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811B1 - Personal care device - Google Patents
Personal car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4811B1 KR102614811B1 KR1020210172991A KR20210172991A KR102614811B1 KR 102614811 B1 KR102614811 B1 KR 102614811B1 KR 1020210172991 A KR1020210172991 A KR 1020210172991A KR 20210172991 A KR20210172991 A KR 20210172991A KR 102614811 B1 KR102614811 B1 KR 1026148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ontents
- container
- air
- brus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01000004384 Alope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676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963 hair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79 hair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09 Moistu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56 anti-hair-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68 hai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1774 hair cyc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80 hair folli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33 moisturiz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32 sebaceous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46B11/0086—Means for closing or sealing, e.g. toothpaste outlet when brush not in use thereby preventing leakage or drying out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75—Brushes with an additional massage devi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Brush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skin or scalp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용 케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개인용 케어 장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에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케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어부는, 상기 용기부에 대한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변형됨으로써, 상기 용기부로부터 상기 케어부로의 상기 내용물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 1 밸브부와 상기 용기부 내부로의 공기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 2 밸브부를 포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al care device is provided. The personal care device includes a container portion where contents are accommodated; and a care unit coupled to the container unit and deliver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unit to the skin,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re unit is deformed according to pressurization and release of pressure on the container unit, thereby remov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unit. It may include a check valve including a first valve unit that controls whether the contents move into the care unit and a second valve unit that controls whether air moves into the container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인용 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ersonal care devices.
사람의 두피는 다른 피부 조직과는 다르게, 피지선으로부터 과량의 유분이 공급되고, 모발을 생산하는 모낭이 분포되어 있으며, 모낭 속 모모 세포에 의해 헤어 사이클이 형성되어 발모와 탈모가 반복된다. 특히, 현대인들은 자연적인 탈모 이외에도, 각종 공해와 스트레스 또는 스타일링을 위한 제품(염색약, 스프레이 등)으로 인하여 두피가 약해지고, 탈모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Unlike other skin tissues, the human scalp is supplied with an excessive amount of oil from the sebaceous glands, has hair follicles that produce hair, and a hair cycle is formed by hair cells in the follicles, causing repeated hair growth and hair loss.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natural hair loss, modern people are increasingly experiencing weakened scalp and hair loss due to various types of pollution, stress, or styling products (dye, spray, etc.).
이에 따라, 두피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두피에 내용물을 도포하면서 동시에 마사지를 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장치들은 대부분 두피 케어 제품을 저장하는 용기에 브러시 등과 같은 마사지 도구를 결합한 형태로서, 두피 케어 제품의 역류 등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체 등 구성부품이 많고 조립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두피 케어 제품을 다 사용하고 난 후, 리필을 하기 위해서는 체크밸브가 포함된 용기를 통째로 교체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 scalp, devices that can massage the scalp while simultaneously applying the content to the scalp have been developed. Most of these devices combine a container for storing scalp care products with a massage tool such as a brush. They have many components, such as a check valve to prevent backflow of scalp care products, and an assembly to secure them, and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after using up all of the scalp care product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ntire container containing the check valve must be replaced in order to refill it.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장치들은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펌프와 같은 토출 수단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내용물을 끝까지 다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se conventional devices require a separate discharge means such as a pump to discharge the contents contained with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contents to the end.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요구된다.Therefore, cosmetic containers that can solve this problem are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부에 대한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변형되며 내용물 및 공기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용기부에 대한 가압만으로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개인용 케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includes a check valve that changes depending on the pressurization and release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controls whether the contents and air move, so that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only by pressurizing the container por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personal care device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용 케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개인용 케어 장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에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케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어부는, 상기 용기부에 대한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변형됨으로써, 상기 용기부로부터 상기 케어부로의 상기 내용물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 1 밸브부와 상기 용기부 내부로의 공기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 2 밸브부를 포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al care device is provided. The personal care device includes a container portion where contents are accommodated; and a care unit coupled to the container unit and deliver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unit to the skin,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re unit is deformed according to pressurization and release of pressure on the container unit, thereby remov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unit. It may include a check valve including a first valve unit that controls whether the contents move into the care unit and a second valve unit that controls whether air moves into the container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어부는, 상기 용기부와 결합되되 상기 용기부와 연통 가능하고, 상기 케어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체크밸브를 수용하며 상기 용기부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용물 이동부; 및 상기 내용물 이동부와 결합하며, 상기 내용물 이동부로부터 안내받은 