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683B1 - 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 - Google Patents

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683B1
KR102614683B1 KR1020220175933A KR20220175933A KR102614683B1 KR 102614683 B1 KR102614683 B1 KR 102614683B1 KR 1020220175933 A KR1020220175933 A KR 1020220175933A KR 20220175933 A KR20220175933 A KR 20220175933A KR 102614683 B1 KR102614683 B1 KR 102614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soil environment
light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26636A (en
Inventor
모창연
양재의
이호영
김민지
천승우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7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683B1/en
Publication of KR2023012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6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68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55Details, e.g. use of specially adapted sources, lighting or optical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7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 circuits for computing concen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2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2Video came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4Mechano-optical scan, i.e. object and beam moving
    • G01N2201/1047Mechano-optical scan, i.e. object and beam moving with rotating optics and moving s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모듈을 이용하여 360도 전방위 측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다분광 영상 측정으로 토양 내부 환경의 정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촬영 모듈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한번의 장치 삽입으로도 높이를 달리하여 원하는 위치에서의 토양 내부 환경의 촬영이 가능한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that not only enables 360-degree omnidirectional measurement using an imaging module, but also allows precise monitoring of the internal soil environment through multispectral image measurem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in which the height of the imaging module is adjustable, allowing the soil environment to be photographed at a desired location by varying the height with a single insertion of the device.

Description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SOIL ENVIRONMENT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

본 발명은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모듈을 이용하여 장치 주위의 토양 환경을 360도 전방위 측정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분광 영상 측정으로 토양 내부 환경 및 뿌리 생육의 정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More specifically, it is capable of measuring the soil environment around the device in 360 degrees using an imaging module, as well as precise monitoring of the soil internal environment and root growth through multispectral image measurement. This concerns a possibl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또한, 촬영 모듈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한번의 장치 삽입으로도 높이를 달리하여 원하는 위치에서의 토양 내부 환경의 촬영이 가능한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in which the height of the imaging module is adjustable, allowing the soil environment to be photographed at a desired location by varying the height with a single insertion of the device.

일반적으로 식물의 생육을 관리하기 위해서 토양의 외부 환경 뿐 이 아니라 토양 내부의 환경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식물 생육 관리를 위해서는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토양정보, 구체적으로, 식물의 발아와 뿌리 발육에 필요한 물리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토양과 토성 등 식물생육에 필요한 영양 상태 파악이 필요하다.In general, in order to manage plant growth,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not only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soil but also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oil. In other words, in order to manage plant growth,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oil information necessary for plant growth, specifically, the nutritional conditions necessary for plant growth, such as soil and soil to determine the physical conditions necessary for plant germination and root development.

이를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402001호에는 '식물 생육 관리를 위한 토양 모니터링 기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종래 기술은 토양 내부 환경의 정밀한 관찰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To this end, Korean Patent No. 10-1402001 discloses a 'soil monitoring device for plant growth management', but the prior art had the problem of making it difficult to precisely observe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oil.

또한, 식물의 생육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식물의 뿌리 생육 상태의 정밀한 관찰이 필요하며, 특히, 뿌리 조직의 상태(예를 들어, 살아있는 뿌리 조직, 죽은 뿌리 조직의 식별 등)를 정밀히 관찰하기 위해서는 다분광 영상 촬영을 통한 이미지 분석이 필요하나,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뿌리 조직의 상태의 정밀한 관찰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manage the growth state of plants, precise observation of the root growth state of the plant is necessary. In particular, precise observation of the state of root tissue (e.g., identification of living root tissue, dead root tissue, etc.) Image analysis through spectroscopic imaging is necessary,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observe the state of root tissue using conventional technology.

따라서, 다분광 영상 촬영을 통한 토양 내부 환경 및 식물의 뿌리 조직의 상태의 정밀한 분석이 가능한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chnology for a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precisely analyzing the state of the internal soil environment and plant root tissue through multispectral imaging.

