생성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게스트일 수 있으나, 콘텐츠를 공유 받은 작업공간 외의 사용자에 대해서는 호스트일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로 칭하고, 작업 공간 또는 콘텐츠의 공유를 수행하는 주체의 입장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예로,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공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생성하되, 작업 공간에서 다뤄지는 콘텐츠의 속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예: 프로젝트, 사업체, 업무 조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조직내에서 조직원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그룹장과 그룹원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중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한 그룹장을 포함한 그룹원은 서로 다른 그룹의 그룹원들에 부여된 권한에 무관하게 서로에게 공유된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이 배제될 수 있다.
공유콘텐츠데이터베이스는 클라우드 저장공간을 활용하여 서버(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온-프레미스 형태로 시스템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유콘텐츠데이터베이스는 서버(100)의 일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공유콘텐츠데이터베이스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MMC, eMMC, RS-MMC, micro-MMC 형태의 멀티미디어 카드(multimedia card), SD, mini-SD, microSD 형태의 시큐어 디지털(secure digital) 카드, USB(universal storage bus) 저장 장치, UFS(universal flash storage) 장치,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카드 형태의 저장 장치,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on) 카드 형태의 저장 장치, PCI-E(PCI-express) 카드 형태의 저장 장 치, CF(compact flash) 카드,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및 이들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자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지털 형태로 공유콘텐츠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일련의 디지털 자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공유콘텐츠데이터베이스는 작업 공간에서 공유 작업으로 다뤄질 콘텐츠를 서버(100)의 제어에 의해 콘텐츠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공유된 콘텐츠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협업하여 콘텐츠를 수정 및 변경하는 콘텐츠 관리를 수행하는 작업을 공유 작업이라고 호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저장 및 관리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서버(100)를 통해 공유콘텐츠데이터베이스에 전달되는 콘텐츠의 저장, 콘텐츠 내용 및 권한에 대한 부여 및 수정을 포함하는 관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10)과 서버(100)사이의 사용자 명령에 따른 일련의 동작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사용하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의 접속 요청을 포함하는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기 전에 사용자가 사용자 명령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보유한 사용자인지 확인하고 접속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나면 콘텐츠에 대한 스냅샷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공유콘텐츠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원본 파일에 대한 스냅샷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문서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서버(100)에 업로드된 경우(예: word 또는 ppt 파일), 서버(100)는 공유콘텐츠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된 파일을 저장하기 전 또는 저장하는 동안, 각 콘텐츠의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스냅샷은 특정 시점에 생성한 파일의 복사본으로서 데이터의 백업, 버전 복구 또는 포렌식 복구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스냅샷은 특정 시점의 파일 또는 시스템의 상태를 캡쳐하여 생성될 수 있고, 콘텐츠의 복사본을 생성한 다음 사용자에게 제공된 스냅샷의 변경 사항만 추적하는 방식으로 원본 콘텐츠의 위변조를 방지하면서도 콘텐츠의 변경 사항을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원본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개별 사용자들의 접근을 차단한 다음 저장하고, 콘텐츠의 전송 또는 수정 등 콘텐츠의 사용은 스냅샷 콘텐츠를 제공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스냅샷은 원본 콘텐츠와 동일한 파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미지 포맷으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공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과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플랫폼에 실시간으로 동기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10)에서 편집 또는 생성하는 등 콘텐츠를 관리하거나,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의 작업 공간 내에서 편집 또는 생성 보유 또는 편집하는 등 콘텐츠를 관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과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플랫폼에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동기화 할 수 있다.
도 2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200)(이하, '서버'라고 함)는 작업 공유부(210), 작업 분석부(220) 및 사용자 관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 공유부(210)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을 위하여, 작업 공유를 위한 작업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작업 공간은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서, 생성된 작업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및 하위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간은 다른 작업 공간과 분리되어 관리되며, 여기서 분리는 서로 다른 공유콘텐츠데이터베이스의 사용 또는 다른 저장 공간 사용에 따른 물리적인 분리 또는 공유콘텐츠데이터베이스의 저장공간내 소프트웨어로 구분되는 서로 다른 저장 공간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작업 공간에 속하는 콘텐츠 및 사용자들은 특별한 연결과정 없이는 상호 교류 불가능할 수 있다.