상기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브러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are unit includes a housing coupled to the container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ntainer unit, and forming an exterior of the care unit; a contents moving unit coupled to the housing, accommodating the check valve insid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unit; and a brush unit coupled to the contents moving unit and delivering the contents guided by the contents moving unit to the ski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용물 이동부는, 상기 용기부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이동하되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상기 내용물의 이동이 제어되는 연통부; 및 상기 연통부로부터 이동하는 상기 내용물을 상기 브러시부로 분배하는 분배판을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contents moving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rough which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unit move and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is controlled by the check valve; And it may include a distribution plate that distributes the contents moving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brush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통부는,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결합되는 공기 유입공; 상기 공기 유입공과 상기 연통부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 및 상기 체크밸브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는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part includes an air inlet hole formed at the top to which the check valve is coupled; at least one communication hole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hol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it may include a sealing portion wit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heck valve is in close contac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밸브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외경이 확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밀폐부에 밀착하되, 상기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변형되며 상기 내용물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내용물 개폐부; 상기 내용물 개폐부의 상단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 이동홀; 상기 공기 이동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밸브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first valve part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expand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valve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part,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ization and release of the pressure, and controls whether the contents are moved. contents opening and closing part; an air movement hole through which the air moves axially from the top of the contents opening/closing unit; It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air movement hole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valve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밸브부는,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기 이동홀에 삽입되는 밸브핀; 상기 밸브핀의 외경이 확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기 유입공의 상측에 안착하되, 상기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변형되며 상기 공기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공기 개폐부; 및 상기 밸브핀의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되,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공기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second valve unit includes a valve pi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air movement hole; an air opening/closing unit formed by expan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valve pi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seated on an upper side of the air inlet hole, and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ization and release of the pressurization and controls whether or not the air moves; And it may include an air moving part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pin is spread outward and includes at least one hole through which the air move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부에 대한 가압에 따라, 상기 내용물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며 상기 밀폐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내용물 이동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부로 상기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in response to pressure on the container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ents opening/closing unit is deformed and spaced apart from the sealing unit, thereby allowing the contents to move from the contents moving unit to the brush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개폐부는 상기 공기 유입공에 밀착하여 상기 공기 이동홀로의 상기 내용물의 이동을 차단하되, 상기 용기부에 대한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공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며 상기 공기 유입공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공기가 상기 공기 이동부 및 상기 공기 이동홀을 통해 상기 용기부로 이동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air opening and clos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ir inlet hole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into the air movement hole, and when the pressure on the container part is released, at least a part of the air opening and closing part is deformed and the air opening and closing part is deformed. By being separated from the air inlet hole, the air can move to the container unit through the air moving part and the air moving hol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판은, 상기 연통부로부터 이동한 내용물을 상기 브러시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용물 분배홈; 및 상기 내용물 분배홈의 주변 영역을 따라 돌출되는 누액방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누액방지돌기는, 상기 브러시부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내용물 분배홈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distribution plate includes at least one content distribution groove that guides the content mo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brush unit; and a leak-prevention protrusion protruding along a peripheral area of the content distribution groove, wherein the leak-prevention protrus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rush portion,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distribution groov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피부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포팁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팁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를 관통하는 내용물 토출로가 형성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brush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application tips that contact the skin, and at least one of the application tips may be formed with a content discharge path penetrating the insid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러시부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preferably, the brush portion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어부는, 상기 브러시부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브러시부를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preferably, the care unit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unit disposed below the brush unit and coupled to the housing to fix the brush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부는 상기 케어부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용기부의 입구가 상기 케어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container part may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care part and arranged so that the inlet of the container part faces the care part.