한국등록특허 제10-1402001호(2014.05.26)Korean Patent No. 10-1402001 (2014.05.26)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촬영 모듈을 이용하여 장치 주위의 토양 환경을 360도 전방위 측정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분광 영상 측정으로 토양 내부 환경 및 뿌리 생육의 정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spect, and not only can 360-degree omnidirectional measurements of the soil environment around the device using an imaging module, but also precise monitoring of the soil internal environment and root growth through multispectral image measurement. Provide a possibl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또한, 촬영 모듈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한번의 장치 삽입으로도 높이를 달리하여 원하는 위치에서의 토양 내부 환경의 촬영이 가능한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n adjustable height of the imaging module,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is provided that allows imaging of the internal soil environment at a desired location by varying the height even with a single inser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는, 일정 길이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유닛; 및 상기 이동 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토양 환경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which an internal space of a certain length is formed; A moving unit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hotographing module fixed to the mobile unit to photograph the soil environment outside the housing.

이때,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 방향으로 발광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 토양 환경의 스캐닝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 토양 환경의 스캐닝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hotographing module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irradiates light into a scanning area of the soil environment outside the housing; and a photographing unit that photographs a scanning area of the external soil environment of the housing u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이때,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제1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제1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상기 하우징의 외주 방향으로 반사시켜 외부 환경의 스캐닝 영역으로 빛을 조사시키는 제1 미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방향이란 제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서,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가 삽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that irradiates light in a first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and a first mirror unit located in a first direction,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and irradiating the light to a scanning area of the external environment.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is inserted.

이때,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제2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미러부에 의해 스캐닝 영역으로 조사된 빛을 다시 반사시키는 제2 미러부;및 상기 제2 미러부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는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hotographing unit includes a second mirror unit located in a second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to reflect back the light irradiated to the scanning area by the first mirror unit; and a reflection from the second mirror unit. It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that receives the light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이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to the server.

한편, 상기 제1 미러부는, 상기 광원부에 제1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단면은 원형이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넓어져 외면이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mirror unit is positioned to face the light source unit in a first direction,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can be formed to have a curved outer surface with a cross-sectional area that gradually widens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제2 미러부는, 상기 촬영부에 제2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중심부가 상기 촬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아치(arc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mirror unit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imaging unit in a second direction, and may be formed in an arch shape with a central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imaging unit.

이때,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투명 재질의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 유닛 및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may further include a cas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이때, 제2 미러부의 중앙에는 돌출되어 촬영부를 향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mirror unit that protrudes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photographing unit.

한편,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이동 플레이트;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ving unit includes: a moving plat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 screw coupled to one end of the moving plate and rotating to move the moving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 motor that provides power to the screw to rotate the screw.

이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모듈을 이용하여 장치 주위의 토양 환경을 360도 전방위 측정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분광 영상 측정으로 토양 내부 환경 및 뿌리 생육의 정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soil environment around the device be measured in 360 degrees using an imaging module, but it is also possible to precisely monitor the soil internal environment and root growth through multispectral image measurement.

또한, 촬영 모듈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한번의 장치 삽입으로도 높이를 달리하여 원하는 위치에서의 토양 내부 환경의 촬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n adjustable height of the photographing module,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oil at a desired location by varying the height with a single inser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The above-described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ct arrangement and means shown.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a soil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attached drawings are merely explained to more easily disclose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easily understand this. You will find out.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in advance tha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but that they are not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drawing numbers and overlapping The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의 개략도이며,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는 토양에 삽입되어 식물의 뿌리나 토양 내부 환경을 관찰한다. 구체적으로, 식물의 생육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토양정보가 필요하고, 또한 식물의 뿌리 생육 상태의 정밀한 관찰이 필요한데,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는, 토양에 일정 기울기로 삽입되어 후술할 촬영 모듈(300)을 통해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 주위의 토양 내부 환경 및 식물 뿌리의 생육 상태를 관찰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soil and penetrates the roots of plants or inside the soil. Observe the environment. Specifically, in order to manage the growth of plants, information on the soil necessary for the plants to grow is required, and also precise observation of the growth state of the roots of the plants is required.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constant inclination to the soil.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oil and the growth state of plant roots around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are observed through the imaging module 300, which is inserted and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로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는, 하우징(100), 이동 유닛(200) 및 촬영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nd referring to FIG. 3 ,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0, a mobile unit 200, and an imaging module 300.

