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703B1 -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703B1
KR102614703B1 KR1020230048007A KR20230048007A KR102614703B1 KR 102614703 B1 KR102614703 B1 KR 102614703B1 KR 1020230048007 A KR1020230048007 A KR 1020230048007A KR 20230048007 A KR20230048007 A KR 20230048007A KR 102614703 B1 KR102614703 B1 KR 102614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medical
medical institution
information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Suleyman Nazarov
성현우
양경석
Original Assignee
클라우드호스피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드호스피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라우드호스피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8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으로서, 의료기관에는 의료기관용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의료기관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한 광고를 의료서비스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의료서비스사용자와 의료기관을 중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 {Method for Mediate Medical Service}
본 발명은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으로서, 의료기관에는 의료기관용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의료기관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한 광고를 의료서비스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의료서비스사용자와 의료기관을 중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의료기관에서 취급하는 진료과목목은 과거보다 더 세부적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의료진들의 전문분야 또한 매우 세부적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환자가 자신의 환부와 증상 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의료기관 혹은 의료진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각 의료기관이 취급하는 진료과목목이나 의료진의 전문분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해야 하나, 환자가 다수의 의료기관과 의료진에 대한 정보를 일일히 검색하면서 확인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자국뿐만 아니라 타국의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이러한 수요에 맞춰 사용자에게 충분한 양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베트남, 중국, 태국 등 상대적으로 의료수준이 낮은 타국에서 의료선진국 중 하나인 한국의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의료관광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외국인이 한국의 의료기관 혹은 의료진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이용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통상적으로 의료기관용 웹페이지는 자국언어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아, 외국인이 의료기관 웹페이지만으로 정보를 취득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환자에게 다수의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환자와 의료기관을 중개하는 플랫폼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고, 이와 같은 플랫폼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수의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들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구체적으로 의료기술의 발전 및 글로벌화가 진행됨에 따라 의료기관별로 취급하는 진료과목, 주소, 소속의료진들의 언어가 상이할 수 것이고, 진료받고자 하는 진료과목, 현재위치, 사용언어가 상이한 환자그룹들과, 취급하는 진료과목, 주소, 소속의료진들의 언어가 상이한 의료기관들을 다대다로 매칭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다수의 의료기관들에 대한 정보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랫폼서비스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료기관의 관리자가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들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취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플랫폼서비스란 다수의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의료기관들에 대한 광고를 제공하거나 중개하는 서비스에 해당하나, 의료기관 입장에서는 관리자가 플랫폼서비스에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주소, 명칭, 소속의료진 등)을 일일히 입력(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며, 광고를 게시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이점이 없어 참여률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의료기관에 대한 광고 및 사용자와 중개를 수행하는 플랫폼서비스를 운영함에 있어, 플랫폼서비스의 참여율을 향상시키고, 다수의 의료기관들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국내등록특허 KR 10-1869475 B1 “의료 관광 서비스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본 발명은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으로서, 의료기관에는 의료기관용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의료기관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한 광고를 의료서비스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의료서비스사용자와 의료기관을 중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플랫폼시스템 및 런처시스템을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런처시스템에 의하여, 의료기관용 웹페이지를 생성하고자 하는 복수의 의료기관관리자 각각으로부터, 해당 의료기관관리자가 소속된 의료기관에 대한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필수정보를 수신하는 필수정보수신단계; 상기 런처시스템에 의하여, 해당 의료기관관리자에게 상기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하고,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웹페이지탬플릿제공단계; 상기 런처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관리자로부터 상기 웹페이지탬플릿에 기재될 명칭, 주소, 소속의료진, 로고, 게시글, 대표이미지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의료기관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탬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상기 상세정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게시하는 웹페이지구축단계; 상기 플랫폼시스템에 의하여, 복수의 의료기관 각각에 대한 웹페이지에 입력 혹은 수정되는 필수정보 혹은 상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별도의 광고웹페이지에서 복수의 의료기관 각각에 대한 광고를 게시하는 광고단계; 및 상기 플랫폼시스템에 의하여, 의료서비스의 중개를 요청하는 의료서비스사용자에 대하여, 복수의 의료기관 각각에 대해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의료서비스사용자에 가장 적합한 의료기관 혹은 해당 의료기관에 소속된 의료진을 중개하는 중개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런처시스템에는, 의원, 병원, 상급종합병원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기관종류 및 내과, 외과, 소아과, 정신과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진료과목별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웹페이지탬플릿제공단계는, 상기 의료기관관리자로부터 수신한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웹페이지탬플릿은, 상기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명칭, 주소, 소속의료진, 로고, 게시글 중 1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구축단계는, 상기 의료기관관리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필수정보 및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1 이상의 정보 각각을, 해당 정보에 상응하는 레이어에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런처시스템은, 상기 의료기관관리자에게 웹페이지탬플릿의 디자인을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의료기관관리자에 의해 수정된 웹페이지탬플릿에 상기 상세정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매뉴얼모드; 및 상기 의료기관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탬플릿의 디자인에 대한 별도의 수정없이, 상기 의료기관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탬플릿에 상기 상세정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오토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런처시스템은, 상기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텍스트에 