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에 대한 가압만으로도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only by applying pressure to the container portion, which has the advantage of simpl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에 대한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변형가능한 체크밸브를 통하여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can be simplified because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a deformable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pressurization and release of the contain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브러시부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피부에 마사지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피부에 과도한 자극이 가해져 상처 등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 portion is made of a soft material, so that it can provide a massage effect to the skin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 the occurrence of wounds due to excessive stimulation of the ski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가 케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용물 소진 시 용기부를 교체하여 리필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re portion, so that the container portion can be replaced and refilled when the contents are exhaus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는 케어부 상단에 결합되되, 용기부의 입구가 케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보관 및 사용시에 케어부가 용기부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용기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잔여물 없이 모두 소진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part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care part, and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part is arranged so that the care part faces the care part. During storage and use, the care part is located below the container part, so tha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part are stored without residue. All can be used up.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 중 케어부의 단면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 중 케어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의 내용물 및 공기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의 내용물 이동부의 앞면과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 중 케어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re unit of the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ure 3 (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re portion of the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b) is a view showing the contents and contents of the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path of air movement.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contents moving part of the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re portion of the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use example of a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eanwhile, for convenience,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described below are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direction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의 일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 중 케어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의 내용물 및 공기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의 내용물 이동부의 앞면과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device. More specifically, Figure 3 (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re portion of the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b) is a view showing the contents and contents of the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path of air movement.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contents moving part of the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1000)는, 용기부(100), 케어부(200) 및 캡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 a
용기부(100)는 용기본체(110) 및 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용기본체(1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예를 들어, 액체, 겔, 크림 타입 등의 피부 케어용 제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등 케어부(200)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용기본체(11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개인용 케어 장치(1000)를 통해 관리하려는 신체 부위의 피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두피를 관리하려는 경우, 내용물은 두피 케어용 제품(발모제, 탈모 방지제, 두피 영양제 등)일 수 있으며, 팔 및 다리 등의 피부를 관리하려는 경우, 내용물은 바디 케어용 제품(보습제, 피부 영양제 등)일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용기본체(110)는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며 내용물의 토출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연성 및/또는 탄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본체(110)는 연성 및/또는 탄성 재질로 구성된 블로우 용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넥부(120)는 용기본체(110)의 일 측이 연장 형성된 부분으로, 케어부(200)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부(100)는 케어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내용물을 모두 소진했을 경우, 용기부(100)를 교체함으로써 리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넥부(1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케어부(200)에 이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부(100)와 케어부(20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용기본체(110)와 케어부(200)는 나사 결합뿐만 아니라, 스냅온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넥부(120)의 직경은 케어부(2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용기부(100)가 케어부(200)에 결합 시, 케어부(200)에 의해 용기부(100)가 지지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케어부(200)는 용기부(100)에 결합하며 용기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구성이다.The
케어부(200)와 용기부(100) 결합 시, 케어부(200)의 상단에 용기부(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용기부(100)는 용기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케어부(20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용기부(100)의 개방된 입구 부분(예를 들어, 넥부(120))이 케어부(200) 상단에 결합되도록, 용기부(100)를 거꾸로 뒤집어 케어부(2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치의 보관 및 사용시 용기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항상 케어부(200)를 향하기 때문에, 작은 외력 만으로도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고, 용기본체(110) 내부에 잔여 내용물이 남는 것을 최소화하며 내용물을 끝까지 소진할 수 있다.When the
케어부(200)는 용기부(100)에 비해 직경이 넓은 형태로 형성되어, 케어부(200) 상단에 용기부(100)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케어부(200)가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용 케어 장치(10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케어부(200)가 용기부(100)를 지지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케어부(200)가 바닥면에 위치한 상태로 보관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간편하고, 사용을 위해 장치를 뒤집거나, 새로운 구성을 결합하는 동작 등을 하지 않고, 보관시 형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다.The
