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789B1 -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using vending machine sales data analysis - Google Patents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using vending machine sales data analy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789B1
KR102614789B1 KR1020230081601A KR20230081601A KR102614789B1 KR 102614789 B1 KR102614789 B1 KR 102614789B1 KR 1020230081601 A KR1020230081601 A KR 1020230081601A KR 20230081601 A KR20230081601 A KR 20230081601A KR 102614789 B1 KR102614789 B1 KR 102614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es
vending machine
data
beverage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6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동석
Original Assignee
신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석 filed Critical 신동석
Priority to KR102023008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7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78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06Q30/0205Location or geographical consid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lgebra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판기의 판매 기록을 데이터화 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효율적인 음료수 재입고 주기와 주문 수량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음료수 판매 운영 중인 자판기의 자판기 정보를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 단계, 자판기가 판매하는 음료수에 대한 로우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고 로우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데이터 입수 단계, 서버에 저장된 로우 데이터를 가공하여 판매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매 데이터 생성 단계, 판매 데이터를, 동일한 지역 내에 설치된 자판기에 대한 데이터끼리 같은 지역 데이터 그룹으로 분류하는 지역 데이터 그룹 분류 단계, 각각의 지역 데이터 그룹을 분석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자판기를 통한 음료수 판매 전략을 최적화하는 최적화 단계를 포함하는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that can achieve optimal sales through data analysis of vending machine sales records and data analysi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an also automatically determine efficient beverage restocking cycles and order quantities. Regarding this, a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vending machine information of a vending machin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operating to sell beverages to a server, data acquisition of transmitting raw data about beverages sold by the vending machine to the server and storing the raw data on the server. Step, sales data generation step to generate sales data by processing raw data stored in the server, regional data group classification step to classify sales data into the same regional data group with data on vending machines installed in the same region, each regional data It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that includes an optimization step to analyze the group and optimize the beverage sales strategy through vending machines in the corresponding area.

Description

자판기 판매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자판기 운영 보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using vending machine sales data analysis}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using vending machine sales data analysis}

본 발명은 자판기 판매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자판기 운영 보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자판기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음료수의 품목, 배치 수량, 판매가 및 재입고 주기 등을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자판기 운영 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ssisting vending machine operation through analysis of vending machine sales data. Specifically, the item, batch quantity, sales price, and restocking cycle of beverages are analyzed to generate optimal profits by analyzing vending machine sales data. It concerns a method of assisting the operation of a vending machine that automatically calculates the bill.

음료수를 판매하는 자판기 운영에 있어서 자판기에서 판매할 음료수 품목을 선정하고 각 음료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결정하는 일은 매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항이다. 이 때문에 자판기 운영자들은 자판기에서 판매할 음료수 품목,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최적화하는데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In operating a vending machine that sells beverages, selecting the beverage items to be sold in the vending machine and determining the batch quantity and selling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are important matters that have a very significant impact on sales. For this reason, vending machine operator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optimizing the beverage items, batch quantities, and selling prices to be sold in vending machines.

종래에는 자판기 운영자가 자판기를 설치한 지역을 직접 돌아다니면서 자판기의 운영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거나, 다년간의 운영 경험을 통해 자판기의 운영 노하우 내지는 운영에 필요한 지식, 감각을 습득하였다. 이 때문에, 운영자 개인의 분석력 내지는 경험에 대한 중요성이 컸고, 운영자의 분석력이나 경험이 부족할 경우 필요한 매출을 높이기 위한 의사결정을 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뛰어난 분석력을 가졌거나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제3자에게 자문을 구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방법은 추가적인 비용에 대한 부담을 수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past, vending machine operators either walked around the area where the vending machine was installed and acquired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operate the vending machine, or acquired the know-how or knowledge and sense necessary for operating the vending machine through many years of operating experience. For this reason, the importance of the operator's individual analytical ability or experience was great, and if the operator's analytical ability or experience was lacking, it was very difficult to make decisions to increase the necessary sales. There is also a method of seeking advice from a third party with excellent analytical skills or extensive experience, but this method has the problem of incurring additional costs.

또한, 종래의 방법은 운영자 개인의 역량 대한 의존도가 큰 것뿐만 아니라, 최적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는 음료수 품목,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결정하는데 많은 노동력 및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적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는 운영 요소에 대한 감각을 익히기 위해 필요한 시간 및 노동력은 자판기를 운영하는 사업을 시작하는데 있어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거나, 그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비용 소모적인 작업을 추가로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 has the problem of not only being highly dependent on the capabilities of individual operators, but also requiring a lot of labor and time to determine beverage items, batch quantities, and sales prices that can achieve optimal sales. The time and labor required to acquire a sense of the operational elements that can achieve optimal sales act as a barrier to entry when starting a vending machine operation business, or, although not to that extent, require additional cost-consuming work. There is.

근래,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동화된 분석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분석은, 분석 작업에 직접 투입되는 사람의 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 방대한 데이터에 기초한 정확하고 빠른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Recently, automated analysis metho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Analysi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showing excellent effectiveness in generating accurate and fast analysis information based on massive data while minimizing the human labor directly involved in the analysis work.

자판기 운영 방법에 있어서도,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단으로서 인공지능을 이용한 분석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In terms of how to operate vending machines, the need for a method of utilizing analysi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s emerged as an efficient means to maximize sales.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204057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40574 한국 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20-0101527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20-0101527 한국 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17-0092845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7-0092845 한국 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15-0124015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5-0124015