대한 제1특징정보를 도출하는 자연어처리모델인 제1신경망모델; 상기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대한 제2특징정보를 도출하는 이미지처리모델인 제2신경망모델; 및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에 대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와 해당 의료기관관리자에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해당 의료기관관리자가 선택한 웹페이지탬플릿이 페어링된 학습데이터로 학습을 수행하고,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에 대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의료기관관리자에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기설정된 개수 이하의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하는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고단계는, 상기 플랫폼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웹페이지구축단계를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하지 않는 외부의료기관으로부터, 해당 외부의료기관에 대한 필수정보 및 상세정보 중 1 이상을 별도로 수신하고, 상기 광고웹페이지에서 상기 외부의료기관보다 상기 웹페이지구축단계를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면서 광고를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기관관리자는 자신이 소속된 의료기관에 대한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고, 자동적으로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광고게시 및 의료서비스사용자와의 중개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기관에 대한 광고게시 및 의료서비스사용자와의 중개를 위하여, 의료기관관리자로부터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지 않고,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기관관리자는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의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구성요소 및 동작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처시스템에 의해 의료기관용 웹페이지가 구축되기 까지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한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이 제공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정보에 포함되는 각 정보들이 웹페이지탬플릿에 표시되어 웹페이지가 구축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처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인공신경망모델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시스템에 의해 의료기관들에 대한 광고게시 및 의료서비스사용자를 중개하기 까지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2)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구성요소 및 동작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료기관(2)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구현하는 런처시스템(10), 및 의료서비스사용자(3)에게 의료기관(2)들에 대한 광고를 게시하고 중개하는 플랫폼시스템(11)을 포함하는 서버시스템(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의료서비스사용자(3)란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대상으로서, 플랫폼시스템(11)을 통해 다수의 의료기관(2)들에 대한 정보가 게시된 광고를 제공받거나, 특정 의료기관(2)과의 중개를 요청하는 대상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의료서비스사용자(3)는 이용을 희망하는 진료과목, 현재위치, 사용언어 등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의료서비스사용자(3)별로 진료받고자 하는 진료과목(내과, 외과, 성형외과 등)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의료서비스사용자(3)는 특정 국가에 한정하지 않고, 국내의 의료서비스이용을 희망하는 외국인 환자, 혹은 국외의 의료서비스이용을 희망하는 내국인 환자를 모두 망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료서비스사용자(3)들은 플랫폼시스템(11)을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의료기관(2)들에 대한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일례로 한국에서 성형수술을 받고자 하는 환자는 플랫폼시스템(11)을 통해 한국에 소재한 복수의 성형수술 전문 의료기관(2)에 대한 광고를 제공받거나, 어느 하나의 의료기관(2)과의 중개(예를 들어 상담, 예약)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의료기관(2)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상으로서, 플랫폼시스템(11)을 통해 광고가 게시되거나, 의료서비스사용자(3)의 중개 요청에 따라 해당 의료서비스사용자(3)와 중개되는 대상에 해당할 수 있고, 의료기관관리자(20)는 해당 의료기관(2)에 소속된 관리자(직원)에 해당할 수 있다.
동시에 의료기관(2)은 런처시스템(10)을 통해 웹페이지구축서비스를 이용하는 대상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관관리자(20)는 런처시스템(10)이 제공하는 웹페이지구축서비스를 통해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한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기관관리자(20)는 플랫폼시스템(11)을 통한 광고게시서비스나 의료서비스사용자(3)와 중개되는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플랫폼시스템(11)에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구체적으로 플랫폼시스템(11)이 의료기관(2)에 대한 광고를 게시하거나, 의료기관(2)과 의료서비스사용자(3)를 중개하기 위해서는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명칭, 주소, 진료과목, 의료진 등)를 취득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의 플랫폼서비스는 의료기관관리자(20)가 해당 정보들을 플랫폼시스템(11)에 직접 제공(입력)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의료기관관리자(20)는 별도의 품을 들여 의료기관(2)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야 하고, 나아가 의료기관(2)에 대한 정보가 수정될 때마다 수정된 정보들을 입력해야만 했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2)의 명칭, 소속된 의료진, 주소 등이 변경될 때마다 의료기관관리자(20)는 플랫폼서비스에 해당 정보들을 수정하여 입력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시스템(11)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의료기관(2)에 대한 정보를 직접 취득하지 않고, 런처시스템(10)이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한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서버시스템(1)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 하여금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가 소속된 의료기관(2)에 대한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런처시스템(10)을 포함하고, 런처시스템(10)에 의해 웹페이지가 구축되는 의료기관(2)에 대한 정보들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시스템(1)은 의료서비스사용자(3)에게 복수의 의료기관(2)들에 대한 광고를 게시하는 광고기능과 의료서비스사용자(3)와 의료기관(2)을 중개하는 중개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시스템(11)을 포함하며, 플랫폼시스템(11)은 의료기관(2)에 대한 정보를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직접 취득하지 않고, 런처시스템(10)으로부터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해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여, 광고기능과 중개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처시스템(10)에 의해 의료기관(2)용 웹페이지가 구축되기 까지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시스템(11) 및 런처시스템(10)을 포함하는 서버시스템(1)에 의해 구현되는, 의료기관(2)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은, 상기 런처시스템(10)에 의하여, 의료기관(2)용 웹페이지를 생성하고자 하는 복수의 의료기관관리자(20) 각각으로부터,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가 소속된 의료기관(2)에 대한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필수정보를 수신하는 필수정보수신단계; 상기 런처시스템(10)에 의하여,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상기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하고,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웹페이지탬플릿제공단계; 상기 런처시스템(10)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상기 웹페이지탬플릿에 기재될 명칭, 주소, 소속의료진, 로고, 게시글, 대표이미지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탬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상기 상세정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게시하는 웹페이지구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단계들은 런처시스템(10)이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단계들에 해당할 수 있고, 달리 말하자면 런처시스템(10)이 의료기관(2)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는 단계들로 이해될 수도 있다.