도 3a는 조직도에 따른 작업 공간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작업 공유부(210)는 계층 구조를 갖는 조직도에 따라 작업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작업 공유부(210)는 '기업 A'라는 이름의 작업 공간을 생성하고, 해당 작업 공간을 최상위 그룹으로 설정하여 레벨1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유부(210)는 레벨 1 '기업 A'의 하위 그룹으로 '전략기획팀', '개발팀' 그룹을 생성하고, 레벨 2를 부여할 수 있으며, 레벨 2의 '개발팀'의 하위 그룹으로 레벨 3의 '프론트팀' 및 '백엔드팀'을 생성할 수 있다. 레벨 1 내지 레벨 3으로 구분되는 권한은 해당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및 콘텐츠에 대해 모두 동일한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레벨 및 그룹에 따라 부여된 권한이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공유부(210)는 계층 구조를 갖는 조직도에 따라 작업 공간을 생성하고 나면, 작업 공간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 및 작업 공간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해, 작업 공간의 콘텐츠 및 작업 공간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관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 1은 콘텐츠에 대한 무제한 접근 및 수정 권한과 다른 사용자에 대한 무제한 권한 수정권을 보유할 수 있으나, 레벨 3은 콘텐츠에 대한 단순한 읽기 기능을 보유하고, 다른 사용자에 대해서는 어떤 권한을 부여받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레벨 2의 '전략기획팀' 및 '개발팀'은 모두 레벨 2로 동일한 등급이지만, 그룹의 성격에 따라 '전략기획팀'에 속하는 사용자는 '개발팀'에 속하는 콘텐츠에 대한 무제한 접근 및 수정 권한과 다른 사용자에 대한 무제한 권한 수정권을 보유할 수 있으나, '개발팀'에 속하는 사용자는 '전략기획팀'에 속하는 콘텐츠 및 사용자에 대한 어떤 권한을 부여받지 못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동일한 레벨에 속하는 그룹 상호간의 콘텐츠 및 사용자는 서로에게 어떤 권한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
도 3b는 작업 공간에 따라 사용자를 초대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면, 작업 공유부(210)는 조직도에 따라 생성된 작업 공간에 사용자를 초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공유부(210)는 생성된 조직도에 따라 사용자를 초대하되, 각 사용자의 이름, 이메일, 소속조직, 직위 및 직급, 부여할 권한, 연락처, 아이디, 비밀번호 및 각 사용자에 대해 할당된 작업 공간의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지정하여 조직도에 따라 각 그룹에 사용자를 초대할 수 있으며, 작업 공유부(210)는 사용자 초대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소속조직은 작업 공유부(210)에 따라 생성된 작업 공간에 포함되는 하위 그룹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소속 조직을 결정하지 않은 경우 '미선택'을 항목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권한은 콘텐츠 및 다른 사용자에 대한 권한으로서, 예컨대, '사용자' 권한은 자신이 속한 조직내의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며, 다른 사용자에 대한 권한이 배제된 권한일 수 있으며, '관리자' 권한은 자신이 속한 조직내외의 접근 권한을 가지며, 다른 사용자에 대한 권한(예: 초대, 차단 및 추방)을 포함하는 권한일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권한은 자신이 속하지 않은 조직의 콘텐츠 및 사용자에 대한 모든 권한을 포함을 권한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작업 공유부(210)는 콘텐츠에 대한 권한으로, 콘텐츠의 업로드, 다운로드, 공유, 링크생성, 이동, 이름 변경, 검색, 세부정보, 삭제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권한, 및 사용자에 대한 권한으로 다른 사용자에 대한 콘텐츠 관리 권한 부여 및 변경 권한 부여 여부, 초대, 차단, 삭제 등 사용자에 대한 관리 권한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 4는 그룹 생성 요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작업 공유부(210)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그룹 생성 및 용량 요청에 따라, 요청의 승인 여부에 대한 심사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공유부(21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을 통한 작업 공간내의 그룹 생성 및 용량 요청을 하는 그룹생성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 그룹명, 사용기간, 그룹이 사용할 데이터 용량, 보안 등급 및 기타 사항을 기재할 수 있는 생성요청을 작성하여 작업 공유부(210)에 전송할 수 있다.
