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962B1 - Grouped hole insp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Grouped hole inspe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962B1
KR102614962B1 KR1020230022769A KR20230022769A KR102614962B1 KR 102614962 B1 KR102614962 B1 KR 102614962B1 KR 1020230022769 A KR1020230022769 A KR 1020230022769A KR 20230022769 A KR20230022769 A KR 20230022769A KR 102614962 B1 KR102614962 B1 KR 102614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pection device
holes
measuring
hol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7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진
손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디오토메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디오토메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디오토메이션
Priority to KR102023002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9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9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01B5/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between a succession of regularly spaced objects or regularly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34Ring or other apertured gauges, e.g. "go/no-go"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01B5/0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using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 G01B5/012Contact-making feeler head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대상체에서 상기 홀의 불량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는 다공홀 검사장치로서, 상기 대상체에 상기 홀의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일부가 상기 감지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홀 외부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홀 내부의 측정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측정유닛을 서로 연결하고, 각각의 상기 측정유닛이 동시에 상기 측정위치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입환유닛을 포함한다.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that includes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in the holes in an object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unit and capable of moving from an initial position outside the hole to a measuring position inside the hole, and a shunt connecting the measuring units to each other and allowing each measuring unit to move to the measuring position simultaneously. Contains units.

Description

다공홀 검사장치 {GROUPED HOLE INSPECTION DEVICE}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GROUPED HOLE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다공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체에 다수개 홀을 그룹으로 지정하고, 그룹핑된 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홀이 불량일 경우 상술한 그룹의 불량을 확인하기 위한 다공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specify a plurality of holes in an object as a group, and to confirm defects in the above-mentioned group when at least one hole among the grouped holes is defective. It is about inspection equipment.

일반적으로 홀 검사장치는 대상체에 형성된 홀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Generally, a hole inspection device is used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ole formed in an object.

그러나 대상체에 형성된 홀이 많은 경우 종래의 다공홀 검사장치는, 간접센서 도그와 같이 외부에서 홀로 진입하거나 후퇴하는 측정유닛을 홀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하고, 리미트센서와 같이 측정유닛의 개수에 대응되게 불량의 유무를 확인하는 확인유닛을 측정유닛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re are many holes formed in the object, the conventional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is equipped with measurement units that enter or retreat into the hole from the outside, such as an indirect sensor dog,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holes, and a measurement unit that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measurement units, such as a limit senso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confirmation unit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had to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measurement unit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다공홀 검사장치는, 포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nclud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대상체에서 상기 홀의 불량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는 다공홀 검사장치로서, 상기 대상체에 상기 홀의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홀 외부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홀 내부의 측정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측정유닛; 및 일측이 상기 감지유닛과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측정유닛을 서로 연결하고 각각의 상기 측정유닛이 동시에 상기 측정위치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입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including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in the holes in an object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 measurement unit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holes and capable of moving from an initial position outside the hole to a measurement position inside the hole; And one side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and may include a shunt unit provided to connect the measurement units to each other and move each of the measurement units to the measurement position at the same time.

상기 입환유닛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홀이 불량인 경우, 연결된 상기 측정유닛을 상기 초기위치 방향으로 동시에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감지유닛이 상기 홀의 불량을 감지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holes is defective, the shunt unit simultaneously retracts the connected measuring unit toward the initial position, thereby enabling the sensing unit to detect the defect in the hole.

상기 입환유닛은, 상기 홀의 배열에 따라 상기 측정유닛을 배열하고, 상기 측정유닛에 균등하게 힘을 전달하는 프레임; 및 배열된 상기 측정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측정유닛을 서로 연결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측정유닛이 후퇴될 때 연결된 상기 감지유닛으로 힘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unt unit includes a frame that arranges the measuring unit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and transmits force evenly to the measuring units; and a wire that penetrates the arrayed measuring units to connect the measuring units to each other and transmits force to the connected sensing unit when the measuring unit is retracted by an external force.

감지유닛은, 상기 입환유닛에 의해 기설정된 상기 홀의 그룹별로 불량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The detection unit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for each group of holes preset by the switching unit.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측정유닛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기준축을 기준으로 틸딩되는 제한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limiting member tilt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axis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easuring unit to which the wire may be connected.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제한부재가 상기 기준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범위를 벗어나게 틸팅되면 상기 그룹의 불량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detect a defect in the group when the limiting member is tilted beyond a preset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axis.