S1단계에서, 의료기관관리자(20)는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가 소속된 의료기관(2)에 대한 필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수정보란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한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관(2)은 종합병원,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및 조산원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2)의 기관종류가 어느 것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 의료기관(2)별로 내과, 외과, 소아과, 성형외과 등 취급하는 진료과목이 상이할 수 있으며,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해당 의료기관(2)에서 어떤 진료과목을 취급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단계에서,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에 웹페이지탬플릿을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런처시스템(10)에는 의료기관(2)의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별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이 기저장되어 있고, 런처시스템(10)은 S1단계에서 수신한 의료기관(2)에 대한 필수정보(의료기관(2)의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에 상응하는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에 대해 저장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의료기관(2)용 웹페이지는 해당 의료기관(2)이 어떤 기관종류에 해당하는 지 여부, 및 어떤 진료과목을 취급하는 지에 따라 웹페이지의 전반적인 형태, 디자인 등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진료과목을 취급하는 상급종합병원용 웹페이지와, 성형수술만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성형외과 전문의원용 웹페이지는 전반적인 디자인과 형태가 상이한 것이 일반적이다.
런처시스템(10)은 기관종류별 및 진료과목별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기저장하고, 의료기관관리자(20)가 송신한 필수정보에 따라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적합한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하고, 의료기관관리자(20)로 하여금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S3단계에서,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웹페이지탬플릿의 형태, 디자인 등을 세부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편집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4단계에서, 의료기관관리자(20)는 상기 편집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웹페이지탬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들의 크기, 형태, 위치 등을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의료기관관리자(20)는 웹페이지탬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각각의 형태, 위치, 디자인을 수정하되,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표시되는 정보는 입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편집인터페이스는 공지된 웹에디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5단계에서,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편집된 웹페이지탬플릿을 수신할 수 있다.
S6단계에서,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세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부정보란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한 명칭, 주소, 소속의료진, 로고, 게시글, 대표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수정보는 의료기관(2)에 대한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을 포함하여, 해당 필수정보를 통해 의료기관관리자(20)는 해당 의료기관(2)의 기관종류 혹은 진료과목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런처시스템(1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세부정보란 필수정보 외에 웹페이지상에서 표시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총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웹페이지에 표시할 의료기간의 명칭, 주소, 로고, 해당 의료기관(2)에 소속된 의료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7단계에서,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수신한 세부정보를 웹페이지탬플릿에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구축된 웹페이지를 네트워크상에 게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에 의해 편집된 웹페이지탬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상기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수신한 세부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한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의료기관관리자(20)는 런처시스템(10)이 제공하는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의료기관(2)에 대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네트워크에 게시할 수 있다.
한편 (의료기관(2)에 대한 광고를 게시하고, 의료서비스사용자(3)와 의료기관(2)을 중개하는) 플랫폼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다수의 의료기관(2)을 이용자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랫폼서비스는 전술한 광고 게시 및 의료서비스 중개 외에 의료기관(2)에게 주어지는 별도의 이점이 없어, 플랫폼서비스에 대한 의료기관(2)의 참여율이 저조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의료기관(2)에게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서비스를 먼저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의료기관(2)을 확보하며, 이 과정에서 수집되는 의료기관(2)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한 광고를 게시하거나, 해당 의료기관(2)과 의료서비스사용자(3)를 중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런처시스템(10)은 매뉴얼모드 및 오토모드를 지원하며, 의료기관관리자(20)의 선택입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드로 동작할 때 전술한 단계들이 세부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한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이 제공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런처시스템(10)에는, 의원, 병원, 상급종합병원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기관종류 및 내과, 외과, 소아과, 정신과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진료과목별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웹페이지탬플릿제공단계는, 상기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수신한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런처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의료기관(2)의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별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런처시스템(10)에는 의원, 병원, 상급종합병원와 같은 방식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기관종류마다 해당 기관종류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런처시스템(10)에는 외과, 내과, 성형외과와 같은 방식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진료과목마다 해당 진료과목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관종류 혹은 진료과목에 대해 저장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들은 세부적인 디자인이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내과에 대해 저장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들의 세부적인 디자인이 상이할 수 있다.