작업 공유부(210)는 사용자의 그룹생성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의 그룹생성요청에 따라 작업 공간의 설정에 대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심사에 따라 해당 요청의 수락 여부에 대한 심사를 하여 사용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공유부(210)는 관리자의 승인에 의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는데, 관리자는 작업 공간에 대해, 콘텐츠 및 사용자에 대한 모든 권한을 가진 사용자로서, 예컨대, 최초 작업 공유부(210)에 대해 작업 공간 생성을 요청한 사용자일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의 권한 분배 또는 이전에 따른 사용자일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룹생성요청권한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성과 점수가 높은 사용자에게 사용자 관리부(230)에서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부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룹생성 요청권한을 보유한 사용자는 스스로 그룹생성요청에 따라 작업 공간 또는 작업공간 내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의 그룹생성요청의 승인 여부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요청이 승인되면, 관리자 등급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추가 설정을 통해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부여된 권한에 대해 각 사용자에게 알림 및 이메일 발송을 통해 알릴 수 있다.
또한, 작업 공유부(210)는 사용자의 그룹생성요청을 수신하면, 관리자 등급의 사용자의 심사에 따라 작업 공간에 대한 사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는 사용 요청을 반려할 수 있다. 이때, 작업 공유부(210)는 반려 사유에 대해 그룹생성요청자에게 반려 사유를 알릴 수 있다.
작업 공유부(210)는 생성된 작업 공간내의 콘텐츠에 따라, 각 사용자에게 작업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작업 공간내에 레벨 1 '기업 A'의 하위 그룹으로 레벨 2의 '전략기획팀', '개발팀' 그룹, 레벨 2의 '개발팀'의 하위 그룹으로 레벨 3의 '프론트팀' 및 '백엔드팀'의 그룹이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작업 공유부가 작업을 공유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작업 공유부(210)는 작업 공간의 내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작업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공유부(210)는 작업 공간의 권한 레벨 1, 2, 3에 속하는 각 그룹 또는 각 그룹의 사용자에게 콘텐츠(예: 결재 문서)를 공유하여 사용자들의 공유 작업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유부(210)는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만료 기간, 접속 가능한 최대 횟수, 다운로드 가능한 최대 횟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다운로드, 변경 및 삭제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권한, 및 해당 콘텐츠에 접근 가능한 링크(예: URL)를 포함하는 공유 작업 정보 및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공유 작업을 수행할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유부(210)는 작업공간 외부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작업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공유부(210)는 작업을 공유할 대상의 이메일, 휴대전화 번호, SNS ID, 성명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외부의 사용자를 특정하고, 외부 사용자를 대상으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작업 공유부(210)는 작업을 공유할 때, 해당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만료 기간, 접속 가능한 최대 횟수, 다운로드 가능한 최대 횟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다운로드, 변경 및 삭제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권한, 및 해당 콘텐츠에 접근 가능한 링크(예: URL)를 선택하여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공유된 작업 또는 콘텐츠에 대해 작업 공유부(210)는 공유 작업의 결과로서 콘텐츠에 대한 타임라인과 버전관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공유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한 공유 작업으로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가 수정 또는 변경된 경우,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의 변경 전 버전과 별도의 변경 후 버전을 생성하여, 변경 전 버전과 하나의 공유 작업으로 버전관리 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가 다수 수정 또는 변경에 따라 버전 번호를 달리하여 저장하여, 하나의 공유 작업으로 버전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유부(210)는 생성된 공유 작업에 따른 콘텐츠의 수정 또는 변경에 따른 버전 관리를 하나의 집합으로 묶어 타임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타임라인의 최상단은 시간적으로 가장 최근의 수정 또는 변경된 버전을 노출시킴으로써, 공유 작업 및 콘텐츠에 접근하는 사용자에 대한 가시성을 증대시키고, 연결된 파일을 사용하여 손쉽게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6은 작업 