하우징(100)은 일정 길이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중공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의 파이프(pip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 주위의 토양이나 식물의 뿌리의 관찰을 위해 투명의 합성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has an internal space of a certain length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pecifically,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pipe with a hollow internal space,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observation of soil or plant roots around the housing 100. It can be.

이동 유닛(200)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고하면, 이동 유닛(200)은 이동 플레이트(210), 스크류(230) 및 모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unit 20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 the moving unit 200 may include a moving plate 210, a screw 230, and a motor 250.

이동 플레이트(210)는 하우징(100)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moving plate 2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 of the housing 100,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0, an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0.

스크류(23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이동 플레이트(2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이동 플레이트(210)를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 스크류(230)와 결합되는 이동 플레이트(210)의 일단부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스크류(230)의 회전시 이동 플레이트(210)가 스크류(23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한다.The screw 230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moving plate 210 and rotates to move the moving plate 2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I order it. At this time, a bearing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ing plate 210 coupled with the screw 230, so that when the screw 230 rotates, the moving plate 210 does not rotate with the screw 230 but moves in a straight line. .

모터(250)는 하우징(100)의 외부에 구비되며, 스크류(230)와 연결되어 스크류(230)에 동력을 제공하여 스크류(230)를 회전시킨다.The motor 250 is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100 and is connected to the screw 230 to provide power to the screw 230 to rotate the screw 230.

즉, 전기적 제어에 의해 모터(250)를 작동하면, 모터(250)는 스크류(230)에 동력을 제공하여 스크류(230)를 회전시키고, 스크류(230)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230)와 연결된 이동 플레이트(210)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motor 250 is operated by electrical control, the motor 250 provides power to the screw 230 to rotate the screw 230, and as the screw 230 rotates, the motor 250 connected to the screw 230 The moving plate 21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유닛(200)을 이용하여 이동 유닛(200)에 연결된 촬영 모듈(300)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한번의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 삽입으로도 높이를 달리하여 원하는 위치에서의 토양 내부 환경의 촬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imaging module 300 connected to the mobile unit 200 can be adjusted using the mobile unit 200, so that the height can be changed even with a single insertion of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photography of the internal soil environment at a desired location.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는 가이드 레일(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7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가이드 레일(270)은 이동 플레이트(210)에 관통 삽입되어 이동 플레이트(210)와 연결되며, 이동 플레이트(210)의 하우징(100)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레일(270)은 이동 플레이트(210)의 이동시 이동 플레이트(210)의 진동을 최소화시켜, 이동 플레이트(210)에 연결되는 촬영 모듈(300), 통신 모듈(500) 등의 부품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촬영 모듈(300)의 진동을 최소화시키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촬영 모듈(300)이 상/하 이동하면서 토양 내부 환경 또는 식물 뿌리의 연속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270. The guide rail 270 is formed in a bar shape with a constant length and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The guide rail 270 is inserted through the moving plate 210 and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21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The guide rail 270 minimizes the vibration of the moving plate 210 when the moving plate 210 is moved, thereby reducing the vibration of parts such as the imaging module 30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210. This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vibration of the imaging module 300 and allowing it to move, thereby enabling continuous imaging of the soil environment or plant roots while the imaging module 300 moves up and down.

이때, 촬영 모듈(300)은 발광 유닛(310) 및 촬영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hotographing module 30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310 and a photographing unit 330.

발광 유닛(310)은 하우징(100)의 외주 방향으로 발광하여 하우징(100) 외부 토양 환경의 스캐닝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며, 촬영 유닛(330)은 발광 유닛(31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하우징(100)의 외부 토양 환경의 스캐닝 영역을 촬영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310 emits light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and radiates light to the scanning area of the soil environment outside the housing 100, and the imaging unit 330 u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310 to emit light. The scanning area of the external soil environment of the housing 100 is photographed.