의료기관관리자(20)는 런처시스템(10)에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2), 바람직하게는 자신이 소속된 의료기관(2)에 대한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을 포함하는 필수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수신한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의료기관관리자(20)는 런처시스템(1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런처시스템(10)으로 하여금 선택된 웹페이지탬플릿에 기반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관관리자(20)는 런처시스템(1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에, 선택한 웹페이지탬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표시될 세부정보를 런처시스템(10)으로 송신하여, 런처시스템(10)으로 하여금 웹페이지를 구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도 3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런처시스템(10)에는 의료기관(2)의 기관종류인 종합병원, 병원, 의원별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이 저장되어 있고, 의료기관(2)의 진료과목인 내과, 외과, 성형외과별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내과에서 근무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가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경우에 런처시스템(10)은 내과에 대해 기저장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제공하고, 의료기관관리자(20)는 이 중 어느 하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선택하고 이에 기반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정보에 포함되는 각 정보들이 웹페이지탬플릿에 표시되어 웹페이지가 구축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페이지탬플릿은, 상기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명칭, 주소, 소속의료진, 로고, 게시글 중 1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구축단계는, 상기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수신한 상기 필수정보 및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1 이상의 정보 각각을, 해당 정보에 상응하는 레이어에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가 송신한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하고, 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에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세부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부정보란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한 명칭, 주소, 소속의료진, 로고, 게시글, 대표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세부정보의 카테고리(명칭, 주소, 소속의료진, 로고, 게시글, 대표이미지)별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의료기관관리자(20)는 각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텍스트 혹은 이미지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런처시스템(10)으로 세부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웹페이지탬플릿은 세부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들이 각각 표시되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웹페이지탬플릿은 의료기관(2)에 대한 명칭이 표시되는 명칭레이어(L1), 로고가 표시되는 로고레이어(L2), 소속의료진이 표시되는 소속의료진레이어(L4), 게시글이 표시되는 게시글레이어(L5), 주소가 표시되는 주소레이어(L6), 대표이미지가 표시되는 대표이미지레이어(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수신한 세부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들을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런처시스템은(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수신한 명칭을 명칭레이어(L1)에 표시하고, 로고를 로고레이어(L2)에 표시하고, 소속의료진을 소속의료진레이어(L4)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웹페이지 편집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않은 의료기관관리자(20) 또한, 세부정보의 카테고리별로 정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입력된 정보들이 해당 정보에 상응하는 레이어에 표시되면서 간편하게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처시스템(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인공신경망모델들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런처시스템(10)은, 상기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웹페이지탬플릿의 디자인을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의료기관관리자(20)에 의해 수정된 웹페이지탬플릿에 상기 상세정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매뉴얼모드; 및 상기 의료기관관리자(20)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탬플릿의 디자인에 대한 별도의 수정없이, 상기 의료기관관리자(20)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탬플릿에 상기 상세정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오토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런처시스템(10)은, 상기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텍스트에 대한 제1특징정보를 도출하는 자연어처리모델인 제1신경망모델; 상기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대한 제2특징정보를 도출하는 이미지처리모델인 제2신경망모델; 및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와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에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가 선택한 웹페이지탬플릿이 페어링된 학습데이터로 학습을 수행하고,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에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기설정된 개수 이하의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하는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런처시스템(10)은 매뉴얼모드와 오토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매뉴얼모드란 의료기관관리자(20)로 하여금 웹페이지탬플릿의 디자인을 세부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모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런처시스템(10)이 매뉴얼모드로 동작할 때, S3 내지 S5단계가 수행되면서,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웹페이지탬플릿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편집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은 의료기관관리자(20)는 도 3에 도시된 웹페이지탬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대한 디자인, 형태 등을 세부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뉴얼모드를 사용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는 통상적으로 웹페이지 편집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소양을 갖추었거나, 보다 공을 들여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대상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오토모드란 웹페이지탬플릿의 디자인에 대한 별도의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작모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오토모드에서는 S3 내지 S5단계가 생략됨으로써, 의료기관관리자(20)는 웹페이지탬플릿에 대한 별도의 수정을 수행하지 않고 세부정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수신한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제공하고,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에 선택된 웹페이지탬플릿의 디자인에 대한 세부적인 수정없이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토모드를 사용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는 통상적으로 웹페이지 편집에 대한 지식이 없거나, 세부적인 편집없이 간편하게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대상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런처시스템(10)이 오토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런처시스템(10)이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함에 있어, 이 중 일부를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하여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추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토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세부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하는 별도의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오토모드를 사용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가 간편하게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경향을 가짐을 고려했을 때, 의료기관관리자(20)가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받더라도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 또한 불필요한 수고로움을 유발하고 사용자편의를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하되, 이 중 일부를 추천웹페이지탬플릿으로 별도로 추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의료기관관리자(20)가 입력한 세부정보에 기반하여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이 선별되어 추천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의료기관관리자(20)가 입력한 필수정보에 기반하여,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들이 결정되고, 의료기관관리자(20)가 입력한 세부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일부가 추천웹페이지탬플릿으로 선별되어 추천될 수 있다.
한편, 매뉴얼모드와 오토모드를 지원하는 런처시스템(10)을 구현함에 있어 런처시스템(10)은 복수의 인공신경망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런처시스템(10)은 세부정보에 포함되는 텍스트를 입력받고, 이에 대한 제1특징정보를 도출하는 제1신경망모델, 세부정보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입력받고, 이에 대한 제2특징정보를 도출하는 제2신경망모델, 상기 제1신경망모델 및 제2신경망모델에 의해 도출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를 입력받고,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하는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부정보는 명칭, 주소, 소속의료진, 로고, 게시글, 대표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텍스트 혹은 이미지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신경망모델은 학습된 자연어처리모델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신경망모델은 입력된 텍스트에 대하여 해당 텍스트에 대한 특징벡터를 도출하는 학습된 자연어처리모델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신경망모델은 word2vec, doc2vec로서 텍스트 기반의 데이터를 임베딩벡터로 변환하는 인공신경망모델일 수 있다.
즉 제1신경망모델에 의해 도출되는 제1특징정보는, 세부정보에 포함되는 텍스트에 대한 의미가 벡터적으로 표현되는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부정보에 포함되는 게시글은, 의료기관관리자(20)가 웹페이지에 게시하고자 하는 내용이 텍스트형태로 입력될 수 있고, 의료기관(2)의 성격이 유사할 수록 유사한 내용의 텍스트가 업로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형외과용 웹페이지에서 업로드하는 게시글에는 "골절, 외과수술, 디스크, 관절염" 등의 텍스트들이 포함될 확률이 높으며, 성형외과용 웹페이지에서 업로드하는 게시글에는 "쌍꺼풀, 피부미용" 등의 텍스트들이 포함될 확률이 높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2)의 특성이 상이할수록(예를 들어 성형외과 그룹과 정형외과 그룹) 해당 의료기관(2)들의 웹페이지에 입력되는 텍스트(예를 들어, 게시글에 포함되는 텍스트)에 대해 도출되는 제1특징정보간의 유사도는 낮을 것이며, 반대로 의료기관(2)의 특성이 유사할수록(예를 들어 동일한 진료과목을 다루는 의료기관(2) 그룹들) 해당 의료기관(2)들의 웹페이지에 입력되는 텍스트에 대해 도출된 제1특징정보의 유사도가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나아가, 동일한 진료과목을 취급하는 의료기관(2)이더라도, 해당 의료기관(2)의 전문분야별로 제1특징정보의 유사도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성형외과 병원이더라도,  양악수술,   안면윤곽수술,   안면골절을 전문으로 하는 의료기관(2)용 홈페이지과 지방성형 , 유방성형을 전문으로 하는 의료기관(2)용 홈페이지에 입력되는 텍스트들이 상이할 수 있을 것이고, 각각의 홈페이지를 구축하기 위한 세부정보에 기반하여 도출되는 제1특징정보가 상이하게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특징정보의 유사도를 비교하면, 진료과목보다 더 세부적으로 의료기관(2)들의 특성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신경망모델은 학습된 이미지처리모델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처리모델은 입력된 이미지에 대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한 특징벡터를 도출하는 인공신경망모델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신경망모델은 학습된 CNN인공신경망모델일 수 있다.