실시예에 따라, 케어부(200)와 용기부(100)는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케어부(200)는 하우징(210), 내용물 이동부(220), 체크밸브(230), 브러시부(240) 및 홀더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하우징(210)은 용기부(100)와 연통 가능하고, 케어부(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케어부(200)의 다른 구성을 각각 적어도 일 부분 수용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210)의 상측과 용기부(1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10)은 일 측이 내측으로 함몰된 제 1 연장부(211)가 형성되고, 함몰된 제 1 연장부(211)와 넥부(120)가 결합하며, 용기부(100)의 일부가 하우징(210) 내측으로 삽입되며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연장부(211)에는 넥부(12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 1 연장부(211)와 넥부(12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용기부(100)와 케어부(200)는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upper side of the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210)은 제 1 연장부(211)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212)는 용기부(100)가 제 1 연장부(211) 내주면에 결합된 경우, 넥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기저부(212)는, 제 1 연장부(21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고정돌기(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하여, 넥부(120)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넥부(120)를 측방에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부(100)가 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용기부(100)와 하우징(210)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210)에는 기저부(21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장부(213)는 내용물 이동부(22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내용물 이동부(220)의 연결부(226) 내측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연장부(213) 외주면에 제 1 걸림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고, 연결부(226)의 내주면에 이에 대응하는 제 2 걸림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어, 제 1 걸림돌기(도면부호 미도시)와 제 2 걸림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서로 걸림으로써 하우징(210)과 내용물 이동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사결합, 홈-돌기 결합 등 다양한 종류의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하우징(210)은 하측으로 브러시부(240) 또는 홀더부(250)와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브러시부(240)와 직접 결합하거나, 홀더부(250)에 의해 브러시부(240)와 결합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210)의 내주면에는 홀더부(25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214)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돌기(214)는 홀더부(250)의 테두리 상부면을 밀착 지지함으로써, 개인용 케어 장치(1000)를 사용할 때, 가압에 의해 하우징(210) 및/또는 홀더부(250)가 변형되거나 홀더부(250)가 상측으로 이탈되어 하우징(210)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t least one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210)에는 테두리 내주면을 따라 제 1 결합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더부(250)의 테두리 외주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돌기(254)가 형성되어 제 1 결합홈(215)과 제 2 결합돌기(254)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하우징(210)에 홀더부(250)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내용물 이동부(220)는 용기부(100)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분으로, 연통부(221) 및 분배판(2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연통부(221)는 용기부(100)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이동하되, 체크밸브(230)에 의해 내용물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연통부(221)는, 공기 유입공(222), 연통공(223) 및 밀폐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공기 유입공(222)은 연통부(221)의 상단에 형성되어, 체크밸브(23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공(222)에 체크밸브(2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체크밸브(230)가 내용물 이동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공기 유입공(222)과 연통부(221) 내주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22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부(221)의 상단 중앙에 공기 유입공(222)이 형성되고, 공기 유입공(222)의 주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223)이 형성되어, 체크밸브(230)가 공기 유입공(2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통공(223)을 통하여 용기부(100)로부터 연통부(221) 내측으로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t least one
실시예에 따라, 연통부(221) 하측에는 체크밸브(230)의 적어도 일부(내용물 개폐부(231-2))가 밀착되는 밀폐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부(224)는 체크밸브(230)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됨으로써 연통부(221)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밀폐부(224)는 체크밸브(230)(내용물 개폐부(23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크밸브(230)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sealing
분배판(225)은 연통부(221)로부터 이동하는 내용물을 브러시부(240)로 분배할 수 있다.The
분배판(225)은 상측은 하우징(210)과 결합하며, 하측은 브러시부(240) 또는 홀더부(250)와 결합할 수 있다.The upper side of the
실시예에 따라 분배판(225)은, 연결부(226), 이격테두리(227), 내용물 분배홈(228) 및 누액방지돌기(229)를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분배판(225)은 연결부(226)에 의해 하우징(210)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26)는 분배판(225)의 상측으로 돌출되되 하우징(210)의 제 2 연장부(21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 2 연장부(213)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226)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제 2 연장부(213)와 결합을 위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210)의 제 2 연장부(213) 외주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부(226)와 제 2 연장부(213)가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210) 및 내용물 이동부(220)가 서로 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우징(210)과 내용물 이동부(22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사결합 등 다양한 종류의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분배판(225)은 홀더부(250)와 결합함으로써 브러시부(240)와 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배판(225)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테두리(22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테두리(227)는 홀더부(250)의 제 1 결합돌기(253)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홀더부(250)는 브러시부(240)와 결합한 상태에서, 제 1 결합돌기(253)가 이격테두리(227) 사이의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내용물 이동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 이동부(220), 브러시부(240) 및 홀더부(250)는 견고히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분배판(225)의 저면에는 연통부(221)로부터 이동한 내용물을 브러시부(240)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용물 분배홈(228)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 분배홈(228)은, 일 측은 밀폐부(224)와 연통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분배판(225)의 외측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타측은 브러시부(240)의 내용물 토출로(242)와 연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통부(221)로부터 이동하는 내용물을 여러 방향으로 분배하여 브러시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내용물 분배홈(228)이 복수개 형성될 경우, 하나의 경로를 통하여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에 비해, 내용물을 여러 방향으로 고르게 분배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토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t least one
실시예에 따라, 분배판(225)의 저면에는, 누액방지돌기(229)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액방지돌기(229)는 내용물 분배홈(228)의 주변 영역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 이동부(220)가 브러시부(240)와 결합될 때, 누액방지돌기(229)가 브러시부(240)를 가압하며 밀착됨으로써, 내용물 분배홈(228)으로부터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leak-
체크밸브(230)는 용기부(100)로부터 케어부(200)로의 내용물의 이동 여부 및 용기부(100) 내부로의 공기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체크밸브(230)는 용기부(100)에 대한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변형됨으로써, 용기부(100)로부터 케어부(200)로의 내용물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 1 밸브부(231) 및 용기부(100) 내부로의 공기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 2 밸브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실시예에 따라, 제 1 밸브부(231)는 공기 이동홀(231-1), 내용물 개폐부(231-2) 및 수용부(231-3)를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공기 이동홀(231-1)은 제 2 밸브부(232)에 의해 개폐되며 공기가 이동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공기 이동홀(231-1)은 내용물 개폐부(231-2)의 상단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관통되며 형성되어, 내용물 이동부(220)의 공기 유입공(222) 및 내용물 분배홈(228)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부(100)를 가압했다가 가압 해제하면, 제 2 밸브부(232)의 공기 개폐부(232-2)가 변형되며 공기 유입공(222)과 이격됨으로써 공기 이동홀(231-1) 및 공기 유입공(222)을 거쳐 용기부(100) 내부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The air movement hole 231-1 is opened and closed by the