본 발명의 목적은, 자판기의 판매 기록을 데이터화 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는 자판기의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that can convert sales records of vending machines into data and achieve optimal sales through data analysi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음료수 재입고 주기와 주문 수량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determine an efficient beverage restocking cycle and order quanti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음료수 판매 운영 중인 자판기의 자판기 정보를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 단계, 자판기가 판매하는 음료수에 대한 로우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고 로우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는 데이터 입수 단계, 서버에 저장된 로우 데이터를 가공하여 판매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매 데이터 생성 단계, 판매 데이터를, 동일한 지역 내에 설치된 자판기에 대한 데이터끼리 같은 지역 데이터 그룹으로 분류하는 지역 데이터 그룹 분류 단계, 각각의 지역 데이터 그룹을 분석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자판기를 통한 음료수 판매 전략을 최적화하는 최적화 단계를 포함하고, 지역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고, 자판기 정보는, 자판기의 식별 ID, 자판기의 설치 지역 및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assisting vending machin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vending machine information of a vending machin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operating to sell beverages to a server, sending raw data about beverages sold by the vending machine to the server, and A data acquisition stage in which raw data is stored on a server, a sales data generation stage in which sales data is generated by processing raw data stored in the server, and a region in which sales data is classified into the same regional data group with data on vending machines installed in the same region. It includes a data group classification step and an optimization step to analyze each regional data group and optimize the beverage sales strategy through vending machines in the region. The region consists of a plurality of zones, and the vending machine information is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vending machine. , may include the installation area and zone of the vending mach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에 있어서, 판매 데이터는, 자판기 정보, 자판기가 판매 중인 음료수 품목, 음료수 품목 별 배치 수량, 음료수 품목 별 일일 판매량 및 음료수 품목 별 판매가 정보를 포함하고, 최적화 단계는,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상기 자판기에 배정되는 음료수의 품목,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최적화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assisting vending machin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les data includes vending machine information, beverage items being sold by the vending machine, batch quantity for each beverage item, daily sales volume for each beverage item, and sales price information for each beverage item, In the optimization step, sales data can be analyzed to optimize the beverage items assigned to each vending machine, the batch quantity of each beverage item, and the sales pr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에 있어서, 최적화 단계는 각각의 지역 데이터 그룹 내에 속하는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지역 내에서의 음료수 품목별 판매 순위를 생성하고, 소정의 순위 내에 속하는 음료수 품목들을 판매 품목으로 선정하는 판매 품목 선정 단계, 판매 품목으로 선정된 음료수 품목 각각에 대하여, 판매 데이터를 기초로 자판기의 매출 그래프를 생성하는 매출 그래프 생성 단계, 매출 그래프에 근거하여 자판기의 예상 최대 매출액을 산출하고, 예상 최대 매출액에 대응하는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결정하는 최대 매출 산출 단계, 최대 매출 산출 단계를 통해 결정된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가 적용된 자판기로부터 새로이 입수되는 판매 데이터를 반영하여,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조정하는 조정 단계를 포함하고, 매출 그래프에 있어서, 매출액은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의 함수이고, 매출 그래프 생성 단계는, 판매 데이터에 의해 형성된 점 데이터를 기초로 추세선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최대 매출 산출 단계는, 추세선을 기초로 예상 최대 매출액을 산출하고, 조정 단계는, 최대 매출 산출 단계를 통해 결정된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가 적용된 이후, 매출액이 감소한 품목에 대해서는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하향 조정하고, 매출액이 증가한 품목에 대해서는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상향 조정하고, 조정 단계는,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할 때, 매출 그래프의 추세선의 기울기가 클수록 조정 폭을 작게 하고, 매출 그래프의 추세선의 기울기가 작을수록 조정 폭을 크게 할 수 있다.In the assisting method for operating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mization step analyzes sales data belonging to each regional data group, generates a sales ranking for each beverage item within each region, and drinks fall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king. A sales item selection step in which items are selected as sales items, a sales graph generation step in which a sales graph of the vending machine is created based on sales data for each beverage item selected as a sales item, and the expected maximum sales of the vending machine based on the sales graph. Calculate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to determine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pected maximum sales, and reflect the sales data newly obtained from the vending machine to which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product determined through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are applied. Thus, it includes an adjustment step of adjusting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each beverage item, and in the sales graph, the sales amount is a function of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the beverage, and the sales graph generation step is based on point data formed by sales data. It includes calculating a trend line, and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calculates the expected maximum sales based on the trend line, and the adjustment step is, after applying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determined through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the sales amount is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beverages are adjusted downward for items that have decreased, and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beverages are adjusted upward for items with increased sales. In the adjustment stage, when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beverages are adjusted upward or downward, sales The larger the slope of the trend line of the graph, the smaller the adjustment range, and the smaller the slope of the trend line of the sales graph, the larger the adjustment r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에 있어서, 최적화 단계는, 자판기의 음료수 재입고 주기를 결정하는 재입고 주기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판매 품목 선정 단계는, 판매 데이터의 통계치에 근거하여 각 음료수 품목별 소진 속도를 산출하고, 소진 속도가 빠른 음료수 품목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최대 매출 산출 단계는, 음료수 재입고 주기 동안의 매출 그래프에 기초하여 예상 최대 매출액을 산출하고, 재입고 주기는, 동일 지역 내에 설치된 모든 자판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assisting method for operating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mization step further includes a restocking cycl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of the vending machine, and the selling item selection step includes each item being selected based on statistics of sales data. It further includes calculating the exhaustion speed for each beverage item and assigning weight to beverage items with a fast exhaustion speed.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calculates the expected maximum sales based on the sales graph during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and the restocking cycle is , can be equally applied to all vending machines installed in the same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에 있어서, 최대 매출 산출 단계에서 결정된 각 자판기의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에 기초하여, 창고에 보관할 음료수의 품목별 주문량을 산정하는 주문량 산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주문량 산정 단계는, 음료수 주문 주기가 음료수 재입고 주기의 n(n은 3 이상의 자연수)배가 되도록 주문량을 산정하고, 창고는, 각 지역 당 1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In the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batch quantity of beverages for each item of each vending machine determined in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it further includes an order quantity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order quantity for each item of beverages to be stored in the warehouse, , In the order quantity calculation step, the order quantity is calculated so that the beverage order cycle is n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times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and one or more warehouses can be provided for each reg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에 있어서, 창고에 보관된 음료수를 창고가 마련된 지역에 설치된 복수의 자판기에 운반하는 운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운반 단계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신 받고, 실시간 교통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판기를 거쳐 창고로 돌아오는 최적 경로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assisting the operation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ransport step of transporting beverages stored in a warehouse to a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 warehouse is provided, and the transport step includes receiv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nd receiv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 It may include calculating the optimal route to return to the warehouse through a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based on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에 있어서, 운반 단계는, 최적 경로 및 각 자판기의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에 기초하여 음료수를 운반 차량에 싣는 최적 배치를 산출하는 최적 배치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최적 배치 산출 단계는, 각 자판기에 배치될 음료수들을 하나의 묶음으로 배치하고, 또한 각 자판기에 배치될 음료수를 각 자판기의 방문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운반 차량에 싣도록 상기 최적 배치를 산출하고, 최적 배치 산출 단계는, 최적 배치에 따른 시각 자료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작업자의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assisting method for operating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ort step further includes an optimal arrangemen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optimal arrangement for loading beverages into a transport vehicle based on the optimal route and the batch quantity of beverages for each item of each vending machine. In the optimal arrangement calculation step, the beverages to be placed in each vending machine are placed in a bundle, and the optimal arrangement is made to load the drinks to be placed in each vending machine onto the transport vehicle in the opposite order of the visit order of each vending machine. The step of calculating and calculating the optimal arrangement may include automatically generating visual data according to the optimal arrangement and transmitting it to the worker's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판기의 판매 기록을 데이터화 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는 자판기의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that can achieve optimal sales through data analysis of vending machine sales records and data analysi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음료수 재입고 주기와 주문 수량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determine an efficient beverage restocking cycle and order quanti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에 의해 생성된 판매 데이터의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에 의해 생성된 매출 그래프의 개략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ssisting the operation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sales data generated by a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ales graph generated by the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so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규칙(Rule)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규칙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심층 학습(Deep Learning)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system is a computer system that implements human-level intelligence, and unlike existing rule-based smart systems, it is a system in which machines learn and make decisions on their own. As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are used, their recognition rates improve and they can more accurately understand user preferences, and existing rule-based smart systems are gradually being replaced by deep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 학습 및 기계 학습을 활용한 요소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 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심층 학습 등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nsists of machine learning and element technologies using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is an algorithmic technology that classifies/learns the characteristics of input data on its own, and elemental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mimics the functions of the human brain such as cognition and judgment by utiliz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deep learning, including linguistic understanding and visual It consists of technical areas such as understanding, reasoning/prediction, knowledge expression, and motion control.