제2신경망모델에 의해 도출되는 제2특징정보는, 해당 세부정보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대한 의미가 벡터적으로 표현되는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부정보에 포함되는 대표이미지는, 의료기관관리자(20)가 웹페이지에 게시하고자 하는 이미지일 수 있고, 의료기관(2)의 성격이 유사할 수록 유사한 내용의 이미지가 업로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형외과용 웹페이지에서 업로드하는 게시글에는 "골절, 디스크" 등과 관련된 이미지가 포함될 확률이 높으며, 성형외과용 웹페이지에서 업로드하는 게시글에는 "쌍꺼풀, 피부" 등과 관련된 이미지가 포함될 확률이 높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2)의 특성이 상이할수록(예를 들어 성형외과 그룹과 정형외과 그룹) 해당 의료기관(2)들의 웹페이지에 입력되는 이미지에 대해 도출되는 제2특징정보간의 유사도는 낮을 것이며, 반대로 의료기관(2)의 특성이 유사할수록(예를 들어 동일한 진료과목을 다루는 의료기관(2) 그룹들) 해당 의료기관(2)들의 웹페이지에 입력되는 이미지에 대해 도출된 제2특징정보의 유사도가 높게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신경망모델, 및 제2신경망모델 각각에 의해 도출되는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는 의료기관관리자(20)가 입력한 세부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이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2)의 특성을 구분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하는 인공신경망모델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의료기관관리자(20)가 송신한 세부정보에 기반하여 도출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의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에 상응하는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의료기관관리자(20)가 송신한 세부정보에 기반하여 도출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과 유사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를 가졌던 세부정보를 송신한 다른 의료기관관리자(20)들의 웹페이지탬플릿 선호도에 기반하여,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런처시스템(10)은 '오토모드를 사용 중인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세부정보를 수신하고, 제1신경망모델 및 제2신경망모델을 통해 세부정보에 대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런처시스템(10)은 '오토모드를 사용 중인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해 도출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를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오토모드를 사용 중인 의료기관관리자(20)'와 유사하게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가 도출되었던 다른 의료기관관리자(20)들의 웹페이지탬플릿 선호도에 기반하여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할 수 있다.
즉,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입력받은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를 가지는 의료기관관리자(20)들이 통상적으로 어떤 웹페이지탬플릿을 선택하였는 지 여부를 도출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런처시스템(10)은, 상기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텍스트에 대한 제1특징정보를 도출하는 자연어처리모델인 제1신경망모델; 상기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대한 제2특징정보를 도출하는 이미지처리모델인 제2신경망모델; 및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와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에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가 선택한 웹페이지탬플릿이 페어링된 학습데이터로 학습을 수행하고,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에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일부를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하는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페이지선택모들은,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 중, 구축한 웹페이지의 조회수가 기설정된 순위 이상인 의료기관관리자만을 선별하여, 선별된 의료기관관리자에 대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와 해당 의료기관관리자가 선택한 웹페이지탬플릿이 페어링된 학습데이터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제1특징정보, 제2특징정보, 및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웹페이지탬플릿선호도에 기반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웹페이지탬플릿선호도란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가 어떤 웹페이지탬플릿을 선택했는 지 여부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 또한 런처시스템(10)으로 필수정보를 송신하고, 런처시스템(10)은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는 제공받은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및 세부정보를 송신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웹페이지탬플릿선호도란 해당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가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어떤 웹페이지탬플릿을 선택했는 지에 대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가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세부정보를 제1신경망모델, 제2신경망모델에 입력하여 도출된 제1특징벡터, 및 제2특징벡터와, 해당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이 선택한 웹페이지탬플릿을 페어링하여 학습데이터를 생성하고,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이 이와 같은 학습데이터로 학습을 수행했을 때,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들의 특성(제1특징벡터 및 제2특징벡터)별로 통상적으로 어떤 웹페이지탬플릿을 선호하는 지 여부를 추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특징벡터가 0.2이고 제2특징벡터가 0.4인 다수의 의료기관관리자(20)들이 A번째 웹페이지탬플릿을 선택하고, 해당 경우에 대한 학습데이터로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이 학습을 수행했을 때,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제1특징벡터가 0.2로 도출되고, 제2특징벡터가 0.4로 도출되는 의료기관관리자(20)들은 통상적으로 A번째 웹페이지탬플릿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DNN, CNN, ANN등의 인공신경망모델일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된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는 런처시스템(10)으로 필수정보를 송신하고, 런처시스템(10)은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 의해 어느 하나의 웹페이지탬플릿이 선택된 이후, 혹은 그전의 단계에서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는 런처시스템(10)으로 세부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런처시스템(10)은 수신한 세부정보에 기반하여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런처시스템(10)은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수신한 세부정보를 제1신경망모델 및 제2신경망모델에 입력하여,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제1특징벡터 및 제2특징벡터를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런처시스템(10)은 학습된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에 도출된 제1특징벡터 및 제2특징벡터를 입력하여,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추천웹페이지를 선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된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의 특성(제1특징벡터 및 제2특징벡터)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들이 통상적으로 어떤 웹페이지탬플릿을 선호했는 지 여부에 기초하여,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방성형을 전문으로 하는 의료기관(2)에 소속된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해 도출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는, 유방성형을 전문으로 하는 의료기관(2)에 소속된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들에 대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와 유사도가 높게 도출될 수 있고, 유방성형을 전문으로 하는 의료기관(2)에 소속된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들이 기존에 어떤 웹페이지탬플릿을 선택하였는 지에 따라,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제1특징벡터가 0.2 내지 0.4이고 제2특징벡터가 0.4 내지 0.6인 다수의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들이 A번째 웹페이지탬플릿을 선택한 경향이 높을 때, 제1특징벡터가 0.3이고 제2특징벡터가 0.5로 도출되는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게는 A번째 웹페이지탬플릿이 추천웹페이지탬플릿으로 추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는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받는 것에서 나아가, 자신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들의 웹페이지탬플릿선호도에 기반하여 선별되는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추가적으로 더 제공받음으로써, 제공받은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어떤 웹페이지탬플릿을 선택해야 할 지에 대한 고민을 줄여줄 수 있다.