즉, 발광 유닛(310)이 투명 재질의 하우징(100)을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빛을 조사하면 하우징(100) 외부의 토양이나 뿌리에 의해 빛이 반사되고, 반사된 빛이 다시 투명 재질의 하우징(10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면 촬영 유닛(330)이 반사된 빛을 수광하고 분석하여 하우징(100) 외부의 토양 환경을 관찰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유닛(310)에 의해 빛이 조사되어 촬영 유닛(330)에 의해 관찰되는 하우징(100) 외부의 둘레 영역을 스캐닝 영역이라 한다.That is,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310 irradiates ligh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housing 10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soil or roots outside the housing 100, and the reflected light is returned to the transparent material. When the light flows inside through the housing 100, the photographing unit 330 receives and analyzes the reflected light to observe the soil environment outside the housing 100. In this embodiment, the peripheral area outside the housing 100, where light is irradia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310 and observ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30, is referred to as a scanning area.

도 4를 참고하면, 발광 유닛(310)은 광원부(311) 및 제1 미러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311)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의 제1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이때, 제1 방향은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가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으며, 광원부(311)는 서로 다른 영역대의 파장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로 구성되어, 다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light emitting unit 310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311 and a first mirror unit 313. The light source unit 311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and irradiates light in a first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At this time, the first direction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is inserted, and the light source unit 31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that irradiate wavelengths in different regions, and selectively emits light of multiple wavelengths. It can emit ligh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모듈(300)은 이동 유닛(200)의 이동 플레이트(2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플레이트(21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321)에 발광 유닛(310)이 결합되고, 제1 지지 플레이트(32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325)에 발광 유닛(310)이 결합됨으로써, 촬영 모듈(300)이 이동 플레이트(210)에 결합되며, 이동 플레이트(210)의 직선 이동에 따라 촬영 모듈(300)도 함께 이동한다. 이때, 제1 지지 플레이트(321)와 제2 지지 플레이트(325) 사이에는 중간 플레이트(323)가 개재될 수 있으며, 제1 지지 플레이트(321)에 제1 미러부(313)가 결합되고, 중간 플레이트(323)의 어느 일면에 제1 미러부(313)에 대향하는 광원부(311)가 결합되고, 중간 플레이트(323)의 타면에 촬영부(331)가 결합되고, 제2 지지 플레이트(325)에 촬영부(331)에 대향하는 제2 미러부(333)가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module 300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plate 210 of the moving unit 200. Specifically, the light emitting unit 31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321 fixed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movable plate 21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is fixed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321. By coupling the light emitting unit 310 to 325, the photographing module 300 is coupled to the moving plate 210, and the photographing module 300 also moves along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210. At this time, an intermediate plate 32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32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325, and the first mirror portion 313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321, and the intermediate plate 323 The light source unit 311 opposing the first mirror unit 31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late 323, the imaging unit 331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323,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325 The second mirror unit 333 facing the imaging unit 331 may be coupled to the.

제1 지지 플레이트(321), 중간 플레이트(323), 제2 지지 플레이트(325)는 이동 플레이트(210)에 대응하여 원형의 판(plate)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321), 중간 플레이트(323), 제2 지지 플레이트(325)는 봉 형상의 지지바(327)를 통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late 321, the intermediate plate 323,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325 may be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able plate 210, and the first suppo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ate 321, the intermediate plate 323,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325 may b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 rod-shaped support bar 327.

도 4를 참고하면, 제1 미러부(313)는 광원부(311)로부터 제1 방향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광원부(311)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하우징(100)의 외주 방향으로 반사시켜 하우징(100) 외부 환경의 스캐닝 영역으로 빛을 조사시킨다. 즉, 광원부(311)에서 제1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1 미러부(313)는 오목 거울의 기능을 하여 광원부(311)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하우징(100) 외벽을 향해 방사(radiation) 방향으로 빛을 조사시킨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mirror unit 313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unit 311 in the first direction and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311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00. ) Light is irradiated into the scanning area of the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the first mirror unit 313 positioned to face the light source unit 311 in the first direction functions as a concave mirror to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311 and radiate it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100. ) irradiates light in the direction.