인공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다양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 기계 번역, 대화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합성 등을 포함한다. 시각적 이해는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술로서, 객체 인식, 객체 추적, 영상 검색, 사람 인식, 장면 이해, 공간 이해, 영상 개선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정보를 지식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지식 구축(데이터 생성/분류), 지식 관리(데이터 활용) 등을 포함한다. 동작 제어는 차량의 자율 주행,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움직임 제어(항법, 충돌, 주행), 조작 제어(행동 제어) 등을 포함한다.The various fields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pplied are as follows. Linguistic understanding is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and applies/processes human language/characters and include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achine translation, conversation systems, question and answer, and voice recognition/synthesis. Visual understanding is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and processes objects like human vision, and includes object recognition, object tracking, image search, person recognition, scene understanding, spatial understanding, and image improvement. Inferential prediction is a technology that judges information to make logical inferences and predictions, and includes knowledge/probability-based reasoning, optimization prediction, preference-based planning, and recommendations. Knowledge expression is a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processes human experience information into knowledge data, and includes knowledge construction (data creation/classific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data utilization). Motion control is a technology that controls the autonomous driving of vehicles and the movement of robots, and includes motion control (navigation, collision, driving), operation control (behavior control), etc.

일반적으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계 학습의 기본 방법론의 특성상 Trial and Error 방식으로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심층 학습의 경우 수십만 번의 반복 실행을 필요로 한다. 이를 실제 물리적인 외부 환경에서 실행하기는 불가능하여 대신 실제 물리적인 외부 환경을 컴퓨터상에서 가상으로 구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습을 수행한다.Generally, in order to apply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real life, learning is performed using a trial and error method due to the nature of the basic methodology of machine learning. In particular, deep learning requires hundreds of thousands of iterations. It is impossible to execute this in an actual physical external environment, so instead, the actual physical external environment is virtually implemented on a computer and learning is performed through simu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에 의해 생성된 판매 데이터의 개요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ssisting the operation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sales data generated by a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음료수 판매 운영 중인 자판기의 자판기 정보를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 단계(S1), 자판기가 판매하는 음료수에 대한 로우(raw)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고 로우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는 데이터 입수 단계(S2), 서버에 저장된 로우 데이터를 가공하여 판매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매 데이터 생성 단계(S3), 판매 데이터를 동일한 지역 내에 설치된 자판기에 대한 데이터끼리 같은 지역 데이터 그룹으로 분류하는 지역 데이터 그룹 분류 단계(S4), 그리고 각각의 지역 데이터 그룹을 분석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자판기를 통한 음료수 판매 전략을 최적화하는 최적화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assisting vending machin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gistration step (S1) of registering vending machine information of a vending machin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operating to sell beverages on a server, and raw information about beverages sold by the vending machine. A data acquisition step (S2) in which data is sent to the server and the raw data is stored in the server, a sales data generation step (S3) in which the raw data stored in the server is processed to generate sales data, and the sales data is sent to vending machines installed in the same area. It can include a regional data group classification step (S4) that classifies data into the same regional data group, and an optimization step (S5) that analyzes each regional data group to optimize the beverage sales strategy through vending machines in the region. there is.

자판기가 설치된 위치는, 지역과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지역이란 소정의 규모 이상의 행정 구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컨대, 지역은 거주 인구 또는 면적 등이 일정 수준 이상인 행정 구역일 수 있다. 지역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지역을 서울시 강남구라고 정한다면, 구역은 서울시 강남구에 속한 대치동, 삼성동 등의 행정 구역이 될 수 있다.Locations where vending machines are installed can be divided into regions and districts. Hereinafter, region is defined to refer to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a certain size or larger. For example, a region may be an administrative district with a resident population or area above a certain level. A region consists of multiple districts. For example, if the region is designated as Gangnam-gu, Seoul, the district could be an administrative district such as Daechi-dong or Samseong-dong belonging to Gangnam-gu, Seoul.

등록 단계(S1)는, 자판기의 식별 ID과 자판기의 설치 지역 및 구역을 포함하는 자판기 정보를 중앙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이다. 이 때, 자판기의 식별 ID는 각 자판기별로 부여되는 고유번호로서 복수의 자판기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부여되는 번호이다. 등록 단계(S1)를 통해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가 어떤 자판기로부터의 데이터인지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고, 정확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 등록 단계(S1)는, 자판기 정보를 작업자가 직접 중앙 서버에 입력할 수도 있고, 자판기에 장착된 무선 통신기기를 통해 자동으로 중앙 서버로 송신될 수도 있다.The registration step (S1) is a step of registering vending machine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vending machine and the installation area and zone of the vending machine on the central server.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vending machine is a unique number assigned to each vending machine and is a number assigned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from each other. Through the registration step (S1), it is possible to easily distinguish which vending machine the data stored in the server is from, and accurate data analysis is possible. In the registration step (S1), the vending machine information may be entered directly into the central server by the operator, or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nding machine.