분석을 통한 작업 공간 활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작업 분석부(220)는 작업 공간과 콘텐츠, 공유 작업 및 작업 공간 내외부의 사용자를 분석하여 작업 공간 활용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작업 공간의 사용자는 작업 공간의 각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로서 호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및 작업 공유부(210)를 통해 작업을 공유 받은 외부의 사용자로서 게스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분석부(220)는 작업 공간의 전체 용량 대비 사용 용량, 현재 작업 공간에서 발생되는 트래픽량, 총 사용자 수(예: 총계정, 활성 계정, 비활성 계정 및 휴면 계정의 수), 기능 요청(예: 사용자의 가입 요청, 용량 증설 요청, 그룹 생성 요청 및 그 승인과 반려 수 등), 조직도 및 그룹별 활동 정보로서 데이터 공간 사용량, 다운로드 횟수, 업로드 횟수 및 공유 횟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직 및 그룹별 활동량에 따른 정량적 지표와 그에 기초한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공유 작업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 분석부(220)는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작업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작업 점수는 작업 공간내에 활동중인 사용자들의 작업 공간내 활성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아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는 사용자 k의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작업 점수(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core)를 의미하고 최대 1의 값을 가지며, M은 총 커뮤니케이션 횟수, 는 사용자 k의 커뮤니케이션 횟수, T는 총 트래픽량, 는 사용자 k의 트래픽량, ST는 총 공유 작업(Shared Task) 수, 는 사용자 k가 생성 또는 참여한 공유 작업의 수를 의미하고, w1 내지 w3은 각 요소에 대한 가중치로서 총 합은 1이다. 다시 말하면,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작업 점수는 개별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횟수()를 총 커뮤니케이션횟수(M)로 나눈 값, 개별 사용자의 트래픽량()을 총 트래픽량(T)으로 나눈 값 및 개별 사용자가 참여한 공유 작업의 수()를 총 공유 작업 수(ST)로 나눈 값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각 곱한 값의 합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작업 공유부(210)는 산출된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 작업 점수가 높은 순서로 개별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 작업 점수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공유 작업을 수행할 개별 사용자를 결정하고, 콘텐츠를 상기 결정된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공유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 작업 점수가 높은 개별 사용자에게 공유 작업을 우선 배정함으로써 전체 업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커뮤니케이션 횟수는 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의 총량으로서 공유 작업과 관련하여 작업 공간 내에서 사용자 사이에 주고 받은 메시지 및 콘텐츠에 대해 남긴 코멘트로서 공유 작업을 수행하는 당사자가 자신과 다른 사용자를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 목적으로 남긴 모든 메시지들을 포함하며, 메시지의 송신과 수신이 있는 경우 개별적으로 카운팅 될 수 있다.
또한, 트래픽량은 사용자가 공유 작업을 진행하며 발생시킨 트래픽량으로서 사용자가 공유 작업에 대한관여, 메시지 발송 또는 콘텐츠의 수정 및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모두 포함하여, 특정 공유 작업에 대해 발생시킨 모든 종류의 트래픽량을 의미한다.
일 예로, 일간 총 커뮤니케이션 횟수 M 50건이고, 일간 사용자 k의 커뮤니케이션 횟수 는 5건, 일간 총 트래픽량 T는 300Mb, 일간 사용자 k의 트래픽량 는 60Mb, 총 공유 작업(Shared Task) 수 ST는 30건이고, 사용자 k가 생성 또는 참여한 공유 작업의 수 는 6이며, 각 요소에 대한 가중치 w1은 0.3, w2는 0.3, w3은 0.4일 때,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작업 점수는 아래와 같이 산출된다.
즉, 일간 사용자 k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작업 점수는 0.17이므로, 전체 공유 작업의 약 17%에 해당하는 활성도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분석부(220)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공유 작업을 수행하는 각 사용자의 업무 과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사용자 업무 처리율(User Task Processing ratio), 는커뮤니케이션 및 공동작업 점수이다. 즉, 는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작업 점수에 전체 공유 작업 사용자 수를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이 1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k는 전체 공유 작업 사용자 중 업무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될 수 있으며, 1 이하인 경우 사용자 k는 전체 공유 작업 사용자 중 업무량이 적은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전체 공유 작업 사용자란, 생성된 작업 공간 내의 모든 사용자를 의미한다.