이때, 제1 미러부(313)는 단면은 원형이며 제1 방향으로 갈수로 단면적이 점차 넓어져 외면이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의해 광원부(311)에서 조사된 빛을 균등하게 360도 전방위로 반사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mirror unit 313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can b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widens and the outer surface is curved as it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Due to this shap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311 is evenly distributed over 360 degrees. It can also be reflected in all directions.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촬영 유닛(330)은, 제2 미러부(333) 및 촬영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the photographing unit 330 may include a second mirror unit 333 and a photographing unit 331.

제2 미러부(333)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제2 방향에 위치하여 제1 미러부(313)에 의해 스캐닝 영역으로 조사된 빛을 다시 반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방향이란 제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서,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가 삽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일 수 있다.The second mirror unit 333 is located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and reflects the light irradiated to the scanning area by the first mirror unit 313 back.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is inserted.

촬영부(331)는 제2 미러부(333)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시켜 다분광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촬영부(331)는 다파장의 영상을 측정할 수 있는 실리콘기반의 Mono/Color 영상센서일 수 있다.The imaging unit 331 may receive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mirror unit 333 and convert it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to obtain a multispectral image. At this time, the imaging unit 331 may be a silicon-based mono/color imag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images of multiple wavelengths.

구체적으로, 제2 미러부(333)는 촬영부(331)에 제2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촬영부(331)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중심부가 촬영부(331) 방향으로 돌출되는 아치(arc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 외부의 스캐닝 영역에서 반사된 빛이 하우징(100) 외벽을 통과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면, 제2 미러부(333)가 볼록 거울 기능을 하여 유입된 빛을 다시 반사시켜 촬영부(331)로 조사하며, 촬영부(331)는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mirror unit 333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331 so as to face the photographing unit 331 in the second direction, and has an arch shape whose central portion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331. can be formed. That is, when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ning area outside the housing 100 passes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100 and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the second mirror unit 333 functions as a convex mirror and reflects the light that has entered. It is reflected and irradiated to the photographing unit 331, and the photographing unit 331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perform image processing.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 외부의 스캐닝 영역에 대한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즉, 발광 유닛(310)에 의해 하우징(100)의 외주를 따라 스캐닝 영역에 360도 전방위로 다파장의 빛을 조사하고, 촬영 유닛(330)에 의해 스캐닝 영역을 촬영하여 다분광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하우징(100) 주변의 토양 내부 환경 및 뿌리 생육의 정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이다.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capture images of the scanning area outside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That is, the light emitting unit 310 irradiates multi-wavelength light in a 360-degree omnidirectional direction to the scanning area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100, and the imaging unit 330 photographs the scanning area to obtain a multi-spectral image. , it is possible to precisely monitor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oil and root growth around the housing 100.

이때, 촬영부(331)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무선 통신 모듈(500)은 이동 플레이트(210) 및 제1 지지 플레이트(321) 사이에 구비되며, 일단부가 이동 플레이트(21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321)에 고정되어, 이동 플레이트(210)와 제1 지지 플레이트(32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모듈(5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소형의 컴퓨터일 수 있다.At this tim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00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unit 331 to an external server may be further included. Referring to FIG. 3,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00 is provided between the moving plate 210 and the first support plate 321, with one end fixed to the moving plate 210 and the other end being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321. ), so that the moving plate 210 and the first support plate 321 can be connected. At this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00 may be a small computer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10)는 케이스(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gure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6,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case 340. More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케이스(340)는 하우징(100)에 대응하는 원기둥의 파이프 형상으로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케이스(340)의 내부에는 발광 유닛(310) 및 촬영 유닛(330)이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ase 340 has a cylindrical pipe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100 and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and a light emitting unit 310 and a photographing unit 330 are provided inside the case 340. It can be.