상기 입환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측정유닛에 연결되어 후퇴된 상기 측정유닛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un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fixed to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measuring unit to restore the retreated measuring unit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입환유닛은, 상기 대상체의 어느 한 평면에서 일직선을 따라 배열된 상기 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측정유닛을 배열할 수 있다.The shunting unit may arrange the measuring unit to correspond to the hole arranged along a straight line in any one plane of the objec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측정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유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may further include a hold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measuring units and connected to the wire to maintain tension of the wire.

구체적으로 상기 유지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평판으로 마련되어 상기 측정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안착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되, 상기 끝단은 연결된 상기 와이어를 상기 프레임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밴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lding unit includes a seating member provided as a flat plat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so as to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frame and disposed between the measuring units; And a connecting member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member and has an end connected to the wire, the end of which is bent to pull the connected wire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there is.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공홀 검사장치는, 대상체에 다수개의 홀을 그룹으로 지정하고 해당 그룹의 불량 유무만을 확인하므로, 간접센서 도그와 같은 측정유닛을 다수개 사용하더라도 리미트센서와 같은 확인 유닛을 다수개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품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감축할 수 있으며, 구조 변경의 제한이 적어 다양한 대상에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designates a plurality of holes in the object as a group and checks on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in the group, so even if multiple measurement units such as indirect sensor dogs are used, the limit sensor and There is no need to use multiple of the same confirmation units, which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lighter products,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because there are fewer restrictions on structural change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전체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홀 검사를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입환유닛의 일례를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입환유닛이 측정유닛 사이에 마련된 유지유닛에 연결되는 변형예를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장력유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대상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에서 일방향으로 배열되되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홀의 그룹을 갖는 대상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에서 폐곡선을 따라 형성된 홀의 그룹을 갖는 대상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에서 곡면을 따라 형성된 홀의 그룹을 갖는 대상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 above-described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ct arrangement and means shown.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aspects of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hole inspection of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hunting unit of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shunting unit of 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holding unit provided between measuring units;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nsion maintenance unit of 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object of 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n object having groups of holes arranged in one direction but having different heights in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n object having a group of holes formed along a closed curve in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n object having a group of holes formed along a curved surface in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 accordingly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전체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홀 검사를 설명하기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입환유닛의 일례를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입환유닛이 측정유닛 사이에 마련된 유지유닛에 연결되는 변형예를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장력유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의 대상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에서 일방향으로 배열되되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홀의 그룹을 갖는 대상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에서 폐곡선을 따라 형성된 홀의 그룹을 갖는 대상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에서 곡면을 따라 형성된 홀의 그룹을 갖는 대상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de of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ole inspection of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hunting unit of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shunting unit of 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hold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measuring units, and FIG. 6 is a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tension maintenance unit of 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Figure 7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object of 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8 to 9 are diagra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n object having a group of holes arranged in one direction but having different heights in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n object having a group of holes formed along a closed curve, and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n object having a group of holes formed along a curved surface in 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for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10)는 감지유닛(200)을 통해 다수개의 홀(H)이 형성된 대상체(S)에서 홀(H)의 불량 유무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며, 크게 측정유닛(100), 입환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hole (H) in an object (S)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H) are formed through the sensing unit 200. It is provided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fect and may largely include a measurement unit 100 and a shunt unit 300.

여기서 홀(H)이 형성된 대상체(S)의 형상, 재질 등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감지유닛(200) 또한 홀(H)의 불량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면 감지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Here, the shape, material, etc. of the object S on which the hole H is formed may vary, which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nsing unit 200 can als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fect in the hole H. If so, the detection method may vary, so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감지유닛(200)은 측정유닛(100)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기준축을 기준으로 틸딩되는 제한부재가 마련된 리미트 센서일 수 있으며, 제한부재에 후술할 입환유닛(300)의 와이어(301)가 연결될 수 있다.However, for more detailed explanation, if an example is given, the sensing unit 200 may be a limit sensor provided with a limiting member that is tilted relative to a reference axis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easuring unit 100, and the limiting member has a shunt as described later. The wire 301 of the unit 300 may be connected.

이때 감지유닛(200)은, 제한부재가 상술한 기준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범위를 벗어나게 틸팅되면 홀(H)의 불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200 may be provided to detect a defect in the hole (H) when the limiting member is tilted beyond a preset angle rang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axis.