내용물 개폐부(231-2)는 용기부(100)에 대한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변형되며 내용물 이동부(220)로부터 브러시부(240)로의 내용물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ents opening/closing unit 231-2 is deformed according to pressurization and release of the
구체적으로, 내용물 개폐부(231-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외경이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용물 개폐부(231-2)에 외력 또는 내용물에 의한 토출 압력이 가해질 경우(용기부(100)를 가압할 경우), 내용물 개폐부(231-2)는 안쪽으로 오므라들며 변형될 수 있다. 내용물 개폐부(231-2)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ents opening/closing portion 231-2 may be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expa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is case, when an external force or discharge pressure due to the contents is applied to the contents opening/closing unit 231-2 (when the
내용물 개폐부(231-2)의 적어도 일부는 내용물 이동부(220), 구체적으로 밀폐부(224)에 접할 수 있다. 내용물 개폐부(231-2)가 밀폐부(224)에 접한 경우, 내용물의 이동이 통제되며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내용물 개폐부(231-2)가 밀폐부(224)로부터 이격되면 내용물이 브러시부(240)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개폐부(231-2)의 외면은 밀폐부(22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밀폐부(224)와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ents opening/closing unit 231-2 may be in contact with the
보다 상세하게, 용기부(100)를 가압할 경우(내용물이 내용물 개폐부(231-2)를 변형시킬 수 있는 압력으로 내용물 개폐부(231-2)를 가압할 경우), 내용물 개폐부(231-2)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밀폐부(224)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이 밀폐부(224)와 내용물 개폐부(231-2)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이동하고, 내용물 분배홈(228)을 통해 브러시부(24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할 경우, 내용물 개폐부(231-2)의 복원력이 내용물의 토출 압력보다 커지게 되면, 변형되었던 내용물 개폐부(231-2)가 복원되며 다시 밀폐부(224)와 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부(224)와 내용물 개폐부(231-2) 사이의 이격 공간이 밀폐되며 내용물 이동부(220)로부터 브러시부(240)로의 내용물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pressurizing the container unit 100 (when the contents pressurize the contents opening and closing unit 231-2 with a pressure that can deform the contents opening and closing unit 231-2), the contents opening and closing unit 231-2 As its shape is deformed,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aling
수용부(231-3)는 공기 이동홀(231-1)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 2 밸브부(23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수용부(231-3)는 공기 이동홀(231-1)의 하단 내측에 형성되어 제 2 밸브부(232)의 공기 이동부(232-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및/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231-3)는 공기 이동부(23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 이동부(232-3)와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수용부(231-3)와 공기 이동부(232-3)의 사이의 틈으로 내용물 및/또는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231-3 is formed inside the air movement hole 231-1 and accommod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실시예에 따라, 제 2 밸브부(232)는 밸브핀(232-1), 공기 개폐부(232-2) 및 공기 이동부(232-3)를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밸브핀(232-1)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공기 이동홀(231-1)에 삽입될 수 있다. 밸브핀(232-1)이 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띔으로써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고 제 1 밸브부(23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용기부(100)와 케어부(200)가 결합될 때, 용기부(100)의 입구가 호일 또는 버진씰 등의 실링 부재로 밀봉되어 있을 경우, 밸브핀(232-1)은 이러한 실링 부재를 파열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링지 등을 수동으로 개봉하지 않고 단지 용기부(100)를 케어부(200)에 결합하는 동작만으로도 개인용 케어 장치(1000)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밸브핀(232-1)은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The valve pin (232-1) is formed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it can be inserted into the air movement hole (231-1). Since the valve pin 232-1 has an axially extending shape, i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공기 개폐부(232-2)는 적어도 일부가 공기 유입공(222)의 상측에 안착하되, 용기부(100)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함에 따라 변형되며 공기의 이동 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체크밸브(230)가 내용물 이동부(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실시예에 따라 밸브핀(232-1)의 외경이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개폐부(232-2)의 외경이 공기 유입공(22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기 개폐부(232-2)가 공기 유입공(222)에 걸림으로써 체크밸브(230)가 공기 유입공(222)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opening/closing unit 232-2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공기 개폐부(232-2)는 공기 유입공(222)과 밀착함으로써 공기 이동홀(231-1)로의 내용물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공기 개폐부(232-2)가 공기 유입공(222)으로부터 이격되면 공기가 용기부(100)로 이동할 수 있다.The air opening/closing unit 232-2 can block the movement of contents into the air movement hole 231-1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보다 상세하게, 용기부(10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할 경우, 공기 개폐부(232-2)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공기 유입공(222)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공기 이동부(232-3) 및 공기 이동홀(231-1)을 통해 공기 유입공(222)을 거쳐 용기부(1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공기 개폐부(232-2)의 복원력 등에 의해 변형되었던 공기 개폐부(232-2)가 복원되며 다시 공기 유입공(222)과 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유입공(222)으로의 공기 및 내용물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pressure on the
공기 이동부(232-3)는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231-3)에 수용 및/또는 결합되는 부분으로, 실시예에 따라 밸브핀(232-1)의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공기 이동부(232-3)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이 형성되어, 공기가 내용물 분배홈(228)으로부터 공기 이동홀(231-1)로 이동할 수 있다. 공기 이동부(232-3)의 상단은 수용부(231-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용기부(10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공기 개폐부(232-2)의 형상이 변형될 때 제 2 밸브부(232)가 제 1 밸브부(231) 내측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 개폐부(232-2)가 복원될 때, 원래의 위치에서 공기 유입공(222)과 다시 밀착할 수 있다.The air moving part 232-3 is a part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and/or coupled to the receiving part 231-3,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valve pin 232-1 may be open outward. there is. At this time, at least one hole is formed in the air moving part 232-3, so that air can move from the
브러시부(240)는 내용물 이동부(220)와 결합하여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브러시부(240)는 적어도 일부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브러시부(240)가 내용물을 전달하는 피부는 두피, 얼굴 피부, 팔 및 다리의 피부 등의 다양한 신체 부위의 피부일 수 있으며, 이때, 내용물을 전달하려는 피부의 종류에 따라 용기부(100)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종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을 전달하려는 피부가 두피일 경우, 내용물은 헤어 케어 제품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내용물을 전달하려는 피부가 팔 및 다리의 피부일 경우, 내용물은 바디 케어 제품일 수 있다.Here, the skin to which the