데이터 입수 단계(S2)는, 자판기가 판매하는 음료수에 대한 로우 데이터를 자판기에 장착된 무선 통신기기를 통해 중앙 서버로 송신하고 로우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이며, 이 때 로우 데이터는 가공되지 않은 데이터로서 예컨대 자판기가 판매한 음료 품목, 판매 일시, 판매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우 데이터는 상술한 사항 외에도 판매되는 음료수에 대한 어떤 데이터라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acquisition step (S2) is the step of transmitting raw data about beverages sold by the vending machine to the central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nding machine and storing the raw data on the server. At this time, the raw data is unprocessed.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beverage items sold by the vending machine, date and time of sale, sales price, etc. In addition to the above, raw data may include any data about beverages sold.

서버에 저장된 로우 데이터는 판매 데이터 생성 단계(S3)를 통해 분석하기 용이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판매 데이터는, 예컨대 자판기 정보, 자판기가 판매 중인 음료수 품목, 음료수 품목 별 배치 수량, 음료수 품목 별 일일 판매량 및 음료수 품목 별 판매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 데이터는 상술한 정보 외에도, 매출 최적화 분석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면 로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어떤 정보라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매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의 항목은 운영자에 의해 직접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운영자는 휴대폰 등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중앙 서버에 접속하여 판매 데이터에 포함시킬 정보 항목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Raw data stored in the server can be processed into a form that is easy to analyze through the sales data creation step (S3). Sales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vending machine information, beverage items being sold by the vending machine, batch quantity for each beverage item, daily sales volume for each beverage item, and sales price information for each beverage item.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sales data may further include any information included in raw data if necessary for sales optimization analysis. In one embodiment, the item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ales data may be set directly by the operator. For example, the operator can access the central server through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directly set the information items to be included in the sales data.

지역 데이터 그룹 분류 단계(S4)는, 동일한 지역 내에 설치된 자판기에 대한 판매 데이터끼리 분류함으로써, 각 지역별로 따로따로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기 용이하게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지역 데이터 그룹을 분류함으로써, 각 지역별 판매 데이터를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고, 따라서 지역 별로 판매 전략을 구분하여 구상할 수 있다. 즉, 판매 데이터 그룹을 분류함에 의해 각 지역별 특성을 구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역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전략을 구상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gional data group classification step (S4) is a step in which sales data for vending machines installed in the same region are classified to facilitate analysis of sales data for each region separately. By classifying regional data groups in this way, sales data for each region can be analyzed separately, and sales strategies can be separately designed for each region. In other words, by classifying sales data group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can be distinguished, and it is possible to devise differentiated strategi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최적화 단계(S5)는 각각의 지역 데이터 그룹을 분석하여 음료수 판매 전략을 최적화하는 단계이다. 즉, 최적화 단계(S5)는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자판기에 배정되는 음료수의 품목,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최적화하는 단계이다.The optimization step (S5) is a step to optimize the beverage sales strategy by analyzing each regional data group. In other words, the optimization step (S5) is a step that analyzes sales data and optimizes the beverage items assigned to each vending machine, the batch quantity of each beverage item, and the sales pric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최적화 단계(S5)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timization step (S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에 의해 생성된 매출 그래프의 개략도이다. 도 3에는 편의를 위해 음료수 판매가에 따른 자판기의 매출액 데이터에 대한 2차원 그래프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매출 그래프는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에 따른 자판기의 매출엑 데이터에 대한 3차원 그래프를 포함한다.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ales graph generated by the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two-dimensional graph of sales data of vending machines according to the sales price of beverages for convenience, but the sales grap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graph of sales data of vending machines according to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each beverage item. Includes.

일 실시예에서, 최적화 단계(S5)는 각각의 지역 데이터 그룹 내에 속하는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지역 내에서의 음료수 품목별 판매 순위를 생성하고, 소정의 순위 내에 속하는 음료수 품목들을 판매 품목으로 선정하는 판매 품목 선정 단계(S5-1), 판매 품목으로 선정된 음료수 품목 각각에 대하여 판매 데이터를 기초로 자판기의 매출 그래프를 생성하는 매출 그래프 생성 단계(S5-2), 매출 그래프에 근거하여 자판기의 예상 최대 매출액을 산출하고, 예상 최대 매출액에 대응하는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결정하는 최대 매출 산출 단계(S5-3), 그리고 최대 매출 산출 단계(S5-3)를 통해 결정된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가 적용된 자판기로부터 새로이 입수되는 판매 데이터를 반영하여,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조정하는 조정 단계(S5-4)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timization step (S5) analyzes sales data belonging to each regional data group, generates a sales ranking for each beverage item in each region, and selects beverage items that fall within a predetermined ranking as sales items. Sales item selection step (S5-1), sales graph generation step (S5-2) in which a sales graph of the vending machine is generated based on sales data for each beverage item selected as a sales item, and prediction of the vending machine based on the sales graph.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S5-3), which calculates the maximum sales and determines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pected maximum sales, and the batch quantity for each beverage item determined through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S5-3) And it may include an adjustment step (S5-4) in which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each beverage item are adjusted by reflecting the sales data newly obtained from the vending machine to which the sales price is applied.

자판기의 설치 위치가 정해지면, 그 다음으로 가장 먼저 정해야 하는 사항은 어떤 제품을 팔 것인지에 대한 사항이다. 판매 품목 선정 단계(S5-1)는 최적의 매출을 달성하기 위한 음료수 품목을 선정하는 단계이다.Once the installation location for the vending machine is decided, the next thing to decide is what products will be sold. The sale item selection step (S5-1) is the step of selecting beverage items to achieve optimal sales.