앞서 산출한 (0.17)에 대해 전체 공유 작업 사용자수가 6명인 경우 은 1.02로 사용자 k는 적절한 업무를 분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될 수 있지만, 전체 공유 작업자 수가 10명인 경우 는 1.7로 사용자 k의 업무량이 과다한 것으로 분석되며, 전제 공유 작업자 수가 2명인 경우 은 0.34로 사용자 k의 업무량이 적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 분석부(220)는 공유 작업을 수행하는 각 사용자들에 대한 업무량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지표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공유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업무 협업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분석부(220)는 협업 성취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협업 성취도 점수는, 협업에 따라 다른 사용자 및 업무에 대해 실질적으로 기여한 점수를 의미하며,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는 사용자 k의 협업 성취도 점수(Collaboration achievement score), 는 사용자 k의 협업 데이터 정확도(Date Accuracy) 점수, 는 사용자 k의 비용 절감(Cost Saving), 는 사용자 k의 생산성(Productivity)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정확도 점수는 협업의 결과물이 얼마나 요구사항에 정확하게 일치하여 완결되었는지 판단하는 척도로서, 공유된 콘텐츠를 통해 협업이 이뤄지고, 최종적으로 공유된 콘텐츠의 공유 작업 결과물을 수신하거나, 최종 결재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값일 수 있으며, 0~10 사이의 값을 갖고, 값이 클수록 정확도 높은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비용 절감은 사용자가 공유된 업무를 진행하며 작업 공간에서 발생시킨 콘텐츠 용량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는 작업 후 콘텐츠 용량에서 작업전 콘텐츠 용량을 뺀 값을 작업후 콘텐츠 용량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작업 전 콘텐츠 용량이 작업후 콘텐츠 용량보다 큰 경우 는 음수로 표현된다. 이에 따라, 한정된 작업 공간의 용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공유 작업의 결과물을 진행 정도를 정성적 검토 없이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성은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즉, 생산성은 콘텐츠가 공유되어 완료될때까지 업무가 진행된 총 시간을, 해당 업무에 관여한 사용자의 수로 나누어 평균 작업 시간을 산출하고, 그 중 사용자 k의 작업시간을 앞서 산출된 평균 작업 시간으로 나눔으로써, 사용자 k가 해당 협업 업무를 얼마나 효율적인 시간으로 완결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각 요소에 적용되는 가중치 w4, w5, w6는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고, 그 합이 1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협업 데이터의 정확도에 적용되는 가중치 w4는 w5과 w6의 합보다 적어도 크거나 같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업무의 성격에 따라, 비용 절감 및 생산성의 산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협업 데이터의 정확도로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k의 협업 데이터의 정확도 는 8이라 가정하고, 작업전 콘텐츠 용량이 10Mb이고, 작업 후 콘텐츠 용량이 14Mb인 경우 사용자 k의 비용 절감 는 40, 사용자 k의 작업시간이 300s이고, 평균 작업 시간이 150s인 사용자k의 생산성 는 20인 경우를 가정하고, 각 요소에 대한 가중치 w4는 0.5, w5는 0.2, w6는 0.3인 경우, 협업 성취도 점수는 아래와 같이 산출된다.
협업 성취도 점수는 그 값이 높을수록 사용자 k가 공유 작업에 대해 주관적 관점에서 높은 완성도에 따른 공유 작업을 한 것으로 분석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값, 예컨대, 20을 기준으로 그 미만인 경우 업무 효율이 좋지 못한것으로 분석하고, 20 이상인 경우 업무 효율이 좋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만, 미리 정해진 임계값은 각 요소에 적용되는 가중치(예: w4 내지 w6)의 조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7은 협업 현황을 나타내는 대시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작업 분석부(220)는 작업 공간 내에서 공유된 작업들에 대해 진행 및 협업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분석부(220)는 공유된 작업의 개수, 공유된 작업의 이름 및 진행 현황, 공유된 작업에 관여된 사용자, 각 사용자의 소속 부서, 및 공유된 작업의 진행률 및 생성된 커뮤니케이션 이력을 분석하여 대시보드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들의 협업 지표로서, 커뮤니케이션 횟수, 각 사용자가 공유 작업에 얼마나 많은 비율로 참여하고 있는지 나타내는 참여율, 공유 작업의 완료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완결된 공유 작업에 대한 정확도를 표시하여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 내에서 진행되는 공유 작업의 완성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분석부(220)는 보안 및 규정 준수 지표로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에서 지정한 보안 규정에 대해 각 사용자들의 준수 여부 및 데이터 프라이버시 준수 여부에 대한 지표를 표시하여 클라우드 데이터 공간 내에서 보안 프로토콜 및 지침이 얼마나 준수되고 있는지 표시하고, 보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공유 작업 공간의 용량 증설 신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공유 작업을 진행하며 공유 작업 공간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작업 분석부(220)에 공유 공간의 용량 증설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작업 분석부(220)는 공유 작업을 진행중인 그룹명, 해당 그룹의 공유 작업 공간 사용 기간 및 사용 용량, 해당 저장 공간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보안 등급과 해당 공유 작업 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및 사용자의 권한(예: 관리자 또는 일반 사용자 등)을 지정하여 용량을 증설할 수 있다.