정리하자면,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세부정보 및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들의 웹페이지탬플릿선호도에 기반하여 학습을 수행하여,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세부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의료기관관리자(20)에 대한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는 웹페이지 편집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소양을 갖추었거나, 보다 공을 들여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대상일 수 있고, 이와 같은 의료기관관리자(20)들의 웹페이지탬플릿 선호도에 기반하여 선별되는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하였을 때,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선택한 웹페이지탬플릿에 기반하여 웹페이지보다 더 전문적인 형태(예를 들어, 방문수, 조회수가 높거나, 가시성, 가독성이 우수한 형태)로 웹페이지가 구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모든'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들에 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을 수행하지 않고 일부의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들에 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매뉴얼모드로 구축된 웹페이지들의 조회수를 기준으로 선별된 일부의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들에 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매뉴얼모드로 구축된 웹페이지들을 상위 N순위의 조회수를 가지는 웹페이지들을 선별하고, 해당 웹페이지를 구축한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들에 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학습을 수행했을 때,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은 보다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면서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20)들의 웹페이지탬플릿 선호도에 기반하여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할 수 있다.
한편, 런처시스템(10)이 매뉴얼모드 혹은 오토모드 중 어느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런처시스템(10)은 의료기관(2)용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한 필수정보 및 세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런처시스템(10)이 매뉴얼모드 혹은 오토모드 중 어느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광고게시 및 의료서비스사용자(1)와의 중개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필수정보 및 세부정보)이 수집될 수 있고, 플랫폼시스템(11)은 이에 기반하여 광고게시기능 및 중개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기관(2)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와 의료기관(2) 광고서비스를 접목한 시도는 이전에 시도된 바가 없는 본원 출원인만의 기술적 발명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시스템(11)에 의해 의료기관(2)들에 대한 광고게시 및 의료서비스사용자(3)를 중개하기 까지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랫폼시스템(11)에 의하여, 복수의 의료기관(2) 각각에 대한 웹페이지에 입력 혹은 수정되는 필수정보 혹은 상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별도의 광고웹페이지에서 복수의 의료기관(2) 각각에 대한 광고를 게시하는 광고단계; 및 상기 플랫폼시스템(11)에 의하여, 의료서비스의 중개를 요청하는 의료서비스사용자(3)에 대하여, 복수의 의료기관(2) 각각에 대해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의료서비스사용자(3)에 가장 적합한 의료기관(2) 혹은 해당 의료기관(2)에 소속된 의료진을 중개하는 중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단계는, 상기 플랫폼시스템(11)에 의하여, 상기 웹페이지구축단계를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하지 않는 외부의료기관으로부터, 해당 외부의료기관에 대한 필수정보 및 상세정보 중 1 이상을 별도로 수신하고, 상기 광고웹페이지에서 상기 외부의료기관보다 상기 웹페이지구축단계를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2)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면서 광고를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처시스템(10)은 S1 및 S6단계에서 의료기관관리자(20)로부터 필수정보 및 세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S1 및 S6단계는 도 2의 S1 및 S6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해당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단계들은 런처시스템(10)이 의료기관관리자(20)가 소속된 의료기관(2)에 대한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S8단계에서 플랫폼시스템(11)은 런처시스템(10)으로부터 해당 런처시스템(10)이 수집한 필수정보 및 세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관(2)용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필수정보 및 세부정보에는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한 기관종류, 진료과목, 명칭, 주소, 소속의료진, 로고, 게시글, 대표이미지 등의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S9단계 및 S10단계에서, 플랫폼시스템(11)은 복수의 의료기관(2)들에 대한 정보가 게시되는 광고웹페이지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의료서비스사용자(3)에게 (필수정보 및 세부정보가 수집된) 의료기관(2)에 대한 광고를 게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랫폼시스템(11)은 런처시스템(10)이 제공하는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웹페이지가 구축된 복수의 의료기관(2) 각각에 대한 정보가 게시되는 광고웹페이지를 구축하고, 이를 네트워크에 게시하여 광고를 게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랫폼시스템(11)은 다수의 의료기관(2)들에 대해 수집된 정보와 의료서비스사용자(3)가 이용하고자 하는 진료과목, 현재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당 의료서비스사용자(3)에게 최적화된 사용자맞춤형 광고를 게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시스템(11)은 의료기관(2)들에 대해 수집된 주소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영역(바람직하게는 의료서비스사용자(3)의 현재위치 근방)에 위치하는 의료기관(2)들을 선별하여, 해당 의료기관(2)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플랫폼시스템(11)은 의료기관(2)들에 대해 수집된 진료과목에 기반하여, 특정 진료과목을 이용해야 하는 의료서비스사용자(3)에게 해당 진료과목을 취급하는 의료기관(2)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플랫폼시스템(11)은 의료기관(2)들에 대해 수집된 소속의료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의료진과 상담 혹은 예약하고자 하는 의료서비스사용자(3)에게 해당 의료진이 소속된 의료기관(2)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시스템(11)은 런처시스템(10)을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2)들에 대한 광고를 게시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의료기관관리자(20)는 런처시스템(10)을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의료기관(2)에 대한 광고가 해당 의료기관(2) 근처에 위치하거나 해당 의료기관(2)이 취급하는 진료과목을 이용하고자 하는 의료서비스사용자(3)에게 제공되는 광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S11단계에서, 플랫폼시스템(11)은 의료서비스사용자(3)와 의료기관(2)을 중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서비스의 중개란 의료서비스을 이용하고자 하는 