또한 감지유닛(200)은 내부에 제어모듈과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홀(H)의 불량유무를 판별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10)가 별도의 제어유닛 및 통신유닛을 포함하여 감지유닛(200)이 감지한 데이터를 통해 홀(H)의 불량유무를 판별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도록 마련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200 may be equipped with a control module and a communication module inside to determine whether the hole (H) is defective and notify the manager thereof. In contrast, the porous hole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device 10 includes a separate control unit and communication unit and i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 hole (H) is defective through data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200 and notify the manager of this, all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hat it belongs.

여기서 감지유닛(200)의 틸팅 범위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지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한부재는 상술한 기준축을 기준으로 14° 내지 18°를 초과하는 경우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간편할 것이다.Here, the tilting range of the sensing unit 200 may vary and it is natural that the range of rights is not limited due to this, but for more detailed explanation, if an example is given, the limiting member is 14° to 14°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axis. It would be simple to design it to operate beyond 18°.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10)는 이송유닛(500), 안착유닛(600)을 더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송유닛(500)에는 상술한 감지유닛(200)과 입환유닛(300)이 연결되고, 입환유닛(300)에는 측정유닛(100)이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fer unit 500 and a seating unit 600, and the transfer unit 500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 sensing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a shunt unit 300, and a measurement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hunt unit 300.

또한 이송유닛(500)은 대상체(S)가 안착되는 안착유닛(600)을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ransfer unit 500 may be arranged around the seating unit 600 on which the object S is seated.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500)이 임의의 위치에서 안착유닛(600)에 안착된 대상체(S)의 홀(H)을 향해 이동하게 되면 측정유닛(100)이 대상체(S)의 홀(H) 외부의 초기위치에서 홀(H) 내부의 측정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송유닛(500)이 이동한 반대방향으로 복귀하면서 측정유닛(100)이 대상체(S)의 홀(H) 외부의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transfer unit 500 moves toward the hole (H) of the object (S) seated on the seating unit (600) at a random position, the measuring unit (100) moves to the hole (H) of the object (S). It can be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outside the hole (H) to the measurement position inside the hole (H), and as the transfer unit 500 return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measurement unit 100 moves to the hole (H) of the object (S).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outside.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측정유닛(100) 및 입환유닛(300)을 자세하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measurement unit 100 and the shunt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유닛(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입환유닛(300)에 연결되어 홀(H) 외부의 초기위치에 위치하다가 입환유닛(300)이 상술한 이송유닛(500)에 의해 이동되면, 홀(H) 내부의 측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asuring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shunt unit 300 and is located at the initial position outside the hole (H), and when the shunt unit 300 is moved by the transfer unit 500 described above, , It can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moved to the measurement position inside the hole (H).

이때 측정유닛(100)은 대상체(S)에 형성된 홀(H)의 개수에 대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입환유닛(300)에서 이송유닛(500)의 이동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asuring unit 10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holes H formed in the object S, and may be connected to slid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ransfer unit 500 in the return unit 300.

예를 들어 측정유닛(100)은 도그 및 홀더를 포함하고, 홀더 내부에서 도그가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홀더는 후술할 입환유닛(300)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asurement unit 100 includes a dog and a holder, and the dog may be arranged to slide inside the holder, and the holder may be fixed to the frame of the shunt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예를 들어 측정유닛(100)은 홀(H)에 간섭되지 않고 인입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입환유닛(300)에서 이송유닛(500)의 이동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이때 후술할 탄성체(380)로 고정됨으로써,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연결위치에서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후퇴하였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후술할 다시 복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asuring unit 100 is formed long enough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H) without interfering with it, so that it can slid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ransfer unit 500 in the return unit 300. At this time, it is moved by the elastic body 380 to be described later. By being fixed, when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it can retreat from the connection posi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and return again as described later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따라서 홀(H)이 있어야 할 대상체(S)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홀(H)이 없는 경우, 측정유닛(100)이 대상체(S)에 접촉되면서 측정유닛(100)의 이동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발생함으로 인해 입환유닛(300)에서 후퇴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re is no hole (H) in the preset position of the object (S) where the hole (H) should be, the measuring unit (100) contacts the object (S) and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of the measuring unit (100). Due to this occurrence, the transfer unit 300 may retreat.