도 9는 공유 작업 공간의 콘텐츠 공유 이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공유 작업으로서, 특정 프로젝트가 공유 공유된 경우, 작업 분석부(220)는 공유 작업을 위해 공유된 콘텐츠명, 공유 조직, 그룹 및 사용자를 포함하는 공유 대상, 공유자, 공유 콘텐츠에 접근 가능한 경로가 포함된 URL, 공유 콘텐츠에 접근 가능한 암호, 공유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업로드 및 수정을 포함하는 관리 권한, 최대 접속 횟수 및 다운로드 횟수와 공유 콘텐츠의 공유 만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에 따라, 공유 대상에게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0은 공유 콘텐츠에 대한 권한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 분석부(220)는 콘텐츠를 공유할 때, 해당 콘텐츠에 대한 최대 접속횟수, 최대 다운로드 횟수 및 공유 만료일을 설정하여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접속 회수 및 다운로드 횟수가 각 10회로 설정되어 공유된 콘텐츠는 접속 또는 다운로드 횟수가 10회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 공유 콘텐츠에 접속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없게 되며, 접속 또는 다운로드 횟수가 10회 미만이라고 하더라도 만료일을 경과하게 되면, 해당 콘텐츠에는 접속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통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콘텐츠가 공유되게 함으로써 보안을 확보하고, 업무 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관리부(230)는 작업 분석부(220)의 작업 분석 결과에 따라 각 사용자들의 업무 활동량을 산출하여 사용자들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사용자 k의 성과 점수(User performance score), 는 사용자 k의 트래픽량, 는 사용자k가 각 공유 작업 수행요청의 응답에 소요된 응답시간(Response Time), 사용자 k의 협업 데이터의 정확도(Date Accuracy), 는 사용자 k의 생산성(Productivity), 은 사용자 k의 오류율(Error rate)을 의미하고, ST는 총 공유 작업(Shared Task) 수, 는 사용자 k가 생성 또는 참여한 공유 작업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w7 내지 w9는 각 요소에 부여되는 가중치로서 이들의 합은 1이 될 수 있다.
즉, 사용자 관리부(230)는 개별 사용자의 트래픽량()을 개별 사용자가 각 공유 작업 수행요청의 응답에 소요된 응답시간()의 합으로 나눈 값, 개별 사용자의 협업 데이터 정확도()를 개별 사용자의 생산성과 개별 사용자가 수행한 전체 공유 작업수에서 재수행 요청이 발생한 공유 작업수를 뺀 값을 수행한 전체 공유 작업수로 나눈값으로 표현되는 오류율()의 곱으로 나눈 값 및 개별 사용자가 참여한 공유 작업의 수()를 총 공유 작업 수(ST)로 나눈 값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각 곱한 값의 합으로부터 개별 사용자의 성과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성과 점수는 사용자가 공유 작업을 수행하면서 생성한 트래픽 총량에 대해, 사용자의 각 작업 수행 요청의 응답에 소요된 응답 시간의 총합을 나눈 값에 비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작업 수행 요청의 응답에 소요된 응답 시간은 사용자 k가 자신에게 공유 작업이 할당된 시각(t0)으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으로써 업무에 착수한 시각(t1)까지의 시간, 다른 사용자 j가 사용자 k에게 코멘트를 남긴 시각(t3)로부터 사용자 k가 이를 확인한 시각(t4)과 같이, 공유 작업에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시간을 제외하고, 사용자가 자신에게 할당된 업무 및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응답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대응에 착수하기까지 소요된 시간의 총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할당된 업무에 대해 얼마나 신속하게 반응하는지를 설명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또한, 오류율은 사용자의 공유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업무상의 오류로서 사용자가 공유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업무 재수행 요청이 발생한 경우 및 사용자의 공유 작업 수행이 미리 정해진 기간을 초과하여 수행된 경우, 정해진 업무수행 기간 대비 지연된 기간 및 횟수에 따라 오류율을 산출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오류율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간 사용자 k의 트래픽량 는 60Mb, 일간 사용자 k의 각 작업의 수행에 소요된 응답시간 는 300s, 사용자 k의 협업 데이터의 정확도 는 8, 사용자 k의 생산성 는 20, 사용자 k의 오류율 은 5%, 총 공유 작업수 ST는 30, 사용자 k가 생성 또는 참여한 공유 작업의 수 는 6이며, w7은 0.3, w8은 0.4 및 w9는 0.3인 경우, 는 아래 수학식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산출된 성과점수 는 사용자의 트래픽량 대비 응답시간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작업 공간에서의 업무량과 업무 집중도를 반영하고, 협업 데이터의 정확도는 정성적 평가에 따른 정확도를 의미하고, 생산성에 대한 오류율의 곱은 정량적 요소에 의한 업무 효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협업 데이터의 정확성 대비 정량적 요소에 의한 업무 효율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객관적 업무 효율을 반영한다. 또한, 사용자의 공유 작업수 대비 전체 공유 작업수를 통해 사용자의 업무 강도를 반영할 수 있다.