실시예에 따라, 브러시부(240)는 도포팁(241), 내용물 토출로(242) 및 이탈방지홈(243)을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브러시부(240)에는 복수의 도포팁(2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포팁(241)은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피부에 접촉할 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포팁(241)을 통해 피부를 마사지할 때, 보다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넓은 면적을 마사지할 수 있으며, 또한, 피부 마사지 중, 의도치 않게 개인용 케어 장치(1000)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포팁(241)에 의해 피부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실시예에 따라, 브러시부(240)의 도포팁(241)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용물 토출로(242)가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 토출로(242)는, 브러시부(240) 상단으로부터 도포팁(241)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 토출로(242)는 복수의 도포팁(241)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부의 보다 넓은 면적에 골고루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t least one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토출로(242)는 내용물 분배홈(22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 분배홈(228)을 통해 이동한 내용물이 내용물 토출로(242)를 통과하여 도포팁(241)의 끝단을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이때, 도포팁(241)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용기부(100)를 가압하여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높아질 경우,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내용물 토출로(242)의 직경이 증가하며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체크밸브(230)가 밀폐부(224)를 밀폐하면서 내용물 토출로(242)에 가해지던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내용물 토출로(242)의 복원력이 내용물의 토출 압력보다 커지면서 내용물 토출로(242)의 직경이 복원되어 내용물의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또한, 사용자가 브러시부(240)를 피부에 접촉시켜 마사지를 수행할 때, 도포팁(241)이 변형되면서 내용물 토출로(242)의 직경이 변화함으로써, 마사지 중 피부에 의도치 않게 다량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erforms a massage by contacting the
실시예에 따라, 브러시부(2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홈(2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홈(243)은, 브러시부(240)의 저면에 형성되되 도포팁(24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더부(250)에는 이탈방지홈(243)과 대응하는 이탈방지돌기(252)가 형성되어, 이탈방지홈(243)에 이탈방지돌기(252)가 삽입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t least one
실시예에 따라, 브러시부(240)에는 제 2 밸브부(232)의 공기 이동부(232-3)와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부(244)가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244)는 공기 이동부(232-3)의 저면과 밀착하여, 체크밸브(230)를 지지 및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부(100)에 대한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체크밸브(230)의 내용물 개폐부(231-2) 및 공기 개폐부(232-2)가 변형된 후 복원될 때, 각각 밀폐부(224) 및 공기 유입공(222)과 원래의 위치에서 다시 밀착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실시예에 따라, 지지부(244)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외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부(244)의 경사진 외면을 따라 내용물이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홀더부(250)는 브러시부(240)의 하측에 배치되되 하우징(210)과 결합하여 브러시부(24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브러시부(240)는 하우징(210)과 직접 결합할 수 있고, 홀더부(250)를 통해 하우징(210)과 결합할 수도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250)에는 복수의 도포팁(241)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공(251)이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부(240)와 홀더부(250)가 결합할 때, 복수의 도포팁(241)이 복수의 결합공(251)에 삽입되며 브러시부(240)가 홀더부(250)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250)는 브러시부(240)의 이탈방지홈(243)과 대응하는 이탈방지돌기(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252)는 이탈방지홈(243)에 삽입 고정되어, 브러시부(24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부(250)는 결합공(251)을 통하여 브러시부(240)를 1차 고정하고, 이탈방지돌기(252)를 통하여 2차 고정함으로써 브러시부(240)가 케어부(200) 내측에서 이탈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250)는 내용물 이동부(220)와 결합할 수 있다. 홀더부(250)는 내용물 이동부(220)와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제 1 결합돌기(25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돌기(253)는 홀더부(250)의 테두리 내주면에 형성되어, 내용물 이동부(220)의 상부면에 걸림으로써 내용물 이동부(220)를 홀더부(2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부(250)는 브러시부(240)와 결합한 상태에서, 제 1 결합돌기(253)가 이격테두리(227) 사이의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내용물 이동부(22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 이동부(220), 브러시부(240) 및 홀더부(250)는 견고히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250)는 하우징(21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부(250)의 테두리 외주면에는 제 2 결합돌기(254)가 형성되어, 하우징(210)의 제 1 결합홈(215)에 삽입됨으로써 홀더부(250)와 하우징(210)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250)는 캡부(3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부(250) 외주면에는 제 3 결합돌기(255)가 형성되고, 캡부(300)에는 제 3 결합돌기(255)와 대응되는 제 2 결합홈(310)이 형성되어, 홀더부(250)와 캡부(3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홀더부(250)와 브러시부(240), 내용물 이동부(220), 캡부(300)와의 결합구조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캡부(300)는 케어부(200)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어부(200)를 밀폐할 수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 중 케어부의 확대 단면도이다.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re portion of the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내용물 토출로(24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remaining parts except for the content discharge passage 242'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토출로(242`)는 브러시부(240)의 중앙에 형성된 도포팁(241)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부(100)로부터 내용물 이동부(220)로 이동한 내용물이 최단 경로로 내용물 토출로(242`)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내용물 토출로(242`)의 형성을 위해, 브러시부(240)에 지지부(244)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경로로 내용물 토출로(242`)가 형성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ent discharge path 242' may be formed on th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케어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s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use example of a person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용기본체(110)를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키고, 도포팁(241)을 이용하여 피부에 대한 내용물의 도포 및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6 and 7, the user discharges the contents stored in the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개인용 케어 장치(1000)를 통해 두피를 관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For a more detailed explanation, scalp care using the
먼저, 사용자가 용기본체(110)를 가압하기 전에는 체크밸브(230)의 내용물 개폐부(231-2)가 밀폐부(224)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브러시부(240)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인데, 사용자가 용기본체(110)를 가압하면,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내용물 개폐부(231-2)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내용물 개폐부(231-2)가 하측으로 변형되어 밀폐부(224)와 내용물 개폐부(231-2) 사이에 이격 공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밀폐부(224)와 내용물 개폐부(231-2)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내용물이 이동하고, 내용물은 내용물 분배홈(228)을 지나 내용물 토출로(24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이때, 내용물 토출로(242)는 도포팁(241)을 관통하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도포팁(241)이 두피에 접촉된 상태로 개인용 케어 장치(1000)를 이동하여 내용물을 두피에 도포함과 동시에 두피에 대한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브러시부(240)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포팁(241)은 두피에 접촉한 상태로 변형되며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넓은 면적을 마사지할 수 있으며, 또한 두피 마사지 중, 의도치 않게 개인용 케어 장치(1000)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포팁(241)에 의해 두피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before the user pressurizes the
이후, 용기본체(11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용기본체(110) 내부가 외부보다 압력이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가 내용물 토출로(242)를 통하여 흡입되게 된다. 흡입된 공기가 공기 이동부(232-3)를 거쳐 공기 이동홀(231-1)로 이동함에 따라 공기 개폐부(232-2)가 변형되면서 공기 유입공(222)과 이격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 개폐부(232-2)와 공기 유입공(222)과의 이격 공간으로 공기가 이동하여 용기본체(110) 내부로 흡입되고, 이후, 공기 개폐부(232-2)가 복원되면서 공기 유입공(222)과 다시 밀착하게 되어 공기 유입공(222)을 통해 내용물 및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pressure on the