이때, 케이스(340)의 양 단에는 케이스(340)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3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스(340) 내부에 발광 유닛(310) 및 촬영 유닛(330)이 구비되는 경우 밀폐된 환경에서 하우징(100) 외부의 환경을 더욱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유닛(330)의 촬영부(331) 전단부에는 렌즈(335)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covers 341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ase 340 to seal the case 340, and if the light emitting unit 310 and the photographing unit 330 are provided inside the case 340, the case 340 can be sealed. In this environment, the environment outside the housing 100 can be observed more precisely. At this time, a lens 335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photographing unit 331 of the photographing unit 330.

한편, 제2 미러부(333)의 중앙에는 돌출되어 촬영부(331)를 향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33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334)는 촬영 유닛(330)의 제2 미러부(333)의 중앙에 돌출되어 긴 원뿔 모양으로 형성되고, 돌출부(334)는 제2 미러부(333)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이 제2 미러부(333)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첨단부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34)의 타단의 첨단부의 중심은 촬영부(331)의 중심 및 제2 미러부(333)의 중심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a protrusion 334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irror unit 333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photographing unit 331. Specifically, the protrusion 334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mirror portion 333 of the photographing unit 330 and is formed in a long cone shape, and the protrusion 334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mirror portion 333.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second mirror part 333, and the other end has a tip,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center of the tip of the other end of the protrusion 334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center of the imaging unit 331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mirror unit 333.

돌출부(334)는 제2 미러부(333)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사되는 빛을 가이드하여 제2 미러부(333)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온전히 촬영부(331)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촬영부(331)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잔상을 제거하여 촬영 영상의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The protrusion 334 prevents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mirror unit 333 from being dispersed and guides the reflected light so that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mirror unit 333 is completely directed to the photographing unit 331. By allowing it to flow in, the image quality of the captured image can be improved by removing the afterimage of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331.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모듈(300)을 이용하여 하우징(100) 주위의 토양 환경을 360도 전방위 측정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분광 영상 측정으로 토양 내부 환경 및 뿌리 생육의 정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soil environment around the housing 100 be measured in 360 degrees using the imaging module 300, but it is also possible to precisely monitor the soil internal environment and root growth through multispectral image measurement. It works.

또한, 촬영 모듈(300)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한번의 장치 삽입으로도 높이를 달리하여 원하는 위치에서의 토양 내부 환경의 촬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height of the imaging module 300 to be adjustable,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oil at a desired location by varying the height even with a single device inser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looked at,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is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 100: 하우징
200: 이동 유닛 210: 이동 플레이트
230: 스크류 250: 모터
270: 가이드 레일 300: 촬영 모듈
310: 발광 유닛 311: 광원부
313: 제1 미러부 321: 제1 지지 플레이트
323: 중간 플레이트 325: 제2 지지 플레이트
327: 지지바 330: 촬영 유닛
331: 촬영부 333: 제2 미러부
334: 돌출부 335: 렌즈
340: 케이스 341: 커버
500: 통신 모듈
10: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100: Housing
200: moving unit 210: moving plate
230: screw 250: motor
270: Guide rail 300: Shooting module
310: light emitting unit 311: light source unit
313: first mirror unit 321: first support plate
323: intermediate plate 325: second support plate
327: support bar 330: shooting unit
331: Photographing unit 333: Second mirror unit
334: protrusion 335: lens
340: Case 341: Cover
500: Communication module

Claims (6)