일 실시예에서, 판매 품목 선정 단계(S5-1)는 동일 지역 내의 다른 자판기로부터의 판매 데이터를 참조하여, 매출이 우수한 품목들을 판매 품목으로 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판기가 속하는 지역 데이터 그룹 내에 속하는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지역 내에서의 음료수 품목별 판매 순위를 생성하고, 소정의 순위 내에 속하는 음료수 품목들을 판매 품목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자판기가 설치 운영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해당 자판기 자체의 판매 데이터가 축적될 경우, 판매 데이터의 통계치에 근거하여 각 음료수 품목별 소진 속도를 산출하고, 소진 속도가 빠른 음료수 품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가 높은 음료 순서로 판매 품목을 선정할 수 있다. 즉, 자판기의 자체 판매 데이터가 일정 수준 이상 쌓인 이후에는 이전에 선정된 판매 품목을 조정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ales item selection step (S5-1) may be a step of selecting items with excellent sales as sales items by referring to sales data from other vending machines in the same area. Specifically, by analyzing sales data belonging to the regional data group to which the vending machine belongs, a sales ranking for each beverage item within the region can be created, and beverage items falling within a certain rank can be selected as sales items. In addition,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passes after the vending machine is installed and operated, and the sales data of the vending machine itself is accumulated, the exhaustion speed of each beverage item is calculated based on the statistics of the sales data, and weight is given to beverage items with a faster exhaustion speed. By assigning it, sales items can be selected in the order of beverages with the highest weight. In other words, after the vending machine's own sales data has accumulated to a certain level, previously selected sales items can be adjusted.

매출 그래프 생성 단계(S5-2)는 판매 품목으로 선정된 음료수 품목 각각에 대하여, 판매 데이터를 기초로 자판기의 매출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이며, 매출 그래프는 3차원 그래프일 수 있다. 매출 그래프는 판매 품목으로 선정된 음료수 품목 각각에 대해 생성되므로, 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음료수 품목 수가 10개일 경우 매출 그래프도 10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매출 그래프의 z축은 자판기의 전체 매출액, x축 및 y축은 각각 특정 품목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일 수 있다. 즉, 매출액은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의 함수일 수 있다. 이 때, 매출 그래프는 하기 식 (1)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 sales graph generation step (S5-2) is a step of generating a sales graph of the vending machine based on sales data for each beverage item selected as a sales item, and the sales graph may be a three-dimensional graph. Since a sales graph is generated for each beverage item selected as a sales item, if the number of beverage items sold in a vending machine is 10, 10 sales graphs can also be generated. At this time, the z-axis of the sales graph may be the total sales of the vending machine, and the x-axis and y-axis may be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a specific beverage item, respectively. In other words, sales may be a function of the batch quantity and selling price of the beverage. At this time, the sales graph can be expressed as the following equation (1).

식 (1) …매출액 = f(가격, 수량)Equation (1)... Sales = f(price, quantity)

이와 같이, 매출 그래프는 특정 음료수 품목의 가격 및 배치 수량이 자판기 전체의 매출에 미치는 영향 내지는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In this way, the sales graph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r correlation of the price and batch quantity of a specific beverage item on the overall sales of the vending machine.

음료수 각 품목 별로 자판기의 전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각 음료수 품목 별로 그 배치 수량 및 판매가에 따라 자판기의 전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기 위한 수단으로서 매출 그래프를 생성한다. 매출 그래프는, 자판기에서 판매되는 판매 품목이 확정된 이후에 생성된다.Each beverage item may have a different impact on the overall sales of the vending machine. With this in mind, a sales graph is created as a means of analyzing the impact of each beverage item on the overall sales of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The sales graph is created after the items sold in the vending machine are confirmed.

일 실시예에서, 음료수 각 품목별로 매출 그래프를 비교 분석하여, 매출 그래프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음료수 품목부터 매출을 최대화하기 위한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최적화 단계(S5)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ales graph for each beverage item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to maximize sales, starting with the beverage item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hanges in the sales graph. As a result, the optimization step (S5)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일 실시예에서, 매출 그래프는 판매 데이터에 의해 형성된 점 데이터를 기초로 추세선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세선을 산출함으로써, 판매 데이터에 없는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에 대해서도 그에 대응하는 대략적인 자판기의 매출액을 추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sales graph may include calculating a trend line based on point data formed by sales data. By calculating the trend line,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approximate sales amount of the vending machine corresponding to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beverages that are not in the sales data.

최대 매출 산출 단계(S5-3)는, 판매 품목으로 선정된 각 음료수 품목별 매출 그래프에 근거하여 자판기의 예상 최대 매출액을 산출하고, 예상 최대 매출액에 대응하는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 때, 예상 최대 매출액은 추세선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S5-3)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expected maximum sales of the vending machine based on the sales graph for each beverage item selected as a sales item and determining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pected maximum sales. am. At this time, the expected maximum sales amoun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trend line.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값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에 대한 매출액 데이터가 판매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추세선을 생성함에 의해 해당 추세선을 기초로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에 따라 매출액이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ven if sales data for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item of a specific value are not included in the sales data, by creating a trend line, how does the sales increase depending on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item of the beverage based on the trend line? You can predict whether things will change.

조정 단계(S5-4)는, 최대 매출 산출 단계(S5-3)를 통해 결정된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가 자판기에 적용된 후, 해당 자판기의 자체 판매 데이터가 충분히 축적되면, 새로이 축적된 판매 데이터를 바탕으로 예상 최대 매출액 및 그에 대응하는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조정하는 단계이다.In the adjustment step (S5-4), after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determined through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S5-3) are applied to the vending machine, when the vending machine's own sales data is sufficiently accumulated, the newly accumulated sales data This is the step to adjust the expected maximum sales and the corresponding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based on this.

일 실시예에서, 조정 단계(S5-4)는, 최대 매출 산출 단계를 통해 결정된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가 적용된 이후, 매출액이 감소한 품목에 대해서는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하향 조정하고, 매출액이 증가한 품목에 대해서는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상향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adjustment step (S5-4), after applying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determined through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beverages are adjusted downward for items whose sales have decreased, and the sales price is adjusted downward. This increase may include upwardly adjusting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beverages.

상술한 조정 단계(S5-4)에 의하면, 자판기를 실제 운영함에 따라 축적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예상 최대 매출액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변화한 예상 최대 매출액에 대응하는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조정하므로, 더욱 정확한 예상 최대 매출액을 예측할 수 있고, 또 예상 최대 매출액을 달성하기 위한 조정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adjustment step (S5-4), the change in expected maximum sales is predicted in real time based on data accumulated as the vending machine is actually operated, and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each beverage item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expected maximum sales are determined. By adjusting, the expected maximum sales can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and adjustments to achieve the expected maximum sales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조정 단계(S5-4)는,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할 때, 매출 그래프의 추세선의 기울기가 클수록 조정 폭을 작게 하고, 매출 그래프의 추세선의 기울기가 작을수록 조정 폭을 크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djustment step (S5-4), when adjusting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beverages upward or downward, the larger the slope of the trend line of the sales graph, the smaller the adjustment range, and the smaller the slope of the trend line of the sales graph, the smaller the adjustment range. You can make it big.