사용 후에는 용기본체(110)가 케어부(200)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 그대로, 케어부(200)를 바닥에 놓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보관 중에도 내용물이 항상 케어부(200)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외력으로도 내용물을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After use, the
여기서, 개인용 케어 장치(1000)를 두피를 관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얼굴 등 다양한 신체 부위의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Here, the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mal embodiments are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00: 용기부 110: 용기본체
120: 넥부 200: 케어부
210: 하우징 211: 제 1 연장부
212: 기저부 213: 제 2 연장부
214: 지지돌기 215: 제 1 결합홈
220: 내용물 이동부 221: 연통부
222: 공기 유입공 223: 연통공
224: 밀폐부 225: 분배판
226: 연결부 227: 이격테두리
228: 내용물 분배홈 229: 누액방지돌기
230: 체크밸브 231: 제 1 밸브부
231-1: 공기 이동홀 231-2: 내용물 개폐부
231-3: 수용부 232: 제 2 밸브부
232-1: 밸브핀 232-2: 공기 개폐부
232-3: 공기 이동부 240: 브러시부
241: 도포팁 242, 242': 내용물 토출로
243: 이탈방지홈 244: 지지부
250: 홀더부 251: 결합공
252: 이탈방지돌기 253: 제 1 결합돌기
254: 제 2 결합돌기 255: 제 3 결합돌기
300: 캡부 310: 제 2 결합홈
1000: 개인용 케어 장치100: container part 110: container body
120: neck part 200: care part
210: housing 211: first extension
212: base 213: second extension
214: Supporting protrusion 215: First coupling groove
220: contents moving part 221: communication part
222: air inlet hole 223: communication hole
224: sealing portion 225: distribution plate
226: Connection 227: Separation border
228: Content distribution groove 229: Leakage prevention protrusion
230: check valve 231: first valve unit
231-1: Air movement hole 231-2: Contents opening and closing part
231-3: Receiving part 232: Second valve part
232-1: Valve pin 232-2: Air opening and closing part
232-3: Air moving part 240: Brush part
241:
243: Breakaway prevention groove 244: Support portion
250: Holder part 251: Coupling hole
252: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253: first coupling protrusion
254: second coupling protrusion 255: third coupling protrusion
300: Cap portion 310: Second coupling groove
1000: Personal care device
Claims (13)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에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케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어부는,
상기 용기부로부터 상기 케어부로의 상기 내용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 1 밸브부와 상기 케어부로부터 상기 용기로의 공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 2 밸브부를 포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밸브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외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에 대한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며 상기 내용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내용물 개폐부;
상기 내용물 개폐부의 상단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 이동홀; 및
상기 공기 이동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밸브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밸브부는,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기 이동홀에 삽입되는 밸브핀;
상기 밸브핀의 외경이 확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에 대한 가압 및 가압해제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며 상기 공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기 개폐부; 및 상기 밸브핀의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되,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공기 이동부를 포함하는, 개인용 케어 장치.As a personal care device,
A container portion where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and
It is coupled to the container portion and includes a care portion that delivers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portion to the skin,
The care department,
A check valve including a first valve unit that controls movement of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unit to the care unit and a second valve unit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air from the care unit to the container,
The first valve unit,
a contents opening/closing unit that is formed to expand in outer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is deformed at least in part according to pressurization and release of the pressure on the container unit, and controls movement of the contents;
an air movement hole through which the air moves axially from the top of the contents opening/closing unit; and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air movement hole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valve portion,
The second valve unit,
a valve pi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air movement hole;
an air opening/closing unit formed by expan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valve pin, at least partially deformed according to pressurization and release of the container unit, and controlling movement of the air; and an air moving part form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pin is expanded outward and includes at least one hole through which the air moves.
상기 케어부는,
상기 용기부와 결합되되 상기 용기부와 연통 가능하고, 상기 케어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체크밸브를 수용하며 상기 용기부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용물 이동부; 및
상기 내용물 이동부와 결합하며, 상기 내용물 이동부로부터 안내받은 상기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브러시부를 포함하는, 개인용 케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are department,
A housing coupled to the container por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ntainer portion, and forming an exterior of the care portion;
a contents moving unit coupled to the housing, accommodating the check valve insid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unit; and
A personal care device that is coupled to the contents moving unit and includes a brush unit that delivers the contents guided by the contents moving unit to the skin.
상기 내용물 이동부는,
상기 용기부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이동하되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상기 내용물의 이동이 제어되는 연통부; 및
상기 연통부로부터 이동하는 상기 내용물을 상기 브러시부로 분배하는 분배판을 포함하는, 개인용 케어 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contents moving part,
a communication unit through which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unit move and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is controlled by the check valve; and
A personal care device comprising a distribution plate that distributes the contents moving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brush unit.
상기 연통부는,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결합되는 공기 유입공;
상기 공기 유입공과 상기 연통부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 및
상기 체크밸브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개인용 케어 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communication part is,
An air inlet hole formed at the top to which the check valve is coupled;
at least one communication hole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hol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part; and
A personal care device comprising a sealing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heck valve is in close contact.
상기 내용물 개폐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밀폐부에 밀착하는, 개인용 케어 장치.According to claim 4,
The contents opening and closing part,
A personal care devic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portion.
상기 공기 개폐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기 유입공의 상측에 안착하는, 개인용 케어 장치.According to claim 5,
The air opening and closing part,
A personal care devic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rests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inlet.