일정 길이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유닛; 및
상기 이동 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토양 환경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 방향으로 발광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 토양 환경의 스캐닝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 토양 환경의 스캐닝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제1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제1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상기 하우징의 외주 방향으로 반사시켜 외부 환경의 스캐닝 영역으로 빛을 조사시키는 제1 미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제2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미러부에 의해 스캐닝 영역으로 조사된 빛을 다시 반사시키는 제2 미러부;및
상기 제2 미러부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는 촬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미러부는,
상기 촬영부에 제2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중심부가 상기 촬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아치(arch)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미러부의 중앙에는 돌출되어 촬영부를 향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
A housing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in which an internal space of a certain length is formed;
A moving unit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includes a photographing module fixed to the mobile unit to photograph the soil environment outside the housing,
The shooting module is,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and irradiates light into a scanning area of the soil environment outside the housing; and
It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that photographs a scanning area of the external soil environment of the housing u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is,
a light source unit that irradiates light in a first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and
A first mirror unit located in a first direction and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to irradiate the light to a scanning area of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shooting unit is,
A second mirror unit located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to reflect back the light irradiated to the scanning area by the first mirror unit; And
It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that receive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mirror unit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The second mirror unit,
Positioned to face the imaging unit in a second direction,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in an arch shape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imaging unit,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irror unit and extends longitudinally toward the photograph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unit to th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러부는,
상기 광원부에 제1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단면은 원형이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넓어져 외면이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mirror unit,
Located to face the light source in a first direction,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s circula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widens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cur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투명 재질의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 유닛 및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case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photographing unit are provided inside the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이동 플레이트;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bile unit is,
A moving plat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 screw coupled to one end of the moving plate and rotating to move the moving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 motor that provides power to the screw to rotate the screw.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soi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is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further comprising a guide rail that guides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220175933A 2022-02-23 2022-12-15 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 KR1026146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933A KR102614683B1 (en) 2022-02-23 2022-12-15 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501A KR102505662B1 (en) 2022-02-23 2022-02-23 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
KR1020220175933A KR102614683B1 (en) 2022-02-23 2022-12-15 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501A Division KR102505662B1 (en) 2022-02-23 2022-02-23 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636A KR20230126636A (en) 2023-08-30
KR102614683B1 true KR102614683B1 (en) 2023-12-14

Family

ID=855098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501A KR102505662B1 (en) 2022-02-23 2022-02-23 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
KR1020220175933A KR102614683B1 (en) 2022-02-23 2022-12-15 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501A KR102505662B1 (en) 2022-02-23 2022-02-23 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566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001B1 (en) 2013-11-27 2014-05-30 박종현 Apparatus for monitoring soil for controll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
KR101584455B1 (en) 2014-10-20 2016-01-11 한국광기술원 Shooting module for inner of component and system for using the same
KR102308371B1 (en) 2020-08-07 2021-10-06 (주)유비엔 Depth control soil moisture monitoring device using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968B1 (en) * 2018-08-24 2020-06-11 대한민국 Soil moisture sensor that could measure moisture according to dep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001B1 (en) 2013-11-27 2014-05-30 박종현 Apparatus for monitoring soil for controll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
KR101584455B1 (en) 2014-10-20 2016-01-11 한국광기술원 Shooting module for inner of component and system for using the same
KR102308371B1 (en) 2020-08-07 2021-10-06 (주)유비엔 Depth control soil moisture monitoring device using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662B1 (en) 2023-03-06
KR20230126636A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055B2 (en) Lymph node detector
US7474399B2 (en) Dual illumination system for a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US7589839B2 (en) Examination apparatus, fluoroscopy apparatus, examination method, and experimental method
US8060172B2 (en) In-vivo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US118061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vivo optical imaging and measurement
US4896966A (en) Motility scanner and method
JP2001516036A (en) Multi-parameter scanner
US7474398B2 (en) Illumination system for an imaging apparatus with low profile output device
WO2009081969A1 (en) Biological image acquisition device
US20070091425A1 (en) Microscope examination apparatus and microscope examination method
JP2006509197A (en) Optical tomography of small objects using parallel beam irradiation and post-specimen optical magnification
WO2013002290A1 (en) Drug detection device and drug detection method
US201403301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 multi-directional imaging for capturing tomographic data
CN105717629A (en) Bore imaging system
KR102614683B1 (en) Monito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 of soil
EP2021774B1 (en) A system comprising a dual illumination system and a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said system
KR101808218B1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bio-image analysis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8113803A (en) Phantom for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placing this phantom
JP4464725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JP2009229290A (en) Sample holding apparatus and biological image acquisition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H10179558A (en) Light transmissive video device
WO2013118910A1 (en) Calibrator device
JP5325430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3D proximity imaging device of embryo sample
JP2017138329A (en) Optical imaging device
CN111596505A (en) Portable fingerprint camera device of reflection formation of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