이때 입환유닛(300)은 상술한 측정유닛(100)을 서로 연결하고 연결된 일측은 다시 감지유닛(200)과 연결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입환유닛(300)에 의해 각각의 측정유닛(100)이 동시에 측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대상체(S)에 기설정된 배열을 가진 다수개 홀(H)을 한그룹으로 지정한 경우 그룹핑된 홀(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홀(H)이 불량일 경우 상술한 그룹의 불량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unt unit 300 connects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units 100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ed side is connected to the detection unit 200 again, so that each measurement unit 100 is measured simultaneously by the shunt unit 300. It can be moved to a location, and when multiple holes (H) with a preset arrangement are designated as one group in the object (S), if at least one hole (H) among the grouped holes (H) is defective, the above-mentioned You can check the group's defects.

구체적으로 입환유닛(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체(S)에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홀(H)이 불량인 경우,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유닛(100)에 외력이 발생한 경우, 연결된 측정유닛(100)을 초기위치 방향으로 동시에 후퇴시킴으로써, 감지유닛(200)이 홀(H)의 불량을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ing unit 300 performs connected measurement when at least one hole (H) formed in the object (S) is defective, 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in the measuring unit (100) as described above. By simultaneously retracting the unit 100 toward the initial position, the sensing unit 200 can detect defects in the hole (H).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해 입환유닛(300)은 구체적으로 프레임, 와이어(301)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shunting unit 300 may specifically include a frame and a wire 301.

프레임은 홀(H)의 배열에 따라 측정유닛(100)을 배열하고, 상술한 이송유닛(500)에 연결됨으로써, 이송유닛(500)의 이동에 따른 힘을 측정유닛(100)에 균등하게 전달할 수 있다.The frame arranges the measuring units 10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H) and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transfer unit 500, so that the force resulting from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unit 500 is equally transmitted to the measuring unit 100. You can.

이때 와이어(301)는 배열된 측정유닛(100)을 관통하여 측정유닛(100)을 서로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불량지점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측정유닛(100)이 후퇴될 때 연결된 감지유닛(200)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re 301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measuring units 100 to each other by penetrating the arranged measuring units 100. As described above, the measuring unit 100 is damaged by external force generated by the defective point described above. When it retracts,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sensing unit 200.

여기서 프레임의 형상 구조 배치는 홀(H)의 배열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Here, the shape structure of the frame can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H), and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프레임은 홀(H)의 배열을 따라 단일프레임으로 마련되어 측정유닛(100)을 지지고정시킬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배열된 측정유닛(100)의 복수 지점을 지지고정하여 고정력을 강화할 수도 있다. However, for more detailed explanation, as an example, the frame is provided as a single frame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H) to support and fix the measurement unit 100, and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measurement units are arranged. The fixing force can be strengthened by supporting and fixing multiple points of (100).

예를 들어 프레임은 홀(H)의 배열이 일직선을 따라 형성된 경우, 즉 다시 말해 한 그룹의 홀(H)들이 일직선을 따라 배열된 경우에는 하부부재(340), 상부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부재(340)와 상부부재(320) 사이에 측정유닛(100)들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H) is formed along a straight line, that is, when a group of holes (H) are arranged along a straight line, the frame may include a lower member 340 and an upper member 320. and the measurement units 100 can be firmly fixed between the lower member 340 and the upper member 320.

와이어(301) 또한 마찬가지로 배열된 측정유닛(100)을 관통하여 측정유닛(100)을 서로 연결하고, 외력에 의해 측정유닛(100)이 후퇴될 때 연결된 감지유닛(200)으로 힘을 전달할 수만 있다면 재질, 직경 등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The wire 301 also penetrates the similarly arranged measuring units 100 to connect the measuring units 100 to each other, and can transmit force to the connected sensing unit 200 when the measuring unit 100 is retracted by an external force. Materials, diameters, etc. may vary, and it is natural that this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와이어(301)는 1mm 내지 5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mm의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However, for more detailed explanation, as an example, the wire 301 may have a diameter of 1 mm to 5 mm, and may preferably have a diameter of 3 mm.

또한 와이어(301)는, 고탄소강선 또는 스테인리스강선으로 마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re 301 may be made of high carbon steel wire or stainless steel wire.

나아가 와이어(301)의 외주면에는, 측정유닛(100)에 관통 연결된 와이어(301)의 각 연결지점이 측정유닛(100)의 이동할 경우에도 가변되지 않도록 위치고정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more, a position fix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re 301 so that each connection point of the wire 301 connect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100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measuring unit 100 moves.