상술한 조정 단계(S5-4)에 의하면, 축적되는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여 판매 품목의 특성에 따라 조정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섬세한 조정 작업이 가능하므로 예상 최대 매출액의 예측 및 예상 최대 매출액을 달성하기 위한 조정 작업을 더욱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adjustment step (S5-4), detailed adjustment work is possible by analyzing the accumulated sales data and varying the degree of adjust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d items, thereby predicting the expected maximum sales and achieving the expected maximum sales. Adjustments can be performed more precisely.

일 실시예에서, 최적화 단계(S5)는 자판기의 음료수 재입고 주기를 결정하는 재입고 주기 결정 단계(S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timization step (S5) may further include a restocking cycle determination step (S5-5) of determining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of the vending machine.

일 실시예에서, 최대 매출 산출 단계(S5-3)는 재입고 주기 결정 단계(S5-5)를 통해 결정된 음료수 재입고 주기 동안의 매출 그래프에 기초하여 예상 최대 매출액을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S5-3) may calculate the expected maximum sales based on a sales graph during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determined through the restocking cycle determining step (S5-5).

일 실시예에서, 재입고 주기는 동일 지역 내에 설치된 모든 자판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stocking cycle may be applied equally to all vending machines installed in the same area.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수 재입고 주기를 먼저 상수로 정해 둔 후 해당 주기 동안의 예상 최대 매출액을 산출하므로, 음료수 별 판매 속도는 고려하지 않고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만 정하면 되므로 예상 최대 매출액 산출 과정이 단순화된다. 또한, 음료수 재입고 주기를 먼저 상수로 정해 두고 나머지 변수를 그에 맞춤 처리하므로 음료수 재입고 주기를 어떻게 정해야 효율적일지에 대해 따로 고민이나 계산할 필요가 없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is first set as a constant and then the expected maximum sales during the cycle is calculated. Therefore, the sales speed of each beverage is not considered and only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the beverage are determined, so the expected maximum sales calculation process This is simplified. In addition, since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is first set as a constant and the remaining variables are processed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worry or calculate separately how to determine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to be effici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은, 최대 매출 산출 단계(S5-3)에서 결정된 각 자판기의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에 기초하여, 창고에 보관할 음료수의 품목별 주문량을 산정하는 주문량 산정 단계(S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der quantity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order quantity for each item of beverage to be stored in the warehouse based on the batch quantity for each beverage item of each vending machine determined in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S5-3). (S6) may further be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주문량 산정 단계(S6)는 음료수 주문 주기가 음료수 재입고 주기의 n(n은 3 이상의 자연수)배가 되도록 주문량을 산정할 수 있다. 즉, 주문량 산정 단계(S6)는 창고에 저장해 둘 음료수 재고의 주문량 뿐만 아니라 음료수 주문 주기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rder quantity calculation step (S6) may calculate the order quantity so that the beverage order cycle is n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times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In other words, the order quantity calculation step (S6) can appropriately set not only the order quantity of beverage inventory to be stored in the warehouse but also the beverage order cycle.

일 실시예에서, 창고는 각 지역 당 1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warehouses may be provided for each region.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운영자가 창고에 보관된 음료수의 재고를 일일이 체크하지 않아도 인공지능에 의해 자동으로 적절한 주문량을 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ppropriate order quantity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without the operator having to individually check the inventory of beverages stored in the warehouse.

또한, 음료수 주문 주기가 음료수 재입고 주기의 n(n은 3 이상의 자연수)배가 되도록 주문량을 산정함으로써, 주문 주기가 너무 잦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물류 작업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비용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재입고 주기를 동일 지역 내에 설치된 모든 자판기에 동일하게 적용하므로, 동일 지역 내에 설치된 자판기들의 재입고 처리를 같은 시기에 처리할 수 있어 물류 운송 과정을 효율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alculating the order quantity so that the beverage order cycle is n times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the order cycle can be limited to not be too frequent,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costs incurred in logistics work. . In addition, since the restocking cycle is applied equally to all vending machines installed in the same area, the restocking process for vending machines installed in the same area can be processed at the same time, thereby streamlining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은, 창고에 보관된 음료수를 창고가 마련된 지역에 설치된 복수의 자판기에 운반하는 운반 단계(S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assisting the operation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port step (S7) of transporting beverages stored in a warehouse to a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 warehouse is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운반 단계(S7)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신 받고, 실시간 교통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판기를 거쳐 창고로 돌아오는 최적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료수를 운반하는 운반 비용을 최적화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port step (S7) may receiv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nd calculate an optimal route to return to the warehouse through a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based on th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Thereby, the transportation cost of transporting beverages can be optimized or minimiz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에 의해 생성된 최적 배치에 따른 시각 자료이다.Figure 4 is visual data according to the optimal arrangement generated by the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서, 운반 단계(S7)는 최적 경로 및 각 자판기의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에 기초하여 음료수를 운반 차량에 싣는 최적 배치를 산출하는 최적 배치 산출 단계(S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port step (S7) may further include an optimal arrangement calculation step (S7-1) of calculating the optimal arrangement for loading beverages into a transport vehicle based on the optimal route and the batch quantity of beverages for each item of each vending machine. there is.

일 실시예에서, 최적 배치 산출 단계(S7-1)는 각 자판기에 배치될 음료수들을 하나의 묶음으로 배치하고, 또한 각 자판기에 배치될 음료수를 각 자판기의 방문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운반 차량에 싣도록 상기 최적 배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timal arrangement calculation step (S7-1) arranges the drinks to be placed in each vending machine as a bundle, and also places the drinks to be placed in each vending machine on the transport vehicle in the opposite order of the visit order of each vending machine. It may include calculating the optimal arrangement for loading.

또한, 최적 배치 산출 단계(S7-1)는, 최적 배치에 따른 시각 자료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작업자의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ptimal arrangement calculation step (S7-1) may include automatically generating visual data according to the optimal arrangement and transmitting it to the worker's portable terminal.