상기 용기부에 대한 가압에 따라, 상기 내용물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며 상기 밀폐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내용물 이동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부로 상기 내용물이 이동하는, 개인용 케어 장치.According to claim 6,
In response to pressure on the container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ents opening/closing unit is deformed and spaced apart from the sealing unit, thereby causing the contents to move from the contents moving unit to the brush unit.
상기 공기 개폐부는 상기 공기 유입공에 밀착하여 상기 공기 이동홀로의 상기 내용물의 이동을 차단하되,
상기 용기부에 대한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공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며 상기 공기 유입공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공기가 상기 공기 이동부 및 상기 공기 이동홀을 통해 상기 용기부로 이동하는, 개인용 케어 장치.According to claim 7,
The air opening and clos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ir inlet hole to block movement of the contents into the air movement hole,
As the pressure on the container unit is released,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opening/closing unit is deformed and spaced apart from the air inlet hole, so that the air moves into the container unit through the air moving part and the air moving hole. .
상기 분배판은,
상기 연통부로부터 이동한 내용물을 상기 브러시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용물 분배홈; 및
상기 내용물 분배홈의 주변 영역을 따라 돌출되는 누액방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누액방지돌기는, 상기 브러시부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내용물 분배홈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는, 개인용 케어 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distribution plate is,
at least one content distribution groove that guides the content mo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brush unit; and
It includes a leak-prevention protrusion protruding along a peripheral area of the content distribution groove,
The leak-prevention protrus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rush portion,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the contents from the contents distribution groove.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피부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포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도포팁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를 관통하는 내용물 토출로가 형성되는, 개인용 케어 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brush part,
It includes a plurality of application tips that contact the skin,
A personal care devi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tips is formed with a content discharge path penetrating the interior.
상기 브러시부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개인용 케어 장치.According to claim 2,
A personal care device, wherein the brush portion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상기 케어부는, 상기 브러시부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브러시부를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개인용 케어 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care unit is disposed below the brush unit and further includes a holder unit coupled to the housing to fix the brush unit.
상기 용기부는 상기 케어부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용기부의 입구가 상기 케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개인용 케어 장치.According to claim 1,
A personal care device wherein the container portion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re portion and is disposed so that an inlet of the container portion faces the car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2991A KR102614811B1 (en) | 2021-12-06 | 2021-12-06 | Personal car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2991A KR102614811B1 (en) | 2021-12-06 | 2021-12-06 | Personal car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4866A KR20230084866A (en) | 2023-06-13 |
KR102614811B1 true KR102614811B1 (en) | 2023-12-19 |
Family
ID=8676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2991A KR102614811B1 (en) | 2021-12-06 | 2021-12-06 | Personal car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14811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65441A1 (en) * | 2015-10-13 | 2017-04-20 |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 Foam generator for compression receptacles |
KR101984851B1 (en) * | 2018-03-12 | 2019-05-31 | 주식회사 달리팩 | A hair product application container having a temporary storage space for the hair product between the front brush and the back brush by forming a blocking wall on the rear brush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6490B1 (en) | 2008-04-11 | 2011-01-07 | 신현명 | The rotatory brush of discharging hairdye |
KR101794514B1 (en) * | 2016-03-09 | 2017-11-08 | (주)아모레퍼시픽 | Hair colorant container |
-
2021
- 2021-12-06 KR KR1020210172991A patent/KR10261481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65441A1 (en) * | 2015-10-13 | 2017-04-20 |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 Foam generator for compression receptacles |
KR101984851B1 (en) * | 2018-03-12 | 2019-05-31 | 주식회사 달리팩 | A hair product application container having a temporary storage space for the hair product between the front brush and the back brush by forming a blocking wall on the rear brus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4866A (en) | 2023-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34821B2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 |
CN107404988B (en) | Cap for scalp care container capable of applying liquid | |
KR200385091Y1 (en) | It is possible for cosmetic case to open and shut of conents an outlet | |
JP2008110228A (en) | Device for packaging and distributing cosmetic product | |
EP3287037B1 (en) | Needle array-equipped cosmetics container | |
US20180295967A1 (en) | Cosmetic container | |
CN110446664B (en) | Brush integrated capsule with film forming polymer for nail polishing | |
KR102209696B1 (en) | Cosmetic container for scalp care with selective emission | |
KR101893074B1 (en) | Scalp care bottle | |
KR200492726Y1 (en) | Container | |
KR102614811B1 (en) | Personal care device | |
KR101237448B1 (en) | Tube type cosmetic vessel having a flexible brush | |
JP2022535154A (en) | fluid distribution device | |
KR200438759Y1 (en) | Beauty implement for treating hair | |
KR102591893B1 (en) | Scalp care device | |
KR20150030867A (en) | Syringe type cosmetic case | |
JP4510580B2 (en) | Packaging and applicator equipment | |
KR200491481Y1 (en) | Skin care device | |
KR200385928Y1 (en) | Powder vessel for makeup | |
KR102671523B1 (en) | Liquid dispenser for dispensing liquid, having an additional reservoir for additional media | |
KR200427875Y1 (en) | the case of eye gloss | |
KR102371878B1 (en) | Shower filter unit with built-in vitamins | |
KR102234043B1 (en) | Liquid discharge container for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 |
KR20240077202A (en) | A cosmetic tool that can accommodate contents in the handle | |
KR102594616B1 (en) | MTS Roller Device with Liquid cosmetics Discharging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