예를 들어 와이어(301)는, 길이 방향축과 사선인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측정유닛(100)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 301 may be provided with protrusions formed in a direction dia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to prevent the wire 301 from leaving the measuring unit 100.

따라서 감지유닛(2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입환유닛(300)에 의해 기설정된 홀(H)의 그룹별로 불량 유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ensing unit 200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for each group of holes H preset by the switching unit 30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유닛(200)은, 제한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부재가 측정유닛(100)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기준축을 기준으로 틸딩되도록 와이어(301)가 연결될 수 있으며, 기준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범위를 벗어나게 틸팅되면 그룹의 불량을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unit 200 may include a limiting member, and the wire 301 may be connected so that the limiting member is tilted based on a reference axis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easuring unit 100, and the reference axis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200. If the tilt exceeds the preset angle range, a defect in the group can be detected.

이때 제한부재는 상술한 기준축을 기준으로 14° 내지 18°를 초과하는 경우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miting member may be arranged to operate when the angle exceeds 14° to 18°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axis.

또한 제한부재는 일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와이어(301)가 연결되는 관통홀(H)이 형성되며, 일단에서 반대측 타단까지 전체 길이 및 일단에서 상기 관통홀(H)까지 거리 비가 1 : 0.2 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miting member is spaced a preset distance from one end to form a through hole (H) to which the wire 301 is connected, and the total leng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n the opposite side and the distance ratio from one end to the through hole (H) are 1:0.2. It can be prepared as much as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입환유닛(300)은 탄성체(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unt unit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380.

탄성체(3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에 고정되고 측정유닛(100)에 연결되어 후퇴된 측정유닛(100)을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body 380 is fixed to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measuring unit 100, so that the receding measuring unit 100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예를 들어 탄성체(380)는 일측이 나선형태로 마련되어 측정유닛(100)의 도그를 일부 감싸도록 마련되고 타측이 프레임 또는 측정유닛(100)의 홀더에 연결됨으로써, 측정유닛(100)이 홀더에서 후퇴된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astic body 380 is provided in a spiral shape on one side to partially surround the dog of the measuring unit 1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rame or holder of the measuring unit 100, so that the measuring unit 100 can be held in the holder. If it retreats, i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H)은 대상체(S)의 어느 한 평면에서 일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입환유닛(300)은 배열된 홀(H)에 대응되도록 측정유닛(100)을 배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holes H are arranged along a straight line in one plane of the object S, and the shunt unit 300 arranges the measurement unit 100 to correspond to the arranged holes H. You can.

그러나 도 3과 같이 연결할 경우에, 와이어(301)의 늘어짐으로 인해 측정유닛(100)이 후퇴하더라도 감지유닛(200)으로 힘이 전달되지 않아 오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when connected as shown in FIG. 3, even if the measuring unit 100 retracts due to the stretching of the wire 301,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sensing unit 200, which may cause malfunction.

예를 들어 중앙측 감지유닛(200)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와이어(301)의 늘어짐으로 인한 오동작 발생이 빈번해질 수 있다.For example, as the distance away from the central sensing unit 200 increases, malfunctions due to sagging of the wire 301 may become more frequent.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10)는 유지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lding unit 400.

구체적으로 유지유닛(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1)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측정유닛(100) 사이에 마련되어 와이어(301)에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lding unit 4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easuring units 100 and connected to the wire 301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wire 301, as shown in FIG. 5 .

예를 들어 유지유닛(400)은 안착부재,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lding unit 400 may include a seating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안착부재는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평판으로 마련되어 프레임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ating member may be provided as a flat plat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fixed to one surface of the frame.

이때 안착부재는 인접한 측정유닛(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t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measurement units 100.

이때 연결부재는 안착부재의 일측에서 안착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와이어(301)에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member and its end may be connected to the wire 301.