의료서비스사용자(3)에게 해당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2)을 매칭하고, 해당 의료서비스사용자(3)가 의료기관(2) 혹은 의료기관(2)에 소속된 의료진과 상담 혹은 예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의료서비스사용자(3)는 광고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받은 복수의 의료기관(2)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진료를 예약하거나 상담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플랫폼시스템(11)은 런처시스템(10)을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하지 않는 타 외부의료기관에 대한 광고를 게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플랫폼시스템(11)은 S8단계에서 외부의료기관으로부터 필수정보 및 세부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고, S9 및 S10단계에서 광고웹페이지를 구축하고 의료기관(2)들에 대한 광고를 게시함에 있어 외부의료기관에 대한 광고도 함께 게시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시스템(11)은 광고웹페이지에서 (런처시스템(10)을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2)과, (별도로 필수정보 및 세부정보를 수신한) 외부의료기관에 대한 광고를 함께 게시함에 있어, (런처시스템(10)을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2)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면서 광고를 게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순위란 사용자맞춤형 광고를 게시하는 알고리즘상의 광고노출도로서, 플랫폼시스템(11)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의료기관(2)들인 경우에는 런처시스템(10)을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2)에 대한 광고노출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광고를 게시할 수 있다.
일례로, 플랫폼시스템(11)은 의료서비스사용자(3)로부터 이용을 희망하는 진료과목 및 현재위치를 수신하고, 현재위치 근방에 위치하면서 해당 진료과목을 취급하는 의료기관(2)과 외부의료기관을 선별하여, 선별된 의료기관(2)과 외부의료기관에 대한 광고를 의료서비스사용자(3)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 과정에서 플랫폼시스템(11)은 런처시스템(10)을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2)에 대한 광고글을 런처시스템(10)을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하지 않은 외부의료기관에 대한 광고글보다 상위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시스템(11)은 런처시스템(10)을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하지 않고 광고만을 게시하고자 하는 외부의료기관에 대한 광고도 함께 게시할 수 있으나, 사용자맞춤형 광고를 게시함에 있어,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의료기관(2)인 경우에는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이용하는 의료기관(2)에게 우선도를 부여함으로써, 웹페이지 구축서비스에 대한 참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서버시스템(1)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컴퓨팅장치(11000)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시스템(1)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는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컴퓨팅장치(110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컴퓨팅장치(110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플랫폼시스템 및 런처시스템을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런처시스템에 의하여, 의료기관용 웹페이지를 생성하고자 하는 복수의 의료기관관리자 각각으로부터, 해당 의료기관관리자가 소속된 의료기관에 대한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필수정보를 수신하는 필수정보수신단계;
    상기 런처시스템에 의하여, 해당 의료기관관리자에게 상기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하고,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웹페이지탬플릿제공단계;
    상기 런처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관리자로부터 상기 웹페이지탬플릿에 기재될 명칭, 주소, 소속의료진, 로고, 게시글, 대표이미지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의료기관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탬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상기 상세정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게시하는 웹페이지구축단계;
    상기 플랫폼시스템에 의하여, 복수의 의료기관 각각에 대한 웹페이지에 입력 혹은 수정되는 필수정보 혹은 상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별도의 광고웹페이지에서 복수의 의료기관 각각에 대한 광고를 게시하는 광고단계; 및
    상기 플랫폼시스템에 의하여, 의료서비스의 중개를 요청하는 의료서비스사용자에 대하여, 복수의 의료기관 각각에 대해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의료서비스사용자에 가장 적합한 의료기관 혹은 해당 의료기관에 소속된 의료진을 중개하는 중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런처시스템은,
    상기 의료기관관리자에게 웹페이지탬플릿의 디자인을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의료기관관리자에 의해 수정된 웹페이지탬플릿에 상기 상세정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매뉴얼모드; 및
    상기 의료기관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탬플릿의 디자인에 대한 별도의 수정없이, 상기 의료기관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탬플릿에 상기 상세정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오토모드;를 지원하고,
    상기 런처시스템은,
    상기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텍스트에 대한 제1특징정보를 도출하는 자연어처리모델인 제1신경망모델;
    상기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대한 제2특징정보를 도출하는 이미지처리모델인 제2신경망모델; 및
    매뉴얼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관리자에 대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와 해당 의료기관관리자에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해당 의료기관관리자가 선택한 웹페이지탬플릿이 페어링된 학습데이터로 학습을 수행하고,
    오토모드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관리자에 대한 제1특징정보 및 제2특징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의료기관관리자에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일부를 추천웹페이지탬플릿을 선별하는 웹페이지탬플릿선별모델;을 포함하는,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런처시스템에는,
    의원, 병원, 상급종합병원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기관종류 및 내과, 외과, 소아과, 정신과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진료과목별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웹페이지탬플릿제공단계는,
    상기 의료기관관리자로부터 수신한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탬플릿은,
    상기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명칭, 주소, 소속의료진, 로고, 게시글 중 1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구축단계는,