이에 의해, 운반 차량에 음료수를 싣는 작업자의 업무를 단순화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므로, 운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ransportation costs by simplifying the work of workers loading beverages on transport vehicles and enabling quick and efficient work.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nd a field programmable gate (FPG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purpose or special-purpose computers, such as an array,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that run on the operating system. Additionally, a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a single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a processing device includes multiple processing elements and/or multiple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Additionally,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possible.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optical media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may be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used on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S1: 등록 단계
S2: 데이터 입수 단계
S3: 판매 데이터 생성 단계
S4: 지역 데이터 그룹 분류 단계
S5: 최적화 단계
S5-1: 판매 품목 선정 단계
S5-2: 매출 그래프 생성 단계
S5-3: 최대 매출 산출 단계
S5-4: 조정 단계
S5-5: 재입고 주기 결정 단계
S6: 주문량 산정 단계
S7: 운반 단계
S7-1: 최적 배치 산출 단계
S1: Registration phase
S2: Data acquisition phase
S3: Sales Data Generation Step
S4: Regional data group classification step
S5: Optimization step
S5-1: Sales item selection stage
S5-2: Sales graph creation step
S5-3: Maximum revenue generation stage
S5-4: Adjustment phase
S5-5: Restocking cycle decision step
S6: Order quantity calculation step
S7: Transport phase
S7-1: Optimal batch calculation step

Claims (5)

컴퓨터 또는 컴퓨터 주변 장치에 저장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이며,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음료수 판매 운영 중인 자판기의 자판기 정보를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 단계(S1);
상기 자판기가 판매하는 음료수에 대한 로우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로우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데이터 입수 단계(S2);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로우 데이터를 가공하여 판매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매 데이터 생성 단계(S3);
상기 판매 데이터를, 동일한 지역 내에 설치된 자판기에 대한 데이터끼리 같은 지역 데이터 그룹으로 분류하는 지역 데이터 그룹 분류 단계(S4);
각각의 상기 지역 데이터 그룹을 분석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자판기를 통한 음료수 판매 전략 수립을 보조하는 최적화 단계(S5);
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판기 정보는, 자판기의 식별 ID, 자판기의 설치 지역 및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판매 데이터는, 상기 자판기 정보, 자판기가 판매 중인 음료수 품목, 음료수 품목 별 배치 수량, 음료수 품목 별 일일 판매량 및 음료수 품목 별 판매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화 단계(S5)는, 상기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상기 자판기에 배정되는 음료수의 품목,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 설정을 보조하고,
상기 최적화 단계(S5)는,
각각의 상기 지역 데이터 그룹 내에 속하는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지역 내에서의 음료수 품목별 판매 순위를 생성하고, 소정의 순위 내에 속하는 음료수 품목들을 판매 품목으로 선정하는 판매 품목 선정 단계(S5-1);
상기 판매 품목으로 선정된 음료수 품목 각각에 대하여, 상기 판매 데이터를 기초로 자판기의 매출 그래프를 생성하는 매출 그래프 생성 단계(S5-2);
상기 매출 그래프에 근거하여 자판기의 예상 최대 매출액을 산출하고, 상기 예상 최대 매출액에 대응하는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결정하는 최대 매출 산출 단계(S5-3);
상기 최대 매출 산출 단계(S5-3)를 통해 결정된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가 적용된 자판기로부터 새로이 입수되는 판매 데이터를 반영하여,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조정하는 조정 단계(S5-4);
를 포함하고,
상기 매출 그래프에 있어서, 매출액은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의 함수이고,
상기 매출 그래프 생성 단계(S5-2)는, 상기 판매 데이터에 의해 형성된 점 데이터를 기초로 추세선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최대 매출 산출 단계(S5-3)는, 상기 추세선을 기초로 예상 최대 매출액을 산출하고,
상기 조정 단계(S5-4)는, 상기 최대 매출 산출 단계(S5-3)를 통해 결정된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 및 판매가가 적용된 이후, 매출액이 감소한 품목에 대해서는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하향 조정하고, 매출액이 증가한 품목에 대해서는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상향 조정하고,
상기 조정 단계(S5-4)는, 음료수의 배치 수량 및 판매가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할 때, 상기 매출 그래프의 상기 추세선의 기울기가 클수록 조정 폭을 작게 하고, 상기 매출 그래프의 상기 추세선의 기울기가 작을수록 조정 폭을 크게 하는,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
It is a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execu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are stored in a computer or computer peripheral device.
A registration step (S1) of registering vending machine information of a vending machin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operating to sell beverages on a server;
A data acquisition step (S2) of transmitting raw data about beverages sold by the vending machine to the server and storing the raw data in the server;
A sales data generation step (S3) of generating sales data by processing the raw data stored in the server;
A regional data group classification step (S4) of classifying the sales data into the same regional data group with data on vending machines installed in the same region;
An optimization step (S5) that analyzes each of the regional data groups and assists in establishing a beverage sales strategy through vending machines in the region;
Including,
The region consists of a plurality of districts,
The vending machine information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vending machine, the installation area and zone of the vending machine,
The sales data includes the vending machine information, beverage items being sold by the vending machine, batch quantity for each beverage item, daily sales volume for each beverage item, and sales price information for each beverage item,
The optimization step (S5) analyzes the sales data to assist in setting the beverage items assigned to each vending machine,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The optimization step (S5) is,
A sales item selection step (S5-1) of analyzing sales data belonging to each regional data group, generating a sales ranking for each beverage item within each region, and selecting beverage items fall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king as sales items;
A sales graph generation step (S5-2) of generating a sales graph of a vending machine based on the sales data for each beverage item selected as the sales item;
A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S5-3) of calculating the expected maximum sales of the vending machine based on the sales graph and determining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pected maximum sales;
An adjustment step (S5-4) in which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are adjusted by reflecting the sales data newly obtained from the vending machine to which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determined through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S5-3) were applied. ;
Including,
In the sales graph, sales are a function of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the beverage,
The sales graph generation step (S5-2) includes calculating a trend line based on point data formed by the sales data,
In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S5-3), the expected maximum sales is calculated based on the trend line,
In the adjustment step (S5-4), after applying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for each beverage item determined through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S5-3),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beverages are adjusted downward for items whose sales have decreased. , for items with increased sales,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beverages are adjusted upward;
In the adjustment step (S5-4), when adjusting the batch quantity and sales price of beverages upward or downward, the larger the slope of the trend line in the sales graph, the smaller the adjustment range, and the smaller the slope of the trend line in the sales graph. To increase the adjustment range,
How to assist with vending machine oper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단계(S5)는,
자판기의 음료수 재입고 주기를 결정하는 재입고 주기 결정 단계(S5-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 품목 선정 단계(S5-1)는, 상기 판매 데이터의 통계치에 근거하여 각 음료수 품목별 소진 속도를 산출하고, 소진 속도가 빠른 음료수 품목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최대 매출 산출 단계(S5-3)는, 상기 음료수 재입고 주기 동안의 상기 매출 그래프에 기초하여 예상 최대 매출액을 산출하고,
상기 재입고 주기는, 동일 지역 내에 설치된 모든 자판기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ptimization step (S5) is,
It further includes a restocking cycle determination step (S5-5) for determining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of the vending machine,
The sale item selection step (S5-1) further includes calculating the exhaustion speed for each beverage item based on the statistics of the sales data and assigning weight to beverage items with a rapid exhaustion speed,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S5-3) calculates the expected maximum sales based on the sales graph during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The restocking cycle applies equally to all vending machines installed in the same area.
How to assist with vending machine oper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매출 산출 단계(S5-3)에서 결정된 각 자판기의 음료수의 품목별 배치 수량에 기초하여, 창고에 보관할 음료수의 품목별 주문량을 산정하는 주문량 산정 단계(S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문량 산정 단계(S6)는, 음료수 주문 주기가 상기 음료수 재입고 주기의 n(n은 3 이상의 자연수)배가 되도록 주문량을 산정하고,
상기 창고는, 각 지역 당 1개 이상 마련되는,
자판기 운영 보조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Based on the batch quantity of beverages for each item of each vending machine determined in the maximum sales calculation step (S5-3), it further includes an order quantity calculation step (S6) of calculating the order quantity for each item of beverages to be stored in the warehouse,
In the order quantity calculation step (S6), the order quantity is calculated so that the beverage order cycle is n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times the beverage restocking cycle,
The warehouse is provided at least one in each region,
How to assist with vending machine operation.
KR1020230081601A 2023-06-26 2023-06-26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using vending machine sales data analysis KR1026147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1601A KR102614789B1 (en) 2023-06-26 2023-06-26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using vending machine sales data analy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1601A KR102614789B1 (en) 2023-06-26 2023-06-26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using vending machine sales data analys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789B1 true KR102614789B1 (en) 2023-12-15