산출된 성과점수 은 미리 정해진 임계값(예: 0.3)을 초과하는 경우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는 담당 업무대비 낮은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관리부(230)는 작업 공간내 개별 사용자들에 대한 산출된 사용자 성과 점수(UPS)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개별 사용자들에 대한 업무 수행 성과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230)는 사용자 성과 점수가 가장 높은 사용자에게 그룹생성요청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유 업무에서 성과가 높은 사용자는 자체적인 그룹 생성 요청 권한을 부여 받아, 별도의 프로젝트 내지 팀을 구성하거나, 자신이 관리하는 공유 작업 공간을 생성할 수 있어, 업무 진행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직장 내지 관리자 등급의 사용자는 현재 작업 공간내 또는 링크를 통한 외부의 사용자들의 작업 성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111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0)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120) 및 저장 장치(1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1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 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 (1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150), 저장 장치(1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1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 1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계층 구조를 갖는 조직도에 따라 작업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 공간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 및 상기 작업 공간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작업 공간의 콘텐츠 및 상기 작업 공간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관리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만료 기간, 접속 가능한 최대 횟수, 다운로드 가능한 최대 횟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와 다운로드, 변경 및 삭제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권한, 및 상기 콘텐츠에 접근 가능한 링크를 포함하는 공유 작업 정보 및 상기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상기 공유 작업을 수행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가 변경된 경우, 상기 공유 작업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의 변경 전 버전과 별도의 변경 후 버전을 생성하여, 변경 전 버전과 하나의 공유 작업으로 버전관리 하는 단계;
    개별 사용자의 트래픽량()을 상기 개별 사용자가 각 공유 작업 수행요청의 응답에 소요된 응답시간()의 합으로 나눈 값, 상기 개별 사용자의 협업 데이터 정확도()를 상기 개별 사용자의 생산성과 개별 사용자가 수행한 전체 공유 작업수에서 재수행 요청이 발생한 공유 작업수를 뺀 값을 수행한 전체 공유 작업수로 나눈값으로 표현되는 오류율()의 곱으로 나눈 값 및 상기 개별 사용자가 참여한 공유 작업의 수()를 총 공유 작업 수(ST)로 나눈 값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각 곱한 값의 합으로부터 상기 개별 사용자의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개별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성과 점수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개별 사용자에 대한 업무 성과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과 점수가 가장 높은 사용자에게 그룹생성요청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성과 점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과 점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낮은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공유 작업을 수행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개별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횟수()를 총 커뮤니케이션횟수(M)로 나눈 값, 상기 개별 사용자의 트래픽량()을 총 트래픽량(T)으로 나눈 값 및 상기 개별 사용자가 참여한 공유 작업의 수()를 총 공유 작업 수(ST)로 나눈 값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각 곱한 값의 합으로부터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작업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 작업 점수가 높은 순서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 작업 점수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공유 작업을 수행할 상기 개별 사용자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결정된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산출된 상기 커뮤니케이션 및 공동작업 점수에 전체 공유 작업 사용자 수를 곱하여 개별 사용자 업무 처리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개별 사용자 업무 처리율이 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개별 사용자는 전체 공유 작업 사용자 중 업무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하고,
    산출된 상기 개별 사용자 업무 처리율이 1 이하인 경우 상기 개별 사용자는 전체 공유 작업 사용자 중 업무량이 적은 것으로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
  4. 청구항 1에서,
    상기 콘텐츠를 상기 공유 작업을 수행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공유 작업 결과물을 수신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개별 사용자의 협업 데이터 정확도, 작업후 콘텐츠 용량에서 작업전 콘텐츠 용량을 –A 값을 작업후 콘텐츠 용량으로 나눈 값으로 표현되는 개별 사용자 비용 절감 및 개별 사용자 작업시간을 평균 작업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표현되는 개별 사용자 생산성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각 곱한 값의 합으로부터 협업 성취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협업 성취도 점수가 높은 순서로 상기 개별 사용자의 협업 성취도 점수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공유 작업을 수행할 상기 개별 사용자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결정된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5. 삭제