    상기 의료기관관리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필수정보 및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1 이상의 정보 각각을, 해당 정보에 상응하는 레이어에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플랫폼시스템 및 런처시스템을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런처시스템에 의하여, 의료기관용 웹페이지를 생성하고자 하는 복수의 의료기관관리자 각각으로부터, 해당 의료기관관리자가 소속된 의료기관에 대한 기관종류 및 진료과목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필수정보를 수신하는 필수정보수신단계;
    상기 런처시스템에 의하여, 해당 의료기관관리자에게 상기 필수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을 제공하고, 제공된 복수의 웹페이지탬플릿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웹페이지탬플릿제공단계;
    상기 런처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관리자로부터 상기 웹페이지탬플릿에 기재될 명칭, 주소, 소속의료진, 로고, 게시글, 대표이미지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의료기관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탬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상기 상세정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게시하는 웹페이지구축단계;
    상기 플랫폼시스템에 의하여, 복수의 의료기관 각각에 대한 웹페이지에 입력 혹은 수정되는 필수정보 혹은 상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별도의 광고웹페이지에서 복수의 의료기관 각각에 대한 광고를 게시하는 광고단계; 및
    상기 플랫폼시스템에 의하여, 의료서비스의 중개를 요청하는 의료서비스사용자에 대하여, 복수의 의료기관 각각에 대해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의료서비스사용자에 가장 적합한 의료기관 혹은 해당 의료기관에 소속된 의료진을 중개하는 중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단계는,
    상기 플랫폼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웹페이지구축단계를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하지 않는 외부의료기관으로부터, 해당 외부의료기관에 대한 필수정보 및 상세정보 중 1 이상을 별도로 수신하고,
    상기 광고웹페이지에서 상기 외부의료기관보다 상기 웹페이지구축단계를 통해 웹페이지를 구축한 의료기관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면서 광고를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


KR1020230048007A 2023-04-12 2023-04-12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 KR102614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007A KR102614703B1 (ko) 2023-04-12 2023-04-12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007A KR102614703B1 (ko) 2023-04-12 2023-04-12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703B1 true KR102614703B1 (ko) 2023-12-15

Family

ID=8912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007A KR102614703B1 (ko) 2023-04-12 2023-04-12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7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329A (ko) * 2011-04-06 2014-02-12 미디어 다이렉트, 인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 플랫폼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69475B1 (ko) 2015-12-08 2018-06-20 송순애 의료 관광 서비스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90013154A (ko) *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웹 사이트 제작 지원 서버 및 이에 의한 웹 사이트 제작 지원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329A (ko) * 2011-04-06 2014-02-12 미디어 다이렉트, 인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 플랫폼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69475B1 (ko) 2015-12-08 2018-06-20 송순애 의료 관광 서비스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90013154A (ko) *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웹 사이트 제작 지원 서버 및 이에 의한 웹 사이트 제작 지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rtakis et al.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in primary care: physician and patient gender and gender concordance
Kitchener Thebureaucratization'of professional roles: the case of clinical directors in UK hospitals
US874481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tilizing prediction models in healthcare
CN107330238A (zh) 医疗信息采集、处理、存储与显示方法与装置
Ernst Iridology: not useful and potentially harmful
CN102227730A (zh) 基于小工具的应用中临床元素提取、保持和传送的系统和方法
CN111986744B (zh) 医疗机构的患者界面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Alepis et al. M-health: supporting automated diagnosis and electonic health records
Lin et al. An intelligent system for assisting personalized COVID-19 vaccination location selection: Taiwan as an example
WO2014037922A2 (en) Clinical decision support
CN111723277A (zh) 影像结构化报告云端需求分类系统及其方法
KR20240008838A (ko) 인공 지능-보조 이미지 분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harma et al. A framework for automatic categorization of social data into medical domains
Muhlestein et al. Predicting discharge disposition following meningioma resection using a multi-institutional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odel
Plastiras et al. An ontology-driven information model for interoperability of personal and electronic health records
Ting et al. Web information retrieval for health professionals
KR102614703B1 (ko) 의료기관용 웹페이지 구축서비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
KR102614705B1 (ko) 사용자특성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사용자와 의료진을 중개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6842789B1 (ja) 介護に関する計画書の作成を支援する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Rifki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aving trees, saving lives
Gomoi et al. Clinical decision support based on Topic Maps and virtual medical record
Bellieni Consumerism: a threat to health?
Anitha et al. Virtual Medical Assistant Using Machine Learning
Che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discharge summary note based on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Zhou et al. Human Aspects of IT for the Aged Population. Applications in Health, Assistance, and Entertainment: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ITAP 2018, Held as Part of HCI International 2018, Las Vegas, NV, USA, July 15–20, 2018, Proceedings, Part 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