Family

ID=8912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601A KR102614789B1 (en) 2023-06-26 2023-06-26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using vending machine sales data analy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789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015A (en) 2014-04-25 2015-11-05 (주)세환에프앤씨솔루션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and analyzing sales information of vending machine and method of thereof
KR20170092845A (en) 2016-02-04 2017-08-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Vending machin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KR101938862B1 (en) * 2017-12-22 2019-01-15 주식회사 슈퍼갈땐슈퍼맨 Apparatus for improving storekeeping efficienc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40574B1 (en) 2018-07-26 2019-11-06 강삼태 Store and shop management method
KR20200101527A (en) 2019-01-31 2020-08-28 구진현 System for providing unmanned store management service using noodle vending machine
KR102447055B1 (en) * 2021-09-24 2022-09-26 주식회사 슈퍼메이커즈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Demand of product
JP2022148345A (en) * 2021-03-24 2022-10-0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20144055A (en)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고기로110 Method and appartus for supproting transactions of commodite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015A (en) 2014-04-25 2015-11-05 (주)세환에프앤씨솔루션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and analyzing sales information of vending machine and method of thereof
KR20170092845A (en) 2016-02-04 2017-08-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Vending machin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KR101938862B1 (en) * 2017-12-22 2019-01-15 주식회사 슈퍼갈땐슈퍼맨 Apparatus for improving storekeeping efficienc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40574B1 (en) 2018-07-26 2019-11-06 강삼태 Store and shop management method
KR20200101527A (en) 2019-01-31 2020-08-28 구진현 System for providing unmanned store management service using noodle vending machine
JP2022148345A (en) * 2021-03-24 2022-10-0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20144055A (en)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고기로110 Method and appartus for supproting transactions of commodites
KR102447055B1 (en) * 2021-09-24 2022-09-26 주식회사 슈퍼메이커즈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Demand of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hnle et al. Designing an adaptive production control system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Fragapane et al. Planning and control of autonomous mobile robots for intralogistics: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genda
Wang et al. A proactive material handling method for CPS enabled shop-floor
US114005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sk execution in dynamic heterogeneous robotic environment
CN112487278A (en) Training method of recommendation model, and method and device for predicting selection probability
KR102404511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commending 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Gong et al. Robotic mobile fulfilment systems considering customer classes
JP2020507144A (en) Optimizing human and non-human resources in the retail environment
Lolli et al. A simulative approach for evaluating alternative feeding scenarios in a kanban system
KR102546871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commending order information through pattern analysis of order history regarding distribustion of food materials and subsidiary materials for business to busines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KR102499177B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argo owners and vehicle owners matching automation method
Xu et al. Hunger games search optimization with deep learning model for sustainable supply chain management
KR102552856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ing creation of content template and extracting keyword for platform service that provide content related to commerce
KR102554580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order alarm serveice and estimating safety inventory in warehouse through pattern analysis of order history regarding distribustion of food materials and subsidiary material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KR102614789B1 (en) Vending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using vending machine sales data analysis
Panzer et al. Designing an adaptive and deep learning based control framework for modular production systems
KR102410460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beauty shop reserva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abak et al. Data Driven Approach to Order Picking Time Prediction Using Fuzzy Clustering and ANN
Liu et al. Data-driven smart product service system
Barbosa et al. Applying verbal analysis of decision to prioritize software requirement considering the stability of the requirement
KR102614788B1 (en) Vending machine operating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recommending vending machine installation location and sale items using big data
Nanda et al. Towards algorithmic business: A paradigm shift in digital business
Kennedy et al. From Tradition to Technology: Utilization of AI and ML for Digital Transformation in Supply Chain Management
Huovila Use of machine learning in supply chain management: case study with DataRobot
Pramodhini et al. E-Commerc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