KR1020230064842A 2023-05-19 2023-05-19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 KR10261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842A KR102615026B1 (ko) 2023-05-19 2023-05-19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842A KR102615026B1 (ko) 2023-05-19 2023-05-19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026B1 true KR102615026B1 (ko) 2023-12-27

Family

ID=8937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842A KR102615026B1 (ko) 2023-05-19 2023-05-19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0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672B1 (ko) 2014-02-25 2014-10-15 (주)비즈머스 컨텐츠 협업을 위한 반-폐쇄형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스템
KR20150114530A (ko) * 2013-03-15 2015-10-1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모바일 디바이스 그룹 간의 정보의 동기화 및 협업
KR20180105897A (ko) * 2017-03-16 2018-10-01 윤형석 그룹 간의 정보 협업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2195629B1 (ko) * 2020-06-30 2020-12-28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에서의 작업 능력 지수에 기반한 작업자 선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530A (ko) * 2013-03-15 2015-10-1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모바일 디바이스 그룹 간의 정보의 동기화 및 협업
KR101448672B1 (ko) 2014-02-25 2014-10-15 (주)비즈머스 컨텐츠 협업을 위한 반-폐쇄형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스템
KR20180105897A (ko) * 2017-03-16 2018-10-01 윤형석 그룹 간의 정보 협업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2195629B1 (ko) * 2020-06-30 2020-12-28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에서의 작업 능력 지수에 기반한 작업자 선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72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social productivity using relevancy scoring
US20180107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enterprise adoption of a web-based collaboration environment
US9054919B2 (en) Device pinning capability for enterprise cloud service and storage accounts
US9600342B2 (en) Managing parallel processes for application-level partitions
CN104380261A (zh) 本地支持的基于云端的存储
US10452667B2 (en) Identification of people as search results from key-word based searches of content in a cloud-based environment
US1147481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gile development
US20170193448A1 (en) Mixed collaboration teams
JP7035105B2 (ja) 情報共有トラッキング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20200278975A1 (en) Searching data on a synchronization data stream
US20230410053A1 (en) Discoverable collaboration teams
US20140101094A1 (en) Enhanced quick search features, low-barrier commenting/interactive features in a collaboration platform
JP2016520900A (ja) オンライン共有のためのクラウドサービスの統合
US8103559B2 (en) Maintenance of group shared inventories in a virtual universe
US8793213B2 (en) Embedded data marts for central data warehouse
US20140289626A1 (en) Cloud based audio recording system
US202100197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across groups
KR102615026B1 (ko)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업무 협업 플랫폼 운영 서버
US2021021670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collaborative editing of content
US9525687B2 (en) Template for customer attributes
CN112219190A (zh) 用于实时环境的动态计算资源指派和可扩展计算环境生成
US9298517B2 (en) Exclusive control request allocation method and system
JP6029117B2 (ja) ソースコードの共有を支援する装置及び方法
RU2656739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CA31012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entralized information mining of online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