여기서 연결부재의 끝단은 연결된 와이어(301)를 프레임 방향으로 당겨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안착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프레임을 향해 밴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s bent toward the frame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member so that tension can be maintained by pulling the connected wire 301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지유닛(400)으로 인해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상체(S)의 어느 한 평면에서 일직선을 따라 배열된 홀(H)에 대응되도록 측정유닛(100)을 배열한 경우, 가장 가장자리에 배치된 측정유닛(101)을 포함하여, 감지유닛을 기준으로 측정유닛(100)의 위치가 멀어지더라도 오동작 확률을 경감시킬 수 있다.Due to the holding unit 4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measur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hole H arranged along a straight line in any one plane of the object S as described in FIGS. 1 to 7. When arranged, including the measurement unit 101 disposed at the edge, the probability of malfunction can be reduced even if the location of the measurement unit 100 is far away from the sensing uni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홀 검사장치(10)에서 측정유닛(100) 사이에 유지유닛(400)을 배치함으로써, 대상체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대상체(S-1,S-2)로 마련되더라도 와이어(301)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isposing the holding unit 400 between the measuring units 100 in 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S. 8 and 9. Even if the objects S-1 and S-2 have different heights, the wire 301 can maintain a constant tension.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S-3)에 홀(H)이 폐곡선을 따라 배치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S-4)의 곡면에 홀(H)이 배열된 경우에도 프레임을 변경하지 않고 와이어(301)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hole H is arranged along a closed curve in the object S-3, or the hole H is arranged on the curved surface of the object S-4 as shown in FIG. 11. Even in this case, the tension of the wire 301 can be kept constant without changing the frame, thereby increasing versatility.

따라서 본 발명의 다공홀 검사장치는, 대상체에 다수개의 홀을 그룹으로 지정하고 해당 그룹의 불량 유무만을 확인하므로, 간접센서 도그와 같은 측정유닛을 다수개 사용하더라도 리미트센서와 같은 확인 유닛을 다수개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품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감축할 수 있으며, 구조 변경의 제한이 적어 다양한 대상에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Therefore, the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s a plurality of holes in the object as a group and only check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in the group, so even if a plurality of measurement units such as an indirect sensor dog are used, a plurality of confirmation units such as a limit sensor are used.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it, the product can be made lighter,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and there are fewer restrictions on structural changes, so i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We have looked a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scope. will be.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다공홀 검사장치
S; 대상체
H: 홀
200: 감지유닛
100: 측정유닛
300: 입환유닛
301: 와이어
320: 상부프레임
340: 하부프레임
380: 탄성체
400: 유지유닛
500: 이송유닛
600: 안착유닛
10: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S; object
H: hole
200: detection unit
100: measuring unit
300: Transfer unit
301: wire
320: Upper frame
340: lower frame
380: elastic body
400: Maintenance unit
500: transfer unit
600: Seating unit

Claims (10)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대상체에서 상기 홀의 불량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는 다공홀 검사장치로서,
상기 대상체에 상기 홀의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홀 외부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홀 내부의 측정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측정유닛; 및
일측이 상기 감지유닛과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측정유닛을 서로 연결하고 각각의 상기 측정유닛이 동시에 상기 측정위치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입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입환유닛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홀이 불량인 경우, 연결된 상기 측정유닛을 상기 초기위치 방향으로 동시에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감지유닛이 상기 홀의 불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홀의 배열에 따라 상기 측정유닛을 배열하고, 상기 측정유닛에 균등하게 힘을 전달하는 프레임 및 배열된 상기 측정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측정유닛을 서로 연결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측정유닛이 후퇴될 때 연결된 상기 감지유닛으로 힘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측정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유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일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상기 홀의 배열, 일 평면에 폐곡선을 따라 배치되는 홀의 배열, 곡면에 형성되는 상기 홀의 배열에도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홀 검사장치.
A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including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in the holes in an object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 measurement unit provided in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holes and capable of moving from an initial position outside the hole to a measurement position inside the hole; and
One side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and includes a switching unit provided to connect the measuring units to each other and move each measuring unit to the measuring position at the same time,
The shunting unit is,
When at least one of the holes is defective,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defect of the hole by simultaneously retracting the connected measuring unit toward the initial position,
The measuring unit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and the measuring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rame that transmits force equally to the measuring units and the arranged measuring units, and when the measuring units are retracted by an external for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wire that transmits force to the connected sensing unit,
It further includes a hold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measuring units and connected to the wire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wire, an arrangement of the holes having different heights in one direction, an arrangement of the holes arranged along a closed curve in one plane, and a curved surface. Characterized in maintaining the tension constant even in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formed,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감지유닛은,
상기 입환유닛에 의해 기설정된 상기 홀의 그룹별로 불량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홀 검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et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for each group of the holes preset by the shunting unit,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측정유닛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기준축을 기준으로 틸딩되는 제한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홀 검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det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limiting member tilted relative to a reference axis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easuring unit is provided and the wire is connected,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제한부재가 상기 기준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범위를 벗어나게 틸팅되면 상기 그룹의 불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홀 검사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det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detecting a defect in the group when the limiting member is tilted beyond a preset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axis.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환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측정유닛에 연결되어 후퇴된 상기 측정유닛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홀 검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hun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body fixed to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measuring unit to restore the retreated measuring unit to its original position,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환유닛은,
상기 대상체의 어느 한 평면에서 일직선을 따라 배열된 상기 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측정유닛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홀 검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hun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ing unit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hole arranged along a straight line in one plane of the object,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평판으로 마련되어 상기 측정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안착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되, 상기 끝단은 연결된 상기 와이어를 상기 프레임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밴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홀 검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aintenance unit is,
A seating member provided as a flat plat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to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frame and disposed between the measuring units; and
A connecting member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member and has an end connected to the wire, the end of which is bent to pull the connected wire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to,
Porous hole inspection device.
KR1020230022769A 2023-02-21 2023-02-21 Grouped hole inspection device KR1026149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769A KR102614962B1 (en) 2023-02-21 2023-02-21 Grouped hole insp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769A KR102614962B1 (en) 2023-02-21 2023-02-21 Grouped hole inspe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962B1 true KR102614962B1 (en) 2023-12-19

Family

ID=8938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769A KR102614962B1 (en) 2023-02-21 2023-02-21 Grouped hole inspe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96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02A (en) * 1993-07-09 1995-01-27 Nissan Kohki Co Ltd Inspecting device for blind screw hole depth
JPH0829447B2 (en) * 1986-08-25 1996-03-27 豊田工機株式会社 Machining hole inspection device in cutting unit
JPH08118207A (en) * 1994-10-18 1996-05-14 Isuzu Motors Ltd Machined hole inspection device
JP2001074514A (en) * 1999-09-08 2001-03-23 Hasshu Space Konsaru Kk Distortion detecting apparatus for ground
KR101653814B1 (en) * 2016-03-31 2016-09-05 주식회사 모전기공 Apparatus for inspecting tap ho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47B2 (en) * 1986-08-25 1996-03-27 豊田工機株式会社 Machining hole inspection device in cutting unit
JPH0727502A (en) * 1993-07-09 1995-01-27 Nissan Kohki Co Ltd Inspecting device for blind screw hole depth
JPH08118207A (en) * 1994-10-18 1996-05-14 Isuzu Motors Ltd Machined hole inspection device
JP2001074514A (en) * 1999-09-08 2001-03-23 Hasshu Space Konsaru Kk Distortion detecting apparatus for ground
KR101653814B1 (en) * 2016-03-31 2016-09-05 주식회사 모전기공 Apparatus for inspecting tap ho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9644B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deformation of a fuel element of a pressurized water reactor
KR102026610B1 (en) Positioner for parallel tester checking circuit board and parallel tester checking circuit board
US4457622A (en) Screw inspection device
CA2573537A1 (en) Deflector assembly, valve arrangement for a defl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calibrating same
KR102614962B1 (en) Grouped hole inspection device
US20050278968A1 (en) Peripheral surface shape measuring apparatus of roll-like object
US3332279A (en) Automatic sheet moisture probe positioner
CN102092583A (en) Contact pin storing device
US6049214A (en) Universal printed circuit board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209455630U (en) Cylindrical glass stick lifting translational transport device
CN213051596U (en) Drill bit detection device's classification stores mechanism
CN211346676U (en) Detection equipment for detecting flatness of scraper
CN216160621U (en) Nondestructive testing mechanism for large castings
KR90001517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dimensions and shape of the guide and positioning members of the upper internal equipment in the pressurized water reactor
CN106586552B (en) A kind of parallel chip conveying device of expandable type modularization
CN103278273B (en) Axle case residual stress detecting method and device
CN109099878A (en) A kind of connecting rod size detecting device
CN208432241U (en) Axle sleeve height detection mechanism
US9891033B2 (en) Tilt angle adjuster for form measuring device
CN206891459U (en) A kind of self-operated measuring unit
CN217995935U (en) Automatic discharging device of tubular product
CN203965342U (en) Screw detecting machine
CN209829605U (en) Spring length sorting machine
CN219542904U (en) Calibration equipment test mounting structure
CN215892329U (en) Prevent combustion chamber that sensor rock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